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012A - A polyester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hard coat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polyester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hard coat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012A
KR20180104012A KR1020187023552A KR20187023552A KR20180104012A KR 20180104012 A KR20180104012 A KR 20180104012A KR 1020187023552 A KR1020187023552 A KR 1020187023552A KR 20187023552 A KR20187023552 A KR 20187023552A KR 20180104012 A KR20180104012 A KR 20180104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rd coat
group
polyester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2794B1 (en
Inventor
신이치 나카이
게이고 우에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6258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040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947B1/en
Publication of KR2018010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2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thre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두께가 40~500μm이며,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A와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B의 평균값이 30~100MPa인 폴리에스터 필름이다.A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to 500 占 퐉 and having an average vertical stress A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surface layer of 1 占 퐉 and an average vertical stress B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film plane of 30 to 100 MPa .

Figure P1020187023552
Figure P1020187023552

Description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A polyester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hard coat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olyester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hard-coated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touch panel.

화학 강화 유리가 이용되고 있던 용도에 있어서, 하드 코트재의 고경도화 기술 진전에 따라, 기재 필름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하드 코트 필름의 유리 대체가 주목받고 있다. 하드 코트 필름의 일례로서는, 터치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의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In applications where chemically tempered glass has been used, the substitution of glass as a hard coat film in which a hard coat layer is laminated on a substrate film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the hardening technique of the hard coat material progresses. An example of the hard coat film is a protective film on the outermost surfac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touch panel.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한쪽의 면 상에 기능층이 형성되어 적층체를 이루는 적층 기재로서, 면내의 복굴절성을 갖는 광투과성 기재와,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laminated base material in which a functional layer is formed on one side to form a laminate, a light-transmissive base material having birefringence in a plane,

광투과성 기재와 적층되어 면내의 복굴절성을 갖는 굴절률 조정층으로서, 광투과성 기재와 기능층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굴절률 조정층을 구비하고,And a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which is laminated on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has a birefringence in the plane, the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being located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nd the functional layer,

광투과성 기재의 면내에 있어서의 가장 굴절률이 큰 방향인 지상축(遲相軸)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n1x,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조정층의 굴절률 n2x, 및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과 평행이 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능층의 굴절률 n3x가,The refractive index n 1x in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which is the direction with the greatest refractive index in the plan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the refractive index n 2x of the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light- And the refractive index n 3x of the functional lay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n1x<n2x<n3x, 또는 n1x>n2x>n3x n 1x <n 2x <n 3x , or n 1x > n 2x > n 3x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Lt; / RTI &gt;

광투과성 기재의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진상축(進相軸)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n1y,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 조정층의 굴절률 n2y, 및 광투과성 기재의 진상축 방향과 평행이 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능층의 굴절률 n3y가,A refractive index n 1y in the direction of the fast axis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a refractive index n 2y of the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The refractive index n3y of the functional lay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substrate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n3y of the functional layer,

n1y<n2y<n3y, 또는 n1y>n2y>n3y n 1y <n 2y <n 3y , or n 1y > n 2y > n 3y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적층 기재"가 개시되어 있다.Quot; laminated substrate "is satisfied.

특허문헌 2에는, "적어도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고, 양최표층의 폴리에스터층이 중간층보다 연화점이 높은, 다층 폴리에스터 필름의 양면에 도포층을 형성하고, 한쪽의 도포층 표면에 점착층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도포층이, 가교제를 불휘발 성분에 대하여 70중량% 이상 함유하는 도포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both surfaces of a multilayer polyester film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t least three or more layers and the polyester layer of the substrate surface layer has a higher softening point than the middl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 Wherei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f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in an amount of 7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nonvolatile component.

특허문헌 3에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 1축 배향 폴리에스터 필름: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mono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그 필름 표면에 고저차 1μm 이상의 흠집이 1m2당 1개 이하이고, 또한 고저차 0.3μm 이상 1μm 미만의 흠집이 1m2당 20개 이하이며,(1) the surface of the film has scratches of 1 μm or more in height difference of 1 or less per 1 m 2 , and scratches of 0.3 μm or more and less than 1 μm in height difference of 20 or less per 1 m 2 ,

(2) 그 필름에 장경 100μm 이상의 이물이 1m2당 1개 이하이고,(2) the number of foreign matter having a diameter of not less than 100 mu m per 1 m &lt; 2 &gt;

(3) 그 필름 표면의 3차원 평균 표면 거칠기(SRa)가 0.020~0.060μm의 범위이며, 및(3) the three-dimensional average surface roughness (SRa) of the film surface is in the range of 0.020 to 0.060 mu m, and

(4) 마이크로파 투과형 분자 배향계로 측정한 그 필름의 배향 주축의 최대 왜곡이 7도 이내이다."가 개시되어 있다.(4) The maximum distortion of the main axis of alignment of the film measured by a microwave transmission type molecular alignment meter is within 7 degrees. "

특허문헌 4에는, "A층, B층 및 C층 중 적어도 3층의 폴리에스터층으로 이루어지는 1축 배향 공압출 적층 필름으로서, 최외층인 A층 및 C층은, 평균 입경이 0.1~5.0μm인 불활성 입자를 0.01~0.5중량%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호모의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인 B층은, 다이카복실산 성분, 지방족 또는 지환식의 다이올 성분 및 수평균 분자량이 300~4000인 폴리알킬렌에터글라이콜 성분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며, 폴리알킬렌에터글라이콜 성분을 10~35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B층의 전체 필름 두께에서 차지하는 두께 비율이 6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터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uniaxially oriented coextruded laminated film comprising a polyester layer of at least three layers of an A layer, a B layer, and a C layer, wherein the outermost layer A and the layer C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5.0 μm Wherein the B layer as the intermediate layer is composed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liphatic or alicyclic diol component, and a polyalkyl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to 4000 And a ratio of the thickness occupied by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B layer to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polyester is 65 to 95% Quot; un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

특허문헌 5에는, "하기 식을 충족시키는 폴리에스터 필름;Patent Document 5 discloses that "a polyester film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0m≤CS<0.003L2/8W0m? C S <0.003L 2 / 8W

0m≤CCT<0.003L2/4W0m? C CT < 0.003L 2 / 4W

0.8m≤W≤6.0m0.8m? W? 6.0m

20m≤L≤30m20m? L? 30m

식 중, CS[단위: m]는 필름의 전체 폭 원호의 값을 나타내고, CCT[단위: m]는 필름폭 방향 센터 위치의 반재(半裁) 원호의 값을 나타내며, W[단위: m]는 필름폭을 나타내고, L[단위: m]은 전체 폭 원호 및 반재 원호 측정 시의 필름 길이를 나타낸다."가 개시되어 있다.Where C S [unit: m] represents the value of the full width arc of the film, C CT [unit: m] represents the value of the half circular arc of the center position in the film width direction, W [unit: m ] Represents the film width, and L [unit: m] represents the film length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full-width arc and the semi-circular arc ".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7550호Patent Document 1: JP-A-2013-257550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28897호Patent Document 2: JP-A-2015-128897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220호Patent Document 3: JP-A-2005-2220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1788호Patent Document 4: JP-A-2004-351788 특허문헌 5: 국제 공개공보 제2015/46122호Patent Document 5: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5/46122

특허문헌 1~5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에서는, 전단면 수직 응력이 불충분하고,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오목부가 발생하기 쉽다. 이들 필름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면, 하드 코트층의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In the film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5, the vertical stress at the front surface is insufficient, and when the load is locally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the concave portion is apt to occur. It is considered that cracking or peeling of the hard coat layer tends to occur when a hard coat film obtained by laminating a hard coat layer on these films is produced and subjected to punching processing.

본 개시는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오목부가 발생하기 어려운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polyester film in which a concave portion is less likely to be generated even when a load is locally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또, 본 개시는 폴리에스터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여 펀칭 가공할 때에, 하드 코트층의 균열 및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rd coat film which hardly causes cracking and peeling of a hard coat layer when a hard coat film obtained by laminating a hard coat layer on a polyester film is produced and punched, .

또한, 본 개시는 표시 화면에 국소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무지개 불균일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touch panel in which deterioration of visibility due to irregularity in irregularity is suppressed even if a locally applied load is applied to a display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llowing means are provided.

<1> 두께가 40~500μm이며,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A와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B의 평균값이 30~100MPa인 폴리에스터 필름.&Lt; 1 >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lt; 1 &gt; to &lt; 1 &gt;, wherein the thickness is 40 to 500 [mu] m, the vertical stress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layer at 1 mu m and the average vertical stress B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Ester film.

<2>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용인 <1>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Lt; 2 >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 1 >, which is a substrate film of a hard coat film.

<3> 1축 배향 폴리에스터 필름인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3>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1> or <2>, which is a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4>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가 4000~50000nm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Lt; 4 >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 1 > to < 3 >, wherein the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is 4000 to 50000 nm.

<5>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항복 응력과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항복 응력의 평균값이 20~60MPa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Lt; 5 >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 1 > to < 4 >, wherein the average value of the shear yield stress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surface layer of 1 μm and the shear yield 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film plane is 20 to 60 MPa &Lt; / RTI &gt;

<6> 전단면 수직 응력 B에 대한 전단면 수직 응력 A의 비가 1.1~2.0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6>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ratio of the normal shear stress to the shear vertical stress B is 1.1 to 2.0.

<7>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필름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에 대한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의 비가 0.6~1.2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7>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ratio of the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to the retardation Rth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of the polyester film is 0.6 to 1.2.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 중 적어도 편면 상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Lt; 8 > A hard coat film having a base film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 1 > to < 7 >, and a hard coat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9>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5μm 이상인 <8>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9>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8>, wherein the hard coat layer has a thickness of 5 μm or more.

<10> 하드 코트층이,&Lt; 10 >

적어도 하기 a) 유래의 구조, 하기 b) 유래의 구조, 하기 c) 및 하기 d)를 포함하고,At least the structure derived from a), the structure derived from b), the structure derived from c) and d)

하드 코트층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하기 a) 유래의 구조를 15~70질량%, 하기 b) 유래의 구조를 25~80질량%, 하기 c)를 0.1~10질량%, 하기 d)를 0.1~10질량% 포함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The hard coat layer contains 15 to 70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a), 25 to 80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b), and 0.1 to 0.1 mass%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c) in the case where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mass% To 10% by mass, and d) from 0.1% by mass to 10% by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hard coat film.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a)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b)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three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c) 라디칼 중합 개시제c)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d) 양이온 중합 개시제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11> 화상 표시 소자 및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고,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11>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a hard coat film described in any one of <8> to <10>, wherein the hard coat film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12>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고,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12> A touch panel comprising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8> to <10>, wherein the hard coat film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13>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각각 주행하는 복수의 클립을 구비한 가로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13> A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lips running along a pair of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a film conveying path,

미연신의 또는 세로 연신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600℃/min 이하의 승온 속도로 예열하는 예열 공정과,A preheating step of preheating an unoriented or vertic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at a heating rate of 600 DEG C / min or less,

예열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양 가장자리를 복수의 클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필름 반송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 연신을 행하고, 가로 연신 개시부터 가로 연신 종료까지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켜, 가로 연신 개시 시의 표면 온도를 80℃ 이상 95℃ 이하이고, 또한 가로 연신 종료 시의 표면 온도를 90℃ 이상 105℃ 이하로 제어하여, 가로 연신 배율을 3.3배 이상 4.8배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는 가로 연신 공정과,Transversely stretching wa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of the preheated polyester film were gripped by a plurality of clips and stretch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lm transport path to gradually increa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from the start of transverse stretching to the end of transverse stretching ,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ransverse stretching is controlled to be not lower than 80 ° C. and not higher than 95 ° C. and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transverse stretching is controlled to be not lower than 90 ° C. and not higher than 105 ° C. to set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within the range of 3.3 times to 4.8 times A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for controlling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가로 연신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 장치 내에서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열고정하는 열고정 공정을 포함하며,And a heat fixation step of thermally fix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by heating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두께가 40~500μm인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to 500 占 퐉.

<14>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표면 온도를 60℃/min 이하의 승온 속도로 서서히 상승시켜,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를 80℃ 이상 92℃ 이하로,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를 85℃ 이상 97℃ 이하로, 및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를 90℃ 이상 102℃ 이하로 제어하는 <13>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14>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surfac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at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60 ° C./min or less to set the surface temperature at 80 ° C. or higher and 92 ° C. or lower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1 × to 2 × ,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2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is controlled to be 85 占 폚 or more and 97 占 폚 or les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3 times or more is controlled to be 90 占 폚 or more and 102 占 폚 or less &Lt; 13 >.

<15> 가로 연신 공정의 종료부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를 1000℃/min 이하로 제어하고,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최고 도달 표면 온도를 130℃ 이상 230℃ 이하로 제어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가 130℃를 넘는 시간을 180초 이하로 제어하는 <13> 또는 <14>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15>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15>, wherein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 setting process is controlled to 1000 ° C./min or less,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 13 > or &lt; 14 &gt;, wherein the maximum arrival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m is controlled to 130 deg. C or higher and 230 deg. C or lower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exceeds 130 deg. Way.

<16> 열고정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열하고, 또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가로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열완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16>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3> to <15>, further comprising a heat relaxation step of heat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heat fixation step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polyester film at lea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ay.

<17>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과,<17>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3> to <16>

폴리에스터 필름 중 적어도 편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And a step of laminating a hard coat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본 개시에 의하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오목부가 발생하기 어려운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polyester film in which a concave portion is less likely to be generated even when a load is locally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 본 개시에 의하면, 폴리에스터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한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여 펀칭 가공할 때에, 하드 코트층의 균열 및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hard-coated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hard-coated film, in which cracking and peeling of the hard-coat layer are less likely to occur when a hard-coated film obtained by laminating a hard- .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표시 화면에 국소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무지개 불균일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이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touch panel in which a decrease in visibility due to irregularity in iridescence is suppressed even if a locally applied load is applied to a display screen is provided.

도 1은 필름 표층의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측정 방법에 이용하는 절삭 블레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필름 표층의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가로 연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utting blade used in a method of measuring the normal stress on the front face and the yield stress on the front face of the film surface layer.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normal stress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yield stres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surface laye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verse drawing apparatus.

이하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대표적인 실시형태 또는 구체예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개시는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의 한쪽에 단위가 붙어 있는 경우는, 그 수치 범위 전체이며 동일한 단위인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scrip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ade based on representative embodiments or specific examples,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umerical range indicated by using "~" means a range including numerical values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 " as a lower limit value and an upper limit value. In the case where a unit is attached to one of the numerical values described before and after "~", it means that the whole numerical range is the same unit.

[폴리에스터 필름][Polyester film]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이하, 간단히 "필름"이라고도 함)은, 두께가 40~500μm이며,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A와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B의 평균값이 30~100MPa이다.The polyester film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hickness of 40 to 500 mu m, and has a vertical front stress A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surface layer of 1 mu m,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al normal stress B in the orthogonal direction is 30 to 100 MPa.

여기에서,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란, 필름면 내에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며,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은 "진상축 방향"이라고도 불린다.Here,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film is a direction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maximum in the film plane,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film plane is also referred to as "fast axis direction ".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상으로 용융 압출한 후, 롤 등을 이용하여 반송하고, 적어도 필름의 반송 방향(필름의 길이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이라고도 불림)과 직교하는 방향(필름의 폭방향 또는 가로 방향이라고도 불림)으로 연신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통상은, 필름의 폭방향이 지상축 방향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필름의 반송 방향을 MD(Machine Direction), 필름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TD(Transverse Direction)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For example, the polyester resin composition is melt-extruded in the form of a film and then transported using a roll or the like, (Also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lm)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lso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s generally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case of producing a polyester film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is referred to as MD (Machi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is referred to as TD (Transverse Direction).

<폴리에스터 필름의 특성>&Lt; Characteristic of polyester film >

(두께)(thicknes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는, 40~500μm이다.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40 to 500 占 퐉.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가 40μm 이상이면, 충분한 강성을 가져, 유리 대체 재료로서 사용하기 쉽고, 500μm 이하이면 강성이 과하게 강하지 않아, 필름의 펀칭성 및 핸들링성이 양호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is 40 탆 or more, it has sufficient rigidity and is easy to use as a substitute material for glass. When the thickness is 500 탆 or less, rigidity is not excessively strong, and the punching property and handling property of the film are good.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는, 60~4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80~300μm가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viewpoint,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preferably 60 to 40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80 to 300 占 퐉.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접촉식 막두께 측정계를 이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 및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50점 샘플링하고, 이들 점에 있어서의 두께의 측정값의 평균의 두께를 구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easured by, for example, a contact type film thickness meter at 50 points in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film a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within the film plane,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thickness at these points is determined to be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전단면 수직 응력)(Shear vertical stres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A와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B의 평균값(이하, "표층 평균 전단면 수직 응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30~100MPa이다. 여기에서, "표층 1μm"란,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에서 깊이 1μm까지의 영역을 의미한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vertical stress A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surface layer of 1 mu m and the shear normal stress B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film surface Quot; vertical cross-sectional normal stress ") is 30 to 100 MPa. Here, "surface layer 1 m" means a region from the surface of the polyester film to a depth of 1 m.

표층 1μm에 있어서의 표층 평균 전단면 수직 응력이 30MPa 이상이면, 폴리에스터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하여 하드 코트 필름으로 했을 때에 필름을 강한 힘으로 누르면 필름에 오목부가 발생하기 어렵고, 100MPa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으로 했을 때에 하드 코트층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When the surface layer average normal shear vertical stress at a surface layer of 1 m is 30 MPa or more, when a hard coat layer is laminated on a polyester film to form a hard coat film, when the film is pressed with a strong force, recesses are hardly generated in the film, , It is difficult for the hard coat layer to crack or peel off when it is formed into a hard coat film.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층 평균 전단면 수직 응력은, 40~90MPa가 바람직하고, 50~80MPa가 보다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urface layer average shear vertical stress of preferably 40 to 90 MPa, more preferably 50 to 80 MPa.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전단면 수직 응력 B에 대한 전단면 수직 응력 A의 비(A/B)가 1.1~2.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A / B) of the shear vertical stress A to the shear vertical stress B is 1.1 to 2.0.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전단면 수직 응력의 비 A/B가 1.1 이상이면, 무지개 불균일이 억제되는 1축 배향 폴리에스터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쉽고, 2.0 이하이면 폴리에스터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하여 하드 코트 필름으로 했을 때에 하드 코트층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If the ratio A / B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vertical str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1.1 or more, the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in which rainbow unevenness is suppressed can be easily produced easily. If the polyester film is 2.0 or less, When the coat layer is laminated to form a hard coat film, cracking or peeling hardly occurs in the hard coat layer.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전단면 수직 응력의 비 A/B는 1.2~1.9가 보다 바람직하고, 1.3~1.8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ratio A / B of the normal shear vertical str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preferably 1.2 to 1.9, and further preferably 1.3 to 1.8.

(전단면 항복 응력)(Shear yield stres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항복 응력과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항복 응력의 평균값(이하, "표층 평균 전단면 항복 응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20~6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층 평균 전단면 항복 응력이 20MPa 이상이면, 폴리에스터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하여 하드 코트 필름으로 했을 때에 필름을 강한 힘으로 눌러도 필름에 오목부가 발생하기 어렵고, 60MPa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으로 했을 때에 하드 코트층에 균열 또는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yield stress of the front end face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surface layer of 1 mu m and the shear yield 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in the film plane Yield stress ") is preferably 20 to 60 MPa. When the surface layer average shear yield str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20 MPa or more, when the hard coat layer is laminated on the polyester film to form a hard coat film, it is difficult to generate concave portions in the film even when the film is pressed with a strong force If it is 60 MPa or less, it is difficult for the hard coat layer to be cracked or peeled off when the hard coat film is formed.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층 평균 전단면 항복 응력은, 25~55MPa가 보다 바람직하고, 30~50MPa가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surface layer average shear yield stress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preferably 25 to 55 MPa,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to 50 MPa.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름 표층의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측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필름 표층의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측정 장치, 측정 조건,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계산 방법은, 이하와 같다.Here, measurement of the normal stres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and the shear yield stress of the film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s. 1 and 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normal stress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yield stres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surface layer. Fig. The measuring device, the measurement conditions,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normal shear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are as follows.

(1) 측정 장치(1) Measuring device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름 표층의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측정은, SAICAS(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NN형(다이플라·윈테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한다. SAICAS는 절삭 블레이드 속도를 제어하여, 절삭 블레이드(10)에 가해지는 수직력(Fv)와 수평력(FH), 절삭 블레이드의 수직 변위(d)를 모니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urface normal and front end yield stresses of the surface layer of the film are measured using SAICAS (Surface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 -N type (manufactured by Dai-ichi PureTins Co., Ltd.). SAICAS can control the cutting blade speed to monitor the vertical force (F v ) and horizontal force (F H ) applied to the cutting blade (10)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d) of the cutting blade.

(2) 측정 조건(2) Measurement conditions

먼저, 필름(12)의 표면에 대한 절삭 블레이드(10)의 경사각(α) 및 여유각(절삭 각도)(γ)을 각각 소정의 각도로 하고, 필름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절삭 블레이드에 의하여 절입한다(도 1(A)).First,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clearance angle (cutting angle)? Of the cutting blade 1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film 12 are set at predetermined angles, and the cutting blade is inserted into the film 12 from the film surface into the inside thereof 1 (A)).

절삭 블레이드(10)에 의한 절입에 의하여 전단 파괴가 발생하여, 절삭력을 모니터한다(도 1(B)).Shear fracture occurs due to cutting by the cutting blade 10, and the cutting force is monitored (Fig. 1 (B)).

필름(12)의 표층 1μm의 깊이까지 절입하여 전단면에 작용하는 응력(막 강도)을 평가한다(도 1(C)).The film 12 was cut to a depth of 1 mu m in the surface layer to evaluate the stress (film strength) acting on the front end face (Fig. 1 (C)).

여기에서,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Here,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절삭 속도: 수평 속도 100nm/s, 수직 속도 10nm/s· Cutting speed: horizontal speed 100 nm / s, vertical speed 10 nm / s

·블레이드 폭: 0.1mm· Blade width: 0.1mm

·경사각(α): 20°· Incline angle (α): 20 °

·절삭 각도(γ): 10°· Cutting angle (γ): 10 °

·블레이드 종류: 다이아몬드 절삭 블레이드· Blade type: Diamond cutting blade

·방향: 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TD, MD) 각각으로 측정· Direction: measur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axis and the direction of the leading axis (TD, MD), respectively.

·각 방향을 따라, 각각 10mm 간격으로 3점 측정하고, 평균값을 각 방향의 값으로 함· Measure 3 points at intervals of 10 mm along each direction, and use the mean value as the value in each direction

(3)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의 계산(3) Calculation of normal shear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도 2에, 경사각(α)의 절삭 블레이드을 이용하여 도 1의 (A)에서 (C) 순으로 절삭 각도(γ)로 시료(폴리에스터 필름)(12)를 절삭했을 때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다. 시료 전단면 A-B에 평행으로 작용하는 힘(FS)과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FN)은, 모니터하는 수평력(FH)과 수직력(FV), 전단각(φ)을 이용하여 각각 하기 식 (1)과 같이 구해진다.2 shows the direction of a force acting when a sample (polyester film) 12 is cut at a cutting angle? In the order of FIGS. 1A to 1C using a cutting blad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 The force F S acting parallel to the sample front face AB and the force F N acting perpendicularly are measured using the horizontal force F H , the normal force F V and the shear angle? (1).

식 (1)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전단면(도 2에 있어서 점선 A-B로 나타나는 면)에 평행으로 작용하는 응력(τs; 전단면 항복 응력)과, 수직으로 작용하는 응력(σs; 전단면 수직 응력)은, FS와 FN을 전단면의 면적 As로 나누어 각각 하기 식 (2)과 같이 구해진다. 또한, b는 블레이드 폭, d는 절삭 깊이(수직 변위)이다.Shear surface stresses acting parallel to (in FIG. 2, if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B) (τ s; front end surface yield stress), a stress acting in the vertical (σ s; front end surface normal stress) is, F S and F N is divided by the area A s of the front cross section and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respectively. B is the blade width, and d is the cutting depth (vertical displacement).

식 (2)Equation (2)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또한, 전단각(φ)은, 경사각(α)과 마찰각(β)을 이용하여 하기 식 (3)과 같이 구해진다.Further, the shear angle [phi]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using the inclination angle [alpha] and the friction angle [beta].

식 (3)Equation (3)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즉, 각 깊이로 각각 수평력(FH)과 수직력(FV)으로부터 전단각(α)을 구함으로써, 전단면 항복 응력(τs) 또는 전단면 수직 응력(σs)의 깊이 방향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by calculating the shear angle α from the horizontal force F H and the vertical force F V at each depth, the depth direction distribution of the shear yield stress τ s or the shear vertical stress σ s is calculated can do.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1축 배향의 폴리에스터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제막 또는 용액 제막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가로 연신 및 열고정함으로써, 상기의 두께 및 전단면 수직 응력을 갖는 폴리에스터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It is easy to obtain a polyester film having the above-mentioned thickness and vertical normal stress on the cross section by transversely stretching and thermally fixing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obtained by melt film formation or solution film formation by the below-mentioned method.

-Re(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Re (retardation in the film plane) -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가 4000~50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has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of 4000 to 50,000 nm.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Re가, 4000nm 이상이면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기 어렵고, 50000nm 이하이면 필요한 막두께가 과하게 두꺼워지지 않으며, 강성이 과하게 강한 것이 억제되어, 핸들링이 용이해진다.If the Re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4000 nm or more, irregularity of iridescence is hardly visible. If it is 50000 nm or less, necessary film thickness is not excessively thickened, and excessively strong stiffness is suppressed and handling is facilitated.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Re는, 5000~400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7000~33000nm가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viewpoint, the Re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is more preferably 5000 to 40000 nm, and more preferably 7000 to 33000 nm.

-Re/Rth--Re / Rth-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필름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에 대한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의 비(Re/Rth)가 0.6~1.2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Re / Rth) of the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to the retardation Rth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t the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is 0.6 to 1.2.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Re/Rth가 0.6 이상이면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기 어렵고, 1.2 이하이면 필름이 부서지기 어렵다.When the Re / Rth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is 0.6 or more, unevenness in iridescence is hardly visible. When the Re / Rth is 1.2 or less, the film is unlikely to be broken.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Re/Rth는, 0.7~1.15가 보다 바람직하고, 0.8~1.1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 / Rth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preferably 0.7 to 1.15, and more preferably 0.8 to 1.1.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3000~80000nm가 바람직하고, 4000~6000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6000~40000nm가 더 바람직하다. Rth가 3000nm 이상이면, 필름을 만들기 쉽고, 80000nm 이하이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이용한 하드 코트 필름을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적용했을 때에 화면에 무지개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is preferably from 3,000 to 80,000 nm, more preferably from 4,000 to 60,000 nm, and still more preferably from 6,000 to 40,000 nm. When the Rth is 3000 nm or more, it is easy to form a film, and when it is 80000 nm or less, irregularity of iridescence is hardly generated on the screen when the hard coat film us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for example, .

무지개 불균일은, Re, Rth의 관계를 나타내는 Nz값을 적절한 값으로 하는 것도 저감시킬 수 있고, 무지개 불균일의 저감 효과 및 제조 적성으로부터, Nz값은 절댓값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1.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irregularity of iridescence can reduce the Nz value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 and Rth to an appropriate value. From the effect of reduction of irregularity of irregularity and the suitability for production, the Nz value is preferably not more than 2.0, preferably 0.5 to 2.0 More preferably 0.5 to 1.5.

무지개 불균일은 입사광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통상은 백표시 시에 관찰된다.Since iridescence occurs due to incident light, it is usually observed at the time of white display.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는, 하기 식 (4)로 나타난다.The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식 (4): Re=(nx-ny)×y1 Equation (4): Re = (nx -ny) × y 1

여기에서, nx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면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y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면내 진상축 방향(면내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고, y1은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이다.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fast axis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and y 1 is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하기 식 (5)로 나타난다.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식 (5): Rth={(nx+ny)/2-nz}×y1 Equation (5): Rth = {( nx + ny) / 2-nz} × y 1

여기에서 nz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Here,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또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Nz값은, 하기 식으로 나타난다.The Nz value of the polyester film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Nz=(nx-nz)/(nx-ny)Nz = (nx-nz) / (nx-ny)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파장 λnm에서의 Re, Rth 및 Nz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 Rth and Nz at the wavelength? Nm can be measured as follows.

2매의 편광판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의 배향축 방향(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을 구하고, 배향축 방향이 직교하도록 4cm×2cm의 직사각형을 잘라, 측정용 샘플로 한다. 이 샘플에 대하여,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Nx,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제, NAR-4T, 측정 파장 589nm)에 의하여 구하고, 2축의 굴절률 차의 절댓값(|Nx-Ny|)을 굴절률의 이방성(△Nxy)으로 했다.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 y1(nm)은 전기 마이크로 미터(Feinpruf GmbH제, 밀리 트론 1245D)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nm로 환산했다. 측정한 Nx, Ny, Nz, y1의 값으로부터 Re, Rth, Nz를 각각 산출했다.Using two polarizing plates, the orientation axis direction (the slow axis direction and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olyester film is determined, and a rectangle of 4 cm x 2 cm is cut so that the alignment axis direction is orthogonal to obtain a sample for measurement. The refractive index (Nx, Ny)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mple were measured by Abbe's refractometer (manufactured by Atago Co., Ltd., NAR-4T, measurement wavelength: 589 nm) (| Nx-Ny |) is defined as anisotropy (? Nxy) of the refractive index. The thickness y 1 (nm) of the polyester film was measured using an electric micrometer (Millitron 1245D, manufactured by Feinpruf GmbH), and the unit was converted to nm. From the measured Nx, Ny, Nz value of a, y 1 was calculated Re, Rth, Nz, respectively.

상기의 Re 및 Rth는,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터 수지의 종류, 폴리에스터 수지와 첨가제의 양, 리타데이션 발현제의 첨가, 필름의 막두께, 필름의 연신 방향과 연신율 등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The above Re and Rth can be adjusted by the kind of the polyester resin used in the film, the amount of the polyester resin and the additive, the addition of the retardation agent, the film thickness of the film,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elongation.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Re 및 Re/Rth를 각각의 범위로 제어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연신법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Re and Re / Rth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in respective rang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achieved by, for example, a stretching method.

<폴리에스터 필름의 구성 재료, 층 구성, 및 표면 처리>&Lt; Constituent material, layer composition, and surface treatment of polyester film >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한다. 필름 전체에서 차지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의 질량 비율은, 통상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yester resin. The mass ratio of the polyester resin in the entire film is generally 50 mass% or more, preferably 70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0 mass% or mor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의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폴리에스터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ingle layer film of a layer mainly composed of a polyester resin, or may be a multilayer film having at least one layer mainly composed of a polyester resin.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필름의 양면 또는 편면에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처리는, 코로나 처리, 비누화 처리, 열처리,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등에 의한 표면 개질이어도 되고, 고분자, 금속 등의 도포, 증착 등에 의한 박막 형성이어도 된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film. The surface treatment may be a surface modification by a corona treatment, a saponification treatment, a heat treatment,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or the like, or may be a thin film formation by coating or vapor deposition of a polymer or metal.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적어도 편면에 이접착층(易接着層)을 갖고 있어도 된다.The polyester film of this embodiment may have this adhesive layer (easy adhesion layer) on at least one sid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에 포함되는 이접착층의 두께는 30~300nm가 바람직하고, 40~200nm가 보다 바람직하며, 50~150nm가 더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30 to 300 nm, more preferably 40 to 200 nm, and still more preferably 50 to 150 nm.

이접착층의 두께가 30nm 이상이면, 이접착층에 의한 쿠션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이접착층의 두께가 300nm 이하이면, 이접착층의 쿠션 효과가 과하게 강하지 않아,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낮아지는 것이 억제된다.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30 nm or more, the cushioning effect by the adhesive layer is easily obtained, and the excessive vertical stress on the front face and the yield stress on the front face are suppressed from rising excessiv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300 nm or less, the cushioning effect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excessively strong, so that the vertical stress at the front end face and the yield stress at the front end ar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low.

이접착층이 입자를 함유하고, 이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돌출되는 높이가, 이접착층의 막두께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contains particles and the height at which the particles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이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돌출되는 높이는, 평방 1mm인 이접착층 중의 5점에 있어서의 평균값이다.The height at which the particles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an average value at five points in the adhesive layer having a square of 1 mm.

이접착층에 함유되는 입자의, 이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돌출되는 높이가 이접착층(바람직하게는 도포층)의 막두께를 하회하면, 슬라이딩성이 저하되고,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preferably, the coating layer), the sliding property is lowered and wrinkles tend to be easily generated .

입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발륨, 황산 칼슘,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카올린, 산화 알루미늄, 산화 타이타늄, 산화 지르코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산화 알루미늄, 산화 타이타늄, 산화 지르코늄이다. 또, 일본 공고특허공보 소59-52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217755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유기 입자를 이용해도 된다. 이 다른 내열성 유기 입자의 예로서, 열경화성 요소 수지,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kind of th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pecific examples include particles of silica,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valium carbonate, calcium sulfate, calcium phosphate, magnesium phosphate, kaolin,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zirconium oxide, And is preferably silica,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or zirconium oxide. Heat resistant organic particles described in JP-A-59-5216 and JP-A-59-217755 may also be used. Examples of the other heat-resistant organic particles include a thermosetting urea resin, a thermosetting phenol resin, a thermosetting epoxy resin, and a benzoguanamine resin.

입자경에 대해서는, 이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돌출되는 높이가, 이접착층의 막두께 이상이 되는 입자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 평균 입자경으로 조정된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과적으로 이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돌출되는 높이가, 이접착층의 막두께 이상이 되도록 응집한 입자여도 된다. 응집한 입자의 경우는, 2차 평균 입자경을 측정함으로써 이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돌출되는 높이를 확인 가능하다.Regarding the particle siz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particles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o use particles adjusted to the primary average particle diameter. However, the resultant particles may be aggregated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particles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n the case of aggregated particles, the height at which the particles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econdary average particle diameter.

(1-1) 폴리에스터 수지(1-1) Polyester resin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WO2012/157662호의 [0042]의 조성의 폴리에스터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the polyester resin included in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polyester resin having a composition of WO2012 / 157662 is preferably used.

구체적인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용, 내열성으로부터 PET 및 PEN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PET이다. 또한, PEN은 약간 Re/Rth가 작아지기 쉽다.As the specific polyester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styrene terephthalate (PBT), poly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and the like can be used. PET and PEN are more preferable, and PET is more preferable. In addition, PEN is apt to have a small Re / Rth.

폴리에스터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9803호에 기재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the polyester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most preferable, but polyethylene naphthalate is also preferably used. For example, polyethylene naphthalate described in JP-A-2008-39803 can be preferably used.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다이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다이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라이콜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폴리에스터이며, 전체 반복 단위의 80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되고, 다른 공중합 성분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아이소프탈산, p-β-옥시에톡시벤조산, 4,4'-다이카복시다이페닐, 4,4'-다이카복시벤조페논, 비스(4-카복시페닐)에테인, 아디프산, 세바스산, 5-나트륨설포아이소프탈산, 1,4-다이카복시사이클로헥세인 등의 다이카복실산 성분, 프로필렌글라이콜, 뷰테인다이올,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에틸렌글라이콜,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 등의 다이올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이카복실산 성분이나 다이올 성분은,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카복실산 성분 또는 다이올 성분과 함께, p-옥시벤조산 등의 옥시카복실산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소량의 아마이드 결합, 유레테인 결합, 에터 결합, 카보네이트 결합 등을 함유하는 다이카복실산 성분 및/또는 다이올 성분이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a polyester having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erephthalic acid a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ethylene glycol as a diol component, and 80 mol% or more of all the repeating units are ethylene terephthalate And may contain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nother copolymerizable component. Examples of 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s include isophthalic acid, p- beta -oxyethoxybenzoic acid, 4,4'-dicarboxy diphenyl, 4,4'-dicarboxybenzophenone, bis (4-carboxyphenyl)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sebacic acid, 5-sodium sulfoisophthalic acid, and 1,4-dicarboxycyclohexane, propylene glycol, butanediol, neopentylglycol, diethylene glycol, cyclohexane Diol, an ethylene oxide adduct of bisphenol A,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and polytetramethylene glycol. These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nd diol compon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oxycarboxylic acid such as p-oxybenzoic acid together with the carboxylic acid component or the diol component. As the 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 or a diol component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an amide bond, a urethane bond, an ether bond, a carbonate bond or the like may be used.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법으로서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라이콜, 필요에 따라 다른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다른 다이올을 직접 반응시키는 이른바 직접 중합법, 테레프탈산의 다이메틸에스터와 에틸렌글라이콜, 필요에 따라 다른 다이카복실산의 다이메틸에스터 및/또는 다른 다이올을 에스터 교환 반응시키는, 이른바 에스터 교환 반응법 등의 임의의 제조법을 적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clude so-called direct polymerization methods in which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are reacted directly with other dicarboxylic acids and / or other diols as needed, dimethylester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An ester exchange reaction method in which a dimethyl ester of a dicarboxylic acid and / or another diol is subjected to an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applied.

(1-2) 폴리에스터 수지의 물성(1-2) Properties of polyester resin

(1-2-1) 고유 점도(1-2-1) Intrinsic viscosity

폴리에스터 수지의 고유 점도 IV(Intrinsic Viscosity)는 0.5 이상 0.9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 이상 0.8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4 이상 0.7 이하이다. 이와 같은 IV로 하려면, 폴리에스터 수지를 합성할 때에, 후술하는 용융 중합에 더하여, 고상 중합을 병용해도 된다.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polyester resin is preferably 0.5 or more and 0.9 or less, more preferably 0.52 or more and 0.8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54 or more and 0.7 or less. In order to achieve such IV, solid phase polymeriz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elt polymerization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synthesis of the polyester resin.

(1-2-2) 아세트알데하이드 함유율(1-2-2) Content of acetaldehyde

폴리에스터 수지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함유량은 5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4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ppm 이하이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아세트알데하이드끼리 축합 반응을 용이하게 일으키고, 부반응물로서 물이 생성되며, 이 물에 의하여, 폴리에스터의 가수분해가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아세트알데하이드 함유량의 하한은 현실적으로는 1ppm 정도이다. 아세트알데하이드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제조 시의 용융 중합, 고상 중합 등 각 공정에서의 산소 농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 수지 보관 시, 건조 시의 산소 농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 필름 제조 시에 압출기, 멜트 배관, 다이 등에 의하여 수지에 가해지는 열이력을 낮게 하는 것, 용융시킬 때의 압출기의 스크루 구성 등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강한 전단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 등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The acetaldehyde content of the polyester resin is preferably 50 ppm or less. More preferably 40 pp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0 ppm or less. Acetaldehyde easily causes a condensation reaction between acetaldehyde and water as an adduct, and the water sometimes causes hydrolysis of the polyester. The lower limit of the acetaldehyde content is practically 1 ppm. In order to keep the acetaldehyde content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oxygen concentration in each step such as melt polymerization and solid phase polymerization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esin low, to keep the oxygen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drying, A method may be employed in which strong thermal shearing is not applied locally by, for example, lowering the thermal history applied to the resin by an extruder, melt pipe, die or the like, or screwing the extruder at the time of melting.

(1-3) 촉매(1-3) Catalyst

폴리에스터 수지의 중합에는, Sb, Ge, Ti, 및/또는 Al계 촉매가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Sb, Ti, 및/또는 Al계 촉매, 더 바람직하게는 Al계 촉매이다.Sb, Ge, Ti, and / or Al-based catalysts are used for polymerization of the polyester resin, preferably Sb, Ti, and / or Al-based catalysts, and more preferably Al-based catalysts.

즉, 원료 수지로서 이용되는 폴리에스터 수지가 알루미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polyester resin used as the raw material resin is preferably a resin obtained by polymerization using an aluminum catalyst.

Al계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촉매(예를 들면 Sb 또는 Ti)를 이용한 경우보다, Re가 발현하기 쉬워져, PET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즉, Al계 촉매를 이용하는 편이 배향하기 쉬운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따른다고 추측된다.By using the Al-based catalyst, Re is more likely to be expressed than in the case of using another catalyst (for example, Sb or Ti), and the thickness of the PET can be reduced. That is, the use of an Al-based catalyst means that the orientation is easy.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Al계 촉매는 Sb계 촉매 또는 Ti계 촉매에 비하여, 반응성(중합 활성)이 낮은 만큼, 반응이 마일드하며, 부생성물(다이에틸렌글라이콜 유닛: DEG)이 생성되기 어렵다.Al-based catalysts have lower reactivity (polymerization activity) as compared with Sb-based catalysts or Ti-based catalysts, so that the reaction is mild and a by-product (diethylene glycol unit: DEG) is hardly produced.

이 결과, PET의 규칙성이 높아져, 배향하기 쉽게 Re를 발현하기 쉽다.As a result, the regularity of the PET is enhanced, and Re is easy to be easily oriented.

(1-3-1) Al계 촉매(1-3-1) Al-based catalyst

Al계 촉매로서는, WO2011/040161호의 [0013]~[0148](US2012/0183761호의 [0021]~[0123])에 기재된 Al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As the Al-based catalyst, Al-based catalysts described in [0013] to [0148] (WO2012 / 0183761 [0021] to [0123]) of WO2011 / 040161 can be used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Al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에 의하여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WO2012/008488호의 [0091]~[0094](US2013/0112271호의 [0144]~[0153])에 따라 중합할 수 있고, 이들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resin by polymerization using an Al-based cataly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 method of producing a polyester resin by polymerization of [0091] to [0094] ([0144] to [0153] of US2013 / 0112271 in WO2012 / 008488) ,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또, Al계 촉매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2051호의 [0052]~[0054], [0099]~[0104](WO2012/029725호의 [0045]~[0047], [0091]~[0096])에 따라 조제할 수 있고, 이들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Examples of the Al-based catalysts include, for example, those of [0052] to [0054], [0099] to [0104] of WO01212 / 021251 ([0045] to [0047] [0096]),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l계 촉매량은, 폴리에스터 수지의 질량에 대한 Al 원소의 양으로서 3~80ppm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60ppm, 더 바람직하게는 5~40ppm이다.The amount of the Al-based catalyst is preferably from 3 to 80 ppm, more preferably from 5 to 60 ppm, and even more preferably from 5 to 40 ppm, as the amount of the Al element to the mass of the polyester resin.

(1-3-2) Sb계 촉매:(1-3-2) Sb catalyst:

Sb계 촉매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41519호의 [0050], [0052]~[0054]에 기재된 Sb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Sb-based catalyst, Sb-based catalysts described in [0050], [0052] - [0054] of JP-A No. 2012-41519 can be used.

Sb계 촉매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수지를 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WO2012/157662호의 [0086]~[0087]에 따라 중합할 수 있다.The method of polymerizing the polyester resin using the Sb-based cataly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pecifically,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WO 00/121257662 [0086] to [0087].

(1-4) 첨가제:(1-4) Additiv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에는 공지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입자, 윤활제, 블로킹 방지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내충격성 개량제, 윤활제, 염료,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단, 폴리에스터 필름은, 일반적으로 투명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첨가제의 첨가량은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add a known additive to the polyester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Examples thereof include an ultraviolet absorber, a particle, a lubricant, an antiblocking agent, a heat stabilizer,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n impact resistance improver, a lubricant, a dye and a pigment. However, since the polyester film generally requires transparency, the addition amount of the additive is preferably minimized.

(1-4-1) 자외선(UV) 흡수제:(1-4-1) Ultraviolet (UV) absorbing agent: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 등이 자외선에 의하여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이며,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부가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contain an ultraviolet absorber to prevent the liquid crysta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from being deteriorated by ultraviolet rays. The ultraviolet absor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capable of absorbing ultraviolet light and is capable of withstanding the heat added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있고,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WO2012/157662호의 [0057]에 기재된 자외선 흡수제 또는 후술하는 환상 이미노에스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ultraviolet absorber, there are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and an inorganic ultraviolet absorber, and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is preferable. An ultraviolet absorber described in WO2012 / 157662 or a cyclic iminoester ultraviolet absorber described below may be used.

환상 이미노에스터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하기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뷰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2-(1- 또는 2-나프틸)-3,1-벤조옥사진-4-온, 2-(4-바이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나이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m-나이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벤조일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o-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사이클로헥실-3,1-벤조옥사진-4-온, 2-p-(또는 m-)프탈이미도페닐-3,1-벤조옥사진-4-온, N-페닐-4-(3,1-벤조옥사진-4-온-2-일)프탈이미드, N-벤조일-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N-벤조일-N-메틸-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2-(p-(N-메틸카보닐)페닐)-3,1-벤조옥사진-4-온, 2,2'-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또한,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이라고도 함〕, 2,2'-m-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4,4'-다이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6- 또는 1,5-나프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메틸-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나이트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클로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1,4-사이클로헥실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1,3,5-트라이(3,1-벤조옥사진-4-온-2-일)벤젠, 1,3,5-트라이(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4,6-트라이(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8-다이메틸-4H,6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다이온, 2,7-다이메틸-4H,9H-벤조(1,2-d;4,5-d')비스(1,3)-옥사진-4,9-다이온, 2,8-다이페닐-4H,8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다이온, 2,7-다이페닐-4H,9H-벤조(1,2-d;4,5-d')비스(1,3)-옥사진-4,6-다이온, 6,6'-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에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뷰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뷰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설폰일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설폰일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보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설폰일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yclic iminoester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2-methyl-3,1-benzoxazine-4-one, 2-butyl-3,1-benzoxazine- , 2- phenyl-3,1-benzoxazine-4-one, 2- (1- or 2-naphthyl) -3,1- 2-m-nitrophenyl-3,1-benzoxazine-4-one, 2-p-nitrophenyl- 2-p-benzoylphenyl-3,1-benzoxazine-4-one, 2-p-methoxyphenyl- , 2-cyclohexyl-3,1-benzoxazine-4-one, 2-p- (or m-) phthalimidophenyl-3,1-benzoxazine- Benzoyl-4- (3,1-benzoxazin-4-one-2-yl) 2-yl) aniline, 2- (p- (N-methylcarbonyl) phenyl) -3-benzyloxycarbonylamino- , 2,2'-bis (3,1-benzoxazine-4-one), 2,2'-ethylenebis (3,1- ), 2,2'-tetramethylenebis (3,1-benzoxazine-4-one), 2,2'-ethylenebis Phenol) bis (4H-3,1-benzoxazine-4-one) (also referred to as 2,2'-p-phenylenebis (3,1-benzoxazine- , 2,2'-m-phenylenebis (3,1-benzoxazine-4-one), 2,2 '- (4,4'- (2,2 '- (2-methyl-thiazol-2-yl) benzooxazin-4-one), 2,2'- (2-nitro-p-phenylene) bis (3,1- , 2,2 '- (1,4-cyclohexylene) bis (3,1-benzoxazin-4-one) Benzooxazin-4-one), 1,3,5-tri (3,1-benzoxazine-4-one-2-yl) benzene, 1,3,5- 2-yl) naphthalene, 2,4,6-tri (3,1-benzoxazine-4-on-2-yl) naphthalene, 2,8- (1,2-d; 5,4-d ') bis (1,3) -oxazine-4,6-dione, 2,7-dimethyl-4H, 9H- 4,5-d ') ratio (1,3) -oxazine-4,9-dione, 2,8-diphenyl-4H, 8H-benzo (1,2- Photo-4,6-dione, 2,7-diphenyl-4H, 9H-benzo (1,2-d; 4,5-d ') bis Ion, 6,6'-bis (2-methyl-4H, 3,1-benzoxazine-4-one), 6,6'- (2-phenyl-4H, 3,1-benzoxazine-4-one), 6,6'-methylenebis (2-methyl-4H, 3-benzothiophene-4-one), 6,6'-methylenebis Benzooxazin-4-one), 6,6'-ethylene bis (2-phenyl-4H, 3,1- 4H, 3,1-benzoxazine-4-one), 6,6'-butylene bis (2-phenyl- (2-methyl-4H, 3,1-benzoxazine-4-one), 6,6'-oxybis (2-methyl-4H, 3,1-benzoxazine-4-one), 6,6'-sulfonylbis -One), 6,6'-carbonylbis (2-methyl-4H, 3,1-benzoox 4-one), 6,6'-carbonylbis (2-phenyl-4H, 3,1-benzoxazine- Benzooxazin-4-one), 7,7'-methylenebis (2-phenyl-4H, 4H, 3,1-benzoxazine-4-one), 7,7'-ethylene bis (2-methyl- 2-methyl-4H, 3,1-benzoxazine-4-one), 7,7'-sulfonylbis (2-methyl-4H, 3,1-benzoxazine-4-one), 6,7'-bis , 6,7'-bis (2-phenyl-4H, 3,1-benzoxazine-4-one, 6,7'- methylenebis On), 6,7'-methylenebis (2-phenyl-4H, 3,1-benzoxazine-4-one) and the like.

상기 화합물 중, 색조를 고려한 경우, 황색을 나타내기 어려운 벤조옥사진온계의 화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되고, 예를 들면 하기의 식 (6)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보다 적합하게 이용된다.Among the above compounds, benzooxanthone compounds which are difficult to exhibit yellow color are suitab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tone, and for exampl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6) are more suitably used.

식 (6)Equation (6)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상기 식 (6) 중, R은 2가의 방향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이하의 관능기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ormula (6), R represents a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and X 1 and X 2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gen atom or the following functional group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관능기군: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젠, 알콕실기, 아릴옥시기,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에스터기, 나이트로기.Functional group group: an alkyl group, an aryl group, a heteroaryl group, a halogen, an alkoxyl group, an aryl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ester group, and a nitro group.

상기 식 (6)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중에서도,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이 특히 바람직하다.Among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6), 2,2 '- (1,4-phenylene) bis (4H-3,1-benzoxazine-4-o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 중에 함유해도 되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필름 전체에 대하여 통상 10.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3.0질량%의 범위이다. 10.0질량%를 넘는 양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킨 경우는,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접착성 저하 등, 표면의 기능성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The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contained in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ually 10.0 mass% or less, preferably 0.3 to 3.0 mass%, based on the entire film. When an ultraviolet absorbent in an amount exceeding 10.0% by mass is contained,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leed out on the surfac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functionality of the surface, such as deterioration in adhesiveness.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이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 적어도 3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는, 중간층(최외층 이외의 층)에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가 필름 표면에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필름의 접착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aminated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has at least a three-layer structure, and the ultraviolet absorber is preferably blended in an intermediate layer (a layer other than the outermost layer). By blending an ultraviolet absorber in the intermediate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ltraviolet absorber from bleeding out on the surface of the film, and as a result, properties such as adhesiveness of the film can be maintained.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에는, 예를 들면 WO2011/162198호의 [0050]~[0051]에 기재된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법을 이용할 수 있다.For the blending of the ultraviolet absorber, for example, a master batch method described in WO 00/1995 to WO 01/162198 can be used.

(1-4-2) 그 외 첨가제(1-4-2) Other additive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에는, 그 외 첨가제를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WO2012/157662호의 [0058]에 기재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Other additives may be used for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additives described in WO 02012/157662 can be used,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ubl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polyester film]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각각 주행하는 복수의 클립을 구비한 가로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By using a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lips which run along a pair of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m carrying path,

미연신의 또는 세로 연신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600℃/min 이하의 승온 속도로 예열하는 예열 공정과,A preheating step of preheating an unoriented or vertic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at a heating rate of 600 DEG C / min or less,

예열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양 가장자리를 복수의 클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필름 반송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 연신을 행하고, 가로 연신 개시부터 가로 연신 종료까지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이하, 간단히 "표면 온도"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서서히 상승시켜, 가로 연신 개시 시의 표면 온도를 80℃ 이상 95℃ 이하이고, 또한 가로 연신 종료 시의 표면 온도를 90℃ 이상 105℃ 이하로 제어하여, 가로 연신 배율을 3.3배 이상 4.8배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는 가로 연신 공정과,Transversely stretching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th edges of the preheated polyester film are held in a plurality of clips and stretch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lm transport path,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ransverse stretching is controlled to be not less than 80 ° C and not more than 95 ° C and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transverse stretching is controlled to be not less than 90 ° C and not more than 105 ° C A transverse stretching step of controlling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within a range from 3.3 times to 4.8 times,

가로 연신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 장치 내에서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열고정하는 열고정 공정을 포함하고,And a heat fixing step of heating and fix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두께가 40~500μm인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Thereby producing a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to 500 占 퐉.

여기에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이란, MD 및 TD의 굴절률이 모두 1.590 이하인 폴리에스터 필름을 의미하여, 예를 들면 MD에 미량 연신하는 등 해도, MD 및 TD의 굴절률이 모두 1.590 이하인 폴리에스터 필름 등도 실질적으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에 포함된다.Here, the term "unstretched polyester film" means a polyester film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es of both MD and TD are 1.590 or less. For example, even if the MD and TD have a refractive index of MD and TD of 1.590 or less Film and the like are also included in the substantially unstretched polyester film.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용융 압출에 의하여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형성한 후, 가로 방향에 연신하여 1축 배향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will be described a case where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is formed by melt extrusion and then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oduce a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do.

<용융 혼련><Melt kneading>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필름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unstretched polyester film is formed into a film by melt extrusion of a polyester resin.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상술한 마스터 배치법으로 제조한 폴리에스터 수지와 첨가제의 마스터 배치를 함수율 200ppm 이하로 건조시킨 후, 단축 또는 2축의 압출기에 도입하여,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에스터 수지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질소 중 또는 진공 중에서 용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세한 조건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4962661호의 [0051]~[0052](US2013/0100378호의 [0085]~[0086])를 채용하여 이들 공보에 따라 실시할 수 있고, 이들 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용융 수지(멜트)의 송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어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이물 제거를 위한 구멍 직경 3μm~20μm의 여과기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ster batch of the polyester resin or the polyester resin produced by the master batch method described above and the additive is dried at a water content of 200 ppm or less and then introduced into a single screw or biaxial extruder for melting. At this time, in order to suppress the decomposition of the polyester resin, it is also preferable to melt in nitrogen or in vacuum. The detailed conditions can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se publications by adopting, for example, [0051] - [0052] of US Patent No. 4962661 ([0085] - [0086] of US2013 / 0100378)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gear pump in order to increase the feeding accuracy of the molten resin (mel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3 占 퐉 to 20 占 퐉 for removal of impurities.

<압출 또는 공압출><Extrusion or coextrusion>

용융 혼련한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는 멜트를 다이로부터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층으로 압출해도 되고, 다층으로 압출(공압출)해도 된다. 다층으로 압출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UV제)를 포함하는 층과 포함하지 않는 층을 적층해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UV제를 포함하는 층을 내층으로 한 3층 구성이, 자외선에 의한 편광자의 열화를 억제하는 데다가, UV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여 바람직하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o extrude the melt containing the melt-kneaded polyester resin from the die, it may be extruded as a single layer or may be extruded (co-extruded) into multiple layers. In the case of multilayer extrusion, for example, a layer containing a UV absorber (UV agent) and a layer not containing an ultraviolet absorber (UV agent) may be laminated. More preferably, a three-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by the UV rays and to suppress the bleed out of the UV rays.

블리드 아웃한 UV제는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이 접촉하는 롤에 전사하고, 필름과 롤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켜 찰상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The UV agent that bleeds ou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UV agent is transferred to a roll on which the film is in contact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film,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film and the roll is increased to cause scratches.

폴리에스터 필름이 다층으로 압출되어 제조되는 경우, 얻어지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바람직한 내층(최외층 이외의 층)의 두께(전체 층에 대한 비율)는 50% 이상 9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9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85% 이하이다. 이와 같은 적층은, 피드 블록 다이 또는 멀티 매니폴드 다이를 이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olyester film is produced by extruding into a multilayer, the thickness (ratio to the total layer) of the preferable inner layer (the layer other than the outermost layer) of the obtained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50% or more and 95% or less, Is not less than 60% and not more than 90%, and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70% and not more than 85%. Such lamination can be performed by using a feed block die or a multi-manifold die.

<캐스트><Cast>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69301호의 [0059]에 따라, 다이로부터 압출한 멜트를 캐스팅 드럼 상에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원반)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0059] of JP-A-2009-269301, it is preferable to extrude the melt extruded from a die onto a casting drum and cool and solidify to obtain an unstretched polyester film (maste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길이 방향(MD)의 굴절률이 1.5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8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8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active ind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1.590 or less, more preferably 1.585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580 or les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결정화도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결정화도란, 필름폭 방향(TD)의 중앙부의 결정화도를 의미한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ystallinity of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5% or less, more preferably 3%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1% or less. The term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an unoriented polyester film" as used herein means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m width direction (TD).

결정화도를 조정할 때, 캐스팅 드럼의 단부의 온도를 낮게 하거나, 캐스트 드럼 상에 송풍하거나 해도 된다.When the crystallinity is adjusted, the temperature of the end of the casting drum may be lowered or the casting drum may be blown on the casting drum.

결정화도에 대해서는, 필름의 밀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즉, 필름의 밀도 X(g/cm3), 결정화도 0%에서의 밀도 Y=1.335g/cm3, 결정화도 100%에서의 밀도 Z=1.501g/cm3를 이용하여 하기 계산식으로부터 결정화도(%)를 도출할 수 있다.The crystallinity can be calculated from the density of the film. That is, the density of the film X (g / cm 3), crystallinity (%) from density Y = 1.335g / cm 3, to calculation using a density Z = 1.501g / cm 3 at 100% crystallinity in the degree of crystallinity 0% Can be derived.

결정화도={Z×(X-Y)}/{X×(Z-Y)}×100Crystallinity = {Z x (X-Y)} / {X x (Z-Y)} x 100

또한, 밀도의 측정은, JIS K7112에 준하여 측정을 행한다.The density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12.

<폴리머층의 형성>&Lt; Formation of polymer layer >

용융 압출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에는, 후술하는 연신의 전 또는 후에, 목적에 따른 폴리머층을 도포에 의하여 형성해도 된다.The polyester film to be subjected to melt extrusion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olymer layer according to the purpose before or after the stretching described later.

폴리머층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편광판이 갖고 있어도 되는 기능층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은, 예를 들면 WO2012/157662호의 [0062]~[0070]에 기재된 방법으로 도설(塗設)할 수 있다.As the polymer layer, a functional layer which may be generally contained in a polarizing plate may be mentioned,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dhesive layer. This adhesive layer can be applied (co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for example, [0062] to [0070] of WO2012 / 157662.

<예열><Preheating>

도 3은 가로 연신 공정에서 이용하는 가로 연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3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device used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개시까지의 예열 공정으로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600℃/min 이하의 승온 속도로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개시까지의 필름의 승온 속도가 600℃/min 이하이면, 분자쇄가 충분히 움직이기 시작한 상태에서 연신하는 형태가 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As the preheating step up to the start of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t is preferable to preheat the non-stretched polyester film at a heating rate of 600 DEG C / min or less. When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film up to the start of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is 600 ° C / min or less, the stretching takes place in a state in which the molecular chain starts to move sufficiently, and the normal shear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are excessively increased .

이러한 관점에서, 예열 공정에 있어서의 승온 속도는, 500℃/mi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min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viewpoint, the heating rate in the preheating step is more preferably 500 ° C / min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00 ° C / min or less.

예열 공정에 있어서의 승온 속도는, 40℃/min 이상 600℃/min 이하, 40℃/min 이상 500℃/min 이하, 또는 40℃/min 이상 400℃/min 이하여도 된다.The rate of temperature rise in the preheating step may be 40 ° C / min or more and 600 ° C / min or less, 40 ° C / min or more and 500 ° C / min or less, or 40 ° C / min or more and 400 ° C / min or less.

<가로 연신><Transverse stretching>

가로 연신 공정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클립(20)을 갖는 가로 연신 장치("텐터식 연신 장치" 또는 "텐터"라고도 불림)를 이용하여,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양 가장자리를 각각 클립(20)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가로 연신을 행한다. 또한, 예열 공정의 단계에서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클립으로 파지해도 된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as shown in Fig. 3, a transverse stretching device (also referred to as a "tenter stretching device" or "tenter") having a plurality of clips 20 running along a pair of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m- ), Transversely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both edges of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are gripped by the clip 20, respectively. Further,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may be gripped with a clip at the stage of the preheating process.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클립(20)을 갖는 가로 연신 장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한 쌍의 레일은, 통상은 한 쌍의 무단(無端)의 레일이 이용된다. 또한, 클립은 파지 부재와 동의이다.The transverse stretching device having the clip 20 running along a pair of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m carrying pa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air of rails is usually a pair of endless rails. Further, the clip is in agreement with the holding member.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한다. 가로 연신은, 미연신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필름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필름 반송 방향(MD)에 직교하는 방향(TD)으로 행해진다. 즉, 가로 연신은, 클립으로 필름의 양단을 파지하고, 가열하면서 클립 간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non-stretched polyester film is stretched transversely. The transverse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TD) orthogonal to the film transport direction (MD) while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is transported along the film transport path. In other words, transverse stretching can be achieved by gripping both ends of the film with clips and enlarging the width between the clips while heating.

가로 연신 함으로써,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를 크게 발현시킬 수 있다. 특히 Re 및 Re/Rth의 바람직한 범위를 충족시키는 폴리에스터 필름을 달성하려면, 적어도 가로 연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열 공정 전 또는 가로 연신 공정 전에 세로 연신을 행해도 된다.By transversely stretching, the retardation Re in the in-plane direction can be largely expressed. In particular, in order to achieve a polyester film satisfying a preferable range of Re and Re / Rth,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ransverse stretching at least.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eheating process or before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개시 시의 표면 온도는, 80℃ 이상 95℃ 이하가 바람직하고, 82℃ 이상 9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4℃ 이상 92℃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80 占 폚 or higher and 95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82 占 폚 or higher and 93 占 폚 or lower, and still more preferably 84 占 폚 or higher and 92 占 폚 or lower.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개시 시의 표면 온도가 80℃ 이상이면, 연신 단계에서 배향 및 배향 결정화가 과하게 진행되지 않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Rth의 상승이 억제되고, Re/Rth비가 0.6 이상이 되어 무지개 불균일의 시인이 억제된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is 80 占 폚 or mor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crystallization do not progress excessively in the stretching step, and excessive increase in the normal shear vertical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is suppressed. Further, the rise of Rth is suppressed, and the Re / Rth ratio becomes 0.6 or more, so that the visibility of iridescence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개시 시의 표면 온도가 95℃ 이하이면, 배향 부족에 의한 구정(球晶)의 성장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 필름이 백탁하는 것이 억제되며, 또 Re가 충분히 상승하기 쉽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is 95 캜 or less, the growth of spherical crystals due to the lack of orientation is suppressed, the vertical stress at the front end and the shear yield stress at the front end excessively fall, Cloudiness is suppressed, and Re is liable to rise sufficiently.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은,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종료 시의 표면 온도는, 90℃ 이상 105℃ 이하가 바람직하고, 92℃ 이상 10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93℃ 이상 10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90 占 폚 or more and 105 占 폚 or less, more preferably 92 占 폚 or more and 102 占 폚 or less, Or more and 100 DEG C or less is more preferable.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종료 시의 표면 온도가 90℃ 이상이면 연신 단계에서 배향 및 배향 결정화가 과하게 진행되지 않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Rth의 상승이 억제되고, Re/Rth비가 0.6 이상이 되어 무지개 불균일의 시인이 억제된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s 90 DEG C or mor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crystallization do not proceed excessively in the stretching step, and excessive increase in the normal shear vertical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is suppressed. Further, the rise of Rth is suppressed, and the Re / Rth ratio becomes 0.6 or more, so that the visibility of iridescence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종료 시의 표면 온도가 105℃ 이하이면, 배향 부족에 의한 구정의 성장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 필름이 백탁하는 것이 억제되며, 무지개 불균일의 억제에 영향을 주는 Re가 충분히 상승하기 쉽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s 105 DEG C or lower, the growth of the Chinese New Year due to the lack of orientation is suppressed, the vertical stress at the front surface and the shear yield stress at the front end excessively fall, And the Re which influences the suppression of the irregularity of the irregularity is likely to rise sufficiently.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개시부터 연신 종료에 걸쳐 표면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킨다. 여기에서 "서서히 상승시킨다"란, 연속적으로 상승시켜도 되고, 단계적으로 상승시켜도 된다.The surface temperatur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start of drawing to the end of drawing in the transverse drawing step. Here, "gradually increase" may be continuously raised or may be increased stepwise.

연신 종료 시와 연신 개시 시의 표면 온도의 차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5℃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end of drawing and the start of drawing is preferably 1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3 占 폚 or higher, and most preferably 5 占 폚 or higher.

연신 개시부터 연신 종료에 걸쳐 표면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 구정이 보다 형성되기 어렵고, 또한 배향이 과하게 진행되는 것이 억제되어, Re 및 Re/Rth를 각각 바람직한 범위로 양립시키기 쉬우며,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start of the stretching to the end of the stretching, it is more difficult to form the glass and the orientation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advanced, and both Re and Re / Rth are easily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a preferable range. .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로 연신 배율은, 3.3배 이상 4.8배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배 이상 4.5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7배 이상 4.3배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3.3 times to 4.8 times, more preferably 3.5 times to 4.5 times, and more preferably 3.7 times to 4.3 times.

가로 연신 배율이 3.3배 이상이면, 필름의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이 억제되고, 또 무지개 불균일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 Re의 저하가 억제된다. 가로 연신 배율이 4.8배 이하이면, 필름의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하여 부서지는 것이 억제된다.If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3.3 times or more, excessive vertical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of the film are suppressed from being excessively lowered, and reduction of Re, which is effective in suppressing irregularity of iridescence, is suppressed.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4.8 times or less, the vertical stres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lm and the shear yield stress of the film excessively increase, and the breaking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는 80℃ 이상 92℃ 이하가 바람직하고, 82℃ 이상 9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4℃ 이상 91℃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1 to 2 times, the surface temperature is preferably 80 to 92 deg. C, more preferably 82 to 91 deg. C, and more preferably 84 to 91 deg. Or less.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가 80℃ 이상이면 연신 단계에서 배향 및 배향 결정화가 과하게 진행되지 않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Rth의 상승이 억제되고, Re/Rth비가 0.6 이상이 되어, 무지개 불균일의 시인이 억제된다.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1 to 2 times the surface temperature, if the surface temperature is 80 DEG C or more, th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crystallization do not proceed excessively in the stretching step, and the vertical cross- Is prevented from rising excessively. Further, the rise of Rth is suppressed, and the Re / Rth ratio becomes 0.6 or more, and the visibility of the irregularity of the irregularity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가 92℃ 이하이면, 배향 부족에 의한 구정의 성장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 및 Re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아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is in the range of 1 times to 2 times or less is 92 占 폚 or less, the growth of the glass due to the lack of orientation is suppressed and the normal vertical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And the Re is not sufficiently raised, thereby suppressing the irregularity of the irregularity.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는 85℃ 이상 97℃ 이하가 바람직하고, 86℃ 이상 9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7℃ 이상 96℃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2 times or more and 3 times or less is preferably from 85 占 폚 to 97 占 폚, more preferably from 86 占 폚 to 97 占 폚, and from 87 占 폚 to 96 占 폚 Or less.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가 85℃ 이상이면 연신 단계에서 배향 및 배향 결정화가 과하게 진행되지 않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Rth의 상승이 억제되어, Re/Rth비가 0.6 이하가 되고, 무지개 불균일의 시인이 억제된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is 85 ° C or mo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2 times or more and less than 3 times, th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crystallization do not proceed excessively in the stretching step, Is prevented from rising excessively. Also, the rise of Rth is suppressed, and the Re / Rth ratio becomes 0.6 or less, and the visibility of the irregularity of the irregularity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가 97℃ 이하이면, 배향 부족에 의한 구정의 성장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무지개 불균일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 Re가 충분히 상승하여,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is 97 占 폚 or less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2 to 3 times, the growth of the reclamation due to the lack of orientation is suppressed and the normal shear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The overdrive is suppressed. In addition, Re which is effective in suppressing irregularity of iridescence is sufficiently raised, and irregularity of iridescence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는 90℃ 이상 102℃ 이하가 바람직하고, 92℃ 이상 10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93℃ 이상 10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3 times or more is preferably 90 占 폚 or more and 102 占 폚 or less, more preferably 92 占 폚 or more and 101 占 폚 or less, more preferably 93 占 폚 or more and 100 占 폚 or less Do.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가 90℃ 이상이면 연신 단계에서 배향 및 배향 결정화가 과하게 진행되지 않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Rth의 상승이 억제되고, Re/Rth비가 0.6 이상이 되어,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If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3 times or mo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is 90 占 폚 or more, th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crystallization are not excessively advanced in the stretching step, and the vertical cross- . In addition, the rise of Rth is suppressed, and the Re / Rth ratio becomes 0.6 or more, whereby the irregularity of the iridescence is suppress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가 102℃ 이하이면, 배향 부족에 의한 구정의 성장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Re가 충분히 상승하여, 무지개 불균일의 시인이 억제된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3 times or more is 102 占 폚 or less, the growth of the Chinese New Year due to the lack of orientation is suppressed and the vertical stress at the front face and the front end yield stress are excessively lowered . Also, Re is sufficiently raised to suppress the visibility of iridescence.

또한, 연신 개시 시부터 연신 종료 시에 걸쳐 표면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기 때문에,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 및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는, 각각 가로 연신 배율이 작은 연신 시의 범위의 표면 온도 이하가 되지 않는다. 즉,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는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 이하가 되지 않고,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는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표면 온도 이하가 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are preferably not less than two times or mo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not less than 1 times and not more than 2 times,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range is less than 3 time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3 times or more are not less tha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tretching range in which the transverse stretch magnification is small. That is,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not less than 2 times but not more than 3 times is not less than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not less than 1 times but not more than 2 times, , The surface temperature is not lower than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2 times or more and less than 3 times.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 시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를 60℃/min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mi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min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preferably 60 ° C / min or less, more preferably 50 ° C / min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40 ° C / min or less.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 시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가 60℃/min 이하이면, 연신 중에 분자쇄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무지개 불균일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 Re가 충분히 상승하여,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기 어려워진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when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60 DEG C / min or less, the molecular chain is prevented from moving abruptly during stretching, and the vertical cross-section normal stress and cross- . In addition, Re which is effective in suppressing irregularity of iridescence increases sufficiently, and it becomes difficult for irregularity of iridescence to be visually recognized.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 시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는, 5℃/min 이상 60℃/min 이하, 5℃/min 이상 50℃/min 이하, 또는 5℃/min 이상 40℃/min 이하여도 된다.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not less than 5 占 폚 / min and not more than 60 占 폚 / min, not less than 5 占 폚 / min and not more than 50 占 폚 / min, do.

<열고정><Heat fixation>

가로 연신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 장치 내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열고정하는 열고정 공정을 포함한다.And a heat fixation step of thermally fixing the transversely stretched polyester film by heating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연신한 후에 결정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열고정"이라고 불리는 열처리를 행한다. 연신 온도를 넘는 온도로 행함으로써 결정화를 촉진하여, 필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After stretching, heat treatment called "heat fixation" is performed to promote crystallization.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tretching temperature, crystallization is promoted, and the strength of the film can be increased.

열고정에서는 결정화를 위하여 체적 수축한다.In heat setting, the volume shrinks for crystallization.

열고정의 방법으로서는, 연신부에 열풍을 송출하는 슬릿을,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몇 개 마련하고, 이 슬릿으로부터 분출하는 기체의 온도를, 연신부보다 높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open and defined method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lits for feeding hot air to the stretching unit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and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ejected from the slit above the stretching unit.

또, 연신(부) 출구 부근에 열원(IR 히터, 할로젠 히터 등)을 설치하여 승온시켜도 된다.Alternatively, a heat source (IR heater, halogen heat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near the stretching (sub) outlet to raise the temperature.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최고 도달 표면 온도는 130℃~230℃가 바람직하고, 150℃~210℃가 보다 바람직하며, 160~200℃가 더 바람직하다.The maximum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in the heat fixation step is preferably 130 ° C to 230 ° C, more preferably 150 ° C to 210 ° C, and more preferably 160 to 200 ° C.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최고 도달 표면 온도가 130℃ 이상이면,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는 것이 억제되고, 230℃ 이하이면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된다.If the maximum surface temperature reached 130 ° C or higher in the heat setting process, excessively lowering of the normal stress on the cross section and the yield stress of the cross section is suppressed, and if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230 ° C, .

가로 연신 공정 종료부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필름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는 1000℃/min 이하가 바람직하고, 800℃/mi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00℃/min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m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until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 setting process is preferably 1000 ° C / min or less, more preferably 800 ° C / min or less, Or less.

여기에서,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란, 열고정 존 내에서의 필름이 도달하는 표면 온도의 최고점을 가리키고, 열고정 존 내의 필름의 표면 온도(막면 온도)를 방사 온도계로 실측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Here,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 fixing step" refer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surface temperature reached by the film in the heat fixing zon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film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m in the heat fixing zone is measured by a radiation thermometer Can be obtained.

가로 연신 공정 종료로부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승온 속도가 1000℃/min 이하이면 결정화 전에 분자의 완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는 것이 억제되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하강하거나, Re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아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When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film in the heat setting step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is 1000 캜 / min or less, the relaxation of the molecules is inhibited from proceeding abruptly before crystallization, and the normal shear stress and shear- Re is not sufficiently raised, and rainbow unevenness is suppressed from being recognized.

가로 연신 공정 종료부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필름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는, 50℃/min 이상 1000℃/min 이하, 50℃/min 이상 800℃/min 이하, 또는 50℃/min 이상 700℃/min 이하여도 된다.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m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 setting process is not less than 50 占 폚 / min and not more than 1000 占 폚 / min, not less than 50 占 폚 / min and not more than 800 占 폚 / min, Or 50 ° C / min or more and 700 ° C / min or less.

표면 온도가 130℃를 넘는 시간은 180초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0초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The time at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exceeds 130 캜 is preferably 180 seconds or less, more preferably 120 second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60 seconds or less.

표면 온도가 130℃를 넘는 시간이 180초 이하이면, 결정화가 과하게 진행되지 않고,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이 과하게 상승하거나, Rth가 과하게 상승하여 무지개 불균일이 시인되는 것이 억제된다.When the surface temperature exceeds 130 占 폚 for 180 seconds or less, the crystallization does not proceed excessively, the vertical cross-section normal stress and the cross-sectional yield stress excessively increase, or Rth excessively increases and rainbow unevenness is suppressed.

표면 온도가 130℃를 넘는 시간은, 10초 이상 180초 이하, 10초 이상 120초 이하, 또는 10초 이상 60초 이하여도 된다.The time at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exceeds 130 占 폚 may be 10 seconds or more and 180 seconds or less, 10 seconds or more and 120 seconds or less, or 10 seconds or more and 60 seconds or less.

<열완화><Thermal relaxation>

열고정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열하고, 또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가로 방향(TD)의 길이를 줄이는 열완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가로 연신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하기 전에, 가로 연신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 장치 내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하는 열고정 공정과, 열고정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열하면서 한 쌍의 레일간 거리를 좁게 하는 열완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heat relaxation step of heat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heat fixing step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polyester film at lea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transverse stretching is heated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before the transversely stretched polyester film is opened from the clip, and the hea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hermal relaxation process for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rails.

또한, 열완화 공정은 엄밀하게 열고정 공정 후에 행하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열고정 공정과 열완화 공정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열고정 공정과 열완화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는, 가로 연신 장치 내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한 시점까지를 열고정 공정으로 하고, 그 가로 연신 장치 내의 최고 온도를 넘지 않는 온도로 계속해서 열완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 relaxation process is not limited to the mode in which the heat relaxation process is strictly performed after the heat fixation process, and the heat fixation process and the heat relax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where the heat fixing step and the heat relaxation step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heat fixing step from the point of time of heating up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drawing apparatus is continued, and the heat relaxation is continued at a temperature not exceeding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drawing apparatus desirable.

열고정 공정 후, 열처리와 동시에 완화를 행하는(필름을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TD(가로 방향), MD(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relaxation (shrink the film) simultaneously with the heat treatment after the heat fixation step,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t least one of TD (transverse direction) and MD (longitudinal direction).

가로 완화는 폭을 확대한 클립의 폭을 축소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lateral relaxation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clip in which the width is enlarged.

이와 같은 완화는, 예를 들면 텐터에 팬터그래프 형상의 척을 사용하여, 팬터그래프의 간격을 줄여도 되고, 클립을 전자석 상에서 구동시켜, 이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도 달성할 수 있다.Such relaxation can be achieved by, for example, reducing the interval of the pantograph by using a pantograph-shaped chuck in the tenter, or by driving the clip on the electromagnet to lower the speed.

열완화 공정에 있어서, 열고정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MD의 길이를 줄이는 비율인 MD의 완화율을 1~7%로 하는 것이 폴리에스터 필름에 찰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2~6%가 보다 바람직하며, 3~5%가 더 바람직하다. MD의 완화율이 1% 이상이면, MD의 열수축율을 작게 할 수 있고,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MD의 완화율이 7% 이하이면, 완화 처리 중에 MD에 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면 형상 고장이 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In the thermal relaxation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axation rate of MD, which is the rate of reducing the MD length of the heat-set polyester film, is 1 to 7%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polyester film, %, More preferably 3 to 5%. If the relaxation rate of the MD is 1% or more, the heat shrinkage ratio of the MD can be reduced, and wrinkles are less likely to occur. If the relaxation rate of the MD is 7% or less, it is difficult for the MD to be sagged during the relaxation treatment, and it is difficult for the surface to be broken.

열고정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TD의 길이를 줄이는 비율인 TD의 완화율을 0~6%로 하는 것이 폴리에스터 필름에 찰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1~4%가 보다 바람직하며, 1~3%가 더 바람직하다. TD의 완화율이 6% 이하이면, 완화 처리 중에 TD에 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면 형상 고장이 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laxation rate of TD, which is the rate of decreasing the TD length of the heat-set polyester film, is 0 to 6%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polyester film, more preferably 1 to 4% More preferably 1 to 3%. If the relaxation rate of TD is 6% or less, sagging in TD is less likely to occur during the relaxation treatment, and it is difficult for the surface to be broken.

TD(가로 방향)의 완화 온도는 상술한 열고정 온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가로 연신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 장치 내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하는 열고정을 행할 수 있는 한, 열고정과 동일한 온도여도(즉 가로 연신 장치 내의 최고 온도에 도달해도) 낮아도 상관없다.The relaxation temperature in TD (transverse direction)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the above-mentioned heat fixation temperature, and as long as the heat fixation for heating the transversely stretched polyester film to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drawing apparatus).

상기의 예열 공정, 가로 연신 공정, 열고정 공정, 또한 필요에 따라 행하는 열완화 공정을 행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Re, Rth, Re/Rth를 달성하기 쉬워지고, 무지개 불균일 저감의 효과를 발현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기 쉽다.Re, Rth, and Re / Rth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achieved by performing the preheating process,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the heat setting process, and the thermal relaxation process as required, It is easy to produce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exhibit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냉각><Cooling>

열고정 후 또는 열완화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하기 전에, 폴리에스터 필름을 냉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 후 또는 열완화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은, 클립으로부터 개방되기 전에 냉각되는 것이, 클립으로부터 폴리에스터 필름을 개방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저하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ep of cooling the polyester film before opening the polyester film after heat fixing or after heat relaxation from the clip. The polyester film after heat fixation or after thermal relaxation is preferably cooled before being opened from the clip from the viewpoint of easil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the polyester film is opened from the clip.

열고정 후 또는 열완화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냉각 온도로서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after heat fixing or after heat relaxation is preferably 8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70 占 폚 or low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0 占 폚 or lower.

열고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냉각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냉풍을 폴리에스터 필름에 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cool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heat fixation, specifically, a method of adding cold air to the polyester film can be mention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예열, 연신, 열고정, 열완화, 및 냉각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열하고, 또는 냉각하는 온도 제어 수단으로서는, 폴리에스터 필름에 온풍 또는 냉풍을 가하거나, 폴리에스터 필름을, 온도 제어 가능한 금속판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금속판의 근방을 통과시키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polyester film in the preheating, stretching, heat fixing, thermal relaxation, and cool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hot air or cold air may be added to the polyester film, And the ester fil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metal plate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or passed near the metal plate.

<클립으로부터의 필름의 개방>&Lt; Opening of film from clip >

상기 공정을 거친 후, 폴리에스터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한다.After this process, the polyester film is opened from the clip.

폴리에스터 필름이 클립으로부터 이탈할 때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를 40~140℃의 범위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 필름이 클립으로부터 이탈할 때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는, 50℃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when the polyester film is detached from the clip in a range of 40 to 140 캜.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when the polyester film is detached from the clip is more preferably 50 ° C or more and 120 ° 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0 ° C or more and 100 ° C or les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막 완료 후(클립으로부터의 개방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는 40μm 이상 500μm 이하이며, 60μm 이상 40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μm 이상 300μ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막두께 이유와 동일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after completion of film formation (after the opening process from the clip) is 40 μm or more and 5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60 μm or more and 400 μm or less, Is more preferable. The reason why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in the above range is the same as that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필름의 회수, 슬릿, 및 권취>&Lt; Film recovery, slit, and winding >

클립으로부터의 개방 후, 필름을 필요에 따라 트리밍, 슬릿, 널링 가공을 하여, 회수를 위하여 권취한다.After the film is opened from the clip, the film is subjected to trimming, slitting, and knurling as required, and wound for recovery.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클립으로부터 개방 후의 필름폭이 0.8~6m인 것이 필름 제품폭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또한 장치 사이즈가 과대하게 되지 않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1~5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정밀도가 필요한 광학용 필름은 통상 3m 미만으로 제막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폭으로 제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width after opening from the clip is 0.8 to 6 m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ly ensuring the width of the film product and from not oversizing the apparatus, , More preferably from 1 to 4 m. An optical film requiring precision is general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less than 3 m,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ilm with the same width.

또, 폭을 넓게 제막한 필름을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6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5개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4개 이하로 슬릿한 후, 권취해도 된다.In addition, the film having a wide width may preferably be slit after being slit to not less than 2 but not more than 6,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 but not more than 5,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 but not more than 4.

슬릿 후, 양단을 널링 가공(널링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slit, both ends are knurled (knurled).

권취는 직경 70mm 이상 600mm 이하의 권선 코어에 1000m 이상 10000m 이하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단면적당 권취 장력은, 3~30kgf/cm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kgf/cm2, 더 바람직하게는 7~20kgf/cm2이다. 또, 권취하기 전에 마스킹 필름을 첩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is performed in a winding core of 70 mm or more and 600 mm or less in diameter of 1000 m or more and 10000 m or less. The winding tension per unit area of the film is preferably 3 to 30 kgf / cm 2 , more preferably 5 to 25 kgf / cm 2 , and still more preferably 7 to 20 kgf / cm 2 . It is also preferable to bond the masking film before winding.

[하드 코트 필름][Hard Coat Film]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uitably used for a base coat film of a hard coat film.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과, 폴리에스터 필름 중 적어도 편면 상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을 갖는다.That is,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base film includ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hard coat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하드 코트층><Hard coat layer>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하드 코트층은, 웨트 도포법, 드라이 도포법(진공 제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생산성이 우수한 웨트 도포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layer may be formed by any one of a wet coating method and a dry coating method (vacuum film forma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by a wet coating method having excellent productivity.

하드 코트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450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433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324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314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314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261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757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869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635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752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642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968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59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565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2503호, WO12/018087, WO12/098967, WO12/086659, WO11/105594에 기재된 하드 코트층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hard coat layer, for example, JP-A-2013-45045, JP-A-2013-43352, JP-A-2012-232459, JP-A-2012-128157, JP- 131409, JP-A-2011-131404, JP-A-2011-126162, JP-A-2011-75705, JP-A-2009-286981, JP-A-2009-26356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9-75248, 2007-164206, 2006-96811, 2004-75970, 2002-156505, 2001-272503 A hard coat layer described in WO12 / 018087, WO12 / 098967, WO12 / 086659 and WO11 / 105594 may be used.

(하드 코트층의 두께)(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5μm 이상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5μm 이상이면, 높은 내찰상성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이 얻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5 占 퐉 or m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5 탆 or more, a hard coat film having high scratch resistance can be obtained.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μm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占 퐉 or more.

또한,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과하게 두꺼우면, 펀칭 가공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4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35μ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I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excessively large, the punching process tends to be difficult.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preferably 4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35 占 퐉 or less.

(하드 코트층의 구성 재료)(Constituent material of the hard coat laye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은,The hard coat layer of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적어도 하기 a) 유래의 구조, 하기 b) 유래의 구조, 하기 c) 및 하기 d)를 포함하고,At least the structure derived from a), the structure derived from b), the structure derived from c) and d)

하드 코트층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하기 a) 유래의 구조를 15~70질량%, 하기 b) 유래의 구조를 25~80질량%, 하기 c)를 0.1~10질량%, 하기 d)를 0.1~1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layer contains 15 to 70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a), 25 to 80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b), and 0.1 to 0.1 mass%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c) in the case where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mass% By mass to 10% by mass, and d) from 0.1% by mass to 10% by mass.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a)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b)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three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c) 라디칼 중합 개시제c)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d) 양이온 중합 개시제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이와 같은 구성의 하드 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연필 경도가 높고, 평활성이 우수하여, 습열 경시 후의 필름 외관 변화가 억제된다.By providing the hard coat layer having such a constitution,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igh pencil hardness and excellent smoothness, so that th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film after the wet heat aging is suppres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드 코트층은 하드 코트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 하드 코트성이란, 유리 대체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관점에서 7H 이상의 연필 경도인 것을 의미한다. 하드 코트층은 8H 이상의 연필 경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hard coat layer has a hard coat propert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ard coat property means a pencil hardness of 7H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used as a top surface protective fil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s a glass substitute hard coat film. The hard coat layer preferably has a pencil hardness of 8H or more.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film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a hard coat film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escribed later.

<구성><Configuration>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도설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a), b), c) 및 d)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a)를 15~70질량%, b)를 25~80질량%, c)를 0.1~10질량%, d)를 0.1~10질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structure in which a hard coat laye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cu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comprising a), b), c) and d), where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contains 15 to 70 mass% of a), 25 to 80 mass% of b), 0.1 to 10 mass% of c) and 0.1 to 10 mass% of d) when the total solids content of the composition is 100 mass% More preferable.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 layer and hard coat layer>

이하,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한 상세를 기재한다.Hereinafter, details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hard coat layer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will be described.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a)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a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하드 코트층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하기 a) 유래의 구조를 15~70질량% 포함한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15 to 70% by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a)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by mass.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a)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a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또, 하드 코트층이 적어도 a), b), c) 및 d)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a)를 15~7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by cu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containing at least a), b), c) and d),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formed as a whole When the solid content is 100% by mass, the content of a) is preferably 15 to 70% by mass.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을 "a) 성분"이라고도 칭한다.A) a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not more than 300 a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will be described. a)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is also referred to as "a) component ".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알릴기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C(O)OCH=CH2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가짐으로써, 높은 경도를 유지할 수 있고, 내습열성도 부여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clud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 styryl group and an allyl group, and among these, a (meth) acryloyl group and -C ) OCH = CH 2 is preferable, and (meth) acryloy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By hav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high hardness can be maintained, and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can also be imparted.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기"는,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포괄한 의미이며,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한 의미이고,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포괄한 의미이다.The term "(meth) acryloyl group" a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cryloyl group" and "methacryloyl group", and "(meth) acrylate" Methacrylate ", and "(meth) acrylic" means " acrylic "and" methacrylic ".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자 내의 에폭시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개수는 1개이다. 각 관능기수가 1개인 경우는, 2개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관능기(에폭시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개수가 감소됨으로써, 분자량이 감소되어, 연필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groups containing an epoxy group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one. When the number of each functional group is one,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groups containing an epoxy group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s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present, thereby de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and increasing the pencil hardness.

a) 성분의 분자량은, 300 이하이며, 21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molecular weight of component (a) is 300 or less, preferably 210 or less, more preferably 200 or less.

a) 성분의 분자량을 300 이하로 하면, 에폭시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 이외의 부위가 적어져, 연필 경도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is 300 or less, the number of sites other than the group containing the epoxy group an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s reduced, and the pencil hardness can be increased.

또, 하드 코트층 형성 시의 휘발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a) 성분의 분자량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volatilization at the time of forming the hard coat laye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nent (a) is preferably 10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0 or more.

a) 성분으로서는,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식 (7)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omponent (a), a compound hav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7).

식 (7)Equation (7)

[화학식 2](2)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식 (7) 중, R은 단환식 탄화 수소, 또는 가교 탄화 수소를 나타내고, L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며, Q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7), R represents monocyclic hydrocarbon or bridged hydrocarbon, L represents a single bond or a divalent linking group, and Q represents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식 (7) 중의 R이 단환식 탄화 수소인 경우, 지환식 탄화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탄소수 4~10의 지환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5~7개의 지환기가 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6개의 지환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뷰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가 바람직하고, 사이클로헥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When R in the formula (7) is a monocyclic hydrocarbon, it is preferably an alicyclic hydrocarbon, more preferably an alicyclic group having 4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n alicyclic group having 5 to 7 carbon atoms, Alicyclic groups are particularly preferred. Specifically, a cyclobutyl group, a cyclopentyl group, a cyclohexyl group and a cycloheptyl group are preferable, and a cyclohexy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식 (7) 중의 R이 가교 탄화 수소인 경우, 2환계 가교(bicyclo환), 3환계 가교(tricyclo환)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5~20개의 가교 탄화 수소를 들 수 있으며, 노보닐기, 보닐기, 아이소보르닐기, 트라이사이클로데실기, 다이사이클로펜텐일기, 다이사이클로펜탄일기, 트라이사이클로펜텐일기, 및 트리사이클로펜탄일기, 아다만틸기, 저급 알킬기 치환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When R in the formula (7) is a bridged hydrocarbon, bicyclic bridges (bicyclo rings) and tricyclic bridges (tricyclo rings) are preferable, and bridged hydrocarbons having 5 to 20 carbon atoms are exemplified, and a novolinyl group, , An isobornyl group, a tricyclodecenyl group, a dicyclopentenyl group, a dicyclopentanyl group, a tricyclopentenyl group, and a tricyclopentanyl group, an adamantyl group, and a lower alkyl group-substituted adamantyl group.

L이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경우,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가 바람직하다.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탄소수는 1~6이 바람직하고, 1~3이 보다 바람직하며, 1이 더 바람직하다.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직쇄상의 알킬렌기가 더 바람직하다.When L represents a divalent linking group, a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is preferable. The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preferably has 1 to 6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3 carbon atoms, and even more preferably 1 carbon atom. The b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is preferably a straight chain, branched or cyclic alkylene group, more preferably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and more preferably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Q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알릴기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C(O)OCH=CH2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기이다.Examples of Q, (meth) there may be mentioned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cryloyl group, vinyl group, styrene group, an allyl group, among others, (meth) acrylic group and a -C (O) OCH = CH 2 Preferably ,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meth) acryloyl group.

a) 성분의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7614의 단락 [0015]에 기재된 화합물, 하기 식 (1A) 또는 (1B)로 나타나는 화합물, 1,2-에폭시-4-바이닐사이클로헥세인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specific compound of the component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has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 10-17614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A) or (1B), 1,2-epoxy-4-vinylcyclohexane, and the like can be used.

그 중에서도, 하기 식 (1A) 또는 (1B)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낮은 하기 식 (1A)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식 (1A)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그 이성체도 바람직하다. 하기 식 (1A) 중 L2는 탄소수 1~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탄소수 1~3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즉, a) 성분이 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평활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더 바람직하다.Among them,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A) or (1B) is more preferable,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A) having a lower molecular weight is more preferable.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A) and its isomer are also preferable. In formula (1A), L 2 represents a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3 carbon atoms, and the component having a carbon number of 1 (a) is epoxycyclohexylmethyl (meth) acrylate )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smoothness.

이들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연필 경도와 우수한 평활성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할 수 있다.By using these compounds, high pencil hardness and excellent smoothness can be made compatible at a higher level.

[화학식 3](3)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식 (1A)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L2는 탄소수 1~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1A),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L 2 represents a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식 (1B)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L2는 탄소수 1~6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1B),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L 2 represents a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식 (1A) 및 (1B) 중 L2의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탄소수 1~6이며, 탄소수 1~3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이 더 바람직하다. 2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직쇄상의 알킬렌기가 더 바람직하다.The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f L 2 in the formulas (1A) and (1B) preferably has 1 to 6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3 carbon atoms, and more preferably 1 carbon atom. The b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is preferably a straight chain, branched or cyclic alkylene group, more preferably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roup, and more preferably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a) 유래의 구조는,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15~70질량% 함유된다. a) 성분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15~70질량% 함유된다.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a) 유래의 구조 또는 a) 성분의 함유량이 15질량% 이상이면 표면의 평활성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갖는다. 한편,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a) 유래의 구조 또는 a) 성분의 함유량이 70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표면 경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The structure derived from a)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5 to 7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mass%. The component a)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5 to 7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mass%. When the content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a) or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a)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s 15 mass% or more, the surface smoothness is sufficiently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sition derived from a) or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a) in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is 70% by mass or less, the surface hardness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a) 유래의 구조는,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18~50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40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 성분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18~50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40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derived from a)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8 to 50 mass%, more preferably 22 to 4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mass%. The component (a) is contained preferably in an amount of 18 to 50 mass%, more preferably in an amount of 22 to 40 mass%, more preferably in a range of 20 to 4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mass% Do.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b)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at least thre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하드 코트층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하기 b) 유래의 구조를 25~80질량% 포함한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25 to 80% by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b) when the hard coat layer has a total solid content of 100% by mass of the hard coat layer.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b)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at least thre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또, 하드 코트층이 적어도 a), b), c) 및 d)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b)를 25~8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by cur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containing at least a), b), c) and d),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formed as a whole When the solid content is 100% by mass, it is preferable that b)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5 to 80% by mas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b) 성분"이라고도 칭한다.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three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a molecul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at least thre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is also referred to as "b) component ".

b) 성분은,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가짐으로써, 높은 경도를 발현할 수 있다.The component (b) can exhibit high hardness by having a group containing three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b) 성분은, 분자 내에 3개 이상 20개 이하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The component (b) may have a group containing 3 or more and 20 or less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b) 성분으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터, 바이닐벤젠 및 그 유도체, 바이닐설폰,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도의 관점에서,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본 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고경도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터이며,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인산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2,3-사이클로헥세인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폴리유레테인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폴리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트라이아크릴레이트, 1,2,4-사이클로헥세인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라이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onent (b) include polyhydric alcohols and esters of (meth) acrylic acid, vinylbenzene and its derivatives, vinylsulfone, and (meth) acrylamide. Of these, 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hardness, and acrylate compounds that form cured products having a high hardness widely used in the industry can be mentioned. Such compounds include 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and (meth) acrylic acid, and compounds having groups containing three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EO-modified trimethylol propane lye (meth) acrylate, (di)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O-modified tri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EO modified phosphoric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 eth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 2,3-cyclohexane tetramethacrylate, polyurethane polyacrylate, polyester polyacrylate, caprolactone modified tris (acryloxyethyl ) Isocyanurate, tri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ipentaerythritol hexatriacrylate, 1,2,4-cyclohexanetetra (meth) acrylate, and pentaglycerol triacrylate.

또한,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수지(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레테인(메트)아크릴레이트도 바람직하다.Further, a resin (oligomer or prepolymer)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and a urethane (meth) acrylate are also preferable .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수지(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터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유레테인 수지, 알키드 수지, 스파이로아세탈 수지, 폴리뷰타다이엔 수지, 폴리싸이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esin (oligomer or prepolymer)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include polyester resins, polyether resins, acrylic resins, epoxy resins, urethane resins, alkyd resins, spiro acetal resins, Oligomers or prepolymers of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polybutadiene resins, polythiadiene resins, polythiol polyene resins and polyhydric alcohols.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56844호 단락 0096에 나타나 있는 예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specific examples of polyfunctional (meth) acrylates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mention may be made of the exemplified compound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256844, paragraph 0096, and the like.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류의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닛폰 가야쿠(주)제 KAYARAD DPHA, DPHA-2C, PET-30, TMPTA, TPA-320, TPA-330, RP-1040, T-1420, D-310, DPCA-20, DPCA-30, DPCA-60, GPO-303,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주)제 V#400, V#36095D 등의 폴리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터 화물을 들 수 있다. 또 시코 UV-1400B, UV-1700B, UV-6300B, UV-7550B, UV-7600B, UV-7605B, UV-7610B, UV-7620EA, UV-7630B, UV-7640B, UV-6630B, UV-7000B, UV-7510B, UV-7461TE, UV-3000B, UV-3200B, UV-3210EA, UV-3310EA, UV-3310B, UV-3500BA, UV-3520TL, UV-3700B, UV-6100B, UV-6640B, UV-2000B, UV-2010B, UV-2250EA, UV-2750B(닛폰 고세이 가가쿠(주)제), UL-503LN(교에이샤 가가쿠(주)제), 유니딕 17-806, 17-813, V-4030, V-4000BA(DIC(주)제), EB-1290K, EB-220, EB-5129, EB-1830, EB-4358(다이셀 UCB(주)제), 하이코프 AU-2010, AU-2020((주)도쿠시키제), 아로닉스 M-1960(도아 고세이(주)제), 아트 레진 UN-3320HA, UN-3320HC, UN-3320HS, UN-904, HDP-4T 등의 3관능 이상의 유레테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아로닉스 M-8100, M-8030, M-9050(도아 고세이(주)제), KBM-8307(다이셀 사이텍(주)제)의 3관능 이상의 폴리에스터 화합물 등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polyfunctional acrylate 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include KAYARAD DPHA, DPHA-2C, PET-30, TMPTA, TPA-320 and TPA-330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 V # 400 and V # 36095D manufactured by Osaka Kiso Kagaku Kogyo Co., Ltd., and polyol such as DIPA-20, DPCA-30, DPCA-60, GPO- Methacrylic acid esters. UV-7000B, UV-7600B, UV-7600B, UV-7600B, UV-7630B, UV-7640B, UV-7600B, UV- UV-7510B, UV-7461TE, UV-3000B, UV-3200B, UV-3210EA, UV-3310EA, UV-3310B, UV-3500BA, UV- UV-2250EA, UV-2750B (manufactured by Nippon Gosei Kagaku), UL-503LN (manufactured by Kyoeisha Chemical Co., Ltd.), Unidick 17-806, 17-813, V AU-2010, AU-4, and EB-4000BA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EB-1290K, EB-220, EB-5129, EB- 3-functionalities such as Aronix M-1960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ARTREX UN-3320HA, UN-3320HC, UN-3320HS, UN-904 and HDP- Or more of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compounds such as Aronix M-8100, M-8030, M-9050 (manufactured by Doa Kosei KK) and KBM-8307 (manufactured by Daicel-Cotech) It can be suitably used.

또, b) 성분은, 단일의 화합물로 구성해도 되고, 복수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The component (b)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mpound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mpounds.

b) 유래의 구조는,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25~80질량% 함유된다.The structure derived from b)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5 to 8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mass%.

b) 성분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25~80질량% 함유된다.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b) 유래의 구조 또는 b) 성분의 함유량이 25질량% 이상이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b) 유래의 구조 또는 b) 성분의 함유량이 80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a) 유래의 구조 또는 a) 성분의 함유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평활성이 충분하다.Component (b)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5 to 8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mass%. When the content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b) or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s 25% by mas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sufficient hardness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b) or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s 80% by mass or less, the content of the a) Smoothness is sufficient.

b) 유래의 구조는,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40~75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75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성분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40~75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75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derived from b)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40 to 75 mass%, and more preferably 60 to 75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is 100 mass%. The component b)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40 to 75% by mass, more preferably 60 to 75% by mass, in the case where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Do.

[다른 경화성 화합물][Other curable compounds]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a) 성분 및 b) 성분 이외의 다른 경화성 화합물(이하, "다른 경화성 화합물"이라고도 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경화 처리에 의하여 경화(중합) 가능한 중합성기를 갖는 각종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기로서는, 광, 전자선, 또는 방사선의 조사에 의하여 중합 반응할 수 있는 중합성기, 가열에 의하여 중합 반응할 수 있는 중합성기를 들 수 있고, 광중합성기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경화성 화합물은,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등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may contain a curing compound other tha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other curing compound"). As other curable compounds, various compounds having a polymerizable group that can be cured (polymerized) by a curing treatm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 a polymerizable group capable of undergo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by irradiation with light, an electron beam, or a radiation, and a polymerizable group capable of undergo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by heating, and a photopolymerizable group is preferred. Other curable compounds may be monomers, oligomers, prepolymers, and the like.

상기 중합성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알릴기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등, 에폭시기 등의 개환 중합형의 중합성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화성 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 ring-opening polymerization type polymerizable groups such as epoxy groups such as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s such as (meth) acryloyl group, vinyl group, styryl group and allyl group. Among them, a (meth) acryloyl group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urability and the like.

상기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해도 되는 다른 경화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other curing compound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네오펜틸글라이콜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글라이콜의 (메트)아크릴산 다이에스터류;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라이콜의 (메트)아크릴산 다이에스터류; 펜타에리트리톨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 다이에스터류; 2,2-비스{4-(아크릴옥시·다이에톡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아크릴옥시·폴리프로폭시)페닐}프로페인 등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트)아크릴산 다이에스터류; 유레테인(메트)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터(메트)아크릴레이트류; 아이소사이아누르산 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Meth) acrylic acid diesters of alkylene glycol such as neopentyl glycol acrylate, 1,6-hexanediol (meth) acrylate and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Meth) acrylate such as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and poly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ic acid diesters of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di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such as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adducts such as 2,2-bis {4- (acryloxy diethoxy) phenyl} propane and 2,2-bis {4- (acryloxypolypropoxy) (Meth) acrylic acid diesters; Urethane (meth) acrylates; Polyester (meth) acrylates; Isocyanuric acid acrylates; Epoxy (meth) acrylates.

유레테인(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알코올, 폴리올, 및/또는 하이드록실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화합물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이들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폴리유레테인 화합물을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하여 얻어지는 유레테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56844호의 단락 0017에 들고 있는 각종 시판품을 예시할 수 있다.As the urethane (meth) acrylate, for example, an isocyanate is reacted with a hydroxyl group-containing compound such as an alcohol, a polyol, and / or a hydroxyl group-containing acrylate, (Meth) acrylate obtained by esterifying a polyurethane compound obtained by (meth) acrylic acid. As specific examples, various commercial products mentioned in paragraph 0017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256844 can be exemplified.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 수축 저감의 관점에서, 다른 경화성 화합물로서, 중합성기로서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로서는,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관능 에폭시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645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645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773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77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08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08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08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2430호에 기재되어 있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기와 아크릴계의 중합성기 양쪽 모두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may contain an epoxy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as a polymerizable group as another curable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reduction in curing shrinkage. As the epoxy compound, a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is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ho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4-264563, 2004-264564, 2005-37737, 2005-37738, 2005-140862, Epoxy compounds described in JP-A-2005-140862, JP-A-2005-140863, and JP-A-2002-322430.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compound having both an epoxy group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and an acrylic polymerizable group.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전체량에 대한 다른 경화성 화합물 함유량은, 하드 코트층의 경도의 관점에서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other curing compound relative to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5% by mass from the viewpoint of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100% ,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0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 mass%, even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01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not substantially.

[c) 라디칼 중합 개시제][c]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하드 코트층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c)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0.1~10질량% 포함한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0.1 to 10% by mass of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c) when the hard coat layer contains 100% by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c) 라디칼 중합 개시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c)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c) 성분"이라고도 칭한다.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c)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c)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lso referred to as "c) component ".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의 중합은,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또는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 전리 방사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of the compound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 can be carried out by irradiation with ionizing radiation or heating in the presence of a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thermal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광 및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시판 중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그들은, "최신 UV 경화 기술"(p. 159, 발행인; 다카우스 가즈히로, 발행소; (주)기주쓰 조호 교카이, 1991년 발행), 또는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주)의 카탈로그에 기재되어 있다.As the photo- and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unds can be used, and the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compound such as those described in "Latest UV curing technology" (p. 159, published by Daikaus Gazihiro Publishing Co., It is listed in the catalog of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c) 성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Irgacure651, Irgacure184, DAROCURE1173, Irgacure2959, Irgacure127, DAROCURE MBF, Irgacure907, Irgacure369, Irgacure379EG),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Irgacure819, LUCIRIN TPO), 그 외(Irgacure784, Irgacure OXE01, Irgacure OXE02, Irgacure754) 등을 이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 component include an alkylpheno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651, Irgacure 184, DAROCURE 1173, Irgacure 2959, Irgacure 127, DAROCURE MBF, Irgacure 907, Irgacure 369, Irgacure 379EG), an acylphosphine oxid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819, LUCIRIN TPO) (Irgacure784, Irgacure OXE01, Irgacure OXE02, and Irgacure754).

c) 성분의 첨가량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0.1~10질량%의 범위이며, 1~5질량%가 바람직하고, 2~4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 성분의 첨가량이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0.1질량% 이상인 경우에는, 중합이 충분히 진행되어,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c) 성분의 첨가량이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10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UV광이 막 내부까지 닿아,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를 높일 수 있다. 이들 c) 라디칼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The amount of component (c) added is in the range of 0.1 to 10% by mass, preferably 1 to 5% by mass, based on 100% by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in this embodiment And more preferably 2 to 4% by mass.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component (c) is 0.1% by mass or more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s 100% by mass, the polymerization proceeds sufficiently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can be increased .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component (c) is 10% by mass or le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s 100% by mass, the UV light reaches the inside of the film, . These c) radical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a plurality of speci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d) 양이온 중합 개시제][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하드 코트층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d)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0.1~10질량% 포함한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0.1 to 10% by mass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when the hard coat layer contains 100% by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hard coat layer.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d) 양이온 중합 개시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d)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d) 성분"이라고도 칭한다.The 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lso referred to as "d) component ".

d) 성분으로서는, 광양이온 중합의 광개시제, 색소류의 광소색제, 광변색제, 혹은 마이크로 레지스트 등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산발생제 등, 공지의 화합물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onent (d) include known compounds such as photoinitiators for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photo-coloring agents for colorants, photo-discoloring agents, and known acid generators used in micro-resists, and mixtures thereof.

예를 들면, 오늄 화합물, 유기 할로젠 화합물, 다이설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 할로젠 화합물, 다이설폰 화합물의 이들의 구체예는, 상기 라디칼을 발생하는 화합물의 기재와 동일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Examples thereof include an onium compound, an organic halogen compound, and a disulfone compound. These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ohalogen compounds and the disulfone compounds include the same compounds as those of the compounds generating the radicals.

오늄 화합물로서는, 다이아조늄염, 암모늄염, 이미늄염, 포스포늄염, 아이오도늄염, 설포늄염, 알소늄염, 셀레노늄염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162호의 단락 번호 [0058]~[0059]에 기재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nium compound include a diazonium salt, an ammonium salt, an iminium salt, a phosphonium salt, an iodonium salt, a sulfonium salt, an onium salt and a selenonium sal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9162 0058] to [0059], and the lik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되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오늄염을 들 수 있고, 다이아조늄염, 아이오도늄염, 설포늄염, 및 이미늄염이, 광중합 개시의 광감도, 화합물의 소재 안정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내광성의 관점에서 아이오도늄염이 가장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particularly suitably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n onium salt, and a diazonium salt, an iodonium salt, a sulfonium salt, and an iminium sal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 Of these, the iodonium salt is mos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light resistanc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오늄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68205호의 단락 번호 [0035]에 기재된 아밀화된 설포늄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71366호의 단락 번호 [0010]~[0011]에 기재된 다이아릴아이오도늄염 또는 트라이아릴설포늄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88205호의 단락 번호 [0017]에 기재된 싸이오벤조산 S-페닐에스터의 설포늄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3696호의 단락 번호 [0030]~[0033]에 기재된 오늄염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onium salts which can be suitably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for example, amylated sulfonium salts described in paragraph [0035]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68205, short-circuiting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71366 Diaryliodonium salts or triarylsulfonium salts described in Nos. [0010] to [0011], sulfonium salts of thiobenzoic acid S-phenyl ester described in paragraph [0017]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88205, And the onium salts described in paragraphs [0030] to [0033] of JP-A No. 2001-133696.

다른 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162호의 단락 번호 [0059]~[0062]에 기재된 유기 금속/유기 할로젠화물, o-나이트로벤질형 보호기를 갖는 광산발생제, 광 분해되어 설폰산을 발생하는 화합물(이미노설포네이트 등)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Other examples include organometallic / organic halides described in paragraphs [0059] to [0062] of JP-A No. 2002-29162, photoacid generators having o-nitrobenzyl type protecting groups, photodegradation to generate sulfonic acid (Iminosulfonate etc.) and the like.

아이오도늄염계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B2380(도쿄 가세이제), BBI-102(미도리 가가쿠제), WPI-113(와코 준야쿠 고교제), WPI-124(와코 준야쿠 고교제), WPI-169(와코 준야쿠 고교제), WPI-170(와코 준야쿠 고교제), DTBPI-PFBS(도요 고세이 가가쿠제)를 이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f the iodonium salt base include B2380 (Tokyo Kasei Kogyo), BBI-102 (Midori Kagaku), WPI-113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WPI-124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 WPI-169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WPI-170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and DTBPI-PFBS (manufactured by Toyo Gosei Chemical Co., Ltd.).

나아가서는, 아이오도늄염계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 화합물 FK-1 및 FK-2를 들 수 있다.Furthermore, preferred examples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based on iodonium salt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FK-1 and FK-2.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아이오도늄염 화합물) FK-1Gwangyang ion polymerization initiator (Iodonium salt compound) FK-1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아이오도늄염 화합물) FK-2Gwangyang ion polymerization initiator (Iodonium salt compound) FK-2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d) 성분으로서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As the d) component, only one kind may be used, or two or more ki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d) 성분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0.1~10질량%의 범위에서 첨가되고, 바람직하게는 0.5~3.0질량%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첨가량이 상기 범위인 것이, 도포액의 안정성, 중합 반응성 등으로부터 바람직하다.The component d) is added in the range of 0.1 to 10 mass%, preferably 0.5 to 3.0 mass%, 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mass% By mass%. The addition amount is preferably in the above range because of stability of the coating liquid and polymerization reactivity.

[e) 에폭시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반응성을 갖는 무기 입자][e) an inorganic particle having reactivity with a group containing an epoxy group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e) 에폭시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반응성을 갖는 무기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e) 에폭시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반응성을 갖는 무기 입자를 "e) 성분"이라고도 칭한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contains e) inorganic particles having reactivity with a group containing an epoxy group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Hereinafter, e) the inorganic particles having the reactivity of the group containing an epoxy group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s also referred to as "e) component ".

무기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하드 코트층(경화층)의 경화 수축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평활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반응성을 갖는 무기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연필 경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By adding the inorganic particles, the amount of curing shrinkage of the hard coat layer (cured layer) can be reduced, so that the smoothness can be improved. Fur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ncil hardness by using inorganic particles having reactivity with groups containing an epoxy group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이산화 타이타늄 입자, 산화 지르코늄 입자, 산화 알루미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e) 에폭시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의 반응성을 갖는 무기 입자가, 실리카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silica particles, titanium dioxide particles, zirconium oxide particles, aluminum oxide particles and the like.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inorganic particles having the reactivity of e) groups having an epoxy group o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are silica particles.

일반적으로, 무기 입자는, 다관능 바이닐 모노머 등의 유기 성분과의 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단지 혼합하는 것만으로는 응집체를 형성하거나, 경화 후의 하드 코트층이 균열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e) 성분에서는 무기 입자와 유기 성분의 친화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무기 입자 표면을, 유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표면 수식제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since the affinity of an inorganic particle with an organic component such as a polyfunctional vinyl monomer is low, an agglomerate is formed only by mixing only, or the hard coat layer after curing tends to be easily cracked. Therefore, in the component (e), it is preferable to treat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particle with a surface modifier containing an organic seg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affinity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 and the organic component.

표면 수식제는, 무기 입자와 결합을 형성하거나 무기 입자에 흡착할 수 있는 관능기와, 유기 성분과 높은 친화성을 갖는 관능기를 동일 분자 내에 갖는 표면 수식제가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에 결합 혹은 흡착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표면 수식제로서는, 실레인, 알루미늄, 타이타늄, 지르코늄 등의 금속 알콕사이드 표면 수식제, 또는 인산기, 황산기, 설폰산기, 카복실산기 등의 음이온성기를 갖는 표면 수식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성분과의 친화성이 높은 관능기로서는 단지 유기 성분과 친소수성을 합한 것일뿐인 관능기여도 되지만, 유기 성분과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 혹은 개환 중합성기가 바람직하다.The surface modifier is preferably a surface modifi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forming a bond with the inorganic particle or adsorbing to the inorganic particle and a functional group having high affinity with the organic component in the same molecule. As the surface modifi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inding or adsorbing to the inorganic particles, a surface modifier such as a metal alkoxide surface modifier such as silane, aluminum, titanium or zirconium or a surface modifier such as a surface having an anionic group such as a phosphoric acid group, Modifiers are preferred. The functional group having a high affinity with an organic component may be a functional group that is only a combination of an organic component and a hydrophilic group, but is preferably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hemically bonding with an organic component. Particularly,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 Or a ring-opening polymerizable group is preferabl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무기 입자의 표면 수식제는 금속 알콕사이드 혹은 음이온성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 혹은 개환 중합성기를 동일 분자 내에 갖는 경화성 수지이다. 유기 성분과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가교 밀도가 상승하여, 연필 경도를 높일 수 있다.The surface modifi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prefer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urable resin having a group containing a metal alkoxide or an anionic group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or a ring-opening polymerizable group in the same molecule. By chemically bonding to the organic componen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hard coat layer increases, and the pencil hardness can be increased.

이들 표면 수식제의 대표예로서 이하의 불포화 이중 결합 함유의 커플링제, 인산기 함유 유기 경화성 수지, 황산기 함유 유기 경화성 수지, 카복실산기 함유 유기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se surface modifiers include the following unsaturated double bond-containing coupling agents,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organic curing resins, organic curing resins containing a sulfuric group, and organic curing resins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s.

S-1 H2C=C(X)COOC3H6Si(OCH3)3 S-1 H 2 C = C (X) COOC 3 H 6 Si (OCH 3) 3

S-2 H2C=C(X)COOC2H4OTi(OC2H5)3 S-2 H 2 C = C (X) COOC 2 H 4 OTi (OC 2 H 5 ) 3

S-3 H2C=C(X)COOC2H4OCOC5H10OPO(OH)2 S-3 H 2 C = C (X) COOC 2 H 4 OCOC 5 H 10 OPO (OH) 2

S-4 (H2C=C(X)COOC2H4OCOC5H10O)2POOH S-4 (H 2 C = C (X) COOC 2 H 4 OCOC 5 H 10 O) 2 POOH

S-5 H2C=C(X)COOC2H4OSO3HS-5 H 2 C = C (X) COOC 2 H 4 OSO 3 H

S-6 H2C=C(X)COO(C5H10COO)2HS-6 H 2 C = C (X) COO (C 5 H 10 COO) 2 H

S-7 H2C=C(X)COOC5H10COOHS-7 H 2 C = C (X) COOC 5 H 10 COOH

S-8 CH2CH(O)CH2OC3H6Si(OCH3)3 S-8 CH 2 CH (O) CH 2 OC 3 H 6 Si (OCH 3 ) 3

(X는 수소 원자 또는 CH3을 나타낸다)(X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CH 3 )

이들 무기 입자의 표면 수식은, 용액 중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를 기계적으로 미세 분산할 때에, 함께 표면 수식제를 존재시키거나, 또는 무기 입자를 미세 분산한 후에 표면 수식제를 첨가하여 교반하거나, 나아가서는 무기 입자를 미세 분산하기 전에 표면 수식을 행하고(필요에 따라, 가온, 건조시킨 후에 가열, 또는 pH 변경을 행하고), 그 후에 미세 분산을 행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표면 수식제를 용해하는 용액으로서는, 극성이 큰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알코올, 케톤, 에스터 등의 공지의 용제를 들 수 있다.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s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a solution.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mechanically and finely dispersed, a surface modifier is present together, or after the inorganic particles are finely dispersed, a surface modifier is added and stirred, or further surface modification is carried out before the inorganic particles are finely dispersed If necessary, heating, drying, heating, or pH change), followed by finely dispersing. As the solution for dissolving the surface modifier, an organic solvent having a high polarity is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known solvents such as alcohols, ketones and esters.

e) 성분의 첨가량은, 도막의 경도와 취성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5~40질량%가 바람직하고, 10~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mass%, the addition amount of the component (e) is preferably 5 to 40 mass% %, More preferably from 10 to 30 mass%.

무기 입자의 사이즈(평균 1차 입경)는, 10nm~100nm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60nm이다. 입자의 평균 입경은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무기 입자의 입경이 하한값 이상이면, 경도의 개량 효과가 얻어지고, 상한값 이하이면 헤이즈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The size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from 10 nm to 100 nm, more preferably from 10 to 6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can be obtained from a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Whe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ardness is obtained, and when it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value, the rise in haze can be suppressed.

무기 입자의 형상은, 구형, 비구형에 한정되지 않는만, 2~10개의 무기 입자가 연결된 비구형이 경도 부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러 개가 쇄 형상으로 연결된 무기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강고한 입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경도가 향상된다고 추정하고 있다.The shap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not limited to spherical and non-spherical shapes, but is preferably an irregular shape in which 2 to 10 inorganic particles are connected, 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hardness. It is presumed that a hardened particle network structure is formed by using inorganic particles in which several chains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chains to improve the hardness.

무기 입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ELECOM V-8802(닛키(주)제의 평균 1차 입경 12nm의 구형 실리카 입자), ELECOM V-8803(닛키(주)제의 이형 실리카 입자), MiBK-SD(닛산 가가쿠 고교(주)제의 평균 1차 입경 10~20nm의 구형 실리카 입자), MEK-AC-2140Z(닛산 가가쿠 고교(주)제의 평균 1차 입경 10~20nm의 구형 실리카 입자), MEK-AC-4130(닛산 가가쿠 고교(주)제의 평균 1차 입경 40~50nm의 구형 실리카 입자), MiBK-SD-L(닛산 가가쿠 고교(주)제의 평균 1차 입경 40~50nm의 구형 실리카 입자), MEK-AC-5140Z(닛산 가가쿠 고교(주)제의 평균 1차 입경 70~100nm의 구형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형의 ELECOM V-8803이 표면 경도 부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ELECOM V-8802 (spherical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12 nm, manufactured by Nikkiso Co., Ltd.), ELECOM V-8803 (modified silica particles made by NIKKI Corporation), MiBK-SD MEK-AC-2140Z (spherical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10 to 20 nm,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Co., Ltd.), MEK- (Spherical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of 40 to 50 nm,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Co., Ltd.) and MiBK-SD-L (spherical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of 40 to 50 nm, manufactured by Nissan Kagaku Kogyo Co., Silica particles) and MEK-AC-5140Z (spherical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70 to 100 nm,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Among them, the release type ELECOM V-8803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surface hardness.

[f) 폴리에스터유레테인][f) Polyester Yuretain]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f)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을 함유하는 것이, 취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f)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을 "f) 성분"이라고도 칭한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f) containing a polyester urethane in view of increasing the embrittlement. Hereinafter, f) polyester ester is also referred to as "f) component ".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이란, 1분자 중에 에스터 결합과 유레테인 결합(-O-CO-NH-)을 포함하는 폴리머이다.The polyester ester is a polymer containing an ester bond and a urethane bond (-O-CO-NH-) in a molecule.

f)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은, 인장 강도가 25MPa 이상이고, 또한 인장 신도가 200% 이상인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강도가 25MPa 이상이고, 또한 인장 신도가 200% 이상인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은 하드 코트층의 고경도화 및 적당한 유연성의 부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하드 코트층의 고경도화와 취성 향상에 기여한다고 추측된다.f) The polyester urethane is preferably a polyester urethane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25 MPa or more and a tensile elongation of 200% or m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olyester urethane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25 MPa or more and a tensile elongation of 200% or more can contribute to the hardening of the hard coat layer and the imparting of appropriate flexibility. This is presumed to contribute to hardening of the hard coat layer and improvement of the brittleness.

또,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전체량 100질량부에 대한 폴리에스터유레테인 함유량이 1질량부 이상이면, 폴리에스터유레테인 첨가에 의한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10질량부 이하이면, 경화층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전체량 100질량부에 대한 폴리에스터유레테인 함유량은, 1~10질량부의 범위로 한다. 취성 향상 및 투명성 저하의 억제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상이고, 하드 코트층의 경도 유지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부 이하이다.When the content of polyester ester is 1 part by mass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obtain the above effect by the addition of polyester urethane, If it is 10 parts by mass or less, the hardness of the cured layer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content of polyester ester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is in the range of 1 to 1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from the viewpoints of improvement in brittleness and suppression of transparency, and more preferably 8 parts by ma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폴리에스터유레테인으로서 상기 인장 강도 및 인장 신도를 나타내는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을 이용하는 것은, 하드 코트층에 적당한 유연성이 부여됨으로써 고경도화와 취성 향상을 함께 달성하는 것에 기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강도는 40MPa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이다. 또, 인장 강도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서의 상용(相溶) 안정성의 관점에서, 7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장 신도는, 바람직하게는 45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다. 또, 필름 경도의 지표 중 하나인 연필 경도 확보의 관점에서, 인장 신도는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필 경도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한다.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의 인장 강도 및 인장 신도는, JIS K 6251에 따라, 인장 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으로 한다.Use of a polyester urethane showing the abov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as a polyester urethane contributes to achieving both hardening and improvement in brittleness by imparting appropriate flexibility to the hard coat layer. More preferably, the tensile strength is 40 MPa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0 MPa or more. The tensile strength is preferably 70 MPa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atibility stability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elongation is preferably 45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00%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pencil hardness, which is one of the indexes of film hardness, the tensile elongation is preferably 1000% or less. The method of measuring pencil hardnes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of the polyester urethane are determined to values measured using a tensile strength tester in accordance with JIS K 6251.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은, 다이올, 다이카복실산, 및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중합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이들 3종류의 모노머로서는, 분기하고 있지 않는 구조를 갖는 탄화 수소기의 양 말단에, 각각 수산기(-OH), 카복실기(-COOH),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NCO)를 갖는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이 바람직하다.The polyester urethane may be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t least a diol, a dicarboxylic acid, and a diisocyanate. As these three types of monomers, a polyester having a hydroxyl group (-OH), a carboxyl group (-COOH), and an isocyanate group (-NCO) at both terminals of a hydrocarbon group having a non- branched structure Yuretene is preferred.

분기하고 있지 않는 구조를 갖는 탄화 수소기는,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카인일렌기, 아릴렌기 또는 그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ydrocarbon group having a non-branched structure is preferably an alkylene group, an alkenylene group, an alkenylene group, an arylene group or a combination thereof.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카인일렌기는 직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lkylene group, alkenylene group and alkenylene group are preferably linear.

상기 탄화 수소기가 알킬렌기, 알켄일렌기, 알카인일렌기인 경우의 탄소 원자수는, 1~8인 것이 바람직하고, 2~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When the hydrocarbon group is an alkylene group, an alkenylene group or an alkynylene group,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preferably 1 to 8, more preferably 2 to 6, and even more preferably 2 to 4.

아릴렌기는 탄소 원자수가 1~8의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고 있어도 된다.The arylene group may have an alkyl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as a substituent.

아릴렌기로서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닐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p-페닐렌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arylene group is preferably a phenylene group or a naphthylene group, more preferably a phenylene group, and more preferably a p-phenylene group.

상기 탄화 수소기로서는 특히, 상기 알킬렌기, 상기 아릴렌기 또는 그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The hydrocarbon group is preferably an alkylene group, an arylene group, or a combination thereof.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의 모노머로서 이용하는 다이올로서는, 에틸렌글라이콜, 1,3-프로페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네오펜틸글라이콜, 1,6-헥세인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및 1,5-펜테인다이올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diol used as the monomer of the polyester urethane include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neopentylglycol, 1,6-hexanediol , 1,4-cyclohexane dimethanol and 1,5-pentanediol are preferred.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옥살산 및 말론산이 바람직하다.As the dicarboxylic acid,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oxalic acid and malonic acid are preferable.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에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m-자일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p-페닐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p,p'-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1,5-나프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diisocyanate include ethylene diisocyanate, trimethylene diisocyanate, tetrameth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m-xylylene diisocyanate, p- Phenyle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p, p'-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1,5-naphthylene diisocyanate are preferable.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의 수평균 분자량(Mn)은, 무기 입자와의 친화성의 관점에서는 5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성 화합물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는 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polyester urethane is preferably 5000 or more, more preferably 10,000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affinity with the inorganic particles, and is preferably 50,00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the curing compound.

또, 일 양태에서는,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은, 반응성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반응성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불포화기이다. 구체예에 대해서는, 먼저 무기 입자가 가질 수 있는 관능기에 대하여 기재한 바와 같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polyester urethane may have a reactive group. The reactive group is preferably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s specific examples, the functional groups that the inorganic particles may have are described first.

이상 설명한 폴리에스터유레테인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폴리에스터유레테인을 이용해도 되고,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시판품으로서는, 바이론(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도요보(주)제 등을 들 수 있고, 바이론 UR-2300, 바이론 UR-3200, 바이론 UR-3210, 바이론 UR-3260, 바이론 UR-5537, 바이론 UR-8300, 바이론 UR-8700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the polyester ester described above, a polyester ester synthesized by a known method may be use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Vylon (registered trademark) series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and Vylon UR-2300, Vylon UR-3200, Vylon UR-3210, Vylon UR- VYLON UR-8300, VYLON UR-8700,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g) 방오제][g) Antifouling age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g) 방오제를 함유하는 것이, 지문 및 오염의 부착이 저감되고, 또 부착된 오염을 간단히 닦아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표면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하, g) 방오제를 "g) 성분"이라고도 칭한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such that g) an antifouling agent is contained because adhesion of fingerprints and fouling is reduced and the adhered fouling can be easily wiped off. It is also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by improving the slidability of the surface. Hereinafter, g) the antifouling agent is also referred to as "g) component ".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g) 방오제가 함불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이 함불소 화합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지며, 또한 중합성 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복수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g) an antifouling agent-containing fluorine compound, wherein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has a perfluoropolyether group and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further contains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 a molecule .

본 실시형태에 이용할 수 있는 g) 방오제에 대하여 설명한다.G) antifouling agent usa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Fluorocarbon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g) 방오제가, 함불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이 함불소 화합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 및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고, 또한 중합성 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복수 갖는 화합물(이하, "함불소 방오제"라고도 함)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g) a compound having a perfluoropolyether group and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having a plurality of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s in one molec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uorinated antifouling agent ") containing an antifouling agent and a fluorinated compound, ") Is described.

함불소 방오제는 하기 식 (F)로 나타나는 구조를 포함하는 불소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luorinated antifouling agent is preferably a fluorinated compound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

식 (F): (Rf)-[(W)-(RA)n]m (F): (Rf) - [(W) - (R A ) n ] m

식 중, Rf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 W는 연결기, RA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나타낸다.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s, Rf represents a (per) fluoroalkyl group or a (per) fluoropolyether group, W represents a linking group, and R A represents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3. m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3;

함불소 방오제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짐으로써, 이하의 (1)~(3)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It is considered that the fluorine antifouling ag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1) to (3) by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1)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과의 상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방오제가 응집체를 형성하지 않고, 균일하게 표면에 국재화될 수 있게 된다고 생각된다. 또, 응집체에 의한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1) compatibility with a compound having solubility to an organic solvent or an unsaturated double bond is enhanced, it is considered that the antifouling agent can be uniformly localized on the surface without forming an aggreg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aggregates.

(2) 함불소 방오제가 표면에 국재화되어도, 함불소 방오제끼리, 혹은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광중합 반응에 의하여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방오제의 박리, 나아가서는 방오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2) Even when the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agent is localized on the surface, the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agent or the compound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can form a covalent bond by the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so that the antifouling agent is peeled off due to abrasion, Deterioration of the antifouling property can be prevented.

(3) 방오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석출되는 것에 의한 방오성의 손실 및 외관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antifouling property and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caused by the precipitation of the antifouling agent by bleeding out.

식 (F)에 있어서, RA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나타낸다. 중합성 불포화기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라디칼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기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바이닐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고,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이들 기에 있어서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에 치환한 기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In formula (F), R A represents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group capable of causing a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rays and includes a (meth) acryloyl group, a (meth) acryloyloxy group, a vinyl group, (Meth) acryloyl group, a (meth) acryloyloxy group, and a group in which any hydrogen atom in these groups is substituted with a fluorine atom is preferably used.

중합성 불포화기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기가 바람직하다.A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 group having a structure shown below is preferable.

[화학식 7](7)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식 (F)에 있어서, Rf는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F), Rf represents a (per) fluoroalkyl group or a (per) fluoropolyether group.

여기에서, (퍼)플루오로알킬기는 플루오로알킬기 및 퍼플루오로알킬기 중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는 플루오로폴리에터기 및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 중 적어도 1종을 나타낸다. 방오성의 관점에서는, Rf 중의 불소 함유율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er) fluoroalkyl group represents at least one of a fluoroalkyl group and a perfluoroalkyl group, and the (per) fluoropolyether group is at least one of a fluoropolyether group and a perfluoropolyether group . From the viewpoint of antifouling property, the fluorine content in Rf is preferably high.

(퍼)플루오로알킬기는 탄소수 1~20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의 기이다.The (per) fluoroalkyl group is preferably a group of 1 to 2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 group of 1 to 10 carbon atoms.

(퍼)플루오로알킬기는 직쇄(예를 들면 -CF2CF3, -CH2(CF2)4H, -CH2(CF2)8CF3, -CH2CH2(CF2)4H 등)여도 되고, 분기 구조(예를 들면 CH(CF3)2, CH2CF(CF3)2, CH(CH3)CF2CF3, CH(CH3)(CF2)5CF2H 등)여도 되며, 지환식 구조(바람직하게는 5원환 또는 6원환,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사이클로헥실기, 퍼플루오로사이클로펜틸기 또는 이들로 치환된 알킬기 등)여도 된다.(Per) fluoroalkyl group is, for a straight-chain (for example, -CF 2 CF 3, -CH 2 ( CF 2) 4 H, -CH 2 (CF 2) 8 CF 3, -CH 2 CH 2 (CF 2) 4 H is even, and so on), a branch structure (e. g. CH (CF 3) 2, CH 2 CF (CF 3) 2, CH (CH 3) CF 2 CF 3, CH (CH 3) (CF 2) 5 CF 2 H Etc.), and may be an alicyclic structure (preferably, a 5-membered ring or a 6-membered ring, for example, a perfluorocyclohexyl group, a perfluorocyclopentyl group, or an alkyl group substituted with them).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는, (퍼)플루오로알킬기가 에터 결합을 갖고 있는 경우를 가리키고, 1가여도 되고 2가 이상의 기여도 된다. 플루오로폴리에터기로서는, 예를 들면 -CH2OCH2CF2CF3, -CH2CH2OCH2C4F8H, -CH2CH2OCH2CH2C8F17, -CH2CH2OCF2CF2OCF2CF2H, 불소 원자를 4개 이상 갖는 탄소수 4~20의 플루오로사이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로서는, 예를 들면 -(CF2O)p-(CF2CF2O)q-, -[CF(CF3)CF2O]p-[CF2(CF3)]-, -(CF2CF2CF2O)p-, -(CF2CF2O)p- 등을 들 수 있다.The (per) fluoropolyether group indicates the case where the (per) fluoroalkyl group has an ether bond, and may be monovalent or a divalent or higher. Examples of the fluoropolyether group include -CH 2 OCH 2 CF 2 CF 3 , -CH 2 CH 2 OCH 2 C 4 F 8 H, -CH 2 CH 2 OCH 2 CH 2 C 8 F 17 , -CH 2 CH 2 OCF 2 CF 2 OCF 2 CF 2 H, fluorocycloalkyl groups having 4 to 20 carbon atoms and 4 to 20 carbon atoms,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a perfluoroalkyl polyether ether group, such as - (CF 2 O) p - (CF 2 CF 2 O) q -, - [CF (CF 3) CF 2 O] p - [CF 2 (CF 3 -] -, - (CF 2 CF 2 CF 2 O) p -, - (CF 2 CF 2 O) p -.

p 및 q의 총 합계는 1~83이 바람직하고, 1~43이 더 바람직하며, 5~23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total sum of p and q is preferably 1 to 83, more preferably 1 to 43, and most preferably 5 to 23.

함불소 방오제는, 방오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CF2O)p-(CF2CF2O)q-로 나타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fluorinated antifouling agent has a perfluoropolyether group represented by - (CF 2 O) p - (CF 2 CF 2 O) q -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antifouling property.

상기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p+q는 1 이상의 정수이다.P and q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integer of 0 to 20; However, p + q is an integer of 1 or more.

상술한 (1)~(3)에 나타낸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함불소 방오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갖고, 또한 중합성 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복수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that the effect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1) to (3) are more remarkably obtai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ororesin stainproofing agent has a perfluoropolyether group and a plurality of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s in one molecule.

식 (F)에 있어서, W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W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렌기, 아릴렌기, 헤테로 알킬렌기, 또는 이들을 조합한 연결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연결기는, 옥시기, 카보닐기, 카보닐옥시기, 카보닐이미노기, 설폰아마이드기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관능기를 더 가져도 된다.In the formula (F), W represents a linking group. W is, for example, an alkylene group, an arylene group, a heteroalkylene group, or a linking group combining these groups. These linking groups may further have an oxy group, a carbonyl group, a carbonyloxy group, a carbonylimino group, a sulfonamido group, or the like, or a functional group combining these.

W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보닐이미노기와 결합한 에틸렌기이다.W is preferably an ethylene group, more preferably an ethylene group bonded to a carbonyl imino group.

상술한 (1)~(3)에 나타낸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식 (F)에 있어서, n과 m의 곱(n×m)은 2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that the effect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1) to (3) are more remarkably obtained, in the formula (F), the product (n x m) of n and m is preferably 2 or more, Do.

식 (F)에 있어서, n과 m 모두 1인 경우에 대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양태의 구체예로서 하기 식 (F-1)~(F-3)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below include the following formulas (F-1) to (F-3), when n and m are both 1 in the formula (F).

식 (F-1):Formula (F-1):

Rf2(CF2CF2)pR'2CH2CH2R2OCOCR1=CH2 Rf 2 (CF 2 CF 2 ) p R ' 2 CH 2 CH 2 R 2 OCOCR 1 = CH 2

식 (F-1) 중, Rf2는 불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10인 플루오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R2는 단결합 또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는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며, p는 중합도를 나타내는 정수이고, 중합도 p는 k(k는 3 이상의 정수) 이상이다.In formula (F-1), Rf 2 represents any one of a fluorine atom or a fluoro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R 2 represents a single bond or an alkylene group , R ' 2 represents a single bond or a divalent linking group, p is an integer representing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p is not less than k (k is an integer not less than 3).

R'2가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는 경우, 2가의 연결기로서는, W와 동일한 연결기를 들 수 있다.When R ' 2 represents a divalent linking group, the divalent linking group may be the same linking group as W.

식 (F-1)에 있어서의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텔로머형 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트)아크릴산의 부분 또는 완전 불소화 알킬에스터 유도체류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fluoromonomer-containing telomeric acrylate in the formula (F-1) include a (meth) acrylic acid moiety or a completely fluorinated alkyl ester derivative.

식 (F-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1)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pounds.

[화학식 8][Chemical Formula 8]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상기의 식 (F-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합성 시에 텔로머리제이션을 이용하면, 텔로머리제이션의 조건 및 반응 혼합물의 분리 조건 등에 따라서는 식 (F-1)의 기 Rf2(CF2CF2)pR'2CH2CH2R2O-의 p가 각각 k, k+1, k+2,···등의 복수의 함불소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F-1)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1) to a group Rf 2 (CF 2 CF 2) p R '2 CH 2 CH there i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e fluorinated (meth) acrylic acid ester such as 2 R 2 p O-, each k, k + 1, k + 2, ··· in.

식 (F-2):Formula (F-2):

F(CF2)q-CH2-CHX-CH2YF (CF 2 ) q -CH 2 -CHX-CH 2 Y

식 (F-2) 중, q는 1~20의 정수,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수산기 중 어느 하나이며, 적어도 한쪽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이다.In Formula (F-2), q is an integer of 1 to 20, and X and Y are each independently any one of a (meth) acryloyloxy group and a hydroxyl group, and at least one of them is a (meth) acryloyloxy group.

식 (F-2)로 나타나는 함불소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는, 말단에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CF3-)를 갖는 탄소수 1~20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갖고 있고, 이 함불소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는 소량이어도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가 표면에 유효하게 배향된다.The fluorine (meth) acrylic acid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F-2) has a fluoro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having a trifluoromethyl group (CF 3 -) at the terminal, and the fluorine (meth) Lt; RTI ID = 0.0 &gt; trifluoromethyl &lt; / RTI &gt; group is effectively oriented on the surface.

방오성 및 제조의 용이성에서, q는 6~20이 바람직하고, 8~10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8~10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함불소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는, 다른 쇄장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함불소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와 비교해도 우수한 발수(撥水)·발유성(撥油性)을 발현하기 때문에, 방오성이 우수하다.In terms of antifouling property and ease of production, q is preferably from 6 to 20, more preferably from 8 to 10. The fluorinated (meth) acrylic acid ester having a fluoroalkyl group having 8 to 10 carbon atoms is excellent in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even when compared with a fluorinated (meth) acrylic acid ester having fluoroalkyl groups having other chains, So that the antifouling property is excellent.

식 (F-2)로 나타나는 함불소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로서 구체적으로는, 1-(메트)아크릴로일옥시-2-하이드록시-4,4,5,5,6,6,7,7,8,8,9,9,10,10,11,11,12,12,13,13,13-헨에이코사플루오로트라이데케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1-하이드록시-4,4,5,5,6,6,7,7,8,8,9,9,10,10,11,11,12,12,13,13,13-헨에이코사플루오로트라이데케인 및 1,2-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4,4,5,5,6,6,7,7,8,8,9,9,10,10,11,11,12,12,13,13,13-헨에이코사플루오로트라이데케인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아크릴로일옥시-2-하이드록시-4,4,5,5,6,6,7,7,8,8,9,9,10,10,11,11,12,12,13,13,13-헨에이코사플루오로트라이데케인이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fluorine (meth) acrylate esters represented by the formula (F-2) include 1- (meth) acryloyloxy-2-hydroxy-4,4,5,5,6,6,7,7 , 8,8,9,9,10,10,11,11,12,12,13,13,13-henecosafluorotridecane, 2- (meth) acryloyloxy-1-hydroxy 4,4,5,5,6,6,7,7,8,8,9,9,10,10,11,11,12,12,13,13,13-Hexecosulfurotridide Cyan and 1,2-bis (meth) acryloyloxy-4,4,5,5,6,6,7,7,8,8,9,9,10,10,11,11,12,12 , 13,13,13-hexenecafluorotridecan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1-acryloyloxy-2-hydroxy-4,4,5,5,6,6,7,7,8,8,9,9,10,10,11,11, 12,12,13,13,13-heneicosafluorotridecane is preferred.

식 (F-3):Formula (F-3):

F(CF2)rO(CF2CF2O)sCF2CH2OCOCR3=CH2 F (CF 2 ) r O (CF 2 CF 2 O) s CF 2 CH 2 OCOCR 3 = CH 2

식 (F-3) 중,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s는 1~20의 정수이며, r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F-3), R 3 i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s is an integer of 1 to 20, and r is an integer of 1 to 4.

상기 식 (F-3)으로 나타나는 불소 원자 함유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기 식 (FG-3)으로 나타나는 불소 원자 함유 알코올 화합물과 (메트)아크릴산 할라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The fluorine atom-containing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F-3) can be obtained by reacting a fluorine atom-containing alcoho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G-3) with a (meth) acrylic acid halide.

식 (FG-3):Formula (FG-3):

F(CF2)rO(CF2CF2O)sCF2CH2OH F (CF 2) r O ( CF 2 CF 2 O) s CF 2 CH 2 OH

식 (FG-3) 중, s는 1~20의 정수이고, r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FG-3), s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20, and r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4.

식 (FG-3)으로 나타나는 불소 원자 함유 알코올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헵탄-1-올,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옥탄-1-올,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운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트라이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테트라옥사트라이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테트라옥사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펜타옥사헥사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펜타옥사헵타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펜타옥사노나데칸-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18-헥사옥사아이코산-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18-헥사옥사도코산-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18,21-헵타옥사트라이코산-1-올, 1H,1H-퍼플루오로-3,6,9,12,15,18,21-헵타옥사펜타코산-1-올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fluorine atom-containing alcoho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G-3) include 1H, 1H-perfluoro-3,6-dioxaheptan-1-ol, 1H, 1H-perfluoro-3,6-dioxadecan-1-ol, 1H, 1H-perfluoro-3,6,9-trioxadecane- 1H, 1H, 1H-perfluoro-3,6,9-trioxandecan-1-ol, 1H, 1H- perfluoro-3,6,9-trioxatridecan- Perfluoro-3,6,9,12-tetraoxatetradecan-1-ol, 1H, 1H-perfluoro-3,6,9,12-tetraoxatetradecan- Perfluoro-3,6,9,12-tetraoxahexadecan-1-ol, 1H, 1H-perfluoro-3,6,9,12,15-pentaoxahexadecan- 1H, 1H-perfluoro-3,6,9,12,15-pentaoxaheptadecan-1-ol, 1H, 1H- perfluoro-3,6,9,12,15-pentaoxanonadecane- 1-ol, 1H, 1H-perfluoro-3,6,9,12,15,18-hexaoxiacoate-1-ol, 1H, 1H-perfluoro-3,6,9,12,15 , 18-hexaoxodoic acid-1-ol, 1H, 1H-perfluoro Heptaoxatricoan-1-ol, 1H, 1H-perfluoro-3,6,9,12,15,18,21-heptaoxapenta Kosan-1-ol and the like.

이들은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헵탄-1-올(상품명 "C5GOL", 익스플루오르사제),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데칸-1-올(상품명 "C7GOL", 익스플루오르사제), 1H,1H-퍼플루오로-3,6-다이옥사데칸-1-올(상품명 "C8GOL", 익스플루오르사제), 1H,1H-퍼플루오로-3,6,9-트라이옥사트라이데칸-1-올(상품명 "C10GOL", 익스플루오르사제), 1H,1H-퍼플루오로-3,6,9,12-테트라옥사헥사데칸-1-올(상품명 "C12GOL", 익스플루오르사제)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1H, 1H-perfluoro-3,6-dioxaheptan-1-ol (trade name: C5GOL, manufactured by EXFOUR), 1H, 1H-purple Perfluoro-3,6-dioxadecan-1-ol (trade name "C8GOL" Perfluoro-3,6,9-trioxatridecan-1-ol (trade name "C10GOL ", manufactured by EXFOUR), 1H, 6,9,12-tetraoxahexadecan-1-ol (trade name "C12GOL ", manufactured by EXFOUR).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H,1H-퍼플루오로-3,6,9,12-테트라옥사트라이데칸-1-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1H, 1H-perfluoro-3,6,9,12-tetraoxatridecan-1-ol is preferably used.

또, 식 (FG-3)으로 나타나는 불소 원자 함유 알코올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메트)아크릴산 할라이드로서는, (메트)아크릴산 플루오라이드, (메트)아크릴산 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산 브로마이드, (메트)아크릴산 아이오다이드를 들 수 있다. 입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halide to be reacted with the fluorine atom-containing alcoho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G-3) include (meth) acrylic acid fluoride, (meth) acrylic acid chloride, (meth) acrylic acid bromide, Id can be said.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and the like, (meth) acrylic acid chloride is preferable.

이하에 식 (F-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식 (F-3)으로 나타나는 바람직한 구체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64221호에도 기재가 있다.Specific preferred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3) are shown belo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 preferable specific example represented by the formula (F-3)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64221.

(b-1): F9C4OC2F4OC2F4OCF2CH2OCOCH=CH2 (b-1): F 9 C 4 OC 2 F 4 OC 2 F 4 OCF 2 CH 2 OCOCH = CH 2

(b-2): F9C4OC2F4OC2F4OCF2CH2OCOC(CH3)=CH2 (b-2): F 9 C 4 OC 2 F 4 OC 2 F 4 OCF 2 CH 2 OCOC (CH 3 ) = CH 2

또한 식 (F-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과는 별도로, 하기 식 (F-3A)로 나타나는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3),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3A) can be preferably used.

식 (F-3A):Formula (F-3A):

Rf3-[(O)c(O=C)b(CX4X5)a-CX3=CX1X2]Rf 3 - [(O) c (O = C) b (CX 4 X 5 ) a -CX 3 = CX 1 X 2 ]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F를 나타내고, X3은 H, F, CH3 또는 CF3을 나타내며, X4 및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F, 또는 CF3을 나타내고, a, b,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며, Rf3은 탄소수 18~200의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함불소 알킬기를 나타냄)로서, Rf3기 중에,Wherein X 1 and X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 or F, X 3 represents H, F, CH 3 or CF 3 , X 4 and X 5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 F, or a represents a CF 3, a, b, and c are each independently 0 or 1, Rf 3 represents a fluorine-containing alkyl group containing an ether bond with a carbon number of 18 ~ 200), the Rf group 3,

식 (FG-3A):Formula (FG-3A):

-(CX6 2CF2CF2O)- - (CX 6 2 CF 2 CF 2 O) -

(식 중, X6은 F 또는 H)로 나타나는 반복 단위를 6개 이상 갖는 함불소 불포화 화합물.(Wherein X &lt; 6 &gt; is F or H).

식 (F-3A)로 나타나는 함불소 폴리에터 화합물의 예로서는,Examples of the fluorinated polyether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3A)

(c-1) Rf3-[(O)(O=C)b-CX3=CX1X2](O) (C-1) Rf 3 - [(O) (O = C) b -CX 3 = CX 1 X 2 ]

(c-2) Rf3-[(O)(O=C)-CX3=CX1X2] (c-2) Rf 3 - [(O) (O = C) -CX 3 = CX 1 X 2]

(c-3) Rf3-[(O)c(O=C)-CF=CH2] (c-3) Rf 3 - [(O) c (O = C) -CF = CH 2]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함불소 폴리에터 화합물의 중합성 불포화기로서는, 이하의 구조를 갖는 기가 바람직하다. (c-1)~(c-3)에 있어서의 각 기호의 정의는 식 (F-3A)와 동의이다., And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of the fluorinated polyether compound is preferably a group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e. The definition of each symbol in (c-1) to (c-3) agrees with the formula (F-3A).

[화학식 9][Chemical Formula 9]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2

또, 식 (F-3A)로 나타나는 함불소 폴리에터 화합물은, 중합성 불포화기를 복수 개 갖고 있어도 되고,The fluorinated polyether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3A) may have a plurality of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s,

[화학식 10][Chemical formula 10]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3

등의 구조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O(C=O)CF=CH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중합(경화) 반응성이 특히 높고, 효율적으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of -O (C = O) CF = CH 2 is preferable because a polymerization (curing) reactivity is particularly high and a cured product can be efficiently obtained.

식 (F-3A)로 나타나는 함불소 폴리에터 화합물에 있어서 Rf3기는 식 (FG-3A)의 함불소 폴리에터쇄를 반복 단위로 6개 이상 Rf3 중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고, 그에 따라 방오성을 부여할 수 있다.Formula Rf 3 groups according also to the emitter compound in fluoride poly represented by (F-3A) formula (FG-3A) also important to include the six or more Rf 3 to teoswae the fluorine polyester repeat units and, accordingly, the Antifouling properties can be imparted.

또 더 자세하게는, 함불소 폴리에터쇄의 반복 단위가 6개 이상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반복 단위가 6개 미만인 함불소 불포화 화합물과 6개 이상의 함불소 불포화 화합물의 분포에 있어서 폴리에터쇄의 반복 단위가 6개 이상인 함불소 불포화 화합물의 존재 비율이 가장 높은 혼합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mixture containing a compound having 6 or more repeating units of a fluorinated polyether chain. When used in the form of a mixture, a fluorinated unsaturated compound having less than 6 repeating units and 6 or more fluorinat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unsaturated comp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ixture contains the fluorinated unsaturated compound having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polyfunctional unsaturated compound having 6 or more repeating units of the polyether chain.

식 (FG-3A)의 함불소 폴리에터쇄의 반복 단위는 6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개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8개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20개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발수성뿐만 아니라, 방오성, 특히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오염에 대한 제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기체 투과성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 함불소 폴리에터쇄는 Rf3기의 말단에 있어도, 쇄 중의 도중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The repeating unit of the fluorinated polyether chain of the formula (FG-3A) is preferably at least 6, more preferably at least 10, more preferably at least 18,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20 repeating units. As a result, not only water repellency but also removability against contamination including antifouling, especially oil componen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gas permeability can be more effectively imparted. The fluorinated polyether chain may be present at the terminal of the Rf 3 group or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of the chain.

Rf3기는 구체적으로는,Specifically, the Rf 3 group is, for example,

식 (c-4):Formula (c-4):

R4-(CX6 2CF2CF2O)t-(R5)e-R 4 - (CX 6 2 CF 2 CF 2 O) t - (R 5 ) e -

(식 중, X6은 식 (FG-3A)와 동일하고, R4는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또는 알킬기, 함불소 알킬기,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알킬기 및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함불소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R5는 2가 이상의 유기기, t는 6~66의 정수, e는 0 또는 1을 나타냄)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X 6 is the same as in formula (FG-3A), R 4 is selected from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or an alkyl group, a fluorine alkyl group, an alkyl group containing an ether bond and a fluorine alkyl group containing an ether bond , R 5 is a divalent or higher-valent organic group, t is an integer of 6 to 66, and e is 0 or 1).

즉, 2가 이상의 유기기 R5를 통하여, 반응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과 결합하고, 추가로 말단에 R4를 갖는 함불소 유기기이다.That is, it is a fluorinated organic compound having a reactive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further having R 4 at the terminal through a divalent or higher-valent organic group R 5 .

R5는 식 (FG-3A)의 함불소 폴리에터쇄를 반응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에 결합시킬 수 있는 유기기이면, 어떤 유기기여도 된다. 예를 들면, 알킬렌기, 함불소 알킬렌기,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알킬렌기 및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함불소 알킬렌기로부터 선택된다. 그 중에서도 함불소 알킬렌기, 에터 결합을 포함하는 함불소 알킬렌기인 것이, 투명성, 저굴절률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R 5 may be any organic group as long as it is an organic group capable of bonding a fluorinated polyether chain of formula (FG-3A) to a reactive carbon-carbon double bond. For example, an alkylene group, a fluorinated alkylene group, an alkylene group containing an ether bond, and a fluorinated alkylene group containing an ether bond. Among them, a fluorinated alkylene group containing a fluorinated alkylene group or an ether bond is preferable in terms of transparency and low refractive index.

식 (F-3A)로 나타나는 함불소 폴리에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WO2003/022906호 팸플릿에 예를 든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H2=CF-COO-CH2CF2CF2-(OCF2CF2CF2)7-OC3F7을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fluorinated polyether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3A), a compound exemplified in WO2003 / 022906 pamphlet is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CH 2 ═CF-COO-CH 2 CF 2 CF 2 - (OCF 2 CF 2 CF 2 ) 7 -OC 3 F 7 can b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식 (F)에 있어서, n과 m이 동시에 1이 아닌 경우에 대해서는, 이하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식 (F-4) 및 식 (F-5)를 들 수 있다.When n and m are not 1 at the same time in the formula (F), the following formulas (F-4) and (F-5) are preferred.

식 (F-4): (Rf1)-[(W)-(RA)n]m (F-4): (Rf 1 ) - [(W) - (R A ) n ] m

(식 (F-4) 중, Rf1은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 W는 연결기, RA는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n은 1~3, m은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n과 m은 동시에 1이 아니다.)(Formula (F-4) of, Rf 1 is a (per) ether group in poly alkyl group or a (per) fluoro-fluorophenyl, W is a linkage group, R A represents a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N is 1-3, m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3, and n and m are not simultaneously 1.)

발수 발유성이 우수함과 함께 발수 발유성의 지속(방오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n이 2~3, m이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n이 2~3, m이 2~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n이 3, m이 2~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n is 2 to 3 and m is 1 to 3, n is 2 to 3 and m is 2 to 3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as well as excellent water and oil repellency (antifouling durability) And most preferably n is 3 and m is 2 to 3.

Rf1은 1가 내지 3가의 기를 이용할 수 있다. Rf1이 1가인 경우, 말단기로서는(CnF2n+1)-, (CnF2n+1O)-, (XCnF2nO)-, (XCnF2n+1)-(식 중 X는 수소, 염소, 또는 브로민이며, n은 1~1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CF3O(C2F4O)pCF2-, C3F7O(CF2CF2CF2O)pCF2CF2-, C3F7O(CF(CF3)CF2O)pCF(CF3)-, F(CF(CF3)CF2O)pCF(CF3)-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Rf 1 may be a monovalent to trivalent group. Rf when 1 is 1 Cain, as the terminal group (C n F 2n + 1) -, (C n F 2n + 1 O) -, (XC n F 2n O) -, (XC n F 2n + 1) - ( X is hydrogen, chlorine, or bromine, and n is an integer of 1 to 10).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F 3 O (C 2 F 4 O) p CF 2 -, C 3 F 7 O (CF 2 CF 2 CF 2 O) p CF 2 CF 2 -, C 3 F 7 O (CF (CF 3 ) CF 2 O) p CF (CF 3 ) -, and F (CF (CF 3 ) CF 2 O) p CF (CF 3 ) -.

여기에서 p의 평균값은 0~50이다. 바람직하게는 3~30,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이다.Here, the average value of p is 0 to 50. Preferably 3 to 30, more preferably 3 to 20, and most preferably 4 to 15.

Rf1이 2가인 경우는, -(CF2O)q(C2F4O)rCF2-, -(CF2)3O(C4F8O)r(CF2)3-, -CF2O(C2F4O)rCF2-, -C2F4O(C3F6O)rC2F4-, -CF(CF3)(OCF2CF(CF3))sOCtF2tO(CF(CF3)CF2O)rCF(CF3)-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If Rf 1 is divalent is, - (CF 2 O) q (C 2 F 4 O) r CF 2 -, - (CF 2) 3 O (C 4 F 8 O) r (CF 2) 3 -, - CF 2 O (C 2 F 4 O) r CF 2 -, -C 2 F 4 O (C 3 F 6 O) r C 2 F 4 -, -CF (CF 3 ) (OCF 2 CF (CF 3 ) s OC t F 2t O (CF (CF 3) CF 2 O) r CF (CF 3) -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여기에서, 식 중 q, r, s의 평균값은 0~50이다. 바람직하게는 3~30,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 가장 바람직하게는 4~15이다. t는 2~6의 정수이다.Here, the average value of q, r, s in the equation is 0 to 50. Preferably 3 to 30, more preferably 3 to 20, and most preferably 4 to 15. t is an integer of 2 to 6;

식 (F-4)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 또는 합성 방법은 국제 공개공보 제2005/113690호에 기재되어 있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F-4) or methods for their synthesis are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5/113690.

이하에서는, F(CF(CF3)CF2O)pCF(CF3)-에 있어서 p의 평균값이 6~7인 화합물을 "HFPO-"라고 기재하고, -(CF(CF3)CF2O)pCF(CF3)-에 있어서 p의 평균값이 6~7의 화합물을 "-HFPO-"라고 기재하며, 식 (F-4)의 구체적 화합물을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F (CF (CF 3) CF 2 O) p CF (CF 3) - to the average value of p 6 ~ 7 The compound described as "HFPO-", and in - (CF (CF 3) CF 2 O-) p CF (CF 3 ) -, the compound in which the average value of p is 6 to 7 is referred to as "-HFPO-", and the specific compound of formula (F-4) is shown.

(d-1): HFPO-CONH-C-(CH2OCOCH=CH2)2CH2CH3 (d-1): HFPO-CONH-C- (CH 2 OCOCH = CH 2 ) 2 CH 2 CH 3

(d-2): HFPO-CONH-C-(CH2OCOCH=CH2)2H(d-2): HFPO- CONH-C- (CH 2 OCOCH = CH 2) 2 H

(d-3): HFPO-CONH-C3H6NHCH3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아크릴레이트의 1:1 마이클 부가 중합물(d-3): HFPO- CONH-C 3 H 6 NHCH 3, and 1: 1 Michael addition polymer of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d-4): (CH2=CHCOOCH2)2H-C-CONH-HFPO-CONH-C-(CH2OCOCH=CH2)2H(d-4): ???????? (CH 2 ═CHCOOCH 2 ) 2 HC-CONH-HFPO-CONH-C- (CH 2 OCOOCH═CH 2 ) 2 H

(d-5): (CH2=CHCOOCH2)3-C-CONH-HFPO-CONH-C-(CH2OCOCH=CH2)3 (d-5): ???????? (CH 2 ═CHCOOCH 2 ) 3 -C-CONH-HFPO-CONH-C- (CH 2 OCOCH═CH 2 ) 3

또한, 식 (F-4)로 나타나는 화합물로서 하기 식 (F-5)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Further,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5) may be used a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4).

식 (F-5):Formula (F-5):

CH2=CX1-COO-CHY-CH2-OCO-CX2=CH2 CH 2 = CX 1 -COO-CHY-CH 2 -OCO-CX 2 = CH 2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Y는 불소 원자를 3 이상 갖는 탄소수 2~20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불소 원자를 4개 이상 갖는 탄소수 4~20의 플루오로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Wherein X 1 and X 2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Y is a fluoroalk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having at least 3 fluorine atoms, or a fluoroalkyl group having 4 to 20 fluoro atoms and having 4 to 20 carbon atoms Represents a cycloalkyl group.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성 불포화기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인 화합물은,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함불소 방오제가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짐으로써, 경화시켰을 때에는, 3차원 그물코 구조를 나타내고, 유리 전이 온도가 높으며, 방오제의 전사성이 낮고, 또 오염을 반복적으로 닦아내는 것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내열성, 내후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ound in which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s a (meth) acryloyloxy group may have a plurality of (meth) acryloyloxy groups. When the fluorinated antifouling agent has a plurality of (meth) acryloyloxy groups, it exhibits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when cured, has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 transferability of the antifouling agent,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Further, a cured coating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식 (F-5)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메트)아크릴산-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4-헵타플루오로뷰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5,5,5-노나플루오로펜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5,5,6,6,6-운데카플루오로헥실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5,5,6,6,7,7,7-트라이데카플루오로헵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5,5,6,6,7,7,8,8,8-펜타데카플루오로옥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3,3,4,4,5,5,6,6,7,7,8,8,8-트라이데카플루오로옥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5,5,6,6,7,7,8,8,9,9,9-헵타데카플루오로노닐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2,3,3,4,4,5,5,6,6,7,7,8,8,9,9,10,10,10-노나데카플루오로데실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3,3,4,4,5,5,6,6,7,7,8,8,9,9,10,10,10-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2-트라이플루오로메틸-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3-트라이플루오로메틸-4,4,4-트라이플루오로뷰틸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1-메틸-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산-1-메틸-2,2,3,3,4,4,4-헵타플루오로뷰틸에틸렌글라이콜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단독 혹은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06326호에 예를 든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이아크릴산-2,2,3,3,4,4,5,5,6,6,7,7,8,8,9,9,9-헵타데카플루오로노닐에틸렌글라이콜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F-5) include di (meth) acrylate-2,2,2-trifluoroethyl ethylene glycol, di (meth) , 3-pentafluoropropyl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2,2,3,3,4,4,4-heptafluorobutylethylene glycol, di (meth) , 3,3,4,4,5,5,5-nonafluoropentyl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ic acid-2,2,3,3,4,4,5,5,6,6, 6-undecafluorohexyl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2,2,3,3,4,4,5,5,6,6,7,7,7-tridecafluoroheptylethylene Glycols, di (meth) acrylate-2,2,3,3,4,4,5,5,6,6,7,7,8,8,8-pentadecafluorooctyl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ethylene glycol, di (meth) (Meth) acrylic acid-2, 2,3,3,4 , 4,5,5,6,6,7,7,8,8,9,9,9,10,10,10-nonadecafluorodecyl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ic acid-3, 3,4 , 4,5,5,6,6,7,7,8,8,9,9,10,10,10-heptadecafluorodecyl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ic acid-2-trifluoro Methyl (meth) acrylate-3-trifluoromethyl-4,4,4-trifluorobutylethylene glycol, di (meth) acrylic acid Methyl-2,2,3,3,3-pentafluoropropyl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1-methyl-2,2,3,3,4,4,4-heptafluoro Butyl ethylene glycol, and the like, and they can be used singly or as a mixture when used. Such a di (meth) acrylic acid ester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such as that disclosed in JP-A-6-30632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crylic acid-2,2,3,3,4,4,5,5,6,6,7,7,8,8,9,9,9-heptadecafluorononyl ethylene glycol A lycor is preferably us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합성 불포화기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인 화합물로서, 1분자 중에 복수 개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이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mpound in which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s a (meth) acryloyloxy group may be a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per) fluoroalkyl groups or (per) fluoropolyether groups in one molecul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함불소 방오제는,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함불소 방오제는, 하드 코트층 피막 중에서의 결합 형성 또는 상용성에 기여하는 치환기를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치환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복수 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알릴기, 신나모일기, 에폭시기, 옥세탄일기, 수산기, 폴리옥시알킬렌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The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ag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y of monomers, oligomers, and polymers. The fluorine antifouling agent preferably has a substituent which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 bond or compatibility in the hard coat layer coating. Thes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preferably plural. Preferred examples of the substituent include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 cinnamoyl group, an epoxy group, an oxetanyl group, a hydroxyl group, a polyoxyalkylene group, a carboxyl group and an amino group.

함불소 방오제는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과의 폴리머여도 되고 올리고머여도 된다.The fluorine antifouling agent may be a polymer with a compound containing no fluorine atom, or it may be an oligomer.

또, 함불소 화합물은, 분자 중에 규소 원자를 함유해도 되고,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해도 되며, 실록세인 구조 이외의 구조를 가져도 된다. 단,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 미만이다.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may contain a silicon atom in the molecule, may contain a siloxane structure, or may have a structure other than a siloxane structure. However, when the fluorinated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5,000.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함불소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F-6)으로 나타난다.When the fluorinated compound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the fluorinated compound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6).

식 (F-6):Formula (F-6):

RaRf bRA cSiO(4-a-b-c)/2 R a R f b R A c SiO (4-abc) / 2

(식 중, R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또는 페닐기이고, Rf는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기이며, RA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유기기이고, 0<a, 0<b, 0<c, a+b+c<4이다.)(Wherein R is a hydrogen atom,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or a phenyl group, R f is an organic group containing a fluorine atom, R A is an organic group contain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b, 0 < c, a + b + c <

a는 바람직하게는 1~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이며, 1 이상이면 화합물의 합성이 공업적으로 용이해지고, 1.75 이하이면 경화성, 방오성의 양립이 쉬워진다.a is preferably from 1 to 1.75, more preferably from 1 to 1.5, and if it is more than 1, the synthesis of the compound becomes industrially easy, and when it is 1.75 or less, both the curing property and the antifouling property become easy.

RA에 있어서의 중합성 불포화기로서는, 식 (F)에 있어서의 RA와 동일한 중합성 불포화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이들 기에 있어서의 임의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에 치환한 기이다.As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 R A, there can be an ident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R A in the formula (F), preferably in time-yloxy a group, (meth) acrylic (meth) acrylate, and mixtures thereof Group is a group in which any hydrogen atom is substituted with a fluorine atom.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실록세인 구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다이메틸실릴옥시 단위를 반복 단위로서 복수 개 포함하는 화합물쇄의 말단 및/또는 측쇄에 치환기를 갖는 구조를 들 수 있다. 다이메틸실릴옥시를 반복 단위로서 포함하는 화합물쇄 중에는 다이메틸실릴옥시 이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치환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복수 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바이닐기, 알릴기, 신나모일기, 에폭시기, 옥세탄일기, 수산기, 플루오로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포함하는 기를 들 수 있고, 특히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가 방오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치환기수로서는, 관능기 등량으로서 1500~20000g·mol-1이 방오제의 편재성 향상과 블리드 아웃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When the fluorine compound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preferred examples of the siloxane structure include a structure having a substituent at the terminal and / or side chain of a compound chain containing a plurality of dimethylsilyloxy units as repeating units. The compound chain containing dimethylsilyloxy as a repeating unit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other than dimethylsilyloxy.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preferably plural. Examples of preferred substituents include (meth) acryloyl groups, (meth) acryloyloxy groups, vinyl groups, allyl groups, cinnamoyl groups, epoxy groups, oxetanyl groups, hydroxyl groups, fluoroalkyl groups, polyoxyalkylene groups, (Meth) acryloyloxy group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bleed-out of the antifouling agent. As the number of substituents, 1,500 to 20,000 g.mol.sup.- 1 in terms of the functional group equivalent is preferable in view of improvement of ellipticity of the antifouling agent and suppression of bleed-out.

Rf는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기이며, CxF2x+1(CH2)p-(식 중, x는 1~8의 정수, p는 2~10의 정수임)로 나타나는 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터 치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b는 바람직하게는 0.2~0.4,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25이며, 0.2 이상이면 방오성이 향상되고, 0.4 이하이면 경화성이 향상된다. Rf는 탄소수 8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R f is an organic group containing a fluorine atom and is a group represented by C x F 2x + 1 (CH 2 ) p - (wherein x is an integer of 1 to 8 and p is an integer of 2 to 10) Is preferably a polyether-substituted alkyl group. b is preferably from 0.2 to 0.4, more preferably from 0.2 to 0.25, and if it is 0.2 or more, the antifouling property is improved. If it is 0.4 or less, the curing property is improved. R f is preferably a perfluoroalkyl group having 8 carbon atoms.

RA는 (메트)아크릴기를 함유하는 유기기이며, 공업적인 합성의 용이성으로부터 Si 원자에 대한 결합이 Si-O-C 결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는 바람직하게는 0.4~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8이며, 0.4 이상이면 경화성이 향상되고, 0.8 이하이면 방오성이 향상된다.R A is an organic group containing a (meth) acryl group,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ond to the Si atom is Si-OC bond because of easiness in industrial synthesis. c is preferably 0.4 to 0.8, and more preferably 0.6 to 0.8. When the ratio is 0.4 or more, the curing property is improved. When the ratio is 0.8 or less, the antifouling property is improved.

또, a+b+c는 바람직하게는 2~2.7,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이며, 2보다 작으면 표면에 대한 편재화가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2.7보다 크면 경화성, 방오성의 양립을 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The value of a + b + c is preferably 2 to 2.7, more preferably 2 to 2.5. If it is smaller than 2, it is difficult for the surface to be unevenly distribut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larger than 2.7, .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함불소 화합물은, 1분자 중에 F 원자를 3개 이상 및 Si 원자를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F 원자를 3~17개 및 Si 원자를 3~8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원자가 3개 이상 있으면 방오성이 충분해지고, Si 원자가 3개 이상 있으면 표면에 대한 편재화가 촉진되어, 방오성이 충분해진다.When the fluorine compound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the fluorine compound preferably has 3 or more F atoms and 3 or more Si atoms, preferably 3 to 17 F atoms and 3 to 17 Si atoms in one molecul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8 units. When the number of F atoms is 3 or more, the antifouling property becomes sufficient. When the number of Si atoms is 3 or more, the surface is uniformly flattened and the antifouling property becomes sufficient.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함불소 화합물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45884호에 예를 든 공지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such as that disclosed in JP-A-2007-145884.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실록세인 구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이들 중에서 특히 분기상 또는 환상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후술하는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과 상용성이 양호하고, 시싱(cissing)이 없으며, 표면에 대한 편재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When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the siloxane structure may be any of linear, branched, and cyclic. Of these, the compound having a branched or cyclic structure is preferably a siloxane structure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good compatibility with a compound having a covalent bond, has no cissing, and is easily prone to surface unevenness.

여기에서, 실록세인 구조가 분기상의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F-7)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Here, as the compound having a siloxane structure and a branched structur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7) is preferable.

식 (F-7):Formula (F-7):

RfSiRk〔OSiRm(ORA)3-m3-k R f SiR k [OSiR m (OR A ) 3-m ] 3-k

(식 중, R, Rf, RA는 상기와 동일하고, m=0, 1 또는 2, 특히 m=2이며, k=0 또는 1이다.)(Wherein R, R f and R A are as defined above, m = 0, 1 or 2, in particular m = 2, and k = 0 or 1.)

또, 실록세인 구조가 환상 구조의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F-8)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As the compound having a siloxane structure having a cyclic structur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8) is preferable.

식 (F-8):Formula (F-8):

(RfRSiO)(RARSiO)n(식 중, R, Rf, RA는 상기와 동일하고, n=2, 특히 3≤n≤5이다.)(R f RSiO) (R A RSiO) n wherein R, R f and R A are the same as above and n = 2, in particular 3? N? 5.

이와 같은 함불소 폴리실록세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fluorine-containing polysiloxane compounds include the following compounds.

[화학식 11](11)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4

함불소 방오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분자 배척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면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함불소 방오제의 Mw는 400 이상 5000 미만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 500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 이상 3500 미만이 더 바람직하다. Mw가 400 이상이면, 방오제의 표면 이행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Mw가 5000 미만이면, 도포로부터 경화하는 공정 사이에, 함불소 방오제의 표면 이행성을 방해할 수 없고, 하드 코트층 표면에 균일하게 배향하기 쉽기 때문에, 방오성 및 막경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fluorine antifouling agent can be measured by molecular reversion chromatography, for exampl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he Mw of the fluororesin antifoul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400 or more and less than 5,000, more preferably 1,000 or more and less than 5,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0 or more and 3,500 or less. When the Mw is 400 or more, the antifouling agent is preferable because surface migration is increased. When the Mw is less than 5,000, the surface smoothness of the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agent can not be interrupted between the coating and curing steps, and the antifouling property and the film hardness are improved because the fluororesin is easily aligned uniformly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desirable.

단, 함불소 화합물이 실록세인 구조를 함유하는 경우, Mw는 1500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5000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3500 미만이다.However, when the fluorinated compound contains a siloxane structure, Mw is less than 15,000, preferably 1000 or more and less than 5000, and more preferably 1000 or more and less than 3,500.

함불소 방오제의 첨가량은,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1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함불소 방오제의 첨가량이 1질량% 이상이면, 발수 발유성을 갖는 방오제의 비율이 적당해져, 충분한 방오성이 얻어진다. 또,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함불소 방오제의 첨가량이 20질량% 이하이면, 수지 성분과 혼합할 수 없는 방오제가 표면에 석출되지 않고, 막이 백화되거나 표면에 백분(白粉)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fluorine antifouling agent to be added is preferably 1 to 20 mass%, more preferably 1 to 15 mass%, and more preferably 1 to 10 mass%, based on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desirable.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agent is 1%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the proportion of the antifouling agent having water-repellent and oil-repellent property becomes adequate and sufficient antifouling property can be obtained.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agent is 20%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the antifouling agent which can not be mixed with the resin component is not precipitated on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since it does not generate a white powder.

함불소 방오제의 불소 원자 함유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40~7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luorine atom content of the fluorine antifou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0 to 70% by mass, most preferably 40 to 70% by mass.

바람직한 함불소 방오제의 예로서는 다이킨 가가쿠 고교(주)제, R-2020, M-2020, R-3833, M-3833, 옵툴 DAC(이상 상품명), DIC사제, 메가팍 F-171, F-172, F-179A, 디펜서 MCF-300, MCF-323(이상 상품명)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preferred fluorinated antifouling agents include: R-2020, M-2020, R-3833, M-3833 and Optul DAC (trade name) manufactured by Daikin Kagaku Kogyo K.K., Megafac F- -172, F-179A, Defensor MCF-300, MCF-323 (trade name), and the like.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 이상인 폴리실록세인 화합물][Polysiloxane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5000 or more]

다음으로, g)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 이상인 폴리실록세인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분자량이 15000 이상인 폴리실록세인 화합물을 "폴리실록세인 방오제"라고 부른다.Next, the polysiloxane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5000 or more, which can be used as the component g)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polysiloxane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5000 or more is referred to as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바람직한 예의 일 양태는, 상술한 식 (F-6)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이다.One preferred example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F-6).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다이메틸실릴옥시 단위를 반복 단위로서 복수 개 포함하는 화합물쇄의 말단 및/또는 측쇄에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다이메틸실릴옥시를 반복 단위로서 포함하는 화합물쇄 중에는 다이메틸실릴옥시 이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치환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복수 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바이닐기, 알릴기, 신나모일기, 에폭시기, 옥세탄일기, 수산기, 플루오로알킬기, 폴리옥시알킬렌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포함하는 기를 들 수 있고, 특히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가 방오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치환기수로서는, 관능기 당량으로서 1500~20000g·mol-1이 방오제의 편재성 향상과 블리드 아웃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Preferable examples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nclude compounds having a substituent at the terminal and / or side chain of a compound chain containing a plurality of dimethylsilyloxy units as repeating units. The compound chain containing dimethylsilyloxy as a repeating unit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other than dimethylsilyloxy.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preferably plural. Examples of preferred substituents include (meth) acryloyl groups, (meth) acryloyloxy groups, vinyl groups, allyl groups, cinnamoyl groups, epoxy groups, oxetanyl groups, hydroxyl groups, fluoroalkyl groups, polyoxyalkylene groups, (Meth) acryloyloxy group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bleed-out of the antifouling agent. As the number of substituents, 1,500 to 20,000 g.mol.sup.- 1 as the functional group equivalent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improvement of the ubiquity of the antifouling agent and the suppression of bleed-out.

폴리실록세인 방오제는, 1분자 중에 F 원자를 3개 이상 및 Si 원자를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F 원자를 3~17개 및 Si 원자를 3~8개 함유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 원자가 3개 이상 있으면 방오성이 충분해지고, Si 원자가 3개 이상 있으면 표면에 대한 편재화가 촉진되어, 방오성이 충분해진다.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s preferably a compound containing 3 or more F atoms and 3 or more Si atoms, preferably 3 to 17 F atoms and 3 to 8 Si atoms in one molecule. When the number of F atoms is 3 or more, the antifouling property becomes sufficient. When the number of Si atoms is 3 or more, the surface is uniformly flattened and the antifouling property becomes sufficient.

폴리실록세인 방오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45884호에 예를 든 공지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s can be produced by using known methods such as tho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45884.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첨가제로서는, 반응성기 함유 폴리실록세인{예를 들면 "KF-100T", "X-22-169AS", "KF-102", "X-22-3701IE", "X-22-164C", "X-22-5002", "X-22-173B", "X-22-174D", "X-22-167B", "X-22-161AS"(상품명), 이상, 신에쓰 가가쿠 고교(주)제; "AK-5", "AK-30", "AK-32"(상품명), 이상 도아 고세이(주)제; "사일라플레인 FM0725", "사일라플레인 FM0721"(상품명), 이상 JNC(주)제; “DMS-U22", "RMS-033", "UMS-182"(상품명), 이상 Gelest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2383호의 표 2 또는 표 3에 기재된 실리콘계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X-22-169AS "," KF-102 "," X-22-3701IE ", and" X-22- X-22-173AS "," X-22-162AS "," X-22-173B "," X-22-174D " Manufactured by Kagaku Kogyo Co., Ltd.; Quot; AK-5 ", "AK-30 "," AK- 32 "(trade name) manufactured by Soko Dojo Kosei Co., &Quot; Sililla Plain FM0725 ", "Sililla Plain FM0721" (trade name) manufactured by JNC Corpora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DMS-U22", "RMS-033", "UMS-182" (trade name) Silicone-based compounds can also be preferably used.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에 포함되는 실록세인 구조로서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이들 중에서 특히 분기상 또는 환상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후술하는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과 상용성이 양호하고, 시싱이 없으며, 표면에 대한 편재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As the siloxane structure contained in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any of linear, branched and cyclic structures may be used. Among these compounds, a compound having a branched or cyclic structure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of its compatibility with a compound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Is preferable because there is no sissing, and the surface is liable to be unevenly distributed.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 50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0 이상 30000 이하이다.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 미만이면, 폴리실록세인의 표면 편재성이 저감함으로써, 방오성의 악화 및 경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단,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이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경우는 상기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s 15,000 or more, preferably 15,000 or more and 50,00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8,000 or more and 30,000 or less.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s less than 15,000,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polysiloxane is reduced, which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deteriorating antifouling property and lowering hardness. However, when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has a polysiloxane structure, the above problem does not occur.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분자 배척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면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can be measured by molecular reversion chromatography, for exampl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첨가량은,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1질량% 이상 25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20질량%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 이상 15질량% 미만이 더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첨가량이 1질량% 이상이면, 발수 발유성을 갖는 방오제의 비율이 적당해져, 충분한 방오성이 얻어진다. 또,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폴리실록세인 방오제의 첨가량이 25질량% 미만이면, 수지 성분과 혼합할 수 없는 방오제가 표면에 석출되지 않고, 막이 백화되거나, 표면에 백분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to be added is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and less than 25% by mass, more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and less than 20% by mass based on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15% by mass, and most preferably not less than 1% by mass and less than 10% by mass. If the addition amount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s 1%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or the hard coat layer, the proportion of the antifouling agent having water repellent or oil repellent property becomes adequate and sufficient antifouling property can be obtained. If the addition amount of the polysiloxane antifouling agent is less than 25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the antifouling agent which can not be mixed with the resin component is not precipitated on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does not generate a white powder.

하드 코트층 내에 있어서의 방오제의 막두께 방향의 분포 상태는, X를 하드 코트층의 표면 근방에 있어서의 불소량 또는 실리콘량, Y를 하드 코트층 전체에서의 불소량 또는 실리콘량으로 했을 때, 51%<X/Y<100%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X/Y가 51%보다 큰 경우, 방오제가 하드 코트층의 막 내부까지 분포되어 있지 않아, 방오성, 막경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근방이란, 하드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μm 미만의 깊이의 영역을 가리키고, 비행 시간 2차 이온 질량 분석(TOF-SIMS)으로 측정한 F-프래그먼트 또는 Si2C5H15O+ 프래그먼트의 비율로 측정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of the antifouling agent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n the hard coat layer can be obtained when X is the amount of fluorine or silicon near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and Y is the amount of fluorine or silicon in the entire hard coat layer , And 51% < X / Y < 100%. When X / Y is larger than 51%, the antifouling agent is not distributed to the inside of the film of the hard coat layer, and is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antifouling property and film hardness. Further, the vicinity of the surface refers to a region of a depth of less than 1 mu m from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and refers to an area of the F-fragment or Si 2 C 5 H 15 O + fragment measured by flight time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TOF-SIMS) The ratio can be measured.

g) 방오제는, 20℃에 있어서 액체 또는 용매에 용해하는 방오제가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화합물의 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탄산 다이메틸과 혼화하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지방족 또는 방향족의 알코올, 케톤, 에스터, 에터계 용매를 들 수 있다. 탄산 다이메틸에 용해하면 특히 바람직하다.g) The antifouling agent is preferably an antifouling agent dissolving in a liquid or a solvent at 20 占 폚. The solven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compound, but an organic solvent which is miscible with dimethyl carbonate is preferable, and aliphatic or aromatic alcohols, ketones, esters and ether solvents can be exemplifie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dissolve in dimethyl carbonate.

g) 방오제의 표면 장력은, 방오성의 관점에서, 표면 장력이 25.0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m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6.0mN/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g) The surface tension of the antifouling agent is preferably 25.0 mN / m or less, more preferably 23.0 mN / 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16.0 mN / m or less in view of antifouling property.

방오제의 표면 장력은, 단막에서의 표면 장력이며,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surface tension of the antifouling agent is the surface tension in the monolayer, which can b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방오제의 표면 장력의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antifouling agent)

석영 기판 상에 방오제를 스핀 코트하여, 용매를 함유하는 경우는 건조시켜 막을 제작했다. 계속해서, 접촉각계["CA-X"형 접촉각계, 교와 가이멘 가가쿠(주)제]를 이용하여 건조 상태(20℃/65%RH)에서, 액체로서 순수를 사용하여 직경 1.0mm의 액적을 바늘 선단에 만들고, 이것을 상기의 스핀 코트막의 표면에 접촉시켜 필름 상에 액적을 만들었다. 필름과 액체가 접하는 점에 있어서의, 액체 표면에 대한 접선과 필름 표면이 이루는 각으로, 액체를 포함하는 측의 각도를 접촉각으로 하여 측정했다. 또, 물 대신에 아이오딘화 메틸렌을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표면 자유 에너지를 구했다.The antifouling agent was spin-coated on the quartz substrate, and when the solvent was contained, the antifouling agent was dried to produce a film. Subsequently, using pure water as a liquid at a dry state (20 DEG C / 65% RH) using a contact angle meter ("CA-X" type contact angle meter, manufactured by Kyowa Chemical & Was made at the tip of the needle, and this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pin-coated film to form droplets on the film.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to the liquid surface and the film surface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film and the liquid was measured with the angle of the side containing the liquid as the contact angle. Further,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using methylidene iodide instead of water, and the surface free energy was determ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표면 자유 에너지(γsv: 단위, mN/m)란 D. K. Owens: J. Appl. Polym. Sci., 13, 1741(1969)을 참고로, 반사 방지 필름 상에서 실험적으로 구한 순수 H2O와 아이오딘화 메틸렌 CH2I2의 각각의 접촉각 θH2O, θCH2I2로부터 이하의 연립 방정식 a, b로부터 구한 γsd와 γsh의 합으로 나타나는 값 γsv(=γsd+γsh)로 정의했다.The surface free energy (? S v : unit, mN / m) is DK Owens: J. Appl. Polym. From the contact angles θ H2O and θ CH2I2 of pure H 2 O and iodinated methylene CH 2 I 2 experimentally obtained on the antireflection film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numerals a and b value represented by the sum of the calculated γs d and γs h from γs v (= γs d + γs h) was defined as.

a. 1+cosθH2O=2√γsd(√γH2O dH2O v)+2√γsh(√γH2O hH2O v)a. 1 + cosθ H2O = 2√γs d ( √γ H2O d / γ H2O v) + 2√γs h (√γ H2O h / γ H2O v)

b. 1+cosθCH2I2=2√γsd(√γCH2I2 dCH2I2 v)+2√γsh(√γCH2I2 hCH2I2 vH2O d=21.8, γH2O h=51.0, γH2O v=72.8, γCH2I2 d=49.5, γCH2I2 h=1.3, γCH2I2 v=50.8b. 1 + cosθ CH2I2 = 2√γs d ( √γ CH2I2 d / γ CH2I2 v) + 2√γs h (√γ CH2I2 h / γ CH2I2 v) γ H2O d = 21.8, γ H2O h = 51.0, γ H2O v = 72.8 ,? CH2I2 d = 49.5 ,? CH2I2 h = 1.3 ,? CH2I2 v = 50.8

이상 설명한 g) 방오제로서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화합물을 이용해도 되고,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시판품으로서는, DIC사제의 RS-90, RS-78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the g) antifouling agent described above, a compound synthesized by a known method may be use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RS-90 and RS-78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can be preferably used.

(용매)(menstruum)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함유해도 된다. 용매로서는,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것, 도포 공정, 건조 공정에 있어서 균일한 면 형상이 되기 쉬운 것, 액보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 적당한 포화 증기압을 갖는 것 등의 관점에서 선택되는 각종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is embodiment may contain a solvent.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or disperse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easily formed into a uniform surface shape in the coating step and the drying step, can maintain liquid storage stability, has a suitable saturated vapor pressure, A solvent may be used.

용매는 2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건조 부하의 관점에서, 상압 실온에 있어서의 비점이 100℃ 이하의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건조 속도의 조정을 위하여 비점이 100℃ 초과인 용제를 소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vent can be used by mixing two or more kinds of solvents. Particularly, from the viewpoint of the drying load, it is preferable that a main component is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00 占 폚 or less at normal pressure room temperature, and a small amount of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00 占 폚 or more is contained for adjusting the drying rat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입자의 침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점 80℃ 이하의 용제를 도포 조성물의 전체 용제 중의 30~8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7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비점 80℃ 이하의 용제비를 상기 비율로 함으로써, 폴리에스터 필름에 대한 수지 성분의 흡수를 적절히 억제하고, 또 건조에 의한 점도 상승 속도가 높아짐으로써, 입자 침강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80 캜 or lower is contained in the total solvent of the coating composition in an amount of 30 to 80 mass%, preferably 50 to 70 More preferably, it contains a mass. By setting the ratio of the molar ratio at the boiling point of 80 DEG C or less to the above ratio, the absorption of the resin component into the polyester film is suitably suppressed, and the sedimentation of particles can be suppressed by increasing the rate of viscosity increase due to drying.

비점이 100℃ 이하인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세인(비점 68.7℃), 헵테인(98.4℃), 사이클로헥세인(80.7℃), 벤젠(80.1℃) 등의 탄화 수소류, 다이클로로메테인(39.8℃), 클로로폼(61.2℃), 사염화 탄소(76.8℃), 1,2-다이클로로에테인(83.5℃), 트라이클로로에틸렌(87.2℃) 등의 할로젠화 탄화 수소류, 다이에틸에터(34.6℃), 다이아이소프로필에터(68.5℃), 다이프로필에터(90.5℃), 테트라하이드로퓨란(66℃) 등의 에터류, 폼산 에틸(54.2℃), 아세트산 메틸(57.8℃), 아세트산 에틸(77.1℃),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89℃) 등의 에스터류, 아세톤(56.1℃), 2-뷰탄온(메틸에틸케톤, MEK와 동일, 79.6℃) 등의 케톤류, 메탄올(64.5℃), 에탄올(78.3℃), 2-프로판올(82.4℃), 1-프로판올(97.2℃) 등의 알코올류, 아세토나이트릴(81.6℃), 프로피오나이트릴(97.4℃) 등의 사이아노 화합물류, 2황화 탄소(46.2℃) 등이 있다. 이 중 케톤류, 에스터류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케톤류이다. 케톤류 중에서는 2-뷰탄온이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00 ° C or less include hydrocarbons such as hexane (boiling point 68.7 ° C), heptane (98.4 ° C), cyclohexane (80.7 ° C) and benzene (80.1 ° C)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hloroform (39.8 占 폚), chloroform (61.2 占 폚), carbon tetrachloride (76.8 占 폚), 1,2-dichloroethane (83.5 占 폚), and trichlorethylene Ethyl formate (54.2 占 폚), methyl acetate (57.8 占 폚), tetrahydrofuran (70 占 폚), and the like, such as diethyl ether (34.6 占 폚), diisopropyl ether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77.1 C) and isopropyl acetate (89 C), ketones such as acetone (56.1 C) and 2-butanone (methyl ethyl ketone, same as MEK, 79.6 C) 2-propanol (82.4 占 폚) and 1-propanol (97.2 占 폚), cyano compounds such as acetonitrile (81.6 占 폚) and propionitrile (97.4 占 폚), 2 Carbon sulphide (46.2 ) And the like. Of these, ketones and esters are preferable, and ketone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Of the ketones, 2-butanone is particularly preferred.

비점이 100℃를 넘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옥테인(125.7℃), 톨루엔(110.6℃), 자일렌(138℃), 테트라클로로에틸렌(121.2℃), 클로로벤젠(131.7℃), 다이옥세인(101.3℃), 다이뷰틸에터(142.4℃), 아세트산 아이소뷰틸(118℃), 사이클로헥산온(155.7℃), 2-메틸-4-펜탄온(MIBK와 동일, 115.9℃), 1-뷰탄올(117.7℃),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153℃),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166℃), 다이메틸설폭사이드(189℃)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헥산온, 2-메틸-4-펜탄온이다.Examples of the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exceeding 100 캜 include octane (125.7 캜), toluene (110.6 캜), xylene (138 캜), tetrachlorethylene (121.2 캜), chlorobenzene 101.3 C), dibutyl ether (142.4 C), isobutyl acetate (118 C), cyclohexanone (155.7 C), 2-methyl-4-pentanone (same as MIBK, 115.9 C) (117.7 占 폚), N, N-dimethylformamide (153 占 폚), N, N-dimethylacetamide (166 占 폚) and dimethylsulfoxide (189 占 폚). Preferably, it is cyclohexanone, 2-methyl-4-pentanone.

(계면활성제)(Surfactants)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각종 계면활성제 및/또는 바람 불균일 방지제(이하, 통틀어 계면활성제라고도 함)를 사용하는 것도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 및/또는 바람 불균일 방지제는 건조풍의 국소적인 분포에 의한 건조 불균형에 기인하는 막두께 불균일 등을 억제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o use various surfactants and / or an anti-wind non-uniformity ag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quot; whole-body surface-active agent &quot;) for the hard coat layer or hard coat layer compos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lly, the surfactant and / or the anti-wind non-uniforming agent can suppress the unevenness of the film thickness due to the drying imbalance due to the local distribution of the dry wind.

계면활성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 또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또는 그 양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계면활성제는, 저분자 화합물보다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surfactant,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fluorine-based surfactant, a silicon-based surfactant, or both.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tant is an oligomer or polymer rather than a low-molecular compound.

불소계의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플루오로 지방족기 함유 공중합체(이하, "불소계 폴리머"라고 약기하는 경우도 있음)를 들 수 있고, 상기 불소계 폴리머는, 하기 (i)의 모노머에 상당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i)의 모노머에 상당하는 반복 단위와 추가로 하기 (ii)의 모노머에 상당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및 이들에 공중합 가능한 바이닐계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유용하다.Preferable examples of the fluorine-based surfactant include a fluoroaliphatic group-containing copolymer (hereinafter also abbreviated as "fluorine-based polymer"), and the fluorine-based polymer includes repeating units corresponding to monomers of the following (i) , Or an acrylic resin, a methacrylic resin, and a copolymer of vinyl-based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which comprises a repea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monomer of (i) and a repea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monomer of (ii) Coalescing is useful.

(i) 하기 식 (i)로 나타나는 플루오로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i) a fluoroaliphatic group-containing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식 (i)(I)

[화학식 12][Chemical Formula 12]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5

식 (i)에 있어서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N(R12)-를 나타내며, m은 1 이상 6 이하의 정수, n은 2~4의 정수를 나타낸다. R1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X는 산소 원자가 바람직하다.In formula (i), R 1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X represents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or -N (R 12 ) -, m is an integer of 1 to 6, n is an integer of 2 to 4 . R 1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specifically,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or a butyl group, preferably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X is preferably an oxygen atom.

(ii) 상기 (i)과 공중합 가능한 하기 식 (ii)로 나타나는 모노머(ii) a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i) copolymerizable with the above (i)

식 (ii)(Ii)

[화학식 13][Chemical Formula 13]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6

식 (ii)에 있어서, R1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Y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N(R15)-를 나타내며, R1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Y는 산소 원자, -N(H)-, 및 -N(CH3)-이 바람직하다.In formula (ii), R 13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Y represents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or -N (R 15 ) -, R 15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Is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or a butyl group, preferably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Y is an oxygen atom, -N (H) -, and -N (CH 3) - is the preferred.

R14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4 이상 20 이하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14의 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알킬카보닐기, 아릴카보닐기, 카복실기, 알킬에터기, 아릴에터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등의 할로젠 원자, 나이트로기, 사이아노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소수 4 이상 20 이하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로서는, 직쇄 및 분기해도 되는 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라이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옥타데실기, 에이코산일기 등, 또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등의 단환 사이클로알킬기 및 바이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데실기, 트라이사이클로운데실기, 테트라사이클로도데실기, 아다만틸기, 노보닐기, 테트라사이클로데실기 등의 다환 사이클로알킬기가 적합하게 이용된다.R 14 represents a linear,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Examples of the substituent of the alkyl group for R 14 include a halogen atom such as a hydroxyl group, an alkylcarbonyl group, an aryl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n alkylether group, an arylether group, a fluorine atom, a chlorine atom and a bromine atom, An amino group,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Examples of the straight,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include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s such as butyl, pentyl, hexyl, heptyl, octyl, nonyl, decyl, , A tetradecyl group, a pentadecyl group, an octadecyl group and an eicosanyl group, and monocyclic cycloalkyl groups such as a cyclohexyl group and a cycloheptyl group, and bicycloheptyl groups such as a bicyclohexyl group, a bicyclodecyl group, a tricyclododecyl group, A polycyclic cycloalkyl group such as an acyl group, an adamantyl group, a norbornyl group and a tetracyclodecyl group is suitably used.

불소계 폴리머에 이용되는 이들 식 (i)로 나타나는 플루오로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의 양은, 상기 불소계 폴리머의 각 단량체에 근거하여 10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70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몰%의 범위이다.The amount of the fluoroaliphatic group-containing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used in the fluoropolymer is 10 mol% or more, preferably 15 to 70 mol%, based on each monomer of the fluoropolymer, 20 to 60 mol%.

불소계 폴리머의 바람직한 질량 평균 분자량은, 3000~100,000이 바람직하고, 5,000~8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계 폴리머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도포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5질량부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05~3질량부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의 범위이다. 불소계 폴리머의 첨가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불소계 폴리머를 첨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또 5질량부 이하이면, 도막의 건조를 충분히 행할 수 없게 되거나, 도막으로서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ine-based polymer is preferably from 3,000 to 100,000, more preferably from 5,000 to 80,000. The amount of the fluorine-based polymer to be added is preferably 0.001 to 5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0.005 to 3 parts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01 to 1 part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coating liquid. If the addition amount of the fluorine-based polymer is 0.001 parts by mass or more, the effect of adding the fluorine-based polymer is sufficiently obtained. If the amount is less than 5 parts by mass, the coating film can not be dried sufficiently or adversely affects the performance as a coating film Do not.

바람직한 실리콘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신에쓰 가가쿠 고교(주)제의 X-22-174DX, X-22-2426, X22-164C, X-22-176D(이상 상품명); JNC(주)제의, FM-7725, FM-5521, FM-6621(이상 상품명); Gelest제의 DMS-U22, RMS-033(이상 상품명); 도레이·다우코닝(주)제의 SH200, DC11PA, ST80PA, L7604, FZ-2105, L-7604, Y-7006, SS-2801(이상 상품명);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제의 TSF400(상품명)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preferable silicone compounds include X-22-174DX, X-22-2426, X22-164C and X-22-176D (trade names, available from Shin-Etsu Chemical Co., Ltd.); FM-7725, FM-5521 and FM-6621 (trade names, available from JNC); DMS-U22 of Gelest, RMS-033 (trade name); SH200, DC11PA, ST80PA, L7604, FZ-2105, L-7604, Y-7006 and SS-2801 (trade names) available from Toray Dow Corning Incorporated; And TSF400 (trade name) made by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Japa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0.01~0.5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0.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00 mass%, the silicone surfacta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0.5 mass%, more preferably 0.01 to 0.3 mass%.

(매트 입자)(Mat particles)

하드 코트층 또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내부 산란성 부여 또는 표면 요철 부여의 목적으로, 평균 입경이 1.0~15.0μm, 바람직하게는 1.5~10.0μm의 매트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또, 도포액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고분자 화합물 또는 무기층 형상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e)를 매트 입자로서 사용해도 된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or a hard coat layer may contain mat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5.0 占 퐉, preferably 1.5 to 10.0 占 퐉, for the purpose of imparting an internal scattering property or imparting surface unevenness. In order to adjust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a polymer compound or an inorganic layer compound may be contained. e) may be used as the matte particles.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과 하드 코트층 외에, 다른 층(임의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임의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접착층, 반사 방지층(1층 이상의 고굴절률층과 1층 이상의 저굴절률층의 적층 필름), 방현층, 대전 방지층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임의의 층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5048304호의 단락 0069~0091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에는, 가식층을 마련해도 된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other layer (arbitrary layer) in addition to the polyester film and the hard coat lay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amples of such an optional layer include an adhesiv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laminated film of one or more high refractive index layers and one or more low refractive index layers), an antiglare layer, and an antistatic lay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Do not. For these arbitrary layers, reference can be made, for example, to paragraphs 0069 to 0091 of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048304 and the like.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decorative laye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예를 하기에 나타내지만, 특히 이들 층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preferable layer structure of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 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방현층(대전 방지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antiglare layer (antistatic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방현층/대전 방지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antiglare layer / antistatic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대전 방지층/방현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antistatic layer / antiglare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대전 방지층)/방현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antistatic layer) / antiglare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고굴절률층/대전 방지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antistatic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고굴절률층(대전 방지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tistatic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대전 방지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antistatic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중굴절률층/고굴절률층(대전 방지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tistatic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중굴절률층(대전 방지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antistatic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대전 방지층)/중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antistatic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폴리에스터 필름/대전 방지층/하드 코트층/중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Polyester film / antistatic layer / hard coat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대전 방지층/폴리에스터 필름/하드 코트층/중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Antistatic layer / polyester film / hard coat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여기에서, 대전 방지층 및 방현층은 하드 코트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Here, the antistatic layer and the antiglare layer may have hard coat properties.

(저굴절률층)(Low refractive index laye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은, 반사율 저감 효과의 부여를 목적으로 하드 코트층 상에 저굴절률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저굴절률층은 하드 코트층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고, 두께는 50~200nm인 것이 바람직하며, 70~150nm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0~120n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orm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on the hard coat layer for the purpose of impart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flectance.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has a refractive index lower than that of the hard coat layer and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50 to 200 nm, more preferably 70 to 150 nm, most preferably 80 to 120 nm.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은, 직하의 층의 굴절률보다 낮고, 1.20~1.55인 것이 바람직하며, 1.25~1.4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1.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ayer immediately below and is preferably 1.20 to 1.55, more preferably 1.25 to 1.46,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30 to 1.40.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50~2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00n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50 to 200 nm, more preferably 70 to 100 nm.

저굴절률층은 저굴절률층 형성용의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obtained by curing the curabl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바람직한 저굴절률층의 경화성 조성물의 양태로서는,As a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curable composition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1) 가교성 혹은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1) a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ine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or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2) 함불소의 오가노실레인 재료의 가수분해 축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2) a composition comprising, as a main component, a hydrolyzed condensate of an organosilane material of fluorine,

(3)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와 무기 입자(특히 중공 구조를 갖는 무기 입자가 바람직함)를 함유하는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3) a composition containing a monomer having two or more ethylenic unsaturated groups and an inorganic particle (preferably an inorganic particle having a hollow structure in particular), and the like.

상기 (1) 및 (2)의 각 조성물에 관해서도,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낮은 중공 구조를 더 갖는 무기 입자를 이용하면, 저굴절률화 또는 무기 입자 첨가량과 굴절률의 조정 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compositions (1) and (2) contain inorganic particles. When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hollow structure with a low refractive index are used, the refractive index can be reduced or the amount of inorganic particles added and the refractive index can be adjusted .

(1) 가교성 혹은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1) a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ine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or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가교성 또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함불소 화합물로서는, 함불소 모노머와 가교성 또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함불소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함불소 폴리머의 구체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27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3322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Examples of the fluorine-containing compound having a crosslinkable or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that is a copolymer of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and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or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pecific examples of these fluorine-containing polymers are described in JP-A-2003-222702 and JP-A-2003-183322.

또, 상기의 함불소 폴리머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0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절히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경화제를 병용해도 된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595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함불소의 다관능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병용도 바람직하다. 다관능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상기의 저굴절률층의 경화성 수지 화합물로서 설명한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0901호에 기재된 오가노실레인의 가수분해 축합물도 바람직하고, 특히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오가노실레인의 가수분해 축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특히 폴리머 본체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한 경우에 내찰상성 개량에 대한 병용 효과가 커 바람직하다.The fluorine-containing polyme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uring agent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suitably as described in JP-A-2000-17028. Also,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45952,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it in combination with a compound having fluorinated polyfunction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polyfunction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clude monomers having two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s described above as the curable resin compound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The hydrolyzed condensate of the organosilane described in JP 2004-170901 A is also preferable, and the hydrolyzed condensate of the organosilane containing the (meth) acryloy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se compound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e case of using a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 the polymer main body, because of the combined effect of improvement in scratch resistance.

폴리머 자신이 단독으로 충분한 경화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가교성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필요한 경화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머 본체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각종 아미노 화합물을 경화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성 화합물로서 이용되는 아미노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알킬아미노기 및 알콕시알킬아미노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합계로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계 화합물, 요소계 화합물, 벤조구아나민계 화합물, 글라이콜우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경화에는, 유기산 또는 그 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olymer itself does not have sufficient curability, it is possible to impart necessary curability by blending a crosslinkable compound. For example, when the polymer main body contains a hydroxyl group, it is preferable to use various amino compounds as a curing agent. The amino compound used as the crosslinking compound is, for example, a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a hydroxyalkylamino group and an alkoxyalkylamino group in total, and specifically includes, for example, a melamine compound, a urea Based compounds, benzoguanamine-based compounds, glycoluril-based compounds, and the like. For the curing of these compounds, it is preferable to use an organic acid or a salt thereof.

(2) 함불소의 오가노실레인 재료의 가수분해 축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2)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lyzed condensate of a fluorine-containing organosilane material as a main component

함불소의 오가노실레인 화합물의 가수분해 축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도 굴절률이 낮고, 도막 표면의 경도가 높아 바람직하다. 불소화 알킬기에 대하여 편 말단 또는 양 말단에 가수분해성의 실란올을 함유하는 화합물과 테트라알콕시실레인의 축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 조성물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65866호, 일본 특허공보 317152호에 기재되어 있다.A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lyzed condensate of an organosilane compound having fluorine as a main component is also preferable because it has a low refractive index and a high surface hardness of the coating film. A condensation product of a compound containing hydrolyzable silanol at one terminal or both terminals with a fluorinated alkyl group and a condensate of tetraalkoxysilane are preferable. Specific compositions are described in JP-A-2002-265866 and JP-A-317152.

(3)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와 중공 구조를 갖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조성물(3) a composition containing a monomer having two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s and an inorganic particle having a hollow structure

또한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서, 저굴절률의 입자와 수지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 입자로서는, 유기여도 되고 무기여도 되지만, 내부에 공공(空孔)을 갖는 입자가 바람직하다. 중공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79616호에 기재된 실리카계 입자를 들 수 있다. 입자 굴절률은 1.15~1.40이 바람직하고, 1.20~1.30이 더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상기 방현층의 페이지에서 설명한 2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de of particles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a resin can be given. The low refractive index particles may be organic or inorganic, but particles having voids therein are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hollow particles include silica-based particles described in JP-A-2002-79616. The particle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1.15 to 1.40, more preferably 1.20 to 1.30. As the resin, there may be mentioned monomers having two or more ethylenic unsaturated groups described in the page of the antiglare layer.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저굴절률층 형성용의 조성물에는,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또는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합물에 대하여 1~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add a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thermal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radical polymerizing compound is contained, a polymerization initiator of 1 to 10 parts by mass, preferably 1 to 5 parts by mass, based on the above compound can be used.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저굴절률층에는, 무기 입자를 병용할 수 있다. 내찰상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저굴절률층의 두께의 15%~150%, 바람직하게는 30%~100%, 더 바람직하게는 45%~60%의 입경을 갖는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organic particles can be used in combination.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5% to 150%, preferably 30% to 100%, and more preferably 45% to 60% of the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can be used to impart scratch resistance.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저굴절률층에는, 방오성, 내수성, 내약품성, 슬라이딩성 등의 특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공지의 폴리실록세인계 또는 불소계의 방오제, 슬라이딩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A known polysiloxane-based or fluorine-based antifouling agent, a sliding agent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added to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purpose of imparting properties such as antifouling property, wat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sliding property.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첨가제로서는, 반응성기 함유 폴리실록세인{예를 들면 KF-100T, X-22-169AS, KF-102, X-22-37-01IE, X-22-164B, X-22-5002, X-22-173B, X-22-174D, X-22-167B, X-22-161AS(상품명), 이상, 신에쓰 가가쿠 고교(주)제; AK-5, AK-30, AK-32(상품명), 이상 도아 고세이(주)제; "사일라플레인 FM0725", "사일라플레인 FM0721"(상품명), 이상 JNC(주)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2383호의 표 2, 표 3에 기재된 실리콘계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dditive having a polysiloxane structure include a reactive group-containing polysiloxane {e.g., KF-100T, X-22-169AS, KF-102, X-22-37-01IE, X-22-164B, X-22-5002 , X-22-173B, X-22-174D, X-22-167B, X-22-161AS (trade nam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AK-5, AK-30, AK-32 (trade name) manufactured by Soko Dojo Kosei; , &Quot; SILLA PLAIN FM0725 ", "SILLA PLAIN FM0721" (trade name) manufactured by JNC Corporation). The silicone compounds described in Tables 2 and 3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12383 are also preferably used.

불소계 화합물로서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는 탄소수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며, 직쇄(예를 들면 -CF2CF3, -CH2(CF2)4H, -CH2(CF2)8CF3, -CH2CH2(CF2)4H 등)여도 되고, 분기 구조(예를 들면 CH(CF3)2, CH2CF(CF3)2, CH(CH3)CF2CF3, CH(CH3)(CF2)5CF2H 등)여도 되며, 지환식 구조(바람직하게는 5원환 또는 6원환,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사이클로헥실기, 퍼플루오로사이클로펜틸기 또는 이들로 치환된 알킬기 등)여도 되고, 에터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된다(예를 들면 CH2OCH2CF2CF3, CH2CH2OCH2C4F8H, CH2CH2OCH2CH2C8F17, CH2CH2OCF2CF2OCF2CF2H 등).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는 동일 분자 중에 복수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As the fluorine-based compound, a compound having a fluoroalkyl group is preferable. In the fluoroalkyl group is preferably from 1 to 20 carbon atoms, and more preferably from 1 to 10, straight chain (e.g., -CF 2 CF 3, -CH 2 ( CF 2) 4 H, -CH 2 (CF 2 ) 8 CF 3, -CH 2 CH 2 (CF 2) 4 H being even, and so on), for the branched structure (for example, CH (CF 3) 2, CH 2 CF (CF 3) 2, CH (CH 3) CF 2 CF 3 , CH (CH 3 ) (CF 2 ) 5 CF 2 H, etc.), and an alicyclic structure (preferably a 5-membered ring or 6-membered ring such as a perfluorocyclohexyl group, a perfluorocyclopentyl group Or an alkyl group substituted with them), or may have an ether bond (for example, CH 2 OCH 2 CF 2 CF 3 , CH 2 CH 2 OCH 2 C 4 F 8 H, CH 2 CH 2 OCH 2 CH 2 C 8 F 17 , CH 2 CH 2 OCF 2 CF 2 OCF 2 CF 2 H, etc.). A plurality of the fluoroalkyl groups may be contained in the same molecule.

불소계 화합물은, 저굴절률층 피막과의 결합 형성 또는 상용성에 기여하는 치환기를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복수 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치환기의 예로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아릴기, 신나모일기, 에폭시기, 옥세탄일기, 수산기, 폴리옥시알킬렌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화합물은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과의 폴리머여도 되고 올리고머여도 되며, 분자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불소계 화합물의 불소 원자 함유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40~70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불소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다이킨 가가쿠 고교(주)제, R-2020, M-2020, R-3833, M-3833, 옵툴 DAC(이상 상품명), DIC사제, 메가팍 F-171, F-172, F-179A, 디펜서 MCF-300, MCF-323(이상 상품명)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uorine-based compound further has a substituent which contributes to bond formation or compatibility with the low-refractive-index layer coating.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ituents are plural. Preferred examples of the substituent include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n aryl group, a cinnamoyl group, an epoxy group, an oxetanyl group, a hydroxyl group, a polyoxyalkylene group, a carboxyl group and an amino group. The fluorine-based compound may be a polymer with a compound containing no fluorine atom, or may be an oligomer, and the molecular weigh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fluorine atom content of the fluorine-based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30 to 70 mass%, and most preferably 40 to 70 mass%. Examples of preferred fluorine-based compounds include: R-2020, M-2020, R-3833, M-3833 and Optul DAC (trade name) manufactured by Daikin Chemical Industries, Ltd., Megafac F- , F-179A, Dispenser MCF-300, MCF-323 (trade name), and the like.

이들 폴리실록세인 불소계 화합물 또는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저굴절률층 전체 고형분의 0.1~10질량%의 범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질량%의 경우이다.These polysiloxane fluorine-based compounds or compounds having a polysiloxane structure are preferably added in a range of 0.1 to 10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1 to 5 mass%, based o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하드 코트층의 도포 방법][Method of applying hard coat layer]

본 개시의 하드 코트 필름에 관한 하드 코트층은 이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relating to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먼저,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이 조제된다. 다음으로, 그 조성물을 딥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커튼 코트법, 롤러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에 의하여 폴리에스터 필름(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가열·건조한다.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다이 코트법(미국 특허공보 26812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22889호 참조)이 보다 바람직하고, 다이 코트법이 특히 바람직하다.First, a composition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is prepared. Next, the composition is coated on a polyester film (base film) by a dip coating method, an air knife coating method, a curtain coating method, a roller coating method, a wire bar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or a die coating method, · Dry. A micro-gravure coating method, a wire bar coating method and a die coating method (see U.S. Patent No. 2681294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122889) are more preferable, and a die coating method is particularly preferable.

하드 코트층은,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한 후, 용제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가열된 존에 웹으로 반송된다. 그때의 건조 존의 온도는 25℃~140℃가 바람직하고, 건조 존의 전반은 비교적 저온이며, 후반은 비교적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각 층의 도포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제 이외의 성분의 휘발이 시작되는 온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와 병용되는 시판 중인 광라디칼 발생제 중에는 120℃의 온풍 중에서 몇 분 이내에 그 수 10% 전후가 휘발되는 것도 있고, 또 단관능, 2관능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은 100℃의 온풍 중에서 휘발이 진행되는 것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하드 코트층의 도포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제 이외의 성분의 휘발이 시작되는 온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layer is applied to the substrate film and then conveyed to the web in a heated zone for drying the solvent.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zone at that time is preferably 25 ° C to 140 ° C, the first half of the drying zone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the second half is preferably relatively high temperatur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volatiliza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of each layer starts. For example, some commercially available photo-radical generating agents used in combination with ultraviolet curing resins are volatilized about 10% within several minutes in hot air at 120 ° C. In addition, monofunctional, bifunctional acrylate monomers, etc., And volatilization proceeds in the warm air of.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ard coat layer is not more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volatiliza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starts.

또, 하드 코트층의 도포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한 후의 건조풍은, 상기 도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가 1~50%의 사이일 때는 도막 표면의 풍속이 0.1~2m/초의 범위에 있는 것이, 건조 불균일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ai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 layer on the base film has an air velocity of the coating film surface of 0.1 to 2 m / sec when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1 to 5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drying unevenness.

또, 하드 코트층의 도포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한 후, 건조 존 내에서 기재 필름의 도포면과는 반대의 면에 접촉하는 반송 롤과 기재 필름의 온도 차를 0℃~20℃ 이내로 하면, 반송 롤 상에서의 전열(傳熱) 불균일에 의한 건조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When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 layer is coated on the base film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arrier roll and the base film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oating surface of the base film in the drying zone is within 0 ° C to 20 ° C, Drying unevenness due to non-uniform heat transfer on the conveying roll can be prevented.

용제의 건조 존 후에, 웹으로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하드 코트층을 경화시키는 존을 통과시켜, 도막을 경화한다. 예를 들면 도막이 자외선 경화성이면, 자외선 램프에 의하여 10mJ/cm2~1000mJ/cm2의 조사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웹의 폭방향의 조사량 분포는 중앙의 최대 조사량에 대하여 양단까지 포함하여 50~100%의 분포가 바람직하고, 80~100%의 분포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 등을 퍼지하여 산소 농도를 저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산소 농도 0.01%~5%가 바람직하고, 폭방향의 분포는 산소 농도로 2% 이하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의 경우,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제논 아크,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선으로부터 발하는 자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경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화 시에 온도를 높일 수도 있고, 25~100℃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0~8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70℃이다.After the drying zone of the solvent, the coating film is cured by passing the zone through which the hard coat layer is cured by ionizing radiation on the web. For example, if the coating is UV-curing, it is preferred that the irradiation dose of ultraviolet ray of 10mJ / cm 2 ~ 1000mJ / cm 2 to cure the coating film by the ultraviolet lamp.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of the dos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b is preferably 50 to 100%, more preferably 80 to 100%, including both ends to the maximum central dose. When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oxygen concentration by purging the nitrogen gas or the like to promote the surface harden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s preferably 0.01% to 5%, and the distribu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preferably 2% or less in oxygen concentration. In case of ultraviolet irradiation,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light such as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high pressure mercury lamp, low pressure mercury lamp, carbon arc, xenon arc, metal halide lamp and the like can be used. In order to accelerate the curing reaction, the temperature may be increased during curing.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25 to 100 占 폚, more preferably 30 to 80 占 폚, and most preferably 40 to 70 占 폚.

또 필요에 따라 그 외의 기능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하드 코트층에 더하여 그 외의 기능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층을 동시에 도포해도 되고, 순차 도포해도 된다. 이들 층의 제조 방법은, 하드 코트층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other functional layers as required. In the case of laminating other functional layers in addition to the hard coat layer,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co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method for producing these layers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hard coat layer.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오목부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use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uitably used for applications requiring suppression of the occurrence of concave portions when a load is applied.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 외에, 예를 들면 터치 패널용 센서 필름, 비산 방지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각종 기능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uitably used as a substrate film of various functional films such as a sensor film for a touch panel,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and an anti-reflection film in addition to a base film of a hard coat film.

[비산 방지 필름][Shatterproof film]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산 방지 필름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층이 적층된, 비산 방지 필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비산 방지 필름에 이용할 수 있다. 비산 방지 필름은, 폴리에스터 필름에, 하드 코트층, 점착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ti-scatter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anti-scattering film in which an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or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The anti-scattering film is preferably a polyester film laminated with a hard coat layer and an adhesive layer.

점착층은, 웨트 도포법, 드라이 도포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도 된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데에는, 용제계 아크릴 폴리머 또는 용제계 아크릴 시럽, 무용제계 아크릴 시럽, 무용제 유레테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 가능하다.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any one of a wet coating method and a dry coating method.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uch as a solvent-based acrylic polymer or a solvent-based acrylic syrup, a solventless acrylic syrup, or a solventless urethane acrylate may be used.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 방지 필름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방현층이 적층된, 반사 방지 필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반사 방지 필름에 이용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ntireflection film in which an antiglare layer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or an antireflection film.

방현층은, 웨트 도포법, 드라이 도포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도 된다. 방현층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5933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2612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1660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1647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4120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3231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2612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10316에 기재된 방현층이 사용 가능하다.The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by any one of a wet coating method and a dry coating method. In the antiglare layer, there ar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s. 2014-059334, 2014-026122, 2014-016602, 2014-016476, 2014-041206, 2014- 032317, JP-A-2014-026123 and JP-A-2014-010316 can be used.

[터치 패널용 센서 필름][Sensor Film for Touch Panel]

본 실시형태에 관한 터치 패널용 센서 필름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용 센서 필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폴리에스터 필름은, 터치 패널용 센서 필름에 이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용 센서 필름은, 폴리에스터 필름에, 하드 코트층, 투명 도전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film for a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ensor film for a touch panel includ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or a sensor film for a touch panel. The sensor film for a touch panel preferably has a hard coat layer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laminated on a polyester film.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서는, 스퍼터법,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법,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도공법, 인쇄법 등이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의 형성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ITO), 주석 산화물, 구리, 은, 알루미늄, 니켈, 크로뮴 등을 들 수 있고, 다른 형성재가 중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As a general method of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re are a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such as a sputtering method, a vacuum deposition method and an ion plating method, a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 coating method and a printing metho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ndium tin oxide (ITO), tin oxide, copper, silver, aluminum, nickel, chromium and the like. .

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기 전에, 투명성 또는 광학 특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언더코트층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언더코트층과 폴리에스터 필름의 사이에 단일의 금속 원소 또는 2종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금속층에는 실리콘, 타이타늄, 주석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fore form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 undercoat layer for improving transparency or optical characteristics may be provided.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a metal layer composed of a single metal element or an alloy of two or more metal element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ndercoat layer and the polyester film. The metal layer is preferably a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titanium, tin and zinc.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소자 및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고,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a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hard coat film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음극관 표시 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a cathode-ray tube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로서는,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Twisted Nematic)형, TSTN(Triple Super Twisted Nematic)형, 멀티 도메인형, VA(Vertical Alignment)형, IPS(In Plane Switching)형,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형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ch as TN (Twisted Nematic) type, STN (Super-Twisted Nematic) type, TSTN (Triple Super Twisted Nematic) (Optically Compensated Bend) type, and the like.

화상 표시 장치는, 특히 액정 셀과, 액정 셀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배치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편광판을 포함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상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이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eferab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cell and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Do.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elemen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소자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소자인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mage display element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ement.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실시형태에 관한 터치 패널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고,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다.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hard coat film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을 적용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형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투영형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저항막식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저항막식 터치 패널 및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로서 후술한다.The touch panel to which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example, a surface-type capacitive touch panel, a projection-type capacitive touch panel, and a resistive-film-type touch panel.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resistive film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apacitiv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터치 패널이란, 이른바 터치 센서 및 터치 패드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센서 전극부의 층 구성이, 2매의 투명 전극을 첩합하는 첩합 방식, 1매의 기판의 양면에 투명 전극을 구비하는 방식, 편면 점퍼 혹은 스루 홀 방식, 또는 편면 적층 방식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투영형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DC(Direct Current) 구동보다 AC(Alternating Current) 구동이 바람직하고, 전극에 대한 전압 인가 시간이 적은 구동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ouch panel includes a so-called touch sensor and a touch pad. The layer configuration of the touch panel sensor electrode portion in the touch panel is a combination of two bonding methods of bonding transparent electrodes, a method of providing transparent electrodes on both surfaces of one substrate, a one-side jumper or a through hole method, . In addition, the projection type capacitive touch panel is preferably driven by AC (alternating current) rather than DC (direct current) driving, and more preferably, a driving method in which a voltage application time for an electrode is small.

(저항막식 터치 패널)(Resistive touch panel)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저항막식 터치 패널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는, 저항막식 터치 패널이다.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including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저항막식 터치 패널은, 도전성막을 갖는 상하 한 쌍의 기판의 도전성막끼리가 대향하도록 스페이서를 통하여 배치된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저항막식 터치 패널의 구성은 공지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지 기술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The resistive film touch panel has a basic structure in which conductive films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substrates having conductive film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rough spacers.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resistive touch panel is known,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nown technology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Capacitive touch panel)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이다.The capacitiv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pacitive touch panel including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방식으로서는, 표면형 정전 용량식, 투영형 정전 용량식 등을 들 수 있다. 투영형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X축 전극과, X축 전극과 직교하는 Y축 전극을 절연체를 통하여 배치한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 양태로서는, X 전극 및 Y 전극이, 1매의 기판 상의 각기 다른 면에 형성되는 양태, 1매의 기판 상에 X 전극, 절연체층, Y 전극을 이 순으로 형성하는 양태, 1매의 기판 상에 X 전극을 형성하고, 다른 기판 상에 Y 전극을 형성하는 양태(이 양태에서는, 2매의 기판을 첩합시킨 구성이 상기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구성은 공지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지 기술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Examples of capacitive touch panel systems include surface-type capacitive capacitors, projection capacitive capacitors, and the like. The projection type capacitive touch panel has a basic configuration in which an X-axis electrode and a Y-axis electrode orthogonal to the X-axis electrode are arranged through an insulator. As a specific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the X electrode and the Y electrode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n one substrate, the mode in which the X electrode, the insulator layer and the Y electrode are formed in this order on one substrate, And the Y electrode is formed on another substrate (in this embodiment, the two substrat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Further, the configuration of the capacitive touch panel is known,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nown technology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개시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materials, the amounts used, the ratios, the processing contents, the processing procedures, and the like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below.

또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부" 및 "ppm"은 질량 기준이다.In addition, "parts" and "ppm" are on a mass bas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예 1][Example 1]

<원료 폴리에스터의 합성><Synthesis of raw material polyester>

(원료 폴리에스터 1)(Raw polyester 1)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라이콜을 직접 반응시켜 물을 증류 제거하고, 에스터화한 후, 감압하에서 중축합을 행하는 직접 에스터화법을 이용하여, 연속 중합 장치에 의하여 원료 폴리에스터 1(Sb 촉매계 PET)을 얻었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were directly reacted to distill off the water, followed by esterification, and polycondensation was carried out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raw polyester 1 ( Sb catalyst system PET).

(1) 에스터화 반응(1) Esterification reaction

고순도 테레프탈산 4.7톤과 에틸렌글라이콜 1.8톤을 90분 동안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시키고, 3800kg/h의 유량으로 연속적으로 제1 에스터화 반응조에 공급했다. 또한 삼산화 안티모니의 에틸렌글라이콜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반응조 내 온도 250℃, 교반하, 평균 체류 시간 약 4.3시간으로 반응을 행했다. 이때, 삼산화 안티모니는 Sb 첨가량이 원소 환산값으로 150ppm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했다.4.7 tons of high purity terephthalic acid and 1.8 tons of ethylene glycol were mixed for 90 minutes to form a slurry and continuously fed to the first esterification reactor at a flow rate of 3800 kg / h. Further, an ethylene glycol solution of antimony trioxide was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250 DEG C in the reactor with stirring for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about 4.3 hours. At this time, antimony trioxide was continuously added so that the amount of Sb added was 150 ppm in terms of element.

이 반응물을 제2 에스터화 반응조에 이송하고, 교반하, 반응조 내 온도 250℃에서 평균 체류 시간으로 1.2시간 반응시켰다. 제2 에스터화 반응조에는, 아세트산 마그네슘의 에틸렌글라이콜 용액과, 인산 트라이메틸의 에틸렌글라이콜 용액을 Mg 첨가량 및 P 첨가량이 원소 환산값으로 각각 65ppm, 35ppm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했다.The reaction product was transferred to a second esterification reaction tank and reacted with stirring at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1.2 hours at a temperature of 250 캜 in the reaction tank. In the second esterification reaction tank, an ethylene glycol solution of magnesium acetate and an ethylene glycol solution of trimethyl phosphate were continuously supplied so that the Mg addition amount and the P addition amount were 65 ppm and 35 ppm, respectively, in terms of element.

(2) 중축합 반응(2) Polycondensation reaction

상기에서 얻어진 에스터화 반응 생성물을 연속적으로 제1 중축합 반응조에 공급하고, 교반하, 반응 온도 270℃, 반응조 내 압력 20torr(2.67×10-3MPa)에서, 평균 체류 시간 약 1.8시간으로 중축합시켰다.The esterification reaction product obtained above wa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polycondensation reaction tank and subjected to polycondensation at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about 1.8 hours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270 ° C and a pressure of 20 torr (2.67 × 10 -3 MPa) .

또한, 제2 중축합 반응조에 이송하여, 이 반응조에 있어서 교반하, 반응조 내 온도 276℃, 반응조 내 압력 5torr(6.67×10-4MPa)에서 체류 시간 약 1.2시간의 조건으로 반응(중축합)시켰다.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econd polycondensation reaction tank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76 DEG C in the reaction tank and a residence time of about 1.2 hours at a pressure of 5 torr (6.67 x 10 &lt; -4 &gt; .

이어서, 추가로 제3 중축합 반응조에 이송하고, 이 반응조에서는, 반응조 내 온도 278℃, 반응조 내 압력 1.5torr(2.0×10-4MPa)에서, 체류 시간 1.5시간의 조건으로 반응(중축합)시켜, 반응물(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을 얻었다.(Polycondensation) was carried out in the reaction tank at a temperature of 278 DEG C in the reaction vessel at a pressure of 1.5 torr (2.0 x 10 &lt; -4 &gt; MPa) and a residence time of 1.5 hours, To obtain a reaction produc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다음으로, 얻어진 반응물을, 냉수에 스트랜드 형상으로 토출시키고, 즉시 커팅하여 폴리에스터의 펠릿 "단면: 장경 약 4mm, 단경 약 2mm, 길이: 약 3mm"를 제작했다.Next, the obtained reaction product was discharged into cold water in a strand shape, and immediately cut to produce a polyester pellet "cross-section: about 4 mm long diameter, about 2 mm long, about 3 mm long.

얻어진 폴리에스터는, IV=0.63이었다. 이 폴리에스터를 원료 폴리에스터 1로 했다.The obtained polyester had IV = 0.63. This polyester was used as raw polyester 1.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Lt; Production of polyester film >

-필름 성형 공정-- Film forming process -

원료 폴리에스터 1을, 함수율 20ppm 이하로 건조시킨 후, 직경 50mm의 1축 혼련 압출기 1의 호퍼 1에 투입했다. 원료 폴리에스터 1은 300℃에 용융하고, 하기 압출 조건에 의하여, 기어 펌프, 여과기(구멍 직경 20μm)를 통하여, 다이로부터 압출했다.The raw polyester 1 was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20 ppm or less and then charged into a hopper 1 of a single screw extruder 1 having a diameter of 50 mm. The raw material polyester 1 was melted at 300 캜 and extruded from a die through a gear pump and a filter (hole diameter 20 탆)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trusion conditions.

용융 수지의 압출 조건은, 압력 변동을 1%, 용융 수지의 온도 분포를 2%로 하여, 용융 수지를 다이로부터 압출했다. 구체적으로는, 배압을, 압출기의 배럴 내 평균 압력에 대하여 1% 가압하고, 압출기의 배관 온도를, 압출기의 배럴 내 평균 온도에 대하여 2% 높은 온도로 했다.The molten resin was extruded from the die at a pressure fluctuation of 1% and a molten resi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2%. Specifically, the back pressure was 1% of the average pressure in the barrel of the extruder, and the pipe temperature of the extruder was set at 2% higher than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barrel of the extruder.

다이로부터 압출한 용융 수지는, 온도 25℃로 설정된 냉각 캐스트 드럼 상에서 압출하고, 정전 인가법을 이용하여, 냉각 캐스트 드럼에 밀착시켰다. 냉각 캐스트 드럼에 대향 배치된 박리 롤을 이용하여 박리하여, 미연신 폴리에스터 필름 1을 얻었다.The molten resin extruded from the die was extruded on a cooled cast drum set at a temperature of 25 占 폚 and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oled cast drum using an electrostatic application method. And peeled off using a peeling roll opposed to the cooling cast drum to obtain an unstretched polyester film 1.

-이접착층의 형성-- Formation of this adhesive layer -

하기 화합물을 하기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접착층 형성용의 도포액 H1을 제작했다.The following compounds were mixed in the proportions shown below to prepare a coating liquid H1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이접착층 형성용의 도포액 H1)(Coating liquid H1 for forming this adhesive layer)

폴리에스터 수지: (IC) 60질량부Polyester Resin: (IC) 60 parts by mass

아크릴 수지: (II) 25질량부Acrylic resin: (II) 25 parts by mass

멜라민 화합물: (VIB) 10질량부Melamine compound: (VIB) 10 parts by mass

입자: (VII) 5질량부Particles: (VII) 5 parts by mass

이하에 이접착층의 형성에 사용한 화합물의 상세를 나타낸다.Details of the compound used for forming this adhesive layer are shown below.

폴리에스터 수지: (IC)Polyester Resin: (IC)

하기 조성의 모노머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터 수지의 설폰산계 수분산체A sulfonic acid-based water dispersion product of a polyester resin copolymerized with a monomer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모노머 조성: (산 성분) 테레프탈산/아이소프탈산/5-소듐설포아이소프탈산//(다이올 성분)에틸렌글라이콜/1,4-뷰테인다이올/다이에틸렌글라이콜=56/40/4//70/20/10(mol%)Monomer Composition: (Acid component) Terephthalic acid / isophthalic acid / 5-sodium sulfoisophthalic acid // (diol component) Ethylene glycol / 1,4-butanediol / diethylene glycol = 56/40/4 // 70/20/10 (mol%)

아크릴 수지: (II)Acrylic resin: (II)

하기 조성의 모노머로 중합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A water dispersion of an acrylic resin polymerized with a monomer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에틸아크릴레이트/n-뷰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산=65/21/10/2/2(질량%)의 유화 중합체(유화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Emulsifier: anionic surfactant) of ethyl acrylate / n-butyl acrylate / methyl methacrylate / N-methylol acrylamide / acrylic acid = 65/21/10/2/2 (mass%

멜라민 화합물: (VIB)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Melamine compound: (VIB) Hexamethoxymethyl melamine

입자: (VII) 평균 입경 150nm의 실리카 졸(평균 입경은, 1차 평균 입자경, 즉 1차 입자경의 평균값을 의미한다.)Particles: (VII) silica sol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0 nm (average particle diameter means the average primary particle size, tha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primary particle size)

-폴리에스터 필름의 편면에 대한 이접착층의 도포-- Application of this adhesive layer to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

와이어 바를 이용하는 바 코트법으로, 미연신 폴리에스터 필름 1의 편측에 이접착층 형성용의 도포액 H1을, 연신 후의 도포 막두께가 65nm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했다.The coating liquid H1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was coated on one side of 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1 by using a wire bar while adjusting the coating film thickness after stretching to 65 nm by a bar coating method using a wire bar.

-가로 연신 공정--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

미연신 폴리에스터 필름 1을 텐터(가로 연신기)에 유도하고,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하기 방법, 조건으로 가로 연신했다.The unstretched polyester film 1 was led to a tenter (transverse stretching machine) and transversely stretched under the following method while grasping the end portion of the film with a clip.

(예열부)(Preheating section)

연신 개시점에서의 표면 온도가 89℃가 되도록, 열풍으로 가열했다.And heated by hot air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became 89 占 폚.

또한, 연신 개시점에서의 표면 온도는, 연신을 개시하는 점에 있어서, 필름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를, 방사 온도계(하야시덴코제, 상품 번호: RT61-2, 방사율 0.95로 사용)에 의하여 측정했다.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was measured by a radiation thermometer (Hayashi Denken Co., Ltd., product number: RT61-2, emissivity 0.95) at the point of starting the stretching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film width direction did.

(연신부)(Extension section)

예열된 미연신 폴리에스터 필름 1을 열풍으로 가열하면서, 폭방향(TD)으로 하기의 조건으로 텐터를 이용하여 가로 연신했다.The pre-heated unstretched polyester film 1 was transversely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using a tenter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while heating with hot air.

또한, 각 연신 배율 시점에서의 표면 온도는, 각 연신 배율 시점에 있어서, 필름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를, 방사 온도계(하야시덴코제, 상품 번호: RT61-2, 방사율 0.95로 사용)에 의하여 측정했다.Further, the surface temperature at each stretching magnification time point is measured by a radiation thermometer (Hayashi Denken Co., Ltd., product number: RT61-2, emissivity 0.95)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film width direction at each stretch magnification did.

<조건><Condition>

·가로 연신 배율: 4.1배· Horizontal stretching ratio: 4.1 times

·2배 연신 시점에서의 표면 온도: 90℃· Surface temperature at 2 times stretching: 90 ° C

·3배 연신 시점에서의 표면 온도: 94℃Surface temperature at 3 times stretching: 94 ° C

·연신 종료 시점에서의 표면 온도: 95℃Surface temperature at the end of stretching: 95 占 폚

(열고정부 및 열완화부)(Open-top and thermal relaxation department)

이어서, 필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열풍을 열풍 분출 노즐로부터 필름에 가하고,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를 하기 범위로 제어하면서, 열고정 및 열완화 처리를 행했다.Next, hot air from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was applied to the film from the hot air jetting nozzle to the film, and heat setting and heat relaxation treatment were carried out while controll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to the following range.

<조건><Condition>

·최고 도달 표면 온도(열고정 온도): 185℃· Maximum reaching surface temperature (heat setting temperature): 185 ℃

·열완화율: MD 4%, TD 1.5%· Thermal relaxation rate: MD 4%, TD 1.5%

(냉각부)(Cooling section)

다음으로, 필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냉풍을 냉풍 분출 노즐로부터 필름에 가함으로써 냉각했다. 필름을 텐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할 때의 표면 온도가 40℃가 되도록 냉각했다.Next, the film was cooled by applying cold air from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 the film from the cold air jetting nozzle. The film was cooled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film was released from the clips of the tenter was 40 占 폚.

또한, 표면 온도는, 필름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를, 방사 온도계(하야시덴코제, 상품 번호: RT61-2, 방사율 0.95로 사용)에 의하여 측정했다.The 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by a radiation thermometer (Hayashi Denken Co., Ltd., product number: RT61-2, emissivity 0.95)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film width direction.

(필름의 회수)(Number of times of film)

냉각 및 클립으로부터의 필름의 개방 후, 폴리에스터 필름의 양단을 20cm씩 트리밍했다. 트리밍 후의 필름폭은 2m였다. 그 후, 양단에 폭 10mm로 압출 가공(널링)을 행한 후, 장력 18kg/m이고, 10000m의 길이의 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했다.After cooling and opening of the film from the clip, both ends of the polyester film were trimmed by 20 cm. The film width after trimming was 2 m. Thereafter, extrusion processing (knurling) was performed at both ends at a width of 10 mm, and a film having a tension of 18 kg / m and a length of 10,000 m was wound in a roll form.

이상과 같이 하여, 롤 형태로 감겨진, 두께 200μm의 실시예 1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했다.Thus, a polyester film of Example 1 having a thickness of 200 mu m wound in a roll form was produced.

[실시예 2~11, 13, 14, 비교예 1~3, 5][Examples 2 to 11, 13 and 14,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5]

실시예 1에 있어서, 가로 연신 공정의 조건, 이접착층, 및 하드 코트층을,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했다.The polyester film of each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ditions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adhesive layer and the hard coat layer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respectively, .

[실시예 12, 비교예 4][Example 12, Comparative Example 4]

이접착층을 마련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2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했다.A polyester film of Example 1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is adhesive layer was not provided.

또,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로 연신 공정의 조건 및 필름 두께를 변경하고, 추가로 이접착층을 마련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했다. 또한, 비교예 4에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30390호의 실시예 2의 기재를 바탕으로 유사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했다.The polyester film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dition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process and the film thickness were chang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and the adhesive layer was not further provided. In Comparative Example 4, a polyester film was produced by a similar metho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xample 2 of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230390.

[필름 측정 결과][Film measurement result]

각 예에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were measure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두께><Thickness>

얻어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했다.The thicknesses of the polyester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determined as follows.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터 필름에 대하여, 접촉식 막두께 측정계(안리쓰사제)를 이용하여, 세로 연신한 방향(길이 방향)으로 0.5m에 걸쳐 등간격으로 50점을 샘플링하고, 추가로 필름폭 방향(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필름 전체 폭에 걸쳐 등간격(폭방향으로 50등분)으로 50점을 샘플링한 후, 이들 100점의 두께를 측정했다. 이들 100점의 평균의 두께를 구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로 했다.The polyester film of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ampled at regular intervals of 50 m in 0.5 m lengthwis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contact type film thickness meter (manufactured by Anritsu Corporation) 50 points were sampled at uniform intervals (50 equal parts in the width direction)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the thicknesses of these 100 points were measure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se 100 points was determined to be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Re, Rth, Re/Rth 비율>&Lt; Re, Rth, Re / Rth Ratio >

각 예에서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Re, Rth를 구했다. 얻어진 Re 및 Rth로부터, Re/Rth 비율을 계산했다.Re and Rth were determined for the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Re / Rth ratio was calculated from Re and Rth obtained.

<전단면 수직 응력 및 전단면 항복 응력><Shear vertical stress and shear yield stress>

얻어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터 필름에 대하여, SAICAS-NN형(다이플라·윈테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여, 필름 표층 1μm의 전단면 수직 응력과 전단면 항복 응력을 각각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했다.Using the SAICAS-NN type (manufactured by Dai-ichi K.K.), the polyester film of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us obtained was subjected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Lt; / RTI &gt;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A와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진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B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또한, TD가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며, MD가 필름의 진상축 방향이다.From the obtained measured values, the average value of the normal vertical stress A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surface layer of 1 mu m and the normal vertical stress B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film plane was calculated. TD is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film, and MD is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film.

[하드 코트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hard coat film]

하기 조성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했다.A coating liquid for forming a hard coat layer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prepared.

·사이클로머 M100: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제) 40질량부Cyclomer M100: 3,4-epoxycyclohexylmethyl methacrylate (Daicel Co., Ltd.) 40 parts by mass

·DPHA: KAYARD DPHA(닛폰 가야쿠(주)제) 55.4질량부DPHA: KAYARD DPHA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55.4 parts by mass

·Irgacure127: 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BASF(제)) 2.5질량부Irgacure 127: alkylpheno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ASF) 2.5 parts by mass

·Irgacure290: 설포늄염계 양이온 중합 개시제(BASF(제)) 2.0질량부Irgacure290: a sulfonium salt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BASF) 2.0 parts by mass

·바람 불균일 방지제 FP-1: 하기 구조의 함불소 화합물 0.1질량부· Wind irregularity inhibitor FP-1: Fluorine compound of the following structure 0.1 parts by mass

·용매 1 MEK 100질량부Solvent 1 MEK 100 parts by mass

·용매 2 MIBK 50질량부Solvent 2 MIBK 50 parts by mass

[화학식 14][Chemical Formula 14]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7

롤 형태로 권취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1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권출하고, 후공정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도포를 이하의 방법으로 행했다.The un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of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ound in roll form was unwound and, as a post-process,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was applied by the following method.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필름의 편면(이접착층을 마련한 경우는 이접착층 측)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22889호 실시예 1에 기재된 슬롯 다이를 이용한 다이 코트법으로, 반송 속도 30m/분의 조건으로 도포했다. 60℃에서 150초 건조 후에, 추가로 질소 퍼지하 산소 농도 약 0.1%이고 160W/cm의 공랭 메탈할라이드 램프(아이 그래픽스(주)제)를 이용하여, 조도 400mW/cm2, 조사량 5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층(하드 코트층)을 경화시키고 권취했다.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hard coat layer was applied on one side of the film (when the adhesive layer wa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dhesive layer) by a die coating method using a slot die described in Example 1 of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122889 at a conveying speed of 30 m / min . After drying at 60 占 폚 for 150 seconds, an illuminance of 400 mW / cm &lt; 2 &gt; and an irradiation dose of 500 mJ / cm &lt; 2 &gt; (Hard coat layer) was cured and wound up.

<하드 코트층의 막두께><Thickness of Hard Coat Layer>

실시예 9 이외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터 필름을 이용한 경우는,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22μm로 하고, 실시예 9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터 필름을 이용한 경우는,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5μm로 했다.In the case of using the polyester film obtained in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other than Example 9, when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was 22 占 퐉 and the polyester film obtained in Example 9 was used,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was 5 占 퐉 .

또한, 하드 코트층의 막두께는 접촉식의 막후계로 제작한 하드 코트 필름의 막두께를 측정하고, 그것과 동일하게 측정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두께를 빼서 산출했다.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 film produced by the contact type film thickness regulator and subtracting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film measured in the same manner.

[평가][evaluation]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The hard coat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evalua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펀칭 평가>&Lt; Evaluation of punching &

하드 코트 필름을 10회 펀칭 가공하고, 펀칭 단면의 하드 코트의 균열/박리 상태를 하기의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The hard coat film was subjected to punching 10 times, and the cracking / peeling state of the hard coat of the punching sectio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 균열/박리가 전혀 없음A: No cracking / peeling at all

B: 균열/박리가 1회만 일어남B: Cracking / peeling only occurs once

C: 균열/박리가 2~3회만 일어남C: Cracking / peeling occurs only 2 or 3 times

D: 균열/박리가 4회 이상 일어남D: Cracking / peeling occurs more than 4 times

<표면 변형 평가>&Lt; Evaluation of surface deformation &

하드 코트 필름 표면(하드 코트층 측)을, 철필로 10N/mm2의 힘으로 압입했을 때의 오목부를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The surface of the hard coat film (on the side of the hard coat layer) was depressed with a stylus at a force of 10 N / mm &lt; 2 &gt; . The recesses were observ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 오목부가 전혀 일어나지 않음A: No recesses at all

B: 오목부는 육안으로는 모르지만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인식할 수 있음B: The recess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but can be recognized by observation under a microscope

C: 오목부는 육안으로 약간 알 수 있음C: The recess is slightly visible to the naked eye

D: 오목부가 육안으로 명확하게 알 수 있음D: The concave part can be clearly seen with the naked eye

<시인성 평가><Evaluation of visibility>

크로스 니콜에 마련된 편광판의 사이에, 하드 코트 필름을 그 배향각이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하여 45° 기울도록 두고, LED 백라이트를 후방으로부터 비추어 시인성을 하기의 기준에 의하여 평가했다.The hard coat film was placed between the polarizing plates provided in Cross Nicol so that the orientation angle thereof was inclined at an angle of 45 占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visibility of the LED backlight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A: 무지개 불균일이 전혀 보이지 않음A: I can not see rainbow irregularities at all

B: 무지개 불균일이 거의 보이지 않음B: Rainbow irregularities are hardly visible

C: 무지개 불균일이 조금 보이지만 허용할 수 있음C: Rainbow unevenness is slightly visible, but acceptable

D: 무지개 불균일이 강하게 보임D: Rainbow unevenness is strong

[표 1][Table 1]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8

표 1 중의 기호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The meanings of symbols in Table 1 are as follows.

·DPHA: KAYARD DPHA(닛폰 가야쿠(주)제)DPHA: KAYARD DPHA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3,4-에폭시 CHMA: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3,4-epoxy CHMA: 3,4-epoxycyclohexylmethyl acrylate

·3,4-에폭시 CHMM: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3,4-Epoxy CHMM: 3,4-epoxycyclohexylmethyl methacrylate

·IRG127: Irgacure127(알킬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BASF사제)IRG127: Irgacure127 (alkylpheno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BASF)

·IRG290: Irgacure290(설포늄염계 양이온 중합 개시제, BASF사제)IRG290: Irgacure290 (a sulfonium salt-base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manufactured by BASF)

·RS-90: (방오제, DIC 가부시키가이샤제)RS-90: (antifouling agent,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상기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하드 코트 필름은, 비교예의 하드 코트 필름에 비하여, 하드 코트층의 균열 및 박리된 발생과 오목부의 발생이 모두 억제되었다.As is clear from Table 1, the hard coat films of the Examples were suppressed from cracking, peeling and occurrence of recesses in the hard coat layer, as compared with the hard coat films of the Comparative Examples.

2016년 2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26351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The disclosure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026351 filed on February 15, 2016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하여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된다.All publications, patent applications,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herein incorporated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individual document, patent application, do.

10 절삭 블레이드
12 폴리에스터 필름
20 클립(파지 부재)
10 cutting blades
12 Polyester film
20 clip (holding member)

Claims (17)

두께가 40~500μm이며,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A와 필름면 내에서 상기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수직 응력 B의 평균값이 30~100MPa인 폴리에스터 필름.A thickness of 40 to 500 占 퐉, a normal frontal section stress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layer of 1 占 퐉 and an average valu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normal stress B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in the film surface of 30 to 100 MPa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용인 폴리에스터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yester film for a substrate film of a hard coat fil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1축 배향 폴리에스터 필름인 폴리에스터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Polyester film which is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가 4000~50000nm인, 폴리에스터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of the polyester film is 4000 to 50000 n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층 1μm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전단면 항복 응력과 필름면 내에서 상기 지상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면 항복 응력의 평균값이 20~60MPa인, 폴리에스터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verage value of the shear yield stress in the slow axis direction at the surface layer of 1 占 퐉 of the polyester film and the shear yield str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film plane is 20 to 60 MP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면 수직 응력 B에 대한 상기 전단면 수직 응력 A의 비가 1.1~2.0인, 폴리에스터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ratio of the shear vertical stress A to the shear vertical stress B is 1.1 to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측정 파장 589nm에 있어서의 필름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에 대한 필름면 내의 리타데이션 Re의 비가 0.6~1.2인, 폴리에스터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ratio of the retardation Re in the film plane to the retardation Rth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89 nm of the polyester film is 0.6 to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중 적어도 편면 상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
A base film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hard coat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film.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5μm 이상인, 하드 코트 필름.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ard coat layer has a thickness of 5 m or more.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이,
적어도 하기 a) 유래의 구조, 하기 b) 유래의 구조, 하기 c) 및 하기 d)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이, 상기 하드 코트층의 전체 고형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하기 a) 유래의 구조를 15~70질량%, 하기 b) 유래의 구조를 25~80질량%, 하기 c)를 0.1~10질량%, 하기 d)를 0.1~10질량% 포함하는, 하드 코트 필름.
a) 분자 내에 1개의 지환식 에폭시기와 1개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 이하인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
c) 라디칼 중합 개시제
d) 양이온 중합 개시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mprises:
At least the structure derived from a), the structure derived from b), the structure derived from c) and d)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mprises 15 to 70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a), 25 to 80 mas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e following (b), and c) 0.1 to 10 mass%, and d) 0.1 to 10 mass%.
a)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one alicyclic epoxy group and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 or less
b) a compound having a group containing three or more ethylenically unsaturated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c)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d)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화상 표시 소자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the hard coat film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A touch panel comprising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the hard coat film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urface.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각각 주행하는 복수의 클립을 구비한 가로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연신의 또는 세로 연신한 폴리에스터 필름을 600℃/min 이하의 승온 속도로 예열하는 예열 공정과,
상기 예열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양 가장자리를 상기 복수의 클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 반송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 연신을 행하고, 상기 가로 연신 개시부터 상기 가로 연신 종료까지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켜, 상기 가로 연신 개시 시의 상기 표면 온도를 80℃ 이상 95℃ 이하이고, 또한 상기 가로 연신 종료 시의 상기 표면 온도를 90℃ 이상 105℃ 이하로 제어하여, 가로 연신 배율을 3.3배 이상 4.8배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는 가로 연신 공정과,
상기 가로 연신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상기 가로 연신 장치 내에서의 최고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열고정하는 열고정 공정을 포함하며,
두께가 40~500μm인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
By using a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lips which run along a pair of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m carrying path,
A preheating step of preheating an unoriented or vertic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at a heating rate of 600 DEG C / min or less,
Transversely stretching the fil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lm transport path in a state that both edges of the preheated polyester film are held by the plurality of clips;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start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is controlled to be not less than 80 ° C and not more than 95 ° C and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transverse stretching is controlled to be not less than 90 ° C and not more than 105 ° C, Is controlled to be in the range of 3.3 times or more and 4.8 times or less,
And a heat fixation step of thermally fix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by heating to a maximum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apparatu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to 500 占 퐉.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로 연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표면 온도를 60℃/min 이하의 승온 속도로 서서히 상승시켜, 상기 가로 연신 배율이 1배 이상 2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상기 표면 온도를 80℃ 이상 92℃ 이하로,
상기 가로 연신 배율이 2배 이상 3배 미만의 범위일 때의 상기 표면 온도를 85℃ 이상 97℃ 이하로, 및
상기 가로 연신 배율이 3배 이상의 범위일 때의 상기 표면 온도를 90℃ 이상 102℃ 이하로 제어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transverse stretching step, the surfac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at a heating rate of 60 DEG C / min or less to adjust the surface temperature to 80 DEG C or more and 92 DEG C or less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1 to 2 times in,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2 times or more and less than 3 times is set to 85 deg. C or more and 97 deg. C or less, and
Wherein the surface temperature when the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 the range of 3 times or more is controlled to 90 占 폚 or more and 102 占 폚 or less.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로 연신 공정의 종료로부터 상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최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의 승온 속도를 1000℃/min 이하로 제어하고,
상기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최고 도달 표면 온도를 130℃ 이상 230℃ 이하로 제어하여,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표면 온도가 130℃를 넘는 시간을 180초 이하로 제어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drawing step until reaching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 setting step is controlled to be not more than 1000 ° C / min,
Wherein the polyester film has a maximum surface temperature of 130 占 폚 or higher and 230 占 폚 or lower in the heat fixation step to control the time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film exceeds 130 占 폚 to 180 seconds or less &Lt; / RTI &gt;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고정 공정 후의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열하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의 적어도 가로 방향의 길이를 줄이는 열완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Further comprising a thermal relaxation step of heating the polyester film after the heat setting step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polyester film at lea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 중 적어도 편면 상에 하드 코트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And a step of laminating a hard coat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KR1020187023552A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rd coat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KR102222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5601A KR102455947B1 (en)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ard coat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6351 2016-02-15
JPJP-P-2016-026351 2016-02-15
PCT/JP2017/003241 WO2017141680A1 (en)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ard coat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601A Division KR102455947B1 (en)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ard coat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012A true KR20180104012A (en) 2018-09-19
KR102222794B1 KR102222794B1 (en) 2021-03-03

Family

ID=596258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601A KR102455947B1 (en)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ard coat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KR1020187023552A KR102222794B1 (en)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rd coat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601A KR102455947B1 (en) 2016-02-15 2017-01-30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ard coat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94518B2 (en)
KR (2) KR102455947B1 (en)
CN (1) CN108602237A (en)
TW (1) TWI769147B (en)
WO (1) WO201714168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03A (en) * 2020-06-26 2022-01-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for measuring cohesion of impregnated composite electr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3017B (en) * 2021-12-16 2023-08-15 云阳金田塑业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illumination reflecting film
CN114674260B (en) * 2022-03-28 2023-12-26 沈阳建筑大学 Full-face tunnel boring machine scraper abrasion detection metho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788A (en) 2003-05-29 2004-12-16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Un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JP2005002220A (en) 2003-06-12 2005-01-06 Toyobo Co Ltd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surface protection film and release film using the same
JP2013257550A (en) 2012-05-15 2013-1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Laminate substrate, laminate,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4203894A1 (en) * 2013-06-19 2014-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olaris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5046120A1 (en) * 2013-09-26 2015-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roduction method for poly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5046122A1 (en) 2013-09-26 2015-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roduction method for poly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5128897A (en) 2013-12-03 2015-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Surface protective film
JP2015189194A (en) * 2014-03-28 2015-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polyester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hard coat film, and touch panel
WO2016010134A1 (en) * 2014-07-18 2016-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hard coat film, touch panel sensor film, anti-shattering film, anti-reflective film,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3421A (en) * 1952-05-12 1958-02-18 Du Pont Stretch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JPH0764018B2 (en) * 1990-06-05 1995-07-12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liquid crystal substrate
JP2004039026A (en) * 2002-06-28 2004-02-05 Sony Corp Optical disk system and its track jump control method
JP2014209162A (en) * 2013-03-28 2014-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5990128B2 (en) * 2013-05-01 2016-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6169530B2 (en) * 2014-05-13 2017-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2015225129A (en) * 2014-05-26 2015-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hard coat film and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788A (en) 2003-05-29 2004-12-16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Un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JP2005002220A (en) 2003-06-12 2005-01-06 Toyobo Co Ltd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surface protection film and release film using the same
JP2013257550A (en) 2012-05-15 2013-1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Laminate substrate, laminate,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4203894A1 (en) * 2013-06-19 2014-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olaris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5046120A1 (en) * 2013-09-26 2015-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roduction method for poly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5046122A1 (en) 2013-09-26 2015-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roduction method for poly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5128897A (en) 2013-12-03 2015-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Surface protective film
JP2015189194A (en) * 2014-03-28 2015-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polyester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hard coat film, and touch panel
WO2016010134A1 (en) * 2014-07-18 2016-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hard coat film, touch panel sensor film, anti-shattering film, anti-reflective film,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03A (en) * 2020-06-26 2022-01-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for measuring cohesion of impregnated composit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41680A1 (en) 2018-08-16
TWI769147B (en) 2022-07-01
KR102455947B1 (en) 2022-10-17
JP6594518B2 (en) 2019-10-23
CN108602237A (en) 2018-09-28
KR102222794B1 (en) 2021-03-03
WO2017141680A1 (en) 2017-08-24
TW201800262A (en) 2018-01-01
KR20210024230A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589B1 (en) Decorative film, image display device,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film
KR101607728B1 (en) Highly adhesive polyester film for optical use
JP4661946B2 (en) Optically easy-adhesive polyester film and optical laminated polyester film
TWI498212B (en) Optical laminate and hardcoat film
JPWO2018159727A1 (en) Optical film and front plate of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image display apparatus, mirror with image display function, resis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JP2006058574A (en) Hard coat film
JP6617561B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2004170901A (en)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unit
JP6414380B2 (en)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6098424A1 (en) Antireflection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using the antireflection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antireflection film or polarizing plate
KR102222794B1 (en) Polyest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rd coat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JP2006231845A (en) Hard coat film
TW201914813A (en) Layered product,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293329A (en) Anti-refl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using the anti-reflection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anti-reflection film or polarizing plate
WO2018179893A1 (en) Optical film, and front panel of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mirror with image display function, resis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each of which comprises said optical film
WO2018074137A1 (e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ti-reflection article,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reflection film
WO2007037525A9 (e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101983707B1 (en) Method for convey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WO2020235274A1 (en) Hard-coat film, article provided with hard-coat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06563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antireflection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uch optical film or antireflection film
WO2024005216A1 (en) Laminated film
JP7480581B2 (en) Polyester film and its uses
US20220402254A1 (en) Polyamide-based composite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1206066A1 (en) Antiglare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antiglare film
JP2024022490A (en) laminate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