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644A -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644A
KR20180104644A KR1020187022509A KR20187022509A KR20180104644A KR 20180104644 A KR20180104644 A KR 20180104644A KR 1020187022509 A KR1020187022509 A KR 1020187022509A KR 20187022509 A KR20187022509 A KR 20187022509A KR 20180104644 A KR20180104644 A KR 2018010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ce
signal
cluster
way
spectral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사 타파니 티롤라
카리 주하니 훌리
티모 에르키 룬틸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8010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은 업링크 통신들의 적절한 처리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방법은 제1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1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제1 물리적 자원 블록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인터레이스와 제2 인터레이스의 결합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결합은 각각의 측정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그러나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
[0001]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은 업링크 통신들의 적절한 처리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0002]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면허 보조 액세스(LAA: licensed assisted access)의 릴리즈 13(Rel-13)은 다른 기술들과 공존하고 규제 요건들을 충족시키면서 비면허 스펙트럼에 대한 면허 보조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l-13 LAA에서, LTE 다운링크(DL: downlink)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면허 스펙트럼이 이용될 수 있다.
[0003] Rel-13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LAA DL 2차 셀(SCell: secondary cell)들은 DL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구성의 일부로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 구성될 수 있는 반면, 1차 셀(PCell: primary cell)은 면허 스펙트럼 상에 있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LTE LAA는 LTE Rel-14의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의 LAA UL 송신들을 지원하도록 진화할 수 있다.
[0004] CA 프레임워크 기반의 Rel-13에서 표준화된 LTE LAA 접근 방식은 면허 대역에서 PCell을 통한 업링크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의 송신을 가정한다. 그러나 LAA는 이중 접속 동작에서뿐만 아니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하는 업링크 지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접근 방식들은 면허 스펙트럼에서의 PCell과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SCell(들) 사이의 이상적이지 않은 백홀을 허용할 수 있다. 3GPP Rel-14 작업 항목은 LAA UL 지원(LTE에 대한 강화된 LAA, RP-152272)을 도입하며, 그 전체가 이로써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0005] 더욱이,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의 독립형 LTE 동작이 있을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의 LTE 독립형 동작은 진화형 노드 B(eNB: evolved Node B)/UE 에어 인터페이스가 면허 스펙트럼 상의 어떠한 반송파도 없이 비면허 스펙트럼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MulteFire(MLF)는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의 독립형 LTE 동작을 통합하는 시스템의 한 예일 수 있다.
[0006] 비면허 반송파들 상에서의 LTE 동작에서는, 규제 규칙들에 따라 UE가 임의의 UL 송신 전에 말하기 전에 듣기(LBT: 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예외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는, WiFi 동작과 유사하게 DL 송신 직후에 LBT 없이 확인 응답/부정 응답(ACK/NACK: 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ement) 피드백의 송신이 가능할 수 있다. ETSI에 의해 유럽에 대해 정의된 짧은 제어 시그널링(SCS: short control signaling) 규칙들은 LBT를 수행하지 않고 50㎳ 기간 동안 5% 이하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제어 시그널링의 송신을 허용할 수 있다:
[0007] 정의: 짧은 제어 시그널링 송신들은 다른 신호들의 존재에 대해 채널을 감지하지 않고 관리 및 제어 프레임들(예컨대, ACK/NACK 신호)을 전송하기 위해 적응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들이다. 주: 적응 장비가 짧은 제어 시그널링 송신들을 구현할 필요는 없다. 구현된다면, 적응 장비의 짧은 제어 시그널링 송신들은 50㎳의 관측 기간 내에 5%의 최대 듀티 사이클을 가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0008] 추가로,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서, 스케줄링된 UL 송신들은 일반적으로, eNB가 LBT를 수행하기 전 DL 송신 바로 뒤에 그 송신이 이어질 때 LBT 없이 허용될 수 있으며, DL과 UL 모두를 커버하는 총 송신 시간은 조절기에 의해 정의된 최대 Tx 버스트 시간에 의해 제한된다.
[0009] 블록 인터리빙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B-IFDMA: block interleav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업링크 송신에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라인 업링크 송신 방식이다. ETSI와 같은 규제 규칙들에 의해 광대역 송신이 요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모든 신호(들)가 이웃 노드들에 의해 쉽게 검출 가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0010] 도 1은 10개의 동일한 간격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인터레이스들에 대한 B-IFDMA에 따른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송신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접근 방식은 물리적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 입도 면에서 LTE와의 우수한 공존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의 접근 방식은 우수한 다중화 용량: 최대 10개의 병렬 인터레이스들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가변적인 x개의 PRB들인 클러스터 크기 면에서, 가변 클러스터 크기에 의해 우수한 자원 확장성(scalability)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접근 방식은 또한 주어진 클러스터 크기를 갖는 모든 인터레이스들에 대해 고정된 크기의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다른 이점들은 PUCCH/PUSCH 다중화 및 ETSI 대역폭 점유 규칙들과의 호환성에 대한 우수한 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
[0011] 비면허 대역 사용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공정하고 동일한 스펙트럼 사용을 목표로 하는 서로 다른 규제 규칙들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한 규칙들은 점유된 채널 대역폭과 관련된 제한들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TSI 표준(ETSI EN 301 893, v.1.7.1)에서: "공칭 채널 대역폭은 언제나 적어도 5㎒이어야 한다. 점유된 채널 대역폭은 선언된 공칭 채널 대역폭의 80% 내지 100%이어야 한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들(다수의 송신 체인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의 경우, 송신 체인들 각각이 이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0012] 비면허 대역 사용에 관한 규칙들은 또한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 power spectral density)와 관련된 제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PSD 요건들은 서로 다른 많은 영역들에 존재한다(예컨대, 3GPP TR 36.889 참조). 예를 들어, 요건은 1㎒의 분해능 대역폭으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TSI 301 893 규격은 5150-5350㎒에 대해 10㏈m/㎒를 요구한다. 비슷한 제한들이 다른 장소들에서도 또한 수반된다. 예를 들어, 5.15 - 5.725㎒에 대한 피크 UE의 PSD는 미국에서는 11㏈m/㎒이다.
[0013] 도 2는 6개의 인터레이스들에 의한 B-IFDMA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클러스터 크기 = 1 PRB, 20㎒이다. 도 2에 예시된 이 설계는 각각이 16개 또는 17개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6개의 인터레이스들을 기반으로 한다.
[0014] 이 접근 방식에 대한 최대 Tx 전력은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a 최대 PSD 11 ㏈m/㎒  
b 18개의 클러스터들/18㎒에 의한 최대 Tx 전력 23.55 b= a + 10*log10(18)
c 16개의 클러스터들/18㎒에 의한 최대 전력 23.04 c= a + 10*log10 (16)
d 최대 전력 손실 0.51 d = b-c
[0015]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인터레이스들에 의한 최대 전력 손실은 단지 0.51㏈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6개의 인터레이스들을 갖는 설계는 단지 6명의 사용자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중화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중화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모두 수반할 수 있다. 더욱이, TDD 시스템에서, 어떤 UL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UE들 및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UL 제어 채널을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필요가 또한 있을 수 있다. 이들 모두는 높은 다중화 성능을 가질 중요성을 강조한다.
[0016] 추가로, PRB들의 수와 관련한 자원 크기는 인터레이스마다 다를 수 있다. 다수의 자원 크기들의 사용은 시스템 설계, 특히 제어 평면을 복잡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예에서는, 17개의 PRB들을 갖는 4개의 인터레이스들 및 16개의 PRB들을 갖는 2개의 인터레이스들이 있을 수 있다.
[0017] 6개의 인터레이스들 외에 고정된 크기의 자원들을 고려하는 것은 또한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원리에 따르면, 자원 크기는 인터레이스당 16개의 PRB들이 될 수 있다. 이것은 100㎒ 대역폭에서 4%의 추가 오버헤드에 해당하는 4개의 미사용 PRB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0018] 본 발명의 적절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들이 참조되어야 한다.
[0019] 도 1은 10개의 동일한 간격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인터레이스들에 대한 B-IFDMA에 따른 PUSCH 송신의 원리를 도시한다.
[0020] 도 2는 6개의 인터레이스들에 의한 B-IFDMA를 예시한다.
[0021] 도 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10개의 인터레이스들에 기반한 B-IFDMA 설계를 예시한다.
[0022]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B-IFDMA 인터레이스들의 결합을 예시한다.
[0023]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간격에 관한 B-IFDMA 인터레이스 A+B를 예시한다.
[0024]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클러스터 크기(x)의 함수로써 P loss,AB P max,AB 를 예시한다.
[0025]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B-IFDMA 인터레이스 A+B의 측정의 일례를 예시한다.
[0026]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을 예시한다.
[0027] 도 9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다.
[0028]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한다.
[0029] 특정 실시예들은 말하기 전에 듣기 규칙들을 조건으로 한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의 업링크(UL: uplink) 송신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은 ㏈m/㎒와 같은 제한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와 관련된 규제 규칙들에 따라 동작할 때 UL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은 업링크 동작에 대한 지원과 같은 3GPP LTE 면허 보조 액세스 강화들뿐만 아니라, 비면허 반송파들에 대한 가능한 독립형 동작에도 또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0030] 특정 실시예들은 조절기들에 의해 부과될 수 있는 최대 PSD 제한들을 구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적절한 설계 없이, UL 제어 신호와 같은 작은 송신 대역폭을 갖는 신호는 피크 PSD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감소된 송신 전력 및 감소된 커버리지로 이어질 수 있다. MLF와 같은 독립형 동작에서, 셀 커버리지는 랜덤 액세스(RA: random access) 프리앰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신 요청 확인 응답(HARQ-AC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ment), 그리고 특히, 짧은 PUCCH를 사용하는 경우,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과 같은 UL 제어 채널들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0031]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은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PSD 제한에 따라 동작할 때 그리고 송신에서 10개의 인터레이스들/클러스터들의 배수들이 적용될 때 UL 커버리지 확장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은 10개의 인터레이스들에 기반한 B-IFDMA 설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10개의 인터레이스들에 기반한 B-IFDMA 설계를 예시한다.
[003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들(0, 10, 20, 30 등)에서 음영을 사용하여 도시된 첫 번째 인터레이스가 고려된다. PSD 측정에 사용되는 분해능 대역폭은 1㎒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10개의 인터레이스들, 클러스터 크기 = 1 PRB, 20㎒ 공칭 시스템 대역폭, 18㎒ 점유 대역폭, 각각 180㎑인 100개의 PRB들에 의한 B-IFDMA를 예시한다.
[0033] 20㎒ 공칭 시스템 대역폭, 18㎒ 점유 대역폭(각각 180㎑인 100개의 PRB들)에 따른 최대 송신(Tx) 전력은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a 최대 PSD 11 ㏈m/㎒  
b 18개의 클러스터들/18㎒에 의한 최대 Tx 전력 23.55 b= a + 10*log10(18)
c 10개의 클러스터들/18㎒에 의한 최대 전력 21.00 c= a + 10*log10 (10)
d 최대 전력 손실 2.55 d = b-c
[0034] 표 2의 예는, 10개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설계가 0.9의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포함하여 LTE 수비학에 따라 달성 가능한 최대 Tx 전력에 비해 2.6㏈의 전력 손실을 겪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손실은, 클러스터 간격이 1㎒보다 더 크기 때문에 1-㎒ 측정 간격들 중 일부가 송신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즉, PRB 레벨당 PSD에 관하여 최적의 송신 전력은, 18㎒ 대역폭, 예컨대 각각 180㎑인 100개의 PRB들을 가정하면, 클러스터들의 수가 18과 같을 때 도달하게 될 수 있다.
[0035] 대안으로, 클러스터들의 수가 18보다 더 크다면, 1-㎒ 측정 간격들의 일부는 PUSCH의 180㎑ 또는 1개의 PR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최대 PSD는 그러한 측정 간격들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또한, PRB당 PSD가 모든 클러스터들에 대해 감소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송신 전력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0036] 특정 실시예들은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PSD 제한에 따라 동작할 때 UL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특정 구성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UL 송신은 매 10번째 PRB를 점유하는 2개의 B-IFDMA 인터레이스들 모두를 포함한다. 첫 번째 인터레이스인 인터레이스 A는 PRB a에서 시작할 수 있다. 두 번째 인터레이스인 인터레이스 B는 오프셋 b=a+5에서 시작할 수 있다.
[0037] 특정 실시예들에서, a ∈ [0, 1, 2, 3, 4]이다. 함께 연결된 2개의 B-IFDMA 인터레이스들은 단일 자원, 즉 "B-IFDMA 인터레이스 A+B"로 간주될 수 있다.
[0038] 인터레이스 A와 인터레이스 B의 클러스터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크기는 파라미터(x)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x ∈ [1, 2, 3, 4]이다.
[0039]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B-IFDMA 인터레이스들의 결합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클러스터 크기 = 1 PRB, 20㎒이다. 서로 다른 음영들로부터 확인될 수 있듯이, 결합된 B-IFDMA 인터레이스 A+B는 블록들(2, 12 등)에서의 인터레이스 A를 그리고 블록들(7, 17 등)에서의 인터레이스 B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0040] 신호 구조 B-IFDMA 인터레이스 A+B는, 신호가 1㎒와 같은 각각의 측정 간격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갖지만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측정 간격들은 사용된 채널 대역폭, 예를 들어 0.9*공칭 대역폭 내에 있을 수 있다. 즉, 클러스터들 사이의 간격은 측정 간격보다 더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클러스터 간격과 클러스터 크기의 합은 측정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들은 고르게 이격될 수 있다.
[0041]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갖지만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특징은 측정 간격 내에 있는 신호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의, 그러나 2개의 전체 클러스터들보다는 적은 대역폭을 가질 수 있는 상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 신호 부분은 하나의 B-IFDMA 인터레이스 A+B 신호의 하나 또는 2개의 물리적 클러스터들에 속할 수 있다.
[0042] 이러한 특성들은 조절기에 의해 주어진 PSD 한계를 충족하도록 적정한 전력 제어(PC: power control) 규칙들의 정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43]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간격에 관한 B-IFDMA 인터레이스 A+B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측정 간격은 1㎒이다.
[0044] 특정 실시예들은 B-IFDMA 인터레이스 A+B의 사용을 특별히 처리할 수 있다. 그 사용은 솔루션 #1로 지칭될 수 있는 UL 전력 제어 설정 및/또는 솔루션 #2로 지칭될 수 있는 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 및 드로핑(dropping)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솔루션들은 단독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0045] 첫 번째 솔루션은 B-IFDMA 인터레이스 A+B를 적용할 때 최대 송신 전력 값을 결정하기 위한 특정 방식에 기반할 수 있다. 최종 최대 송신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에 대한 규제 또는 규격 제한에 의해 더 제한될 수 있다. B-IFDMA 인터레이스 A+B를 적용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 값은 P max,AB 로 표시될 수 있다.
[0046] 이 값(P max,AB )은 최대 PSD가 1㎒ 대역폭 부분과 같은 측정 간격들 중 임의의 측정 간격에서 주어진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값(P max,AB )은 다음의 항들: 조절기에 의해 주어질 수 있는 최대 PSD/측정 간격인 PSD max (㏈m/㎒); 예를 들어, 20㎒ 또는 10㎒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TE에서 100개 또는 50개의 PRB들을 포함할 수 있는 채널 대역폭인 ChBW (㎒); 그리고 P loss,AB 로 표시된, 요구되는 전력 손실 또는 전력 감소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0047] PSD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ChBW=20㎒, 그리고 1㎒와 같은 측정 간격을 가정하면, 다음 식에 따라 P loss,AB 가 결정될 수 있으며: P loss,AB = 10*log10((100/18-5+X)) - 10*log10(number_of_clusters/number_of_measurement_intervals), 여기서 PRB들의 측정 대역폭은 1㎒와 같고(즉, 100개의 PRB들/18㎒), 점유되는 신호 대역폭은 사용된 채널 대역폭(=0.9*공칭 대역폭)에 대응하는 각각의 측정 간격(1㎒)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에, 그러나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에 대응한다. 클러스터 크기는 X와 같을 수 있으며 상수(5)는 인터레이스들 간의 클러스터 간격/오프셋에 해당할 수 있다.
[0048] 주어진 가정들에 따라, P loss,AB z개의 PRB들의 임의의 측정 대역폭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P loss,AB = 10*log10((z-5+X)) - 10*log10(number_of_clusters/number_of_measurement_intervals).
[0049] 그 다음에, P max,AB 가 다음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P max,AB (㏈m) = PSD max (
Figure pct00001
) + 10*log10(0.9*ChBW) - P loss,AB. 클러스터 크기 x = 1이고, PSD max =11㏈m/㎒인 B-IFDMA 인터레이스 A+B를 적용하면, P max,AB 는 표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A PSD max 11 ㏈m/㎒  
B P psd_max = PSD max + 10*log10(0.9*ChBW) 23.55 ㏈m b= a + 10*log10(18)
C P loss,AB 1.46 c= 10*log10(100/18 - 5+1) - 10*log10(20/18)
D P max,AB 22.09 ㏈m d = b-c
[0050] 표 3의 계산은 B-IFDMA 인터레이스 A+B에 대한 최대 전력 손실이 B-IFDMA 인터레이스 A 또는 B에 비해 1.09㏈(2.55-1.46) 더 작음을 보여준다. 또한, Ploss,AB는 아래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크기(x)를 증가시킬 때 더 감소한다. 더욱이, 6개의 인터레이스들, 그리고 대응하게 16개 또는 17개의 클러스터들을 갖는 경우와 비교할 때, 이용 가능한 자원 엘리먼트들의 수가 또한 더 높아서, 더 높은 코딩 이득을 허용한다.
[0051] 두 번째 솔루션은 B-IFDMA 인터레이스 A+B에 대한 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 및/또는 강하에 기반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현재 PC 규칙들을 기반으로 UL 송신을 위해 P unlimited 로 표시되는 초기 Tx 전력 값을 결정하고; 그리고 PSD 한계에 따른 최대 Tx 전력 값에 대응할 수 있는 P psd_max P unlimited 의 상한을 제한함으로써 P ltd 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P ltd = min (P unlimited , P psd_max ) 그리고 P psd_max = PSD max + 10*log10(0.9*ChBW)이다.
[0052] 두 번째 접근 방식은 또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논의한 첫 번째 솔루션에 따라 현재 B-IFDMA 인터레이스 A+B에 대한 최대 Tx 전력을 결정하며, 여기서 현재 B-IFDMA 인터레이스 A+B에 대한 최대 Tx 전력은 P max,AB 로서 표시될 수 있고; 그리고 P max,AB < P psd_max 라면, 측정 간격들 중 어느 것이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0053] 두 번째 접근 방식에서, 특별한 처리는 결정된 각각의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 또는 PRB들에 적용될 수 있다. 특별한 처리 후에, 각각의 측정 간격은 PSD 한계를 충족할 수 있다. 특별한 처리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PRB 드로핑, PRB 특정 전력 감소 및 부반송파 드로핑을 포함할 수 있다.
[0054] 첫 번째 솔루션과 두 번째 솔루션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은 한정이 아닌 일부 예들이다.
[0055] 첫 번째 솔루션을 다시 참조하면, 도 6은 측정 간격이 1㎒와 같고, PSD max 는 11㏈m/㎒에 대응하며, x는 1과 5 사이에서 변화한다고 가정하여, B-IFDMA 인터레이스 A+B에 대한 P loss,AB P max,AB 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클러스터 크기(x)의 함수로써 P loss,AB P max,AB 를 예시한다.
[0056] 특정 실시예들에서, B-IFDMA 인터레이스 A+B는 특정 UE들/채널들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B-IFDMA 인터레이스 A+B는 셀 에지에 위치된 UE들 및/또는 PSD 제한을 겪는 UE들에만 적용될 수 있다.
[0057] UE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셀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허용되는 주파수 측정 간격당 최대 송신 전력, 예컨대 11㏈m/㎒에 관한 또는 최대 PSD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E는 측정 간격당 최대 송신 전력에 대한 또는 최대 PSD에 대한 수신 한계들을 통합하는 송신 전력 제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UE는 수신된 최대 PSD 한계로 인해 UE가 송신 전력을 제한할 때 PSD 제한을 겪는다.
[0058] B-IFDMA 인터레이스 A+B의 사용은 eNB와 같은 액세스 노드에 의해 완전히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PUSCH의 경우, eNB는 UE로부터의, 예컨대 전력 헤드룸 보고에 포함된 UL 측정 및/또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B-IFDMA 인터레이스 A+B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RA 프리앰블의 경우, 선택은 DL 경로 손실 측정 및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된 미리 결정된 규칙들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59] B-IFDMA 인터레이스 A+B는 개별적으로 고려되는 A 또는 B와 같은 정규 B-IFDMA 인터레이스와 유사한 포맷들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레이스 A+B는 시퀀스 변조 또는 (DFT-S-)OFDMA를 적용할 수 있다.
[006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번째 솔루션은 PRB 또는 부반송파 드로핑을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로핑은 B-IFDMA 인터레이스 A+B 내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 엘리먼트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UE 및 eNB가 동일한 드로핑 규칙들을 따른다면, 결정론적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0061]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B-IFDMA 인터레이스 A+B의 측정의 일례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는, (20㎒, x = 1)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갖는 결정된 측정 간격들로 간주되는 4개의 측정 간격들(#1, #2, #10, #11)이 있다. 더욱이, 결정된 측정 간격들 내에 위치된 총 6개의 클러스터들이 존재한다.
[0062]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을 예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B들(5, 55)이 위치된 클러스터들은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로 간주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완전히 드로핑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핑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별한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 드로핑 후에는, 모든 측정 간격들이 최대한 하나의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0063] 특별한 처리는 결정된 측정 간격들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클러스터들에 적용될 수 있다. PRB 드로핑은 어떤 PRB도 전혀 송신되지 않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부반송파 드로핑은 PRB 드로핑과 유사할 수 있다. 송신되지 않는 부반송파들은 PRB 대신에 하나의 부반송파/자원 엘리먼트의 입도로 선택될 수 있다.
[0064] PRB/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는, 결정된 측정 간격 내의 미리 정해진 PRB/클러스터의 Tx 전력 또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각각의 측정 간격에 대한 PSD 한계가 충족되도록 감소될 수 있는 전력 제어에 대응할 수 있다.
[0065]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갖는 측정 간격들을 발견하거나 아니면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은 결정된 측정 간격들을 찾기 위한 방법의 일례이다. 이 예는 20㎒, 100개의 PRB들, 측정 간격 = 1㎒인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0066] 이 예에서, j = B-IFDMA 인터레이스 A+B의 상대적 클러스터 인덱스(0, 1, …, 19); m(j)= 클러스터 인덱스의 PRB 인덱스; m(j) ∈ [0, 1, …, 99]; 그리고 n= 측정 간격 인덱스(0, 1, …, 19)이다.
[0067]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한 측정 간격 인덱스 n(j) = floor (m(j) / (100/18))을 결정함으로써 결정이 시작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임의의 j에 대해 n(j) = n(j+1)이라면 클러스터(j)에 대해 특별한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0068] 도 9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910에서, 제1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1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인터레이스는 앞서 논의한 인터레이스 A일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920에서, 제1 물리적 자원 블록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인터레이스는 앞서 논의한 인터레이스 B일 수 있다. 구성은 제조업체 구성, 네트워크 업데이트, 수동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 구성과 같이 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메커니즘들도 또한 허용된다. 구성은 eNodeB와 같은 액세스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eNodeB는 PDCCH UL 그랜트를 갖는 UE에게 인터레이스 A 및 인터레이스 B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메커니즘들도 또한 허용된다.
[0069] 이 방법은 930에서, 제1 인터레이스와 제2 인터레이스의 결합에 기초하여 신호를 통신(예를 들어,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결합은 각각의 측정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그러나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결합은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B-IFDMA 인터레이스 A+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레이스와 제2 인터레이스 둘 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인터레이스들일 수 있다.
[0070] 930에서의 통신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910 및 920에서 eNB로부터 수신된 구성에 따라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eNodeB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0071] 제1 인터레이스와 제2 인터레이스의 결합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은 셀 에지에 위치되는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또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을 겪는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를 수 있다. 이 결합을 예를 들어, 업링크 통신들에 적용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 장비 특정 기반들도 또한 허용된다.
[0072] 제1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는 제2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크기들도 또한 허용된다.
[0073]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임의의 측정 간격에서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것을 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첫 번째 솔루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측정 간격당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또한 또는 대안으로, 채널 대역폭을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또한 또는 대안으로, 필요한 전력 감소를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송신 전력 제어 프로시저에 통합될 수 있다.
[0074] 특정 실시예들에서,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두 번째 솔루션을 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에 기반하여 그리고/또는 클러스터 특정 드로핑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0075]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초기 무제한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할 수 있다.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또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 내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방법은 940에서, 측정 간격이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945에서,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에 대한 특별한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76] 특별한 처리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가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해 충족됨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별한 처리는 물리적 자원 블록 드로핑, 물리적 자원 블록 특정 전력 감소 또는 부반송파 드로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77] 도 10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9의 흐름도의 각각의 블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 및/또는 회로와 같은 다양한 수단들 또는 이들의 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엘리먼트(1010) 및 사용자 장비(UE)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1020)와 같은 여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하나보다 많은 UE(1020) 및 하나보다 많은 네트워크 엘리먼트(101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예시를 위해 각각의 하나씩만 도시된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eNode B(eNB)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 각각은 1014 및 1024로 각각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가 제공될 수 있고, 이는 각각 1015 및 1025로 표시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 또는 그에 포함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트랜시버(1016, 1026)가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디바이스는 1017 및 1027로 각각 예시된 안테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각각 단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지만, 많은 안테나들 및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디바이스들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다른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엘리먼트(1010) 및 UE(1020)는 무선 통신 외에도 유선 통신을 위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안테나들(1017, 1027)은 단지 안테나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형태의 통신 하드웨어를 예시할 수 있다.
[0078] 트랜시버들(1016, 10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또는 송신 및 수신 둘 다를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유닛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부품들에 관한 한)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는 디바이스 자체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마스트(mast)에 위치되는 원격 무선 헤드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유동적인" 또는 유연한 무선 개념에 따르면, 동작들 및 기능들은 노드들, 호스트들 또는 서버들과 같은 서로 다른 엔티티들에서 유연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고 또한 인식되어야 한다. 즉, "노동의 분할"은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용도는 로컬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만드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들은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되는 가상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0079]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1020)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이를테면 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폰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컴퓨터, 이를테면 무선 통신 성능들이 구비된 태블릿, 무선 통신 성능들이 구비된 개인용 데이터 또는 디지털 보조 기기(PDA),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포켓 비디오 카메라, 무선 통신 성능들이 구비된 내비게이션 유닛,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들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1020)는 센서 또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 또는 대개는 단일 위치에 대해 구성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008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드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는 도 4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81] 프로세서들(1014, 1024)은 임의의 연산 또는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이를테면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디지털 방식으로 강화된 회로들,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단일 제어기 또는 복수의 제어기들 또는 프로세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들은 로컬 구성으로, 클라우드 구성으로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프로세서들의 풀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82]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구현은 적어도 하나의 칩셋의 모듈들 또는 유닛(예컨대,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들(1015, 1025)은 독립적으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적절한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들은 프로세서로서 단일 집적 회로 상에 결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예를 들어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메모리 또는 데이터 저장 엔티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있지만, 이를테면 추가 메모리 용량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얻어지는 경우에는 또한 외부에 있거나 또는 그 결합일 수 있다. 메모리는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할 수 있다.
[0083]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세서와 함께, 네트워크 엘리먼트(1010) 및/또는 UE(1020)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프로세스들 중 임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9 참조).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 중 하나와 같은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명령들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퓨터 프로그램(이를테면,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 루틴, 애플릿 또는 매크로)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이를테면 오브젝티브 C(objective-C), C, C++, C#, 자바 등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 이를테면 기계어 또는 어셈블러일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코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에서 수행될 수 있다.
[0084] 더욱이, 도 10은 네트워크 엘리먼트(1010) 및 UE(102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논의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 및 추가 엘리먼트들을 수반하는 구성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 및 다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존재할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 및 액세스 포인트, 이를테면 중계 노드의 기능을 결합하는 노드들과 같이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노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0085] 특정 실시예들은 다양한 이점들 및/또는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양호한 다중화 특성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업링크 커버리지가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들은 10개의 인터레이스들 및 10개의 클러스터들, 20㎒와 완전히 호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또한 최대 다중화 용량을 갖는 ETSI 대역폭 점유 규칙을 충족시킬 수 있다.
[0086] 추가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B-IFDMA 인터레이스 A+B와 같은 결합된 인터레이스는 커버리지가 제한된 UE들에 의해서만 적용될 수 있는 한편, 대다수의 UE들은 보다 우수한 다중화 특성들을 갖는 10개의 인터레이스들을 적용할 수 있다.
[0087]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앞서 논의한 본 발명이 서로 다른 순서의 단계들로 그리고/또는 개시된 구성들과는 다른 구성들의 하드웨어 엘리먼트들로 실시될 수 있다고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그대로 유지하면서 특정한 수정들, 변형들 및 대안적인 구성들이 명백할 것임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0088] 약어들의 목록
[0089] 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0090] ACK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0091] ARI ACK/NACK 자원 표시자(ACK/NACK resource Indicator)
[0092] B-IFDMA 블록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Block Interleav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0093] BW 대역폭(BandWidth)
[0094] CA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0095] CCE 제어 채널 엘리먼트(Control Channel Element)
[0096] CDM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0097] CRC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0098] CS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0099]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0100] DL 다운링크(Downlink)
[0101] eNB 진화형 NodeB(Evolved NodeB)
[0102] ETSI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0103]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0104] FDM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
[0105] HARQ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신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0106] IFDMA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Interleav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0107] LAA 면허 보조 액세스(Licensed Assisted Access)
[0108] LBT 말하기 전에 듣기(Listen-Before-Talk)
[0109]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0110] NACK 부정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0111]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0112] SC-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화(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0113] PCell 1차 셀(Primary cell)
[0114] P-CSI 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0115]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0116] PRA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0117] PRB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0118] PUC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0119] PU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0120] RRC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0121] TDD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0122] TDM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
[0123] Tx 송신(Transmission)
[0124] TXOP 송신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0125] UCI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0126]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0127] UL 업링크(Uplink)
[0128] DFT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0129] PC 전력 제어(Power Control)
[0130]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제1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1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제1 물리적 자원 블록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인터레이스와 제2 인터레이스의 결합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결합은 각각의 측정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그러나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31] 변형에서, 제1 인터레이스 및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액세스 노드가 업링크 그랜트의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액세스 노드에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132] 변형에서, 제1 인터레이스 및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그랜트의 구성을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액세스 노드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133] 변형에서, 제1 인터레이스와 제2 인터레이스는 둘 다 블록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인터레이스들이다.
[0134] 변형에서, 신호는 업링크 신호를 포함한다.
[0135] 변형에서, 제1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는 제2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와 동일하다.
[0136] 변형에서,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임의의 측정 간격에서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것을 피하도록 제어된다.
[0137] 변형에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측정 간격당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0138] 변형에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채널 대역폭을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0139] 변형에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필요한 전력 감소를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0140] 변형에서,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하게 제어된다.
[0141] 변형에서,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에 기반하여 제어된다.
[0142] 변형에서,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드로핑에 기반하여 제어된다.
[0143] 변형에서,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초기 무제한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할 수 있다.
[0144] 변형에서,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 내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할 수 있다.
[0145] 변형에서, 방법은 측정 간격이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에 대한 특별한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146] 변형에서, 특별한 처리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가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해 충족됨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0147] 변형에서, 특별한 처리는 물리적 자원 블록 드로핑, 물리적 자원 블록 특정 전력 감소 또는 부반송파 드로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0148]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그 변형들 중 임의의 변형에서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149]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그 변형들 중 임의의 변형에서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50]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그 변형들 중 임의의 변형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0151]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그 변형들 중 임의의 변형에서 수행하는 명령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0152]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라 각각,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2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53] 이에 첨부된 부록은 특정 실시예들의 동작 원리들의 개선된 이해를 위해 예시적이며 비-한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0)

  1. 방법으로서,
    제1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1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물리적 자원 블록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터레이스와 상기 제2 인터레이스의 결합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은 각각의 측정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그러나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 및 상기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액세스 노드가 업링크 그랜트의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 및 상기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그랜트의 구성을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액세스 노드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와 상기 제2 인터레이스는 둘 다 블록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인터레이스들인,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업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는 상기 제2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와 동일한,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임의의 측정 간격에서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것을 피하도록 제어되는,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측정 간격당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채널 대역폭을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필요한 전력 감소를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하게 제어되는,
    방법.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방법.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드로핑(dropping)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방법.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초기 무제한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하는,
    방법.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 내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하는,
    방법.
  16.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간격이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에 대한 특별한 처리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처리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가 상기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해 충족됨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처리는 물리적 자원 블록 드로핑, 물리적 자원 블록 특정 전력 감소 또는 부반송파 드로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9. 장치로서,
    제1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1 인터레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물리적 자원 블록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시작 물리적 자원 블록을 갖는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인터레이스와 상기 제2 인터레이스의 결합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은 각각의 측정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그러나 2개 미만의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 및 상기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액세스 노드가 업링크 그랜트의 구성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 및 상기 제2 인터레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가 업링크 그랜트의 구성을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액세스 노드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19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와 상기 제2 인터레이스는 둘 다 블록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인터레이스들인,
    장치.
  23. 제19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업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19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는 상기 제2 인터레이스의 클러스터 크기와 동일한,
    장치.
  25. 제19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임의의 측정 간격에서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것을 피하도록 제어되는,
    장치.
  26. 제19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측정 간격당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7. 제19 항 내지 제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채널 대역폭을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8. 제19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어는 필요한 전력 감소를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9. 제19 항 내지 제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하게 제어되는,
    장치.
  30. 제19 항 내지 제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전력 제어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장치.
  31. 제19 항 내지 제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클러스터 특정 드로핑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장치.
  32. 제29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초기 무제한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하는,
    장치.
  33. 제29 항 내지 제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특정 제어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 내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고려하는,
    장치.
  34. 제19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간격이 하나보다 많은 클러스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그리고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클러스터들에 대한 특별한 처리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장치.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처리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한계가 상기 결정된 측정 간격에 대해 충족됨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6. 제34 항 또는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처리는 물리적 자원 블록 드로핑, 물리적 자원 블록 특정 전력 감소 또는 부반송파 드로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7.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는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는,
    장치.
  38.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인코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는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9.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때,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명령들로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스는 제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0. 시스템으로서,
    제19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각각,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2개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87022509A 2016-01-06 2017-01-05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 KR20180104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75537P 2016-01-06 2016-01-06
US62/275,537 2016-01-06
PCT/EP2017/050185 WO2017118687A1 (en) 2016-01-06 2017-01-05 B-ifdma configuration for unlicensed band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44A true KR20180104644A (ko) 2018-09-21

Family

ID=5786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509A KR20180104644A (ko) 2016-01-06 2017-01-05 비면허 대역 동작을 위한 업링크 커버리지 확장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16641B2 (ko)
EP (1) EP3400669A1 (ko)
JP (1) JP2019508930A (ko)
KR (1) KR20180104644A (ko)
CN (1) CN108713305B (ko)
WO (1) WO2017118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0473A1 (en) * 2016-02-05 2021-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rs design for unlicensed carriers
US11122566B2 (en) * 2017-07-2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design based on power spectral density (PSD) parameters
CN117353886A (zh) * 2017-11-15 2024-01-0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5g nr中的功率余量报告
GB2568672B (en) 2017-11-17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WP setup and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0750492B2 (en) * 2017-12-20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ssignment in NR-SS
KR102124496B1 (ko) * 2018-02-14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간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7126562B2 (ja) * 2018-05-04 2022-08-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アップリンク参照信号の送信
EP3764712B1 (en) 2018-09-18 2023-02-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0168316A1 (en) * 2019-02-15 2020-08-20 Apple Inc. Wideband interlace design for physical uplink channel in nr-unlicensed
WO2020261515A1 (ja) * 2019-06-27 2020-12-3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US11974136B2 (en) 2019-08-05 2024-04-30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new radio-unlicensed (NR-U)
KR102557582B1 (ko) * 2019-10-04 2023-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BR112022008621A2 (pt) 2019-11-08 2022-08-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indicação de informações, dispositivo de rede, e terminal
US11438862B2 (en) * 2020-05-14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interlaced physical resource blocks for positioning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1216B2 (en) * 2005-08-09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nd interference estimation in single-carrier and 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CN101577612B (zh) * 2008-05-07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多输出系统的数据传输方法、系统及装置
US8693571B2 (en) * 2010-03-12 2014-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DCT-OFDM
US9930678B2 (en) 2012-07-19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UEs with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and some techniques to mitigate UE-to-UE and base station-to-base station interference
US10285167B2 (en) * 2013-09-20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US9743432B2 (en) * 2013-09-23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LTE-U uplink waveform and variable multi-subframe scheduling
US10687218B2 (en) * 2013-12-03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etric optimization and uplink DM-RS design for LTE/LTE-A uplink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US11743897B2 (en) * 2013-12-20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uplink channels i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s
US9860810B2 (en) * 2014-02-11 2018-0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change based on uplink configuration
US10659967B2 (en) * 2014-06-10 2020-05-19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usage beacon signal transmissions based on uplink transmission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867187B2 (en) * 2014-08-04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uplink channel transmission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JP2018152624A (ja) * 2015-08-05 2018-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8687A1 (en) 2017-07-13
US20200169368A1 (en) 2020-05-28
EP3400669A1 (en) 2018-11-14
CN108713305A (zh) 2018-10-26
US11316641B2 (en) 2022-04-26
JP2019508930A (ja) 2019-03-28
CN108713305B (zh) 2021-03-02
US20220255702A1 (en) 2022-08-11
US11777687B2 (en)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7687B2 (en) B-IFDMA configuration for unlicensed band operation
CN108293268B (zh) 非授权带中的信道接入的方法、设备和系统
CN110999152B (zh) 上行链路确收映射和资源分配
US20230224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uration of a repetition of a transport block
US20200127773A1 (en) Carrier aggregation with variable transmission durations
KR102444764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CN109644485B (zh) 多个dci的冲突处理
RU2758075C1 (ru) Конфигурация ресурса запроса планирования
US104118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0637A (ko) 그랜트-프리 업링크 전송을 위한 전력 제어를 갖는 방법 및 장치
JP74325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バンド基盤のチャンネル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CN112997558A (zh) 用户设备、基站和方法
CN113615244A (zh) 用户设备、基站和方法
CN112655257A (zh) 基站和方法
EP3360367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elf-contained air interface partitions
US1141913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CN112470514A (zh) 基站和方法
US11616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208372A (zh) 用户装备、基站和方法
KR202000808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7058640B2 (ja) 電力ヘッドルームレポート方法及び装置
CN116235621A (zh) 用户装备、基站和方法
US20200287671A1 (en) Block-ifdma multiplexing scheme with flexible payload
US20210329693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method for a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a base station
CN114531964A (zh) 用户装备、基站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