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121A -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121A
KR20180113121A KR1020170044419A KR20170044419A KR20180113121A KR 20180113121 A KR20180113121 A KR 20180113121A KR 1020170044419 A KR1020170044419 A KR 1020170044419A KR 20170044419 A KR20170044419 A KR 20170044419A KR 20180113121 A KR20180113121 A KR 2018011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ting
information
affiliate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전호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121A/ko
Publication of KR201801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121A/ko
Priority to KR1020230034414A priority patent/KR20230040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F17/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매장 기반의 판매자들의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제휴사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에 대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마케팅에 대응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정보를 중심으로 제휴사의 타겟팅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한 타겟팅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타겟팅 대상으로 확장하여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rketing}
본 발명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마케팅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휴사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에 대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 장치의 성능 향상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개발로 인해 휴대 단말 장치는 종래의 단순한 전화의 용도를 넘어 점차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게임, 음악, 영화, 증권 서비스 등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또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 변화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의 제조사 및 통신 사업자들은 물론 일반 사용자 또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의 기술 발달 및 확장에 따라서, 유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온라인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케팅(Marketing)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유통하는데 관련된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장 조사, 수요 예측, 제품 개발, 판매 경로의 설정, 판매촉진을 위한 광고, 선전 등의 다양한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는, 온라인 매체를 통한 광고 전송, 판매 촉진을 위한 행사 홍보, 판매 촉진을 위한 쿠폰 발생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LMS(Long Messing Service), IM(Instant Messenger) 등과 같은 메시지 서비스 혹은 이메일 서비스 등을 통해서 개별 사용자에게 발송되거나,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Internet Portal Site)에 배너 광고를 개시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광고 페이지를 노출하거나, 온라인 쇼핑 사이트 혹은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 검색 결과 제공시, 광고비를 지급한 판매자의 상품 페이지가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표시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오프라인 판매 매장을 갖는 광고주의 경우, 메시지 서비스 혹은 이메일 서비스 등을 통해서 각 사용자에게 광고, 쿠폰 등의 마케팅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데, 별도의 온라인 기반 마케팅 플랫폼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가입된 고객을 대상으로 한정된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마케팅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특히, 기존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로 서비스 중심이 옮겨진 상황에서, 대다수의 오프라인 매장 기반의 판매자에게 휴대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115552, 2013년 10월 22일 공개 (명칭: 위치 기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매장 기반의 판매자들의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제휴사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에 대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마케팅에 대응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정보를 중심으로 제휴사의 타겟팅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한 타겟팅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타겟팅 대상으로 확장하여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제휴사의 정보를 관리하는 제휴사 정보 DB 및 마케팅 대상이 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DB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휴사가 전송한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추출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 위치 정보, 및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과 관련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 정보 또는 쿠폰 또는 포인트 사용 정보에 따라서 제휴사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DB로부터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위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상기 마케팅 정보의 리마인드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는, 상기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푸시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마케팅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을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는, 제휴사 서버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휴사 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타겟팅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휴사 연동부를 통해서 제휴사 서버 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타겟팅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를 대신하여 마케팅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DB에 기록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휴사의 타겟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 중 상기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 규칙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마케팅 지원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규칙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마케팅 메시지에 포함된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여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의 방문 여부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다시 타겟팅할 수 있도록 제휴사 매장 방문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에 의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가,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제휴사의 정보를 관리하는 제휴사 정보 DB 및 마케팅 대상이 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DB를 저장하는 단계; 제휴사가 전송한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추출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 위치 정보, 및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과 관련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쿠폰 또는 포인트 사용 정보에 따라서 제휴사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DB로부터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을 다시 타겟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마케팅 정보, 규칙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또는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규칙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마케팅 메시지에 포함된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여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의 방문 여부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다시 타겟팅할 수 있도록 제휴사 매장 방문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휴사의 마케팅 의도를 파악하여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면서, 상기 마케팅에 참여한 사용자들을 확인하여 그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를 리타겟팅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가 제휴사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제휴사가 자신의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분석만으로 마케팅 대상을 타겟팅하고, 적합한 타겟팅 대상을 제휴사에 제공함으로써, 제휴사의 마케팅 범위를 더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제휴사는, 추가적인 설비 추가 없이, 모바일 기반의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더하여 자신의 고객 성향에 타겟팅된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가 가능한 사용자 그룹을 더 제공 받아, 마케팅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컴퓨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와, 제휴사 서버 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을 통해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품 혹은 서비스를 판매하는 제휴사 및 상기 제휴사에게 모바일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마케팅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에서 통신망은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되며,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케팅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사용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로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관련 메시지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마케팅 지원을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규칙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마케팅 정보는, 제휴사에서 제공되는 마케팅과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할인 행사나 신상품 런칭 정보, 그에 이용되는 쿠폰 정보, 기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의 리마인드 서비스, 제휴사의 매장 인근에 접근 시 알람 서비스, 제휴사의 매장 방문 확인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동통신, Wi-Fi, NFC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서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장치로서,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스테이션(STA: Station)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하며 휴대 가능한 장치이면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더하여,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퓨팅 환경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장치, 통신 장치 및 이들을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bus) 등을 포함하는 단말 하드웨어(11)와, 상기 단말 하드웨어(11) 상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단말 하드웨어(11)를 제어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12)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데, 상기 운영체제(12)를 통해서 단말 하드웨어(11)에 접근하여 프로그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들(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13)에는, SMS, LMS, MMS, IM 등과 같이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프로그램(13a)과,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를 포함한다.
상기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조 단계에서 설치되어 배포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임의의 서버 장치(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도 포함됨)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는 상기 예시에서 응용 프로그램(13)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단말 운용체제(12)와 응용 프로그램(13) 사이에서 동작하는 미들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컴퓨팅 환경을 기반으로 동작하되,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설치하여 실행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면,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과 연동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실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관련 정보, 즉, 마케팅 지원 서비스의 대상자인 제휴사 정보 및 마케팅 대상자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의 대상자인 제휴사 정보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제휴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대상자인 사용자 정보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자가 기 수집한 제휴사에서 사용자들의 정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a)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한 사용자의 정보이다. 이는 상기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a)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자는, 회원 가입 혹은 무료 앱 제공 등과 같은 별도의 경로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자가 수집한 사용자 정보 중 일부는 상기 제휴사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 즉,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 제공 대상자와 겹칠 수 있다.
따라서,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 제공 대상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마케팅 정보를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추출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 및/또는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마케팅 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마케팅 정보로부터 상기 규칙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규칙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 더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주기적으로 혹은 지정된 이벤트 발생시마다 비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기등록된 규칙 정보에 따라서, 제휴사의 마케팅 활동 기간이 종료하기 전 일정 시간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푸시(Push) 메시지로 전송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통해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수집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집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하여, 제휴사의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에게 리마인드 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더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참여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참여는 제휴사에서 실행하는 마케팅 행위에 대해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지정된 기간 내의 제휴사 매장 방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휴사 방문 확인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와 제휴사 매장 정보를 비교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제휴사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중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한다. 예를 들어,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위치, 직업, 성향 등의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제휴사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가 보유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제휴사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과 동일 혹은 유사한 그룹의 사용자들을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로 타겟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그룹 중, 상기 제휴사에서 보유한 고객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그룹에서 제휴사에 적합한 마케팅 대상자들을 선정할 수 있으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정보를 상기 제휴사에 제공하여, 상기 제휴사가 더 확장된 고객군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제휴사가 제공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상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휴사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제휴사가 자신의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분석만으로 마케팅 대상을 타겟팅하고, 적합한 타겟팅 대상을 제휴사에 제공함으로써, 제휴사의 마케팅 범위를 더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휴사 서버 장치(300)는 제휴사 측에서 운용되는 서버 장치로서, 제휴사에게 기보유하고 있는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 고객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마케팅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휴사 서버 장치(30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위해 새롭게 제휴사에 추가되는 장치는 아니며, 기존의 SMS, LMS, MMS, IM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를 수행하던 혹은 이를 대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에 제휴사는, 추가적인 설비 추가 없이, 모바일 기반의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더하여 자신의 고객 성향에 타겟팅된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가 가능한 사용자 그룹을 더 제공 받아, 마케팅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의 연동 방식에 따라서 두 가지 실시 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휴사 서버 장치(300)는, 제휴사에서 기보유하고 있는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 고객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마케팅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휴사의 고객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에서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그룹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마케팅 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는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S10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신에게 설치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를 실행함에 의해 이하의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메시지 중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여 분석한다(S110). 이는 수신 메시지의 송신처 정보(번호 또는 명칭 또는 IP 주소 등)를 기등록된 제휴사 정보와 비교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등록된 제휴사에 대응하는 송신처를 갖는 수신 메시지를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메시지로 추출한다(S115). 여기에 더하여, 마케팅 메시지와 비마케팅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한 키워드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즉, 수신 메시지의 내용(전문 혹은 바디)에 기 설정된 마케팅 관련 키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수신 메시지를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마케팅 정보는, 제휴사에서 제공되는 마케팅과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할인 행사나 신상품 런칭 정보, 그에 이용되는 쿠폰 정보, 기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단말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S120). 상기 추출되는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의 추출 결과, 마케팅 지원과 관련하여 설치되어야 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으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 혹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사용자 동의에 따라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 추출한 제휴사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할 마케팅 지원을 위한 규칙 정보를 추출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S125). 상기 규칙 정보는, 추출된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거나 관련 제휴사 매장에 근접 시 이를 알리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예를 들어, 리마인드 일자, 관련 제휴사 매장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신의 위치를 검출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130, S135). 여기서, 위치 검출은, Wi-Fi,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혹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위치 검출 기술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출되는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이외에, 해당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IP 주소 혹은 매장명,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규칙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기등록된 규칙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고(S140), 규칙 매칭 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한다(S145). 상기 규칙 매칭을 확인하기 위해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기등록된 규칙과, 현재 일자 및 시간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 등을 비교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의 리마인드 메시지, 제휴사의 매장 인근에 접근 시 알람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145 단계에서,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로 전송되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서, 제휴사의 마케팅 기간이 종료하기 전에 다시 한번 사용자에게 마케팅 정보를 통지하거나, 제휴사의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에 다시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더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 방문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S150). 상기 S150 단계는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휴사의 매장 방문 이외에, 제휴사 매장 내에서의 기제공된 쿠폰이나 포인트의 사용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쿠폰 및 포인트의 제공, 이용을 더 관리할 수 있다.
더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S150 단계를 통해서,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하거나, 더하여 기 제공되는 쿠폰이나 포인트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모아서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한다(S155, S160).
더 구체적으로, 제휴사 마케팅에 참여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위치, 직업, 성향 등의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제휴사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가 보유한 사용자 그룹 중, 상기 제휴사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과 동일 혹은 유사한 그룹의 사용자들을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로 타겟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그룹 중, 상기 제휴사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는 고객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그룹에서 제휴사에 적합한 마케팅 대상자들을 선정할 수 있으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정보를 상기 제휴사에 제공하여, 상기 제휴사가 더 확장된 고객군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S165), 상기 제휴사가 제공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상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S170).
상기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의 연동을 통해서, 마케팅 지원 및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의 타겟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서 기본 동작은 유사하되, 그 실행 주체가 달라지는 것으로서, 각 단계의 상세 설명은 제1 실시 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과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휴사 서버 장치(300)는, 제휴사에서 기보유하고 있는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 고객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마케팅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상기 마케팅 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는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S205).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신에게 설치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실행함에 의해, 수신 메시지 중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여(S210),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한다(S215).
더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단말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S220).
상기 S205 단계 내지 S220 단계는 도 3의 제1 실시 예에서의 S105 단계 내지 S120 단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 예를 참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 S215 단계에서 추출한 제휴사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할 마케팅 지원을 위한 규칙 정보를 추출하되, 추출한 규칙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고 자신의 메모리에 기억한다(S225).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신의 위치를 검출하며(S230), 필요에 따라서 검출한 위치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235).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저장한 규칙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고(S240), 규칙 매칭 시, 마케팅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팝업 형태로 출력한다(S245). 이때, 상기 규칙 매칭 확인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의 출력은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의 연동 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독립적으로 동작으로 수행되므로, 트래픽 발생을 줄이고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앞서 S230 단계를 통해 검출되는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 방문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S250). 상기 S250 단계는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휴사의 매장 방문 이외에, 제휴사 매장 내에서의 기제공된 쿠폰이나 포인트의 사용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쿠폰이나 멤버쉽의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며, 그 이용 여부를 사용자 체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 방문이 확인된 경우, 그 방문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하거나, 더하여 기 제공되는 쿠폰이나 포인트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함에 의해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한다(S260, SS65). 더 구체적으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제휴사 마케팅에 참여한, 즉, 제휴사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위치, 직업, 성향 등의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제휴사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그룹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가 보유한 사용자 그룹 중, 상기 제휴사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과 동일 혹은 유사한 그룹의 사용자들을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로 타겟팅한다.
이와 같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그룹 중, 상기 제휴사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는 고객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그룹에서 제휴사에 적합한 마케팅 대상자들을 선정할 수 있으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정보를 상기 제휴사에 제공하여, 상기 제휴사가 더 확장된 고객군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SS270), 상기 제휴사가 제공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상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13b)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S275).
상기에 따르면, 제휴사 마케팅 정보의 추출 및 이에 대한 리마인드 메시지 제공, 방문 여부 확인 등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고,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제휴사 마케팅에 따라서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 정보 분석에 따른 타겟팅 처리만을 수행함으로써,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수행하는 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출력부(130)와, 위치 검출부(140)와, 저장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PS, CDMA, GSM, W-CDMA, HSDPA, LTE, LTE-A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BLE, 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더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사용자의 명령 혹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확인을 위한 UI 화면의 조작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다운로드 및 설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시스템 버스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어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 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 과정 및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운영체제 혹은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된 UI(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다양한 2차원 디스플레이 수단뿐만 아니라, 홀로그래피 또는 레이저 빔과 같은 3차원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과 같은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와 비디오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출력부(130)는,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마케팅 메시지를 출력하며, 아울러, 상기 마케팅 메시지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마케팅 정보 및/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위한 규칙 정보, 상기 규칙 정보에 따른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출력한다.
위치 검출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위치 검출부(140)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GPS 모듈 및 다양한 센서 모듈을 통해서 구현할 수도 있고, 이외에 Wi-Fi 또는 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주변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콘 신호로부터 추출된 매장 정보 혹은 위치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검출부(14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기능, 메시지 서비스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함)을 저장하고, 상기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메시지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등)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이 저장 및 설치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프로세서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서 구현되어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마케팅 지원 모듈(16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되어 실행되는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수신된 수신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에서 진행하는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상기 추출한 마케팅 정보 및/또는 규칙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규칙 정보에 기반하여 마케팅 지원 메시지가 전송되어 오면 이를 수신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상기 마케팅 정보 및 규칙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위치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와 기저장한 규칙 정보를 비교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고, 규칙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마케팅 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규칙정보는 "할인 행사일로부터 3일 전 리마인딩", "제휴사 매장에 접근 시 마케팅 정보 출력" 등과 같이 시간 및 위치 기반의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상기 위치 검출부(140)로부터 검출되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가 기수신하여 등록된 규칙 정보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위치 검출부(140)에서 검출되는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 방문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 방문 여부에 대한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가 제휴사의 마케팅에 따라 제휴사의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을 타겟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마케팅 지원 모듈(161)은 위치 정보 이외에, 마케팅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 쿠폰 혹은 포인트의 사용 여부를 통해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 방문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쿠폰이나 멤버쉽 포인트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와 연동하여 쿠폰이나 멤버쉽의 포인트 정보를 관리하고, 그 이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들과 거의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통신하여 소정의 기능을 처리하는 서버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혹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상에 상기 3 및 도 4에 도시한 해당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그램 모듈을 저장하여 실행시킴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하여 보면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와, 푸시 서비스부(220)와, 제휴사 연동부(230)와,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와,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한 구성 요소들은,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분리된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통신망을 통해 들어오는 접속 요청 및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접속 가능한 통신망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통신망에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및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푸시 서비스부(220)는 푸시 방식으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마케팅 지원 모듈(161)로 푸시 방식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마케팅 지원 모듈(161)이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마인드 또는 알람을 위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휴사 연동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제휴사 서버 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서비스 요청에 따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결과를 제휴사 서버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마케팅 지원 모듈(161)과 연동하여 제휴사를 위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며, 저장부(240)는 본 발명에 다른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상기 저장부(240)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관련 정보로서, 마케팅 지원 서비스의 대상자인 제휴사 정보 및 마케팅 대상자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의 대상자인 제휴사 정보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제휴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대상자인 사용자 정보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자가 기 수집한 제휴사에서 사용자들의 정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161)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의 정보이다.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자는, 회원 가입 혹은 무료 앱 제공 등과 같은 별도의 경로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자가 수집한 사용자 정보 중 일부는 상기 제휴사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 즉, 제휴사의 마케팅 메시지 제공 대상자와 겹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추출된 수신 메시지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 및/또는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한다.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마케팅 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마케팅 정보로부터 상기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단말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더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는 메시지를 푸시 전송하도록 푸시 서비스부(220)를 제어한다.
더하여,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는 제휴사 방문 여부 또는 기설정된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여부를 확인을 통해 상기 마케팅에 참여한 사용자들을 확인하고,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한다. 예를 들어,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위치, 직업, 성향 등의 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제휴사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DB로부터 상기 제휴사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과 동일 혹은 유사한 그룹의 사용자들을 추출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로 타겟팅하고,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정보를 상기 제휴사에 제공하여, 상기 제휴사가 더 확장된 고객군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제휴사가 제공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상기 선정한 마케팅 대상자들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로부터 전송된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휴사의 마케팅 의도를 파악하여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면서, 상기 마케팅에 참여한 사용자들을 확인하여 그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를 리타겟팅함으로써,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가 제휴사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제공받지 않더라도 제휴사가 자신의 고객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분석만으로 마케팅 대상을 타겟팅하고, 적합한 타겟팅 대상을 제휴사에 제공함으로써, 제휴사의 마케팅 범위를 더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제휴사는, 추가적인 설비 추가 없이, 모바일 기반의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더하여 자신의 고객 성향에 타겟팅된 모바일 기반 마케팅 서비스가 가능한 사용자 그룹을 더 제공 받아, 마케팅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한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출력부
140: 위치 검출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161: 마케팅 지원 모듈
200: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푸시 서비스부 230: 제휴사 연동부
240: 저장부 250: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
300: 제휴사 서버 장치

Claims (19)

  1.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제휴사의 정보를 관리하는 제휴사 정보 DB 및 마케팅 대상이 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DB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휴사가 전송한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추출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 위치 정보, 및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과 관련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 정보 또는 쿠폰 또는 포인트 사용 정보에 따라서 제휴사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DB로부터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을 타겟팅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위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상기 마케팅 정보의 리마인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푸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푸시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마케팅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을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휴사 서버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휴사 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타겟팅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휴사 연동부를 통해서 제휴사 서버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타겟팅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를 대신하여 마케팅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DB에 기록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휴사의 타겟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 중 상기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
  8.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 규칙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마케팅 지원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규칙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마케팅 지원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마케팅 메시지에 포함된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여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의 방문 여부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다시 타겟팅할 수 있도록 제휴사 매장 방문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정보는
    위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상기 마케팅 정보의 리마인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에 의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가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요청한 제휴사의 정보를 관리하는 제휴사 정보 DB 및 마케팅 대상이 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DB를 저장하는 단계;
    제휴사가 전송한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추출한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 위치 정보, 및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규칙 정보의 매칭 여부를 확인하여 규칙 정보의 매칭 시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과 관련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쿠폰 또는 포인트 사용 정보에 따라서 제휴사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DB로부터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을 다시 타겟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규칙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한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마케팅 지원을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제휴사 서버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한 제휴사 마케팅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제휴사를 대신하여 마케팅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 DB에 기록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휴사의 타겟팅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 중 상기 마케팅 대상자를 타겟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7. 통신망을 통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마케팅 정보, 규칙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8. 통신망을 통해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제휴사로부터 전송되는 마케팅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휴사의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마케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또는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규칙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휴사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마케팅 지원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또는 상기 마케팅 메시지에 포함된 쿠폰 또는 포인트의 사용 여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제휴사 매장의 방문 여부를 확인하여, 제휴사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사의 마케팅 대상자를 다시 타겟팅할 수 있도록 제휴사 매장 방문 정보를 마케팅 지원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44419A 2017-04-05 2017-04-05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13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419A KR20180113121A (ko) 2017-04-05 2017-04-05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30034414A KR20230040976A (ko) 2017-04-05 2023-03-16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419A KR20180113121A (ko) 2017-04-05 2017-04-05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414A Division KR20230040976A (ko) 2017-04-05 2023-03-16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21A true KR20180113121A (ko) 2018-10-15

Family

ID=638659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419A KR20180113121A (ko) 2017-04-05 2017-04-05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30034414A KR20230040976A (ko) 2017-04-05 2023-03-16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414A KR20230040976A (ko) 2017-04-05 2023-03-16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3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688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그룹 공기질에 따른 유통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0682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그룹 공기질에 따른 프로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8722A3 (ko) * 2018-12-27 2020-10-15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그룹 공기질에 따른 유통 및 프로모션 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552A (ko) 2012-04-12 2013-10-22 차승우 위치 기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688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그룹 공기질에 따른 유통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0682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그룹 공기질에 따른 프로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8722A3 (ko) * 2018-12-27 2020-10-15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그룹 공기질에 따른 유통 및 프로모션 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976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258B2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mmunic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a messenger application
KR102058811B1 (ko) 상황 감지 동적 모바일 게재물의 전달
EP3213534B1 (en) Classifying user inten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electronically communicated from a mobile device
KR20230040976A (ko)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40324593A1 (en) Mobile Messaging and Data Tracking Platform
US20140032327A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digital signage and related mobile content
US20080109317A1 (en) Wireless dissemination of environment aware information
US10210542B2 (en) Venue guest device message prioritization
US201301106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excessive accessory listings in search results
CN102713951A (zh) 跨越多个社交网络站点自动同步新联络人
CN104714979A (zh) 基于位置信息的消息推送系统
US10827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based information
US20150213497A1 (en) Peer-based geo-fence messaging
WO2015124449A1 (en) An analytics server and method
US201401641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offline mobile advertising
US111579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obile device user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t an entity location
KR101638146B1 (ko) 비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12291A (ko)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기반 상품정보 등록 및 수신 시스템
KR20170050502A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수집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서버 및 방법
US20200167823A1 (en) Short range advertising system
KR101958922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374860B1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about an update of an application
US20150066705A1 (en) Electronic search engine with enhanced functionalities of generating visual-only product/service-relevant search results configured for delivery of product/service- relevant information upon selection thereof, and mobile smart devices and methods of utilizing thereof online
KR102556768B1 (ko) 비콘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일정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1387A (ko) 고객 소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