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232A -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232A
KR20180113232A KR1020170044250A KR20170044250A KR20180113232A KR 20180113232 A KR20180113232 A KR 20180113232A KR 1020170044250 A KR1020170044250 A KR 1020170044250A KR 20170044250 A KR20170044250 A KR 20170044250A KR 20180113232 A KR20180113232 A KR 20180113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lding means
magnetic holding
circui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용
김종호
박윤배
Original Assignee
(주)에프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티씨 filed Critical (주)에프티씨
Priority to KR102017004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232A/ko
Priority to PCT/KR2018/003606 priority patent/WO2018186618A1/ko
Publication of KR2018011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32B2041/06Starting the lamination machine or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의 액정 패널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가능하며, 이때 액정 패널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함에 있어서 손과 같은 도전체로서 정전용량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장갑과 같은 비도전체로서 감압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하여 액정 패널의 작동신호로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PET층과 열경화성수지층 및 전도체 필름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도 전기적 신호를 용이하게 휴대폰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특히 상부면을 라운드면으로 처리하여 터치후 자동 복원되면서 터치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LCD protection film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capctitance type touch penal}
본 발명은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의 액정 패널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가능하며, 이때 액정 패널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함에 있어서 손과 같은 도전체로서 정전용량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장갑과 같은 비도전체로서 감압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하여 액정 패널의 작동신호로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PET층과 열경화성수지층 및 전도체 필름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도 전기적 신호를 용이하게 휴대폰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특히 상부면을 라운드면으로 처리하여 터치후 자동 복원되면서 터치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고가의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 및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상기의 목적뿐만 아니라 미관을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개발은 소재 및 디자인의 개선을 통하여 주로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아름답고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사용자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적절한 구멍 의 배치로써 휴대폰 본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견고하고 튼튼한 소재로써 본래의 목적을 충실하게 구현하려는 제품들이 출시된 바 있다.
최근의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은 버튼을 누르는 식의 입력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접촉만으로 신호 전달이 가능한 정전 또는 감압 터치 입력방식이 구현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종래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로 터치 패널을 덮으면 사용자의 접촉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기술적 한계점으로 인해, 휴대폰 이용을 위해서는 케이스의 커버를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7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손이나 장갑등 도전체나 비도전체 모두에 반응하여 액정 패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부면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하여 별도의 스페이서가 없이도 도체나 비도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통해 입력신호 입력시 정확하게 액정에 신호가 입력되고 동시에 원래 상태로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PET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PET 필름의 상부에 액상의 열경화성수지를 도포단계와; 상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가 도포된 PET필름을 건조기에 통과시켜 상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를 고형화시켜 PET 필름에 열경화성수지 필름이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열경화성수지 필름의 상부에 전도체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적측된 필름을 일정한 각도로 휘어서 라운드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체 필름은 그 저항값이 10 - 105오옴의 저항값을 갓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PET 필름과 열경화성수지 필름 및 전도체 필름의 두께비는 1:4-5:1 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PET 필름과 열경화성수지 필름 및 전도체 필름의 두께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라운드진 상태를 판독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에러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보음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경보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고,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은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어,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PET 필름과; 상기 PET층의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를 탄발시켜 복원시키기 위한 열경화성수지 필름과; 상기 열경화성수지 필름의 하부에 위치되며 터치패널과의 접촉시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도체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PET 필름과 열경화성수지 필름 및 전도체 필름의 두께비가 1:4-5:1 되도록 구성하고; 동시에 적층된 필름은 일정각도로 라운드지게 휜 상태로 배치하며; 상기 전도체 필름은 그 저항값이 10 - 105오옴의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는 손이나 장갑등 도전체나 비도전체 모두에 반응하여 액정 패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부면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하여 별도의 스페이서가 없이도 도체나 비도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통해 입력신호 입력시 정확하게 액정에 신호가 입력되고 동시에 원래 상태로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 필름부가 라운드진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 필름부가 라운드진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10)는, PET 필름(11)과 열경화성수지 필름(12)과 전도체 필름(13)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폰 케이스(20)의 액정 접촉면에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10)가 존재하여 상기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10)를 통해 곧바로 터치신호가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1)로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10)는 정전용량식 및 감압식으로 모두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도체 필름(13)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접촉될 때 인체와 마찬가지로 접촉되는 지점에 정전기를 발생시켜 정보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도체 필름(13)은 접촉되는 지점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정전용량 값에 변화를 주어 해당 지점이 입력 신호로서 검출될 수 있을 정도의 유전상수 값을 갖는 금속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체 필름(13)을 구성하는 최적의 재료로는 구리(Cu), 니켈(Ni), 금(Au), 카본(carb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전도성 물질의 표면에 살균성 및 전도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은(Ag)을 이용한 무전해도금층이 더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체 필름(13)은 화학적 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CVD)나 물리적 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PVD) 등의 증착 공정을 통해 상기 박막 부재의 일측면에 수 ㎛수준의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박막 부재의 유연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적층된 도전성 액정보호 필름부를 라운드지게 휘어서 터치후에는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구성하였다.
즉, 액정보호 필름부가 수평한 상태이면 복원력이 떨어질 경우 액정에 달라붙어서 멀티 스위칭 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액정보호 필름부 전체를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터치후에는 자연스럽게 상부방향으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터치후에 쉽게 복원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도 멀티 스위칭 현상을 차단할 수 있어 본인이 터치한 부분의 신호만 입력되므로 보다 정확한 휴대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과 같은 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1)의 출력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거기에 맞는 한 장의 최적화된 임력임피던스를 갖는 필름을 찾아내어 제작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이다.
이하에서 임피던스에 대한 기술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디오 기기들은 세팅되는 기기들마다의 임피던스 값을 가지고 있고, 이 임피던스 값의 매칭을 통해 최적의 밸런스를 만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세팅되는 기기들마다의 특징을 이해하고 임피던스 매칭할 필요가 있으며, 임피던스 매칭이 잘 되지 않는다면 오디오의 경우 증폭도와 왜곡(디스토션)에 영향을 주어 올바른 재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상적인 임피던스의 매칭은 입력 임피던스는 최대한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최소한 낮은 임피던스 저항값을 가지는 것이다.
앰프리파이어와 스피커의 경우는 가장 대표적인 임피던스 매칭을 중요시하는 조합이다. 앰프리파이어와 스피커의 스펙을 보면 반드시 임피던스가 표기되어 있는데, 앰프리파이어의 경우는 출력 임피던스, 스피커의 경우는 입력 임피던스를 체크하고 반드시 동일한 임피던스 매칭의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만약 앰프의 임피던스가 8옴이고 스피커의 임피던스가 4옴이라면, 스피커의 허용입력은 2배가 되기 때문에 실제 사운드에서 디스토션이 발생하거나 스피커가 손상될 수 있다.
프리앰프와 파워앰프의 경우, 프리앰프의 출력 임피던스와 파워앰프의 입력 임피던스를 확인해야 한다. 일반적인 프리앰프의 출력 임피던스는 47옴(밸런스일 때 100옴)이며, 파워앰프의 허용입력 임피던스는 10,000~22,000옴(밸런스일 때 44,000~50,000옴)으로 여유 있게 설계된다. 즉 출력 임피던스에 비해 입력 임피던스가 더 크고 여유가 있어야 한다.
또한 임피던스 매칭의 중요성은 헤드폰과 마이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그렇기 때문에 헤드폰 앰프의 경우는 허용 임피던스가 최대한 넓은 제품들이 선호된다. 이외에도 진공관 앰프와 포노 앰프 등 각 매칭 기기나 장비가 존재하는 오디오 기기들은 고유의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피던스를 앰프와 스피커의 조합이 아닌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에 적용시킨것으로서 현재 스마트폰의 출력임피던스가 100오옴인것에 대비하여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의 입력임피던스를 102 - 105오옴의 크기로 각 스마트폰(A)의 고유 출력임피덤스를 측정하여 거기에 맞는 액정보호필름부의 전도체 필름(13) 입력임피던스를 최적화시키는데 이 발명의 최우선 과제로 삼은 것이다.
이렇게 전도체 필름(13)을 입력임피던스와 터치스크린 패널(1)의 출력임피던스의 매칭을 고려하면 기존의 정전용량터치스크린에 정전방식의 터치는 물론이고, 정전방식으로 터치가안될때에는 감압방식으로 작동되는 터치로 기존의 정전방식의 최대장점인 멀티터치는 물론 감압방식의 최대장점인 부도체로의 터치도 가능하게 하는 두방식의 혼합구조이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필름은 손이나 기타 부도체로 액정보호필름을 건드리는 순간 이 스마트폰의 출력임피던스를 자극하여 그 전기신호를 스모트폰 본체에 전달하여 터치가 작동하는방식으로, 정전방식,감압방식 및 임피던스방식(포스터치)의 혼합방식이라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구현방식으로 만든 필름은 기존의 은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메틸메쉬, 아이티오(ITO)등의 표면저항이 매우낮은필름(10오옴)과 대전방지(105 - 1011)등 표면저항이 매우 높은 필름이 아닌 그사이값 (10 - 105)을 이용함을 그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ET필름(11)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PET 필름(11)의 상부에 액상의 열경화성수지를 도포단계와,
상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가 도포된 PET필름(11)을 건조기에 통과시켜 상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를 고형화시켜 PET 필름(11)에 열경화성수지 필름이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열경화성수지 필름(12)의 상부에 전도체 필름(13)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된 필름을 일정각도로 라운드지게 휘면서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PET 필름(11)과 열경화성수지 필름(12) 및 전도체 필름(13)의 두께비는 1:4-5:1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열경화성수지(12)의 두께 비율이 PET 필름(11) 및 전도체 필름(13)을 대비하여 4배 미만이면 터치스크린 패널(1)을 터치후 복원력이 제공되지 않고, 열경화성수지(12)의 두께 비율이 PET 필름(11) 및 전도체 필름(13)을 대비하여 5배를 초과하면 터치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경화성수지(12)의 두께 비율을 PET 필름(11)과 전도체 필름(13)의 두께를 기준으로 4 - 5배로 한정하여 터치감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복원력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수지 필름에 의해서 복원력을 갖도록 설계하면 별도로 스페이서를 전도체 필름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즉, 열경화성수지 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면 액정보호필름부를 터치후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다중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전도체 필름에 스페이서를 반드시 형성시켜야만 하였으며, 종래의 필름부는 스페이서를 설치하지 않게 되면 일측을 누를시에 다른 부위가 다중으로 접촉되어 휴대폰 액정의 입력이 다중으로 이루어져 원치않은 입력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와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 사이에는 원래 이들을 이격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 구조의 스페이서가 존재하였으며, 상기 돌기 구조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구조의 존재로 인하여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를 터치시에 다중 터치가 방지되는 구조이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필름부에 있어서 전도체 필름(13)은 스페이서를 필수적으로 장착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경화성수지 필름(12)을 적용하기 때문에 상기 열경화성수지 필름이 액정보호필름부(10) 전체를 들어올리는 탄성 역할을 하게 되어 별도로 스페이서를 장착하지 않아도 터치후 원래 위치로 자동 복귀되어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정보호 필름을 카메라(400)로 촬영후 라운드진 상태를 판단하여 기준범위내의 라운드진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500)에서 에러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에러상황을 경보하여 빠른 시간내에 에러상황을 해결토록 유도한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전원부(1101)와, 경보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부(1102)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1118)를 온 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 이때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릴레이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경보신호 출력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경보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A: 휴대폰
1: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패널
10: 도전성 액정보호필름부
11: PET 필름
12: 열경화성수지 필름
13: 전도체 필름
400: 카메라
500: 제어부
1000: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5)

  1. PET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PET 필름의 상부에 액상의 열경화성수지를 도포단계와;
    상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가 도포된 PET필름을 건조기에 통과시켜 상기 액상의 열경화성수지를 고형화시켜 PET 필름에 열경화성수지 필름이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열경화성수지 필름의 상부에 전도체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적측된 필름을 일정한 각도로 휘어서 라운드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체 필름은 그 저항값이 10 - 105오옴의 저항값을 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과 열경화성수지 필름 및 전도체 필름의 두께비는 1:4-5: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과 열경화성수지 필름 및 전도체 필름의 두께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라운드진 상태를 판독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에러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보음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경보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릴레이 스위치(1107)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고,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은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어,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5.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PET 필름과;
    상기 PET층의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를 탄발시켜 복원시키기 위한 열경화성수지 필름과;
    상기 열경화성수지 필름의 하부에 위치되며 터치패널과의 접촉시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도체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PET 필름과 열경화성수지 필름 및 전도체 필름의 두께비가 1:4-5:1 되도록 구성하고;
    동시에 적층된 필름은 일정각도로 라운드지게 휜 상태로 배치하며;
    상기 전도체 필름은 그 저항값이 10 - 105오옴의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KR1020170044250A 2017-04-05 2017-04-05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KR20180113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50A KR20180113232A (ko) 2017-04-05 2017-04-05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PCT/KR2018/003606 WO2018186618A1 (ko) 2017-04-05 2018-03-27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50A KR20180113232A (ko) 2017-04-05 2017-04-05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232A true KR20180113232A (ko) 2018-10-16

Family

ID=6371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250A KR20180113232A (ko) 2017-04-05 2017-04-05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3232A (ko)
WO (1) WO20181866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37Y1 (ko) 2012-11-09 2013-07-02 주식회사 포미 거울이 설치된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5929B2 (en) * 2004-11-19 2011-09-27 Helianthos B.V. Method for preparing flexible mechanically compensated transparent layered material
KR20140016623A (ko) * 2012-07-30 2014-02-10 이엘케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형성방법
EP3134258A1 (en) * 2014-04-22 2017-03-0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Integrated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JP6207087B2 (ja) * 2014-08-07 2017-10-04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101720140B1 (ko) * 2015-04-28 2017-03-24 김윤경 터치스크린용 2way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37Y1 (ko) 2012-11-09 2013-07-02 주식회사 포미 거울이 설치된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618A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0489B (zh) 用于检测扬声器振动位移的结构和声电互转的双效装置
KR100633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계 발생 장치
WO2013075098A1 (en) Headphone system for activating a control module
KR20180092990A (ko) 다중 입력/다중 출력 스위칭 컨버터
CN114556761A (zh) 具有多个操作相的多相电感式升压转换器
CN101321405A (zh) 一种播放装置的感应耳机及其感应方法
CN204442628U (zh) 音域切换耳机
KR20180113232A (ko)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KR20180087516A (ko)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제조장치
CN110572759A (zh) 电子设备
KR101897172B1 (ko)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도전성 액정보호필름 및 제조방법
CN209120362U (zh) 一种电子设备
CN108668204B (zh) 复用电路、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工作模式切换方法
CA2762403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provides hearing aid compatibility
WO2022258886A2 (en) Surface audio device with haptic or audio feedback
CN207505129U (zh) 一种可调音扬声器结构
CN207427391U (zh) 一种带双麦克风头的话筒
KR20180080747A (ko) 핸드폰 감김형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액정보호필름
CN206136273U (zh) 一种动圈式扬声器
CN206196042U (zh) 一种动圈式扬声器
KR20180087513A (ko)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102203693B (zh) 人机交互反馈装置和方法
KR101844011B1 (ko)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으로 작동되는 터치형 액정보호필름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터치형 액정보호필름
KR20180080742A (ko) 접지형 정전용량방식 및 감압방식 동작기능을 갖는 삽입형 휴대폰 케이스
FI116755B (fi) Elektroninen laite ja latausliitinjärjeste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