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13A - 물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13A
KR20180108413A KR1020177024187A KR20177024187A KR20180108413A KR 20180108413 A KR20180108413 A KR 20180108413A KR 1020177024187 A KR1020177024187 A KR 1020177024187A KR 20177024187 A KR20177024187 A KR 20177024187A KR 20180108413 A KR20180108413 A KR 20180108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element
connection port
valve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753B1 (ko
Inventor
뤼 양
Original Assignee
포산 순더 메이디 워터 디스펜서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32251.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56978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218895.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624707U/zh
Application filed by 포산 순더 메이디 워터 디스펜서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산 순더 메이디 워터 디스펜서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4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6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perme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4Press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01D2311/252Recirculation of concentrate
    • B01D2311/2523Recirculation of concentrate to feed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01D2313/501Permeate storage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물 여과 시스템(100)은 원수 입구(100a), 순수 출구(100b), 정수 출구(100c), 폐수 출구(100d) 및 일체화 필터 소자(1)를 포함하고, 일체화 필터 소자(1)는 제1 연결 포트(10a) 내지 제6 연결 포트(10f)를 구비하고, 제3 연결 포트(10c)에는 연통 유로(102)가 연결되며, 연통 유로(102)의 자유단은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 사이에 연결되고, 순수 출구(100b)와 서로 연결된 유로 및 제6 연결 포트(10f)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수 장치(2)가 설치되며, 일단이 정수 출구(100c)와 제2 연결 포트(10b)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폐수 출구(100d)와 제5 연결 포트(10e) 사이에 연결되는 리턴 유로(101)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물 여과 시스템
본 발명은 정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물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에 있어서, 정수기는 물 여과 시스템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사용수명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 여과 시스템의 회수율(순수유량과 원수유량의 비율)이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아 물 여과 시스템의 순수 통과량이 적고 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 중의 하나를 해결하려는데 취지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사용수명을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은, 원수 입구, 순수 출구, 정수 출구, 폐수 출구,일체화 필터 소자 및 리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 필터 소자는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 필터 소자는 제1 연결 포트, 제2 연결 포트, 제3 연결 포트, 제4 연결 포트, 제5 연결 포트 및 제6 연결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포트와 상기 원수 입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포트와 상기 정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 포트에 연통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연통 유로의 자유단은 상기 제2 연결 포트와 상기 정수 출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 포트와 상기 순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원수 입구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순서대로 상기 프리 필터 소자,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상기 포스트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상기 순수 출구로부터 유출되며, 상기 원수 입구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단지 상기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상기 정수 출구로부터 유출되고, 상기 제5 연결 포트와 상기 폐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순수 출구에 연결된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포트 중의 어느 하나에 저수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리턴 유로의 일단이 상기 정수 출구와 상기 제2 연결 포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턴 유로의 타단이 상기 폐수 출구와 상기 제5 연결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리턴 유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은, 물 여과 시스템에 리턴 유로를 설치함으로써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사용수명을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물 여과 시스템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 여과 시스템의 순수 출구와 서로 연결된 유로 및 제4 연결 포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수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대량의 물을 사용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물 여과 시스템은 순수 및 정수 두 가지 서로 다른 수질의 물을 얻을 수 있고, 물 자원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 유로에 스로틀 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일체화 필터 소자 내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앞의 입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 유로에 유량 제어 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사용수명을 확보하는 동시에 물 절약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 유로에 스위치가 설치됨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의 폐수 통과량을 줄이고, 여과 시스템의 순수 통과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 필터 소자는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상기 포스트 필터 소자와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일체화 필터 소자 내부의 유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폐수 출구와 서로 연결된 유로에 폐수 밸브가 설치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일체화 필터 소자 내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앞의 입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 포트와 상기 정수 출구 사이에 입수 밸브 및 부스터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입수 밸브는 상기 정수 출구와 상기 부스터 펌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 유로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입수 밸브의 상기 정수 출구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리턴 유로의 상기 일단은 상기 입수 밸브와 상기 부스터 펌프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은 순수 및 정수 두 가지 서로 다른 수질의 물을 얻을 수 있고, 물 자원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유로의 설치에 의해 물 여과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 장치에는 검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압력 검출 장치 및 액위 검출 장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장치가 상기 저수 장치 내에 액체가 가득차지 않았다고 검출하면, 상기 물 여과 시스템의 컨트롤은 상기 입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부스터 펌프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의 자동저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 포트와 상기 원수 입구 사이에 프리 필터 메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연결 포트와 상기 순수 출구 사이에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 및 상기 고압 스위치는 일체로 집적됨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의 부재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물 여과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 장치는 저수 봉지, 압력 탱크 또는 물탱크임으로써, 저수 장치는 실제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키도록 실제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역 삼투 필터 소자 또는 나노 여과막 필터 소자임으로써, 순수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방면 및 장점의 일 부분은 하기에서 설명되며 일 부분은 하기 설명에서 뚜렷해질 것이며, 또는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및/또는 부가적인 방면 및 장점은 하기 도면에 결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뚜렷해질 것이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며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는 시종일관하게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당해 특징을 포함함을 명시하거나 암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복수 개"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해둬야 할 것은, 별도로 명확한 규정이나 한정을 하지 않는 한, 용어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가능한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개물을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구성 요소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 1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100)은, 원수 입구(100a), 순수 출구(100b), 정수 출구(100c), 폐수 출구(100d) 및 일체화 필터 소자(1)를 포함한다.
일체화 필터 소자(1)는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일체화 필터 소자(1)는 제1 연결 포트(10a), 제2 연결 포트(10b), 제3 연결 포트(10c), 제4 연결 포트(10d), 제5 연결 포트(10e) 및 제6 연결 포트(10f)를 구비하며, 제1 연결 포트(10a)와 원수 입구(100a)는 서로 연결되고,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는 서로 연결되며, 제3 연결 포트(10c)에는 연통 유로(102)가 연결되고, 연통 유로(102)의 자유단은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연결 포트(10d)와 순수 출구(100b)는 서로 연결되며, 원수 입구(100a)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순서대로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를 경유하면서 여과된 후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되며, 원수 입구(100a)에서 유입된 원수는 단지 프리 필터 소자를 경유하여 여과된 후 정수 출구(100c)로부터 유출되고, 제5 연결 포트(10e)와 폐수 출구(100d)는 서로 연결되고, 순수 출구(100b)에 연결된 유로 및 제6 연결 포트(10f) 중의 어느 하나에 저수 장치(2)가 설치된다. 리턴 유로(101)의 일단은 정수 출구(100c)와 제2 연결 포트(10b) 사이에 연결되고, 리턴 유로(101)의 타단은 폐수 출구(100d)와 제5 연결 포트(10e)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설명해둬야 할 것은, 원수가 순서대로 일체화 필터 소자(11)의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얻은 물이 "순수"이고, 순수는 직접 음용 가능하다. 원수가 단지 일체화 필터 소자(11)의 프리 필터 소자 여과를 거친 후 얻은 물이 "정수"이고, 정수는 생활용수로서 예를 들면 세탁, 수세 변소 등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여과 시스템(100)은 원수 유로(103), 순수 유로(104), 정수 유로(105), 폐수 유로(106) 및 저수 유로(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1 연결 포트(10a)는 원수 유로(103)를 통해 원수 입구(100a)와 서로 연결되고,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2 연결 포트(10b)는 정수 유로(105)를 통해 정수 출구(100c)와 서로 연결되며,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3 연결 포트(10c)는 연통 유로(102)를 통해 정수 출구(100c)와 서로 연결되고, 또한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3 연결 포트(10c)는 연통 유로(102) 및 정수 유로(105)를 통해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2 연결 포트(10b)와 서로 연결되며,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4 연결 포트(10d)는 순수 유로(104)를 통해 순수 출구(100b)와 서로 연결되고,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5 연결 포트(10e)는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와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저수 장치(2)는 저수 유로(107)에 연결되고, 또한 저수 장치(2)는 저수 유로(107)를 통해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제6 연결 포트(10f)와 서로 연결된다. 더 나아가, 순수 출구(100b)에는 순수 출구(100b)의 개폐를 위해 순수 밸브(7)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정수 출구(100c)에는 출구(100c)의 개폐를 위해 정수 밸브(8)가 설치된다. 리턴 유로(101)의 일단은 정수 유로(105)에 연결되고, 리턴 유로(101)의 타단은 폐수 유로(106)에 설치될 수 있다.
순수가 필요할 때, 순수 밸브(7)를 개방하고 정수 밸브(8)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원수 입구(100a)로부터 원수 유로(103)를 통해 제1 연결 포트(10a)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고, 또한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정수를 얻고, 정수는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어 순서대로 연통 유로(102), 정수 유로(105)를 통과하여 제2 연결 포트(10b)로부터 다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유입되고, 또한 순서대로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를 경유하면서 여과되어 순수를 얻고, 순수는 제4 연결 포트(10d)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어 순수 유로(104)를 통해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순수는 직접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폐수는 제5 연결 포트(10e)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고, 일부분은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로부터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리턴 유로(101)를 통해 정수 유로(105)에 리턴되고 정수와 함께 제2 연결 포트(10b)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물 여과 시스템(100)의 폐수를 회수하여 정수와 합류시키고, 이 부분의 폐수는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의해 재차 여과되기 때문에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 부담을 덜어주고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사용수명을 확보하는 동시에 물 여과 시스템(100)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물 여과 시스템(100)의 순수 통과량을 향상시키며, 물 절약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 필터 소자는 제1 연결 포트(10a)로부터 유입된 원수에 대해 초보적인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 필터 소자는 물 중의 쇠녹, 흙과 모래, 교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물 중의 잔류 염소 및 일부 유기물 등을 흡착할 수 있다.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프리 필터 소자에 의해 초보적으로 여과된 후의 물에 대해 정밀한 여과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물 중의 세균, 병균 및 중금속이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포스트 필터 소자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에 의해 정밀하게 여과된 후의 물에 대해 더 한층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트 필터 소자는 잔류 염소 및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물 맛을 개선할 수 있다.
정수가 필요할 때, 정수 밸브(8)를 개방하고 순수 밸브(7)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원수 입구(100a)로부터 원수 유로(103)를 통해 제1 연결 포트(10a)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고, 또한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정수를 얻고, 정수는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고, 연통 유로(102)를 통해 정수 출구(100c)로부터 유출되며, 정수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용수, 예를 들면, 세탁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소량의 폐수가 생성되거나 또는 폐수가 기본상 생성되지 않는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물 여과 시스템(100)은 순수 및 정수 두 가지 서로 다른 수질의 물을 얻어 서로 다른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자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고 물 자원의 이용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물 절약을 구현할 수 있다.
대량의 물이 필요할 때, 사전에 저수 장치(2)에 일정한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수 밸브(7)를 폐쇄함과 아울러 정수 밸브(8)를 폐쇄하여 원수는 원수 입구(100a)로부터 원수 유로(103)를 통해 제1 연결 포트(10a)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고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어 연통 유로(102) 및 정수 유로(105)를 거쳐 제2 연결 포트(10b)로부터 다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유입되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제6 연결 포트(10f)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고, 저수 유로(107)를 통해 저수 장치(2) 내에 물이 가득찰 때까지 저수 장치(2) 내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폐수는 마찬가지로 제5 연결 포트(10e)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고, 일부분은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로부터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리턴 유로(101)를 통해 정수 유로(105)에 리턴되고, 정수와 함께 제2 연결 포트(10b)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저수 장치(2)의 설치에 의해 순수 밸브(7)를 개방하고 정수 밸브(8)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저수 장치(2)는 압력,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가 저수 장치(2) 내의 물에 인가한 압력에 의해, 또는 기타 동력에 의해 저수 장치(2) 내의 물을 저수 유로(107)를 통해 제6 연결 포트(10f)로부터 다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수송하고, 포스트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순수로 되고, 또한 순수 유로(104)를 통해 순수 출구(100b)에서 유출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대량의 물을 사용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6 연결 포트(10f)에 연결된 저수 유로(107) 및 순수 유로(104)에 각각 사용자가 대량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수요를 더 만족시키기 위해 저수 장치(2)(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물 여과 시스템(100)은 저수 유로(107)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저수 장치(2)를 순수 유로(104)에 설치할 수 있다(미도시). 이런 경우도 사용자가 대량의 물을 사용하는 수요를 양호하게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물 여과 시스템(100)의 부재 수량도 상대적으로 적어, 물 여과 시스템(100) 전체가 점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정수 출구(100c) 및 순수 출구(100b)는 출수 밸브 하나를 공유할 수 있으며, 당해 출수 밸브는 세가지 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출수 밸브가 제1 상태이면, 정수 출구(100c)는 개방되고 순수 출구(100b)는 폐쇠되며, 출수 밸브가 제2 상태이면, 정수 출구(100c)는 폐쇄되고 순수 출구(100b)도 폐쇄되며, 출수 밸브가 제3 상태이면, 정수 출구(100c)는 폐쇄되고 순수 출구(100b)는 개방된다. 이로써, 물 여과 시스템(100)의 부재 수량을 더 한층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수 밸브는 3방 밸브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100)은, 물 여과 시스템(100)에 리턴 유로(101)를 설치하고, 또한 리턴 유로(101)의 일단이 정수 출구(100c)와 제2 연결 포트(10b) 사이에 연결되고, 리턴 유로(101)의 타단이 폐수 출구(100d)와 제5 연결 포트(10e)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100)의 일부 폐수를 회수하여 또 다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유입시켜 여과한다. 따라서,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사용수명을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물 여과 시스템(100)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물 절약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물 여과 시스템(100) 중 순수 출구(100b)에 연결된 유로 및 제6 연결 포트(10f)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수 장치(2)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대량의 물을 사용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제1 연결 포트(10a), 제2 연결 포트(10b), 제3 연결 포트(10c), 제4 연결 포트(10d) 및 제5 연결 포트(10e)를 설치하고, 제1 연결 포트(10a)와 물 여과 시스템(100)의 원수 입구(100a)는 서로 연결되고,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는 서로 연결되며, 제3 연결 포트(10c)에 연결된 연통 유로(102)의 자유단이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연결 포트(10d)와 순수 출구(100b)는 서로 연결되며, 제5 연결 포트(10e)와 폐수 출구(100d)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100)은 순수 및 정수 두가지 서로 다른 수질의 물을 얻어 서로 다른 용도에 사용할 수 있고 물 자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며 물 자원의 이용율을 향상시키고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를 사용하여 복합적으로 구성된 일체화 필터 소자(1)는 일체화 구성을 이루어, 일체화 필터 소자(1)의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체적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물 여과 시스템(100)의 유로 연결을 간소화하여 물 여과 시스템(100)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유로(101)에 스로틀 밸브(9)를 설치하고, 스로틀 밸브(9)는 리턴 유로(101) 중의 폐수 흐름에 대해 제한하기 때문에,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앞의 입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폐수 출구(100d)와 서로 연결된 유로에 폐수 밸브가 설치되고, 폐수 밸브는 폐수 출구(100d)의 개폐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폐수 밸브는 폐수 전자 밸브(6)일 수 있고, 폐수 전자 밸브(6)는 항상 정전 상태에 처해 있을 수 있다. 이때, 폐수 전자 밸브(6) 내에는 폐수 유로(106)의 유통을 확보하도록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앞의 입수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폐수 전자 밸브(6)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 원리 등은 이미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장악하고 있는 지식이기 때문에 여기서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물론, 폐수 밸브는 폐수 수동 밸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례에서, 리턴 유로(101)에 스로틀 밸브(9)를 설치하고, 또한 폐수 출구(100d)와 서로 연결된 유로에 폐수 전자 밸브(6)를 설치하고, 스로틀 밸브(9)가 리턴 유로(101) 중의 폐수 흐름에 대해 제한하고 폐수 전자 밸브(6)가 폐수 유로(106) 중의 폐수 흐름에 대해 제한하기 때문에,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앞의 입수 압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리턴 유로(101)가 일부 폐수를 또 다시 정수 유로(105)에 리턴시켜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하여 여과시킨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100)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물 여과 시스템(100)의 순수 통과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턴 유로(101)에는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스위치는 리턴 유로(101)의 도통 또는 차단을 구현한다. 원수의 수질이 좋아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 부담을 덜어주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물량이 많을 때, 리턴 유로(101) 상의 스위치를 폐쇄하여 리턴 유로(101)의 상기 일단과 리턴 유로(101)의 상기 타단을 차단한다. 이때, 물 여과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폐수는 단지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로부터 배출된다. 단지 폐수 유로(106)만 물 여과 시스템(100)의 폐수 흐름에 대해 제한하기 때문에, 물 여과 시스템(100)의 폐수 통과량을 줄이고, 물 여과 시스템(100)의 순수 통과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수의 수질이 좋지 않은 상황이면, 리턴 유로(101)의 스위치를 열어 리턴 유로(101)의 상기 일단과 리턴 유로(101)의 상기 타단을 도통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물 여과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폐수 일부분은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로부터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리턴 유로(101)를 통해 정수 유로(105)에 리턴되고 정수와 함께 제2 연결 포트(10b)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100)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물 여과 시스템(100)의 순수 통과량이 향상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리턴 유로(101)에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면, 리턴 유로(101)에 동시에 스로틀 밸브(9)를 설치할 수 있고, 또는 리턴 유로(101)에 스로틀 밸브(9)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모두 물 여과 시스템(100)의 순수 통과량을 제고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리턴 유로(101)에 유량 제어 밸브(미도시), 예를 들면, 유량 제어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원수 수질의 좋고 나쁨 등 파라미터에 따라 유량 제어 밸브를 조정하여 리턴 유로(101) 중의 폐수 통과량을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사용수명을 확보하는 전제하에서, 물 여과 시스템(100)의 순수 통과량을 향상하는 목적에 달성할수 있고 물 절약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수 수질이 좋으면, 유량 제어 밸브를 조정하여 리턴 유로(101) 중의 폐수 통과량을 줄이고, 원수 수질이 나쁘면, 유량 제어 밸브를 조정하여 리턴 유로(101) 중의 폐수 통과량을 증대하고, 모두 물 여과 시스템(100)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 소자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와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프리 필터 소자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와 분리하여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만 프리 필터 소자가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의 상류측에 위치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부의 유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프리 필터 소자를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와 분리되지 않게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리 필터 소자를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리 필터 소자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례에서, 원수는 원수 입구(100a)로부터 원수 유로(103)를 따라 제1 연결 포트(10a)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유입되고,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얻은 정수는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유출되며, 프리 필터 소자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연결 포트(10a) 및 제3 연결 포트(10c)는 모두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 연결 포트(10b), 제4 연결 포트(10d), 제5 연결 포트(10e) 및 제6 연결 포트(10f)는 모두 일체화 필터 소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체화 필터 소자(1)의 포트를 분산 배치할 수 있으며, 일체화 필터 소자(1)의 포트와 물 여과 시스템(100)의 유로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 사이에 입수 밸브(3) 및 부스터 펌프(4)가 설치되고, 입수 밸브(3)는 정수 출구(100c)와 부스터 펌프(4)사이에 위치하고, 연통 유로(102)의 자유단이 입수 밸브(3)의 정수 출구(100c)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고, 리턴 유로(101)의 일단이 입수 밸브(3)와 부스터 펌프(4)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 밸브(3) 및 부스터 펌프(4)는 간격을 두고 정수 유로(105)에 설치되고, 입수 밸브(3)는 정수 유로(105)의 도통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입수 밸브(3)가 개방되고 정수 밸브(8)가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정수는 정수 유로(105)를 통해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유입되어 여과되며, 입수 밸브(3)가 폐쇄되면,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정수는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유입될 수 없다. 부스터 펌프(4)는 정수의 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며, 정수가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내로 삼투되어 여과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수 밸브(3)가 개방되고, 부스터 펌프(4)가 작동하고, 정수 밸브(8)가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일체화 필터 소자(1)로 흐르는 정수의 압력이 크기 때문에, 정수가 원활하게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내로 삼투되어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얻은 순수는 제4 연결 포트(10d)로부터 순수 유로(104)를 거쳐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되며, 일부 폐수는 리턴 유로(101)를 따라 입수 밸브(3)와 부스터 펌프(4) 사이에 위치한 정수 유로(105)에 리턴하고, 정수와 함께 일체화 필터 소자(1) 내로 유입되어 여과된다. 입수 밸브(3)가 폐쇄되면, 정수만 얻어진다. 이때, 정수 밸브(8)를 개방하고 정수는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연통 유로(102)를 통해 정수 출구(100c)에서 유출된다.
연통 유로(102)의 자유단이 입수 밸브(3)의 정수 출구(100c)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수가 먼저 일체화 필터 소자(1)의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얻어진 정수는 입수 밸브(3) 및 부스터 펌프(4)로 흐르고, 프리 필터 소자는 원수 중의 잡질을 제거하여 입수 밸브(3) 및 부스터 펌프(4)가 이러한 잡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물 여과 시스템(100)의 정상적인 운행을 확보하고, 또한 입수 밸브(3)의 상류에 프리 필터 메쉬 등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물 여과 시스템(100)의 부재를 줄일 수 있고 물 여과 시스템(100)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유로(101)의 상기 일단이 입수 밸브(3)와 부스터 펌프(4)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턴 유로(101)의 상기 일단이 입수 밸브(3)의 상류측에 위치할 때 정수가 리턴 유로(10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리턴 유로(101)의 상기 일단이 부스터 펌프(4)의 하류측에 위치할 때 부스터 펌프(4)의 가압 작용에 의해 리턴 유로(101)의 일부 폐수가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리턴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다싶이, 물 여과 시스템(100)은 순수 및 정수 두가지 서로 다른 수질의 물을 얻을 수 있고, 물 자원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입수 밸브(3)는 전자 밸브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사이에 입수 밸브(3)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부스터 펌프(4)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폐수 유로(105)에 폐수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폐수 밸브는 폐수 수동 밸브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정수 밸브(8)는 정수 수동 밸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순수 밸브(7)는 순수 수동 밸브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100)은 사용과정에 부스터 펌프(4) 등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다만 정수 수동 밸브, 순수 수동 밸브 및 폐수 수동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기만 하면 되기에, 물 여과 시스템(100)을 간소화하고, 전기를 절약하고, 원가를 낮출 수 있는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정수가 필요할 때, 정수 수동 밸브를 개방하고 순수 수동 밸브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여과를 거친 후 제3 연결 포트(10c)에서 유출되며 연통 유로(101)를 통과하여 정수 출구(100c)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본상 폐수가 생성되지 않고, 폐수 수동 밸브가 폐쇄상태에 유지할 수 있다. 순수가 필요할 때, 순수 수동 밸브를 개방하고, 폐수 수동 밸브도 개방되고 또한 정수 수동 밸브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내에 삼투되어 여과되고, 제4 연결 포트(10d)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어, 나중에 순수 유로(104)를 통해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폐수 일부분은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로부터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리턴 유로(101)를 통해 정수 유로(105)에 리턴되고 정수와 함께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포트(10b)와 정수 출구(100c) 사이에 단지 입수 밸브(3)만 설치하고 부스터 펌프(4)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수 밸브(3)는 입수 수동 밸브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정수 밸브(8)는 정수 수동 밸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순수 밸브(7)는 순수 수동 밸브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100)은 사용과정에 부스터 펌프(4) 등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단지 입수 수동 밸브, 정수 수동 밸브, 순수 수동 밸브의 개폐를 조정하기만 하면되어 물 여과 시스템(100)을 간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수가 필요할 때, 입수 수동 밸브를 개방하고 정수 수동 밸브를 개방하고 순수 수동 밸브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여과를 거친 후 제3 연결 포트(10c)에서 유출되며 연통 유로(101)를 통과하여 정수 출구(100c)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본상 폐수가 생성되지 않는다. 순수가 필요할 때, 입수 수동 밸브를 개방하고 순수 수동 밸브를 개방하고 정수 수동 밸브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내에 삼투되어 여과되고, 제4 연결 포트(10d)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어, 나중에 순수 유로(104)를 통해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된 폐수 일부분는 폐수 유로(106)를 통해 폐수 출구(100d)로부터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리턴 유로(101)를 통해 정수 유로(105)에 리턴되고 정수와 함께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저수 장치(2)에는 검출 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검출 장치는 압력 검출 장치 및 액위 검출 장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검출 장치가 저수 장치(2) 내의 액체가 가득차지 않았음을 검출하면, 물 여과 시스템(100)의 컨트롤(미도시)은 입수 밸브(3)가 개방되고 부스터 펌프(4)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저수 장치(2)에 저수 장치(2) 내의 액체가 가득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100)의 자동 저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물 공급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수 밸브(7)를 폐쇄하고 정수 밸브(8)를 폐쇄하고 검출 장치는 저수 장치(2) 내에 저장된 물이 저수 장치(2) 내에 가득찼는지 여부를 실시간 검출한다. 검출 장치가 저수 장치(2) 내의 물이 아직 차지 않았음을 검출하면, 검출 장치는 당해 신호를 컨트롤에 전달하고, 컨트롤은 입수 밸브(3)가 개방되고 부스터 펌프(4)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원수는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얻은 정수는 연통 유로(102) 및 정수 유로(105)를 통해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유입되고,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제6 연결 포트(10f)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고, 나중에 저수 유로(107)를 통해 저수 장치(2)가 가득찰 때까지 저수 장치(2) 내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검출 장치가 저수 장치(2) 내의 물이 가득찼다고 검출하면, 당해 신호를 컨트롤에 전달하고, 컨트롤은 입수 밸브(3)를 폐쇄시키고 부스터 펌프(4)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압력 검출 장치는 압력 센서일 수 있고, 액위 검출 장치는 액위 센서일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저수 장치(2) 내의 액체 압력를 걸출하기 위한 것이고, 액위 센서는 저수 장치(2) 내의 액체 액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물 여과 시스템(100)은 더 스마트적이고 사용자가 사용에 최대한 편의를 도모해준다.
압력 검출 장치가 압력 센서인 경유, 압력 센서가 검출한 압력이 설정치(예를 들면, 저수 장치(2) 내의 액체가 가득찼을 때의 액체 압력을 설정치로 함)보다 작으면, 컨트롤은 입수 밸브(3)를 개방시키고 부스터 펌프(4)를 작동시켜, 원수는 프리 필터 소자 및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저수 장치(2) 내의 물이 가득 찰때 까지 저수 정치(2) 내에 유입된다. 이때, 압력 센서가 검출한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하면, 컨트롤은 입수 밸브(3)를 폐쇄시키고 부스터 펌프(4)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액위 검출 장치가 액위 센서인 경우, 액위 센서가 검출한 액위가 설정치(예를 들면, 저수 장치(2) 내의 액체가 가득찼을 때의 액체 액위 를 설정치로 함)보다 작을 때, 컨트롤은 입수 밸브(3)를 개방시키고 부스터 펌프(4)를 작동시켜, 원수는 프리 필터 소자 및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저수 장치(2) 내의 물이 점차 많아져 저수 장치(2) 내의 물이 가득찰 때까지 저수 장치(2) 내로 유입된다. 이때, 액위 센서가 검출한 액위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컨트롤은 입수 밸브(3)를 폐쇄시키고 부스터 펌프(4)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저수 장치(2)에 검출 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수 장치(2)는 사용자가 저수 장치(2) 내의 액위를 눈짐작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수 장치(2) 내의 액체가 가득차지 않을 정도로 낮은 액위를 관찰하면, 상기 입수 수동 밸브를 개방시키고 또한 순수 수동 밸브 및 정수 수동 밸브를 폐쇄상태에 유지시킴으로써, 저수 장치(2)의 저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100)은 사용과정에서 저수 장치(2)의 저수량의 검출에 대해 압력 센서, 액위 센서 등 전기를 사용하는 검출 장치가 필요 없고 전기를 절약할 수 있으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연결 포트(10a)와 원수 입구(100a) 사이에 프리 필터 메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리 필터 메쉬는 원수 유로(103)에 설치되어 원수 중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물체, 예를 들면, 쇠녹 등 큰 알갱이 잡질 등을 여과하여 원수 유로(10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프리 필터 소자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프리 필터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4 연결 포트(10d)와 순수 출구(100b) 사이에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고,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는 일체화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순수 유로(104) 내의 순수가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리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고압 스위치는 소재한 위치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검출신호를 컨트롤에 전송하고, 컨트롤은 입수 밸브(3) 및 부스터 펌프(4)의 운행을 제어하여, 입수 밸브(3) 및 부스터 펌프(4)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례에서, 제4 연결 포트(10d)와 순수 출구(100b)사이의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는 체크 밸브 고압 스위치(5)로 직접화되도록 구성된다.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를 일체화 구조로 집적화함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100)의 부재 수량을 절감시키고, 따라서 물 여과 시스템(100)이 간소화될 수 있다.
순수가 필요할 때, 순수 밸브(7)를 개방하고 정수 밸브(8)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고압 스위치는 소재한 위치의 압력이 설정 압력 p1보다 작은 것을 검출한다. 여기서 설정 압력 p1은 0.2MPa≤p1≤0.25MPa이며, 신호를 컨트롤에 전달하고, 컨트롤이 입수 밸브(3)를 개방하고 부스터 펌프(4)를 작동시키면, 원수느 원수 입구(100a)로부터 원수 유로(103)를 통해 제1 연결 포트(10a)를 거쳐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고,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여과를 거쳐 순수를 얻고, 순수는 나중에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된다. 그 다음 폐쇄 순수 밸브(7)를 폐쇄한다. 체크 밸브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의 흐름이 제한받기 때문에 고압 스위치가 소재한 위치의 압력이 점차 증대되고, 상기 압력이 설정 압력p1에 달하면, 고압 스위치는 신호를 컨트롤에 전달하고, 컨트롤은 입수 밸브(3)를 폐쇄시키고 부스터 펌프(4)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압 스위치의 설정 압력 p1은 사용자의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기 위하여 실제 상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정수가 필요할 때, 정수 밸브(8)를 개방하고 순수 밸브(7)를 폐쇄상태에 유지하면, 원수는 원수 입구(100a)로 원수 유로(103)를 통해 제1 연결 포트(10a)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고,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쳐 정수를 얻게 되고, 정수는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서 유출되어 연통 유로(102)를 통해 정수 출구(100c)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순수 밸브(7)가 개방되더라도 순수는 순수 출구(100b)로부터 유출되지 않는다. 그 다음 정수 밸브(8)를 폐쇄하고, 정수는 정수 출구(100c)로부터 유출될 수 없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는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4 연결 포트(10d)와 순수 출구(100b) 사이에 단지 체크 밸브만 설치하고 고압 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물 여과 시스템(100)의 구성을 더 간소화할 수 있고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저수 장치(2)는 저수 봉지, 압력 탱크 또는 물 탱크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저수 봉지 또는 압력 탱크는 제6 연결 포트(10f)에 연결될 수 있고, 물 탱크는 순수 유로(104)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대량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저수 봉지는 접이 가능하고 보관하기 편리하며 체적이 작고, 또한 사용자의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가지 규격의 저수 봉지를 주문받아 만들 수 있다. 압력 탱크는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양호한 경제성을 구비하고, 또한 압력 탱크는 탱크 내의 공기 압축성을 이용하여 물을 저장하고 물량을 조정할 수 있다. 물 탱크는 수질에 대해 오염이 없고 수질의 청결성과 위생성을 확보하고, 또한 물 탱크는 강도가 높고 무게가 가벼우며 외형이 정결하고 외관성이 높고 세척에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역 삼투 필터 소자 또는 나노 여과막 필터 소자 등일 수있다. 역 삼투막은 물 중의 세균, 병독, 중금속이온 등을 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역 삼투 필터 소자는 역 삼투막을 투과한 물과 투과하지 못한 농축수를 엄격히 구분할 수 있다. 나노 여과막은 물 중의 유기물 및 색도를 제거하고 일부 가용성염을 제거하며 물의 경도를 제거하고, 또한 나노 여과막 필터 소자도 마찬가지로 나노 여과막을 투과한 물과 투과하지 못한 농축수을 엄격하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역 삼투 필터 소자를 사용하든지 나노 여과막 필터 소자를 사용하든지 모두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여과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정밀 여과 필터 소자를 투과한 물의 수질이 좋으며, 따라서 순수의 수질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확보할 수 있다.
물 여과 시스템(100)은 일정한 시간 사용하면, 일체화 필터 소자(1)를 세척해야 한다. 이때, 순수 밸브(7) 및 정수 밸브(8)를 폐쇄하고, 컨트롤은 입수 밸브(3)가 개방되고 부스터 펌프(4)가 작동하고 폐수 전자 밸브(6)가 통전되도록 제어하면, 이때, 폐수 전자 밸브(6)는 완전한 개방상태에 처하고, 원수는 제1 연결 포트(10a)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유입되어 프리 필터 소자에 대해 세척한 후, 제3 연결 포트(10c)로부터 유출되고 순서대로 연통 유로(102) 및 정수 유로(105)를 거쳐 제2 연결 포트(10b)로부터 다시 일체화 필터 소자(1) 내에 유입되어 정밀 여과 필터 소자에 대해 세척한다. 이리하여 일체화 필터 소자(1)의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에 부착된 잡질을 제거하고, 일체화 필터 소자(1)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물론, 물 여과 시스템(100)에 부스터 펌프(4), 검출 장치, 고압 스위치 등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물 여과 시스템(100)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이도 물 여과 시스템(100)은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수 밸브(3)는 입수 수동 밸브이고, 순수 밸브(7)는 순수 수동 밸브이며, 정수 밸브(8)는 정수 수동 밸브이고, 폐수 밸브는 폐수 수동 밸브일 수 있다. 이때, 일체화 필터 소자(1)에 대해 세척할 경우, 순수 수동 밸브 및 정수 수동 밸브를 폐쇄하고, 입수 수동 밸브 및 폐수 수동 밸브를 개방한다. 이때, 폐수 수동 밸브는 완전 개방 상태이고, 원수는 제1 연결 포트(10a)로부터 일체화 필터 소자(1)에 유입되어 순서대로 프리 필터 소자 및 정밀 여과 필터 소자를 세척하고, 마찬가지로 일체화 필터 소자(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여과 시스템(100)의 기타 구성 및 조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미 알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참고용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등의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님을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
100: 여과 시스템
100a: 원수 입구
100b: 순수 출구
100c: 정수 출구
100d: 폐수 출구
101: 리턴 유로
102: 연통 유로
103: 원수 유로
104: 순수 유로
105: 정수 유로
106: 폐수 유로
107: 저수 유로
1: 일체화 필터 소자
10a: 제1 연결 포트
10b: 제2 연결 포트
10c: 제3 연결 포트
10d: 제4 연결 포트
10e: 제5 연결 포트
10f: 제6 연결 포트
2: 저수 장치
3: 입수 밸브
4: 부스터 펌프
5: 체크 밸브 고압 스위치
6: 폐수 전자 밸브
7: 순수 밸브
8: 정수 밸브
9: 스로틀 밸브

Claims (12)

  1. 원수 입구, 순수 출구, 정수 출구, 폐수 출구,일체화 필터 소자 및 리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 필터 소자는 프리 필터 소자,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포스트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 필터 소자는 제1 연결 포트, 제2 연결 포트, 제3 연결 포트, 제4 연결 포트, 제5 연결 포트 및 제6 연결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포트와 상기 원수 입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포트와 상기 정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 포트에 연통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연통 유로의 자유단은 상기 제2 연결 포트와 상기 정수 출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 포트와 상기 순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원수 입구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순서대로 상기 프리 필터 소자,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상기 포스트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상기 순수 출구로부터 유출되며, 상기 원수 입구로부터 유입된 원수는 단지 상기 프리 필터 소자의 여과를 거친 후 상기 정수 출구로부터 유출되고, 상기 제5 연결 포트와 상기 폐수 출구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순수 출구에 연결된 유로 및 상기 제6 연결 포트 중의 어느 하나에 저수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리턴 유로의 일단이 상기 정수 출구와 상기 제2 연결 포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턴 유로의 타단이 상기 폐수 출구와 상기 제5 연결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유로에 스로틀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유로에 유량 제어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유로에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 소자는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 및 상기 포스트 필터 소자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출구와 서로 연결된 유로에 폐수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포트와 상기 정수 출구 사이에 입수 밸브 및 부스터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입수 밸브는 상기 정수 출구와 상기 부스터 펌프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 유로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입수 밸브의 상기 정수 출구에 인접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리턴 유로의 상기 일단은 상기 입수 밸브와 상기 부스터 펌프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장치에는 검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압력 검출 장치 및 액위 검출 장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장치가 상기 저수 장치 내에 액체가 가득 차지 않았다고 검출하면, 상기 물 여과 시스템의 컨트롤은 상기 입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부스터 펌프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포트와 상기 원수 입구 사이에 프리 필터 메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 포트와 상기 순수 출구 사이에 체크 밸브 및 고압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 및 상기 고압 스위치는 일체로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장치는 저수 봉지, 압력 탱크 또는 물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역 삼투 필터 소자 또는 나노 여과막 필터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시스템.
KR1020177024187A 2017-03-07 2017-06-06 물 여과 시스템 KR102026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32251.9A CN108569783A (zh) 2017-03-07 2017-03-07 过滤水系统
CN201720218895.5U CN206624707U (zh) 2017-03-07 2017-03-07 过滤水系统
CN201720218895.5 2017-03-07
CN201710132251.9 2017-03-07
PCT/CN2017/087305 WO2018161453A1 (zh) 2017-03-07 2017-06-06 过滤水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13A true KR20180108413A (ko) 2018-10-04
KR102026753B1 KR102026753B1 (ko) 2019-09-30

Family

ID=6113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187A KR102026753B1 (ko) 2017-03-07 2017-06-06 물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98911A1 (ko)
KR (1) KR102026753B1 (ko)
RU (1) RU2676283C1 (ko)
WO (1) WO201816145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587B1 (ko) * 1995-09-01 1998-10-15 정휘동 정수시스템
KR100947761B1 (ko) * 2009-08-26 2010-03-18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3유로 개폐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CN204310887U (zh) * 2014-12-03 2015-05-06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净水机
CN205516831U (zh) * 2016-03-01 2016-08-31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多出水净水器水路板及净水器
CN205635100U (zh) * 2015-12-16 2016-10-1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685A (en) * 1978-01-26 1982-06-01 Ecody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CA2256326A1 (en) * 1996-05-31 1997-12-11 Rudy Heistad Improved water treatment system
US6001244A (en) * 1998-07-10 1999-12-14 Anthony Pipes Performance water purification system
CN2384938Y (zh) * 1999-05-13 2000-06-28 郑定国 逆渗透水处理装置
FR2979339A1 (fr) * 2011-08-23 2013-03-01 Michel Duflos Dispositif destine a optimiser des purificateurs d'eau par osmose inverse sans rejet d'eau a usage domestique et permettant de supprimer la plupart des interventions de maintenance
CN203112610U (zh) * 2013-01-29 2013-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反渗透净水机
RU144132U1 (ru) * 2013-11-15 2014-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Л.Я. Карпова" (ФГУП "НИФХИ им. Л.Я. Карп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икрофильтраци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их сред
CN203728658U (zh) * 2014-01-09 2014-07-2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无压力罐的反渗透净水设备
CN203728618U (zh) * 2014-01-09 2014-07-2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无储水罐的反渗透净水设备
WO2015131422A1 (zh) * 2014-03-05 2015-09-11 深圳澳特弗科技有限公司 一种强脉冲微废水排放净水系统
CN103936180B (zh) * 2014-03-18 2016-06-22 张伟斌 饮用水处理设备
CN104591341B (zh) * 2015-01-30 2017-01-1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系统
RU2672753C1 (ru) * 2015-02-09 2018-11-19 ФОШАНЬ ШУНЬДЭ МИДЕА УОТЕР ДИСПЕНСЕР ЭмЭфДжи. КО., ЛТД. Составной композит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и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картридж
CN204508962U (zh) * 2015-02-11 2015-07-29 佛山尚之水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多级长寿命自动冲洗净水机
CN204625367U (zh) * 2015-05-08 2015-09-09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净水设备
CN204897388U (zh) * 2015-06-29 2015-12-2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蓄水袋及净水设备
CN205387509U (zh) * 2016-01-27 2016-07-20 武汉斯隆电气有限公司 可冲洗反渗透膜的制水系统以及净水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587B1 (ko) * 1995-09-01 1998-10-15 정휘동 정수시스템
KR100947761B1 (ko) * 2009-08-26 2010-03-18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3유로 개폐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CN204310887U (zh) * 2014-12-03 2015-05-06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净水机
CN205635100U (zh) * 2015-12-16 2016-10-1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系统
CN205516831U (zh) * 2016-03-01 2016-08-31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多出水净水器水路板及净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1453A1 (zh) 2018-09-13
KR102026753B1 (ko) 2019-09-30
RU2676283C1 (ru) 2018-12-27
EP3398911A4 (en) 2018-11-07
EP3398911A1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6845A (ko) 물 여과 시스템
US10550013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CN108975540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CN102390895B (zh) 一种反渗透净水机
US10392265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CN209636004U (zh) 集成水路系统及净水机
CN108975543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EP3392205A1 (en) Water filtering system
US10370269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CN206580657U (zh) 过滤水系统
CN206562356U (zh) 过滤水系统
CN206886818U (zh) 智能节水三水质净水机
KR20180108413A (ko) 물 여과 시스템
KR20180109660A (ko) 물 여과 시스템
US10500543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CN108975542B (zh) 净水系统及净水机
KR20180111481A (ko) 물 여과 시스템
EP3392204B1 (en) Water filtering system
CN206624706U (zh) 过滤水系统
CN208632228U (zh) 一种智能变频微废水节能反渗透净水机
CN106082477A (zh) 一种节水型反渗透净水机及控制系统
CN216537192U (zh) 过滤系统
CN105523652B (zh) 净水设备
CN108569782A (zh) 过滤水系统
CN108569728A (zh) 过滤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