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24A - 요실금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요실금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24A
KR20180113824A KR1020170045438A KR20170045438A KR20180113824A KR 20180113824 A KR20180113824 A KR 20180113824A KR 1020170045438 A KR1020170045438 A KR 1020170045438A KR 20170045438 A KR20170045438 A KR 20170045438A KR 20180113824 A KR20180113824 A KR 20180113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module
electrode
control
treat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최정현
Original Assignee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102017004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824A/ko
Publication of KR2018011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2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internal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1Bladder and/or ureth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11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요실금 치료기능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요실금 치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요실금 치료장치는 체내에 삽입되어, 서로 다른 요실금 치료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치료모듈과; 치료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치료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ㅁ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치료모듈은 제어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요실금 치료장치{Apparatu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요실금 치료기능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요실금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을 보게 되는 현상으로, 최근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노령층이 증가하면서 그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요실금의 종류에는 아무 유발 요인 없이 소변이 배출되는 진성 요실금, 기침 등에 의해 복압이 올라갔을 때 발생하는 복압성 요실금, 소변을 보고 싶을 때 소변을 참지 못하는 절박 요실금,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 넘쳐 흘러서 발생하는 일류성 요실금이 있다.
이러한 요실금 치료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생식기 내부에 자극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자극을 주는 장치가 판매되고 있으나 그 기능을 다양하게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요실금 치료장치의 기능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721530000 (등록일자: 2002. 04. 0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요실금 치료기능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요실금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는 체내에 삽입되어, 서로 다른 요실금 치료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치료모듈과; 상기 치료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치료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장착된 치료모듈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체내와 접촉할 때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흐르는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체내에 광선선을 공급하는 광선치료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광선치료모듈의 광선은 상기 홀을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의 표면은 도전성 나노 입자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은 열공급부, 진동부 및 적외선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부가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은, 청결제가 저장되는 청결제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청결제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저장부를 가압하면, 상기 청결제가 상기 치료모듈의 주입노즐을 통하여 체내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는 하나의 제어모듈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다수의 치료모듈을 통하여 요실금 치료기능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제어모듈에 대해 제1 치료모듈을 분리하고, 제2 치료모듈을 체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제어모듈을보인 블럭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제어모듈이 제1 및 제2 치료모듈을 자동 인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제1 전극 영역 또는 제2 전극 영역의 배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를 보인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제어모듈에 대해 제1 치료모듈을 분리하고, 제2 치료모듈을 체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는 제1 치료모듈(100), 제2 치료모듈(2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은 여성의 생식기 내부에 삽입되어 요실금 치료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이 인체 내부에 삽입되므로,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은 유선형 디자인을 지닐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외측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성 생식기 내부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표면이 매끈하거나 상처를 주지 않을 정도의 요철이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요실금 치료 동작 및 이를 위한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제어모듈을보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전원부(310)와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전원부(310)는 제1 치료모듈(100)과 체결되어 제1 치료모듈(100)의 치료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330)는 제1 치료모듈(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제어모듈(300)은 제1 치료모듈(100)과 분리되어 제2 치료모듈(200)과 체결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제1 치료모듈(100)을 제어모듈(300)에 체결하여 제1 치료모듈(100)을 사용한 후 제1 치료모듈(100)을 제어모듈(300)로부터 분리한 후 제2 치료모듈(200)을 제어모듈(300)에 체결함으로써 하나의 제어모듈(300)로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제어모듈(300)로 복수의 치료모듈 중 체결된 치료모듈을 제어하므로 제어부(330)와 전원부(310)는 제어모듈(3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전원부(310)가 치료모듈에 구비될 경우, 다수의 치료모듈 각각에 전원부(310)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각 치료모듈이 생산원가가 증가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제어신호는 제어모듈용 단자(T1)를 통하여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로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에는 제어모듈용 단자(T1)에 대응하는 치료모듈용 단자(T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전원부(310)의 전압/전류를 공급받아 제어모듈(300)의 각 구성요소(예를 들어, 표시부, 입력부, 통신부, 메모리부 등),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에 적합한 전압/전류로 변환한 후 각 구성요소와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어모듈용 단자(T1)들 중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치료모듈용 단자(T2)들 중 일부는 제어신호가 아닌 전원을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을 위한 전원의 변환이 필요없을 경우 제어모듈용 단자(T1)와 전원부(310)가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어모듈용 단자(T1)와 치료모듈용 단자(T2)는 제어모듈(300)이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과 체결될 때 서로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300)은 메모리부(350), 통신부(370), 표시부(390) 및 입력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50)는 제어모듈(300),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동작을 위한 로직, 프로그램, 데이터 및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모듈(300),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신호를 제어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410)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390)는 제어모듈(300),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며, LC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370)는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 유선/무선 랜 모듈 또는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PC, 노트북, 태블렛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300)의 일측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일측에는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300)과,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체결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300)과,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자석과 같은 자력수단에 의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체결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제1 치료모듈(100)이 제어모듈(300)로부터 분리되고 제2 치료모듈(200)이 제어모듈(300)에 체결될 때, 제어모듈(300)은 제2 치료모듈(200)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은 치료모듈용 메모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이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과 체결될 때 제어부(330)가 제어모듈용 단자(T1)와 접촉된 치료모듈용 단자(T2)를 통하여 치료모듈용 메모리부(190)로부터 체결된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의 식별코드를 읽어 들일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식별코드에 따라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을 자동 인식할 수 있으며, 식별코드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부(350)로부터 읽어들여 체결된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마다 제어모듈용 단자(T1)와 접촉하는 치료모듈용 단자(T2)의 위치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330)는 제1 및 제2 치료모듈(100) 중 어느 치료모듈이 체결되었는지 자동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이 서로 이격 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는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이 여성의 생식기 내부와 접촉할 때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을 흐르는 교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격된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이 생식기 내부와 접촉하면 교류 전류의 경로는 제1 전극(E1), 생식기 내부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교류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이러한 교류 전류는 요도의 괄약근을 자극하여 괄약근의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요실금의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때 교류 전류의 주파수는 요실금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검증된 저주파수를 지닐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부(410)를 통하여 교류 전류의 주파수 및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장치는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사이에 치료용 광선을 조사하는 광선치료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광선치료모듈(150)은 질내부의 질환이나 염증을 치료함과 아울러 세포생성을 촉진한다. 광선치료모듈(150)는 발광소자(LED) 또는 레이저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30)는 전원의 전압/전류를 광선치료모듈(150)에 대한 적정 전압/전류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에 홀이 형성되며,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아래에 배치된 광선치료모듈(150)에서 조사된 광선은 상기 홀을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도전성 물질이 코팅될 경우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도전성 물질의 코팅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 이점을 감안하여,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의 표면은 도전성 나노 입자로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일반적인 도전성 물질에 비하여 벗겨지는 정도가 덜하므로 제1 치료모듈(100) 및 제2 치료모듈(200)의 사용기간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치료모듈(100)(200)은 열공급부, 진동부 및 적외선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부가모듈(25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부가모듈(250)이 동작할 수 있다. 진동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열공급부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방출부는 황토, 게르마늄, 옥, 자수정, 투르마린, 맥반석, 세라믹 볼과 같은 적외선 방출 물질과, 상기 적외선 방출 물질에 열을 가하는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열, 진동, 적외선의 공급시간이나 세기 등을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제1 또는 제2 치료모듈(100)(200)은 센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70)는 상기 부가모듈(250) 및 상기 광선치료모듈(150)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70)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 센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을 때, 제어부(330)는 열공급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여성의 냉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70)가 산도측정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어부(330)는 산도측정센서의 산도센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산도 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산도가 기준산도보다 낮을 때, 제어부(330)는 광선치료모듈(150)이 광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70)가 습도센서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330)는 습도센서의 습도 센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을 때, 제어부(330)는 광선치료모듈(150)이 광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출된 광선을 통하여, 산도가 낮거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증가할 수 있는 세균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싱부(170)가 압력센서나 전류센서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330)는 압력센서의 압력 센싱신호나 전류센서의 전류 센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거나 상기 전류 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330)는 진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센싱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거나 센싱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낮을 경우 근육이 과도하게 이완된 것이므로 진동부의 진동을 통하여 근육을 수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온도, 산도, 습도, 압력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통신부(37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외부로 출력된 정보는 이후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데 기본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은 여성청결제 저장부(270)와,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여성청결제 저장부(27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280)가 여성청결제 저장부(270)에 압력을 가하면, 여성청결제가 제1 치료모듈(100) 또는 제2 치료모듈(200)의 주입노즐(290)을 통하여 여성의 생식기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280)는 소형 리니어 모터와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압부(280)는 실린지 펌프(syringe pump)와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280)는 센싱부(170)와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70)가 산도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산도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산도가 기준산도보다 낮을 때, 제어부(330)는 가압부(280)를 동작시켜 여성청결제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70)가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습도센싱신호에 따른 센싱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을 때, 제어부(330)는 가압부(280)를 동작시켜 여성청결제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성청결제의 주입에 따라 생식기 내부에 세균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와 통신부(370)는 외부의 단말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필요한 정보의 업데이트나 의사가 환자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료의 결과를 피드백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1 치료모듈 150: 광선치료모듈
170: 센싱부 200: 제2 치료모듈
250: 부가모듈 270: 여성청결제 저장부
280: 가압부 290: 주입노즐
E1: 제1 전극 E2: 제2 전극
T1: 제어모듈용 단자 T2: 치료모듈용 단자
300: 제어모듈 310: 전원부
330: 제어부 350: 메모리부
370: 통신부 390: 표시부
410: 입력부

Claims (8)

  1. 요실금 치료장치에 있어서,
    체내에 삽입되어, 서로 다른 요실금 치료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치료모듈과;
    상기 치료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치료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실금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장착된 치료모듈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된 요실금 치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서로 이격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체내와 접촉할 때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흐르는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체내에 광선을 조사하는 광선치료모듈을 더 포함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광선치료모듈에서 조사된 광선은 상기 홀을 통하여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의 표면은 도전성 나노 입자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은 열공급부, 진동부 및 적외선 방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부가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한 치료모듈은,
    청결제가 저장되는 청결제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청결제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저장부를 가압하면, 상기 청결제가 상기 치료모듈의 주입노즐을 통하여 체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KR1020170045438A 2017-04-07 2017-04-07 요실금 치료장치 KR20180113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38A KR20180113824A (ko) 2017-04-07 2017-04-07 요실금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38A KR20180113824A (ko) 2017-04-07 2017-04-07 요실금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24A true KR20180113824A (ko) 2018-10-17

Family

ID=6409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38A KR20180113824A (ko) 2017-04-07 2017-04-07 요실금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82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580A1 (ko) * 2018-10-26 2020-04-30 문명건 전립선 및 치질 치료기기
KR102118510B1 (ko) * 2020-03-16 2020-06-03 강선영 Led, 고주파 및 ems를 이용한 질치료 장치
KR20200111837A (ko) * 2019-03-19 2020-10-05 전혜련 여성용 치료 장치
KR20200123357A (ko) * 2019-04-19 2020-10-29 한국진 색상별 led를 이용한 여성 생식기 질내 질환 치료기
KR20220040236A (ko) * 2020-09-23 2022-03-30 (주)비올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점막하 조직의 치료 장치
KR102454902B1 (ko) * 2021-09-09 2022-10-21 주식회사 메드믹스 연고 도포 기능을 포함하는 광 조사 저주파 발생기
KR102454901B1 (ko) * 2021-09-09 2022-10-21 주식회사 메드믹스 연고 도포 기능을 구비하는 질 광 조사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580A1 (ko) * 2018-10-26 2020-04-30 문명건 전립선 및 치질 치료기기
KR20200111837A (ko) * 2019-03-19 2020-10-05 전혜련 여성용 치료 장치
KR20200123357A (ko) * 2019-04-19 2020-10-29 한국진 색상별 led를 이용한 여성 생식기 질내 질환 치료기
KR102118510B1 (ko) * 2020-03-16 2020-06-03 강선영 Led, 고주파 및 ems를 이용한 질치료 장치
US20210283419A1 (en) * 2020-03-16 2021-09-16 Sun-young KANG Vaginal treatment device using leds, high-frequency waves, and ems
US11660463B2 (en) * 2020-03-16 2023-05-30 Sun-young KANG Vaginal treatment device using LEDs, high-frequency waves, and EMS
KR20220040236A (ko) * 2020-09-23 2022-03-30 (주)비올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점막하 조직의 치료 장치
KR102454902B1 (ko) * 2021-09-09 2022-10-21 주식회사 메드믹스 연고 도포 기능을 포함하는 광 조사 저주파 발생기
KR102454901B1 (ko) * 2021-09-09 2022-10-21 주식회사 메드믹스 연고 도포 기능을 구비하는 질 광 조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3824A (ko) 요실금 치료장치
US10940080B2 (en) Method for sexual stimulation
US10166168B2 (en) At-home light-emitting diode and massage device for vaginal rejuvenation
US10413473B2 (en) Sexual stimulation device using light therapy, vibration and physiological feedback
KR102089634B1 (ko) 광선치료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장치
CN106345057B (zh) 一种电针刺激智能塑身内衣系统
US11116691B2 (en) Light-emitting diode and massage device for delivering focused light for vaginal rejuvenation
ATE333303T1 (de) Bleichvorrichtung mit elektrooptischen und chemischen mitteln,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der medizin und zahnmedizin
WO2011081363A2 (ko) 레이저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
KR20160095574A (ko) 휴대용 비염 치료기
CN108814570A (zh) 一种理疗仪及参数确定方法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5268833U (zh) 骶神经刺激器程控仪
TWM541866U (zh) 軟薄膜微電極裝置
CN212235628U (zh) 可穿戴骶丛神经刺激器
CN110721404B (zh) 可穿戴骶丛神经刺激器及其电刺激方法
KR101667320B1 (ko) 피부자극 치료기기
KR20020062110A (ko) 진동-저주파 마사지 장치
CN106039567A (zh) 金属纳米线透明导电薄膜、应用金属纳米线透明导电薄膜的理疗仪及其工作方法
CN110732084B (zh) 中频电刺激可穿戴踝泵康复治疗仪及其电刺激方法
JP2013094429A (ja) レーザ治療器
KR101372938B1 (ko)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인지 방식의 미세전류 자극 장치
KR101466447B1 (ko) 광역학 다중파장 피부염 치료 장치
CN211634889U (zh) 中频电刺激可穿戴踝泵康复治疗仪
KR20220131783A (ko) 여성용 질 치료보조형 스마트 온열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