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9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92A
KR20180113792A KR1020170045335A KR20170045335A KR20180113792A KR 20180113792 A KR20180113792 A KR 20180113792A KR 1020170045335 A KR1020170045335 A KR 1020170045335A KR 20170045335 A KR20170045335 A KR 20170045335A KR 20180113792 A KR20180113792 A KR 2018011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refrigerator
reinforcing
reinforcing por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792A/ko
Publication of KR2018011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장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과 결합되는 바닥부가 포함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의 바닥면 및 인접하는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저장물의 보관을 위한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저장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 및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이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의 일면은 저장물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일 측에는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고 도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에는, 저장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소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에는, 저장물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이나 저장물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스켓은 각종 저장물을 수용하고 신선하기 보관하기 위한 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대용량 냉장고가 개발되면서 상기 바스켓의 크기도 다양하고 많은 양의 저장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형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바스켓에 수용되는 저장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바스켓에 변형이 발생되고, 계속되는 경우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냉장고에는 상기 바스켓에 보강구조를 삽입하여 변형을 방지하였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냉장고의 바스켓(20)에는, 복수의 보강리브(29)가 마련된 바닥면(26)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리브(29)는 상기 바닥면(26)의 장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20)에 수납되는 저장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바닥면(26)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9)의 사이에는 상기 보강리브(29)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다소 큰 한 쌍의 결합홈(27)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27)에는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40)가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홀(28)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27)에는 상기 바닥면(26)의 보강을 위한 한 쌍의 보강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금속 프레스물로 마련되고, 상기 바스켓(20)의 바닥면(26)을 장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길이로 구비된다. 또한, 각 보강부재(30)에는 상기 결합부재(40)가 관통되는 삽입홀(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바스켓(20)은, 상기 보강부재(30)를 상기 결합홈(27)에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40)를 상기 삽입홀(31) 및 상기 고정홀(28)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바닥면(28)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냉장고의 바스켓은, 보강부재 및 결합부재 등 부가적인 재료를 필요로 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결합시키는 공정이 더 추가되기 때문에 재료비가 상승되고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바스켓의 바닥면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결합되는 경우 부품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보강부재의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리브가 바닥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바닥면에 수축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로 인해 디자인적으로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가적인 재료 및 부가적인 공정없어 비교적 재료비 및 작업시간이 줄어듬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된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대형화에 대응하여, 많은 양의 저장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대형화되고 바닥면의 변형이 방지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스켓은 비교적 많은 양의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부에 해당된다.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장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과 결합되는 바닥부가 포함된다. 즉, 상기 바스켓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바닥부는 요철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자세하게는,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의 바닥면 및 인접하는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바닥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는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부가적인 부재 및 부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바닥면은 평판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면보다 8mm이상, 12mm이하의 길이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부는 10mm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면과 110도이상, 150도이하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강부는 1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닥면에는, 제 1 바닥면, 제 2 바닥면 및 제 3 바닥면이 포함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제 1 바닥면과 상기 제 2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바닥면과 상기 제 3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보강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육면체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축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에 의해,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닥부의 단축을 일 축으로 하는 직육면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이한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는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많은 양의 저장물을 수용한 바스켓의 변형을 방지하고, 더하여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구성이나 이를 결합하는 부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바스켓은 바닥부에 요철구조가 마련되어 저장물에 의한 하중에 의한 바스켓을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요철구조는 상기 바스켓의 형성공정에서 함께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잘못된 결합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 좋은 바스켓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바스켓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냉장고의 바스켓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을 비교한 시뮬레이션 자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마련되고, 내부에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20)은 상기 냉동실(130)의 상부에 형성되고, 격벽(102)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10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냉장고(10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130)이 상기 냉장실(120)보다 상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냉동실(130) 및 상기 냉장실(120)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00)에는, 상기 냉장실(12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125) 및 상기 냉동실(13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동실 도어(135)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도어의 형태도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25)는 상기 냉장실(120)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25)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7)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27)를 통해 상기 냉장실 도어(125)를 일 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3과 같이 상기 냉장실(120)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35)는 하나로 마련되며, 상부에 손잡이부(137)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37)를 통해 상기 냉동실 도어(135)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도 3과 같이 상기 냉동실(130)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25)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조작 가능한 디스펜서 장치(140)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펜서 장치(140)에는, 상기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하여 눌러질 수 있는 누름부(145)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25)의 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 장치(140)에 물 또는 얼음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저장부(147)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47)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5)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0)과 상기 냉동실(130)에는 각종 저장물이 보관되고, 상기 냉장실(120)과 상기 냉동실(130)은 효과적으로 저장물을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소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냉장실(120) 및 상기 냉동실(130)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소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디스펜서 장치(140) 및 상기 저장부(147)가 형성되지 않은 냉장실 도어(125)의 후면에는, 각종 저장물을 보관할 수 있는 도어포켓(150)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포켓(150)은 상기 냉장실 도어(125)에 다양한 형상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포켓(150)에는, 물이나 음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0)에는, 상기 냉장실(120)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16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선반(160)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16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형태에 따라 저장공간을 상기 선반(160)으로 구획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20)에는, 소정의 저장물을 수용하는 소형 바스켓(17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형 바스켓(170)은 상기 냉장실(170)의 하부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형 바스켓(170)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부의 저장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0)에는, 소정의 저장물을 수용하는 구획함(18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된 저장물에 손쉽게 접근하도록, 상기 구획함(180)은 전면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130)에는, 얼음 등이 보관되는 아이스바스켓(1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바스켓(190)에는, 비교적 대량의 얼음이 보관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130)에는, 비교적 대량의 저장물이 수용되는 바스켓(2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200)은 전면에 상기 냉동실 도어(135)가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135)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바스켓(200)이 전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스켓(20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00)에 배치되는 바스켓(200)은 대량의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200)은 도 3과 같이 상기 냉동실(13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1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스켓(200)이 상기 냉동실(130)에 배치되는 경우, 다양한 냉동식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200)이 상기 냉장실(120)에 배치되는 경우, 야채 및 과일 등 다양한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0)은 상기 냉동실 도어(135)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135)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스켓(200)은 상기 냉동실 도어(135)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125)가 회동되어 상기 냉동실(130) 또는 상기 냉장실(120)을 개방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전면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스켓(200)의 형상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0)은 소정의 수용공간(210)을 갖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바스켓(20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면(220), 후면(230), 한 쌍의 측면(240) 및 바닥부(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스켓(200)이 상기 냉장실(120) 또는 상기 냉동실(13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전면(220)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스켓(2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220)에는 파지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상기 바스켓(200)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220)은 상기 냉장실 도어(125)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135)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125)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135)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전면(220)이 함께 이동되어 상기 바스켓(20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220), 상기 후면(23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0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0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05)는 상기 수용공간(210)과 상기 바스켓(200)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개구부(205)를 통해 냉기 또는 수분 등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05)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바스켓(2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바스켓(200)은 상기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저장물이 외부에서 가시되도록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200)은 사용자의 편의 및 생산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0)에는 비교적 대량의 저장물이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바스켓(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비교적 크다. 특히, 저장물은 상기 수용공간(210) 중, 상기 바닥부(250)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바닥부(250)에 가해지는 하중이 비교적 크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00)는 비교적 큰 하중이 가해지는 상기 바닥부(25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부(250)을 소정의 형상으로 마련하였다. 이하, 상기 바닥부(250)의 형상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바스켓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50)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의 평판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25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면(220), 상기 후면(23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240)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바닥부(250)은 전체적으로 평판의 형태로 마련되지만 소정의 요철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철구조를 통해 상기 바닥부(25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배시켜 상기 바닥부(25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철구조는 상기 바닥부(250)의 제조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별도의 결합공정 및 결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에 유리하다.
이하, 상기 바닥부(250)에 형성된 요철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50)은 복수의 부분을 분리되어 마련된다. 이하, 각 바닥부(250)을 제 1 바닥면(260), 제 2 바닥면(262) 및 제 3 바닥면(264)이라 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바닥면(260, 262, 264)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상기 바닥부(250)은 다양한 개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5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장축 및 단축을 갖는다. 이때,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250)의 가로길이에 해당되는 길이, 즉, 상기 바닥부(250)의 장축을 L1이라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바닥면(260, 262, 264)은 상기 바닥부(250)의 세로길이를 일 축으로 하고, 다른 일 축을 L2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로 마련된다. 이때, L2는 L1을 바닥부(250)의 개수로 나눈 길이이다. 즉, 상기 바닥부(250)이 3개로 형성된 경우, L2는 L1의 3분의 1값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상기 바닥부(250)은 상기 바닥부(250)의 장축을 기준으로 나누어진다. 각 바닥면(260, 262, 264)의 사이에는 하부로 돌출된 보강부(270, 27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270, 272)와 상기 바닥부(2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부(280)와는 상이하다. 상기 지지부(280)는 상기 바닥부(250) 전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전면(220), 상기 후면(23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240)과 연결된다.
상기 보강부(270, 275)는 각 바닥면(260, 262, 264)의 사이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바닥부(250)의 단축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부(270, 275)에 의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바닥면(260, 262, 264)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70, 275)에는 상기 제 1 바닥면(260)과 상기 제 2 바닥면(262)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보강부(270) 및 상기 제 2 바닥면(262)과 상기 제 3 바닥면(264)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보강부(275)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제 1 보강부(27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1 보강부(270) 및 상기 제 2 보강부(275)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상기 제 2 보강부(275)에도 적용된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보강부(270)는 상기 제 1 바닥면(260)과 상기 제 2 바닥면(26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270)는 상기 (260) 및 상기 제 2 바닥면(262)보다 소정의 길이(H)만큼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270)는 상기 제 1 바닥면(260)과 상기 제 2 바닥면(262)과 소정의 각도(θ)로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보강부(270)를 포함한 상기 바닥부(250)은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프레스를 이용하여 평평한 평판에 압력을 가해 상기 제 1 보강부(27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길이(H)만큼 돌출시키며, 상기 소정의 각도(θ)를 갖도록 상기 제 1 보강부(27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길이(H)는 8~12mm로 마련될 수 있고, 특히,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는 상기 지지부(280)의 돌출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110~150도로 마련될 수 있고, 특히, 1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소정의 길이(H) 및 소정의 각도(θ)로 형성된 보강부(270, 275)를 갖는 본 발명의 바스켓(200)과 종래의 바스켓을 비교하였다.
도 8은 종래 냉장고의 바스켓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바스켓을 비교한 시뮬레이션 자료이다.
도 8의 (a)는 일반적인 보강리브만을 갖는 바스켓에 관한 것이고, 도 8의 (b)는 도 1에서 설명한 보강리브 및 보강부재가 결합된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도 8의 (c)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소정의 길이(H) 10mm로 돌출되고, 소정의 각도(θ) 120도로 마련된 보강부를 갖는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하중을 바닥면의 중심에 가한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스켓은 최대로 35mm의 변형량을 가지고, 도 8의 (b)는 최대로 11mm의 변형량을 가졌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스켓은 최대로 9mm의 변형량을 가졌다.
즉, 동일한 하중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스켓은 최소의 변형량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실험은 도 8의 (b)에 보강부재가 적합한 상태로 결합된 것을 전제로 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재가 부적합한 상태로 결합되는 경우 부분적으로 과도한 하중이 걸려 변형량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에 요철구조를 갖는 것으로 부가적인 부재 및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재료비가 비교적 적고 작업시간이 감소한다. 그에 따라, 작업성이 좋은 효과도 있다.
100 : 냉장고 200 : 바스켓
210 : 수용공간 250 : 바닥면
260 : 제 1 바닥면 262 : 제 2 바닥면
264 : 제 3 바닥면 270, 275 : 보강부
280 : 지지부

Claims (10)

  1. 저장물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저장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과 결합되는 바닥부;가 포함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의 바닥면; 및
    인접하는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는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평판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면보다 8mm이상, 12mm이하의 길이로 하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면과 110도이상, 150도이하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면에는, 제 1 바닥면, 제 2 바닥면 및 제 3 바닥면이 포함되고,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제 1 바닥면과 상기 제 2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보강부 및 상기 제 2 바닥면과 상기 제 3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보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육면체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축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닥부의 단축을 일 축으로 하는 직육면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후면 및 한 쌍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는 슬릿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045335A 2017-04-07 2017-04-07 냉장고 KR20180113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35A KR20180113792A (ko) 2017-04-07 2017-04-0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35A KR20180113792A (ko) 2017-04-07 2017-04-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92A true KR20180113792A (ko) 2018-10-17

Family

ID=6409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335A KR20180113792A (ko) 2017-04-07 2017-04-0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184B2 (en) Refrigerator
US7475562B2 (en) Ice storage drawer for a bottom mount refrigerator
US8616665B2 (en) Door bin for a domestic refrigerator
KR101701860B1 (ko) 냉장고
JP2006003063A (ja) 冷蔵庫
US20130127322A1 (en) Refrigerator
KR101437170B1 (ko) 냉장고
JP3895136B2 (ja) 冷蔵庫の引出し容器
US20110232317A1 (en) Insulation front of ice storage compartment
KR20030083813A (ko)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80523A (ko) 커버어셈블리를 가진 서랍칸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13792A (ko) 냉장고
US20170059235A1 (en) Refrigerator drawer having french doors
KR100812361B1 (ko) 김치저장고용 음료용기 보관장치
US9310125B2 (en) Refrigerator and door pocket of refrigerator
KR20120129480A (ko) 냉장고 선반 조립체
CN220229688U (zh) 储物柜
EP2588820B1 (en) Refrigerator
KR20160044233A (ko) 냉장고
EP314941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door-in-door structure
KR20070062350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30040848A (ko) 냉장고의 선반
KR101125888B1 (ko) 냉장고의 야채보관함
JP2008151409A (ja) 冷蔵庫
US20190316826A1 (en) Side-by-side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reezer in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