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640A - 윈도우 쉐이드 - Google Patents

윈도우 쉐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640A
KR20180115640A KR1020180043131A KR20180043131A KR20180115640A KR 20180115640 A KR20180115640 A KR 20180115640A KR 1020180043131 A KR1020180043131 A KR 1020180043131A KR 20180043131 A KR20180043131 A KR 20180043131A KR 20180115640 A KR20180115640 A KR 20180115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panel assembly
lift actuator
stat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142B1 (ko
Inventor
친-티엔 후앙
치엔-란 후앙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5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Blind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윈도우 쉐이드는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되고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릴, 제2 제어 모듈에 결합되는 리프트 액추에이터, 및 전환 가능한 결합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패널 어셈블리는 광 통로를 위한 개방 상태 및 광 통로를 차단하는 폐쇄 상태를 갖는다. 제1 제어 모듈은 패널 어셈블리를 권취 및 권취 해제하기 위해 릴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은 패널 어셈블리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결합 메커니즘은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제1 제어 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상태와,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제1 제어 모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 해제시키는 결합 해제 상태를 갖는다. 결합 메커니즘은 패널 어셈블리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결합 해제 상태에 있고, 패널 어셈블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결합 상태에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쉐이드 {WINDOW SHADE}
본 출원은 2017년 4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85,08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개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쉐이드에 관한 것이다.
롤러 쉐이드, 베네치안 블라인드 및 허니컴 쉐이드와 같은 많은 유형의 윈도우 쉐이드가 현재 시장에서 입수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윈도우 쉐이드에는 윈도우 쉐이드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코드가 제공된다. 특정 유형의 윈도우 쉐이드는 패널 조립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복수의 횡단의 스트립을 갖는 패널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윈도우 쉐이드에 제공되는 적절한 작동 메커니즘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판매되는 윈도우 쉐이드 제품은 가장 아래쪽 위치로 내려간 후에만 광 통로를 위해 패널 조립체를 개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어, 사용하기가 편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조작하고 다루기에 편리한 윈도우 쉐이드가 필요하다.
본 출원은 조작하기에 편리한 윈도우 쉐이드를 기술한다. 윈도우 쉐이드는 제1 제어 모듈에 연결된 릴, 릴과 연결된 패널 조립체, 제2 제어 모듈에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 및 전환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조립체는 제1 및 제2 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횡 방향 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조립체는 광 통로를 위한 개방 상태와 광 통로를 차단하는 폐쇄 상태를 갖는다. 제1 제어 모듈은 패널 조립체를 감고 풀기 위해 릴을 회전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제2 제어 모듈은 제1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하고,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2 패널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패널 조립체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제1 패널을 해제하여 패널 조립체를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결합 메커니즘은 결합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를 가지며, 결합 메커니즘은 결합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제1 제어 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결합 해제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제1 제어 모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 해제한다. 윈도우 쉐이드는 패널 조립체가 폐쇄 상태에 있고 결합 메커니즘이 결합 해제 상태에 있는 제1 구성과, 패널 조립체가 개방 상태에 있고 결합 메커니즘이 결합 상태에 있는 제2 구성을 갖는다.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윈도우 쉐이드는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된 릴, 릴에 연결된 패널 조립체, 제2 제어 모듈에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 및 전환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제1 제어 모듈은 릴을 회전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패널 조립체는 제1 및 제2 패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횡 방향 베인을 포함하며, 패널 조립체는 광 통로를 위한 개방 상태와 광 통로를 차단하는 폐쇄 상태를 가지며, 릴은 패널 조립체를 감고 풀기 위해 회전 가능하다. 제2 제어 모듈은 제1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키고,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제1 패널을 제2 패널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패널 조립체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1 방향으로 그리고 패널 조립체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1 패널을 해제하는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결합 메커니즘은 결합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를 가지며, 결합 메커니즘은 결합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제1 제어 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결합 해제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제1 제어 모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 해제한다. 여기에 설명된 윈도우 쉐이드에서, 제1 제어 모듈은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켜 결합 메커니즘이 결합 상태에 있는 동안 패널 조립체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패널 조립체가 폐쇄 상태에 도달하면 결합 메커니즘이 결합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제2 제어 모듈은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하고 결합 메커니즘이 결합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게 한다.
도 1은 완전히 상승된 또는 후퇴된 상태의 윈도우 쉐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하강된 폐쇄 상태의 윈도우 쉐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하강된 개방 상태의 윈도우 쉐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윈도우 쉐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윈도우 쉐이드에 설치된 작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윈도우 쉐이드의 작동 시스템에 제공된 제1 제어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 제어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단면 평면(8-8)을 따라 제1 제어 모듈의 추가 구성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1 제어 모듈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윈도우 쉐이드의 패널 조립체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각진 위치에서의 작동 시스템의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패널 조립체의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각진 위치에서의 작동 시스템의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윈도우 쉐이드의 작동 시스템에 제공된 제2 제어 모듈 및 결합 메커니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제어 모듈 및 결합 메커니즘의 일부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5는 윈도우 쉐이드의 작동 시스템에 제공된 제한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한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결합 메커니즘에 구비된 전환 부분의 일부 구성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제한 구조체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윈도우 쉐이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완전히 상승되거나 후퇴된 상태, 하강된 폐쇄된 상태, 및 하강된 개방된 상태에서의 윈도우 쉐이드(100)의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윈도우 쉐이드(10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쉐이드(100)는 헤드 프레임(102), 패널 조립체(104), 바닥 부분(106), 및 패널 조립체(104)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조작 부재(110, 210)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팅 시스템(108)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프레임(102)은 윈도우 프레임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임의의 바람직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성의 일례에 따르면, 헤드 프레임(102)은 커버(113)와, 커버(113)의 좌우 단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2개의 대향하는 측면 캡(114, 115)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프레임(102)은 윈도우 쉐이드(100)의 작동 시스템(10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동을 가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단부 커버(117)가 헤드 레일(102)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사이드 캡(114 및 115)을 은폐함으로써, 보호 및 미적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 쉐이드(100)가 윈도우 상에 설치될 때, 부착 브래킷(111)은 윈도우 프레임 상에 헤드 프레임(102)을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패널 조립체(104)는 작동 시스템(108) 및 바닥 부분(106)에 각각 연결된 상부 및 하부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패널 조립체(104)는 2개의 패널(116, 118) 및 복수의 평행한 횡 방향 베인(120)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패널(116 및 118) 각각은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폭, 및 폭에 수직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횡 방향 베인(120)은 2개의 패널(116, 118)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패널(116, 118)의 길이를 따라 2개의 패널(116, 118)과 각각 연결된다.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패널(116, 118) 및/또는 횡 방향 베인(120)은 직물 재료, 웹 재료, 메쉬 재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2개의 패널(116 및 118)은 투명 또는 반투명 패브릭 재료를 예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횡 방향 베인(120)은 불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4)는 상기 헤드 프레임(102)의 내부로 후퇴되어, 상기 헤드 프레임(102) 외부로 팽창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패널 조립체(104)가 임의의 주어진 높이에서 헤드 프레임(102) 외부로 팽창 또는 하강될 때, 패널 조립체(104)는 횡 방향 베인(120)을 회전시키는 2개의 패널(116, 118)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더욱 전환 가능하다. 패널 조립체(104)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횡 방향 베인(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통로를 차단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수직으로 서로 중첩된다. 패널 조립체(104)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횡 방향 베인(120)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통로를 위한 패널 조립체(104)에 복수의 갭(119)을 형성한다. 패널 조립체(104)의 수직 위치 및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의 전환은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작동 시스템(10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부분(106)은 계량 구조물인 패널 조립체(104)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조립체(104)가 상기 헤드 프레임(102)을 향해 후퇴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확장됨에 따라 상기 패널 조립체(104)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부분(106)은 예시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강성 레일(121) 및 강성 레일(121)의 좌우 단부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대향 단부 캡(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부분(106)의 패널 조립체(104)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조의 일 예는 2개의 패널(116 및 118)을 부착 스트립(124)과 고정식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부착 스트립(124)은 차례로 바닥 부분(106)에 고정식으로 체결된다.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 5는 작동 시스템(108)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동 시스템(108)은 릴(128), 릴(128)에 결합된 제어 모듈(130), 리프트 액추에이터(202),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연결된 제어 모듈(204) 및 전환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206)을 포함할 수 있다.
릴(128)은 헤드 프레임(102) 내부에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며, 패널 조립체(104)와, 예를 들어 패널 조립체(104)의 두 패널(116, 118)과 연결된다. 구성 예에 따르면, 릴(128)의 외주면은 2개의 이격된 각진 위치에서 2개의 슬롯(128A)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패널(116, 118)은 패널 조립체(104)를 릴(128)과 고정하기 위해 2개의 슬롯(128A)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세장형 스트립(129)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릴(128)의 회전 방향에 따라, 패널 조립체(104)는 헤드 프레임(102) 쪽으로 후퇴하기 위해 릴(128) 주위에 감거나, 또는 릴(128)로부터 풀려서 헤드 프레임(102) 아래로 확장 및 하강될 수 있다. 패널 조립체(104)는 패널(116)이 내측에 있고 다른 패널(118)이 외측에 있는 릴(128) 주위에 감길 수 있다. 패널(116, 118)은 윈도우 쉐이드(100)가 룸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이 룸의 내부를 향하고, 후방 패널이 전방 패널의 후방에 있을 때,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릴(128)은 헤드 프레임(102)을 따라 연장되는 피벗 축(P1)을 중심으로 헤드 프레임(102)과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구성 예에 따르면, 릴(128)은 헤드 프레임(10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릴(128)의 단부는 결합 플러그(134)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결합 플러그(134)는 헤드 프레임(102)의 사이드 캡(1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릴(128)의 다른 단부는 헤드 프레임(102)의 다른 측면 캡(114)에 인접하여 조립된 제어 모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패널 조립체(104)를 감고 및 풀기 위해 헤드 프레임(102)에 대해 피벗 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릴(128)을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해서, 도 6 및 도 7은 각각 제어 모듈(13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모듈(130)의 추가 구성을 도시하는 피벗 축(P1)에 수직인 단면 평면(8-8)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130)은 작동 부재(110), 고정 샤프트 부재(136), 하나 이상의 스프링(138), 작동 휠(140), 릴 커넥터(142) 및 케이싱(14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축 부재(136)는 릴(128)의 회전축(P1)과 동축인 헤드 프레임(102)의 사이드 캡(114)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138)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138)은 고정된 축 부재(136) 주위에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된 2개의 프롱(138A, 138B)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프롱(138A, 138B) 각각은 스프링(138)이 고정된 축 부재(136)에 대해 확장하고 느슨해지도록한 방향으로 그리고 스프링(138)이 고정 축 부재(136) 상에 더욱 수축하여 조여지게 하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밀릴 수 있다.
작동 휠(140)은 고정 축 부재(136)가 관통하는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 휠(140)은 릴(128)의 피벗 축(P1)과 동축인 고정된 샤프트 부재(136)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작동 휠(140)은 고정 축 부재(136)상에서 피벗 축(P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 부재(110)는 작동 휠(140)과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시, 조작 부재(110)는 패널 조립체(104)를 감거나 풀기 위해 릴(128)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피벗 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 휠(140)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재(110)는 작동 휠(140)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는 폐쇄 루프 작동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부재(110)는 비드 체인이고, 작동 휠(140)은 작동 부재(110)와 결합되는 스프로킷 휠일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110)를 당기면 구동 휠(140)이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부재(110)는 내부 부분(110A) 및 외부 부분(110B)을 가질 수 있고, 내측 부분(110A)을 아래쪽으로 당기면 구동 휠(140)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외부 부분(110B)을 아래쪽으로 당기면 작동 휠(14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작동 휠(140)은 또한 고정된 축 부재(136) 주위로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고 2개의 대향 측면 에지(148A 및 148B)를 갖는 돌출부(148)와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성 예에 따르면, 작동 휠(140)과 돌출부(148)는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8)는 스프링(138)의 제1 영역 주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의 작동 휠(140)의 회전이 스프링(138)을 확장하고 느슨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148)가 2개의 프롱(138A 및 138B)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푸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48)의 측면 에지(148A)는 작동 휠(140)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프링(138)이 느슨해지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138)의 프롱(138A)에 대해 푸시될 수 있고, 돌출부(148)의 측면 에지(148B)는 작동 휠(140)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프링(138)이 느슨해지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138)의 프롱(138B)에 대해 푸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릴 커넥터(142)는 릴(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고정 축 부재(136)가 관통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이로써 릴 커넥터(142)는 피벗 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고정 축 부재(136)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성 예에 따르면, 릴 커넥터(142)는 릴(128)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릴 커넥터(142)의 외면에는 릴 커넥터(142)를 릴(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릴(128) 내부에 제공된 내부 치형부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치형부(142A)가 제공된다. 따라서, 릴 커넥터(142) 및 릴(128)은 패널 조립체(104)를 감거나 풀기 위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커넥터(142)는 2개의 대향 측면 에지(150A, 150B)를 갖는 리브(150)가 제공된 내부 측면을 더 가질 수 있다. 구성 예에 따르면, 리브(150)는 릴 커넥터(1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릴 커넥터(142)는 상기 스프링(138)의 제2 영역 둘레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138)이 상기 고정된 샤프트 부재(136) 상에 수축되어 조여지게 하기 위해 상기 2개의 프롱(138A, 138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푸시될 수 있는 리브(150)에 의해 배치된다.
케이싱(144)은 헤드 프레임(102)에 부착될 수 있고, 케이싱(144) 및 헤드 프레임(102)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 부재(110)와 함께 작동 휠(14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어 모듈(130)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패널 조립체(104)를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110)의 내측 부분(110A) 및 외측 부분(110B) 중 하나(예를 들어, 외측 부분(110B))를 아래쪽으로 당길 수 있고, 이는 작동 휠(140)을 방향(R1)으로 회전시키고 돌출부(148)가 스프링(138)을 팽창시키고 느슨하게 하기 위해 2개의 프롱(138A, 138B) 중 하나에 대해 푸시되게 하도록 가압한다. 예를 들어, 조작 부재(110)의 외부 부분(110B)을 아래쪽으로 당기면, 돌출부(148)의 측부 에지(148A)가 스프링(138)의 프롱(138A)에 접촉하여 푸시되게 하고, 이는 스프링(138)이 팽창되어 느슨해지게 한다. 돌출부(148)의 측면 에지(148A)가 스프링(138)의 프롱(138A)을 밀면, 돌출부(148)의 다른 측부 에지(148B)는 스프링(138)의 다른 프롱(138B)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다. 그 다음, 느슨해진 스프링(138)은 작동 휠(140)과 함께 회전하고, 예를 들어 스프링(138)의 프롱(138A)과 리브(150)의 측면 에지(150A) 사이의 접촉을 통해 릴 커넥터(142)의 리브(150)에 대해 푸시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릴 커넥터(142)와 릴(128)이 스프링(138) 및 작동 휠(140)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여 패널 조립체(104)를 풀고 하강시킨다. 이러한 풀기 회전 동안에, 스프링(138)의 프롱(138B)은 돌출부(148)의 측면 에지(148B) 및 리브(150)의 측면 에지(150B)와의 접촉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패널 조립체(104)를 상승시키기 위해 조작 부재(110)의 내측부(110A) 및 외측부(110B)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내부 부분(110A))를 아래로 당길 수 있고, 이는 작동 휠(140)이 반대 방향(R2)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고 돌출부(148)가 스프링(138)을 팽창시키고 느슨하게 하기 위해 2개의 프롱(138A, 138B) 중 다른 하나에 대해 푸시되게 한다. 예를 들어, 작동 부재(110)의 내측 부분(110A)을 아래쪽으로 당기면 돌출부(148)의 측부 에지(148B)가 스프링(138)의 프롱(138B)에 접촉하여 푸시되게 하여, 스프링(138)이 팽창되어 느슨해지게 된다. 돌출부(148)의 측면 에지(148B)가 스프링(138)의 프롱(138B)에 대해 가압될 때, 돌출부(148)의 다른 측부 에지(148A)는 스프링(138)의 다른 프롱(138A)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느슨해진 스프링(138)은 작동 휠(140)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프링(138)의 프롱(138B)과 리브(150)의 측면 에지(150B) 사이의 접촉을 통해 릴 커넥터(142)의 리브(150)에 대해 푸시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릴 커넥터(142)와 릴(128)이 스프링(138) 및 작동 휠(140)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여 패널 조립체(104)를 감거나 상승시킨다. 이러한 감기 회전 중에, 스프링(138)의 프롱(138A)은 돌출부(148)의 측면 에지(148A) 및 리브(150)의 측면 에지(150A)와 접촉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작동 부재(110)가 작동되지 않고 작동 휠(140)이 정지 상태에 유지될 때(예를 들어, 패널 조립체(104)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할 때), 패널 조립체(104) 및 바닥 부분(106)의 스프링 상 중량은 릴(128) 및 릴 커넥터(142)에 토크를 가할 수 있고, 이는 스프링(138)을 고정 축 부재(136) 상에 수축시키고 조이게 하기 위해 리브(150)를 바이어스하여 스프링(138)의 두 개의 프롱(138A 및 138B) 중 하나에 대해 가압한다. 리브(150)가 2개의 프롱(138A, 138B) 중 하나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동안, 고정 축 부재(136)에 대한 스프링(138)의 조임 작용은 피봇 축(P1)을 중심으로 스프링(138), 릴 커넥터(142) 및 릴(128)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고, 패널 조립체(104) 및 바닥 부분(106)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이한 위치와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위치에 유지한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도 11 및 도 12는 상이한 각진 위치에서의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제어 모듈(204) 및 결합 메커니즘(206)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제어 모듈(204) 및 결합 메커니즘(206)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어 모듈(204) 및 결합 메커니즘(206)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패널 조립체(104) 및 바닥 부분(106)의 임의의 높이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는 패널 조립체를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도 4, 도 5, 도 11 및 도 12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는 예시적인 세장형 튜브이다.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외부 표면은 패널 조립체(104)를 해제 또는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 표면(208)을 형성할 수 있다.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는 릴(128)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피봇 축(P2)을 중심으로 헤드 프레임(102)과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피벗 축(P2)은 릴(128)의 피봇 축(P1)에 평행하고 헤드 프레임(10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구성 예에 따르면,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단부는 헤드 프레임(102)의 사이드 캡(115)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결합 플러그(212)와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타 단부는 헤드 프레임(102)의 다른 측면 캡(114)에 인접하여 조립될 수 있는 제어 모듈(2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4)은 헤드 프레임(102)에 대해 피벗 축(P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구동할 수 있고, 이로써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클램핑 표면(208)이 패널 조립체(104)를 해제 또는 클램핑하게 한다.
도 11은 패널 조립체(104)의 폐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각진 위치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1 각진 위치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클램핑 표면(208)은 헤드 프레임(102)의 측벽(160)으로부터 멀리 변위되고, 이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헤드 프레임(102)의 측벽(16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결과, 패널 조립체(104)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와 측벽(160) 사이의 갭(203)을 통해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수직으로 연장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패널 조립체(104)의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각진 위치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2 각진 위치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클램핑 표면(208)은 측벽(16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패널(116)이 패널(118)에 대해 상방으로 미끄러지도록 압박할 수 있고, 이는 횡 방향 베인(120)을 회전시키고 패널 조립체(104)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게 한다. 또한, 패널 조립체(104)의 일부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클램핑 표면(208)과 측벽(160)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고, 패널(116 및 118)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 및 측벽(160)과 접촉하여, 이로써 패널 조립체(104)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축(P2)에 수직인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단면은 비-원형 형상을 가지며, 피벗 축(P2)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회전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와 헤드 프레임(102)의 측벽(160) 사이의 갭의 크기를 변경하여, 리프트 액추에이터(202)가 패널 조립체(104)를 선택적으로 클램프 또는 해제하도록 한다. 패널 조립체(104)의 패널(116, 118)과의 마찰 접촉을 촉진하기 위해, 헤드 프레임(102)의 측벽(160)과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클램핑 표면(208)은 각각 마찰재(164, 21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재(164, 214)의 예로는 제한 없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4)은 제어 모듈(130)과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헤드 프레임(102)에 대해 피벗 축(P2)을 중심으로 하여 도 11에 도시된 제1 각진 위치와 도 12에 도시된 제2 각진 위치 사이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회전 구동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제1 각진 위치로부터 도 12의 제2 각진 위치로 제1 방향으로의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회전은 패널(116)이 패널(118)에 대해 상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압박할 수 있고, 이로써 패널 조립체(104)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킨다. 역으로, 도 12의 제2 각진 위치로부터 도 11의 제1 각진 위치로 반대의 제2 방향으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회전은 패널(116)을 해제시켜,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로 전환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04)은 헤드 프레임(102)의 측면 캡(114) 및 제어 모듈(13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4)은 하우징(220), 헬리컬 기어(222), 웜 로드(224) 및 조작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0)은 서로 조립된 2개의 하우징 부분(220A, 22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이드 캡(114)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헬리컬 기어(222)는 하우징(220)과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헬리컬 기어(222) 및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는 하우징(220)에 대해 피봇 축(P2)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구성 예에 따라,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단부는 연결 플러그(226)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 플러그(226)는 하우징(220)과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나사(228)를 통해 샤프트(230)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헬리컬 기어(222)는 샤프트(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샤프트(230) 및 헬리컬 기어(222)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와 동축이다. 그 결과, 샤프트(230), 결합 플러그(226), 리프트 액추에이터(202) 및 헬리컬 기어(222)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220)에 대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웜 로드(224)는 상기 헬리컬 기어(222)와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부재(2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작 부재(210)는 웜 로드(224)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일 단부를 갖는 강성 원드(wand)일 수 있으며, 작동 부재(210)는 헤드 프레임(102) 외부로 연장된다. 조작 부재(210)는 길이 방향의 축을 갖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웜 로드(224)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이는 차례로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 헬리컬 기어(222), 샤프트(230), 결합 플러그(226) 및 리프트 액추에이터(202)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조작 부재(210)는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고 또 다른 반대 방향으로 패널 조립체(104)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210)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웜 로드(224)에 대해 다른 기울기로 조정되도록 피봇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패널 조립체(104)의 조정을 위해 각 제어 모듈(130, 204)을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제어 모듈(130)은 패널 조립체(104)의 수직 범위를 조정할 수 있고, 패널 조립체(104)는 수직 조정 중에 폐쇄 상태로 유지되며, 제어 모듈(204)은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로 전환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조작 부재(110, 210)가 윈도우 쉐이드(100)의 동일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어 모듈(130, 204)은 편리하게 패널 조립체(104)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30)은 또한 전환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206)을 통해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메커니즘(206)는 결합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결합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결합 메커니즘(206)는 결합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제어 모듈(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 해제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제어 모듈(13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메커니즘(206)는 트랜스미션 조립체(240) 및 전환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조립체(240)는 제어 모듈(130)에 결합되고, 복수의 회전 가능한 트랜스미션 부재(244, 24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예에 따르면, 트랜스미션 부재(244, 246)는 서로 맞물린 2개의 기어일 수 있고, 트랜스미션 부재(244)는 제어 모듈(130)의 작동 휠(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부재(244)는 고정 축 부재(136)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작동 휠(140)과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 부재(244), 작동 휠(140) 및 릴(128)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부재(244), 작동 휠(140) 및 릴(128)은 어느 방향으로든 피벗 축(P1)을 중심으로 일제히 회전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부재(246)는 하우징(2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전환 부분(24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부재(246)는 트랜스미션 부재(244)와 맞물려서, 이들 모두는 구동 전달을 위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전환 부분(242)은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를 가질 수 있고,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환 부분(242)은 치형 휠일 수 있고,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는 전환 부분(242)의 둘레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치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환 부분(242)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에 인접한 갭(252)을 포함하고, 갭(252)은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의 치형부(250) 사이의 치형부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으며, 전환 부분(242)의 원주 방향 영역에는 리세스로 제공될 수 있다. 구성 예에 따르면, 샤프트(230)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환 부분(242)은 샤프트(2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전환 부분(242)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와 전환 부분(242)은 피벗 축(P2)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전환 부분(242)은 결합 메커니즘(206)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 트랜스미션의 체인을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04)의 조작 부재(210)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 및 전환 부분(242)을 동시에 구동하여, 결합 메커니즘(206)이 결합 해제 상태와 결합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연결 해제 상태에서, 전환 부분(242)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은 트랜스미션 조립체(240)의 트랜스미션 부재(246)로부터 분리되고, 트랜스미션 부재(246)(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부재(246)의 치형부의 일부)는 전환 부분(242)의 갭(252)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부재(246)는 결합 해제 상태에서 전환 부분(242)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갭(252)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쉐이드(100)는 패널 조립체(104)가 폐쇄 상태에 있고 결합 메커니즘(206)이 결합 해제 상태에 있는 제1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제1 구성에서, 제어 모듈(130)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가 도 11에 도시된 제1 각진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패널 조립체(104)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릴(128)을 회전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패널 조립체(104)는 폐쇄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결합 메커니즘(206)가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전환 부분(242)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은 트랜스미션 조립체(240)의 트랜스미션 부재(246)와 결합되어(예를 들어,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의 치형부(250)의 일부가 트랜스미션 부재(246)의 치형부와 맞물림), 제어 모듈(130)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회전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쉐이드(100)는 패널 조립체(104)가 개방 상태에 있고 결합 메커니즘(206)이 결합 상태에 있는 제2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제2 구성에서, (특히, 패널 조립체(104)를 감기 위해 릴(128)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제어 모듈(130)의 작동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가 도 11에 도시된 제1 각진 위치로 구동 트랜스미션을 통해 결합 메커니즘(206)을 통해 회전하도록 가압할 수 있고, 이는 이로써 패널 조립체(104)를 해제하고 릴(128) 주위에 패널 조립체(104)의 감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폐쇄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환 부분(242)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따라 회전하여, 패널 조립체(104)가 폐쇄 상태에 도달할 때 결합 메커니즘(206)이 결합 상태로부터 결합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도 15 및 도 16은 제한 구조체(26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7은 전환 부분(242)의 추가 구성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한 구조체(260)는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회전 이동 범위를 도 11에 도시된 제1 각진 위치와 도 12에 도시된 제2 각진 위치 사이에서 제한할 수 있고, 패널 조립체(104)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정지시킬 수 있다. 구성 예에 따르면, 제한 구조체(260)는 하우징(220)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의 피벗 축(P2)에 대해 2개의 상이한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플랜지 표면(262, 26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환 부분(242)는 샤프트(23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돌출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66)는 전환 부분(242), 예를 들어 돌출부(266)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전환 부분(242)는 단일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과 관련해서, 도 18 및 도 19는 제한 구조체(260)의 동작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한 구조체(260)의 플랜지 표면(262)은 패널 조립체(104)가 대응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도 11에 도시된) 제1 각진 위치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정지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환 부분(242)은 전환 부분(242)의 돌출부(266)와 플랜지 표면(262)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정지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1 각진 위치에서 전환 부분(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정지시키고, 이로써 패널 조립체(104)가 폐쇄 상태에 유지되도록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한 구조체(260)의 플랜지 표면(264)은 패널 조립체(104)가 대응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도 12에 도시된) 제2 각진 위치에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정지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환 부분(242)은 전환 부분(242)의 돌출부(266)와 플랜지 표면(264)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정지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2 각진 위치에서 전환 부분(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를 정지시켜, 패널 조립체(104)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지되게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조립체(104)가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는 전환 부분(242)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과 트랜스미션 조립체(240)의 트랜스미션 부재(246)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릴(12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한 구조체(260)의 플랜지 표면(264)과 전환 부분(242)의 돌출부(266) 사이의 접촉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가 제1 방향(즉, 패널 조립체(104)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패널 조립체(104)를 감기 위한 릴(128)의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윈도우 쉐이드(100)의 부적절한 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와 관련해서, 윈도우 쉐이드(100)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윈도우 쉐이드(100)는 패널 조립체(104)가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폐쇄 상태의 바닥 부분(106) 및 패널 조립체(104)를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110)의 내측 부분(110A)과 외측 부분(110B) 중 하나를 아래쪽으로 당길 수 있다(예를 들어 외측 부분(110B)을 아래쪽으로 당길 수 있다). 그 결과, 제어 모듈(130)은 패널 조립체(104)를 풀기 위해 릴(128)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환 부분(242)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은 트랜스미션 조립체(240)의 트랜스미션 부재(246)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트랜스미션 부재(246)는 전환 부분(242)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전환 부분(242)의 갭(252)을 통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폐쇄 상태의 바닥 부분(106) 및 패널 조립체(104)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110)의 내부 부분(110A) 및 외부 부분(110B) 중 다른 하나를 아래로 당길 수 있다(예를 들어 내부 부분(110A)을 아래쪽으로 당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패널 조립체(104)를 감기 위해 릴(128)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전환 부분(242)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은 트랜스미션 조립체(240)의 트랜스미션 부재(246)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트랜스미션 부재(246)는 전환 부분(242)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전환 부분(242)의 갭(252)을 통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패널 조립체(104)는 헤드 프레임(102) 아래의 임의의 높이에서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210)를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 모듈(204)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 및 전환 부분(242)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고, 이는 패널 조립체(104)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 부분(242)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이 트랜스미션 부재(246)와 결합되게 한다. 패널 조립체(104)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전환 부분(242) 및 트랜스미션 조립체(240)를 통해 리프트 액추에이터(202)가 릴(128)에 회전 결합하는 것 및 전환 부분(242)와 제한 구조체(260) 사이의 차단 접촉으로 인해 패널 조립체(104)를 감기 위한 릴(128)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된 상태에서 패널 조립체(104)를 상향 조정하기 위해 조작 부재(110)를 사용할 수 없다.
도 23을 참조하면, 패널 조립체(104)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부재(210)를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어 모듈(204)은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와 전환 부분(242)을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시켜서, 이는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고 전환 부분(242)의 트랜스미션 부분(248)을 트랜스미션 부재(246)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다른 작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조작 부재(110)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조작 부재(110)의 외측 부분(110B)을 아래쪽으로 당길 수 있어서, 제어 모듈(130)은 패널 조립체(104)를 풀기 위해 릴(128)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릴(128)은 전환 부분(242) 및 트랜스미션 조립체(240)를 통해 리프트 액추에이터(2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환 부분(242) 및 리프트 액추에이터(202)는 또한 패널 조립체(104)를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전환 부분(242)은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248)이 트랜스미션 부재(246)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윈도우 쉐이드의 장점은 패널 조립체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고 임의의 원하는 높이에서 패널 조립체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패널 조립체의 수직 변위 및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의 전환은 2개의 상이한 작동 부재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쉐이드는 신뢰성이 있으며 윈도우 쉐이드의 부적절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조의 실현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해서만 설명되었다. 이들 실시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구성 요소에는 단일 인스턴스로 복수의 인스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이산적인 구성 요소로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이하의 청구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20)

  1. 윈도우 쉐이드에 있어서,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된 릴 -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릴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함 - ;
    상기 릴과 연결되고, 제1 및 제2 패널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횡 방향 베인을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 상기 패널 조립체는 광 통로를 위한 개방 상태와 광 통로를 차단하는 폐쇄 상태를 가지며, 상기 릴은 상기 패널 조립체를 감고 풀기 위해 회전 가능함 - ;
    제2 제어 모듈에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 -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여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패널 조립체를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2 패널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도록 가압하는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를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패널을 해제시키는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 - ; 및
    결합 상태 및 결합 해제 상태를 갖는 전환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 -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1 제어 모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 해제시킴 - ;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쉐이드는 상기 패널 조립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 있는 제1 구성, 및 상기 패널 조립체가 상기 개방 상태에 있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상태에 있는 제2 구성을 갖는, 윈도우 쉐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패널 조립체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패널 조립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도달할 때 상기 결합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상태와 상기 결합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게 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윈도우 쉐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을 갖는 전환 부분, 및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되고 트랜스미션 부재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부분의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 및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동일한 피벗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인, 윈도우 쉐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은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에 인접한 갭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부분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상기 갭을 통해 회전 가능한 것인, 윈도우 쉐이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의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은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기어이고,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기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조립체는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부분은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에 인접한 갭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부분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상기 갭을 통해 추가로 회전 가능한 것인, 윈도우 쉐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서로 연결되는 작동 휠 및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작동 휠을 회전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 휠은 상기 패널 조립체를 감거나 풀기 위해 상기 릴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작동 휠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휠 및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릴에 동축인 것인, 윈도우 쉐이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은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에 동축으로 배치된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웜 로드와 피봇식으로 연결된 원드(wand)를 포함하고, 헬리컬 기어가 상기 웜 로드와 맞물리고, 상기 헬리컬 기어 및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상기 패널 조립체의 상기 폐쇄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제한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 구조체는 상기 패널 조립체가 상기 개방 상태에 있고 상기 전환 부분의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이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와 결합될 때 상기 패널 조립체를 감기 위한 상기 릴의 회전을 추가로 방지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은 돌출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한 구조체는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를 감기 위한 상기 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패널 조립체의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전환 부분의 상기 돌출부에 대해 접촉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폐쇄 루프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원드를 포함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웜 로드와 연결된 원드를 포함하고, 헬리컬 기어가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는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웜 로드와 맞물리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6. 제1항에 있어서,
    측벽을 갖는 헤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릴 및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헤드 프레임에 조립되고, 상기 패널 조립체의 일 부분이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와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기 측벽 사이에 클램핑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7. 윈도우 쉐이드에 있어서,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되는 릴 -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릴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함 - ;
    상기 릴과 연결되고, 제1 및 제2 패널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횡 방향 베인을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 상기 패널 조립체는 광 통로를 위한 개방 상태와 광 통로를 차단하는 폐쇄 상태를 가지며, 상기 릴은 상기 패널 조립체를 감고 풀기 위해 회전 가능함 -
    제2 제어 모듈에 결합된 리프트 액추에이터 -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패널 조립체를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2 패널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도록 가압하는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패널 조립체를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패널을 해제시키는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 - ; 및
    결합 상태 및 결합 해제 상태를 갖는 전환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 -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1 제어 모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 해제시킴 -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패널 조립체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패널 조립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를 회전 구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이 상기 결합 상태와 상기 결합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게 하는, 윈도우 쉐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메커니즘은 상기 리프트 액추에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을 갖는 전환 부분, 및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결합되고 트랜스미션 부재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부분의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은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에 인접한 갭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전환 부분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상기 갭을 통해 회전 가능한 것인, 윈도우 쉐이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분의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은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부재는 기어이고,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분은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기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윈도우 쉐이드.
KR1020180043131A 2017-04-13 2018-04-13 윈도우 쉐이드 KR102089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85089P 2017-04-13 2017-04-13
US62/485,089 2017-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40A true KR20180115640A (ko) 2018-10-23
KR102089142B1 KR102089142B1 (ko) 2020-03-16

Family

ID=6209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31A KR102089142B1 (ko) 2017-04-13 2018-04-13 윈도우 쉐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37227B2 (ko)
EP (1) EP3610118B1 (ko)
JP (1) JP6872020B2 (ko)
KR (1) KR102089142B1 (ko)
CN (1) CN108729832B (ko)
AU (1) AU2018253290B2 (ko)
CA (1) CA3040927C (ko)
MX (1) MX2019006847A (ko)
TW (1) TWI651462B (ko)
WO (1) WO201819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5385B2 (en) 2016-02-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10407980B2 (en) * 2017-04-12 2019-09-10 Hall Labs Llc Cordless window covering system with bearings
CA3150652A1 (en) * 2019-07-11 2021-01-14 Maxxmar Inc. Safety reciprocating wand
WO2021203159A1 (en) * 2020-04-07 2021-10-14 Gale Pacific Limited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US11988037B2 (en) * 2021-06-09 2024-05-21 Tser Wen Chou Window blind lifting and til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293A (ko) * 2009-04-17 2010-10-27 (주)주원창호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WO2013122399A1 (ko) * 2012-02-16 2013-08-22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3397B1 (fr) * 1993-04-02 1995-05-24 Deprat Sa Ets Jean Dispositif de protection d'une ouverture telle que par exemple un volet roulant.
US5547006A (en) * 1993-05-04 1996-08-20 Hunter Douglas Inc. Roll-up cellular shades
CN2559768Y (zh) * 2002-07-31 2003-07-09 李宝珍 捲扬器结构
CN2677568Y (zh) * 2003-03-26 2005-02-09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前后二侧具有透光布幕的百叶卷帘
NZ545379A (en) * 2005-02-17 2006-09-29 Preference Mfg Aust Pty Ltd Clip and frame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KR100943408B1 (ko) * 2009-11-28 2010-02-19 곽재석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1260918B1 (ko) * 2009-12-22 2013-05-06 (주)한국윈텍 블라인드 장치
FR2986854B1 (fr) * 2012-02-13 2014-02-14 Saint Gobain Vitrage eclairant
CA2846549C (en) * 2013-03-15 2021-05-25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9551180B2 (en) * 2014-06-04 2017-01-24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System for controlling noise in a window assembly
TWI530614B (zh) * 2014-12-05 2016-04-21 中原大學 一種溫度調節窗
TWI643588B (zh) * 2016-06-17 2018-12-1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
CN205743594U (zh) * 2016-06-22 2016-11-30 上海赛遨密封科技有限公司 推移门窗勾企补偿结构及其补偿块
KR101957027B1 (ko) * 2016-07-06 2019-03-11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293A (ko) * 2009-04-17 2010-10-27 (주)주원창호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WO2013122399A1 (ko) * 2012-02-16 2013-08-22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8683A1 (en) 2018-10-18
MX2019006847A (es) 2019-08-16
EP3610118A1 (en) 2020-02-19
CN108729832A (zh) 2018-11-02
CA3040927A1 (en) 2018-10-18
TWI651462B (zh) 2019-02-21
US10837227B2 (en) 2020-11-17
TW201837294A (zh) 2018-10-16
WO2018191631A1 (en) 2018-10-18
CA3040927C (en) 2020-12-29
EP3610118B1 (en) 2023-07-05
KR102089142B1 (ko) 2020-03-16
JP2020504256A (ja) 2020-02-06
CN108729832B (zh) 2019-11-05
AU2018253290B2 (en) 2020-09-17
JP6872020B2 (ja) 2021-05-19
AU2018253290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640A (ko) 윈도우 쉐이드
EP3390757B1 (en) Window shade
US10443302B2 (en) Window shade
US11125009B2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EP2877666B1 (en) Window shade, i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765864B2 (en)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KR102094570B1 (ko)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를 위한 동작 시스템
KR102231826B1 (ko)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EP3008273B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EP2573311B1 (en) Looped-cord system for window coverings
KR101776205B1 (ko)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