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293A -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293A
KR20180117293A KR1020170050215A KR20170050215A KR20180117293A KR 20180117293 A KR20180117293 A KR 20180117293A KR 1020170050215 A KR1020170050215 A KR 1020170050215A KR 20170050215 A KR20170050215 A KR 20170050215A KR 20180117293 A KR20180117293 A KR 2018011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energy storage
output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재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293A/en
Publication of KR2018011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2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02E10/5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02E10/7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which calculates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s an output of an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a combined power amount and the generated power amount to b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measurement data on a renewable energy source from at least one sensor located in an adjacent area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the renewable energy source; a calculation unit which calculates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an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t the control time based on the calculated generated power amount and a combined power amount received from a powe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stabilize output of a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하고, 발전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해야 할 합성전력량과 산출된 발전전력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control device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put control device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calculates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ion device, calculates an amount of generated energy based on the combined power amount to b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 storage device.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원은 그 출력이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발전 장치는 에너지 저장 장치와 함께 운용된다.As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power generation devices that generate electricity using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being used. Since the renewable energy source is not stable in output, the generator is operated with the energy storage device.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는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전력을 전력계통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발전 장치의 발전량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가감함으로써, 일정한 전력을 전력계통으로 출력하기 위해 운용된다.An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a device that stores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ystem or supplies stored power to a power system. Accordingly,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operated to output a constant power to the power system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to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도 1은 종래 전력 시스템(10)이 발전 장치(30) 및 에너지 저장 장치(40)를 관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발전 장치(30) 및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장치(40)는 전력 시스템(10)에 의해 관리된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power system 10 manages a power generation device 30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40. FIG. Referring to FIG. 1, one or more power generation devices 30 and one or more energy storage devices 40 are managed by a power system 10.

전력 시스템(10)은 전력계통(20)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전력 시스템(10)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 및 감시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카다(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일 수 있다.The power system 10 is a system that provides function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power system 20. For example, the power system 10 may be 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system that processes and monitors large amounts of data and provides various related functions.

또한, 전력 시스템(10)은 공정의 자동 제어를 위해 고안된 시스템으로서, 발전 플랜트 등과 같은 대규모 공정을 제어하는 분산 제어 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일 수도 있다.The power system 10 may also be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 that controls a large scale process, such as a power plant, designed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process.

이 외에도, 전력 시스템(10)은 전력계통(20)의 관리 및 전력계통(20)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의 해석을 위한 전력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또는 정전 관리 시스템(Outage Management System; OMS)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ystem 10 includes a power management system (PMS) that uses power applications for managing the power system 20 and for the interpretation of data obtained from the power system 20, an energy management system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or an Outage Management System (OMS).

종래 전력 시스템(10)은 발전 장치(30) 및 에너지 저장 장치(40)가 목표출력량을 전력계통(20)에 공급하도록 에너지 저장 장치(4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전력 시스템(10)은 발전 장치(30)의 발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발전량과 에너지 저장 장치(40)의 출력량의 합이 목표출력량이 되도록 에너지 저장 장치(40)를 제어한다.The conventional power system 10 controls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supply the target power amount to the power system 20. [ To this end, the power system 10 measures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and controls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such that the sum of the measured power generation amount and the output amou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becomes the target output power.

그러나, 종래 에너지 저장 장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 장치(40)의 제어는 이미 발전 장치(30)의 발전량이 변화한 후에 이루어지므로, 발전 장치(30)의 발전량과 에너지 저장 장치(40)의 출력량의 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nergy storage device control method, since the contro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is performed after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has already change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The sum of the outputs is not kept constant.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른 발전 장치(30)의 발전량 및 ESS 출력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발전 장치(30)의 발전량에 대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전 장치(30)의 발전량은 시간에 따라 불안정하게 변화한다.2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amount and the ESS output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Referring to the graph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shown in FIG. 2,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changes unstably with time.

전력 시스템(10)은 변화되는 발전 장치(30)의 발전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40)의 출력량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40)의 출력량에 대한 그래프는, 발전 장치(30)의 발전량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지 못하고 일정 시간의 딜레이(delay)를 가지고 변화한다.The power system 10 controls the amount of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based o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being changed. Accordingly, the graph of the output amou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40 does not change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and changes with a delay of a predetermined time.

이에 따라, 종래 에너지 저장 장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력 시스템(10)은 발전 장치(30) 및 에너지 저장 장치(40)가 전력계통(20)에 목표출력량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 에너지 저장 장치(4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장치(30)의 출력 안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nergy storage control method, the power system 10 can not control the power generation system 30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40 to supply the target power to the power system 20 at a constant level.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ventional energy storage device 40,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bilize the outpu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30 using the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하고, 발전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해야 할 합성전력량과 산출된 발전전력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장치의 출력을 안정화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alculates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s an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a combined power amount to b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a calculated amount of generated power, Which is capable of stabilizing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발전 장치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특정 시점에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전력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to be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ion device at a specific time point by receiving measurement data on a renewable energy source from a sensor locat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power generation device .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발전전력량 및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합성전력량에 따라 제어 시점에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power by using a renewable energy source, A calculation section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and a calculation section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and an energy stor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apparatu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하고, 발전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해야 할 합성전력량과 발전전력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장치의 출력을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is calculated, and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mbined power amount and the generated power amount to b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So that the outpu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the power generator can be stabil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 장치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특정 시점에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전력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t a specific point of time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by receiving measurement data on a renewable energy source from a sensor locat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power generation device.

도 1은 종래 전력 시스템이 발전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를 관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른 발전 장치의 발전량 및 ESS 출력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가 전력 시스템, 발전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인접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의 발전량과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전력량의 합이 합성전력량이 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power system managing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2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amount and the ESS output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3 is a view showing an output control apparatu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power system,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5 shows a view of one or more sensor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a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output power amount of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a combined power amou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산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100, 이하 '출력 제어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3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n apparatus 100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alculation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put control apparatus') of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도 4는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가 전력 시스템(200), 발전 장치(400) 및 에너지 저장 장치(500)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와 이를 구성하는 통신부(110), 산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200,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nd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500. Hereinafter,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lculation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30 constituting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100)는 전력 시스템(200)과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장치(500)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시스템(200)은 전력계통(300)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connected to a power system 200 to control one or more energy storage apparatuses 500. [ The power system 200 is a system that provides a function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power system 300.

예를 들어, 전력 시스템(200)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 및 감시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카다(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system 200 may be 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system that processes and monitors large amounts of data and provides various related functions.

또한, 전력 시스템(200)은 공정의 자동 제어를 위해 고안된 시스템으로서, 발전 플랜트 등과 같은 대규모 공정을 제어하는 분산 제어 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일 수도 있다.Also, the power system 200 may be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 that controls a large scale process such as a power generation plant, etc., designed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process.

이 외에도, 전력 시스템(200)은 전력계통(300)의 관리 및 전력계통(300)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의 해석을 위한 전력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또는 정전 관리 시스템(Outage Management System; OMS)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ystem 200 includes a power management system (PMS) that uses power applications for managing the power system 300 and for the interpretation of data obtained from the power system 300, an energy management system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or an Outage Management System (OMS).

한편, 본 발명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 (Energy Storage System; ESS, 500)는 전력계통(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전력을 전력계통(300)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 저장 장치(500)는 발전원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할 때,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부하로 송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500 is a device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ystem 300 or supplying the stored power to the power system 300. For example,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may store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in the battery, and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is insufficient,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may be transmitted to the loa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400)의 인접 영역(410)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4, a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renewable energy from at least one sensor located in an adjacent region 410 of a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that generates power using a renewable energy sourc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measurement data for the circle.

신재생에너지원은 태양광, 지열, 풍력, 조력, 바이오에너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전 장치(400)는 상술한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 장치(400)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 풍력 발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can include solar, geothermal, wind, tidal, and bioenergy. Accordingly,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using the above-described renewable energy source.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may include a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a wind power generator,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는 발전 장치(400)의 인접 영역(410)에 위치할 수 있다. 인접 영역(410)은 발전 장치(400)로부터 물리적으로 인접된 영역을 의미하고, 발전 장치(40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sensors may be located in the adjacent region 410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The adjacent region 410 means a region physically adjacent to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nd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예를 들어, 발전 장치(400)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10m인 정방형으로 설치된 경우, 인접 영역(410)은 발전 장치(400)를 중심으로 발전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의 미리 설정된 배율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배율이 10인 경우 인접 영역(410)은 발전 장치(400)를 중심으로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100m인 정방형의 영역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is installed in a square having a length of 10 m, the adjacent region 410 may have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of a region where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is installed, . More specifically, if the predetermined magnification is 10, the adjacent region 410 may be a square region having a length of 100 m and a length of 100 m around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다른 예에서, 발전 장치(400)가 특정 위치좌표에 설치된 경우, 인접 영역(410)은 발전 장치(400)의 위치좌표를 중심으로 하고,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영역일 수 있다. 상술한 미리 설정된 배율 및 미리 설정된 직경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is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coordinate, the adjacent region 410 may be a circular region centered on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nd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above-described preset magnification and preset diameter can be se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술한 인접 영역(410)에 위치하여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는 신재생에너지원의 세기 또는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the adjacent region 410 described above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data on a renewable energy source. Th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intensity or direction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백터(vector) 데이터는 측정 대상의 크기 및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센서는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데이터를 백터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vector data may include both the size and the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one or more sensors may generate data on the renewable energy source as vector data.

도 5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인접 영역(41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disposed in the vicinity region 410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one or more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를 참조하면, 발전 장치(400)가 태양광 발전 어레이인 경우 신재생에너지원은 일사량일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센서(예를 들어, 일사량계)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인접 영역(410)에 설치되어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power generation device 400 is a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the renewable energy source may be a solar radiation amount. At this time, one or more sensors (e.g., a solar radiation system) may be installed in the adjacent area 410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to measure the solar radiation amount.

도 5에 도시된 인접 영역(410)은 직방형의 영역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방위에 두 개씩 위치한 총 8개의 센서만을 도시하였으나, 인접 영역(410) 내에서 센서는 제한되지 않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는 다른 센서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격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adjacent region 410 shown in Fig. 5 may be a rectangular region. In FIG. 5, only eight sensors are shown in two directions in each direction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adjacent region 410, the sensors may be installed in an unlimited number.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nstalled in a lattice form spaced apart from other sensors at regular intervals.

각 센서는 설치 위치에서의 일사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센서는 디지털 일사량계일 수 있고, 디지털 일사량계는 측정된 일사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Each sensor can measure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generate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sensor may be a digital solar radiation meter, and the digital solar radiation meter may convert measurement solar radiation into digital signals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발전 장치(400)가 풍력 발전기인 경우 신재생에너지원은 바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센서(예를 들어, 풍속계)는 풍력 발전기의 인접 영역(410)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5, whe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is a wind power generator, the renewable energy source may be wind. Accordingly, one or more sensors (e.g., anemometers) may be installed in the adjacent area 410 of the wind turbine to measur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각 센서는 설치 위치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센서는 디지털 풍속계일 수 있고, 디지털 풍속계는 측정된 풍향 및 풍속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데이터는 바람의 세기(풍속) 및 방향(풍향)에 관한 데이터로서, 벡터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Each sensor can measur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generate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sensor may be a digital anemometer, and the digital anemometer may convert measure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to digital signals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data is data on the wind strength (wind speed) and direction (wind direction), and can be generated as vector data.

하나 이상의 센서는 측정 데이터를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 데이터의 생성 및 송신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One or more sensors may transmit measurement data to the output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each sensor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uch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measurement data can be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cycle.

태양광 또는 바람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은 제어 대상이 아니며 매우 불안정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센서가 측정 데이터를 생성 및 송신하는 주기는 매우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or wind are not subject to control and can change very unstably. Accordingly, the period for which 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transmits measurement data is preferably set to be very sh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120)는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된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데이터는 해당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센서의 위치값, 신재생에너지원의 세기 및 신재생에너지원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that generated the measurement data, the intensity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and the dire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측정 데이터에는 해당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각 센서의 위치값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센서는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센서는 측정 데이터에 자신의 위치값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값은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position values of the respective sensors that generate the measurement data. More specifically, each sensor may have a posi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us, each sensor can include its own position value in the measurement data. For example, the position value may be expressed as a coordinate value.

한편, 이와 달리 측정 데이터에는 위치값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에는 산출부(120)가 측정 데이터를 송신한 센서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의 위치값을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data may not include the position value.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unit 120 can grasp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that has transmitted the measurement data.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값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 센서에서 송신된 측정 데이터에는 해당 센서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부(120)는 측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센서의 식별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값을 파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may be stored in advance.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a specific sensor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Accordingly,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identify the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measurement data, and can grasp the posi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발전 장치(400)가 상술한 풍력 발전기인 경우, 측정 데이터는 바람의 세기(풍속) 및 방향(풍향)을 포함하는 벡터 데이터일 수 있다. 산출부(120)는 수신된 측정 데이터와 센서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발전 장치(400)와 인접한 특정 위치에서의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을 시간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ower generation device 400 is the above-described wind power generator, the measurement data may be vector data including wind intensity (wind speed) and direction (wind direction).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grasp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wind at a specific position adjacent to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based on the time using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발전 장치(400)가 상술한 태양광 발전 어레이인 경우, 측정 데이터는 일사량만을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120)는 수신된 측정 데이터와 센서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발전 장치(400)와 인접한 특정 위치에서의 일사량을 시간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ower generation device 400 is the above-described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th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only a solar radiation amount. The calculation unit 120 can grasp the amount of irradiation at a specific position adjacent to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with time using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발전 장치(400)가 태양광 발전 어레이일 때, 신재생에너지원의 방향은 태양광의 이동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태양광을 차단하는 임의의 요소에 의해 모든 센서에서 측정되는 일사량은 매우 작을 수 있다. 이 때, 태양광을 차단하는 임의의 요소는 구름일 수 있다.When the power generation device 400 is a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the dire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may b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unlight. For example, referring again to FIG. 5,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to be measured at any sensor by any element that blocks sunlight can be very small. At this time, any element that blocks sunlight may be a cloud.

특정 시점 이후로 구름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면,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센서 중 우측의 센서의 일사량부터 증가할 수 있다. 구름이 점차 이동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센서 중 좌측의 센서의 일사량도 점차 증가하게 되고, 구름이 완전히 걷히면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서쪽에 위치한 센서 중 좌측의 센서의 일사량 까지도 증가할 수 있다.If the cloud moves from east to west after a certain point in time, it can increase from the solar radiation of the sensor on the right side of the sensor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photovoltaic array. As the clouds gradually move, the solar radiation of the left sensor among the sensor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photovoltaic array gradually increases, and when the cloud completely falls, the solar radiation of the left sensor among the sensors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solar power array also increases .

다시 말해,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구름이 이동하는 경우, 태양광 또한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산출부(120)는 각 센서의 위치값에 따른 일사량의 변화량을 파악하여, 태양광의 이동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태양광의 이동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센서는 동일한 방향으로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clouds move from east to west of a photovoltaic array, sunlight can also travel from east to west.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grasp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olar radi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each sensor and can grasp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nlight. In order to grasp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nlight described above, two or more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상술한 예에서는 일사량의 변화량이 동쪽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서쪽에 위치한 센서까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므로, 산출부(120)는 태양광의 이동 방향을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산출부(120)는 수신된 일사량과 센서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일사량의 세기 및 방향을 시간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sinc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has increased with time from the sensor located on the east side to the sensor located on the west side, the calculation unit 120 can grasp the traveling direction of sunlight from the east side to the west side. In other words,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grasp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solar radiation amount with time using the received solar radiation amount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120)는 상술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전 장치(400)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발전전력량은 발전 장치(400)가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전력량일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40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data. The generated power amount may be the amount of power that the power generating device 400 produces using a renewable energy source.

이와 같은 발전전력량은 전력 시스템(200)의 지령에 따라 전력계통(3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전 장치(400)는 전력계통(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 장치(400)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전력계통(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generated power amount can be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300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power system 20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300. Accordingly,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can supply the power generated by using the renewable energy source to the power system 300.

또한, 발전전력량은 제어 시점에 전력계통(3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시점은 산출부(120)가 발전전력량을 산출한 이후의 시점으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500)가 동작하는 시점일 수 있다.Further, the generated power amount can be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time of control. Here, the control point may be a time point after the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and may be a time point when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즉, 본 발명의 산출부(120)는 미래의 시점인 제어 시점에 발전 장치(400)가 전력계통(300)으로 공급할 발전전력량을 미리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alculat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in advanc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300 by the power generating device 400 at a control point in time of the future.

한편, 본 발명에서 전력계통(300)은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 및 부하가 일체로 되어 전력의 발생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계통(300)은 전력을 사용하는 일반 가정으로부터 공장과 같은 산업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ystem 300 may be a system in which a power plant, a substation, a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 and a load are integrated to generate and utilize electric power. For example, the power system 300 may include an industrial facility such as a factory from a general household using electrical power.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부(120)는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센서의 위치값, 신재생에너지원의 세기 및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determine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that generated the measurement data,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이에 따라, 산출부(120)는 센서의 위치값과 발전 장치(400)의 위치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어 시점에 발전 장치(400)를 구동하게 될 신재생에너지원의 세기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that will drive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t the control poin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value of the sensor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구름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할 때,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센서 중 우측 센서에서 측정된 일사량이 먼저 0에서 5[MJ/m2]로 증가할 수 있다. 다음 측정 주기에서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센서 중 좌측 센서에서 측정된 일사량이 0에서 5[MJ/m2]로 증가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5, for example, when the cloud moves from east to west, the solar radiation measured from the right sensor, which is located east of the photovoltaic array, may increase from 0 to 5 [MJ / m 2 ] have. In the next measurement cycle, the solar radiation measured by the left sensor among the sensor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photovoltaic array can increase from 0 to 5 [MJ / m 2 ].

이 때,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두 센서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태양광의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두 센서간의 간격이 1m이면, 태양광의 이동 속도는 1m를 측정 주기로 나눈 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veling speed of sunlight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wo sensor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If the distance between two sensor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photovoltaic array is 1 m, the traveling speed of the sun can be 1 m divided by the measurement period.

이와 같이 산출된 태양광의 이동 속도 및, 태양광 발전 어레이와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동쪽에 위치한 센서 중 좌측 센서의 위차값 간의 차이를 이용하면, 5[MJ/m2]의 일사량을 가진 태양광이 태양광 발전 어레이에 도달하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traveling speed of sunlight and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left sensor among the sensor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solar array and the solar array, solar radiation with a radiation dose of 5 [MJ / m 2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olar cell reaches the photovoltaic array.

태양광 발전 어레이에 입사되는 일사량에 대한 발전전력량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산출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시점에 태양광 발전 어레이에 입사되는 일사량을 파악할 수 있고, 일사량에 대한 발전전력량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산출부(120)는 미래의 특정 시점인 제어 시점에 태양광 발전 어레이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with respect to the solar radiation incident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may be stored in advance. As described above, the calculation unit 120 can grasp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incident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array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can grasp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with respect to the solar radiation amount. In other words,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rray at the control point in time, which is a specific point in the future.

다른 예에서, 발전 장치(400)가 풍력 발전기일 때, 산출부(120)는 풍력 발전기와 인접한 특정 위치에서의 풍속 및 풍향을 시간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 산출부(120)는 풍력 발전기와 센서의 위치값 간의 차이 및 센서에서 측정된 풍속을 이용하여, 해당 센서에서 측정된 바람이 풍력 발전기에 도달하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is a wind power generator, the calculation unit 120 can grasp the wind speed and the wind direction at a specific position adjacent to the wind power generator with time. The calculating unit 120 may calculat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wind measured by the sensor reaches the wind turbine generator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values of the wind turbine generator and the sensor and the wind speed measured by the sensor.

풍속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속 및 풍향에 대한 발전전력량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산출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시점에 풍력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속 및 풍향을 파악할 수 있고, 풍속 및 풍향에 대한 발전전력량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산출부(120)는 미래의 특정 시점인 제어 시점에 풍력 발전기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for the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driving the wind speed generator may be stored in advance. As described above,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grasp the wind speed and the wind direction for driving the wind power generator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can grasp the generated power amount for the wind speed and the wind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wind power generator at a control time point, which is a specific point in time in the fu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전 장치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특정 시점에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전력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t a specific time point by receiving measurement data on a renewable energy source from a sensor locat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power generation device.

한편, 상술한 예시에서는 신재생에너지원을 태양광 또는 풍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발전 장치(400)의 인접 영역(410)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특정 시점의 발전전력량을 예측할 수 있는 임의의 신재생에너지원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example, the renewable energy source is exemplified by the sunlight or the wind powe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ensor located in the adjacent region 410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to perform an arbitrary renewal The energy source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산출된 발전전력량 및 전력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합성전력량에 따라 제어 시점에 에너지 저장 장치(5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at a control tim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generated power amount and the combined power amount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200. [

보다 구체적으로, 합성전력량은 전력 시스템(200)이 본 발명의 발전 장치(400) 및 에너지 저장 장치(500)를 통해 제어 시점에 전력계통(300)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목표출력량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500)는 전력계통(300)과 연결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bined power amount may be a target amount of power that the power system 200 wants to output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time of control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device 400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30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전력 시스템(200)으로부터 합성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출부(120)는 발전전력량 및 수신된 합성전력량에 기초하여 출력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ynthesized power from the power system 200. [ The calculat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output power amount based on the generated power amount and the received combined power amount.

출력전력량은 제어 시점에 에너지 저장 장치(500)에서 전력계통(300)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일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어 시점에 발전 장치(400)에서 전력계통(300)으로 공급되는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전전력량과 출력전력량의 합은 합성전력량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부(120)는 합성전력량에서 발전전력량을 감산하여 출력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output power amount may b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control ti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time of control can be calculated, and accordingly, the sum of the generated power amount and the output power amount can be the combined power amount. Accordingly, the calculating unit 120 can calculate the output power amount by subtracting the generated power amount from the combined power amou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어부(130)는 에너지 저장 장치(500)가 제어 시점에 출력전력량을 전력계통(300)으로 공급하도록 에너지 저장 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어 시점에 에너지 저장 장치(500)에 방전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방전 명령은 에너지 저장 장치(500)가 전력계통(300)으로 방전해야 할 출력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to supply the amount of output power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control time poi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a discharge comman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at a control time. The discharge comm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output power to be discharged by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to the power system 300.

에너지 저장 장치(500)는 제어부(130)로부터 방전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시점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 중 출력전력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전력계통(300)으로 방전할 수 있다.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may receive a discharge command from the controller 130 and discharge pow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output power among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time of contro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400)의 발전량과 에너지 저장 장치(500)의 출력전력량의 합이 합성전력량이 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전력계통(300)에 일정한 합성전력량을 공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6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nd the output power amount of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ed power amount. Hereinafter, a process of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combined power to the power system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도시된 발전 장치(400)의 발전량에 대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전 장치(400)의 발전량은 시간에 따라 불안정하게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는 미래의 특정 시점(예를 들어, 제어 시점)에 발전 장치(400)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shown in FIG. 6,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may change unstably with time.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t a specific point in time (for example, a control point) in the future.

발전전력량을 산출하는 동작의 정확도가 향상될수록 발전전력량은 발전 장치(400)의 실제 발전량을 추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전전력량의 그래프는 도 6에 도시된 발전 장치(400)의 발전량과 동일할 수 있다.As the accuracy of operation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is improved,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can follow the actual amount of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400. In other words, the graph of the generated power amount can be the same as the generated amount of the power generating device 400 shown in Fig.

한편, 전력 시스템(200)은 제어 시점에 본 발명의 발전 장치(400) 및 에너지 저장 장치(500)를 통해 전력계통(300)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목표출력량(합성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 제어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ystem 2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target output amount (combined power amount) to be output to the power system 300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device 400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control time, (100).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는 제어 시점에 에너지 저장 장치(500)에서 전력계통(300)으로 출력되는 출력전력량과 발전 장치(400)에서 전력계통(300)으로 출력되는 발전전력량의 합이 목표출력량이 되도록 에너지 저장 장치(5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m of the output power amount output from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500 to the power system 300 at the control time point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to the power system 300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can be controlled to be the target output amount.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출력전력량의 그래프는 목표출력량을 기준으로 발전 장치(400)의 발전량 그래프에 대칭인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결국, 발전 장치(400)의 발전량과 출력전력량의 합은 언제나 합성전력량이 되므로, 본 발명의 출력 제어 장치(100)는 전력계통(300)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raph of the output power amount shown in FIG. 6 can be shown in a form symmetrical to the power generation graph of the power generator 400 based on the target output power. As a result,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 constant power to the power system 300 since the sum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and the output power amount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400 always becomes the combined power amoun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500)의 출력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에너지 저장 장치(500)의 출력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출력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output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제어 장치(100)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710).More specifically,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may receive the measurement data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from one or more sensors located in the adjacent region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that generates power using the renewable energy source (S710).

출력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시점에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S720).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t the control time point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S720).

출력 제어 장치(100)는 산출된 발전전력량 및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합성전력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S730). 출력전력량이 산출되면, 출력 제어 장치(100)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제어 시점에 출력전력량을 전력계통으로 공급하도록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740).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output power amou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calculated generated power amount and the combined power amount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S730). When the output power amount is calculated, the output control device 100 can control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supply the output power amount to the power system at the control point (S740).

상술한 단계(S710)는 도 3에 도시된 통신부(11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S720) 내지 단계(S730)는 도 3에 도시된 산출부(12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S74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30)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tep S710 may be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shown in Fig. Steps S720 to S730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calculation unit 120 shown in Fig. The step S740 may be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130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하고, 발전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출력해야 할 합성전력량과 산출된 발전전력량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장치의 출력을 안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combined power amount to be output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calculated amount of generated power, The output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energy can be stabilized.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laims (10)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장치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 발전될 발전전력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발전전력량 및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합성전력량에 따라 제어 시점에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measurement data on the renewable energy source from at least one sensor located in an adjacent region of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that generates power using a renewable energy source;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generated power to be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data;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t the control tim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generated power amount and the combined power amount received from the power system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energy storage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원의 세기 및 상기 신재생에너지원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data
And a dire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wherein the energy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and the dire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에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각 센서의 위치값이 포함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ement data includes a position value of each sensor that generates the measurement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에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각 센서의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각 센서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센서의 위치값을 파악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ement data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that generates the measurement data,
The calculating unit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each sensor is obtained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장치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력계통과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connected to a powe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전력량은
상기 제어 시점에 전력계통으로 공급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rated power amount
Wherein the outpu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at the time of the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발전전력량 및 상기 합성전력량에 기초하여 출력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가 상기 제어 시점에 상기 출력전력량을 전력계통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n output power amount based on the generated power amount and the combined power amount,
The control unit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controls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supply the output power amount to the power system at the control poi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합성전력량에서 상기 발전전력량을 감산하여 상기 출력전력량을 산출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alculating unit
And the output power amount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generated power amount from the combined power am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장치는
태양광 발전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일사량을 측정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photovoltaic array,
The at least one sensor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measuring solar radi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장치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wind power generator,
The at least one sensor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measur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KR1020170050215A 2017-04-19 2017-04-19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KR201801172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15A KR20180117293A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15A KR20180117293A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293A true KR20180117293A (en) 2018-10-29

Family

ID=6410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15A KR20180117293A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29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05A (en) *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independent renewable base station using energy storage system and secondary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05A (en) *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independent renewable base station using energy storage system and secondary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52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tential power of inverters during curtailment mode
CN102536657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 turbine power output
CN101713376B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wind turbine generator set
KR101297082B1 (en)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ind power plant control system
EP247269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power conversion system
EP229022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renewable power sources to a power grid
CA3064446C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hybrid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US8853605B2 (en) Intelligent solar panel array
CN103403641A (en) Control device of solar power conversion unit,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2010186840A (en)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JP6082811B2 (en)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facility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system
Ramu et al. An IoT‐based smart monitoring scheme for solar PV applications
KR20190100800A (en) a Photovoltaic system
US20120068660A1 (en) Operation method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using secondary battery
CN104297634A (en) Ultrahigh-voltage online monitoring system
JP6375161B2 (en)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control system
CN104518520B (en) Th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he generator unit of regenerative resource driving
KR2018011729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nergy Storage System
KR101844429B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Hilleringmann et al. Local Power Control using Wireless Sensor System for Microgrids in Africa
CN106786789A (en) Microgrid generated energy real-tim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5470999B (en) A kind of microgrid power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distributed finite-time control device
CN111342497B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energy supply of an electrical energy sour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KR20200017585A (en) Sunlight generation ess management system for house
Hu et al. Wireless Instrument and Wireless Control Network for Multi-tower CSP Pow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