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687B1 - Carrier of drink container - Google Patents

Carrier of drink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87B1
KR102069687B1 KR1020190149005A KR20190149005A KR102069687B1 KR 102069687 B1 KR102069687 B1 KR 102069687B1 KR 1020190149005 A KR1020190149005 A KR 1020190149005A KR 20190149005 A KR20190149005 A KR 20190149005A KR 102069687 B1 KR102069687 B1 KR 10206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everage container
development
coupl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1471A (en
Inventor
손준
Original Assignee
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 filed Critical 손준
Priority to KR102019014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8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65D71/4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8Foldable carton-boxes simulating, or transformable into, a special configuration, e.g. a car, a house, an ani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용기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전개도부를 포함하여 전개도부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1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상기 하면부의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2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전개도부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2개의 손잡이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2개의 손잡이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단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접힘 가이드선에서 상기 삽입홀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전개도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2개의 손잡이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2개의 손잡이부 슬릿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손잡이부 슬릿으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이다.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disclosed.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using the development part including the development part.
I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de of paper, the lower surface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guide A first side portion which is divided by a line and includes at least one first exploded view portion enclosed by a cutting line, which is a line formed by a cut line of a dotted line or a chain lin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facing the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folding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A second side portion, each of which is divided by a guide line and surrounded by a perforation line, which is a line formed by a cut line of a dotted line or a chain line, and includes a second development portion formed in a greater number than the first development portion, respectively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two side portions Two handle parts which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part which can couple the two handle parts,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hole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two handle parts and a coupling piece into which the coupling hole can be inserted,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and the secon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developed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art is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folded guide lines to the insertion hole and from the first developed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The shortest distance of is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econd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art, and the development part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along the perforation lin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fter being separat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It can be assembled, the handle portion has two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guide line and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 handle part slit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protrude outward from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wo handle part slits, and when the coupl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are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slit. The side edge is an edg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lded guide lines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Description

음료용기 캐리어{Carrier of drink container}Carrier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수용된 컵 등 음료용기를 복수 개 거치하고도 한 손으로 쉽게 파지하고 운반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에 과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at can be easily gripped and transported with one hand even after mounting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ups containing the beverage.

최근 커피, 주스, 차 등 음료의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매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매장에서 손님이 머물면서 음료를 마시는 것 이외에 음료를 테이크아웃(takeout)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한 명의 손님이 복수의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경우, 매장에서는 복수의 음료용기를 한 손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Recently, the number of stores specializing in the sale of beverages such as coffee, juice and tea is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drinking drinks while customers stay in these stores, the proportion of takeout is increasing. When one guest takes out a plurality of beverages, it is common for a store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which can easily carry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with one hand.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주로 박스 재질의 판지재로 형성되고, 접어서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에 개시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mainly formed of a cardboard material of the box material, was folded to form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beverage container in general.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disclosed in.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복잡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리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보관을 위해서 상당한 공간을 점유한다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carrier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receive a beverage container because of its complicated folding structure, and occupies considerable space for storage because of its relatively large volume.

음료용기 캐리어는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매장 외부로 반출된 후 다시 회수되는 것이 어려워 사실상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손님 입장에서도 사용 후의 음료용기 캐리어를 처리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실정이다. 또한, 음료용기 캐리어가 한 번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은 자원 낭비를 유발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가 있다.Beverage container carriers can be used repeatedly as long as they are not severely damaged, but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recover them after they have been taken out of the store and, in fact, is used for practical use. In addition, it is a situation where a visitor feels a burden in processing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fter use. In addition, the disposal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nce used has a problem that causes waste of resources and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따라서 접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보관 시 공간효율성이 높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 캐리어가 요구되어 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having a simple folding structure, small volume, high space efficiency when storing, and recyclable in various way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이 용이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at can be easily stored because the folding structure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accommodate the beverage container, the volume is relatively smal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음료용기 캐리어를 음료용기를 운반하는데 사용한 이후에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which is recyclable for other uses after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used to carry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1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상기 하면부의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2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전개도부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2개의 손잡이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2개의 손잡이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단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접힘 가이드선에서 상기 삽입홀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전개도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2개의 손잡이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2개의 손잡이부 슬릿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손잡이부 슬릿으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이다.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de of pap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lower surface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A first side portion, which is divided into a portion and a first folding guide line, and includes at least one first development portion surrounded by a cut line, which is a line formed by a dashed line or a dashed lin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facing the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 second side portion including a second development portion, which is divided into a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folding guide line, and is surrounded by a perforation line, which is a line formed by a cut line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or a chain line, and is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first development portion; Two handle parts and two handle parts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extend from an upper end of the side part can be combined. A coupling part having a hole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the central part of the two handle parts, and a coupling piece into which the coupling hole can be inserted, from the first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ortion is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folded guide lines 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development part from the first development part.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ortion is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econd development portion to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ortion, and the developed por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side portion along the perforation line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separation After being assembled, it can be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handl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guide line and to each other. Two handle part slits are formed so as to be arranged,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protrude outward from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wo handle part slits, and when the coupl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slit, the side edge is an edg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econd folded guide line and the first, second handl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어느 하나의 전개도부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다른 하나의 전개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development view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portion includes a coupling groove, the other developmen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view portion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folding structure can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accommodate the beverage contai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volume is relatively smal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음료용기를 운반하는데 사용한 이후에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recycled for other uses after being used to transport the beverag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1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2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부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unfol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side portion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developme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assembly and a seco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art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a part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related persons or customs in the art.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unfol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A beverage container carri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캐리어는 판지재의 종이로 형성된다. 음료용기 캐리어의 판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한다. 내면은 음료용기 캐리어가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해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하고, 외면은 외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한다.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Specifically,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formed of paper of cardboard. The cardboard material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ncludes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corresponds to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while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mount the beverage container, the outer surface corresponds to the surface facing the outside.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판지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으로 인해 판지재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모두에 코팅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dboard material form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be coated wit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Due to the coat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dboard, the cardboard may not absorb moisture and its durability may be improved. Specifically, the cardboard material form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preferably coated on bo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의 내면과 외면에는 각종 정보 및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지재의 외면에는 음료용기 캐리어가 수납하는 음료를 판매하는 매장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 캐리어가 음료용기를 수납하게 되면 매장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판지재의 내면에는 후술할 전개도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는 전개도부가 조립된 이후에 외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에 전개도부의 조립체의 외면에 맞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may be print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ardboard material form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may be printed information on the store that sells the beverage hou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refor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mmodates the beverage container, information about the stor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image may be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ember to be developed later.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developed part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may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after the developed part is assembled. Therefor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of the developing part may be printed on the develop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하면부(100), 측면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1 to 4,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100, a side portion 200, and a handle portion 300.

여기서, 상부, 하부, 측부 등의 방향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가 정상적인 상태로 사용될 경우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기준을 잡고 정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도 도면의 아래 방향이 하방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였다.Here, the direction of the upper, lower, side, etc.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direction toward the ground downwar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normal state. 1 and 2 are also shown based o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drawings.

하면부(100)는 음료용기 캐리어가 사용되기 위해서 손잡이부(300)가 결합된 경우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면부(10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100)에는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삽입홀(110)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삽입홀(110)이 2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surface part 100 is a part which forms the bottom surface when the handle part 300 is combined in order to us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le or a square.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At least on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1 illustrates that two insertion holes 110 are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삽입홀(110)은 음료용기(5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1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홀(110)은 음료용기(50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500)의 하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위 부분에 위치하여 삽입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료용기(500)는 하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좁고, 상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거꾸로 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거나 삽입홀(110)에 거치되기 위한 별도의 거치부를 마련한 형태일 수 있다.Insertion 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500 can be mounted.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mounted by inserting the beverage container 500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500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110, the upper portion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mounted on the insertion hole (110). To this end, the beverage container 5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inverted truncated cone or the lower portion is relatively narrow, the upper portion is relatively wide upside down or provided with a separate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in the insertion hole (110).

삽입홀(1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용기(예를 들어, 커피 용 일회용 컵)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삽입홀(110)은 70mm 내지 9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110)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삽입홀(110)에 거치되는 음료용기(500)는 상단 부분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인접한 삽입홀(110)이 충분히 이격되지 않는 경우 음료용기(500)가 거치되었을 때 음료용기(500) 상단끼리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Insertion 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commonly used beverage container (for example, disposable cup for coffee) is stably placed. Specifically,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70mm to 90mm. When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0 are formed, the insertion holes 11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500 mounted on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gradually widens. When the adjacent insertion hole 110 is not sufficiently spaced apart, the beverage container 500 is mounted thereon. When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50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105)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부(201) 및 하면부(100)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ortion 200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200 may extend from both ends 105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facing each other. The side portion 200 may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20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and a second side portion 20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의 각각의 끝단(105)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측면부(200)의 상단 부분에서 각각 연장된 손잡이부(300)가 서로 맞닿게 된다. 손잡이부(300) 및 이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02 extend at the same or similar length at each end 105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Therefore, the handle portions 300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andle portion 300 and its coupling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측면부(200)와 하면부(100)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105)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 가이드선(105)은 판지재를 접기 위해 외력을 가했을 때 미리 정해진 라인을 따라 접히도록 가압 라인 등을 형성한 것이다. 접힘 가이드선(105)는 하면부(100)와 제1 측면부(201)를 구분하는 제1 접힘 가이드선과 하면부(100)와 제2 측면부(202)를 구분하는 제2 접힘 가이드선이 있을 수 있다.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에서 서로 마주보게 접히게 된다. A folding guide line 105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portion 20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The folding guide line 105 is a pressing line or the like to be folded along a predetermined lin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fold the cardboard. The folding guide line 105 may have a first folding guide line that separates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and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01 and a second folding guide line that separates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202. have.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02 are folded to face each other at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측면부(200)에는 전개도부(400)가 포함된다. 전개도부(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side portion 200 includes a development view 400. The development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손잡이부(300)는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제1 측면부(201)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1 손잡이부(301)로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2 손잡이부(302)로 지칭하도록 한다.The handle portion 300 extends from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02, respectively. The handle portion 300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portion 201 is referred to as a first handle portion 301, and the handle portion 300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portion 202 is referred to as a second handle portion 302. Do it.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측면부(200)가 하면부(100)에서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구멍형태의 결합공(310)과 결합공(31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맞닿아 대응되는 결합공(310)을 포함하고, 제1 손잡이부(301)에 2개의 결합공(310)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310)은 결합된 이후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구멍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first handle part 301 and the second handle part 30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ide part 200 is folded in the lower surface part 100. The first handle portion 301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302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hole 310 that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10 and the coupling hole 310 in the form of a hole. The first handle portion 301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302 abut each other includes a corresponding coupling hole 310, the first handle portion 301 to be inserted through the two coupling holes 310 to be inserted. The coupling piece 320 may be formed. Coupling hole 310 may be utilized as a handle hole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to put a finger after being coupl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1 측면부(20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2 측면부(20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portion 202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부(200)는 전개도부(400)를 포함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절취선(405)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된다. 절취선(405)은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으로,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면 전개도부(400)가 절취선(405)을 따라 주변의 측면부(200)에서 분리되게 된다.5 and 6, the side part 200 includes a development part 400. The developed view 400 is form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cutting line 405 on the side portion 200. The perforated line 405 is a line formed by a dashed line or a dashed line, and when a slight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developed part 400 is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200 around the perforated line 405.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개도부(400)는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에 각각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개도부(400)는 모두 6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6개의 전개도부(400) 중 하나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5개는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1 전개도부(401)라고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2 전개도부(402)라고 지칭하도록 한다.A plurality of development unit 400 may be formed on the side portion 200. The plurality of expanded view portions 400 may be divided into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02, respectively. 5 and 6, six developed views 400 are shown. One of the six exploded views 400 is formed in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other five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portion 20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veloped part formed on the first side part 201 is referred to as a first developed part 401, and the developed part formed on the second side part 202 is referred to as a second developed part 402.

제1 측면부(201)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1 전개도부(401)가 이격된 거리를 A라고 하고, 제2 측면부(202)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전개도부(402)가 이격된 거리를 B라고 하면 A가 B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first development portion 401 is referred to as A, and a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ortion 202 and the second development portion 402 is referred to as B. A may be formed longer than B.

여기서, 제1 측면부(201)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2 측면부(202)의 측면 가장자리는 접힘 가이드선(105)과 제1, 제2 손잡이부(301, 302)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한다.Here,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ortion 202 means an edge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 105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301 and 302. .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제2 전개도부(401, 402)가 모두 제1, 제2 측면부(201, 20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측면부(201)가 제2 측면부(202)보다 더욱 견고하게 삽입되어 있는 컵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개의 측면부(201, 202)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가 컵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xploded views 401 and 402 are all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201 and 202, the first side portion 201 is more than the second side portion 202. It can support the cup more firmly inserted. As a result, at least one side portion of the two side portions 201 and 202 may secure sufficient durability to support the cup.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상하단 및 양측단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개도부(400)는 하면부(100)와 측면부(200) 사이의 접힘 가이드선(431)과 손잡이부(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측면부(200)에 복수의 전개도부(40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전개도부(4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개도부(400)가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함이다.The development view 40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portion 200. Specifically, the developed view 40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both side ends of the side portion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the developed view 4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 431 and the handle 300 between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and the side portion 200. When a plurality of expanded view portions 400 are formed in one side portion 200, each of the developed view portions 400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is to stably mount the beverage container even after the development part 400 is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2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부(400)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development view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410) 및 슬릿(4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삽입편(420)을 포함한다. 슬릿(410)은 전개도부(400)가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칼선을 의미한다. 삽입편(420)은 대략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슬릿(410)에 한 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eveloped part 400 is provided to be assembl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200. In detail, the development view 400 includes at least one slit 410 and an insertion piece 420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lit 410. The slit 410 refers to a cut line in which the developed view 400 is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insertion piece 4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hombus shape and may not be easily removed agai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410 once.

전개도부(400)는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면(430)은 전개도부(400)가 조립될 경우, 접힘에 의해 구분되는 면들이다. 복수의 면(430)은 접힘 가이드선(43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면(430) 중 인접하는 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접힘 가이드선(431)을 따라 접힐 수 있다.The development view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ces 430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urfaces 430 are surfaces separated by folding when the development unit 400 is assembled. The plurality of surfaces 430 may be divided by the folding guide line 431. Adjacent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430 may be folded along the folding guide line 431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서로 결합되는 슬릿(410)과 삽입편(420) 사이에는 복수의 면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면 양단에 위치한 슬릿(410)과 삽입편(420)은 복수의 면들이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되고, 슬릿(410)과 삽입편(420)이 결합되어 복수의 면들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슬릿(410)과 삽입편(420) 사이에 4개의 면이 있는 경우, 4개의 면이 상하좌우면을 이루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plurality of surfaces may be located between the slit 410 and the insertion piece 420 coupl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slit 410 and the insertion piece 42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lurality of surfaces are folded, and the slit 410 and the insertion piece 420 are combined to form a plurality of surfaces. It has a shape. For example, when there are four surfaces between the slit 410 and the insertion piece 420, the four surfaces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by form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urfaces.

전개도부(400)의 복수의 면 중 일부의 일면은 일면에서 연장되는 날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면과 날개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441)이 형성되고, 슬릿(410)은 접힘 가이드선(4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440)는 전개도부(400)가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되는 경우, 입체적인 형상 내부로 접혀 들어가는 부분이다. 날개부(440)가 입체적인 형상 내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면 슬릿(410)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삽입편(420)이 삽입되기 쉽게 된다.One surface of som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development view 400 may include a wing 440 extending from one surface. The folding guide line 441 may be formed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wing, and the slit 410 may be formed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 441. The wing 440 is a portion that is folded in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when the expanded view 400 is assembl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When the wing 440 is fold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gap between the slits 410 is widened, and the insertion piece 420 is easily inser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assembly and a seco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복수의 전개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 및 제2 전개도부(402)는 각각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가 조립된 것을 제1 조립물(501)이라 지칭하고, 제2 전개도부(402) 중 어느 하나가 조립된 것을 제2 조립물(502)이라 지칭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elopment view 400. The first development part 401 and the second development part 402 may be assembl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respectively. An assembly of the first development unit 401 is referred to as a first assembly 501, and an assembly of any one of the second development units 402 is referred to as a second assembly 502.

제1 조립물(501)과 제2 조립물(50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물(501)은 결합홈(510)을 포함하고, 제2 조립물(502)을 결합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510)은 내부로 연통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돌기(520)는 결합홈(5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520)는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결합홈(510)에 한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ssembly 501 and the second assembly 502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rst assembly 501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510, and the second assembly 502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520. Coupling groove 5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the coupling protrusion 52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0 is coupled. Coupling protrusion 520 is formed in a rhombus may be formed so as not to fall easily agai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0 once.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전개도부(400)의 조립물(500)은 결합되어 하나의 조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조형물은 예를 들어, 사람 또는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고, 조립된 이후에 상기 이미지는 조립물의 외면을 이루게 된다. 조립물들이 하나의 조형물로 조립되면,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이미지가 나오도록 이미지가 전개도부(400)에 미리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assembly 500 of all the developed parts 400 may be combined to form a single sculpture. The sculpture may be, for example, a human or animal. The developed part 400 is an image print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and after being assembled, the image forms an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When the assemblies are assembled into one sculpture, the image may be pre-printed on the development view 400 so that a predetermined image as a whole comes out.

음료용기 캐리어에는 전개도부(400)의 조립 방법 및 결합 방법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음료용기 캐리어 중 전개도부(400)가 아닌 다른 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have a description of an assembly method and a bonding method of the developed view 400. This description is preferably display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development portion 400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상술한 것과 같이, 음료용기 캐리어가 포함한 전개도부(400)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자는 사용한 후의 음료용기 캐리어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전개도부(400)를 조립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것에 따른 유희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형물을 친근감 있는 캐릭터 등으로 제작하여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ulpture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developed part 400 included i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erefore, the user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n use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fter use for a new purpo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feel the joy of assembling the expanded view 400 to produce a sculptur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marketing by making the sculptures with friendly characters.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의 전개도부와 삽입홀의 위치 관계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1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view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105)에서 삽입홀(110)까지의 최단거리를 D1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제1 전개도부(401)에서 제1 측면부(201)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D4, D5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제2 전개도부(402)에서 제2 측면부(202)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D2, D3라고 지칭한다. 측면부(200)의 측면 가장자리는 2개가 존재하므로, 전개도부(400)에서 측면부(200)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한 전개도를 기준으로 2개가 존재한다.Firs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folded guide lines 105 to the insertion hole 110 is referred to as D1. In addition, distances from the first development part 401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201 are referred to as D4 and D5. The distances from the second development part 402 to the side edges of the second side parts 202 are referred to as D2 and D3. Since two side edges of the side part 200 exist, two distances from the development part 400 to the side edge of the side part 200 exist based on one development view.

여기서, 측면 가장자리는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105)과 제1, 제2 손잡이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인Here, the side edge is an edg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guide line 105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 300.

여기서, D1은 D2, D3, D4 및 D5 중 최단거리보다 작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D2, D3, D4 및 D5 중 최단거리는 D3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1은 D3보다 작다.Here, D1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among D2, D3, D4, and D5. That is, 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shortest distance among D2, D3, D4, and D5 is D3. Therefore, D1 is smaller than D3.

그리고 D4와 D5 중 최단거리는 D2와 D3 중 최단거리보다 크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D4와 D5 중 최단거리는 D5이다. 그리고 D2와 D3 중 최단거리는 D3이다. 따라서 D5는 D3보다 큰 것이다.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D4 and D5 is lar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D2 and D3. That is, referring to FIG. 10,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D4 and D5 is D5.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D2 and D3 is D3. Thus D5 is greater than D3.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삽입홈에 삽입된 컵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Due to this feature, the cup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can be mounted stably and firmly.

이상,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in ligh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하면부 105: 접힘 가이드선
110: 삽입홀
200: 측면부 201: 제1 측면부
202: 제2 측면부
300: 손잡이부 301: 제1 손잡이부
302: 제2 손잡이부 310: 결합공
320: 결합편
400: 전개도부 401: 제1 전개도부
402: 제2 전개도부 405: 절취선
410: 슬릿 420: 삽입편
430: 전개도의 면들 431: 접힘 가이드선
440: 날개부 441: 접힘 가이드선
500: 조립물 완성품 501: 제1 조립물
502: 제2 조립물 510: 결합홈
520: 결합돌기
100: lower surface portion 105: folding guide line
110: insertion hole
200: side portion 201: first side portion
202: second side portion
300: handle portion 301: first handle portion
302: second handle portion 310: coupling hole
320: joining piece
400: developed view 401: first developed view
402: second expanded view 405: perforation line
410: slit 420: insertion piece
430: faces of the development view 431: folding guides
440: wing 441: folding guide line
500: assembly finished product 501: first assembly
502: second assembly 510: coupling groove
520: engaging projection

Claims (2)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1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상기 하면부의 상기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와 제2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고,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인 절취선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1 전개도부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 및
상기 2개의 손잡이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2개의 손잡이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멍형태의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중 최단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접힘 가이드선에서 상기 삽입홀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 전개도부에서 상기 제2 측면부의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전개도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2개의 손잡이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2개의 손잡이부 슬릿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편의 양단은 상기 손잡이부 슬릿으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제2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인 음료용기 캐리어.
I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de of paper,
A lower surfac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A first side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first side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exploded view portion which is divided in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guide line and surrounded by a cut line which is a line formed by a dashed line or a dashed line;
Extends from the other end facing the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divided into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folding guide line, surrounded by a cut line which is a line formed by a cut line of a dotted line or a chain line shape, and is formed in a greater number than the first development view portion; A second side portion including a second developed view portion;
Two handle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two side portion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It includes a coupling that can combine the two handles,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hole in the form of a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two handles and the coupling piece into which the coupling hole can be inserte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and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art is from the first and second folded guide lines to the insertion hole.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st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side part is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econd development part to the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part,
The development part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 portion along the perforation lin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may be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fter separa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two handle portion slits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guide line and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protrudes outward from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wo handle portion slits,
When the coupl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both ends of the coupling piece are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slit,
The side edge is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an edg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econd folded guide line and the first, second handle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어느 하나의 전개도부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다른 하나의 전개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developed view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portion includes a coupling groove,
Another exploded view of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view portion is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comprising a coupl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KR1020190149005A 2019-11-19 2019-11-19 Carrier of drink container KR102069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05A KR102069687B1 (en) 2019-11-19 2019-11-19 Carrier of drink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05A KR102069687B1 (en) 2019-11-19 2019-11-19 Carrier of drink contai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89A Division KR20190017106A (en) 2017-08-10 2017-08-10 Carrier of drink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71A KR20190131471A (en) 2019-11-26
KR102069687B1 true KR102069687B1 (en) 2020-01-23

Family

ID=6873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05A KR102069687B1 (en) 2019-11-19 2019-11-19 Carrier of drink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8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88B2 (en) 1997-03-12 2001-03-07 富士車輌株式会社 Separation device for unnecessary items such as labe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88U (en) * 2008-04-17 2008-07-10 正和 小林 Milk paper milk cartons
KR101546330B1 (en) * 2013-05-21 2015-08-24 유길호 Carrier of drink container
KR20170085691A (en) * 2016-01-15 2017-07-25 김수한 Packaging box capable of recyc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88B2 (en) 1997-03-12 2001-03-07 富士車輌株式会社 Separation device for unnecessary items such as lab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71A (en)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5473C (en) Packaging unit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380398B1 (en) Disposable cup carrier
KR101546330B1 (en) Carrier of drink container
KR102069687B1 (en) Carrier of drink container
KR20110114967A (en) Disposable cup carrier
KR200478437Y1 (en) A supporting board for packing beverage cups
US20030209454A1 (en) Beverage container carrier
KR20180110563A (en) Holder
KR101321474B1 (en) Shock absorb package
KR20190017106A (en) Carrier of drink container
KR102112313B1 (en) A cup carrier of lower part of side part more welding part
KR102112324B1 (en) A cup carrier made of wing part for fixing in cup insert part
KR102192339B1 (en) Packing paper box having structure for forming handgrip
KR200491122Y1 (en) Holder
KR101793097B1 (en) Cup carrier
KR20110108076A (en) A beverage cup custody box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KR102679534B1 (en) Folding Beverage Carrier Having Sub Supporting Body
KR20190108442A (en) Tray combination cup holder
US10029839B2 (en) Article including a bottle of cosmetic product and a pack
KR200491336Y1 (en) Cup carrier structure
KR20200046359A (en) Holder
KR20160000032U (en) packaging bag for chicken delivery
KR20180002876U (en) Holder
KR20150103441A (en) Cover for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