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272A -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272A
KR20180117272A KR1020170050164A KR20170050164A KR20180117272A KR 20180117272 A KR20180117272 A KR 20180117272A KR 1020170050164 A KR1020170050164 A KR 1020170050164A KR 20170050164 A KR20170050164 A KR 20170050164A KR 20180117272 A KR20180117272 A KR 20180117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pelvis
height difference
vertical height
reference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152B1 (ko
Inventor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최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진 filed Critical 최우진
Priority to KR102017005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15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Abstract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피험자의 골격 부위의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이격 거리를 미리 정해진 진단 기준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body shape and recognizing disorders using analysis of spatial coordinates,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부위의 이상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범용 센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체 골격에 대한 공간 좌표를 얻어 자동으로 체형을 분석하고 이상유무를 판정함으로써 척추측만증이나 발생 가능한 퇴행성 질환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의원에서의 체형 진단(척추측만 및 퇴행성 질환 검사)은 X-ray와 CT 촬영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X-ray 피폭에 대한 우려가 큰 바 비전리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가장 보편적인 검사인 육안 측정과 스콜리오메타를 이용한 측정 장비가 있으나 부정확한 실정이다. 또한, 정적 검사로는 정확한 생체역학적인 파라메타를 추출할 수 없는 관계로 초기의 척추측만증이나 거북목 증후군 등을 검사하는 것에 한계성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2D 자세분석 장비의 경우 크기가 크고,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는 경우 마커를 신체에 붙여서 측정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시간 및 인력의 문제, 의학 자료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로 실제 임상에서는 쓰이지 못하고 있고, 체육교실, 휘트니스센터 등의 고객 유치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비 방사성 검사 장비는 과도하게 비싸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기 힘들고 고가의 장비가 구비된 병원 등에서만 검사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척추측만증 여부는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의사가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인데, 기존의 기술은 극히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획일적으로 척추측만증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정확도와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적외선을 사용하지만 몸에 마커를 부착하는 방식 혹은 모아레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체를 탈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좌우 다리 길이 차이는 척추측만증 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척추측만증 환자의 경우 30%에서 다리 길이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퇴행성 척추측만증의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이 다리 길이 차이로 알려져 있다. 국내 연구(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서승석 교수) 결과에 따르면 60대 이상에서 평균 38%가 척추측만증을 보이고 있으며 80대에는 50% 까지 증가한다. 특히 다리 길이가 1cm 이상 차이가 날 때에는 서 있거나 걸을 때 발생하는 생체역학(biomechanic)의 변화로 인해서 척추측만증을 유발할 수 있고 다리의 통증(성장통 포함)이 생기며 골반이 틀어지고 걸음걸이가 이상해지며 관절 질환까지 유발시킬 수 있다.
또, 골반의 회전은 전체적인 자세 및 체간의 자세와 밀접히 연관이 되어 있으며 척추측만증이 심한 사람들에서 가장 극명히 나타난다.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경우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척추측만증의 커브가 좌측인 경우가 많으며 특정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MRI등과 같은 확인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일반적인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경우 골반의 회전 혹은 다리 길이의 차이가 동반되는 경우가 80%에 이르고 있으므로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 하더라고 골반의 변화 없이 순수하게 척추만 틀어지는 경우는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척추측만증 유병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노년층의 척추측만증 역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서울/경기 지역 초중학생 894,594명을 대상으로 척추 측만증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척추가 10도 이상 휘어진 만곡 현상이 발생한 학생이 2000년 1.66%에서 2005년 3.08%로 증가하였으며 2009년에는 9.4%로 나타났다고 한다 (서울특별시 강동교육청, 2009).
척추의 추가적인 변형은 60대 이상에서 평균적으로 38%에서 나타나며 80대에는 50% 이상으로 보고 되고 있다 (고대구로병원, 2009). 60대 이상에서 새로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다리 길이의 차이이며 이러한 체형 불균형이 교정되지 않을때 척추측만증이 퇴행성으로 생기게 되며 이에 따른 신경외과 및 정형외과적 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인한 통증 및 의료비 증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이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할 때 적절한 시기에 골반 틀어짐, 다리 길이 차이, 어깨 높이 차이, 척추측만증, 골반 높이 차이 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서 교정 및 치료가 선행되어야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기초를 만들수 있다.
따라서 정확도가 높으면서도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비전리 방사선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을 위한 진단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508178 "척추 측만증 분석 시스템 및 분석 방법" 2.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542663 "근골격 콥스각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척추 만곡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464862 "카메라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판단 방법 및 장치" 4.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331043 "척추측만증 진단 시스템 및 척추측만증 진단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이용해 진단 설비의 가격을 낮추고, 원격지에서도 진단이 가능한 비접촉성 광학식 체형 분석 알고리즘을 채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획득된 공간 좌표를 이용한 다차원적 체형 분석 및 척추측만증 판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높은 신뢰도와 정확성을 갖는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사선과 같은 전리선을 사용하는 검사에 대한 불안감 및 반복검사에 따른 피폭으로 인한 장기적인 생체조직의 변이와 같은 위험성을 낮추면서 이에 준하는 결과물을 도출하여 안전하고 반복적인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비전리방사선 검사 방법을 고안하여 범용 장비로서의 정확성 및 재현성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은,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피험자의 골격 부위의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이격 거리를 미리 정해진 진단 기준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이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골반 회전 여부,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 안면 비대칭 여부 및 척추측만증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동측인지 반대측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3mm와 10mm 사이인 경우, 1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3mm와 10mm 사이인 경우, 1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에 대한 분류 결과와 상기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의 세로 높이 차에 대한 분류 결과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과,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각각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험자의 다리 길이 차이, 척추측만증, 척추 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관 협착증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가 상기 진단 기준에 정의된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요통 및 관절염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는, 센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와; 인체의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에 따른 골격 구조 진단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기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피험자의 인체 내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이격 거리를 상기 진단기준 데이터베이스의 진단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진단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넥트와 같은 대중화된 범용 장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기존 장비와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확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서도 키넥트 등을 이용해서 피험자의 신체 골격 공간 좌표값만 받을 수 있으면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스마트폰에 설치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간편하게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은 복수의 요인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다차원의 판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므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좌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깨와 골반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척추의 좌우 틀어진 정도를 분석하여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리 골격의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 회전 정도에 따라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리 길이의 차이에 따라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아래에서 소정 조건에 따른 질병 가능성을 소정의 확률(%)로 설명하고 있으나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따른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인바,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가 해당 확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험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시스템은 피험자(11)의 신체 골격 부위에 해당하는 공간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 디바이스(15)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트를 통해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장치인 분석 장치(10)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15)는 센서 및/또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피험자의 신체 골격 부위의 복수의 기준점에 대해 공간 좌표값을 획득하는 장치로서, IR(Infrared)나 TOF(Time OF Flight) 방식 같은 비전리방사선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센서 디바이스(15)의 예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넥트(Kinect)가 있다. 키넥트 1.0은 IR 구조광 방식이고 키넥트 2.0은 TOF 방식이며, 관절 추적 시스템이 내장되어 한 플레이어(피험자) 당 20개의 관절을 인식할 수 있다. 키넥트는 타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범용성과 안전성을 검증 받은 제품이다.
분석 장치(10)가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수신하는 좌표 정보는 피험자의 신체 골격 부위의 복수의 기준점에 대한 공간 좌표값을 포함한다. 분석 장치(10)는 좌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진단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이다. 분석 장치(10)는 웹 기반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방식으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장치(10)는 센서 디바이스(15)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 인체의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에 따른 골격 구조 진단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기준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부를 통해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피험자의 인체 내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격 거리를 진단기준 데이터베이스의 진단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진단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석 장치(10) 또는 분석 장치(10)에 접속하여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피험자의 체형 분석 결과와 이상유무 판정 결과를 볼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15)와 분석 장치(10)간의 통신 방식은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유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분석 장치(1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 디바이스(15)와의 통신이 가능한 서버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용 컴퓨터 등의 컴퓨팅 장치이다.
분석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분석 장치(10)는 먼저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피험자의 골격 부위의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수신한다(S20). 센서 디바이스(15)는 피험자의 골격에서 어깨 양측 끝단, 골반 양측 끝단, 양쪽 눈의 위치, 양쪽 어깨의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을 가리키는 어깨 중심점, 양쪽 골반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을 나타내는 골반 중심점, 무릎 기준점, 발목 기준점, 엄지 발가락 기준점 등에 대한 공간 좌표를 인식하고 그에 해당하는 좌표 데이터를 분석 장치(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좌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분석 장치(1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필요한 좌표 정보를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수신하여 이용한다. 수신되는 좌표 정보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기준점을 가리키는 공간 좌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양쪽 눈(1-1, 1-2), 어깨 양측 끝단(2-1, 2-2), 어깨 양측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을 가리키는 어깨 중심점(2), 양쪽 팔꿈치(3-1, 3-2), 양쪽 손목(4-1, 4-2), 골반 양측 끝단(5-1, 5-2), 골반 양측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을 가리키는 골반 중심점(5), 양쪽 무릎(6-1, 6-2), 양쪽 발목(7-1, 7-2), 양쪽 엄지발가락(8-1, 8-2) 등이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분석 장치(10)는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이격 거리, 세로 방향 이격 거리 및 가로 방향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한다(S22).
어깨와 골반의 높이 차를 이용하는 실시예에서는 어깨 양측 끝단 사이의 세로 방향 이격 거리와 골반 양? 끝단 사이의 세로 방향 이격 거리가 계산되며, 골반 중심점을 기준으로 눈 중심점과 어깨 중심점과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는 실시예에서는 골반 중심점과 눈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골반 중심점과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가 계산될 것이다.
한편, 다리 길이 차이를 이용하는 실시예에서는 골반 양측 끝단, 양쪽 무릎, 양쪽 발목을 가리키는 기준점들 간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양쪽 다리의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이격 거리를 미리 정해진 진단 기준과 비교한다(S24). 진단 기준은 관리자에 의해 입력 및 수정되거나 과거의 진단 이력을 토대로 기계 학습 과정을 거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진단 기준 데이터의 예에서 보듯이, 진단 기준은 계산된 이격 거리나 이격 거리의 차이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해당하는 체형 분석 결과 및/또는 이상유무 판정 결과를 대응시켜 둔 데이터이다. 또한, 진단 기준은 복수의 이격 거리나 이격 거리의 차이를 조합한 것과 대응하는 체형 분석 결과 및/또는 이상유무 판정 결과를 정의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진단 기준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S26).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깨와 골반의 높이 차를 이용하여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깨의 높이 차는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2-1과 2-2의 세로 이격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피험자가 서 있는 바닥을 xy 평면으로 하고 위쪽을 z축으로 하였을 때, 기준점의 좌표는 (x,y,z)라는 3차원 공간 좌표로 표현되며, 양톡 어깨의 높이 차는 기준점 2-1의 z값과 기준점 2-2의 z 값의 차이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골반의 높이 차는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5-1과 5-2의 세로 이격 거리로서, 기준점 5-1의 z값과 기준점 5-2의 z 값의 차이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산된 어깨의 높이 차와 골반의 높이 차의 조합이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피험자의 척추 측만증 가능성 뿐만 아니라 골반 회전 여부,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 및 안면 비대칭 여부 등을 포함하는 체형 분석과 이상유무 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동측인지 반대측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동측이라는 것은 어깨와 골반의 동일한 쪽이 더 높다는 것이고, 반대측이라는 것은 어깨와 골반의 서로 다른 쪽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표 형식으로 기술된 진단 기준에서 단위는 mm이며, 좌측에서 우측 방향이 1차 분류(어깨) 및 2차 분류(골반)이고, 동측 및 반대측은 어깨 및 골반의 차이가 동측 혹은 반대측인지에 대한 분류이다. 또한, 1st, 2nd, 3rd는 상기 분류에 따라서 평가 가능한 진단명이 되며 빈도가 높은 순으로 순차적으로 분류하였다. 1st는 1차적인 진단, 2nd는 2차적인 진단, 3rd는 3차적인 진단을 의미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어깨의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3mm와 10mm 사이인 경우, 1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분류하고, 골반의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3mm와 10mm 사이인 경우, 1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분류하고, 어깨 높이 차와 골반 높이 차에 대한 분류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하도록 진단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어깨의 높이 차가 3mm 이내인 경우에도 골반의 높이 차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측인지 반대측인지에 따라 1차적으로 다리 길이에 차이가 있다거나 골반 회전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어깨의 높이 차와 골반의 높이 차가 동측인 경우에는 2차적으로 골반회전의 가능성이 45% 정도라고 판정할 수 있으며, 어깨의 높이 차와 골반의 높이 차가 반대측인 경우에는 3차적으로 척추측만증 가능성이 20% 정도로 분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의 높이 차가 3mm 이내이고 골반의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정상 범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정상 범위로 분류된 경우에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척추의 좌우 틀어진 정도에 따라 다시 재분류가 되어 정상 혹은 척추측만증 가능성이 진단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골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A) 및 양쪽 어깨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B)의 위치에 따라 골격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깨의 높이 차가 3-10mm인 경우, 골반의 높이 차가 동측으로 3mm 이내인 경우와 3mm 초과인 경우 1차적으로 각각 척추즉만증, 다리 길이 차이로 판정 가능하고, 골반의 높이 차가 동측으로 3mm 이내인 경우, 3-10mm인 경우, 10mm 초과인 경우 2차적으로 각각 다리길이차이, 골반회전, 척추측만증을 판정할 수 있다. 골반의 높이 차가 반대측인 때는 10mm이하, 10mm 초과인 경우 각각 1차적으로 골반회전, 척추측만증으로 판정 가능하다. 또한, 골반의 높이 차가 반대측인 때에 3mm이하, 10mm 초과인 경우 각각 2차적으로 척추측만증, 골반회전으로 판정 가능하다.
도 6은 어깨의 높이 차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의 진단 기준으로서, 도 4 및 도 5와 마찬가지로 골반의 높이 차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지와 동측인지 반대측인지 여부에 따른 진단 기준을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척추의 좌우 틀어진 정도를 분석하여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험자의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A), 양쪽 어깨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B) 및 양쪽 골반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C)의 좌표가 골격 상태의 판정에 사용된다.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A)의 좌표는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양쪽 눈의 좌표 데이터를 받아 중간점을 계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양쪽 어깨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B)의 좌표는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어깨 중심점(shoulder center)의 좌표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양쪽 골반 끝단 사이의 중간 지점(C)의 좌표는 센서 디바이스(15)로부터 골반 중심점(hip center)의 좌표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C)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A)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 a와 골반 중심점(C) 및 어깨 중심점(B)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 b의 조합이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의 이격 거리는 해당 기준점들 간의 x 값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C를 관통하여 신체의 중심을 잇는 선을 바닥과 직각으로 그리고, 중심선과 A 사이의 거리 a와, 중심선과 B 사이의 거리 b를 계산하여 이용한다. a와 b가 좌우 3mm 이내인 경우와 3-10mm 구간인 경우, b가 10mm를 초과하는경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척추 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와 b 모두 3mm 이내인 경우는 정상으로 판정하고, a가 3mm 이하이고 b는 3mm 초과인 경우는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20% 이상으로 판정하고, a는 3mm 이하이고 b는 10mm 초과인 경우는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50% 이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b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뿐만 아니라 다리 길이 차이, 척추 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관 협착증의 가능성 까지 추가로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리 길이 차이 가능성 30%, 척추측만증 가능성 20%, 척추 추간판 탈출증 가능성 40%, 척추관 협착증 가능성 30%로 판정하도록 진단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2가지 방법, 즉 피험자의 어깨와 골반 높이 차를 이용하는 방법과 골반 중심점을 기준으로 눈 사이의 중간 지점과 어깨 중심점과의 가로 이격 거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조합하여, 그 조합 결과에 따라 척추 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과,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각각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이때, 두 방법에 의한 결과값에 가중치를 두어 소정의 수식으로 계산함으로써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첫번째 방법)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두번째 방법)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고려하여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첫번째 방법에 의해 척추측만증 가능성이 20%로 계산되고 제1 가중치가 7이고, 두번째 방법에 의해 척추측만증 가능성이 50%로 계산되고 제2 가중치가 3으로 설정된 경우, 최종 척추측만증 가능성은 (20%*0.7) + (50%*0.3) = 29%로 판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리 골격의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험자가 양쪽 발목을 서로 붙이고 섰을 때 센서 디바이스(15)가 획득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무릎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리 골격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데, 도 9(a)와 같이 무릎 사이의 거리가 5cm 이상인 경우는 O 다리로 판정할 수 있다.
피험자가 양쪽 무릎을 서로 붙이고 섰을 때 발목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리 골격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데, 도 9(b)와 같이 발목 사이의 거리가 5cm 이상인 경우는 X 다리로 판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 회전 정도에 따라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험자가 편한 자세로 섰을 때 센서 디바이스(15)가 획득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좌측 발과 우측 발의 회전 방향과 정도에 따라 체형과 이상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 발이 10도 이상, 우측 발이 4도 이하인 경우 골반이 좌측으로 회전되었고 우측은 평발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고, 좌측 발이 4도 이하, 우측 발이 10도 이상인 경우 골반이 우측으로 회전되었고 좌측의 평발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고, 양쪽 다 4도 미만일 때는 안짱 다리 및 양측 평발의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으며, 양쪽 다 10도 이상일 때는 8자 걸음, 양측 거상골 튀어나옴, 척추 무지외반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리 길이의 차이에 따라 골격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센서 디바이스(15)가 획득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가 진단 기준에 정의된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요통 및 관절염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다리의 길이는 골반, 무릎, 발목의 기준점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리 길이의 차이가 5mm 이하인 경우, 5-10mm 사이인 경우, 10-20mm 사이인 경우, 2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진단 기준을 분류하여 이상유무 판정에 이용할 수 있다. 다리 길이의 차이가 5-10mm 구간인 경우 요통 가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정하고, 10-20mm 구간에 속하는 경우 관절염 확률이 1.9배 증가하고 60대 이후 척추 측만증 발생 확률이 38% 이상이고 요통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20mm 초과 구간에 속하는 경우는 무릎 관절염 확률이 4.4배 증가하고 병원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분석 장치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
11: 피험자
15: 센서 디바이스

Claims (15)

  1.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피험자의 골격 부위의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이격 거리를 미리 정해진 진단 기준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이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골반 회전 여부,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 안면 비대칭 여부 및 척추측만증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동측인지 반대측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3mm와 10mm 사이인 경우, 1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3mmm 이하인 경우, 3mm와 10mm 사이인 경우, 10mm를 초과하는 경우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에 대한 분류 결과와 상기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의 세로 높이 차에 대한 분류 결과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과,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각각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피험자의 다리 길이 차이, 척추측만증, 척추 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관 협착증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가 상기 진단 기준에 정의된 구간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요통 및 관절염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센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부와;
    인체의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에 따른 골격 구조 진단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진단기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피험자의 인체 내 복수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점들 간의 세로 이격 거리 및 가로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이격 거리를 상기 진단기준 데이터베이스의 진단 기준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진단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처리부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이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골반 회전 여부, 양쪽 다리의 길이 차이, 안면 비대칭 여부 및 척추측만증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처리부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가 동측인지 반대측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체형을 분석하고 골격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처리부는,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처리부는,
    상기 피험자의 어깨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와 골반 양측 끝단을 나타내는 기준점 간의 세로 높이 차의 조합과, 상기 피험자의 골반 중심점 및 양쪽 눈 사이의 중간 지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와 상기 골반 중심점 및 어깨 중심점 간의 가로 방향 이격 거리의 조합이, 각각 상기 진단 기준의 어떤 구간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 피험자의 척추측만증 가능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장치.



KR1020170050164A 2017-04-19 2017-04-19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6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64A KR101964152B1 (ko) 2017-04-19 2017-04-19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64A KR101964152B1 (ko) 2017-04-19 2017-04-19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272A true KR20180117272A (ko) 2018-10-29
KR101964152B1 KR101964152B1 (ko) 2019-04-01

Family

ID=6410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64A KR101964152B1 (ko) 2017-04-19 2017-04-19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602A (zh) * 2018-11-01 2019-02-15 中山市人民医院 一种女性形体智能评估检测装置及方法、存储介质
KR102007620B1 (ko) * 2019-01-01 2019-08-05 이종성 척추측만증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교정기구
CN115462761A (zh) * 2022-09-29 2022-12-13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一种身体平衡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413A (ko) * 2008-04-15 2009-10-20 김용보 체형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98063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KR101331043B1 (ko) 2012-03-08 2013-11-22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진단 시스템 및 척추측만증 진단방법
KR101464862B1 (ko) 2013-02-20 2014-11-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1508178B1 (ko) 2013-10-10 2015-04-08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척추 측만증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KR101542663B1 (ko) 2013-11-22 2015-08-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근골격 콥스각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척추 만곡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413A (ko) * 2008-04-15 2009-10-20 김용보 체형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98063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KR101331043B1 (ko) 2012-03-08 2013-11-22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측만증 진단 시스템 및 척추측만증 진단방법
KR101464862B1 (ko) 2013-02-20 2014-11-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1508178B1 (ko) 2013-10-10 2015-04-08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척추 측만증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KR101542663B1 (ko) 2013-11-22 2015-08-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근골격 콥스각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척추 만곡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602A (zh) * 2018-11-01 2019-02-15 中山市人民医院 一种女性形体智能评估检测装置及方法、存储介质
CN109330602B (zh) * 2018-11-01 2022-06-24 中山市人民医院 一种女性形体智能评估检测装置及方法、存储介质
KR102007620B1 (ko) * 2019-01-01 2019-08-05 이종성 척추측만증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교정기구
CN115462761A (zh) * 2022-09-29 2022-12-13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一种身体平衡监测方法及系统
CN115462761B (zh) * 2022-09-29 2024-02-23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一种身体平衡监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152B1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ter et al. The influence of radiographic viewing perspective and demographics on the critical shoulder angle
Williams et al. Dynamic measurement of lumbar curvature using fibre-optic sensors
Bruno et al. Incorporation of CT‐based measurements of trunk anatomy into subject‐specific musculoskeletal models of the spine influences vertebral loading predictions
Hajibozorgi et al. Sagittal range of motion of the thoracic spine using inertial tracking device and effect of measurement errors on model predictions
Krawczky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angular values obtained by computerized photogrammetry in sagittal plane: a proposal for reference values
US20180184947A1 (en) Integrated Goniometry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964152B1 (ko) 공간 좌표 분석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및 이상유무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1547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motion detection and tracking
KR102108462B1 (ko) 신체의 공간 좌표를 이용한 척추측만 정도를 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Moreira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assessing human postu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khavanfar et al. Obesity and spinal loads; a combined MR imaging and subject-specific modeling investigation
CN114173642A (zh) 用于诊断和跟踪人的脊柱排列的发展的设备、方法和系统
Hopkins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anding posture measurements using a mobile application
Xu et al. A regression-based 3-D shoulder rhythm
Mieritz et al.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rror of sagittal spinal motion parameters in 220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using a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device
KR20190097361A (ko) 자세 교정을 위한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Digo et al. Evaluation of spinal posture during gait with inertial measurement units
D’Amico et al. A self-contained 3D biomechanical analysis lab for complete automatic spine and full skeleton assessment of posture, gait and run
KR20150019963A (ko) 승마시뮬레이터에서 사용자 자세 인식 장치 및 방법
Chang et al. Concurrent validity of DorsaVi wireless motion sensor system Version 6 and the Vicon motion analysis system during lifting
Warlow et al. A technique for motion capture of the finger using functional joint centres and the effect of calibration range of motion on its accuracy
Zhang et al. A computer-aided metho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Lenke classification for scoliosis
KR20170019667A (ko) 근골격계 진단 장치
Berthonnaud et al. Classification of pelvic and spinal postural patterns in upright position. Specific cases of scoliotic patients
Liew et al. Performance of a lateral pelvic cluster technical system in evaluating running kinema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