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923A -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 Google Patents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923A
KR20180104923A KR1020170031824A KR20170031824A KR20180104923A KR 20180104923 A KR20180104923 A KR 20180104923A KR 1020170031824 A KR1020170031824 A KR 1020170031824A KR 20170031824 A KR20170031824 A KR 20170031824A KR 20180104923 A KR20180104923 A KR 20180104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spring
bodies
main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363B1 (ko
Inventor
박중식
Original Assignee
박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식 filed Critical 박중식
Priority to KR102017003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3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헤드가 결합된 제1스틱본체와, 내측 상부로 연결수단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된 스틱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제3스틱본체와,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스틱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틱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패널이 더 구성되는 스틱본체; 상기 제1내지 제3스틱본체를 연결하며, 상단부가 상기 제1스틱본체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2스틱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3스틱본체에 결합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스틱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고정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수단의 신장, 또는 수축 작동의 범위를 제한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신장, 또는 수축 작용에 대한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Mountain climbing stick with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스틱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등산용 스틱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틱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바,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스포츠방면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골프클럽, 스키폴, 등산용 지팡이 등의 형태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특히 등산용 지팡이는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며, 산행가들에게는 산행시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그 수요가 많으며, 또한 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춘 등산용 스틱이 계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등산용 스틱은 지지용 파이프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지지용 파이프의 하부로는 지지용 파이프에 비해 직경이 작은 파이프가 재반되는 이음부의 구성으로 결합 형성되어 지지용 파이프 내부를 출입하도록 하는 다단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단형 파이프 구성을 갖는 등산용 스틱은 스틱의 사용시에는 파이프 내부를 출입하는 다른 파이프의 삽입거리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최적화된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불사용시에는 하나의 파이프에 다른 하나의 파이프의 전길이를 삽입함으로써 하나의 파이프 길이만큼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다단형 파이프 구성을 갖는 등산용 스틱은 하나의 이음부로 구성할 경우 불사용시 스틱의 축소 가능한 길이에 제한이 있어 휴대성이 떨어져 불편함을 안겨주게 되며, 여러 이음부로 구성할 경우 이음부재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며 제품의 긴밀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또한, 전술한 다단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등산용 스틱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단들에 대한 파이프들을 수동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부에 대한 별도의 수단이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단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에 대한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등산용 스틱 전체를 교환해야 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이 상승하여 결국 소비자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22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25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스틱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등산용 스틱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산용 스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헤드가 결합된 제1스틱본체와, 내측 상부로 연결수단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된 스틱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제3스틱본체와,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스틱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틱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패널이 더 구성되는 스틱본체; 상기 제1내지 제3스틱본체를 연결하며, 상단부가 상기 제1스틱본체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2스틱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3스틱본체에 결합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스프링 단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스틱본체에만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에만 구성되며, 상기 스틱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상기 스틱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연결수단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고정고리로 형성되며, 상기 스틱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고리는 제3스틱본체에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1 및 제3스틱본체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스틱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고정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의 신장, 또는 수축 작동의 범위를 제한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이 신장, 또는 수축 작용에 대한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스틱본체에만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제1스틱본체에 밀착 구성되고, 상단부만이 상기 제3스틱본체에 고정된 연결 와이어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실린더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고정되는 실린더 커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스틱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등산용 스틱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산용 스틱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산용 스틱은 적어도 3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는 스틱본체(100)와, 상기 스틱본체(100)의 내부에 구성되며,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을 연결하여 스틱본체(100)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틱본체(100)는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제1스틱본체(110)와, 스틱본체(100)의 가장 하위에 위치하는 제3스틱본체(130)와,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110, 130)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110, 130)를 연결하는 제2스틱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스틱본체(110)에는 그 상단부에 등산용 스틱을 이용하기 위한 손잡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헤드(10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 헤드(102)는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손잡이 헤드(102)에는 그 하단부에 후술할 연결수단의 상단부가 고정 결합되도록 안착되는 안착홈(104)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틱본체(100)가 총 3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스틱본체(120)가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4개, 5개의 스틱본체(100)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틱본체(100)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내지 제3스틱본체(110, 120, 130)가 서로 삽입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스틱본체(110, 120)의 하단 내주면에는 소정의 삽입홈(116, 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스틱본체(120, 1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삽입홈(116, 126)에 삽입되는 삽입부(128, 138)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스틱본체(110, 120)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128, 138)의 삽입되는 삽입량을 한정하고, 이와 동시에 등산용 스틱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패널(112, 122)이 더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패널(112, 122)에는 연결수단이 관통하면서 제1내지 제3스틱본체(110, 120, 1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홀(106)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3스틱본체(130)의 하측 단부에는 스틱 마감부재(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틱 마감부재(150)에는 지면과 직접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15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틱 마감부재(150)의 내측 상부면에는 후술할 연결수단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단부(154)가 더 구성되며, 상기 고정단부(154)는 연결수단이 실시되는 수단에 따라 소정의 홈(302)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고리(3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고리(304)는 연결수단이 결합되는 위치, 스틱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는 위치에 따라 제3스틱본체(130)에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1 및 제3스틱본체(110, 130)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고리(304)는 제1스틱본체(110)에 구비되는 경우, 손잡이 헤드(102)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후술할 제1고정 실린더(210)에 구성된 실린더 커버(240)에 구성될 수 있다.
연결수단은 제1내지 제3스틱본체(110, 120, 130)을 연결하며, 상단부가 제1스틱본체(110)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제2스틱본체(120)를 관통하면서 제3스틱본체(130)에 결합되어 제1내지 제3스틱본체(110, 120, 130)가 서로 일체로 구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통상의 스프링(1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140)의 신축 작동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스틱본체(10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을 평상시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을 하게 되며, 사용시에는 분리된 상태의 스틱본체(100)들이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등산용 스틱의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스프링(14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스틱본체(100)의 제1스틱본체(110)와 제3스틱본체(130)에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을 분리하게 되면, 스프링(140)이 신장되게 되고, 이후 스틱본체(100)를 연결하여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장된 스프링(140)이 수축되면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켜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분리된 상태의 스틱본체(100)들이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밴드(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0)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제1 및 제3스틱본체(110, 130)의 내부에만 스프링(140)이 내장될 수 있으며, 제2스틱본체(120)에는 상기 스프링(140)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160)가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스프링(140)의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140)과 연결 와이어(160)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140) 및 연결 와이어(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140)은 제2스틱본체(120)에만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와이어(160)가 각각 제1 및 제3스틱본체(110, 130)에 내장되어 스프링(140)과 연결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을 분리시키게 되면, 연결 와이어(160)가 스프링(140)을 신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후 분리된 상태의 스틱본체(100)들을 연결할 때에는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다수개의 스틱본체(100)들이 서로 연결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본체(100)가 4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140)은 복수의 제2스틱본체(120) 중 제1스틱본체(110)와 연결되는 상측부 제2스틱본체(120)와, 제3스틱본체(130)에만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스틱본체(100) 중에서 2단 및 4단에 위치하는 스틱본체(100)에 내장되는 것이고, 1단 및 3단에는 연결 와이어(160)가 내장될 수 있으나, 1단 내지 4단 모두 스프링(140)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틱본체(110)에만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제1스틱본체(110)에 밀착 구성되고, 상단부만이 연결 와이어(160)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내지 제3스틱본체(110, 120, 130)의 내부에 스틱본체(100)와 연결수단의 용이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산용 스틱의 유지 보수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는 상기 제1내지 제3스틱본체(110, 120, 13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것으로, 제1내지 제3 고정실린더(210, 220, 230)로 구성된다.
또한, 실린더 부재는 내부에 스프링(140), 또는 연결 와이어(160) 중 어느 하나가 내장되게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140)의 신장, 또는 수축 작동의 범위를 제한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제1스틱본체(110)에 수용되는 제1고정실린더(210)에는 스프링(140), 또는 연결 와이어(160)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의 홈, 또는 고정고리(304)가 형성된 실린더 커버(2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등산용 스틱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된 경우, 실린더 커버(240)를 제1고정실린더(210)로부터 분리하면서 제2 및 제3실린더 부재(22, 230)를 분리한 후, 이후 새로운 실린더 부재를 스틱본체(100)에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쉽고 간편한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린더 부재에는 연결수단의 스프링(140)이 신장, 또는 수축 작용에 대한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250)가 더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250)는 스프링(140)의 단부가 수용되며, 연결홀(106)과 연통되는 연통홀(254)이 형성된 가이드 패널(252)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 패널(252)의 상측 단부에는 스프링(140)의 신장, 또는 수축 작동시 일정 각도 만큼함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부(256)가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부재(250)는 스프링(140)이 내장되는 스틱본체(100)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 중 어느 한 곳에만 구성되거나, 또는 둘 모두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틱본체 110: 제1스틱본체
120: 제2스틱본체 130: 제3스틱본체
140: 스프링 150: 스틱 마감부재
160: 연결 와이어 210: 제1고정실린더
220: 제2고정실린더 230: 제3고정실린더
240: 실린더 커버 250: 가이드 부재

Claims (3)

  1. 손잡이 헤드가 결합된 제1스틱본체와, 내측 상부로 연결수단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된 스틱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제3스틱본체와,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스틱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틱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패널이 더 구성되는 스틱본체;
    상기 제1내지 제3스틱본체를 연결하며, 상단부가 상기 제1스틱본체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2스틱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3스틱본체에 결합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스프링 단독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스틱본체에만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3스틱본체에만 구성되며, 상기 스틱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상기 스틱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연결수단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고정고리로 형성되며, 상기 스틱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고리는 제3스틱본체에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1 및 제3스틱본체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스틱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고정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의 신장, 또는 수축 작동의 범위를 제한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이 신장, 또는 수축 작용에 대한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스틱본체에만 내장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제1스틱본체에 밀착 구성되고, 상단부만이 상기 제3스틱본체에 고정된 연결 와이어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실린더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고정되는 실린더 커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스틱.
KR1020170031824A 2017-03-14 2017-03-14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KR10194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824A KR101941363B1 (ko) 2017-03-14 2017-03-14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824A KR101941363B1 (ko) 2017-03-14 2017-03-14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23A true KR20180104923A (ko) 2018-09-27
KR101941363B1 KR101941363B1 (ko) 2019-01-22

Family

ID=6371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824A KR101941363B1 (ko) 2017-03-14 2017-03-14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4222A (zh) * 2021-04-25 2021-07-20 涂云鹏 一种武术训练用的便携式武术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58Y1 (ko) 2008-09-23 2011-02-14 이경석 등산용 스틱
KR101220229B1 (ko)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20140039155A (ko) * 2011-02-04 2014-04-01 레키스포르트 아게 특히 노르딕 워킹을 위한 접힘식 폴
EP2467039B1 (en) * 2009-08-21 2014-04-09 Nicholas Parry Walking sti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58Y1 (ko) 2008-09-23 2011-02-14 이경석 등산용 스틱
EP2467039B1 (en) * 2009-08-21 2014-04-09 Nicholas Parry Walking stick
KR20140039155A (ko) * 2011-02-04 2014-04-01 레키스포르트 아게 특히 노르딕 워킹을 위한 접힘식 폴
KR101220229B1 (ko)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4222A (zh) * 2021-04-25 2021-07-20 涂云鹏 一种武术训练用的便携式武术棍
CN113134222B (zh) * 2021-04-25 2022-05-24 涂云鹏 一种武术训练用的便携式武术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363B1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9210A1 (en) Atop localization mechanism of bell folding tent frame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WO2010064798A3 (ko) 캐노피 텐트
US9913542B2 (en) Chair with a tension-compression structure
KR101941363B1 (ko) 스프링이 내장된 등산용 스틱
US9974367B2 (en) Base structure for walking stick
KR101261788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195711B1 (ko) 접이식 지팡이
GB2425254A (en) Collapsible umbrella having wind-resisting structure
CN209489603U (zh) 伞套
CN207024551U (zh) 一种折叠式便携球网架
US20150335111A1 (en) Pole intended to be used as training equipment during walking
CN108775198A (zh) 简捷式多功能帐篷
EP3198093B1 (en) A tent frame and a tent
KR101878097B1 (ko) 등산용 스틱
CN211154142U (zh) 一种登山旅游用具有救援功能的登山杖
CN205460838U (zh) 一种舞蹈及健身可移动把杆
CN213049136U (zh) 一种可用作跳绳的呼啦圈
CN206979995U (zh) 一种便携式球网架
KR101629292B1 (ko) 고장이 없는 등산용 스틱
CN102704245B (zh) 组合套环
KR20190128972A (ko) 등산용 스틱과 텐트용 폴대의 연결부재
CN220326983U (zh) 一种折叠式登山杖
ITMI20020014U1 (it) Dispositivo ammortizzante per bastoncino
CN209596520U (zh) 一种便携式羽毛球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