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49A -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49A
KR20180112249A KR1020170042880A KR20170042880A KR20180112249A KR 20180112249 A KR20180112249 A KR 20180112249A KR 1020170042880 A KR1020170042880 A KR 1020170042880A KR 20170042880 A KR20170042880 A KR 20170042880A KR 20180112249 A KR20180112249 A KR 20180112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ld
mold
shape
jig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893B1 (ko
Inventor
박화성
Original Assignee
(주)지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지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04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9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코어몰드를 가공한 후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에 대한 사출성형품 코어 가공영역의 표면 형상 및 조도를 일률적으로 측정하므로 콘택트렌즈의 양품생산 및 생산성을 도모하기 위한 코어몰드를 효율적으로 제조함을 제공하도록, 코어몰드의 일단에 대응하여 오목 또는 볼록한 구면의 형상면을 형성토록 표면 가공하는 몰드가공기와; 상기 몰드가공기로부터 가공된 코어몰드가 인라인(in-line) 공급되고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접촉하되 형상면의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코어몰드표면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는 상부에 작업지지대를 구비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코어몰드를 지지고정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대응하여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며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접촉하여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Core Mold Manufacturing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Contact-Lens}
본 발명은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코어몰드를 가공한 후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에 대한 사출성형품 코어 가공영역의 표면 형상 및 조도를 일률적으로 측정하므로 콘택트렌즈의 양품생산 및 생산성을 도모하기 위한 코어몰드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교정을 위한 방법으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안경과는 달리 눈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도록 착용하여 빛의 굴절에 따른 시력을 교정하거나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면서 여러 종류의 색상 및 디자인을 구현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의 눈을 연출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제조함에는 선반절삭법(lathe-cutting)과 주형주조법(molding)이 사용되고 있으며, 선반절삭법은 단량체(monomer)를 중합하여 봉으로 만든 다음 다시 블랭크(blank)로 제작한 후 특수한 선반에서 콘택트렌즈의 내면과 외면을 가공하며 표면의 미세한 요철면을 연마기로 연마하여 제조하는 방법이고, 주형주조법의 경우에는 렌즈의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몰드 즉 오목 형상면을 갖는 암몰드 및 볼록 형상면을 갖는 숫몰드를 사용하여 상호 결합시킴에 따라 형성된 공간에 단량체를 주입시킨 후 중합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선반절삭법은 렌즈의 직경이나 배면의 곡률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연마과정이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생산 및 제조의 어려움이 있는 반면, 주형주조법은 상기한 선반절삭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다량의 렌즈를 동일한 재현성을 유지한 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최근 주형주조법에 따른 방법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주형주조법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제조기술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55976호(2012.06.07.)에는 볼록 형상면을 갖는 숫형 베이스커브와, 상기 볼록 형상면에 결합되게 오목 형상면을 갖는 암형 프론트커브로 이루어진 완전 자동화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몰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브의 외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커브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 체결되도록 체결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커브와 프론트커브의 결합으로 그 내부에 콘택트렌즈 형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렌즈 형성부의 외측에 연장되게 단량체 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택트렌즈 형성부의 끝단에 형성된 엣지단부는 상기 베이스커브의 하부면과 상기 프론트커브의 내측면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됨에 따라 단면형상이 직각 또는 직각에 근접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량체저장부를 이루는 상기 프론트커브의 내측면은 상기 엣지단부에 연결되게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엣지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커브의 볼록 형상면으로 연결되는 부위와 상기 프론트커브의 내측 오목 형상면으로 연결되는 부위는 꼭지점의 형성없이 라운딩된 만곡부로 형성됨에 따라 단량체 주입 후 중합과정에서 단량체의 보충이 용이하여 불량품의 생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몰드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513441호(2005.09.01.)에는 상고정판, 상원판, 스트리퍼판, 하원판, 받침판, 코아 등으로 밀폐되는 공간상에 단량체를 주입하여 렌즈접촉면을 구비하는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원판에 장착되어 하부에 결착구를 구비하고 지그의 몸체를 결정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삽설되어 지그의 렌즈접촉면을 결정하는 제2코어; 상기 상고정판에 장착되어 제2코어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드볼트; 상기 스트리퍼판에 장착되어 제1코어의 결착구에 대응하는 결착구를 구비하고 지그의 바닥면을 결정하는 제3코어; 및 상기 하원판에 장착되면서 제3코어에 삽설되고 지그의 내경인 결합공과 걸림턱을 결정하는 제4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지그(몰드)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증대와 작업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콘택트렌즈 제조에 금속재의 코어몰드를 가공제조한 후 코어몰드를 기반으로 별도 플라스틱재의 주형몰드를 대량 제작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때문에 주형몰드의 제작공정에 따른 비용증가 및 생산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대량 제작된 주형몰드 중 일부 샘플만을 취득하여 표면형상 및 조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생산품질의 신뢰도가 저하되면서 높은 불량률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155976호 (2012.06.07.)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13441호 (2005.09.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면의 형상면을 표면 가공한 코어몰드에 연속해서 표면 형상 및 조도를 측정할 수 있게 측정시스템을 구축 및 구현하므로 사출성형 몰드 제작공정의 유효성평가가 확인 가능하도록 일괄적으로 진행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품의 생산성 및 생산품질을 높이고 제품의 부적합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은 코어몰드의 일단에 대응하여 오목 또는 볼록한 구면의 형상면을 형성토록 표면 가공하는 몰드가공기와; 상기 몰드가공기로부터 가공된 코어몰드가 인라인(in-line) 공급되고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접촉하되 형상면의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코어몰드표면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는 상부에 작업지지대를 구비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코어몰드를 지지고정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대응하여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며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접촉하여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플레이트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수단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코어몰드를 조임 고정하는 고정바이스를 구성한다.
상기 지그부에는 상기 고정바이스를 지지고정하되 상기 유동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이스를 θ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구비되는 θ축 조정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검출부는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한 스타일러스를 구비하는 검출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을 지지하되 상기 지그부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닛에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조정토록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라이브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검출부에는 상기 검출유닛 상에 구비되되 상기 승강유닛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측정경사각도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검출경사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에 의하면 콘택트렌즈를 직접 성형제조하기 위한 코어몰드를 제조하되 코어몰드에 형상면을 가공한 후 표면 형상 및 조도를 일률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코어몰드를 제조하므로 불필요한 주형몰드의 생산공정을 생략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품의 가격경쟁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표면 형상 및 조도가 측정완료된 코어몰드에 콘택트렌즈를 성형제조하여 양품생산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코어몰드표면측정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코어몰드표면측정기의 지그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코어몰드표면측정기의 지그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코어몰드표면측정기의 검출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코어몰드표면측정기의 검출부 중 검출경사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여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코어몰드의 일단에 대응하여 오목 또는 볼록한 구면의 형상면을 형성토록 표면 가공하는 몰드가공기와; 상기 몰드가공기로부터 가공된 코어몰드가 인라인(in-line) 공급되고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접촉하되 형상면의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코어몰드표면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는 상부에 작업지지대를 구비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코어몰드를 지지고정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대응하여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며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접촉하여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가공기(100)와, 코어몰드표면측정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몰드가공기(100)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코어몰드(M)를 절삭 및 연삭 등 연속적으로 가공하되 코어몰드(M)의 일단에 대응하여 오목 또는 볼록한 구면의 형상면을 형성토록 표면 가공한다.
상기 몰드가공기(100)는 코어몰드(M)의 한쪽 단부를 클램핑 고정한 채 회전구동하는 구동척(110)과, 상기 구동척(110)의 전방에서 코어몰드(M)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공구들이 위치할 수 있게 고정하는 공구대(120)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설정입력된 코어몰드(M)의 가공치를 기초로 상기 구동척(110) 및 공구대(120)를 수치제어하여 코어몰드에 형상면을 가공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200)는 상기 몰드가공기(100)에서 가공완료된 코어몰드(M)의 형상면에 대하여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200)에는 상기 몰드가공기(100)로부터 가공된 코어몰드(M)가 인라인(in-line) 공급될 수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몰드가공기(100)에서 형상면이 가공된 코어몰드(M)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닛(50)을 구비하고, 상기 몰드가공기(100)에서 코어몰드(M)를 픽업이송하여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200)로부터 측정가능한 위치로 자동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몰드(M)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할 수 있게 접촉하는 구조로서, 측정본체(210)와, 지그부(220) 및 검출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정본체(210)는 상기 지그부(220) 및 상기 검출부(230)의 구성들이 개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를 이룬다.
상기 측정본체(210)에는 상부에 작업지지대(215)를 구비한다. 즉 상기 작업지지대(215)는 상기 검출부(230)를 구비하되 상기 지그부(22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측정본체(210)에는 한쪽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설정하거나 조작가능한 구조를 갖는 조작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지그부(220)는 상기 측정본체(210)의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검출부(230)로부터 측정가능하게 상부에 코어몰드(M)를 지지고정한다.
상기 지그부(2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지지대(215) 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21) 상에 설치되는 유동플레이트(223)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21) 및 상기 유동플레이트(223)의 사이에 구비되는 위치조절수단(225)과, 상기 유동플레이트(223)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바이스(227)를 구성한다.
상기 유동플레이트(22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21) 상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225)의 조작에 따라 가공위치를 설정하되 상기 유동플레이트(223)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킨다.
상기 위치조절수단(225)은 이동방향 즉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이동스크류(도면에 미도시)를 회전조작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재(226)와, 상기 조작부재(226)에 따른 조작설정 여부를 잠금 상태로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고정부재(228)를 구성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22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플레이트(223)를 전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위치조절수단(225a)과, 상기 제1위치조절수단(225a)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유동플레이트(223)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플레이트(223)를 좌우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위치조절수단(225b)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225)에는 상기 유동플레이트(223)에 대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의 위치이동시 미세한 이동량을 확인할 수 있게 구비되는 표시수단(224)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바이스(227)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222)를 형성하는 바이스지지체(227a)와, 상기 바이스지지체(227a) 상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재(222)를 따라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어몰드(M)에 압력을 가해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조임부재(227b)와, 상기 가압조임부재(227b)를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작하는 가압조작수단(227c)을 구비한다.
상기 지그부(220)에는 상기 유동플레이트(223) 상에 상기 고정바이스(227)를 지지고정하되 상기 고정바이스(227)를 θ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구비되는 θ축 조정수단(229)을 구성한다.
상기 θ축 조정수단(229)은 상기 유동플레이트(22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이스(227)의 회전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θ축 조정수단(229)에 따른 상기 고정바이스(227)의 회전각도를 고정가능한 각도고정수단(229a)을 형성한다.
상기 검출부(230)는 상기 지그부(220) 상에 위치한 코어몰드(M)를 향해 접촉가능하게 접근하여 형상면의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검출부(230)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그부(220)에 대응하여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구동가능한 구조로서, 검출유닛(231) 및 승강유닛(23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검출유닛(231)에는 일단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그부(220) 상에 고정된 코어몰드(M)에 대응하여 접근한 후 형상면에 접촉가능한 스타일러스(232)를 구비한다.
상기 스타일러스(232)에는 일단에 코어몰드(M)의 형상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형상면의 형상 및 조도를 측정가능한 측정팁(T)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측정팁(T)은 원추형상으로 하단부의 팁 각도는 60°를 이루고, 재질로는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검출유닛(231)에서 상기 스타일러스(232)에 따른 측정압은 0.7~0.8mN을 이룬다.
상기 검출유닛(231)에는 상기 스타일러스(232)의 위치를 조정토록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측정을 위한 스타일러스(232)의 위치가 전방으로 연장되게 측정범위를 확장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라이브수단(233)을 구성한다.
상기 드라이브수단(233)은 상기 검출유닛(231)으로부터 전방 수평방향을 향해 최대 100㎜까지 충분한 거리를 측정범위로 확보한 채 확장가능하여 코어몰드(M)의 형상면에 따른 원활한 측정을 도모함은 물론 측정물과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라이브수단(233)은 1~80㎜/s의 구동속도로 구동하되 기본적으로 자동구동가능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구동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승강유닛(235)은 상기 검출유닛(231)을 지지하되 상기 지그부(220)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유닛(235)은 상기 측정본체(210)의 작업지지대(215) 상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컬럼부재(235a)와, 상기 컬럼부재(235a) 상에 설치되되 상기 검출유닛(231)을 지지고정하며 상기 컬럼부재()의 상하 수직연장된 경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구동수단(235b)을 구성한다.
상기 검출부(230)는 상기 지그부(220)에 대응된 작업위치에서 상기 승강유닛(235)에 따른 수직방향으로의 유동가능한 측정범위는 0.05~5㎜를 이룬다.
상기 검출부(230)의 승강유닛(235)은 1~20㎜/s의 구동속도로 구동하되 기본적으로 자동구동가능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구동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검출부(23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검출유닛(231) 상에 구비되되 상기 승강유닛(235)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검출유닛(231)에 따른 측정경사각도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검출경사수단(237)을 구성한다.
상기 검출경사수단(237)에 따른 상기 검출부(230)의 경사각도는 상하로 ±45°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경사각도로 설정구동하여 측정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검출부에 검출경사수단(237)을 구성하게 되면, 경사면에 대한 측정을 강력히 지원하여 구면을 갖는 코어몰드(M)의 형상면을 원활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200)에서 상기 검출부(230)로부터 측정된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에 대한 측정결과는 도 7에서처럼 해당 목록별로 데이터로 산출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로부터 모니터할 수 있게 출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지형태로 출력가능한 출력기기 및 파일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모듈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측정결과의 원활한 확인작업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에 의하면, 콘택트렌즈를 직접 성형제조하기 위한 코어몰드를 제조하되 코어몰드에 형상면을 가공한 후 표면 형상 및 조도를 일률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코어몰드를 제조하므로 불필요한 주형몰드의 생산공정을 생략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품의 가격경쟁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표면 형상 및 조도가 측정완료된 코어몰드에 콘택트렌즈를 성형제조하여 양품생산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몰드가공기 200 : 코어몰드표면측정기
210 : 측정본체 215 : 작업지지대 220 : 지그부
221 : 베이스프레임 223 : 유동플레이트 224 : 표시수단
225 : 위치조절수단 225a : 제1위치조절수단 225b : 제2위치조절수단
226 : 조작부재 227 : 고정바이스 227a : 바이스지지체
227b : 가압조임부재 227c : 가압조작수단 229 : θ축 조정수단
230 : 검출부 231 : 검출유닛 232 : 스타일러스
233 : 드라이브수단 235 : 승강유닛 235a : 컬럼부재
235b : 승강구동수단 237 : 검출경사수단 M : 코어몰드

Claims (5)

  1. 코어몰드의 일단에 대응하여 오목 또는 볼록한 구면의 형상면을 형성토록 표면 가공하는 몰드가공기와;
    상기 몰드가공기로부터 가공된 코어몰드가 인라인(in-line) 공급되고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접촉하되 형상면의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코어몰드표면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몰드표면측정기는 상부에 작업지지대를 구비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 코어몰드를 지지고정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에 대응하여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며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접촉하여 표면형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작업지지대 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플레이트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수단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코어몰드를 조임 고정하는 고정바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에는 상기 고정바이스를 지지고정하되 상기 유동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이스를 θ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구비되는 θ축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코어몰드의 형상면에 대응하여 접촉가능한 스타일러스를 구비하는 검출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을 지지하되 상기 지그부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닛에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조정토록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라이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는 상기 검출유닛 상에 구비되되 상기 승강유닛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측정경사각도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검출경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KR1020170042880A 2017-04-03 2017-04-03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KR10193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80A KR101935893B1 (ko) 2017-04-03 2017-04-03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80A KR101935893B1 (ko) 2017-04-03 2017-04-03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49A true KR20180112249A (ko) 2018-10-12
KR101935893B1 KR101935893B1 (ko) 2019-01-07

Family

ID=6387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80A KR101935893B1 (ko) 2017-04-03 2017-04-03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10B1 (ko) * 2019-10-23 2020-10-19 장춘기 자동차부품 성형용 단조금형 제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499B1 (ko) * 2005-09-23 2008-03-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금형 점진성형 실시간 변형 측정장치
KR101021529B1 (ko) * 2008-10-31 2011-03-16 한국기계연구원 다기능 원스핀들 복합 마이크로 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10B1 (ko) * 2019-10-23 2020-10-19 장춘기 자동차부품 성형용 단조금형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893B1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0275A (en)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for automatic or semi-automatic fabrication of ultra-precision opthalmic lenses, e.g., contact lenses
EP1194267B1 (en) Method for blocking an ophthalmic lens blank to a support block, and for generating a virtual entity of the lens blank in a computer environment
US2516373A (en) Mold for making integral plastic frames and lenses
JP5139792B2 (ja) 玉型形状測定装置
JPH0822497B2 (ja) 処方めがねレンズ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397309B1 (ko) 안경 렌즈 가공 장치 및 안경 렌즈 가공 방법
US7840294B2 (en) Layout setting device for processing eyeglass lens,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eyeglass frame measuring device and cup attaching device, each having the same
US4434581A (en) Apparatus adapted for automatic or semi-automatic fabrication of ultra-precision ophthalmic lenses, e.g., contact lenses
WO2005009683A1 (en) Lens having at least one lens centration mar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00059679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verres de lunettes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verres
JP4481583B2 (ja) 保持ブロックを半完成オフサルミックレンズブランクに装着する方法
US5919080A (en) Ophthalmic lens blocker
CN114952872B (zh) 一种机器人末端执行器标定方法及装置
CA1106664A (en)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for automatic or semi- automatic fabrication of ultra-precision ophthalmic lenses, e.g., contact lenses
KR101935893B1 (ko) 초정밀광학측정시스템을 도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코어몰드 제조시스템
KR20030078861A (ko) 안경렌즈 가공방법 및 장치
KR20020031292A (ko) 안경렌즈의 광학중심 위치 획득방법,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렌즈 홀더부착장치
CN113681042A (zh) 一种超精密车削加工的水平对刀误差计算模型的构建方法
JP2021159998A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及びヤゲン又は溝の形成データ設定プログラム
CN106414044A (zh) 制造隐形镜片的方法
US3563301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lens
JP4865462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および眼鏡レンズの加工方法
KR20180124221A (ko) 난시축 측정장치
JP7143652B2 (ja) 眼鏡測定システム及び眼鏡測定プログラム
CA2262321C (en) Manufacturing ophthalmic lenses using lens structure cognition and spatial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