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933A -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 Google Patents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933A
KR20180107933A KR1020170036879A KR20170036879A KR20180107933A KR 20180107933 A KR20180107933 A KR 20180107933A KR 1020170036879 A KR1020170036879 A KR 1020170036879A KR 20170036879 A KR20170036879 A KR 20170036879A KR 20180107933 A KR20180107933 A KR 20180107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housing body
species
soun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559B1 (ko
Inventor
황병길
Original Assignee
황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길 filed Critical 황병길
Priority to KR102017003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어구는 빛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빛 또는 소리를 추종하여 모여드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을 유인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가 구비된 어류유인부; 해저에 위치되는 앵커;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류유인부와 상기 앵커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류유인부가 물 속에서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로프; 상기 로프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로 모여드는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하여 모여드는 2차 어종이 걸려 포획되는 그물부재를 구비한 포획어구; 상기 그물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어종을 유인하도록 냄새를 발생시키는 냄새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Description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FISHING TOOL USING FISH ATTRACTING FUNCTION AND EATING HABIT OF FISH }
본 발명은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 또는 소리를 선호하는 군집성을 갖는 1차 어종을 유인한 후, 살아 움직이는 1차 어종에 기민한 반응을 보이며 1차 어종을 먹이로 사냥하는 2차 포식 어종을 포획하도록 하는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의 어류는 눈으로 먹이를 포착하거나 소리로 먹이를 찾거나 냄새로 먹이를 구하는 먹이습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어류 중에서 약하고 작은 무리일수록 군집성을 이루어 포식자들에게 크고 강하게 보이기 위하여 활발하게 움직이는 자기생존 생태습성을 가지고 있다.
어류는 시력이 좋지 않아 군집성 어류들은 군집상태를 이루어 포식어종들에게 큰 어류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자신들을 보호하고 있으며, 포식어종들은 군집성 어류들 중에서 군집에서 이탈한 어류들을 사냥하여 잡아먹을 수 있도록 군집성 어류 부근을 따라다니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어류들을 포획하기 위하여 포획어구 안에 냄새나는 미끼를 설치하든지 어류가 지나다니는 길목을 차단하여 포획어구로 들어오게 하는 단순 유인방식을 통해 어류들을 포획하는 방식으로 포획이 효율적이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59958 등록특허 10-0424093 등록특허 10-1204511 등록특허 10-1561057
본 발명은 상기한 언급한 먹이로 유인하거나 길목을 차단하거나 하는 단순한 기존 포획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어류의 먹이습성을 이용하여 새롭게 창안된 포획어구로서, 소리 또는 빛을 통해 군집성을 갖는 1차 어종을 유인한 후, 1차 어종을 먹이로 사냥하는 2차 포식어종이 모여들도록 하여 2차 포식어종을 포획하도록 하는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는 빛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빛 또는 소리를 추종하여 모여드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을 유인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가 구비된 어류유인부; 해저에 위치되는 앵커;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류유인부와 상기 앵커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류유인부가 물 속에서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로프; 상기 로프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로 모여드는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하여 모여드는 2차 어종이 걸려 포획되는 그물부재를 구비한 포획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류유인부는,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구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에 상기 부력체가 설치되어 물속에서 떠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에 매달려 상기 하우징몸체의 부유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같이 움직이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방울부재;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빛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통공을 통해 빛을 상기 하우징몸체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류유인부는,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구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에 상기 부력체가 설치되어 물속에서 떠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에 매달려 상기 하우징몸체의 부유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같이 움직이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방울부재;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몸체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하우징몸체에 부딪치면서 소리가 발생되게 하는 소리발생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부재는 중심부가 상기 로프의 소정높이에 고정되고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포획어구는, 상기 그물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줄부재; 상기 줄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해저에 위치시키는 제2앵커; 상기 그물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2부력체; 및, 상기 그물부재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 측에 모여든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드는 상기 2차 어종들이 상기 포획어구 측으로 더 강하게 이끌리도록 냄새를 발생시키는 냄새발생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냄새발생부는, 메쉬 재질의 통형태로 이루어지는 냄새발생통; 상기 냄새발생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2차 어종들을 유인하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냄새발생물질; 상기 냄새발생통을 상기 포획어구에 매달아주는 끈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나 상기 방울부재는 야광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표면에 야광물질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어구는 빛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빛 또는 소리를 추종하여 모여드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을 유인하며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어류유인부; 해저에 놓이는 한 쌍의 앵커; 상기 한 쌍의 어류유인부와 상기 한 쌍의 앵커를 상호 각각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어류유인부를 해수중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로프;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로프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로 모여드는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하여 모여드는 2차 어종이 걸려 포획되는 수직형태로 배치된 그물부재를 구비한 포획어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기존의 포획어구들은 어류들을 냄새나는 미끼를 포획어구안에 설치하든지 어류가 지나다니는 길목을 차단하여 포획어구로 들어오게 하는 단순 유인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은 어류의 다양한 먹이습성을 이용하여 군집성 1차 어종을 모이게 하고, 이 1차 어종을 사냥하기 위해 모이는 포식성 2차 어종들을 자연스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므로 효율적인 포획이 이루어져 포획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어류포획용 어구는 먹이사슬의 원리로 어류유입부로 모여든 1차 어종을 사냥하기 위해서 모여든 2차 어종들을 냄새로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으로서, 어류의 종류에 따른 포획어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대형 2차 어종을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뿐만 아니라 빛을 추종하는 다양한 군집성 1차 어종을 모이게 함으로써, 다양한 군집성 1차 어종을 사냥하도록 모이는 2차 어종을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류포획용 어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어류유인부를 확대하고, 하우징몸체를 분해한 상태이며, 하우징몸체에 수용되는 발광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그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냄새발생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어류유인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어류유인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류포획용 어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구는 빛 또는 소리를 통해 군집성을 갖는 1차 어종을 유인한 후, 1차 어종을 먹이로 사냥하는 2차 포식 어종을 포획하도록 하는 어류 먹이습성(먹이사슬습성)을 이용하는 어류포획용 어구이다.
본 발명의 어구는 어류유인부(10), 로프(20), 앵커(23), 포획어구(30)로 구성된다.
어류유인부(10)는 빛 또는 소리를 통해 군집성을 갖는 1차 어종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속 즉 해수 중에 부유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어류유인부(10)는 하우징몸체(11), 방울부재(14), 발광체(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몸체(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반으로 나누어져 제1반구체(11a)와 제2반구체(11b)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반구체(11a) 및 제2반구체(11b)에는 암나사산(13a)과 수나사산(13b)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반구체(11a)와 제2반구체(11b)에는 각각 복수의 통공(12)들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몸체(11)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표면 하부에는 부력체(15)가 고정설되어, 부력체(15)의 부력에 의해 하우징몸체(11)가 수중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체(15)는 스티로폼이나 튜브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몸체(11)의 하부 즉, 부력체(15)의 하단에는 소정길이의 로프(20)가 설치되고, 이 로프(20)의 하단에는 앵커(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프(20)의 길이는 해저에서 수표면 까지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하우징몸체(11)는 물위로 떠오르지 않고, 물속 즉, 해수중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앵커(23)는 스톡앵커, 편갈고랑이 앵커 등의 전형적인 앵커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자연석이나 인공적으로 제작된 시멘트블록으로 이루어진 앵커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고, 톤백앵커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앵커(23)는 로프(20)를 통해 매달린 하우징몸체(11)의 부유영역을 제한하도록 해저상에 위치고정되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울부재(14)는 속이 비어 있고 갈라진 틈이 있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구와, 이 구 안에 작은 금속 등의 알갱이 구슬이 들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흔들면 소리가 발생되는 기구이다. 본 발명에서 방울부재(14)는 연결끈(14a)을 통해 하우징몸체(11)에 매달린 형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물속에서 나풀거리면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방울부재(14)는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연결끈(14A)에는 다수의 방울부재(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어종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방울부재(14)는 야광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야광물질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체(16)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수중램프로 구성되고,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발산되는 빛은 하우징몸체(11)의 통공(12)을 통해 하우징몸체(11)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된다.
발광체(16)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램프케이싱(16a)에 LED(16b)가 설치되고, 램프케이싱(16a)의 내부에는 LED(16b)를 구동하기 위한 LED구동회로(16c)와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6d)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발광체(16)는 LED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구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수중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몸체(11)가 물속에 떠있는 상태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흔들거리게 되면, 이 경우, 방울부재(14)들이 나풀거리면서 소리를 발생시키고, 발광체(16)에서 발생된 빛이 하우징몸체(11) 외부로 발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리를 추종하거나 빛을 추종하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S1)이 어류유인부(10) 근접에 모이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우징몸체(11)는 재질 자체가 야광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하우징몸체(11)의 외표면에 야광물질이 코팅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빛을 추종하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S1)이 어류유인부(10)에 더 용이하게 모일 수 있게 된다.
포획어구(30)는 어류유인부(10)로 모여드는 상기 1차 어종(S1)을 포식하기 위하여 모여드는 2차 어종(S2)을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물부재(31), 줄부재(41), 제2앵커(43), 제2부력체(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물부재(31)는 중심부가 로프(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앵커(23)와 어류유인부(10)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그물부재(31)와 로프(20)는 철사나 클램프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그물부재(31)는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물부재(31)가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줄부재(41), 제2앵커(43), 제2부력체(45)의 수단이 적용된다.
줄부재(41)는 그물부재(31)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4에서 줄부재(41)는 그물부재(31)의 테두리 중 모서리에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물부재(31)의 측면을 따라서도 줄부재(41)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앵커(43)는 줄부재(41)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물부재(31)에 연결된 각 줄부재(41)의 하단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부력체(45)는 스치로폼이나 튜브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물부재(31)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줄(46)을 통해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2부력체(45)는 연결줄(46)에 의해 그물부재(31)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부력체(45)가 직접 그물부재(31)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물부재(31)의 테두리는 제2부력체(45)에 의해 떠오려는 힘이 발생하고, 제2앵커(43)와 연결된 줄부재(41)에 의해 높이가 제한됨으로써, 그물부재(31)가 수평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어류유인부(10)에서 발생되는 빛 또는 소리에 의해 군집성 1차 어종(S1)들이 어류유인부(10)로 모여들게 되며, 군집성 1차 어종(S1)을 사냥하기 위해서는 모여드는 포식성 2차 어종(S2)이 그물부재(31)의 그물코여 걸려 포획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로프(20) 상에 그물부재(31)를 수평되게 펼쳐지는 형태로 설치하여 어류유인부(10)에 모여든 1차 어종(S1)을 사냥하기 위해 모여드는 포식성 2차 어종(S2)을 포획하는 구성이었으나, 그물부재(3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과 같이 통발(60)이 통발줄(61)에 의해 로프(2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통발, 포위망, 함정망, 자망, 삼마이, 정치망, 유자망, 안강망, 낭장망, 들망, 닻자망 등등의 여러 형태의 그물로 구성되어 로프(20)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의 포획어구들은 냄새나는 미끼를 포획어구안에 설치하든지 어류가 지나다니는 길목을 차단하여 포획어구로 들어오게 하는 단순한 유인방식으로 포획하였으나, 본 발명은 어류유인부(10)를 통해 군집성 1차 어종(S1)을 유인하여 모이게 한 후, 이 군집성 1차 어종(S1)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든 2차 포식어종(S2)을 다양한 형태의 그물부재(31)로 포획하는 방식으로서, 어류의 다양한 먹이습성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2차 포식어종(S2)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획어구(30)는 그물부재(31)에 설치되는 복수의 냄새발생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냄새발생부(50)는 냄새발생통(51), 냄새발생물질(54), 끈부재(55)로 구성될 수 있다.
냄새발생통(51)은 다수의 구멍(52)이 형성된 메쉬재질의 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분리결합가능한 뚜껑(53)이 마련되어 있다.
냄새발생물질(54)은 포획할 2차 어종(S2)의 먹이용 생선미끼나 된장 등의 미끼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냄새발생통(5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끈부재(55)는 뚜껑(53)에 고정설치된 것으로서, 냄새발생통(51)을 그물부재(31)에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 냄새발생통(51)은 끈부재(55) 없이 그물부재(31)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그물부재(31)가 자루타입의 그물망 형태일 경우, 냄새발생부(50)는 그물부재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냄새발생부(50)가 그물부재(31)에 설치된 경우, 냄새발생통(51)의 구멍(52)들을 통해 2차 어종(S2)에 대한 미끼 냄새가 물속에 퍼지게 된다. 2차 어종(S2)들은 어류유인부(10)에 모여든 1차 어종(S1)을 포식하기 위하여 1차 어종(S1) 주위로 모여들었다가 냄새발생부(50)에서 풍기는 미끼 냄새를 통해 그물부재(31) 측으로 유인되어 2차 어종(S2)이 그물부재(31)에 더욱 효과적으로 포획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빛이 없는 야밤이나 심해에서는 야광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몸체(11) 또는 발광체(16)의 빛으로 1차 어종을 유인하여, 그물형태의 포획어구(30)를 통해 2차 포식어종을 포획하며, 냄새에 민감한 심해어종, 기민하지 못한 갑각류, 움직이지 않는 먹이에 관심을 가지는 심해어종 갑각류 어류에게는 그물부재(31)에 설치된 냄새발생부(50)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통해 유인하여 그물부재(31)에 포획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어구이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어류유인부(10)는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 발광체(16)가 수용되는 것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류유입부(10)는 도 6과 같이,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 쇠구슬과 같은 볼형태의 소리발생부재(17) 복수개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몸체(11)의 흔들림에 따라 소리발생부재(17)가 하우징몸체(11)에 부딛치면서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몸체(11)의 야광성에 의해 빛을 추종하는 어류가 모이고, 아울러, 방울부재(14)와 소리발생부재(17)에 의해 소리를 추종하는 어류가 모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 수중 음파발생기(19)를 설치하여, 이 음파발생기(17)를 통해 발생되는 음파를 통해 소리를 추종하는 군집성 1차 어종(S1)을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는 그물부재(31)가 수평되게 펼쳐진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이었으나, 제 2 실시 예는 그물부재(31)가 수직상태로 펼쳐진 형태가 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실시 예는 어류유입부(10)를 각각 2개 설치하고, 이 각각의 어류유인부(10)에 앵커(23)가 설치된 로프(20)를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이 2개의 로프(20) 사이에 그물부재(32)의 양단을 고정설치하여, 그물부재(32)가 수평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그물부재(32)에는 복수의 냄새발생부재(50)를 설치하여 2차 어종(S2)을 미끼냄새로서 그물부재(32) 쪽으로 유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어류유인부
11...하우징몸체
12...통공
14...방울부재
15...부력체
17...소리발생부재
20...로프
23...앵커
30...포획어구
31...그물부재
41...줄부재
43...제2앵커
45...제2부력체
50...냄새발생부
51...냄새발생통
53...뚜껑
54...냄새발생물질
55...끈부재
60...통발

Claims (7)

  1. 빛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빛 또는 소리를 추종하여 모여드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을 유인하며,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가 구비된 어류유인부;
    해저에 위치되는 앵커;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류유인부와 상기 앵커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류유인부가 물 속에서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로프;
    상기 로프 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로 모여드는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하여 모여드는 2차 어종이 걸려 포획되는 그물부재를 구비한 포획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유인부는,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구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에 상기 부력체가 설치되어 물속에서 떠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에 매달려 상기 하우징몸체의 부유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같이 움직이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방울부재;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빛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통공을 통해 빛을 상기 하우징몸체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유인부는,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구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에 상기 부력체가 설치되어 물속에서 떠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에 매달려 상기 하우징몸체의 부유에 따른 흔들림에 의해 같이 움직이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방울부재; 및,
    상기 하우징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몸체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하우징몸체에 부딪치면서 소리가 발생되게 하는 소리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부재는 중심부가 상기 로프의 소정높이에 고정되고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포획어구는,
    상기 그물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줄부재;
    상기 줄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해저에 위치시키는 제2앵커;
    상기 그물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2부력체; 및,
    상기 그물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 측에 모여든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드는 상기 2차 어종들이 상기 포획어구 측으로 더 강하게 이끌리도록 냄새를 발생시키는 냄새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발생부는,
    메쉬 재질의 통형태로 이루어지는 냄새발생통;
    상기 냄새발생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2차 어종들을 유인하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냄새발생물질;
    상기 냄새발생통을 상기 포획어구에 매달아주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나 상기 방울부재는 야광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표면에 야광물질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7. 빛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빛 또는 소리를 추종하여 모여드는 군집성 어류인 1차 어종을 유인하며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어류유인부;
    해저에 놓이는 한 쌍의 앵커;
    상기 한 쌍의 어류유인부와 상기 한 쌍의 앵커를 상호 각각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어류유인부를 해수중에 위치시키는 한 쌍의 로프;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로프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어류유인부로 모여드는 상기 1차 어종을 포식하기 위하여 모여드는 2차 어종이 걸려 포획되는 수직형태로 배치된 그물부재를 구비한 포획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KR1020170036879A 2017-03-23 2017-03-23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KR10192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79A KR101923559B1 (ko) 2017-03-23 2017-03-23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879A KR101923559B1 (ko) 2017-03-23 2017-03-23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33A true KR20180107933A (ko) 2018-10-04
KR101923559B1 KR101923559B1 (ko) 2018-11-29

Family

ID=6386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879A KR101923559B1 (ko) 2017-03-23 2017-03-23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3036A (zh) * 2021-08-20 2021-11-26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集鱼站结构
CN113796359A (zh) * 2021-09-11 2021-12-17 江苏苏中大地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稻田养殖小龙虾用捕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5836B2 (ja) * 2010-08-06 2014-03-26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浮魚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3036A (zh) * 2021-08-20 2021-11-26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集鱼站结构
CN113796359A (zh) * 2021-09-11 2021-12-17 江苏苏中大地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稻田养殖小龙虾用捕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59B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809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shrimp
US7281350B2 (en) Mosquito/insect larva trap magnet system
US5651209A (en) Fish attractor
US5561936A (en) Floating aquatic specimen collection net
KR200485088Y1 (ko) 오징어 낚싯바늘 유닛
US6955005B2 (en) Scrobiculate and other fishing floats, demountably attachable fishing lures and kits for assembling them
US9572328B1 (en) Bait-fish trap with floating light
KR101923559B1 (ko)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KR20180023392A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US20010011436A1 (en) Levitating bait weedless fishing lure
KR20220019364A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180125046A1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RU2338374C1 (ru) Способ лова кальма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00000457U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94458Y1 (ko) 부력부재가 마련된 루어낚시용 인공미끼
KR20190000756U (ko)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
JP2571076B2 (ja) 浮魚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漁撈方法
KR102487693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KR102642357B1 (ko) 봉돌과 바늘결합구조를 개선시킨 두족류 낚시채비
KR20150002173U (ko) 두족류 연체동물 낚시용 낚시어구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