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06A -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06A
KR20180116006A KR1020170048649A KR20170048649A KR20180116006A KR 20180116006 A KR20180116006 A KR 20180116006A KR 1020170048649 A KR1020170048649 A KR 1020170048649A KR 20170048649 A KR20170048649 A KR 20170048649A KR 20180116006 A KR20180116006 A KR 2018011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ing
buckling
core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3015B1 (en
Inventor
최성모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01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4Structures with steel columns and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e reinforcement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building, which easily couples a reinforcement strip plate and a spacing plate through only bolting work without welding work for a brace with a double angle-shaped core installed in a steel structure to increase compressive resistance performance, forms a buckling reinforcement casing for surrounding the core to reinforce a weak axis of the core, and expands a cross section of the core to increase buckling resistance performance, and a non-welding/non-buckling brac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e reinforcement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building comprises: a reinforcement strip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having a coupling hole penetrating a central part to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vertical plates at a position where a coupling hole of the core is formed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both side cores by a bolt; the spacing plate formed parallel to a horizontal plate at an end part of the vertical plate having a horizontal plate of the core to form the reinforcement strip plate therein; and a pair of buckling reinforcement casings including a main body with a flat U-shaped sectional shape and a predetermined length, a coupling part extended by outwardly and vertically bending both end parts of the main body, and a reinforcement part to which an outer end part of the coupling part is outwardly and vertically extended, so as to sur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part of the core, such that the coupling parts com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the core to be coupled with a bolt.

Description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and a brace-free / non-buckling reinforcing member for br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 구조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더블앵글 형상의 심재를 갖는 가새에 용접 작업 등이 필요 없이 용이하게 볼팅 작업만으로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압축저항 성능을 증대시키고, 심재를 둘러싸도록 좌굴 보강 케이싱을 구성하여 심재의 약축을 보강하고 심재의 단면을 확대하여 좌굴저항 성능을 증대시키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and a method of welding / unbrazing reinforcement of a brace using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welding a brace having a dou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ression resistance performance by combining the reinforcing strip plate and the spacing plate easily by only the bolting operation without the need of work and to construct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to surround the core material to reinforce the weak axis of the core material and enlarge the cro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enhanc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and a braze-free / non-buckling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기간시설물이나 플랜트 등에서는 철골구조물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기존 구조물 들을 당시 국가 설계(지진) 기준에서 요구하는 조건들에 맞도록 구조 설계가 이루어졌으나, 지속적 지진 연구를 통해 보다 강화되고 개선된 내진 설계기준은 기존 시설물에 대한 보강설계를 통한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대부분 가새는 인장력을 받도록 설계되어 세장비가 크고, 압축력을 받을 때에는 탄성좌굴을 일으켜 가새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 기간시설물이나 플랜트 등에서는 철골구조물에서는 가동중 보강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용접 작업이 가능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In general, steel structures have been widely used in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plants, and existing structures have been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national design (earthquake) standards at the time. However, The seismic design criteria is judged to be the installation of reinforcement structures through the reinforcement design of existing facilities. Most of the braces are designed to receive tensile force and have a large slenderness ratio. When they receive compressive force, they cause elastic buckling, failing to function as a brace. Also, in most of the periodical facilities and plants, since the steel structure must be reinforced dur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lding operation is not possibl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364787호 "약축보강형 비좌굴 가새"(특허문헌 1)가 있다. As a technology to be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364787 entitled " weak axis reinforcing non-buckling brace "(Patent Document 1).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철골 기둥(2)과 보(3)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을 보강하는 가새에 있어서, H형강으로 형성된 심재(10); ㄷ 자 단면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단부가 외측부로 절곡된 형상의 제 1결합부(120)로 구성된 보강재(100);가 심재(10)의 플랜지의 양방향에서 상호 결합되어 심재(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호 결합되는 보강재(100)의 제 1결합부(120)의 사이로 인입되어 단부가 심재(10)의 웨브의 중앙부의 길이방향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보강부재(200)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보강부재(200)는 단면이 판재형, T형, I형 또는 H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축보강형 비좌굴 가새"를 제안한다. In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a brace for reinforcing a steel structure made up of a steel column 2 and a beam 3 includes a core 10 formed of H-shaped steel, a main body 110 having a C- And a first joint portion 120 having both ends of the core member 10 bent to the outer side of the core member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flange of the core member 10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member 10 The auxiliary reinforcement member 200 is further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s 120 of the stiffener 100 to be mutually engaged so that the end portions thereof contac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b of the core material 10, Wherein the auxiliary reinforcement member (200) is any one of a plate member, a T-shaped member, an I-shaped member, and an H-shaped member.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가새를 이루는 심재(10)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져 가새 자체에 대한 좌굴의 가능성을 줄였지만, 심재가 H형강인 경우에만 적용되고 특히 압축에 대한 보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ique reduces the possibility of buckling of the brace itself by reinforcing the core material 10, which is a brace, but it is applied only when the core material is H-shaped steel.

특허등록 제1364787호 "약축보강형 비좌굴 가새"Patent No. 1364787 entitled "Reinforced Non-Buckling Br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앵글을 결합하여 설치되는 가새의 심재에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결합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결합으로 체결할 수 있어 전력 시설물 등 철골구조물의 가동중에도 매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압축저항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심재를 둘러싸도록 좌굴 보강 케이싱을 구성하여 심재의 약축을 보강하고 심재의 단면을 확대함으로써 단면성능을 향상시켜 압축시에도 좌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지진과 같은 반복되는 하중에서도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유도하여 철골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ce for a brace which is formed by joining a pair of angles and can fasten the reinforcing strip and the spacer plate by bo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mpres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to strengthen the weak axis of the core material by constructing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to surround the core material and to increase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material, A reinforcing member for strengthen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teel frame structure by inducing stable hysteretic behavior even under repeated loads such as earthquakes by preventing the buckling at the time of earthquake, The purpose of the method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철골 기둥과 보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서, 상부와 하부의 철골 보에 대각 방향으로 가새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이루어져 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대각 방향의 가새 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가새 플레이트의 양방향에서 수직판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결합되어 심재가 형성되는 가새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중앙부에 결합공이 통공되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심재의 결합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수직판과 수직판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볼트로 양측의 심재들과 함께 일체로 결합하는 보강 띠판과; 보강 띠판이 형성된 심재의 수평판이 형성된 수직판의 단부에 수평판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간격 플레이트와; 일정 길이를 갖는 ㄷ 자 단면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양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외측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연장되는 보강부로 형성되어 심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심재의 양방향에서 결합부가 면접하도록 하여 면접한 결합부를 볼트로 결합되는 한 쌍의 좌굴 보강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tructure comprising a steel column and a beam and having a bracing plat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upper and lower steel beams and formed of a vertical plate and a horizontal plate and having a bend cross section,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a brace in which a pair of vertical plates are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so as to be joined to each other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races are formed, A reinforcing belt plat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nd integrally joined together with the core members on both sides by bolts; A spacing plate form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te at an end of a vertical plate formed with a horizontal plate of the core material on which the reinforcing strip plate is formed; A main body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are bent and extended at right angles to the outward direc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in which an outer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at right angles, And a pair of buckling-reinforced casings which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joint portion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s, wherein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s are surrounded by the core members so as to face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core member. .

또한, 보강 띠판과 간격 플레이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wherein the reinforcement strip and the spacing plate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간격 플레이트는 일정 길이의 한 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강 띠판이 간격 플레이트의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enhanc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wherein the spacing plate is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einforcing strip plate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f the interval plates.

또한, 좌굴 보강 케이싱은 결합부가 수직판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약축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is combined with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so as to reinforce the weak axis, thereby providing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또한, 좌굴 보강 케이싱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is made of aluminum, and the buckling reinforcement casing is made of aluminum.

또한, 좌굴 보강 케이싱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2개의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로 분절되되, 분절된 2개의 분절부재의 절단면은 평면상 일측이 돌출되고 일측이 요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면에서 제1 분절부재와 제2 분절부재가 상호 치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is divided into two long first segment members and a short second segment member by forming a cut surface that is cut off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one side, and the cut surfaces of the two segment members, And the first segment member and the second segment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 cut surface so a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또한, 철골 기둥과 보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서, 상부와 하부의 철골 보에 대각 방향으로 가새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이루어져 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대각 방향의 가새 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가새 플레이트의 양방향에서 수직판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결합되어 심재가 형성되는 가새를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심재의 수직판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결합공을 통공하는 단계; (b) 심재의 결합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수직판과 수직판의 사이의 공간에, 중앙부에 결합공이 통공되는 일정 두께의 보강 띠판을 삽입하여 볼트로 양측의 심재들과 함께 일체로 결합하고, 보강 띠판이 형성된 심재의 수평판이 형성된 수직판의 단부에 수평판과 평행하게 간격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단계; (c) 일정 길이를 갖는 ㄷ 자 단면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양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외측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연장되는 보강부로 형성되는 좌굴 보강 케이싱을, 심재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한 쌍의 좌굴 보강 케이싱이 심재의 양방향에서 결합부가 면접하도록 하여 면접한 결합부를 볼트로 결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a steel structure comprising a steel column and a beam, a brace plate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upper and lower steel beams. The brace plate is formed of a vertical plate and a horizontal plate and is formed to have a b- A method for reinforcing a brace formed by joining a pair of vertical plates to each other so that the vertical plates face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a brace pla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enetrating a fitting hole in a vertical plate of the cor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A reinforcing strip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rough which a coupling hole is made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t the position where the coupling hole of the core is formed, and is integrally joined together with the core members on both sides with bolts. Forming an interval plate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plate at the end of the vertical plate in which the plate is formed; (c) a buckling-reinforced casing formed by a main body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are bent at a right angle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in which an outer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extends in a right- And a pair of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so as to surround the central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material, so that the engaging parts are interposed in both directions of the core material, thereby bonding the engaging parts to each other with the bolts. Welded / unbraced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a brace.

또한, (b) 단계에서, 보강 띠판과 간격 플레이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b), the reinforcement strip and the spac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ze-free welding / unbend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또한, (b) 단계에서, 간격 플레이트는 일정 길이의 한 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강 띠판이 간격 플레이트의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b), the spacing plates are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einforcing strip plat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f the spacing plates. Welded / unbraced reinforcement method using braces.

또한, (c) 단계에서, 좌굴 보강 케이싱은 결합부가 수직판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약축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c),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is coupled such that the engaging portions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to reinforce the weak axes. In the bracketing reinforcing casing, To provide a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또한, (c) 단계에서, 좌굴 보강 케이싱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n the step (c),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is formed of aluminum.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is improved in seismic performance.

또한, (c) 단계에서, 좌굴 보강 케이싱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2개의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로 분절되되, 분절된 2개의 분절부재의 절단면은 평면상 일측이 돌출되고 일측이 요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면에서 제1 분절부재와 제2 분절부재가 상호 치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c),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is divided into two long segment members and a short second segment member, which are formed by cutting faces bias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central portion, Wherein the cut surface of the segment member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one side of the segment member is projec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recessed so that the first segment member and the second segment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cut surface. Welded / unbraced reinforcement method using braces.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은 한 쌍의 앵글을 결합하여 설치되는 가새의 심재에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결합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결합으로 체결할 수 있어 전력 시설물 등 철골구조물의 가동중에도 매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압축저항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심재를 둘러싸도록 좌굴 보강 케이싱을 구성하여 심재의 약축을 보강하고 심재의 단면을 확대함으로써 단면성능을 향상시켜 압축시에도 좌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지진과 같은 반복되는 하중에서도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유도하여 철골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ze-free /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brace include a reinforcing strip plate and an interval plate to a core of a brace installed by joining a pair of angles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during operation of a steel structure such as a power facility, so that the compression resistance performance can be enhanced, and a buckling-reinforced casing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ore, thereby reinforcing the weak axis of the co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material is enlarged to improve the cross sectional performance, so that the buckling does not occur even during compression, which leads to a stable hysteretic behavior even under repeated loads such as an earthquake,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steel structur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철골건물이 기 설치된 가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b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3c의 E-E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좌굴 보강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brace in which a steel frame is install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BB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brazing non-welding /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eel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3A.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3B.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3C.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inforcing strip and the spac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철골건물이 기 설치된 가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brace provided with a steel frame structure,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nd B-B in FIG.

도 1은 철골 기둥(5)과 보(6)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 대각으로 기 설치되어 있는 더블앵글 형상의 심재를 갖는 가새(1)에 용접 작업 등이 필요 없이 용이하게 볼팅 작업만으로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압축저항 성능을 증대시키고, 심재를 둘러싸도록 좌굴 보강 케이싱을 구성하여 심재의 약축을 보강하고 심재의 단면을 확대하여 좌굴저항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e 1 having a double angle core material installed in a steel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a steel column 5 and a beam 6 in a diagonal fashion, By combining the spacing plates, the compression resistance performance is increased and the buckling strengthening casing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ore, thereby reinforcing the weak axis of the core and enlarg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to increase the buckling resistance performance.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은 보강방법은 기존 철골 구조물에 설치되어져 있는 더블앵글 형상의 심재를 갖는 가새(1)에 적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철골 보(6)에 대각 방향으로 가새 플레이트(40)가 형성되고, 심재(10)의 양단부가 각각 상부와 하부의 가새 플레이트(40)에 결합되어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심재(10)는 수직판(11)과 수평판(12)으로 이루어져 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새 플레이트(40)의 양방향에서 수직판(11)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위치하여 길이방향 단부에서 볼트(49)로 결합되어 더블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brace reinforcement member for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ze-free /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of the brace using the brace reinforcement member are applied to a brace (1) having a double angle core member installed in an existing steel structu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a brace plate 4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teel beams 6 in a diagonal direction,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core 10 are joined to upper and lower brace plates 40 2A and 2B, the core 10 is formed to have a bend-shaped cross-section including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horizontal plate 12, and the brace plate 40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is case, A pair of vertical plates 11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and are coupled with bolts 49 at the longitudinal ends thereof to form a double angle shape.

이와 같은 종래의 가새(1)는 철골구조물의 기둥(5)과 보(6)를 이루는 공간을 일방향 사선으로 보강하도록 가새 플레이트(40)에 의하여 양단부가 보(6)에 결합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6)의 중심에 가새 플레이트(40)를 결합하고 보(6) 중심의 가새 플레이트(40)에서 양방향 사선으로 보강하도록 보(6)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brace 1, both ends are joined to the beam 6 by a brace plate 40 so as to reinforce the space between the column 5 and the beam 6 of the steel structure with unidirectional oblique lines, But may be coupled to the beam 6 to engage the brace plate 40 at the center of the beam 6 and to reinforce it in a bi-directional oblique line at the brace plate 40 at the center of the beam 6. [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는 심재(10)의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강 띠판(30)과; 보강 띠판(30)이 하부에 직각으로 구성되는 간격 플레이트(50)와;심재(10)의 양방향에서 볼트(29)로 결합되는 한 쌍의 좌굴 보강 케이싱(20);으로 이루어진다. A reinforcement member for reinforc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inforcement strip 30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a vertical plate 11 and a vertical plate 11 of a core 10; And a pair of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joined by bolts 29 in both directions of the core material 10.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made of a steel plate.

본 발명의 가새 보강부재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a braceless welding / non-buckling reinforcing method using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도 3은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brace-free welding /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용접 작업 없이 기 설치된 더블 앵글형 가새를 보강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double-angle brace is reinforced without welding in the following manner.

먼저, 심재(10)의 수직판(11)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결합공(111)을 통공하도록 한다(a).First, the coupling hole 111 is made to pass through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core 1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이와 같은 기 설치된 가새(1)의 더블앵글 형상의 심재(10)는 도가새 플레이트(40)의 양방향에서 수직판(11)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결합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가새 플레이트(40)의 두께 때문에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사이는 일정한 이격 공간(d)이 형성되게 되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심재(10)가 상호 결합되지 않아 일체로 거동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 저항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 4, the double-angle core members 10 of the installed brace 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vertical plates 11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the riser plate 40. As shown in FIG. 4,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vertical plate 11 form a constant spacing distance d and the pair of core members 10 do not mutually engag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ression resistanc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심재(10)의 수직판(11)에 일정 간격마다 결합공(111)을 천공하여 후술하는 단계에서의 보강 띠판(3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holes 111 are drilled in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core material 1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30 can be easily engaged in a step to be described later.

이후, 심재(10)의 결합공(111)이 형성된 위치에서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사이에 보강 띠판(30)을 삽입하고, 간격 플레이트(50)를 위치시킨다(b).Thereafter, the reinforcing strip 30 is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vertical plate 11 at the position where the coupling hole 111 of the core 10 is formed, and the spacing plate 50 is positioned (b) .

도 5는 상기 도 3b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3b,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inforcing strip and the spac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강 띠판(30)은 도 7a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결합공(31)이 통공되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도 3b에서와 같이, 수직판(11) 끼리 마주보면 설치된 심재(10)의 이격 공간(d)에 끼워 수직판(11)의 결합공(111)과 보강 띠판(30)의 결합공(3)을 일치시켜, 볼트(32)로 양측의 심재(10)들과 보강 띠판(30)을 함께 일체로 결합하도록 하여, 한 쌍의 심재(10)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여 심재(10)의 압축저항 성능을 높일 수 있다.7A, the reinforcing strip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rough which the coupling hole 31 is made to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s shown in FIG. 3B, the joining hole 111 of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joining hole 3 of the reinforcing strip 3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re members 10 on both sides and the reinforcing strip 30 are joined by the bolts 32, So that the pair of core members 10 can be made to behave integrally, and the compression resistance of the core member 10 can be improved.

또한, 보강 띠판(30)이 형성된 심재(10)의 수평판(12)이 형성된 수직판(11)의 단부에는 수평판(12)과 평행하게 간격 플레이트(50)를 위치시켜 구성하도록 한다. 간격 플레이트(50)는 별도의 고정이나 접합을 하지 않고 가고정하여 후술하는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spacing plate 5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te 12 at the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on which the horizontal plate 12 of the core 10 on which the reinforcing strip 30 is formed is formed. The spacing plate 50 may be temporarily fixed without being fixed or joined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to be described later.

간격 플레이트(50)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폭은 한 쌍의 심재(10)의 수평판(12)의 합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결합시에 동일한 폭의 간격으로 유지시켜주도록 한다.The interval plate 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a width equal to the sum of the horizontal plates 12 of the pair of core members 10, So that they are maintained at an interval of a width.

이때, 도 7a에서와 같이, 보강 띠판(30)과 간격 플레이트(50)는 별도로 제작하여 각각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7b에서와 같이, 보강 띠판(30)과 간격 플레이트(5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형 단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강 띠판(30)을 이격 공간(d)에 끼워 볼트(32)로 결합하면 간격 플레이트(50)도 수직판(11)의 단부에 수평판(12)과 평행하게 형성되게 된다.7A, the reinforcing rib 30 and the spacing plate 5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7B, the reinforcing rib 30 and the spacing plate 5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Shaped section so as to have a ⊥-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gap plate 50 is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11 when the reinforcement strip 30 is engaged with the spacing space d by the bolts 32. [ And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lat plate 12.

또한, 도 7c에서와 같이, 간격 플레이트(50)를 일정 길이의 한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보강 띠판(30)이 간격 플레이트(50)의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 중앙부에서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복수의 보강 띠판(30)을 하나의 간격 플레이트(50)에 결합하여 이격 공간(d)에 한번에 복수의 보강 띠판(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간격 플레이트(50)는 가새(1)의 인장 저항 능력을 높여줄 수도 있다.7C, the spacing plate 50 may be formed of a singl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einforcing strip 3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f the interval plate 5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rips 30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d at a time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strips 30 to one spacing plate 50, 50 may increase the tensile resistance of the brace 1.

마지막으로, 심재(10)의 양방향에서 각각 좌굴 보강 케이싱(20)을 볼트(29)로 결합하도록 한다(c).Finally,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is coupled with the bolts 29 in both directions of the core 10 (c).

도 6은 상기 도 3c의 E-E선을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3C.

비좌굴 가새(1)는 철골 기둥(5)과 보(6)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을 보강하는 가새로 사용된다.A buckling brace (1) is used as a brace to reinforce a steel structure consisting of a steel column (5) and a beam (6).

일반적으로 발전소 등의 기간시설물이나 플랜트 등 철골구조물들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노출되어 있지 않은 기둥이나 보를 직접 보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가새를 이용하여 보강한다. 인장을 받는 가새가 반대로 지진시 압축력에 의해 압축을 받을 수 있으며, 플랜트 등의 구조물들은 핀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일한 횡저항요소는 가새가 된다. 이때, 발전소 등의 철골구조물은 보강을 위하여 가동을 중지하고 보강을 하기 어렵고 가동중 보강하여야 하는데, 특히 발전소 등의 기간시설물이나 플랜트 등 철골구조물들은 가동중 시설물에 위험을 줄 수 있는 용접, 절삭 등의 작업이 불가능하여 가새 및 보강재가 모두 볼트 결합을 이용하여 시공되어야 한다.Generally, it is difficult to directly reinforce unexposed columns or beams in order to reinforce steel structures such as power plants, plants, and plants. In contrast, the braces under tension can be compressed by the compressive force during the earthquake, and since the structures such as the plant are pin-connected, the only transverse resistance element is the brace. At this time, the steel structure such as the power plant is required to stop operation for reinforcement, it is difficult to reinforce it, and it should be reinforced during operation. Especially, steel structures such as power plants and other steel structures such as power plants, The brace and the stiffener must be constructed using bolted joints.

그러나 가새는 인장력을 받도록 설계되어 세장비가 크고, 압축력을 받을 때에는 탄성좌굴을 일으켜 가새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1)에서는 심재(10)를 보강하도록 좌굴 보강 케이싱(20)를 구성하여, 단면 2차 반경을 증가시켜 압축 내력을 확보하도록 보강하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brace is designed to receive a tensile force and the slenderness ratio is large, elastic buckling is generated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brace can not serve as a brace. Therefore, In the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1),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formed so as to reinforce the core (10) so that the secondary radius is increased to reinforce the compressive strength.

도 3c 및 도 7에서와 같이, 심재(10)는 수평으로 ㄱ형 단면을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에서와 같이 한 쌍의 심재(10)의 사이에 보강 띠판(30)을 삽입하여 보강을 하도록 하며, 특히 압축력 작용시 좌굴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심재(10)의 외부에 좌굴 보강 케이싱(20)를 구성하여 단면을 보강하도록 한다.3C and FIG. 7, the core 10 is formed of a pair of horizontally a-shaped cross-sections, and the reinforcement strip 3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ore members 10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n order to reduce the buckling effect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formed outside the core 10 to reinforce the cross section.

심재(10)와 좌굴 보강 케이싱(20)은 직접 결합하는 면이 없도록 비부착되어 심재(10)의 좌굴에 대해서만 보강하도록 하는데, 단지 2개의 좌굴 보강 케이싱(20)(20)의 상호결합에 의해서 좌굴 보강 케이싱(20)가 심재(10)의 외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The core member 10 and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have a surface to b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reinforce only the buckling of the core member 10. By virtue of mutual engagement of the two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And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re 10. [

좌굴 보강 케이싱(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ㄷ 자 단면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양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22)와, 결합부(22)의 외측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연장되는 보강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ncludes a main body 21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upling portion 22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 are bent outward at right angles, And a reinforcing portion 23 whose outer end portion extends at a right angle to the outward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본체(21)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는 심재(10)의 측면에서 심재(10)를 덮도록 구성하기 위해서이다.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양단부는 외부로 절곡된 형상의 결합부(22)를 구성하는 데, 이는 좌굴 보강 케이싱(20)를 심재(10)의 양 플랜지(12) 방향에서 결합하였을 때 접하는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맞닿는 면적을 넓혀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고, 절곡된 형상으로 좌굴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고, 더블 앵글 형상으로 구성되는 심재(10)의 단면 2차반경을 증가시켜 좌굴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가새의 단면내력 만큼 압축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main body 21 of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is formed in a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over the core 10 at the side of the core 10. Both ends of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constitute an outwardly bent coupling portion 22. This is because when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engaged in the direction of both flanges 12 of the core 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reinforcing casing 20 to facilitate the coupling,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uckling in the bent shape, to increase the secondary radius of the core 10 in the double angle shape, In order to do so.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pression resistance can be secured by the sectional strength of the bracing.

특히, 좌굴 보강 케이싱(20)은 심재(10)의 보강시 기둥부재의 단면의 축에서 방향성을 고려하여 결합부(22)가 수직판(11)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약축에 대한 보강을 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formed by joining the engaging portions 22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11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ality in the axis of the end face of the column member when the core member 10 is reinforced, .

따라서, 좌굴 보강 케이싱(20)은 본체(21)가 심재(10)의 수평판(12)의 양쪽에서 덮는 형태로 위치시키고, 마주보는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결합부(22)를 볼트(29)로 접합하여 마주보는 두개의 좌굴 보강 케이싱(20)를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써 심재(10)의 약축에 결합부(22) 및 보강부(23)를 위치시켜 약축에 대한 보강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buckling-reinforcing casing 20 is positio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ain body 21 covers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late 12 of the core member 10, and the engaging portion 22 of the opposing buckling- 29 so that the two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facing each other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22 and the reinforcing portion 23 are positioned on the major axis of the core 10 to reinforce the weak axis.

결합부(2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트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통공되도록 하여, 결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2개가 심재(10)의 플랜지(12)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고 결합되며, 이때, 마주보는 좌굴 보강 케이싱(20)(20)의 결합부(22)(22)가 상호 면접하게 되고, 상호 면접한 결합부(22)(22)를 볼트로 결합하게 된다.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having two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12 of the core material 10 The engaging portions 22 and 22 of the opposing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and the engaging portions 22 and 22 of the opposing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and 20 are mutually facing each other and the engaging portions 22 and 22, .

또한,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강재, FRP 등의 복합소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절곡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재질 자체를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성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and composite materials such as FRP. However, since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has many bent portions, the material itself is formed of aluminum, .

도 8은 본 발명의 좌굴 보강 케이싱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성형강판 또는 절곡강판으로 형성되어 심재(10)와 같이 길이가 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분절하여,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운반 및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is formed of a molded steel plate or a bent steel plate and is formed of a single long member such as the core member 10,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facilitated.

이때, 도 8a에서와 같이,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절단되는 절단면(27)이 형성되어 2개의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20a)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20b)로 분절하도록 하고, 심재(10)의 양측에서 2개의 좌굴 보강 케이싱(20) 결합시에 도 8b에서와 같이, 양측의 좌굴 보강 케이싱(20)(20)의 절단면(27)(27)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엇갈리도록 하여 양측 좌굴 보강 케이싱(20)(20)에서 불연속면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8A,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is formed with a cut surface 27 to be cut by being bias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and is composed of a first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er length and a second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er length, 8b, when the two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are coupled at both sides of the core member 10, the cut surfaces 27 of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s 20, 20 on both sides are segmented by the segment members 20b, (27) are not located on the same line but staggered so as not to cause a discontinuity in the side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20).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좌측으로부터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20b) 및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20a)를 차례로 배치하고, 하부의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20a)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20b)가 차례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부의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절단면(27)과 하부의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절단면(27)이 일치되지 않고 엇갈리도록 하여 결합하는 것이다.8A, the upper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includes a second segment member 20b having a shorter length from the left and a first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er length, The reinforcing casing 2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irst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 length and the second segment member 20b having a short length are arranged in order so that the cut surface 27 of the upper buckling- So that the cut surfaces 27 of the reinforcing casing 20 do not coincide but are staggered.

또한, 보강재의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20a)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20b)의 절단면(27)은 일직선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절단면(27)에서 불연속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절단면(27) 자체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굴 보강 케이싱(20)의 평면상 일측이 돌출되고 일측이 요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면(27)에서 제1 분절부재(20a)와 제2 분절부재(20b)가 상호 치합하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iscontinuous surface can be formed on the cut surface 27 when the first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cut surface 27 of the second segment member 20b having a short length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8B, the cut surface 27 itself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one side of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projected on one side of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and one side is recessed so that the first segment member 20a and the second segment member 20a So that the segment members 20b can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은 한 쌍의 앵글을 결합하여 설치되는 가새의 심재에 보강 띠판 및 간격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결합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결합으로 체결할 수 있어 전력 시설물 등 철골구조물의 가동중에도 매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압축저항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심재를 둘러싸도록 좌굴 보강 케이싱을 구성하여 심재의 약축을 보강하고 심재의 단면을 확대함으로써 단면성능을 향상시켜 압축시에도 좌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지진과 같은 반복되는 하중에서도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유도하여 철골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enhanc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eel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ze-free welding / non-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are constructed by welding a reinforcing strip and an interval plate to a core of a brace installed by connecting a pair of angl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uckling-reinforcing casing so as to surround the cor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uckling-reinforcing casing so as to surround the core materi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teel structure by inducing stable hysteretic behavior even under repeated loads such as earthquakes by preventing the buckling during compression by improving the cross sectional performance by enlarg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material. hav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가새
10 : 심재
11 : 수직판
12 : 수평판
20 : 보강재
21 : 본체
22 : 결합부
23 : 보강부
30 : 보강 띠판
31 : 결합공
40 : 가새 플레이트
50 : 간격 플레이트
5 : 기둥
6 : 보
1: Brace
10: core
11: Vertical plate
12: Horizontal plate
20: Stiffener
21:
22:
23:
30: Stiffening plate
31: Coupling ball
40: Brace plate
50:
5: Column
6: Bo

Claims (12)

철골 기둥(5)과 보(6)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서,
상부와 하부의 철골 보(6)에 대각 방향으로 가새 플레이트(40)가 형성되고, 수직판(11)과 수평판(12)으로 이루어져 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대각 방향의 가새 플레이트(40)에 결합되도록 가새 플레이트(40)의 양방향에서 수직판(11)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결합되어 심재(10)가 형성되는 가새(1)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중앙부에 결합공(31)이 통공되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심재(10)의 결합공(111)이 형성된 위치에서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볼트(32)로 양측의 심재(10)들과 함께 일체로 결합하는 보강 띠판(30)과;
보강 띠판(30)이 형성된 심재(10)의 수평판(12)이 형성된 수직판(11)의 단부에 수평판(12)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간격 플레이트(50)와;
일정 길이를 갖는 ㄷ 자 단면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양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22)와, 결합부(22)의 외측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연장되는 보강부(23)로 형성되어 심재(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심재(10)의 양방향에서 결합부(22)가 면접하도록 하여 면접한 결합부(22)(22)를 볼트(29)로 결합되는 한 쌍의 좌굴 보강 케이싱(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In a steel structure composed of a steel column 5 and a beam 6,
A brace plate 4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teel beams 6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vertical plate 11 and a horizontal plate 12 so as to have a bend cross section, 40), a pair of vertical plates (11) facing each other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the brace plate (40) to reinforce the brace (1) in which the core (10)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vertical plate 11 at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hole 111 of the core 10 is formed A reinforcing strip 30 integrally joined together with the core members 10 on both sides by bolts 32;
An interval plate 50 form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te 12 at the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on which the horizontal plate 12 of the core member 10 o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30 is formed is formed;
(2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upling portion (22)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 are bent outwar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n out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2) 22 which are formed by the extending reinforcing portion 23 and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10 so that the engaging portions 22 face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the core 10, And a pair of buckling reinforcing casings (20) coupled with the bolts (29).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enhanc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 띠판(30)과 간격 플레이트(5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ement strip (30) and the spacing plate (50) are integrally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간격 플레이트(50)는 일정 길이의 한 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강 띠판(30)이 간격 플레이트(50)의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plate 50 is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the reinforcement strips (3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f the interval plate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좌굴 보강 케이싱(20)은 결합부(22)가 수직판(11)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약축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2) so as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reinforce the weak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formed of aluminum.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made of aluminum.
청구항 1에 있어서,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절단되는 절단면(27)이 형성되어 2개의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20a)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20b)로 분절되되,
분절된 2개의 분절부재(20a)(20b)의 절단면(27)은 평면상 일측이 돌출되고 일측이 요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면(27)에서 제1 분절부재(20a)와 제2 분절부재(20b)가 상호 치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divided into a first long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 length and a second segment member 20b having a short length by forming a cut surface 27 to be cu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
The cut surface 27 of the segmented two segment members 20a and 20b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one side is projec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recessed so that the first segment member 20a and the second segment member 20b are mut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reinforc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eel frame.
철골 기둥(5)과 보(6)로 이루어지는 철골구조물에서,
상부와 하부의 철골 보(6)에 대각 방향으로 가새 플레이트(40)가 형성되고, 수직판(11)과 수평판(12)으로 이루어져 ㄴ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대각 방향의 가새 플레이트(40)에 결합되도록 가새 플레이트(40)의 양방향에서 수직판(11)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결합되어 심재(10)가 형성되는 가새(1)를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심재(10)의 수직판(11)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결합공(111)을 통공하는 단계;
(b) 심재(10)의 결합공(111)이 형성된 위치에서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사이의 공간에, 중앙부에 결합공(31)이 통공되는 일정 두께의 보강 띠판(30)을 삽입하여 볼트(32)로 양측의 심재(10)들과 함께 일체로 결합하고,
보강 띠판(30)이 형성된 심재(10)의 수평판(12)이 형성된 수직판(11)의 단부에 수평판(12)과 평행하게 간격 플레이트(50)를 구성하는 단계;
(c) 일정 길이를 갖는 ㄷ 자 단면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양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22)와, 결합부(22)의 외측단부가 외측방향 직각으로 연장되는 보강부(23)로 형성되는 좌굴 보강 케이싱(20)을, 심재(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한 쌍의 좌굴 보강 케이싱(20)이 심재(10)의 양방향에서 결합부(22)가 면접하도록 하여 면접한 결합부(22)(22)를 볼트(29)로 결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In a steel structure composed of a steel column 5 and a beam 6,
A brace plate 40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teel beams 6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vertical plate 11 and a horizontal plate 12 so as to have a bend cross section, A method for reinforcing a brace (1) in which a pair of straight plates (11)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a brace plate (40)
(a) passing the coupling hole (111) through the vertical plate (11) of the core (1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a reinforcement strip (30)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rough which a coupling hole (31)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late (11) and the vertical plate (11) at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hole (111) 30 are inserted and integrally joined with the core members 10 on both sides with the bolts 32,
Constructing an interval plate (50)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te (12) at the end of the vertical plate (11) where the horizontal plate (12) of the core (10) with the reinforcing strip (30) formed is formed;
(c) a main body 21 of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upling portion 22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 are bent and extended at right angles to the outward direction, A pair of buckling-reinforced casings 20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core 10 so as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e 10 in such a manner that the buckling-reinforced casing 20 formed of the reinforcing portion 23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22) to be engaged with the bolt (29) by inserting the bolt (29) into the bolt (29) so that the bolt (29) Non - welded / non - buckling reinforcement of braces.
청구항 7에 있어서,
(b) 단계에서,
보강 띠판(30)과 간격 플레이트(5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b)
Wherein the reinforcement strip (30) and the spacing plate (50) are integrally formed. The method of reinforc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structure using brace reinforcing members.
청구항 7에 있어서,
(b) 단계에서,
간격 플레이트(50)는 일정 길이의 한 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강 띠판(30)이 간격 플레이트(50)의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b)
The spacing plate 50 is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the reinforcement strips (30)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f the spacing plate (50).
청구항 7에 있어서,
(c) 단계에서,
좌굴 보강 케이싱(20)은 결합부(22)가 수직판(11)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약축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c)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2) so as to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11) so as to reinforce the weak axis. The brace reinforcing member Welding / non - buckling reinforcement method.
청구항 7에 있어서,
(c) 단계에서,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c)
Wherein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formed of aluminum.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made of aluminum.
청구항 7에 있어서,
(c) 단계에서,
좌굴 보강 케이싱(20)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절단되는 절단면(27)이 형성되어 2개의 길이가 긴 제1 분절부재(20a)와 길이가 짧은 제2 분절부재(20b)로 분절되되,
분절된 2개의 분절부재(20a)(20b)의 절단면(27)은 평면상 일측이 돌출되고 일측이 요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단면(27)에서 제1 분절부재(20a)와 제2 분절부재(20b)가 상호 치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c)
The buckling reinforcing casing 20 is divided into a first long segment member 20a having a long length and a second segment member 20b having a short length by forming a cut surface 27 to be cu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
The cut surface 27 of the segmented two segment members 20a and 20b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one side is projec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recessed so that the first segment member 20a and the second segment member 20b are mut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A method of reinforcing a non-welded / unbuckled brace using a brace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seismic performance of a steel frame building.
KR1020170048649A 2017-04-14 2017-04-14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KR101953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49A KR101953015B1 (en) 2017-04-14 2017-04-14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49A KR101953015B1 (en) 2017-04-14 2017-04-14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06A true KR20180116006A (en) 2018-10-24
KR101953015B1 KR101953015B1 (en) 2019-02-27

Family

ID=6413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49A KR101953015B1 (en) 2017-04-14 2017-04-14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01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87B1 (en) 2012-04-27 2014-02-20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Buckling-Restrained Braces
JP2014080827A (en) * 2012-10-18 2014-05-08 Shimizu Corp Brace damper
KR20160052973A (en) * 2014-10-29 2016-05-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Buckling-Restrained Bra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87B1 (en) 2012-04-27 2014-02-20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Buckling-Restrained Braces
JP2014080827A (en) * 2012-10-18 2014-05-08 Shimizu Corp Brace damper
KR20160052973A (en) * 2014-10-29 2016-05-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Buckling-Restrained Br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015B1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548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JP4044483B2 (en) Bonding structure of structures using gusset plates and buildings
KR101548608B1 (en) Steel frame girder having connection plate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steel frame girder and column
KR101364922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KR101403178B1 (en) Segmaental shaped buckling-restrained braces for steel structure
KR101920417B1 (en) Seismic retrofit structure
KR101403984B1 (en)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JP2002070326A (en) Reinforced structure for steel frame structural material
JP4710067B2 (en) Beam-column joint structure
JP5635734B2 (en) Beam-column joints and reinforcement hardware for beam-column joints
KR101879034B1 (en) Bracket and joint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using same
KR101953015B1 (en)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JP6359288B2 (en) Joint structure of buckling-restrained brace
KR101403142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for steel structure
KR101953016B1 (en) Buckling-Restrained Member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using thereof
KR102138917B1 (en) A earthquake 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installed on the outside or interior face of pillars and beams using a steel flame
JP5274735B1 (en) Steel frame opening reinforcement structure
JP6268998B2 (en) End structure of steel member
JPH0711156B2 (en) Method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steel beams
KR102641227B1 (en) Steel Reinforced Concrete Clolumn
KR102270444B1 (en) Steel Form Beam
JPH0918907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square tubular steel column to wide flange beam
JP6886830B2 (en) Buckling restraint brace,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lumn-beam connection, and building
KR20030048301A (en) Frame for construction
JP7291001B2 (en) Brac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