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258A -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258A
KR20180117258A KR1020170050013A KR20170050013A KR20180117258A KR 20180117258 A KR20180117258 A KR 20180117258A KR 1020170050013 A KR1020170050013 A KR 1020170050013A KR 20170050013 A KR20170050013 A KR 20170050013A KR 20180117258 A KR20180117258 A KR 2018011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mino acid
antimicrobial
pept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679B1 (ko
Inventor
장미경
박성철
김영민
김은지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67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헬리컬 구조를 기반으로 양이온 아미노산으로 라이신과 아르기닌을 사용하고 이소류신과 트립토판을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사용하여 친수성과 소수성이 서로 다른면에 존재하는 양친화성 구조로 합성한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또는 9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새로운 항균 활성 펩타이드, 서열번호 10으로 기재되는 양이온 아미노산으로 라이신과 아르기닌을 사용하고 이소류신과 트립토판을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사용하며 음이온 아미노산인 글루탐산을 포함하여 친수성과 소수성이 서로 다른면에 존재하는 양친화성 구조로 합성한 새로운 항균 활성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이 없고 탁월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인체에 안전한 항균용 의약품, 화장품 또는 식품방부제의 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약물내성균이 형성하는 생물막의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Alpha-helical peptide having antimicrobial actvity against drug-resistant bacteria and biofilm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헬리컬 구조를 기반으로 양이온성 아미노산들과 소수성 아미노산들을 합성하여 제조한 신규한 항생제용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박테리아성 질병의 내성은 1940년대에 처음 항생제를 쓰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 나타났다. 특히 현재 시판되는 모든 타입의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버그(MRSA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E :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imipenem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penicillin 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가 나타나게 되면서 항생제 발견 이전과 같은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질병통제 센터(CDC)는 2005년 항생제 내성(AMR) 병원 항생제 보고서를 통해 매년 2백만의 세균성 감염 환자가 발생하며, 그 중 9만 명이 사망한다고 보고하였다. 일본에서는 아시네토박터균의 감염이 2007년에 231건이 검출되었고, 2009년에는 274건이 검출되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NDM-1(New Delhi metallo-β-lactamase)은 인도 뉴델리에서 발생한 새로운 타입의 β-락타마제(β-lactamase)로, 이미페넴(imipenem) 등 카바페넴(carbapenem) 계열에 내성을 가진 카바페네마제(carbapenemase)의 일종이며, 현재까지 NDM-1 장내세균은 인도와 파키스탄 등 모두 16개국 355명에게서 발견되었다. 이들 내성균주의 발생 및 배양 장소인 병원에서 항생제를 남용함에 따라 내성균주의 발생을 더 빈번해졌으며 이들 "Super-bacteria"에 대해서는 더 이상 치료제가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2011년 WHO 세계 보건의 날의 주제가 “항생제 내성”이었으며 비만·당뇨·에이즈(HIV)등의 질병보다 더 위협적인 것이 항생제 내성문제라고 발표했다. WHO가 집계한 항생제 내성율의 경우, 중국 96.4%, 대만 84.9%, 80.7%, 일본 78.9%, 한국 77.7%, 프랑스 46.1%, 스페인 43.6 및 미국 35.4%로 나타났으며, 이처럼 아시아 국가에서 그 수치가 심각하게 높은 실정이다. 또한, '항생제 내성 폐렴구균 출현빈도 미국의 2배', 'OECD 국가 중 항생제 소비량 1위', '감기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 55%' 등의 최근의 지표들은 국내에서의 항생제 오남용의 심각성을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2010년말 우리나라에서는 약물내성균으로 반토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RSA), 메타실린 내성 황색포고상구균(MRSA), 카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coccus , CRE),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다제내성 녹농균(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DR 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균(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MDR AA) 6가지를 슈퍼박테리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였고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도 슈퍼박테리아와의 전쟁이 이미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생물막(biofilm)은 세균 등이 분비하는 점성물질 안에 복수의 세균이 공존하는 환경을 말한다. 생물막은 박테리아가 스스로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단백질(protein) 및 DNA를 분비하여 형성되는 세포외 중합물질(extracelluar polymeric substance: EPS)이다. 세균뿐 아니라 진균도 생물막을 형성하며 덩어리를 이루고 생물막에 부착된 미생물로 인한 감염이 발생하며 특히 생물막 내의 박테리아는 항균제 치료로 제거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생물막은 현대 감염병에서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생물막은 특히 중이염(Otitis media), 전림선염(prostatitis),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 플라크(dental plaque) 등에서 주로 나타난다. 또한 수술용 도구에 형성되는 생물막은 대부분 만성 감염병의 원인이 된다. 미국을 기준으로 매년 17만 명의 새로운 생물막 감염자가 생겨나고 있으며, 항생제 처리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생물막의 형성은 부유 박테리아 비해 항생제 처리시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가 100-1000배 이상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7: 3407-3414, 2003).
다국적 제약회사들의 새로운 항생제로 내성 박테리아를 치료할 수 있다고 언급하지만, 주로 항생제 내성은 면역력이 약해진 병원의 중환자에게서 나타나기 때문에 항생제 투여시 박테리아의 사멸과정에서 분비되는 내분비독소(endotoxin)에 의해 패혈증 (septic shock)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기존의 화학적 항생제의 대안으로 새로운 개념의 항생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항균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인체 및 생명체는 외부와 내부에서 다양한 미생물들에 노출되어 있고 지속적인 공격을 받고 있지만,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선천성 면역체계(innate immune system)를 가지고 있어 자가면역력에 의해 생명을 지속할 수 있다. 이러한 선천성 면역체계 중 하나가 항균 활성 펩타이드이며, 아미노산의 종류와 서열은 다르지만 바이러스, 박테리아, 원충, 진균, 식물, 포유동물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생명체가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분비하거나 내재하고 있다.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60개 미만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크기의 펩타이드이며 생물체가 병원균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 1차 방어물질로 작용한다.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주로 양전하(cationic)를 띠며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에 의해 양친매성(amphipathic) α-나선구조와 β-병풍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음전하를 띠는 병원성 세균의 세포막의 지질성분에 대한 친화력을 나타내어 세균 세포막 지질과 결합하여 일명 'barrel-stave’, ‘carpet’또는 'toroidal-pore’기작을 통해 세균의 세포막의 전위를 변화시키거나 세포막 자체에 구멍을 내어 세포막을 파괴한다. 또 일부는 세균의 세포막 내로 들어간 다음 세포내 타겟을 공격하여 세포 기능을 마비시킴으로써 항균 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시험관내 실험에서 아주 좋은 항균 활성을 가지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실제로 생체내(in vivo) 실험에서는 항균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많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주로 생체내의 생리 및 해부학적 조건이 시험관내에서의 실험 조건과 많이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생리조건인 염(salt)이 존재하면 양전하가 낮은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활성이 현저히 저해된다. 둘째, 펩타이드는 작은 분자량과 사이즈를 가지기 때문에 신장에서 거의 흡수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셋째, 생체내의 모든 조직이나 세포, 체액 및 혈액 등에 존재하는 단백질 및 펩타이드 분해효소(protease 및 peptidase)에 의해 쉽게 잘려서 활성을 잃어버린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독성이 감소되고, 생체내에서 이용 효율이 높은 항균 활성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던 중, 일반적인 아미노산 잔기 10개만을 사용하거나 14개만을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생체내 이용효율이 높고 인간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생리활성 염농도 존재 하에서도 활성을 잃지 않으며 테스트용 미생물 뿐만 아니라 환자로부터 직접 분리한 약물내성균(Pseudomonas aeruginosa 5종 및 Staphylococcus aureus 5종)에 대해서도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기전의 항생제로서 세포독성이 없고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약물내성균이 형성하는 생물막의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알파-헬리칼 구조를 가지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친수성 서열을 양이온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 K) 또는 아르기닌(Arginine, R)으로 적용하고, 소수성 서열을 소수성 아미노산인 이소류신(Isoleucine) 또는 트립토판(tryptophan)을 적용하여 10개 또는 14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양쪽성 (amphipathic) 펩타이드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알파-헬리칼 구조를 가지는 펩타이드로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친수성 서열을 양이온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 K) 또는 아르기닌(Arginine, R)으로 적용하고, 소수성 서열을 소수성 아미노산인 이소류신(Isoleucine) 또는 트립토판(tryptophan)을 적용하며, 음이온 아미노산인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포함된 14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양쪽성 (amphipathic) 펩타이드이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이들을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WIK-10(서열번호 3),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WIR-10(서열번호 6),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및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로 명명하였으며, 이들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펩타이드 서열
KIW-10(서열번호1) KKIIKKIWKW
KWI-10(서열번호 2) KKIWKKWIKI
WIK-10(서열번호 3) WIKKIWKKIK
RIW-10(서열번호 4) RRIIRRIWRW
RWI-10(서열번호 5) RRIWRRWIRI
WIR-10(서열번호 6) WIRRIWRRIR
KIW-14(서열번호 7) KKIIKKIIKKIWKW
KWI-14(서열번호 8) KKIWKKWIKKIIKI
WIK-14(서열번호 9) WIKKIWKKIIKKIK
WIKE-14(서열번호 10) WIKKIWKKIIKEIK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상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와 8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면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그 단편들과 1개 또는 2개의 아미노산이 변화된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동성(homology)"및 "서열 상동성(sequence identity)"라 함은 상호변환가능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2개의 아미노산 (또는 비슷한 것으로 핵산) 사이에서 서열의 오버랩 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에서 각각의 아미노산을 구조가 유사한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거나,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시 말단의 카르복실기를 다른 기능기로 치환시킨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된 펩타이드 중 이소류신 또는 트립토판을 다른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이 없으며 우수한 항균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 이소류신 대신 치환될 수 있는 소수성 아미노산으로는 트립토판, 알라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발린 및 류신을 들 수 있으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 트립토판 대신 치환될 수 있는 소수성 아미노산으로는 이소류신, 알라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프롤린, 발린 및 류신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8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 이소류신이 알라닌,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프롤린, 발린 및 류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 트립토판이 알라닌, 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발린 및 류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 이소류신이 알라닌,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프롤린, 발린 및 류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동시에 트립토판이 알라닌, 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발린 및 류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
본 발명에서 "아미노산"이라 함은 자연적으로 22개의 표준 아미노산들뿐만 아니라 D-아이소머 및 변형된 아미노산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펩타이드는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펩타이드는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된 비표준 아미노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번역 후 변형의 예는 인산화(phosphorylation), 당화(glycosylation), 아실화(acylation) (예컨대, 아세틸화(acetylation), 미리스토일화(myristoylation) 및 팔미토일화(palmitoylation)를 포함), 알킬화(alkylation), 카르복실화(carboxylation), 히드록실화(hydroxylation), 당화반응(glycation), 비오티닐화(biotinylation), 유비퀴티닐화(ubiquitinylation), 화학적 성질의 변화(예컨대, 베타-제거 탈이미드화, 탈아미드화) 및 구조적 변화(예컨대, 이황화물 브릿지의 형성)를 포함한다. 또한, 펩타이드 컨쥬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crosslinker)들과의 결합과정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들에 의해 생기는 아미노산의 변화, 예컨대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또는 사이드 체인에서의 변화와 같은 아미노산의 변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약물내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람양성균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포함하는 그람양성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상기 그람음성균은 에스케리시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를 포함하는 그람음성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상기 약물내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를 포함하는 약물내성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생리적 염의 존재 하에서도 활성을 잃지 않고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인간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으며 항생제 내생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생체이용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들 조성물은 감염 치료제, 화장품 첨가제, 식품 방부제 또는 사료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와 함께 항균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을 추가로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제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제는 식염수, 링거액,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산제, 희석제 및 계면활성제를 부형제를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이 주사용 제형, 타블릿, 캡슐, 또는 과립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생체 활용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필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복강, 정맥 및 피하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개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일일 투여량은 1∼10 ㎎/㎏, 바람직하게는 약 3∼6 ㎎/㎏이나 임상결과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감염 정도에 따라 하루 일 회 내지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될수 있는 질환을 가지거나, 박테리아의 생물막 형성이 억제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 외에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첨가제에 사용되는 부형제로서 알부틴(arbutin), 코직산(kojic acid), 루시놀(rucinol), 비타민C(vitamin C) 및 vitamin C 유도체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주름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레티놀(retinol) 및 그 유도체, 인돌아세트산(indol acetic acid) 및 그 유도체, 아데노신(adenosin), 토코페롤(tocoperol) 및 그 유도체, 카이니틴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에는 화장품 첨가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인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첨가한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폼(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생체활용 가능 고분자인 키토산 (chitosan), 데스트란(dextran),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을 담지체로 하여 봉입 및 그래프팅 등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향균 효과가 발휘될 수 없으며,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미미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와 함께 공지의 식품 방부제 중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방부제로는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칼륨, 소르빈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향균 효과가 발휘될 수 없으며,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서는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약물내성균이 형성하는 생물막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물내성균은 약물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와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인 약물내성균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이며, 바람직하게는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이다.
본 발명의 생물막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은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적용되기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완충염, 보습제, 연화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부식 억제제, 용매, 살포자제 및 이들 성분 중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농축된 형태, 희석된 형태 또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농축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 시점에서 희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농축된 조성물을 다른 농축물과 혼합함으로써 희석시 추가로 개질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액체, 크림, 거품 또는 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은 생물체 유래의 조직, 기관 또는 의료용 물건의 표면을 포함하며, 약물내성균이 생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을 의미한다. 생체 유래의 표면은 물론, 가정, 산업, 환경,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물건의 표면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표면은 피부, 치아와 같은 생물체 유래 조직 또는 기관의 표면일 수 있으며, 각종 의료용 설비, 장비, 기구,임시 또는 영구용 인공삽입 보형물인 렌즈, 인공판막, 페이스메이커, 수술용 핀, 삽입 도관, 카테터 등 의료용 물건의 표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생물막의 예방 또는 억제는 본 발명의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물내성균과 접촉시키거나 또는 약물내성균이 증식할 수 있거나 증식하고 있는 생물체 유래의 조직, 기관 또는 의료용 물건의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또는 처리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약물내성균 또는 약물내성균이 형성한 생물막에 접촉, 도포 또는 살포되는 것으로 약물내성균의 사멸 또는 이의 증식을 저해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이루어진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로, 상기 조성물은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유지 시간은 일반적으로, 수 초 내지 30분 범위일 수 있다. 그 후, 도포된 조성물을 물로 헹구어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거나 표면을 가열함으로써 증발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로, 상기 조성물은 손이나 피부의 소독제로서 제형화하여 피부 또는 점막에 도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조성물은 거품 형태로 피부에 도포됨으로써 피부를 소독하여 생물막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손 살균제(hand sanitizer)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로, 상기 조성물은 수술 전 준비 물질(prep) 또는 스크럽(scrub)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루멘 표면을 포함한 의료 기구 또는 장치의 표면에 도포 또는 살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 및 "억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병원성 박테리아를 성장을 지연하거나 죽이는 모든 행위 및 생물막의 형성을 지연키거나 생성된 생물막을 분해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병원성 박테리아와 곰팡이에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인간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으며 약물내성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생체이용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감염 치료제, 식품 방부제, 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품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물내성균과 접촉시키거나 또는 약물내성균이 증식할 수 있는 생물체 유래의 조직, 기관 또는 의료용 물건의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약물내성균이 형성하는 생물막을 예방 또는 억제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구조를 http://mobyle.rpbs.univ -paris-diderot.fr/cgi-bin/portal.py#forms에서 도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에스케리시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에 대한 완충용액별 활성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Buffer I: 10 mM HEPES, 10 mM NaCl (pH 7.4) + 10% TSB, Buffer II: 10 mM HEPES, 150 mM NaCl (pH 7.4) + 10% TSB, Buffer III: 10 mM HEPES, 5 mM MgCl2 (pH 7.4) + 10% TSB, Buffer IV: 10 mM HEPES, 150 mM NaCl, 5 mM MgCl2 (pH 7.4) + 10% TSB).
도 3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완충용액별 활성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Buffer I: 10 mM HEPES, 10 mM NaCl (pH 7.4) + 10% TSB, Buffer II: 10 mM HEPES, 150 mM NaCl (pH 7.4) + 10% TSB, Buffer III: 10 mM HEPES, 5 mM MgCl2 (pH 7.4) + 10% TSB, Buffer IV: 10 mM HEPES, 150 mM NaCl, 5 mM MgCl2 (pH 7.4) + 10% TSB).
도 4는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마우스 적혈구 용혈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마우스 피부섬유아세포(NIH3T3)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에스케리시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한천 확산능 (agar diffusion ability)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항균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 칼세인(calcein)이 담지된 인공박테리아세포막(artificial liposome)에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농도별 파괴정도를 관찰한 것이다. PE/PG는 박테리아의 세포막과 유사한 지질조성이고, PC/Ch/SM은 동물세포의 지질과 유사한 지질조성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약물감수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인 ATCC 15692와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 4007 균주에 대한 박테리아 플랑크톤 생장저해(상단 2개의 그래프)와 생물막 제거 (하단 2개의 그래프) 능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제재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제재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재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
양이온 아미노산으로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을 사용하고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이소류신 또는 트립토판을 사용하여, 친수성과 소수성이 서로 다른면에 존재하는 양친화성 알파 헬릭스(α-helix) 구조를 나타내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및 9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양이온 아미노산으로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이소류신 또는 트립토판을 사용하고, 음이온 아미노산인 글루탐산(Glutamic acid) 사용한 친수성과 소수성이 서로 다른면에 존재하는 양친화성 알파 헬릭스(α-helix) 구조를 나타내며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각각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WIK-10(서열번호 3),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WIR-10(서열번호 6),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또는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로 명명하였다.
도 1에 상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의 구조를 http://mobyle.rpbs.univ-paris-diderot.fr /cgi-bin/ portal.py#forms에서 도출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들은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우선 링크 아미드 4-MBHA-레진(Rink Amide 4-methylbenzhydrylamine Resin; Novagiochem, 0.55 mmol/g)을 사용하여 아미드화된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그 후 상기 이미드화된 펩타이드를 에테르로 침전 추출하여 상기 수지로부터 절단하여 크루드(crude)한 형태의 펩타이드를 얻었다. 상기 크루드한 형태의 펩타이드를 0.1%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에 녹인 0~60% 아세토니트릴을 그레이언트(gradient)로 하여 zorbax C18 컬럼(21.2 X 250 mm, 300Å, 7-μm)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Shimadzu analytical HPLC 시스템을 이용하여 순도를 측정하고, MALDI(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질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펩타이드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펩타이드 서열 분자량 순전하
KIW-10(서열번호1) KKIIKKIWKW 1370.7 +6
KWI-10(서열번호 2) KKIWKKWIKI 1370.7 +6
WIK-10(서열번호 3) WIKKIWKKIK 1370.7 +6
RIW-10(서열번호 4) RRIIRRIWRW 1510.8 +6
RWI-10(서열번호 5) RRIWRRWIRI 1510.8 +6
WIR-10(서열번호 6) WIRRIWRRIR 1510.8 +6
KIW-14(서열번호 7) KKIIKKIIKKIWKW 1853.4 +8
KWI-14(서열번호 8) KKIWKKWIKKIIKI 1853.4 +8
WIK-14(서열번호 9) WIKKIWKKIIKKIK 1853.4 +8
WIKE-14(서열번호 10) WIKKIWKKIIKEIK 1854.4 +6
Melittin(대조군) GIGAVLKVLTTGLPALISWIKRKRQQ 2068.7 +5
상기 표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과 같은 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항염증 활성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측정된 분자량은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계산하여 얻은 분자량과 일치하였으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염증 활성 펩타이드가 정확히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최소저해농도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의 최소저해농도를 그람음성균, 그람양성균 및 약물내성균 5종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균의 경우 10 ml의 TSB(tripticase soy broth)배지, 37℃에서 배양한 후 다시 새로운 배지로 옮겨 6 시간 배양하여 대수 증식기에 있도록 하였으며, 대수 증식기의 미생물을 10 mM 나트륨-인산 완충액 (pH 7.4) 또는 생리활성 식염수 (PBS, NaCl 137 mM, KCl 2.7 mM, Na2HPO4 10 mM, KH2PO4 2 mM, pH 7.4)에 10 용량%의 TSB (Trycase soy broth)미디움이 포함된 용액을 이용하여 1×106 CFU/ml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폴리프로필렌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미생물 희석액(90 μl)과 2배수로 연속 희석된 펩타이드(10 μl)를 섞어준 다음, 37℃ 12∼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각 웰의 흡광도(absorbance)를 600 nm에서 측정하여 미생물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는 가장 낮은 펩타이드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로 결정하였다. MIC 값들은 한번에 3개씩,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수치의 평균값으로 결정하였다.
먼저, 그람양성균으로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 (Listeria monocytogenes)를 그람음성균으로서 에스케리시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와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domonas aeruginosa)를 사용하였으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와 대조군으로 멜리틴(Melittin)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각 균주의 MIC 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ame MIC ( μM )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LIS HIS LIS HIS LIS HIS LIS HIS LIS HIS
KIW-10 8 64 16 64 16 128 4 32 4 128
KWI-10 8 64 16 64 16 128 2 32 2 64
WIK-10 8 32 8 32 8 64 2 8 2 16
RIW-10 8 16 16 32 8 16 2 4 2 8
RWI-10 2 4 16 32 8 16 1 4 2 8
WIR-10 2 4 4 8 4 8 1 1 2 2
KIW-14 4 4 2 2 4 8 1 2 0.5 1
KWI-14 4 4 2 2 4 8 1 2 0.5 1
WIK-14 4 4 2 2 2 2 1 1 0.5 1
WIKE-14 4 64 8 32 16 128 2 8 4 8
Melittin 2 2 2 16 2 2 2 2 1 2
* LIS: 낮은 이온세기의 용액(Low Ionic Strength buffer, 10 mM 나트륨-인산 완충액), HIS: 높은 이온세기의 용액(High Ionic Strength, PBS, NaCl 137 mM, KCl 2.7 mM, Na2HPO4 10 mM, KH2PO4 2 mM)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이온세기의 용액에서 대조군인 멜리틴(Melittin)은 5종의 박테리아에서 1 내지 2 μM의 MIC를 보이는 반면,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WIK-10(서열번호 3),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WIR-10(서열번호 6),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및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는 5종의 박테리아에서 0.5 내지 16 μM의 MIC를 나타내었다. 특히,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및 WIK-14(서열번호 9) 펩타이드는 0.5 내지 4 μM의 MIC를 나타내었고, 높은 이온세기를 가지는 생리활성 조건에서 MIC 값이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약물내성균의 감염치료제로서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부산백병원에서 분양받은 환자로부터 직접 분리된 약물내성균인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PA)와 약물내성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a)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예 2에서는 10 mM 나트륨-인산 완충액에서만 측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에 대한 MIC 값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약물내성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MIC 값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를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 옥사실린(Oxacillin),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및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을 사용하였다.
MIC (μM)
Pa
(항생제 감수성균)
Pa-01
(약물내성균)
Pa-02
(약물내성균)
Pa-03
(약물내성균)
Pa-04
(약물내성균)
Pa-05
(약물내성균)
KIW-10 16 16 16 8 16 16
KWI-10 16 16 16 8 8 8
WIK-10 8 8 8 8 8 8
RIW-10 16 16 16 8 16 16
RWI-10 16 8 8 8 8 8
WIR-10 4 4 4 4 4 4
KIW-14 2 2 2 2 2 2
KWI-14 2 2 2 2 2 2
WIK-14 2 2 2 1 1 1
WIKE-14 8 16 8 8 8 8
Melittin 2 2 4 4 4 2
Oxacillin 4 32 8 >128 >128 >128
Erythromycin 1 1 32 >128 >128 >128
MIC (μM)
Sa
(항생제 감수성균)
Sa-01
(약물내성균)
Sa-02
(약물내성균)
Sa-03
(약물내성균)
Sa-04
(약물내성균)
Sa-05
(약물내성균)
KIW-10 16 16 16 16 16 16
KWI-10 16 16 16 8 16 8
WIK-10 8 8 4 4 8 4
RIW-10 8 8 8 8 8 8
RWI-10 8 8 8 8 4 4
WIR-10 4 4 2 2 4 2
KIW-14 4 4 2 2 2 4
KWI-14 4 2 2 4 2 2
WIK-14 2 2 2 2 2 2
WIKE-14 16 8 16 8 16 16
Melittin 2 2 2 4 2 2
Tobramycin 2 >128 2 >128 64 2
Erythromycin 2 >128 64 >128 >128 16
상기 표 4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 10종(서열번호 1 내지 10)은 약물내성균인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와 5종 약물내성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5종 모두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생리활성 염 농도에서의 항균 활성 측정
생리활성 염 농도에서 상기 실시예 1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Buffer I: 10 mM HEPES, 10 mM NaCl (pH 7.4) + 10% TSB, Buffer II: 10 mM HEPES, 150 mM NaCl (pH 7.4) + 10% TSB, Buffer III: 10 mM HEPES, 5 mM MgCl2 (pH 7.4) + 10% TSB, Buffer IV: 10 mM HEPES, 150 mM NaCl, 5 mM MgCl2 (pH 7.4) + 10% TSB에서 시험예 1의 방법으로 항균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펩타이드 10종 모두 buffer I에서는 32 μM 이하에서 95% 이상의 실시 박테리아 생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buffer I, II 및 IV에서는 아미노산 개수가 10이고 친수성으로 라이신을 가지는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및 WIK-10(서열번호 3) 펩타이드는 buffer I 대비 50% 이상의 항균 활성 저하를 보였고, 아미노산 개수가 10이고 친수성으로 아르기닌을 가지는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및 WIR-10(서열번호 6) 펩타이드는 buffer I 대비 20~50%의 항균 활성 저하를 보였으며, 아미노산 개수가 14인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및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는 buffer I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에,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WIK-10(서열번호 3),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및 WIR-10(서열번호 6) 펩타이드는 생체내 활성액과 무관한 주로 외용제에 사용될 수 있고,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는 생체내 염농도에서 황균 활성이 유지되므로 내/외용제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4: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적혈구 용혈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항균 접합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을 조사하였다.
사람의 적혈구를 8%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염 완충용액(PBS, pH 7.0)으로 희석하고 여기에 1/2의 농도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펩타이드를 각각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000 g로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 양을 41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세포 파괴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0.1% 트리톤 X-100을 사람의 적혈구 세포에 첨가하여 그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0.1% 트리톤 X-100의 세포 파괴능을 100%로 하여 이를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흡광도 A는 414 nm 파장에서 펩타이드 용액 처리군의 흡광도이고,
흡광도 B는 414 nm 파장에서 PBS만 처리한 군의 흡광도이고,
흡광도 C는 414 nm 파장에서 0.1% 트리톤 X-100의 처리군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와 멜리틴의 적혈구 파괴능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KIW-14(서열번호 7) 펩타이드는 200 μM에서 8.29%의 용혈현상, KWI-14(서열번호 8) 펩타이드는 200 μM에서 6.84%의 용혈현상, WIK-14(서열번호 9) 펩타이드는 200 μM에서 16.17%의 용혈현상을 나타내었고,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WIK-10(서열번호 3),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WIR-10(서열번호 6) 및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는 200 μM에서 거의 용혈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적혈구 용혈 현상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 안정한 펩타이드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세포 독성 측정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의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마우스 섬유아세포주(NIH3T3)에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NIH3T3 세포주(10,000 cells/well)를 96-웰 플레이트에서 10% FBS를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을 이용하여 5% CO2 존재 하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들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를 각각 처리하고 36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이를 MTT assay를 통해 발색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세포생존율[Viability (%)]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로 결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흡광도 A는 570 nm 파장에서 펩타이드 용액을 처리군의 흡광도이고,
흡광도 B는 570 nm 파장에서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이고,
흡광도 C는 570 nm 파장에서 0.1% 트리톤 X-100을 처리한 군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의 마우스 섬유아세포주(NIH3T3)에 대한 세포독성을 멜리틴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KIW-14(서열번호 7) 펩타이드는 100 μM에서 91.42%의 NIH3T3 세포의 생존률, KWI-14(서열번호 8) 펩타이드는 100 μM에서 92.59%의 NIH3T3 세포의 생존률, WIK-14(서열번호 9) 펩타이드는 100 μM에서 85.06%의 NIH3T3 세포의 생존률을 나타내었고,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WIK-10(서열번호 3),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WIR-10(서열번호 6) 및 WIKE-14(서열번호 9)의 펩타이드는 100 μM에서 100%의 NIH3T3 세포의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100 μM 농도에서 85% 이상의 생존률을 보임으로써 세포독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10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탁월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한 항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항균 활성 작용기작 규명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의 작용기작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를 인위적으로 만든 리포좀에 처리하여 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물리적 현상을 측정하였다.
유리관 안에 지질막을 박테리아 외막 (PE/PG,7:3, w/w) 및 내막 (PG/CL, 1:1, w/w), 동물세포 (PC/CH/SM,1:1:1, w/w/w)의 조성에 맞추어 섞은 다음, 섞은 지질막을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클로로폼(chloroform)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후 완전하게 클로로폼을 제거하기 위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3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그 후 완충용액(buffer)을 이용하여 인지질과 섞은 후에 회전(vortex)시켜 잘 섞이도록 한 다음 30분간 상온에서 초음파 분쇄하였다. 후에 소형 압출기(Mini-extruder)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리포좀(liposome)을 분리해 놓는다. 이때 소형 단일층상 소수포(Small Unilamellar Vesicle)는 0.1μm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polycarbonate membrane)을 사용하였고, 대형 단일층상 소수포(Large Unilamellar Vesicle)는 0.2μm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을 사용하였다.
펩타이드의 트립토판 잔기의 형광 방출(emission) 스펙트럼은 완충용액 상태와 리포좀 상에서 측정하여 펩타이드의 세포막에 결합능을 측정할 수 있었다. 지질 혼합물을 10 mM HEPES 완충용액에 혼탁 시킨 후, 초음파분해에 의하여 작은 당일막 포낭 (SUV)를 제조하였다. 펩타이드는 리포좀이 0인 상태부터 0.6 mM까지, 리포좀과 펩타이드를 비율별로 제조하여 넣고 20℃에서 10분 간 반응시켰다. 분광형광계(Spectrofluorimeter)의 여기(excitation) 파장은 280 nm로, 방출(emission) 파장은 300에서 400 nm로 설정하여 스캔하였다. 펩타이드의 청색 이동(blue shift) 값은 펩타이드의 방출 스펙트럼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파장의 차이로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값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펩타이드 리포좀 없는 용액 PE/PG 리포좀 (7:3, w/w) PG/CL 리포좀(1:1, w/w) PC/CH/SM 리포좀(1:1:1, w/w/w)
Buffer I Buffer IV Buffer I Buffer IV Buffer I Buffer IV Buffer IV Buffer IV
KIW-10 352 356 343 346 340 341 355 351
KWI-10 354 354 338 345 340 341 354 352
WIK-10 354 354 334 339 331 332 354 354
RIW-10 352 356 339 341 339 339 356 353
RWI-10 353 355 338 338 337 338 355 353
WIR-10 352 355 337 337 337 338 354 354
KIW-14 353 357 340 340 339 340 349 343
KWI-14 353 356 332 332 331 332 349 352
WIK-14 356 356 318 318 321 321 342 350
WIKE-14 353 356 332 337 322 328 353 352
*Buffer I: 10 mM NaCl이 포함된 10 mM HEPES (pH 7.4), buffer IV: 150 mM NaCl과 5 mM MgCl2을 가진 10 mM HEPES (pH 7.4)
상기 표 6에 나타나 있듯이, 리포좀 없는 용액에서는 모든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가 buffer I 및 IV에서 352 내지 357 nm에서 최대 방출 세기(emission intensity)를 보였고, 박테리아 세포막의 유사조성인 PE/PG 조성 리포좀에서는 buffer I에서 318 내지 343 nm에서 최대 방출 세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buffer I에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가 박테리아 세포막과 강하게 결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uffer IV에서 318 내지 346 nm의 최대 방출세기는 박테리아 세포막과의 결합력이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는 도 2 및 3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상기 표 6의 PG/CL 리포좀은 음성 박테리아의 내부 멤브레인(Inner membrane)의 조성과 같은 것으로, 이에 대한 결과는 PE/PG 리포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정상 세포의 세포막 조성인 PC/CH/SM 리포좀에서는 WIK-14(서열번호 9) 펩타이드를 제외한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향균 펩타이드는 리포좀 없는 용액 대비 최대 방출 세기가 1 내지 4 nm 이동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PC/CH/SM 리포좀과 결합력이 없는 것으로 도 4 및 5의 적혈구 용혈활성과 세포독성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한편, buffer I에서 WIK-14(서열번호 9) 펩타이드의 14 nm의 이동은 강한 결합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buffer IV에서 6 nm의 이동은 약한 결합력을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세포독성 시험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심각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되기 어렵다.
시험예 7: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세포막 파괴능 측정
본 발명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세포막 파괴능을 확인하기 위해 80 mM 칼세인(calcein) 형광염색액을 담지한 PE/PG와 PC/Ch/SM 리포좀을 만들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에 노출하였다.
원하는 조성(mole ratio)의 지질(lipid) 무게를 측정하여 1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round bottle flask)에 넣고 빛을 차단하기 위해 호일로 감싼 뒤 질소로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부를 채웠다. 균일하게 지질이 분포되어있는 리포좀을 만들기 위해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휘발성 유기용매인 무수 크로로폼(anhydrous chloroform)을 2mL 정도 사용하여 지질을 완전히 녹였다. 상기 지질이 균일하게 섞이게 하기 위해서 5분간 충분히 회전(vortexing)시키고 유기용매를 질소가스로 증발시켰다. 이 때 돌비현상(bumping) 일어나지 않게 주의하면서 둥근 바닥 플라스크 표면으로 지질막(lipid film)이 곱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후 진공 건조기에서 3시간 정도 방치하여 남아있던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80mM 칼세인 용액을 만든 후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킨 지질이 들어있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칼세인 용액을 넣었다. 지질과 칼세인 용액이 잘 섞이도록 10분간 강하게 회전(vortexing)시켜 MLV(multilamellar vesicles)를 만들었다. 지질과 칼세인 용액이 잘 섞여있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초음파 분산기(Sonicator)에 20초간 넣어주었다. 이때 약간의 열이 발생하면서 지질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얼음물에 완전히 식히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 후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액체질소에 담구어 리포좀을 완전히 얼렸다. 리포좀이 균일하게 얼도록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원을 그리듯 흔들어 주면서 급속하게 얼리고 상온에서 천천히 녹이는 과정(Freeze-thawing)을 10회 반복하였다. 200 nm이하의 균일한 리포좀을 얻기 위하여 400 nm와 200 nm의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Nuclepore corporation, Pleasanton CA, USA)이 장착된 아반티 소형 압출기(Avanti mini-extruder, USA)를 사용하여 차례대로 각각 33번씩 여과(filter)하였다. 리포좀 내부에 포획되지 않고 남은 형광물질을 제거하고 리포좀만을 얻기 위해 Sephadex G-50(pharmacia, Sweden)가 충진제로 들어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압출기로 여과한 리포좀을 적재(loading)하였다. GPC 내부에 작은 구멍이 있어서 형광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리포좀은 쉽게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처럼, 형광물질과 리포좀의 크기 차이에 의해 리포좀이 먼저 분리되어 나오면 미세소관(micro tube)에 받아 4℃에서 보관하였다.
누출 분석(Leakage assay)은 리포좀내에 형광물질이 포획되어 있을 때는 서로 자기 소광(self-quenching)하고 있어 형광을 거의 나타내지 않다가 펩타이드로 리포좀내 형광물질을 누출시켰을 때는 펩타이드 농도에 따라 포획된 형광물질이 방출(release)되는 정도를 형광의 변화로 알아보는 실험이다. Perkin Elmer LS-55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형광을 관측하는데 리포좀내에 포획된 형광물질이 따라 파장범위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형광물질 중에 하나인 칼세인의 경우 여기는 490 nm에서 방출은 520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여기에 양성 대조군으로 0.1%의 트리톤 X-100(Triton X-100)용액을 사용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100% 칼세인 누출(calcein leakage)로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흡광도 F0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넣어주기 전에 리포좀만 큐벳 내에 있을 때 나오는 형광의 측정값
흡광도 F(t)는 리포좀에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시간에 대한 형광의 증가
흡광도 Fx는 리포좀에 트리톤 X-100 용액을 처리하였을 때의 형광을 나타낸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나타내는 결과는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칼세인이 유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유출률이 높을수록 세포막 파괴가 심하게 일어나는 것이며 이는 강한 항균력과 세포독성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및 WIK-10(서열번호 3) 펩타이드는 박테리아 세포막 조성인 PE/PG 리포좀에서 칼세인의 유출을 거의 일으키지 않았고,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5) 및 WIR-10(서열번호 6) 펩타이드는 약간의 칼세인을 유출시켰다.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및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는 농도 의존적으로 칼세인을 심하게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W-10(서열번호 1), KWI-10(서열번호 2) 및 WIK-10(서열번호 3) 펩타이드는 세포막을 거의 파괴하지 않고 세포내로 유입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RIW-10(서열번호 4), RWI-10(서열번호 10) 및 WIR-10(서열번호 6) 펩타이드는 세포막 통과시 약간의 세포막 파괴를 유발하고 세포내로 유입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는 항균 기작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WIK-14(서열번호 9) 및 WIKE-14(서열번호 10) 펩타이드는 직접적으로 박테리아 세포막을 파괴하여 세포질내 물질의 밖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박테리아를 죽이게 하는 항균 기작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시험예 8: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한천 침투능 측정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의 피부 침투 항균력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단한 한천 배지 확산 분석(agar diffusion assay)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한천 침투능을 측정하기 위해 그람음성균으로 에스케리시아 콜라이를 선택하고, 그람양성균으로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를 선택하여 실험하였다.
박테리아의 단일 콜로니를 새로 제조한 TSB 배지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상기 배양액의 일부를 새로운 TSB 배지로 옮겨 37℃에서 추가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OD600=0.4). 페트리 디쉬는 LB 배지에 용해된 아가(agar) 6 ㎖을 넣어 제조하였으며, 100 ㎕의 박테리아 현탁액을 접종하였다(OD600=0.4). 펩타이드 용액을 지름 5 mm의 구멍에 분주한 후 37℃에서 밤새 반응시킨 후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클리어링 존(clearing zone)을 관찰하였다. 상기 관찰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에스케리시아 콜라이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를 접종한 배지의 클리어링 존의 크기가 클수록 강한 피부 침투 항균력을 나타나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KIW-14(서열번호 7), KWI-14(서열번호 8) 및 WIK-14(서열번호 9) 펩타이드에서 다른 서열번호 1 내지 6 및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와 대조군인 멜라틴보다 우수한 침투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9: 항균 활성 펩타이드의 생물막 저해 및 제거 효과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활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 내지 10)가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에 의해 형성되는 생물막을 저해 및 제거하는 효과는 성장하는 세포가 폴리플로필렌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능력을 고정 바이오필름 분석 방법에 따라서 평가함으로써 측정되었다.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 균주들을 5 ml MHB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밤새 항온 처리하였다. 이후 상기 박테리아를 100 μl/웰 LB 액체 배지를 포함하는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1 x 107 cfu/mL로 접종하였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다음 PBS로 1회 조심스럽게 세척하고 원하는 농도의 펩타이드 용액을 생물막 형성 웰에 분주하였다. 상기 웰을 24시간 동안 37℃에서 방치한 후 형성된 임의의 생물막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웰을 200 μL/웰 dH20로 세 번 세척하여 임의의 잔존 플랑크톤성 세포를 제거하였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1% 용액을 125 μl/웰로 첨가하여 부착 세포(생물막)을 염색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항온처리하였다. 그 다음 dH2O로 판을 철저히 세척하여 잉여균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생물막의 정도를 측정하는 수단인 크리스탈 바이올렛 균을 200 μl/웰 95% 에탄올로 회수하였다. 125 μl 에탄올/크리스탈 바이올렛의 흡광도를 59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생장 저해(Growth inhibition) 결과에서 약물 감수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인 ATCC15692와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인 4007의 생장을 강하게 저해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기존 약물인 피페라실린(piperacillin)과 옥사실린(oxacillin)은 약물내성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인 4007의 생장을 거의 저해시키지 못했다. 또한, 생물막 제거(Biofilm reduction) 결과에서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강한 제거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10종 모두 우수한 생물막 저해와 제거 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액제의 제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1-2. 산제의 제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3. 주사제의 제조
K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4. 정제의 제조
K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5. 캡슐제의 제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예
2-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0.25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중량%
폴리솔베이트 80 0.4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통상의 유연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포함하여 제조한다.
2-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의 제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밀납 4.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중량%
유동파라핀 0.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통상의 영양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포함하여 제조한다.
2-3. 영양크림의 제조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0.5 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통상의 영양크림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포함하여 제조한다.
제제예 3. 식품 방부제의 제조예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0.5 중량%
데히드로초산 0.1 중량%
소르빈산칼륨 0.1 중량%
소르빈산칼슘 0.2 중량%
안식향산나트륨 0.5 중량%
안식향산칼륨 0.1 중량%
안식향산칼슘 0.5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중량%
프로피온산나트륨 0.1 중량%
프로피온산칼슘 0.1 중량%
통상의 식품 방부제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포함시켜 제조한다.
제제예 4. 약물내성균 생물막 형성 방지 또는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예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 20 중량%
계면활성제 5 중량%
에탄올 10 중량%
멸균수 잔량
통상의 소독제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포함시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생리적 염의 존재 하에서도 활성을 잃지 않고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인간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으며 항생제 내생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생체이용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감염 치료제, 식품 방부제, 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품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약물내성균이 형성하는 생물막의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SUNCHON NATIONAL UNIVERSITY <120> Alpha-helical peptide having antimicrobial actvity against drug-resistant bacteria and biofilm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130> PA-17-0129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KIW-10 <400> 1 Lys Lys Ile Trp Lys Lys Trp Ile Lys Ile 1 5 10 <210> 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KWI-10 <400> 2 Lys Lys Ile Trp Lys Lys Trp Ile Lys Ile 1 5 10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WIK-10 <400> 3 Trp Ile Lys Lys Ile Trp Lys Lys Ile Lys 1 5 10 <210> 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RIW-10 <400> 4 Arg Arg Ile Ile Arg Arg Ile Trp Arg Trp 1 5 10 <210> 5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RWI-10 <400> 5 Arg Arg Ile Trp Arg Arg Trp Ile Arg Ile 1 5 10 <210> 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WIR-10 <400> 6 Trp Ile Arg Arg Ile Trp Arg Arg Ile Arg 1 5 10 <210> 7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KIW-14 <400> 7 Lys Lys Ile Ile Lys Lys Ile Ile Lys Lys Ile Trp Lys Trp 1 5 10 <210> 8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KWI-14 <400> 8 Lys Lys Ile Trp Lys Lys Trp Ile Lys Lys Ile Ile Lys Ile 1 5 10 <210> 9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WIK-14 <400> 9 Trp Ile Lys Lys Ile Trp Lys Lys Ile Ile Lys Lys Ile Lys 1 5 10 <210> 10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ha-helical peptide WIKE-14 <400> 10 Trp Ile Lys Lys Ile Trp Lys Lys Ile Ile Lys Glu Ile Lys 1 5 10

Claims (8)

  1. 서열번호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 어느 하나와 85%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중 트립토판이 이소류신, 알라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프롤린, 발린 및 류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중 이소류신이 트립토판, 알라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발린 및 류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는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약물내성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 펩타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첨가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내성균 생물막 형성 방지 또는 억제용 조성물.
KR1020170050013A 2017-04-18 2017-04-18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8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013A KR101983679B1 (ko) 2017-04-18 2017-04-18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013A KR101983679B1 (ko) 2017-04-18 2017-04-18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258A true KR20180117258A (ko) 2018-10-29
KR101983679B1 KR101983679B1 (ko) 2019-05-31

Family

ID=6410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013A KR101983679B1 (ko) 2017-04-18 2017-04-18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3657A (zh) * 2018-11-30 2019-04-02 东北农业大学 一种非完美两亲性肽w4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93943B1 (ko) 2021-03-23 2022-05-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및 두피 케어용 바이오필름 제거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70B1 (ko) * 2019-06-17 2023-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이신 치환을 포함하는 Romo1 유래 항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5178A2 (en) * 2005-08-26 2007-03-01 New York University Rolyvalent multi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active polypeptid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30244928A1 (en) * 1998-02-18 2013-09-19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r-Ucla Medical Center Antimicrobial peptides and derived metapepti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4928A1 (en) * 1998-02-18 2013-09-19 Los Angeles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t Harbor-Ucla Medical Center Antimicrobial peptides and derived metapeptides
WO2007025178A2 (en) * 2005-08-26 2007-03-01 New York University Rolyvalent multi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active polypeptid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3657A (zh) * 2018-11-30 2019-04-02 东北农业大学 一种非完美两亲性肽w4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553657B (zh) * 2018-11-30 2021-10-19 东北农业大学 一种非完美两亲性肽w4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93943B1 (ko) 2021-03-23 2022-05-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및 두피 케어용 바이오필름 제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679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52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AU2014213503B2 (en) Compositions and uses of materials with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nd low toxicity
Zhong et al. Ultra-short lipopeptide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while alleviating antimicrobial resistance
KR101345333B1 (ko) 라이신 및 트립토판 잔기가 4번 반복된 신규한 항균 및 항진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12037372B2 (en)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snakes
Faya et al. Novel formul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enhance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US20150231199A1 (en) Peptides and their uses
AU2005288519A1 (en) Fatty acid modified polylysines as antimicrobial agents
Huo et al. Overcoming planktonic and intracellular Staphylococcus aureus-associated infection with a cell-penetrating peptide-conjugated antimicrobial peptide
CN114341160A (zh) 包含赖氨酸替换的romo1来源抗微生物肽及其变体
Shen et al. Decanoic acid modification enhance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MAP-23RI-Dec
KR101983679B1 (ko) 약물내성균과 생물막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알파-헬리컬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20026803A (ko) 다양한 미생물 및 항생제 내성균에 항생 효과를 갖는 항생 펩타이드
JP5202649B2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のリボソームタンパク質l1由来の新しい抗生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WO2014107042A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627455B1 (ko) 항균활성을 가지는 키메라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Wang et al. Multifunctional phytochemical nanoplatform for comprehensive treatment of all-stage MRSA biofilm associated infection and its accompanying inflammation
JP7235655B2 (ja) エプシロンリシン残基を含む抗菌ペプチド
KR101977800B1 (ko) 슈도모나스 속 균주 특이적 항균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Thankappan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microbial activity of self-assembled melittin nanoparticles: A comparative study with melittin peptide
US20230303638A1 (en) Peptide derived from pep27 peptide and uses thereof
US20150072922A1 (en) Rnase 7 antimicrobial peptides
Roque‐Borda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A Promising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ntimicrobials for Combating Polymicrobial Biofilms
Falanga et al. Peptides and Dendrimers: How to Combat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Pharmaceutics 2021, 13, 101
Ramôa Antimicrobial Nanoparticles to Fight Bacterial Wound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