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84B1 -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 Google Patents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84B1
KR101403984B1 KR1020120086582A KR20120086582A KR101403984B1 KR 101403984 B1 KR101403984 B1 KR 101403984B1 KR 1020120086582 A KR1020120086582 A KR 1020120086582A KR 20120086582 A KR20120086582 A KR 20120086582A KR 101403984 B1 KR101403984 B1 KR 10140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flange
column member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0394A (en
Inventor
채흥석
문영민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filed Critical (주) 에스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8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984B1/en
Publication of KR2014002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3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방향에서 철골보의 접합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9
자형 기둥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20
자형 기둥부재 구조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관통공(10)이 형성된 사각의 관형태로 구성된 기둥본체(A)와, 상기 기둥본체(A)의 전후면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B)를 더 포함하므로, 일반적인 H형강에 비해 강도가 향상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기둥부재에 비해서 강도가 높으면서도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철골보의 접합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ar member having a laterally extending portion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joined with steel beams in all directions and can resist an external force in all directions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9
Shaped column member.
With the lateral extens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112014000770755-pat00020
The columnar body structure includes a columnar body A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in which a longitudinal through hole 10 is formed and an extending portion B extending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columnar body A ), It has an advantage that strength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general H-shaped steel. In addition,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lumn member, it has a high strength and a low production cost, can be easily and easily bonded to steel bars in all directions, and can resist an external force in all directions .

Description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ㅍ자형 기둥부재 구조{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shaped column member structure having a lateral extending portion,

본 발명은 기둥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방향에서 철골보의 접합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1
자형 기둥부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ar member having a laterally extending portion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joined with steel beams in all directions and can resist an external force in all directions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1
Shaped column member structure.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수직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기둥부재는 콘크리트 기둥부재 또는 철골기둥부재가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철골기둥 부재는 H형강 기둥, ㅁ자 각형강관 기둥 및 원형 또는 각형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구조로서 콘크리트와 철의 재료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조합한 기둥시스템인 CFT(Concrete Filled Steel Tube) 기둥이 사용되어진다.
In general, a concrete column member or a steel column member is used as a column member that transmits based on the vertical load of the building. Such a conventional steel column member is a structure filled with concrete in an H-shaped steel column, a rectangular steel pipe column, and a circular or rectangular steel pipe, and is a column system that efficiently combine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and steel. 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Columns are used.

그러나, 종래의 H형강 기둥은 강축과 약축이 존재하므로 좌굴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좌굴로 인해서 허용 압축력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모든 외력에 저항해야만 하므로, 결국 강재량이 많아져서 공사비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shaped steel column has a strong axis and a weak axis,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vulnerable to buckling and has a problem that the allowable compressive force is reduced due to buckling, and the steel has to withstand all external forces, There are disadvantages.

한편 종래의 CFT 기둥인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은 강성이 크며, 압축내력이 크다는 장점이 있고, 축하중은 내부의 콘크리트가 저항하므로 강재량이 적게 들어 공사비가 저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CFT 기둥은 제작의 특수성 때문에 제작비가 과다하며 접합부의 시공이 어렵다는 원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s a conventional CFT column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high rigidity and a great compressive strength. Also, since the inner concrete is resistant to the axial load, the amount of steel is small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FT colum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to manufacture due to the specificity of fabrication, an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join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둥부재들이 가지고 있는 형태적인 문제점 및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철골보의 접합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기둥부재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and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lumn members as described above, but also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perform the joining of the steel bars in all directions and to resist the external forces in all directions There is still a need for a new structure of pillar member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도가 높으면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철골보의 접합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2
자형 기둥부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plate which can be easily and easily joined with steel bars in all directions, With a laterally extending portion of a new construction that can withstand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2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umnar member struc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수직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기둥부재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0)이 형성된 사각의 관형태로 구성된 기둥본체(A)와, 상기 기둥본체(A)의 전후면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연장부를 구비한 기둥부재 구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the column member which transmits the vertical load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10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olumn main body (A) constituted by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an extending portion (B) extending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lumn main body (A)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재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사이에 플랜지(20)와 교차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웨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member comprises a pair of flanges 2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s 20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intersect the flange 20 between the flanges 20, And a pair of webs (30)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2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재는 한 쌍의 H형강(40)의 플랜지(20)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둥부재는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와 교차되는 웨브(30)를 포함하는 한 쌍의 T자형강(5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member is constituted by joining the flanges 20 of a pair of H-shaped steel rods 40 to each other, and the column member is composed of the flange 20 and the flange 20 And a pair of T-shaped steels (50) including a web (30) intersecting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기둥본체(A)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외측으로 밴딩된 한 쌍의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웨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main body A includes a pair of flanges 20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ing both ends bent outwardly, and a pair of flanges 20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flanges 20, And a pair of webs (30) fixed to both ends of the base plate (2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20) 또는 웨브(30)의 양측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플랜지(20) 또는 웨브(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oth sides of the flange 20 or web 30 are bent inward or outward so a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lange 20 or of the web 3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본체(A)의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와 웨브(30)에 고정되는 보강부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둥본체(A)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스터드(70)가 구비되어, 기둥본체(A) 내부의 관통공(10)에 충전된 콘크리트(C)가 상기 스터드(70)를 통해 기둥본체(A)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body A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60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A plurality of studs 70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main body A so that the concrete C filled in the through hole 10 in the column main body A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column main body A through the stud 7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3
자형 기둥부재 구조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관통공(10)이 형성된 사각의 관형태로 구성된 기둥본체(A)와, 상기 기둥본체(A)의 전후면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B)를 더 포함하므로, 일반적인 H형강에 비해 강도가 향상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기둥부재에 비해서 강도가 높으면서도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철골보의 접합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질 수 있고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ith the lateral extens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3
The columnar body structure includes a columnar body A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in which a longitudinal through hole 10 is formed and an extending portion B extending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columnar body A ), It has an advantage that strength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general H-shaped steel. In addition,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lumn member, it has a high strength and a low production cost, can be easily and easily bonded to steel bars in all directions, and can resist an external force in all directions .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재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lum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um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umn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umn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lum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FIG. 9 are views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colum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olum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4
자형 기둥부재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기둥부재는 건축물의 내외부에 구비되어 건축물의 수직하중을 기초로 전달하게 된다.
1 and 2 show a sid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4
The column member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is transmitted based on the vertical load of the building.

그리고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재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0)이 형성된 사각의 관형태로 구성된 기둥본체(A)와, 상기 기둥본체(A)의 전후면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B)를 갖는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5
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member includes a column main body A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5
It is preferred that it is formed in a letter shape.

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사이에 플랜지(20)와 교차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웨브(30)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member comprises a pair of flanges 20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flange 20 interposed between the flanges 20, as shown in Fig. 2 And a pair of webs 30, both ends of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20, are weld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플랜지(20)부의 폭은 상기 웨브(30)의 간격에 비해 넓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웨브(30)의 양단에 상기 플랜지(20)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웨브(30)와 플랜지(20)부를 상호 용접하여 도 1 및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flange 20 is larger than the interval of the webs 30. 2A and 2B, the web 30 and the flange 20 are welded to each other while the flange 20 is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web 30, 2 (b), the column member can be manufactured.

이와 같이 구성된 기둥부재는 기둥본체(A)와 상기 기둥본체(A)의 양측에서 연장된 연장부(B)로 구성되어, 통상적인 종래의 H형강(40)에 비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
The columnar member thus constituted is constituted by the column main body A and the extending portion B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lumn main body A, so that the structural strength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H-shaped steel 40.

따라서, 웨브(30)와 플랜지(20)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지 않더라도 강도가 향상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하여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기둥본체(A) 내부의 관통공(10)에 콘크리트(C)를 충전하여 간단하게 강도를 더욱 강하게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strength is improve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web 30 and the flange 20 is not made thick,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can be minimized, thereby facilitating transportation. Particular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rough hole 10 in the column main body A can be filled with the concrete C so that the strength can be more easily reinforced.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기둥부재는 한 쌍의 H형강(40)을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3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member may be constituted by welding a pair of H-shaped beams 40 to each other.

이때 상기 H형강(40)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30)의 양측에 평행한 플랜지(20)가 구비된 것으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0)가 상호 용접결합되어 기둥본체(A)와 연장부(B)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결합방식(예를 들어, 볼트체결 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둥부재는 일반적으로 대량생산되는 H형강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A, the H-shaped section 40 is provided with flanges 20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web 30, and as shown in FIG. 3B, the flanges 20 are welded to each other Although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to have the pillar body A and the extension B in combination, it is contemplated that the use of other coupling schemes (e.g., bolting, etc.)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It is not. Since the column member thus constructed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using H-shaped steel produced in mass produc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 T자형강(50)을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Next, FIG. 4 show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shaped steels 50 are welded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T자형강(50)은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와 교차되는 웨브(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웨브(30)는 플랜지(20)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용접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T자형강(50)이 상호 180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한 후, 각각의 T자형강(50)을 상호 용접함으로써 기둥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The T-shaped steel 50 is composed of a flange 20 and a web 30 which intersects with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is welded at a position biased at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flange 20 . Accordingly, after the T-shaped steel rods 50 are rotated 180 degrees from each other, the respective T-shaped steels 50 are welded to each other to produce a pillar member.

이때,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와 웨브(30)에 고정되는 보강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보강부재(60)는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T자형강(50)의 제작시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와 웨브(30)에 용접된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umn member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60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The reinforcing member 60 has a long bar shape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ember 60 are welded 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when the T-shaped steel 50 is manufactured.

이와 같이 구성된 기둥부재는 플랜지(20)와 웨브(30)를 먼저 용접결하여 T자형강(50)을 먼저 제작한 후, 한 쌍의 T자형강(50)을 상호 용접결합하여 제작되므로, 웨브(30)의 양측에 플랜지(20)를 용접결합하여야 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둥본체(A)의 내부에는 양단이 플랜지(20)와 웨브(30)에 연결되는 보강부재(60)가 구비되므로,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lumn member thus constructed is fabricated by first welding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to weld the T-shaped steel 50 first and welding the pair of T-shaped steel 50 to each other.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lange 20 is welded to both sides of the flange 20.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6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olumn body A, the strength can be further improved.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플랜지(20)부는 단순한 평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0)부의 양측을 외측으로 구부리고(bending), 상기 웨브(30)를 플랜지(20)의 양측에 용접결합 함으로써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본체(A) 내부의 관통공(10)에는 콘크리트(C)가 충진되어지며, 상기 기둥본체(A)의 내부에는 양단이 플랜지(20)와 웨브(30)에 연결되는 보강부재(6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질 수도 있다.
5, the flange 20 is bended outwardly, so that the web 30 can be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nge 20.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illar member by welding to both sides of the flange 2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10 in the column main body A is filled with concrete C, and both ends of the column main body A are inserted in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The reinforcing member 6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0)와 웨브(30)의 양측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벤딩하여 플랜지(20) 또는 웨브(3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본체(A)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20)와, 양단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부러진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웨브(30)가 포함되어지는데, 상기 플랜지부(20)의 폭이 상기 웨브(30)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도록 상기 구부러진 한쌍의 플랜지(20)의 양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어진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본체(A) 내부의 관통공(10)에는 콘크리트(C)가 충진되어지며, 상기 기둥본체(A)의 내부에는 양단이 플랜지(20)와 웨브(30)에 연결되는 보강부재(6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질 수도 있다.
6 and 7,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may be bent inward or outwar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lange 20 or the web 30 . Therefore, the column main body 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langes 2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bent at both end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outward or inward, and a pair of flanges 20 whose both ends are bent inward or outward to face each other A pair of webs 30 arranged in parallel are included so that the width of the flange 20 is made wider than the spacing of the webs 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10 in the column main body A is filled with concrete C, and both ends of the column main body A are inserted in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The reinforcing member 6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기둥본체(A)의 관통공(10) 내부에는 다수개의 스터드(70)가 구비된다. 상기 스터드(70)는 별도의 볼트 또는 핀 등을 용접결합하여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8 and 9 illustrate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rough hole 10 of the column main body A, a plurality of studs 70 are provided. The stud 70 may be formed by welding another bolt or a pin.

이와 같이 구성된 기둥부재는 상기 관통공(10)의 내부에 콘크리트(C)를 충진하면 상기 스터드(70)가 콘크리트(C)에 매입되어, 경화된 콘크리트(C)와 기둥본체(A)의 관통공(10) 내주면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기둥부재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concrete member C is filled in the through hole 10, the stud 7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C, and the hardened concrete C passes through the column main body A, The strength of the column member can be further improved by mak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10 firmly engaged.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터드(70)는 단순히 관통공(10)의 내주면에 볼트 또는 핀을 용접결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H형강(40)의 사이에 덕트형태의 부재를 용접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ud 70 is simply weld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 by bolts or fins. However, as shown in FIG. 10, Welded to each other.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즉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철골기둥부재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를 동일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철골보부재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며, 이는 균등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s and effec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cation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claims. That is, although the steel column member is mainly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applied to a steel frame member having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nd this i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A : 기둥본체 B : 연장부
C : 콘크리트 10 : 관통공
20 : 플랜지 30 : 웨브
40 : H형강 50 : T자형강
60 : 보강부재 70 : 스터드
A: Column body B: Extension
C: Concrete 10: Through hole
20: flange 30: web
40: H-beam steel 50: T-shaped steel
60: reinforcing member 70: stud

Claims (8)

건축물의 수직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기둥부재로서, 상기 기둥부재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0)이 형성된 사각의 관형태로 구성된 기둥본체(A)와, 상기 기둥본체(A)의 전후면 양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연장부(B)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본체(A) 내부의 관통공(10)에는 콘크리트(C)가 충진되어지는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6
자 형상의 기둥부재에 있어서,
상기 기둥본체(A)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부러진 한 쌍의 플랜지(20)와, 양단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부러지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웨브(30)를 포함하는데, 상기 플랜지부(20)의 폭이 상기 웨브(30)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도록 상기 한쌍의 웨브(30)는 상기 구부러진 한쌍의 플랜지(20)의 양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7
자형 기둥부재 구조
A column member for transmitting a vertical load of a building on the basis of a vertical load, the column member comprising: a column main body (A)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10) And a through hole (10) inside the column main body (A) is filled with concrete (C)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6
In the prismatic column member,
The column main body A includes a pair of flanges 20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whose both ends are bent outwardly or inwardly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langes 20 which are bent inwardly or outwardly to face each other, The pair of webs 30 are formed from both ends of the bent pair of flanges 20 so that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20 is formed wider than the interval of the web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 RTI ID = 0.0 >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7
Shaped column member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본체(A)의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플랜지(20)와 웨브(30)에 각각 결합되어지는 보강부재(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연장부가 구비된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8
자형 기둥부재 구조
3.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ember (60) at both ends of which is coupled to the flange (20) and the web (30) The
Figure 112014000770755-pat00018
Shaped column member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86582A 2012-08-08 2012-08-08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KR101403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82A KR101403984B1 (en) 2012-08-08 2012-08-08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82A KR101403984B1 (en) 2012-08-08 2012-08-08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394A KR20140020394A (en) 2014-02-19
KR101403984B1 true KR101403984B1 (en) 2014-06-20

Family

ID=5026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582A KR101403984B1 (en) 2012-08-08 2012-08-08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9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66B1 (en) * 2020-03-04 2020-11-27 (주)쓰리디엔지니어링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of composite columns using two H beams and composite beams using two H bea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09A1 (en) * 2016-10-14 2018-04-19 원병천 Hollow h-beam and structure employing same
KR102131488B1 (en) * 2017-06-29 2020-07-07 주식회사 포스코 Hollow Structure, and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n and Beam
KR102296057B1 (en) * 2020-11-29 2021-09-01 ㈜쓰리디엔지니어링 Composite column using two h-beams
KR102569266B1 (en) * 2021-06-25 2023-08-23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Assembly type concrete filled steel column
KR102571669B1 (en) * 2022-10-07 2023-08-29 (주)아이에스스틸 A steel box member with a web of thin steel plate using an anti-buckling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015A (en) * 1997-07-21 1999-02-25 김중식 Structural members with metal shells reinforced by reinforcement plates
KR100235358B1 (en) * 1997-08-21 1999-12-15 김세중 A conjunctive construction part for joining a concrete column and iron beam of a build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684931B1 (en) * 2006-02-28 2007-02-22 염경수 Closed type inflected steel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100860478B1 (en) * 2007-04-16 2008-09-26 주식회사 동성진흥 Beam of steel frame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015A (en) * 1997-07-21 1999-02-25 김중식 Structural members with metal shells reinforced by reinforcement plates
KR100235358B1 (en) * 1997-08-21 1999-12-15 김세중 A conjunctive construction part for joining a concrete column and iron beam of a build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684931B1 (en) * 2006-02-28 2007-02-22 염경수 Closed type inflected steel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KR100860478B1 (en) * 2007-04-16 2008-09-26 주식회사 동성진흥 Beam of steel frame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66B1 (en) * 2020-03-04 2020-11-27 (주)쓰리디엔지니어링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of composite columns using two H beams and composite beams using two H b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394A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984B1 (en) A ㅍ-shaped column structure with lateral extension part
KR101118608B1 (en) Phi truss structure
US8424252B2 (en) Buckling restrained brace
KR101364922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KR101622522B1 (en)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s using H-beam and bending iron plate
KR101364787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TWI495776B (en) Joint Structur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one Beam
JP4879827B2 (en) Buckling restraint brace
JP5231836B2 (en) Connection structure
JP5785724B2 (en) Steel frame joint structure
JP2018031143A (en) Steel member
JP6447777B2 (en)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JP5486430B2 (en) Strength frame structure
KR101879034B1 (en) Bracket and joint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using same
JP5268470B2 (en) How to lift a rebar basket
KR101373262B1 (en) Connecting plate crossing type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JP6013028B2 (en) Outer shell structure
JP2019210781A (en) Truss beam
JP2018104888A (en) Arrangeme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1953016B1 (en) Buckling-Restrained Member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using thereof
KR101953015B1 (en) Brace Reinforcing member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non-buckling using thereof
JP6186640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2385923B1 (en) The joint structure of triangular column with moment connection
KR102270444B1 (en) Steel Form Beam
CN115787852B (en) Rigid connection node connection structure of cross support column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