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470A -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470A
KR20180106470A KR1020170034830A KR20170034830A KR20180106470A KR 20180106470 A KR20180106470 A KR 20180106470A KR 1020170034830 A KR1020170034830 A KR 1020170034830A KR 20170034830 A KR20170034830 A KR 20170034830A KR 20180106470 A KR20180106470 A KR 2018010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timulus
electrodes
hearing device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894B1 (ko
Inventor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17003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8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미디어 재생기기에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귀 또는 다른 인체 부위에 전기 자극의 인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11); 착용 부재(11)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각각의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극 전극(21a, 21b); 이어폰(12a, 12b)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S1); 및 착용 부재(11)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Electric Stimulus}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미디어 재생기기에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귀 또는 다른 인체 부위에 전기 자극의 인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자극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저주파 자극, 온열 자극, 진동 자극 또는 전기 자극과 같은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자극은 자극 발생 회로를 가진 장치에 의하여 발생하고, 자극이 인체에 전달되도록 장치가 별도로 작동되어야 한다. 이로 의하여 자극 발생 장치에 대한 접근성이 감소되고, 장치가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설치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37592호는 귀 부위에 미세전류의 인가가 가능한 미세전류 자극용 이어폰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252452호는 미세전류 조절기에 의하여 각 단자 사이의 스위칭이 조절되면서 정해진 부위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이어폰은 제한된 구조에서 자극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을 가진다. 귀에 착용되어 소리를 전달하는 청력 기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청력 기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전기 자극이 인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공지된 또는 선행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37592호(이영순, 2013년04월16일 공개) 미세전류 자극용 이어폰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252452호(박천정, 2013년04월16일 공고)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
본 발명의 목적은 히어링 디바이스에 결합된 이어폰에 전기 자극을 형성하고,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서로 다른 자극 전극을 통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 착용 부재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각각의 이어폰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극 전극; 이어폰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탐지 유닛; 및 착용 부재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극 전극은 이어폰의 둘레 면에 코팅이 된 전도성 코팅 층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극 전극은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자극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자극 전극에 인가되는 자극의 크기가 배분 모듈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극 전극은 이어폰의 일부를 형성하는 흡음 탄성 층; 및 흡음 탄성 층의 위쪽에 형성되는 전도 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 개의 자극 전극은 다수 개의 자극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자극 그룹에 자극 인가의 순서는 자극 회전 테이블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둘레 면에 자극 전극을 형성하면서 이어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자극 전극을 통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 자극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전기 자극이 주기적으로 정해진 부위에 배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 설치된 자극 전극 그룹에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히어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11); 착용 부재(11)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각각의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극 전극(21a, 21b); 이어폰(12a, 12b)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S1, S2); 및 착용 부재(11)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한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목, 귀, 손목 또는 허리와 같은 부위에 착용되도록 하는 착용 모듈 및 귓속 또는 귀 부위에 삽입 또는 접촉되어 소리가 귓속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소리 전달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모듈은 목 부위의 착용을 위한 착용 부재(11)를 포함하고, 소리 전달 모듈은 착용 부재(11)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이어폰(12a, 12b)을 포함할 수 있다.
목 부위에 착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착용 부재(11)는 인체에 접촉 가능한 위생 수준으로 처리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는 속이 빈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선 배치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는 둘레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목 부위 접촉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 부재(11)의 양쪽 끝 부분에 수용 공간(V1, V2)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 공간(V1, V2)의 내부에 전기 자극 발생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칩(14); 배터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또는 배선 분배 유닛(112a, 112b)과 같은 것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 공간(V1, V2)의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은 착용 부재(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배선에 의하여 작동 탐지 유닛(S1, S2) 또는 자극 전극(21a, 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V1, V2)의 외부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무선 통신을 위한 패턴 안테나(AN1, AN2)가 형성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외부 음의 유입을 위한 마이크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 마이크(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12a, 12b)은 착용 부재(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신호 전송 배선과 연결될 수 있고, 착용 부재(11)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또는 스마트 폰의 재생 음 또는 통화음은 패턴 안테나(AN1, AN2)를 통하여 수신되어 이어폰(12a, 12b)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폰(12a, 12b)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조절 유닛(13a, 13b)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한 자극 전극(21a, 21b)이 형성될 수 있다. 자극 전극(21a, 21b)은 수용 공간(V1, V2)에 배치된 전기 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자극을 인체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가 인체에 접촉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경우 착용 부재(11)의 인체 접촉 부위에 자극 전극(21c)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자극은 예를 들어 자극은 진동 자극(VR), 1 내지 1,000 ㎂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자극(ME), 저주파 자극을 발생시키는 저주파 자극(LF), 경피 신경 자극(TE) 또는 압력 자극(PR)과 같은 다양한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자극(VR)은 전기 진동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하여 압전 소자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전류 자극(ME)은 1 내지 1,000 ㎂의 크기를 가지는 인체에 유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류가 인체로 흐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주파 자극(LF)은 인체에 접촉하는 유전체 박막에 다수 개의 코팅 또는 인쇄 형태의 전극을 배치하고 예를 들어 10 내지 100 Hz의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인체 내부로 저주파가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경피 신경 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은 예를 들어 1 내지 100 pps(pulse per second)의 주파수로 비대칭적으로 서로 다른 위상, 삼각파 또는 톱니파와 같은 것을 1 내지 10 V 및 0.01 내지 10 mA의 전류 조건으로 예를 들어 통증 부위 또는 경혈과 같은 부위에서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압력 자극(PR)은 예를 들어 자극 유닛을 열 수축 필름과 열 저항 소재로 형성하여 전류의 흐름에 따라 열 저항 소재의 열의 발생에 의하여 열 수축 필름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열 수축 필름은 튜브 형상이 될 수 있고, 압력 자극(PR)은 열 자극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자극이 다양한 부위에 형성된 자극 유닛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자극을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자극 유닛 중 하나의 자극 유닛 또는 서로 다른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 유닛 중 하나의 자극 유닛은 작동 자극 유닛이 될 수 있다. 작동 자극 유닛은 자극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자극(PR)이 작동 자극이 될 수 있다. 압력 자극(PR)이 작동 자극으로 선택되면 압력 자극은 간헐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자극은 1분 내지 2분 사이의 시간 간격을 가지도록 임의로 선택되어 발생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작동 자극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지는 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작동 자극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극 전극(21a, 21b, 21c)에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상태가 조절 유닛(13a, 13b)에 표시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조절 유닛(13a, 13b)에 소리 신호 전달 상태와 전기 자극 인가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린 및 상태 표시 조절을 위한 조절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자극 전극(21a, 21b, 21c)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어폰(12a, 12b)의 외부 표면(121)을 전도성 잉크로 코팅을 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외부 표면(121)에서 이어폰(12a, 12b)이 귀에 삽입된 상태에 인체에 접촉되는 부분에 기초하여 외부 표면(121)을 둘러싸는 다수 개의 고리 전극(211 내지 21K)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 전극(211 내지 21K)은 이어폰(12a, 12b)의 전송 배선(123)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극 전도 와이어와 연결되는 커넥터(122)에 접촉 전극(12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고리 전극(211 내지 21K)은 띠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전극(221, 2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자극 전극(21a, 21b)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배분 모듈(23)에 의하여 착용 부재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이어폰 또는 착용 부재에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인체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인체에 대한 접촉 상태는 접촉 탐지 유닛(25)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5)은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특정 형상을 가지는 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접촉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접촉 압력을 탐지하여 접촉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5)에 의하여 탐지된 접촉 상태가 배분 모듈(23)로 전송될 수 있다. 배분 모듈(23)은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을 전기 자극 발생기(24)와 연결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25)은 주기적으로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의 접촉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인가되는 자극의 크기가 배분 모듈(23)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배분 모듈(23)은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고,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각각의 인체 부위의 접촉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3은 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 설치된 자극 전극 그룹에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극 전극은 한쪽 귀에 접촉되는 1 귀 자극 유닛(331); 다른 귀에 접촉되는 2 자극 유닛(332) 및 착용 부재에 배치되어 목 부위에 접촉되는 목 자극 유닛(3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은 각각 스위치 유닛(SW1, SW2, SW3)에 의하여 자극 발생 모듈(32)과 연결될 수 있다. 자극 발생 모듈(32)은 위에서 설명된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 유닛(SW1, SW2, SW3)은 배분 모듈(23)에 포함될 수 있다. 자극 발생 모듈(32)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자극은 제어 모듈(3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에서 발생되는 미세전류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이어폰과 2 이어폰의 작동 상태가 작동 탐지 유닛(SE)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탐지 유닛(SE)에 의하여 각각의 이어폰의 작동 상태가 탐지 될 수 있고, 접촉 탐지 유닛(25)에 의하여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 전극의 인체에 대한 접촉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31)은 작동 탐지 유닛(SE) 및 접촉 탐지 유닛(25)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배분 모듈(23)로 전송하여 각각의 스위치 유닛(SW1, SW2, SW3)의 연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유닛(331, 332, 333)에 포함된 자극 전극의 수에 따라 각각의 스위치 유닛(SW1, SW2, SW3)은 다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자극 전극(331, 332, 333)은 다수 개의 자극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자극 전극은 이어폰(12a, 12b)의 일부를 형성하는 흡음 탄성 층(341); 및 흡음 탄성 층(341)의 위쪽에 형성되는 전도 층(3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음 탄성 층(341)은 이어폰의 외부 둘레 면 전체 또는 자극 전극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흡음 탄성 층(341)에 의하여 자극 전극이 인체에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다. 흡음 탄성 층(341)의 위쪽에 전도 층(342)이 배치되고, 접착 층(343)에 의하여 각각의 고리 전극(211 내지 21L)의 전도 층(342)에 접촉된 상태로 이어폰의 둘레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자극 전극이 안정적으로 인체에 접촉될 수 있다.
자극 전극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기 자극이 인가되는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자극 탐지 유닛(411, 412, 41S)에서 탐지된 정보가 제어 모듈(31)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자극 탐지 유닛(411, 412, 41S)은 각각의 자극 전극 또는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자극에 따른 결과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 자극 그룹(441)에 특정 파형 및 크기를 가지는 미세 전류가 인가되고, 인체에 인가되는 형태가 탐지될 수 있다. 자극 탐지 유닛(411, 412, 41S)은 각각의 자극 전극 또는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다양한 자극 결과를 주기적으로 탐지하여 제어 모듈(31)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 모듈(31)은 전송된 정보를 배분 모듈(23) 및 배분 탐지 유닛(4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배분 탐지 유닛(42)은 각각의 자극 전극 또는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의한 자극 인가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현재 자극 인가 결과를 저장하여 배분 모듈(2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자극 전극은 인체의 접촉 위치 또는 자극 인가 형태에 따라 다수 개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자극 탐지 유닛(411 내지 41S)에서 탐지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자극 그룹(441 내지 44M)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 개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이 분류되면 전기 자극은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 자극 그룹(441)으로 M 자극 그룹(44M)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자극이 인가될 수 있다. 자극은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고, 각각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자극의 크기 및 시간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자극이 인가되는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대한 자극 인가의 순서, 인가되는 자극의 형태, 시간 또는 크기가 자극 회전 테이블(43)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배분 모듈(23)은 자극 회전 테이블(43)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자극 그룹(441 내지 44M)에 인가되는 자극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자극 인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이어폰의 둘레 면에 자극 전극을 형성하면서 이어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자극 전극을 통하여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 자극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전기 자극이 주기적으로 정해진 부위에 배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자극 인가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히어링 디바이스 11: 착용 부재
12a, 12b: 이어폰 13a, 13b: 조절 유닛
14: 통신 칩 15: 통화 마이크
21a, 21b, 21c: 자극 전극 23: 배분 모듈
24: 전기 자극 발생기 25: 접촉 탐지 유닛
31: 제어 모듈 32: 자극 발생 모듈
42: 배분 탐지 유닛 43: 자극 회전 테이블
112a, 112b: 배선 분배 유닛 121: 외부 표면
122: 커넥터 123: 전송 배선
125: 접촉 전극 211, 212, 21K, 21L: 고리 전극
221, 222: 연결 전극 231, 232, 233, 23N: 자극 전극
331: 1 귀 자극 유닛 332: 2 자극 유닛
333: 목 자극 유닛 341: 흡음 탄성 층
342: 전도 층 343: 접착 층
411, 412, 41S: 자극 탐지 유닛 441, 442, 443, 44M: 자극 그룹
AN1, AN2: 패턴 안테나 S1, S2: 작동 탐지 유닛
SE: 작동 탐지 유닛 SW1, SW2, SW3: 스위치 유닛
V1, V2: 수용 공간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위를 가진 착용 부재(11);
    착용 부재(11)와 결합되면서 외부 면의 적어도 일부에 1 자극의 발생이 가능한 접촉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각각의 이어폰(12a, 12b)의 외부 둘레 면에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극 전극(21a, 21b);
    이어폰(12a, 12b)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작동 탐지 유닛(S1); 및
    착용 부재(11)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극 전극(21a, 21b)은 이어폰(12a, 12b)의 둘레 면에 코팅이 된 전도성 코팅 층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극 전극(21a, 21b)은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에 인가되는 자극의 크기가 배분 모듈(23)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극 전극(21a, 21b)은 이어폰(12a, 12b)의 일부를 형성하는 흡음 탄성 층(341); 및 흡음 탄성 층(341)의 위쪽에 형성되는 전도 층(3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다수 개의 자극 전극(231 내지 23N)은 다수 개의 자극 그룹(411 내지 44M)으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자극 그룹(411 내지 44M)에 자극 인가의 순서는 자극 회전 테이블(43)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KR1020170034830A 2017-03-20 2017-03-20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KR10191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0A KR101911894B1 (ko) 2017-03-20 2017-03-20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0A KR101911894B1 (ko) 2017-03-20 2017-03-20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70A true KR20180106470A (ko) 2018-10-01
KR101911894B1 KR101911894B1 (ko) 2018-10-29

Family

ID=6387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30A KR101911894B1 (ko) 2017-03-20 2017-03-20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52B1 (ko) * 2021-12-01 2023-05-08 김봉석 저주파 치료 기능이 있는 휴대용 입체 음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52B1 (ko) * 2011-12-23 2013-04-16 박천정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
KR101318989B1 (ko) * 2013-02-18 2013-10-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52B1 (ko) * 2021-12-01 2023-05-08 김봉석 저주파 치료 기능이 있는 휴대용 입체 음향 시스템
WO2023101262A1 (ko) * 2021-12-01 2023-06-08 김봉석 저주파 치료 기능이 있는 휴대용 입체 음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894B1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11364380B2 (en) Nerve stimulation system, subsystem, headset, and earpiece
KR101802454B1 (ko) 전기 자극 구조를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AU2016385453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1153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EP3741426A1 (en) Nerve stimulator
CN102149427B (zh) 头颅电刺激电极单元
JP2018526134A5 (ja) ガルバニック前庭刺激(gvs)装置
WO2004086742A1 (en) Communication using electroshocks
JP2019083995A (ja) 電気治療器、制御方法、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101911894B1 (ko)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CN107925803B (zh) 声音传输装置、及声音传输系统
KR101252452B1 (ko)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이어폰
CN111182831A (zh) 用于冥想增强的系统和方法
US6843765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KR20160040960A (ko) 음향 재생 시스템
KR101793025B1 (ko)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피부 개선 미용 기기
KR101931123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구조의 전기 자극 기기
JP2019033775A (ja) 低周波治療器
KR20170139938A (ko) 전기 자극 인가 기능의 머리 밴드
KR20220141559A (ko) 미세전류 인가 방식의 두피 관리기
AU2016277603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CA2488563C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KR20240061069A (ko) 미주신경 자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