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924A -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924A
KR20180111924A KR1020187025564A KR20187025564A KR20180111924A KR 20180111924 A KR20180111924 A KR 20180111924A KR 1020187025564 A KR1020187025564 A KR 1020187025564A KR 20187025564 A KR20187025564 A KR 20187025564A KR 20180111924 A KR20180111924 A KR 20180111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board
wall
ferrule
conduit
i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씨. 윌리엄스
마크 디. 베어러
칼 알. 브라운
스테판 제이. 자보르스츠키
더글라스 에스. 웰치
로날드 피. 캠벨
그레고리 에스. 칼라타
더글라스 제이. 맥클루어
Original Assignee
스와겔로크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와겔로크 컴패니 filed Critical 스와겔로크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18011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more than one ring per pipe end being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6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an axially moveable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는 환형 피팅 부품(214) 및 도관 파지 장치(224)를 포함한다. 환형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내부 벽을 갖는다.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254)에 의해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에 의해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도관 파지 장치(224)는 환형 피팅 부품(214) 내에 유지되고,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45)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Description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
관련 출원에 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인 2016년 2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291,098호, 및 발명의 명칭이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인 2016년 11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17,457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에 대한 모든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2개의 출원의 모든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전체가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가스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도관과 다른 유체 부품 사이에 기계적으로 부착된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피팅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페룰과 같은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를 사용하는 튜브 및 파이프 도관을 위한 피팅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는 환형 피팅 부품 및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는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환형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는 환형 피팅 부품 및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는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환형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단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 가능하다. 돌출부가 중심 축에 대해 약 30°와 약 70° 사이의 제1 각도로 연장될 때, 돌출부의 단부는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환형 피팅 부품으로의 삽입 및 돌출부의 단부 부분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의 맞닿음을 위해 아웃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된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70°와 약 130° 사이의 제2 각도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가 포획되도록 상기 인보드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표면 각각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145°와 약 180° 사이의 제3 각도로 연장될 때,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제거되도록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는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는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환형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내부 벽은 인보드 표면,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70°와 약 130° 사이의 제1 각도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상기 돌출부는 반경 방향 내향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145°와 약 180° 사이의 제2 각도로 연장되도록 상기 돌출부를 벤딩시키기에 충분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해진 축 방향 힘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을 위치시킨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는 환형 피팅 부품 및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는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환형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 단부 부분으로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반경 방향 내측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에 의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축 방향 외향 힘이 가해져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팅 어셈블리는 환형 제1 및 제2 피팅 부품 및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제1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내부 벽은 인보드 표면,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제2 피팅 부품은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내부 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체적을 한정하도록 상기 제1 피팅 부품과 조립된다.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내부 체적 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제1 각도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상기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업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145°와 약 180° 사이의 제2 각도로 힌지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시켜 상기 제1 피팅 부품이 상기 제2 피팅 부품으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제1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팅 어셈블리는 환형 제1 및 제2 피팅 부품 및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제1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제2 피팅 부품은 제1 피팅 부품과 조립되어 제1 피팅 부품의 내부 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체적을 한정한다.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 부서지기 쉬운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업되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피팅 부품이 상기 제2 피팅 부품으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제1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피팅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방법에서,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환형 피팅 부품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1 직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중심 축을 따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내부 벽의 인보드 표면을 통해 느슨하게 수용된다. 상기 돌출부는 내부 벽의 환형 리세스와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환형 리세스는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에서 상기 내부 벽의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에서 상기 내부 벽의 아웃보드 표면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여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대해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을 위치시키도록 벤딩되어,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상기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포획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피팅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방법에서,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환형 피팅 부품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된다.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인보드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아웃보드 단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제1 유지 구조체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를 함께 제1 서브 어셈블리로서 유지하고,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제2 유지 구조체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 및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을 함께 제2 서브 어셈블리로서 유지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는 환형 피팅 부품 및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는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포함한다. 환형 피팅 부품은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표면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단부 부분, 상기 외주 표면에 인접하는 제1 힌지 부분, 및 상기 제1 힌지 부분과 상기 단부 부분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힌지 부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페룰은 테이퍼진 외부 표면, 원통형 내부 벽, 및 상기 원통형 내부 벽으로부터 외측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내부 캐밍 마우스를 한정하는 본체 부분;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단부 부분, 상기 외주 표면에 인접하는 제1 힌지 부분, 및 상기 제1 힌지 부분과 상기 단부 부분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힌지 부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팅 어셈블리는 피팅 너트, 피팅 너트의 내부 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체적을 한정하기 위해 피팅 너트와 조립된 피팅 본체, 및 내부 체적 내에 배치된 전방 및 후방 페룰을 포함한다. 전방 페룰은 전방 캐밍 표면 및 후방 캐밍 마우스를 포함하고, 후방 캐밍 마우스는 제1 각도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내부 부분 및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외부 부분을 포함한다. 피팅 어셈블리가 도관 단부 상에서 풀업되면, 후방 페룰의 전방 단부는 초기에는 풀업의 제1 부분 동안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의 테이퍼진 외부 부분과 결합하고, 후속적으로 풀업의 제2 부분 동안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의 테이퍼진 내부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후방 페룰은 상기 풀업의 상기 제2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풀업의 상기 제1 부분 동안 보다 신속하게 상기 전방 페룰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전진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도 도시된 것은 아닌(그러나 일정한 비율로 도시될 수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피팅 너트 내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1a는 도 1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b는 예시적인 설치 도구로 도시된 도 1의 피팅 너트 및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의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로서, 후방 페룰이 후향 배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장착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로서, 도 1b의 설치 도구로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도 2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로서, 다른 예시적인 설치 도구로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b는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3a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c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d는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3c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e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3f는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3e의 다이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서브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핑거 타이트(finger tight) 상태로 도시된 피팅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2의 서브 어셈블리의 너트 및 페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풀업 상태로 도시된 도 4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제2 추가의 풀업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도 6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7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b는 예시적인 설치 도구로 도시된, 도 7의 피팅 너트 및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8의 설치 도구로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8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8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적인 도구로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7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서브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핑거 타이트 상태로 도시된 피팅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1 풀업 상태로 도시된, 도 10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1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2 추가의 풀업 상태로 도시된, 도 10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2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카트리지 돌출부를 갖는 예시적인 전방 페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설치 도구로 도시된, 피팅 너트 및 제2 페룰로 느슨하게 조립된 도 13의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15a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테이퍼진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b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상태로 도시된, 넥다운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c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상태로 도시된, 넥다운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d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상태로 도시된 넥다운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e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상태로 도시된 넥다운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a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는 전방 페룰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b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는 전방 페룰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c는 페룰이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는 전방 페룰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 힌지 부분을 갖는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피팅 너트 내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7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17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8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서브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피팅 어셈블리는 핑거 타이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0은 제1 풀업 상태로 도시된, 도 19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0a는 도 20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제2 추가의 풀업 상태로 도시된, 도 19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1a는 도 21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22a는 도 22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2b는 또 다른 예시적인 페룰의 카트리징된 부분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22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23a는 도 23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풀업 상태로 도시된, 도 22의 서브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4a는 도 24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예시적인 페룰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카트리징된 돌출부를 갖는 예시적인 전방 페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6a는 너트 및 후방 페룰로 카트리징된 도 26의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피팅 프리어셈블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의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피팅 어셈블리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 풀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카트리징된 돌출부를 갖는 예시적인 전방 페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7a는 너트 및 후방 페룰로 카트리징된 도 27의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피팅 프리어셈블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7b는 도 27의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피팅 어셈블리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 풀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8은 카트리징된 돌출부를 갖는 예시적인 전방 페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8a는 너트 및 후방 페룰로 카트리징된 도 28의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피팅 프리어셈블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의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피팅 어셈블리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 풀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9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29a는 도 29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9b는 후방 페룰이 후방 배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도시된, 도 29의 너트 및 페룰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29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0a는 도 30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로서, 피팅 본체로 조립되고 도관 단부 상으로 풀업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31a는 도 31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2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2a는 도 32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3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32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3a는 도 33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4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4a는 도 34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5는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34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5a는 도 35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6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6a는 도 36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7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7a는 도 37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8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37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8a는 도 38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9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39a는 도 39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0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0a는 도 40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1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40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1a는 도 41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2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2a는 도 42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3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42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3a는 도 43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4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4a는 도 44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5는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44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5a는 도 45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로서, 피팅 본체로 조립되고 도관 단부 상으로 풀업된 것을 도시한다.
도 46a는 도 46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7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7a는 도 47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8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8a는 도 48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9는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48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49a는 도 49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0은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50a는 도 50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1은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50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51a는 도 51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서브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피팅 어셈블리는 핑거 타이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53은 부분적으로 풀업된 상태로 도시된 도 52의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53a는 도 53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4는 피팅 너트에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로 도시된 예시적인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54a는 도 54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4b는 예시적인 설치 도구로 도시된, 도 54의 피팅 너트 및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54b의 설치 도구로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54의 피팅 너트 및 느슨하게 삽입된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55a는 도 55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6은 다른 예시적인 도구로 카트리징된 프리어셈블리로서 조립된 것으로 도시된, 도 54의 피팅 너트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57은 핑거 타이트 상태로 도시된 다른 도관 피팅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스테인레스 강 튜브 피팅과 관련하여 제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의 본 발명은 이러한 적용에 한정되지 않고, 튜브 및 파이프와 같은 많은 다양한 도관뿐만 아니라 도관, 파지 장치 또는 피팅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금속 및 비금속을 포함하여 316 스테인레스 강 이외의 다른 재료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또는 가스 유체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관 파지 장치 및 피팅 부품의 특정 설계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설계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를 사용하는 많은 상이한 피팅 설계에서의 적용을 발견할 것이다. 우리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거나 또는 이후 개발된 부품 또는 다르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거나, 사용되거나 또는 당업자가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부품과 구별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친숙한 부품들을 언급하기 위해 "종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우리는 "페룰 세트"라는 용어를, 도관 파지 및 밀봉이 달성되는 수단을 형성하는 다른 부품의 유무에 관계없이 도관 파지 장치의 조합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다. 모든 피팅 디자인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페룰 세트가 예를 들어 재료, 제조업체, 상호 연관된 디자인 및 기하학적 특징 등에 기초하여, 서로 그리고 피팅 부품에 의도적으로 매칭된 2개의 페룰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피팅에서는 도관 파지 장치 외에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부품, 예를 들어 시일(seal)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페룰 세트"라는 용어는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와 하나 이상의 다른 부품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페룰 세트는 완전한 풀업 후에 도관 파지 및 밀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튜브 또는 파이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튜브 또는 파이프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기 위해 "도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와 함께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피팅 부품의 어셈블리에 대한 약칭으로 "피팅 어셈블리" 또는 "피팅"이라는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피팅 어셈블리"의 개념은 핑거 타이트 위치, 부분적인 풀업 위치 또는 완전한 풀업 위치에서 도관에 부품을 조립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피팅 어셈블리"라는 용어는 또한 예를 들면 선적 또는 취급을 위한 도관이 없는 부품들의 어셈블리, 그리고 함께 조립되지 않더라도 구성 부품 자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완전한 풀업" 및 파생 형태는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가 도관 상의 피팅 어셈블리의 유체 기밀 시일 및 파지를 생성하기 위해 변형되도록,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소성 변형될 수 있도록 피팅 부품을 함께 결합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부분적인 풀업" 및 파생 용어는 수형 및 암형 피팅 부품의 부분적이지만 충분한 타이트닝을 지칭하여, 도관 파지 장치 또는 장치들이 도관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어 부착되도록 변형되게 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유체 타이트 연결 또는 완전한 풀업 후에 달성되는 필요한 도관 파지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부분적인 풀업"이라는 용어는 또한 당업계에서 종종 프리 스웨이징(pre-swaging)으로 언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 스웨이징 도구는 페룰을 충분히 도관 상으로 변형시켜 페룰 및 너트가 완전한 피팅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제2 피팅 부품과 정합되기 전에 도관 상에 유지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핑거 타이트 위치 또는 상태는 피팅 부품 및 도관 파지 장치가 도관에 느슨하게 조립되지만, 도관 파지 장치 또는 장치들이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특징되는 수형 및 암형 피팅 부품을 함께 상당히 타이트닝하지 않는 것을 지칭한다.
피팅은 전형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2개의 피팅 부품 및 하나 이상의 파지 장치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추가적인 피스 및 부품을 포함하는 피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언 피팅은 본체와 2개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팅 리메이크"라는 용어와 여기에서 파생된 용어는 적어도 한 번 타이트닝되거나 완전히 풀업되고, 느슨하게 된 다음, 다른 완전히 풀업된 위치로 다시 타이트닝된 피팅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동일한 피팅 어셈블리 부품(예를 들어, 너트, 본체, 페룰)으로 리메이크를 수행하거나 또는 피팅 어셈블리의 부품 중 하나 이상을 교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웃보드", "축 방향으로 외측", "인보드" 및 "축 방향으로 내측"이란 용어는 편의상 단순히 방향이 피팅의 중심을 향하거나(인보드 또는 축 방향으로 내측) 또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지를(아웃보드 또는 축 방향으로 외측) 언급한다. 도면에서, 부품 사이의 다양한 갭(gap) 및 공간(예를 들어, 핑거 타이트닝 위치에서의 페룰과 도관 사이의 갭)은 명료성을 위해 또는 도면의 스케일로 인해 다소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진보성 있는 양태, 개념 및 특징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다양한 양태들, 개념들 및 특징들은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 및 그 서브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배제되지 않는 한, 그러한 모든 조합 및 서브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대안적인 재료, 구조, 구성, 방법, 회로, 장치 및 부품,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제어 로직, 형태에 대한 대안, 피트 및 기능 등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개념 및 특징에 관한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가 여기에 기술될 수 있지만, 그러한 설명은 현재 알려지거나 나중에 개발될지라도 사용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완전하거나 또는 철저한 목록이 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그러한 실시예가 여기에 명백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양태들, 개념들 또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추가의 실시예들에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일부 특징, 개념 또는 양태가 바람직한 장치 또는 방법으로 기술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설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특징이 요구되거나 또는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또한, 예시적이거나 또는 대표적인 값 및 범위가 본 개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지만, 그러한 값 및 범위는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그렇게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만 임계적인 값 또는 범위가 되도록 의도된다. 지정된 값을 "대략" 또는 "약"으로 식별한 파라미터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지정된 값과 지정된 값의 10 % 이내의 값을 모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출원에 수반되는 도면은 일정한 비율로 도시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도면에서 명백해지는 다양한 비율 및 비례를 교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태, 특징 및 개념이 본 발명으로서 또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명백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그러한 식별은 배타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그 자체로 또는 특정 발명의 일부로서 명백하게 식별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완전히 기재된 발명적 양태, 개념 및 특징이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은 그 대신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설명은 모든 경우에 요구되는 것으로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단계가 요구되거나 또는 필요한 것으로 해석되도록 제시된 순서도 아니다. 또한, 다양한 양태, 특징 및 개념이 본 발명으로서 또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그러한 식별은 배타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그 자체로 또는 특정 발명의 일부로서 명백하게 식별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완전히 기재된 발명적인 양태, 개념 및 특징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대신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설명은 모든 경우에 요구되는 것으로서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단계가 요구되거나 또는 필요한 것으로 해석되도록 제시된 순서도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특징의 중요한 특징은 정합 피팅 부품과 피팅 부품의 조립 이전에,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가 본 명세서에서 유지 피팅 부품으로도 지칭되는 피팅 부품으로 유지되게 하는 유지 구조체의 제공이다. "카트리지"라 함은 불연속적 유닛, 서브 어셈블리 또는 프리어셈블리로서 함께 유지되는 부품의 그룹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카트리지, 유닛, 서브 어셈블리 및 프리어셈블리라는 용어를 불연속적인 구조와 관련하여 동의어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카트리지 너트" 또는 "도관 피팅 카트리지"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가 예를 들어 암형 너트와 같은 피팅 부품으로 유지되는 그러한 카트리지, 유닛 또는 서브 어셈블리를 지칭하기 위해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또한 "페룰 카트리지" 또는 "도관 파지 장치 카트리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별도의 유닛으로서 함께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품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페룰 또는 도관 파지 장치로 구성된 유닛 또는 서브 어셈블리를 지칭한다. 특히, "페룰 카트리지"는 별도의 유닛 또는 서브 어셈블리로서 함께 유지되는 2개 이상의 페룰을 포함하고, 추가 부품, 예를 들어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암 나사형 너트와 같은 피팅 부품으로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페룰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카트리지 너트 설계로 지칭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너트"가 수 나사형 카트리지 너트 설계 또는 카트리지 본체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불연속적인"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부품은 개별 카트리지, 서브 어셈블리 또는 프리어셈블리로서 함께 유지될 수 있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도시된 실시예에서 암 나사형 너트와 같은 유지 피팅 부품은 별개의 분리된 부품으로서 제조되며 별도의 개별적인 부품으로 유지된다는 의미에서 카트리지 또는 프리어셈블리의 결합된 성질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최종 조립 또는 완전한 풀업 후에 부품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원한다면 분리된 구성 부품으로 분해될 수 있다. "불연속적인" 또는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도관 파지 장치가 피팅 부품에 부착되거나 피팅 부품과 일체로 된 피팅 설계와 구별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며, 상기 도관 파지 장치는 일체로 유지되거나 또는 일부 설계에서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풀업 동안 상기 피팅 부품으로부터 분해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불연속적인 유형의 구조에서, 이 용어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는 유지 피팅 부품 재료 또는 접착제의 파단, 전단 또는 다른 분리를 요구하지 않고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풀업 동안 선택적으로 유지 피팅 부품으로부터 해제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다. "불연속적인" 또는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가 유지 피팅 부품으로 느슨하게 또는 대안적으로 꼭 맞게 유지될 수 있다는 개념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출원의 일 양태으로서, 불연속적인 피팅 부품 카트리지의 사용은 페룰 및 너트가 제조사에서 적절하게 배향되고 매칭되고 조립되어 있는 페룰 세트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고 관리를 크게 단순화하고 최종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유지 피팅 부품이 유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유지 부재를 갖는 피팅 어셈블리에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환언하면, 본 명세서의 카트리지 디자인은 최종 사용자가 유지 구조체와 함께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는 피팅 어셈블리와 역 호환되는 너트 또는 유지 피팅 부품을 사용한다. 또한, 카트리지 디자인은 개조할 필요가 없는 페룰 세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카트리지 개념은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 및 작동 또는 성능을 갖는 너트 또는 페룰을 제조할 필요 없이 최종 사용자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사용 또는 카트리지 미사용에 대해, 개별 부품의 최종 용도에 관계없이, 피팅 부품 및 페룰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하고 판매하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로서, 암형 피팅 부품을 갖는 카트리지 설계는 암형 피팅 부품(예를 들어, 암형 너트)의 기계 가공된 소켓 내에 유지되는 페룰 또는 페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보드 피팅 부품 단부는 전방 페룰의 전방 단부를 지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페룰 또는 페룰들은 다소 가려져 페룰 표면에 대한 잠재적인 손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예시적인 카트리지 너트 장치는 공동 소유된 미국 특허 제8,931,810호("'810 특허") 및 2016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인 미국 특허 출원 제15/248,288호(이하 "'288 출원")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810 특허 및 '288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810 특허의 도 23 내지 도 42의 실시예 및 '288 출원의 도 1a 내지 도 6b의 실시예 참조), 부품 유지 또는 카트리징 구조체는 유지 피팅 부품 내에서 도관 파지 장치의 일 부분을 유지 또는 포획하는 제1 위치와, 도관 파지 장치를 유지 피팅 부품으로부터 인출 또는 제거할 수 있게 하도록 도관 파지 장치의 일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유지 피팅 부품(예를 들어, 피팅 너트) 내에서 이동 가능한 별도의 유지 링을 포함한다. '810 특허 및 '288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810 특허의 도 1 내지 도 22의 실시예 및 '288 출원의 도 7 내지 도 17의 실시예 참조), 도관 파지 장치 또는 페룰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은 설치 또는 카트리징 중에 유지 피팅 부품 또는 너트의 반경 방향 내부 부분과 결합하고, 반경 방향 외측 페룰 부분 및 반경 방향 내측 너트 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가 반경 방향 외측 페룰 부분이 반경 방향 내측 너트 부분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그 후 반경 방향 내측 너트 부분과 너트의 아웃보드 환형 견부 사이에 반경 방향 외측 페룰 부분을 유지하도록 반경 방향 정렬로 스냅백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본 출원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도관 파지 장치를 위한 유지 장치는 카트리징 동안 반경 방향 외부 페룰 부분의 소성 변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도관 파지 장치를 유지 피팅 부품으로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관 파지 장치(예를 들어, 2개의 페룰 피팅 어셈블리의 단일 페룰 또는 전방 페룰)에는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예를 들어, 스커트, 탭 또는 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유지 피팅 부품(예를 들어, 피팅 너트)은 돌출부를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내측으로 벤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좁아진 또는 보다 작은 직경의 인보드 부분을 갖는 내부 벽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내부 벽의 계단식 리세스 부분 내로 좁아진 인보드 부분의 축 방향 외측으로 전진하도록 허용한다. 돌출부가 좁아진 인보드 부분을 지나 축 방향으로 전진하면, 돌출부는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외측으로 스냅백하고(즉, 벤딩 변형의 탄성 성분으로 인한 것임), 축 방향 내측으로 각진 배향으로 유지된다(즉, 벤딩 변형의 소성 성분으로 인한 것임). 카트리징된 도관 파지 장치 상의 돌출부의 이러한 각진 내향 배향 및 좁아진 인보드 부분과 리세스된 부분 사이의 급한 반경 방향 표면은 도관 파지 장치가 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때(즉, 유지 피팅 부품으로부터의 인출을 향해) 돌출부의 축 방향 외향 벤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1 내지 도 6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피팅 또는 피팅 부품은 종 방향 또는 반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하고, 당업자는 피팅 부품이 실질적으로 종 방향 중심선 축 또는 중심 축(X) 주위의 환형 부분이고,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일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 중심 축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중심 축에 대한" 각도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외측 방향으로 중심 축(X)을 기준으로 한다(즉, 0°는 피팅의 아웃보드 단부를 향한 중심 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내며, 180°는 피팅의 인보드 단부를 향한 중심 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피팅 어셈블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또는 피팅 부품(12) 및 제2 결합 또는 피팅 부품(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부분은 본체 및 너트로서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피팅 본체(12)는 도관 단부(18)를 수용하고, 피팅 너트(14)는 피팅을 구성하는 동안 본체(1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 및 너트의 공통 용어를 편의상 사용하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용어가 부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적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체(12)는 도시된 바와 같은 독립형 부품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밸브, 탱크 또는 다른 유동 장치 또는 유체 수용 장치와 같은 다른 부품 또는 어셈블리와 일체형이거나 또는 여기에 일체될 수 있거나 또는 조립될 수 있다. 본체(12)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몇 가지를 지칭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구성, 예를 들어, 유니온, 티(tee) 또는 엘보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2) 및 너트(14)는 일반적으로 나사형 연결부(16)에 의해 함께 나사형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되지만, 나사 연결부는 모든 용도에 필요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일부 피팅은 함께 클램핑되는 부품을 포함한다. 피팅은 또한 통상적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수형 피팅 또는 암형 피팅으로 언급되며, 차이점은 수형 피팅에 대해(도 1 내지 도 5), 수형 본체(12)는 외부 나사부(16a)를 포함하고, 암형 너트(14)는 내부 나사부(16b)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암형 피팅(도시되지 않음)의 경우, 수형 너트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하고, 암형 본체는 내부 나사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수형 피팅 어셈블리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암형 피팅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및 너트와 같은 피팅 부품이 결합될 때, 이들은 도관 파지 장치 또는 다른 선택적인 밀봉 부품을 위한 일반적으로 밀폐된 내부 공간 또는 체적을 형성한다.
피팅 어셈블리(10)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페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를 사용하여 도관의 단부 부분(18)과 본체(12) 사이에 유체 기밀 연결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계에서 '페룰'로 이해될 수 있는 것 이외의 도관 파지 장치가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관 단부(18)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본체(12)의 일부인 반경 방향 견부(19)에 대향한다. 본체(12)는 제1 또는 전방 도관 파지 장치 또는 페룰(24)의 전방 부분(22)과 결합하는 테이퍼진(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절두 원추형의) 캐밍 표면(20)을 포함한다. 전방 페룰(24)은 제2 또는 후방 도관 파지 장치 또는 페룰(30)의 전방 부분 또는 테이퍼진(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절두 원추형의) 캐밍 표면(28)과 결합하는 테이퍼진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26)를 그 후방 단부에 포함한다. 후방 페룰(30)은 암형 너트(14)의 구동 표면(34)과 결합하는 피구동 표면(32)을 포함한다. 후방 페룰 전방 부분(28)은 선택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라운(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은 도관(18)의 외부 표면(38) 위에 밀접하게 수용된 원통형 내부 벽(37, 39)을 포함한다. 후방 페룰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리세스(39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2개의 도관 파지 장치 또는 페룰을 갖는 도관 파지 장치 또는 페룰 세트를 사용하는 피팅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 하나의 도관 파지 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는 피팅뿐만 아니라, 2개 초과의 도관 파지 장치를 갖는 페룰 세트를 사용할 수 있는 피팅, 또는 페룰 또는 도관 파지 장치 이외의 추가 부품, 예를 들어 추가적인 시일에 용이하게 적용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의 본체 및 너트(12, 14)와 전방 및 후방 페룰(24, 30)의 예시적인 기하학적 형상, 구성 및 디자인이 설계 선택의 문제이며, 사용된 재료 및 피팅에서 예상되는 설계 및 성능 기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다른 결합 부품 및 도관 파지 장치 디자인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장래에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본 발명 및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 파지 장치를, 그 후 피팅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다른 또는 제2 피팅 부품과 결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제1 피팅 부품과 함께 불연속적인 서브 어셈블리 또는 카트리지로 유지하는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페룰 유지 구조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페룰이 너트와 카트리징될 때 너트(14)의 내부 벽(50)에 형성된 원주 방향 리세스(55)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전방 페룰(24) 상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45)를 포함한다. 여기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시되지 않는) 다른 실시예에서 페룰의 전체 원주 주위에 균일한 단면을 갖는 연속적인 원주 방향 돌출부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페룰(또는 다른 도관 파지 장치)은 예를 들어 일련의 탭 또는 플랜지와 같은 불균일한, 불연속적인, 또는 복수의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원주 방향 돌출부는 예를 들어 중심 축에 대해 약 70°와 약 175° 사이의 임의의 적절한 각도와 같은 상이한 피팅 기하학적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배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 돌출부(45)는 너트(14) 내에 페룰(24)을 카트리징하기 전에 대체로 측 방향 외측으로(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70°와 약 120° 사이의 각도로), 또는 적어도 약간 축 방향으로 내측으로(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90°와 약 12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원주 방향 리세스(55)는 너트 내부 벽(50)의 외측으로 가늘고 좁은 테이퍼진 인보드 표면(53)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 및 너트 내부 벽(50)의 외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57)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56)에 의해 한정되고 그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56)은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보다 작은 직경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은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또는 이보다 작은 직경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도 1a 및 도 1b는 느슨한 또는 사전 카트리징된 상태의 피팅 너트(14) 및 페룰(24, 30)을 도시하며, 후방 페룰(30)은 전방 페룰(24)과 피팅 너트(1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견부 또는 구동 표면(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카트리징하기 전에, 돌출부(4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부(45)의 단부 부분(46)은 내부 벽(50)의 인보드 표면(53)의 최소 직경보다 큰 직경에 있다. 테이퍼진 인보드 표면에 대해 전방 페룰(24)에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은 돌출부가 반경 방향 내부 힌지 부분(43)을 중심으로 벤딩 또는 피봇(또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변형)되게 하여 인보드 표면(53)의 좁아진 부분을 지나 돌출부를 수용하고, 너트(14)의 원주 방향 리세스(55)와 돌출부(45)를 축 방향으로 정렬시킨다(도 2 및 도 2a 참조). 이러한 정렬된 위치에서, 변형된 돌출부(45)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과 반경 방향 중첩 또는 정렬을 위해 외측으로 스냅 백되고, 돌출부(45)의 부분적 소성 변형에 기인하여 축 방향의 각진 내향 위치를 유지한다(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90°와 약 120° 사이임). (예를 들어, 제조의 용이함을 위해, 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90°이거나, 또는 중심 축(X)에 대해 약 45° 내지 약 90°로 테이퍼진)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의 대체로 측 방향 배향과 결합된, 카트리징된 돌출부(45)의 내향 각도는 전방 페룰(24)이 축 방향 내향으로 범핑될 때(예를 들어, 카트리징된 피팅 서브 어셈블리가 범핑되거나 또는 낙하될 때) 돌출부(45)의 추가 벤딩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카트리징된 돌출부(45)의 외향 반경 방향 범위는 너트(14)로부터 페룰(24)의 임의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너트(14) 내에서 카트리징된 페룰(24)의 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징된 돌출부(45)는 단부 부분(46)이 원주 방향 리세스(55)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거의 접촉하도록 위치되어 돌출부와 리세스 사이의 임의의 반경 방향 갭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임의의 반경 방향 갭의 제거 또는 최소화는 너트(14) 내에서 카트리징된 페룰(24)의 측 방향 이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여, 너트 내에 카트리징된 페룰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매우 작은(예를 들어, 약 0.002 인치 이하의) 반경 방향 갭이 도관 단부를 삽입할 때 정렬을 위해 전방 페룰의 자유 운동을 제공하고 피팅의 핑거 타이트 상태에서 페룰 및 너트 구동 표면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페룰(24, 30)을 너트(14) 내로 사전 조립하거나 또는 "카트리징"하기 위해, 제어된 축 방향 힘이 전방 페룰(24)의 축 방향 내측을 향한 부분에 가해질 수 있다. 가해지는 힘은 카트리징된 페룰(24)의 탈락 위험이 있는 돌출부의 더 이상의 내향 소성 벤딩이 없이, 너트 내부 벽(50)의 테이퍼진 인보드 표면(53)을 지나 원주 방향 리세스(55)와 정렬되도록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충분히 돌출부(45)를 벤딩시키기에 충분한 양일 수 있다. 카트리징 동안 이러한 제어된 축 방향 변위 및 돌출 변형은 돌출부(45)가 원주 방향 리세스(55)(도 4)와 카트리징되어 정렬되도록 축 방향으로 전진할 때, 전방 페룰(2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26)는 후방 페룰(30)의 인보드 단부 또는 캐밍 표면(28)에 맞닿고, 후방 페룰(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32)은 너트(14)의 아웃보드 환형 견부 또는 구동 표면(34)에 맞닿도록 유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전방 페룰(24), 후방 페룰(30) 및 너트(14) 맞닿음의 이 위치에서의 축 방향 전진에 대한 증가된 저항은 페룰(24, 30)이 너트(14)와 함께 카트리징된 것을 나타내는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도구(60)는 페룰을 너트로 카트리징하기 위해 제어된 축 방향 힘을 전방 페룰(24)에 인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60)에는 전방 페룰(24)의 캐밍 표면(22)과 너트의 내부 벽(50) 사이에서 너트(14) 내로 삽입되는 환형 노즈 부분(61)이 제공될 수 있다. 노즈 부분(61)은 너트(14) 내에서 페룰(24, 30)을 센터링하고, 전방 페룰(24)의 외부 플랜지 또는 보스 부분(25)의 내부를 향한 표면(27)을 결합하여, 축 방향의 힘이 캐밍 표면(22)이 아닌 외부 플랜지 부분(25)에 가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핀 도구(65)의 샤프트 부분(67)을 너트의 내부 벽(50)을 통해 설치 도구(60)의 중심 보어(63) 내로 삽입하고, 내부 견부 부분(66)을 너트(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7)과 맞닿게 함으로써, 정렬 핀 도구(65)는 추가로 너트(14)와 조립될 수 있다(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음). 노즈 부분(61)이 전방 페룰(24)을 전진시켜 돌출부(45)를 원주 방향 리세스(55)(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와 축 방향으로 정렬시키면, 도구(60)의 후방 견부 부분(62)은 너트(14)의 인보드 단부 표면(15)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어, 도구 견부 부분(62)과 너트 단부 표면(15)과의 맞닿음은 페룰(24, 30)이 너트(14) 내에 카트리징된 것을 나타내는 포지티브 정지 표시를 제공하고, 카트리징된 위치를 넘어 돌출부(45)가 과도하게 벤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설치 도구가 페룰에 축 방향의 카트리징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도시되지 않음)로서, 샤프트 또는 핀 모양의 도구가 너트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되어 전방 페룰의 노즈 부분을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도시되지 않음)로서, 샤프트 또는 관형 설치 도구가 너트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되고, 전방 페룰에 고르지 않은 또는 편심된 축 방향 로드를 가하도록 조작될 수 있어, 돌출부의 일부의 초기의 국부적인 변형 및 후속하는 돌출부의 나머지 부분의 너트 리세스 내로의 변형을 제공하고(예를 들어, 전방 페룰이 초기 코킹된(cocked) 상태임), 이는 카트리징된 상태에서 페룰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축 방향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도시되지 않음)로서, 피팅 너트를 정합 피팅 본체 또는 나사형 설치 도구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느슨하게 삽입된 전방 페룰에 축 방향 힘이 가해질 수 있어, 너트에 대한 나사형 본체/도구의 증분식 축 방향 전진에 의해 본체/도구의 아웃보드 단부가 전방 페룰을 카트리징된 위치로 축 방향 위치로 전진된다. 피팅 본체 또는 나사형 도구를 사용하여 페룰을 너트와 카트리징할 때,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의 맞닿음에 대응하는 측정 가능한 토크 상승은 후방 페룰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게 하고, 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의 맞닿음은 아웃보드 환형 견부 또는 너트의 구동 표면과 맞닿게 한다. 대안적으로, 도구 단부 부분이 전방 페룰을 전진시켜 돌출부를 원주 방향 리세스(55)와 축 방향으로 정렬시키면, 나사형 도구에는 너트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견부 또는 다른 구조가 제공될 수 있어, 도구 견부와 너트 단부 표면과의 맞닿음은 페룰이 너트에 카트리징되어 있다는 포지티브 정지 표시를 제공한다.
원주 방향 리세스(55) 내로의 돌출부(45)의 탄성 스프링 백 또는 복원은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포획하기 위해 돌출 단부 부분(46)과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 사이의 충분한 간섭을 제공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징 공정은 외향 축 방향 힘의 인가 후에, 카트리징된 전방 페룰(24)에 가해지는 제어된 내향 축 방향 힘을 더 포함할 수 있어, 돌출 단부 부분(46)과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 사이의 축 방향 결합은 돌출부(45)를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벤딩시킨다. (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90°와 120° 사이의 각도로) 이러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 벤딩은 돌출 단부 부분(46)과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 사이의 보다 큰 반경 방향 간섭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돌출 단부 부분과 원주 방향 리세스 사이의 감소된 반경 방향 간극을 제공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 백이 안전한 카트리징을 보장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는 페룰 카트리징 돌출부를 보상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선 "70"으로 도시되는) 제2 설치 도구가 후방 페룰(30)을 통해 제어된 내측 축 방향 힘을 전방 페룰(24)에 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 돌출부(45)를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54)과의 반경 방향 상호 결합을 증가시킨다. 예시적인 제2 설치 도구(70)는 페룰(24, 30)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14) 내에서 페룰을 센터링시키는 중심 샤프트 부분(71)과, 후방 페룰(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32)과 결합하기 위해 너트의 아웃보드 단부를 통해 수용되도록 크기가 설정된 상승된 원주 방향 밴드(72)를 포함하여, 후방 페룰(30)에 내측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전방 페룰(24)에 전달된다. 밴드(72)가 리세스(55) 내의 돌출부의 반경 방향 확장을 위해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54)과 돌출부(45)를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전방 및 후방 페룰(24, 30)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 제2 설치 도구(70)의 후방 견부 부분(73)은 너트(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7)과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어, 견부 부분(73)과 너트 단부 표면(17)의 맞닿음은 전방 페룰 돌출부(45)가 충분히 확장되었다는 포지티브 정지 표시를 제공한다. 다른 축 방향 내측 힘 인가 도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26)의 내경 또는 전방 페룰(도시되지 않음)의 외부 보스 부분(25)의 외경을 파지하거나 또는 후크하는 도구를 포함하는 도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도구는 초기 카트리지 공정(도시되지 않음)에 후속하여 돌출부를 외측으로 직접 결합시키고 축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해 너트의 인보드 측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페룰 또는 페룰들에 내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도구가 너트로부터 카트리징된 페룰을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예를 들어 페룰에 특별한 클리닝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하고, 이전에 설치된 페룰을 상이한 페룰(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 경도 등)로 대체하고, 또는 다른 피팅 장치(예를 들어, 페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댑터 또는 이미 도관 단부 상으로 압축된 다른 페룰과 함께)에서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구의 상승된 페룰 결합 밴드(72)가 너트 내부 벽(50)의 좁아진 인보드 표면(53)의 인보드에 위치하는 돌출부(45)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전방 및 후방 페룰(24, 30)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 도구(예를 들어, 도 3의 도구(70))는 너트(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7)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후방 견부 부분(73)을 포함할 수 있어, 견부 부분(73)과 너트 단부 표면(17)의 맞닿음은 카트리징된 전방 페룰(24)(및 후방 페룰(30))이 너트(14)로부터 해제되었다는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축 방향 내측 힘 인가 도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도구는 예를 들어 전방 페룰(24)을 축 방향 내측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26)의 내경 또는 (도시되지 않는) 전방 페룰의 외부 보스 부분(25)의 외경을 파지하거나 또는 후크하는 도구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너트(14) 내에서 전방 페룰(24)을 틸팅하거나 코킹하기 위해, 너트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되고 전방 페룰에 고르지 않은 또는 편심된 축 방향 로드를 가하도록 조작되는 샤프트 또는 관형 설치 도구가 사용되어, 전방 페룰 돌출부의 일 측면이 너트의 원주 방향 리세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축 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카트리징 너트로부터 카트리징된 페룰을 사용자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페룰 및 너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카트리징 특징은 보다 쉽게 해제 가능하거나 또는 "가볍게 카트리징된" 페룰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컨대, 너트 내의 보다 얕은 원주 방향 리세스, 반경 방향으로 더 짧은 돌출부, 또는 보다 가파른 내향 각도, 예를 들어, 약 120°와 약 175° 사이의 카트리징된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카트리징된 돌출 단부 부분의 부분은 감소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예시적인 너트(14a) 및 전방 페룰(24a)의 유지 부분을 도시하며, 너트는 더 얕은 원주 방향 리세스(55a)를 포함하고 페룰은 반경 방향으로 더 짧은 돌출부(45a)를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24a)이 너트(14a)와 함께 (예를 들어, 전술한 하나 이상의 도구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카트리징된 경우, 돌출부(45a)와 인보드 반경 방향 벽(54a)의 반경 방향 중첩이 감소되고, 이로써 카트리징된 페룰의 제거에 보다 도움이 되는 카트리징된 상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인보드 및/또는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은 보다 얕은 테이퍼 각도(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30° 내지 약 60°의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 및/또는 중심 축에 대해 약 120° 내지 약 150°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를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방 페룰에 가해지는 내측 축 방향 힘은 (더 얕은 인보드 반경 방향 벽의 경우) 돌출부에 대해 보다 큰 반경 방향 내측 힘 성분을 생성하고, (더 얕은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경우) 페룰에 가해지는 측 방향의 로킹 힘은 전방 페룰의 코킹 운동을 더 강하게 하여 페룰을 제거하게 한다. 도 3c 및 도 3d는 너트가 얕은 테이퍼진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외부 벽(54b, 56b)을 갖는 원주 방향 리세스(55b)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너트(14b) 및 전방 페룰(24b)의 유지 부분을 도시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24b)이 너트(14b)와 함께 카트리징된 경우(예를 들어, 전술한 하나 이상의 도구 및 방법을 사용하여), 돌출부(45b)는 얕은 테이퍼진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54b, 56b)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되어, 이로써 카트리징된 페룰의 제거에 보다 도움이 되는 카트리징된 상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은 만곡된 또는 부채형 원주 방향 리세스의 윤곽이 있는 또는 반경이 있는 측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돌출부에 대해 더 큰 반경 방향 내측의 힘 성분을 생성하기 위해 리세스의 얕은 윤곽 측면을 제공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페룰의 보다 확실한 코킹 운동을 허용하여 페룰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3e 및 도 3f는 너트가 얕은 윤곽 형성된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54c, 56c)을 한정하는 윤곽 형성된 또는 부채형인 원주 방향 리세스(55c)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너트(14c) 및 전방 페룰(24c)의 유지 부분을 도시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술한 하나 이상의 도구 및 방법을 사용하여) 페룰(24c)이 너트(14c)와 카트리징된 경우, 돌출부(45c)는 얕은 윤곽 형성된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54c, 56c)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되고, 이로써 카트리징된 페룰의 제거에 보다 도움이 되는 카트리징된 상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서, 돌출부는 보다 얇은 또는 달리 보다 유연한 힌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어, 원주 방향 리세스로부터 돌출부를 인출하기 위해 페룰 제거 공정(예를 들어, 전술한 하나 이상의 도구를 사용함) 동안 돌출부의 축 방향 외향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징을 위한 축 방향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술한 하나 이상의 도구 및/또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 같은 동일한 "가볍게 카트리징된" 카트리징 특징은 또한 너트와 페룰의 재-카트리징(또는 디-카트리징 너트로 새로운 페룰을 카트리징하거나, 또는 디-카트리징 페룰로 새로운 너트를 카트리징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의 페룰(또는 다른 도관 파지 장치)이 피팅 너트(또는 다른 유지 피팅 부품)에 카트리징되면, 프리어셈블리는 페룰들이 함께 꼭 맞게 유지되고 피팅 부품과 함께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형된 돌출부는 피팅 너트의 원주 방향 리세스에 꼭 맞거나 또는 타이트하게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적용예에서, 페룰이 약간 느슨하게 함께 유지되어 피팅 부품과 함께 유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으며, 너트가 부드럽게 흔들릴 때 약간의 덜거덕거림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느슨함은 특히 너트가 본체에 대해 초기에 회전할 때 페룰의 센터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튜브 삽입을 방해하거나 또는 피팅에 튜브 바닥을 잘못 표시하지 않고, 피팅 어셈블리의 풀업 중에 페룰이 센터링되고 정렬되도록 허용할 때, 어떤 경우에는 제2 또는 정합 피팅 부품(이 예에서는 본체)과의 최종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느슨한 또는 느슨하게 유지된 카트리징된 부품은 카트리징된 부품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축 방향 이동의 한계를 한정하는 표면으로부터 접촉이 없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축 방향 이동 범위는 최소한(예를 들어, 0.002 인치)일 수 있다. 느슨한 또는 느슨하게 유지된 카트리징된 부품은 또한 반경 방향 이동의 한계를 한정하는 표면으로부터 접촉이 없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카트리징된 부품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반경 방향 이동 범위는 최소한일 수 있다(예를 들어, 카트리징된 부품의 회전 및/또는 저항 없는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함). 이러한 느슨한 또는 느슨하게 유지된 카트리징된 상태는 페룰 보어와 삽입된 튜브의 정렬 또는 페룰 서로에 대한 그리고 본체 및 너트와의 적절한 반경 방향 정렬을 허용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꼭 맞게 유지된 카트리징된 부품은 카트리징된 부품의 축 방향 및/또는 회전 운동이 축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저항되도록 카트리징된 부품 내에서 축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꼭 맞게 유지된 카트리징된 부품은 축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표면과 접촉하도록 가압되는 부품을 포함하여, 이들 접촉 표면의 적어도 약간의 변형(예를 들어, 소성 및/또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카트리징된 너트 및 페룰 프리어셈블리에서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의 바람직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 페룰은 후방 페룰의 전방 단부 또는 노즈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후방 카운터 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 내에서 전방 및 후방 페룰의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서브 어셈블리 내에서 (예를 들어,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페룰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페룰(24)에는 캐밍 마우스(26)의 축 방향 후방으로 그리고 페룰 유지 돌출부(45)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29)(또는 페룰 상의 다른 반경 방향 외측 유지 피처)이 제공될 수 있다. 후방 부분(29)은 후방 페룰(30)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28)이 수용될 수 있는 후방 캐밍 마우스(2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보어(23)를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28)은 후방 페룰의 중심 축 방향 부분(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페룰 카트리징을 용이하게 하는 반경 방향으로 확대된 크라운 부분)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배열은 페룰을 너트(14)와 함께 그리고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 내에서 카트리징하는 동안 전방 및 후방 페룰(24, 30)의 적절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이점으로서, 이러한 정렬은 예를 들어, 튜브 설치의 용이함을 위해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의 축 방향 보어의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26)와 후방 페룰 전방 부분(28)의 실질적인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그리고 카트리징된 어셈블리 내에서 (예를 들어,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페룰의 오정렬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및 후방 페룰의 서로에 대한 충분한 반경 방향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으로서, 이러한 정렬은 예를 들어 후방 페룰 피구동 표면(32)과 너트 구동 표면(34)의 적절한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너트(14) 내에서 후방 페룰(30)의 충분한 동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으로, 이러한 정렬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카트리징된 어셈블리의 너트로부터 전방 페룰의 오정렬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페룰 유지 돌출부(45)와 너트 유지 리세스(55)의 적절한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너트(14) 내에서 전방 페룰(24)의 충분한 동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페룰(24, 30)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카트리징 너트(14)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정렬을 제어하기 위해, 너트 및 페룰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 축(X)을 중심으로 할 때 너트와 페룰 상호 결합 표면 사이의 반경 방향 갭이 최소화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갭은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페룰 유지 돌출부(45)의 외경과 너트(14)의 유지 리세스(55) 사이의 반경 방향 갭(g1)(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가장 앞쪽에 카트리징된 위치); 전방 페룰(24)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25)과 너트 내부 벽의 정렬된 부분 사이의 반경 방향 갭(g2)(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가장 후방에 카트리징된 위치); 후방 페룰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36)과 정렬된 전방 페룰 후방 보어(23) 사이의 반경 방향 갭(g3)(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가장 앞쪽에 카트리징된 위치 및 후방 페룰의 가장 후방에 카트리징된 위치); 후방 페룰 피구동 표면(32)의 반경 방향 외부 에지와 너트 테이퍼진 벽 표면(35)의 정렬된 테이퍼진 단부 부분 사이의 반경 방향 갭(g4)(예를 들어, 후방 페룰의 가장 앞쪽에 카트리징된 위치)을 포함한다. 이러한 갭들은 너트 및 페룰의 상호 결합 표면 사이에 프레스 피트 또는 간섭 피트를 회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크기가 설정되고, 논의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갭들(g1, g2, g3, g4)은 약 0.00005 인치 내지 약 0.015 인치, 또는 약 0.00005 인치 내지 약 0.006 인치, 또는 약 0.00005 인치 내지 약 0.003 인치, 또는 약 0.0005 인치 내지 약 0.001 인치로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페룰 반경 방향 갭(g3, g4)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전방 페룰-너트 반경 방향 갭(g1, g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보다 작을 수 있고, 전방 페룰-너트 반경 방향 갭(g1, g2)에 의해 야기되는 전방 페룰의 반경 방향 이동에 대한 제한을 넘어, 전방 페룰(24)의 반경 방향 이동을 더욱 제한하기 위해 감소되거나 또는 최소화되어, 예를 들어 유지 돌출부(45) 및 리세스(55)의 오정렬 및 너트 및 페룰 서브 어셈블리로부터의 전방 페룰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를 방지 또는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페룰 반경 방향 갭(g3, g4)의 합은 전방 페룰-너트 반경 방향 갭(g1, g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 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방 페룰은 후방 페룰 전방 단부 또는 노즈 부분을 돌출시키는 카운터 보어를 한정하는 연장된 후방 단부 섹션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후향으로 설치된 후방 페룰이 전방 페룰의 너트 내로의 카트리징된 장착을 방지하기 때문에 후방 페룰의 후향 설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페룰(24)의 후방 부분(29)은 후방 부분을 크기 설정함으로써 후방 페룰(30)의 후향 설치를 방지하여 후향 설치된 후방 페룰이 전방 페룰(24)의 너트(14) 내로 스냅 피팅식 카트리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 부분(29)은 전방 페룰(24)이 후방의 가장 카트리징되지 않은 위치 또는 비-유지된 위치에 있을 때(즉, 페룰 유지 돌출부(45)의 후방 표면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내부 벽의 인보드 표면(53)과 결합할 때), 너트 구동 표면(34)의 후향 후방 페룰 결합 부분(34x)과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29)의 후향 후방 페룰 결합 부분(29x) 사이의 축 방향 거리(ad1)가 후방 페룰 전방 부분(36)의 후향 후방 페룰 결합 부분(36x)과 후방 페룰 피구동 표면(32)의 후향 후방 페룰 결합 부분(32x) 사이의 축 방향 거리(ad2)보다 작도록(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전방 및 후방 페룰의 전체 종단 간 길이는 후방 페룰이 후방 배향으로 있을 때 상당히 클 수 있어서, 설치 이전에 페룰의 육안 또는 측정에 기초한 검사에 의해 후방 페룰의 부적절한 배향임이 확인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는 상기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와 후향 설치된 후방 페룰의 피구동 표면 사이의 결합이 상기 피팅 너트의 나사산이 피팅 본체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의 카트리징 단계를 피하고 및/또는 조립 중에 전방 페룰과 후방 페룰 사이의 임의의 저항을 피하기 위해, 전방 페룰(24)의 후방 보어(23)는 후방 페룰(30)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36)의 슬립 피팅 수용을 제공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후방 페룰의 전방 단부 부분이 후방 보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지 않고 후방 페룰의 전방 단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어(23)는 후방 보어(23)의 후방 페룰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36)의 삽입 또는 후퇴에 대한 임의의 저항을 제거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외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외향으로 또는 후향으로 감소되지 않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어(23)는 후방 페룰(30)의 전방 단부 노즈 부분 위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된 외측 테이퍼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는, 후방 페룰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예를 들어, 크라운) 부분의 느슨하거나 슬립 피팅 삽입을 위해 크기 설정된 전방 페룰 상의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를 한정하는 후방 보어가, 피팅 조립체의 일부로서 튜브 단부에 페룰을 설치하기 이전에, 적어도 후방 페룰과 전방 페룰의 카트리징 유지를 위해,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또는 후방 페룰 크라운 부분의 삽입 후에 선택적으로 크림핑되거나, 압연되거나, 피닝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부품(12, 14, 24, 및 30)이 도관(18)에 조립되었지만 너트(14)와 본체(12)를 수동으로 함께 결합함으로써 느슨하게 조립되거나 약간 타이트닝되거나 맞춰지는 것을 의미하는 핑거 타이트 상태의 피팅 조립체(10)를 도시한다. 피팅은 일반적으로 핑거 타이트 위치로부터 본체(12)에 대한 너트(14)의 완전 및 부분 회전을 계수함으로써 완전한 풀업 위치로 풀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안적으로 토크에 의해 풀업될 수 있는 피팅 설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적용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를 방해하지 않고 유지 피팅 부품를 제거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풀업된 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팅 조립체(10)가 도관으로 완전히 풀업된 후에, 도관 파지 장치는 통상적으로 도관(18) 외측 표면에 대한 파지 결합으로 소성 변형될 필요가 없다. 유체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유체 부품을 유지 보수하고 수리할 수 있도록 조립된 피팅을 나중에 분해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수리 또는 유지 보수가 완료되면 피팅이 재조립되어 다시 타이트닝된다. 이 공정은 일반적으로 조립 해제 및 리메이크로 당업계에서 언급된다. 그러나 많은 수리 및 유지 보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너트(14)는 종종 도관이 본체(12)로부터 인출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종종 제거되거나 적어도 축 방향 후방으로 또는 본체(12)로부터 멀리 슬라이드되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도관(18)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를 남기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것이 원하는 결과가 아니더라도, 너트가 페룰로부터 축 방향으로 뒤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는 풀업 중에 너트와 페룰이 해제되거나 분리될 수 없으면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페룰 및 유지 구조체가 유지 피팅 부품을 정합 피팅 부품 및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 너트 및 도관 파지 장치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풀업되는 중에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경우는 바람직한 선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지된 도관 파지 장치 및 유지 피팅 부품, 특히 초기에 불연속 카트리지의 형태로 조립된 유지 구조체가 도관 파지 장치가 도관 상에 완전히 설치된 후에도 분리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환언하면, 유지 구조체는 도관에 피팅 조립체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풀업한 후에 하나 이상의 도관 파지 장치를 너트(또는 다른 이러한 유지 피팅 부품)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풀업 시 탈착 가능한 다양한 유지 구조체의 예가 전술하여 통합된 '810 특허 및 '288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본 출원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너트 내부 벽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및 아웃보드 표면은 도관 단부 상의 피팅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풀업 중에 돌출부를 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하거나 또는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너트가 본체로부터 조립 해제될 때 너트로부터 페룰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너트 내부 벽의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조립체(10)가 예시적인 풀업 상태로 타이트닝될 때(예를 들어, 부분적인 풀업, 초기 완전 풀업 또는 리메이크), 전방 페룰(24)에 대한 너트(14)의 상대적인 내측 축 방향 이동은 전방 페룰 돌출부(45)가 아웃보드 표면(57)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56)에 의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되게 하는 것(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90°로 대체로 측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중심 축(X)에 대해 약 90° 내지 약 135°로 테이퍼링되는 것)을 포함한다. 전방 페룰 돌출부(45)가 돌출부 단부 부분(46)을 너트 내부 벽(50)의 좁아진 인보드 표면(5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시키기에 충분한 각도(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130° 내지 160°)로 벤딩될 때, 전방 페룰이 너트로부터 축 방향으로 결합 해제될 수 있으며, 페룰은 너트로부터 해제되거나 또는 너트에 더 이상 카트리징되지 않는다. 이러한 해제 조건은 페룰(24, 30)이 도관(18)을 소성 변형시키기 시작하기에 충분한 부분적인 풀업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본체(12)로부터의 너트(14)의 후속적인 이완 또는 분리가 해제된 페룰(24)이 변형된 도관 표면과의 파지 결합을 유지하게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해제 조건은 상이한 풀업 상태(예를 들어, 초기 완전한 풀업 또는 리메이크)와 일치할 수 있다. 도관(18) 상에 유지되는 해제된 페룰(24, 30)은 도관 상에 피팅 연결의 리메이크를 위해 피팅 본체 및 너트(이전의 조립체로부터의 피팅 본체 및 너트 또는 새로운 본체 및 너트)로 재조립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피팅부(10)가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초기 완전 풀업 위치로) 타이트닝되면, 돌출부(45)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150° 내지 180° 사이의 각도로) 더 벤딩되어 원주 방향 리세스(55)의 벤딩된 돌출부를 전체적인 축 방향 외향으로 수용한다. 벤딩된 돌출부(45)와 너트 내부 벽(50)의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57)과의 결합은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57)이 축 방향 너트 로드의 해제 시 페룰의 해제를 제공하는 동안 돌출부(45)의 중심 축에 대해 약 170° 내지 약 180°까지 추가적인 소성 변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진 너트 표면의 이점은 그 전문이 본 출원에 참고로 통합된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제8,007,013호에 더 기재되어 있다. 전방 페룰(24)은 또한 돌출부(45)에 인접하고 축 방향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원주 방향 환형 리세스 또는 홈(42)을 구비하여, 돌출부(45)의 더욱 내측으로의 벤딩을 위한 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거나 가벼운 카트리징을 위한 적합한 피팅 조립체는 또한 풀업 시 너트로부터 페룰을 완전하게 해제하기 위해 도 5, 도 5a,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업될 때 페룰 돌출부의 소성 변형된 내측 벤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관 파지 장치(예를 들어, 단일 페룰 또는 2개의 페룰 배열의 전방 페룰) 상의 유지 돌출부는 초기에 (즉, 카트리징 전에) 스커트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중심 축에 대해 30° 내지 70°, 또는 중심 축에 대해 약 35° 내지 약 55°로) 축 방향 외향으로 경사진 배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돌출부의 단부 부분이 유지 피팅 부품(예를 들어, 피팅 너트)의 유지 리세스의 인보드에 있는 내부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돌출부와 탄성 변형 및 스냅인 결합 없이 유지 리세스와 축 방향으로 정렬하여 느슨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관 파지 장치를 유지 피팅 부품으로 카트리징하기 위해, 유지 피팅 부품은 리세스의 외측 단부를 한정하고 돌출부의 단부 부분과 정렬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을 포함한다. 축 방향 외측으로의 힘이 돌출부 단부 부분을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결합하도록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해질 때, 상기 돌출부는 돌출부 단부 부분이 리세스의 내부 단부를 한정하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전방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벤딩되거나 축 방향으로 피봇되어, 외향 벤딩 돌출부가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의 리세스 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되게 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앞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피팅 부품(12, 14, 24, 30)의 많은 특징부를 재현하는 피팅 본체(112), 너트(114) 및 전방 및 후방 페룰(124, 130)을 포함하여 도시된다.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페룰 유지 구조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 페룰이 너트와 함께 카트리징될 때 너트(114)의 내부 벽(150)에 형성된 원주 방향 리세스(155)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전방 페룰(124) 상의 반경 방향 외향 연장 돌출부(14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45)는 그 사이의 벽 두께를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141, 144)을 포함하고, 상기 벽 두께는 돌출부(145)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143) 주위에서 벤딩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다.
도 7, 도 7a 및 도 7b는 전방 페룰(124)과 피팅 너트(11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견부 또는 구동 표면(1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후방 페룰(130)과 함께 느슨한 또는 사전 카트리징된 상태의 피팅 너트(114) 및 페룰(124, 130)을 도시한다. 카트리징 이전에, 원주 방향 돌출부 또는 스커트 부분(145)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으로, 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30° 내지 70°의 각도로, 중심 축(X)에 대해 약 35° 내지 약 55°의 각도로, 또는 중심 축(X)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 리세스(155)는 너트 내부 벽(150)의 인보드 표면(153)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외향으로 향해 있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과 너트 내부 벽(150)의 아웃보드 표면(157)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에 의해 한정되어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은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보다 작은 직경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카트리징에 앞서, 돌출부(145)의 단부 부분(146)은 너트 내부 벽(150)의 인보드 표면(153)의 반경 방향 내측에, 너트 내부 벽의 아웃보드 표면(157)의 반경 방향 외향에 위치되어, 전방 페룰(124)의 돌출부 단부 부분(146)이 원주 방향 리세스(155)와 축 방향 정렬되도록 느슨하게 수용되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과 맞닿을 수 있게 한다.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과 결합하는 돌출부 단부 부분(146)을 갖는 전방 페룰(124)에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은, 돌출부(145)가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143)을 중심으로 축 방향 내측 및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벤딩되거나 피봇되게 (또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게) 유도하여, 돌출부 단부 부분(146)이 도 8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게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한다. 정렬된 위치에서, 소성 변형된 돌출부(145)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5)는 대체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향(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85° 내지 95° 사이)으로 배치되어 돌출부(145)와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 사이의 반경 방향 중첩을 최대화하고, 카트리징된 페룰의 보다 안전한 유지를 위해, 카트리진된 페룰(124)의 측 방향 이동을 최소화시킨다.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형 카트리징된 돌출부(145)는 적어도 약간의 내측 각도(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90° 내지 130°)로 배치될 수 있다.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의 대체로 측 방향 배향과 결합된 카트리징된 돌출부(145)의 내측 각도는 전방 페룰(24)이 축 방향 내측으로 충돌할 때(예를 들어, 카트리징된 피팅 서브 조립체가 충돌하거나 떨어졌을 때), 돌출부(145)의 외향 벤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징하는 동안 페룰 돌출부(145)를 반경 방향 외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카트리징된 너트 및 페룰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돌출부가 너트 리세스(155) 내에 설치됨에 따라 돌출부의 탄성 또는 스냅 백 변형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반경 방향 외향으로 변형된 돌출부(145)는 너트 리세스와의 보다 견고한 상호 잠금 결합 및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과의 보다 큰 반경 방향 중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얕은 각진 카트리징 돌출부를 갖는 사전-카트리징된 페룰의 사용은 실질적으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 사전-카트리징된 페룰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바스톡(barstock)으로부터 페룰의 기계 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카트리징 너트 리세스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는 반경 방향 외향 변형된 돌출부를 갖는 카트리징된 페룰을 계속해서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반경 방향 페룰 보스 표면(125)(완전한 풀업 시 전방 페룰의 최외측 반경 방향 표면을 한정할 필요는 없음)을 갖는 사전-카트리지 페룰(124) 및 페룰의 후방 단부(148)로부터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 연장되는 카트리징 돌출부(145)는 외측 반경 방향 표면(125)(도 7)의 외경(d2)에 대한 돌출부(145)의 외경(d1)의 비가 약 1.06 미만, 또는 약 1.02 내지 1.06, 또는 약 1.04가 되도록 구성된다. 도 8,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5)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및/또는 약간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피팅 너트(114)와 페룰(124)이 카트리징될 때, 외측 반경 방향 표면(125)(도 9)의 외경(d2')에 대한 확장된 돌출부(145)의 외경(d1')의 비는 약 1.03보다 크거나, 약 1.04보다 크거나, 또는 약 1.02 내지 약 1.12 사이이거나, 또는 약 1.05 내지 약 1.10 사이이거나, 또는 약 1.07이다.
페룰(124, 130)을 너트(114) 내로 사전 조립하거나 "카트리징"하기 위해, 제어된 축 방향 힘이 전방 페룰(124)의 축 방향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가해질 수 있다. 가해지는 힘은 적어도 인보드 반경 방향 벽(154)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돌출부 단부 부분(146)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기에 충분한 돌출부(145)를 벤딩하기에; 카트리지형 페룰의 측 방향 운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측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는 배향으로 돌출부 단부 부분(146)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기에; 및/또는 (예를 들어, 돌출부(145)의 외측 벤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를 내측 각진 배향으로 벤딩하기에 충분한 양일 수 있다. 카트리징 중 이러한 제어된 축 방향 변위 및 돌출 변형은 유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어서, 돌출부 단부 부분(146)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때, 전방 페룰(12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126)는 후방 페룰(130)의 인보드 단부 접촉 표면(128)과 접하게 되고, 후방 페룰(1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32)은 너트(114)의 아웃보드 환형 견부(134)와 접하게 된다. 전방 페룰, 후방 페룰 및 너트 접합부의 이러한 위치에서의 축 방향 전진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은 페룰(124, 130)이 너트(114)와 함께 카트리징되는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도구(160)를 사용하여 페룰을 너트로 카트리징하기 위해 제어된 축 방향 힘을 전방 페룰(124)에 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160)는 전방 페룰(124)의 캐밍 표면(122)과 너트(114)의 내부 벽(150) 사이에서 너트(114) 내로 삽입되는 환형 노즈 부분(161)을 구비할 수 있다. 노즈 부분(161)은 너트(114) 내에서 페룰(124, 130)을 중심에 두고 전방 페룰(124)의 외측 플랜지 또는 보스 부분(125)의 내측을 향한 표면(127)과 결합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캐밍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 힘이 캐밍 표면(122)이 아닌 외측 부분(125)에 가해지도록 한다. 도 13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124')은 노치-형성 축 방향 연장 표면(123')에 의해 캐밍 표면(122')으로부터 보다 실질적으로 (그러나 필수적으로 전체적인 것은 아니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리세스되거나 또는 분리된 내측을 향하는 표면(127')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 노즈 부분(161')과 내측을 향하는 표면(127') 사이에서 더 큰 반경 방향 접촉을 허용하게 하고, 캐밍 표면(122')과의 도구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도구(160')에 의해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을 최대화시킨다(반경 방향 압축력을 최소화시킴). 전방 페룰 상의 유사한 계단형 또는 노치형의 외측 보스 부분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31, 도 32, 도 43, 도 44,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b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핀 도구(165, 165')는, 정렬 핀 도구(165, 165')의 샤프트 부분(167, 167')을 너트의 내부 벽을 통해 설치 도구(160, 160')의 중심 보어(163, 163') 내로 삽입하고, 내측 견부 부분(166, 166')과 너트(114, 1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17, 117')이 맞닿게 함으로써 너트(114, 114')와 추가로 조립될 수 있다(필수적인 것은 아님). 도구(160, 160')의 후방 견부 부분(162, 162')은 너트(114, 114')의 인보드 단부 표면(115, 115')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노즈 부분(161, 161')이 전방 페룰(124, 124')을 전진시켜 전방 페룰(124, 124')의 돌출부(145, 145')가 반경 방향 확장 배향으로 벤딩될 때, 견부 부분(162, 162')과 너트 단부 표면(115, 115')의 맞닿음에 의해 페룰(124, 124 ', 130, 130')이 너트(114, 114')에 카트리징되는 포지티브 정지 표시가 제공되게 하고, 돌출부(145, 145')가 카트리지 위치를 지나서 과도하게 벤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앞서 보다 상세하게 개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방 페룰 노즈 결합 도구, 페룰 틸팅 또는 코킹 도구, 또는 나사형 설치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설치 도구가 페룰에 축 방향의 카트리징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치 도구(점선 "170"으로 도시됨)는 후방 페룰(130)을 통해 전방 페룰(124)에 제어된 내측 축 방향 힘을 가하여 돌출부(145)를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154)과 증가된 반경 방향 상호 결합으로 반경 방향 확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2 설치 도구(170)는 너트(114) 내에서 페룰을 중심에 맞추기 위해 페룰(124, 130)을 통해 삽입되는 중심 샤프트 부분(171)과, 후방 페룰(1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32)과의 결합을 위해 너트(114)의 아웃보드 단부를 통해 수용되도록 크기 설정되는 상승된 원주 방향 밴드(172)를 포함하여, 내측 축 방향 힘이 후방 페룰(130)에 가해지고 전방 페룰(124)에 전달되게 한다. 제2 설치 도구(170)의 후방 견부 부분(173)은 밴드(172)가 리세스(155) 내에서 돌출부의 반경 방향 확장을 위해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154)과 돌출부(145)를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전방 및 후방 페룰(124, 130)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 너트(1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17)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견부 부분(173)과 너트 단부 표면(117)의 맞닿음에 의해, 전방 페룰 돌출부(145)가 충분히 확장되었다는 포지티브 정지 표시가 제공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26)의 내경에 또는 전방 페룰(도시되지 않음)의 외측 보스 부분(125)의 외경에 파지하거나 후크하는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축 방향 내측 힘 인가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구는 초기 카트리지 공정(도시되지 않음)에 후속하여 돌출부를 외향으로 직접 결합시키고 축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해 너트의 인보드 측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페룰 또는 페룰들에 내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도구가 너트로부터 카트리징된 페룰을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 페룰에 특수 클리닝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하고, 사전 설치된 페룰을 다른 페룰로 교체하고, 또는 다른 피팅 배치 상에 너트를 사용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구(170)는 너트(1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17)에 맞닿도록 구성된 후방 견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도구의 페룰 결합 리브 또는 밴드(172)가 너트 내부 벽(150)의 좁아진 인보드 표면(153)의 인보드로 돌출부(145)를 축 방향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전방 및 후방 페룰(124, 130)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킬 때, 견부 부분(173)과 너트 단부 표면(117)과의 맞닿음에 의해, 카트리징된 전방 페룰(124)(및 후방 페룰(130)과 함께)이 너트(114)로부터 해제되었다는 포지티브 표시가 제공되게 한다.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126)의 내경 또는 전방 페룰(도시되지 않음)의 외측 보스 부분(125)의 외경을 파지하거나 후크하는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축 방향 내측 힘 인가 도구가 사용되어, 전방 페룰(124)을 축 방향 내측 방향으로 당긴다. 예를 들어 전술하여 보다 상세하게 개시된 페룰 파지/당김 도구 또는 페룰 틸팅/코킹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페룰 제거 도구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페룰 및 너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카트리징 특징부가 전술하여 보다 상세하게 개시된 바와 같이 보다 쉽게 해제 가능하거나 "가볍게 카트리징된" 페룰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부품(112, 114, 124 및 130)이 도관(118)에 조립되었지만 너트(114)와 본체(112)가 함께 수동으로 결합함으로써 느슨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약간 타이트닝되거나 맞춰지는 것을 의미하는 핑거 타이트 상태의 피팅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너트 내부 벽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및 아웃보드 표면은 도관 단부상의 피팅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풀업 중에 측 방향 외향으로 카트리징된 상태로부터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부를 벤딩하거나 또는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너트가 본체로부터 해제될 때 너트로부터 페룰을 인출할 수 있도록 너트 내부 벽의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1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조립체(100)가 예시적인 풀업 상태(예를 들어, 부분적인 풀업, 초기 완전 풀업 또는 리메이크)로 타이트닝될 때, 전방 페룰 돌출부(145)는,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 및 아웃보드 표면(157)에 의해 너트 내부 벽(150)의 인보드 표면(15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부 단부 부분(146)을 위치시키기에 충분한 각도(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145° 내지 165° 사이)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된다. 이러한 해제 조건은 페룰(124, 130)이 도관(118)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부분적인 풀업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본체(112)로부터의 너트(114)의 연속된 풀림 또는 분리는 해제된 페룰(124)이 변형된 도관 표면과의 파지 결합을 유지하게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해제 조건은 상이한 풀업 상태(예를 들어, 초기 완전한 풀업, 리메이크)와 일치할 수 있다. 도관(118) 상에 유지된 해제된 페룰(124, 130)은 도관 상의 피팅 연결부의 리메이크를 위해 피팅 본체 및 너트(사전 조립체로부터의 피팅 본체 및 너트 중 하나 또는 새로운 본체 및 너트)와 재조립될 수 있다 .
예시적인 피팅(100)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완전한 풀업 위치로) 더 타이트닝되면, 돌출부(145)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160° 내지 180° 사이의 각도로) 더 벤딩되어, 원주 방향 리세스(155)의 축 방향 외향으로 벤딩 돌출부를 수용한다. 벤딩된 돌출부(145)와 너트 내부 벽(150)의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157)의 결합은 중심 축에 대해 약 170° 내지 약 180°까지 돌출부(145)의 추가적인 소성 변형을 제공할 수 있고,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157)은 축 방향 너트 로드의 해제 시 페룰의 해제를 제공한다. 전방 페룰(124)은 또한 돌출부(145)의 추가적인 내측 벤딩에 대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부(145)에 인접하여 이로부터 축 방향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 또는 홈(142)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142)의 깊이 및 형상은 돌출부(145)의 두께 및 형상과 조합하여 구성 또는 치수화될 수 있어서, 돌출부(145)의 완전한 변형 또는 벤딩된 상태에서의 전방 페룰(124)의 실질적인 플러쉬 또는 혼합된 외경을 한정할 수 있게 된다. 이 최종 직경은 페룰 보스(125)의 직경과 같거나 이를 초과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추가 너트 전진으로 페룰 보스와 유지 부품 리세스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156) 및 테이퍼진 내부 벽(157) 사이의 접촉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조립체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의 축 방향 길이를 규정하여 돌출부(145)의 내측 벤딩을 위한 최소 또는 제한된 간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너트의 추가 풀업으로부터 발생되는 추가 내측 축 방향 이동 중 너트(114)의 테이퍼진 내부 벽(157)과의 잠재적인 접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축 방향 인장 및 압축 로드에 대한 반응으로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방 페룰(124)에 대한 너트의 상대적인 내측 축 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피팅 조립 또는 리메이크 중에 돌출부(145)의 신장 및/또는 파단을 제한 또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42)의 인보드 에지를 한정하는 전방 페룰 보스 부분(125)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은 돌출부(145)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테이퍼지거나 또는 달리 윤곽화될 수 있다.
풀업 동안 페룰의 해제에 영향을 주는 특징부의 또 다른 예시로서, 페룰의 카트리징 돌출부는 보다 작거나 더 집중된 힌지 위치에서 벤딩 또는 힌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돌출부의 외측 반경 방향 부분이 풀업 중에 보다 빠르게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수축되게 된다. 이러한 더 작고보다 집중된 힌지 위치는, 예를 들어, 돌출부의 반경 방향의 최내측 부분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보다 좁은 또는 넥다운된 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페룰 유지 돌출부의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은 돌출부의 내부 반경 방향 힌지 부분이 돌출부의 외측 반경 방향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예를 들어,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은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서로 분기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좁은 힌지 부분은 벤딩 동안 돌출부 단부 부분의 반경 방향 배향에서 보다 급격한 변화를 제공하여 (돌출부의 더 큰 종방향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벤딩부와 비교하여) 보다 개별적인 힌지 부분에서 벤딩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집중된 내부 힌지 부분은 카트리징된 돌출부의 보다 효과적인 유효 길이를 유지하도록 도와서 (예를 들어,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의 간섭을 증가시키고 너트 내에서 카트리징된 페룰의 측 방향 이동을 최소화하도록), 예를 들어, 카트리징 및 피팅 풀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돌출부를 벤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축 방향 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돌출부의 이 부분에서의 등가의 소성 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힌지 부분에서의 균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페룰 돌출부에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내부 반경 방향 힌지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적절한 표면 윤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및 도 15e는 돌출부의 집중된 벤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의 내부 반경 방향 힌지 부분(143a 내지 143e)에서 감소된 벽 두께를 갖는 카트리지 돌출부(145a 내지 435e)를 포함하는 페룰(124a 내지 124e)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의 실시예에서, 돌출부(145a)의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141a, 144a)은 좁은 단부에서 보다 집중된 힌지 부분(143a)을 형성하는, 축 방향 단면에서 야구 방망이 형상을 형성하는 편평하고 테이퍼진 표면이다. 유사한 야구 방망이 형상의 유지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17 내지 도 21, 도 25 내지 도 51, 도 55 및 도 56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야구 방망이 형상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는 돌출부의 중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피팅 풀업 중에 예를 들어 돌출부의 힌지 변형, 로드 분포 및/또는 릴리프 윤곽을 제어하기 위해 비대칭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5b, 도 15c 및 도 15d의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노치된 또는 넥다운된 표면은 인보드 벽 표면(141b)(도 15b), 아웃보드 벽 표면(144c)(도 15c), 또는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141d, 144d)(도 15d) 상에 형성되어 감소된 두께 힌지 부분(143b, 143c, 143d)을 제공한다. 유사한 노치된 돌출 벽 표면을 갖는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가 도 52에 도시된다.
또 다른 예시로서, 도 15e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5e)의 아웃보드 벽 표면(144e)은 볼록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확대될 수 있어서, 베이스 힌지 부분(143e)이 돌출부의 확대 부분에 대해 감소된 두께를 갖게 한다. 볼록한 아웃보드 벽 표면(144e)은, 접힌 돌출부(145e)(풀업 시)와 너트 내부 표면(150) 사이의 접촉을 볼록 표면의 반경 방향 최외측 부분(접힌 상태에서)으로 제한함으로써 릴리프 윤곽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한 볼록 외측 벽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인보드 벽 표면(141e)은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7 및 도 4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2241)에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아웃보드 벽 표면 및 볼록한 인보드 벽 표면을 갖는 돌출부(2451)가 제공될 수 있어서, 베이스 힌지 부분이 돌출부의 확대 부분에 대해 감소된 두께를 갖게 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 모두는 감소된 두께의 베이스 힌지 부분을 제공하도록 볼록할 수 있다.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인보드 벽 표면(141e)은 얕은 테이퍼진 부분(147e)에 의해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142e)로 전이할 수 있다.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와 돌출부의 인보드 벽 표면 사이의 얕은 테이퍼진 전이 표면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32, 도 34, 도 36, 도 40, 도 44,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되어 있다.
풀업 동안 페룰의 해제에 영향을 주는 특징부의 다른 예로서, 페룰의 카트리지 돌출부가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측 원주 방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과 비교하여) 페룰의 후방 또는 아웃보드 단부 반경 방향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돌출부는 돌출부에 인접한 페룰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된 힌지 부분을 한정할 수 있게 된다. 돌출 힌지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 원주 방향 표면의 축 방향 외향에 위치시킴으로써, 피팅 풀업 중에 돌출부의 보다 신속한 반경 방향 축소가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풀업 또는 부분적으로 풀업된 피팅의 너트로부터의 페룰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일 실시예에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5f)의 인보드 벽 표면(141f) 및 아웃보드 벽 표면(144f)은 각각 인접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142f)의 반경 방향 내측 위치에서 페룰(124f)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48f)으로부터 축 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아웃보드 단부 표면(148f)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5g)의 인보드 벽 표면(141g) 및 아웃보드 벽 표면(144g)은 모두, 인접한 외측 반경 방향 표면(142g)의 반경 방향 내측 위치에서 외측 반경 방향 표면(142g)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인보드 벽 표면(141g)과, 아웃보드 단부 표면(148g)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아웃보드 벽 표면(144g)과 함께, 페룰(124g)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148g)으로부터 축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위치된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가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5h)의 인보드 벽 표면(141h)은 아웃보드 단부 표면(148h)의 축 방향 내측 위치에서 축 방향 오프셋 치수(x1)만큼 외측 반경 방향 표면(142h)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아웃보드 벽 표면(144h)은 외측 반경 방향 표면(142h)의 반경 방향 내측 위치에서 반경 방향 오프셋 치수(y1)만큼 아웃보드 단부 표면(148h)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위치된 돌출부를 갖는 전방 페룰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25 내지 도 51, 도 55 및 도 56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일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오프셋 치수(y1)는 축 방향 오프셋 치수(x1)를 초과하여, 돌출 베이스 또는 힌지 부분의 중심이 외부 반경 방향 표면(142h)의 반경 방향 내측이 되도록 한다.
도 17 내지 도 21은 앞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피팅 부품(112, 114, 124, 130)의 특징부의 많은 부분을 재현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본체(212), 너트(214)와 전방 및 후방 페룰(224, 23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21의 실시예의 페룰 유지 구조체는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10°, 또는 약 2° 내지 약 6°의 차이 각도로)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서로 균일하게 분기하는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241, 244)을 갖는 전방 페룰(224)상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외향 연장 스커트 또는 돌출부(245)를 포함하여, 돌출부의 내부 반경 방향 힌지 부분(243)이 돌출부의 외측 반경 방향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게 한다. 예시적인 돌출부(245)의 돌출 벽 표면(241, 244)은 좁은 단부에서 보다 한정된 힌지 부분을 형성하고 축 방향 단면에서 야구 방망이 형상을 형성하는 편평하고 테이퍼진 표면이다. 도 17 및 도 21의 실시예의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241, 244)은 페룰(224)의 후방 반경 방향 표면(248)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245)의 힌지 부분(243)이 전방 페룰(224)의 외측 원주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향에 있게 한다.
도 17 및 도 17a는, 후방 페룰(230)이 전방 페룰(224)과 피팅 너트(21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견부 또는 구동 표면(2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느슨한 또는 사전 카트리징된 상태의 피팅 너트(214) 및 페룰(224, 230)을 도시한다. 카트리징 전에, 원주 방향 돌출부 또는 스커트 부분(245)은 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30° 내지 70° 사이의 각도로 또는 중심 축에 대해 약 35° 내지 약 55°의 각도로 또는 중심 축(X)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 리세스(255)는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254)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에 의해 한정되고 그 사이에 배치된다. 카트리징 전에, 돌출부(245)의 단부 부분(246)은 너트 내부 벽(250)의 인보드 표면(25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너트 내부 벽(250)의 아웃보드 표면(257)의 반경 방향 외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전방 페룰(224)의 돌출부 단부 부분(246)이 원주 방향 리세스(255)와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과 맞닿도록 느슨하게 수용된다.
도 7 내지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돌출부 단부 부분(246)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과 결합하게 전방 페룰(224)에 가해진 축 방향 힘은 돌출부(245)가 축 방향 내측 및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243)에 대해 벤딩되거나 또는 피봇(또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변형됨)되게 유도하여, 도 18 및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단부 부분(246)이 인보드 반경 방향 벽(254)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한다. 이러한 정렬된 위치에서, 소성 변형된 돌출부(245)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254)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45)는 대체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향(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85°와 95° 사이)으로 배치되어, 돌출부(245)와 인보드 반경 방향 벽(254) 사이의 반경 방향 중첩을 최대화시키고, 카트리징된 페룰(224)의 측 방향 이동을 최소화하여 카트리징된 페룰을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형된 카트리징된 돌출부(245)는 적어도 약간의 내측 각도(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90° 내지 130°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인보드 반경 방향 벽(254)의 대체로 측 방향 배향과 결합된 카트리징된 돌출부(245)의 내측 각도는, 전방 페룰(224)이 축 방향 내측으로 충돌할 때 (예를 들어, 카트리징된 피팅 서브 조립체가 충돌하거나 떨어졌을 때) 돌출부(245)의 외향 벤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의 외향으로 분기되는 벽 표면(241, 244)으로부터 생성되는 돌출부(245)의 더 좁은 힌지 부분(243)은 돌출부를 벤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축 방향 힘을 감소시켜, 예를 들어, 카트리징 및 피팅 풀업을 용이하게 하고, 돌출부의 이 부분에서 등가의 소성 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힌지 부분에서의 균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좁은 힌지 부분(243)은 또한 (돌출부의 더 긴 종방향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벤드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의 간섭의 증가 및 너트에서 카트리징된 페룰의 최소화된 측 방향 이동을 위해) 보다 개별적인 힌지 부분에서의 벤딩을 집중시켜, 변형된 돌출부(245)의 더 큰 유효 길이를 유지시킨다. 또한, 더욱 분기된 힌지 포인트를 제공하기 위해, 돌출부 인보드 표면(241)과 외측 리세스(242)에 의해 한정된 교차부에 타이트하거나 또는 날카로운 코너가 제공되어, 변형된 돌출부의 유효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다.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242)의 깊이 및 형상은 돌출부(245)의 두께 및 형상과 조합하여 특정되어, 돌출부(245)의 완전히 변형되거나 벤딩된 상태에서 전방 페룰(224)의 실질적인 플러쉬 또는 혼합된 외경을 한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최종 직경은 페룰 보스(225)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초과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어, 추가 너트 전진으로 페룰 보스와 유지 부품 리세스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 및 테이퍼진 내부 벽(257) 사이의 접촉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조립체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세스의 축 방향 길이를 규정하여 돌출부(245)의 내측 벤딩을 위한 최소 또는 제한된 간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너트의 추가 풀업으로부터 발생되는 추가 내측 축 방향 이동 중 너트(214)의 테이퍼진 내부 벽(257)과의 잠재적인 접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축 방향 인장 및 압축 로드에 대한 반응으로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방 페룰(224)에 대한 너트의 상대적인 내측 축 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피팅 조립 또는 리메이크 중에 돌출부(245)의 신장 및/또는 파단을 제한 또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42)의 인보드 에지를 한정하는 전방 페룰 보스 부분(225)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은 돌출부(245)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테이퍼지거나 또는 달리 윤곽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세스(242)의 리세스된 축 방향 표면은 돌출부(245)의 테이퍼진 인보드 표면(241)과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아웃보드 방향으로 외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카트리징 동안 페룰에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은 예를 들어 유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어되거나 제한될 수 있어서, 돌출부 단부 부분(246)이 상세하게 전술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때, 전방 페룰(22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226)가 후방 페룰(230)의 인보드 단부 캐밍 표면(228)과 접하게 되고, 후방 페룰(2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232)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또는 앞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설치 도구를 사용하여 너트(214)의 아웃보드 환형 견부(234)와 접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징된 페룰은 예를 들어, 앞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도구, 방법 및 유지 구조체 구성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특별한 클리닝 또는 다른 처리 후에) 예를 들어 교체 또는 재설치를 위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부품(212, 214, 224 및 230)이 도관(218)상에 조립되었지만, 너트(214)와 본체(212)를 함께 수동으로 결합함으로써 느슨하게 조립되거나 약간 타이트닝되거나 맞춰지는 것을 의미하는, 핑거 타이트 상태의 피팅 조립체(200)를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조립체(200)가 예시적인 풀업 상태(예를 들어, 부분적인 풀업, 초기 완전 풀업 또는 리메이크)로 타이트닝될 때, 전방 페룰 돌출부(245)는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 및 아웃보드 표면(257)에 의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부 단부 부분(246)을 위치시키기에 충분한 각도(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145° 내지 165° 사이)로 너트 내부 벽(250)의 인보드 표면(25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된다 이러한 해제 조건은 페룰(224, 230)이 도관(218)을 소성 변형시키게 충분한 부분적인 풀업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본체(212)로부터의 너트(214)의 연속된 풀림 또는 분리는 해제된 페룰(224)이 변형된 도관 표면과의 파지 결합을 유지하게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해제 조건은 상이한 풀업 상태(예를 들어, 초기 완전한 풀업 또는 리메이크)와 일치할 수 있다. 도관(218) 상에 유지되는 해제된 페룰(224, 230)은 도관 상의 피팅 연결부의 리메이크를 위해 피팅 본체 및 너트(사전 조립체로부터의 피팅 본체 및 너트 중 하나 또는 새로운 본체 및 너트)와 재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45)의 부착부 또는 힌지(243)를 페룰(224)의 외측 원주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피팅 풀업 중에 돌출부의 보다 신속한 반경 방향 축소가 실현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어, 풀업된 또는 부분적으로 풀업된 피팅의 너트로부터 페룰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의 힌지 부분은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의 축 방향 내측 위치에서 페룰의 외측 원주 방향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의 축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피팅(200)이 추가 풀업 위치(예를 들어, 완전한 초기 풀업)로 타이트닝되면, 돌출부(245)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160° 내지 180° 사이의 각도로) 더 벤딩되어, 원주 방향 리세스(255)의 축 방향 외측으로 전체적으로 벤딩된 돌출부를 수용하게 된다. 벤딩된 돌출부(245)와 너트 내부 벽(250)의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257)의 결합은 중심 축에 대해 약 170° 내지 약 180°까지 돌출부(245)의 부가적인 소성 변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257)은 축 방향 너트 로드의 해제 시 페룰의 해제를 제공하게 된다. 전방 페룰(224)에는 또한 돌출부(245)에 인접하여 축 방향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는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 또는 홈(242)이 제공되어 돌출부(245)의 더욱 내측으로의 벤딩을 위한 간극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테이퍼진(또는 외측으로 분기되는) 돌출부의 집중된 힌지 작용은 벤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돌출부(245)가 외측 홈(242)에 수용되고, 페룰 보스(225)의 외측 표면 위로, 그와 동일 평면으로, 또는 심지어 그로부터 리세스되게 한다.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의 깊이 및 형상은 돌출부(245)의 두께 및 형상과 조합하여 특정될 수 있어서, 돌출부의 완전히 변형 또는 벤딩된 상태 시에 전방 페룰(224)의 외경을 한정한다. 이 최종 직경은 페룰 보스(225)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추가 너트 전진으로 페룰 보스(225)와 유지 부품 리세스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 및 테이퍼진 내부 벽(257) 사이의 접촉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조립체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세스의 길이를 규정하여 돌출부(245)의 내측 벤딩을 위한 최소 간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너트의 추가 풀업으로부터 발생되는 추가 내측 축 방향 이동 중 너트(214)의 테이퍼진 내부 벽(257)과의 잠재적인 접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축 방향 인장 및 압축 로드에 대한 반응으로 돌출부(245)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카트리징 페룰의 또 다른 특징은 카트리징 및/또는 피팅 풀업 중에 (즉, 카트리징된 페룰의 해제 중에) 힌지 변형, 로드 분포, 및/또는 돌출부 릴리프 윤곽을 개선하거나 또는 제어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다수의 그러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유지 너트(614) 및 카트리징 전방 페룰(624)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카트리징 및/또는 해제, 및 돌출부의 (카트리징 도중의) 결과적인 반경 방향 확장 및/또는 (풀업 도중의) 수축 중 힌지 변형을 가속시키기 위해 및/또는 단일 힌지 포인트에서 변형 및 관련된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페룰의 카트리징 돌출부에 다수의 힌지 부분 또는 힌지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리징 돌출부(645)는 돌출부의 베이스에 제1 힌지 부분(691) 및 제1 힌지 부분(691)의 반경 방향 외향 및 이에 인접한 제2 힌지 부분(692)을 포함한다(도 22a). 제1 힌지 부분과 제2 힌지 부분 사이의 다수의 상이한 특성 변화는 예를 들어 두께, 형상 및/또는 재료 경도의 변화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힌지 부분의 분리 및/또는 순차적 힌지 작용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 내지 도 2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분(691)은 제1 두께 대 길이 비(예를 들면, 약 0.7 내지 0.9의 비)를 가지며, 제2 힌지 부분(692)은 제1 두께 대 길이 비보다 작은 제2 두께 대 길이 비(예를 들면, 약 0.35 내지 0.75의 비)를 가짐으로써, 카트리징 및/또는 풀업 중에 돌출부(645)의 단부 부분(693)에 가해진 초기 축 방향 로드가 돌출부를 주로 제2 힌지 부분(692)에서 벤딩되게 하여 (카트리징 동안) 반경 방향 확장되게 하고 및/또는 (피팅 풀업 동안) 반경 방향 수축되게 한다. 피팅의 추가 풀업 (및 돌출부(645)의 단부 부분(693)에 가해진 결과적인 축 방향 로드) 동안, 제1 힌지 부분(691)의 벤딩이 증가하여, 돌출부(645)가 제1 힌지 부분과 페룰(624)의 외측 반경 방향 플랜지 또는 보스(625) 사이의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642) 내로 접히게 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페룰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페룰 돌출부의 전체 또는 일부의 더 큰 연성, 낮은 재료 항복 강도 또는 더 높은 신장률을 제공하도록 유도 가열되거나, 레이저 어닐링되거나,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예시에서, 단지 외부, 제2 힌지 부분 만이 (내부의 제1 힌지 부분과 비교하여) 연성을 증가시키도록 어닐링되거나 다르게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외부 힌지 부분은 내부 힌지 부분보다 더 큰 범위로 처리되어, 제2 힌지 부분의 초기 벤딩 및 내부 힌지 부분의 후속 벤딩을 포함하는 순차적 힌지 작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에서, 페룰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카트리징 및/또는 풀업 동안 돌출부의 소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세그먼트화되거나(예를 들어, 슬릿되거나 스탬핑) 또는 그렇지 않으면 비연속적일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예에서, (내부 제1 힌지 부분과 비교하여) 외측 제2 힌지 부분만이 증가된 소성 변형을 위해 세그먼트화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외부 힌지 부분은 제2 힌지 부분의 초기 벤딩 및 내부 힌지 부분의 연속된 벤딩을 포함하는 순차적 힌지 작용을 제공하는 더 큰 범위로(예를 들어, 세그먼트들 간의 더 많은 세그먼트 또는 더 큰 갭으로)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도 25는 카트리징 및/또는 풀업 동안 증가된 소성 변형을 위해 슬릿(745b)에 의해 분리된 개별 탭(745a)을 갖는 세그먼트화된 돌출부(745)를 갖는 카트리징 페룰(724)의 예시적인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슬릿은 돌출부 단부 부분(793)으로부터 제2 힌지 부분(792)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제1 힌지 부분(791)까지는 아니며, 이로써, 카트리징 및/또는 초기 풀업 동안 제1 힌지 부분에 비해 제2 힌지 부분의 보다 큰 초기 변형을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릿은 제1 힌지 부분 내로 연장되지만, 제2 힌지 부분에서 더 넓고 제1 힌지 부분에서 더 좁아져서 카트리징 및/또는 초기 풀업 동안 제1 힌지 부분에 비해 제2 힌지 부분의 초기 변형을 더 크게할 수 있게 된다.
도 22 및 도 22a는 초기 사전-카트리징된 상태의 너트(614) 및 페룰(624, 63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힌지 부분은 페룰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648)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아웃보드 표면을 가지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90°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힌지 부분(691)은 반경 방향 내부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 단부까지 내향으로(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0°로) 좁아지거나 테이퍼진 두께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고 및/또는 제1 힌지 부분의 테이퍼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제1 힌지 부분의 인보드 표면의 베이스에 필렛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2 힌지 부분(692)은 제1 힌지 부분(691)과 돌출부(645)의 확장된 로드 지지 단부 부분(693) 사이에서 반경 방향 외향으로 그리고 축 방향 아웃보드로 연장된다.
도 22 및 도 22a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힌지 부분(692)은 평행한 원뿔대의 인보드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께는 테이퍼지거나 다르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624')은 제1 힌지 부분(691')의 반경 방향 아웃보드 벽과 단부 부분(693')의 확대된 아웃보드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아웃보드 반경 방향 부분(695')을 갖는 제2 힌지 부분(692')을 포함하여, 보다 짧고 좁은 제2 힌지 부분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돌출부(645')의 길이가 짧아지면 벤딩 동안 돌출부의 반경 방향 치수의 증가된 변화(즉, 카트리징 중 반경 방향 확장, 풀업 동안의 반경 방향 수축)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반경 방향이 좁은 제2 힌지 부분(692')은 벤딩 동안 제2 힌지 부분에서 감소된 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원주 방향 리세스(642') 및 외측 반경 방향 보스(625')는 이 짧은 돌출부(645')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3a는 예를 들어 전방 페룰(624)에 적용된 아웃보드 축 방향 로드의 결과로서 (예를 들어, 페룰 보스 부분(625)의 인보드 표면에 가해지는 결과로서) 돌출부(645)가 너트 리세스(655)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656)에 의해 반경 방향 외향으로 결합되고 변형되게 하는, 카트리징된 상태의 너트(614) 및 페룰(624, 63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 부분(692)은 축 방향 내측 방향(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125°의 각도)으로 벤딩되어, 돌출부 단부 부분(693)이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654, 656) 사이의 너트 리세스 내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하고, 이로써 전방 페룰(624)(및 포획된 후방 페룰(630))을 너트(614)와 함께 축 방향으로 유지하게 한다. 제1 힌지 부분(691)은 축 방향 내측 방향(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100°의 각도)으로 약간 벤딩된다.
도 24 및 도 24a는 도관 단부(618)상의 피팅 본체(612)와 함께 풀업된 너트(614) 및 페룰(624, 630)을 도시하며, 여기서 전방 페룰 돌출부(645)는 축 방향 인보드 방향으로 완전히 벤딩되어(예를 들어, 제2 힌지 부분과 돌출 단부 부분은 중심 축(X)에 대해 약 185°의 각도로 연장됨), 돌출부(645)가 너트 리세스(655)로부터 완전히 결합 해제되어 전방 페룰(624)의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642)에 수용되게 되고, 페룰 보스(625)의 외측 표면 위에, 그와 동일 평면으로, 또는 심지어 그로부터 리세스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분(691)은 축 방향 인보드 방향으로(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130°의 각도로) 접혀져 있다.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642)는 페룰 돌출부(645)의 확대된 단부 부분(693)을 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짐). 접혀진 돌출부(645)의 최종 직경은 페룰 보스(625)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서, 추가 너트 전진으로 페룰 보스(625)와 유지 부품 리세스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656) 및 테이퍼진 내부 벽(650) 사이의 접촉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조립체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세스의 길이를 규정하여 돌출부(645)의 내측 벤딩을 위한 최소 간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너트의 추가 풀업으로부터 발생되는 추가 내측 축 방향 이동 중 너트(614)의 테이퍼진 내부 벽(657)과의 잠재적인 접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축 방향 인장 및 압축 로드에 대한 반응으로 돌출부(645)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확대된 로드 지지 단부 부분(693)은 중심 축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고, 단부 부분의 아웃보드에서 확대된 반경 방향 형상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단부 부분의 강화된 강성을 갖고 편평한 인보드 측면을 제공하게 되어, 풀업 동안 돌출부가 리세스 내에 수용될 때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642)의 표면과 더욱 밀접하게 대응되게 한다. 또한, 페룰 보스 부분(625)의 외측 표면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축 방향 외향으로 테이퍼져서 아웃보드 측면에서 감소된 직경을 형성하고(도 22a 참조), 이로써 피팅 풀업 동안 전방 페룰(624)의 후방 단부가 확장될 때, 페룰 보스 부분(625)의 외측 표면이 너트 보어의 내부 표면(650)에 보다 가깝게 대응되게 한다.
전방 페룰은 힌지 부에서의 응력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45)의 로드 지지 단부 부분(693)의 확대된 아웃보드 측면은 풀업 시 이러한 확대된 영역에서 너트 내부 표면(650)과 돌출부(645) 사이에 반경 방향 로드를 집중시키기 위해 확대된 반경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좁은 힌지 부분에서 반경 방향 로딩(및 그에 따른 응력)에 대한 릴리프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릴리프 리세스 또는 포켓(647)이 제1 힌지 부분(691)과 외측 원주 방향 리세스(642)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풀업 시 제1 힌지 부분에서 주름(및 그에 따른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로부터의 전방 페룰의 해제 상태는 특정 조립체 또는 풀업 상태, 예를 들어 부분 풀업 상태(예를 들어, 페룰이 도관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시작하기에 충분한 풀업으로 인해 본체로부터의 후속하는 너트의 느슨해짐 또는 분리에 의해, 방출된 페룰이 변형된 도관 표면과의 파지 결합을 유지하도록 허용됨), 완전한 초기 풀업 상태 또는 후속 리메이크 조건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원하는 풀업 상태에서 이 해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너트 및 페룰 상호 결합 특징부는 구체적으로 치수가 정해지고, 형상화되고, 윤곽이 형성되거나, 또는 다르게 카트리징 배향(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각도로)으로부터 릴리스 방향(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약 145°와 약 165° 사이의 각도로)으로의 돌출부의 벤딩 타이밍 및 속도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내측 너트 표면과의 결합에 의한 전방 페룰 돌출부의 벤딩은 풀업 중에 (즉, 피팅 본체에 대한 너트의 축 방향 이동이 제어되는 동안) 전방 페룰에 대한 너트의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본 출원의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너트 및 페룰 상호 결합 표면은 풀업 동안 전방 페룰 돌출부의 벤딩을 가속시키기 위해 전방 페룰의 축 방향 전진을 지연 또는 지체시킴으로써, 초기 피팅 풀업 중에 전방 페룰에 대한 너트의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 페룰에 대한 너트의 초기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풀업의 양, 튜브 벽 두께, 튜브 재료, 피팅에 설치된 바닥이 없는 또는 부분적으로 바닥이 있는 튜브 단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피팅 조건은 전방 페룰에 대한 피팅 너트의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에 기여하거나 또는 그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초기 피팅 풀업 중에 전방 페룰에 대한 너트의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너트 및 페룰 상호 결합 표면을 선택, 설계 또는 치수 지정할 때 이러한 조건 중 하나 이상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많은 상이한 피팅 표면 구성이 풀업 동안 전방 페룰의 이러한 지연된 축 방향 전진을 제공할 수 있지만, 전방 및 후방 페룰의 결합 캐밍 표면은 전방 페룰에 대한 후방 페룰의 초기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을 증가시키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 페룰에 대한 너트의 상대적인 초기 축 방향 이동이 증가하게 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피팅 조립체가 핑거 타이트 상태에 있을 때) 전방 페룰(224a)에는 초기에 후방 페룰(230a)의 전방 단부(228a)에 의해 결합되는 보다 얕은 외측 테이퍼진 부분(291a)을 갖는 후방 캐밍 마우스(226a)가 제공되어,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속 기간 또는 풀업의 일부 동안, 후방 페룰 전방 단부(228a)(및 너트 구동 표면(234a)) 표면이 전방 페룰(224a)에 대해 보다 신속하게 축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게 하여, 전방 페룰의 축 방향 전진을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측 테이퍼진 부분(291a)은 중심 축(X)에 대해 약 15° 내지 약 45°, 또는 약 25° 내지 약 40°, 또는 약 30° 내지 약 35°의 각도(a1)로 연장될 수 있다. 후방 캐밍 마우스(226a)의 (외측 테이퍼진 부분(291a)에 대해) 가파른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a)은 후방 페룰(230a)의 전방 단부 부분(228a)과 제2 지속 기간 또는 풀업의 일부 동안 결합하여, 후방 페룰 전방 단부(228a)(도 26b)의 반경 방향 압입(및 튜브 파지)뿐만 아니라 본체 캐밍 표면과의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전방 페룰(224a)의 전방 캐밍 표면(222a)의 반경 방향 압입을 위한 피팅 본체(212a)에 대한 전방 페룰(224a)의 축 방향 전진도 용이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a)은 중심 축(X)에 대해 약 35° 내지 약 55°, 또는 약 40° 내지 약 50°, 또는 약 45°의 각도(a2)로 연장될 수 있다.
카트리징 페룰에는, 너트로부터의 페룰의 초기 결합 해제 또는 디-카트리징을 가속화하기 위해 또한 설치된 도관 상에 페룰(들)의 충분한 반경 방향 압축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범위의 적절한 이중 캐밍 테이퍼진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일 실시예에서, 더 얕은 테이퍼진 외부 부분(291a)은 후방 페룰(230a)의 전방 단부 부분(228a)이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226a)의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a)과 결합할 때 페룰의 충분한 반경 방향 압축을 보장하도록 제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캐밍 마우스의 전체 반경 방향 치수(rd1)에 대한 캐밍 마우스(226a)의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a)의 반경 방향 치수(rd2)의 비는 약 0.4 내지 약 0.9 사이, 또는 약 0.5 내지 약 0.8 사이, 또는 약 0.6 내지 약 0.7 사이일 수 있다. 이중 테이퍼진 표면(291a, 292a)은 너트 리세스(255a)로부터 페룰 돌출부(245a)의 결합 해제 또는 디-카트리징을 원하는 풀업 상태와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하는 풀업 상태는 페룰(224a, 230a)이 도관(218a)을 소성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부분적인 풀업 상태이고, 이로써, 본체(212a)로부터의 너트(214a)의 후속적인 느슨해짐 또는 분리는 해제된 페룰(224a)이 변형된 도관 표면과의 파지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해제는 후방 페룰 전방 단부(228a)가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a)과 결합하기 이전에 또는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전방 페룰 상의 유사한 이중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22 내지 도 24, 도 27, 도 28, 도 34, 도 35, 도 40, 도 41,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되지만 본 출원에 설명되고 도시된 임의의 페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페룰은 이중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도 26의 페룰(224a)의 이중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와 치수가 유사할 수 있음)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 후방 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예를 들어, 카트리징된 너트 및 페룰 사전 조립체에서 전방 및 후방 페룰의 원하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27은 후방 부분(229b)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페룰 유지 돌출부(245b)를 갖는 캐밍 마우스(226b)의 축 방향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229b)을 구비한 예시적인 전방 페룰(224b)을 도시한다. 후방 부분(229b)은 캐밍 마우스(226b)의 테이퍼진 외부 부분(291b)으로부터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보어(223b)를 한정하고, 이 곳에는, 후방 페룰(230b)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228b)이 후방 페룰 전방 부분(228b)과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의 외측 테이퍼진 부분(291b)의 결합을 위해 수용될 수 있다(도 27a). 이러한 배열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페룰을 너트(214b)와 함께 카트리징된 서브 조립체 내에 카트리징하는 동안 전방 및 후방 페룰(224b, 230b)의 적절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후방 캐밍 마우스(226b)의 (외측 테이퍼진 부분(291b)에 대해) 가파른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b)은 후방 페룰(230b)의 전방 단부 부분(228b)과 풀업 동안 결합하여, 후방 페룰 전방 단부(228b)(도 27b)의 반경 방향 압입(및 튜브 파지)뿐만 아니라 본체 캐밍 표면과의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전방 페룰(224b)의 전방 캐밍 표면(222b)의 반경 방향 압입을 위한 피팅 본체(212b)에 대한 전방 페룰(224b)의 축 방향 전진도 용이하게 한다. 전방 페룰의 후방 부분을 한정하는 유사한 보어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32 내지 도 35,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출원에 기술되고 도시된 임의의 페룰에 적용될 수 있다.
전방 페룰이 피팅 너트와 함께 카트리징되지 않은 피팅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피팅 조립체에서 바람직할 수 있는 전방 페룰의 사용은 다수의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풀업 중에 후방 페룰에 대한 전방 페룰의 축 방향 전진을 가속 또는 지연시키거나, 풀업 중에 피팅 너트에 대해 전방 페룰의 축 방향 전진을 가속 또는 지연시키거나, 또는 풀업 중에 피팅 본체에 대한 전방 페룰의 축 방향 전진을 가속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방 페룰에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테이퍼진 부분을 갖는 캐밍 마우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8은, 페룰 유지 돌출부(245c)가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229c)의 후방 단부 반경 방향 표면(248c)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캐밍 마우스(226c)의 축 방향 후향으로 연장되고 페룰 유지 돌출부(245c)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넥다운된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후방 부분(229c)을 구비한 예시적인 전방 페룰(224c)을 도시한다.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229c)는 캐밍 마우스(226c)의 테이퍼진 외부 부분(291c)으로부터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보어(223c)를 한정하고, 이 곳에는, 후방 페룰(230c)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228c)이 수용될 수 있다(도 28a). 이러한 배열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페룰을 너트(214c)와 함께 카트리징된 서브 조립체 내에 카트리징하는 동안 전방 및 후방 페룰(224c, 230c)의 적절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후방 캐밍 마우스(226c)의 (외측 테이퍼진 부분(291c)에 대해) 가파른 테이퍼진 내부 부분(292c)은 후방 페룰(230c)의 전방 단부 부분(228c)과 풀업 동안 결합하여, 후방 페룰 전방 단부(228c)(도 28b)의 반경 방향 압입(및 튜브 파지)뿐만 아니라 본체 캐밍 표면과의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전방 페룰(224c)의 전방 캐밍 표면(222c)의 반경 방향 압입을 위한 피팅 본체(212c)에 대한 전방 페룰(224c)의 축 방향 전진도 용이하게 한다.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를 한정하는 유사한 보어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29 내지 도 31, 도 36 내지 도 39, 도 42 내지 도 49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출원에 기술되고 도시된 임의의 페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페룰(224')에는 캐밍 마우스(226')의 축 방향 후방으로 그리고 페룰 유지 돌출부(245')(또는 페룰 상의 다른 반경 방향 외부 유지 특징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229')이 제공될 수 있다. 후방 부분(229')은 후방 캐밍 마우스(22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보어(223')를 한정하고, 상기 후방 캐밍 마우스 내로 후방 페룰(230')의 반경 방향 외측 전방 부분(228')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페룰을 너트(214')와 그리고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 내에서 카트리징하는 동안 전방 및 후방 페룰(224', 230')의 적절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이점으로서, 이러한 정렬은 예를 들어 튜브 설치의 용이함을 위해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의 축 방향 보어의 실질적인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226')와 후방 페룰 전방 부분(228')의 실질적인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그리고 (예를 들어,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카트리징된 어셈블리 내에서의 페룰의 오정렬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페룰과 후방 페룰의 서로에 대한 충분한 반경 방향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이점으로서, 이러한 정렬은 예를 들어, 후방 페룰 피구동 표면(232')과 너트 구동 표면(234')의 적절한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너트(214') 내에서 후방 페룰(230')의 충분한 동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으로서, 이러한 정렬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카트리징된 어셈블리의 너트로부터 전방 페룰의 오정렬 및 이탈을 방지하도록 전방 페룰 유지 돌출부(245')와 너트 유지 리세스(255')의 적절한 반경 방향 정렬을 위해, 너트(214') 내의 전방 페룰(224')의 충분한 동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페룰(224', 230')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카트리징 결합 너트(214')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정렬을 제어하기 위해, 너트 및 페룰은 종 방향 축(X)(예를 들어, 도 30a에 도시됨) 상에 센터링될 때, 너트 및 페룰 상호 결합 표면 사이의 반경 방향 갭이 최소화되도록 치수를 정할 수 있고, 상기 반경 방향 갭은 예를 들어, 전방 페룰 유지 돌출부(245')의 외경과 너트(214')의 유지 리세스(255') 사이의 반경 방향 갭(g1)(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가장 앞쪽에 카트리징된 위치); 전방 페룰(224')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225')과 너트 내부 벽(250')의 정렬된 부분 사이의 반경 방향 갭(g2)(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가장 후방에 카트리징된 위치); 후방 페룰의 반경 방향 외부 전방 부분(236')과 정렬된 전방 페룰 후방 보어(223') 사이의 반경 방향 갭(g3)(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가장 앞쪽에 카트리징된 위치 및 후방 페룰의 가장 후방에 카트리징된 위치에); 후방 페룰 피구동 표면(232')의 반경 방향 외부 에지와 너트 내부 벽 표면(250')의 정렬된 부분 사이의 반경 방향 갭(g4)(예를 들어, 후방 페룰의 가장 앞쪽에 카트리징된 위치)을 포함한다. 이러한 갭은 너트 및 페룰의 상호 결합 표면 사이에 프레스 피팅 또는 간섭 피팅을 회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논의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최소화하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갭(g1, g2, g3, g4)의 크기는 약 0.00005 인치 내지 약 0.015 인치, 또는 약 0.00005 인치 내지 약 0.006 인치, 또는 약 0.00005 인치 내지 약 0.003 인치, 또는 약 0.0005 인치 내지 약 0.001 인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페룰 반경 방향 갭(g3, g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전방 페룰-너트 반경 방향 갭(g1, g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보다 작을 수 있고, 전방 페룰-너트 반경 방향 갭(g1, g2)에 의해 발생된 전방 페룰의 반경 방향 이동에 대한 제한을 넘어, 전방 페룰(224')의 반경 방향 이동을 더욱 제한하기 위해 감소되거나 또는 최소화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유지 돌출부(245') 및 리세스(255')의 오정렬과, 너트 및 페룰 서브 어셈블리로부터의 전방 페룰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 해제를 방지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페룰 반경 방향 갭(g3, g4)의 합은 전방 페룰-너트 반경 방향 갭(g1, g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방 페룰은 후방 페룰 전단 단부 또는 노즈 부분을 돌출시키는 카운터 보어를 한정하는 연장된 후방 단부 섹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후향으로 설치된 후방 페룰이 전방 페룰의 너트 내로의 카트리징된 설치를 방지하기 때문에 후방 페룰의 후향 설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향으로 설치된 후방 페룰이 전방 페룰(224')의 너트(214') 내로의 돌출 벤딩 카트리징을 방지하도록 후방 부분의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전방 페룰(224')의 후방 부분(229')은 후방 페룰(230')의 후향 설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오조립 방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후방 부분(229')은 전방 페룰(224')이 가장 후방의 가장 비-카트리된 또는 비-유지된 위치에 있을 때(즉,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내부 벽의, 돌출부를 벤딩하지 않고, 페룰 유지 돌출부(245')의 단부 부분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과 접촉함), 너트 구동 표면(234')의 후향의 후방 페룰 결합 부분(234x')과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229')의 후향의 후방 페룰 결합 부분(229x') 사이의 축 방향 거리(ad1)는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페룰 전방 부분(236')의 후향의 후방 페룰 결합 부분(236x')과 후방 페룰 피구동 표면(232')의 후향의 후방 페룰 결합 부분(232x') 사이의 축 방향 거리(ad2)보다 작다. 또한, 적층된 전방 및 후방 페룰의 전체 종단 간 길이는 후방 페룰이 후향 배향으로 있을 때 상당히 더 클 수 있으므로, 설치 이전에 페룰의 육안 또는 측정에 기초한 검사가 후방 페룰의 부적절한 배향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는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와 후방에 설치된 후방 페룰의 피구동 표면 사이의 결합이 피팅 너트의 나사산이 피팅 본체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너트 내부 벽의 외측으로 좁아되는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에 대해 너트 내의 너트 리세스의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을 축 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유지 전방 페룰 돌출부의 벤딩 또는 힌지 해제의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이러한 선택적 배치를 허용하기 위해,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257)의 내부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으로 연장되는 너트 내부 벽(250)의 원통형 표면 부분(259)은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을 원하는 축 방향 위치에 그리고 더 쉽게 제어될 수 있는 내경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돌출부 결합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과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257) 간의 축 방향 분리는 또한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과의 전방 페룰 결합 이전에 돌출부(245)의 증가된 벤딩을 허용할 수 있다.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256)과 원통형 표면 부분(259)의 교차에 의해 한정된 구동 에지(259a)는 돌출부를 과도하게 가우징하거나, 찢거나, 또는 인덴팅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동 에지(259a)와 돌출부(245) 사이의 마찰 파지 결합에 의한) 튜브 피팅 풀업 동안 돌출부(245)의 벤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히 날카로운 에지 반경을 구비할 수 있다. 너트의 유지 리세스에 인접한 유사한 원통형 내부 벽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29 내지 도 31, 도 36 내지 도 39 및 도 42 내지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테이퍼진 내부 표면(650)은 그 대신에 풀업 동안 돌출부와 내부 표면 사이의 더 부드러운 접촉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풀업 동안 너트로부터 페룰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49는 유지 너트(214d-214m), 너트 내의 원주 방향 리세스(255d-255m)에 수용된 돌출부(245d-245m)를 포함하는 카트리징 전방 페룰(224d-224m), 및 카트리징된 전방 페룰과 피팅 너트의 아웃보드 구동 표면 사이에 포획된 후방 페룰(230d-230m)을 포함하는 피팅 프리어셈블리의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도관 파지 장치(예를 들어, 단일 페룰 또는 2개의 페룰 배치의 전방 페룰)에는, 프리어셈블리 또는 느슨하게 조립된 또는 핑거 타이트 피팅 어셈블리에서 유지 피팅 부품(예를 들어, 피팅 너트)로 유지를 제공하고,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풀업 동안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독립되어 예를 들어 피팅 분해 시에 유지 피팅 부품으로부터 도관 파지 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부서지기 쉬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돌출부는 외측 축 방향 힘이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해질 때 유지 피팅 부품 내의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및/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제어된 축 방향 힘을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할 때 유지 피팅 부품의 원주 방향 리세스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피팅 어셈블리가 도관 단부 상에서(부분적으로 및/또는 완전히) 풀업되면,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해지는 추가적인 외향 축 방향 힘은 돌출부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이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부를 파손, 분리시키게 한다. 후속하는 피팅의 분해 시에, 도관 파지 장치는, 도관 파지 장치의 최외측 표면이 유지 피팅 부품의 인보드 부분의 반경 방향 내측에 있기 때문에 유지 피팅 부품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53은 위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9의 실시예의 피팅 부품의 특징 중 다수를 재현하는 피팅 본체(312), 너트(314), 및 전방 및 후방 페룰(324, 330)을 포함하는 피팅 본체(31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0 내지 도 53의 실시예의 페룰 유지 구조체는 아래로 좁아진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부서지기 쉬운 부분(343)에서 페룰의 외주에 부착된, 전방 페룰(324) 상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45)를 포함한다. 돌출부(345)의 단부 부분(346)은 돌출부 단부 부분(346)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맞닿는 상태에서 축 방향 외측 힘이 페룰에 가해질 때 부서지기 쉬운 부분(343)에 대한 돌출부의 반경 방향 외향 및 축 방향 내향 피봇 이동을 허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도 50 및 도 50a는 느슨한 또는 사전 카트리징된 상태의 피팅 너트(314) 및 페룰(324, 330)을 도시하고, 후방 페룰(330)은 전방 페룰(324)과 피팅 너트(31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견부 또는 구동 표면(334)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카트리징하기 전에, 원주 방향 돌출부는 주로 부서지기 쉬운 부분(343)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지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피팅 너트(314) 내의 원주 방향 리세스(355)는 도 7 내지 도 49의 실시예와 유사할 수도 있는 인보드 및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354, 356)에 의해 한정되어 그 사이에 배치된다. 카트리징하기 전에, 돌출부(345)의 단부 부분(346)은 너트 내부 벽(350)의 인보드 표면(35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너트 내부 벽(350)의 아웃보드 표면(357)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되어, 전방 페룰(324)의 돌출부 단부 부분(346)은 원주 방향 리세스(355)와 축 방향 정렬되도록 그리고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356)과 맞닿도록 느슨하게 수용된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돌출부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페룰의 카트리징된 유지를 위해 리세스와 결합하도록 스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4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돌출부 단부 부분(346)이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356)과 결합하는 전방 페룰(324)에 가해진 축 방향 힘은 축 방향 내측 및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힌지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부서지기 쉬운 부분(343)을 중심으로 돌출부(345)가 벤딩되거나 또는 피봇되게(또는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게) 하여, 돌출부 단부 부분(346)은 도 51 및 도 5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보드 반경 방향 벽(354)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단부 부분(346)은 피봇 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된 위치에서, 소성 변형된 돌출부(345)는 인보드 반경 방향 벽(354)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356)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축 방향으로 포획된 돌출부(345)는 대체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향으로(예를 들어, 중심 축(X)에 대해 80°와 110° 사이로) 배치되어, 돌출부(345)와 인보드 반경 방향 벽(354) 사이의 반경 방향 중첩을 최대화하고, 카트리징된 페룰의 보다 안전한 유지를 위해 카트리징된 페룰(324)의 측 방향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카트리징 동안 페룰에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은 예를 들어, 돌출 단부 부분(346)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때, 전방 페룰(32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326)는 후방 페룰(330)의 인보드 단부 캐밍 표면(328)과 맞닿고, 후방 페룰(3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332)은 너트(314)의 아웃보드 환형 견부(334)와 맞닿도록 유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설치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되거나 또는 제한될 수 있다.
도 52는 다양한 부품(312, 314, 324 및 330)이 도관(318) 상에 조립되었지만 너트(314)와 본체(312)를 함께 수동으로 결합함으로써 느슨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약간 타이트닝되거나 또는 맞춰지는 것을 의미하는 핑거 타이트 상태의 피팅 어셈블리(300)를 도시한다. 도 53 및 도 5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어셈블리(300)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풀업된 상태로 타이트닝될 때, 전방 페룰(324)에 대한 너트(314)의 내측 축 방향 이동으로부터의 결과적인 축 방향 로드는 부서지기 쉬운 부분(343)에서 페룰(324)의 외주로부터 멀리 변형된 돌출부(345)를 절단하거나 또는 파손하기에 충분하다. 피팅(300)이 후속적으로 분해될 때, 페룰(324, 330)은 전방 페룰(324)의 외경이 너트(314)의 인보드 내부 표면보다 작기 때문에 너트(314)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해제 조건은, 예를 들어, 페룰(324, 330)이 도관(318)을 소성 변형시키는 것을 시작하기에 충분한 완전한 풀업, 또는 부분적인 풀업과 일치하도록 선택되어, 후속적으로 본체(312)로부터의 너트(314)가 느슨하게 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것은 해제된 페룰(324)이 변형된 도관 표면과의 파지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허용한다. 절단된 환형 돌출부(345)는 원주 방향 리세스(355)에 고정된 채로 유지되고, 따라서 피팅(300)의 추가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45)는 원주 방향 리세스(355)의 단면 프로파일에 근접하게 매칭되도록 형상 및 크기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카트리징된 페룰(324)의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이동을 모두 제한한다. 이러한 근접하게 수용된 변형된 돌출부(345)는 돌출부(345)의 단부 부분(346)의 변형을 제한하고 부서지기 쉬운 부분(343)에 축 방향 응력을 집중시킴으로써, 풀업 동안 돌출부의 이탈 또는 전단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특징 또는 조건은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은 그 자체가,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2009년 12월 10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도관 피팅을 위한 페룰 어셈블리인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0/0148501호("'501 출원"), 및 2015년 5월 8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부품을 갖춘 도관 피팅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15/0323110("'110 출원") 및 병합된 '810 특허 및 '288 출원에 설명된 카트리징 페룰 실시예와 유사한 피팅 너트와의 조립에 앞서 또는 조립과 함께, 카트리징을 위한 특징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는 너트와 페룰의 카트리징된 유지 및 개별 페룰 서브 어셈블리로서의 페룰들의 함께 카트리징된 유지를 위해 구성된 너트(414) 및 페룰(424, 430)로 제공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페룰(424)은 유지 구조체로서 기능하는 환형 후방 또는 축 방향 외측 돌출부 또는 연장부(480)를 포함한다. 이 연장부(480)는 후방 페룰(430)의 전방 부분(428)과 양립 가능한 임의의 형상 또는 구성을 취할 수 있어, 연장부(480)는 페룰(424, 430)을 함께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480)는 대체로 환형이고 전방 페룰(424)의 후방 벽 또는 아웃보드 반경 방향 표면(448)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480)는 페룰들이 축 방향으로 함께 가압될 때 후방 페룰(430)의 크라운(436) 위에 스냅되는 클립 또는 탱(tang)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430)는 후방 페룰의 전방 부분이 전방 페룰의 후방 단부 내로 스냅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히 반경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휨 정도 또는 반경 방향 탄력성이 제공될 수 있지만, 또한 특정 용도에 필요한 견고성의 정도로 견고한 연결과 함께 페룰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더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이완되어 되돌아갈 것이다. 연장부(480)의 유연성은 예를 들어 연장부의 기하학, 특히 연장부 본체(480a) 및 그 힌지 또는 피봇 연결 영역(480b)의 반경 방향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연장부 본체(480a)는 후방 페룰(430)의 결합 부분(크라운(436)과 같음)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아서, 프레스 피팅 응력이 주로 연장부(480)를 외부로 휨으로써 취해져 크라운(436)이 포켓(482)에 수용되는 것을 허용한다(도 55 및 도 55a). 연장부(480)는 일부 경우에 후방 페룰(430)의 벌크 금속 본체와 비교하여 얇은 금속 웹으로 간주될 수 있다. 짧은 축 방향 길이의 힌지 영역(480b)을 갖는 것도 연장부(480)의 가요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다시 일반적으로 강성의 연속적인 본체의 보어에 가압되는 본체의 종래의 프레스 피팅과 대조적인 것이다. 또한, 연장부(480)의 축 방향 내측 단부는 축 방향 힘이 전방 페룰(424)에 가해질 때 후방 페룰(430)로부터 연장부(430)까지 반경 방향 외향 힘을 지향하도록 구성된 테이퍼진 캐밍 표면(484a)을 갖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립 부분(484)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의 반경 방향 휨 및 스냅백 유지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특징 및 배치는 병합된 '501 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트리징 전방 페룰은 카트리징 과정 동안 축 방향 내측으로 벤딩되거나 또는 휘는 후방 유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어 후방 유지 연장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전방 페룰의 카트리지 리세스 내로 후방 페룰의 일 부분(예를 들어, 반경 방향 돌출부 또는 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4 내지 도 56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 부분(484)은 전방 페룰(424)이 후방 페룰에 대해 축 방향으로 가압될 때 후방 페룰(430)의 크라운 부분(436)에 의해 내측으로 축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가된 축 방향 휨을 제공하기 위해, 립 부분의 반경 방향 길이가 증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립의 모따기된 후방 페룰 결합 표면(484a)은 보다 가파른 각도로 감소되거나 또는 모따기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의 카트리징 결합의 반경 방향 힘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장부의 축 방향 휨 및 스냅백 유지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특징 및 배치는 병합된 '110 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요하지는 않지만, 연장부(480)는 후방 페룰(430)을 수용할 수 있고 페룰이 단일 유닛으로서 함께 연결된 후에 페룰이 쉽게 분해될 수 없도록 그것을 유지한다. 그러나, 서브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의 정도 또는 양은 특정 용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페룰이 서로 결합된 후에 페룰을 분리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 서브 어셈블리를 분리하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상황에서는,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카트리징된 페룰 서브 어셈블리는 페룰이 함께 유지되는 정도까지 페룰을 함께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응력 또는 취급 하에서 페룰이 간단하게 또는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 54 내지 도 56의 실시예의 전방 페룰(424) 및 후방 페룰(430)은 예를 들어 전술한 제어된 축 방향 힘 인가 도구 및 장치를 사용하여, 너트(414)를 갖는 페룰 프리어셈블리의 카트리징된 설치 이전에 카트리징된 페룰 프리어셈블리로서 함께 카트리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어된 축 방향 힘이 전방 페룰(24)의 축 방향 내측을 향한 부분에 가해져, 페룰(424, 430)을 너트(414) 내로 동시에 미리 조립하거나 또는 "카트리징"하고 전방 페룰(424)을 후방 페룰(430)과 카트리징한다. 가해진 힘은 돌출부를 너트 내부 벽(450)의 테이퍼진 인보드 표면(453)을 지나 축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원주 방향 리세스(455)와 정렬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돌출부(445)를 벤딩시키기에 충분한 양일 수 있고, 동시에 연장부(480)에 의해 한정된 포켓(482) 내에 후방 페룰 크라운(436)을 수용하기 위해 연장부(480)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벤딩시킨다. 카트리징 동안 돌출부(445) 및 연장부(480)의 이러한 제어된 축 방향 변위 및 변형은 돌출부(445)가 원주 방향 리세스와 카트리징되어 정렬되도록 축 방향으로 전진되고 연장부 립(484)이 후방 페룰 크라운(436) 위로 스냅될 때, 전방 페룰(42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 또는 캐밍 마우스(426)는 후방 페룰(430)의 인보드 단부 캐밍 마우스(428)에 맞닿고, 후방 페룰(4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32)은 너트(414)의 아웃보드 환형 견부 또는 구동 표면(434)에 맞닿도록 유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전방 페룰(424), 후방 페룰(430) 및 너트(414) 결합의 이 위치에서의 축 방향 전진에 대한 증가된 저항은, 페룰(424, 430)이 서로 그리고 너트(414)와 카트리징된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하고, 카트리징된 위치를 넘어 돌출부(445)가 과도하게 벤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방 페룰 노즈 결합 도구, 페룰 틸팅 또는 코킹 도구, 나사식 장착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설치 도구가 페룰에 축 방향 카트리징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4b 및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도구(460)는 제어된 축 방향 힘을 전방 페룰(424)에 가하여 페룰을 너트와 카트리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460)에는 전방 페룰(424)의 캐밍 표면(422)과 너트의 내부 벽(450) 사이에서 너트(414) 내로 삽입되는 환형 노즈 부분(461)이 제공될 수 있다. 노즈 부분(461)은 너트(414) 내에서 페룰(424, 430)을 센터링시키고, 축 방향의 힘이 캐밍 표면(422)이 아닌 외부 플랜지 부분(425)에 가해지도록 전방 페룰(424)의 외부 플랜지 또는 보스 부분(425)의 내측을 향한 표면(427)에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핀 도구(465)는 너트의 내부 벽(450)을 통해 그리고 설치 도구(460) 내의 중앙 보어(463) 내로 정렬 핀 도구(465)의 샤프트 부분(467)을 삽입하고 너트(4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17)과 내부 견부 부분(466)을 맞닿게 함으로써, 너트(414)와 추가로 조립될 수 있다(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음). 도구(460)의 후방 견부 부분(462)은 노즈 부분(461)이 전방 페룰(424)을 전진시켜 돌출부(445)를 원주 방향 리세스(455)와 축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도 55 및 도 5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페룰 크라운(436) 위로 연장부 립(484)을 스냅시킬 때 너트(414)의 인보드 단부 표면(415)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어, 도구 견부 부분(462)과 너트 단부 표면(415)의 맞닿음은 페룰(424, 430)이 서로 그리고 너트(414)와 카트리징된 포지티브 정지 표시를 제공한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페룰(430)을 통해 전방 페룰(424)에 제어된 내향 축 방향 힘을 가하기 위해 제2 설치 도구(점선 "470"으로 도시됨)가 사용될 수 있어, 돌출부(445)를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454)과의 반경 방향 상호 결합을 증가시킨다. 예시적인 제2 설치 도구(470)는 너트(414) 내에서 페룰을 센터링하기 위해 페룰(424, 430)을 통해 삽입되는 중심 샤프트 부분(471), 및 후방 페룰(430)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32)과 결합하기 위해 너트의 아웃보드 단부를 통해 수용되도록 크기가 설정된 상승된 원주 방향 리브 또는 밴드(472)를 포함하여, 후방 페룰(430)에 내향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전방 페룰(424)로 전달된다. 제2 설치 도구(470)의 후방 견부 부분(473)은 밴드(472)가 리세스(455) 내의 돌출부의 반경 방향 확장을 위해 인보드 반경 방향 표면(454)과 돌출부(445)를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전방 및 후방 페룰(424, 430)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킨 경우 너트(4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17)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어, 견부 부분(473)과 너트 단부 표면(417)의 맞닿음은 전방 페룰 돌출부(445)가 충분히 확장되었다는 포지티브 정지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26)의 내경 또는 (도시되지 않은) 전방 페룰의 외부 보스 부분(425)의 외경을 파지하거나 또는 후크하는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축 방향 내향 힘 인가 도구가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구가 초기 카트리지 프로세스(도시되지 않음)에 후속하여 돌출부를 외측으로 직접 결합시키고 축 방향으로 벤딩시키기 위해 너트의 인보드 측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페룰 또는 페룰들에 내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도구가 너트로부터 카트리징된 페룰을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예를 들어 페룰에 특수 클리닝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하여, 이전에 설치된 페룰을 (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 경도 등의) 다른 페룰들로 교체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페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댑터, 또는 도관 단부 상에 이미 압축된 다른 페룰과 함께) 다른 피팅 장치에서의 너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구(예를 들어, 도 56의 도구(470))는 도구의 상승된 페룰 결합 리브 또는 밴드(472)가 너트 내부 벽(450)의 좁아진 인보드 표면(453)의 인보드로 돌출부(445)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전방 및 후방 페룰(424, 430)을 축 방향으로 후퇴시킨 경우 너트(414)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17)에 맞닿도록 구성된 후방 견부 부분(473)을 포함할 수 있어, 견부 부분(473)과 너트 단부 표면(417)의 맞닿음은 카트리징된 전방 페룰(424)(및 그와 함께, 후방 페룰(430))이 너트(414)로부터 해제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지티브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방 페룰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426)의 내경 또는 (도시되지 않은) 전방 페룰의 외부 보스 부분(445)의 외경을 파지하거나 또는 후크하는 도구를 포함하는 다른 축 방향 내향 힘 인가 도구가 이용될 수 있어, 전방 페룰(424)을 축 방향 내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후방 페룰(430)이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에 독립적으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424, 430)은 너트(414)로부터의 취출 또는 해제 시에 함께 카트리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페룰 제거 도구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페룰 파지/풀링 도구, 또는 페룰 틸팅/코킹 도구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 페룰 및 너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카리지징된 특징부는 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보다 쉽게 해제 가능하거나 또는 "가볍게 카트리징된" 페룰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팅이 풀업되면(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병합된 '501 출원의 도 3 참조), 후방 페룰의 접촉 표면(428)과 전방 페룰의 캐밍 마우스(426) 사이의 미끄럼 접촉의 결과로서 크라운(436)의 반경 방향 내향 압축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동은 크라운(436)의 외경을 감소시켜, 크라운이 더 이상 연장부(480)와 결합하지 않게 한다. 이것은 너트와 본체가 함께 타이트닝되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도 연장부가 페룰의 풀업 및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한다. 페룰은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움직이고, 파지하고 밀봉한다. 또한, 풀업 중에 후방 페룰(430)은 전방 페룰(424)의 후방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운동은 또한 풀업 동안 페룰이 유지 구조체 또는 연장부(480)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풀업 중에, 페룰(424, 430)은 축 방향으로 함께 구동되어 도관 상의 피팅 어셈블리의 원하는 도관 파지 및 밀봉을 형성한다. 크라운(436)이 연장부(480)와 더 이상 결합하지 않는 축 방향 위치는 립(484)의 직경 및 크라운(436)의 직경과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 고려뿐만 아니라, 후방 페룰의 전방 부분이 축 방향 변위에 대해 내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얼마나 빨리 구동되는지를 결정하는 다양한 접촉 각도에 의존할 것이다. 설계자는 풀업 중에 바람직한 축 방향 위치에서 결합 해제가 발생하게 하도록 유지 구조체를 설계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자는 부분적인 풀업 후에도, 또는 페룰이 처음으로 서로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거의 즉시 페룰이 유지 구조체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해제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어쨌든, 바람직한 기술은 유지 구조체가 페룰 또는 너트 및 본체 피팅 부품의 정상적인 풀업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피팅 풀업 중에 후방 페룰 크라운(436)으로부터 연장부(480)의 결합 해제가 도 1 내지 도 6의 배치의 설명에서 앞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5, 도 5a, 도 6 및 도 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 풀업 중에 전방 페룰 돌출부(445)가 너트 원주 방향 리세스(455)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조합되어(예를 들어, 이와 동기식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그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후방 페룰이 전방 페룰과 피팅 너트의 구동 표면 사이에 포획되기 때문에 전방 페룰과 후방 페룰 사이의 카트리징 연결이 불필요할 수 있지만, 본 출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페룰 및 후방 페룰은 페룰을 함께 축 방향으로 포획하거나 또는 인터로킹하지 않는(즉, 비-카트리징 방식인) 상호 연결 페룰 정렬 특징을 구비할 수 있지만, 전방 및 후방 페룰의 바람직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정렬을 여전히 용이하게 한다. 일 예로서, 전방 페룰은 후방 페룰의 전방 단부 또는 노즈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후방 카운터 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카트리징 서브 어셈블리 내에서 전방 및 후방 페룰의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한) 서브 어셈블리 내에서 페룰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방 페룰은 후방 페룰 전방 단부 또는 노즈 부분을 돌출시키는 카운터 보어를 형성하는 연장된 후방 단부 섹션을 구비할 수 있고, 이는 후향 설치된 후방 페룰이 너트 내로 전방 페룰의 카트리징된 설치를 방지하므로, 후방 페룰의 후향 설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너트와 페룰의 상호 결합 카트리징 표면은 윤활 처리, 코팅 처리, 도금 처리, 연마 처리 또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어, 이들 상호 결합 표면들 사이의 마찰을 줄임으로써, 예를 들어, 카트리징 및 피팅 풀업 동안 페룰 돌출부 및 너트 내부 표면의 변형 또는 골링(galling)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돌출부의 벤딩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7a를 참조하면, 페룰 돌출부 아웃보드 표면(244) 및 단부 표면(246), 너트 리세스의 인보드 및 아웃보드 내부 너트 표면(253, 257) 및 표면(254, 255, 256) 중 하나 이상은 마찰 감소를 위해 처리(예를 들어, 윤활, 코팅, 도금, 연마)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너트 및 페룰의 카트리징 표면의 일부는 마찰 증가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7a를 참조하면, 너트(214)의 구동 에지(259a)는 (예를 들어 날카로운 에지 반경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윤활, 코팅, 도금, 연마 또는 다른 그러한 처리를 생략하거나 또는 제거함으로써) 처리되어, 구동 에지(259a)와 돌출부(245) 사이의 증가된 마찰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징된 서브 어셈블리의 설치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 다른 특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팅 너트(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피팅 너트 중 임의의 것)는 외부 시각적 표시기를 구비할 수 있어(예를 들어, 레이저 마킹, 널링, 리지, 밴드 또는 프로젝션), 너트를 카트리징된 너트 및 페룰 서브 어셈블리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0 내지 도 5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그리고 도 29 내지 도 49의 실시예에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너트(314)는 카트리징된 너트 및 페룰 서브 어셈블리에 대한 피팅 너트의 시각적 식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일체형 플랜지(35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358)는 예를 들어, 인쇄 또는 레이저 조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마킹될 수 있어, 카트리징 특성을 구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는 식별 링 또는 밴드(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플랜지 위에 스냅 피팅되는 크기로 설정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밴드와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식별 밴드는 (예를 들어, 함께 카트리징된 페룰, 너트로 카트리징된 페룰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하는) 카트리징 표시기로 컬러 코딩되고 그리고/또는 마킹될 수 있다. 플랜지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스톱 칼라 또는 피팅 풀업을 식별하는 변형 가능한 칼라(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640,457호 참조), 또는 충분한 풀업을 확인하기 위해 초기 조립 또는 리메이크 중에 측정 가능하거나 또는 주목될 수 있는 토크 증가를 제공하는 변형 가능한 토크 칼라(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15/0323110호, "'110 출원" 참조)와 같은 풀업 표시 칼라의 부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페룰 유지 피팅 너트는 병합된 '110 출원에 기술된 것 중 하나 이상과 유사하게, 일체형 토크 칼라 또는 스트로크 저항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7은 상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7 내지 도 21의 실시예의 피팅 부품(212, 214, 224, 230)의 특징부들 중 다수를 재현하는 피팅 본체(512), 너트(514) 및 전방 및 후방 페룰(524, 53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피팅(500)을 도시한다. 너트(514)는 축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웨브 부분(503)에 의해 너트(514)의 인보드 단부에 연결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부분(506)을 포함하는 환형 스트로크 저항 또는 스트로크 제한 부재(502)의 형태의 일체형 토크 칼라를 포함한다. 피팅이 풀업될 때, 스트로크 저항 부재(502)의 플랜지 부분(506)이 본체(512)의 접촉 표면(511)과 접촉하면, 본체(512)와 너트(514) 사이의 추가의 상대적인 회전은 부재(502)에 축 방향 로드 또는 압축을 가한다. (예를 들어, 웨브 부분의 벽 두께, 사용된 재료, 윤곽 및/또는 상호 결합 표면의 마찰에 기초한) 부재의 축 방향 변형에 대한 저항은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 위치를 넘어 어셈블리 토크의 측정 가능한 또는 주목 가능한 증가를 발생시킨다. 부품은 피팅 풀업에 해당하는 다른 토크 증가와 구별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또는 주목 가능한 어셈블리 토크 증가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되거나, 치수 설정되거나 또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너트로부터 결합 해제되도록 페룰의 압축에 대한 저항, 전방 페룰 돌출부의 벤딩이 구성됨). 이러한 구성은 병합된 '110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면 다른 것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80)

  1.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preassembly)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inboard end)로부터 아웃보드 단부(outboard end)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피팅 부품;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되는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 가능한 것인, 프리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부서지기 쉬워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축 방향 외향 힘이 가해져 상기 힌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축 방향 내측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에 위치시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커트의 두께를 함께 한정하는 인보드 벽 표면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원주 방향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프리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은 상기 스커트의 외부 반경 방향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외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상기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스커트는 상기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과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의 일부를 결합시키도록 벤딩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은 암 나사형 피팅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3.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피팅 부품;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 가능한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30°와 약 70° 사이의 제1 각도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로 삽입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맞닿게 하기 위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에 그리고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70°와 약 130° 사이의 제2 각도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가 포획되도록 상기 인보드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표면 각각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145°와 약 180° 사이의 제3 각도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제거되도록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각도로부터 상기 제3 각도로 축 방향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커트의 두께를 함께 한정하는 인보드 벽 표면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원주 방향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프리어셈블리.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은 상기 스커트의 외부 반경 방향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5.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스커트는 상기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과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의 일부를 결합시키도록 벤딩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7. 제2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8. 제2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은 암 나사형 피팅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39. 제2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0. 제2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1.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피팅 부품;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70°와 약 130° 사이의 제1 각도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되는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반경 방향 내향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145°와 약 180° 사이의 제2 각도로 연장되도록 상기 돌출부를 벤딩시키기에 충분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해진 축 방향 힘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위치시키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측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7. 제4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커트의 두께를 함께 한정하는 인보드 벽 표면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원주 방향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프리어셈블리.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은 상기 스커트의 외부 반경 방향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2.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3. 제48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이 가해져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스커트는 상기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과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의 일부를 결합시키도록 벤딩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4. 제4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5. 제41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은 암 나사형 피팅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6. 제4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7. 제41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8.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피팅 부품;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반경 방향 내측의 부서지기 쉬운 부분에 의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축 방향 외향 힘이 가해져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59. 제58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0. 제58항 또는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를 향해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1. 제58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2. 제58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3. 제58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4. 제58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6. 제58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7. 제58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8. 제58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69. 제58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은 암 나사형 피팅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70. 제58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71. 제58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72. 피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제1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제1 피팅 부품;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내부 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체적을 한정하도록 상기 제1 피팅 부품과 조립되는 환형 제2 피팅 부품;
    상기 내부 체적 내에 배치된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제1 각도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되는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업(pull up)되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145°와 약 180° 사이의 제2 각도로 힌지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인보드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시켜, 상기 제1 피팅 부품이 상기 제2 피팅 부품으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제1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외측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 가능한 것인, 피팅 어셈블리.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76. 제72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피팅 어셈블리.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이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78. 제72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79. 제72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0. 제72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커트의 두께를 함께 한정하는 인보드 벽 표면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원주 방향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피팅 어셈블리.
  82.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은 상기 스커트의 외부 반경 방향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3.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4.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모두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5. 제80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여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상기 스커트의 내부 반경 방향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스커트는 상기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과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의 일부를 결합시키도록 벤딩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6. 제72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7. 제72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은 암 나사형 피팅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피팅 부품은 수 나사형 피팅 본체를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8. 제72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 상기 환형 제2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89. 제72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 상기 환형 제2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0. 피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제1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제1 피팅 부품;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내부 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체적을 한정하도록 상기 제1 피팅 부품과 조립되는 환형 제2 피팅 부품;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된 단부 부분으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부서지기 쉬운 부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이 도관 단부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업되면,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피팅 부품이 상기 제2 피팅 부품으로부터 분해될 때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제1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가 상기 제1 피팅 부품으로부터 제거될 때 분리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2. 제90항 또는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를 향해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3. 제9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4. 제90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5. 제90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지기 쉬운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6. 제90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피팅 어셈블리.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이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맞닿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8. 제90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5°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99. 제90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은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00. 제90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 내부 벽의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01. 제90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은 암 나사형 피팅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피팅 부품은 수 나사형 피팅 본체를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02. 제90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 상기 제2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03. 제90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품, 상기 제2 피팅 부품, 및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04. 환형 피팅 부품을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1 직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중심 축을 따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내부 벽의 인보드 표면을 통해 느슨하게 수용되고, 상기 내부 벽의 환형 리세스와 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단계로서, 상기 환형 리세스는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에서 상기 내부 벽의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에서 상기 내부 벽의 아웃보드 표면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여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대해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위치시키도록 벤딩되어,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상기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포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내부 벽의 상기 환형 리세스와 초기에 축 방향으로 정렬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30°와 약 7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방법.
  106. 제104항 또는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4 직경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위치시키도록 벤딩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70°와 약 13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방법.
  107. 제104항 내지 제10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인, 방법.
  108. 제104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4 직경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위치시키도록 벤딩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인, 방법.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방법.
  110. 제104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인보드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인보드 단부에 제2 도관 파지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되는 것인, 방법.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에 상기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여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대해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을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도록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이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환형 견부와 맞닿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2. 제104항 내지 제1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커트의 두께를 함께 한정하는 인보드 벽 표면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원주 방향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제4 직경에 위치시키도록 벤딩될 때,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결합하는 것인, 방법.
  113. 환형 피팅 부품을 제1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와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인보드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인보드 단부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아웃보드 단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되는 단계;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제1 유지 구조체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관 파지 장치를 함께 제1 서브 어셈블리로서 유지하고,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제2 유지 구조체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 및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을 함께 제2 서브 어셈블리로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 구조체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상기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부분 위로 스냅(snap)하게 하는 것인, 방법.
  115.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구조체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상기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가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원주 방향 리세스에서 축 방향으로 포획되게 하는 것인, 방법.
  116.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상기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의 좁아진 인보드 표면에 대해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 단부 부분이 상기 원주 방향 리세스와 축 방향으로 정렬될 때 상기 돌출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되게 하고, 그 후 상기 원주 방향 리세스 내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스냅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7.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를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인보드 단부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원주 방향 리세스와 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느슨하게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상기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 부분을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에 대해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시키도록 벤딩되어,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 사이에 상기 돌출부를 축 방향으로 포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내부 벽의 상기 환형 리세스와 초기에 축 방향으로 정렬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30°와 약 7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방법.
  119. 제117항 또는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시키도록 벤딩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축에 대해 약 90°와 약 130° 사이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인, 방법.
  120. 제117항 내지 제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시키도록 벤딩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 힌지 부분을 중심으로 소성 변형되는 것인, 방법.
  121.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것인, 방법.
  122. 제117항 내지 제1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커트의 두께를 함께 한정하는 인보드 벽 표면 및 아웃보드 벽 표면을 갖는 원주 방향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부 부분을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시키도록 벤딩되는 경우,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결합하는 것인, 방법.
  123. 제115항 내지 제1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에 상기 외향 축 방향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을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인보드 단부 표면과 맞닿도록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은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환형 견부와 맞닿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4. 제115항 내지 제1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상기 외부 표면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인, 방법.
  125. 도관 피팅을 위한 프리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환형 피팅 부품으로서, 상기 내부 벽은 제1 직경을 갖는 인보드 표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아웃보드 표면, 및 외측을 향한 인보드 반경 방향 벽에 의해 상기 인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되고 상기 아웃보드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된 중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환형 피팅 부품;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환형 피팅 부품 내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표면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단부 부분, 상기 외주 표면에 인접하는 제1 힌지 부분, 및 상기 제1 힌지 부분과 상기 단부 부분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힌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제1 도관 파지 장치
    를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부분은 제1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힌지 부분은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한 제2 특성을 가져서, 아웃보드 축 방향 힘이 상기 도관 파지 장치에 가해질 때, 상기 아웃보드 표면에 대한 상기 돌출부 단부 부분의 결합은 상기 제2 힌지 부분이 초기에 상기 제1 힌지 부분보다 더 큰 정도로 벤딩되게 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은 제1 두께 대 길이 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성은 상기 제1 두께 대 길이 비보다 작은 제2 두께 대 길이 비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28.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벽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성은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벽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29.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벽 부분은 상기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벽 부분의 원주 둘레에 일련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0. 제125항 내지 제1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부분의 축 방향으로 인보드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힌지 부분에 인접하는 릴리프 리세스(relief recess)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1. 제125항 내지 제1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아웃보드에 위치되어 외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2.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3. 제1항 내지 제72항 및 제125항 내지 제1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돌출부가 축 방향 그리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될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리세스를 한정하도록 상기 제1 힌지 부분의 축 방향 인보드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힌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반경 방향 외부 보스(boss)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외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5. 제133항 또는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내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6. 제133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전방 캐밍 표면(front camming surface)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인보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37. 제125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의 상기 아웃보드 단부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와 환형 견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포획된 제2 도관 파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프리어셈블리.
  138. 페룰(ferrule)에 있어서,
    테이퍼진 외부 표면, 원통형 내부 벽, 및 상기 원통형 내부 벽으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내부 캐밍 마우스(interior camming mouth)를 한정하는 본체 부분;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주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지 돌출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단부 부분, 상기 외주 표면에 인접하는 제1 힌지 부분, 및 상기 제1 힌지 부분과 상기 단부 부분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힌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유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페룰.
  139. 제1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부분은 제1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 힌지 부분은 상기 제1 특성과 상이한 제2 특성을 가져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에 인보드 축 방향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제2 힌지 부분은 초기에 상기 제1 힌지 부분보다 더 큰 정도로 벤딩되는 것인, 페룰.
  140.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은 제1 두께 대 길이 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성은 상기 제1 두께 대 길이 비보다 작은 제2 두께 대 길이 비를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1.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벽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성은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벽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2.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벽 부분은 상기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벽 부분의 원주 둘레에 일련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3. 제138항 내지 제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부분의 축 방향 인보드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힌지 부분에 인접하는 릴리프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4. 제138항 내지 제1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보드 표면은 내측을 향한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과,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의 아웃보드에 위치되어 외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5. 제14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아웃보드 반경 방향 벽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것인, 페룰.
  146. 제138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상기 돌출부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벤딩될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 리세스를 한정하도록 상기 제1 힌지 부분의 축 방향 인보드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힌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반경 방향 외부 보스를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7.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외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8. 제146항 또는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내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페룰.
  149. 제138항 내지 제1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금속 페룰인 것인, 페룰.
  150.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38항 내지 제149항 중 어느 한 항의 페룰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51. 제72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38항 내지 제149항 중 어느 한 항의 페룰을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2. 제104항 내지 제1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38항 내지 제149항 중 어느 한 항의 페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3. 피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인보드 단부로부터 아웃보드 단부까지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을 갖는 피팅 너트(fitting nut)로서, 상기 아웃보드 단부는 반경 방향 구동 표면을 한정하는 것인 피팅 너트;
    상기 피팅 너트와 조립되어 상기 피팅 너트의 상기 내부 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체적을 한정하는 피팅 본체;
    상기 내부 체적 내에 배치되고, 전방 캐밍 표면 및 후방 캐밍 마우스를 포함하는 전방 페룰로서, 상기 후방 캐밍 마우스는 제1 각도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내부 부분과,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외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전방 페룰;
    상기 전방 페룰과 상기 반경 방향 구동 표면 사이에서 상기 내부 체적 내에 배치되는 후방 페룰로서, 상기 후방 페룰은 전방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후방 페룰
    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 어셈블리가 핑거 타이트 상태(finger tight condition)에 있을 때, 상기 후방 페룰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은 상기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의 상기 테이퍼진 외부 부분에만 접촉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4. 제153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어셈블리가 도관 단부 상에서 풀업될 때, 상기 후방 페룰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은 초기에 상기 풀업의 제1 부분 동안 상기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의 상기 테이퍼진 외부 부분과 결합하고, 후속적으로 상기 풀업의 제2 부분 동안 상기 전방 페룰 캐밍 마우스의 상기 테이퍼진 내부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후방 페룰은 상기 풀업의 상기 제2 부분과 비교하여 상기 풀업의 상기 제1 부분 동안 더 신속하게 상기 전방 페룰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5. 제153항 또는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제1 및 제2 부분은 절두 원추형인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6. 제153항 내지 제1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약 35°와 약 55° 사이 또는 약 40°와 약 50° 사이, 또는 약 45°인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7. 제153항 내지 제1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약 15°와 45° 사이, 또는 약 25°와 40° 사이, 또는 약 30°와 35° 사이인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8. 제153항 내지 제1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페룰은 상기 테이퍼진 외부 부분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보어(rear bore)를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59. 제15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어는 외측으로 비-감소(non-reducing)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60. 제158항 또는 제15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페룰은 상기 전방 페룰의 후방 단부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전방 페룰의 반경 방향 최외측 후방 부분의 전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는 상기 후방 보어를 한정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61.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25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53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피팅 어셈블리의 상기 전방 페룰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어셈블리는 제153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피팅 어셈블리의 상기 후방 페룰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62. 제72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53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피팅 어셈블리의 상기 전방 페룰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 어셈블리는 제153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피팅 어셈블리의 상기 후방 페룰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피팅 어셈블리.
  163. 제104항 내지 제1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제153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피팅 어셈블리의 상기 전방 페룰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어셈블리는 제153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피팅 어셈블리의 상기 후방 페룰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4.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25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는 전방 페룰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피팅 부품은 피팅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어셈블리는 상기 전방 페룰과 상기 피팅 너트의 구동 표면 사이에 배치된 후방 페룰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65.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페룰은 상기 후방 페룰의 전방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 후방 보어를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66. 제16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어는 외측으로 비-감소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67. 제165항 또는 제16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페룰은 상기 전방 페룰의 후방 단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상기 돌출부의 전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는 상기 후방 보어를 한정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68. 제16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페룰이 후방측의 가장 비-유지된(non-retained)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팅 너트의 구동 표면의 후방측 후방 페룰 결합 부분과 상기 아웃보드 축 방향 돌출부의 후방측 후방 페룰 결합 부분 사이의 제1 축 방향 거리는, 상기 후방 페룰 전방 단부 부분의 후방측 후방 페룰 결합 부분과 상기 후방 페룰의 피구동 표면의 후방측 후방 페룰 결합 부분 사이의 제2 축 방향 거리보다 작은 것인, 프리어셈블리.
  169. 제165항 내지 제1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보어는, 상기 후방 페룰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이 상기 후방 보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방 페룰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0. 제165항 내지 제1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너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페룰이 종 방향 축 상에 센터링(centering)될 때, 상기 후방 페룰의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보어의 정렬된 내부 표면 사이의 제1 반경 방향 갭(gap)과 상기 후방 페룰의 피구동 표면의 반경 방향 외부 에지와 상기 피팅 너트의 정렬된 내부 표면 사이의 제2 반경 방향 갭의 합이, 상기 전방 페룰 돌출부의 외경과 상기 피팅 너트의 정렬된 내부 표면 사이의 제3 반경 방향 갭보다 작은 것인, 프리어셈블리.
  171. 제165항 내지 제1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너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페룰이 종 방향 축 상에 센터링될 때, 상기 후방 페룰의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보어의 정렬된 내부 표면 사이의 제1 반경 방향 갭과 상기 후방 페룰의 피구동 표면의 반경 방향 외부 에지와 상기 피팅 너트의 정렬된 내부 표면 사이의 제2 반경 방향 갭의 합이 상기 전방 페룰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과 상기 피팅 너트 내부 벽의 정렬된 부분 사이의 제3 반경 방향 갭보다 작은 것인, 프리어셈블리.
  172.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64항 내지 제1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것인, 프리어셈블리.
  173.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64항 내지 제1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경 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외경의 비는 약 1.03보다 크거나, 또는 약 1.04보다 크거나, 또는 약 1.02와 약 1.12 사이, 또는 약 1.05와 약 1.10 사이, 또는 약 1.07인 것인, 프리어셈블리.
  174. 제133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축 방향 길이를 가져서, 상기 돌출부가 리세스 내에 수용되도록 벤딩될 때 상기 보스의 아웃보드 표면은 상기 돌출부 단부 부분의 최단부 표면과 결합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5. 제133항 내지 제137항 및 제1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돌출부의 인보드 벽 표면에 상응하도록 윤곽이 형성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6.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확대된 단부 부분 및 넥다운된(necked down) 힌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7.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돌출부의 아웃보드 벽 표면은 각각,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상기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8.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인보드 벽 표면 및 상기 돌출부의 아웃보드 벽 표면은 각각,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인보드 벽 표면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보드 벽 표면은 상기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79. 제1항 내지 제71항 및 제1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인보드 벽 표면은,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단부 표면의 축 방향 내측의 위치에서, 축 방향 오프셋 치수만큼,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외부 반경 방향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도관 파지 장치의 아웃보드 벽 표면은, 상기 외부 반경 방향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서, 반경 방향 오프셋 치수만큼, 상기 아웃보드 단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인, 프리어셈블리.
  180. 제179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오프셋 치수는 상기 축 방향 오프셋 치수보다 큰 것인, 프리어셈블리.
KR1020187025564A 2016-02-04 2017-01-26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 KR20180111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1098P 2016-02-04 2016-02-04
US62/291,098 2016-02-04
US201662417457P 2016-11-04 2016-11-04
US62/417,457 2016-11-04
PCT/US2017/015019 WO2017136210A1 (en) 2016-02-04 2017-01-26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for conduit fit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924A true KR20180111924A (ko) 2018-10-11

Family

ID=5798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564A KR20180111924A (ko) 2016-02-04 2017-01-26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70227151A1 (ko)
KR (1) KR20180111924A (ko)
CN (1) CN109073119B (ko)
TW (1) TW201740045A (ko)
WO (1) WO2017136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5439A1 (en) 2015-08-26 2017-03-02 Swagelok Company Conduit retaining structure for conduit fitting
CN109073119B (zh) 2016-02-04 2021-03-02 世伟洛克公司 用于管道配件的预组装件
KR102110742B1 (ko) * 2018-04-06 2020-05-14 김병국 배관 연결 위치 결정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KR20210003873A (ko) 2018-04-27 2021-01-12 스웨이지락 캄파니 도관 피팅용 페룰 조립체
WO2021016573A1 (en) * 2019-07-24 2021-01-28 Aqseptence Group, Inc. Pipe length and related methods of pipe connection
CN111550637B (zh) * 2020-05-15 2021-07-20 深圳市锐克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终端封堵结构及该结构与管道的装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573A (en) 1907-01-25 1907-07-09 William G Mcmillan Angle-cock.
US1906266A (en) 1930-07-12 1933-05-02 Benjamin P Hoffman Ball valve
US1973418A (en) 1933-12-18 1934-09-11 Andrew J Morse & Son Inc Shut off valve
US2389233A (en) * 1942-07-28 1945-11-20 Cowles Irving Coupling nut for flanged tubing conduits
US2547889A (en) 1946-12-14 1951-04-03 Brockway Company Pipe connector
US2839074A (en) 1955-04-19 1958-06-17 Kaiser Rudolf Valves
US3075793A (en) * 1959-06-03 1963-01-29 Crawford Fitting Co Packed wedge type coupling having positioning means
US3077895A (en) 1961-05-12 1963-02-19 Fisher Governer Company Ball valve
US3077201A (en) 1961-06-26 1963-02-12 Pacific Valves Inc Seal seat construction for a ball valve
US3168280A (en) 1963-07-30 1965-02-02 Mueller Co Rotary plug valve
GB1142441A (en) 1967-04-14 1969-02-05 Masheder Design Studies Ltd Improvements in ball valves
GB1233372A (ko) * 1967-08-26 1971-05-26
FR1569060A (ko) 1968-04-04 1969-05-30
US3588042A (en) 1970-01-19 1971-06-28 Union Tank Car Co Top entry ball valve
US3679239A (en) * 1971-06-25 1972-07-25 Mcdonald Mfg Co A Y Compression coupling for plastic pipe
US4342330A (en) 1980-08-18 1982-08-03 Hydril Company Ball type valve having improved redundant sealing system
IT1232361B (it) 1989-04-05 1992-01-28 Ferrero Rubinetteria S N C Di Valvola a sfera perfezionata per impianti di refrigerazione
US5188335A (en) 1992-06-02 1993-02-23 Fratelli Pettinaroli S.P.A. Ball valve with lockable security device
US5360036A (en) 1992-08-24 1994-11-01 Nibco, Inc. Vented ball valve with lock-out ring
US5361801A (en) 1993-05-07 1994-11-08 Whittaker Controls, Inc. Ball valve
AU684975B2 (en) * 1994-06-28 1998-01-08 Eisenwerke Fried. Wilh. Duker Gmbh & Co. Tension-resisting pipe conne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779203A1 (fr) 1998-05-28 1999-12-03 Ball Sa M Robinet, notamment robinet a boisseau spherique et dispositif d'etancheite pour un tel robinet
US6640457B2 (en) 1999-09-13 2003-11-04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FR2798717B1 (fr) 1999-09-20 2001-10-19 Legris Sa Moyens de connexion d'une canalisation a un corps tubulaire
US6916011B2 (en) 2000-02-03 2005-07-12 Kitz Corporation Ball valv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6425571B1 (en) 2000-08-09 2002-07-30 Parker-Hannifin Corporation Valve and method for forming valve
US6702336B1 (en) 2002-08-29 2004-03-09 David Chelchowski Coupling device for polymeric pipes
US20020145126A1 (en) 2001-04-09 2002-10-10 Bing-Tson Lian Ball valve
KR100423556B1 (ko) 2003-03-10 2004-03-18 주식회사 비엠티 볼밸브
GB0311283D0 (en) 2003-05-16 2003-06-18 Oliver Twinsafe Valves Ltd A ball valve assembly
CN100554748C (zh) * 2004-04-22 2009-10-28 斯瓦戈洛克公司 用于管子和管道的配件以及组装配件的方法
TW200602577A (en) * 2004-04-22 2006-01-16 Swagelok Co Fitting for tube and pipe
CA2469353A1 (en) * 2004-05-31 2005-11-30 Masco Canada Limited Pipe coupling
US6988709B2 (en) 2004-06-04 2006-01-24 Scaramucci John P Bearing retainer for trunnion mounted ball valve
US7055868B2 (en) * 2004-07-09 2006-06-06 Highlands Corporation Corrugated tube fitting
US7506665B2 (en) 2005-02-15 2009-03-24 Nibco Inc. Ball valve with interlocking stem
US7306010B2 (en) 2005-02-15 2007-12-11 Nibco Inc. Ball valve with snap-in stem
CA2615430A1 (en) * 2005-08-04 2007-02-15 Parker-Hannifin Corporation Pre-assemblable, push-in fitting connection for corrugated tubing
AU2006336580A1 (en) 2006-01-13 2007-08-02 Swagelok Company Fitting with adapted engaging surfaces
CN101606013A (zh) * 2006-01-13 2009-12-16 斯瓦戈洛克公司 用于管或筒的装配件
US20080099712A1 (en) 2006-10-25 2008-05-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artridge ball valve
JP5326457B2 (ja) * 2007-09-28 2013-10-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CN201363452Y (zh) 2008-07-03 2009-12-16 魏贻锟 塑料组合式球阀
CN105333249B (zh) 2008-12-10 2018-09-28 斯瓦戈洛克公司 具有径向负荷的卡套夹头
JP4557081B2 (ja) 2009-01-21 2010-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CA2663374C (en) 2009-04-15 2015-01-06 Kings Energy Services Ltd. Valve assembly
CN101586673B (zh) 2009-06-23 2011-04-27 广东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上装式塑料球阀
MX2009009674A (es) 2009-09-10 2010-03-01 Jose Manuel Carranza Sanchez Valvula de esfera para restriccion de liquidos.
CN105546241B (zh) * 2010-01-21 2019-04-05 世伟洛克公司 一种用于导管配件的配件及预装组件
US20110260088A1 (en) 2010-04-21 2011-10-27 Cunningham James A Ball valve having complex valve seat
CN202056344U (zh) 2011-04-18 2011-11-30 浙江东星矿业设备有限公司 截止阀
JP5899766B2 (ja) 2011-09-30 2016-04-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
US20130106103A1 (en) 2011-11-02 2013-05-02 Tylok International, Inc. Face seal conduit fitting
EP2667067A1 (en) 2012-05-23 2013-11-27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Valve with adaptive facial sealing ring
PL2872810T3 (pl) * 2012-07-10 2017-07-31 King Industrial Limited Złącze na wcisk i zespół złącza z takim złączem na wcisk
CN203009892U (zh) 2012-12-05 2013-06-19 威兰阀门(苏州)有限公司 一种分体式球阀
US9726309B1 (en) * 2013-03-13 2017-08-08 Mercury Plastics, Inc. Tube connection nut and ferrule assembly
KR102398921B1 (ko) 2014-05-09 2022-05-16 스와겔로크 컴패니 조립을 촉진시키도록 적응된 부품을 구비한 도관 피팅
CN204187036U (zh) 2014-10-16 2015-03-04 浙江万士通阀门有限公司 一种高性能浮动球阀
CN204922080U (zh) 2015-07-07 2015-12-30 湖南北科通用阀门有限公司 一种高温球阀
WO2017035439A1 (en) * 2015-08-26 2017-03-02 Swagelok Company Conduit retaining structure for conduit fitting
DE202015105642U1 (de) * 2015-10-23 2015-10-28 Schwer Fittings Gmbh Keilring für eine 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s Rohres
CN109073119B (zh) 2016-02-04 2021-03-02 世伟洛克公司 用于管道配件的预组装件
CN109312882A (zh) 2016-03-08 2019-02-05 斯瓦戈洛克公司 用于导管配件的部件保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3119B (zh) 2021-03-02
TW201740045A (zh) 2017-11-16
US20170227151A1 (en) 2017-08-10
CN109073119A (zh) 2018-12-21
US10648595B2 (en) 2020-05-12
WO2017136210A1 (en) 2017-08-10
US20180195651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9046B2 (en) Conduit fitting with components adapted for facilitating assembly
KR20180111924A (ko) 도관 피팅을 위한 부품 유지 구조체
US11473703B2 (en) Ferrule assembly for conduit fitting
US10760722B2 (en) Fitting subassembly with retained ferrule
EP2489912B1 (en) Fitting for tube or pipe
US20170059065A1 (en)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for conduit fitting
US11703165B2 (en) Ferrule assembly for conduit fitting
US20240183470A9 (en) Conduit fitting with components adapted for facilitat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