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356A -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356A
KR20180112356A KR1020170043154A KR20170043154A KR20180112356A KR 20180112356 A KR20180112356 A KR 20180112356A KR 1020170043154 A KR1020170043154 A KR 1020170043154A KR 20170043154 A KR20170043154 A KR 20170043154A KR 20180112356 A KR20180112356 A KR 2018011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anchor
rotating
cap bol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부
Original Assignee
오희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부 filed Critical 오희부
Priority to KR102017004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356A/ko
Publication of KR2018011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77Repairing or restoring window or do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과 콘크리트 벽체에 박힌 앙카에 설치된 캡볼트 특히 플라스틱 캡볼트에 체결된 경첩용 피스가, 경첩과 문틀을 콘크리트 벽체로 힘을 가해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히 지지시킨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nchor of repairing door fr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문틀과 벽체(콘크리트 또는 ALC))에 박힌 앙카에 설치된 캡볼트 특히 플라스틱 캡볼트에 체결된 경첩 고정용 피스가, 경첩과 문틀을 벽체로 힘을 가해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히 지지시킨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은 문틀에 박힌 피스가 경첩을 잡아 지지되고, 문틀은 콘크리트 벽체의 개구부의 둘레에 설치된다. 문틀은 목재나 ABS 재질이 주로 사용되고, 피스도 이러한 재질에 잘 파고들어가게 목재나 ABS전용 피스가 사용된다. 또한, 피스는 문틀에만 박히고 콘크리트 벽체에는 박히지 않는다.
이러한 문짝은 계속 열고 닫아 피스가 느슨해져 처지거나, 문틀이 콘크리트 벽체에 대해서 뒤틀려 문짝 자체가 처질 수 있다.
문짝이 처지면 통상 3가지 방식으로 보수를 한다.
첫째, 박힌 피스를 빼고 그 피스를 뺀 자리에 나무젓가락이나 종이 등을 넣고 다시 피스를 박는다. 이것은 일시적으로 견디는 것뿐이지 문틀이나 문짝의 뒤틀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없다.
둘째, 박힌 피스를 빼고 그 피스를 뺀 자리에 칼 블럭 같은 것을 콘크리트 벽체에 박는다. 그러나 무게가 무거운 문틀이나 문짝을 지탱할 만큼 칼 블럭 자체가 가진 조임력이 매우 약하고, 기존 피스 대신 칼 블럭용 나사못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박힌 칼 블럭의 조임력이 너무 약해 교체할 경우에도 그 자리에 새 칼 블럭을 박아도 변화가 없기 때문에 조임력이 약해서 사용하기 힘들다.
셋째, 아예 경첩의 위치를 바꾸거나 경첩을 추가로 더 박아서 보수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문짝이 경첩에 가하는 힘의 분배를 불균등하게 해서 피스가 빠질 수 있다.
한편, 앙카(또는 앙카 볼트)는 플랜지 및 철골과 같은 피고정물을 건물이나 가구 등과 같은 바닥면 및 벽면(이하 시공면 이라 합니다)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빌딩 공사 시, 콘크리트 벽면에 벽판을 고정하는 경우와, 외장을 미려하기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강암 재질의 벽판을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앙카(1)가 특허문헌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의 앙카(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체(2)와 커버체(3)를 조립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구멍(5)에 삽입 매설한 다음 설치구멍(5)에서 길게 돌출된 볼트체(2)의 수나사부(21) 부분에 평와셔(41)와 스프링와셔(42)를 차례로 끼워주고 이어서 너트(4)를 나사 조임하는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앙카(1)를 시공면에 설치 시 너트(4)를 나사 조임하게 되면 볼트체(2)는 회전방지홈(23)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너트(4)의 나사 조임력에 의해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따라 볼트체(2)의 원추형 확장부(22)가 커버체(3)의 원추형 몸체(31) 속으로 삽입되면서 원추형 몸체(31)를 강제로 벌려주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강제로 벌어지는 원추형 몸체(31)에는 커버체(3)의 일측을 분리시키는 절개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추형 몸체(31)의 끝단부는 더 넓게 벌어지면서 설치구멍(5)의 내주면에 더 깊이 박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 시에 볼트체(2)가 외부로 과하게 돌출되므로 인해 작업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돌출된 볼트체(2)에 작업자의 발이 걸려 넘어지거나, 작업자의 옷이나 피부가 걸려 찢어지는 등의 안전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 볼트체(2)가 과하게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폐단 또한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의 다른 앙카(100)는 특허문헌의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300)의 구멍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헤드(230)를 구비한 금속 재질의 볼트(200)와; 슬리브(300)의 하부에는 슬리브(300)의 구멍에 일부가 삽입되고, 슬리브(30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430)가 형성된 고정구(400)를 포함한다.
고정구(400)의 상부 내측에는 볼트(200)의 수나사부(250)와 체결되는 암나사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200)와 고정구(400)의 체결을 위해 볼트(200)의 헤드(230)를 회전시키면 슬리브(300)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400)가 슬리브(300)의 내부로 점차 인입되면서 고정구(400)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구(400)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43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고정구(400)가 상승하면서 확장부(430) 역시 상승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슬리브(300)의 절개부(350)를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리브(300)의 하부에 결합된 원추형의 고정구(400)가 슬리브(3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승하게 되면, 슬리브(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350)가 점차 벌어지게 되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0)의 벌어진 절개부(350)가 설치홀(600)의 내면에 끼이게 되면서 내벽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됨으로써 슬리브(30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를 통해 앙카(100)가 안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리브(300)의 견고한 고정은 슬리브(300)에 투입된 볼트(200)에 의해 견고한 고정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외부에는 볼트(200)의 헤드(230) 부분만이 노출됨으로써 깔끔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200)의 분해시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앙카들은 원추형 확장부가 비회전 상승 확개식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제들이 있다.
원추형 확장부(22)(430)가 위로 수직 상승하면서 절개부(34)(350)가 확개되기 때문에, 큰 힘으로 위로 당겨야 절개부(34)(350)의 확개가 가능하다.
또한, 절개부(34)(350)의 하단이 원추형 확장부(22)(430)에 순간적으로 걸려 슬리브(3)(300)가 위로 올라오려는 움직임으로 인해, 그 움직임만큼 급속 경화 접착제가 깨져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원추형 확장부(22)(430)가 상승하면서 절개부(34)(350)가 수직으로만 스크래치를 내기 때문에, 원추형 확장부(22)(430)가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올 우려가 커서 확개한 절개부(34)(350)의 역할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 확장부(430)에 암나사(450)가 형성됨으로써, 암나사(450)의 형성만큼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기존과 동일한 인발력(위로 당기는 힘)을 가지려면 불가피하게 원추형 확장부(430)의 지름이 더 크게 제작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구멍을 불필요하게 더 크게 뚫어야 하는 등 불필요한 요소가 더 생기게 된다.
또한, 도 9b와 같이 파고들어간 후 원추형 확장부(430)와 슬리브(300) 간의 마찰력(꽉 끼워짐으로 인함)이 암나사(450)와 볼트(250) 간의 체결력보다 점점 커지므로 공회전을 유발한다. 이러한 공회전 방지를 위해 슬리브(300)를 1차 타격 펀칭 작업이 필요한데, 암나사(45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갈 우려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특성상 앙카의 확장 후 최종높이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볼트(200)의 사이즈 선택에서 짧아지면 지지력이 저하되고, 특히 길어지면 결속의 목적을 상실하여 공회전한다.
또한, 일정한 접지력은 안전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볼트(250)와 암나사(450)의 나사산 결합 깊이가 기준 이상일 때에는 무관하지만 기준 이하로 확장이 완하되면 안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암나사(450)에 볼트(250)가 체결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볼트(250)와 슬리브(300) 사이의 간격이 기존보다 2mm 이상 커지기 때문에 강한 조임을 필요로 하는 앙카의 결합을 불완전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77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구를 이용하여 확장유도부의 회전과 동시에 상승시켜 복수의 날개가 확개되면서 박혀 작업성, 구조 안전, 미관, 재활용 등에 현저히 우수하고, 기존 경첩이나 피스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문틀을 콘크리트 벽체에 확실히 지지시킬 뿐만 재보수도 매우 쉬운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문틀 보수용 앙카는, 하면이 상면보다 넓은 원추부와, 상기 원추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수나사 축부와, 상기 수나사 축부의 상면에 형성된 공구자리홈을 포함하는 확장유도부; 상기 원추부의 외주면에 하단이 걸리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와, 상기 수나사 축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비회전 확개원통부;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후측에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캡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에 대해 회전과 동시에 상승하면서 상기 날개를 확개시킨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문틀 보수용 앙카에 있어서, 상기 캡볼트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봉과,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후단에 걸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캡볼트용 공구자리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문틀 보수용 앙카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확개슬리브와, 상기 수나사 축부와 상기 수나사봉이 체결되는 비회전원통으로 분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문틀 보수용 앙카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원통은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과,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편을 포함하되, 상기 원통에는 내경이 작은 제1함몰부와 제2함몰부가 상기 원통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는 상기 제1함몰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볼트가 체결되는 제1암나사와, 상기 제2함몰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 축부가 체결되는 제2암나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방법은, 문틀과 벽체에 구멍을 뚫는 단계; 확장유도부와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비회전 확개원통부가 조립된 앙카가 상기 벽체와 문틀을 걸치게 상기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내부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확장유도부에 공구를 대는 단계; 상기 공구로 상기 확장유도부를 회전시켜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확장유도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날개가 확개되어 상기 앙카가 상기 구멍의 벽체에 박히는 단계;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후단에 캡볼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틀과 벽체에 구멍을 뚫는 단계는 경첩용 피스가 박힌 자리에 공구를 대고 구멍을 뚫는 단계이고, 상기 앙카가 구멍에 박히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캡볼트가 상기 구멍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깊이로 박히는 단계이고, 상기 캡볼트가 체결되는 단계 이후, 경첩을 문틀에 대고 상기 경첩용 피스로 상기 캡볼트에 체결시켜 상기 경첩과 문틀을 벽체로 미는 힘을 가해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문틀과 콘크리트 벽체에 걸쳐 박힌 앙카에 체결된 캡볼트에 기존 경첩용 피스가 체결됨으로써, 기존 피스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앙카의 조임력이 매우 커서 문틀과 경첩을 피스를 통해 견고히 지지시켜 뒤틀림을 방지하고, 플라스틱 캡볼트의 교체가 매우 쉬워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특히 캡볼트가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기존 경첩 고정용 피스가 대부분 목재나 ABS 수지 전용 나사못이기 때문에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확장유도부가 회전 상승되면서 확개슬리브의 내부로 인입되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상승력에 의해서만 확개슬리브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보다 덜 저항을 받으면 들어가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확개슬리브의 하단과의 마찰에 의해 확장유도부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의 스크래치를 내기 때문에, 이 나선형태의 스크래치가 확장유도부가 아래로 내려가는 막아 풀림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확장유도부의 회전은 공구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공구가 확장유도부가 회전시킬 정도의 힘으로 아래로 누르기 때문에 확개슬리브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확개슬리브의 움직임 최소화는 급속 경화식 접착제 속에서 확개슬리브의 날개가 확개된 상태로 그대도 굳어 결합력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유도부가 회전할 정도로 공구가 누르기 때문에, 확장유도부와 나사 체결된 비회전원통도 아래쪽 방향의 반력이 작용되어 비회전원통에 별도의 상승방지부품을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결합력이 저하되는 경우, 피고정물 고정용 볼트를 풀어내고 비회전원통 내부로 공구를 넣어 간단히 재수정 가능하다.
또한, 공구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확장유도부의 공회전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비회전원통이 시공면의 구멍 내면에 거의 압입 형태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앙카가 구멍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비회전원통이 구멍에 노출되지 않게 삽입된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앙카의 확장 후에도 최종높이가 일정하여 지지력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비회전원통의 암나사가 제1함몰부와 제2함몰부에 형성됨으로써, 피고정물 고정용 볼트와 체결할 때 암나사가 너무 길어(즉 비회전원통의 길이방향 전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경우) 나사 체결되다가 씹히는 현상을 방지한다(씹히는 경우 다시 빼어 회전축을 정확히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비회전원통의 암나사가 제1함몰부와 제2함몰부에 형성됨으로써, 비회전원통의 어느 위치에서나 수나사 축부와 체결이 될 수 있어 조립 속도가 빠르다.
또한, 비회전원통이 구멍에 노출되지 않게 삽입되기 때문에, 별도의 볼트를 사이즈에 맞게 선택해서 체결하면 되어 외부 미관이 매우 좋다.
또한, 확개슬리브와 비회전원통이 분할되어 있어서, 확개슬리브의 절개홈들을 프레스로 쉽게 가공하고, 비회전원통의 암나사 가공도 쉽다.
또한, 구멍에 접착제를 바로 주입하는 대신에 접착제나 경화제가 유리나 비닐 튜브 내부에 충전된 케미컬 튜브를 구멍에 투입함으로써, 접착제 주입할 때 접착제 총의 출구쪽을 막고 있는 굳어진 부분을 제거해야 하고, 주입 용량도 제대로 알 수 없이 시공자의 느낌만으로 짜 넣던 것을, 정량의 케미컬 튜브를 구멍에 투입만 하면 되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틀 보수용 앙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문틀 보수용 앙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문틀 보수용 앙카가 구멍에 삽입되기 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문틀 보수용 앙카가 구멍에 삽입된 후 피스가 체결되기 전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에 따른 앙카의 조립상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앙카의 작동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종래에 따른 앙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틀 보수용 앙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틀 보수용 앙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문틀 보수용 앙카가 구멍에 삽입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문틀 보수용 앙카가 구멍에 삽입된 후 피스가 체결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앙카(1000)는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와,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의 선후측에 체결되는 확장유도부(1100)와 캡볼트(1700)를 포함한다.
확장유도부(1100)는 하면(1111)이 상면(1113)보다 넓은 원추부(1110)와, 원추부(1110)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수나사 축부(1130)와, 수나사 축부(1130)의 상면에 형성된 공구자리홈(1150)을 포함한다.
원추부(1110)는 단면이 사다리꼴로서, 그 외주면(1115)이 경사져 있다.
수나사 축부(1130)는 원추부(1110)의 상면(1113)에서 연장되는 축봉(1131)과, 축봉(1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또는 전체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133)를 포함한다.
공구자리홈(1150)은 축봉(1131)의 상면(상단)에 일자, 십자 또는 렌치홈(소켓)으로 형성 가능하다.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는 확개슬리브(1300)와 비회전원통(1500)을 포함하다.
확개슬리브(1300)는 원추부(1110)와 수나사 축부(1130) 사이에 끼워진다.
확개슬리브(130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320)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날개(1310)를 포함한다. 즉, 확개슬리브(1300)는 날개(1310)가 확개(외측으로 점차 벌어짐)되지 않했을 때 원통형상이다.
날개(1310)는 90도 간격의 4개 또는 120도 간격의 3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홈(1320)의 하단은 개방되고 상단은 폐쇄되어 있다.
또한, 절개홈(1320)의 상단에는 C자 형상의 홈(1330)이 형성되고, 절개홈(1320)이 C자 홈(1330)의 열린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C자 홈(1330)은 날개(1310)가 유연하게 외측으로 벌려 확개되는 것을 도와준다.
확장유도부(1100)가 확개슬리브(1300)의 밑에서 위로 끼워지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확개슬리브(1300)의 하단(1311)이 원추부(1110)의 외주면(1115)에 걸리게 된다.
절개홈(1320)과 C자 홈(1330)을 홈이라 표현한 것은 길이방향에서 볼 땐 홈이기 때문이며, 물론 직경방향에서 볼 땐 관통공이다.
또한, 절개홈(1320)의 하단측에는 점점 넓어지는 확장절개홈(13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확장절개홈(1325)은 원추부(1110)의 외주면(1115)과 닿는 면적을 줄여주어, 초기 확장유도부(1100)의 회전 및 승강을 부드럽게 기동시킬 수 있다.
비회전원통(1500)은 확개슬리브(1300)보다 상당히 긴 형태의 원통으로서, 수나사(1133)가 체결되는 암나사(1541)가 형성된 원통(1510)과, 원통(1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편(1550)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1510)에는 비함몰부에 비해 내경이 작게 누른 제1함몰부(1530)와 제2함몰부(15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함몰부(1530)의 내면에는 제1암나사(1531)가 형성되고, 제2함몰부(1540)의 내면에는 암나사(1541)인 제2암나사(1541)가 형성되어 있다.
제1함몰부(1530)는 원통(1510)의 상측 부근에 배치되고, 제2함몰부(1540)는 원통(15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암나사(1541)의 적어도 일부에는 수나사 축부(1130)의 수나사(1133)가 체결되고, 제2암나사(1541)에는 경첩 고정용 피스(200)가 체결되는 캡볼트(1700)가 체결된다.
회전방지편(1550)은 원통(1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돌출편으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높게 하여 구멍(600)에 삽입 고정될 때 처음부터 무리하게 들어가지 않고 스무스하게 잘 파고들어가게 한다.
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의 '비회전'이란 "미세한 회전(예컨대 파고들어가서 생긴 미세한 여유 공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체결 요소들의 체결력에 의해 확장유도부(1100)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날개(1310)가 확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공구자리홈(1150)은 공구(T)로 확장유도부(1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리로서, 확장유도부(1100)가 회전함에 따라 수나사 축부(1130)가 제1암나사(1541)를 따라 체결되면서 위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앙카 요지는 확장유도부(1100)가 회전과 동시에 상승되면서 날개(1310)가 벌어지게 하는 것이다.
캡볼트(17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 성형한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비회전 확개원통부(1500)의 제1암나사(1531)에 체결되는 수나사봉(1710)과, 비회전 확개원통부(1500)의 후단에 걸리는 머리부(1730)와, 머리부(17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캡볼트용 공구자리홈(1750)을 포함한다.
후술되는 경첩 고정용 피스(200)는 플라스틱 캡볼트(1700)의 중심 길이방향으로 파고들어가면서 나사 체결된다.
이때, 플라스틱 캡볼트(1700)의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경첩 고정용 피스(200)의 직경보다 작게 일정 깊이 홈을 형성하게 되면, 피스(200)가 박힐 때 그 홈을 따라 안내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직진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캡볼트(1700)는 공구를 이용해서 간단히 분해할 수 있어서, 앙카는 그대로 둔 채 새 플라스틱 캡볼트로 체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캡볼트(1700)가 체결된 회전 상승식 앙카(1000)의 주요 특징은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한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방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틀 보수용 앙카(1000)의 시공방법은, 문틀(DF)과 벽체(W)에 구멍(600)을 뚫는 단계(도 4a)와, 확장유도부(1100)와 복수의 날개(1310)를 포함하는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가 조립된 앙카(1000)가 벽체(W)와 문틀(DF)을 걸치게 구멍(600)에 삽입하는 단계(도 4b)와,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의 내부를 통해 삽입하여 확장유도부(1100)에 공구(T)를 대는 단계(도 4c)와, 공구(T)로 확장유도부(1100)를 회전시켜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와 체결됨에 따라 확장유도부(1100)가 상승되면서 날개(1310)가 확개되어 구멍(600)의 벽체(W) 측면에 박히는 단계(도 4d)와, 비회전 확개원통부(1200)의 후단에 플라스틱 재질의 캡볼트(1700)를 대고 공구로 돌려 체결하는 단계(도 4e)를 포함한다.
이를 자세히 분설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DF)과 벽체(W)에 앙카(1000)가 삽입될 구멍(600)을 드릴(미도시) 등으로 낸다. 구멍(600)의 직경은 비회전원통(1500)의 원통(1510) 외경과 같거나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작업단계에서는 드릴(미도시) 등으로 뚫은 구멍(600)의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이 병행될 수 있다.
이때, 구멍(600)을 뚫는 자리는 기존 경첩용 피스(200)가 박힌 자리(60)를 기준으로 해서 더 넓게 뚫으면 된다.
구멍(600)이 형성되면, 앙카(1000)를 구멍(600)에 삽입하기 전에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케미컬 튜브를 투입하여도 좋다.
케미컬 튜브인 경우에는 앙카(1000)가 삽입되면서 터트릴 수 있고, 확장유도부(1100)의 하면(1111)에 침 같은 돌기를 두어도 좋다.
케미컬 튜브는 유리 또는 비닐 등의 내부에 충전된 것으로, 구멍(600)의 사이즈에 따라 접착제의 용량을 달리하여 그에 맞는 앙카와 세트로 해서 제공하면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접착제는 급속히 경화되기 때문에, 고정작업이 신속해야 하고 무엇보다도 날개(1300)의 확개 시 움직임이 거의 없어야 한다.
왜냐하면, 날개(1310)가 확개될 때 확개슬리브(1300)가 움직이면 경화된 접착제가 깨져 그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확개슬리브(1300)의 움직임이 없도록 공구(T)를 이용하여 확장유도부(1100)를 회전 상승시키는 구조를 채택한 것이다.
다음에, 도 4b와 도 1 및 도 3과 같이 조립된 앙카(1000)를 구멍(600)에 삽입한다. 이때, 회전방지편(1550)이 파고들어갈 수 있게 삽입하는 게 좋다.
또한, 도 4b와 같이 비회전원통(1500)의 후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좀 더 깊이 들어가게 삽입시킨다.
그러면 삽입된 앙카(1000)는 확개슬리브(1300)의 하단(1311)이 확장유도부(1100)의 외주면(1115) 상에 걸리고 확개슬리브(1300)의 상단과 비회전원통(1500)의 하단이 서로 닿게 구멍(600) 내에 배치된다.
또한, 비회전원통(1500)이 구멍의 직경과 거의 맞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600)과의 간극이 거의 없어 흔들림 등이 없이 안정적이다.
앙카(1000)가 구멍(600)에 삽입되면, 도 4c와 같이 비회전원통(1500)의 내부를 통해 삽입된 공구(T)가 확장유도부(1100)의 공구자리홈(1150)에 맞춘 후 도 4d와 같이 공구(T)를 회전시키면, 확장유도부(1100)는 공구(T)와 같이 회전함과 동시에 체결함에 따라 상승되게 된다.
공구(T)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왼쪽으로 힘을 준 상태에서 잡은 자세를 취한다. 이러한 자세로 인해, 확장유도부(1100)와 체결된 비회전원통(1500)도 왼쪽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별도의 상승방지편을 두지 않아도 되게 된다.
또한, 공구(T)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약간 왼쪽으로 힘을 준 상태에서 잡은 자세로 인해, 원추부(1110)가 확개슬리브(1300)의 하단(1311)에 대해 측면으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날개(1310)의 확개에 따른 확개슬리브(130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유도부(1100)와 날개(1310)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확장유도부(1100)의 공전회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확장유도부(1100)가 회전하면서 오른쪽으로 이동(상승)하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오른쪽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보다는 쉽게 확장하기 쉽다(거리는 길되 힘이 적게 드는 지그재그 이동 원리와 비슷).
또한, 확장유도부(1100)의 회전 상승으로 인해, 확개슬리브(1300)의 하단(1311)에 의해 외주면(1115)에 나선 형태로 스크래치가 형성되어 이 나선 스크래치가 나사 풀림 방지와 같은 효과가 얻어 확장유도부(1100)가 최종 위치에 안정적으로 있게 된다.
확개슬리브(1300)의 날개(1310)가 결합력이 약해지더라도 공구(T)로 간단히 재수정이 가능하다.
앙카(100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4e와 같이 비회전원통(1500)의 제1암나사(1531)에 캡볼트(1700)의 수나사봉(1710)을 체결한다.
즉, 캡볼트(1700)의 공구자리홈(1750)에 공구를 대고 돌리면, 캡볼트(1700)는 머리부(1730)만 남기고 체결된다.
이때 머리부(1730)도 구멍(600)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깊이에 배치된다.
캡볼트(1700)의 체결이 완료되면, 경첩(H)을 문틀(DF)에 대고, 기존 경칩 고정용 피스(200)를 공구로 캡볼트(1700)에 박아 체결시킨다(도 4f).
이와 같이, 조임력이 매우 큰 앙카(1000)가 벽체(W)에 고정되고, 이 앙카(1000)에 캡볼트(1700)가 체결 고정되어 있어, 피스(200)가 캡볼트(1700)에 체결되면, 그 체결력이 그대로 경첩(H)과 문틀(DF)에 가해져 마치 벽체(W)와 피스(200) 사이에서 경첩(H)과 문틀(DF)이 샌드위치 형태로 압착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따라서, 문틀(DF)의 뒤틀림이 최대한 잡히면서도 큰 조임력에 의한 추후 뒤틀림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피스(200)를 그대로 체결하기 때문에 재사용 및 원형 그대로 복원이 가능하고, 캡볼트(1700)와의 체결력이 떨어지면 캡볼트(1700)만 분해하고 새 캡볼트를 체결하면 간단히 교체가 이루어져 유지보수 기간이 거의 반영구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0 : 앙카 1100 : 확장유도부
1110 : 원추부 1130 : 수나사 축부
1131 : 축봉 1133 : 수나사
1150 : 공구자리홈 1200 : 비회전 확개원통부
1300 : 확개슬리브 1310 : 날개
1320 : 절개홈 1500 : 비회전원통
1510 : 원통 1530,1540 : 제1,2함몰부
1531,1541 : 제1,2암나사 1550 : 회전방지편
1700 : 캡볼트 1750 : 캡볼트용 공구자리홈

Claims (6)

  1. 하면이 상면보다 넓은 원추부와, 상기 원추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수나사 축부와, 상기 수나사 축부의 상면에 형성된 공구자리홈을 포함하는 확장유도부;
    상기 원추부의 외주면에 하단이 걸리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와, 상기 수나사 축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비회전 확개원통부;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후측에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캡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에 대해 회전과 동시에 상승하면서 상기 날개를 확개시키는 문틀 보수용 앙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볼트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봉과,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후단에 걸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캡볼트용 공구자리홈을 포함하는 문틀 보수용 앙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확개슬리브와, 상기 수나사 축부와 상기 수나사봉이 체결되는 비회전원통으로 분할되는 문틀 보수용 앙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회전원통은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과, 상기 원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편을 포함하되,
    상기 원통에는 내경이 작은 제1함몰부와 제2함몰부가 상기 원통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는 상기 제1함몰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볼트가 체결되는 제1암나사와, 상기 제2함몰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 축부가 체결되는 제2암나사를 포함하는 문틀 보수용 앙카.
  5. 문틀과 벽체에 구멍을 뚫는 단계;
    확장유도부와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비회전 확개원통부가 조립된 앙카가 상기 벽체와 문틀을 걸치게 상기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내부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확장유도부에 공구를 대는 단계;
    상기 공구로 상기 확장유도부를 회전시켜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확장유도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날개가 확개되어 상기 앙카가 상기 구멍의 벽체에 박히는 단계;
    상기 비회전 확개원통부의 후단에 캡볼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문틀과 벽체에 구멍을 뚫는 단계는 경첩용 피스가 박힌 자리에 공구를 대고 구멍을 뚫는 단계이고,
    상기 앙카가 구멍에 박히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캡볼트가 상기 구멍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깊이로 박히는 단계이고,
    상기 캡볼트가 체결되는 단계 이후, 경첩을 문틀에 대고 상기 경첩용 피스로 상기 캡볼트에 체결시켜 상기 경첩과 문틀을 벽체로 미는 힘을 가해 지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틀 보수용 앙카의 시공방법.
KR1020170043154A 2017-04-03 2017-04-03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12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154A KR20180112356A (ko) 2017-04-03 2017-04-03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154A KR20180112356A (ko) 2017-04-03 2017-04-03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56A true KR20180112356A (ko) 2018-10-12

Family

ID=6387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154A KR20180112356A (ko) 2017-04-03 2017-04-03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3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8177A (zh) * 2020-06-19 2020-09-01 华侨大学 耐高压型可回收锚杆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8177A (zh) * 2020-06-19 2020-09-01 华侨大学 耐高压型可回收锚杆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25008B2 (en) A self-drilling masonry bolt
JP5180281B2 (ja) セルフドリルアンカー
US6558097B2 (en) Screw fastener
US8104248B2 (en) Plug finishing system and tool therefor
US9885378B2 (en) Flush mount screw anchor
CA2420718A1 (en) Wall mounted toggle hook
WO2006135557A1 (en) Self drilling fastener
US20070204552A1 (en) Plastic composite deck screw
KR20180112356A (ko) 문틀 보수용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TW202033891A (zh) 具肘節之錨定組件(二)
JP2006308079A (ja) 木ねじ
US20080226420A1 (en) Adjusting screw for door frames and window casings
EP0843788B1 (de) Befestigung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verankerung
KR101932156B1 (ko) 앙카
KR20180112357A (ko) 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I93047C (fi) Säädettävä kiinnitin
JP5485657B2 (ja) 土木建築用ボルト
US675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popped wallboard nails
KR20110007769U (ko) 앵커 볼트
US20240117836A1 (en) Cut and compression device
CN114096720A (zh) 具有可变形扩展部分的墙壁锚定件
GB2358688A (en) Self countersinking woodscrew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AU2019232872B2 (en) Screw fastener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MXPA06005313A (en) Anchoring drill bit, system and method of anch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