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029A -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029A
KR20180108029A KR1020170037133A KR20170037133A KR20180108029A KR 20180108029 A KR20180108029 A KR 20180108029A KR 1020170037133 A KR1020170037133 A KR 1020170037133A KR 20170037133 A KR20170037133 A KR 20170037133A KR 20180108029 A KR20180108029 A KR 2018010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nozzle unit
wa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7434B1 (en
Inventor
황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3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434B1/en
Priority to US15/919,692 priority patent/US20180274150A1/en
Priority to CN201810229164.XA priority patent/CN108625102A/en
Publication of KR2018010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improving washing power and rinsing power, and a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cabinet; an outer tub receiv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washing water therein; an inner tub received inside the outer tube and receiving laundry therein; a water supply valve unit disposed in the cabine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a cabinet cov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having an inlet hole for inputting the laundry; and the microbubble generat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to generate and supply microbubble to a washing space. The microbubble generator receives the washing water dissolving gas therein to generate the microbubble and includes a nozzle unit installed at one position on the periphery of the inlet hole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to the inner tube immediately after generation of the microbubble.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or for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or of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laundry by using washing water and detergent. It can separate contaminants from laundry by chemical action by detergent dissolved in washing water and mechanical action of washing water and inner basket have.

세제는 보통 세탁수와 함께 투입되고, 세탁 과정 중 세탁수에 용해되어 소정의 화학적 작용을 함으로써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한다. 그런데, 세탁수의 온도 및 양, 투입된 세제의 양 등에 따라 세제가 세탁수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고 세탁물에 잔류할 수 있다. 세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음에 따라 세척 작용이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오염물질이 세탁물에 잔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탁물에 잔류하게 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며,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The detergent is usually put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and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during the washing process to remove the contaminants on the laundry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chemical action. However, the detergent may not be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the washing water, the amount of the detergent, and the like, and may remain in the laundry. As the detergent is not sufficiently dissolved, the cleaning action may not be sufficient and the contaminants may remain in the laundry. As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or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laundry deteriorate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and may cause skin troubles.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 예로 미세 기포를 이용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미세 기포란 직경이 수 마이크로 미터 크기 또는 수 나노 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기포로서 수중에서 완전 용해되어 소멸되는 특성을 갖는 기포이다. 구체적으로, 미세 기포는 일반적으로 직경 50㎛ 이하의 마이크로 버블, 마이크로/나노 버블(직경 10nm 이상 1㎛ 미만), 및 나노 버블(직경 10nm 미만) 등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기포는 높은 내부 압력을 갖고 있으므로, 미세 기포가 수중에서 터지는 경우 주변의 세탁물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eliminating detergent or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laundry, for example, a method using microbubbles has been proposed. Microbubbles are small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micrometers or a few nanometers and are completely dissolved in water and disappear. Specifically, fine bubbles can be generally understood as a concept collectively including micro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50 μm or less, micro / nano bubbles (diameters of 10 nm or more and less than 1 μm), and nano bubbles (diameters of less than 10 nm). Since the minute bubbles have a high internal pressure, when the minute bubbles burst in water, the surrounding laundry can be impacted, whereby the detergent or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laundry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세탁기 내에는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되는데, 미세 기포 생성기로는 컴프레서, 펌프 등 기포 생성을 위해 직접적으로 별도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는 것과, 동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유동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micro-bubbles, a micro-bubble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As the micro-bubble generator, there is a method of using a separate power device directly to generate bubbles such as a compressor and a pump and using flow characteristics without using a power device Can be used.

그런데, 동력 장치를 사용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야 하는 고성능의 동력 장치를 이용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비싸며, 소음 및 진동이 심할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생산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에 반해,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미세 기포 생성기는 구조가 단순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며, 소음 및 진동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세탁기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micro-bubble generator using the power unit is required to use a high-performance power unit for generating minute bubble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maintenance cost is high, noise and vibration are serio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micro-bubble generator which does not use the power device has a simple structure, low maintenance cost, relatively low noise and vibration, and low manufacturing cost of the washing machine.

그러나,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미세 기포 생성기의 경우 소정의 형상을 갖는 유로를 지나며 생성되는 미세 기포들이 바로 미세 기포 생성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바 충분한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icro-bubble generator that does not use a power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micro-bubbles because the generated micro-bubbles pass through a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re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미세 기포를 생성한 후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소정의 토출 위치까지 호스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는데, 호스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미세 기포가 소멸되어 실질적으로 세탁이 이뤄지는 내조 측으로 유입되는 미세 기포의 양이 적어진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rt, after the micro-bubbles are generated,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is transferred to the predetermined discharge position by using the hose.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minute bubbles disappear during the movement along the ho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fine bubbles flowing into th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is small.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708597호(2017.02.14. 등록)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No. 10-1708597 (Registered on February 14, 20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세 기포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세탁력과 헹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icro-bubble generator for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which can improve the washing power and the rinsing power by increasing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또한, 생성된 미세 기포가 소멸되지 않고 세탁이 수행되는 내조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and a micro-bubble generator of a washing machine that can supply the generated micro-bubbles to the inside of the inner bath where the washing is performed without disappear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고,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유닛;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제공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을 갖는 캐비닛 커버;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며, 상기 투입홀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부로 토출하는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An outer tub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and containing wash water; An inner tank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the laundry; A water supply valve unit provided in the cabine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wash water; A cabinet cov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having a charging hole for charging laundry; And a micro 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micro bubbles by supplying was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and supplies the generated micro bubbles to the washing space, wherein the micro bubble generator supplies fine bubbles by receiving the wash water in which gas is dissolved, And a nozzle unit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periphery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to the inner tub immediately after the generation of the fine bubbles.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투입홀의 외측 저면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 유닛이 결합되는 노즐 유닛 결합부가 제공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cabinet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nozzle unit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to which the nozzle unit is coupled.

또한,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는 상기 투입홀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내조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washing machine may be provided in which a part of the nozzle unit enters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and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ner tank.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를 덮어 상기 노즐 유닛이 상기 투입홀로 투입되는 세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커버가 제공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노즐 유닛과 함께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inet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nozzle cover for covering a part of the nozzle unit to prevent the nozzle unit from colliding with the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input hole, and the nozzle cover may be provided with the nozzle unit A fixed washing machin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기 투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노즐 유닛이 설치되는 노즐 유닛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 상기 노즐 유닛과 함께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되는 노즐 커버 고정부; 및 상기 차폐부와 상기 노즐 유닛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 유닛 설치홈에 끼워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nozzle unit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around the injection hole of the cabinet cover, and the nozzle cover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a part of the nozzle unit. A nozzle cover fixing part fixed to the nozzle unit coupling part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hielding portion and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and fitting into the nozzle unit mounting groove.

또한, 상기 노즐 유닛을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하는 볼트; 및A bolt for fixing the nozzle unit to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And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노즐 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And a vibration-proof rubber fitted in the bolt to absorb vibration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또한, 상기 방진 고무는,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가 끼워지는 노즐부 끼움홈; 타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헤드가 지지되는 볼트 헤드 지지부; 및 상기 노즐부 끼움홈과 상기 볼트 헤드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연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vibration proof rubber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fitting groove provided at one end of the vibration proofing rubber and having a portion of the nozzle unit fitted therein; A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supporting the head of the bolt; And a damp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itting groove and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lt to absorb the vibration.

또한, 상기 볼트는 상기 방진 고무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노즐 커버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bolt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machin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anti-vibration rubber, the nozzle unit, and the nozzle cover to be fixed to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켜 상기 노즐 유닛으로 공급하는 용해 유닛; 및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micro-bubble generator may include a dissolving unit for dissolving the gas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and supplying the dissolving gas to the nozzle unit; And a drain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s completed.

또한, 상기 용해 유닛은, 일측이 개방되고,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용해 공간을 제공하는 외통; 상기 용해 공간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내통; 및 상기 외통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일 방향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일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내통의 내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에 수용되어 있던 기체는 상기 내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세탁수에 용해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solving unit may include: an outer tube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provides a dissolution space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An inner cylinder inserted in the dissolution space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talled to be space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And a cap which shields the opening of the outer cylinder and suppli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 one direction 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ylinder by switching to another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ne dir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machine which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by the water supply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inner cylinder.

또한, 상기 노즐 유닛은,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가 가압되는 가압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가압 공간과 연통되고, 세탁수가 통과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되는 복수 개의 분해부를 포함하는 기포 생성부; 및 각각의 상기 분해부에서 토출되는 세탁수의 유동의 적어도 일부가 직분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해부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를 상기 분해부로부터 토출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에 혼합시키는 미세 기포 혼합부를 포함하며,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 공간으로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including a pressurizing space to which the gas is supplied and the wash water is pressurized; A bubble generator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ized space, the bubble gene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decomposition parts through which wash water flows and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And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at least a part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decomposing portions so as not to be directly sprayed, wherein the minute bubbles generated in the decomposing portion are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And a nozzle unit including a minute bubble mixing portion for mixing the fine bubbles and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minute bubbles are dissolved into the washing space.

또한, 상기 외조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메인 배수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main drain hose connected to the outer tub and draining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ain unit includes: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dissolving unit to introduce wash water;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to discharge wash water; A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first hole elastically deformed by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passing wash water therethrough; And a diaphragm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second hole selectively shield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킨 후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에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로서, 세탁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고, 상기 내조로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를 토출하며, 상기 세탁기의 캐비닛의 상측에 제공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을 갖는 캐비닛 커버에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투입홀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노즐 유닛; 및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메인 배수 호스로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bubble generator for a washing machine, which is installed in a washing machine and supplies micro-bubbles to micro-bubbles generated in the washing machine, A dissolving unit for dissolving the gas stored therein in the wash water; A supply hole for introducing the laundry,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of the washing machine, for introducing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minute bubbles is discharged from the dissolving unit, A nozzle unit installed in the cabinet cover and having a part thereof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And a drain unit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to the main drain hose of the washing machine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is completed.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홀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를 덮어 상기 노즐 유닛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cover installed on the cabinet cover and covering a part of the nozzle uni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to prevent the nozzle unit from being exposed upward.

또한, 상기 노즐 유닛은 세탁수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The nozz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wash water,

상기 토출부는 토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더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wider cross section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또한, 상기 노즐 유닛을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기 투입홀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노즐 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A bolt for fixing the nozzle unit to a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of the cabinet cover; And a vibration-proof rubber fitted to the bolt to absorb vibration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또한, 상기 방진 고무는,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가 끼워지는 노즐부 끼움홈; 타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헤드가 지지되는 볼트 헤드 지지부; 및 상기 노즐부 끼움홈과 상기 볼트 헤드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연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vibration proof rubber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fitting groove provided at one end of the vibration proofing rubber and having a portion of the nozzle unit fitted therein; A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supporting the head of the bolt; And a damp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itting groove and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lt to absorb the vib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에 따르면, 미세 기포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세탁력과 헹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of micro-bubbles and to improve the washing power and the rinsing power.

또한, 생성된 미세 기포가 소멸되지 않고 세탁이 수행되는 내조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enerated minute bubbles can be supplied into the inner tank where the washing is performed without disappea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 기포 생성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용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용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노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캐비닛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9의 캐비닛 커버에 노즐 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방진 고무와 볼트가 결합된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2의 배수 유닛의 분해 사시도다.
도 11은 도 2의 배수 유닛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solving unit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solving unit of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unit of FIG. 2. FI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unit of Figure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binet cover of FIG. 1 viewed from above.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unit is coupled to the cabinet cover of FIG. 9.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nozzle unit in which the anti-vibration rubber and the bolt according to FIG. 8 are combine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unit of Fig. 2;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unit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세탁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12),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캐비닛 커버(14) 및 캐비닛 커버(14)에 결합되어 캐비닛의 개방부를 차폐 또는 개방할 수 있는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base 1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to support the washing machine 1, A cabinet cover 14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and a door 16 coupled to the cabinet cover 14 to shield or open the opening of the cabinet.

세탁기(1)는 세탁물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세탁물을 상방에서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탑 로딩 방식의 세탁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나 최근 출시되고 있는 복합형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can be divided into a top loading type in which the laundry is loaded from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undry is loaded and a front loading type in which the laundry is loaded from the front. In this embodiment, the top loading type washing machine 1 is described would.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a front loading type washing machine and a recently-launched hybrid type washing machine.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세탁기(1)의 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측에는 세탁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12)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캐비닛 커버(14)가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측에 제공된 캐비닛 커버(14)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141)(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커버(14)에 도어(16)가 설치되고, 도어(16)는 세탁물을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투입홀(141)을 차폐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을 세탁기(1) 내로 투입하거나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인출할 때는 도어(16)를 열어서 세탁물을 투입 또는 인출할 수 있고, 세탁 과정을 진행 할 때는 도어(16)로 투입홀(141)을 덮어서 차폐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binet 10 may be formed so as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with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ed. A base 12 for supporting the washing machine 1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0 and a cabinet cover 1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0. The cabinet cover 1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charging hole 141 (see FIG. 7) for charging the laundry. The door 16 is provided in the cabinet cover 14 and the door 16 can shield or open the inlet hole 141 to insert or withdraw laundry.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door 16 to insert laundry into the washing machine 1 or draw laundry out of the laundry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141).

또한, 세탁기(1)는 캐비닛(10)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20)와, 외조(20)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2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조(20)와 내조(22)는 캐비닛(10) 내측에 수용되고, 외조(20)와 내조(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조(22)는 외조(2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조(22)는 외조(20) 내측에서 외조(2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내조(22)의 둘레에는 외조(2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조(22)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을 통해 외조(20)와 내조(22)는 서로 유체 연통되어, 내조(22)의 세탁수가 외조(20)로 유동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외조(20)의 세탁수가 내조(22)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외조(20)와 내조(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n outer tub 20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0 and containing washing water and an inner bath 22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 20 and receiving the laundry. The outer tub 20 and the inner tub 22 are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0 and the outer tub 20 and the inner tub 2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as small as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inner tank 22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tank 20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ank 20. Around the inner tank 22, a plurality of holes for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er tank 20 may be formed. The outer tub 20 and the inner tub 22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inner tub 22 so that the washing water of the inner tub 22 can flow into the outer tub 20, The wash water can be flowed into the inner tank 22. The outer tub 20 and the inner tub 2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와 같은 탑 로딩 타입의 세탁기(1)는 펄세이터(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24)는 내조(22)의 하부에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내조(22)의 저면을 이룰 수 있다. 펄세이터(24)는 내조(22)의 저면에 마련되어, 세탁 공간에 수용된 세탁수에 회전하는 유동 및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공간이란 외조(20) 내측 공간으로서 내조(22) 내측 공간을 포함하여,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펄세이터(24)는 기어 어셈블리(26)와 연결되어, 모터(28)의 회전력을 기어 어셈블리(26)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펄세이터(24)의 회전력에 의해서 방사상으로 강한 와류가 형성되고, 내조(22)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이 강한 와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내조(22) 내에서 방사상으로 강한 와류가 형성되는 세탁수에 의해서, 내조(22)와 외조(20) 사이에 수용된 세탁수는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수는 외조(20)와 내조(22)를 포함하는 세탁 공간에서 세탁 시간 동안 순환되고, 와류가 형성되면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다만, 펄세이터(24)가 회전함에 따라 내조(22)가 함께 회전할 수도 있고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조(22)와 펄세이터(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펄세이터(24)가 회전함에 따라 내조(22)도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펄세이터(24)와 내조(22)가 별도로 마련되어 체결된 경우에는 펄세이터(24)만 회전하여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1 of the top loading ty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ulsator 24. The pulsator 24 can be joined to or integrat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tank 22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ank 22. [ The pulsator 2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ub 22 to form a rotating flow and vortex in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space. Here, the washing space means a space in which the laundry and washing water can be received, including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ank 22 as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ank 20. [ The pulsator 24 is connected to the gear assembly 26 and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28 through the gear assembly 26. A strong vortex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lsator 24, and the 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hile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inner tank 22 are rotated by strong vortex.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between the inner tank 22 and the outer tank 20 can rise upward due to the washing water having a strong radial vortex in the inner tank 22.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is circulated in the washing space including the outer tub 20 and the inner tub 22 for the washing time, and the laundry can be washed while the vortex is formed. However, as the pulsator 24 rotates, the inner tank 22 may rotate together or not rotate. For example, when the inner tank 22 and the pulsator 24 are integrally formed, the inner tank 22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pulsator 24 as it rotates, and the pulsator 24 and the inner tank 22 are separately provided and fastened, only the pulsator 24 rotates to form a vortex.

한편, 세탁기(1)가 펄세이터(24)를 포함하지 않는 드럼 세탁기와 같은 경우, 기어 어셈블리(26)와 모터(28)는 외조(20) 또는 내조(2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ing machine 1 is a drum washing machine not including the pulsator 24, the gear assembly 26 and the motor 28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er tub 20 or the inner tub 22.

또한, 세탁기(1)는 세제함(30), 급수 밸브 유닛(32), 메인 배수 호스(34) 및 메인 배수 밸브(36)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dispenser 30, a water supply valve unit 32, a main drain hose 34, and a main drain valve 36.

세제함(30)은 서랍 형태로 형성되어, 캐비닛 커버(14)의 세제함 수용부(142)(도 7참조)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세제함(30)은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과 유연제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을 수 있다. 세제함(30)의 개폐는 세탁기(1)의 내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제함(30)의 외측으로는 급수 밸브 유닛(32)이 연결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22)측을 내측이라 하고,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측을 외측이라 한다).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유닛(32)을 통해 세탁수가 세제함(30)으로 급수되고, 세제함(30)을 통해 세탁수가 내조(22)로 급수될 수 있다. 세탁수가 세제함(30)을 통해 내조(22)로 급수되므로, 내조(22)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The detergent container 30 is formed in a drawer shape and can be moved in a sliding manner in the detergen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42 (see FIG. 7) of the cabinet cover 14. The detergent box 30 may be divided into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etergent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often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tergent container 30 can be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30 Side is referred to as the inside and the cabinet 10 side forming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is referred to as the outside). The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30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ource and the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tank 22 through the detergent container 30.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tank 22 through the detergent container 30 so that the detergent or the softener may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inner tank 22. [

급수 밸브 유닛(32)은 캐비닛 커버(14)에 제공되고, 외부 호스(미도시됨)를 통해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유닛(32)은 사로 밸브(four way valve)(미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로 밸브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 밸브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 밸브와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수를 급수하는 미세 기포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 급수 밸브는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냉수 급수 밸브는 두 방향 밸브(two-way valve)로 형성되어, 하나는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유체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유연제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미세 기포 급수 밸브는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용해 유닛(5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is provided in the cabinet cover 14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rough an external hose (not shown) to receive wash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may be formed as a four way valve (not show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wer valve may include a hot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hot water, a cold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cold water, and a micro-bubble water valve for supplying cold water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The hot water supply valve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in which the detergent is received. The cold water feed valve may also be formed as a two-way valve, on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in which the detergent is received and the othe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in which the softener is received. The micro-bubble water supply valve may be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unit 500 for producing micro-bubbles.

메인 배수 밸브(36)는 외조(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외조(20)에 수용된 세탁수의 배수 여부를 제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배수 밸브(36)는 외조(20)의 하부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메인 배수 호스(34)는 메인 배수 밸브(36)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할 경우에는 메인 배수 밸브(36)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를 통해 배수하고, 세탁을 진행하기 위해 세탁수를 급수 하고 있는 경우에는 메인 배수 밸브(36)를 폐쇄하여 외조(20)와 내조(22) 내에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drain valve 36 is provided under the outer tank 20 and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outer tank 20 is drained. Specifically, the main drain valve 36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tank 20, and the main drain hose 34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valve 36. When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is drained to the outside, the main drain valve 36 is opened to drain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main drain hose 34.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or washing, The drain valve 36 is closed to allow the wash water to be contained in the outer tub 20 and the inner tub 22. [

아울러, 세탁기(1)는 제어부(40)와 조작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2)는 캐비닛 커버(14)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모터(28), 펄세이터(24), 급수 밸브 유닛(32), 조작부(4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42)를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등을 설정하면, 제어부(40)는 모터(28), 펄세이터(24), 급수 밸브 유닛(32) 등을 제어하여 설정에 대응하는 세탁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control unit 40 and an operation unit 42. The operation unit 42 may be provided on the cabinet cover 14 and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or out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motor 28, pulsator 24, water supply valve unit 32, operation unit 42,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a washing course, a washing time, and the like through the operation unit 42,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motor 28, pulsator 24, water supply valve unit 32, The corresponding 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한편, 세탁기(1)는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BG:bubble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기포 생성기(BG)는 용해 유닛(500), 노즐 유닛(600) 및 배수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bubble generator (BG) that generates fine bubbles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and supplies the bubbles to the washing space. The microbubble generator (BG) may include a dissolving unit 500, a nozzle unit 600, and a drain unit 700.

또한, 세탁기(1)는 미세 기포 생성기(BG)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급수 라인(L1), 공급 라인(L2), 제1 배수 라인(L3) 및 제2 배수 라인(L4)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라인(L1)은 용해 유닛(500)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고, 공급 라인(L2)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 라인(L3)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2 배수 라인(L4)은 배수 유닛(700)으로부터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로 제공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line L1, a supply line L2, a first drain line L3 and a second drain line L4 for interconnec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s BG . The water supply line L 1 can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dissolving unit 500 and the supply line L 2 can supply the washing water dissolved in the gas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to the nozzle unit 600. The first drain line L3 can supply the remaining wash water from the dissolution unit 500 to the drainage unit 700 and the second drainage line L4 can supply the wash water from the drainage unit 700 to the drainage unit 700. [ And can be provided to the drain hose 34.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체는 용해 유닛(500)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용해 유닛(500)에 연결되거나 용해 유닛(500)과 함께 제공된 소정의 기체 제공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The dissolving unit 500 can dissolve the gas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s is exemplified as air contained in the dissolving unit 500, but may be provided from a predetermined gas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dissolving unit 500 or provided with the dissolving unit 500 .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과 연결되어 있는 급수 라인(L1)을 통해 세탁수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동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급수 라인(L1)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급수압을 이용하여 세탁수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용해 유닛(5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기체는 용해 유닛(500)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용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탁수 내부에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The dissolving unit 500 can receive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L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and can supply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L1 without using the power unit Bubbles can be generated in the washing water by using the water pressure. That is, the gas stored in the dissolving unit 500 can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to the dissolving unit 500, whereby bubbles can be generated inside the washing water.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라인(L2)을 통해 공급 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에서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됨에 따라 생성된 기포를 쪼개어 미세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 유닛(600)은 투입홀(141)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바로 내조(22)의 내부로 도출할 수 있다. 노즐 유닛(600)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는 시간이 지나거나 소정의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 점차 사라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즐 유닛(600)에서 미세 기포를 생성하자 마자 바로 내조(22)의 내부로 토출할 경우, 미세 기포의 소멸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에 의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nozzle unit 600 can supply fine bubbles to the dissolving unit 500 through the supply line L2. Specifically, the nozzle unit 600 can break the bubbles generated as the gas dissolves in the washing water in the dissolving unit 500 to generate minute bubbles. The nozzle unit 600 may be installed at one point around the injection hole 141 and may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inner tank 22 immediately after the generation of the fine bubbles. The minute bubbles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600 gradually disappear when they move over time or along a predetermined flow path.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oon as the fine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600, The extinction amount of the minute bubbles can be minimized and the effect of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minute bubbles are dissolved can be improved.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 및 노즐 유닛(600)을 통한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용해 유닛(500) 내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유닛(700)은 제1 배수 라인(L3)을 통해 용해 유닛(500)과 연결되고, 제2 배수 라인(L4)을 통해 메인 배수 호스(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로 배수할 수 있다. The drainage unit 700 can discharge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500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minute bubbles through the dissolution unit 500 and the nozzle unit 600 is completed. The drainage unit 7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unit 500 via the first drainage line L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drainage hose 34 through the second drainage line L4. At this time, the drainage unit 700 can drain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500 to the main drainage hose 34.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생성기(BG)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icrobubble generator (B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도 1의 미세 기포 생성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용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용해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노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캐비닛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9의 캐비닛 커버에 노즐 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방진 고무와 볼트가 결합된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2의 배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의 배수 유닛의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solving unit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solving unit of FIG. 2, and FIG. 5 is a cros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binet cover of FIG. 1 viewed from above,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unit is coupled to the cabinet cover of FIG.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unit of Fig. 2,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drain unit of Fig. 2. Fig.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미세 기포 생성기(BG)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해 유닛(500), 노즐 유닛(600), 및 배수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11, the microbubble generator BG may include a dissolution unit 500, a nozzle unit 600, and a drainage unit 700, as described above.

먼저, 용해 유닛(500)은 세탁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해 유닛(500)은 캐비닛(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과 외조(20) 사이에 배치되며, 진동이 크게 발생되는 외조(20)로부터 이격되도록 캐비닛(10)의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간격이 좁은 외조(20)와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용해 유닛(5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서 중력 방향을 의미하고, 이를 수직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수평 방향이라 할 수 있다.First, the dissolving unit 500 can dissolve the gas stored therein in the washing water by receiving the washing water. The dissolving unit 5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outer tank 20. The dissolving unit 50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binet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tank 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dissolution unit 500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ssolution unit 5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tub 20 having a narrow space and the cabinet 10. Hereinafter,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gravity direction as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1, the left-right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a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또한,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급수 밸브 유닛(32)이 배치되어,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용해 유닛(500)으로의 방향이 중력 방향을 이루게 되어,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용해 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도 중력 방향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세탁수의 공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다.Further, the dissolving unit 5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solving unit 500, so that the direction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o the dissolving unit 500 i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issolving unit 500 flows along the gravity direction, so that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해 유닛(500)은 외통(510)과, 외통(510) 내에 마련되는 내통(520), 및 외통(5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53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dissolving unit 500 includes an outer cylinder 510, an inner cylinder 520 provided in the outer cylinder 510, and a cap 5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510 .

먼저, 외통(510)은 상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기체 및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용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용해 공간이란, 외통(510) 내부에서 세탁수와 기체가 만나 기체의 용해 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을 말한다. 이와 같은 외통(510)은 노즐 유닛 연결부(512), 배수 유닛 연결부(514), 캐비닛 고정부(516), 및 공급 라인 고정부(518) 및 캡 고정부(519)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outer cylinder 5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upper end opened, so that it can receive the gas and the wash water, and can provide a dissolution space in which the gas dissolves in the wash water. The dissolution space refers to a space in which the wash water and the gas meet within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dissolving action of the gas occurs. Such an outer casing 510 may include a nozzle unit connection portion 512, a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a cabinet fixing portion 516, and a supply line fixing portion 518 and a cap fixing portion 519.

노즐 유닛 연결부(512)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L2)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외통(5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외통(510)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nozzle unit connecting portion 512 is formed to connect the supply line L2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to the nozzle unit 600,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510. In particular, it can be disposed below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510.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배수 유닛 연결부(514)에는 제1 배수 라인(L3)이 연결되어,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배수할 수 있다. 특히,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외통(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can connect the wash water remaining in the outer cylinder 510 to the drainage unit 700. The first drain line L3 is connected to the drain unit connecting portion 514 so that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outer tube 510 can be drained to the drain unit 700. [ Particularly, 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can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510.

한편, 노즐 유닛 연결부(512)와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 유닛 연결부(512)는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노즐 유닛(600)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외통(510)의 하부에서 노즐 유닛(600)의 위치 방향에 따라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용해 유닛(5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수 유닛(700)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외통(51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외통(510)의 최하단부에 형성되며,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노즐 유닛 연결부(512)와 배수 유닛 연결부(514)의 위치와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nozzle unit connection portion 512 and 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may b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connection portion 512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51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irection of the nozzle unit 600 so as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6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solution unit 500 And may be formed protruding laterally. 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510 to easily connect the drainage unit 700 disposed below the dissolution unit 500. Particularly, the drainage unit connecting portion 514 is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outer tube 510 to drain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outer tube 510, and the washing water may be exten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ropped by gravity. Howev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nozzle unit connection portion 512 and 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are not limited thereto.

캐비닛 고정부(516)는 캐비닛(10)에 용해 유닛(5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캐비닛(10)의 내측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일 수 있고, 외통(510)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cabinet fixing part 516 is for fixing the dissolving unit 500 to the cabinet 10 stably and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cabinet 10 an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510 .

공급 라인 고정부(518)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토출 위치로 안내하는 공급 라인(L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급 라인 고정부(518)는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으로 제공하는 공급 라인(L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라인 고정부(518)는 외통(510)의 외주면에 공급 라인(L2)이 지나가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supply line fixing portion 518 is for stably fixing the supply line L2 for guiding the wash water,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to the discharge position. Specifically, the supply line fixing portion 518 can fix the supply line L2, from which the gas is dissolved from the melting unit 500, to the nozzle unit 600. [ For this purpose, the supply line fixing portion 518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upply line L2 pass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510. [

캡 고정부(519)는 외통(5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외통(510)과 캡(53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캡 고정부(519)는 외통(510)의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브일 수 있다.The cap fixing portion 519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510, so that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cap 530 can be engaged and fixed. The cap fixing portion 519 may be a rib extending out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510.

내통(520)은 용해 유닛(500)의 용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통(520)은 외통(5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통(5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통(520)은 측면 및 하단부가 외통(5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내통(520)이 측면 및 하단부가 외통(5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통(520)의 일 측면은 외통(510)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타 측면 및 하단부가 외통(5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용해 공간이란, 외통(510) 내부에서 세탁수와 기체가 만나 기체의 용해 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통(510) 내에 배치되는 내통(520)의 내부 공간도 포함한다.The inner cylinder 520 can be inserted into the dissolution space of the dissolution unit 500. Specifically, the inner cylinder 52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5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cylinder 520 may be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510. For example, the inner cylinder 5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ide and lower ends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51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ner cylinder 520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such that the side and lower ends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510. One side of the inner cylinder 5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51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solving space means a space in which the washing water and the gas meet and dissolves the gas in the outer cylinder 510, and also includes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ylinder 520 disposed in the outer cylinder 510 do.

특히, 내통(520)의 내부 공간의 부피는 외통(510)의 내부 공간의 부피의 1/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통(520)의 하단부는 외통(510)의 하단부로부터 외통(510)의 전체 길이의 1/3 지점 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해 유닛(500)에서 세탁수에 용해되는 기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내통(520)으로 공급된 세탁수에 용해 공간내의 기체가 용해되어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기체의 용해는 내통(520)에서 오버플로우된 세탁수가 내통(520)과 외통(51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며 이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통(510)과 내통(520)의 부피 차가 커질수록 외통(510)에 기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및 기체가 용해되는 공간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내통(520)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외통(510)의 내부 공간의 부피의 1/2보다 작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내통(520) 내의 부피가 외통(510) 내의 부피의 1/2보다 작을 경우, 기체가 용해되기 위한 세탁수의 양이 감소하여 기포 발생량이 감소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ube 520 may be smaller than 1/3 of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ube 510.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inner cylinder 52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 cylinder 510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510. Thereby, the amount of ga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dissolving unit 500 can be increased. Specifically, the gas in the melting space may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inner cylinder 520 through the water line connecting part 532 to generate fine bubbles. The dissolution of the gas may be substantially overflowed in the inner cylinder 520 The washing water moves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ylinder 520 and the outer cylinder 510. Accordingly, as the volum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inner cylinder 520 increases, the space for storing the gas and the space for dissolving the gas in the outer cylinder 510 can be increased. However,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ube 520 may not be smaller than 1/2 of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ube 510. If the volume in the inner tube 520 is smaller than one-half of the volume in the outer tube 510, the amount of washing water for dissolving the gas may decrease and the amount of bubble generation may decrease.

이에 따른 내통(520)은 오버플로우부(522) 및 잔수 배출홀(5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ipe 520 may include an overflow portion 522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24.

오버플로우부(522)는 내통(520)의 상단부에 내통(5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오버플로우 될 수 있도록 내통(5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오버플로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부(522)는 내통(520)의 상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브들을 포함하고, 리브들의 사이 공간이 오버플로우 홀이 될 수 있다. 이때, 오버플로우부(522)의 상단부가 외통(510)의 상단부에 안착됨으로써 내통(520)이 외통(5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overflow portion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overflow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ylinder 520 so that the wash water overflow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ylinder 520 may overflow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520 have. For example, the overflow portion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radially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520, and the space between the ribs may be an overflow hole.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ortion 522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510, so that the inner cylinder 520 can be fixed to the outer cylinder 510.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내통(520)으로 급수되고, 내통(520)에서 세탁수가 오버플로우되면, 오버플로우부(522)를 통해 내통(520)과 외통(510)의 사이의 용해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용해 공간에서 기체와 세탁수가 용해되어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line connecting portion 532 is supplied to the inner cylinder 520 and flows into the inner cylinder 520 through the overflow portion 522 when the washing water overflows in the inner cylinder 520, To the dissolving space. At this time, gas and wash water are dissolved in the dissolution space, and bubbles may be generated.

잔수 배출홀(524)은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되고 난 후, 배수 유닛(700)으로 내통(52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형성된 홀이다. 잔수 배출홀(524)은 내통(520)의 최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잔수 배출홀(524)의 직경은 내통(520)의 상단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통(52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공급량이 배수량보다 많게 되고, 내통(520)에서 세탁수가 오버플로우될 수 있다.The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24 is a hole formed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inner pipe 520 to the drainage unit 700 after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bubbles is supplied to the nozzle unit 600.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24 may be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ylinder 520 and the diameter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24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inner cylinder 520. As a result, the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cylinder 520 becomes larger than the drainage amount, and the washing water overflows in the inner cylinder 520.

잔수 배출홀(524)은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연결하는 배수 유닛 연결부(514)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잔존하는 세탁수의 배출 과정에서, 내통(520)에 잔존하는 세탁수가 내통(52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잔수 배출홀(524)로 떨어지도록 하여, 바로 배수 유닛 연결부(514)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내통(520)의 잔존하는 세탁수가 배출 과정에서 외통(510)에 한번 더 잔존하지 않도록 하고, 배수 유닛 연결부(514)로 떨어져서 바로 배출될 수 있다.The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24 may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connect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outer cylinder 510 to the drainage unit 700.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remaining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inner cylinder 520 falls into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24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ylinder 520, and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drainage unit connecting portion 514 . Therefore,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n the inner tube 520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rainage unit connection portion 514, so that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n the inner tube 520 does not remain once again in the outer tube 510 in the discharging process.

캡(530)은 외통(510)의 상부와 체결되어, 외통(510)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캡(530)과 외통(510)이 체결됨에 따라 용해 유닛(500)에 용해 공간에 기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기체의 이동이 차단되고, 따라서 용해 유닛(500)내에 기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cap 53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510, so that the cap 530 can shield the opening of the outer cylinder 510. As the cap 530 and the outer cylinder 510 are fastened, the movement of the gas is blocked so that the gas can be stored in the dissolving space in the dissolving unit 500, so that the gas can be stored in the dissolving unit 500.

이러한 캡(530)은 상술한 급수 라인 연결부(532)뿐만 아니라, 급수 방향 전환부(534), 에어 포켓부(536), 및 외통 고정부(5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p 530 may further include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portion 534, the air pocket portion 536, and the outer cylinder fixing portion 539 as well as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ng portion 532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급수 라인 연결부(532)와 급수 방향 전환부(534)를 포함하는 캡(530)은 외통(5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외통(510)을 차폐하고,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고,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방향을 내통(520)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p 530 including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part 532 and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part 53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510 to shield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can switch the direction of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unit 532 to the direction of the inner cylinder 520. [

급수 라인 연결부(532)는 급수 라인(L1)과 연결되어,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용해 유닛(5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portion 53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L1 to supply the wash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into the dissolution unit 500.

급수 라인 연결부(532)는 캡(53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탁수가 캡(530)의 내부로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적어도 1회 방향이 전환되어 급수 라인 연결부(532)로 수평 방향으로 급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수는 캡(530)의 수평 방향으로 급수 라인 연결부(532)로 진입된 후 방향 전환되어 수직 방향으로 내통(520)의 내측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water line connecting portion 532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ap 530 an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ash water flows horizontally into the cap 530. Specifically, the wash water su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solution unit 500 can be fed at least o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portion 532 by switching the direction.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may enter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ng portion 5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p 530 and then be diverted to be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ylinder 520 in the vertical direction.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의 토출측 단부에 연통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급수 라인 연결부(532)의 일 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환되어 연통되므로,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방향을 전환시켜 내통(52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unit 532 and is swi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unit 532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line connecting portion 532 may be switched to flow into the inner tube 520.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내통(520)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급수되는 세탁수가 내통(520)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nner cylinder 520 so that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inner cylinder 520 can be discharged.

예를 들어, 급수 라인 연결부(532)와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L'자 형상으로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L'자 형상은 급수 라인(L1)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급수 라인(L1)에서 내통(520)으로 바로 직분사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L'자 형상에 의해 세탁수가 꺽이면서 급수됨으로 인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균일하게 급수될 수 있다. 반면에, 급수 라인 연결부가'I'자형으로 형성될 경우, 세탁수는 급수 라인(L1)으로부터 직분사로 공급되게 되는데, 직분사로 공급될 경우 세탁수는 상대적으로 덜 균일하게 토출되고, 이에 의해 내통(520)에서의 세탁수의 오버플로우가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기체의 용해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세탁수가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일측 벽에 충돌되어 퍼지게 된 후 토출되므로, 상대적으로 내통(520)으로 균일하게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오버플로우에 의한 기체의 용해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지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line connecting portion 532 and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portion 534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an L shape. The 'L' shape is for preventing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L1 from being directly dispersed from the water supply line L1 to the inner cylinder 520. When the wash water is turned off by the 'L' As the water is supplied, the wash water supplied can be uniformly wat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in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to an 'I' shape,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irect water line from the water line L1.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direct water lin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relatively less uniformly, The overflow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water 520 may be irregularly formed, so that the dissolution of the gas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fter being collided against the one side wall of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the washing water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inner cylinder 520, So that the dissolving action of the gas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또한, 급수 라인 연결부(532)는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상하 방향의 중간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급수된 세탁수는 수직 방향으로 꺽여서 형성되는 급수 방향 전환부(534)로 진입하여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내벽에 부딪히고,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상하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수가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꺽여서 내통(520)으로 바로 분사되지 않고, 세탁수가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내벽에 부딪히며 상하 방향으로 퍼질 수 있으므로 흐름이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 세탁수가 균일하게 내통(520)에 공급되므로 용해 공간의 기포가 세탁수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on portion 532 may be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portion 534. Therefore, the wash water su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nters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hits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and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vertically ≪ / RTI > Specifically, the wash water is not directly injected into the inner cylinder 520 because the water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ash water can be sprea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umping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so that the flow can be made more uniform. Since the wash water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inner cylinder 520, the bubbles in the dissolution space are uniformly supplied to the wash water, and the bubbles can be uniformly formed.

따라서,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유입되는 세탁수를 한번 꺽어서 수평 방향으로 넣고, 다시 수직 방향으로 꺽어서 넣음으로 인해서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용해 유닛(500) 내부로의 직 분사가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dissolv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is once tur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injectio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에어 포켓부(536)는 급수 방향 전환부(534)에 대하여 급수 라인 연결부(532)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용해 유닛(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기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pocket portion 536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ng portion 532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portion 534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dissolving unit 500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as have.

구체적으로, 에어 포켓부(536)는 캡(530)의 상부에서 급수 방향 전환부(534)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까지 외통(51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에어 포켓부(536) 내에는 기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에어 포켓부(536)를 통해 용해 유닛(500) 내에서 기체가 저장될 수 있는 부피가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체의 용해량이 증가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pocket portion 536 is formed by extending the outer cylinder 510 to a height at which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portion 534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530. In the air pocket portion 536, Can be provided. The volume in which the gas can be stored in the dissolving unit 500 through the air pocket portion 536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dissolution amount of the gas can be increased.

외통 고정부(539)는 캡(530)과 외통(51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외통 고정부(539)는 캡(530)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캡 고정부(519)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브일 수 있다.The outer cylinder fixing portion 539 can fix the cap 530 and the outer cylinder 510 to each other. The outer cylinder fixing portion 539 may be a rib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ap 530 and fit to the cap fixing portion 519.

따라서, 외통(510)과 캡(530)을 결합 고정 시키기 위해서, 외통(510)의 캡 고정부(519)에 캡(530)의 외통 고정부(539)를 끼울 수 있다. 캡 고정부(519)와 외통 고정부(539)가 체결되면서 외통(510)과 캡(530)이 밀폐될 수 있다. 다만, 캡 고정부(519)와 외통 고정부(539)는 리브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refore, the outer cylinder fixing portion 539 of the cap 530 can be fitted to the cap fixing portion 519 of the outer cylinder 510 to fix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cap 530 together.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cap 530 can be sealed while the cap fixing portion 519 and the outer cylinder fixing portion 539 are fastened. However, the cap fixing portion 519 and the outer cylinder fixing portion 539 are not limited to the rib shape but may be formed of a flange or the like.

다음으로,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공급 받은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미세 기포로 쪼개거나, 기포의 양을 증가시켜 내조(22)로 배출할 수 있다.Next, the nozzle unit 600 can generate minute bubbles by receiving the washing water dissolved in the gas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Specifically, the nozzle unit 600 may divide the bubbles includ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into minute bubbles or increase the amount of bubbles and discharge them to the inner tub 22.

여기서, 도 2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과 연결되는 바디부(610),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 생성부(620), 개스킷(630), 및 내조(22)로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를 토출하는 노즐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5 and 6, the nozzle unit 600 includes a body portion 610 connected to the dissolving unit 500, a bubble generator 620 for generating minute bubbles, a gasket 630 And a nozzle unit 640 for discharging wash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into the inner tank 22. [

바디부(610)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를 포함하고, 용해 유닛 연결부(612)는 공급 라인(L2)과 연결되어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미세 기포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body portion 610 includes a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ortion 612 and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ortion 612 can be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L2 to receive fine bubbles from the dissolution unit 500. [

바디부(610)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는 바디부(610)의 내측에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610)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 가압 공간(615), 및 노즐부 연결부(6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610 is supplied with the wash water in which gas is dissolved, and the wash water can be pressurized inside the body part 610. The body portion 610 may include a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612, a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a pressing space 615, and a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용해 유닛 연결부(612)는 공급 라인(L2)과 연결되어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ortion 612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L2 and is capable of supplying the wash water dissolved in the gas from the dissolution unit 500 into the nozzle unit 600. [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가압 공간(615)과 연결되어, 기포 생성부(620)를 수용할 수 있다.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연통되며, 노즐부(640) 측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는 기포 생성부(6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포 생성부(620)의 크기와 모양 및 단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기포 생성부(6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기포 생성부(620)가 삽입되고 난 후에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기포 생성부(620) 사이에 가압 공간(61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ubble generator receiving portion 614 can be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space 615 to receive the bubble generator 620. The bubble generator receiving portion 614 communicates with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612 and may be extended and protruded toward the nozzle portion 640 side.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may be formed so as to be enlarged in diameter so as to be larger than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ng portion 612. Specifically,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shap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bble generator 620 so that the bubble generator 620 can be inserted. The bubble generator accommodating portion 614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ubble generator 62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usion unit connector 612 and the bubble generator 620 after the bubble generator 620 is inserted So that the pressurizing space 615 can be formed.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연결되는 일 단으로부터 기포 생성부(620)를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시켜 가압 공간(615)를 형성하기 위해,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의 기 설정된 거리의 위치에 단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단턱에 기포 생성부(620)가 걸림으로써, 기포 생성부(620)가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 삽입될 때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은 이와 같이 용해 유닛 연결부(612)의 단부와 기포 생성부(620) 사이의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is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2 for forming a pressurizing space 615 by separating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ng portion 612, 614 may have a ste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so that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ng portion 6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is insert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The pressurizing space 615 can thus be understood as a space between the end of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612 and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가압 공간(615)의 일 단에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가 연결되어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가 가압 공간(6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가압 공간(615) 내부에서 세탁수는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는 유로가 좁은 공급 라인(L2)을 지나, 공급 라인(L2)보다 단면적이 넓은 가압 공간(615)으로 진입하게 되어, 가압 공간(165)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기포 생성부(620)를 통과되기 전에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가 가압될 수 있다. 압력이 증가할수록 세탁수의 기포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공간(615)에서 보다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분해부(624)로 공급할 수 있다.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61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essurizing space 615, and the wash water including bubbl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pressurizing space 615. The pressurizing space 615 is supplied with the wash water dissolved in gas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and the wash water can be pressurized in the pressurizing space 615. Specifically,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enters the pressurizing space 615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han the supply line L2, passing through the narrow supply line L2,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essurizing space 165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can be pressurized before passing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having the gas generating portion 620. As the pressure increases, the amount of bubble formation in the wash water may increase. Therefore,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dissolved in the bubbles can be increased more than in the pressurizing space 615 and supplied to the decomposing unit 624.

노즐부 연결부(618)는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둘레에 형성되고 노즐부(640)의 바디 연결부(648)와 연결되어, 바디부(610)와 노즐부(640)를 고정할 수 있다. 노즐부 연결부(618)는 바디부(610)와 노즐부(640)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노즐부 연결부(618)는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외주면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노즐 연결부(618)는 노즐부(64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노즐 연결부(618)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노즐부 연결부(618)는 후술할 노즐부(640)의 바디 연결부(648)와 체결되는데, 바디 연결부(648)의 하부가 상부보다 노즐 연결부(618)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바디 연결부(648)에 대응되도록 노즐부 연결부(618)는 하부보다 상부가 바디 연결부(648) 측으로 돌출 되고, 하부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노즐부 연결부(618)는 체결부재가 삽입 또는 관통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총 4개의 노즐부 연결부(618)는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고, 각 꼭지점에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is formed around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614 and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of the nozzle portion 640 to fix the body portion 610 and the nozzle portion 640 have.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is formed to fasten the body portion 610 and the nozzle portion 640.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extends from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As shown in FIG. Two nozzle connecting portions 61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protrude toward the nozzle portion 640 an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The two nozzle connection portions 618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ortion 612. This is because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is fastened to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of the nozzle unit 6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is protruded toward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rather than the upper portion.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protrudes toward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protrudes toward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612. Each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or pierced. A total of four nozzle connecting portions 618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and may be formed at each vertex.

기포 생성부(620)는 가압 공간(615)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 삽입된다. 기포 생성부(620)는 바디부(610)에 수용되는 하우징(622)과, 하우징(622) 내측에 하우징(62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분해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622)에 4개의 분해부(624)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분해부(624)가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is inserted into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614 so as to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essurizing space 615. The bubble generator 620 includes a housing 622 accommodated in the body 610 and a disassembler 624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622 inside the housing 622 can d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622 may include four disassembled portions 62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ou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disassembly portion 624 .

분해부(624)는 가압 공간(615)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는 관으로서, 하우징(622)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지시하는 것 일 수 있다. 분해부(624)는 하우징(622)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해부(624)는 가압 공간(615)과 연통되고, 가압 공간(615)으로부터 분해부(624)로 진입되는 세탁수가 분해부(624)를 통과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분해부(624)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측 개구부를 분해부(624)의 입구(624a)라 하고, 분해부(624)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는 측 개구부를 출구(624b)라 한다. 입구(624a)와 출구(624b)는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있고, 입구(624a)는 출구(624b)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분해부(624)는 입구(624a)에서 출구(624b)로 확장되며 형성되어, 테이퍼진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disassembling portion 624 may be a tube having a larger diameter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pressurizing space 615, and may indicate a flow path formed inside the housing 622. A plurality of decomposition parts 624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622. The decomposition part 62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ressurization space 615 and is capable of decomposing the wash water entering the decomposition part 624 from the pressurization space 615 The fine bubbles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portion 624. At this time, the side opening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decomposition section 624 is referred to as an inlet 624a of the decomposition section 624, and the side opening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tion section 624 is referred to as an outlet 624b. The inlet 624a and the outlet 624b are centered on one another and the inlet 624a can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let 624b. Thus, the disassembly portion 624 extends from the inlet 624a to the outlet 624b and can have a tapered cross-sectional shape.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기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탁수는 가압 공간(615)로부터 분해부(624)의 입구(624a)로 유입되어 출구(624b)로 배출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과 연통된 입구(624a)의 직경이 가압 공간(615)의 직경보다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가압 공간(615)에서 입구(624a)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유속이 증가된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점점 확장되어 가는 분해부(624)를 통과하며 세탁수의 유속이 감소함과 동시에 압력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가 쪼개어져 미세 기포가 생성되거나, 세탁수 내부에 새로운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The wash water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may include a relatively large size of bubbles which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624a of the decomposition section 624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624b from the pressurization space 615 have. The diameter of the inlet 624a communicated with the pressurizing space 615 is sharp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essurizing space 615 and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624a in the pressurizing space 615 is increased Can be introduced. Then,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is decreased and the pressure is increased by passing through the gradually expanding decomposition part 624, so that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are split to generate minute bubbles, A new bubble may be generated.

개스킷(630)은 기포 생성부(620)의 분해부(624)의 출구 측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개스킷(630)은 노즐부(640)에 기포 생성부(620)가 삽입될 때, 노즐부(640) 내측에 기포 생성부(620)를 둘러쌈과 동시에 바디부(610)의 단부에 가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630)은 바디부(610)와 노즐부(64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고, 미세 기포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630)은 오링(o-ring)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gasket 630 may be provided around the outlet side of the decomposition portion 624 of the bubble generator 620. The gasket 63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inside the nozzle portion 640 and to be pressed against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610 when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is inserted into the nozzle portion 640 . Accordingly, the gasket 630 is pressed and fixed by the body portion 610 and the nozzle portion 640, and leakage of the minute bubbles can be prevented. The gasket 630 may be formed of an o-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노즐부(640)는 기포 생성부(620)가 바디부(610)의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바디부(610)에 결합되고, 미세 기포를 내조(22)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640)는 제1 혼합 공간(642)을 형성하는 제1 부분(640a)과, 제1 부분(640a)에 연결되어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를 내조(22)의 상부에서 토출하는 제2 부분(6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640a)와 제2 부분(640b)는 각각의 분해부(624)에서 토출되는 세탁수의 유동의 적어도 일부가 직분사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643, 645)를 구비하고, 분해부(624)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를 분해부(624)로부터 토출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에 혼합시키는 미세 기포 혼합부(642, 6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unit 640 is coupled to the body unit 610 so that the bubble generator 620 can be received and fixed inside the body unit 610 and can discharge the fine bubbles to the inner vessel 22. The nozzle unit 640 includes a first portion 640a that forms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a second portion 640b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640a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minute bubbles are dissolv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tank 22 And a second portion 640b. The first portion 640a and the second portion 640b are provided with blocking portions 643 and 645 for blocking at least a part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decomposing portions 624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ubble mixing units 642 and 644 that mix the fine bubbles generated in the unit 624 with the washing water whose flow rate is slowed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ng unit 624.

구체적으로, 제1 부분(640a)은 분해부(624)와 연통되고 하우징(622)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는 제1 혼합 공간(642)과, 제1 혼합 공간(642)을 따라 진행하는 세탁수의 흐름을 변경하는 제1 차단면(6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640b)은 제1 혼합 공간(642)과 연결되고, 제1 혼합 공간(64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 혼합공간(644)과, 제2 혼합 공간(644)을 따라 진행하는 세탁수의 흐름을 변경하는 제2 차단면(645)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ortion 640a includes a first mixing space 642 that communicates with the disintegration portion 624 and can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622, and a second mixing space 642 that extends along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a first blocking surface 643 that changes the flow of washing water. The second portion 640b is connected 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has a second mixing space 644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a second blocking surface 645 that alters the flow of washing water in progress.

이와 같은 제1 혼합 공간(642)과 제2 혼합 공간(644)은 최대한 유로를 넓히면서, 직분사를 방지하여 미세 기포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the second mixing space 644 can maximally expand the flow path while preventing direct dusting,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minute bubbles generated.

제1 혼합 공간(642)은 기포 생성부(6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통 형상으로서, 기포 생성부(6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은 분해부(624)에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가 생성된 세탁수가 이미 분해부(624)로부터 토출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에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분해부(624)를 경유하고 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가 제1 혼합 공간(642)으로 토출되고,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 중 일부는 제1 혼합 공간(642)에 머무를 수 있다. 이때, 분해부(624)에서 계속해서 분사되고 있는 세탁수와 제1 혼합 공간(642)에서 머무르게 되는 세탁수가 부딪혀 혼합되며 세탁수 내의 기포가 더 쪼개지고, 미세 기포가 세탁수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The first mixing space 64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ubble generator 620 and may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bubble generator 620. The first mixing space 642 is a space in which the wash water in which microbubbles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ng unit 624 are generated is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ng unit 624 and mixed with the wash water whose flow is slow. Specifically, some of the washing water whose flow is slowed after passing through the decomposition part 624 is discharged in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some of the washing water whose flow is slow can stay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continuously sprayed by the decomposing unit 624 and the washing water staying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 air bubbles in the washing water are further split, and the minute bubbles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washing water .

제2 혼합 공간(644)은 제1 혼합 공간(642)으로부터 토출되는 세탁수가 일정 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하며, 머무르고 있는 세탁수에 제1 혼합 공간(642)에서 빠르게 토출되는 세탁수가 부딪히면서 다시 한번 미세 기포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mixing space 644 allow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mixing space 642 to sta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washing water, which is rapidly discharged from the first mixing space 642, Can be generated.

여기서, 제2 혼합 공간(644)은 제1 혼합 공간(64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혼합 공간(642)과 제2 혼합 공간(644)은 단턱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혼합 공간(642)에서 제2 혼합 공간(644)으로 이어지는 단턱의 일 측면이 제1 차단면(643)일 수 있다. 이때, 단턱은 분해부(624)의 입구(624a)의 중심과 출구(624b)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C)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mixing space 644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the second mixing space 644 may be formed with a step.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tep from the first mixing space 642 to the second mixing space 644 may be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At this time, the step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line C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inlet 624a of the decomposing part 624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624b.

제1 차단면(643)은 제1 혼합 공간(642)의 측면으로부터 이어지게 형성되고, 분해부(624)의 출구(624b)면과 평행하거나 분해부(624) 측으로 돌출되게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단면(643)은 제1 혼합 공간(642)을 형성하는 일측면으로서, 노즐부(640)의 출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면(643)의 단부는 제1 혼합 공간(642)의 측면으로부터 분해부(624)의 중심선(C)의 연장선까지의 거리의 90% 내지 110%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차단면(643)의 단부가 분해부(624)의 중심선(C)의 연장선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 차단면(643)이 형성됨으로써, 분해부(624)로부터 세탁수가 직분사되어 바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유로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하면서, 노즐부(64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outlet 624b of the decomposing portion 624 or protrude toward the decomposing portion 624 . For example,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let of the nozzle unit 640 as one side forming the first mixing space 642. At this time, the end of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90% to 110% of the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first mixing space 642 to the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decomposition portion 624 And the end of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disassembling portion 624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is directly sprayed from the disassembling portion 624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discharged. At the same time, the nozzle portion 640, Can be simplified.

세탁수는 유로가 좁은 분해부(624)에서 유로가 넓어지는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나오면서 흐름이 느려지게 된다. 이때, 제1 차단면(643)은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를 분해부(624)에서 제1 혼합 공간(642)과 제2 혼합 공간(644)으로 직분사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단면(643)에 의해 제1 혼합 공간(642)에서 흐름이 느려져서 임시로 머무는 세탁수와 분해부(624)에서 분사되어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며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다시 분사되는 세탁수가 충돌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차단면(643)은 분해부(624)에서 토출되는 세탁수가 직분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도록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분사를 방지함으로써, 분해부(624)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가 미처 세탁수 내에 골고루 퍼지거나, 충분히 용해될 시간도 없이 바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혼합 공간(642)에서 추가의 미세 기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becomes slower as it flows out from the decomposition part 624 having a narrow flow path 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where the flow path is widened. 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can prevent the washing water having a slow flow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the second mixing space 644 through the decomposing unit 624. Accordingly, the flow is slowed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by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and the washing water and the decomposing portion 624, which temporarily stay, are jetted from the decomposition portion 624 and hit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642, and the fine bubbles may be generated.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may be formed at an angle so as not to be inclin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ng portion 624 can be prevented from direct dust. By preventing such direct dus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nute bubbles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section 624 from spreading evenly within the non-laundered water or being discharged immediately without a sufficient time for dissolving, ) To generate additional microbubbles.

정리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600)에 의하면, 용해 유닛(500)에서 유입된 기포는 분해부(624)의 입구(624a)에서 확관되는 출구(624b)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느려지는 동시에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기포는 미세 기포로 쪼개지고 기포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분해부(624)를 경유하며 흐름이 느려진 미세 기포는 제1 혼합 공간(642)으로 토출 되고, 일부는 제1 혼합 공간(642)에서 느리게 제2 혼합 공간(644)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며 직분사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힌 미세 기포는 제2 혼합 공간(644)으로 직분사되지 않고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분사되어, 제1 혼합 공간(642) 내에서 기포들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미세 기포로 쪼개어지고, 기포의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기포가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면서 직 분사로 제2 혼합 공간(644)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1 차단면(643)에 의해 한번 더 미세 기포가 생성되기 때문에 미세 기포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In summary, according to the nozzle unit 6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s introduced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pass through the outlet 624b, which is expanded at the inlet 624a of the decomposing unit 624,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is increased. The bubbles are then split into minute bubbles and additional bubbles can be generated. The minute bubbles flowing through the decomposing section 624 are discharged in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and partly discharged into the second mixing space 644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1 blocking surface 643 and direct dust can be prevented. The minute bubbles struck against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are injected in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without being directly divided into the second mixing space 644 so that collision between the bubbles occurs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So that the amount of air bubbles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minute bubbles collide against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and are not supplied to the second mixing space 644 by the direct injection, and since the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once more by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the amount of the minute bubbles Can be increased.

제1 혼합 공간(642)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는 제2 혼합 공간(644)으로 토출된다. 제2 혼합 공간(644)은 미세 기포가 내조(22)내로 토출되는 토출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출 위치로 가이드 하는 부분에 제2 차단면(64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가 제2 차단면(645)에 부딪히며 직분사가 한번 더 방지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기포 상태로 토출된 기포들이 제2 차단면(645)과 충돌하면서 미세 기포로 쪼개지며 미세 기포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면(645)가 토출 위치에 마련되어있으므로, 제2 차단면(645)에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들은 바로 내조(22)내로 공급될 수 있다. 더불어, 노즐부(640)는 토출부(646), 바디 연결부(648), 및 노즐 유닛 고정부(6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inute bubbles generated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are discharged into the second mixing space 644. The second mixing space 644 may serve as a guide for guiding the minute bubbles to the discharge position where the fine bubbles are discharged into the inner tank 22. And a second blocking surface 645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guiding to the ejection position. Minut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first mixing space 642 collide against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and direct dust can be prevented once more. The bubbles discharged in a bubble state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may be split into minute bubbles while colliding with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and the amount of minute bubbles generated may increase. Further, since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is provided at the discharging position, the minut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can be supplied directly into the inner tank 22. In addition, the nozzle unit 64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ortion 646, a body connecting portion 648, and a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토출부(646)를 통해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가 세탁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부(646)는 토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더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출부(646)의 내측면이 제2 차단면(645)일 수 있다. 또한, 토출부(646)는 내조(22) 내부로 향하도록 제2 혼합 공간(644)에서 내조(22)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단면(645)은 이에 대응되도록 내조(22)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646)는 내조(22) 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확산되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조(22)로 배출되는 미세 기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sh water in which the minute bubbles are dissolved can be discharged to the washing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646. [ The discharge portion 646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sectional shape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646 may be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The discharge portion 646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tank 22 in the second mixing space 644 so as to be directed into the inner tank 22. [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may be formed with an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tank 22 so as to correspond thereto. Since the discharge portion 646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tank 22 and diff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e bubbles discharged to the inner tank 22 from scattering.

바디 연결부(648)는 노즐 유닛(600)의 유로의 수직 방향으로 노즐부(640)의 일 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면을 포함하고, 연장 형성된 면에 바디부(610)의 노즐 연결부(6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에는 체결부재가 관통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 연결부(648)를 바디부(610)의 노즐 연결부(618)와 접촉시키고,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 또는 관통하여 바디부(610)와 노즐부(640)를 체결시킬 수 있다. The body connection portion 648 includes a surfac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nozzle portion 64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of the nozzle unit 600 and includes a nozzle connection portion 618 And may include holes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or inserted into the hole. Accordingly,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ozzle connecting portion 618 of the body portion 610, and the body portion 610 and the nozzle portion 640 can be fastened by inserting or pas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또한, 노즐부(640)가 기포 생성부(620)를 하측에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디 연결부(648)의 하부는 상부보다 바디부(6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연결부(648)의 하부는 기포 생성부(620) 전체가 감싸지도록 돌출되어 있고, 바디 연결부(648)의 상부는 기포 생성부(620)의 소정의 길이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부 연결부(618)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는 노즐부(6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노즐부 연결부(618)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may protrude more toward the body portion 610 than the upper portion in order to more stably support the bubble generating portion 620 from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portion 640. For example, the lower part of the body connecting part 648 is protruded to cover the entire bubble generating part 620,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connecting part 648 may be formed to expose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bubble generating part 620 have. The two nozzle unit connection portions 6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unit connection portion 618 and the two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ortions 6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portion connection portion 618. [ As shown in Fig.

노즐 유닛 고정부(649)는 바디 연결부(648)의 양 측면에서 바디 연결부(648)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 유닛 고정부(649)는 노즐 유닛(600)의 유로 형상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닛 고정부(649)에는 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유닛(600)이 캐비닛 커버(14)에 고정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on both sides of the body connecting portion 648. That is,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low path direction of the nozzle unit 600. [ A hole is formed in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Accordingly, the nozzle unit 600 can be fixed to the cabinet cover 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600)에 의한 세탁수의 유동 원리를 정리하면, 용해 유닛 연결부(612)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가압 공간(615)으로 유입되어 소정시간 머무르며 가압될 수 있다. 이후, 가압 공간(615)의 세탁수가 분해부(62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가 쪼개져 미세 기포가 되거나, 추가의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분해부(624)로부터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배출되는 세탁수는 제1 혼합 공간(642)에 형성된 제1 차단면(643)에 의해 직분사 되지 않고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면서 제1 혼합 공간(642)에 일정 시간 머무르게 되고, 이에 의해 추가의 미세 기포가 발생되고 미세 기포가 세탁수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제1 혼합 공간(642)을 지난 미세 기포는 제2 혼합 공간(644)의 제2 차단면(645)에 또 부딪히면서 한번 더 미세 기포의 직분사를 방지하고 미세 기포 생성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기포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세탁력과 헹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nozzle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ng portion 612 flows into the pressing space 615, stays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reafter,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may be split into fine bubbles or additional fine bubbles in the course of washing water in the pressurizing space 615 passing through the decomposing unit 624.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tion part 624 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is not directly sprayed by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formed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but strikes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The first mixing space 642 is left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reby additional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and the minute bubbles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washing water. In addition, the minute bubb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mixing space 642 may bombard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of the second mixing space 644 again to prevent the direct bubbling of the minute bubbles and increase the amount of fine bubbles generated . Therefore, the amount of fine bubbles to be produced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washing power and the rinsing power.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캐비닛 커버(14)는 플레이트(140), 투입홀(141), 세제함 수용부(142), 노즐 유닛 설치홈(144) 및 노즐 유닛 결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7 to 9, the cabinet cover 14 includes a plate 140, a charging hole 141, a detergen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42, a nozzle unit mounting groove 144, (Not shown).

플레이트(140)의 중심부에 내조(22)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투입홀(141)을 통해 사용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A charging hole 141 can b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140 to allow the laundry to be charg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tank 22. The user can input the laundry through the injection hole 141.

세제함 수용부(142)는 플레이트(140)의 투입홀(141)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142)는 세제함(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세제함(30)이 슬라이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etergen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42 may be installed at one point around the injection hole 141 of the plate 140. The detergen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4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detergent container 3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30 can be slidably opened and closed.

노즐 유닛 설치홈(144)은 캐비닛 커버(14)의 투입홀(141)의 둘레의 타 지점에 노즐 유닛(600)이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mounting groove 144 may be formed so that the nozzle unit 600 is installed at another point around the charging hole 141 of the cabinet cover 14. [

노즐 유닛 결합부(146)는 캐비닛 커버(14)에 노즐 유닛(6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캐비닛 커버(14)의 투입홀(141)의 외측 저면에 제공될 수 있다.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는 후술할 볼트(670)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146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141 of the cabinet cover 14 so that the nozzle unit 600 can be coupled to the cabinet cover 14. [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146 may be formed with a hollow into which a bolt 6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노즐 유닛을 커버하기위한 노즐 커버(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커버(650)는 캐비닛 커버(14)에 배치되는 노즐 유닛(600)의 일부를 덮어 노즐 유닛(600)이 투입홀(141)로 투입되는 세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버(650)는 노즐 유닛(600)을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더해주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커버(650)는 차폐부(652), 노즐 커버 고정부(654), 결합홀(655), 및 연결부(65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cover 650 for covering the nozzle unit. The nozzle cover 650 can cover a part of the nozzle unit 600 disposed in the cabinet cover 14 to prevent the nozzle unit 600 from colliding with the laundry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141. [ In addition, the nozzle cover 650 can be formed to protect the nozzle unit 600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user with aesthetic feeling as a portion exposed to the user. The nozzle cover 650 may include a shielding portion 652, a nozzle cover fixing portion 654, a fitting hole 655, and a connecting portion 656.

차폐부(652)는 노즐 유닛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652)는 노즐부(640)에서 제2 차단면(645)과 토출부(646)를 덮는 덮개 부분으로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다. 차폐부(652)는 토출부(646)를 투입 또는 인출되는 세탁물로부터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더해줄 수 있다. 차폐부(652)는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노즐 유닛 설치홈(14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차폐부(652)가 노즐 유닛 설치홈(144)에 배치되었을 때 빈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플레이트(140) 내부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다른 이물질이 플레이트(140)를 통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shielding portion 652 can shield a part of the nozzle unit. The shielding portion 652 is a covering portion that covers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and the discharging portion 646 in the nozzle portion 640 and is a portion that can be exposed to the user. The shielding portion 652 protects the discharge portion 646 from the laundry to be charged or discharged, and can add aesthetics to the user. The shielding portion 65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ozzle unit mounting groove 144 formed in the plate 140 so that a gap is not formed when the shielding portion 652 is disposed in the nozzle unit mounting groove 14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ucture inside the body 140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and to block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plate 140.

노즐 커버 고정부(654)는 연결부(656)에의해 차폐부(652)와 연결될 수 있고, 노즐 커버 고정부(654)는 플레이트(140)의 저면에서 노즐 유닛(600)과 함께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고정될 수 있다. 노즐 커버 고정부(654)에는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홀(65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nozzle cover fixing portion 654 can be connected to the shield portion 652 by the connection portion 656 and the nozzle cover fixing portion 654 can be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54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6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40. [ (Not shown). The nozzle cover fixing portion 654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655 to be inserted into the nozzle unit coupling portion 14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노즐 유닛(600)을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670)와, 볼트(670)에 끼워져 노즐 유닛(6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lt 670 for fixing the nozzle unit 600 to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146 and a bolt 670 for fastening the bolt 670 to the nozzle unit 600 And a vibration-absorbing rubber 660 that absorbs vibrations.

방진 고무(660)는 노즐부 끼움홈(662), 댐핑부(664), 볼드 헤드 지지부(6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proof rubber 660 may include a nozzle fitting groove 662, a damping portion 664, and a bold head support portion 666.

노즐부 끼움홈(662)은 방진 고무(660)의 캐비닛 커버(14)의 저면 방향으로의 일측 단바에 제공되고, 노즐 유닛(60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부 끼움홈(662)은 방진 고무(66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 끼움홈9662)에 노즐 유닛 고정부(649)가 끼워져서 노즐 유닛(600)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부 끼움홈(662)은 노즐 유닛 고정부(649)에 형성된 홀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nozzle fitting grooves 662 are provided in one side end bar of the vibration proof rubber 660 in the bottom face direction of the cabinet cover 14 so that a part of the nozzle unit 600 can be fitted. Specifically, the nozzle fitting grooves 662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bration-proof rubber 660.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is fitted in the nozzle fitting groove 9662 so that the nozzle unit 600 can be fixed. Therefore, the nozzle fitting grooves 662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holes formed in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

댐핑부(664)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부 끼움홈(662)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볼트 헤드 지지부(666) 사이에 제공되고, 항아리 형상으로 굴곡을 가지며 형성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댐핑부(664)는 방진 고무(660)의 길이 방향(즉, 노즐부 끼움홈(662)에서 볼트 헤드 지지부(666)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세탁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미세 기포 생성기(BG)에 의해 노즐 유닛(6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떨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The damping portion 664 is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itting groove 662 formed at one end portion and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666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is formed in a jar shap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damping portion 664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bration proof rubber 660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666 in the nozzle fitting groove 662), an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micro- Vibration and tremors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600 can be absorbed by the blower BG.

볼트 헤드 지지부(666)는 방진 고무(660)의 타측 단부에 제공되어, 볼트(670)의 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 볼트 헤드 지지부(666)는 볼트 헤드(670)의 일 면과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다.The bolt head support portion 666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proof rubber 660 to support the head of the bolt 670. The bolt head support 666 can be hel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lt head 670.

볼트(670)는 볼트 헤드(672)와 방진 고무 삽입부(674)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670)는 방진 고무(660)의 볼트 헤드 지지부(666)에서 노즐부 끼움홈(662)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670)가 삽입되면 볼트 헤드(672)가 볼트 헤드 지지부(666)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방진 고무 삽입부(674)는 볼트(67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방진 고무(660)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The bolt 670 may include a bolt head 672 and an anti-vibration rubber insert 674. The bolt 670 can be inserted into the nozzle fitting groove 662 side from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666 of the vibration proof rubber 660. [ Therefore, when the bolt 670 is inserted, the bolt head 672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bolt head support 666. [ The anti-vibration rubber insert portion 674 is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olt 670 and may be a portion into which the anti-vibration rubber 660 is inserted.

볼트(670)는 방진 고무(660)와 노즐 유닛(600)과 노즐 커버(6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670)는 방진 고무(660)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과하고, 노즐 유닛(600)의 노즐 유닛 고정부(649)를 통과하고, 노즐 커버(650)의 노즐 커버 고정부(654)에 형상된 결합홀(655)를 통과한 후,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bolts 670 can be fixed to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146 through the vibration-proof rubber 660, the nozzle unit 600, and the nozzle cover 650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bolt 67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anti-vibration rubber 660, passes through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649 of the nozzle unit 600, and passes through the nozzle cover fixing portion 640 of the nozzle cover 65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low formed in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146 after passing through the engaging hole 655 formed in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654.

따라서, 노즐 유닛(600)은 캐비닛 커버(14)의 투입홀(141) 내측으로 진입되어, 내조(22)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용해 유닛(500)과 노즐 유닛(600)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가 소멸되지 않고 세탁이 수행되는 내조(2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refore, the nozzle unit 600 can be disposed so as to enter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141 of the cabinet cover 14 and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ner tank 22. [ Accordingly, the fine bubbles generated in the dissolving unit 500 and the nozzle unit 600 can be supplied into the inner tank 22 in which the washing is performed without disappearing.

아울러, 배수 유닛(700)은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배수 유닛(700)은 메인 배수 호스(34)의 메인 배수 밸브(36)의 후류에 위치하는 지점에 용해 유닛(500)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배수 밸브(36)의 작동과 무관하게 배수 유닛(700)으로부터의 배수가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unit 700 can discharge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500 to the main drain hose 34 after the supply of the wash water including the minute bubbles is completed. The drainage unit 700 may be disposed below the dissolution unit 500 and the drainage unit 700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downstream of the main drainage valve 36 of the main drainage hose 34,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drained from the washing machine. Thereby, draining from the drainage unit 700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main drainage valve 36. [

여기서, 도 2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배수 유닛(700)은 제1 바디(710), 제2 바디(720), 다이어프램(730), 다이어프램 지지부(740), 및 개스킷(7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9, and 10, the drain unit 700 includes a first body 710, a second body 720, a diaphragm 730, a diaphragm support 740, 750).

구체적으로,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710)와, 제1 바디(710)에 결합되고 메인 배수 호스(34)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unit 500 and includes a first body 710 to which the wash water is introduced and a second body 720 coupled to the first body 710 and connected to the main drainage hose 34, And a second body 720 for discharging.

배수 유닛(700)은 상술한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뿐만 아니라,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 사이에 제공되고 제1 바디(71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736)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730)과,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사이에 제공되고 다이어프램(7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748)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7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710 and the second body 720 as well as the first body 710 and the second body 720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710 and the second body 720 through the first body 710, A diaphragm 730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710 and the second body 720 and having a first hole 736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ash water and capable of passing washing water therethrough, And a second hole 748 that is selectively shielded by an elastic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support 740.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는 나사결합 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바디(710)에는 암 나사부(714)가 형성되고, 제2 바디(720)에는 수 나사부(724)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결합 방법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형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체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710)는 용해 유닛(500)에 연결되는 용해 유닛 연결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 유닛 연결부(712)는 제1 바디(710)에 제2 바디(720)가 체결되는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용해 유닛 연결부(712)는 제1 배수 라인(L3)와 연결되어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The first body 710 and the second body 720 can be screwed together and the first body 710 has a female thread 714 and the second body 720 has a male thread 724, Can be formed.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body 710 and the second body 720 is not limited to the screw coupling, and various fastening methods such as coupling, bolt coupling,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he first body 710 may include a dissolution unit connection 712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unit 500.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712 may ext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body 710 to which the second body 720 is fastened and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7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line L3,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washing tub 500 can be drained.

제2 바디(720)는 메인 배수 호스(34)에 연결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와, 다이어프램 수용부(72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는 제2 바디(720)에 제1 바디(710)가 체결되는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는 제2 배수 라인(L4)와 연결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720 may include a main drain hose connection portion 722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34 and a diaphragm receiving portion 726. The main drain hose connection portion 722 may ext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body 720 to which the first body 710 is coupled. The main drain hose connection portion 7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line L4 so that the wash water can be drained.

이때, 용해 유닛 연결부(712)의 입구와 출구,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 유닛 연결부(712)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712 and the center of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main drain hose connecting portion 722 may b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refore, the washing water drained through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712 can be drained smoothly to the main drain hose connecting portion 722.

다이어프램 수용부(726)는 제2 바디(7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서, 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diaphragm receiving portion 726 is hollow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720 and can receive the diaphragm supporting portion 740 and the ear frame 730. Therefore,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are formed with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s of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so that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can be stably inserted.

다이어프램(730)에 형성된 제1 홀(736)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형성된 제2 홀(748)은 배수되기 위한 세탁수가 지나가는 통로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는 유압에 의해, 상호 이격되거나, 접촉되면서 세탁수를 배수시키거나 배수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730)은 세탁수의 급수압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클 때에는 탄성 변형되어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제2 홀(748)을 차폐하고,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에는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제2 홀(748)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으로의 공급되는 세탁수의 하중에 따른 압력의 값일 수 있다)The first hole 736 formed in the diaphragm 730 and the second hole 748 formed in the diaphragm supporting portion 740 may be passages through which wash water is discharged to be drained.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hydraulic pressure to drain the wash water or shut off the drainage. Specifically, the diaphragm 730 elastically deforms to block the second hole 748 of the diaphragm supporter 740 when the water supply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water supply pressur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second hole 748 can be opened. (Her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the value of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o the dissolving unit 500)

먼저, 다이어프램(730)은 탄성 변형부(732), 걸림홈(733), 차폐부(734), 고정부(735) 및 제1 홀(736)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diaphragm 730 may include an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an engagement groove 733, a shielding portion 734, a fixing portion 735, and a first hole 736.

탄성 변형부(732)는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고, 차폐부(734)의 둘레를 따라 용해 유닛 연결부(712) 측으로 돌출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732)는 고정부(735)와 차폐부(734)를 연결할 수 있다.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ater supply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and can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has a U-shaped Section. Further,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can connect the fixing portion 735 and the shielding portion 734.

차폐부(734)에는 제1 홀(736)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736)은 차폐부(734)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홀(736)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부(734)의 중심부가 제2 홀(748)을 차폐할 수 있다. 제2 홀(748)을 차폐하기 위해서, 차폐부(734)는 제2 홀(748)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hole 736 may be formed in the shielding portion 734. A plurality of first holes 736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hielding portion 734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shielding portion 734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73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le 748, respectively. In order to shield the second hole 748, the shielding portion 734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748.

차폐부(734)는 배수 유닛(700)으로 제공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제2 홀(748)을 차폐할 수 있다. 상세히, 배수 유닛(700)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갖는 세탁수, 예를 들어 급수 밸브 유닛(32)에 의해 용해 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배수 유닛(700)까지 이동되어 다이어프램(730)에 압력을 가하면, 탄성 변형부(732)가 변형되면서 차폐부(734)가 다이어프램 지지부(740) 측으로 이동되고, 차폐부(734)와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서로 접촉되면서 제2 홀(748)이 차폐될 수 있다. 반대로, 배수 유닛(7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구체적으로,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탄성 변형부(732)가 차폐부(7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그에 따라 제2 홀(748)이 개방될 수 있다.The shielding portion 734 can shield the second hole 748 of the diaphragm support portion 740 by the pressure of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drainage unit 700. [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dissolving unit 500 by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is moved to the drainage unit 700 and the diaphragm 730 is moved to the drainage unit 700. [ The shielding portion 734 is moved towar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while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is deformed and the shielding portion 734 an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second hole 748, Can be shielded. Conversely, when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drainage unit 700, specifically, when the washing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732 returns the shielding portion 734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second hole 748 can be opened.

고정부(735)는 차폐부(734)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735)는 탄성 변형부(732)에서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측으로 연장되어, 다이어프램(730)의 고정부(735)와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안착부(742)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735)에는 걸림홈(733)이 형성되어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형성되는 걸림부(746)가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735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hield portion 734 and may be fixed to the diaphragm supporting portion 740. The fixing portion 735 extends from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toward the diaphragm supporting portion 740 and can be contacted with the fixing portion 735 of the diaphragm 730 and the seating portion 742 of the diaphragm supporting portion 740 . At this time, the retaining groove 733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735 so that the retaining part 746 formed on the diaphragm supporting part 740 can be caught so that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ing part 740 are stably fixed .

다이어프램 지지부(740)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제2 홀(748), 제2 바디(720)의 내측에 요동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리브(744), 지지리브(744)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730)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phragm support portion 7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ib 744 and the second hole 748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is drained. The support rib 744 is fixed in tight contact with the second body 720 so as not to swing inside the second body 720. May be seated and fixed.

안착부(742)는 다이어프램(730)의 연결부와 접촉되어 다이어프램(730)을 안착시키고, 지지리브(744)는 안착부(742)에 접촉된 다이어프램(7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742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iaphragm 730 to seat the diaphragm 730 and the supporting rib 744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diaphragm 730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742 .

또한, 안착부(742)는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후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74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746)는 다이어프램(730)의 걸림홈(73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742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746 to allow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ing portion 740 to be hooked and fixed. The engaging portion 746 can be fitted and fixed in the engaging groove 733 of the diaphragm 730.

여기서,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제1 홀(736)과 제2 홀(748)은 서로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 변형부(732)의 탄성에 따라 제2 홀(748)이 차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hole 736 and the second hole 748 of the diaphragm 730 and the diaphragm supporter 740 may b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Thus, the second hole 748 can be shielded or opened according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732.

또한, 배수 유닛(700)은 제1 바디(7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용해 유닛 연결부(712)측으로 삽입되고, 제2 바디(720)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개스킷(750)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750)은 오링(O-ring)으로 형성되어, 제1 바디(710)의 용해 유닛 연결부(712)측의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drainage unit 700 may include a gasket 750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710 toward the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art 712 and pressed by the end of the second body 720 . The gasket 750 is formed of an O-ring and disposed around the end of the first body 710 on the side of the dissolving unit connecting portion 712,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washing wat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수 유닛(700)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용해 유닛(500)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배수 유닛(700)까지 이동되어 다이어프램(73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압력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으로의 세탁수 공급이 없는 경우, 용해 유닛(500)에 잔존 가능한 세탁수의 하중에 따른 압력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배수 유닛(700)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배수 유닛(700)의 내부에 제공된 다이어프램(730)이 탄성 변형되어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 홀(748)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용해 유닛(500)으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채워치고,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가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was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o the dissolving unit 500,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dissolving unit 500 is transferred to the drain unit 700 So that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diaphragm 730. (Here, the preset pressure may be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ving unit 500 when the washing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o the dissolving unit 500) When the was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 unit 700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at a pressure greater than a set pressure, the diaphragm 730 provided in the drain unit 700 is elastically deformed to discharge the wash water. 748). Thereby,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dissolving unit 500 is filled, and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can be supplied to the nozzle unit 600.

반면에,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탄성 변형부(732)가 차폐부(7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그에 따라 제2 홀(748)이 개방되어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ing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732 returns the shielding portion 734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second hole 748 is opened, can do.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닛(700)은 간단한 구조로 미세 기포 생성기를 구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ainage uni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operate reliably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construc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with a simple structu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 및 미세 기포 생성기(BG)의 작용, 효과 및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 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micro-bubble generator (B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upplying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will be described.

우선, 급수 밸브 유닛(32)을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용해 유닛(500)에서 공급받은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할 수 있다.First, the wash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 Next, the gas can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여기서, 용해 유닛(500)에서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하기 위해,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캡(530)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따라 세탁수가 공급되고, 캡(530)의 수평 방향으로 공급된 세탁수의 진행 방향이 캡(530)의 급수 방향 전환부(534)에 의해 캡(530)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급수 방향 전환부(534)에 의해 균일하게 토출되는 세탁수가 내통(520)에 채워진 후 오버플로우 될 수 있다. 내통(520)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탁수가 내통(520)과 외통(51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line connecting portion 532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p 530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solving unit 500 dissolves the gas in the washing water in the dissolving unit 500,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p 530 is swi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cap 530 by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of the cap 530 have. The wash water uniformly discharged by th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unit 534 may be filled in the inner cylinder 520 and then overflowed. The wash water overflowing from the inner cylinder 520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ylinder 520 and the outer cylinder 510 and the gas can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이때, 배수 유닛(700)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에 공급되는 급수압에 의해 다이어프램(730)이 탄성 변형되고, 이에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형성된 제2 홀(748)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급수되는 세탁수는 용해 유닛(500)의 용해 공간에서 기체가 용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73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ater supply pressur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o the dissolving unit 500, and the second hole 748 formed in the diaphragm supporter 740, Can be blocked.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can dissolve the gas in the dissolving space of the dissolving unit (500).

이러한 과정에 의해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는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되고, 노즐 유닛(600)은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쪼개어 미세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dissolved in the gas is supplied from the dissolving unit 500 to the nozzle unit 600. The nozzle unit 600 can break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to form fine bubbles.

용해 유닛(500)에서 세탁수에 기체가 용해되어 형성된 기포는 노즐 유닛(600)의 바디부(610)에 제공된 가압 공간(615)으로 유입되어 가압되고, 가압된 상태에서 가압 공간(615)보다 직경이 작은 분해부(624)의 입구(624a)로 진입하며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그리고, 유속이 빨라진 기포는 입구(624a)에서 확장되는 출구(624b)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느려지는 동시에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미세 기포로 쪼개어질 수 있다. 분해부(624)에서 토출된 미세 기포의 일부는 노즐부(640)에 제공된 제1 차단면(643)에 의해 직분사되지 않고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분사되어 기포들 간에 충돌이 일어나면서 미세 기포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토출되는 세탁수가 제2 혼합 공간(644)을 통과하며 제2 차단면(645)에서 다시 한번 직분사가 방지되고, 미세 기포 생성량이 증가된 후 노즐 유닛(600)의 토출부(646)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차단면(645)에 토출부(646)의 내측면으로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의 흐름을 내조(22) 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유닛(600)은 이와 같이 형성된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는 내조(22)로 토출할 수 있다.The bubbles formed by dissolving the gas in the washing water in the dissolving unit 500 flow into the pressing space 615 provided in the body part 610 of the nozzle unit 600 and are pressed, It may enter the inlet 624a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624 and the flow velocity may be increased. Then, the bubbles having the increased flow velocity are passed through the outlet 624b extending from the inlet 624a, and the flow is slowed down, and at the same time, as the pressure is increased, the bubbles can be broken into minute bubbles. A part of the fin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ng unit 624 is not directly sprayed by the first blocking surface 643 provided in the nozzle unit 640 but is injected into the first mixing space 642, The amount of fine bubble formation may increas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in the first mixing space 642 passes through the second mixing space 644 and is prevented again from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After the amount of fine bubbles is increased,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646. At this time, the flow of the minute bubbles to be discharged can be changed into the inner tank 22 as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646 on the second blocking surface 645. Accordingly, the nozzle unit 600 can discharge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minute bubbles thus formed to the inner tank 22 in which laundry is contained.

한편,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가 배수 유닛(700)에 의해 메인 배수 호스(34)로 배수될 수 있다. 상세히,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배수 유닛(700)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작은 압력(즉,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압보다 작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용해 유닛(5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다이어프램(730)으로 하중을 가하지 못하므로, 다이어프램(730)의 탄성 변형부(732)가 원상 복귀되어 제2 홀(748)을 개방함으로써 배수가 이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ly of washing water including fine bubbles is completed,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ving unit 500 can be drained to the main drain hose 34 by the drain unit 700. More specifically, when the was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unit 700 from the dissolution unit 500 at a pressure lower than a preset pressure (i.e., a pressure smaller than the water supply pressure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32), the dissolution unit 500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732 of the diaphragm 730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second hole 748 can be opened to drain wat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 specific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 pattern of features that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in combination, substitu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which, too,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세탁기 10: 캐비닛
12: 베이스 14: 캐비닛 커버
16: 도어 20: 외조(outer basket)
22: 내조(inner basket) 140: 플레이트
141: 투입홀 144: 노즐 유닛 설치홈
146: 노즐 유닛 결합부 500: 용해 유닛
510: 외통 520: 내통
522: 오버플로우부 524: 잔수 배출홀
530: 캡 532: 급수 라인 연결부
534: 급수 방향 전환부 536: 에어 포켓부
539: 외통 고정부 600: 노즐 유닛
610: 바디 612: 용해 유닛 연결부
614: 기포 생성부 수용부 615: 가압 공간
618: 노즐부 연결부 620: 기포 생성부
622: 하우징 624: 분해부
630: 개스킷 640: 노즐부
642: 제1 혼합 공간 643: 제1 차단면
644: 제2 혼합 공간 645: 제2 차단면
646: 토출부 648: 바디 연결부
649: 노즐 유닛 고정부 650: 노즐 커버
652: 차폐부 654: 노즐 커버 고정부
655: 결합홀 656: 연결부
660: 방진 고무 670: 볼트
700: 밸브 유닛 710: 제1 바디
712: 용해 유닛 연결부 720: 제2 바디
722: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 730: 다이어프램
732: 탄성 변형부 733: 걸림홈
734: 차폐부 735: 고정부
736: 제1 홀 740: 다이어프램 지지부
742: 안착부 744: 지지리브
746: 걸림부 748: 제2 홀
1: Washing machine 10: Cabinet
12: Base 14: Cabinet cover
16: door 20: outer basket
22: inner basket 140: plate
141: input hole 144: nozzle unit installation groove
146: nozzle unit coupling part 500: melting unit
510: outer tube 520: inner tube
522: overflow unit 524: residual water discharge hole
530: cap 532: water line connection
534: Feed direction switching part 536: Air pocket part
539: outer tube fixing part 600: nozzle unit
610: Body 612: Fusion unit connection part
614: bubble generator receiving portion 615: pressure space
618: nozzle connecting portion 620: bubble generator
622: housing 624:
630: Gasket 640: Nozzle part
642: first mixing space 643: first blocking surface
644: second mixing space 645: second blocking surface
646: Discharge part 648: Body connection part
649: nozzle unit fixing part 650: nozzle cover
652: shielding portion 654: nozzle cover fixing portion
655: coupling hole 656:
660: anti-vibration rubber 670: bolt
700: valve unit 710: first body
712: dissolution unit connection part 720: second body
722: Main drain hose connection 730: Diaphragm
732: elastic deformation part 733:
734: shielding portion 735:
736: first hole 740: diaphragm support
742: seat part 744: support rib
746: Retaining part 748: Second hole

Claims (17)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고,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유닛;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제공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을 갖는 캐비닛 커버;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며, 상기 투입홀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부로 토출하는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cabinet;
An outer tub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and containing wash water;
An inner tank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the laundry;
A water supply valve unit provided in the cabine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wash water;
A cabinet cov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having a charging hole for charging laundry;
And a fine 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fine bubbles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and supplies the generated fine bubbles to the washing space,
Wherein the micro-bubble generator includes a nozzle unit for generating micro-bubbles by supplying dissolved gaseous wash water and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inner tank immediately after the generation of micro-bubbles at a point around the injection hole was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투입홀의 외측 저면에 제공되어 상기 노즐 유닛이 결합되는 노즐 유닛 결합부가 제공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inet cover is provid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and is provided with a nozzle uni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nozzle unit is coupl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는 상기 투입홀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내조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art of the nozzle unit enters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and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tank.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를 덮어 상기 노즐 유닛이 상기 투입홀로 투입되는 세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커버가 제공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노즐 유닛과 함께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binet cover is provided with a nozzle cover for covering a part of the nozzle unit to prevent the nozzle unit from colliding with the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injection hole,
Wherein the nozzle cover is fixed to the nozzle unit coupl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기 투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노즐 유닛이 설치되는 노즐 유닛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
상기 노즐 유닛과 함께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되는 노즐 커버 고정부; 및
상기 차폐부와 상기 노즐 유닛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 유닛 설치홈에 끼워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nozzle unit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nozzle unit is installed is formed around the charging hole of the cabinet cover,
The nozzle cover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a part of the nozzle unit;
A nozzle cover fixing part fixed to the nozzle unit coupling part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And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hielding portion and the nozzle unit fixing portion and fitting into the nozzle unit installation groov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을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노즐 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는 세탁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bolt for fixing the nozzle unit to the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And
And a vibration-proof rubber fitted in the bolt to absorb vibration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고무는,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가 끼워지는 노즐부 끼움홈;
타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헤드가 지지되는 볼트 헤드 지지부; 및
상기 노즐부 끼움홈과 상기 볼트 헤드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연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nti-
A nozzle fitting groove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nozzle unit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nozzle unit is fitted;
A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supporting the head of the bolt; And
And a damp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itting groove and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lt to absorb vibra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방진 고무와 상기 노즐 유닛과 상기 노즐 커버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lt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vibration-proof rubber, the nozzle unit, and the nozzle cover, and is fixed to the nozzle unit coupl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켜 상기 노즐 유닛으로 공급하는 용해 유닛; 및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
A dissolving unit for dissolving the gas in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unit and supplying it to the nozzle unit; And
And a drain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s complete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유닛은,
일측이 개방되고,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용해 공간을 제공하는 외통;
상기 용해 공간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내통; 및
상기 외통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일 방향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일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타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내통의 내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에 수용되어 있던 기체는 상기 내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세탁수에 용해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solving unit comprises:
An outer tube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provides a dissolution space in which the gas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An inner cylinder inserted in the dissolution space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talled to be space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And
And a cap which shields the opening of the outer cylinder and suppli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 one direction 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ylinder by switching to another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gas accommodated in the outer cylinder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by the water supply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inner cylind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가 가압되는 가압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가압 공간과 연통되고, 세탁수가 통과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되는 복수 개의 분해부를 포함하는 기포 생성부; 및
각각의 상기 분해부에서 토출되는 세탁수의 유동의 적어도 일부가 직분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해부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를 상기 분해부로부터 토출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에 혼합시키는 미세 기포 혼합부를 포함하며,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 공간으로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nozzle unit compris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pressurizing space in which gas is supplied with dissolved wash water and the wash water is pressurized;
A bubble generator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ized space, the bubble gene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decomposition parts through which wash water flows and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And
And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at least a part of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decomposing portions so as not to be directly sprayed, wherein the minute bubbles generated in the decomposing portion are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whose flow is slowed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decomposing portion And a nozzle unit including a minute bubble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which minute bubbles are dissolved to the washing spa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메인 배수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main drain hose connected to the outer tank for draining the wash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ainage unit comprises: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unit to introduce wash water;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to discharge wash water;
A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first hole elastically deformed by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passing wash water therethrough; And
And a second hol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being selectively shield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세탁기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킨 후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에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로서,
세탁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고, 상기 내조로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를 토출하며, 상기 세탁기의 캐비닛의 상측에 제공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을 갖는 캐비닛 커버에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투입홀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노즐 유닛; 및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메인 배수 호스로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 A micro-bubble generator of a washing machine installed in a washing machine and supplied with washing water to generate micro-bubbles, and then supplying washing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to the inner tank,
A dissolving unit that receives the washing water and dissolves the gas stored therein in the washing water;
A supply hole for introducing the laundry,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of the washing machine, for introducing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minute bubbles is discharged from the dissolving unit, A nozzle unit installed in the cabinet cover and having a part thereof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And
And a drain unit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solution unit to the main drain hose of the washing machine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is complete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홀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를 덮어 상기 노즐 유닛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nozzle cover installed on the cabinet cover and covering a part of the nozzle uni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jection hole to prevent the nozzle unit from being exposed upwar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세탁수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토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더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nozzle un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wash water,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der cross section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을 상기 캐비닛 커버의 상기 투입홀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노즐 유닛 결합부에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져 상기 노즐 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bolt fixing the nozzle unit to a nozzle unit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harging hole of the cabinet cover; And
And a vibration-proof rubber fitted in the bolt to absorb vibration generated in the nozzle unit.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고무는,
일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 유닛의 일부가 끼워지는 노즐부 끼움홈;
타측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헤드가 지지되는 볼트 헤드 지지부; 및
상기 노즐부 끼움홈과 상기 볼트 헤드 지지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의 연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nti-
A nozzle fitting groove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nozzle unit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nozzle unit is fitted;
A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supporting the head of the bolt; And
And a damp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itting groove and the bolt head support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lt to absorb vibration.
KR1020170037133A 2017-03-23 2017-03-23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102397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33A KR102397434B1 (en) 2017-03-23 2017-03-23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US15/919,692 US20180274150A1 (en) 2017-03-23 2018-03-13 Washing Machine and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CN201810229164.XA CN108625102A (en) 2017-03-23 2018-03-20 Washing machine and microfoam generator for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33A KR102397434B1 (en) 2017-03-23 2017-03-23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029A true KR20180108029A (en) 2018-10-04
KR102397434B1 KR102397434B1 (en) 2022-05-12

Family

ID=6358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133A KR102397434B1 (en) 2017-03-23 2017-03-23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274150A1 (en)
KR (1) KR102397434B1 (en)
CN (1) CN10862510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5226A (en) * 2022-03-29 2022-07-22 江苏海狮机械股份有限公司 Washing device based on micro-nano bubble water and wash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8041B2 (en) * 2018-11-05 2023-03-07 Wuxi Little Swan Electric Co., Ltd. Microbubble generator and laundry treating device
WO2020177313A1 (en) * 2019-03-06 2020-09-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Microbubble generator and washing device
WO2020177314A1 (en) * 2019-03-06 2020-09-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Microbubble generator and washing device
CN112760933A (en) * 2019-11-04 2021-05-07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N112779733A (en) * 2019-11-04 2021-05-11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N112899992A (en) * 2019-12-04 2021-06-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KR20210072496A (en) *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aphragm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195A (en) * 2008-01-29 2009-08-13 Sharp Corp Washing machine
US20100179461A1 (en) * 2009-01-12 2010-07-15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20110033410A (en)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ndensation type drying device
CN103003603A (en) * 2010-07-20 2013-03-27 辛洪建 Automatic water cut-off valve for low pressure
US20160113249A1 (en) * 2014-10-27 2016-04-28 Chi-Tse Kuo Liquid bubble separator of circulating water system
KR101708597B1 (en) 2016-10-05 2017-02-22 김대준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795Y1 (en) * 1995-04-29 1999-04-15 배순훈 Bubble generator of a washing machine
US7255332B2 (en) * 2004-05-25 2007-08-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System and method for dissolving gases in liquids
EP2214540A4 (en) * 2007-10-31 2014-03-05 Robotous Co Ltd Shower and wash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JP2009264531A (en) * 2008-04-28 2009-11-12 Isuzu Motors Ltd Vibration-proof support structure
JP2012040448A (en) * 2008-11-14 2012-03-01 Yasutaka Sakamoto Microbubble generator
US9060916B2 (en) * 2009-01-12 2015-06-23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418510B2 (en) * 2009-04-15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2011240206A (en) * 2010-05-14 2011-12-01 Maindorei Gijutsu Kagaku Kenkyusho:Kk Ozone microbubble-containing water producing device, ozone microbubble-containing water producing method, article washing device, article washing method, culture method for marine product and hydroponic culture method
KR101398018B1 (en) * 2011-12-30 2014-05-27 (주)버블랜드 Magnetization micro bubbles device for washing machine
CN104711824B (en) * 2013-12-12 2018-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water-conservatio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101568209B1 (en)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omprising mirco bubble generating unit
JP6388380B2 (en) * 2014-06-24 2018-09-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Washing machine
KR102533662B1 (en) * 2016-04-12 202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Vibration damp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195A (en) * 2008-01-29 2009-08-13 Sharp Corp Washing machine
US20100179461A1 (en) * 2009-01-12 2010-07-15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20110033410A (en)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ndensation type drying device
CN103003603A (en) * 2010-07-20 2013-03-27 辛洪建 Automatic water cut-off valve for low pressure
US20160113249A1 (en) * 2014-10-27 2016-04-28 Chi-Tse Kuo Liquid bubble separator of circulating water system
KR101708597B1 (en) 2016-10-05 2017-02-22 김대준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5226A (en) * 2022-03-29 2022-07-22 江苏海狮机械股份有限公司 Washing device based on micro-nano bubble water and wash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25102A (en) 2018-10-09
US20180274150A1 (en) 2018-09-27
KR102397434B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8029A (en)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80108031A (en)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102405300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8026A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27A (en)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JP7150853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CN110318211B (en) Washing machine and micro bubble generator for washing machine
KR20180108030A (en)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US10422066B2 (en) Washing machine
KR20150047372A (en) Washing Machine
KR20140130931A (en) Detergent feed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1383210B2 (en) Washing machine and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KR20180108032A (en)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102502672B1 (en)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CN113302351B (en) Washing machine
CN112899990A (en) Water inlet method of washing equipment and washing equipment using water inlet method
US20220411985A1 (en) Microbubble treatment agent cartridge 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having same
JP2022185360A (en) washing machine
KR20210003481A (en) Dish Washer
KR20060052754A (en) Steam injection type washing machine with monolithic injection apparatus and steam/water injection metood thereof, install method for monolithic injection apparatus of steam injection type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