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700A -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700A
KR20180111700A KR1020180037955A KR20180037955A KR20180111700A KR 20180111700 A KR20180111700 A KR 20180111700A KR 1020180037955 A KR1020180037955 A KR 1020180037955A KR 20180037955 A KR20180037955 A KR 20180037955A KR 20180111700 A KR20180111700 A KR 2018011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light
tower type
management system
ligh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화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킴
Publication of KR2018011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37/024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광(光)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실외 조명; 건물 내 거주용 또는 사무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실내 조명; 상기 실외 조명 및 상기 실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건물에 구비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메인 콘솔; 및 상기 제어 서버와 상기 각 조명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함으로써, 단순한 영상 및 조명 연출을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빛의 변화를 이용한 빛 이벤트를 제공하며, 도심이라는 장소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빛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쇼 콘트롤 시스템을 건물 내 기구축된 조명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을 연동시켜 건물의 아이덴티티와 조형적인 이미지가 연계된 빛 이벤트를 연출함으로써, 개최되는 축제를 여타의 다른 축제들과 차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워형 건물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규모있고 다양한 빛의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주변의 지형지물보다 높게 형성된 타워형 건물을 빛 이벤트에 이용함으로써, 공원, 광장, 공터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도심 내에서 다수의 관람객에게 다양한 빛의 변화를 이용한 빛의 연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건물, 경관, 조명 등에 의한 간섭을 배제한 빛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가시성 높은 빛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LIGHT EVENT MANAGEMENT SYSTEM USING TOWER TYPE BUILLDING}
본 발명은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빛 이벤트(Light Event)는 빛과 문화가 결합된 야간경관조명의 하나로서, 그 역사와 유래가 깊다. 인간사회에서 빛을 이용한 의식 및 행사는 인류의 역사를 따라 다양한 문명과 문화 속에서 존재해왔다. 이는 빛의 신비롭고 아름다운 표현에서 감동과 즐거움이 느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빛 이벤트는 '빛(光)'이라는 특이성을 활용하여 관광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문화산업임에 틀림없다.
프랑스의 리옹 시에서는 매년 빛 축제를 통해 수 백만명의 고정적인 관광객을 유치하여 막대한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거듭나게 되었다. 또한, 세계적으로 개최되는 많은 행사들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빛을 사용하지 않는 행사는 없다. 이는 빛의 연출이 행사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빛 이벤트의 중요성은 점차 부각되고 있으며,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엄청난 부가가치를 산출해내는 현대사회의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의 블루오션이다.
빛 이벤트의 효과적인 실시를 위해서는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0858호, 발명의 명칭: 빛 이벤트 기반 컨텍스트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출원인: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개일: 2014년07월01일)』에는 빛 이벤트에 세분화된 테마에 따른 적절한 조명 효과를 제공하여 다양성이 가미된 빛 이벤트 제공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빛 이벤트는 상술한 다양성 이외에도 시간성, 장소성, 비일상성, 조형성, 관계성 등의 여러가지 요소들에 대한 고려와 각 요소들이 부가된 빛 이벤트의 연출이 필요하다.(2006, 심승연)
한편, 축제 등의 대형 이벤트는 다수의 관람객들에게 영상 및 음향 효과를 선보이기 위해 다수의 관람객이 입장할 수 있고, 영상이 널리 송출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소적인 제약과 더불어 다수의 관람객을 유치하여야 하는 문제 또한 안고 있다.
또한, 빛 이벤트는 도심에서 개최될 경우, 이벤트의 특성상 주변 조명 및 건물에 의해 반사되는 불빛 등의 간섭, 반사, 회절 등의 영향으로 가시성이 떨어지게 되어 이벤트 진행의 몰입도 및 관람객의 참여도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4219호, 발명의 명칭: 이동 가능한 대형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출원인: 픽스투오 코포레이션, 공개일 2011년07월21일)』에는 이동가능하고, 저장이나 운송을 위해 구부러지거나 감길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소개된 기술 역시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구성과 그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0858호, 발명의 명칭: 빛 이벤트 기반 컨텍스트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출원인: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개일: 2014년07월01일)』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4219호, 발명의 명칭: 이동 가능한 대형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출원인: 픽스투오 코포레이션, 공개일 2011년07월2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영상 및 조명 연출을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빛의 변화를 이용한 빛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심이라는 장소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빛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광(光)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실외 조명; 건물 내 거주용 또는 사무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실내 조명; 상기 실외 조명 및 상기 실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건물에 구비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메인 콘솔; 및 상기 제어 서버와 상기 각 조명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상기 실외 조명의 점소등, 광(光)의 색상, 광(光)의 조사 방향 및 광(光)의 조사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 조명을 일괄 또는 각기 제어하여 빛 이벤트를 연출한다.
그리고, 상기 건물은, 주변 건물에서 나오는 광(光)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주변 건물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타워형 건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건물 내 기구축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높이에 비례하여 설정된 거리에서 상기 건물 외벽에 광(光)을 조사하여 영상을 페인팅하는 야외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은, 외벽이 상기 야외 조명에서 조사되는 광(光)을 반사하는 반사유리로 마련되어 건물의 외부를 마감하는 커튼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파사드(Media-Faca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일측면과 대칭되는 타측면에 각각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광(光)을 조사하며, 조사되는 광(光)을 통해 상기 건물의 외형을 구획하는 노치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빔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불꽃을 발사하는 연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 쇼 콘트롤 시스템을 건물 내 기구축된 조명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을 연동시켜 건물의 아이덴티티와 조형적인 이미지가 연계된 빛 이벤트를 연출함으로써, 개최되는 축제를 여타의 다른 축제들과 차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워형 건물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규모있고 다양한 빛의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주변의 지형지물보다 높게 형성된 타워형 건물을 빛 이벤트에 이용함으로써, 공원, 광장, 공터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도심 내에서 다수의 관람객에게 다양한 빛의 변화를 이용한 빛의 연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건물, 경관, 조명 등에 의한 간섭을 배제한 빛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가시성 높은 빛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셋째, 빛 이벤트를 건물을 이용하여 실시함으로써, 일상적인 장소인 번화한 도심 내에서 비일상적인 빛 이벤트를 연출하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축제(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이벤트가 실시되는 타워형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이벤트가 실시되는 타워형 건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형 건물에 설치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개방된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BMU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기구축된 조명 시스템에 의한 빛 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레이저 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야외 조명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을 페인팅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연화 장치에 의한 불꽃 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이벤트가 실시되는 타워형 건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이벤트가 실시되는 타워형 건물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형 건물에 설치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개방된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BMU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TS)은 타워형 건물(TB)를 이용하여 빛 이벤트를 실시하는 것으로, 기존 영상, 음향, 조명, 레이저, 연화 등으로 구성되는 쇼 콘트롤 시스템을 건물 내 기설치되어 구축된 거주용 또는 사무용 조명 시스템, 영상 시스템과 연계시켜 빛 이벤트를 연출함으로써 차별화된 빛의 축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다양하고 규모 있는 빛의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변 건물 보다 높게 형성된 타워형 건물(TB)을 이용함으로써, 축제의 공간적인 제약을 크게 탈피함은 물론, 주변 광원(光源)들의 간섭을 배제하여 관람객의 몰입도 및 관객 참여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유리함이 있으며,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일상적인 공간에서 비일상적인 이벤트를 개최하여 빛의 연출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TS)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조명(100), 실외 조명(200), 야외 조명(300), 미디어 파사드(400), 노치 조명(500), 빔프로젝터(600), 연화 장치(700), 메인 콘솔(800) 및 중계기(900)의 구성을 포함한다.
실내 조명(100)은 타워형 건물(TB) 내 거주용 및 사무용으로 설치된 조명들을 의미하며, 후술될 메인 콘솔(800)에 의해 일괄 소등 및 점등되어 실시되는 빛 이벤트에 하나의 조명체로 사용될 수 있다.
실외 조명(200)은 실내 조명(100)과 달리 빛 이벤트를 위해 별도 설치되는 조명체로, 127층, 125층, 73층 등에 건물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역시 메인 콘솔(800)에 의해 점등 및 소등은 물론, 광(光)의 색상, 광(光)의 조사 방향, 광(光)의 조사 세기 등이 제어된다.
여기서, 타워의 125층과 127층 영역은 외부에 개방된 영역(도 4 참조)이며, 73층 영역은 BMU(Building Maintenance Unit)가 설치되는 영역이다.. BMU 설치 공간(도 5 참조)은 폴딩 구조로 레일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이며 이 역시 개방된 영역이다.
야외 조명(300)은 타워형 건물(TB)의 주변에 위치한 건물에 설치되어 타워형 건물(TB)의 외벽에 조명을 비춰 건물 벽에 영상을 페인팅할 수 있다. 이때, 야외 조명(300)이 설치되는 위치의 거리는 타워형 건물(TB) 일면 전체에 조명이 조사되는 것을 전제로, 타워형 건물(TB)의 높이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페인팅되는 면의 높이를 기준으로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야외 조명(300)을 이용하여 타워형 건물(TB)의 외벽에 미디어 파사드(Media-Facade)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타워형 건물(TB)의 외벽은 로이유리(low-emissivity glass)가 적용된 커튼월로 마련되어 야외 조명(300)을 통해 입사되는 광(光)을 경면반사(거울반사, specular reflection)함으로써, 상술한 영상의 페인팅 또는 미디어 파사드를 가능하게 한다.
미디어 파사드(Media-Facade)(400)는 타워형 건물(TB)의 일면에 기설치되어 구축된 영상 송출 장치로, 미디어를 활용해 건물의 벽면을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활용하여 다이내믹한 동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파사드(400)는 타워형 건물의 일측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앞서 설명한 야외 조명(300)을 이용한 영상의 페인팅 또는 야외 조명(300)을 이용한 다른 형태의 미디어 파사드가 구현될 수 있다.
노치 조명(500)은 건물의 일측면과 대칭된 타측면에 각각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LED 조명체이다. 이러한 노치 조명(500)은 출력되는 광(光)을 통해 건물의 외형을 외부 공간과 구획하여 건물의 입체감을 나타냄으로써, 타워형 건물(TB)의 외벽으로부터 출력되는 실내 조명(100), 실외 조명(200), 및 야외 조명(300)과 함께 빛 이벤트를 더욱 입체적으로 연출할 수 있게 한다.
빔프로젝터(600)는 야외 조명(300)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의 내용 또는 실외 조명(200)에 의해 구현되는 빛의 연출에 따라 건물의 여러 장소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125층의 개방된 영역, 73층의 BMU 영역 그리고, 타워형 건물(TB)의 주변 건물(애비뉴엘몰 옥상, 롯데콘서트홀 옥상 등)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저빔의 발생과 움직임을 조절하는 그래픽 헤드, 광선의 색을 조절하는 RGB 스캐너,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채널 수와 필요한 빔 포지션의 수 및 각종 특수효과를 위한 필터의 마운트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빔프로젝터(600)가 조사하는 레이저는 크립톤(Kripton) 레이저와 아르곤(Argon)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크립톤 레이저의 발진영역은 전 파장에 걸쳐 다양하지만 그 중 적색의 영역에서 보다 강한 발진을 보이며 아르곤 레이저는 청색 및 녹색의 영역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큰 발진을 보인다. 이에, 레이저의 색과 종류는 공연과 영상의 성격에 따라 결정될 것이며, 레이저빔을 위주로 할 경우는 강한 빛을 내는 아르곤레이저를 선택하게 될 것이고, 그래픽 위주의 경우에는 Full Color를 원하게 되어 아르곤과 크립톤을 병행하거나 혼합 기체 레이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 장치(700)는 불꽃을 발사하는 장치로 건물의 높이방향과 둘레방향을 따라 750여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된다. 연화 장치(700)를 타워형 건물(TB)의 외벽에 설치하기 위해 외벽타기 전문가들이 26층과 73층부터 123층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25개 층에 불꽃을 고정시키기 위한 Findp Clamp를 고정하였으며, Aluminum Flat의 Pyro-rack을 Clamp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리깅작업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사용되는 연화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무대공연 특수효과로 활용되는 "장치불꽃"을 사용한다. 장치불꽃은 공중에 쏘아올리는 타상 불꽃과 달리 주재료가 폭발하면 대부분 연소되는 흑색화약으로 유해물질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불꽃이다.
또한, 야외 조명(300), 빔프로젝터(600) 및 연화 장치(700) 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건물 또는 주변 경관(호수) 등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건물에서 실시되는 빛 이벤트와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인 콘솔(800)은 통상적인 빛 이벤트에서 실시되는 영상, 음향, 조명, 레이저, 연화를 타임코드에 맞춰 제어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타워형 건물(TB)에 기구축된 조명 시스템을 연동시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900)를 설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메인 콘솔(800)의 통신 네트워크는 후술될 도 7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빛 이벤트의 영상 송출 기능과 연계하여 공감각적 작용 효과를 일으키며, 콘텐츠의 질을 높이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음향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TS)은 통상적인 쇼 콘트롤 시스템과 함께 타워형 건물(TB) 내 기구축된 조명 제어 시스템(실내 조명, 노치 조명) 및 미디어 파사드(400) 연출 시스템을 연동하여 빛 이벤트를 연출하는 것으로, 메인 콘솔(800)을 통해 각 연출 시스템을 연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콘솔(800)은 군산오징어 옥상(주변 건물 내 상가의 상호명)에 설치되어 광케이블로 연결된 더 다이닝 호수(주변 건물 내 상가의 상호명)에 설치된 야외 조명(300)과 석촌 호수에 설치된 연화 장치(700)를 직접 제어하며, KT가락 전송실의 KT 전용회선으로 기구축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타워형 건물(TB) 내 마련되는 73층 TPS실, 119층 TPS실, B2층 TPS실의 중계기(900)를 거쳐 전술한 실외 조명(200), 빔프로젝터(600) 및 연화 장치(70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영역에 설치되는 각 장치들과 야외 조명(300)은 광케이블 또는 UTP 케이블을 통해 각기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KT가락 전송실을 통해 기구축된 각 층의 거주용 또는 사무용으로 설치된 실내 조명(100) 및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노치 조명(500) 및 미디어 파사드(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콘솔(800)은 각 영상 출력 장치들의 제어 명령을 중계기(900)를 통해 전송하여, 타임코드에 맞춰 타워형 건물(TB)에 기구축된 실내 조명(100)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노치 조명(500)의 점소등 및 조명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으며, 미디어 파사드(400)에 송출되는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조명(200), 야외 조명(300), 빔프로젝터(600)의 광(光) 조사방향, 광(光) 조사색상, 광(光) 조사세기 등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연화 장치(700)의 불꽃 발사방향 및 발사시점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기구축된 조명 시스템에 의한 빛 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레이저 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야외 조명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을 페인팅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건물의 빛 이벤트 중 연화 장치에 의한 불꽃 연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TS)은 메인 콘솔(800)의 제어 명령에 의해 기설치된 거주용 또는 사무용 실내 조명(100) 및 실외 조명(200)을 일괄 또는 각기 점소등 함으로써 다양한 빛의 연출을 구현할 수 있고, 건물 양측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노치 조명(500)을 점등 또는 소등 하거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야간에 실시되는 빛 축제에 건물의 외형을 구획하여 건물의 외형이 나타내는 심미감은 물론 조명 연출을 더욱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TS)은 조명 시스템에 의한 빛의 연출과 더불어 개방된 영역과 BMU 공간에 설치된 빔프로젝터(600)를 이용하여 레이저 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파사드(400) 또는 야외 조명(300)을 이용한 조명 페인팅을 통해 다양하고 다이내믹한 영상 또는 동영상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별로 750여개 이상 설치되는 연화 장치(700)를 이용하여 불꽃 놀이를 실시하게 함은 물론, 연화 장치(700)를 주변 건물 또는 주변 호수 등지에 설치하여 불꽃을 발사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빛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성, 장소성, 비일상성, 조형성, 다양성, 관계성 등의 요소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다만, 시간성 및 관계성은 특정 지역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어, 본 발명의 빛 이벤트 기획 시 고려하여야 할 대상이 아니므로, 장소성, 비일상성, 조형성 및 다양성에 대해 설명한다.
장소성은 역사성, 지리적 특성 및 개최 장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벤트 개최 장소의 아이덴티티적 성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빛 이벤트는 도심 내 위치한 타워형 건물(TB)를 이용하여 실시되어 각 건물의 고유한 이미지 및 이와 연계된 실내 조명(100), 노치 조명(500), 미디어 파사드(400)의 조명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장소에 따른 차별화된 빛의 축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비일상성은 이벤트 참여자가 반복적인 건조한 일상의 흐름을 깨뜨리는 비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일상을 벗어날 때 느끼는 환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빛 이벤트은 도심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불꽃 축제로 종래의 안전사고 및 넓은 공간이 필요했던 문제를 해결하여 일상적인 장소에서 실시되는 비일상적인 빛의 이벤트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성은 빛의 심미적인 연출 방법과 관련된 요소로, 예를 들어, 이벤트의 특성이 경축과 유희성이 짙을 때에는 불꽃놀이 등의 화려한 빛의 연출이 필요하고, 기념비적인 강력함이 요구될 때에는 서치라이트 등의 임팩트 있는 연출이 필요한 것과 같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빛 이벤트는 롯데월드타워의 개장에 맞춰 연출되어 경축과 유희성이 필요하여 화려한 불꽃놀이 등의 빛의 연출을 실시함으로써, 빛의 축제에 필요한 조형성을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성은 조명 연출이 음향, 영상, 움직임 등의 타 요소들과 결합되거나, 첨단 기술이 도입되거나, 테마가 세분화되어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고려요소이다. 본 발명의 빛 이벤트는 기존 쇼 콘트롤 시스템을 건물 내 기구축된 통신 네트워크와 연동시켜, 건물의 조명 시스템을 빛 이벤트의 일부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빛 이벤트에 비해 보다 다양하고 규모 있는 빛의 연출을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TS :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100 : 실내 조명
200 : 실외 조명
300 : 야외 조명
400 : 미디어 파사드
500 : 노치 조명
600 : 빔프로젝터
700 : 연화 장치
800 : 메인 콘솔
900 : 중계기
TB: 타워형 건물

Claims (9)

  1.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서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광(光)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실외 조명;
    건물 내 거주용 또는 사무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실내 조명;
    상기 실외 조명 및 상기 실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건물에 구비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메인 콘솔; 및
    상기 제어 서버와 상기 각 조명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상기 실외 조명의 점소등, 광(光)의 색상, 광(光)의 조사 방향 및 광(光)의 조사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 조명을 일괄 또는 각기 제어하여 빛 이벤트를 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주변 건물에서 나오는 광(光)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주변 건물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타워형 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건물 내 기구축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높이에 비례하여 설정된 거리에서 상기 건물 외벽에 광(光)을 조사하여 영상을 페인팅하는 야외 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외벽이 상기 야외 조명에서 조사되는 광(光)을 반사하는 반사유리로 마련되어 건물의 외부를 마감하는 커튼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파사드(Media-Faca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일측면과 대칭되는 타측면에 각각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광(光)을 조사하며, 조사되는 광(光)을 통해 상기 건물의 외형을 구획하는 노치 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빔프로젝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솔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높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건물의 외부방향으로 불꽃을 발사하는 연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KR1020180037955A 2017-03-31 2018-04-02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KR201801117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1809 2017-03-31
KR1020170041809 2017-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00A true KR20180111700A (ko) 2018-10-11

Family

ID=6386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55A KR20180111700A (ko) 2017-03-31 2018-04-02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1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9519A (zh) * 2021-04-22 2021-07-06 武汉江来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室内组建无线局域网的设备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9519A (zh) * 2021-04-22 2021-07-06 武汉江来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室内组建无线局域网的设备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6621B (zh) 照明系统和照明方法
US7583901B2 (en) Illuminative light communication device
CN101350666B (zh) 照明光通信装置
CN107926095B (zh) 多视图建筑照明系统
US6076638A (en) Special effects elevator
US8284327B2 (en) Vehicle for entertainment and method for entertaining
CN107407474B (zh) 用于光学扩展感知的照明系统
JP6739059B2 (ja) 照明装置
RU2608537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включающаяся и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CN102096296A (zh) 一种采用烟花烟雾作屏幕投影系统及方法
KR20180111700A (ko) 타워형 건물을 이용한 빛 이벤트 운영 시스템
CN211738787U (zh) 照明装置及照明装置组件
RU841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кламы
KR101866771B1 (ko) 바지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5782891A (zh) 带遥控的能够声图互动的球形气氛灯
KR20200113128A (ko) 홀로그램을 이용하는 경관조명등 및 그 관리 시스템
Janjusevic the dark side of the city
JP2000315404A (ja) 電子灯籠および電子灯籠を用いたシステム
JP2020052205A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ully Lighting Concept
Kersalé The Fisherman of Light
JPH11219137A (ja) 装飾装置
CN117980653A (zh) 人造天窗
JP2021022443A (ja) 照明効果体感システム
Rawson-Bottom et al. Artificial lighting as applied to museums and art gall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