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294A -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294A
KR20180111294A KR1020170042046A KR20170042046A KR20180111294A KR 20180111294 A KR20180111294 A KR 20180111294A KR 1020170042046 A KR1020170042046 A KR 1020170042046A KR 20170042046 A KR20170042046 A KR 20170042046A KR 20180111294 A KR20180111294 A KR 20180111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wave shielding
electromagnetic
measurement value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644B1 (ko
Inventor
이준
박찬규
김재민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아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람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4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4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81Special shap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8Integrated i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 H05K9/0005Shielded wind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를 포함하는 단위셀들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이,유전체 레이어와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유전체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전도체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AND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THE SAME}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의 이용증대에 따라 그 역기능의 하나로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여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증대함에 따라, 각국 정부에서는 전자파 관련 규제를 마련하고 있는 추세임. 우리나라에서는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강도 측정, 전자파등급제, 가전제품 등에 대한 전자파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 측정 등 다양한 정책과 법, 규정을 마련하여 관련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휴대폰(피처폰)을 대신해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대중화와 함께 또 다른 전자파 논란을 불러온 분야가 바로 Wi-Fi 이다. 특히, Wi-Fi는 휴대폰과 비교해 주파수가 강한 만큼 전자파가 강하기 때문에 앞서 휴대폰 보다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때문에 외국에서는 정부나 학교 차원에서 학교에 Wi-Fi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국내 통신사들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분산을 위해 앞다퉈 Wi-Fi망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Wi-Fi 전자파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어려운 실정이다.
Wi-Fi 전자파 유해성에 대한 논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초당 8억 번 진동하는 휴대폰 주파수보다 5십억 번 진동하는 Wi-Fi로 인해 유도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더욱 유해하다는 Wi-Fi 전자파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Wi-Fi 전자파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도 '유해하다'와 '무해하다'는 주장이 뒤섞여 논란 중이다. Wi-Fi 전자파 유해성 논란이 계속되고는 있지만, Wi-Fi 전자파 유해성 논란에 따른 규제가 시작되기 까지 상당 기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현대인의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술이 된 와이파이(WiFi) 전자파에 대한 ‘알레르기’ 증상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도 발생하였다. 피해자는 생존 당시 Wi-Fi를 포함한 각종 전자파에 대해 과민반응을 보이는 증상인 ‘전자파 과민증(EHS/electro-hypersensitivity)’을 앓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피해자의 부모는 보육원과 학교 등에서 Wi-Fi를 제거하자는 운동을 벌이는 중이며, 정부 당국에게는 ‘전자파 과민증(EHS)’을 보다 더 면밀히 연구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출처 :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 2015.11.30일자). 선진국에서는 유아 및 어린이를 무선신호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Wi-Fi Warriors”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출처 : 미국 CBC뉴스, 2015.3.18.일자). 위의 사례와 같이 무선인터넷 전자파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아이들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유치원, 학교 등에서의 Wi-Fi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성인보다 어린이들이 전자파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가장 성장이 활발한 태아부터 청소년기까지의 시기에 전자파 노출을 최소화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전자파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임산부용 전자파 차단 제품이 국내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벨리아모는 유해 전자파 차단기술을 연구, 개발, 설계하는 미국 회사로 무선 통신 전자파를 차단하는 임산부용 제품을 만들고 전자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벨리아모사의 유해 전자파 차단 제품은 일상생활에서 노출되는 Wi-Fi 등의 무선 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10MHz~8GHz 범위의 전자파를 차단하며, 전자파 차폐율은 40dB~50dB 수준으로, 현재 약 3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가장 먼저 판매를 시작한 제품은 임산부용 전자파 차단 담요와 수유가리개, 밴드로, 임산부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티셔츠와 속옷 등 다양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파 차폐체는 대상물의 최외각 표면에 적용되어, 입사파에 최우선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파 차폐 체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를 비선택적으로 난반사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Wi-Fi 등의 무선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3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03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Wi-Fi 등의 무선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자파를 차폐하고 특히 여러 각도에서 입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루프를 포함하는 단위셀들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유전체 레이어와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유전체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전도체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
Figure pat00001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는 한 변의 길이가 0.15 λ인 정사각형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루프를 구성하는 라인의 폭은 0.5mm이고, 상기 라인 사이 간격은 0.5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가 외면에 결합하는 전자파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는 창에 설치되어 상기 창을 오픈 또는 차단하는 블라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장소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여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는 측정부;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를 구동하여 설정 공간의 전자파를 차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구동부;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자파 세기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전자파의 세기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신호를 푸시하는 전자파 차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콘과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전자파 주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파 차폐장치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장소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여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는 측정부;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를 구동하여 설정 공간의 전자파를 차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구동부;
전자파 차폐 관리 영역에 설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는 비콘; 및
상기 비콘과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전자파 측정값이 설정값이상이면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가 적용된 전자파, Wi-Fi 주파수 대역인 2.4GHz, 5GHz의 전자파만을 차폐시킴으로써 휴대폰 등의 통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전자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SS 단위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장치의 TE 모드에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는 도 1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장치의 TM 모드에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는 비교예의 FSS 단위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은 도 5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장치의 TE 모드에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은 도 5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장치의 TM 모드에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은 도 1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장치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9 는 도 8의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FSS 구조는 유전체 기판상에 주기적으로 배열된 도전체(conductor) 또는 슬롯(slot)을 가지고 특정한 주파수를 통과 또는 반사하는 일종의 공간파(spatial wave) 필터로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FSS 구조는 기본 단위 원소(basic unit element)의 형상(shape)과 크기(size) 및 그들의 배치 주기(arrangement cycle)와 형태(form)에 따라 달라진다. 주파수 선택 표면(F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구조는 유전체 기판 위에 도체 또는 슬롯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전자기 구조로 공간필터로 사용되며, 배열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요소의 형상과 크기, 배열 주기 및 배열 형상에 따라 전자기적 특성이 달라진다. 패치 타입의 FSS구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반사시켜 용량성(Capacitive) FSS구조, 슬롯 타입의 FSS구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짐으로 유도성(Inductive) FSS 구조라고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시리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표면(FSS)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SS 단위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FSS 구조는 유전체 레이어(1100) 및 일정 폭을 가지면서 유전체 레이어(1100) 상에 형성되는 전도체 루프(1200)를 포함하는 단위셀들이 서로 일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단위셀(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윤곽을 가지는 전도체 루프(1200)를 포함한다. 정사각형 윤곽의 한변의 길이는 차단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λ)의 0.15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1200)를 구성하는 라인(L)의 폭(W)은 0.5mm이고, 상기 라인(L) 사이 간격(G)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 레이어(1100)는 저항이 0.02Ω이고, 유전율ε은 3.5이고 두께는 0.1mm인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T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위셀 루프(1200)의 크기, 라인 폭(W) 라인사이 간격(G)은 유전체의 두께 및 유전율은 차폐하고자 하는 WiFi 주파수 대역에 최적으로 설정된 것이다.
도 3 은 도 1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체의 TE(Transverse Electric) 모드에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 는 도 1의 FSS 단위셀이 적용된 전자파 차폐체의 TM(Transverse Magnetic) 모드에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pat00002
표 1은 TE 모드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사각(TE)가 0°, 30°, 45°로 변화할 때 차단되는 주파수, 대역폭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표 2은 TM 모드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사각(TM)가 0°, 30°, 45°로 변화할 때 차단되는 주파수, 대역폭을 각각 나타낸다.
도 5 는 비교예의 FSS 단위셀을 도시한 도면으로 Koch Fractal(듀얼 루프)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M.R. Chaharmir, J. Ethier이 2016에 발표한 논문 "Design of a Dual-band 13/24GHz Frequency Selective Surface Using Meandered Loop Elements"에 개시된 FSS 단위셀을 나타낸다. 도 5의 FSS 단위셀을 적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를 이용하여 차폐 정도를 측정한 데이터가 도 6과 7에 개시된다. 도3, 4와 도 6, 7을 비교하면,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는 듀얼 루프 중 외측 루프에 의해 13GHz 주파수가 주로 차폐되고, 내측 루프에 의해 24 GHz 주파수가 주로 차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입사각의 변화에 따라 차폐되는 주파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시뮬레이션과 측정치를 비교한 그래프로 측정값은 차폐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의 FSS 구조를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FSS 구조에 비하여 입사각에 따라 차폐되는 주파수 특성이 변경되고, 차폐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S 구조는 입사각과 상관 없이 설정된 범위의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FSS 구조가 적용되는 전자파 차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SS 구조는, 패브릭, 필름, 시트 등 다양한 소재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 장치는 블라인드, 벽지, 보호 담요, 보호 필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 장치는 실내로 들어오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롤 블라인드 또는 벽지의 일면에 상기 FSS 구조가 인쇄되어 전자파를 차폐하게 된다. 블라인드에 적용된 전자파 차폐 장치는 차에 설치되어 창을 오픈 또는 차단하면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장치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100)은 측정부(110), 비콘(120), 전자파 관리 서버(130), 사용자 단말(140), 및 전자파 차단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설치 장소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한다. 비콘(120)은 전자파 차폐 관리 영역에 설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110)로부터 상기 전자파 세기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한다. 구동부(150)는 전자파 차폐 장치가 창을 오픈 또는 차단하도록 구동한다. 전자파 차폐 장치가 블라인드일 경우 구동부(150)는 블라인드를 롤 업 하거나 롤 다운시킨다. 전자파 차폐 관리 서버(130)는 상기 측정부 또는 상기 비콘(120)으로부터 상기 전자파 세기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전자파의 세기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창을 차단하도록 상기 구동부(15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신호를 푸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상기 비콘(120)이 전자파 주의 메시지를 푸시하도록 상기 비콘(1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전자파 세기 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전자파를 모니터링 하거나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40)에 상기 전자파 주의 메시지를 푸시하거나,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신호를 푸시할 수 있다. 비콘(120)은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40)에 전자파 측정값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은 서버 없이, 비콘이 전자파 차폐 관리 영역에 설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자파를 측정하는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비콘과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비콘으로부터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전자파 측정값이 설정값이상이면 전자파 모니터링 어플이 실행되고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전자파 차폐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전자파 이력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전자파 차단시트 제품들은 모든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를 비선택적으로 난반사 시키는 방식이나 본 과제에서는 Wi-Fi 주파수 대역인 2.4GHz, 5GHz의 전자파만을 차폐시킴으로써 휴대폰 등의 통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선택적인 전자파 차폐 제품임. 또한, 유연하고 저가이며 친환경적인 인쇄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을 제작함으로써 유연한 저가의 친환경적인 전자파 차폐 필름의 제작이 가능하여 제품의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
본 대상기술의 선택적인 전자파 차폐 장치는 기존의 전자파 차폐 장치 시장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신규시장의 창출 제품임. Wi-Fi 전자파 차폐가 필요한 블라인드, 벽지와 같은 형태의 기능성 건축자재로 제품화 및 사업화가 가능함. 건축자재 외에 인체 유해 전자파 차단이 필요한 제품 및 전파 방해, 간섭 문제 해결이 필요한 하이패스 시스템과 같은 정보통신 시스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등 폭넓게 적용 가능함. 인체 유해 전자파로부터의 국민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며 국방 분야에 활용시, 스텔스 기술의 확보를 통한 자주 국방기술 강화가 가능
100 : 전자파 차폐 괸리 시스템 110 : 측정부
120 : 비콘 130 : 전자파 관리 서버
140 : 사용자 단말 150 : 구동부
1000 : 단위셀 1100 : 유전체 레이어
1200 : 루프

Claims (7)

  1. 루프를 포함하는 단위셀들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유전체 레이어와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유전체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전도체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
    Figure pat00004
    ' 형상인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한 변의 길이가 0.15 λ인 정사각형 윤곽을 가지는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를 구성하는 라인의 폭은 0.5mm이고, 상기 라인 사이 간격은 0.5mm인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
  4. 제 1 항의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가 외면에 결합하여 설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는 창에 설치되어 상기 창을 오픈 또는 차단하는 블라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장치.
  6. 제 4 항의 전자파 차폐장치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장소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여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는 측정부;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를 구동하여 설정 공간의 전자파를 차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구동부;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자파 세기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전자파의 세기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신호를 푸시하는 전자파 차폐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모니터링하는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
  7. 제 4 항의 전자파 차폐장치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장소의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여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는 측정부;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를 구동하여 설정 공간의 전자파를 차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구동부;
    전자파 차폐 관리 영역에 설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전송하는 비콘; 및
    상기 비콘과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전자파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전자파 측정값이 설정값이상이면 전자파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전자파 차폐장치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관리 시스템.
KR1020170042046A 2017-03-31 2017-03-31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KR10191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046A KR101910644B1 (ko) 2017-03-31 2017-03-31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046A KR101910644B1 (ko) 2017-03-31 2017-03-31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294A true KR20180111294A (ko) 2018-10-11
KR101910644B1 KR101910644B1 (ko) 2018-10-23

Family

ID=6386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046A KR101910644B1 (ko) 2017-03-31 2017-03-31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3441A (zh) * 2020-02-17 2020-06-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吸透波一体化吸波器
CN112437599A (zh) * 2019-08-26 2021-03-02 上海戎科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结构
CN112437599B (zh) * 2019-08-26 2024-06-11 上海戎科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7599A (zh) * 2019-08-26 2021-03-02 上海戎科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结构
CN112437599B (zh) * 2019-08-26 2024-06-11 上海戎科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结构
CN111293441A (zh) * 2020-02-17 2020-06-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吸透波一体化吸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644B1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ooq et al. Polarization insensitive dual 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RF shielding through glass windows
US9030373B2 (en) Transparent film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99223B1 (ko) 개폐식 전자파 흡수 장치
KR101826355B1 (ko) 전자파 잔향실
WO2013182104A1 (zh) 吸波装置及无线终端
TW201220600A (en) Structure for adjusting EM wave penetration response and antenna structure for adjusting EM wave radiation characteristic
Guan et al. The novel frequency selective fabric and application research
Jiang et al. Exploiting metasurface anisotropy for achieving near-perfect low-profile cloaks beyond the quasi-static limit
US6147302A (en) Frequency selectiv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910644B1 (ko)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JP2017045743A (ja) 小型電子機器用の電磁波シールド材
WO1998009490A1 (fr) Vitre presentant une propriete de blindage electromagnetique
KR101997707B1 (ko) 주파수 선택 표면 구조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장치 관리 시스템
Costa et al. Ultra-thin absorbers by using high impedance surfaces with resistive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Elhence et al. Notice of retrac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due to cellular, Wi-fi and Bluetooth technologies: How safe are we?
Fung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AR reduction on commercial products and shielding materials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Ga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UWB on-body communication under WiMAX off-body EMI existence
US9287626B2 (en) Antenna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Tripathi et al. A performance study of a fractal UWB antenna for on‐body WBAN applications
CN112688085B (zh) 一种5g新型降低sar的柔性薄膜
CN205211925U (zh) 一种金属机壳及电子设备
Sharma et al. EMI shielding using flexible optically transparent screens for smart electromagnetic environments
Marzban et al. Wideband and multi-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for microwave shielding
CN202034480U (zh) 具有滤波功能的微带天线
Alomainy et al. Antennas for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