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124A -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124A
KR20180109124A KR1020170038237A KR20170038237A KR20180109124A KR 20180109124 A KR20180109124 A KR 20180109124A KR 1020170038237 A KR1020170038237 A KR 1020170038237A KR 20170038237 A KR20170038237 A KR 20170038237A KR 20180109124 A KR20180109124 A KR 20180109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service
robot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호
Original Assignee
(주)로직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직아이텍 filed Critical (주)로직아이텍
Priority to KR102017003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124A/ko
Publication of KR2018010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오늘날 유통환경은 급속하고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과 모바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는 더욱더 정보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선택권은 급격히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 및 자원이 속속 유통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그 결과 유통기업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 낮아진 시장 진입장벽으로 인한 유통시장의 세분화 및 다수의 신생 유통기업들의 등장
-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로 인한 물리적 거리의 초월 및 더욱 특별하고 차별화된 경험에 대한 소비자 요구의 증대
- 주문형 경제의 발전에 따른 재고자산 보유 방법과 장소의 변화
- 새로운 기술과 소비자와의 연결 방법의 발전에 따른 신 유통 모델의 부상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형 유통기업의 가치사슬은 붕괴하고 있으며 심지어 새롭게 재배치되고 있다.
구매, 디자인, 마케팅 등과 지원 기능은 틈새시장에서 유연한 옵션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활동하는 작은 유통기업들에게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대형매장을 보유한 대형 유통기업은 이들과의 더욱 효율적인 경쟁을 위해 현재 전개하고 있는 옴니채널 전략으로 기존 오프라인 사업모델에 대해 조정하고, 더 높은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인한 소비자의 정보력 및 교섭력 향상은 기업에게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을 합친 O2O 마케팅으로의 변화를 촉진한다.
O2O(Online To Offline)과 옴니채널(Omni Channel)은 거의 유사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O2O는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반면, 옴니채널은 기존 기업이 보유한 채널을 통합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채널 통합 전략을 의미한다.
O2O의 개념은 사용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O2O 서비스 형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유형으로 미국 온라인 유통업체 아마존(Amazon)이 대표적이다.
두 번째는 오프라인 유통업체(백화점, 대형마트 등)가 온라인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유형으로 롯데의 스마트픽, SK텔레콤 바로픽업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세 번째는 다음카카오, 네이버 등 플랫폼 기반 사업자가 O2O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유형이다.
네 번째는 에어비앤비(Airbnb), 우버(Uber)와 같이 여러 회사의 서비스 정보를 모아 고객과 연결해주는 유형이다.
본 고안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는 4개의 서비스이다.
1) 로봇을 활용하여 방문고객에게 전시상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상품위치안내서비스
2) 방문고객이 직접 구매 물건을 카트에 싣지 않고, 구매상품의 상품만 로봇에게 인식시켜서 실시간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실시간구매서비스
3) 방문고객이 쇼핑을 하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가면서, 구매상품을 운반하는 서비스
4) 정산이나 배송을 로봇이 대행하는 정산/배송 대행 서비스
이상과 같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두 번째에 해당하는 O2O서비스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유통사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음성인식과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대효과는 첫 번째는 대형마트 유통사는 로봇을 활용한 유통매장관리로 관리비절감 및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매출 증대가 가능하다.
두 번째는 매장에 방문고객에게 다양한 상품정보획득 및 전시상품위치 안내로 쇼핑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고객의 여유시간 확보가 가능하다.
세 번째는 고객이 주문한 주문을 로봇이 신속하게 수집하여 배송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네 번째는 국가적으로는 로봇을 활용한 응용 기반구축으로 로봇산업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Convenient shopping service methods and systems using robots in offline stores }
본 고안은 오프라인매장을 보유한 유통회사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로봇을 활용하여 온라인 쇼핑관련 BM(Business Model)에 관련된 기술분야이다.
특히 최근의 신기술 IOT(Internet Over Things), 3D 카메라(또는 3D Depth Camera), 열화상카메라, 영상처리기술, 음성인식기술을 융합된 로봇을 활용하여, 대형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이다.
이와 같은 BM모델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을 활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능형로봇(카트로봇)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상품바코드를 정확한 인식, 다량의 상품의 신속한 분류 및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정교한 센싱기능 그리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자율주행 기능 등을 지원되어야 한다.
오늘날 유통시장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과 모바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는 더욱더 정보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선택권은 급격히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 및 자원이 속속 유통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그 결과 유통기업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 낮아진 시장 진입장벽으로 인한 유통시장의 세분화 및 다수의 신생 유통기업들의 등장
-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로 인한 물리적 거리의 초월 및 더욱 특별하고 차별화된 경험에 대한 소비자 요구의 증대
- 주문형 경제의 발전에 따른 재고자산 보유 방법과 장소의 변화
- 새로운 기술과 소비자와의 연결 방법의 발전에 따른 신 유통 모델의 부상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형 유통기업의 가치사슬은 붕괴되고 있으며 심지어 새롭게 재배치되고 있다.
구매, 디자인, 마케팅 등과 지원 기능은 틈새시장에서 유연한 옵션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활동하는 작은 유통기업들에게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대형매장을 보유한 대형 유통기업은 이들과의 더욱 효율적인 경쟁을 위해 현재 전개하고 있는 옴니채널 전략으로 기존 오프라인 사업모델에 대한 투자계획을 조정하고, 더 높은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고안은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 환경제공 및 신속하게 구매상품을 집에까지 배달할 수 있는 배송서비스 환경 구축을 통해 상품구매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 방안을 제공하고자 고안하였다.
본 고안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는 4개의 서비스이다.
1) 로봇을 활용하여 방문고객에게 전시상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상품위치안내서비스
2) 방문고객이 직접 구매 물건을 카트에 싣지 않고, 구매상품의 상품만 로봇에게 인식시켜서 실시간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실시간구매서비스
3) 방문고객이 쇼핑을 하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가면서, 구매상품을 운반하는 서비스
4) 정산이나 배송을 로봇이 대행하는 정산/배송 대행 서비스
이상과 같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상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카트로봇과 매장관리서버, 카트로봇관리서버 간에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서 안정적이면서,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특허에서 활용하는 지능형 로봇은 다른 로봇과 차별화 요소는
1) 사람과 로봇이 함께 이동하는 통로에서 사고예방을 하면서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기술, 2) 복잡한 매장에서 카트로봇이 이동할 수 없는 경우 방문고객이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술, 3) 카트로봇이 이동시 기존 지도에 현재 위치에서 변경된 장애물 등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지도를 보완하는 기술 4) 방문고객을 따라다니거나 앞에서 안내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 5) 카트로봇이 진열상품의 위치에 따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카트로봇을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비즈니스모델이다.
상기의 지능형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개념도는 [도 1] 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하는 고객은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를 정보교환을 유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구성된 환경에서 지원한다.
상기에 구축된 환경에서 구현하여야 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는 4개의 서비스이다.
1) 로봇을 활용하여 방문고객에게 전시상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상품위치안내서비스
2) 방문고객이 직접 구매 물건을 카트에 싣지 않고, 구매상품의 상품만 로봇에게 인식시켜서 실시간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실시간구매서비스
3) 방문고객이 쇼핑을 하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가면서, 구매상품을 운반하는 서비스
4) 정산이나 배송을 로봇이 대행하는 정산/배송 대행 서비스
본 발명의 기대효과는 첫 번째는 대형마트 유통사는 로봇을 활용한 유통매장관리로 관리비절감 및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여 매출 증대가 가능하다.
두 번째는 매장에 방문고객에게 다양한 상품정보획득 및 전시상품위치 안내로 쇼핑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고객의 여유시간 확보가 가능하다.
세 번째는 고객이 주문한 주문을 로봇이 신속하게 수집하여 배송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네 번째는 국가적으로는 로봇을 활용한 응용 기반구축으로 로봇산업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 카트로봇을 이용한 매장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도 2] 카트로봇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정보흐름도
[도 3] 카트로봇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4] 카트로봇 하드웨어 구성과 프로그램 모듈
[도 5] 카트로봇 관리서버
[도 6] 카트로봇에게 구매상품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도 7] 카트로봇의 터치스크린 화면 UI 구성
[도 8] 카트로봇의 상품위치안내서비스 순서도
[도 9] 카트로봇의 메인화면
[도 10] 카트로봇의 장바구니 화면
[도 11] 카트로봇의 상품검색 화면1
[도 12] 카트로봇의 상품검색 화면2
[도 13] 카트로봇의 상품 상세검색 화면
[도 14] 카트로봇의 상세 상품정보 화면
[도 15] 카트로봇의 장바구니 결과화면
[도 16] 카트로봇의 위치 안내 화면
[도 17] 전시상품위치 안내서비스 시나리오
[도 18] 실시간 구매 서비스 제공 순서도
[도 19] 메인화면에서 “실시간 구매서비스” 선택하는 화면
[도 20] 비콘 단말기( 또는 등록된 고객의 스마트폰) 소지 고객 이동 시,
카트로봇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뒤따름
[도 21] 실시간구매 장바구니 정보 화면
[도 22] 구매 희망 상품을 카트로봇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코드 인식하는 개념도
[도 23] 상품 정보 상세 조회 화면
[도 24] 상품 등록 후 장바구니 화면
[도 25] 실시간구매서비스 비즈니스 시나리오
[도 26] 쇼핑 캐리어 서비스 제공 순서도
[도 27] 쇼핑 캐리어 서비스”를 음성으로 말하거나, 화면을 터치하여 서비스 개시
[도 28] 운반(캐리어)서비스 비즈니스 시나리오
[도 29] 정산/배송 대행 서비스 제공 순서도
[도 30] 카트로봇의 메인화면
[도 31] 메인화면에서 회원번호를 인증한 후, 회원인 경우 안내메시지
[도 32] 메인화면에서 회원번호를 인증한 후, 비회원인 경우 안내메시지
[도 33] 대행 서비스 선택 화면
[도 34] 정산 및 배송 대행 서비스 시나리오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요소는 [도 1] 과 같다.
본 고안을 사용하는 고객은 쇼핑몰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를 정보교환을 유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구성된 시스템이다.
[도 2] 는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정보 흐름을 도식화하였다.
온라인고객(240)에게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온라인고객(240)이 쇼핑몰에서 구매할 목록을 등록하고, 매장에 방문하여 카트로봇(230)에게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구매상품들의 전시상품 위치안내를 받으면서 편리한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쇼핑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온라인고객(240)이 아닌 매장방문고객(250)에게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카트로봇(230)에게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온라인고객(240)이 매장에 방문하여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으로 [도 4] 는 카트로봇의 제어기(430)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 모듈을 도식화한 내용이다.
관리서버연계모듈(431)은 카트로봇관리서버(220), 매장관리서버(210) 간의 상품관련정보, 주문관련정보, 매장과 창고의 상품관리 위치정보 그리고 사용자관련 정보등을 상호 정보제공 및 처리를 연계하는 모듈이다.
로봇간연계모듈(432)은 카트로봇이 매장과 창고를 이동시 상호 간에 정보교류를 통해서 충돌을 예방하면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로봇 간의 정보연계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서비스 제공모듈(433)은 고객이 원하는 상품위치까지 안내해 주는 상품위치안내서비스, 상품구매 후 정산/배송 대행서비스, 상품을 카트에 실시 않고 실시간구매서비스, 온라인고객(240)과 방문고객(250)에게 주문받은 상품을 자동으로 카트로봇에 실어서, 포장센터 또는 배송센터로 이송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음성인식/합성모듈(434)은 카트로봇에 장착된 마이크(521)와 스피커(522)를 활용하여,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경비보안모듈(435)은 매장 운영시간이 종료 후, 매장 내에 진입하는 침입자를 열감지카메라와 3D카메라(Depth Camera)를 이용하여 감시하는 모듈이다.
객체식별모듈(436) 열감지카메라와 3D카메라(Depth Camera)에서 촬상 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영상 속의 객체를 식별하고, 상품으로 식별된 경우 상품바코드를 인식하여 상품코드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Navigation모듈(437) 카트로봇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최적의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로봇자세/위치 인식모듈(438)은 카트로봇의 현재 자세를 식별하여야, 진행방향과 진행속도를 참조하여, 현재 지도상에서 카트로봇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로봇팔제어모듈(439)은 상품주문 목록의 상품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품을 3D카메라(Depth Camera)에서 촬상 된 영상을 처리하여 주문상품과 동일한지를 식별하고, 로봇팔로 상품을 잡고, 다시 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여 주문 목록에 기술된 상품과 동일 상품인지를 식별 후 카트로봇에 싣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장애물회피모듈(440)은 목적지까지 이동 시, 이동 경로에 움직이는 물체와 장애물을 회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지도Mapping모듈(441)은 매장이나 창고 영역의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이동하는 카트로봇은 이동 중에 고정된 장애물이 있는 경우 지도에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SLAM)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도 5] 는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을 관리하는 카트로봇 관리서버가 지원하는 프로그램모듈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매장 내 전시상품의 고정 매대위치 정보관리모듈(530)은 카트로봇이 고객이 원하는 상품정보가 전시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고정매대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매장 내 전시상품의 이동 매대위치 정보관리모듈 (531) 는 카트로봇이 고객이 원하는 상품정보가 전시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 매대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전시상품과 매대 위치정보 Mapping 관리모듈 (532) 매장 내에 전시된 상품정보의 위치정보를 Mapping하여 관리하는 모듈이다. 본 정보는 고정매대와 이동매대정보와 연관되어 관리된다.
카트로봇의 위치정보 관리모듈(533)은 서비스하는 카트로봇의 현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카트로봇의 정보관리모듈(534)은 모든 카트로봇의 관리정보를 관리한다. 즉 카트로봇의 식별자, 카트로봇의 구입일, 카트로봇의 장애정보 등을 관리한다.
매장 내 비콘단말기(Sender) 설치위치 정보관리모듈(535)은 매장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비콘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비콘단말기(Receiver)의 정보 관리모듈(536)은 매장 내 설치된 비콘단말기, 고객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이동형 비콘단말기 그리고 로봇에 장착된 비콘단말기에 대한 ID정보, 구입일, 배터리 상태, 고장이력등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외부시스템 연동모듈(537)은 매장관리서버(310)와 카트로봇(320) 간의 정보교환을 지원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전시상품관련 정보관리모듈(538)은 전시된 상품의 재고수량, 가격, 상품코드, 상품외형, 전시위치정보 등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위치정보 QR Code Tag 설치정보 관리모듈(539)은 카트로봇의 위치정보를 보정하기 위해서 카트로봇이 이동하는 경로에 부착된 QR Code의 Tag위치와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품 구매관련 정보 관리모듈(540)은 고객이 구매한 주문품목과 관심품목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품 홍보 및 EVENT정보 관리모듈(541)은 매장에서 판촉활동을 위한 정보를 고객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관리 모듈이다.
[도 6] 는 고객이 카트로봇에게 구매상품정보를 입력하는 4가지 방법을 도식화하여 표로 기술하였다.
매장에 방문한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구매상품을 카트로봇에게 인지시키는 방법으로써 방문고객이 직접 음성 또는 스크린에서 상품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카트로봇에 별도로 장착된 Bar Code무선 Scanner를 이용하여 구매상품을 카트로봇에게 인지시키는 방법, 구매하고자 상품을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에 상품의 바코드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상품코드를 인식하는 방법, 매장 방문 전 온라인에서 구매를 위한 상품등록을 하는 방법이 있다.
[도 7] 은 카트로봇과 UI(User Interface) 구성은 가이드 영역, 콘텐츠 영역, 조작 영역 등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조작영역에 표시된 보턴의 제목을 음성으로 읽으면 로봇이 음성인식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보턴을 누르면 명령이 해당명령이 실행한다.
[도 8] 은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상품위치안내서비스 절차를 도식화하였다.
a) [도 9]의 메인화면에서 고객이 음성으로 말한 회원번호를 인식하는 단계(810);
인식된 회원번호로 등록된 장바구니 화면 정보를 [도 10]에 표시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811);
b) 추가로 구매할 상품이 있으면, [도 11]에서 추가할 상품명과 구매가격대를 말하는 단계(813);
c) 음성 인식된 상품명과 구매가격대를 기초로 하여 해당상품으로 조회하여, [도 12]에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814);
d) [도 12]에 표시된 정보에서 상세정보를 보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815);
e) [도 12]에서 선택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도 13]과 같은 상세 조회 정보를 표시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가 없으면 "다음"이라 말하거나, "앞으로"말하면서 원하는 상품을 찾는 단계(817); 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있으면 표시된 목록에서 상품번호를 말하면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를 [도 14]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818);
f) [도 14]와 같이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화면에서 구매 수량을 말하고, 카트로봇이 해당정보를 저장하는 단계(819);
g) 추가로 등록된 정보를 [도 15]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820);
h) 추가로 상품위치 안내를 받을 상품이 없으면, “상품위치안내시작”을 받는 단계(822); 또는 추가상품을 등록하는 단계(813);
i) “상품위치안내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카트로봇은 상품위치를 안내하면서,도 16] 과와 같이 상품 전시위치 안내화면에 현재 이동하는 경로와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823);순으로 고객이 구매를 원하는 상품 전시위치까지 안내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8] 은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실시간구매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절차를 도식화하였다.
a) [도 19]의 메인화면에서 인식된 회원번호로 음성으로 말하는 단계(1811); 또는 “실시간 구매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1811);
b) [도 19]의 메인화면에서 고객이 음성으로 말한 회원번호를 인식하고, [도 21] 의 실시간구매 장바구니 정보 화면 표시단계(1812);
c) [도 22]와 같이 구매상품의 바코드를 카트로봇의 카메라에 보여서 인식하는 단계(1813);
d) [도 21]에 카트로봇이 인식된 바코드의 상품을 장바구니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1814);
e) [도 21]에 표시된 정보에서 상세정보를 보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상품의 상세정보를 [도 23]과 같이 표시하는 단계(1815);
f)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를 [도 23]과 같이 표시하는 상세한 화면에서 구매수량을 말하고, 카트로봇이 구매수량을 인식되면 저장하는 단계(1816);
g) 추가로 등록된 정보를 [도 24]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1817);
h) 쇼핑을 종료하려면 “쇼핑종료”라고 음성으로 말하는 단계; 또는 쇼핑을 계속하려면 “쇼핑계속”이라고 음성으로 말하는 단계;순으로 고객이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카트에 싣지 않고 실시간 구매가 가능한 실시간구매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6] 은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쇼핑 캐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절차를 도식화하였다.
a) [도 27]의 메인화면에서 “쇼핑캐리어 서비스”를 말하는 단계(2601);
b) 카트로봇은 “쇼핑캐리어 서비스”를 음성인식한 경우, 고객에게 비콘단말기를 소지하도록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2602);
c) 카트로봇은 고객이 소지한 비콘단말기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가는 행동을 하는 단계(2603);순으로 쇼핑캐리어(운반)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9] 은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정산/배송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절차를 도식화하였다.
a) [도 30]의 메인화면에서 방문고객은 카트로봇에게 “회원번호”를 음성으로 말하고, 카트로봇은 고객이 말한 회원고객번호를 인식하여, 회원유무를 판단하여, 회원인 경우 [도 31] 과 같이 표시하고, 비회원인 경우 [도 32] 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2911);
b) [도 31] 의 메인화면에서 “대행 서비스”를 말하는 단계(2912);
c) [도 33] 의 대행서비스 종류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2913); 순으로 대행서비스를 제공한다.
IOT(Internet Over Things),
UI(User Interface)
BM(Business Model)
O2O(Online To Offline)
옴니채널(Omni Channel)

Claims (8)

  1.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카트로봇을 활용한 서비스는 [도 9]의 메인화면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 서비스는
    1) 카트로봇을 활용하여 방문고객에게 전시상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상품위치 안내서비스;
    2) 방문고객이 쇼핑을 하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가면서 구매상품을 운반하는 서비스;
    3) 방문고객이 직접 구매 물건을 카트에 싣지 않고 구매상품의 상품만 로봇에게 인식시켜서 실시간으로 상품을 구매서비스;
    4) 정산이나 배송을 로봇이 대행하는 정산/배송 대행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2.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매장에 방문한 고객에게 카트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도 7]과 같이 카트로봇과 UI(User Interface) 구성은 가이드 영역, 콘텐츠 영역, 조작 영역 등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조작영역의 타이틀에 표시된 글자를 고객이 말하면, 카트로봇이 음성을 인식하여 해당서비스를 실시하거나 , 카트로봇의 터치스크린의 조작영역의 보턴을 누르면 동일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3.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도 8] 과 같이 카트로봇을 활용한 상품의 위치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a) [도 9] 의 메인화면에서 고객이 음성으로 말한 회원번호를 인식하는 단계(810);
    b) 인식한 회원번호로 등록된 장바구니 정보를 [도 10] 에 표시하는 단계(811);
    c) 추가로 구매할 상품이 있으면, [도 11] 에서 추가할 상품명과 구매가격대를 말하는 단계(813); 또는 추가로 구매할 상품이 없으면, (A)로 JUMP하여 [도 15] 의 장바구니화면에 구매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820)하고 i)단계로 JUMP한다;
    d) 음성 인식된 상품명과 구매가격대를 기초로 하여 해당상품으로 조회하여, [도 12]에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814);
    e) [도 12] 에 표시된 정보에서 상세정보를 보기 원하는 상품정보를 선택하는 단계(815);
    f) [도 12] 에서 선택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도 13] 과 같은 상세 조회 정보를 표시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가 없으면 "다음"이라 말하거나, "앞으로"이라고 말하면서 원하는 상품을 찾는 처리(817)를 (B)로 JUMP하는 단계; 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있으면 표시된 목록에서 상품번호를 말하면,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를 [도 14] 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818);
    g) [도 14] 와 같이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화면에서 구매 수량을 말하고, 카트로봇이 해당정보를 저장하는 단계(819);
    h) 추가로 등록된 정보를 [도 15] 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820);
    i) 추가로 상품위치 안내를 받을 상품이 없으면, “상품위치안내시작"이라고 말하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822); 또는 추가로 구매상품이 있으면 "상품등록"이라고 말하는 단계(814);
    j) "상품위치안내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카트로봇은 상품위치를 안내하면서, [도 16]과 같이 상품 전시위치 안내화면에 현재 이동하는 경로와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8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4.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도 18] 과 같이 카트로봇을 활용한 상품의 실시간구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a) [도 19] 의 메인화면에서 인식된 회원번호로 음성으로 말하는 단계(1811); 또는 “실시간 구매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1811);
    b) [도 19] 의 메인화면에서 고객이 음성으로 말한 회원번호를 인식하고, [도 21] 의 실시간구매 장바구니화면을 표시단계(1812);
    c) [도 22] 와 같이 고객이 선택한 구매상품의 바코드를 카트로봇의 카메라에 보여서 바코드를 인식하는 단계(1814);
    d) [도 21] 의 화면에서 카트로봇이 인식된 바코드의 상품 상세정보를 [도 23] 과 같이 표시하는 단계(1815);
    e) 선택된 상품의 상세정보를 [도 23]과 같이 표시하는 상세한 화면에서 구매수량을 말하고, 카트로봇이 구매수량을 인식되면 저장하는 처리(1816)를 하고, [도 21] 의 실시간구매 장바구니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f) [도 21] 에 표시된 정보에서 상세정보를 보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상품의 상세정보를 [도 23] 과 같이 표시하는 단계(1817);
    g) 쇼핑을 종료하려면 "쇼핑종료”라고 음성으로 말하는 단계; 또는 쇼핑을 계속하려면 "쇼핑계속"이라고 음성으로 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5.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도 26] 과 같이 카트로봇을 활용한 쇼핑캐리어(운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a) [도 27]의 메인화면에서 "쇼핑캐리어 서비스”를 말하는 단계(2601);
    b) 카트로봇은 “쇼핑캐리어 서비스”를 음성 인식한 경우, 고객에게 비콘단말기를 소지하도록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2602);
    c) 카트로봇은 고객이 소지한 비콘단말기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가는 행동을 하는 단계(26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6.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도 29] 과 같이 카트로봇을 활용한 정산/배송 대행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a) [도 30] 의 메인화면에서 방문고객은 카트로봇에게 “회원번호”를 음성으로 말하고, 카트로봇은 고객이 말한 회원고객번호를 인식하여, 회원 유무를 판단하여, 회원인 경우 [도 31] 과 같이 표시하고, 비회원인 경우 [도 32] 와 같이 표시하는 단계(2911);
    b) [도 31] 의 메인화면에서 “대행 서비스”를 말하는 단계(2912);
    c) [도 33] 의 대행서비스 종류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29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7. 쇼핑몰 웹서버(100)에서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카트로봇이 상품위치 안내 또는 실시간구매서비스를 제공할 때, [도 21]의 실시간 장바구니 정보화면에서 [도 6] 과 같이 4가지 방법으로 카트로봇에 상품코드를 등록할 수 있는 방법으로,
    1) 음성으로 상품코드를 말하거나, 또는 상품명과 가격대를 말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방법; 또는
    2)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코드를 무선바코드스캐너로 상품코드를 인식하여, 카트로봇으로 전송하는 방법; 또는
    3) [도 22]와 같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코드가 표시된 부분을 카트로봇에 장착된 카메라에 보여줌으로써 상품코드를 영상 인식하여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방법; 또는
    4) 온라인고객이 상품을 검색 후, 매장에 방문하여 물품구매를 원하는 경우, 카트로봇은 회원정보를 확인 후, 쇼핑몰에 등록된 장바구니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8. 쇼핑몰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하고 주문하는 온라인고객(140)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150)들에게 편리한 쇼핑환경을 제공하고자, 방문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트로봇(130), 매장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매장관리서버(110) 그리고 카트로봇(130)이 매장 방문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는 로봇관리서버(140) 그리고 상기의 구성요소 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유무선인터넷 환경에서,
    카트로봇을 관리하기 위한 카트로봇관리서버는 매장 내 전시상품의 고정매대위치 정보관리 모듈(530), 매장 내 전시상품의 이동매대 위치 정보관리모듈(531), 매장 내 전시상품의 이동전시상품과 매대 위치정보 Mapping관리 모듈(532), 카트로봇의 위치정보 관리모듈(533), 카트로봇의 관리정보 모듈(534), 매장 내 비콘단말기 설치위치 정보관리 모듈(535), 비콘단말기의 정보관리 모듈(536), 외부시스템 연동 모듈(537), 전시상품관련 정보관리 모듈(538), 위치정보 QR Code Tag 설치정보 관리모듈(539), 상품구매관련 정보관리 모듈(540), 상품홍보 및 EVENT 정보관리 모듈(541)로 구성된 카트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KR1020170038237A 2017-03-27 2017-03-27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KR20180109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37A KR20180109124A (ko) 2017-03-27 2017-03-27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37A KR20180109124A (ko) 2017-03-27 2017-03-27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24A true KR20180109124A (ko) 2018-10-08

Family

ID=6386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237A KR20180109124A (ko) 2017-03-27 2017-03-27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12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170A1 (ko) * 2018-11-07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쇼핑 카트로 이용 가능한 이동 로봇
WO2020141637A1 (ko) * 2019-01-03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20141639A1 (ko) * 2019-01-03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의 제어 방법
WO2020158963A1 (ko) * 2019-01-28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모듈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모듈을 추종하는 카트 및 이동 방법
WO2020256172A1 (ko) * 2019-06-18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 로봇
CN112238458A (zh) * 2019-07-17 2021-01-1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机器人管理装置、机器人管理方法以及机器人管理系统
KR20210126635A (ko) * 2019-02-01 2021-10-20 로커스 로보틱스 코포레이션 근접 로봇 물체 검출 및 회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170A1 (ko) * 2018-11-07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쇼핑 카트로 이용 가능한 이동 로봇
WO2020141637A1 (ko) * 2019-01-03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20141639A1 (ko) * 2019-01-03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의 제어 방법
US20210373576A1 (en) * 2019-01-03 2021-12-0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robot system
WO2020158963A1 (ko) * 2019-01-28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모듈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모듈을 추종하는 카트 및 이동 방법
US11613289B2 (en) 2019-01-28 2023-03-28 Lg Electronics Inc. Cart following transmission module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transmission module and method for moving thereof
KR20210126635A (ko) * 2019-02-01 2021-10-20 로커스 로보틱스 코포레이션 근접 로봇 물체 검출 및 회피
WO2020256172A1 (ko) * 2019-06-18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 로봇
US11526871B2 (en) 2019-06-18 2022-12-13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CN112238458A (zh) * 2019-07-17 2021-01-1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机器人管理装置、机器人管理方法以及机器人管理系统
CN112238458B (zh) * 2019-07-17 2024-03-1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机器人管理装置、机器人管理方法以及机器人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124A (ko) 오프라인매장에서 로봇을 활용한 편리한 쇼핑서비스방법과 시스템
US11182843B2 (en) Indoor location mapping and wayfinding system
TWI554967B (zh) 使用行動上網裝置獲得供應商資訊之技術
US10540700B1 (en) Personal shopping assistant
KR101657227B1 (ko) 고객 정보 관리 장치, 고객 정보 관리 방법,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01032B1 (ko)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0061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RESSING THE CARD OF A RETAIL ESTABLISHMENT
US201500063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between devices and objects
TWI496096B (zh) 在一物品區域中管理複數物品的系統、方法、與儲放單元
CA284627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order fulfillment, inventory management, and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to customers
JP2019074926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管理装置、無人運転装置およびサーバ
KR101707985B1 (ko) 고객을 매장에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0797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JP2019121086A (ja) 通信販売システム
KR20190083460A (ko) 이동식 점포를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
JP5141357B2 (ja) 店舗検索サーバ、該店舗検索サーバを含んだ店舗検索システム及び店舗情報提供方法
JP2007316897A (ja) 商品位置検索システム及び商品位置検索方法
US20210179159A1 (en) LSM Luggage Trolleys: Intelligent Shopping Mall Luggage Trolleys
KR20150055651A (ko) 매장 출입 정보 기반의 쿠폰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170270502A1 (en)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20070021346A (ko) 스마트쇼핑 시스템 및 방법
JP2018005626A (ja) 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装置並びに販売支援方法
Parmar Smart Retailing: A Novel Approach for Retailing Business
CN109583537A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JP7323594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管理装置、無人運転装置およ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