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333A -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333A
KR20180107333A KR1020170033024A KR20170033024A KR20180107333A KR 20180107333 A KR20180107333 A KR 20180107333A KR 1020170033024 A KR1020170033024 A KR 1020170033024A KR 20170033024 A KR20170033024 A KR 20170033024A KR 20180107333 A KR20180107333 A KR 20180107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amma
signal
depth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888B1 (ko
Inventor
박문산
고재현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888B1/ko
Priority to US15/921,782 priority patent/US10462337B2/en
Publication of KR2018010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라인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 게이트라인 및 상기 데이터라인과 각각 연결된 화소, 복수의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복수의 게이트라인들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신호 및 상기 게이트신호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 신호를 영상 깊이에 기초하여 전경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깊이 분석부 및 전경 영상 신호에 복수의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감마 보정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CD Device}
본 발명은 입력 영상신호의 영상 깊이를 분석하여 일부 영역에 감마 보정을 변경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신호선이 구비된 표시기판, 계조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생성부, 그리고 계조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조 전압 중 입력 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계조 전압을 데이터 신호로서 데이터선에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이 중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이 구비된 두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유전율 이방성(dielectric anisotropy)을 갖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은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한 행씩 차례로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대향 전극은 표시판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 전압(Vcom)을 인가 받는다.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생성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의 그래픽 소스(graphics source)로부터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과 같은 복수의 기본색의 영상신호를 입력 받는다.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 제어부는 영상신호를 적절히 처리한 후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하고, 데이터 구동부는 영상신호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전압을 선택하여 이를 데이터 신호로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판에 인가한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는 전면 시인성에 비하여 측면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하나의 화소를 두 개의 부화소로 분할하고 두 개의 부화소의 전압을 달리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화소를 부화소로 분리하면 구동 소자의 면적 증가로 개구율이 저하되고, 표시 장치의 휘도는 저하된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신호의 깊이감을 분석하여 전면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복합 감마를 적용하여 측면 시인성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영상 신호의 영상 깊이를 추출하는 영상 깊이 추출 단계, 영상 깊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전경 영상 신호와 배경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분리 단계, 전경 영상 신호를 복수의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보정하는 복합 감마 보정 단계 및 배경 영상 신호를 단수의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단일 감마 보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복합 감마 보정 단계는 전경 영상 신호 중 일부에 제1 감마 값을 갖는 제1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전경 영상 신호 중 나머지에 제1 감마 값과 다른 제2 감마 값을 갖는 제2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 제1 프레임에서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1 화소로 출력하고,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2 화소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영상 신호 출력 단계는 제1 프레임에 후속하는 제2 프레임에서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2 화소로 출력하고,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1 화소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은의 단일 감마 보정 단계는 배경 영상 신호를 제3 감마 값을 갖는 제3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3 감마 곡선은 제1 감마 값 및 제2 감마 값 사이 값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영상 분리 단계는 영상 신호의 깊이가 기준 영상 깊이보다 큰 경우 영상 신호가 전경 영상 신호로 지정되고, 영상 신호의 깊이가 상기 기준 영상 깊이보다 작은 경우 영상 신호가 배경 영상 신호로 지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서 기준 영상 깊이는 영상 신호의 최대 영상 깊이와 최소 영상 깊이의 중간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의 기준 영상 깊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서 영상 신호가 영상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 깊이 추출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라인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각각 연결된 화소, 복수의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복수의 게이트라인들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신호 및 게이트신호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 신호를 영상 깊이에 기초하여 전경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깊이 분석부 및 전경 영상 신호에 복수의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감마 보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상기 영상 깊이 분석부는 영상 신호의 영상 깊이를 추출하는 영상 깊이 추출기 및 입력된 영상 신호 중 영상 깊이가 기준 영상 깊이보다 큰 경우 영상 신호를 전경 영상 신호로 지정하고, 영상 신호의 깊이가 기준 영상 깊이보다 작은 경우 영상 신호를 배경 영상 신호로 지정하는 영상 분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상기 감마 보정부는 전경 영상 신호 중 일부에 제1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을 생성하고, 전경 영상 신호 중 나머지를 제2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 2 감마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복합 감마 보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감마 보정부는 배경 영상 신호에 제3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 감마 보정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프레임에서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 및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는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프레임 구간에 연속하는 제2 프레임에서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는 제2 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고,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는 제1 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동일 입력 영상 신호의 제3 감마 곡선의 감마 보정 값은 제1 감마 곡선과 제2 감마 곡선의 감마 보정 값 사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깊이 분석부는 기준 영상 깊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깊이 분석부는 기준 영상 깊이를 전경 영상 및 배경 영상과 입력 영상을 비교하여 화질의 열화 정도를 기준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깊이 분석부는 구조 유사성 분석(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ing, SSIM),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및 히스토그램(Histogram) 분석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화질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깊이 분석부는 영상 깊이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 신호를 그룹화하여 영상 객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화소로 계조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 구조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입체감을 분석하여 전면에 위치하는 전경 영상신호에 선택적으로 복합 감마를 적용하여 측면 시인성을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a는 입력 영상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이다.
도 3b는 도 3a의 입력 영상신호의 영상 깊이 지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출된 전경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출된 배경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다중 영상 깊이를 갖는 객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감마 처리기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복합 감마 처리 곡선 그래프이다.
도 7은 복합 감마 처리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감마 곡선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데이터 구동부(110), 게이트 구동부(120) 및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 20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표시 패널(100)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10)는 표시 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및 한 쌍의 편광판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 복수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110)에 연결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용 집적회로(미도시)들로 구성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보정 영상 신호(RGB') 및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DC)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DC)에 따라 보정 영상 신호(RGB')를 샘플링하여 샘플링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매 수평 기간마다 한 수평 라인에 해당하는 샘플링 데이터신호들을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신호들을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로부터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GDC) 및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을 공급받는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GDC) 및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에 응답하여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로 공급한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RGB)를 신호 처리하여 데이터 구동부(110)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입력 영상 신호(RGB)의 영상 깊이를 분석하고, 영상 깊이에 따라 감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클럭 신호(CLK)에 따라 수평/수직 동기 신호(H, V)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DC)와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GDC)를 발생하여 각각 데이터 구동부(110)와 게이트 구동부(120)에 공급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DC)는 소스 쉬프트 클럭, 소스 스타트 펄스 및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GDC)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200)는 영상 신호 수신부(210), 영상 깊이 분석부(220), 감마 보정부(230) 및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영상 감마 처리부 기능 이외의 신호 제어 기능은 종래 기술의 타이밍 컨트롤러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신호 수신부(210)는 영상 신호(RGB)를 입력받는다. 영상 신호(RGB)는 2차원 영상 신호이거나 3차원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신호 수신부(210)는 영상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 인지 또는 3차원 영상 신호 인지를 판단한다. 영상 신호 수신부(210)에 의해 판단된 입력 영상 신호의 속성에 의해, 후술하는 영상 깊이 분석부(220)는 영상 신호의 깊이 분석의 적용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 깊이 분석부(220)는 영상 신호(RGB)를 분석하여, 영상 깊이에 따라 영상 신호(RGB)를 전경 영상(Fore-ground Image) 신호와 배경 영상(Back-Ground Image) 신호로 분리한다.
영상 깊이 분석부(220)는 영상 깊이 추출기(221), 영상 깊이 비교기(222) 및 영상 분할기(223)를 포함한다.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2차원 영상인 영상 신호(RGB)를 분석하여 각 화소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RGB)로부터 영상 깊이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 깊이란 입력된 영상 신호(RGB)에 의해 표시되는 객체 또는 단위 영상 신호가 영상 내에서 갖는 원근감을 수치화한 것이다. 객체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인물 또는 사물 등과 같이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집합체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객체는 하나의 화소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객체가 다양한 영상 깊이를 갖는 경우,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객체를 유사한 영상 깊이를 갖는 서브 객체들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깊이는 3차원 입력 영상 신호의 경우,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된 영상 신호의 시차로 표시된다.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의 차이를 비교하여 차이가 큰 객체는 전경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가 작은 객체는 배경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2차원 입력 영상의 경우 영상 신호는 영상 깊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2차원 입력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영상 깊이 지도(Depth Map)를 구성할 수 있다. 영상 깊이 지도(Depth Map)를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기존에 개발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 깊이 지도(Depth Map)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히스토그램법은 영상 신호(RGB)의 히스토그램 및 이웃한 화소의 특성 변화도를 통해 객체의 경계면을 검출하고, 선명도, 객체의 이동속도 등의 객체의 신호 특성을 이용하여 객체의 영상 깊이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영상 깊이 추출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영상 깊이 비교기(222)는 객체의 산출된 영상 깊이를 기준 영상 깊이(Reference Depth)와 비교한다. 기준 영상 깊이는 영상(310)을 구성하는 객체를 전경 영상 신호와 배경 영상 신호로 나누는 기준값이다. 기준 영상 깊이는 객체의 최저 영상 깊이와 최고 영상 깊이의 중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신호에서 영상 깊이가 0 내지 255로 설정될 때, 기준 영상 깊이는 127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영상 깊이 127이 설정되면 127 이상의 영상 깊이 값을 갖는 객체는 전경 영상 신호로 지정되고, 127 미만의 영상 깊이 값을 갖는 객체는 배경 영상 신호로 지정된다. 기준 영상 깊이는 영상을 구성하는 객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영상 분할기(223)는 영상 깊이 비교기(222)에 의해 지정된 객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전경 영상 신호 및 배경 영상 신호로 분할한다.
감마 보정부(230)는 복합 감마 보정기(231) 및 단일 감마 보정기(232)를 포함한다.
감마 보정부(230)는 영상 깊이 분석부(220)로부터 출력된 전경 영상 신호 및 배경 영상 신호를 서로 다른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보정한다. 감마 보정은 영상 신호의 입력 계조를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출력하는 기술이다. 감마 곡선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특정 입력 계조에 대해서 서로 다른 출력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마 곡선은 특정 감마를 갖는 영상 표시 장치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전경 영상 신호는 영상을 구성하는 객체 중 전면에 위치하는 영상으로 객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들에 대응된다. 복합 감마 처리기(231)는 전경 영상이 배경 영상보다 더 높은 시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인접한 화소를 기준으로 복수의 화소 그룹을 구성하여 두 종류의 서로 다른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를 보정한다.
감마 곡선은 동일 입력 계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휘도 값을 출력하는 곡선인 제1 감마 곡선(GH)과 저휘도 값을 출력하는 제2 감마 곡선(GL)로 구성된다. 복합 감마 처리기(231)는 전경 영상 신호의 일부에 제1 감마 값을 갖는 제1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경 영상 신호 중 나머지에 제1 감마 값과 다른 제2 감마 값을 갖는 제2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감마 보정부(230)는 화소의 공간적 위치에 따라서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적용을 전환하며, 시분할에 의해 프레임 단위로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적용을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제1 화소와 제2 화소에 있어서,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감마 보정부(230)는 제1 화소 대응하는 전경 영상 신호에 제1 감마 곡선(GH)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전경 영상 신호에 제2 감마 곡선(GL)을 적용하여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제1 프레임에 이어지는 제2 프레임 동안 감마 보정부(230)는 제1 화소 대응하는 전경 영상 신호에 제2 감마 곡선(GH)을 적용하여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전경 영상 신호에 제1 감마 곡선(GL)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마 보정부(230)는 제1 감마 보정 곡선(GH)와 제2 감마 보정 곡선(GL)을 화소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공간적 분산 배치 및 시간적 분산 배치를 결합할 수 있다.
배경 영상은 영상을 구성하는 객체 중에서 배경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경 영상에 비해서 원거리에 위치하고 중요도가 낮은 정보로 간주된다.
단일 감마 보정기(232)는 배경 영상 신호에 하나의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일 감마 보정은 제1 감마 곡선(GH) 및 제2 감마 곡선(GL)과 다른 감마 값을 갖는 제3 감마 곡선(GM)을 적용한다. 제3 감마 곡선(GM)은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사이에 위치한 곡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 입력 값에 대해서 제3 감마 곡선(GM)의 출력 값은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평균 값을 갖는 곡선인 것이 좋다. 제3 감마 곡선(GM)이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사이에 위치한다는 것은 동일한 입력 계조에 대한 제3 감마 곡선(GM)의 출력 값이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출력 값 사이 값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감마 보정부(230)는 생성된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 및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는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240)로 출력한다.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240)는 감마 보정부(230)에서 수신한 제1 내지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110)로 전송한다.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240)는 데이터 구동부(110)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수평 라인에 대응하는 보정 영상 신호(RGB')로 샘플링하여 출력한다.
도 2의 설명에서는 영상 깊이 분석부(220), 감마 보정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영상 깊이 분석부(220), 감마 보정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 보다 전 단계의 영상 신호 처리부(미도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영상 깊이 분석부(220)는 영상 신호 처리부(미도시)에 포함되고 감마 보정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깊이에 따라 객체의 예시도이다.
도 3a는 입력 영상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이다. 도 3a에 도시된 입력 영상(310)은 사람을 표시하는 영상인 제1 객체(311), 배경의 산을 표시하는 영상인 제2 객체(313), 하늘을 표시하는 영상인 제3 객체(315)를 포함한다.
도 3b는 도 3a의 입력 영상 신호의 영상 깊이 지도이다.
영상 깊이 지도(Depth Map)는 화소별로 디지털 처리에 의해 0 내지 255의 사이의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영상 깊이 값의 객체는 영상(310)에서 전면을 위치하는 것으로 영상 깊이 지도(Depth Map) 상에 밝은 색으로 표시하고, 낮은 영상 깊이 값의 객체는 영상(310)의 후면에 위치하며, 짙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사람을 표시하는 영상인 제1 객체(311)는 영상(310)의 가장 전면에 위치하여 백색으로 표시되고, 산을 표시하는 영상인 제2 객체(313)는 영상(3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회색으로 표시된다. 하늘을 표시하는 영상인 제3 객체(315)는 영상(310)에서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며, 짙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입력 영상(310) 신호를 분석하여 각 객체의 영상 깊이를 추출할 수 있다. 입력된 2차원의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깊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스테레오 매칭법, 포커스법 또는 기하정보 기반법이 적용될 수 있다.
스테레오 매칭 기법은 기본적으로 시점을 달리는 영상을 2장 이상 캡쳐한 후, 캡쳐된 영상 간의 대응점(correspondence points)을 찾는 기법이다. 카메라가 보정되어 있는 경우, 삼각법을 대응점에 적용하여 3D 영상 깊이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포커스법은 일반적으로 영상을 촬영할 때 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까운 객체에 초점을 집중시켜 선명하게 표현하고 먼 영역일수록 흐릿하게 표현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특히 객체와 배경 경계부분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카메라로부터 가까운 영역일수록 그 질감은 더욱 세밀하고 초점이 맞춰진 영역 경계가 그렇지 않은 경계보다 날카롭다는 것이다. 포커스법에서 일반적으로 초점이 맞은 부분이 근거리에 위치하나, 영상의 특성에 따라서는 근거리에 위치파는 객체에 초점이 맞지 않을 수도 있다. 포커스법에 기초하면,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영상(310)의 근거리에 위치한 객체라도, 초점이 맞지 않는다면, 배경 영상(330)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깊이는 초점이 맞은 객체를 중심으로 영상 깊이를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하정보 기반법이 있다. 기하정보 기반법은 영상 내 존재하는 주직선들이 만나는 한 점인 소실점(vanishing point)이 가장 멀리 있고 그 점을 지나는 직선들인 소실선(vanishing lines)을 따라 점점 가까워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를 통한 영상 깊이 추출을 할 수 있다. 예로 들은 방법 이외에도 복수의 방법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각 방법마다 가중치를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의 적용도 가능하다.
만약, 입력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깊이를 추출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신호는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로 분리되어 입력된다.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양안 영상의 차를 이용하여 영상 깊이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에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객체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서 배치된 위치의 차이가 적다. 반면 근거리에 위치한 객체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배치 위치의 차이가 크다.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3차원 영상 신호로부터 객체의 영상 깊이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입력 영상 신호가 영상 깊이 정보를 가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 신호는 영상 깊이 추출기(221)를 거치지 않고, 영상 깊이 비교기(222)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출된 전경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출된 배경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입력 영상(310)에서 제1 객체는 전경 영상(320)에 해당된다. 반면 제2 객체 및 제3 객체는 배경 영상(330)에 대응된다.
전경 영상(320)의 영상 신호는 이후 감마처리 과정에서 복수의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감마 처리되는 복합 감마 처리가 적용된다. 반면, 배경 영상(330)의 영상 신호는 단일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감마 보정 처리된다.
도 4는 다중 영상 깊이를 갖는 객체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310)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어지는 건물을 단일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단일 객체는 영역에 따라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의 영상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영상(310)의 객체(340)를 기준 영상 깊이(410)를 기준으로 제1 서브 객체(341)와 제2 서브 객체(342)로 분할한다. 분할된 제1 서브 객체(341)를 전경 영상(320)으로 표시하고, 제2 서브 객체(342)를 배경 영상(330)으로 표시할 수 있다.
감마 보정부(230)는 전경 영상(320)의 영상 신호와 배경 영상(330)의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서로 다른 감마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감마 보정부(230)의 복합 감마 처리기(231)는 전경 영상 신호 중 일부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할 수 있다. 반면, 단일 감마 처리기(232)는 배경 영상(330)에 단일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제1 서브 객체(341)의 측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감마 처리기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복합 감마 처리 곡선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감마 처리기(231)은 감마 선택기(234), 제1 감마 처리기(235, GH Gamma), 제2 감마 처리기(236, GL Gamma), 제1 감마 테이블(237, GH Table), 제2 감마 테이블(238, GL Table) 및 감마 결합기(239)를 포함한다. 감마 선택기(234)는 입력된 전경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영상 신호 중 하나는 제1 감마 처리기(235)로 입력되어 제1 감마 곡선(GH)으로 감마 보정된다. 영상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제2 감마 처리기(235)에 입력되어 제2 감마 곡선(GL)으로 감마 보정된다. 제1 감마 곡선(GH)은 제1 감마 테이블(237)에 룩업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되고, 제2 감마 곡선(GL)은 제2 감마 테이블(238)에 저장된다.
감마 보정 처리된 제1 감마 보정 영상 및 제2 감마 보정 영상은 감마 결합기(239)에 의해 결합되어 출력된다. 구성에 따라 제1 감마 보정 영상 및 제2 감마 보정 영상은 감마 결합기(239)에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6의 그래프는 x축에 표시된 입력 영상 신호의 계조값에 대해 y축의 감마 보정값으로 보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감마 곡선은 출력은 입력 계조^(감마)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감마가 1인 경우는 입력 계조에 대한 출력의 휘도는 일대일로 대응된다. 반면, 감마가 1 보다 작으면 입력 계조에 대한 휘도의 출력이 커져서 영상이 밝게 표현되고, 감마가 1 보다 크면, 입력계조에 대한 휘도 출력이 작아져서 영상이 어둡게 표시된다.
도시된 제1 감마 곡선(GH)은 감마가 1 이하의 값을 갖는 감마 곡선으로 전 계조영역에서 입력보다 높은 휘도를 출력한다. 제1 감마 곡선(GH)을 고휘도를 출력하여 고감마(High gamma)라고도 하며 ‘H’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제2 감마 곡선(GL)은 감마가 1 이상의 값을 갖는 감마 곡선으로 입력보다 낮은 휘도를 출력한다. 제2 감마 곡선(GL)을 저휘도를 출력하여 저감마(Low gamma)라고도 하며 ‘L’로 표시할 수 있다. 감마가 2.2 인 상태를 기준 감마 값으로 설정되므로, 복합 감마 처리시에 저감마(Low gamma)인 제2 감마 곡선(GL)은 기준 감마 값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복합 감마 처리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로 구성된 제1 도트(Dot1)와 제1 도트(Dot1)와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도트(Dot2), 제1 도트(Dot1)와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도트(Dot3) 및 제2 도트와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4 도트(Dot4)를 도시한다. 하나의 도트를 구성하는 3 개의 화소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는 제1 감마 곡선(GH) 및 제2 감마 곡선(GL) 중 어느 한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보정된다. 감마 보정은 전기적으로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화소는 해당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물리적 단위로서 서로 다른 개념을 가지나, 화소를 보정한다는 것을 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화소는 행 또는 열 방향으로 인접한 화소들과 서로 다른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보정된다. 따라서, 화소에 대응하는 전경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제1 감마 곡선(GH) 및 제2 감마 곡선(GL)을 화소 상에 표시하면, 도시된 것과 같이 체스 패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트(Dot1)의 제1 화소(PX1) 및 제3 화소(PX3)에 제1 감마 곡선(GH)이 적용되고, 제2 화소(PX2)에 제2 감마 곡선(GL)이 적용된다. 반면, 제1 도트(Dot1)와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도트(Dot2) 및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도트(Dot3)의 제1 화소(PX1) 및 제3 화소(PX3)에는 제2 감마 곡선(GL)이 적용되고, 제2 화소(PX2)에는 제1 감마 곡선(GH)이 적용된다.
제1 감마 곡선(GH)이 적용되는 화소 배열과 제2 감마 곡선(GL)이 적용되는 화소 배열이 공간적으로 분산된다. 또한, 제1 감마 곡선(GH) 및 제2 감마 곡선(GL)은 시간적으로도 분산되어 화소(영상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에서 화소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적용되는 제1 감마 곡선(GH) 및 제2 감마 곡선(GL)은 연속하는 제2 프레임에서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에 연속하는 제2 프레임에서, 제1 도트(Dot1)의 제1 화소(PX1) 및 제3 화소(PX3)는 제2 감마 곡선(GL)이 적용되고, 제2 화소(PX2)는 제1 감마 곡선(GH)이 적용된다. 반면, 제1 도트(Dot1)와 인접한 제2 도트(Dot2) 및 제3 도트(Dot3)의 제1 화소(PX1) 및 제3 화소(PX3)는 제1 감마 곡선(GH)이 적용되고, 제2 화소(PX2)는 제2 감마 곡선(GL)이 적용된다.
제1 감마 곡선(GH) 및 제2 감마 곡선(GL)이 화소를 기준으로 공간 및 시간적 단위로 서로 전환되면서, 사용자는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의해 출력된 평균 휘도를 시인하게 된다. 또한, 복합 감마 곡선의 적용에 의해 VA 모드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감마 곡선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감마 곡선(GM)은 배경 영상(330)의 영상 신호에 적용되는 감마 곡선이다. 제3 감마 곡선(GM)은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사이 값을 갖는다. 제3 감마 곡선(GM)은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단일 감마는 2.2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액정 표시 패널의 특성 및 영상의 특성에 따라 감마 값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감마 값을 연수의 연산식으로 표시하여 선형 특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영상 신호의 입력 계조별 출력 계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감마 곡선은 비선형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신호 수신부(210)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다(S1001).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영상 깊이 정보가 포함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02).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영상 깊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각 화소의 영상 깊이를 추출한다(S1003). 만약 입력된 영상 신호에 영상 깊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깊이 추출 단계(S1003)는 생략될 수 있다(S1002).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화소의 영상 깊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로부터 추출된 객체를 구성한다(S1004). 객체는 영상 신호에 포함된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한 영상 깊이를 갖는 화소들을 의미 정보의 집합체로 구성한 것이다. 객체의 영상 깊이는 객체를 이루는 화소들의 영상 깊이의 평균 또는 중앙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깊이 비교기(222)는 객체의 영상 깊이와 설정된 기준 영상 깊이를 비교한다(S1005). 기준 영상 깊이는 전경 영상(320)과 배경 영상(330)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영상 깊이는 수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와 영상이 가까울수록 영상 깊이의 수치가 커진다. 객체의 영상 깊이가 기준 영상 깊이보다 높은 객체는 전경 영상(320)으로 배치되고, 낮은 객체는 배경 영상(330)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영상 깊이를 표시하는 수치를 역으로 구성하면, 즉, 낮은 영상 깊이를 갖는 객체가 사용자와 가까운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영상 분할기(223)는 높은 영상 깊이를 갖는 객체, 즉 근거리에 위치하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전경 영상(320)을 구성한다(S1006). 또한, 영상 분할기(223)는 낮은 영상 깊이를 갖는 객체, 즉 원거리에 위치하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배경 영상(330)을 구성한다(S1007).
복합 감마 처리기(231)는 영상 분할기(223)로부터 전경 영상(320)의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복합 감마 보정을 적용한다(S1008). 복합 감마 처리기(231)는 전경 영상(320)의 영상 신호 중 일부를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을 적용하는 감마 보정법을 의미한다. 단일 감마 처리기(232)는 영상 분할기(223)로부터 배경 영상(330)의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단일 감마 보정을 적용한다(S1009). 단일 감마 처리기(232)는 배경 영상(330)의 화소에 제3 감마 곡선(GM)을 적용한다. 제3 감마 곡선(GM)은 제1 감마 곡선(GH)과 제2 감마 곡선(GL)의 사이 값을 갖는 곡선일 수 있다.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240)는 복합 감마 처리기(231) 및 단일 감마 처리기(232)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정보를 결합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1010). 출력된 영상 신호는 게이트 신호의 출력에 동기되어 각 수평 라인을 기준으로 데이터 구동부(110)으로 전송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신호 수신부(210)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다(S2001).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객체를 구성한다(S2002).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초점, 질감, 색감 및 윤곽선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객체를 구성한다.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영상 깊이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다(S2003). 만약 입력된 영상 신호에 영상 깊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깊이 추출 단계(S2003)는 생략될 수 있다(S1002).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영상 깊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입력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각 화소의 영상 깊이를 추출한다(S2004).
이하 객체의 영상 깊이 분석 단계(S2005) 이후의 신호 처리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S1005 내지 S1010과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마 처리 방법은 입력된 영상 신호로부터 객체를 우선적으로 추출한 후 객체의 영상 깊이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영상 깊이 추출기(221)는 영상에서 표현하고자 중심 객체를 선정하고, 해당 객체를 전경 영상(320)으로 배치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10)는 다양한 영상 깊이를 갖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할 때, 주요 객체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에서 이동하는 객체를 추적하여 복합 감마를 적용할 수 있어, 한 장면의 영상 내에서 동일 객체에 적용하는 감마 보정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영상 깊이를 선정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영상 깊이를 추출하여 전경 영상 신호 및 배경 영상 신호에 서로 다른 감마를 적용하는 기술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기준 영상 깊이는 입력 영상 신호, 전경 영상 신호 및 배경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품질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조 유사성 분석(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ing, SSIM),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및 히스토그램(Histogram) 분석법 등이 있다. 구조 유사성 분석(SSIM)은 압축 또는 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에 대하여 원본 영상 신호에 대한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주로 수치적 변화보다는 이미지의 구조적 변화를 인식하는 영상 품질 평가법이다. 최대 신호 대 잡음비(PSNR)는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전력에 대한 잡음의 전력을 나타낸 것이다. PSNR법은 화질의 열화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영상 품질 평가법이다. 히스토그램(Histogram)은 계조에 기초한 출력의 빈도수를 표시하는 기법으로 히스토그램 분포 경향을 분석하여 영상 품질을 평가하는데 적용되는 기술이다. 이외에도 영상 품질을 분석하는 다양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깊이 비교기(222)는 복합 감마 보정된 전경 영상 신호 및 단일 감마 처리된 배경 영상 신호(330)과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감마 보정을 통한 영상 품질의 열화 정도를 분석한다(S3011). 영상 깊이 비교기(222)는 영상 품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준 영상 깊이를 설정할 수 있다(S3012). 영상 깊이 비교기(222)는 설정된 기준 영상 깊이를 객체의 영상 깊이와 비교한다(S3005).
표시 패널 100
데이터 구동부 110
게이트 구동부 120
타이밍 컨트롤러 200
영상 신호 수신부 210
영상 깊이 분석부 220
영상 깊이 추출기 221
영상 깊이 비교기 222
영상 분할기 223
감마 보정부 230
복합 감마 처리기 231
단일 감마 처리기 232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 240
전경 영상 320
배경 영상 330

Claims (20)

  1.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의 영상 깊이를 추출하는 영상 깊이 추출 단계;
    상기 영상 깊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전경 영상 신호와 배경 영상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분리 단계;
    상기 전경 영상 신호를 복수의 감마 곡선에 근거하여 보정하는 복합 감마 보정 단계; 및
    상기 배경 영상 신호를 단수의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단일 감마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감마 보정 단계는 상기 전경 영상 신호 중 일부에 제1 감마 값을 갖는 제1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경 영상 신호 중 나머지에 제1 감마 값과 다른 제2 감마 값을 갖는 제2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1 화소로 출력하고, 상기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2 화소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후속하는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2 화소로 출력하고, 상기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제1 화소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감마 보정 단계는 상기 배경 영상 신호를 제3 감마 값을 갖는 제3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감마 곡선은 상기 제1 감마 값 및 상기 제2 감마 값 사이 값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리 단계는 상기 영상 신호의 깊이가 기준 영상 깊이보다 큰 경우 상기 영상 신호가 전경 영상 신호로 지정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깊이가 상기 기준 영상 깊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 신호가 배경 영상 신호로 지정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깊이는 상기 영상 신호의 최대 영상 깊이와 최소 영상 깊이의 중간 값으로 설정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깊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가 영상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영상 깊이 추출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영상 신호 처리 방법.
  1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라인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
    상기 게이트라인 및 상기 데이터라인과 각각 연결된 화소;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들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신호 및 상기 게이트신호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깊이에 기초하여 전경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깊이 분석부; 및
    상기 전경 영상 신호에 복수의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감마 보정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깊이 분석부는
    상기 영상 신호의 영상 깊이를 추출하는 영상 깊이 추출기; 및
    상기 영상 신호 중 영상 깊이가 기준 영상 깊이보다 큰 경우 상기 영상 신호를 전경 영상 신호로 지정하고, 상기 영상 신호의 깊이가 상기 기준 영상 깊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영상 신호를 배경 영상 신호로 지정하는 영상 분할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보정부는 상기 전경 영상 신호 중 일부에 제1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1 감마 보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전경 영상 신호 중 나머지를 제2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 2 감마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복합 감마 보정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보정부는 상기 배경 영상 신호에 제3 감마 곡선을 적용하여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일 감마 보정기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 상기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 및 제3 감마 보정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는 보정 영상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제1 프레임 구간에 연속하는 제2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감마 보정 영상 신호는 제2 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감마 보정 영상 신호는 제1 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동일 입력 영상 신호의 상기 제3 감마 곡선의 감마 보정 값은 상기 제1 감마 곡선과 상기 제2 감마 곡선의 감마 보정 값 사이인 액정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깊이 분석부는 상기 기준 영상 깊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설정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깊이 분석부는 상기 기준 영상 깊이를 전경 영상 및 배경 영상과 입력 영상을 비교하여 화질의 열화 정도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깊이 분석부는 구조 유사성 분석(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ing, SSIM), 최대 신호 대 잡음비(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및 히스토그램(Histogram) 분석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화질을 분석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깊이 분석부는 영상 깊이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 신호를 그룹화하여 영상 객체를 구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70033024A 2017-03-16 2017-03-16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33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24A KR102337888B1 (ko) 2017-03-16 2017-03-16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15/921,782 US10462337B2 (en) 2017-03-16 2018-03-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24A KR102337888B1 (ko) 2017-03-16 2017-03-16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33A true KR20180107333A (ko) 2018-10-02
KR102337888B1 KR102337888B1 (ko) 2021-12-10

Family

ID=6351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024A KR102337888B1 (ko) 2017-03-16 2017-03-16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62337B2 (ko)
KR (1) KR102337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8405B2 (ja) * 2017-05-10 2021-06-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791281B1 (en) * 2019-03-26 2020-09-29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adjustments performed according to environment
WO2020203265A1 (ja) * 2019-03-29 2020-10-0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CN113450713B (zh) * 2020-03-25 2022-08-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及装置、灰阶映射信息生成方法及装置
KR20220100778A (ko) * 2021-01-0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64447B1 (ko) * 2021-11-30 202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5042A (ko) * 2022-01-03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957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20150037203A (ko) * 2013-09-30 2015-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영상용 깊이지도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20150077167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56708A (ko) * 2014-11-12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068B1 (ko) 2006-06-30 2013-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470693B1 (ko) * 2012-07-31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9497448B2 (en) 2012-12-31 2016-11-15 Lg Display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of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059708A (ko) 2014-11-19 2016-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957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20150037203A (ko) * 2013-09-30 2015-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영상용 깊이지도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20150077167A (ko)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56708A (ko) * 2014-11-12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70400A1 (en) 2018-09-20
US10462337B2 (en) 2019-10-29
KR102337888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88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5803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for
WO2016141602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WO2016141605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US104165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6141603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KR101470693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WO2016141608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KR100731048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WO2016141604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WO2016141607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WO2016141606A1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US20140320521A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signal compensating method
JP6746464B2 (ja) 液晶表示装置
WO2022057495A1 (zh) 灰阶数据确定方法、装置、设备及屏幕驱动板
US20180012534A1 (en) Display device
CN104751792B (zh) 控制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的亮度的方法和设备
WO2022252477A1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装置和显示设备
WO2011142152A1 (ja) 立体映像表示方法および立体映像表示装置
KR2016011782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23052B1 (ko) 개용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5439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19164A (ko) 2d-3d 영상 변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8952957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20080062808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