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775A -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 Google Patents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775A
KR20180109775A KR1020180102302A KR20180102302A KR20180109775A KR 20180109775 A KR20180109775 A KR 20180109775A KR 1020180102302 A KR1020180102302 A KR 1020180102302A KR 20180102302 A KR20180102302 A KR 20180102302A KR 20180109775 A KR20180109775 A KR 2018010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apy
art
user
providing
di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은주
Original Assignee
전은주
주식회사 터치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주, 주식회사 터치유 filed Critical 전은주
Priority to KR102018010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775A/en
Publication of KR2018010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Biophys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providing method using a DIY kit. Provided is the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providing method using a DIY kit, which includes: a DIY ki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DIY kit for art therapy which can be completed by a user; an art work image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 DIY art work completed by the user to an art therapy expert terminal; a diagnosis result input step of receiving an art diagnosis result of the user from the art therapy expert terminal; a sound source information inpu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art diagnosis result to a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receiving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therapy from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a link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link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access a sound source to the us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art therapy effect and a music therapy effect.

Description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본 발명은 DIY 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DIY 키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완성한 미술작품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그에 적합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Y kit to a user so that a user can perform art therapy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DIY kit, diagnose a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 from a finished work of a user, and listen to a sound source suitable for the DIY kit And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so that music therapy can be performed.

만다라(Mandala)의 문양 색칠하기 기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색칠하기 미술치료 기법은 심리적, 정신적 상태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효과를 보고 있는 미술 치료 기법으로 입증되어 있다. 색칠하기(이하 만다라 문양 및 일반 문양 색칠하기 포함) 작업은 작업자의 정신을 집중하게 함으로써 자기를 돌아보며, 내면의 질서를 세우고 조화롭게 하며, 고유한 자신을 찾아나가는 도구로 알려져 왔다. 색칠하기 작업 동안 작업자의 내면이 표현된다는 사실만으로도 내면의 긴장이 완화되고 따라서 치유된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Typical coloring art therapy techniques, including mandala coloring techniques, have been proven in art therapy technique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sychological and mental conditions. Painting (including mandala patterns and general pattern painting) has been known as a tool to focus on the mind of the worker, to look at himself, to set up the inner order and harmony, and to find his own self. It has been experimentally proven that the fact that the inside of the worker is expressed during the coloring work eases the inner tension and thus heals.

미술치료사들은 그림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빈약한 반응으로부터도 심리 상태에 대하여 상당히 정확한 정보를 끄집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색칠하기 작업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정신적,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의 지침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미술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Art therapists can draw fairly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relatively poor responses in the pictures. Therefore, coloring work can be a useful art therapy metho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a patient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treatment.

색칠하기 작업은 불안, 죄책감, 무기력, 변덕, 악몽, 무관심, 그리고 여러 종류의 사회적 기피증 치료 및 심리치료에 유용하며,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환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Coloring is useful for anxiety, guilt, helplessness, whim, nightmares, indifference, and various types of social glaucoma treatment and psychotherapy. It enhances the attention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impulse.

미술 치료에서 미술치료사들은 그림에 나타나는 형태, 상징, 선, 색상 등을 관찰한다. 문양을 색칠하는 작업에서는 색상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제까지 색상과 관련된 요인을 컴퓨터와 지식 베이스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방법은 없었다. 그리고 색칠하기 작업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업의 집중도가 있다. 모든 것을 잊고 작업에 몰두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마음이 평정되도록 하는 것은 색칠하기 작업의 기본적인 미술 치료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색칠하기 작업에서 얼마나 열심히 몰두하여 작업하는 지가 미술치료 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In art therapy, art therapists observe forms, symbols, lines, and colors that appear in pictures. Color will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ainting patterns. Until now, there was no way to automatically analyze and judge factors related to color by computer and knowledge base. And there is concentration of work as an important factor in coloring work. It is the basic art therapy function of the coloring work that allows the mind to be calm without knowing it while forgetting everything and concentrating on the work. Therefore, how hard you work in the painting proces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DIY 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미술작품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적합한 치유 음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술치료와 음악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Y kit to a user, enables a user to perform art therapy in the course of completing the art, analyzes a user's psychological state through a work of art completed by a user, and provides a healing sound source suitable for the user To provide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to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DIY 키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Y kit for art therapy that can be completed by a user so that a user can obtain an art therapy effect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DIY k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미술작품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치유 음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a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 from an art work completed by a user, and to provide a healing sound source to a user.

본 발명은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a DIY kit,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제공하는 DIY 키트 제공 단계; Providing a DIY kit that provides a DIY kit for art therapy that can be completed by a user;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DIY 미술작품의 이미지를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미술작품 이미지 제공 단계;An art work image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 DIY art work completed by a user to an art therapy expert terminal;

상기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미술진단 결과를 입력 받는 진단결과 입력 단계;A diagnostic result input step of receiving a user's art diagnostic result from the art therapy expert terminal;

상기 미술진단 결과를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부터 치료용 음원 소스 정보를 입력받는 음원소스 정보 입력 단계; 및A sound source information input step of transmitting the art diagnosis result to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receiv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treatment from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상기 음원 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링크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을 제공한다.And a link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link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access the sound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a DIY kit.

상기 DIY 키트는 사용자에의하여 완성될 작품영역을 구비하는 패브릭 제품과, 상기 패브릭 제품에 채색을 위한 채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Y kit may include a fabric product having a work area to be completed by a user, and a coloring device for coloring the fabric product.

상기 패브릭 제품의 작품영역에는 밑그림이 그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work area of the fabric product may be drawn with a sketch.

상기 채색 수단은 물감, 자수용실, 크레파스, 싸인펜 및 색연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에서 선택되는 두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oring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ints, embroidery chambers, craypas, markers, and colored pencils, or two or more of them.

상기 치료용 음원 소스는 무료 사용이 가능한 음원 소스를 이용할 수 있다.상기 링크 정보는 QR 코드에 담겨져 제공될 수 있다.The source of the treatment sound source may be a free source of sound source. The link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 QR code.

한편,상기 미술치료용 DIY 키트는 내컵과 투명재질의 외컵, 그리고 상기 내컵과 외컵 사이에 삽입되는 모양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Y kit for art therapy may include an inner cup, a transparent outer cup, and a shape sheet inserted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DIY 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DIY kit to obtain the art therapy effect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DIY ki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완성한 미술 작품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고,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른 치유용 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음악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music therapy effect by diagnos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 from an art work completed by a user and providing a sound source for healing according to a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키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a DI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I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DIY 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DIY 키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완성한 DIY 키트로 부터 전문가의 진단을 통해 선정된 치료용 음악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미술치료와 음악치료를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Y kit for a user, an art therapy effect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DIY kit, and also provides a therapeutic music selected through a DIY kit complet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al therapy using a DIY kit that can provide both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a DI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제공하는 DIY 키트 제공 단계(S-110)와,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DIY 미술작품의 이미지를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미술작품 이미지 제공 단계(S-120)와, 상기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미술진단 결과를 입력받는 진단결과 입력 단계(S-130)와, 상기 미술진단 결과를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부터 치료용 음원 소스 정보를 입력받는 음원소스 정보 입력 단계(S-140)와, 상기 음원 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링크 정보 제공 단계(S-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method for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a DI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Y kit providing step (S-110) for providing a DIY kit for art therapy that can be completed by a user, (S-120) for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DIY art work completed by the user to the art therapy specialist terminal, a diagnosis result input step (S-120) for receiving the user's art diagnosis result from the art therapy expert terminal (S-140) for transmitting the art diagnosis result to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receiv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treatment from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S-140) And a link information providing step (S-150) for providing the link information to the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이용하여 미술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치료가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미술작품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치료용 음원을 선정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술치료와 음악치료를 제공하는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Y kit for art therapy that can be completed by a user so that art therapy can be performed in a process of completing an art work using a DIY kit for art therapy by a user,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to a user by diagnos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 user from a work and selecting and providing a sound source suitable for a user.

미술치료용 DIY 키트는 여러가지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텀블러, 쿠션, 방석 등의 생활 소품이 될 수도 있고 액자 장식용 미술품이 될 수도 있다.Various kinds of DIY kits for art therapy can be used. It can be a living item such as a tumbler, a cushion, a cushion, or a frame ornamental artwork.

미술치료용 DIY 키트는 아무런 밑그림 없이 백지 상태의 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그림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밑그림만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밑그림 위에 채색을 하도록 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밑그림과 완성그림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완성그림을 모방하여 채색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DIY kit for art therapy may be a form that provides a blank face without any sketch, allowing the user to freely express the picture, or it may be a form that only provides a sketch and allows the user to paint on the sketch, And a finished pictur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allows the user to imitate and color the finished picture.

여기서 채색은 수성 물감, 유성 물감, 크래파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통해 채색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coloring may be water-based paints, oil-based paints, craypas, etc., and may be colored by stitching using a color thread.

바느질은 유아들에게 교육학적 의미를 가지는데, 바늘 귀에 실을 꿰고, 바느질을 하고, 매듭짓기를 하는 과정에서 집중력과 인내심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준다. 또한 패브릭 재질을 손으로 만지게 됨으로써 유아들의 정서에 도움을 주는 효과도 있다.Sewing has pedagogical significance for infants, which has the effect of enhancing concentration and patience in the process of threading, sewing, and knotting needle needles. It also has the effect of touching the fabric materials with the hand, which helps the children's emotions.

한편, 바늘질을 이용하여 완성되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는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효과를 가져온다. 바느질을 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소근육들을 사용하게 되고 이로부터 치매 예방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On the other hand, DIY kit for art therapy, which is completed by using a needle, is effective in preventing senile dementia. In the process of stitching, the use of small fingers of the fingers leads to the prevention of dementia.

이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구매한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서 완성한 상태를 미술작품이라 칭한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a user who has purchased the DIY kit for art therapy as described above completes through a manual operation is referred to as an art work.

사용자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이용하여 미술작품을 완성한 후, 이 미술작품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한다.The user completes an art work using a DIY kit for art therapy, and then photographs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art work.

이미지의 촬영과 전송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는 컬러로 촬영되어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한 색채를 통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미술치료 전문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mages can be captured and transmitted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t this time, the image should be photographed in color. This is to allow the art therapist to check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through the colors used by the user.

촬영된 이미지는 모바일 메신저, 휴대폰의 M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운영자의 웹페이지에 회원가입을 거친 후 웹페이지 상에서 업로드 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The photographed imag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mobile messenger, a mobile phone's MMS or e-mail, 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eb page after being registered on a web page of an operator.

전송된 미술작품 이미지는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 제공된다.The transferred artwork image is provided to the art therapy specialist terminal.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 미술작품 이미지가 전송되면, 미술치료 전문가는 미술작품 이미지의 채색, 도안, 내용, 완성도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고, 진단한 결과를 미술치료 단말을 통해 입력한다.When an art work image is transmitted to an art therapy specialist terminal, the art therapy expert diagnos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from the coloring, design, content, and completeness of the art work image, and inputs the diagnosis result through the art therapy terminal.

미술치료 전문가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심리상태 정보는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된다. 음악치료 전문가는 전달받은 사용자의 심리상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적합한 치유용 음원을 선정하여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 입력한다.The psychological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art therapy expert is transmitted to the music therapy specialist terminal. The music therapy expert selects a healing sound source suitable for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received user's psychological state information and inputs the healing sound source to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이 때. 치유용 음원은 무료 사용이 가능한 음원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유료 음원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ealing sound source can be selected from among free sound sources, and it can be selected from the charged sound source.

음원 파일을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무료 음원의 경우에는 무료 음원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free sound source, link information for accessing a free sound source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이 때, 링크 정보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using the QR code.

예를 들어, 무료 음원의 경우 YouTube에 게시되어 있는 음원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YouTube 음원의 링크 정보를 QR코드에 담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ree sound source, it can be selected from the sound sources posted on YouTube, and the link information of the YouTube sound source can be provided in the QR code to the user.

물론, 음원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음원 파일 자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ource file itself may be provided to the user rather than providing the source link.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키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IY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실시예의 DIY 키트는 조립식 텀블러와 함께 제공되는 장식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DIY kit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intended to make a decorative sheet provided with a prefabricated tumbler.

패브릭 소재에 인쇄된 상태로 제공되며, 2개의 장식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Is provided in a printed state on a fabric material,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produce two decorative sheets.

도면의 좌측은 작가 또는 유명인 등에 의하여 창작된 치료용 미술작품이고, 도면의 우측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left side of the drawing is a therapeutic artwork created by a writer or a celebrity, and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a side on which a user can express freely.

한편 좌측의 미술작품 감상과 함께 들을 수 있는 음원의 링크를 QR 코드에 내장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는 별도의 스티커 등에 인쇄되어 상기 장식시트 또는 외컵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link of a sound source that can be heard together with the appreciation of the art work on the left can be built in the QR code and can be provided together. At this time, the QR code may be printed on a separate sticker or the like and attached to the decorative sheet or the outer cup.

조립식 텀블러는 내컵과 투명재질의 외컵을 포함하여,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장식시트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prefabricated tumbler may have a shape such that the decorative shee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including the inner cup and the transparent outer cup.

한편, 작가 또는 유명인 등에 의하여 창작된 치료용 미술작품의 감상과 함께 치료용 음원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담은 QR 코드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QR code containing link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therapeutic sound source can be provided along with appreciation of a therapeutic art work created by a writer or a famous person.

이는 사용자가 텀블러의 미술작품을 감상하며, 해당 미술작품의 시각적 감상과 함께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촬영하는 것으로, 시각적 미술치료와 함께 청각적 음악 치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allow the user to enjoy the art work of the tumbler, to take the visual appreciation of the art work, and to take the QR code by using the mobile device by the user, so that the visual art therapy and auditory music therapy can be provided .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방법은, DIY 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DIY 키트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미술작품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그에 적합한 치유 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술치료와 함께 음악치료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method using the DIY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DIY kit to the user, so that the art therapy can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DIY kit by the user, Through the art work,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is diagnosed and the healing sound source suitable for the user is provided. Thus, the art therapy and the music therapy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s well as any equivalents thereof,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110 : DIY 키트 제공 단계
S-120 : 미술작품 이미지 전송 단계
S-130 : 진단결과 입력 단계
S-140 : 음원소스 정보 입력 단계
S-150 : 링크 정보 제공 단계
S-110: DIY kit provided step
S-120: Image Art Transfer Step
S-130: Entering Diagnosis Result Step
S-140: Step of input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S-150: Link information providing step

Claims (5)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는 미술치료용 DIY 키트를 제공하는 DIY 키트 제공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DIY 미술작품의 이미지를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미술작품 이미지 전송 단계;
상기 미술치료 전문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미술진단 결과를 입력 받는 진단결과 입력 단계;
상기 미술진단 결과를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악치료 전문가 단말로부터 치료용 음원 소스 정보를 입력받는 음원소스 정보 입력 단계; 및
상기 음원 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링크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IY 키트는
사용자에의하여 완성될 작품영역을 구비하는 패브릭 제품과, 상기 패브릭 제품에 채색을 위한 채색 수단으로 자수용실을 포함하여,
사용자자가 바느질을 통해 DIY 키트를 완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a DIY kit,
Providing a DIY kit that provides a DIY kit for art therapy that can be completed by a user;
An art work image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an image of a DIY art work completed by a user to an art therapy expert terminal;
A diagnostic result input step of receiving a user's art diagnostic result from the art therapy expert terminal;
A sound source information input step of transmitting the art diagnosis result to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receiv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treatment from the music therapy expert terminal; And
A link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link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access the sound source,

The DIY kit
A fabric product having a work area to be completed by a user, and a self-storage room as a coloring means for coloring the fabric product,
And the DIY kit is completed through user self-stitch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 제품의 작품영역에는 밑그림이 그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twork of the fabric product is drawn in a ske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음원 소스는 무료 사용이 가능한 음원 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apeutic source is a free source of the art source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the DIY k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QR 코드에 담겨져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QR code, and the link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QR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치료용 DIY 키트는
내컵과 투명재질의 외컵, 그리고 상기 내컵과 외컵 사이에 삽입되는 모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Y kit for art therapy
An inner cup, a transparent outer cup, and a shape sheet inserted between the inner cup and the outer cup. The method for providing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the DIY kit.
KR1020180102302A 2018-08-29 2018-08-29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KR20180109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02A KR20180109775A (en) 2018-08-29 2018-08-29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02A KR20180109775A (en) 2018-08-29 2018-08-29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54A Division KR20160122532A (en) 2015-04-14 2015-04-14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775A true KR20180109775A (en) 2018-10-08

Family

ID=6386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02A KR20180109775A (en) 2018-08-29 2018-08-29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77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23A (en) * 2019-04-11 2020-10-21 이관희 Psychological analysis and projection method using mandala and tarot
KR20220128922A (en) * 2021-03-15 2022-09-22 김현수 Fashion book kits available online and offl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23A (en) * 2019-04-11 2020-10-21 이관희 Psychological analysis and projection method using mandala and tarot
KR20220128922A (en) * 2021-03-15 2022-09-22 김현수 Fashion book kits available online and offline
KR20230002168A (en) * 2021-03-15 2023-01-05 김현수 Fashion book kits available online and off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ppaport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Accessing the body's wisdom and creative intelligence
Malchiodi Handbook of art therapy
Wexler et al. Art in institutions: The emergence of (disabled) outsiders
US20160034056A1 (en) Multi-purpose digital coloring tools
Graves-Alcorn et al. Implementing the 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A guide for clinical practice
KR20180109775A (en)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JP2017228017A (en) Coloring hue psychology diagnosis system, coloring hue psychology diagnosis method and coloring hue psychology diagnosis program
Diggs et al. Use of technology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therapeutic collage making
KR20160122532A (en)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using D.I.Y kit
Franklin et al.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the field of art therapy
Perri Image and ontology in Merleau-Ponty
Treadaway et al. Designing sensory e-textiles for dementia
Taylor Access and support in the development of a visual language: Arts education and disabled students
US20210217325A1 (en) System of improving neuroplasticity and recovery during occupational, physical, and related therapies
Fortuna Quilting and Sharing: Promoting Lifelong Learning and Service to Others
Toll et al. The healing power of paint
Bowers A haptic study to inclusively ai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discipline of design
Piha et al. Blind and mute family sculpting in the training of family therapists
Bathje A mosaic of creativity in occupational therapy
Kuthy Whitework in Antebellum Maryland: A quilt study in the visual culture of whiteness
Minatani Is it reproducible?: A case study on a dissemination of the CA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Darvay The Gothic Sublime in Virginia Woolf's To the Lighthouse
Riley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for Women and Children from Backgrounds of Domestic Violence
Guarniero THE SENSES AND THE PERCEPTION OF SPACE.
Zhok A phenomenological discussion of early im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