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597B1 -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597B1
KR101708597B1 KR1020160128127A KR20160128127A KR101708597B1 KR 101708597 B1 KR101708597 B1 KR 101708597B1 KR 1020160128127 A KR1020160128127 A KR 1020160128127A KR 20160128127 A KR20160128127 A KR 20160128127A KR 101708597 B1 KR101708597 B1 KR 10170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peller
rotor
rotating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준
이병수
Original Assignee
김대준
이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준, 이병수 filed Critical 김대준
Priority to KR102016012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5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09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01F7/0025
    • B01F7/003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A nanobubble generating apparatus is disclosed. This nanobubble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a casing section where a water inlet and a water outlet are formed; a main shaft plac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ing section and rotating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 inducer impeller performing primary breaking on bubbles included in water while generating a vortex by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a turbo impeller performing secondary breaking on the bubbles included in the water while in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vortex by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inducer impeller; a middle rotor performing tertiary breaking on the bubbles included in the water while in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vortex by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turbo impeller; a low rotor performing quaternary breaking on the bubbles included in the water while increasing the magnitude of the vortex by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middle rotor; and a closed impeller sending the water including the bubbles subjected to the quaternary breaking by the low rotor to the water outlet side by rotating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low rotor.

Description

나노 버블 발생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0001]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0002]

본 발명은 나노 버블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원수(raw water)의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 및 N-Hex 등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초미세 나노 버블을 발생시켜 원수 내에 공급하여 원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 제거에 사용할 수 있는 나노 버블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that significantly reduces raw water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no bubble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ultrafine nano bubbles and supplying the nano bubbles to raw water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raw water.

미세 기포는 생물학적 활성화 효과, 물리적 초핑 효과, 액적 효과 등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시키고, 수경재배, 어패류 양식, 세정/세척, 의료, 입욕시설, 또는 세탁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세 기포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버블(micro buble)에서 더 나아가 초미세 버블인 나노 버블(nano buble)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도 계속해서 연구 개발되어 오고 있다.Micro-bubbles purify water quality by using biological activation effect, physical chopping effect, droplet effect, etc. and ar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hydroponic cultivation, fish culture, washing / washing, medical treatment, bathing facility or washing machine. Therefore, studies for efficiently generating such minute bubbles have been continuing, and devices for generating nano bubbles, which are ultrafine bubbles in micro bubble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developed have.

미세 기포 발생을 위한 장치나 설비에서 필수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종류의 펌프들이 사용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예로서, 원심 펌프, 회전 펌프, 및 재생 펌프가 있다. 원심 펌프(Centrifugal Pump)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물에 압력 에너지를 부여하여 퍼올리는 펌프로서, 와류 펌프로도 일컬어진다. 회전 펌프(Rotary Pump)는 로터리 펌프로도 일컬어지며, 케이싱 중에 거의 빈틈이 없도록 내접하는 회전자(rotor)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밀폐 공간의 이동에 의해서 유체를 수송하는 펌프로서, 회전 펌프의 종류에는 회전자의 평판형 베인(vane)을 장치한 베인펌프(vane pump)와 톱니바퀴를 설치한 기어펌프(gear pump), 스크류를 설치한 스크류펌프(screw pump) 등이 있다. 회전 펌프의 경우 운동부분이 등속회전을 하기 때문에 토출량의 변동이 적고 또한 흡입밸브와 토출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유체에 운동량을 부여하는 원심펌프와는 달리 자흡작용이 있고 취급할 수 있는 액체의 종류도 저점성에서부터 고정성까지 그 사용 폭이 비교적 넓으나, 고체입자(suspended solid)가 현탁해 있는 액체는 마모의 염려가 있으므로 적당하지 않고, 부식성 액체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재료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재생 펌프(Regenerative Pump)는 마찰 펌프, 웨스코 펌프 등으로도 일컬어지는데, 이 펌프는 임펠러 주변에 많은 홈을 파서 회전할 때 입구 쪽에서 홈에 들어간 액체가 케이싱에 둘러싸여 송출구 밖으로 운반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재생 펌프는 유체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매끈한 회전체 또는 나사가 있는 회전 축을 케이싱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액체의 유체 마찰력에 의하여 압력 에너지를 주어서 송출한다. 재생 펌프는 원심 펌프와 회전 펌프의 중간 구조를 가지며, 원심 펌프에 비하면 고 양정을 얻을 수 있으나 최고 효율은 떨어진다. 또한 물의 경우 그 효율이 30~40%로 낮은데 그 이유는 유로 내에서 액체의 난류가 심해지는 것과 로터의 홈이나 벽 사이의 틈에 충격이나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는 재생 펌프가 마찰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한계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펌프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버블 발생을 위해 기체(gas)를 함께 주입할 경우 펌프의 앞단에서 발생하는 에어 포켓 현상이나, 급격한 압력차로 인한 캐비테이션 손상(cavitation damage)이 불가피하다.Various types of pumps have been used as essential components in apparatus and equipment for micro-bubble generation. Typical examples include centrifugal pumps, rotary pumps, and regeneration pumps. Centrifugal pumps are centrifugal pumps that apply pressure energy to water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are also referred to as vortex pumps. A rotary pump is also called a rotary pump. It is a pump that transports fluid by movement of a closed space caused by rotation of a rotor which is in contact with a casing so that there is almost no gap in the casing. A vane pump equipped with a flat plate vane of a rotor, a gear pump provided with a cogwheel, and a screw pump provided with a screw. In the case of a rotary pump, unlike a centrifugal pump, which does not require a suction valve and a discharge valve, and which imparts a momentum to the fluid, the fluctuation of the amount of discharge is small because the moving part rotates at a constant speed. The range of use is relatively wide from low-viscosity to fixed, but liquids suspended in suspended solids are not suitable due to the risk of abrasion. Special care is required when handling corrosive liquids. do. The regenerative pump is also called a friction pump, a Wesco pump, etc. In the case of rotating a large number of grooves around the impeller, liquid that enters the grooves at the inlet side is conveyed out of the delivery port surrounded by the casing . The regeneration pump uses the viscous force of the fluid to discharge the pressure energy by the liquid frictional force of the liquid 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with the smooth rotating body or the screw in the casing. The regeneration pump has an intermediate structure between the centrifugal pump and the rotary pump, and a high lift is obtained compared with the centrifugal pump, but the maximum efficiency is low.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water is as low as 30% to 40%, because the turbulence of the liquid in the flow path becomes severe and the shock or friction occurs in the gap between the rotor groove and the wall. This is an inevitable limitation because the regeneration pump utilizes friction. In using such various pumps, it is inevitable that cavitation damage due to an air pocket phenomenon generated at the front end of the pump or a sudden pressure difference is inevitable when gas is injected together to generate bubbles.

미세 버블 또는 초미세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러한 펌프들과는 별개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9239호(2014.03.23. 등록) 또는 제10-1125851(2012.03.05. 등록)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블레이드와 나선형 그루브를 이용하거나, 원통체의 외주면에 나선홈 유로를 형성하고 모터로 원통체를 회전하여 나노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들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별도의 이송 펌프를 필요로 하며, 그 밖에 컴프레셔나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들이 추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나노 수준의 초미세 버블의 발생 효율을 보장하기 어렵다.As a method for generating fine bubbles or ultrafine bubble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79239 (Registered on March 23, 2014) or No. 10-1125851 (Registered Mar. 05, 2012) A techniqu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spiral blades and spiral grooves are used, spiral groove flow path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ylindrical body, and a cylindrical body is rotated by a motor to generate nano bubbles.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require a separate transfer pump for transferring the fluid, besides the addition of facilities for providing a compressor or a pressure,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efficiency of generation of nano-scale ultra-fine bubbles .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펌프(Pressure pump)와 스태틱 믹서(Static mixer) 등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물과 기체를 믹싱함과 동시에 미세 버블을 발생시키는 종래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가압 펌프와 스태틱 믹서가 요구되며, 특히 스태틱 믹서에 이물질이 많이 부착됨으로 인해 장치의 수명 단축과 버블 발생 효율 저하가 초래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been disclosed in which water and gas are mixed and fine bubbles are generated by using components such as a pressure pump and a static mixer. However, A separate pressurizing pump and a static mixer are required. In particular, a foreign matter is adhered to the static mixer, which shortens the service life of the device and lowers the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79239(2014.03.23.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79239 (Registered on March 23, 2014)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25851(2012.03.05.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5851 (registered on March 5,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블 발생 효율을 높이며, 컴프레셔나 가압 펌프 등의 복잡한 추가 설비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초미세 나노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나노 버블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no bubble generator capable of increasing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and generating ultrafine nano bubbles without requiring complicated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compressor or a pressurizing pump.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는, 물 유입구(113)와 물 유출구(114)가 형성된, 케이싱부(C1, C2, C3)와, 상기 케이싱부 내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101)와,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1차 분쇄하는 인듀서 임펠러(102)와, 상기 인듀서 임펠러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2차 분쇄하는 터보 임펠러(103)와, 상기 터보 임펠러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3차 분쇄하는 미들 로터(105)와, 상기 미들 로터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4차 분쇄하는 로우 로터(107)와, 상기 로우 로터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해 4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물 유출구 측으로 내보내는 클로즈드 임펠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ano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unit (C1, C2, C3) having a water inlet (113) and a water outlet (114) An inducer impeller 102 for first crush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while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shaft to generate a vortex; A turbo impeller 103 for secondarily crushing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inducer impell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 middle rotor 105 for three-dimensionally crushing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while rot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 low rotor 107 for crushing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in a fourth order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nd a second rotor 108,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at the rear end of the low rotor, And a closed impeller (110)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ing bubbles to the water outlet si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나노 버블 발생 장치는, 상기 터보 임펠러의 후단에서 상기 터보 임펠러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터보 임펠러에 의한 상기 2차 분쇄를 촉진하며, 상기 2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스테이터 베인(104), 상기 미들 로터와 상기 로우 로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미들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미들 로터에 의한 상기 3차 분쇄를 촉진하며, 상기 3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미들 스테이터(106), 상기 로우 로터와 상기 클로즈드 임펠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한 상기 4차 분쇄를 촉진하며, 상기 4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로우 스테이터(109), 그리고, 상기 미들 스테이터와 상기 로우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우 로터(107)의 외곽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한 상기 4차 분쇄를 촉진하기 위해 내측면에 요철 패턴(1081)이 형성된, 스페이서 스테이터(108)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ano bubble generator may provide frictional resistance to water rotating by the turbo impeller at a rear end of the turbo impeller to facilitate the secondary pulverization by the turbo impeller, A stator vane (104) for passing water containing pulverized air bubbles, a stator vane (104) passing between the middle rotor and the low rotor for providing water with a friction resistance against water rotating by the middle rotor, A middle stator 106 for accelerating the pulverization of the pulverized coal and passing water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third pulverized bubbles, a frictional resistance against water rotating between the low rotor and the closed impeller, To promote the quaternary pulverization by the low rotor and to pass water containing the quaternary pulverized bubble, (108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rotor (107) to promote the fourth-order pulverization by the lower rotor (109), and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stator and the low stator A spacer stator 108 is 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싱부(C1, C2, C3)는, 상기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인듀서 임펠러와 상기 터보 임펠러를 수용하는, 탑 커버(C1)와,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오링(R1)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탑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 베인, 상기 미들 로터 및 상기 로우 로터를 수용하는, 볼류트 커버(C2)와, 상기 물 유출구가 형성되고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오링(R2)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볼류트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클로즈드 임펠러를 수용하는, 볼류트 바디(C3)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sing portions (C1, C2, C3) include a top cover (C1) in which the water inlet is formed and accommodates therein the inducer impeller and the turbo impeller, A bolt cover (C2) coupled to the top cover with a first o-ring (R1) interposed therebetween for receiving the stator vane, the middle rotor and the low rotor; And a volute body (C3) coupled to the volute cover and receiving the closed impeller with a second o-ring (R2) interposed therebetwee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탑 커버(C1)는, 상기 탑 커버의 내측면에서부터 상기 터보 임펠러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보 임펠러의 회전시 상기 터보 임펠러와의 상호 작용으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의 상기 2차 분쇄를 촉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들(121)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op cover (C1) is formed to be direc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top cover toward the turbo impeller, so that when the turbo impeller rotates, the bubbl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for promoting the secondary pulveriz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클로즈드 임펠러(110)는,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부(1104)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들(1103)과, 상기 회전 날개들에 의해 회전되는 물을 상기 물 유출구(114) 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측면 통로들(11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osed impeller 110 includes an opening 1104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inside,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03 for rotat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And side passages 110 for discharging water, which is rotated by the wings, toward the water outlet 114 side.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나노 버블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설비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 포켓 현상과 캐비테이션 손상을 억제하여 장치의 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nan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nan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rtening of the service life.

본 발명은 나노 버블 발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처리를 위한 원수(raw water)의 BOD(Biochemical Oxygen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 및 N-Hex 등을 대폭 낮출 수 있는 초미세 나노 버블을 발생시켜 원수 내에 공급하여 원수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no bubble generator which is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aw water BOD (Biochemical Oxygen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SS (suspended solid), and N-Hex It is possible to generate fine nano bubbles and supply them to the raw water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도 1은 종래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일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물 유입구(113) 내에 배치되어 기체(gas)를 물과 함께 유입시키기 위한 벤츄리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케이싱부(C1, C2, C3)의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메인 샤프트(101)에 의존하여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들((b)에 도시함)과 메인 샤프트(101)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구성요소들((a)에 도시함)을 각각 구별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메인 샤프트(101)에 의존하여 메인 샤프트(101)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들(도 8의 (b))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클로즈드 임펠러(110)의 일 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버블 발생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버블 발생 장치의 입자 분포(적색, G2)와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의 입자 분포(청색, G1)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nano bubble generator,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FIG. 4,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nturi pipe arranged in the water inlet 113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roduce gas into the water inlet 113,
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casing units C1, C2 and C3 removed to explain the flow of water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main shaft 101 (shown in FIG. (Shown in (a)) that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rotor is rotating, and Fig.
9 shows details of the components (FIG. 8 (b)) rotating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101 depending on the main shaft 101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FIG. 8,
FIG. 10 is a detailed view of an example of the closed impeller 110 in FIG. 9,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important part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distribution (red, G2) of the conventional bubble generator and the particle distribution (blue, 0.0 > G1 < / RTI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되면 도면들 및 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예시되고 간략화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서 나노 버블은 1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버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simplified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Nano bubbles are used herein to mean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1 m or les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일 적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는 원수(raw water), 즉 수조(300)로부터 물(350)을 공급받아 나노 크기의 초미세 버블을 발생시켜 초미세 버블이 믹싱된 물을 다시 수조(300) 측으로 환원시킨다. 수조(300) 내의 물(350)에 존재하는 물순물은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어 수조(300) 내로 공급되는 나노 버블에 의해 부상되어 작업자가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는 모터(200)와 벨트(250)로 연결되어 동작하게 되고, 물 유입구를 통해 수조(300)로부터 물(350)을 유입시켜(화살표 A1(IN)), 나노 버블을 발생시켜 수조(300) 측으로 환원시킨다(화살표 A2(OUT)). 도 2에서 수조(300) 내의 물(350)을 원수로 하여 나노 버블을 다시 수조(300)로 공급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원수를 공급받아 나노 버블을 생성한 후 다른 부분으로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2,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receives raw water, that is, water 350 from the water tank 300 to generate ultra-fine bubbles of nano-size, To the water tub 300 side. The water purifying agent present in the water 350 in the water tank 300 floats up by the nano bubbles generated by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nd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300,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is connected to the motor 200 and the belt 250 so that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flows water 350 from the water tank 300 through the water inlet (arrow A1 (IN)), (Arrow A2 (OUT)) to the water tub 300 side. 2, nano bubbles are supplied back to the water tank 300 using the water 350 in the water tank 300 as raw water. Alternatively, raw water may be supplied to generate nano bubbles, .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도 3은 케이싱부(C1, C2, C3) 전체의 길이 방향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 즉 탑 커버(top cover, C1)의 측면에서 상기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는, 케이싱부(C1, C2, C3)를 포함하고, 케이싱부(C1, C2, C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물 유입구(113)가 위치하는 일단에서부터 물 유출구(114)가 위치하는 타단을 통과하도록 케이싱부(C1, C2, C3) 내부에 장착된 메인 샤프트(101)를 포함한다. 메인 샤프트(101)의 일단은 탑 커버(C1) 측에 결합되고, 메인 샤프트(101)의 타단은 모터(도 2의 200 참조)로부터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풀리(1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부(C1, C2, C3)는 탑 커버(C1), 볼류트 커버(volute cover, C2) 및 볼류트 바디(volute body, C3)로 구분되며, 물 유입구(113)는 탑 커버 측에 형성되어 있고, 물 유출구(114)는 볼류트 바디(C3) 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샤프트(101)와 볼류트 바디(C3) 간의 수밀을 위한 커버 실(115)로 마감되어 있다. 메인 샤프트(101)는, 케이싱부(C1, C2, C3)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여야 하므로, 베어링들(도 5의 B1, B2, B3)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케이싱부(C1, C2, C3)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부(C1, C2, C3)에서, 탑 커버(C1), 볼류트 커버(C2) 및 볼류트 바디(C3) 간의 결합 관계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n appearance of a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casing parts C1, C2, C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G. 4 is a view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viewed from the right side of FIG. 3, that is, the side of the top cover C1. 3 and 4,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includes a casing unit C1, C2, and C3, and a water inlet 113 (not sh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units C1, And a main shaft 101 mounted inside the casing units C1, C2, C3 so as to pass through the other end where the water outlet 114 is located. One end of the main shaft 101 is coupled to the top cover C1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haft 101 is provided with a pulley 112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through the belt have. 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C3 are divided into a top cover C1, a volute cover C2 and a volute body C3. The water inlet 113 is formed on the top cover side And the water outlet 1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lus body C3. And is covered with a cover chamber 115 for watertightness between the main shaft 101 and the bolus body C3. Since the main shaft 101 has to rotate in a state where 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C3 are fixed, the main shaft 101 can rotate independently by using bearings (B1, B2, B3 in Fig. 5) (C1, C2, C3).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op cover C1, the bolus cover C2 and the bolus body C3 in 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C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물 유입구(113) 내에 배치되어 기체(gas)를 물과 함께 유입시키기 위한 벤츄리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케이싱부(C1, C2, C3)의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메인 샤프트(101)에 의존하여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들((b)에 도시함)과 메인 샤프트(101)가 회전하더라도 메인 샤프트(101)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구성요소들((a)에 도시함)을 각각 구별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서 메인 샤프트(101)에 의존하여 메인 샤프트(101)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들(도 8의 (b))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클로즈드 임펠러(110)의 일 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 (a)는 도 11에서 B-B 단면으로서 물 유입구(113)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C-C 단면으로서, 터보 임펠러(103)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c)는 D-D 단면으로서, 미들 로터(105) 전단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d)는 E-E 단면으로서, 로우 스테이터(109)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e)는 F-F 단면으로서, 클로즈드 임펠러(110)와 볼류트 바디(C3)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nturi pipe for introducing gas into the casing parts C1, C2 to explain the flow of water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2, and C3.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shown in FIG. 9 (b)) and components (not shown) that are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101 even when the main shaft 101 rotates.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FIG. 8, Fig. 10 is a detailed view of an example of the closed impeller 110 in Fig. 9, and Figs. 11 and 12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components (Fig. 8 (b)) rotating together with the main shaft 101,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ortant part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inlet 113, Fig. 12 (b) is a cross section of the turbine impeller 103, (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 stator 109 as an EE section, and FIG. 10 (e) is a sectional view of the rotor 101, And the lute body (C3).

우선,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는, 케이싱부(C1, C2, C3), 메인 샤프트(101), 인듀서 임펠러(inducer impeller)(102), 터보 임펠러(turbo impeller)(103), 스테이터 베인(stator vanes)(104), 미들 로터(middle rotor)(105), 로우 로터(low rotor)(107), 및 클로즈드 임펠러(closed impeller)(110)를 포함한다. 또한, 미들 스테이터(middle stator)(106), 스페이스 스테이터(space stator)(108), 및 로우 스테이터(low stator)(109)를 포함한다.5 to 9, a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sing parts C1, C2 and C3, a main shaft 101, an inducer impeller 102, a turbo impeller, A rotor 103, stator vanes 104, a middle rotor 105, a low rotor 107, and a closed impeller 110. It also includes a middle stator 106, a space stator 108, and a low stator 109.

케이싱부(C1, C2, C3)는, 외측으로는 물 유입구(113)와 물 유출구(114)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메인 샤프트(101)에 고정되거나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물을 유입하여 나노 버블이 포함된 물 생성하여 수조(도 2의 300) 측으로 내보낼 수 있는 물의 유출 경로를 제공한다. 케이싱부(C1, C2, C3)는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탑 커버(C1), 볼류트 커버(C2), 및 볼류트 바디(C3)로 구분될 수 있다.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C3 are provided with a water inlet 113 and a water outlet 114 on the outside and various components fixed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01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provides a water out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300 in FIG. 2) by generating water containing nano bubbles. 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C3 may be divided into a top cover C1, a bolt cover C2, and a bolus body C3 as briefly described above.

탑 커버(C1)에는 물 유입구(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탑 커버(C1)의 내부에는 인듀서 임펠러(102)와 터보 임펠러(103)가 수용된다. 또한, 탑 커버(C1)는, 도 8에서 참조부호 121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C1)의 내측면에서부터 터보 임펠러(103)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터보 임펠러(103)의 회전시 터보 임펠러(103)와의 상호 작용으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의 2차 분쇄 작업이 더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돌기들(121)을 포함한다. 도 9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12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끝 부분으로 갈수록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터보 임펠러(103)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가 부딪치도록 하여 물속에 포함된 기포들의 2차 분쇄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A water inlet 113 is formed in the top cover C1 and an inducer impeller 102 and a turbo impeller 103 are accommodated in the top cover C1. The top cover C1 is formed so as to fa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cover C1 to the turbo impeller 103 side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1 in Fig. 8, so that when the turbo impeller 103 rotat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for allowing the second crushing operation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further promot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second crusher 103. As shown in FIGS. 9 and 12 (b),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are formed to have a certain length and to have a smaller width toward the end portion. Thus, the turbulent flow generated by the turbo impeller 103 is struck so that secondary pulverization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performed well.

볼류트 커버(C2)는 물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오링(R1)을 개재한 상태로 탑 커버(C1)와 결합되며, 내부에는 스테이터 베인(104), 미들 로터(105) 및 로우 로터(107)가 수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볼류트 커버(C2)의 내부에는 미들 스테이터(106), 스페이스 스테이터(108) 및 로우 스테이터(109)도 수용된다.The bolt cover C2 is coupled to the top cover C1 with the first O-ring R1 interposed therebetween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water. The stator vane 104, the middle rotor 105, (107). In addition, the middle stator 106, the space stator 108, and the low stator 109 ar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bolt cover C2.

볼류트 바디(C3)에는 물 유출구(114)가 형성되고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오링(R2)을 개재한 상태로 볼류트 커버(C2)와 결합되며,볼류트 바디(C3)의 내부에는 클로즈드 임펠러(110)가 수용된다. 탑 커버(C1), 볼류트 커버(C2) 및 볼류트 바디(C3) 간의 상호 결합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C1)와 볼류트 커버(C2) 간에는 서로의 일단이 맞닿도록 하고 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제1 오링(R1)을 개재한 상태로 스크류들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볼류트 커버(C2)와 볼류트 바디(C3) 간에는, 볼류트 커버(C2)의 일부분의 외부를 볼류트 바디(C3)가 덮도록 하고 그 사이에 제2 오링(R2)을 개재하여 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결합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water outlet 114 is formed in the volute body C3 and is coupled to the bolus cover C2 with the second O-ring R2 interposed therebetween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water. The closed impeller 110 is accommodated. Th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top cover C1, the bolus cover C2 and the bolus body C3 is such that one end of the top cover C1 and the bolus cover C2 are abutted with each other, The outside of a part of the bolus cover C2 can be seen between the bolt cover C2 and the bolus body C3 by using the screws through the first O- The lute body C3 may be covered and the water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second O-ring R2 therebetwe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케이싱부(C1, C2, C3)의 탑 커버(C1)에 형성된 물 유입구(113)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 관(1131, 1132)이 마련되어 나노 버블 형성을 위해 물과 함께 기체(gas)를 유입시킬 수 있다. 벤츄리 관의 특성에 따라, 물 통로(1131)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도 6의 화살표 방향) 압력 차이에 의해 기체 유입관(1132)으로 기체(gas)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물과 함께 유입되는 기체(gas)로는 산소나 활성 산소(OH 라디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수조(300) 내의 원수의 종류에 따라서 이물질의 부유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6, venturi pipes 1131 and 1132 are provided at the water inlet 113 formed in the top cover C1 of the casing units C1, C2, and C3, (gas) can b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nturi pipe, a gas can be injected into the gas inlet pipe 1132 by a pressure difference when water flows into the water passage 113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Oxygen or active oxygen (OH radical) may be used as the gas to be introduced together with wa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depending on the kind of raw water in the water tank 300, Various types of gases can be used.

메인 샤프트(101)는 케이싱부(C1, C2, C3) 내에서 물의 유출 경로를 따라 물 유입구(113)가 형성된 유입단에서 시작하여 물 유출구(114)가 형성된 유출단을 통과하도록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 샤프트(101)는 외부에 위치한 모터(도 2의 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여, 메인 샤프트(101)에 고정된 구성요소들을 회전시킨다. 메인 샤프트(101)의 회전에 따라 종속되어 회전하는 구성요소들은, 인듀서 임펠러(102), 터보 임펠러(103), 미들 로터(105), 로우 로터(107), 및 클로즈드 임펠러(110)이다. 그리고, 메인 샤프트(101)에 결합되지만 베어링들(B1, B2, B3)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된 구성요소들은, 탑 커버(C1), 스테이터 베인(104), 및 볼류트 바디(C3)이다. 그리고, 메인 샤프트(101)가 관통하며, 케이싱부(C1, C2, C3) 측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은, 미들 스테이터(106), 스페이스 스테이터(108), 및 로우 스테이터(109)이다.The main shaft 101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outflow end in which the water outlet 114 is formed, starting from the inlet end in which the water inlet 113 is formed along the outflow path of the water in the casing portions C1, do. The main shaft 101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ly located motor (200 of FIG. 2) and rotates to rotate the components fixed to the main shaft 101. The components that rotate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1 are an inducer impeller 102, a turbo impeller 103, a middle rotor 105, a low rotor 107, and a closed impeller 110. Th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01 but not rotated by the bearings B1, B2 and B3 are the top cover C1, the stator vane 104 and the bolus body C3. Components that are fixed to 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C3 through the main shaft 101 are the middle stator 106, the space stator 108, and the low stator 109.

또한, 메인 샤프트(101)에는 모터(도 2의 200)로부터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기 위해 풀리(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는, 메인 샤프트(101)가 케이싱부(C1, C2, C3)의 외부로 빠져나와 있으므로, 메인 샤프트(101)와 케이싱부(C1, C2, C3), 특히 볼류트 바디(C3)와의 수밀을 위해, 메커니컬 실(mechanical seal)(111)과 커버 실(cover seal)(115)을 더 포함한다.The main shaft 101 is provided with a pulley 112 for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200 in FIG. 2) through a belt and performing rotational motion.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shaft 101 and the casing portions C1, C2, C3, and C3 are out of the casing portions C1, C2, And further includes a mechanical seal 111 and a cover seal 115 for water tightness with the bolt body C3.

인듀서 임펠러(102)는, 메인 샤프트(101)에 고정되어 메인 샤프트(10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이다. 인듀서 임펠러(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날개가 형성되어 있어 물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회전시켜 와류를 발생시키며, 이와 동시에 물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1차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물 유입단에서 기체와 함께 들어오는 경우에 흔히 발생하는 에어 포켓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나선형으로 형성된 인듀서 임펠러(102)의 날개를 통해 강한 와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어 포켓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인듀서 임펠러(102)의 회전 날개에 의한 와류 발생은 급격한 압력차로 인해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손상(cavitation damage)도 억제하여 인듀서 임펠러(102)의 회전 날개의 손상도 줄일 수 있다.The inducer impeller 102 is a component that is fixed to the main shaft 101 and rotates together as the main shaft 101 rotates.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ducer impeller 102 is formed in a spiral shape so that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inlet 113 is rotated to generate a vortex, and at the same tim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113 through the water inlet 113 It serves to first crush the contained bubbles. In addition, as mentioned briefly abov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ir pockets, which often occurs when the gas enters the water inflow end. That is, generation of air pockets can be suppressed because strong vortex is generated through the wings of the helical inducer impeller 102.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vortex due to the rotating blades of the helical formed inducer impeller 102 also reduces cavitation damage caused by a sudden pressure difference, thereby reducing damage to the rotating blades of the inducer impeller 102 .

터보 임펠러(103)는, 인듀서 임펠러(102)의 후단에 위치하며, 메인 샤프트(10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인듀서 임펠러(103)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의 세기를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동시에 인듀서 임펠러(102)에 의해 1차 분쇄되어 물속에 혼합되어 있는 기포들을 2차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인듀서 임펠러(102)에 의해 1차 분쇄된 이후의 기포들에 비해, 터보 임펠러(103)에 의해 2차 분쇄된 기포들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터보 임펠러(103)의 날개들은 도 8 또는 도 9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레이트 상에 복수 개의 날개들이 경사지게 돌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기포들의 2차 분쇄를 촉진시키기 위해, 터보 임펠러(103)의 후단에 위치하는 스테이터 베인(104)과, 터보 임펠러(103)의 주위, 즉 탑 커버(C1)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들(121)이 배치되는데, 터보 임펠러(103)는 이러한 스테이터 베인(104)과 복수 개의 돌기들(121)과의 공동 작용에 의해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더욱 잘게 분쇄하게 된다.The turbo impeller 103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inducer impeller 102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1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generated by the inducer impeller 103 do. At the same time, it serves to crush the bubbles firstly pulverized by the inducer impeller 102 and mixed in the water. The size of the bubbles secondarily crushed by the turbo impeller 103 becomes smaller than the bubbles after the primary crushing by the inducer impeller 102. The wings of the turbo impeller 103 are formed by turning a plurality of blades on one plate, as shown in FIG. 8 or 9,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8 or 9. A plurality of stator vanes 104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turbo impeller 103 and a plurality of stator vanes 104 formed around the turbo impeller 103,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cover C1, The turbine impeller 103 breaks up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finely by the action of the stator vane 104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

미들 로터(105)는, 터보 임펠러(103)의 후단에 위치하여, 메인 샤프트(10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더욱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3차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The middle rotor 105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turbo impeller 103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1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nd to crush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for the third time .

로우 로터(107)는 미들 로터(105)의 후단에서 메인 샤프트(10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4차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미들 로터(105)와 로우 로터(107)는 복수 개의 날개들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날개들 각각은 메인 샤프트(101)의 종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시 물 유출구(114)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강하게 발생하도록 한다.The low rotor 107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1 at the rear end of the middle rotor 105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nd to crush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for the fourth time. The middle rotor 105 and the low rotor 107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1, ) Direction of the water flow.

클로즈드 임펠러(110)는 로우 로터(107)의 후단에서 메인 샤프트(10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로우 로터(107)에 의해 4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최종적으로 물 유출구(114) 측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클로즈드 임펠러(110)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부(1104), 개구부(110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들(1103), 회전 날개들(1103)에 의해 회전되는 물을 물 유출구(114) 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측면 통로들(110)을 포함한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 임펠러(110)에서 물이 유입되는 방향(f1)은 개구부(1104)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반대 방향(f2)은 메인 샤프트(101)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막혀 있는 형태이다.The closed impeller 11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shaft 101 at the rear end of the low rotor 107 to finally supply the water containing the bubbles fourtharily crushed by the low rotor 107 to the water outlet 114. [ As shown in FIG. 10, the closed impeller 110 includes an opening 1104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inside thereof,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03 for rot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1104, And side passages 110 for discharging the water rotated by the wings 1103 toward the water outlet 114 side. 10, the opening 1104 is formed in the direction f1 in which the water flows in the closed impeller 110, but the opposite direction f2 does not include the portion coupled to the main shaft 101 It is a form that is blocked.

그리고, 클로즈드 임펠러(110)와 볼류트 바디(C3) 간의 결합 관계는 도 11과 도 12에서 F-F 단면(도 12의 (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로즈드 임펠러(110)의 측면 통로들(110)에 의해 나오는 물이 회전하면서 볼류트 바디(C3) 내에 형성된 나선형 유로(131)를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물 유출구(114) 측으로 내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클로즈드 임펠러(110)는 물 유출구(114)를 통해 나노 버블들이 포함된 물이 수조 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강한 원심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11 and 12,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losed impeller 110 and the bolus body C3 is determined by the side passages (not shown) of the closed impeller 11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110 moves along the spiral flow path 131 formed in the volute body C3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114 side. Therefore, the closed impeller 110 functions to provide a strong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water containing the nano bubbl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water outlet 114.

또한, 상기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는 메인 샤프트(10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성요소들인, 인듀서 임펠러(102), 터보 임펠러(103), 미들 로터(105), 로우 로터(107), 및 클로즈드 임펠러(110)에 의한 기포 분쇄를 촉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로서, 스테이터 베인(104), 미들 스테이터(106), 로우 스테이터(109), 및 스페이스 스테이터(108)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includes an inducer impeller 102, a turbo impeller 103, a middle rotor 105, a low rotor 107, which are fixed to the main shaft 101 and rotate together. And a stator vane 104, a middle stator 106, a low stator 109, and a space stator 108 as components for promoting the bubble breakage by the closed impeller 110. [ Thes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8. Fig.

먼저, 스테이터 베인(104)은 터보 임펠러(103)의 후단에 배치되어, 터보 임펠러(103)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이 발생하도록 하여, 터보 임펠러(103)에 의한 기포의 2차 분쇄를 촉진시키며, 2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 베인(104)은 둘레에 물레방아 같은 형태로 복수 개의 마찰 플레이트들(1041)이 배치되며, 마찰 플레이트들(1041) 사이 사이로 2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이 진행될 수 있도록 통로들(10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포의 2차 분쇄에는 터보 임펠러(103), 스테이터 베인(104), 탑 커버(C1)의 내측에 위치한 복수 개의 돌기들(121)이 서로 공동으로 작용하게 된다. 와류의 세기면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들(121)과 스테이터 베인(104)가 저항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들로 인해 와류의 세기가 약간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후단의 미들 로터(105), 로우 로터(107) 등의 구성요소들에 의해서 다시 보상될 수 있다.First, the stator vane 104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turbo impeller 103 so as to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against water rotating by the turbo impeller 103, and thereby the secondary pulverization of the bubbles by the turbo impeller 103 And passes water containing secondary crushed bubbles. As shown in Fig. 8, the stator vane 10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iction plates 1041 in the form of a spinning wheel around the stator vane 104, and a water containing secondarily crushed bubbles between the friction plates 1041 Passages 1042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proceed. Therefore, the turbo impeller 103, the stator vane 104,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located inside the top cover C1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ary pulverization of the bubbles. Since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121 and the stator vanes 104 serve as resistance elements in the vortex intensity direction, the strength of the vortex can be slightly reduced due to these configurations. This is because the middle rotor 105, The low rotor 107 and the like.

미들 스테이터(106)는, 미들 로터(105)와 로우 로터(107) 사이에 위치하고, 미들 로터(105)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미들 로터(105)에 의한 기포의 3차 분쇄를 더욱 촉진하고, 3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후단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들 스테이터(106)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통로들(1061)이 형성되어 있다.The middle stator 106 is located between the middle rotor 105 and the low rotor 107 and provides a frictional resistance against water rotating by the middle rotor 105, Further promoting the pulverization of the tea, and passing the water including the third-order pulverized bubbles to the rear end. In the middle stator 106, a plurality of passages 1061 are formed radially as shown in Fig.

로우 스테이터(109)는, 로우 로터(107)와 클로즈드 임펠러(110) 사이에 위치하고, 로우 로터(107)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로우 로터(107)에 의한 기포의 4차 분쇄를 더욱 촉진시키고, 3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후단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ow stator 109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 rotor 107 and the closed impeller 110 and provides a frictional resistance against water rotating by the low rotor 107 so that the fourth rotor of the low rotor 107 Further promoting the pulverization, and passing the water containing the third pulverized bubble to the rear end.

스페이서 스테이터(108)는, 미들 스테이터(106)와 로우 스테이터(109) 사이에 위치하면서 로우 로터(107)의 외곽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스페이서 스테이터(108)의 내측면에는, 로우 로터(107)에 의한 기포의 4차 분쇄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요철 패턴(1081)이 형성되어 있다.The spacer stator 108 is disposed outside the low rotor 107 between the middle stator 106 and the low stator 109. A concavo-convex pattern 1081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r stator 108 to further promote fourth-order pulverization of the bubbles by the low rotor 107.

본 명세서 내에서 기포의 1차 분쇄, 2차 분쇄, 3차 분쇄, 및 4차 분쇄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의한 분쇄 과정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서 사용된 것으로서, 분쇄 이후의 기포의 크기 순서도 그에 따라서 대체로 1차 분쇄>2차 분쇄>3차 분쇄>4차 분쇄 순서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imary pulverization, secondary pulverization, tertiary pulverization and quaternary pulverization of bubbles are used as terms for distinguishing the pulverization process by the respective components, Thus, in general, it may be in the order of primary grinding> secondary grinding> tertiary grinding> fourth grinding.

도 9에서 미 설명된 참조부호 122는 탑 커버(C1)의 고정을 위한 탑 커버 고정부(122)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 고정부(122)와 메인 샤프트(101) 사이에 제1 베어링(B1)이 개재되어 있어 탑 커버(C1) 내에서 메인 샤프트(1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 123은 스테이터 베인(104)의 고정을 위한 스테이터 베인 고정부(122)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 베인(104)와 메인 샤프트(101) 사이에 제2 베어링(B2)이 개재되어 스테이터 베인(104) 내에서 메인 샤프트(1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 124는 볼류트 바디(C3)의 고정을 위한 볼류트 바디 고정부(124)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바디(C3)와 메인 샤프트(101) 사이에 제3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어 볼류트 바디(C3) 내에서 메인 샤프트(10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22, which is not shown in FIG. 9, is a top cover fixing portion 122 for fixing the top cover C1, as shown in FIG. 5, between the top cover fixing portion 122 and the main shaft 101 The first bearing B1 is interposed and the main shaft 101 can rotate within the top cover C1. Reference numeral 123 denotes a stator vane fixing portion 122 for fixing the stator vane 104. The stator vane fixing portion 122 includes a second bearing B2 between the stator vane 104 and the main shaft 101, So that the main shaft 101 can be rotated in the stator vane 104. [ Reference numeral 124 denotes a bolus body fixing portion 124 for fixing the bolus body C3. The bolus body fixing portion 124 is provided between the bolus body C3 and the main shaft 101, So that the main shaft 101 can rotate within the volute body C3.

마지막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의 버블 발생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원심 펌프를 이용한 버블 발생 장치의 입자 분포(적색, G2)와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의 입자 분포(청색, G1)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시 펌프를 이용한 버블 발생 장치에서 생성되는 버블의 직경 분포에 비해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버블의 직경은 매우 작고 입자 크기도 대체로 균일한 분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1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particle distribution (red, G2) of the bubble generator using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pump and the nano bubble generation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particle distribution (blue, G1) of the device. As shown in FIG. 13, the diameter of the bubble generated by the nano bubble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mall and the particle siz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bubble generated by the conventional bubble generator using the source pump. It can be seen that the distribution is uniform.

이상에서, 본 발명의 나노 버블 발생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기초하여 다른 변형 예들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rive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descrip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100 : 나노 버블 발생 장치
101 : 메인 샤프트 102 : 인듀서 임펠러
103 : 터보 임펠러 104 : 스테이터 베인
105 : 미들 로터 106 : 미들 스테이터
107 : 로우 로터 108 : 스페이스 스테이터;
109 : 로우 스테이터 110 : 클로즈드 임펠러
111 : 메커니컬 실 112 : 풀리
113 : 물 유입구 114 : 물 유출구
115 : 커버 실 C1 : 탑 커버
C2 : 볼류트 커버 C3 : 볼류트 바디
100: Nano bubble generator
101: main shaft 102: inducer impeller
103: Turbo impeller 104: Stator vane
105: Middle rotor 106: Middle stator
107: low rotor 108: space stator;
109: Low stator 110: Closed impeller
111: mechanical chamber 112: pulley
113: Water inlet 114: Water outlet
115: Cover Room C1: Top Cover
C2: Volute cover C3: Volute body

Claims (5)

물 유입구(113)와 물 유출구(114)가 형성된, 케이싱부(C1, C2, C3);
상기 케이싱부 내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메인 샤프트(101);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1차 분쇄하는 인듀서 임펠러(102);
상기 인듀서 임펠러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2차 분쇄하는 터보 임펠러(103);
상기 터보 임펠러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3차 분쇄하는 미들 로터(105);
상기 미들 로터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와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을 4차 분쇄하는 로우 로터(107);
상기 로우 로터의 후단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해 4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물 유출구 측으로 내보내는 클로즈드 임펠러(110);
상기 터보 임펠러의 후단에서 상기 터보 임펠러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터보 임펠러에 의한 상기 2차 분쇄를 촉진하며, 상기 2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스테이터 베인(104);
상기 미들 로터와 상기 로우 로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미들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미들 로터에 의한 상기 3차 분쇄를 촉진하며, 상기 3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미들 스테이터(106);
상기 로우 로터와 상기 클로즈드 임펠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물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한 상기 4차 분쇄를 촉진하며, 상기 4차 분쇄된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로우 스테이터(109); 및
상기 미들 스테이터와 상기 로우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우 로터(107)의 외곽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우 로터에 의한 상기 4차 분쇄를 촉진하기 위해 내측면에 요철 패턴(1081)이 형성된, 스페이서 스테이터(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버블 발생 장치.
A casing portion (C1, C2, C3) having a water inlet (113) and a water outlet (114);
A main shaft (101)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ing portion and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 inducer impeller (102) for first crush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while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shaft to generate a vortex;
A turbo impeller (103) for secondarily crushing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inducer impell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 middle rotor 105 for crushing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at the rear end of the turbo impell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 lower rotor (107) for crushing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in the fourth stage while rotating the main shaft at the rear end of the middle roto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ortex;
A closed impeller 110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ain shaft at a rear end of the low rotor and discharges water containing bubbles fourtharily crushed by the low rotor to the water outlet side;
And a stator vane for passing water including the secondary pulverized bubbles through the turbo impeller, wherein the turbo impeller is provided at its rear end with frictional resistance against water rotating by the turbo impeller to promote the secondary pulverization by the turbo impeller, (104);
A middle rotor disposed between the middle rotor and the low rotor and providing frictional resistance to water rotating by the middle rotor to promote the third milling by the middle rotor, A middle stator 106 for passing therethrough;
Wherein the low rotor is disposed between the low rotor and the closed impeller and provides frictional resistance to water rotating by the low rotor to promote the fourth order pulverization by the low rotor, A low stator 109 for passing therethrough; And
A spacer stator (1081) disposed between the middle stator and the low stator and disposed outside the low rotor (107) and having a concavo-convex pattern (1081)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for promoting the fourth- 108). ≪ / RTI >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C1, C2, C3)는,
상기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인듀서 임펠러와 상기 터보 임펠러를 수용하는, 탑 커버(C1)와,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오링(R1)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탑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 베인, 상기 미들 로터 및 상기 로우 로터를 수용하는, 볼류트 커버(C2)와,
상기 물 유출구가 형성되고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오링(R2)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볼류트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클로즈드 임펠러를 수용하는, 볼류트 바디(C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버블 발생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ing portions (C1, C2, C3)
A top cover C1 formed with the water inlet and receiving the inducer impeller and the turbo impeller therein,
A bolt cover C2 coupled to the top cover with a first O-ring R1 interposed therebetween to receive the stator vane, the middle rotor, and the low rotor to prevent leakage of water,
And a volute body (C3) coupled to said volute cover and receiving said closed impeller with a second O-ring (R2)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said water outlet and prevent water leakage. , A nano bubble genera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C1)는,
상기 탑 커버의 내측면에서부터 상기 터보 임펠러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보 임펠러의 회전시 상기 터보 임펠러와의 상호 작용으로 물 내에 포함된 기포들의 상기 2차 분쇄를 촉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들(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버블 발생 장치.
4. The top cover (C1) according to claim 3,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cover toward the turbo impeller and to facilitate the secondary pulverization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by interaction with the turbo impeller when the turbo impeller rotates, 121).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드 임펠러(110)는,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부(1104)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회전 날개들(1103)과, 상기 회전 날개들에 의해 회전되는 물을 상기 물 유출구(114) 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측면 통로들(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버블 발생 장치.
The turbine of claim 1, wherein the closed impeller (110)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03 for rotat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s 1104 and a water outlet 1104 for rotating the water rotated by the rotating blades, And side passages (110) for discharging the nano bubble to the side of the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KR1020160128127A 2016-10-05 2016-10-05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KR101708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127A KR101708597B1 (en) 2016-10-05 2016-10-05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127A KR101708597B1 (en) 2016-10-05 2016-10-05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597B1 true KR101708597B1 (en) 2017-02-22

Family

ID=5831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127A KR101708597B1 (en) 2016-10-05 2016-10-05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597B1 (en)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026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32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30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29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80108027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28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8031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CN109529651A (en) * 2018-12-06 2019-03-29 上海中兴科源环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icro-nano bubble water generator
CN109626525A (en) * 2018-12-27 2019-04-16 广州雪利昂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treating water based on micro-nano bubbler techniques in agricultural breeding
KR20190113458A (en)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90113459A (en)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90113457A (en)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200007328A (en) * 2018-07-12 2020-01-22 지현숙 Nano bubble generator
KR102093837B1 (en) * 2019-10-29 2020-03-27 전경중 Nano-bubble generating and gas-liquid mixing apparatus
CN111024366A (en) * 2019-12-24 2020-04-17 浙江水利水电学院 Integrated test device of high-speed inducer cavitation mechanism under low-temperature environment
CN113731205A (en) * 2021-09-22 2021-12-03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nano bubble generating method
CN113828233A (en) * 2021-10-21 2021-12-24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Multistage nan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nano-bubble generating method
CN115364741A (en) * 2022-09-17 2022-11-22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Pipeline type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nano bubble generating method
KR102564799B1 (en) * 2022-06-14 2023-08-09 씨제이제일제당 (주)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fermentation tank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600A (en) * 2007-08-06 2009-02-26 Reo Laboratory Co Ltd Ultra-fine bubble production device
KR20100045422A (en) * 2010-03-30 2010-05-03 한국에너지기술(주) Micro bubble equipment using multistage pump
KR101125851B1 (en) 2011-12-14 2012-03-28 주식회사 오투 Nan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1379239B1 (en) 2013-09-23 2014-03-28 주식회사 에스엠티솔루션 Nano bubble gen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600A (en) * 2007-08-06 2009-02-26 Reo Laboratory Co Ltd Ultra-fine bubble production device
KR20100045422A (en) * 2010-03-30 2010-05-03 한국에너지기술(주) Micro bubble equipment using multistage pump
KR101125851B1 (en) 2011-12-14 2012-03-28 주식회사 오투 Nan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1379239B1 (en) 2013-09-23 2014-03-28 주식회사 에스엠티솔루션 Nano bubble generating system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026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32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30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29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80108027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80108028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8031A (en) 2017-03-23 2018-10-04 주식회사 대우전자 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KR20190113459A (en)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90113458A (en)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190113457A (en)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Washing machine and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KR20200007328A (en) * 2018-07-12 2020-01-22 지현숙 Nano bubble generator
KR102195918B1 (en) 2018-07-12 2020-12-29 지현숙 Nano bubble generator
CN109529651B (en) * 2018-12-06 2024-02-23 上海中兴科源环保科技有限公司 Micro-nano bubble water generator
CN109529651A (en) * 2018-12-06 2019-03-29 上海中兴科源环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icro-nano bubble water generator
CN109626525A (en) * 2018-12-27 2019-04-16 广州雪利昂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treating water based on micro-nano bubbler techniques in agricultural breeding
KR102093837B1 (en) * 2019-10-29 2020-03-27 전경중 Nano-bubble generating and gas-liquid mixing apparatus
CN111024366A (en) * 2019-12-24 2020-04-17 浙江水利水电学院 Integrated test device of high-speed inducer cavitation mechanism under low-temperature environment
CN113731205B (en) * 2021-09-22 2024-01-02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Nanometer bubble generation device and nanometer bubble generation method
CN113731205A (en) * 2021-09-22 2021-12-03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nano bubble generating method
CN113828233A (en) * 2021-10-21 2021-12-24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Multistage nan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nano-bubble generating method
KR102564799B1 (en) * 2022-06-14 2023-08-09 씨제이제일제당 (주)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fermentation tank including the same
WO2023243912A1 (en) * 2022-06-14 2023-12-21 씨제이제일제당 (주)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fermentation tank including same
CN115364741A (en) * 2022-09-17 2022-11-22 浙江西菱股份有限公司 Pipeline type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nano bubble generat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597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buble
KR102093837B1 (en) Nano-bubble generating and gas-liquid mixing apparatus
KR101367695B1 (en) Micro-bubble generator using multistage pump
KR101829732B1 (en) Nano micro bubble generator
CA3157661C (en) Nanobubble generation system using friction
JP2009160576A (en) Fine air bubble generator
JP201024056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bubble dispersed water
CN111565829B (en) Nanometer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KR101947084B1 (en) Nano-micro bubble generator and gas mixed nano-micro bubble gen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CN110891674A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microbubble generating method, and shower apparatus and oil-water sepa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972136B1 (en) Centrifugal liquid pump with internal gas injection
KR20210087699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avitation
KR101874897B1 (en) swirl type micro buble generating device
KR100854687B1 (en) Micro bubble system
CN110465215A (en) A kind of micro-nano bubble generator
KR102130543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 bubble
KR102195918B1 (en) Nano bubble generator
JP2011052639A (en) Fluid dispersion pump
CA2937398C (en) Cavitation device
KR20210115939A (en) The micro-bubble creating device
ES2939761T3 (en) vortex generating apparatus
KR20190070133A (en) Micro bubble generator
US11781519B2 (en) Air injection device for hydraulic turbine
US11261870B2 (en) Pump casing with adaptive primer and impeller
CN107061374A (en) Multinomial fluid blending transportation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