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651A - 철근 결속용 클립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651A
KR20180112651A KR1020170121383A KR20170121383A KR20180112651A KR 20180112651 A KR20180112651 A KR 20180112651A KR 1020170121383 A KR1020170121383 A KR 1020170121383A KR 20170121383 A KR20170121383 A KR 20170121383A KR 20180112651 A KR20180112651 A KR 2018011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rebar
present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수
Original Assignee
권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수 filed Critical 권성수
Priority to KR102017012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651A/ko
Publication of KR2018011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결속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이나 토목 공사 등에 사용되는 철근의 결속시 간단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철근 결속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클립으로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된 철근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에서 상기 몸체부보다 작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되, 교차하는 철근을 감싸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절곡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결속용 클립{.}
본 발명은 철근 결속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이나 토목 공사 등에 사용되는 철근의 결속시 간단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철근 결속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근이라 함은 주택 및 상업용 건물을 구축하는 건축공사나 토목공사 및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법정규격으로 배치되는 철근을 말하며, 이러한 철근의 연접부위는 콘크리트가 양생 될 때까지 상호 이탈이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는 연질의 철사를 사용하여 묶어주게 된다.
이러한 철근 결속작업은 신속성과 정확성을 요구하며, 시공 비용은 물론 완공된 건축물의 안전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철근 결속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철근 결속선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9783호(등록일자; 2004.08.12.)에는 철선으로 결속하려는 두 가닥의 철근을 감는 타원형 부분(3)을 만들고, 한쪽 끝부분에는 쐐기 모양의 뾰족한 걸쇠(1)가 설치된 반원형의 걸림고리(2)을 만들고, 다른 쪽에는 철근을 끼울 수 있도록 철근 끼우는 입구(6)가 되는 철선 휨 부분이 있고, 이어서 일정간격으로 여러 개의 걸쇠홈(4)을 설치하고 끝부분에는 눌림고리(5)를 만들어 철근 끼우는 입구(6)로 철근을 끼우고 눌림고리(5)를 밀어 걸쇠홈(4)이 설치된 부분을 걸림고리(2)에 걸어 걸쇠(1)가 걸쇠홈(4)에 삽입되도록하는 두 가닥의 철근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선이 소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철근 결속선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된 클립을 사람이 일차적으로 반으로 구부린 다음 직접 철근의 둘레에 휘감아서 철사의 끝단을 손으로 잡고 작업공구(속칭 뺑뺑이)를 이용하여 구부러진 부위를 당겨 꼬아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수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손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결속작업의 효율성이 높지 못하고, 노동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인건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97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편한 시공을 수행할 수 있고, 철근과 조립시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추가 공정이 수행되지 않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철근 결속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클립으로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된 철근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에서 상기 몸체부보다 작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되, 교차하는 철근을 감싸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절곡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클립은 0.5mm ~ 2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클립은 고강도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클립은, 고강도 강선으로 구비되어 사용중 절단 또는 늘어나지 않아 철근과 견고히 결속할 수 있어 시공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초보자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사용할 수 있어 시공비의 절감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에도 이탈, 해제 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추가 공정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는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클립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클립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클립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대용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용 클립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클립(10)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립(10)은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립(10)은 고강도 강선으로 어닐링되어 일체형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철근은 원형철근 또는 이형철근 등이 적용되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마디와 리브가 형성된 이형철근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10)은 이러한 철근들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철근들은 통상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서로 교차되어 배근을 형성하게 되고, 이 배근을 위해 결속선을 이용하여 철근들을 결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철근들이 교차되는 곳에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철근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철근의 원형부분을 감싸면서 서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클립(10)은 몸체부(12)와 양단부(14), 걸립부(16), 버튼부(18)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부(12)는 일 예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된 철근(S)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므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몸체부(12)는 원통형의 철근 몸체를 최대한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몸체부(12)와
철근의 몸체의 접촉면이 최대가 된다.
특히, 이형철근이 적용될 경우 몸체의 지름보다 큰 단턱을 갖는 마디 등에 의해서 몸체부(12)가 걸리게 된다.
바람직하게, 몸체부(12)는 마디의 단턱에 걸리게 되며, 이는 클립(100)의 슬립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철근은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2)는 반원형이 마감되는 양단에서 연장된 양단부(14)를 형성한다.
양단부(14)는 구부러져 있지 않은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양단부(14)의 길이는 철근의 두께와 설치 간격에 따라 더 길거나 짧아질 수 있다.
양단부(14)는 몸체부(12)의 단부에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으며, 이는 철근의 두께에 적응하여 신속히 적용할 수 있다.
걸림부(16)는 연장된 양단부(14)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된 후 다시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다.
걸림부(16)는 상기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된 철근과 교차하는 철근(E)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걸림부(16)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나, 몸체부(12)를 이루는 반원형보다 작게 또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16)는 철근(E)과의 용이한 결합과 작업자의 편의성을 위해 온전한 반원형이 아니라 반원형에 조금 못미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는 조립시 철근(E)의 외경을 감싸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중심에서 45도 내지 60도 사이에서 경사지게 반원형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6a)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걸림부(16)의 반원형을 제한하는 이유는 강선이 절곡됨으로써 발생하는 가공경화로 인한 강성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철근(E)과 결합시 그 걸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6a)는 걸림부(16)가 철근(E)을 감싸면서 걸릴 때 철근(E)의 상면을 회피하면서 걸림부(16)를 철근(E)으로 안내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16a)에서 다시 반원형의 중심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하는 버튼부(18)를 포함한다.
버튼부(18)는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밀어 연장부(16a)와 걸림부(16)를 철근(E)과 조립되게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버튼부(18)는 작업자의 손가락 외에 막대 등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연장부(16a)의 경지진 각도 역시 연장부(16a)의 각도마 마찬가지로 45도에서 60도 사이가 적당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b 및 도 1c에서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단부(14) 중 일측을 삭제하여 걸립부(14)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6a)는 양단부(14)와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걸림부(16)는 온전한 반원형이다.
또한, 버튼부(18)는 연장부(16a)에서 수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마감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 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내용으로 이해하거나,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클립 12: 몸체부
14: 양단부 16: 걸림부
16a: 연장부 18: 버튼부

Claims (3)

  1.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클립으로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된 철근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에서 상기 몸체부보다 작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되, 교차하는 철근을 감싸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절곡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0.5mm ~ 2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용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고강도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용 클립.
KR1020170121383A 2017-09-20 2017-09-20 철근 결속용 클립 KR2018011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83A KR20180112651A (ko) 2017-09-20 2017-09-20 철근 결속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83A KR20180112651A (ko) 2017-09-20 2017-09-20 철근 결속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51A true KR20180112651A (ko) 2018-10-12

Family

ID=6387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83A KR20180112651A (ko) 2017-09-20 2017-09-20 철근 결속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621B1 (ko) * 2020-04-24 2021-01-15 박성욱 띠철근 풀림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621B1 (ko) * 2020-04-24 2021-01-15 박성욱 띠철근 풀림 방지 장치
CN113550495A (zh) * 2020-04-24 2021-10-26 朴性昱 防止箍筋松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5614A1 (en) Key-Locked and Band-Tightened Rebar Clamping Assemblies
JP2018514674A (ja) ワンタッチ式鉄筋結束クリップ
TW201825826A (zh) 方格網結構、製造方格網結構之方法及其製造裝置
KR20180112651A (ko) 철근 결속용 클립
KR200470819Y1 (ko)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KR20120007694A (ko) 파이프의 티자형 교차부위 고정장치
JP565909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用鉄筋仮組み付け具
KR200465576Y1 (ko) 결속용 타이
KR20150000433U (ko) 와이어 앵커
KR100635560B1 (ko) 조적벽돌 보강장치
KR101213357B1 (ko) 와이어 로프 체결구
JP2016217103A (ja) 鉄筋保持具
KR102657071B1 (ko) 가시철선과 윤형 철조망의 고정클립
KR20120038277A (ko) 철근 연결 방법 및 장치
JP3215365U (ja) 棒状物の結束用固定具
JP2010053546A (ja) 鉄筋連結具
JP5869020B2 (ja) のし瓦固定具
JP3157172U (ja) 幅木止めクリップ
JP3204746U (ja) 結束タッカー
KR200249935Y1 (ko) 건축용 철근결속장치
JPH11336258A (ja) 略直角交差部の棒状体結束具
JP2007231626A (ja) 鉄筋の支持金具及び支持方法並びに鉄筋の組立方法
JP3152828U (ja) 足場の幅木取付装置
KR200295904Y1 (ko) 철근 결속용 클립
JP3080154U (ja) 鉄筋組立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