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743A -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743A
KR20180106743A KR1020170035519A KR20170035519A KR20180106743A KR 20180106743 A KR20180106743 A KR 20180106743A KR 1020170035519 A KR1020170035519 A KR 1020170035519A KR 20170035519 A KR20170035519 A KR 20170035519A KR 20180106743 A KR20180106743 A KR 2018010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ircuit breaker
portions
conductiv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동선
유영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743A/en
Publication of KR2018010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7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01H71/7409Interchangeable elemen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A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for replacing a circuit breaker between a power source and the circuit breaker.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which has an opening for drawing in and out of a conductive part extended from the circuit breaker; and a connection part which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connected to a power feeding part extended from th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inside the housing, and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r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emporal or monetary losses.

Description

차단기 교체를 위한 접속 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for replacing a breaker,

다양한 실시예들은 차단기 교체를 위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 connection device for circuit breaker replacement.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회로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차단기는 전원과 적어도 하나의 부하 사이의 회로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차단기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차단기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Generally, the breaker opens and closes the circuit. To this end, the circuit breaker is arranged on the circuit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at least one load. And the breaker can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load. 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breaker may cut off th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load.

이러한 차단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차단기(111)와 서브 차단기(113)를 포함한다. 메인 차단기(111)는 전원과 다수개의 부하들 사이에서, 모든 부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모든 부하들로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 때 메인 차단기(111)는 전원과 서브 차단기(113) 사이에 배치된다. 서브 차단기(113)는 전원과 부하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부하들 중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부하들 중 어느 하나로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The circuit breaker 110 includes a main circuit breaker 111 and a sub circuit breaker 113 as shown in FIG. The main breaker 111 can supply power to all the loads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plurality of loads and may cut off power to all the loads. At this time, the main breaker 111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sub-circuit breaker 113. The sub-circuit breaker 113 may supply power to any one of the loads between any of the power source and the loads, and may cut off power to any one of the loads.

이러한 이유로, 서브 차단기(113)를 교체하기 위하여, 메인 차단기(111)가 모든 부하들로 전력을 차단해야 한다. 이는, 전력이 공급되는 중에 서브 차단기(113)를 교체하는 경우, 감전이나 쇼트와 같은 위험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서브 차단기(113)를 교체하는 동안, 부하들 중 어느 하나 뿐 아니라 부하들 중 나머지에도 전력이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부하들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들이 구동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 또는 금전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order to replace the sub-circuit breaker 113, the main circuit breaker 111 must shut off power to all loads. This is because, when the sub-circuit breaker 113 is replaced while power is supplied, a danger such as electric shock or short-circuit may occur. As a result,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sub-circuit breaker 113, power is not supplied to any of the loads as well as to the rest of the loads, so that the driving of the loads can be stopped. As a result, temporal or monetary losses may occur in driving the load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각각의 차단기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 때 모든 부하들로 전력이 차단되지 않더라도, 차단기가 교체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모든 부하들의 구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차단기가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들이 구동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 또는 금전적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In a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breaker can be easily replaced. At this time, even if the power is not cut off to all the loads, the circuit breaker can be replaced. In other words, without interrupting the drive of all loads, the circuit breaker can be replaced. Thus, temporal or monetary loss can be prevented in driving the load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 장치는, 전원과 차단기 사이에서 상기 차단기의 교체를 위한 것으로, 상기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도전부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에 연결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분기되는 다수개의 제 2 접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속부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housing for replacing the breaker between a power source and a breaker, the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 pulling in and pulling out a conductiv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reaker, and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power feeder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ortion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side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to the conductive por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도전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n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 guiding the conductive portion along a path extending from the opening portion to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전부 또는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탄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port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ath, for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by using an elastic force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제 2 접속부들을 기준으로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들을 상기 도전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astic portions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silient portion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and the connec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들 간 간격은 상기 도전부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pacing between the resilient portions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경로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silien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th.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접속부들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경로를 기준으로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connections may be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based on a path extending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s from the opening.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접속부들 간 간격은 상기 도전부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들은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silient portions may include leaf spring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스템이 차단기의 전단부에서 전원에 연결되는 접속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장치는, 차단기가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도전부가 접속 장치로 인입되거나 접속 장치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차단기가 접속 장치에 장착되거나 접촉 장치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차단기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즉 시스템의 관리자가 접속 장치로부터 현재의 차단기를 탈착한 다음, 접속 장치에 새로운 차단기를 장착하는 것 만으로, 차단기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시스템의 이 때 모든 부하들로 전력이 차단되지 않더라도, 차단기가 교체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모든 부하들의 구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차단기가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들이 구동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 또는 금전적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ystem may include a connect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t the front end of the breaker. At this time, the connection device can be realiz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breaker can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That is, as the conductive part extending from the breaker is drawn into or pulled out of the connection device, the breaker can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This allows the breaker to be easily replaced in the system. Namely,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ircuit breaker only by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detaching the current circuit breaker from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n mounting the new circuit breaker to the connecting device. This allows the breaker to be replaced even if power is not interrupted at all of the loads at this time in the system. In other words, without interrupting the drive of all loads, the circuit breaker can be replaced. Thus, temporal or monetary loss can be prevented in driving the loads.

도 1은 일반적인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rather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the expressions "have," "have," "include,"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such features, such as numerals, function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 first " or " second ", and the like, may denote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 / or importance, and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But do not limit the components.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 장치(2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200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device 22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200)은 차단기(210)와 접속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ystem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breaker 210 and a connection device 220.

차단기(210)는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는 전원과 적어도 하나의 부하 사이의 회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기(210)는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회로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단기(210)는 통전부와 기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는 전원과 부하 사이의 회로의 개폐를 위해 제공되며, 고정부와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부는 통전부를 제어하여, 가동부를 고정부에 접촉시키거나 고정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가 고정부에 접촉함에 따라,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동부가 고정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회로가 차단될 수 있다. The circuit breaker 210 can open and close the circuit. To this end,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placed on a circuit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at least one load. And the circuit breaker 210 can connect the circuit and cut off the circuit. The circuit breaker 210 may include a conductive part and a mechanical part. The current-carrying portion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a circuit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load, and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and a moving portion. The mechanical section controls the current-carrying section so that the movable sec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section. Here, as the movable portion contacts the fixing portion, a circuit can b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as the movabl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ixed portion, the circuit can be shut off.

이 때 차단기(210)는 메인 차단기(211)와 서브 차단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차단기(211)는 전원과 다수개의 부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차단기(211)는 모든 부하들에 전원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모든 부하들로 전원의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서브 차단기(213)는 전원과 부하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차단기(211)는 전원과 서브 차단기(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차단기(213)는 부하들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부하들 중 어느 하나로 전원의 전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ircuit breaker 210 may include a main circuit breaker 211 and a sub circuit breaker 213. The main breaker 2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plurality of loads. Then, the main breaker 211 can supply power to all the loads and cut off the power of the power to all the loads. The sub-circuit breaker 2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any one of the loads. Here, the main breaker 2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sub-circuit breaker 213. Also, the sub-circuit breaker 213 may supply power to any one of the loads and may cut off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to any one of the load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단기(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부(310)는 차단기(210)의 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부(310)는 차단기(210)의 고정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도전부(310)는 접속 장치(220)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부(310)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돌출되며, 미리 정해진 두께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전부(31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부(310)는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 또는 차단기(210)의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ircuit breaker 210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portion 310 as shown in FIG. The conductive portion 310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210. The conductive portion 310 may extend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210.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ortion 310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device 220. Here, the conductive part 310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conductive portion 31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at least one of the fee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or the fixing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210.

접속 장치(220)는 전원과 차단기(210)를 매개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장치(220)는 차단기(210)의 교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 장치(220)는 전원과 차단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속 장치(220)는 차단기(210)의 전단부에서,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220)는, 차단기(210)가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차단기(210)가 장착됨에 따라, 접속 장치(220)가 차단기(210)와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차단기(210)가 탈착됨에 따라, 접속 장치(220)와 차단기(210) 간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220 may mediate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breaker 2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device 220 can support the replacement of the circuit breaker 210. To this end, the connection device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circuit breaker 210. That is, the connection device 220 can be connected to the circuit at the front end of the circuit breaker 210. Then, the connection device 220 can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circuit breaker 210 is detachable. That is, as the circuit breaker 210 is mounted, the connection device 220 can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210. On the other hand, as the breaker 210 is detach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device 220 and the breaker 210 can be released.

이 때 접속 장치(220)는 메인 차단기(211)와 서브 차단기(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속 장치(220)는 서브 차단기(213)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차단기(211)로부터 접속 장치(220)에, 전원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브 차단기(213)가 접속 장치(220)에 장착되어 있으면, 접속 장치(220)는 서브 차단기(213)로 전원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원의 전력이 접속 장치(220)를 통해 서브 차단기(213)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차단기(213)가 접속 장치(220)로부터 탈착되어 있으면, 전원의 전력이 서브 차단기(213)에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device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reaker 211 and the sub circuit breaker 213. That is, the connection device 22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ub-circuit breaker 213. Here, power of the power source can be supplied from the main breaker 211 to the connection device 220. [ Accordingly, when the sub-circuit breaker 213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device 220, the connection device 220 can output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to the sub-circuit breaker 213. That is,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can be input to the sub-circuit breaker 213 via the connection device 220. On the other hand, if the sub-circuit breaker 213 is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20,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may not be input to the sub-circuit breaker 213.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속 장치(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과 접속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개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321)는 차단기(210)의 도전부(31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321)는 하우징(32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321)는 미리 정해진 높이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321)의 높이는 도전부(310)의 두께 이상이고, 개구부(321)의 너비는 도전부(310)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접속부(330)는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330)는 고정 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홀(331)은 고정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속부(330)는 하우징(32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접속부(330)는 개구부(321)에 대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33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부(330) 급전부 또는 도전부(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nection device 220 may include a housing 320 and a connection 330 as shown in FIG. The housing 320 may include an opening 321. The opening 321 may be disposed opposite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The opening 321 may exten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20. Here, the opening 321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opening portion 32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32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The connection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rt extended from the power source. Here, the connection portion 330 may include a fixing hole 331. The fixing hole 331 may be connected to the feeding part via a fixing member (not shown). The connection portion 330 may exten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2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330 may extend toward the opening portion 321. Here, the connection portion 33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3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at least one of the feed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단기(210)가 접속 장치(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의 도전부(310)가 개구부(321)를 통해 하우징(3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접속 장치(220)의 접속부(330)가 하우징(320)의 내부에서 도전부(310)와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의 전력이 접속부(330)를 통해 도전부(310)에 전달되어, 차단기(2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210)가 접속 장치(2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의 도전부(310)가 개구부(321)를 통해 하우징(3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 장치(220)의 접속부(330)와 도전부(310) 간 접속이 해제되어, 전원의 전력이 접속부(330)로부터 도전부(31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도전부(310)가 하우징(320)에 인입되거나 하우징(320)으로부터 인출되기에 앞서, 차단기(210)에서 가동부가 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도전부(310)와 접속부(330)의 접촉 및 분리에 따른 아크(arc)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moun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20. To this e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20 through the opening 321.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330 of the connection device 220 can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310 inside the housing 320. Accordingly, power of the power sou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ductive part 31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30 and input to the circuit breaker 210. 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breaker 210 can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device 220. To this e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drawn out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20 through the opening 321.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rt 330 of the connection device 220 and the conductive part 310 is disconnected so that power of the power source may not be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part 330 to the conductive part 310. Here, before the conductive part 310 is drawn into the housing 320 or drawn out from the housing 320, the movable part of the circuit breaker 210 must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This i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an arc due to the contact and separation between the conductive portion 3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도 2 및 도 3의 220, 4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220, 400 in Figs. 2 and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220, 400)는 하우징(420), 접속부(430) 및 지지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ion apparatuses 220 and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420, a connection unit 430, and a support unit 470.

하우징(420)은 내부 공간에 접속부(430)와 지지부(47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20)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420)은 접속부(430)와 지지부(47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20)은 접속부(430)와 지지부(47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420)은 개구부(421, 4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420 can receive the connection portion 430 and the support portion 470 in the internal space. The housing 42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this way, the housing 420 can protect the connection portion 430 and the support portion 470. In addition, the housing 420 can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430 and the support portion 470. Such a housing 420 may include openings 421 and 423.

개구부(421, 423)들은 하우징(420)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킬 수 있다. 이 때 개구부(421, 423)들은 제 1 개구부(421)와 제 2 개구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부(421)는 차단기(도 2의 210)의 도전부(도 3의 31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개구부(421)는 미리 정해진 높이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개구부(421)의 높이는 도전부(310)의 두께 이상이고, 제 1 개구부(421)의 너비는 도전부(310)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제 2 개구부(423)는 전원의 급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개구부(423)는 미리 정해진 높이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The openings 421 and 423 can ope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420. [ At this time, the openings 421 and 423 may include a first opening 421 and a second opening 423. The first opening 421 may be disposed opposite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FIG. 3) of the circuit breaker (210 of FIG. 2). Here, the first opening 421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first opening 42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and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42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And the second opening 423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power feeding portion of the power source. Here, the second opening 423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접속부(430)는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와 차단기(210)의 도전부 간 접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접속부(430)는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430)는 하우징(420)의 내부 공간에서 차단기(210)의 도전부(310)와 접촉하거나, 도전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430)는 제 1 접속부(440), 다수개의 제 2 접속부(450)들 및 연결 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430 may be provid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feeding part extended from the power source and the conductive part of the circuit breaker 210. The connection part 43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rt extended from the power source. The connection part 4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rt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part 310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420. The connection portion 4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and a connection member 460.

제 1 접속부(440)는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접속부(440)는 하우징(420)의 외부에서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접속부(440)는 하우징(4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부(440)는 하우징(42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 접속부(440)가 제 2 개구부(423)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접속부(440)는 하우징(420)의 내부에서 제 1 개구부(421)에 대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개구부(421)로부터 제 1 접속부(440)로 거리는 도전부(310)의 차단기(210)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일 수 있으며, 도전부(310)의 차단기(210)로부터 돌출된 길이 미만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접속부(440)는 미리 정해진 두께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속부(440)의 두께는 제 2 개구부(423)의 높이 미만이고, 제 1 접속부(440)의 폭은 제 2 개구부(423)의 너비 미만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접속부(440)는 고정 홀(441)과 연결 홀(4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rt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420.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20.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may exten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420.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can pass through the second opening part 423.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may extend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421 inside the housing 420.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421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44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part 310 protruding from the circuit breaker 210 and may be less tha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part 310 protruding from the circuit breaker 210 I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40 may be less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opening 423, and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40 may be less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423.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may include a fixing hole 441 and a connection hole 443. [

고정 홀(441)은 제 1 접속부(440)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연결 홀(443)은 제 1 접속부(440)의 타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홀(441)은 하우징(420)의 외부에 위치되고, 연결 홀(443)은 하우징(4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홀(441)은 고정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급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는 볼트 또는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hole 441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and the connection hole 443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The fixing hole 441 may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420 and the connection hole 443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420. Here, the fixing hole 441 may be connected to the feeding part through a fixing member (not shown).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olt and a nut.

제 2 접속부(450)들은 제 1 접속부(4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접속부(450)들은 제 1 접속부(44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접속부(450)들은 차단기(210)의 도전부(310)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접속부(450)들은 하우징(420)의 내부에서, 도전부(310)가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접속부(450)들은 하우징(420)의 내부에서 제 1 개구부(421)에 대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전부(310)가 제 2 접속부(450)들 사이에서, 일 방향을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접속부(450)들은, 도전부(31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접속부(450)들은 제 2 접속부(450)들의 사이로 도전부(3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접속부(450)들의 일 단부가 제 1 접속부(440)의 타 단부에 적층될 수 있다. 즉 제 2 접속부(450)들은 제 1 접속부(44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접속부(450)들은, 도전부(31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접속부(450)들 간 간격은 도전부(310)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접속부(450)들은 접속 홀(451)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units 4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440.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may be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can guide a path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portion 310 is drawn in and out of the housing 420.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may extend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421 inside the housing 420. Thereby, the conductive portion 310 can be pulled in or drawn out along the one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s 310 are drawn or drawn. In this wa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can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For example,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50 may be lamina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40. [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may contac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s 310 are drawn or drawn.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s 450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art 310. These second connecting portions 450 may include connecting holes 451, respectively.

접속 홀(451)들은 제 2 접속부(450)들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홀(451)은 제 1 접속부(440)의 연결 홀(443)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es 451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Here, the connection hole 451 may be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connection hole 443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연결 부재(460)는 제 1 접속부(440)와 제 2 접속부(45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부재(460)는 제 1 접속부(440)와 제 2 접속부(450)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460)는 제 1 접속부(440)의 연결 홀(443)과 제 2 접속부(450)들의 접속 홀(451)들을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460)는 볼트 또는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460 may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unit 44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45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460 can pas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art 4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450 and can be connected. The connection member 460 may pas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43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and the connection hole 451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450.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4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olt or a nut.

지지부(470)는 하우징(420)의 내부에서 접속부(4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470)는 제 2 접속부(4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도전부(3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470)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471), 절연부(473)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47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470 can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430 inside the housing 420.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470 can br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 310. The support portion 470 may include at least one elastic portion 471, an insulating portion 473, and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475.

탄성부(471)는 제 2 접속부(4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471)는 제 2 접속부(450)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도전부(310)가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경로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탄성부(471)들이, 도전부(31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471)는 고유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2 접속부(4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도전부(310)가 제 2 접속부(450)들 사이로 인입됨에 따라, 탄성부(471)에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탄성부(471)는 탄성력을 제 2 접속부(450)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471)가 제 2 접속부(450)들 중 어느 하나를 도전부(3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471)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71)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47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홀(472)은 탄성부(471)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esilient portion 471 may contact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471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th for the conductive part 310 to be drawn in and out, based on any one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s 450. Here, the plurality of elastic portions 471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s 310 are drawn or drawn. The elastic portion 471 may support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using an inherent elastic force. At this time, as the conductive part 310 is drawn i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s 450,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elastic part 471. In response to this, the resilient portion 471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any on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450. Thus, the elastic portion 471 can bring any on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45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 310. For example, the elastic portion 471 may include a leaf spring. The elastic portion 471 may include at least one fastening hole 472. The fastening hole 472 may be disposed at an edge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471.

절연부(473)는 하우징(420)의 내부에서 접속부(430)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절연부(473)는 접속부(430)와 탄성부(471)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절연부(473)는 접속부(430)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연부(473)는 접속부(43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472)는 연결 부재(46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460)가 제 1 접속부(440)의 연결 홀(443)과 제 2 접속부(450)들의 접속 홀(451)들을 통과하여, 절연부(47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473)는 제 2 접속부(4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탄성부(471)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부(473)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portion 473 may enclose the connection portion 430 inside the housing 420. The insulation portion 473 can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430 and the elastic portion 471. At this time, the insulating portion 473 may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430. [ In this way, the insulating portion 473 can directly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430. Here, the insulating portion 472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460. The connection member 46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ulation portion 473 through the connection holes 443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40 and the connection holes 451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 The insulating portion 473 may support the elastic portion 471 in opposition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450. For example, the insulating portion 473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체결 부재(475)는 탄성부(471)를 절연부(47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체결 부재(475)는 탄성부(471)를 관통하여, 절연부(473)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475)는 탄성부(471)의 체결 홀(472)을 통과하여, 절연부(47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475)는 볼트 또는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475 can fix the elastic portion 471 to the insulating portion 473. [ 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475 passes through the elastic portion 471 and can be fastened to the insulating portion 473. [ Here, the fastening member 475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472 of the elastic portion 47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portion 473.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47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olt or a nut.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210)가 접속 장치(220, 4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의 도전부(310)가 제 1 개구부(421)를 통해 하우징(4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도전부(310)가 제 2 접속부(450)들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부(440) 또는 제 2 접속부(4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하우징(420)의 내부에서 도전부(310)와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개구부(421)로부터 제 1 접속부(440)로 거리가 도전부(310)의 차단기(210)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이면, 차단기(210)가 하우징(420)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제 1 개구부(421)로부터 제 1 접속부(440)로 거리가 도전부(310)의 차단기(210)로부터 돌출된 길이 미만이면, 차단기(210)가 하우징(4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210)가 접속 장치(220, 4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의 도전부(310)가 제 1 개구부(421)를 통해 하우징(4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moun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20, 400. To this e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420 through the first opening 421.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ortion 31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rt 310 inside the housing 420. Here, i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421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440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part 310 protruding from the circuit breaker 210,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420. The breaker 210 may be spaced from the housing 420 i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421 to the first connection 440 is less than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breaker 210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breaker 210 can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devices 220 and 400. To this e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drawn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420 through the first opening 421.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도 2 및 도 3의 220, 5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device (220 and 500 in Figs. 2 and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220, 500)는 하우징(520), 접속부(530) 및 지지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520)은 개구부(521, 523)들, 즉 제 1 개구부(521)와 제 2 개구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530)는 제 1 접속부(540), 다수개의 제 2 접속부(550)들 및 연결 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220, 500)에서 하우징(520) 및 접속부(530)는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400)에서 하우징(420) 및 접속부(43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5, a connection device 220,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520, a connection portion 530, and a support portion 570. At this time, the housing 520 may include openings 521 and 523, that is, a first opening 521 and a second opening 523. The connection unit 5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unit 540,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units 550, and a connection member 560. The housing 5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530 in the connecting device 220 and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re similar to the housing 4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430 in the connect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570)는 하우징(520)의 내부에서 도전부(도 3의 310)와 접속부(5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570)는 제 2 접속부(550)들의 타 단부에서, 도전부(31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570)는 도전부(310)가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지지부(570)는 제 2 접속부(550)들의 사이로, 도전부(3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570)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571)들, 절연부(573) 및 적어도 두 개의 체결 부재(575)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570 can support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FIG. 3) and the connection portion 530 inside the housing 520. 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570 can support the conductive portion 310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550. The supporting portion 570 can guide the path for the conductive portion 310 to be drawn in and drawn out. That is, the support portion 570 can guide the conductive portion 310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550. [ The support portion 570 may include at least two elastic portions 571, an insulating portion 573, and at least two fastening members 575.

탄성부(571)들은 하우징(520)의 내측에서 제 1 개구부(52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571)들은 제 1 개구부(521)와 제 2 접속부(550)들의 타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571)들은, 도전부(31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571)들 간 간격은 도전부(310)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571)들은 고유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전부(3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도전부(310)가 탄성부(571)들 사이로 인입됨에 따라, 탄성부(571)들에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탄성부(571)들은 탄성력을 도전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571)들이 도전부(310)에 밀착될 수 있다. 게다가, 탄성부(571)들이 제 2 접속부(550)들 사이에 대향하여, 도전부(3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571)들은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571)들은 적어도 두 개의 체결 홀(57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홀(572)들은 탄성부(571)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silient portions 57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521 inside the housing 520. The elastic portions 57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s 521 and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550.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s 571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s 310 are drawn or drawn. 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elastic portions 571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Also, the elastic portions 571 can support the conductive portion 310 using the inherent elastic force. At this time, as the conductive portion 310 is drawn into the elastic portions 571,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elastic portions 571. Correspondingly, the elastic portions 571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nductive portion 310. [ Accordingly, the elastic portions 571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 310. In addition, the elastic portions 571 can guide the conductive portion 310 in opposi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550. [ For example, the elastic portions 571 may include leaf springs. These elastic portions 571 may include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572. The fastening holes 572 may be disposed at the edge portions of the elastic portions 571.

절연부(573)는 하우징(520)의 내부에서 접속부(530)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절연부(573)는 접속부(530)와 탄성부(57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절연부(573)는 접속부(430)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연부(573)는 접속부(53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5572)는 연결 부재(56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573)는 도전부(310)에 대향하여, 탄성부(57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부(573)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portion 573 may enclose the connection portion 530 inside the housing 520. The insulating portion 573 can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530 and the elastic portions 571. At this time, the insulating portion 573 may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430. [ In this way, the insulating portion 573 can directly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530. Here, the insulating portion 5572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560. Further, the insulating portion 573 can support the elastic portions 571 against the conductive portion 310. For example, the insulating portion 573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체결 부재(575)들은 탄성부(571)들을 절연부(57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체결 부재(575)들은 탄성부(571)들을 관통하여, 절연부(573)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575)들은 탄성부(571)들의 체결 홀(572)들을 통과하여, 절연부(57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575)들은 볼트 또는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s 575 can fix the elastic portions 571 to the insulating portion 573. [ 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s 575 pass through the elastic portions 571 and can be fastened to the insulating portion 573. [ Here, the fastening members 575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572 of the elastic portions 57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portion 573. [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s 57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olt or a nut.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도 2의 210)가 접속 장치(220, 5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의 도전부(310)가 제 1 개구부(521)를 통해 하우징(5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도전부(310)가 탄성부(571)들 사이를 통과한 다음, 제 2 접속부(450)들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부(540) 또는 제 2 접속부(5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하우징(520)의 내부에서 도전부(310)와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개구부(521)로부터 제 1 접속부(540)로 거리가 도전부(310)의 차단기(210)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이면, 차단기(210)가 하우징(520)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제 1 개구부(521)로부터 제 1 접속부(540)로 거리가 도전부(310)의 차단기(210)로부터 돌출된 길이 미만이면, 차단기(210)가 하우징(5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210)가 접속 장치(220, 5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기(210)의 도전부(310)가 제 1 개구부(521)를 통해 하우징(5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ircuit breaker (210 of FIG. 2) may be moun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20, 500. To this e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520 through the first opening 521.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ortion 310 may pass between the elastic portions 571 and then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450.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5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550 can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rt 310 inside the housing 520. Here, i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521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40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portion 310 protruding from the circuit breaker 210,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520. Or the breaker 210 may be spaced from the housing 520 i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521 to the first connection 540 is less than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breaker 210 of the conductive part 310. 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breaker 210 can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devices 220 and 500. To this end, the conductive portion 310 of the circuit breaker 210 may be drawn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520 through the first opening 521.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스템(200)이 차단기(210)의 전단부에서 전원에 연결되는 접속 장치(220, 4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장치(220, 400, 500)는, 차단기(210)가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차단기(210)로부터 연장된 도전부(310)가 접속 장치(220, 400, 500)로 인입되거나 접속 장치(220, 400, 500)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차단기(210)가 접속 장치(220, 400, 500)에 장착되거나 접촉 장치(220, 400, 5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100)에서 차단기(21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즉 시스템(200)의 관리자가 접속 장치(220, 400, 500)로부터 현재의 차단기(210)를 탈착한 다음, 접속 장치(220, 400, 500)에 새로운 차단기(210)를 장착하는 것 만으로, 차단기(210)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시스템의 이 때 모든 부하들로 전력이 차단되지 않더라도, 차단기(210)가 교체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모든 부하들의 구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차단기(210)가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들이 구동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 또는 금전적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ystem 200 may include a connection device 220, 400, 500 that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t the front end of the circuit breaker 2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devices 220, 400, and 500 can be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210 can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The conductive part 310 extending from the circuit breaker 210 is drawn into the connection devices 220, 400 and 500 or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devices 220, 400 and 500 so that the circuit breaker 210 contacts the connection devices 220, 400, 500, or may be detached from the contact devices 220, 400, 500. This allows the breaker 210 in the system 100 to be easily replaced. The administrator of the system 200 simply removes the current breaker 210 from the connecting apparatuses 220, 400 and 500 and then mounts the new breaker 210 on the connecting apparatuses 220, 400 and 500, The breaker 210 can be replaced. This allows the breaker 210 to be replaced even if power is not interrupted at all of the loads at this time in the system. In other words, the breaker 210 can be replaced without interrupting the driving of all loads. Thus, temporal or monetary loss can be prevented in driving the load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general predefined terms u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terpreted in the same or similar sense as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clude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 In some cases, even the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200 시스템
110, 210 차단기 111, 211 메인 차단기
113, 213 서브 차단기 310 도전부
220, 400, 500 접속 장치 320, 420, 520 하우징
321, 421, 423 개구부 330, 430, 530 접속부
440, 540 제 1 접속부 331, 441 고정 홀
443 연결 홀 450, 550 제 2 접속부
451 접속 홀 460, 560 연결 부재
470, 570 지지부 471, 571 탄성부
472, 572 체결 홀 473, 573 절연부
475, 575 체결 부재
200 system
110, 210 breaker 111, 211 main breaker
113, 213 Sub-circuit breaker 310 Conductive part
220, 400, 500 connecting device 320, 420, 520 housing
321, 421, 423 Openings 330, 430, 530 Connections
440, 540 first connection portions 331, 441 fixing holes
443 connection hole 450, 550 second connection portion
451 connecting hole 460, 560 connecting member
470, 570 Support portion 471, 571 Elastic portion
472, 572 fastening holes 473, 573 insulation part
475, 575 fastening member

Claims (10)

전원과 차단기 사이에서 상기 차단기의 교체를 위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로부터 연장된 도전부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급전부에 연결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분기되는 다수개의 제 2 접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속부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
A connection device for replacing the breaker between a power source and a breaker,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 drawing in and out of a conductiv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reaker; And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rt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inside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with the conductive par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도전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portion for guiding the conductive portion along a path extending from the opening portion to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로를 기준으로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전부 또는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탄성부들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 plurality of elastic port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ath and for supporting at least any one of the conductive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using an elastic for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제 2 접속부들을 기준으로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들을 상기 도전부에 밀착시키는 접속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or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속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들 간 간격은 상기 도전부의 두께 이하인 접속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lastic portion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경로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는 접속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들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접속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경로를 기준으로 상호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접속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path extending from the opening portion to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들 간 간격은 상기 도전부의 두께 이하인 접속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들은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portions comprise leaf springs.
KR1020170035519A 2017-03-21 2017-03-21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KR201801067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519A KR20180106743A (en) 2017-03-21 2017-03-21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519A KR20180106743A (en) 2017-03-21 2017-03-21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43A true KR20180106743A (en) 2018-10-01

Family

ID=6387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519A KR20180106743A (en) 2017-03-21 2017-03-21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7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6164B (en) Bypass switch
US20160197459A1 (en) Medium voltage switchgear with front accessibility of current transformers mounted external to a rear of a circuit breaker compartment
CN104798167A (en) Switch
US10614973B2 (en) Interlock apparatus for three circuit breakers
US9548170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terminal guard assembly
US9012801B2 (en) Flexible shunt for vacuum circuit breaker
CN110890678B (en) Power module for power distribution assembly
KR20180106743A (en) Connection apparatus for replacing circuit breaker
KR101490176B1 (en) A cradle for a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US10679807B2 (en) Power breaking device
KR20110037217A (en) High voltage multi connector
CN111527576A (en) Direct current breaker
US10043623B2 (en) Device for transmission of forces
KR20180096416A (en) Direct connection type transformer and breaking switch
KR20160051969A (en) Compatibility connector holding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EP3449706B1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a catv field device
KR102246709B1 (en) Bushing type current transformer and switchgear assembly equipped with the circuit transformer
KR20150036560A (en) Vacuum circuit breaker
KR101715663B1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cradle
JP3891942B2 (en) Electrical equipment
JP7242905B2 (en) bypass switch
US11881646B2 (en) Flexible connectors for expansion board
KR20170124383A (en) Air circuit breaker
KR101323606B1 (en) Movable contact ar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570103B1 (en) Magnetic cont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