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027A - 자수형 매트 - Google Patents

자수형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027A
KR20180106027A KR1020170033565A KR20170033565A KR20180106027A KR 20180106027 A KR20180106027 A KR 20180106027A KR 1020170033565 A KR1020170033565 A KR 1020170033565A KR 20170033565 A KR20170033565 A KR 20170033565A KR 20180106027 A KR20180106027 A KR 2018010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unctional member
mat
embroider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525B1 (ko
Inventor
박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7003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2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87Ions; Pro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외피를 박음질하는 분리부에서 공간 방향으로 확산부를 형성하여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인접하는 공간 사이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공간으로 투입되는 기능성부재의 높이를 확산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보다 높지 않게 형성함은 물론 골이 깊게 형성되지 않아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자수형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수형 매트{Embroidery type mat}
본 발명은 자수형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외피를 박음질하는 분리부에서 공간 방향으로 확산부를 형성하여 공간과 인접하는 공간 사이가 펼쳐지도록 하는 자수형 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가 높은 음식을 섭취하고, 맑은 물 및 깨끗한 공기 등을 마시는 것과 편안한 수면으로 피로를 회복시켜 재충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편안한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매트(mat)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쿠션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수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으나, 난방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전열히터가 내장된 전기매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전기매트는 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 등의 발표로 전자파를 없앨 수 있도록 옥, 게르마늄, 황토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수의 건강부재가 적용된 기능성 매트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기능성 매트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2624호에 가열매트용 매트커버가 공개된 바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055호에 매트가 등록된 바 있다.
선행자료들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일라이트와 음이온을 방사하는 투어멀린 및 황토, 세라믹부재, 게르마늄 등의 알갱이가 투입된 기능성부재가 일정간격으로 매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알갱이에 의해 기능성부재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목이 접질려 다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능성부재와 기능성부재 사이에 골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골로 유입되어 끼이는 먼지의 청소가 쉽지 않아 비위생적이면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262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30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외피를 박음질하는 분리부에서 공간 방향으로 확산부를 형성하여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인접하는 공간 사이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공간으로 투입되는 기능성부재의 높이를 확산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보다 높지 않게 형성되도록 하는 자수형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확산부에 의해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인접하는 공간 사이가 펼쳐져 골이 깊게 형성되지 않아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자수형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자수형 매트는,
내피와;
외피; 및,
상기 내·외피를 일정간격으로 박음질하는 분리부에 의해 내·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과;
상기 분리부에서 공간 방향으로 박음질하여 기능성부재가 투입되는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되는 인접한 공간 사이가 펼쳐져 공간과 인접한 공간 사이의 골이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부는 직선모양 또는 물결모양 및 반원의 모양을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대향하게 박음질한다.
상기 확산부는 상기 분리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확산부는 대향되게 형성되거나 지그재그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기능성부재는 일라이트, 투어멀린, 황토, 세라믹부재, 게르마늄, 맥반석 및 옥의 알갱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외피를 박음질하는 분리부에서 공간 방향으로 확산부를 형성하여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인접하는 공간 사이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공간으로 투입되는 기능성부재의 높이를 확산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보다 높지 않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목이 접질려 다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부에 의해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된 인접하는 공간 사이가 펼쳐져 골이 깊게 형성되지 않아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수형 매트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수형 매트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매트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자수형 매트(100)는, 내피(110), 외피(120), 공간(130), 확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내피(110)는, 전열히터(미도시)가 밀착되는 구성으로, 전열히터(미도시)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외피(120)는, 합성수지와 섬유 및 하기에서 설명하는 기능성부재(150)가 이탈하지 않도록 망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130)은, 내·외피(110)(120)를 적층시킨 후, 내·외피(110)(120)를 실로 직선 또는 물결모양 및 반원의 모양을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박음질하는 분리부(131)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며, 상기 내·외피(110)(120) 사이에 복수로 형성되어 기능성부재(150)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확산부(140)는, 상기 분리부(130)에서 공간(130)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및 대향하거나 지그재그 대향하게 박음질하는 길이에 따라 기능성부재(150)가 투입되는 공간(130)과 기능성부재(150)가 투입되는 인접한 공간(130') 사이가 펼쳐져 공간(130)과 인접한 공간(130') 사이의 골이 확산되도록 한다.
상기 기능성부재(150)는 일라이트, 투어멀린, 황토, 세라믹부재, 게르마늄, 맥반석 및 옥 등의 기능성물질인의 알갱이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수형 매트(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정크기의 내피(110)와 외피(120)를 적층한 후, 상기 내·외피(110)(120)에 분리부(131)를 형성하는데, 상기 분리부(131)는 직선 또는 물결모양 및 반원의 모양을 지그재그로 박음질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131)에서 공간(130) 방향으로 일정간격 또는 대향되거나 지그재그 대향하게 박음질하는 확산부(140)를 형성하는데, 상기 확산부(140)는 대응하는 분리부(131) 간격의 1/4 이상 1/2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확산부(140)가 대응하는 분리부(131) 간격의 1/4 이하일 경우, 공간(130)이 넓어 기능성부재(150)의 투입이 용이하나, 분리부(131)와 기능성부재(150)의 높이 차가 최대로 발생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목이 접질려 다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고, 대응하는 분리부(131) 간격의 1/2 이상이 되면 공간(130)이 협소하여 기능성부재(150)의 투입이 용이하지 않으나 분리부(131)와 기능성부재(150)의 높이 차가 최소로 발생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목이 접질려 다치는 현상을 높이차가 최대로 발생할 때보다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확산부(140)가 형성되면, 공간(130)의 개구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내·외피(110)(120)를 박음질한 후, 일측이 폐쇄된 공간(130)으로 일라이트, 투어멀린, 황토, 세라믹부재, 게르마늄, 맥반석 및 옥 등의 알갱이와 같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는 기능성물질인 기능성부재(150)를 투입하고 막대기와 같은 도구로 가압하면서 폐쇄된 공간(130)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간(130)으로 기능성부재(150)를 투입하고, 공간(130)의 타측인 내·외피(110)(120)를 박음질하여 폐쇄함으로써, 공간(130)으로부터 기능성부재(1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자수형 매트(100)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부재(150)는 1~3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기능성부재(150)가 1mm 이하일 경우,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고, 상기 기능성부재(150)가 5mm 이상일 경우, 공간(130)으로의 투입이 원할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확산부(140)에 의해 기능성부재(150)가 투입된 공간(130)과 기능성부재(150) 투입된 인접하는 공간(130') 사이가 펼쳐져 확산됨으로써, 분리부(131)와 기능성부재(150)의 높이 차가 최소로 발생함은 물론 골이 깊게 형성되지 않아 청소가 간편하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자수형 매트(100)는 바닥판과, 발열히터(미도시)가 내장된 단열재에 적층되는 전기매트 또는 탄성부재에 대응되는 침대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매트는 통상의 전기매트이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히터가 발열하는데, 이는 발열히터의 온열온도 및 시간 선택에 따른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열히터에서 발열되는 열에 매트(100)는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매트(100)에 사용자가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열히터의 열은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꺼지고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켜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설정된 온도에 의해 사용자는 편안하게 수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130)에 투입된 기능성부재(15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음이온 등에 의해 사용자는 피로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부재(150)는 일라이트와 투어멀린, 황토, 세라믹부재, 게르마늄, 맥반석 및 옥의 알갱이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물질이면 기능성부재(150)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자수형 매트 110: 내피
120: 외피 130: 공간
140: 확산부 150: 기능성부재

Claims (5)

  1. 내피와;
    외피; 및,
    상기 내·외피를 일정간격으로 박음질하는 분리부에 의해 내·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과;
    상기 분리부에서 공간 방향으로 박음질하여 기능성부재가 투입되는 공간과 기능성부재가 투입되는 인접한 공간 사이가 펼쳐져 공간과 인접한 공간 사이의 골이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형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직선모양 또는 물결모양 및 반원의 모양을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대향하게 박음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형 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분리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형 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대향되게 형성되거나 지그재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형 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부재는 일라이트,투어멀린, 황토, 세라믹부재, 게르마늄, 맥반석 및 옥의 알갱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형 매트.
KR1020170033565A 2017-03-17 2017-03-17 자수형 매트 KR10195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65A KR101959525B1 (ko) 2017-03-17 2017-03-17 자수형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65A KR101959525B1 (ko) 2017-03-17 2017-03-17 자수형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027A true KR20180106027A (ko) 2018-10-01
KR101959525B1 KR101959525B1 (ko) 2019-03-26

Family

ID=6387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65A KR101959525B1 (ko) 2017-03-17 2017-03-17 자수형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535A (ko) * 2020-12-28 2022-07-05 이준영 차화기능을 갖는 복합섬유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69Y1 (ko) * 2001-11-20 2002-02-21 원 상 최 매트리스의 옥개재 구조
KR200273055Y1 (ko) 2002-01-18 2002-04-20 김정욱 매트
KR20040041830A (ko) * 2002-11-12 2004-05-20 임종근 온열매트의 건강부재 부착구조
KR20080004998U (ko) * 2007-04-25 2008-10-29 박해청 황토볼 매트 침대
KR20120002624U (ko) 2010-10-08 2012-04-18 김경철 가열매트용 매트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69Y1 (ko) * 2001-11-20 2002-02-21 원 상 최 매트리스의 옥개재 구조
KR200273055Y1 (ko) 2002-01-18 2002-04-20 김정욱 매트
KR20040041830A (ko) * 2002-11-12 2004-05-20 임종근 온열매트의 건강부재 부착구조
KR20080004998U (ko) * 2007-04-25 2008-10-29 박해청 황토볼 매트 침대
KR20120002624U (ko) 2010-10-08 2012-04-18 김경철 가열매트용 매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535A (ko) * 2020-12-28 2022-07-05 이준영 차화기능을 갖는 복합섬유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25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007A (ko) 메모리폼 베개
US20140305441A1 (en) Cushion for Crossed-Ankle and Other Body Part Support
KR101959525B1 (ko) 자수형 매트
TWM495137U (zh) 多重彈性之透氣墊體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101159200B1 (ko) 라텍스 쿠션부재와 온수호스에 의한 발열수단이 내장된 침대용 스프링 매트리스
KR101724422B1 (ko) 3d 입체 통풍 베개
KR102051429B1 (ko)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KR200247324Y1 (ko) 침대 매트리스
KR101293051B1 (ko) 약재내장쿠션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KR20150072658A (ko) 온열 매트리스
KR101788568B1 (ko) 온열 매트
JP4774389B2 (ja) 複合シート
KR102144915B1 (ko) 세라믹 에어 쿠션 온열전기 매트
KR102093739B1 (ko) 내부 포켓을 구비한 자수 매트
KR101314561B1 (ko) 사계절용 전열 카페트
KR20200111603A (ko)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KR200275636Y1 (ko) 건강보조용 매트리스
KR200217261Y1 (ko) 찜질매트
KR20030052924A (ko) 발열소자가 들어있는 기능성 매트리스
KR20240077319A (ko) 다기능 베개
KR200295889Y1 (ko) 황토매트
KR200361893Y1 (ko) 찜질매트
KR200415550Y1 (ko) 분리형 온열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