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206A -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206A
KR20180108206A KR1020170037665A KR20170037665A KR20180108206A KR 20180108206 A KR20180108206 A KR 20180108206A KR 1020170037665 A KR1020170037665 A KR 1020170037665A KR 20170037665 A KR20170037665 A KR 20170037665A KR 20180108206 A KR20180108206 A KR 2018010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istance
upper plate
sensor uni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206A/en
Publication of KR2018010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a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system comprises: a sensor portion (10) installed in a pier of a bridge to measure a distance from an upper plate and wirelessly sending a measurement result; a collecting and relaying portion (20) for receiving and relaying a wireless signal of the sensor portion (10); a bridge management server (30) storing the measurement result relayed through the collecting and relaying portion (20) and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bridge bearing is required to be repaired by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and an operator terminal (40) for receiving a request for repairing the specific bridge bearing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and being useful for an operator for checking information regarding lifting up and down of the upper plate when repairing the bridge bearing.

Description

교량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a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좌의 보수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정밀한 교량 보수가 가능한 교량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a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a repair time of a bridge and repairing a bridge accurately.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소,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을 건널 수 있도록 하는 고가구조물을 뜻한다. 교량은 크게 슬래브와, 슬래브를 지지하는 주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 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하부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사이에 교좌가 위치하게 된다.In general, bridges are high-rise structures that allow rivers, lakes, and other traffic or structures to cross. The bridge consists largely of a superstructure consisting of a slab, a mold for supporting the slab, and a substructure supporting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per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bstructure.

상기 교좌는 상부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화 되거나 손상될 경우 교량의 안전도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어, 교량을 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원인이 된다.The diaphragm is intended to transmi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the lower structure, and when it is aged or damaged, the safety of the bridge is remarkably lowered, which directly threatens the safety of a vehicle or a pedestrian passing through the bridge.

따라서 교좌의 주기적인 확인을 통해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현재에는 교량의 규모에 따라 주기적인 점검이 정해져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ondition through the periodical confirmation of the schedule, and at present, periodical check is set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bridge.

위의 주기적인 점검은 평균 및 일반화한 것으로 실제 교통량이나 운행되는 차량의 속도나 무게에 따라 교좌의 손상 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점검 주기 이전에 손상이 심화되어 위험도가 높은 교량이 있을 수 있으며, 점검 주기가 도래하여도 전혀 손장되지 않은 교좌가 있을 수 있다.The above periodic inspection is averaged and generalized.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amage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actual traffic volume or the speed or weight of the vehicle being operated, there may be a bridge with a high degree of risk, There may be a schoolbook that is not handled at all even if the cycle comes.

교좌의 점검과 보수는 상부 구조물을 유압장치로 인상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점검 및 보수를 할 때에도 해당 교량에는 차량의 통행이 차단되며, 따라서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정도의 손상이 있는 교좌를 점검 주기의 도래에 따라 점검하는 경우에 교통 체증을 불필요하게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inspection and repair of the school is performed with the upper structure raised by the hydraulic device, even when unnecessary inspection and repair are performed, the traffic of the vehicle is blocked to the bridge, and therefore, The traffic congestion is unnecessarily caused when the vehicle is checked according to the arrival of the inspection cycle.

이와 같이 교좌를 점검 및 보수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인상하는 공법과 장치에 대하여 등록특허 10-1704550호(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컴퓨터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2017년 2월 2일 등록)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o inspect and repair the bridge are disclosed in Patent No. 10-1704550 (Non-damage impression method of a bridge roof using a hydraulic jack and a computer including a safety device, February 2, 2017 Registration).

위의 등록특허에서는 유압잭에 안전장치를 부가함과 아울러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압잭에 공급되는 유압량을 조정하여 인상 하중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above registered patent, a safety device is added to the hydraulic jack, and a weigh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hydraulic jack by using a computer.

또한 교각에 변위센서를 부가하여 교량 상판(1)의 하측면과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지속적으로 컴퓨터에 신호를 송신하여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displacement sensor is added to the bridge pier to measure the amount of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upper plate 1, and a signal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computer to measure an accurate distance.

그러나 위의 변위센서는 컴퓨터와 함께 제어부에 속하는 것으로, 교좌의 점검 및 보수시 교량의 상판을 얼마나 인상하였는지 측정할 수 있을 뿐이며, 점검 및 보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압잭을 원복시켜 교량 상판을 다시 원위치로 위치시키기 이전에 제거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평상시 교각과 상판의 간격을 측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However, the above displacement sensor belongs to the control part together with the computer, and it can only measure how much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is raised during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bridge. When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completed, ,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top plate can not be measured normally.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교좌의 점검 및 보수는 정해진 연한에 따라 이루어지며, 여전히 불필요한 점검 및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거나, 점검 및 보수가 늦어져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를 불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above-mentioned checkup and maintenance of the schedule ar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unnecessary inspection and repair can be performed, or inspection and repair are delay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한 본 발명은, 평상시 교좌의 상태를 확인하고, 점검 및 보수 연한에 무관하게 실제 교좌 상태에 따른 점검 및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surveillance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the state of a normal timetable and performing inspection and repair according to the actual turntable status irrespective of maintenance and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은 교좌의 보수시 별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량의 상판을 정확한 높이로 인상한 상태에서 교좌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a bridge surveillance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repair a timetable while raising an upper plate of the bridge to an accurate height by using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without using a separate control device for repairing the timetable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교량 감시 시스템은,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어 상판과의 간격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수집중계부(20)와, 상기 수집중계부(20)를 통해 중계된 측정결과를 저장하고, 기준치와 비교하여 특정 교량의 특정 교좌의 보수 여부를 판단하는 교량관리서버(30)와, 상기 교량관리서버(30)로부터 특정 교량의 교좌 보수가 필요함을 전달받고, 교좌 보수시 작업자에게 상판의 인상, 인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작업자단말(4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idg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installed on a bridge pier of a bridge for measuring an interval between the bridge and a top plate, A collection management unit 20 for receiving and relaying a wireless signal and a bridge management server 20 for storing measurement results relayed through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and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And a worker terminal 40 which receives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the need to perform a correction of a specific bridge, and an operator terminal 40 which can confirm the raise and lowering information of the upper plate to the operator during repair of the correction.

상기 센서부(10)는, 교각과 상판 사이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전송하거나, 설정된 주기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0 can continuously measure the interval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or transmit the measured interval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수집중계부(20)는, 상기 센서부(10)들이 다수로 설치된 환경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교각과 상판 사이의 간격이 비정상인 센서부(10)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교량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llecting relay unit 20 compares the received data with a reference valu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ensor units 10 are installed and selectively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0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pierce and the top plate is abnormal,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보수 작업 중 상기 센서부(10)에서 검출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 변화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40)은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 during the maintenance wor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worker terminal 40 can generate an alar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은, a) 제1항 내지 제4항의 교량관리서버(30)로부터 작업자단말(40)로 보수가 필요한 교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판 인상 후, 인상된 거리를 상기 작업자단말(40)을 통해 수신하고, 작업자단말(40)의 제어부에서 상기 인상된 거리가 적정한 거리인지 판단하여, 적정한 거리이면 보수작업지시를 표시하는 단계와, c) 보수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보수작업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았으면 b) 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receiving information of a bridge requiring repair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t the worker terminal 40 And b) receiving the raised distance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40 after the lifting of the upper plate, judging whether the raised distance is an appropriate distance by the control unit of the worker terminal 40, C) confirming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work, and ending the maintenance work when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and returning to step b) if not completed.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적정한 거리가 아니면 거리변화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거리 변화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is not proper,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is norm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change is not normal, an alarm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vacuate.

본 발명 교량 감시 시스템은, 교량들의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를 상시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교량의 점검 주기와는 무관하게 실제 교좌의 상태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주기에 비해 빠른 손상이 발생한 교좌를 조기 점검 및 보수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a bridge pier and a top plate of a bridge so that the state of the actual bridge can be measured irrespective of the inspection period of the bridg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또한 점검 주기에 비해서 손상이 느리게 진행되는 교좌에 대해서는 점검 및 보수 시기를 늦춰, 점검 및 보수에 따른 교통 체증의 유발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for the timetable in which the damage is slower than the inspection period, it is possible to delay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period, prevent th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and prevent unnecessary maintenance costs from occurring.

그리고 본 발명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은, 상판의 인상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시 설치된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판의 인상 정도 및 인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좌의 보수시 설치하는 설비의 수를 줄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e degree of impression of the top board and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top board by using a bridge monitoring system that is always installed,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impression of the top board So that the number of facilities to be installed at the time of maintenance of the school can be reduced, an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아울러 본 발명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은, 작업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판의 인상 정도와 변동 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예기치 않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ascertain the degree of impression and changes of the top board through the operator's terminal, thereby enabling precise work to be performed and preparing for unexpected safety accident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센서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ensor unit in FIG.
3 is a flowchart of a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a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a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 etc.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ean ideal or overly formal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은,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어 상판과의 간격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수집중계부(20)와, 상기 수집중계부(20)를 통해 중계된 측정결과를 저장하고, 기준치와 비교하여 특정 교량의 특정 교좌의 보수 여부를 판단하는 교량관리서버(30)와, 상기 교량관리서버(30)로부터 특정 교량의 교좌 보수가 필요함을 전달받고, 교좌 보수시 작업자에게 상판의 인상, 인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작업자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 installed at a bridge pier of a bridge to measure an interval between the bridge and a top plate, 10), and a control unit 20 for storing measurement results relayed through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and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pecific grid of the specific bridge is complemented A bridge management server 30 and a worker terminal 40 which is informed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orrection of a specific bridge and needs to confirm the raise / .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레이저, 초음파, 적외선, 스테레오 매칭 등 비접촉 위치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11)를 구비하며, 센서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거리로 환산하는 제어부(12) 및 제어부(12)의 거리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ensor unit 10 includes a sensor 11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non-contact position such as a laser, an ultrasonic wave, an infrared ray, and stereo matching, and receives and processes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13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istance data of the control unit 12 and the control unit 12 to the outside in terms of distance.

센서부(10)는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며, 교각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판의 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The sensor unit 10 is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bridge constituting the bridge, and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bridge unit and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brid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특히 센서부(10)는 교각의 상부에 완전히 고정된 것으로 하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상판과의 거리를 상시 측정한다. 센서부(10)에 공급되는 전원은 상용전원,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용전원과 태양전지, 배터리와 태양전지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sensor unit 10 is complete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er, and the distance to the upper plate is measured at all times unless there is a special reason. The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sensor unit 10 may be a commercial power source, a battery, or a solar cell. A commercial power source, a solar cell, a battery, and a solar cell may be used together.

이처럼 본 발명의 센서부(10)는 교각에 설치된 상태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를 상시 측정함으로써, 교좌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at all times in a state where the sensor unit 10 is installed at the bridge pier, thereby realizing the state of the bridge.

또한 트래픽을 고려하여 센서부(10)는 정해진 시간 주기로 거리를 측정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1일 또는 1주일 등 적당한 시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Also, considering the traffic, the sensor unit 10 measures and transmits the distance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a suitable time period can be set, such as one day or one week.

이를 위하여 센서부(10)는 타이머(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sensor unit 10 further comprises a timer 14.

상기 센서부(10)는 하나의 교량에 포함되는 교각마다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교량의 규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폭이 넓은 교량의 경우에는 하나의 교각에 다수의 센서부(10)를 설치하여 교량의 좌우 편차까지 확인할 수 있다.At least one sensor unit 10 may be provided for each bridge bridge included in one bridge, which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ridge. In the case of a wide bridg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0 may be installed on one bridge pier to check the left-right deviation of the bridge.

예를 들어 한강을 가로지르는 대교의 경우에는 교각의 수가 많고, 상판의 폭이 넓기 때문에 매우 많은 센서부(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부(10)의 검출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10)의 제어부(12)에서는 부여된 ID를 함께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ridges crossing the Han River, a large number of piers may be provided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piers and the wide width of the top plat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espective sensor units 10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unit 12 of the sensor unit 10 transmits together the IDs assigned thereto.

이처럼 센서부(10)에서 송신되는 상기 교각과 상판 거리를 측정한 결과 데이터는 수집중계부(20)에서 수신된다. 수집중계부(20)는 상기 센서부(10)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을 통해 교량관리서버(30)로 다시 전송한다.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0 is received at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The acquisition relay unit 20 stor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s 1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수집중계부(20)는 하나의 교량에 설치된 센서부(10)들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소규모의 교량의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1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One or two or more of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s 10 installed in one bridge. In the case of a small bridge,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0 via a network .

상기 수집중계부(20)는 상기 센서부(10)들의 송신 데이터 전부를 교량관리서버(30)로 송신하거나, 송신 데이터의 일부만을 교량관리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llection relay unit 20 may transmit all the transmission data of the sensor units 10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or may transmit only a part of the transmission data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

즉, 수집중계부(20)는 자체에 이상 발생에 대한 기준, 즉 교좌의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저장하고 있으며, 수신된 센서부(10)들 각각의 측정값을 위의 기준과 비교하여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센서부(10)의 아이디와 거리 측정 데이터를 교량관리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That is,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stores a criterion for the occurrence of an anomaly itself, that is, a criterion tha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rrection of the correction is necessary, and the measured values of the received sensor units 10 are stored in the above referenc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ID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10, which is determined to require maintenance,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이때의 송신은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가능한 송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may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other possible transmission networks may be used.

교량관리서버(30)는 다수의 수집중계부(2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자체적으로 센서부(10)의 거리 측정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he collection relay units 20 and can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maintenance by comparing distanc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10 with a reference value.

또한 교량관리서버(30)는 보수가 필요한 교량의 관리자로 등록된 작업자단말(40)에 특정 교량의 특정 센서부(10)의 거리측정결과를 전송하여, 보수 작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can transmit the distance measurement result of the specific sensor unit 10 of the specific bridge to the worker terminal 40, which is registered as the manager of the bridge requiring repair, to proceed with the maintenance work.

상기 교량관리서버(30)는 바람직하게 특정한 지역마다 설치되어 해당 지역의 교량들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may preferably be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to manage the state of bridges in the corresponding area.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a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은, 작업자단말(40)로 보수가 필요한 교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와, 작업자가 교량에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판을 인상시키는 단계(S32)와, 상기 S32단계에서 인상된 거리를 상기 작업자단말(40)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S33)와, 상기 인상된 거리가 적정한 거리인지 판단하는 단계(S34)와, 적정한 거리이면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5)와, 보수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보수작업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았으면 S33단계로 회귀하는 단계(S36)와, 상기 S34단계의 판단결과 적정한 거리가 아니면 거리변화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정상이면 S22단계로 회귀하는 단계(S37)와, S37단계에서 거리 변화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3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a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31)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bridge requiring maintenance by a worker terminal 40, A step S32 of raising the upper plate and a step S33 of receiving the distance raised in the step S32 through the worker terminal 40 and a step S34 of judging whether the distance is an appropriate distance, (S35) of confirming whether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and terminating if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and returning to the step S33 if not completed (S36); and performing the maintenance 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is not prop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change is not normal in step S37, (Step S38).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bridge impression method using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량의 교각에 설치된 센서부(10)에서 검출된 거리 데이터를 교량관리서버(30)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수집중계부(20)에서 판단하여 보수가 필요한 교량의 센서부(10)의 데이터가 교량관리서버(30)에 수신되면, 상기 교량관리서버(30)는 S31단계와 같이 특정한 작업자단말(40)에 해당 교량의 정보를 전송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 installed at the bridge pier of the bridg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in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tenance is required, or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determines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bridge to the specific worker terminal 40 as in step S31.

상기 작업자단말(40)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앱이 설치된 것으로 한다.The worker terminal 40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and a dedicated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상기 교량의 정보는 교량의 명칭, 현재 교각과 상판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단말(40)은 교량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formation of the bridge may include the name of the bridg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urrent bridge pier and the top plate. The worker terminal 40 receives the bridge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it.

그 다음, S32단계에서는 작업자 현장으로 이동하여 보수가 필요한 교좌의 위치에서 유압잭을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유압잭으로 상판을 인상시킨다.Then, in step S32, the hydraulic jack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desk where the worker moves to the work site where maintenance is required. Then, the upper plate is lifted by the hydraulic jack.

이때 상판이 인상됨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10)의 측정치에는 변화가 발생하며, 이 정보는 S33단계와 같이 상기 수집중계부(20)를 통해 교량관리서버(30)로 전송되고, 다시 교량관리서버(30)로부터 작업자단말(40)로 전송되어 표시된다.At this time, as the upper plate is pulled up, a change occurs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10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And is transferred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to the worker terminal 40 and displayed.

그 다음, S34단계에서는 상기 작업자단말(40)의 제어부는 현재 검출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가 적정한 것인지 판단한다. 판단결과는 전용앱에 표시되며 현재의 거리와 적정한 거리의 차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적정한 거리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Next, in step S34, the control unit of the operator terminal 4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ly detected pier and the top plate is appropriate. The result of the judgment is displayed on the dedicated ap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istance and the proper distance is displayed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it to a proper distance.

그 다음, 상기 S34단계에서 적정한 거리로 판단되면 S35단계에서는 작업자단말(4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업진행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유압잭을 조정하지 않고 교좌의 보수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The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 distance is proper, in step S35, the work progress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worker terminal 40, and the worker performs maintenance work on the work without adjusting the hydraulic jack.

S36단계와 같이 작업자의 입력에 의해 보수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업자단말(40)은 교량관리서버(30)로 작업이 완료됨을 전송하고, 교량관리서버(30)는 작업이 완료됨을 해당 위치의 센서부(10) 출력으로 판단하고 이벤트를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tenance work has been completed by the input of the operator as in step S36, the worker terminal 40 transmits completion of the work to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notifies the completion of the work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10 is an end, and the event ends.

S36단계의 판단결과 보수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S33단계를 다시 수행하며, S34단계의 판단결과 작업중인 교각과 상판의 사이 거리가 적정거리가 아니면 S37단계와 같이 상기 교각과 상판과의 사이 거리 변화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S38단계와 같이 작업자단말(40)은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6 that the maintenance work has not been completed, step S33 is performed agai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top plate is not proper,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top plate If the change is not normal, the worker terminal 40 generates an alarm so that the worker can evacuate as in step S38.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작업자는 상판의 인상을 위한 유압잭만 설치하고 보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컴퓨터,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operator can install only the hydraulic jack for raising the top plate and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and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mputer and the sensor is not required, the work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센서부(10)를 통해 검출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 변화가 비정상적인 경우 위험한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 is abnormal, it is determined that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operator can evacuat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이처럼 본 발명은 교각과 상판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교량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량의 보수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불필요한 점검이나 보수에 따른 교통체증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in real tim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ridge safety accidents, shortening the repair work time of the bridge, and preventing th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unnecessary inspection and maintenance hav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aims (6)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어 상판과의 간격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센서부(10);
상기 센서부(1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수집중계부(20);
상기 수집중계부(20)를 통해 중계된 측정결과를 저장하고, 기준치와 비교하여 특정 교량의 특정 교좌의 보수 여부를 판단하는 교량관리서버(30); 및
상기 교량관리서버(30)로부터 특정 교량의 교좌 보수가 필요함을 전달받고, 교좌 보수시 작업자에게 상판의 인상, 인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작업자단말(40)을 포함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
A sensor unit 10 installed at a bridge pier of the bridge to measure an interval between the bridge and the upper plate and wirelessly transmit the measurement result;
A collection relay unit 20 for receiving and relaying the radio signal of the sensor unit 10;
A bridge management server (30) for storing measurement results relayed through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and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s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schedule of a specific bridge is completed; And
And a worker terminal (40) which is informed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orrection of a specific bridge, and can confirm the raise and lowering information of the upper plate to the operator at the time of maintenance of the cor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0)는,
교각과 상판 사이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전송하거나,
설정된 주기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10)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top plate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transmitted,
Wherein the interval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is measured and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cy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중계부(20)는,
상기 센서부(10)들이 다수로 설치된 환경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교각과 상판 사이의 간격이 비정상인 센서부(10)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교량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relay unit (20)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sensor units 10 are installed,
The bridg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ridge control server (30) selectively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0) having a gap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top plate.
제1항에 있어서,
보수 작업 중 상기 센서부(10)에서 검출된 교각과 상판 사이의 거리 변화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40)은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er terminal (40) generates an alarm when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bridge pier and the upper pl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 during maintenance wor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 제1항 내지 제4항의 교량관리서버(30)로부터 작업자단말(40)로 보수가 필요한 교량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판 인상 후, 인상된 거리를 상기 작업자단말(40)을 통해 수신하고, 작업자단말(40)의 제어부에서 상기 인상된 거리가 적정한 거리인지 판단하여, 적정한 거리이면 보수작업지시를 표시하는 단계; 및
c) 보수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보수작업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았으면 b) 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a) receiving information of a bridge requiring repair from the bridge management server (30) of any one of claims 1 to 4 to the worker terminal (40);
b) receiving the raised distance via the worker terminal 40 after the lifting of the upper plate, determining whether the raised distance is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worker terminal 40, and displaying the maintenance work instruction if the distance is proper; ; And
c) confirming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work and ending the maintenance work, and returning to step b) if the maintenance work has not been completed, returning to the step 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적정한 거리가 아니면 거리변화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거리 변화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량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6. The method of claim 5,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change is normal if the distance is not a proper dista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b), and generating an alarm when the distance change is determined not to be normal, thereby allowing an operator to evacuate the bridge. Method.
KR1020170037665A 2017-03-24 2017-03-24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1082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65A KR20180108206A (en) 2017-03-24 2017-03-24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65A KR20180108206A (en) 2017-03-24 2017-03-24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06A true KR20180108206A (en) 2018-10-04

Family

ID=6386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665A KR20180108206A (en) 2017-03-24 2017-03-24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20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5096A1 (en) * 2020-11-08 2022-05-12 北京碧蓝时代科技有限公司 5g technology-based electronic safety early warning system of bridge
CN116086548A (en) * 2023-03-10 2023-05-09 高精地基导航授时南京研究院有限公司 Beidou bridge automatic monitor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5096A1 (en) * 2020-11-08 2022-05-12 北京碧蓝时代科技有限公司 5g technology-based electronic safety early warning system of bridge
CN116086548A (en) * 2023-03-10 2023-05-09 高精地基导航授时南京研究院有限公司 Beidou bridge automatic monito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247B1 (en) Cmputer-controlled lifting system for synchronous lifting of heavy structures at multi-point and lifting method of bridge using the system
JP6072675B2 (en) Surface accumulation monitoring system
CA2842229C (en) Weighing system
US9303372B2 (en) Sychronous control integrated system for bridge lifting
KR20160121706A (en)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facilities and safety supervision method thereof
CN106840265A (en) A kind of scaffold safety pre-warning system
US11774318B2 (en) Force and inclination monitoring system with self-position recognition
KR20180108206A (en) Bridge monitoring system and bridg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20382927A1 (en) Computer-assis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visualising force flows in a scaffold
CN104264589B (en) A kind of Hanging Basket status real time monitor method
KR20130109402A (en) Structure management system
KR20100012359A (en) Device and method for alarming danger of the temporary structure
CN203938406U (en) A kind of tower machine jacking trim monitored control system and monitor
CN110578401A (en) Monitoring system for cast-in-place concrete and pouring method with monitoring system
KR101782940B1 (en) Notice system for managing bridge and system for lifting bridge
KR101792464B1 (en) Bridge lifting method and lifting apparatus controling apparatus processing wire and wireless
JP2010026907A (en) Meter reading system
CN104045010B (en) A kind of tower machine jacking trim monitored control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
KR102505765B1 (en) IoT BASED WEARABLE ON SITE VISUALIZATION SYSTEM FOR SAFETY OF WORKER IN CONSTRUCTION SITE
CN105484211A (en) Safe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gantry crane
KR20170107622A (en) Slip Form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ling, Lifting System with the Slip Form and Lifting Method using Thereof
CN113489454B (en) Corrosion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hotovoltaic support
CN115480515A (en) Intelligent control and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attached lifting protection platform
KR20160004911A (en) Notice system for managing bridge and system for lifting bridge
CN106384477B (en) Tower crane typhoon protection monitors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