KR20180117430A -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430A
KR20180117430A KR1020170050539A KR20170050539A KR20180117430A KR 20180117430 A KR20180117430 A KR 20180117430A KR 1020170050539 A KR1020170050539 A KR 1020170050539A KR 20170050539 A KR20170050539 A KR 20170050539A KR 20180117430 A KR20180117430 A KR 20180117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sensor node
zone
communication
rs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욱
강호용
이인환
이재흠
전종암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430A/ko
Publication of KR20180117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제1 존(a first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1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존에 인접한 제2 존(a second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2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와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노드 중에서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한다.

Description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GATEWAY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UT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에 매설된 센서 노드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상위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싱크홀 및 지반침하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지하 환경에 대한 토압, 침하 정도, 수압, 토양 수분 상태 및 지중 매립시설물(배관, 전기선 등)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지하에 다수의 센서 노드를 매설하고 각 센서노드에서 수집한 센싱정보를 지하 상태를 관리하는 외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센서노드에서 수집한 센싱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 센서노드와 외부 서버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센서 노드와 통신하는 다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설계되는 데, 각 통신 모듈은 지정된 센서 노드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센서노드가 매설된 지역의 RF 통신 환경은 실시간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모든 통신 모듈이 동일한 최적의 통신 성능을 제공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센서노드에서 수집한 센싱정보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게이트웨이 입장에서는 최적의 통신 성능을 유지하는 통신 모듈들만을 선택하여 센서노드에서 수집한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정보의 신뢰도를 보장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아직까지 내부에 설계된 다수의 통신모듈 중에서 최적의 통신 성능을 갖는 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게이트웨이의 개발은 미비하다.
또한, 게이트웨이 내에 설계되는 통신모듈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전력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적의 통신 성능을 유지하는 통신 모듈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동시에 전력소모량이 적은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제1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분석하고, 제2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이용하여 제2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모듈의 RF 특성과 상기 제2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노드 중에서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센싱 주기의 변경을 결정하기 위한 변경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변경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센싱주기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는, 제1 존(a first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1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과, 상기 제1 존에 인접한 제2 존(a second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2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와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노드 중에서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통신성능을 유지하는 통신모듈만이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은 동작 중지됨으로써, 게이트웨이에 수신되는 센싱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게이트웨이의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최적의 통신성능을 유지하는 통신모듈만이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내부에 설계되는 통신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전력 소모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내부에 설계되는 통신모듈의 개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운 하드웨어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지능적으로 학습된 판단 조건에 따라 센서노드의 센싱주기를 지능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센서노드의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든 센싱 인프라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센서노드 간의 통신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센서 장치(100) 및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센서 장치(100)는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센서노드(110, 120)를 포함한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서는 2개의 센서 노드들(110, 120)만을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수의 센서 노드들이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편의상, 참조번호 110이 지시하는 센서 노드를 '제1 센서 노드'라 지칭하고, 참조번호 120이 지시하는 센서 노드를 '제2 센서 노드'라 지칭한다.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 120) 각각은 지하 환경에 대한 토압, 침하 정도, 수압, 토양 수분 상태는 물론, 지하 매설물(underground utility) 등의 지하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한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지하 매설물은, 예를 들면, 상하수도, 가스관, 전기선 등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 120) 각각은 수집한 센싱 정보를 지상에 위치한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무선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 120) 각각은 센서(112)와 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2)는 지하 환경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112)는, 예를 들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초음파 센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기반으로 하는 센서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하 환경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4)는 센서(112)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센싱 정보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무선 전송한다.
무선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부(114)는 적절한 모뎀, 증폭기, 필터, 안테나 및 이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지상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신호등 또는 CCTV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로부터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RF 신호를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로 각각 전송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안테나(210)와 게이트웨이(220)를 포함한다.
안테나(210)는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 12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를 제1 및 제2 센서 노드(110, 120)로 전송한다.
안테나(210)는 제1 및 제2 안테나(210, 220)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212)는 제1 센서 노드(11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센서 노드(110)로 RF 신호를 전송한다. 제2 안테나(220)는 제2 센서 노드(120)로부터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센서 노드(120)로 RF 신호를 전송한다.
도 1에서는 2개의 안테나들(212, 214)을 도시하고 있으나, 지하에 매설된 센서 노드들의 개수에 따라 3개 이상의 안테나들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30)는 기본적으로 상기 안테나(210)를 통해 전달되는 RF 신호를 복조하여 센싱 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센싱 정보를 상위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상위 플랫폼은 원거리에 있는 지하 매설물과 같은 지하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서버, 센터 및 이들이 접속되는 상위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면, 와이파이 망, LTE 망, 이더넷망, 근거리 통싱망 등)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230)는 때때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능형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지칭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230)는 상위 통신 인터페이스(231), 제어부(233), 배터리 모듈(235), 메모리(237), 및 하위 통신 인터페이스(239)를 포함한다.
상위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전술한 상위 플랫폼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제어부(233)를 통해 센싱 노드(100)에서 수집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정보를 상위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상위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s protocol)을 지원하며,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센싱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상위 플랫폼(도시하지 않음)으로 전송한다.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상위 통신 인터페이스(231)는 와이파이 모듈, 이더넷 모듈, LTE 모듈, 블루투스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W-CDMA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35)는 게이트웨이(230) 내의 각 구성들에게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게이트웨이(230) 내에 교체 가능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메모리(237)에는 제어부(233)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각종 명령어, 제어부(233)가 다른 구성들과 주고받은 데이터 및 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37)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 노드(110 또는 120)의 센싱 주기 변경을 결정하기 위한 심플한 변경조건 및 지능적으로 학습된 변경조건이 이진 데이터 형태로 더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37)는 정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롬(RO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3)는 게이트웨이(230) 내의 각 구성들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RF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하위 통신 인터페이스(231)에 포함된 제1 및 제2 통신모듈(239A, 239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3)는 심플한 변경조건 또는 지능적으로 학습된 변경조건을 기반으로,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 노드(110 또는 120)의 센싱주기를 제어한다. 이러한 센싱주기의 제어를 통해, 센싱 정보의 신뢰성 및 전체 시스템의 전력 절감을 달성한다.
제어부(233)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4)는 하나 이상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하드웨어 코어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하위 통신 인터페이스(239)는 지하에 매설된 센서 노드(110, 120)와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으로, 제어부(233)에 의해 제어되는 2개의 통신모듈들(239A, 239B)을 포함한다. 편의상, 참조번호 239A는 제1 통신모듈로 지칭하고, 참조번호 239B는 제2 통신모듈로 지칭한다.
제1 통신모듈(239A)은 제1 안테나(212, 도 1에 도시됨)와 연결되어, 제1 안테나(212, 도 1에 도시됨)가 담당하는 제1 존(Zone1) 내에 지하에 매설된 제1 센서 노드(11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제2 통신모듈(239B)은 제2 안테나(214, 도 1에 도시됨)와 연결되어, 제2 안테나(214, 도 1에 도시됨)가 담당하는 제2 존(Zone2) 내의 지하에 매설된 제2 센서 노드(12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센서노드(110)와 제2 센서노드(120)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어부(233)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제1 및 제2 존의 RF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제1 통신모듈(239A) 및 제2 통신모듈(239B)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전송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에 대해서는 무선 통신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센서노드 간의 통신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모듈(도 2의 239A)이 제1 존(Zone1)의 지하에 매설된 센서노드 A와의 무선 통신을 담당하고, 제2 통신 모듈(도 2의 239B)이 제2 존(Zone2)의 지하에 매설된 센서노드 C와의 무선 통신을 담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제1 존과 제2 존은 안테나의 설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센서노드A와 센서노드C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센싱 정보를 제공하고, 제1 존(Zone1)의 RF 통신 환경이 제2 존(Zone2)의 RF 통신 환경에 비해 더 안정적이라면, 제1 존(Zone1)을 담당하는 제1 통신모듈(239A)을 선택하여 선택된 제1 통신모듈(239A)을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제2 통신모듈(239B)의 동작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2 통신모듈(239B)의 통신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제2 통신모듈(239B)에서 소비하는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존과 제2 존의 경계 존에는 제1 존의 RF 통신 환경과 제2 존의 RF 통신 환경이 공존하기 때문에, 경계존에 매설된 센서노드 B와 게이트웨이(230) 간의 RF 통신 환경은 수시로 변경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230)와 경계존에 매설된 센서노드B와 무선 통신에서도 적절한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233)가 수시로 변경되는 RF 특성에 따라 존1을 담당하는 제1 통신 모듈(239A)과 존2를 담당하는 제2 통신 모듈(239B)을 선택한다. 통신 모듈의 선택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통신 모듈(239A, 239B)은 각각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 RF 모듈(239A-3 또는 239B-3) 및 배터리 모듈(239A-5 또는 239B-5)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는 기본적으로 통신모듈(239A 또는 239B) 내의 각 구성들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는 RF 특성 및 지능적으로 학습된 통신정책을 고려한 제어부(233)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RF 모듈(239A-3 또는 239B-3)의 동작 개시 및 종료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는 제어부(233)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배터리 모듈(239A-5 또는 239B-5)로부터 RF 모듈(239A-3 또는 239B-3)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함으로써, RF 모듈(239A-3 또는 239B-3)의 동작 개시(ON) 또는 동작 종료(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는 RF 모듈(239A-3 또는 239B-3)에서 수신한 RF 신호의 RSSI를 계산하고, 계산된 RSSI를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또한,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는 RF 모듈(239A-3 또는 239B-3)에서 복조된 신호로부터 센싱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센싱 정보를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이러한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는 하나 이상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하드웨어 코어들,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RF 모듈(239A-3 또는 239B-3)은 안테나(212 또는 214)에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하거나 안테나(212 또는 214)를 통해 센서 노드(100)로 전송될 RF 신호를 변조한다. 이러한 변조 및 복조를 지원하기 위해, RF 모듈(239A-3 또는 239B-3)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적절한 모뎀, 증폭기, 필터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통신 모듈(239A, 239B)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233)는 데이터 수집부(233A), RF 특성 분석부(233B), 통신모듈 선택부(233C), 센싱주기 변경부(233D) 및 학습 엔진(233E)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 (233A)
데이터 수집부(233A)는 각 통신 모듈(239A, 239B) 내의 프로세서(239A-1, 239B-1)에서 각각 계산한 N(2이상의 자연수)개의 RSSI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RF특성 분석부(233B)
RF특성 분석부(233B)는 데이터 수집부(233A)에서 수집한 N개의 RSSI를 기반으로 RF특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RSSI를 기반으로 하는 RF특성의 분석결과는 센서 노드(100)와 최적의 통신성능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
일 예로, RF특성 분석부(233B)는 N개의 RSSI 중에서 최소값 및 최대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와 임계치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소값, 최대값 및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값 중 어느 하나와 임계치가 비교 분석될 수 있다. 즉, 최소값, 최대값 및 차이값 중에서 어느 하나가 임계치보다 큰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RF특성 분석부(233B)는 N개의 RSSI에 대한 평균값(또는 중앙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와 임계치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즉, 평균값(또는 중앙값)이 임계치보다 큰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선택될 수 있다.
RF특성 분석부(233B)에서 비교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임계치(Threshold, TH)는 아래의 수학식들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RSSI_1mean는 제1 통신모듈(239A)이 수신한 RF 신호의 RSSI 평균값을 나타내고, 수학식 2에서 RSSI_2mean는 제2 통신모듈(239B)이 수신한 RF 신호의 RSSI 평균값을 나타낸다.
임계치(TH)는 최소치와 최대치를 포함하는 범위(range)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RF 통신 환경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경우에 통신모듈의 변경이 일어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RSSI 분석부(233A)는 불안정한 RF 통신환경에서도 정확한 비교분석을 위해 노이즈에 강건한 필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RF특성 분석부(233B)는 센서노드(도 1의 100)가 매설된 존의 시간대별 객체 통행량을 기반으로 RF특성을 분석한다. 여기서, 객체는 보행자 또는 차량일 수 있다.
시간대별 객체 통행량을 기반으로 RF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RF특성 분석부(233B)는 상위 통신 인터페이스(231)를 통해 외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각 센서노드(도 1의 100)가 매설된 존의 객체 통행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관 서버는, 예를 들면, 특정 존에서의 보행자 통행량을 모니터링하는 기관에 구비된 서버 또는 차량 통행량을 모니터링하는 교통 센터에 구비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의 저녁 시간대는 보행자 또는 차량과 같은 객체의 통행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시간대이며, 이러한 저녁 시간대는 RF통신환경이 불안정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저녁 시간대에서는 통신모듈 간의 정확한 통신성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더 많은 개수의 RSSI를 수집하여 RF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비교분석에 필요한 데이터의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통신성능측면에서 부적절한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낮 시간대에서는 데이터 수집부(233A)가 N개의 RSSI를 수집하여, RF특성 분석부(233B)로 전달하고,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은 저녁 시간대에는 데이터 수집부(233A)가 N보다 큰 M개의 RSSI를 수집하여 이를 RF특성 분석부(233B)로 전달함으로써, RF 특성 분석부(233B)에서는 부적절한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정확한 분석결과를 출력할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저녁 시간대일지라도 존 별로 객체(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스 정류장 또는 지하철 출입구 근처 지역은 그 이외의 지역보다 객체 통행량이 높다.
동일한 시간대에서 존1의 객체 통행량이 존2의 객체 통행량보가 크고, 존1에 매설된 센서노드와 존2에 매설된 센서노드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센싱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게이트웨이(230) 입장에서는 RF 통신 환경이 상대적으로 안정한 존2를 담당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수신된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RF특성 분석부(233B)는 RSSI과 객체 통행량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거나 이들을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통신모듈의 정확한 통신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RF특성 분석부(233B)가 각 통신 모듈 별로 RF특성을 분석하면, 그 분석결과를 통신모듈 선택부(233C)로 전달한다.
통신모듈 선택부 (233C)
통신모듈 선택부(233C)은 RF특성 분석부(233B)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 통신모듈(239A, 239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여, 선택된 통신모듈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동작 제어 명령(이하, 동작 개시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선택된 통신모듈 내의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로 전달한다. 그러면, 배터리모듈(239A-5 또는 239B-5)은 동작 개시 명령에 따른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의 제어에 따라 RF 모듈(239A-3 또는 239B-3)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통신모듈 선택부(233C)는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에 대해서는 동작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제어 명령(이하, 동작 중지 명령)으로 생성하여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 내의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로 전달한다. 그러면, 배터리모듈(239A-5 또는 239B-5)은 동작 중지 명령에 따른 프로세서(239A-1 또는 239B-1)의 제어에 따라 RF 모듈(239A-3 또는 239B-3)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한다.
센싱 주기 변경부 (233D)
센싱 주기 변경부(233D)는 전술한 통신모듈 선택부(233C)에 의해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 노드(도 1의 100)의 센싱 주기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사전에 설정된 심플한 변경조건 또는 지능적으로 학습된 변경조건에 따라 센싱 주기의 변경을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 노드의 센싱주기를 변경된 센싱주기로 변경하는 변경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 노드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센싱 주기 변경부(233D)에 의한 센싱 주기의 변경을 통해, 센서 노드(100,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동시에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심플한 변경조건은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 노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이다. 예를 들면, 센서 노드가 지하매설물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의 일종인 경우, 센싱주기 변경부(233D)는 현재 측정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예를 들면, 30도)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현재 측정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보다 큰 것으로 확인하면, 기설정된 감소폭으로 센싱 주기를 제1 주기(예를 들면, 1시간)에서 제1 주기보다 작은 제2 주기(10분)로 감소시키는 센싱주기 변경명령을 생성한다. 이러한 센싱 주기의 감소는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센싱주기 변경부(233D)는 센싱 주기를 제2 주기에서 제1 주기로 증가시키는 센싱주기 변경명령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 예로, 변경 대상은 센싱 주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의 동작 상태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센서에 의해 현재 측정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습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같은 다른 종류의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의 동작 상태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변경하는 변경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변경 명령은 임의의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값이 다른 임의의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신뢰도에 관여하거나 영향을 끼치는 경우, 다른 종류의 센서노드의 동작 상태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센싱 주기 변경부(233D)는 학습 엔진(233E)에서 제공하는 지능적으로 학습된 변경조건에 따라 센서 노드의 센싱주기를 지능적으로 변경하는 변경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엔진(233E)
학습 엔진(233E)은 심플한 변경 조건을 이진 분류 기법 또는 클러스터링 기법과 같은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지능적으로 학습된 다양한 변경 조건을 센싱 주기 변경부(233D)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엔진(233E)은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변경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설정된 값(예를 들면, 기설정된 온도값, 기설정된 습도값, 기설정된 가속도값 등)을 지능적으로 학습하여 이를 센싱 주기 변경부(233D)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기재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아래의 각 단계의 수행주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게이트웨이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510에서, 게이트웨이(230)의 제1 통신모듈(239A)이 존1의 지하에 매설된 제1 센서노드(도 1의 11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계산하여 N개의 제1 RSSI를 수집하고, 게이트웨이(230)의 제2 통신모듈(239B)이 존1에 인접한 존2의 지하에 매설된 제2 센서노드(도 1의 12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계산하여 N개의 제2 RSSI를 수집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제1 및 제2 센서노드(110, 12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어, 단계 S520에서, 제1 통신모듈(239A)에서 수집한 N개의 제1 RSSI와 제2 통신모듈(239B)에서 수집한 N개의 제2 RSSI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통신모듈(239A, 239B)의 RF 특성(또는 수신 신호 특성)을 각각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제1 통신모듈(239A)과 제2 통신모듈(239B)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
일 예로, RF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N개의 RSSI 중에서 최소값(RSSIMIN), 최대값(RSSIMAX) 및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값(│RSSIMAX - RSSIMIN│)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과 임계치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전술한 수학식 3과 같다.
다른 예로, RF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N개의 RSSI에 대한 평균값(또는 중앙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와 임계치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RF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존1과 존2의 각 시간대별 객체 통행량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보행자 또는 차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존1과 존2의 지면상을 이동하는 모든 종류의 객체를 포함한다.
이어, 단계 S530에서, 전술한 단계(S520)에서 분석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제1 통신모듈(239A)과 제2 통신모듈(239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최소값(RSSIMIN), 최대값(RSSIMAX), 차이값(│RSSIMAX - RSSIMIN│) 및 평균값(또는 중앙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임계치보다 큰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르게, 제1 통신모듈(239A)에 대한 RF 특성의 분석결과와 제2 통신모듈(239B)에 대한 RF 특성의 분석결과를 직접 비교하여 더 우수한 RF 특성의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모듈(239A)에 대한 차이값(│RSSIMAX - RSSIMIN│)과 제2 통신모듈(239B)에 대한 차이값(│RSSIMAX - RSSIMIN│) 보다 크면, 제1 통신모듈을 선택한다.
이어, 단계 S540에서, 전술한 단계(S530)에서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단계 S550에서, 전술한 단계(S530)에서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S560에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센싱주기를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변경 조건은 심플한 변경 조건과 지능적으로 학습된 변경조건을 포함한다. 심플한 변경조건은 상기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조건이고, 지능적으로 학습된 변경조건은 심플한 변경 조건을 이진 분류 기법 또는 클러스터링 기법과 같은 기계학습 기법을 기반으로 학습된 조건이다.
이어, 단계 S570에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변경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센싱주기를 사전에 설정된 일정 규칙에 따라 변경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주기는 측정값의 측정 주기로 한정하는 의미이지만,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저전력 동작 주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어, 단계 S580에서,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센싱주기를 전술한 단계(S570)에서 변경한 센싱주기로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센서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 센서노드는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변경된 센싱주기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상기 측정값이 변경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단계 S560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 존(a first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1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존에 인접한 제2 존(a second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2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제2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모듈의 RF 특성과 상기 제2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노드 중에서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센싱 주기의 변경을 결정하기 위한 변경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값이 상기 변경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센싱주기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RSSI의 최소값, 상기 RSSI의 최대값, 상기 최대값과 상기 최소값의 차이값 및 상기 RSSI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1 존의 객체 통행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외부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2 존의 객체 통행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모듈의 RF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의 동작개시를 지시하는 동작 개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로 상기 동작 개시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의 동작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중지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선택되지 않은 통신모듈로 상기 동작 중지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변경조건은,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심플한 변경조건; 및
    상기 심플한 변경 조건을 기계학습으로 학습한 지능적 변경조건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 존(a first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1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존에 인접한 제2 존(a second zone)의 지하에 매설된 제2 센서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와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RSSI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노드 중에서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존에 대한 객체 통행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존의 객체 통행량을 분석하고, 상기 제2 존에 대한 객체 통행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존의 객체 통행량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존의 객체 통행량을 분석한 결과와 상기 제2 존의 객체 통행량을 분석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8. 제7항에서, 외부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 통행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상위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의 센싱 주기의 변경을 결정하기 위한 변경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변경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센싱주기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변경조건은,
    상기 선택된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심플한 변경조건 및 상기 심플한 변경 조건을 기계학습으로 학습한 지능적 변경조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170050539A 2017-04-19 2017-04-19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80117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39A KR20180117430A (ko) 2017-04-19 2017-04-19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39A KR20180117430A (ko) 2017-04-19 2017-04-19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30A true KR20180117430A (ko) 2018-10-29

Family

ID=6410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539A KR20180117430A (ko) 2017-04-19 2017-04-19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4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51B1 (ko) * 2019-04-17 2020-05-21 한국수자원공사 IoT 기반 실시간 무선 수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수도 관리 시스템
KR102268276B1 (ko) * 2020-12-04 2021-06-23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센서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8274B1 (ko) * 2020-12-04 2021-06-23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센서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951B1 (ko) * 2019-04-17 2020-05-21 한국수자원공사 IoT 기반 실시간 무선 수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수도 관리 시스템
KR102268276B1 (ko) * 2020-12-04 2021-06-23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센서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8274B1 (ko) * 2020-12-04 2021-06-23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센서 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ković et al. Smart parking sensors: State of the art and performance evaluation
CN102722997B (zh) 一种停车位检测方法及系统
KR101447928B1 (ko) 실시간 원격 누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46635A1 (en)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user device using radio beacons and radio beacons adapted to facilitate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KR20180117430A (ko)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0213277A (ja) 地中施設物管理のための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554861A (zh) 一种基于位置和时间自动联网的方法和系统
EP256035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EP0836287A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transmission power control
CN107251125A (zh)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以及传感器设备
CN103945428A (zh) 射频指纹库更新方法、装置及系统
US20140051349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 control method of radio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of radio terminal
KR100988016B1 (ko) 저전력형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
CN103098518B (zh) 无线通信系统
CN205264076U (zh) 一种地磁车位检测器和地磁车位检测系统
CN102629888A (zh) 智能计量器评价装置及智能计量器评价方法
CN111780829B (zh) 一种用于排水井盖的堵塞检测系统及堵塞检测方法
US9851446B2 (en) GNSS recei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from one operation state to another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state switching criterion and positioning information
CN10568202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201455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401268B (zh) 一种基于电磁空间态势感知的射频能量收集方法及系统
KR101256703B1 (ko) 무선 센싱 장치 및 그 무선 센싱 장치들을 이용한 침수감지 시스템
US20100003925A1 (en) Insensitive area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6039762A (ja) 車速度測定システム
CN115165020A (zh) 一种道路积水监测终端、监测方法、监测装置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