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8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87A
KR20180113787A KR1020170045319A KR20170045319A KR20180113787A KR 20180113787 A KR20180113787 A KR 20180113787A KR 1020170045319 A KR1020170045319 A KR 1020170045319A KR 20170045319 A KR20170045319 A KR 20170045319A KR 20180113787 A KR20180113787 A KR 2018011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device
content
us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이영록
김미영
임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787A/ko
Priority to US15/945,815 priority patent/US20180293963A1/en
Publication of KR2018011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 중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청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 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자동차를 구성하는 기계적인 시스템들이 최근에 전기, 전자 시스템으로 빠르게 교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GPS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전후방 카메라, 자동차 제어, DMB 등과 같이 다양한 목적을 위해 자동차 대쉬보드(dashboard)에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있다.
그 중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운행 중 외부 연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만,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수신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개인적인 전화, SMS 등이 동승자에게 함께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자의 운행을 방해하는 컨텐츠 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가 운행 중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면, 동승자 또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운전자에게는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정보 또는 개인적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동승자에게는 다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 중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로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모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가 제공되면, 나머지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운전석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조수석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서 상기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제공되는 차량 제어 메뉴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 중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이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로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모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가 제공되면, 나머지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운전석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조수석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서 상기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제공되는 차량 제어 메뉴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는 한 영역으로 제공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이용시에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레벨에 기초한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타입에 기초한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향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차와 연결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역을 분리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서로 다른 영역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시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가상의 제1 영역(101)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가상의 제2 영역(102)으로 분리하고,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거리 이격된 시역을 좌측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좌측 영역 및 우측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우측 영역으로 분리하고,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사용자는 좌측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며,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는 우측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시역을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각 영역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우측 및 가운데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된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이 제1 영역(101)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101)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역(102)으로는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각각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모두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은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 및 컨텐츠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준이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중인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102)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레벨은 컨텐츠 별로 설정된 값이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버시 레벨은 컨텐츠 별 사용자가 설정한 레벨 및 컨텐츠 별 기설정된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프라이버시 레벨은 컨텐츠의 카테고리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컨텐츠 별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사진인 모든 컨텐츠가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프라이버시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진 컨텐츠들 중에서 특정 사진만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프라이버시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개인 동영상 컨텐츠를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인 제1 영역(101)으로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는 개인 동영상 컨텐츠가 아닌 다른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제1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제2 컨텐츠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컨텐츠를 나머지 영역으로 제공하지 않고, 제1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개인 컨텐츠,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공용 컨텐츠로 통칭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센서(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PC, 태블릿 PC,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1) 및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복수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서브 픽셀은 R(Red), G(Green), B(Blue)로 구성될 수 있다. 즉, R, G, B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픽셀이 복수의 행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1)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LCD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백라이트를 공급하는 백라이트부(미도시) 및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픽셀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픽셀들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시역 분리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시역을 복수의 가상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시역은 각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컨텐츠가 제공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는 시역 분리부(112)를 거쳐 각 영역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역 분리부(112)는 시역을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으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는 제1 영역(101)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는 제2 영역(102)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시역 분리부(112)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또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역 분리부(112)가 패러랙스 배리어로 구현되면, 패러랙스 배리어는 복수의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슬릿 어레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시역 분리부(112)는 배리어 영역 간의 슬릿(slit)을 통해 광을 차단하여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각각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역 분리부(112)는 복수의 렌즈 영역을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는 복수의 렌즈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굴절시킬 수 있다. 각 렌즈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각 픽셀을 투과하는 광을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각각으로 상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 및 시역 분리부(112)가 시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a 및 3b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2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사용자의 시청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120)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역 분리부(112)를 통해 시역이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으로 분리되고, 제1 방향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역(102)으로는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방향에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모두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 및 컨텐츠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방향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가려지면, 센서(120)는 터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된 터치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가 감지한 터치 방향이 제1 방향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에 제공되는 컨텐츠가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120)는 카메라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와 연결되어 자동차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유/무선 방식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우선, 프로세서(140)는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판단된 영역으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시역 분리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영역(101)을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 영역(101)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영역(102)으로는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모두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에 기초하여, 개인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모두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프로세서(14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컨텐츠가 제공하며, 개인 컨텐츠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컨텐츠는 한 영역으로 제공되며, 나머지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는 상이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는 공용 컨텐츠 또는 다른 개인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가 개인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하는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은 사용자의 입력에 감지된 영역,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 컨텐츠 별 기설정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가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영역을 판단하면, 개인 컨텐츠는 제1 영역(101) 또는 제2 영역(102) 중 판단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개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에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개인 컨텐츠는 제1 영역(101)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개인 컨텐츠가 외부 단말 장치에서 수신되는 컨텐츠이고, 해당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이 제1 영역(101)으로 판단되면, 개인 컨텐츠는 제1 영역(10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02)으로는 외부 단말 장치에서 수신된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공용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모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는 공용 컨텐츠를 동일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용도 및 컨텐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가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타입은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및 컨텐츠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속성은 동영상, 이미지, 문서,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에, 동영상 컨텐츠는 운전석에 제공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동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컨텐츠가 특정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예를 들어, 조수석)으로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방송(예를 들어, DMB), 영화, 드라마 등 운전에 방해가 되는 컨텐츠가 운전석으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서로 다른 영역으로 제공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각각의 데이터를 조정하여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데이터는 콘트라스트, 휘도, 색조, 감마값 등 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에서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제1 및 제2 컨텐츠의 해상도에 차별을 둘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면,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픽셀을 이용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텐츠는 제2 컨텐츠 보다 고해상도로 제1 영역(10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역 분리부(112)는 빛의 투과 방향을 물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빛의 투과 시간(또는 투과 빈도) 및 빛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각각 제공되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역 분리부(112)가 물리적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슬릿 형태도 구현되면, 빛의 투과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시인성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서로 다른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면, 사용자들이 위치한 영역(예를 들어, 운전석 및 조수석)에 따라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상이하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각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시인성에 기초하여, 각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영역(예를 들어,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고해상도의 컨텐츠를 제공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차랑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시인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스토리지(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스토리지는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프라이버시 레벨 및 컨텐츠에 대한 고유 프라이버시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고유 프라이버시 레벨은 컨텐츠 생성 단계에서 컨텐츠에 설정된 프라이버시 레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라이버시 레벨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면, 스토리지는 지도 프로그램, 차량 제어 메뉴, 기타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메뉴는 기존에 물리적 버튼에 의해 조작되었던 차량 제어 기능을, 디스플레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것이다. 따라서, 물리적 버튼이 아닌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차량 제어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특정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에 구비된 에어컨은 물리적 버튼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차량 제어 메뉴 내에 '에어컨 On' 버튼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역 분리부(11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a에 따르면, 시역 분리부(112)는 패러랙스 배리어로 구현될 수 있다. 패러랙스 배리어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전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슬릿 어레이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배리어 영역 간의 슬릿(slit)을 통해 광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시역을 복수의 가상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각각에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픽셀들에 제1 컨텐츠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픽셀들에는 제2 컨텐츠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컨텐츠는 패러랙스 배리어를 좌측 방향으로 투과하여 좌측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2 컨텐츠는 패러랙스 배리어을 우측 방향으로 투과하여 우측 영역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에는 제1 컨텐츠가 제공되며,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102)에는 제2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개인 컨텐츠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1) 내의 일부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인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용 컨텐츠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구분없이 디스플레이한다. 즉, 공용 컨텐츠의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포함된 모든 픽셀에 공급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역 분리부(112)의 기능이 온/오프 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상도가 다른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의 기능이 오프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와 동일한 해상도의 컨텐츠가 시청자에게 제공되지만, 렌티큘러 렌즈의 기능을 온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의 컨텐츠가 시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역 분리부(112)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복수의 열(column)로 구분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즉,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각각 대응되는 픽셀 열에 서로 다른 영상 뷰가 교차하여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뷰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교차하여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1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1)로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 유닛(113)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형성되는 각 영상 뷰는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12')로 투사되고,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12')는 투사되는 각 영상 뷰의 광을 분산시켜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로 전달한다. 즉, 분리된 이미지 광들은 각각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으로 컨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에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어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모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레벨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개인 컨텐츠를 제공할 하나의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은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 외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 컨텐츠 별 기설정된 영역,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설정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면, 연결된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영역으로 개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단말 장치(200)와 연결되면, 외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PC, 태블릿 PC,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영역으로 개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된 외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이 운전석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운전석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만 개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단말 장치(200)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단말 장치(200) 또는 차량의 소유주가 사용하는 외부 단말 장치(200)로 판단되면, 개인 컨텐츠는 운전석으로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용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모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지도 어플리케이션은 제1 영역(101)(예를 들어, 운전석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 및 제2 영역(102)(예를 들어, 조수석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에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단말 장치(200)에서 수신된 개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인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의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단말 장치(200)에서 수신된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을 판단하고, 개인 컨텐츠로 판단되면,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특정 영역으로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컨텐츠(예를 들어, 전화 또는 SMS 등)는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추가 입력에 따라 개인 컨텐츠가 '운전석' 및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타입에 기초한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의 타입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하나의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면,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에 부적합한 컨텐츠 타입을 가지는 컨텐츠는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석으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방송(예를 들어, DMB), 영화, 드라마 등의 컨텐츠는 조수석으로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방송(예를 들어, DMB), 영화, 드라마 등의 운전에 방해가 되는 컨텐츠가 운전석으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터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향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센서(120)는 터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센서(120)는 터치 명령이 입력된 방향을 감지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센서(120) 중 어느 하나의 센서(120)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가려지게 되면, 센서(120)는 이에 기초하여 터치 명령이 입력된 방향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에 기초하여 터치를 입력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센서가 사용자 터치에 따라 가려지게 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방향을 좌측 방향(예를 들어, 운전석 방향)으로 판단하며, 좌측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감지된 터치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터치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츠가,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고, 제1 방향에서 터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에 제공되는 컨텐츠가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운전석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컨텐츠가 터치 명령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에 제공되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및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없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드시 복수의 센서(120)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 및 터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하부에 단일 센서로 비치되어 터치 방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서(120)는 카메라로 구현되어 터치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 또는 터치 방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에서 터치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서 터치 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선시트 온도 조절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방향에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방향에 위치한 열선시트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이 운전석 방향이면, 운전석 방향에 대응하는 운전석 열선시트의 온도가 터치 명령에 따라 조절되고, 제2 방향인 조수석 방향에 대응하는 조수석 열선시트의 온도는 변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차량 제어 메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서 제어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메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어, 자동차와 연결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와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위치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석에서 사용자가 감지되고, 조수석에서는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컨텐츠에 대한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이한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방향 및 터치 명령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로 전송하여, 자동차가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명령이 운전석 방향 또는 조수석 방향에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고, 터치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이 차량 제어 기능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명령이 입력된 방향 및 터치 명령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는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석 방향에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자동차는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여 운전석 시트의 온열/통풍 온도, 운전석 주변에 구비된 스피커의 볼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와 연결되어, 자동차에 구비된 센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 또는 판단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외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탑승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차와 연결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20) 및 외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와 연결되어,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 장치(200)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의 의자에 구비된 센서(810)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판단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차와 연결되어 자동차에 구비된 센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S910).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102) 중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한다(S920).
이어서,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여 판단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한다(S930).
한편, S930 단계에서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가 각각 제1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1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은,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이고, S930 단계에서는,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로 제공하고, 컨텐츠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모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930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 중 하나로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가 제공되면, 나머지 하나로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930단계에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컨텐츠는,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930단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제1 방향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운전석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조수석 방향일 수 있다.
또한, S910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서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S910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제공되는 차량 제어 메뉴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101)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102) 중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여 판단된 영역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11 : 디스플레이 패널 112 : 시역 분리부
120 : 센서 130 : 통신 인터페이스
140 : 프로세서 200 :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
    사용자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 중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로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모두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가 제공되면, 나머지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운전석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조수석 방향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서 상기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제공되는 차량 제어 메뉴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역을 분리하는 시역 분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제2 영역 중 상기 감지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역 분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영역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컨텐츠 별 프라이버시 레벨이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로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모두에 제공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컨텐츠가 제공되면, 나머지 하나로 상기 기설정된 레벨 미만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서로 다른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컨텐츠를 상이한 해상도로 제공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프라이버시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외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영역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운전석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조수석 방향인,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서 상기 터치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제공되는 차량 제어 메뉴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터치 명령의 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제어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045319A 2017-04-07 2017-04-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13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19A KR20180113787A (ko) 2017-04-07 2017-04-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945,815 US20180293963A1 (en) 2017-04-07 2018-04-0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19A KR20180113787A (ko) 2017-04-07 2017-04-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87A true KR20180113787A (ko) 2018-10-17

Family

ID=6371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319A KR20180113787A (ko) 2017-04-07 2017-04-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293963A1 (ko)
KR (1) KR201801137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49517A1 (en) * 2018-05-10 2019-11-14 Hanwha Techwin Co., Ltd. Video capturing system and network system to support privacy mod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0818B2 (ja) * 2002-11-25 2009-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および携帯表示装置
JP5925749B2 (ja) * 2013-11-27 2016-05-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640053B1 (ko) * 2015-01-02 201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06892B1 (ko) * 2016-05-09 201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3963A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7948B2 (ja) 表示装置
US7747961B2 (en) 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s
US105792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7969423B2 (en) Display control system, operation input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700309B2 (en) Multiple visual display device and vehicle-mounted navigation system
US2017035735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50234569A1 (en) Vehicle user interface unit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US20070262953A1 (en) Multiple-view display system having user manipulation control and method
CN101473262A (zh) 多视图显示设备
US20140184547A1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1391578B (zh) 显示装置
US111504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rippling in a display system including multiple displays
US20150293739A1 (en) Compu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puting apparatus thereof, and multi-display system
EP290596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80078080A (ko) 표시 장치
CA2774051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isplay and a vehicle display system
US20130050197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6184860A (ja) マルチビュー表示装置
US20160124224A1 (en) Dashboard system for vehicle
WO2019103991A1 (en) Depth based alerts in multi-display system
CN103793047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704149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質調整方法、および画質調整装置
EP2444882A1 (en) Multi-view display
KR20180113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007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