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051A -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051A
KR20180113051A KR1020170044246A KR20170044246A KR20180113051A KR 20180113051 A KR20180113051 A KR 20180113051A KR 1020170044246 A KR1020170044246 A KR 1020170044246A KR 20170044246 A KR20170044246 A KR 20170044246A KR 20180113051 A KR20180113051 A KR 20180113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
payment
user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807B1 (ko
Inventor
김세영
조태경
배문환
임민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팝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팝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팝콘
Priority to KR102017004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매장정보와 소비정보를 제공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수신된 결제메시지에서 결제정보를 독출하여 결제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결제데이터를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매장정보가 보완된 소비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결제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장정보를 통해 보완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앱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사서버로부터 결제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앱서버에 결제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소비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정보를 독출하고 결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수신된 소비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보완된 매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 SYSTEM FOR PROVIDING SPEND DATA USING PAYMENT MESSAGES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매장정보와 소비정보를 제공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전자수단에 의한 결제들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결제내역을 확인하기가 어려워, 소비자들이 자신의 소비량 또는 소비내역에 대한 감각이 무뎌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에게 결제내역을 제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결제내역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결제내역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결제 수단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공되므로, 이를 통합하여 소비자 개인에 대한 전체적인 소비패턴 성향을 쉽게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카드플래너같은 앱들이 개발되어, 다양한 결제 수단에 따라 개별적으로 수신되는 결제 내역에 대한 메시지를 종합적으로 모아서 사용자가 인식하기 편하도록 재배열해서 제공해주는 앱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앱들에서 제공되는 결제정보에는 SMS에 포함된 내용으로 구성되므로, SMS 구성상 길이가 제한되어 매장명칭의 전체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4803호에서는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결제정보를 보완하는 데이터를 판매 매장 측으로부터 제공받아야 하고, 결제정보 역시 카드사로부터 제공받아야 하므로, 본 기술에 의한 서비스가 실현됨에는 매장과 카드사의 참여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신하는 SMS 메시지만으로 매장정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SMS 메시지 수신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데이터베이스의 매장명칭을 SMS 메시지 상의 매장명칭과 대비하는 방법이 있었다.
두 가지 방법 중 정확성 면에서 SMS 메시지 수신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뛰어나나, 사용자 단말기 GPS모듈의 활성화 정도, GPS 신호의 수신상태 등에 따라 위치정보가 누락되는 결제정보들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완전히 보완된 결제정보들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19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보완된 매장정보를 포함한 소비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매장정보를 보완함에 있어 Wi-Fi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된 결제메시지를 이용하여 각 매장의 Wi-Fi정보를 누적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수신된 결제메시지에서 결제정보를 독출하여 결제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결제데이터를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매장정보가 보완된 소비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결제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장정보를 통해 보완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앱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사서버로부터 결제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앱서버에 결제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소비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정보를 독출하고 결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수신된 소비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제메시지는, 매장명칭, 결제시각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결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소비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정보를 매장정보DB와 비교하여, 상기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정보를 통해 보완된 매장정보를 포함하는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매장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매장정보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을 형태소 별로 구분하여 비교한 후; 매장명칭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하고; 보완된 매장정보가 포함된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형태소는, 매장의 고유명칭, 업종정보, 지역정보 및 지점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제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하고; 보완된 매장정보가 포함된 소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무선통신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무선통신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제정보에는, 상기 무선통신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무선통신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통신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정보는, Wi-Fi ID, MAC address 및 IP addres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무선통신정보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무선통신정보를 비교한 후; 무선통신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무선통신정보와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하고; 보완된 매장정보가 포함된 소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서버는, 소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소비정보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제데이터에 Wi-Fi정보가 포함된 경우, 매장명칭 및 Wi-Fi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소비정보를 상기 소비정보DB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비정보는,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소비정보DB에 저장된 소비정보 중 동일한 매장명칭의 소비정보 개수가 정해진 개수 이상이면, 상기 소비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정보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소비정보로 상기 매장정보DB를 보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서버는, 상기 소비정보의 매장명칭과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을 비교하고; 상기 소비정보의 매장명칭이 상기 매장정보DB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비정보의 Wi-Fi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를 비교한 후; 상기 소비정보로 상기 매장정보DB를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장정보DB의 보완은,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비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비정보의 Wi-Fi정보를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로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장정보DB의 보완은, 상기 소비정보의 Wi-Fi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를 상기 소비정보의 Wi-Fi정보로 수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정보DB의 보완은, 상기 소비정보의 Wi-Fi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앱서버는, 상기 소비정보의 매장명칭과 상기 매장정보DB의 매장명칭을 비교하고; 상기 소비정보의 매장명칭이 상기 매장정보DB에 비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비정보의 위치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의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상기 소비정보로 상기 매장정보DB를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장정보DB의 보완은, 상기 매장정보DB에 상기 소비정보의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비정보의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상기 소비정보로 수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장정보DB의 보완은, 상기 매장정보DB에 상기 소비정보의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가 비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비정보를 상기 매장정보DB에 매장정보로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보완된 매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i-Fi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정보를 보완함에 따라, GPS정보를 통해 구분이 불가능한 매장들이나 GPS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매장명칭을 정확히 구분하여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매장명칭에 대한 Wi-Fi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결제메시지로부터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장정보DB에 저장되는 매장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장정보DB 보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앱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결제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집하여 결제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결제데이터를 상기 앱서버(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결제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시각, 결제금액, 매장명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결제메시지에 포함된 매장명칭, 결제시각, 결제금액, 주소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는 상기 결제정보, 위치정보 그리고 Wi-Fi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앱서버(200)로부터 결제정보와 보완된 매장정보를 포함한 소비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위치정보획득부(110), Wi-Fi정보획득부(120), 송수신부(130), 출력부(140) 그리고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위치정보획득부(110)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Wi-Fi정보획득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Wi-Fi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30)는 통신사서버로부터 결제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앱서버(200)로 결제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앱서버(200)로부터 소비데이터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사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메시지 또는 상기 앱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소비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위치정보획득부(110)로 위치정보획득신호를 보내고, 상기 출력부(140)로 출력신호를 보내는 등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결제데이터를 수신받아 결제정보와 보완된 매장정보를 포함하는 소비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소비데이터는 매장명칭, 결제시각, 결제금액, 주소정보, 위치정보 그리고 Wi-Fi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앱서버(200)는 통신모듈(210), 제어모듈(22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통신모듈(2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결제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정보를 보완하여 생성한 소비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위치정보 그리고 Wi-Fi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정보를 독출한 후, 독출된 상기 매장정보를 이용하여 보완된 매장정보를 포함하는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위치정보 그리고 Wi-Fi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매장명칭 별 누적 저장된 소비정보가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소비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5를 참고하여 데이터베이스 보완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매장정보와 소비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매장정보DB(232)와 소비정보DB(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장정보DB(23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명칭이 고유명사, 업종정보, 지역정보, 지점정보 영역 등의 형태소 구분 단위로 저장되고, 주소정보, 매장 연락처, 위치정보, Wi-Fi정보가 포함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소비정보DB(234)에는 형태소 구분 단위로 저장된 매장명칭과 위치정보, Wi-Fi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비정보가 누적 저장된다.
이때, 상기 소비정보DB(234)에 저장되는 소비정보는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되는 매장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보완하기 위한 정보이다.
한편, 상기 Wi-Fi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Wi-Fi신호에 대한 정보로, 무선신호 송출기를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구체적으로, Wi-Fi신호 수신 시 획득되는 정보는 Wi-Fi ID, MAC address 그리고 IP address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Wi-Fi정보는 Wi-Fi ID, MAC address, IP address정보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Wi-Fi ID는 무선신호 송출기의 ID이고, 상기 MAC address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에 존재하는 고유식별번호이며, 상기 IP address는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는 유일한 번호이다.
먼저, 상기 Wi-Fi정보로 Wi-Fi ID를 사용하는 경우, 매장명칭과의 관련성을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Wi-Fi ID를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경우, 무선신호 송출기 제조사의 고유 아이디가 설정되므로, 동일한 아이디의 중복으로 인하여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Wi-Fi정보로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MAC address와 상기 IP address는 무선신호 송출기가 가지는 고유한 번호이기 때문에, 매장명칭을 구분함에 있어 정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통신사서버로부터 결제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110).
그리고 상기 결제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한다.)이 구동된다(S120).
이후, 상기 앱은 상기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집하고(S130), 상기 결제정보에 위치정보 또는 Wi-Fi정보를 포함하여 결제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앱서버(200)로 상기 결제데이터를 송신한다(S140).
여기에서, 상기 결제정보는 결제메시지에 포함된 매장명칭, 결제시각, 결제금액, 주소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메시지 및 결제정보에 포함된 매장명칭은 메시지 길이 제한으로 인해, 매장명칭의 앞부분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위치정보획득부(110)가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위성신호의 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시 미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되는 Wi-Fi정보는 상기 Wi-Fi정보획득부(120)가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Wi-Fi신호의 미수신 시 미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은 상기 Wi-Fi정보획득부(120)에 수신되는 Wi-Fi신호가 다수 개인 경우, 신호의 강도에 따라 선별된 Wi-Fi신호만을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결제데이터를 수신받은(S150) 상기 앱서버(200)는 불완전한 매장명칭의 뒷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매장명칭 보완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매장명칭을 비교하여 우선순위 별 매장명칭 대조군을 산출한다(S160).
구체적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매장명칭의 비교는, 상기 결제데이터의 매장명칭이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결제데이터의 매장명칭 포함 여부 검사는 매장명칭을 형태소 별로 구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소는 매장의 고유명칭, 업종정보, 지역정보, 지점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명칭이 교촌치킨상암2호인 경우, 교촌은 고유명사, 치킨은 업종정보, 상암은 지역정보, 2호는 지점정보로 구분되어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의 매장명칭이 교촌상암동2호점인 경우, 교촌은 고유명사, 상암동은 지역정보, 2호점은 지점정보로 구분되며,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매장명칭이 교촌치킨상암동2호점으로 보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결제데이터의 고유명칭인 교촌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고유명칭인 교촌을 비교하여, 양 고유명칭이 동일하므로 보완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의 업종정보가 누락되었으므로,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업종정보인 치킨을 추가하여 보완하며, 상기 결제데이터의 지역정보인 상암동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지역정보인 상암을 비교하여, 완성된 형태로 저장된 상암동으로 보완한다.
또한, 상기 결제데이터의 지점정보인 2호점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지점정보인 2호를 비교하여, 완성된 형태인 2호점으로 보완한다.
한편, 상기 앱서버(200)가 상기 제160단계에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매장명칭을 비교하여 우선순위 별 매장명칭 대조군을 산출한 이후에는, 상기 결제데이터의 위치정보 포함 여부를 판별한다(S170).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결제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60단계에서 산출한 매장명칭 대조군으로부터 위치정보에 따른 매장명칭 후보군을 산출한다(S180).
이후,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결제데이터에 Wi-Fi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90).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에 Wi-Fi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결제데이터의 Wi-Fi정보와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Wi-Fi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80단계에서 산출된 매장명칭 후보군 중 하나의 매장명칭을 선별한다(S200).
이후,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제200단계에서 선별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의 매장명칭을 보완하여, 매장명칭, 위치정보 그리고 Wi-Fi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S210).
한편, 상기 결제데이터에 위치정보 및 Wi-Fi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제160단계에서 우선순위 별 매장명칭 대조군을 산출하고,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한다.
또한, 상기 결제데이터에 위치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Wi-Fi정보는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제160단계에서 우선순위 별 매장명칭 대조군을 산출한 후, 상기 매장명칭 대조군에 포함되는 매장의 Wi-Fi정보와 상기 결제데이터의 Wi-Fi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명칭을 선별하고, 선별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한다.
그리고 상기 결제데이터에 위치정보는 포함되어 있고, Wi-Fi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제180단계에서 산출된 매장명칭 후보군 중 위치정보의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명칭을 선별하고, 선별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한다.
한편,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결제데이터의 매장명칭을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으로 보완한 이후, 매장명칭, 결제시각, 결제금액, 주소정보, 위치정보 그리고 Wi-Fi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비데이터를 생성하고(S220), 생성된 상기 소비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230).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소비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한다(S240).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매장정보DB 보완 방법을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매장정보DB 보완은 매장명칭 별 Wi-Fi정보를 보완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매장명칭 별 Wi-Fi정보는 매장에서 별도로 등록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결제메시지로부터 누적된 값으로 Wi-Fi정보의 정확도를 검사하여 매장정보DB를 보완한다.
만약, 이와 같은 보완방법을 시행하지 않는다면, 모든 매장으로부터 Wi-Fi정보를 제공받아 매장정보DB를 구축하여야 하므로, 본 서비스에 대한 실현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장정보DB 보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장정보DB 보완 방법은 상기 앱서버(200)가 소비정보를 독출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310).
이때, 상기 소비정보는 매장명칭, 위치정보, Wi-Fi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되는 매장명칭은 형태소 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앱서버(200)는 동일한 매장명칭 별로 소비정보를 선별한다(S320).
그리고 상기 앱서버(200)는 동일한 매장명칭 별로 누적된 소비정보가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판단한다(S330).
이때, 누적된 소비정보가 많을수록 매장정보DB(232)를 보완함에 있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제330단계에서 매장명칭 별로 누적된 소비정보가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에 매장정보DB(232)의 보완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30단계의 판단 결과, 매장명칭 별로 누적된 소비정보가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동일한 매장명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그리고 상기 제340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동일한 매장명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를 비교한다(S350).
여기서, 상기 제350단계의 비교 결과는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와 상이한 경우이며, 세 번째는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와 동일한 경우이다.
첫 번째로,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를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로 저장한다(S360).
두 번째로,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를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로 수정한다(S370).
세 번째로,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를 유지한다(S380).
이를 통해,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를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로 저장함으로써, 미구축된 해당 매장의 Wi-Fi정보를 추가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로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를 수정함으로써, 매장에서 무선신호 송출기를 교체하거나 무선신호 송출기의 정보를 변경하였을 때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Wi-Fi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매장정보DB(232)의 매장명칭에 부속된 Wi-Fi정보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Wi-Fi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Wi-Fi정보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Wi-Fi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340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동일한 매장명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위치정보에 따른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S390).
구체적으로,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위치정보와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가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소비정보를 신규매장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매장정보로 등록한다(S400).
한편,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가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앱서버(200)는 상기 소비정보를 교체매장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매장정보를 상기 소비정보로 수정한다(S410).
이를 통해,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동일한 매장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가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비정보를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매장정보로 등록함으로써, 신규 매장이 개업한 경우, 신규 매장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매장정보DB(232)에 동일한 매장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상기 소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가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장정보DB(232)에 저장된 상기 소비정보와 동일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상기 소비정보로 수정함으로써, 기존 매장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매장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매장정보와 소비정보를 제공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보완된 매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위치정보획득부
120 : Wi-Fi정보획득부 130 : 송수신부
140 : 출력부 150 : 제어부
200 : 앱서버 210 : 통신모듈
220 : 제어모듈 230 : 데이터베이스
232 : 매장정보DB 234 : 소비정보DB

Claims (9)

  1.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수신된 결제메시지에서 결제정보를 독출하여 결제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결제데이터를 앱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매장정보가 보완된 소비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결제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장정보를 통해 보완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앱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사서버로부터 결제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앱서버에 결제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앱서버로부터 소비데이터를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결제메시지로부터 결제정보를 독출하고 결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앱서버로부터 수신된 소비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메시지는,
    매장명칭, 결제시각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결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소비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정보를 매장정보DB와 비교하여, 상기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정보를 통해 보완된 매장정보를 포함하는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매장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매장정보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을 형태소 별로 구분하여 비교한 후;
    매장명칭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과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하고;
    보완된 매장정보가 포함된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형태소는,
    매장의 고유명칭, 업종정보, 지역정보 및 지점정보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제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하고;
    보완된 매장정보가 포함된 소비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수신된 무선통신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무선통신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제정보에는,
    상기 무선통신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무선통신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통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정보는,
    Wi-Fi ID, MAC address 및 IP address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앱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무선통신정보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무선통신정보를 비교한 후;
    무선통신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무선통신정보와 일치도가 가장 높은 매장정보DB에 저장된 매장명칭으로 상기 결제데이터에 포함된 매장명칭을 보완하고;
    보완된 매장정보가 포함된 소비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20170044246A 2017-04-05 2017-04-05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195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46A KR101952807B1 (ko) 2017-04-05 2017-04-05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46A KR101952807B1 (ko) 2017-04-05 2017-04-05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51A true KR20180113051A (ko) 2018-10-15
KR101952807B1 KR101952807B1 (ko) 2019-02-27

Family

ID=6386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246A KR101952807B1 (ko) 2017-04-05 2017-04-05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1026A (zh) * 2020-06-09 2021-12-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钱包服务器、钱包系统和非暂时性存储介质
CN113781038A (zh) * 2020-06-09 2021-12-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钱包服务器、钱包系统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079A (ja) * 2003-06-19 2005-01-13 Canon Inc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91933A (ko)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교통정보와 경험적 경로를 이용한경로 선택 방법
KR20120138175A (ko) * 2011-06-14 2012-12-2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9714A (ko) * 2014-06-03 2015-12-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66090A (ko) * 2014-12-01 2016-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KR20160085914A (ko) * 2013-12-05 2016-07-1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수신된 머천트 식별자들에 대한 머천트 신원 결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079A (ja) * 2003-06-19 2005-01-13 Canon Inc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91933A (ko)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교통정보와 경험적 경로를 이용한경로 선택 방법
KR20120138175A (ko) * 2011-06-14 2012-12-2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5914A (ko) * 2013-12-05 2016-07-1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수신된 머천트 식별자들에 대한 머천트 신원 결정
KR20150139714A (ko) * 2014-06-03 2015-12-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66090A (ko) * 2014-12-01 2016-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1026A (zh) * 2020-06-09 2021-12-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钱包服务器、钱包系统和非暂时性存储介质
CN113781038A (zh) * 2020-06-09 2021-12-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钱包服务器、钱包系统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52939A (ko) * 2020-06-09 2021-12-16 도요타 지도샤(주) 월렛 서버, 월렛 시스템, 및 비일시적 기억 매체
US11727390B2 (en) 2020-06-09 2023-08-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Wallet server, wallet system,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807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8973B2 (ja) 電子棚札のための方法及び構成
EP2538641A1 (en) Secure ta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2689979B (zh) 物品身份管理方法、终端、微处理单元、标识设备和系统
JP6660207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952807B1 (ko) 결제메시지를 이용한 소비데이터 제공 시스템
ES2750788T3 (es)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la generación de modelos de búsqueda
CN110022260A (zh) 一种跨环境回执消息处理方法及系统
KR20100057491A (ko) 정품 인증과 이력 관리를 위한 이력 추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3377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18675A1 (en) Mobile dedicated gift token management system
CN108390817B (zh) 信息的分享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201324467A (zh) 藍牙廣告傳輸裝置及方法
KR102146948B1 (ko) 매장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2017107440A (ja) サーバ装置及び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US976732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rowd sourced counterfeit detection and brand assurance
CN104637093A (zh) 信息管理装置、终端以及信息管理系统
KR101564351B1 (ko) 태그 기반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93232A (ko) 변동형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4138355A1 (en) Electronic verificaton device
JP6220703B2 (ja)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2859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포인트 처리방법
CN108848178A (zh) 数据下载方法及装置
KR20160045156A (ko) 텔레매틱스 서버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25860A (zh) 经营业务的管控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006229A (ko) 전자 선반 라벨 및 전자 선반 라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