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411A - 에어 버블식 샤워기 - Google Patents

에어 버블식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411A
KR20180106411A KR1020170034695A KR20170034695A KR20180106411A KR 20180106411 A KR20180106411 A KR 20180106411A KR 1020170034695 A KR1020170034695 A KR 1020170034695A KR 20170034695 A KR20170034695 A KR 20170034695A KR 20180106411 A KR20180106411 A KR 2018010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water
head body
partition
nozz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157B1 (ko
Inventor
영 근 송
Original Assignee
영 근 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근 송 filed Critical 영 근 송
Priority to KR102017003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1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rotating elements, e.g. rolls or brushes
    • B01F3/04028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버블식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헤드 본체(10) 내부로 임펠러(20), 물 분쇄공(32)이 형성된 중간 파티션(30) 및, 노즐공(42)과 외기 유입관(45)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40)를 결합하는 간단 구조에 의해 헤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임펠라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중간 파티션의 물 분쇄공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물 분자가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고, 이와 함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원수와 함께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에어 버블이나 음이온 발생을 극대화하므로 세척수의 입자가 부드럽고 사용 만족감은 물론 세척 효율이 우수하며, 수돗물의 살균 및 정화에 의한 피부, 모발 살균 작용으로 미용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 버블식 샤워기{AIR BUBBLE TYPE SHOWER}
본 발명은 에어 버블식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헤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임펠라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중간 파티션의 구멍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물 분자가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고, 이와 함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원수와 함께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에어 버블이나 음이온 발생을 극대화하므로 세척수의 입자가 부드럽고 사용 만족감은 물론 세척 효율이 우수하며, 수돗물의 살균 및 정화에 의한 피부, 모발 살균 작용으로 미용 효과가 우수한 에어 버블식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욕실이나 주방 등에서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샤워기는 수도전에 연결 호스 단부를 연결 설치하여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샤워기를 통해 배출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샤워기의 헤드 본체에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수도전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나 냉수를 노즐공을 통해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샤워기는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공을 통해 세척수를 단순히 직 분사하되, 노즐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세척수의 분사 형태를 조절하는 것으로 세척수에 기능성을 부여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샤워기를 개선하여 세척 효율 향상, 피부 및 모발의 미용 향상 등을 위한 버블 발생, 음이온 발생 샤워기 관련 기술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특허등록 제10-1166975호는 샤워기 내부 수로에 단순 구조의 버블 발생관을 형성하여 다량의 마이크로 버블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특허등록 제10-1237119호는 버블 노즐을 설치하여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미세 기포화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것이며, 특허등록 제10-1250646호는 버블 발생기를 내장시켜 수돗물에 충격과 함께 와류현상을 일으키므로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미세 기포화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들 특허들은 단순히 유로의 직경 변화에 의해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 버블화하는 기술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부품 수요가 많아 조립 작업성,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마이크로 버블 발생이나 음이온 발생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166975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1237119호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10-12506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헤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임펠라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중간 파티션의 구멍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물 분자가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고, 이와 함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원수와 함께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에어 버블이나 음이온 발생을 극대화하므로 세척수의 입자가 부드럽고 사용 만족감은 물론 세척 효율이 우수하며, 수돗물의 살균 및 정화에 의한 피부, 모발 살균 작용으로 미용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원수 공급공과, 상기 원수 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내 벽면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격벽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안내하는 회전 유로 및, 상기 회전 유로의 원수를 내측 공간부로 안내 유도하도록 격벽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수 유입홈을 형성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의 내측 공간부로 축 삽입되고 외측 원주상으로 날개들이 돌출 형성되어 원수 유입홈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수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임펠라와; 상기 헤드 본체의 격벽 상부로 안착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임펠라의 날개 위치를 따라 회전력을 갖는 원수의 물 분자가 통과되는 물 분쇄공들을 형성하는 중간 파티션 및; 상기 헤드 본체의 상부에 밀폐 결합되고, 전방에 원수를 토출하는 노즐공과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관을 형성하여 원수와 외기를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는 노즐 플레이트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 본체의 원수 유입홈은 원수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수의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안내 유도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외기 유입관은 노즐 플레이트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헤드 본체 내부로 임펠러, 물 분쇄공이 형성된 중간 파티션 및, 노즐공과 외기 유입관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간단 구조에 의해 헤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임펠라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중간 파티션의 물 분쇄공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물 분자가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고, 이와 함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원수와 함께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에어 버블이나 음이온 발생을 극대화하므로 세척수의 입자가 부드럽고 사용 만족감은 물론 세척 효율이 우수하며, 수돗물의 살균 및 정화에 의한 피부, 모발 살균 작용으로 미용 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샤워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결합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임펠라 결합 상태의 요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 버블식 샤워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본체(10), 임펠라(20), 중간 파티션(30) 및 노즐 플레이트(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 본체(10)는 내부 일측에 원수 공급공(11)과, 상기 원수 공급공(11)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내 벽면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격벽(1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안내하는 회전 유로(13) 및, 상기 회전 유로의 원수를 내측 공간부(15)로 안내 유도하도록 격벽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수 유입홈(1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수 유입홈(14)은 원수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수의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안내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펠라(20)는 헤드 본체의 내측 공간부(15)로 축 삽입하되, 외측 원주상으로 날개(22)들이 돌출 형성되어 원수 유입홈(14)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수에 회전력을 더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 파티션(30)은 헤드 본체의 격벽(12) 상부로 안착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임펠라(20)의 날개 위치를 따라 회전력을 갖는 원수가 통과되어 물 분자가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하는 물 분쇄공(32)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 플레이트(40)는 헤드 본체(10)의 상부에 밀폐 결합되고, 전방에 중간 파티션의 물 분쇄공(32)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토출하는 노즐공(42)과, 상기 헤드 본체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관(45)을 형성하여 원수와 함께 외기를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샤워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관(45)은 중간 파티션의 물 분쇄공(32)에서 벗어난 위치로 노즐 플레이트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원수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그 밖에 상기 헤드 본체(10)의 내측 공간부 바닥에는 임펠라(20)의 축부(21)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축부(16)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파티션(30)의 전방과 노즐 플레이트(40)의 후방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태의 부싱(38)(48)이 서로 맞물리게 대응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원수가 외측으로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로서, 17은 손잡이, 45a는 외기 유입관의 구멍, 50은 패킹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헤드 본체(10)의 내측 공간부(15)에 임펠라(20)를 내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 본체(10)의 내측에 격벽(12) 상부로 중간 파티션(30)을안착되게 삽입 결합한 후, 헤드 본체(10) 상부에 노즐 플레이트(40)를 기밀 결합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완료한다.
이때, 상기 중간 파티션(30)의 전방과 노즐 플레이트(40)의 후방에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 부싱(38)(48)이 서로 맞물리게 대응 결합되면서 원수가 외측으로 누수됨을 방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샤워기는 수도전의 원수가 헤드 본체의 원수 공급공(11)을 통해 헤드 본체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헤드 본체 내부로 공급된 원수는 헤드 본체의 내 벽면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격벽(12)에 의해 형성된 회전 유로(13)를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 안내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유로(13)를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 안내되는 원수는 격벽(12)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수 유입홈(14)을 통해 내측 공간부(15)로 유입된다.
특히, 상기 원수 유입홈(14)은 원수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수의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내측 공간부(15)로 안내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력을 갖고 내측 공간부(15)로 유입된 원수는 임펠라(20) 외측 원주상으로 돌출 형성된 날개(22)들을 회전시키면서 원수의 회전력을 더욱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임펠라(20)에 의해 회전력을 더욱 부여받은 원수는 중간 파티션(30)의 원주상으로 형성된 물 분쇄공(32)들을 통해 통과하는 과정 중에 물 분자가 미세하게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수가 미세하게 부서지면서 중간 파티션(30)을 통과한 원수는 노즐 플레이트(40)의 외기 유입관(45)을 통해 헤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혼합되면서 에어 버블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 플레이트(40)의 외기 유입관(45)은 노즐 플레이트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데,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기 때문에 중간 파티션(30)을 통과한 원수가 외기 유입관(45)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 공기가 외기 유입관(45)을 통해 헤드 본체(1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중간 파티션(30)을 통과한 물 분자와 잘 혼합되어 에어 버블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 본체(10) 내부에서 형성된 에어 버블은 노즐 플레이트의 노즐공(42)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면서 샤워수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 본체(10) 내부로 임펠러(20), 물 분쇄공이 형성된 중간 파티션(30) 및, 노즐공(42)과 외기 유입관(45)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40)를 결합하는 간단 구조에 의해 헤드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임펠라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중간 파티션의 물 분쇄공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물 분자가 부서지면서 음이온을 발생하고, 이와 함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원수와 함께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여 에어 버블이나 음이온 발생을 극대화하므로 세척수의 입자가 부드럽고 사용 만족감은 물론 세척 효율이 우수하며, 수돗물의 살균 및 정화에 의한 피부, 모발 살균 작용으로 미용 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10: 헤드 본체 11: 원수 공급공
12: 격벽 13: 회전 유로
14: 원수 유입홈 15: 내측 공간부
20: 임펠라 22: 날개
30: 중간 파티션 32: 물 분쇄공
40: 노즐 플레이트 42: 노즐공
45: 외기 유입관

Claims (3)

  1. 내부 일측에 원수 공급공(11)과, 상기 원수 공급공(11)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내 벽면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격벽(1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안내하는 회전 유로(13) 및, 상기 회전 유로의 원수를 내측 공간부(15)로 안내 유도하도록 격벽(12)을 따라 관통 형성된 원수 유입홈(14)을 형성하는 헤드 본체(10)와;
    상기 헤드 본체의 내측 공간부(15)로 축 삽입되고 외측 원주상으로 날개(22)들이 돌출 형성되어 원수 유입홈(14)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회전하면서 원수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임펠라(20)와;
    상기 헤드 본체의 격벽(12) 상부로 안착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임펠라의 날개(22) 위치를 따라 회전력을 갖는 원수의 물 분자가 통과되는 물 분쇄공(32)들을 형성하는 중간 파티션(30) 및;
    상기 헤드 본체(10)의 상부에 밀폐 결합되고, 전방에 원수를 토출하는 노즐공(42)과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관(45)을 형성하여 원수와 외기를 섞어 에어 버블 형태로 분사하는 노즐 플레이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버블식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의 원수 유입홈(14)은 원수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수의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안내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버블식 샤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외기 유입관(45)은 노즐 플레이트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버블식 샤워기.
KR1020170034695A 2017-03-20 2017-03-20 에어 버블식 샤워기 KR10196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695A KR101960157B1 (ko) 2017-03-20 2017-03-20 에어 버블식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695A KR101960157B1 (ko) 2017-03-20 2017-03-20 에어 버블식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11A true KR20180106411A (ko) 2018-10-01
KR101960157B1 KR101960157B1 (ko) 2019-07-15

Family

ID=6387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695A KR101960157B1 (ko) 2017-03-20 2017-03-20 에어 버블식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595B1 (ko) 2019-03-21 2020-06-18 송병훈 하베스트 기능을 가지며 비타민 합성에 유리한 파장을 제공하는 샤워기
KR102542799B1 (ko) * 2022-12-12 2023-06-15 (주)화수 공기 혼합 샤워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167U (ko) * 2008-07-24 2010-02-03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수압을 이용한 자가발광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헤드
KR101166975B1 (ko) 2010-05-03 2012-07-23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KR101237119B1 (ko) 2011-02-01 2013-02-25 이강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샤워기
KR101250646B1 (ko) 2011-03-09 2013-04-03 김효성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JP2014140547A (ja) * 2013-01-24 2014-08-07 Lixil Corp パルスシャワー装置
JP2014168621A (ja) * 2013-03-05 2014-09-18 Panasonic Corp シャワーヘッドとシャワーヘッド用吐水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167U (ko) * 2008-07-24 2010-02-03 한일수지공업주식회사 수압을 이용한 자가발광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헤드
KR101166975B1 (ko) 2010-05-03 2012-07-23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KR101237119B1 (ko) 2011-02-01 2013-02-25 이강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샤워기
KR101250646B1 (ko) 2011-03-09 2013-04-03 김효성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JP2014140547A (ja) * 2013-01-24 2014-08-07 Lixil Corp パルスシャワー装置
JP2014168621A (ja) * 2013-03-05 2014-09-18 Panasonic Corp シャワーヘッドとシャワーヘッド用吐水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595B1 (ko) 2019-03-21 2020-06-18 송병훈 하베스트 기능을 가지며 비타민 합성에 유리한 파장을 제공하는 샤워기
KR102542799B1 (ko) * 2022-12-12 2023-06-15 (주)화수 공기 혼합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157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750B1 (ko) 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진동 샤워기
US9151032B2 (en) Shower arm for shower WC
CA2337336C (en) Nutating fluid delivery apparatus
BRPI0619062B1 (pt) Wash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washing device
KR101960157B1 (ko) 에어 버블식 샤워기
JP2007260563A (ja) 洗浄装置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US11583872B2 (en) Showerhead engine for rotating spray
KR102313214B1 (ko) 코일형 노즐을 구비하는 초미세기포 발생시스템
JP2014057915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ノズル
JP2019055376A (ja) 炭酸ガス微細気泡水生成装置
KR101676820B1 (ko) 수전용 마이크로 버블 전환 유닛
KR102604374B1 (ko) 샤워기용 나선형 분출수 노즐 구조
KR20190027103A (ko) 워터랩 샤워기
JP4710517B2 (ja) シャワー装置
US20240278196A1 (en) Swirling-type microbubble generation device
JP4157517B2 (ja) 空気と水から成るマッサージ作用を奏する流れを生成するための衛生槽用機器
KR102232705B1 (ko) 3차원 트렌지언트 분무 인젝터가 구비된 샤워 헤드
TW200911190A (en) Jet assembly
KR102353889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CN210079830U (zh) 多功能花洒
CN210032011U (zh) 一种能产生倒圆锥发散水形的喷嘴及智能马桶喷枪
JP2007167580A (ja) ジェット噴射装置
JP4965089B2 (ja) 流体制御弁
JPH033321Y2 (ko)
JP2024102496A (ja) シャワ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