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712A -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712A
KR20180111712A KR1020180070448A KR20180070448A KR20180111712A KR 20180111712 A KR20180111712 A KR 20180111712A KR 1020180070448 A KR1020180070448 A KR 1020180070448A KR 20180070448 A KR20180070448 A KR 20180070448A KR 20180111712 A KR20180111712 A KR 2018011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vel
monitor
power consumption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217B1 (ko
Inventor
정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늑대와여우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늑대와여우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늑대와여우컴퓨터
Priority to KR102018007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컴퓨터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전원 조절을 통해 소비전력을 자동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투입되면 모니터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및 본체로부터 전송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패널을 통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조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소비전력 절감부를 포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본체와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the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전원 조절을 통해 소비전력을 자동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 연산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본체와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인 모니터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소프트웨어적인 절전 모드, 하드웨어적인 절전 모드 등 다양한 절전 모드를 통해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있으나, 모니터는 본체에서 발생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화면보호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절전 제어 명령에 따라 절전 기능을 수행하는 수동형 절전만이 가능하다.
여기서 모니터의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나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등과 같은 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방식, 외부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모니터의 대기전력을 제어하여 전력 절감을 도모한다.
한편, 대기전력 제어를 위한 다양한 연구의 예로써,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컴퓨터 모니터의 대기전력을 절감하고자 하는 종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전원 공급 장치(SMPS)의 전력 출력 상황을 분석하고, 파워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파워 내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매니지먼트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절전 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가 더욱 정확하게 오프 모드를 판단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 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를 구현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화면을 캡처하는 화면 캡처부, 화면의 변화를 분석하는 화면 변화 분석부,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 화면 변화 분석결과와 입력신호 여부 및 설정된 절전 모드를 기반으로 컴퓨터 본체 및 디스플레이기의 절전을 제어하는 절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화면 캡처(capture)를 한 후 화면 변화율을 기반으로 절전을 제어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3316호(2014.09.16. 등록)(매니지먼트 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8637호(2015.11.05. 등록)(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17282호(2017.02.15. 공개)(컴퓨터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절전 방식 및 종래기술들은 절전 제어 시 모니터의 LED를 제어하여 화면의 밝기를 낮추는 방식으로 절전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본체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모니터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하는 것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 절전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컴퓨터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전원 조절을 통해 소비전력을 자동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소비전력 절감 기능을 수행하여, 컴퓨터를 켜놓고 장시간 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은 (a) 모니터에 전원이 투입되고,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본체로부터 절전 명령이 수신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 후 모니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차등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감지한 조도 레벨이 낮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최소로 제어하고,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이 높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최대로 제어하여, 컴퓨터의 정상 동작 상태에서 조도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하여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1)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1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 (d2) 상기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도를 재감지하는 단계; (d3)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2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 (d4) 상기 (d3) 단계와 같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도를 재감지하는 단계; (d5)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3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내지 제3 제어레벨은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 레벨로서 제1 제어 레벨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최소 제어 레벨이고, 제3 제어 레벨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최대 제어 레벨이며, 상기 제2 제어 레벨은 상기 제1 제어 레벨과 제3 제어 레벨의 중간인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중간 제어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와는 별도로 본체의 정상적인 동작 상황하에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전원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자동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소비전력 절감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를 켜놓고 장시간 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모니터의 소비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조도 감지부의 설치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자동 조절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도 감지부의 설치 예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는 본체(20)와 연동하는 모니터(10)에 구성되며, 조도 감지부(11), 소비전력 절감부(12), 백라이트 보드(13) 및 표시패널(14)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31은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2는 마우스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20)는 컴퓨터 본체로서, 입력장치의 입력에 따라 연산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연산 결과나 검색 결과, 처리 결과 등을 모니터(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준다. 본체(20)는 통상의 컴퓨터 본체에서 절전 기능을 구현하는 것과 동일하게, 미리 설정된 절전 모드에 따라 절전 기능을 수행하고, 절전 기능 수행시에는 모니터(10)에도 절전 명령을 전송하여 모니터(10) 절전을 구현한다.
상기 조도 감지부(11)는 전원이 투입되면 모니터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도 감지부(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00의 후면 소정 위치에 내장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니터 외부의 조도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위치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조도 감지부(11)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CdS를 이용하거나, Ambient Light Sensor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12)는 본체(20)로부터 전송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패널(14)을 통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조도 감지부(11)를 통해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역학을 한다.
이러한 소비전력 절감부(12)는 상기 조도 감지부(11)에 의해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 레벨을 기초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제어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 제어 레벨로서 제1 제어 레벨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최소 제어 레벨이고, 제3 제어 레벨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최대 제어 레벨이며, 상기 제2 제어 레벨은 상기 제1 제어 레벨과 제3 제어 레벨의 중간인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중간 제어 레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의 본체(20)와 모니터(10)를 연결한 상태에서, 본체(20) 및 모니터(10)에 전원을 투입하면, 본체(2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LVDS)를 기초로 모니터(10)의 표시패널(14)은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본체(20)는 통상의 컴퓨터 본체에서 미리 설정된 대기 모드나 오프 모드시의 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절전 기능 수행시에는 모니터(10)에도 절전 명령을 전송한다.
모니터(10)의 소비전력 절감부(12)는 본체(20)로부터 전송된 절전 명령에 따라 표시 패널(14)을 제어하거나 백라이트 보드(13)를 제어하여 모니터(10)의 소비전력을 줄여 절전을 구현한다.
이러한 모니터(10)의 소비전력 절전 방식은 기존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절전 방식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 절전을 구현하는 컴퓨터에서, 본체(20)와는 별도로 모니터(10)에서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절전 기능을 수행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본체(20)로부터 LVDS 신호가 발생하여 표시패널(14)에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조도 감지부(11)는 모니터(10)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여 소비전력 절감부(12)에 전달한다.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12)는 조도 감지부(11)를 통해 조도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을 인덱스로 미리 설정된 조도 레벨 룩-업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을 판단한다. 여기서 조도 레벨은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조도 값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 조절을 하고, 이를 통해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줄여 절전을 구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의 조도 레벨은 제1 내지 제3레벨로 설정하였으며, 이것은 3개의 조도 값 변화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겠다는 의미이다. 조도 레벨을 3개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세분화하거나 레벨을 2개로 줄여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조도 레벨은 제1레벨 < 제2레벨 < 제3레벨 관계이다.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12)는 조도를 감지하면,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지 않으면 절전 기능을 구현하지 않으며, 이와는 달리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면 그에 대응하게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 절감을 도모한다.
예컨대,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1제어 레벨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최소로 제어하여 모니터(10)의 화면 밝기를 도 3b와 같이 조금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도 3a는 화면 밝기 조절 이전에 정상적인 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을 두는 이유는 지속적 실시간으로 조도를 감지하여 백라이트 보드를 제어하게 되면, 모니터의 화면이 조도에 따라 계속하여 밝기 조절이 이루어져 실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잦은 화면 밝기 조절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일정 시간을 두었다. 일정 시간은 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 모니터의 절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제2제어 레벨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상기 최소보다는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0)의 화면 밝기를 도 3c와 같이 제1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2제어 레벨이 제1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
상기와 같이 2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제3제어 레벨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3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상기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0)의 화면 밝기를 도 3d와 같이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3제어 레벨이 제3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최소 또는 최대화하여 제어한다는 의미는 백라이트 전력을 줄여, 화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면 밝기가 어두울수록 백라이트 소비전력이 줄어든다.
백라이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도중에 조도가 백라이트 제어 이전의 상태가 되면,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파워 오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외출(예를 들어, 저녁에 퇴근하고 아침에 출근하는 상태)하는 상태에서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 기존 컴퓨터 대비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의 주변 조도에 따라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모니터(10)에 전원이 투입되고, 본체(20)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단계(S101, S102, S105), (b) 상기 본체(20)로부터 절전 명령이 수신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03, S104), (c) 상기 (a)단계 후 모니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S106), (d)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차등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S107 ~ S118)를 포함한다.
상기 (d)단계(S107 ~ S118)는 (d1)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1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S107, S108), (d2) 상기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도를 재감지하는 단계(S109, S110), (d3)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2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S111 ~ S113), (d4) 상기 (d3) 단계와 같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도를 재감지하는 단계(S114, S115), (d5)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3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최소화하는 단계(S116 ~ S11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의 본체(20)와 모니터(10)를 연결한 상태에서, 단계 S101과 같이 본체(20) 및 모니터(10)에 전원을 투입하면, 단계 S102 및 S105와 같이 본체(2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를 기초로 모니터(10)의 표시패널(14)은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본체(20)는 통상의 컴퓨터 본체에서 미리 설정된 대기 모드나 오프 모드시의 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절전 기능 수행시에는 단계 S103 및 S104와 같이 모니터(10)에도 절전 명령을 전송한다. 모니터(10)의 소비전력 절감부(12)는 본체(20)로부터 전송된 절전 명령에 따라 표시 패널(14)을 제어하거나 백라이트 보드(13)를 제어하여 모니터(10)의 소비전력을 줄여 절전을 구현한다.
이러한 모니터(10)의 소비전력 절전 방식은 기존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절전 방식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 절전을 구현하는 컴퓨터에서, 본체(20)와는 별도로 모니터(10)에서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절전 기능을 수행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본체(20)로부터 LVDS 신호가 발생하여 표시패널(14)에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단계 S106과 같이 조도 감지부(11)는 모니터(10)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여 소비전력 절감부(12)에 전달한다.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12)는 조도 감지부(11)를 통해 조도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을 인덱스로 미리 설정된 조도 레벨 룩-업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을 판단한다. 여기서 조도 레벨은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조도 값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 조절을 하고, 이를 통해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줄여 절전을 구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의 조도 레벨은 제1 내지 제3레벨로 설정하였으며, 이것은 3개의 조도 값 변화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겠다는 의미이다. 조도 레벨을 3개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세분화하거나 레벨을 2개로 줄여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조도 레벨은 제1레벨 < 제2레벨 < 제3레벨 관계이다.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12)는 조도를 감지하면,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지 않으면 절전 기능을 구현하지 않으며, 이와는 달리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면 그에 대응하게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 절감을 도모한다.
예컨대, 단계 S107과 같이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단계 S108로 이동하여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1제어 레벨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최소로 제어하여 모니터(10)의 화면 밝기를 도 3b와 같이 조금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도 3a는 화면 밝기 조절 이전에 정상적인 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단계 S109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단계 S110에서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을 두는 이유는 지속적 실시간으로 조도를 감지하여 백라이트 보드를 제어하게 되면, 모니터의 화면이 조도에 따라 계속하여 밝기 조절이 이루어져 실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잦은 화면 밝기 조절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일정 시간을 두었다. 일정 시간은 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 모니터의 절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단계 S111에서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단계 S112로 이동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단계 S113으로 이동하여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제2제어 레벨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2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상기 최소보다는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0)의 화면 밝기를 도 3c와 같이 제1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2제어 레벨이 제1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
상기와 같이 2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단계 S114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단계 S115로 이동하여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단계 S116과 같이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단계 S117로 이동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단계 S118로 이동하여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제3제어 레벨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3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상기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0)의 화면 밝기를 도 3d와 같이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3제어 레벨이 제3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보드(13)의 전원을 최소 또는 최대화하여 제어한다는 의미는 백라이트 전력을 줄여, 화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면 밝기가 어두울수록 백라이트 소비전력이 점진적으로 더 많이 줄어든다.
백라이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도중에 조도가 백라이트 제어 이전의 상태가 되면,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파워 오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외출(예를 들어, 저녁에 퇴근하고 아침에 출근하는 상태)하는 상태에서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 기존 컴퓨터 대비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 기능을 실제 컴퓨터에 적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기능을 적용하기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모니터 소비전력은 19.8W였으나, 제1제어 레벨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결과 모니터의 소비전력은 17.1W였고, 제2제어 레벨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결과 모니터의 소비전력은 13.4W였으며, 제3제어 레벨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결과 모니터의 소비전력은 9.5W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기능을 컴퓨터의 모니터에 적용하면 기존 모니터의 소비전력 대비 매우 획기적으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발생량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친환경적인 컴퓨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의 주변 조도에 따라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모니터에서 본체와는 별도로 정상적인 동작 상황하에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모니터 자체적으로 절감하는 기술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10: 모니터
11: 조도 감지부
12: 소비전력 절감부
13: 백라이트 보드
14: 표시 패널
20: 본체
31: 키보드
32: 마우스

Claims (1)

  1. 전원이 투입되면 모니터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송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패널을 통해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조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소비전력 절감부를 구비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으로서,
    (a) 표시패널에서 모니터에 전원이 투입되고,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는 단계;
    (b) 소비전력 절감부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절전 명령이 수신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c) 조도 감지부에서 상기 (a)단계 후 모니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에서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값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등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본체로부터 LVDS 신호가 발생하여 표시패널에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 조절을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본체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소비전력 절감부에서 자체적으로 모니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본체와 무관하게 모니터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며,
    상기 (d)단계는 감지한 조도 레벨이 낮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최소로 제어하고,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이 높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최대로 제어하여, 컴퓨터의 정상 동작 상태에서 조도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하여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절감하며,
    상기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최소 또는 최대로의 제어는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정상상태의 소비전력보다 줄여 화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d)단계는 (d1)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1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 (d2) 상기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도를 재감지하는 단계; (d3)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2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 (d4) 상기 (d3) 단계와 같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도를 재감지하는 단계; (d5)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재감지한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3 제어 레벨로 줄여 화면 밝기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 레벨은 제1레벨 < 제2레벨 < 제3레벨 관계이며,
    상기 제1레벨이 모니터의 화면 밝기가 가장 밝은 상태이고, 상기 제3레벨이 모니터의 화면 밝기가 가장 어두운 상태이며, 상기 제2레벨이 상기 제1레벨과 제3레벨의 화면 밝기의 중간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1020180070448A 2018-06-19 2018-06-19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10192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448A KR101929217B1 (ko) 2018-06-19 2018-06-19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448A KR101929217B1 (ko) 2018-06-19 2018-06-19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62 Division 201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12A true KR20180111712A (ko) 2018-10-11
KR101929217B1 KR101929217B1 (ko) 2018-12-17

Family

ID=6386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448A KR101929217B1 (ko) 2018-06-19 2018-06-19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476B1 (en) 2020-07-14 2021-12-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476B1 (en) 2020-07-14 2021-12-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2014739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17B1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91643A1 (en) Smart display panel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1917638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
KR101371243B1 (ko)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210327394A1 (en) User-presence based adjustment of display characteristics
KR102187120B1 (ko) Pc 시스템의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42086B1 (ko) 컴퓨터 연동을 통한 모니터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453725B1 (ko)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장치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929217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101833992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US10650786B2 (en) Automatically brightness adjusting electronic device and brightness adjusting method thereof
CN106933362B (zh) 一种鼠标的控制方法、鼠标控制器和电子设备
KR102453722B1 (ko) 모니터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211119B1 (ko) 주방용 절전형 듀얼 터치스크린 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KR102110928B1 (ko) 디스플레이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36873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53402B1 (ko) 오엘이디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와 방법
CN103077695A (zh) 电视电脑一体机亮度自动调节方法及装置
JPH07318894A (ja) 表示装置
US20040192411A1 (en) Conservation of power in radiotelephone use
KR20200005132A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03684A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20220124041A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663748B1 (ko) 활성화된 앱의 패턴분석을 통한 에너지 절감형 모니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6552A (ko)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의 밝기 조정방법
CN102543033A (zh) Pc机用背景亮度自调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