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819A -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스마트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스마트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819A
KR20180115819A KR1020167028165A KR20167028165A KR20180115819A KR 20180115819 A KR20180115819 A KR 20180115819A KR 1020167028165 A KR1020167028165 A KR 1020167028165A KR 20167028165 A KR20167028165 A KR 20167028165A KR 20180115819 A KR20180115819 A KR 20180115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fc chip
information output
output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 펭
빙 자오
시아오추안 젱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인 단계와,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C 정보 전송 방식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해당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610266841.6이며 출원일이 2016년4월26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모바일 결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 스마트 단말기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 결제 기능을 집적화하는 것이 점점 발전 추세로 보이고 있으며. 갈수록 많은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NFC결제를 지원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NFC결제의 보안성 확보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술에 있어서, NFC결제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스마트 단말기가 POS기를 검출하기만 하면, 단말기는 NFC기능에 바인딩 된 은행카드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고, 사용자가 은행카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POS기는 카드 결제를 완성한다. 이러한 방식은 보안성에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 및 비밀번호를 분실하기만 하면, 자금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은행카드 결제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해당 예시로부터 NFC 기능을 사용할 때, 정보전송(예를 들어, POS기와 휴대폰이 NFC 결제를 진행)의 보안성이 비교적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련기술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보 전송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정보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임;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 출력 기능을 중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대기 정보는 결제 정보이고,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NFC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이며,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은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를 판독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에뮬레이션 카드 장치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신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 정보를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하며, 두 신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신분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분 정보는 지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 처리는 안전한 환경 TEE에서 실행되며, 상기 TEE는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정보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지시 수신 모듈과,-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임;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처리 모듈과,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 출력 기능을 중지하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대기 정보는 결제 정보이고,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NFC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이며,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은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를 판독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에뮬레이션 카드장치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처리 모듈이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할 때,
사용자 신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신분 정보를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하며, 두 신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가 신분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분 정보는 지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 처리는 안전한 실행 환경 TEE에서 실행되며, 상기 TEE는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이며,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을 실행하며,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제공한 기술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 신분 인증에 통과된 후,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 및 정보 사용 상태를 인에이블 상태로 하여 스마트 단말기와 정보 판독 장치가 서로의 존재를 감지하였다 하더라도, 마음대로 NFC 정보를 전송할 수 없고 사용자 신분 인증을 거쳐야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NFC 정보 전송 방식의 보안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NFC 정보 전송을 나타내는 응용 장면이다.
도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장면 중의 NFC 정보 전송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출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현재 NFC 기능은 발전의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갈수록 많은 스마트 단말기(예를 들면, 휴대폰)는 NFC 기술에 의한 정보 전송 기능을 중요시하고 지원하기 시작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응용이 NFC 결제이다, 예를 들어, apple pay가 바로 NFC 방식으로 결제하는 것이며, POS기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이에서 NFC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휴대폰에 바인딩된 은행카드의 결제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NFC 방식으로 정보 전송을 진행할 때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1에는 NFC결제를 예로 들어 NFC 정보 전송의 응용 장면을 예시하고 있다. 스마트 단말기(11)에는 전송 대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응용 장면에서 결제 대기 중인 은행카드의 관련 정보가 전송 대기 정보일 수 있으며, 정보 판독 장치(12)는 스마트 단말기(11)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어 POS기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11)는 NFC 칩(13) 및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C 칩(13)은 정보 판독 장치(12)와 NFC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는 NFC 칩(13)이 정보 판독 장치(12)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전송을 하기 전에 NFC 칩(13)의 정보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때 NFC 칩(13)은 NFC 기술을 통하여 정보 판독 장치(12)로 정보 전송을 진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전송 대기 정보를 사용 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NFC 칩(1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 불가 상태는 NFC 칩(13)이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 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정보가 전송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는 도2에 도시한 방법을 실행하여 어떤 조건하에서만 NFC 칩(13)이 정보 판독 장치(12)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정보 전송의 보안성을 최대한 확보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01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는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정보 판독 장치(12)에 가까이 하면, NFC 칩(13)은 정보 판독 장치(12)를 감지할 수 있으며, 현재 한 장치가 정보 판독을 청구하고 있음을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에 통지한다.
202 단계: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는 201 단계의 지시를 수신한 후 사용자 신분 인증 처리를 실행하기 시작한다. 결제 응용 장면을 예로 들어, 휴대폰 주인이 아닌 절도범이 상기 휴대폰으로 NFC결제를 진행하려 할 때,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는 상기 절도범에 대해 신분 인증을 실행할 수 있어, NFC 결제의 보안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자금 보안을 확보한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 신분 인증을 실행할 때, 기준으로 되는 신분 정보는 지문 등 생리적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 신분을 유일하게 표시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정보는 비교적 안전한 방식으로 미리 스마트 단말기에 입력 저장되어 본 단계의 신분 인증에 적용될 수 있다.
203 단계: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02단계 중의 신분 인증에 통과되면, 정보 출력 제어 장치(14)는 NFC 칩을 인에이블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NFC 칩은 NFC방식으로 정보 판독 장치(12)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전송 제어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기 및 정보 판독 장치(12)가 서로 상대방의 존재를 감지하더라도, 마음대로 NFC 정보 전송을 진행할 수 없고, 사용자 신분 인증을 거쳐야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NFC 칩의 정보 전송 기능과 정보의 사용 가능한 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신분 인증에 통과된 후에 대응하는 기능을 인에이블 시켜, NFC 정보 전송 방식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 NFC 결제 응용 장면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정보 전송 제어 방법의 응용을 설명한다.
도3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정보 판독 장치인 POS기를 예로 들면, 스마트 단말기(11)의 NFC 칩(13)은 NFC 컨트롤러 칩(131, NFC Controller, NFCC) 및 임베디드 보안 칩(132, ESE, 즉 NFC 칩에 삽입된 보안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C 결제 응용에서 결제 정보는 결제에 사용되는 은행카드 정보일 수 있고, 모두 ESE(13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ESE(132)는 NFCC(131)에 연결되고, NFCC(131)는 POS기(12)와 NFC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NFCC(131)는 일반적으로 카드 에뮬레이션, P2P(Peer To Peer), 카드 판독기의 세 가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결제 응용 장면에서는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적용한다. 상기 세 가지 기능 각각은 아래와 같다.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은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로 하여금 판독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에뮬레이션 카드 장치로 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모드는 사실상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을 적용한 IC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백화점 결제 카드, 교통 카드, 출입 통제 카드, 승차권, 입장권 등 많은 IC 카드(신용카드 포함)를 대체하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P2P 모드: 이 모드는 적외선 통신과 유사하며 데이터 교환에 사용될 수 있으나 전송 거리가 짧을 뿐이고 전송 확립 속도(transmission creating speed)가 비교적 빠르고, 전송 속도도 빠르며, 전력 소모가 낮다(블루투스와 유사). NFC 기능을 구비한 2개 장비를 무선으로 연결하면 예를 들어 음악 다운로드, 이미지 교환 또는 장비 주소록 동기화 등 P2P 전송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NFC를 통하여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및 휴대폰 등 복수 개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판독기 모드(Reader/writer mode): 예를 들어, 포스터 또는 전시 정보 전자 태그에서 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비접촉 판독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는 NFC 휴대폰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진행할 수 있고, 기업내 환경에서의 파일공유, 또는 멀티 플레이어 게임 응용 등에 많은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NFCC(131)가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지원하고 또한 ESE(132) 중의 은행카드가 액티브 상태 즉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기만 하면 NFCC(131)는 곧 NFC 통신 방식으로 ESE(132) 중의 은행카드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여 NFC 결제를 완성할 수 있다.
도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제어 장치(14)는 지시 수신 모듈(141), 인증 처리 모듈(142) 및 상태 제어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이 세 개의 모듈은 논리적으로 구분한 일 예시예에 불과한 것이지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2개 모듈로 구분할 수 있고, 또는 그 중의 일부 모듈이 동일한 응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수신 모듈(141) 및 상태 제어 모듈(143)이 하나의 응용에 속하고, 인증 처리 모듈(142)은 다른 응용에 속할 수 있다. 또는 3개 모듈이 모두 하나의 응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증 처리 모듈(142)을 안전한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에 설정하여 인증의 보안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TEE도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에 위치할 수 있다.
도3의 응용 장면 및 도4의 흐름도를 결합하여 NFC결제 장면에서 실행되는 정보 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401 단계: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NFC 칩이 정보 출력 기능을 정지하도록 설정한다.
스마트 단말기를 예로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 휴대폰이 작동되었을 때, 정보 전송 제어 장치(14) 중의 상태 제어 모듈(143)은 NFCC(131)의 정보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NFCC(131)의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정지 또는 지원 불가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때 NFCC는 P2P 기능 및 카드 판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NFC 칩(13)에 저장된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ESE(13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 작동 시,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 및 저장된 정보를 무효 상태로 제어하는 방식은 안전하지 않은 정보 출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사후의 정보 출력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했을 때만 NFC 칩의 정보 출력을 허용하여 정보 출력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402단계: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POS기에 가까이 할 때, 휴대폰 중의 NFCC(131)는 POS기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고, 정보 전송 제어 장치(14) 중의 지시 수신 모듈(141)에 정보 출력 지시를 송신하여 이때 POS기가 NFC 칩 중의 정보 예를 들어 NFC결제 장면에서 ESE(132)에 저장된 은행카드 정보를 취득하려 한다는 것을 통지한다.
403단계: 사용자 신분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지시 수신 모듈(141)은 TEE 환경 중의 인증 처리 모듈(142)을 호출하여 상기 인증 처리 모듈(142)이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신분 정보가 지문인 것을 예로 들면, 인증 처리 모듈(142)은 사용자에게 지문 검증을 제시하고 후속 단계의 지문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TEE환경에서 지문을 검증하면, 인증의 보안성을 더 한층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처리 모듈(142)은 다른 모듈이 지문 검증을 실행하도록 명령하고, 당해 다른 모듈의 지문 검증 결과를 취득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404단계: 상기 신분 정보를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하며, 두 신분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 신분 인증이 통과되었다고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판독한 사용자 신분 정보를 사전에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분 정보는 진실을 확보할 수 있는 사용자 지문 예를 들어, 휴대폰 주인이 사전에 안전한 방식으로 휴대폰에 입력한 지문일 수 있다.
본 단계의 인증 결과가 통과되지 못하면, 다시 말해 사용자 지문과 기준 지문이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제시함과 아울러 당해 사용자가 NFC결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거절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인증 결과가 통과되면, 405 단계를 계속하여 실행한다.
405단계: 상기 출력 대기 정보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문 검증에 통과된 것을 확정하면 인증 처리 모듈은ESE(132) 중의 은행카드를 액티브시켜, 은행카드가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처리 모듈(142)은 또한 지문 검증 결과를 상태 제어 모듈(143)에 통지할 수도 있다.
406단계: 신분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될 때,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시킨다.
예를 들어, 상태 제어 모듈(143)이 사용자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될 때, NFCC(131)가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NFCC(131)는 이미 카드 에뮬레이션을 서포트할 수 있고, ESE(132) 중의 은행카드도 액티브 상태에 있어, NFC 칩은 POS기에 정보를 출력할 능력을 이미 구비하게 된다.
407단계: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수신하고 결제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POS기에 은행카드에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POS기와 NFC 칩 사이에 정보 전송을 진행하여 NFC결제를 완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전송 제어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와 정보 판독 장치(12)가 서로 상대방의 존재를 감지하였다 하더라도, 마음대로 NFC 정보 전송을 진행할 수 없고 사용자 신분에 대한 인증을 거쳐야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FC 칩의 정보 전송 기능 및 정보의 사용성을 제어할 수 있어, 인증에 통과된 후 상기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기에 NFC 정보 전송 방식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더 향상시키고, 신분 인증을 TEE 중에서 진행하여 보안성을 더 한층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3의 사례에 결합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상기 정보 출력 제어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의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상세한 작동 원리는 방법 실시예의 대응되는 부분을 결합하여 참조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출력 제어장치는, 지시 수신 모듈(141), 인증 처리 모듈(142) 및 상태 제어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시 수신 모듈(141)은,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이다.
인증 처리 모듈(142)은,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태 제어 모듈(143)은,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제어 모듈(143)은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 출력 기능을 중지하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대기 정보는 결제정보이고,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NFC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이며,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은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를 판독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에뮬레이션 카드장치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처리 모듈(142)이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을 실행할 때,
사용자 신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신분 정보를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하며, 두 신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신분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분 정보는 지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분 인증의 보안성을 더 강화하기 위해, 상기 인증 처리 모듈은 안전한 실행 환경 TEE에 위치하고, 상기 TEE는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에 위치한다.
도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6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6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 캐스팅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헬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600)는 처리 유닛(602), 메모리(604), 전원 유닛(606), 멀티미디어 유닛(608), 오디오 유닛(6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612), 센서 유닛(614) 및 통신 유닛(616) 중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602)은 일반적으로 장치(600)의 전체 조작,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 유닛(602)은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20)를 구비하여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602)은 기타 유닛과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하도록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602)은 멀티미디어 유닛(608)과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장치(600)의 조작을 서포트 하기 위하여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600)에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방법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어,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ROM(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604)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이며,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며,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전원 유닛(606)은 장치(600)의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6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데 관련된 기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608)은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 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유닛(608)은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가변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유닛(6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유닛(610)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6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유닛(616)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유닛(6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612)는 처리 유닛(6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를 위해 각 방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의 온/오프 상태, 유닛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은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및 작은 키패드일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 또는 장치(600)의 유닛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600) 사이의 접촉여부, 장치(6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6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근처의 물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이미지 형성 응용에 이용하기 위한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614)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616)은 장치(6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편리하게 진행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장치(6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유닛(616)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외부의 브로드캐스팅 관리 시스템에서의 브로드캐스팅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616)은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RFID기술, IrDA기술, 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600)는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명령어를 포함한 메모리(6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어는 장치(600)의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출력 명령어를 수신하며, 상기 NFC 칩의 정보출력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대기정보는 적용불가 상태인 단계와, 금번 정보출력을 트리거 한 사용자 신분인증을 실행하는 단계와, 신분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었을 경우, 상기 NFC 칩의 정보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대기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임;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 출력 기능을 중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기 정보는 결제 정보이고,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NFC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이며,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은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를 판독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에뮬레이션 카드 장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신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신분 정보를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하며, 두 신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신분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정보가 지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인증 처리는 안전한 실행 환경 TEE에서 실행되며, 상기 TEE는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방법.
  7.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지시 수신 모듈과,-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임,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증 처리 모듈과,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 출력 기능을 중지하도록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기 정보는 결제 정보이고,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NFC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이며,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은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를 판독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에뮬레이션 카드장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 모듈이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할 때,
    사용자 신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신분 정보를 미리 저장한 기준 신분 정보와 비교하며, 두 신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가 신분 인증에 통과되었다고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정보가 지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 모듈은 안전한 실행 환경 TEE에 위치하고, 상기 TEE는 상기 NFC 칩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제어 장치.
  13.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NFC 칩이 송신한 정보 출력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이고, 출력 대기 정보는 사용 불가 상태이며,
    금번 정보 출력을 트리거한 사용자 신분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신분 인증에 통과된 것이 확정되면, 상기 NFC 칩의 정보 출력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상기 출력 대기 정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NFC 칩이 상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
KR1020167028165A 2016-04-26 2016-08-11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스마트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80115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266841.6A CN105868983A (zh) 2016-04-26 2016-04-26 信息输出控制方法和装置、智能终端
CN201610266841.6 2016-04-26
PCT/CN2016/094609 WO2017185561A1 (zh) 2016-04-26 2016-08-11 信息传输控制方法和装置、智能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819A true KR20180115819A (ko) 2018-10-24

Family

ID=5662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165A KR20180115819A (ko) 2016-04-26 2016-08-11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스마트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33169B2 (ko)
EP (1) EP3239913A1 (ko)
JP (1) JP2018518721A (ko)
KR (1) KR20180115819A (ko)
CN (1) CN105868983A (ko)
RU (1) RU2017101206A (ko)
WO (1) WO2017185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261B1 (en) * 2016-09-16 2021-07-27 Apple Inc. Location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s
CN106170007A (zh) * 2016-09-30 2016-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及装置
DE102016220866A1 (de) 2016-10-24 2018-04-26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anordnung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olchen Kommunikationsanordnung
CN106920090A (zh) * 2017-02-24 2017-07-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Nfc支付方法及装置
CN109076428B (zh) * 2017-03-06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07277077B (zh) 2017-08-22 2020-03-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医疗数据访问方法、终端和服务器
FR3076922A1 (fr) * 2018-01-12 2019-07-19 Ingenico Group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association entre une carte bancaire et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dispositif, systeme et programme correspondant
GB201804626D0 (en) * 2018-03-22 2018-05-09 Nordic Semiconductor Asa Devices with removable smart cards
CN108835781A (zh) * 2018-07-24 2018-11-20 深圳市有钱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戒指
CN109547554B (zh) * 2018-11-30 2022-04-15 北京红枣科技有限公司 无卡交互系统及模拟卡设备
CN111445231A (zh) * 2020-06-12 2020-07-2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实现MOTOpay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412382B (zh) * 2022-11-02 2023-01-06 北京紫光青藤微系统有限公司 一种针对eSE芯片的电源管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307B2 (ja) 1997-11-28 1999-09-20 日本電気株式会社 個人認証装置と個人認証方法
US9100493B1 (en) * 2011-07-18 2015-08-04 Andrew H B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for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and personal use
BRPI0713622A2 (pt) 2006-06-19 2012-10-16 Visa Usa Inc métado para seguramente fornecer número de conta primário associado com um dispositivo de consumidor portátil, dispositivo de consumidor portátil, meio legìvel por computador, e, servidor
US20080126260A1 (en) 2006-07-12 2008-05-29 Cox Mark A Point Of Sale Transaction Device With Magnetic Stripe Emulator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US8117445B2 (en) * 2006-12-20 2012-02-14 Spansion Llc Near field communication, security and non-volatile memory integrated sub-system for embedded portable applications
US20090307140A1 (en) 2008-06-06 2009-12-10 Upendra Mardikar Mobile device over-the-air (ota) registration and point-of-sale (pos) payment
US8977567B2 (en) 2008-09-22 2015-03-1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Recordation of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information
US8112066B2 (en) 2009-06-22 2012-02-07 Mourad Ben Ayed System for NFC authentication based on BLUETOOTH proximity
CN102103683A (zh) * 2009-12-17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Nfc移动终端的卡模拟应用的实现方法及其装置
WO2011085314A1 (en) * 2010-01-08 2011-07-14 Gallagher Kevin N Guest check presenter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831404B1 (ko) 2011-08-11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결제 방법
US8810367B2 (en) * 2011-09-22 2014-08-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ultimode fingerprint reader
US20130173925A1 (en) * 2011-12-28 2013-07-04 Ester Y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gerprint-Based Operations
CN103186945A (zh) * 2011-12-31 2013-07-03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支付终端和移动支付方法
CN102819721B (zh) * 2012-08-15 2015-03-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nfc的信息交互方法和装置
US20140058935A1 (en) 2012-08-21 2014-02-27 Noel Mijares Mobile contactless digital watch payment
CN103001773B (zh) * 2012-11-28 2015-07-01 鹤山世达光电科技有限公司 基于nfc的指纹认证系统及指纹认证方法
US20140279566A1 (en) 2013-03-15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e mobile payment using media binding
CN104240085A (zh) * 2013-06-07 2014-1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移动支付的安全验证方法及装置
US10198726B2 (en) * 2013-08-08 2019-02-05 Apple Inc. Low power mode for payment transactions
US9603090B2 (en) * 2013-08-08 2017-03-21 Apple Inc.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low power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N103729948B (zh) * 2014-01-13 2016-09-07 深圳市亚略特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具有nfc和指纹功能的移动终端的电子支付方法
GB201408539D0 (en) 2014-05-14 2014-06-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Improvements in mobile payment systems
CN104038256A (zh) * 2014-05-28 2014-09-10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nfc传输方法
US10482461B2 (en) * 2014-05-29 2019-11-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20160086168A1 (en) * 2014-09-22 2016-03-24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reader application and a smart card emulator
WO2016061118A1 (en) * 2014-10-13 2016-04-21 Sequent Software, Inc. Securing host card emulation credentials
US20160156603A1 (en) * 2014-11-28 2016-06-02 Craig Janik Low Power Secur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Ring
US20160224973A1 (en) * 2015-02-01 2016-08-0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WO2016129863A1 (en) * 2015-02-12 2016-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570354B1 (ko) 2015-03-05 2015-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881779A (zh) 2015-06-17 2015-09-02 恒宝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融合支付装置、系统及支付方法
KR20170011181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확장 디스플레이와 지문 인식을 이용한 결제 방법
CN105354706A (zh) * 2015-10-08 2016-02-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Nfc安全支付方法和系统
US10181021B2 (en) * 2016-02-01 2019-01-15 Fitbi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body detection for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68983A (zh) 2016-08-17
JP2018518721A (ja) 2018-07-12
US10433169B2 (en) 2019-10-01
RU2017101206A (ru) 2018-07-16
US20170311160A1 (en) 2017-10-26
RU2017101206A3 (ko) 2018-07-16
EP3239913A1 (en) 2017-11-01
WO2017185561A1 (zh)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819A (ko) 정보 전송 제어 방법, 장치, 스마트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72622B1 (ko) 단말기 스크린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전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RU264861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доступа к сети оператора
RU2641541C2 (ru)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терминал и сервер
US10064000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cquiring terminal information
US921073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airing between wireless devices
EP32206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mart camera
US111909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NFC card
US20130009756A1 (en) Verific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KR2016010811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933555B (zh) 模式设置方法及装置
CN104933556A (zh) 模式设置方法及装置
JP2018506083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の読取方法及び装置
US989224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uthorizing operation
EP3285219A1 (en) Resourc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4376273A (zh) 一种数据访问控制方法和装置
KR101642019B1 (ko) 단말기 검증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2155620A1 (zh) 一种进行近场通信安全性保护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EP3447666B1 (en) Processing fingerprint information
CN105631254A (zh) 解锁方法及解锁装置
RU2636393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CN104967966B (zh) 一种绑定蓝牙设备的方法及装置
CN106170007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113034141A (zh) 一种移动支付方法、装置、可穿戴设备和存储介质
CN109255601B (zh) 终端公交卡的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3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9

Effective date: 2019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