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28A - 질소 커피용기 - Google Patents

질소 커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28A
KR20180112428A KR1020170043499A KR20170043499A KR20180112428A KR 20180112428 A KR20180112428 A KR 20180112428A KR 1020170043499 A KR1020170043499 A KR 1020170043499A KR 20170043499 A KR20170043499 A KR 20170043499A KR 20180112428 A KR20180112428 A KR 2018011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rod
nitrogen
flow passag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
Original Assignee
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 filed Critical 강용
Priority to KR102017004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28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거품층이 형성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질소 커피용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액상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지며 일측으로 토출구가 마련된 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질소를 주입하는 질소주입구가 체결되어 지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질소주입구에 구비되어 있는 누름핀의 누름 압력으로 승강 동작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단턱부에 안치되어, 상기 유로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동작으로 승강하며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판, 상기 로드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승강 동작을 탄력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핀의 누름 압력이 해지되면 탄력적으로 상기 로드를 하강시켜 상기 개폐판을 상기 유로의 단턱부 상면에 안치시켜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본체의 선단을 통해 상기 밸브본체의 유로에 끼워지며 원통체 형태로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구멍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한 질소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키는 노즐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질소 커피용기{A nitrogen gas coffee container}
본 발명은 질소 커피용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커피가 담겨져 있는 용기본체 내부 공간으로 질소를 주입하여 풍부한 거품을 가진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거품층이 형성된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질소 커피용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종자인 커피 원두를 원료로 한 음료로서, 전세계인구의 30% 이상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기호음료이다.
이러한 커피는 야생의 커피나무로부터 커피 원두를 채취하였으나, 15세기경부터 재배되면서 이슬람교도들의 긴 종교의식에서 대중적인 음료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6, 17세기에 이르러 유럽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서양과 문물을 교류하면서 일찍이 커피 원두가 유입을 했으나,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우리나라에 주둔하면 미군의 PX 문화인 인스턴트 커피가 유입되면서 커피의 주종을 이루게 되었고, 근래에는 여러기업에서 PET, 캔, 컵 등의 다양한 용기 형태로 제품이 출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커피는 주로 인스턴트 커피와 분유류를 혼합한 조제커피가 대부분이지만, 원두커피의 풍부한 맛과 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원두커피의 추출방법에는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커피 추출법과, 포트에 커피를 충진한 다음에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법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커피 추출법을 구분하는 가장 큰 요인인 커피의 용해도는 커피 생두의 로스팅 정도, 그리고 커피 용수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커피 가공과정의 하나인 로스팅은 생두에 일정한 열을 가해서 볶는 과정을 말하며, 약하게 로스팅할수록 특정 온도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떨어지고, 강하게 볶으면 반대로 용해도가 증가한다.
다양한 추출법에 따라 해당 추출법에서 커피의 맛을 가장 좋게 하면서 또한 그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피 생두의 로스팅 강도에 맞는 다양한 물의 온도, 즉 다양한 추출온도가 필요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의 온도와 커피의 분말화 정도에 따라 카페인을 포함한 커피성분의 용해 특성이 달라지는 것에 기인한다.
최근에는 다량의 커피분말이 충전된 용기에 소량의 찬물을 장시간 투과시키면서 차가운 상태에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 커피(Dutch coffee) 추출법도 점차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 추출법이 네덜란드인 선원으로부터 유래된 더치 커피는 용해도가 떨어지는 저온상태에서 추출되므로 고온추출법과 비교하여 같은 추출시간 동안 용출되는 카페인은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동등한 커피량 대비 단위시간당 냉수 투과량을 적게 하면서 추출시간을 늘릴수록 카페인 추출량은 점차 증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드립커피 추출법, 에스프레소 추출법, 더치커피 추출법등은 추출 과정에서 입자가 고운 거품층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내지는 못함에 따라 거품층이 가지는 부드러우면서도 깊은 향미를 유지할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6-0006974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커피가 담겨져 있는 용기본체 내부 공간으로 질소를 주입하여 풍부한 거품을 가진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한 질소 커피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거품층이 형성된 커피를 마실 수 있어 실용성을 높인 질소 커피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질소 커피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액상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지며 일측으로 토출구가 마련된 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질소를 주입하는 질소주입구가 체결되어 지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질소주입구에 구비되어 있는 누름핀의 누름 압력으로 승강 동작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단턱부에 안치되어, 상기 유로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동작으로 승강하며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판, 상기 로드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승강 동작을 탄력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핀의 누름 압력이 해지되면 탄력적으로 상기 로드를 하강시켜 상기 개폐판을 상기 유로의 단턱부 상면에 안치시켜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본체의 선단을 통해 상기 밸브본체의 유로에 끼워지며 원통체 형태로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구멍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한 질소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키는 노즐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상의 커피가 담겨져 있는 용기본체 내부 공간으로 질소를 주입하여 풍부한 거품을 가진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고급스럽고 고풍스러운 향미를 가지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거품층이 형성된 커피를 마실 수 있어 실용성을 높인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질소 커피용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질소 주입용 밸브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질소 커피용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질소 주입용 밸브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질소 커피용기(100)는 용기본체(1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일정량의 액상 커피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내부에는 액상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고 그 상단(14)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뚜껑(20)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나사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단(14)을 덮어주는 것으로서, 상기 뚜껑(20)의 상단 일측에는 토출구(22)가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용기본체(10)에 담겨있는 커피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22)는 마개(24)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여, 휴대과정에서 질소 압력에 의해 커피가 토출구(22)로 분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는 질소 주입용 밸브(30)가 설치되고, 상기 질소 주입용 밸브(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질소를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으로 주입하게 된다.
상기 밸브(30)를 통해 주입된 질소의 압력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는 커피는 토출구(22)를 통해 외부 즉, 커피잔으로 토출되어 지면 질소의 압력에 의한 압출 방식에 의한 토출로 고운 입자의 거품층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질소 주입용 밸브(30)는 밸브본체(32) 및 노즐관(6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밸브본체(32)는 질소 주입용 밸브(3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원통 형태로 중앙으로는 질소가 통과하기 위한 유로(3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밸브본체(30)의 끝단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1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8)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데, 이때 상기 밸브본체(32)의 끝단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16)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체결하여, 상기 노출된 밸브본체(32)의 끝단으로 질소주입구(50)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본체(32)의 유로(34)에는 단턱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36)에는 개폐판(40)이 올려진다. 상기 개폐판(40)의 하단에는 로드(38)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38)는 질소주입구(50)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핀(52)의 누름 동작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개폐판(40)을 단턱부(36) 위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개폐판(40)은 유로(34)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개방시켜 질소를 주입시키게 된다.
상기 로드(38)의 외경에는 스프링(42)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42)은 상기 로드(38)의 승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38)로 전해지는 누름핀(52)의 압력이 해지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38)를 텐션력으로 하강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42)의 텐션력을 통해 로드(38)에 설치된 개폐판(40)은 누름핀(52)의 누름압력이 해지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하강하며 유로를 폐쇄시켜 용기본체(10) 내에 담겨진 액상커피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질소주입구(50)는 상기 밸브본체(32)의 끝단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외부탱크(미 도시 함)에 저장되어 있는 질소를 주입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질소주입구(50)의 내부에는 누름핀(52)이 설치되고, 상기 누름핀(52)은 상기 질소주입구(50)를 상기 밸브본체(32)의 끝단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본체(32)의 내부 유로(34)에 구비되어 있는 로드(38)를 밀어올려 개폐판(40)을 승강 동작시키게 된다. 즉, 밸브본체(32)의 끝단에 질소주입구(50)가 체결됨과 동시에 개폐판(40)은 자동 승강하며 밸브본체(32)의 유로(34)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노즐관(60)은 상기 밸브본체(32)의 선단을 통해 상기 밸브본체(32)의 유로(3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밸브본체(32)의 유로(34)로 주입된 질소를 커피가 채워져 있는 용기본체(10)의 공간(12)으로 분사시키게 된다.
즉, 상기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커피를 담은 다음, 질소 주입용 밸브(30)를 통해 질소를 상기 용기본체(10)의 공간(12)으로 주입한 후, 뚜껑(20)의 토출구(22)를 개방시키게 되면 용기본체(10)의 공간(12)에 저장된 커피는 질소의 압력에 의해 압출 방식으로 토출되어 지는 데, 이때 커피는 질소의 압력에 의한 압출 방식으로 토출됨에 따라 커피잔에 토출된 커피에는 입자가 고운 거품층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용기본체(10)의 공간(12)으로 질속를 분사하는 노즐관(60)은 원통의 파이프 형태로 성형되고 그 둘레면 전체를 걸쳐서 따라 질소를 배출하는 분사구멍(62)이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노즐관(60)의 분사구멍(62)을 통해 분사되는 질소는 분사과정에서 용기본체(10)에 채워져 있는 커피와 많은 충돌이 일어나며 와류를 일으켜 일차적으로 거품을 생성시키도록 함으로서 커피 토출시에 보다 많은 양의 거품층을 형성할 수 있다.
10: 용기본체 12: 저장공간
20: 뚜껑 30: 질소 주입용 밸브
32: 밸브본체 34: 유로
36: 단턱부 38: 로드
40: 개폐판 42: 스프링
50: 질소주입구 52: 누름핀
60: 노즐관

Claims (1)

  1. 질소 커피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액상커피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지며 일측으로 토출구가 마련된 뚜껑;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질소를 주입하는 질소주입구가 체결되어 지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질소주입구에 구비되어 있는 누름핀의 누름 압력으로 승강 동작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단턱부에 안치되어, 상기 유로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동작으로 승강하며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판;
    상기 로드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승강 동작을 탄력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핀의 누름 압력이 해지되면 탄력적으로 상기 로드를 하강시켜 상기 개폐판을 상기 유로의 단턱부 상면에 안치시켜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스프링 및 ;
    상기 밸브본체의 선단을 통해 상기 밸브본체의 유로에 끼워지며 원통체 형태로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구멍들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로를 통과한 질소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키는 노즐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커피용기.
KR1020170043499A 2017-04-04 2017-04-04 질소 커피용기 KR20180112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99A KR20180112428A (ko) 2017-04-04 2017-04-04 질소 커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99A KR20180112428A (ko) 2017-04-04 2017-04-04 질소 커피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28A true KR20180112428A (ko) 2018-10-12

Family

ID=6387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99A KR20180112428A (ko) 2017-04-04 2017-04-04 질소 커피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54B2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TWI389659B (zh) 用於製備飲料之容器
EP3087014B1 (en)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US20110250333A1 (en) Process of brewing tea leaves contained in a capsule
US201000349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a Hot Beverage
CN111278291A (zh) 提取单元
KR20230093289A (ko) 추출 셀
KR101860740B1 (ko) 콜드 브루용 캡슐
KR100920237B1 (ko) 커피 추출 장치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20180112428A (ko) 질소 커피용기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20190054906A (ko) 커피 드리퍼
KR20090012348U (ko) 블렌딩 음료를 위한 추출캡슐 및 추출컵
US20170231420A1 (en) Brewing Material Holder with a Top Water Spray
KR101641909B1 (ko)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KR20180112427A (ko) 커피 추출장치
US20240130391A1 (en) Extraction cell
US20230345961A1 (en) Extraction cell
TWI730906B (zh) 沖泡裝置
CN214284503U (zh) 冲泡装置
US20200069108A1 (en) Liquid-Dispersing Member for a Brewing Materia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