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653A - 전기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전기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653A
KR20180114653A KR1020170046590A KR20170046590A KR20180114653A KR 20180114653 A KR20180114653 A KR 20180114653A KR 1020170046590 A KR1020170046590 A KR 1020170046590A KR 20170046590 A KR20170046590 A KR 20170046590A KR 20180114653 A KR20180114653 A KR 2018011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tor
raw water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섭 윤
조은자
노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란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란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란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4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4653A/ko
Publication of KR2018011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formed by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40/00Fluid heaters having electrical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는 원수(原水)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이 관통되며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변환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된 원수가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결합되어 전기에 의하여 원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자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소량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온수 보일러{A Electric Hot Water Boiler}
본 발명은 전기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을 증폭시켜 소량의 전력으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전기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름보일러는 가정용이나 산업용에서 많이 이용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기름보일러의 가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기름탱크에 있는 기름이 기화기 를 거쳐 분사되면 전기스파크에 의해 불꽂이 발생하면서 화력이 발생되고, 보일러 내부에 있는 동파이프가 이 화력에 의해 상온으로 되면서 동파이프 내부에 있는 물이 각각의 난방관으로 이동하고, 난방관을 순환한 관수량은 순환펌프에 의해 보일러로 입수되어 순환을 반복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기름보일러인 경우는 기름를 연료로 하여 동파이프 내부에 있는 물을 상온으로 끌게 되므로 기름이 구비되어야 하며, 연료소비에 따른 소비자의 부담이 있고, 연료가 연소될 때에 소음이 발생함과 아울러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여 환경공해가 심하고, 보일러의 부피가 크고 중량을 갖고 있으며, 보일러 설치시에도 조립하는 제작 과정이 복잡한 결점을 갖고 있고 가격이 고가인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용 보일러로 주로 이용되는 것은 가스보일러를 많이 설치하는바 이또한 도시가스와 연결하여 사용하므로서, 가스 사용량에 따른 소비자의 연료 부담이 있고, 제품 가격이 기름보일러보다 고가이며, 가스에 대한 폭팔위험성을 항상 앉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기름 보일러와 가스보일러와 다르게 열선을 이용한 전기보일러는 동파이프 내부에 열선코일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열선코일에 전기를 인가하면 열선코일의 온도가 열봉으로 열전도가 되면서 보조탱크 내부에 저장된 저수량을 상온으로 상승시켜 각각의 난방관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열선코일의 온도가 열봉으로 열전도가 되고 열봉에서 발생되는 열은 물을 상온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인 2차간접열에 의하여 진행되므로서, 물의 온도 상승이 늦어지며, 전기 사용량이 많이 소모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전력을 증폭시켜 많은 전력으로 원수를 온수로 변환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는 원수(原水)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이 관통되며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변환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된 원수가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결합되어 전기에 의하여 원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자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소량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순환되도록 지그재그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상기 가열장치가 결합되도록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에 상기 급수관 및 배출관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원수에 열을 가하여 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열을 발생하는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저장부 내부를 순환하는 원수에 의하여 상기 히팅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케이스 외부 전력이 공급되면 자력에 의하여 회전속도가 증폭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전력을 증가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증폭기와 상기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증폭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며,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는 상기 회전축이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측으로 코일이 감겨 외부 전력에 의하여 자력이 생성되는 다수의 전자석이 10~15도 각도로 구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의 고정자석이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자와, 다수의 상기 고정자를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각도로 고정하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를 내측에 수용하는 고정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는 소량의 전력이 상기 회전자에 공급되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상기 전자석에 자력이 생성되어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인 상기 고정자석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의 회전이 증폭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중심에 상기 증폭기에서 연장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며 다수의 영구자석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와, 다수의 슬롯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롯에 코일이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에 구비되는 다수의 영구자석 사이의 이격거리(a)는 상기 스테이터코어부의 치하단폭(b)의 70% ~130%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에 의하면, 소량의 전력으로 생성되는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의 고정자석이 서로 미는 힘으로 회전량을 증폭시켜 전력을 증가시켜 원수를 온수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장치에 가열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가열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폭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증폭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는 원수(原水)를 공급하는 급수관(100)과, 상기 급수관(100)이 관통되며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변환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를 관통하는 상기 급수관(100)에서 공급된 원수가 저장되는 저장장치(300)와, 상기 저장장치(300)에 결합되어 전기에 의하여 원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400)와, 상기 가열장치(400)로 전력을 공급하고 자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소량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발전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장치(500)는 상기 발전장치(500)의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가열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0)은 수도 및 지하수 등 냉수로 형성되는 원수(原水)를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하는 통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100)은 케이스(200) 외측 어디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관(10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급수관(100)은 외부에서 원수를 케이스(200) 내부로 공급하며 케이스(200)를 관통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저장장치(300)로 유입시키거나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순환펌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120)는 케이스(200)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원수가 공급부(110)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순환펌프(120)를 관통한 원수가 저장장치(300)를 지나 난방시설로 전달되어 순환하도록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순환펌프(120) 및 저장장치(300)와 발전장치(50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의 외측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00) 및 배출관(130)이 일부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00)는 저장장치(300), 가열장치(400), 발전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와, 몸체의 외측에 결합되어 착탈가능한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200)의 커버에는 전기 온수 보일러를 가동할 수 있는 조작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300)는 상기 순환펌프(12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급부(110)가 일 측면에 결합되며 공급관에 의하여 전달되는 원수가 순환펌프(120)에 의하여 배출관(130)까지 순환하며 상기 가열장치(400)에 의하여 원수가 온수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장치(500)는 소량의 전력이 공급되면 동일한 전극의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전력을 증폭시키는 증폭기(510)와 증폭기(510)에 의하여 회전수가 극대화되는 발전기(530)에 의하여 가열장치(400)가 원수를 온수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장치에 가열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가열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장치(300)는 공급관에서 전달되는 원수가 배출관(130)으로 이동하며 순환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열장치(400)에 의하여 원수가 온수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저장장치(300)는 상기 급수관(100)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순환되도록 지그재그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저장부(310)와, 상기 저장부(310)의 하단에 상기 가열장치(400)가 결합되도록 개방되는 개방부(320)와, 상기 저장부(310)의 일 측면에 상기 급수관(100) 및 배출관(130)이 결합되는 결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저장부(310)는 단면이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단부에 개방부(320)가 구비되고 내측이 개방되어 가열장치(4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양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저장부(310)의 일 측면에는 급수관(100) 및 배출관(130)이 구비되어 급수관(100)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배출관(130)으로 배출될 때까지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320)는 상기 저장부(310)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열장치(4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장치(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30)는 다수의 저장부(3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저장부(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330)는 내측이 개방되어 다수의 저장부(310) 내부를 순환하여 급수관(100)에서 배출관(130)까지 원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30)는 다수의 저장부(310)를 연결할 때 상부와 하부를 번갈아가며 구비되어 다수의 저장부(310)를 순환하는 원수가 지그재그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400)는 상기 개방부(320)에 결합되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공급부(410)와, 상기 전력공급부(41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부(310)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원수에 열을 가하여 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열을 발생하는 히팅부(420)와, 상기 히팅부(420)를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저장부(310) 내부를 순환하는 원수에 의하여 상기 히팅부(420)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410)는 상기 개방부(320)에 히팅부(420)가 삽입된 후 개방부(320)를 단부에 구비하는 저장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410)는 발전장치(50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히팅부(420)에서 열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420)는 전체가 코일 및 구리 등 전력이 전가되는 재질로 감싸져 있으며, 저장부(310) 내측에 구비되어 전력에 의하여 코일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히팅부(420)의 열에 의하여 저장부(310) 내측에서 순환되는 원수가 온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파손방지부(430)는 상기 히팅부(4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히팅부(420) 외측에 덮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파손방지부(430)의 단부는 상기 전력공급부(4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손방지부(4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히팅부(420)의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파손방지부(430)에 의하여 전력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히팅부(420)가 원수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수에 전력이 공급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팅부(420) 및 상기 파손방지부(430)는 원수를 공급하는 방법 외에도 전기 난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력이 증폭되는 발전장치(500)에 의하여 소량의 전력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장치(500)는 상기 케이스(200) 외부 전력이 공급되면 자력에 의하여 회전속도가 증폭되는 증폭기(510)와, 상기 증폭기(510)에 의하여 증폭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전력을 증가시키는 발전기(530)와, 상기 증폭기(510)와 상기 발전기(530)를 연결하며 상기 증폭기(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전기(5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540)과, 상기 발전기(530)에 의하여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며, 상기 가열장치(40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5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510)는 소량의 전력을 자석의 미는 힘에 의하여 회전 속도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발전기(530)의 전력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발전기(5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상기 증폭기(510)에서 연장되는 회전축(540)이 결합되며 다수의 영구자석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531)와, 다수의 슬롯(5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롯(533)에 코일이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어부(5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531)는 상기 발전기(53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폭기(510)에서 증폭되어 회전하는 회전축(54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531)는 외측에 다수이 영구자석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의 이격거리(a)를 스테이터코어부(532) 치의 하단폭(b)의 70% ~ 130%가 되도록 형성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의 이격거리(a)와 스테이터코어부(532) 치의 하단폭(b)이 1 :1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영구자석간의 이격거리(a)가 치하단폭(b)의 70% ~ 130%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코킹토르크 저감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치하단폭(b)이 10mm일 경우에 영구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의 이격거리(a)는 7mm ~ 13mm 범위 내에서 설정해야 하는데, 이 범위을 벗어나게 되면 코킹토르크 저감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코어부(532)는 상기 회전체(531)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531)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5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터코어부(532)에는 치가 형성되게 되며, 치의 하단은 도 5와 같이 하단폭(b)이 구성되게 된다.
치의 하단폭(b)이 회전체(531)를 구성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치하단과 회전체(531)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여 회전체(531)가 일방향으로 스스로 움직일 수 있으며, 코깅토크 최소화는 회전체(531) 위치에 관계없이 척력이 발생하는 구간을 많게 하면 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체(531) 위치에 관계없이 자석과 자석사이가 치의 하단폭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숫자가 많아야 한다.
상기 발전기(530)는 극수와 슬롯(533)수의 조합에서 치의 하단폭과 자석사이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하면, 척력이 발생하는 구간이 최대화되고, 반대로 코깅토크는 최소화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척력이 발생하는 구간은 극수에 비례하게 되는데, 극수가 많으면 척력이 발생하는 구간이 증가하여, 코킹토르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커지며, 되고, 극수가 작으면 척력이 발생하는 구간이 감소하여, 코킹토르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계산식 P = S/3 ― 2에서 코킹토르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S를 3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발전기(530) 혹은 전동기의 크기, 출력 등에 따라서 S를 30미만으로 설계해도 코킹토르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550)는 상기 발전기(530)에서 코킹트로크를 최소화하여 전력이 원활히 공급되면 전력을 조절하여 가열장치(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550)에 의하여 너무 많은 전력이 가열장치(400)로 전달되어 가열장치(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폭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증폭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폭기(510)는 상기 회전축(540)이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측으로 코일이 감겨 외부 전력에 의하여 자력이 생성되는 다수의 전자석이 10~15도 각도로 구비되는 회전자(511)와, 상기 회전자(511)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의 고정자석(517)이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자(516)와, 다수의 상기 고정자(516)를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각도로 고정하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511)와 상기 고정자(516)를 내측에 수용하는 고정커버(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511)는 전력이 공급되면 회전축(5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내측에 회전축(540)이 고정되는 회전판(512)과, 상기 회전판(512)의 외측에 구비되어 금속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며 외측에 코일이 감기는 티스(5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판(512)은 상기 고정자(516)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티스(513)의 외측은 상기 고정자(516)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회전판(512)은 소량이 전력이 공급되면 외측에 형성된 코일로 전력이 공급되어 티스(513)의 외측에 전자석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티스(513)는 상기 회전판(512)의 외측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512)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연장판(514)과 연장판(514) 단부에서 평면으로 전자석이 형성되는 코어판(515)에 의하여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514)에는 코일이 감겨 소량의 전력이 발생하면 코어판(515)에 자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판(514) 외측에 코어판(515)이 10~15도로 각도가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자(511)는 다른 실시 예로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소량의 전력으로 회전하면 티스(513)에 구비되는 자석에 의하여 회전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자(516)는 상기 회전자(511)의 외측에 상기 회전자(511)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의 고정자석(517)이 상기 회전자(511) 방면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석이 전력에 의하여 '-'극이 발생되면 상기 전자석을 밀어내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자석(517)도 '-'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516)는 상기 고정커버(520)에 다수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자(516)는 상기 코어판(515)과 동일하게 10~15도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자(511)에 구비된 다수의 전자석이 10~15도로 변형된 각도에 의하여 소량의 전력으로도 회전량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자(511)의 티스(513)에 구비되는 전자석이 소량의 전력에 의하여 자력을 발생하면 상기 고정자(516)에 구비된 고정자석(517)에 의하여 전자석이 밀려 회전자(511)를 더욱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회전축(540)이 소량의 전력으로 더욱 빠르게 회전하여 발전기(530)의 회전체(531)를 보다 빠르게 회전시켜 전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520)는 다수의 상기 고정자(516) 양 측면이 10~15도로 고정되도록 10~15도로 형성되는 고정홈(522)이 구비되는 한쌍의 측면커버(521)와, 한쌍의 측면커버(521) 외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5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5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521)는 다수의 상기 고정자(516)가 10~15도 각도로 유지되고 상기 회전자(511)와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쌍의 상기 측면커버(521) 사이에 다수의 고정홈(5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홈(522)에서 회전자(511) 방면에는 다수의 상기 고정자(516)가 상기 회전자(511)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걸림턱(5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측면커버(521)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자(516)가 회전자(511)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회전자(511)를 회전축(5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온수 보일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급수관 200: 케이스
300: 저장장치 310: 저장부
320: 개방부 330: 결합부
400: 가열장치 410: 전력공급부
420: 히팅부 430: 파손방지부
500: 발전장치 510: 증폭기
520: 고정커버 530: 발전기
540: 회전축 550: 제어장치

Claims (7)

  1. 원수(原水)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이 관통되며 원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변환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된 원수가 저장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저장장치에 결합되어 전기에 의하여 원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자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소량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순환되도록 지그재그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상기 가열장치가 결합되도록 개방되는 개방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에 상기 급수관 및 배출관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원수에 열을 가하여 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열을 발생하는 히팅부와,
    상기 히팅부를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저장부 내부를 순환하는 원수에 의하여 상기 히팅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케이스 외부 전력이 공급되면 자력에 의하여 회전속도가 증폭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전력을 증가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증폭기와 상기 발전기를 연결하며 상기 증폭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며,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회전축이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측으로 코일이 감겨 외부 전력에 의하여 자력이 생성되는 다수의 전자석이 10~15도 각도로 구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의 고정자석이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자와,
    다수의 상기 고정자를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각도로 고정하는 다수의 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를 내측에 수용하는 고정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소량의 전력이 상기 회전자에 공급되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상기 전자석에 자력이 생성되어 상기 전자석과 동일한 전극인 상기 고정자석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의 회전이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중심에 상기 증폭기에서 연장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며 다수의 영구자석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와,
    다수의 슬롯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롯에 코일이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에 구비되는 다수의 영구자석 사이의 이격거리(a)는 상기 스테이터코어부의 치하단폭(b)의 70% ~13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수 보일러.
KR1020170046590A 2017-04-11 2017-04-11 전기 온수 보일러 KR20180114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90A KR20180114653A (ko) 2017-04-11 2017-04-11 전기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90A KR20180114653A (ko) 2017-04-11 2017-04-11 전기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53A true KR20180114653A (ko) 2018-10-19

Family

ID=6410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90A KR20180114653A (ko) 2017-04-11 2017-04-11 전기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46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36B1 (ko) 2019-01-07 2019-05-29 원수경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체의 순환 가열 구조를 가지는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36B1 (ko) 2019-01-07 2019-05-29 원수경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체의 순환 가열 구조를 가지는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44715B2 (en) AFPM coreless multi-generator and motor
US10148154B2 (en) Rotary electric generator stator, rotary electric generator comprising said stator and wind turbine incorporating said rotary electric generator
TWI363466B (en) Induction motor having rotors arranged concentrically and being able to used to generator
KR101764737B1 (ko) 코일형 가열관이 구비된 와전류 보일러
EP2647105A2 (en) Improved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06353077A (ja) 誘導電動機
JP6038525B2 (ja) 風力熱発電システム
KR20180114653A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20150002837U (ko) 모터 냉각장치
KR101558796B1 (ko) 와전류 유도 히팅장치
US11785679B2 (en) Rotary induction heater having a direct-current exciter
US20160365759A1 (en) Magnetic energy generation device
CN104682623A (zh) 串激电机
JP3211556U (ja) 永久磁石を利用した発熱装置
KR100981908B1 (ko) 발전 장치
KR101515486B1 (ko) 소형 자석 보일러
KR20110103637A (ko) 자석을 이용한 유도 발열장치
JP2011199982A (ja) 冷却機構を有した回転機
KR102353854B1 (ko) 모터구조
US10605449B2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rotary magnetic body
WO2011093192A1 (ja) 発電システム
JP5293626B2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発電システム
CN105099033A (zh) 用于电机的冷却结构
KR101607850B1 (ko) 회전 전기 기기
JP6602619B2 (ja) 回転電機または風力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