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563A - Holder - Google Patents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0563A KR20180110563A KR1020170040320A KR20170040320A KR20180110563A KR 20180110563 A KR20180110563 A KR 20180110563A KR 1020170040320 A KR1020170040320 A KR 1020170040320A KR 20170040320 A KR20170040320 A KR 20170040320A KR 20180110563 A KR20180110563 A KR 201801105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engaging
- hole
- coupling
- bottom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9—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 B65D71/0062—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for holding one row of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3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formed by finger-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holder for take-out which can be recycled after use
본 발명은 사용 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테이크 아웃용 음료용 홀더의 경우 여러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여 개당 단가가 비싸거나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구성이 높지 않아 한잔 정도의 음료만 넣어도 운반할 때 쉽게 구조가 해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한번 사용한 후에는 재활용하는 경우가 없이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36723호 '음료용기 운반수단'은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은 캐리어 판지 아래쪽으로 컵이 삽입되는 컵홀을 만들고 캐리어 판지의 양단이 마주닿은 상태에서 한손으로 파지 할 수 있도록 하며 모서리 부위에서 절취되도록 하여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결합부위가 중심으로부터 멀게 있으며 아래쪽으로 계속적으로 컵에 의하여 걸리는 중력에 의하여 가장자리부터 결합이 해체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종래에 사용되는 이러한 운반수단은 재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수록 자원이 더 많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holder for take-out which can be recycled after use.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holders for take-out beverages are used. However, sin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cost is high, and when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durability is not high. . In addition, after use once, there were many cases of discarding without being recycl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6723 Claims that a material capable of being bent can be a cup hole for inserting a cup into a lower side of a carrier cardboard and can be grasped with one hand while both ends of the carrier cardboard face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coupling. However, the joint is far from the center,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joint is disassembled from the edge by gravity, which is continuously caught by the cup.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transportation means is often not recyclable or used for other purposes, so that the more costly it takes to manufacture, the more resources are wast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이 쉽고 견고하면서도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holder that is easy to assemble, is robust, and can be recycled for other purpos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를 제공하는데, 판형태의 밑판(11)의 내부에는 한 개이상의 구멍형태의 수용홈(12)이 형성되고 밑판(11)의 양옆으로는 측면부(14)가 형성이 되며 측면부의 타측으로는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가 형성이 되며 제1손잡이부(15)의 안쪽에는 구멍형태의 제1결합공(17)이 형성이 되며 제2손잡이부(16)에는 구멍형태의 제2결합공(18)이 형성이 되며 제2손잡이부(16)의 측면으로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19), 제2결합부(20),제3결합부(21)가 차례로 형성이 되어 맞닿은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사이로 제3결합부(21)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접어 전체적으로 결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is provided a drink holder for take-out, wherein at least one hole-shaped receiving groove 12 is formed in the plate-shaped bottom plate 11, The first grip portion 15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6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the first grip portion 15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rip portion 15, And the second handle 16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18 in the form of a hole and the first handle 15 and the second handle 16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16, The first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중 어느 한쪽 이상에는 서로 마주보며 찢어진 형태의 칼선(22)이 형성되어 제3결합부(21)의 측면이 칼선(22)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A tear line 22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15 and 16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engagement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curl 22 can do.
밑판(11)과 측면부(14)사이에는 연결부(13)가 형성이 되어 밑판(11)과 수직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A connecting
제3결합부(21)의 양측면에는 결합을 위한 돌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Protruding grooves for engaging can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third engaging portion 21. [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견고한 테이크아웃용 음료 홀더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lid drink holder for a take-out.
도1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1 to 10 show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첨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밑판(11)에는 수용하는 컵의 크기에 따라서 크기가 달라지며 컵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이 형성된다. 밑판(11)의 크기와 컵의 크기에 따라서 수용홈은 4개 정도까지 형성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11 has a receiving groove 12 for accommodating the cup, the size of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ceiving cup.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se plate 11 and the size of the cup, up to four receiving grooves can be formed.
밑판(11)의 양 옆으로는 연결부(13)가 형성이 되며 연결부(13)의 반대쪽 단으로 측면부(14)가 형성이 된다. 즉, 밑판(1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연결부(13), 측면부(14)가 차례로 형성이 된다. 측면부(14)의 옆쪽으로는 다시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가 형성이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홀더에서는 측면부(14)는 수용홈(12)이나 결합공같은 구성부분이 형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이 되는데 측면부(14)에는 손으로 뜯으면 뜯을 수 있는 평면형태의 전개도(31)가 형성이 된다. 또한, 전개도(31)는 측면부(14)의 크기만을 넘지않으면 다양한 형태의 전개도를 넣는 것이 가능하다. A connecting
또한, 전개도를 넣을 때 홀더의 외곽선 부분처럼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뜯기 좋도록 매우 작은 부분만 붙어있는 절개선(32)부분과 떼어지지는 않고 접히는 부분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접힘선(33)을 성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olding line 33 is formed so as to be used as a folded portion without being peeled off and a folded portion 32 having only a very small portion so as not to be completely separated as the outline portion of the holder when the developed view is inserted, .
종래에 홀더는 한번 쓰고 버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로서 사용한 뒤에도 측면부(14)에 형성된 전개도를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홀더는 음료수를 판매하는 매장에 따라서 다양한 색깔과 무늬를 이용하여 장식을 하게 되는데 별도의 전개도를 떼어내어 전개도를 조립하는 경우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인형과 같은 소품을 접을 수 있게 되면 홍보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 In many cases, the holder is often used once and then discard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eloped view formed on the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측면부(14)에 떼어낼 수 있는 형태의 또다른 전개도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Fig. 2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developed view of the
도3에는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커피캐리어로 사용한뒤 전개도를 떼어내어 작은 캐릭터 인형을 만든 형태를 도시한다. 홀더 자체의 무늬가 새로운 전개도로 만든 인형에서는 새롭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3 shows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doll is used as a coffee carrier and the developed view is removed to make a small character doll. You can see that the pattern of the holder itself is newly appeared in the doll made with new development figure.
또한, 제1손잡이부(15)의 안쪽에는 구멍형태의 제1결합공(17)이 형성이 되며 제2손잡이부(16)에는 구멍형태의 제2결합공(18)이 형성이 되며 제2손잡이부(16)의 측면으로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19), 제2결합부(20),제3결합부(21)가 차례로 형성이 된다. 제1결합부(19)는 제1손잡이부(15)쪽으로 접었을 때 맞닿아 있는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사이로 제3결합부(21)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접힌다. 제2결합부(20)는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의 측면을 덮어서 제3결합부(21)가 제1결합부(19)의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A first coupling hole 17 in the form of a hole is formed in the first handle 15 and a second coupling hole 18 is formed in the second handle 16 in the form of a hole. A first
즉, 밑판(11)이 바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측면부(14)가 세워지는데 연결부(13)가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13)의 폭만큼 위쪽으로 연장되다가 두 개의 측면부(14)가 서로 맞닿도록 삼각형 형태로 접혀지게 된다. 이대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데 반드시 외곽선이 완전히 일치할 정도로 맞닿을 필요는 없으며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의 상측부가 맞닿을 정도면 충분하다. 상측부만 맞닿게 되면 제1결합부(19)와 제2결합부, 제3결합부(21)가 차례로 접혀지면서 전체적인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더구나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은 운반할 때 손을 넣어서 잡을 수 있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1결합부(19), 제2결합부(20), 제3결합부(21)가 이루는 결합은 사용자가 잡게 됨으로써 견고함이 더해진다. 도2에 결합의 예를 도시하는데 제1결합부(19)가 제1손잡이부(15)를 덮고 제3결합부(21)가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을 관통하여 결합을 이루게 된다. 즉, 두 개의 종이부를 완전히 감싸는 상태에서 다시 손으로 잡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engaging hole 17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18 are formed so as to be hand-held when being transported, the first
제1결합부(19)가 접히는 방향은 도2에서와 반대 방향이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도5에 도시하였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도6은 제1손잡이부(15)에 칼선(22)을 형성한 형태를 도시하는데 두개의 칼선(22)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제1결합부(19)가 완전히 접힌상태에서 제1결합부(19)의 양쪽 측면이 칼선(22)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고정이 된다. 중력은 아래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력과 수직방향으로 칼선(22)에 결합하는 제1손잡이부(15)는 견고한 결합이 되며 칼선을 이용한 결합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6 shows a shape in which a curved line 22 is formed on the first handle 15. The two curved lines 22 are facing each oth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도7은 도6의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결합한다. 양쪽으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칼선은 양쪽으로 형성할 수 있다. Figure 7 join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se of Figure 6. The curved line can be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it can be joined on both sides.
도8은 실제로 만들어진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에서는 제1결합부의 양쪽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칼선에 끼워 넣었다. Fig. 8 shows an embodiment actually made. In Fig. 6,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sandwiched in a curved line.
연결부(13)는 사용되는 컵의 종류에 따라서 측면부(14)가 컵의 상단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13)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부(13)가 존재하는 경우 측면부(14)이외에도 연결부에 떼어낼 수 있는 전개도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도9,10은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9에는 날개부(35)가 도시되는데 날개부는 밑판의 옆쪽으로 (측면부와 연결부가 연결되지 않는 쪽으로) 형성되는데 1개 혹은 두 개의 날개부(35)가 형성되며 날개부(35)에는 밑판에 형성된 수용홈(12)과 같은 수의 컵지지부(34)가 형성이 된다. 통상 컵은 바닥부터 상단부까지 조금씩 크기가 커지는 형태인 경우가 많은데 수용홈(12)과 크기가 맞지 않으면 수용홈(12)이 컵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혹은 컵에 든 내용물 때문에 많이 흔들릴 것 같은 경우 날개부(35)를 접어서 컵의 위쪽에 끼운다. 좀더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때에는 날개부(35)를 도9와 같이 두 개 형성하여 컵위쪽에 씌우게 되면 컵지지부(34)에 의하여 컵이 고정되기 때문에 컵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Figures 9 and 10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9 shows a
이를 위하여 컵지지부(34)는 안쪽으로 다수개의 칼선을 내어 컵이 통과하도록 하는데 칼선에 의해 분리된 부분이 컵을 잡을 수 있도록 컵지지부(34)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칼선이 형성되도록 한다. For this purpose, the
11: 밑판
12: 수용홈
13: 연결부
14: 측면부
15:제1손잡이부
16: 제2손잡이부
17:제1결합공
18:제2결합공
19:제1결합부
20:제2결합부
21:제3결합부
22: 칼선
34: 컵지지부
35: 날개부11: base plate 12: receiving groove
13: connection part 14: side part
15: first handle portion 16: second handle portion
17: first engaging hole 18: second engaging hole
19: first engaging portion 20: second engaging portion
21: third coupling portion 22:
34: Cup support 35:
Claims (4)
판형태의 밑판(11)의 내부에는 한 개 이상의 구멍형태의 수용홈(12)이 형성되고 밑판(11)의 양옆으로는 측면부(14)가 형성이 되며 측면부의 타측으로는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가 형성이 되며
제1손잡이부(15)의 안쪽에는 구멍형태의 제1결합공(17)이 형성이 되며 제2손잡이부(16)에는 구멍형태의 제2결합공(18)이 형성이 되며 제2손잡이부(16)의 측면으로 제1손잡이부(15)와 제2손잡이부(16)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19), 제2결합부(20),제3결합부(21)가 차례로 형성이 되어 맞닿은 제1결합공(17)과 제2결합공(18)사이로 제3결합부(21)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접어 전체적으로 결합이 형성되도록 하며
측면부(14)에는 사용후 떼어내서 사용할 수 있는 전개도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A beverage holder for a take-out which is capable of fixing a beverage container and is recyclable,
One or more hole-shaped receiving grooves 12 are formed in the plate-shaped bottom plate 11 and side portions 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portions is provided with a first handle portion 15 and the second handle 16 are formed
A first coupling hole 17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handle 15 and a second coupling hole 18 is formed in the second handle 16, A first engaging portion 19, a second engaging portion 20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21 for engaging the first grip portion 15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6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rip portion 16 in this order So that the third engaging portion 21 can be push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engaging hole 17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18,
Characterized in that a side view (14) is printed with a developed view that can be removed and used after use.
Beverage holder for take-out which can be fixed and recyclable
4.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connection portion (13)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4) and is vertically folded with the bottom plate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0320A KR20180110563A (en) | 2017-03-29 | 2017-03-29 |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0320A KR20180110563A (en) | 2017-03-29 | 2017-03-29 |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0563A true KR20180110563A (en) | 2018-10-10 |
Family
ID=6387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0320A KR20180110563A (en) | 2017-03-29 | 2017-03-29 |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056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358A (en) * | 2018-10-24 | 2020-05-07 | 손준 | A cup carrier made of wing part for fixing in cup insert part |
KR200492439Y1 (en) * | 2019-05-10 | 2020-10-14 | 한승연 | Carrier for flowerpot |
-
2017
- 2017-03-29 KR KR1020170040320A patent/KR20180110563A/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358A (en) * | 2018-10-24 | 2020-05-07 | 손준 | A cup carrier made of wing part for fixing in cup insert part |
KR200492439Y1 (en) * | 2019-05-10 | 2020-10-14 | 한승연 | Carrier for flowerp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3464B2 (en) | Combination a food plate having detachable, re-attachable eating utensils | |
US20100059392A1 (en) | Cup Carrier | |
KR101380398B1 (en) | Disposable cup carrier | |
KR101546330B1 (en) | Carrier of drink container | |
WO2016200065A1 (en) |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 |
CA2714950C (en) |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arrier | |
KR20180110563A (en) | Holder | |
KR101589460B1 (en) | Cup carrier | |
KR101221758B1 (en) | Cup carrier | |
KR20110114967A (en) | Disposable cup carrier | |
US20100096397A1 (en) | Cup Carrier for Inserting in a Bag | |
KR20180002890U (en) | Holder | |
KR20180002876U (en) | Holder | |
KR101200164B1 (en) | Cup carrier | |
KR102069687B1 (en) | Carrier of drink container | |
US20150060532A1 (en) | Food Product Holder | |
KR20200046359A (en) | Holder | |
JP2008056328A (en) | Blister container | |
KR20180002672U (en) | Holder | |
KR101545832B1 (en) | Versatile cup carrier | |
KR20190017106A (en) | Carrier of drink container | |
JPH0110370Y2 (en) | ||
KR102112324B1 (en) | A cup carrier made of wing part for fixing in cup insert part | |
JP4085126B1 (en) | Container for cleaning tool | |
GB2369769A (en) | Fold-flat tr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