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474A -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 Google Patents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474A
KR20180102474A KR1020170077571A KR20170077571A KR20180102474A KR 20180102474 A KR20180102474 A KR 20180102474A KR 1020170077571 A KR1020170077571 A KR 1020170077571A KR 20170077571 A KR20170077571 A KR 20170077571A KR 20180102474 A KR20180102474 A KR 2018010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fixing
support rod
strap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9909B1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ublication of KR2018010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1/00Hunt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which comprises: a mesh additionally provided at an end; a supporting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ing rod; a fixation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rod for fixing the mesh; and a mounting part held on the fixation part and shaping the me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armful animals.

Description

유해동물 포획기구{Harmful Animal capture device}{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대 위에 지주봉을 세우고 공중에 그물을 벌려 놓아 포획기구 범위 안에 들어온 동물들을 고정핀과 도르래 및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포할 수 있는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capable of capturing animals that are within the scope of a capture apparatus by holding a rod on a pedestal and opening the net in the air using the pin, It relates to animal catching organization.

최근 들어 가뭄 및 환경파괴로 인한 유해동물이 농가로 자주 출몰하여 사람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피해가 극심하다.In recent years, harmful animals caused by drought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have been frequently infested by farmers, and the damage to crops as well as humans is extremely high.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지자체마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 울타리(전기울타리, 철제그물 등)를 쳐서 유해동물의 침입을 막거나 빛, 레이져, 음향, 경음기 등을 설치, 접근을 못하도록 하고 있으나 유해동물을 일시적으로 퇴치만 가능할뿐 지속적으로 퇴치하는 것은 역부족인 실정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each local government has a large budget to prevent the entry of harmful animals, such as hitting fences (electric fences, steel nets, etc.) or installing light, laser, sound, It is only possible to fight off and it is not enough to continuously fight off.

또한, 덫을 설치하거나 잔인한 방법으로 유해동물을 포획하거나 사살하는 방법은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rapping or capturing or killing noxious animals in a cruel way can cause problems to destroy ecosystems.

희귀동물이 걸리거나 사살됨으로써, 생태계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덫과 사살하는 방식을 이용한 포획방법은 적절하지 못할 수 있다.Because rare animals can be caught or killed, it can lead to an imbalance in the ecosystem, so catching methods using trapping and shooting methods may not be appropriat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받침대 위에 지주봉을 세우고 공중에 그물을 벌려 놓아 포획기구 범위 안에 들어온 동물들을 고정핀과 도르래 및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포할 수 있는 유해동물 포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animal capturing apparatus, specifically, a support rod is placed on a pedestal, and a net is opened in the air so that the animals in the capture apparatus range are guided by a pin, And to capture the harmful animal which can be captur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있어서,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 상기 지주봉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지주봉 상측에 상기 그물망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거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mful animal trapping mechanism, comprising: a mesh network further provided at an end;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bar;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rod for fixing the mesh, and a mounting part for receiving the shape of the mesh, which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주봉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는 막대형상의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rod and a bar-shaped fixing pin fitted in the fixing hole.

또한, 상기 지주봉은, 상하단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구비되는 끈 및 상기 끈의 일단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끈의 타단은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가 유해동물에 의해 잡아당겨지면 상기 고정핀에 거치된 끈에 의해 상기 고정핀이 함께 이탈되면서 상기 그물망이 유해동물을 포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Further, the holding bar may include a pulle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is fixed to the fixing pin, and when the fixing member is pulled by the noxious animal, the string is fixed to the fixing pin by the string fastened to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pin is detached together, so that the net captures the harmful animal.

또한, 상기 고정구는, 일측에 유해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ture includes a bait for attracting a noxious animal to one sid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있어서,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 상기 지주봉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지주봉 상측에 상기 그물망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2개의 고정핀; 상기 2개의 고정핀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봉에 형성된 고정홀; 상기 고정핀에 거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 상기 지주봉 일측에 구비되는 움직임센서 및 상기 움직임센서에 의해 유해동물의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고정핀과 연동되어 상기 그물망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trapping harmful anim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esh network further provided at an end;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bar; Two fixing pin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t to fix the net; A fix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 bar so that the two fixing pins can be mounted; A mounting part that is mounted on the fixing pin and holds the shape of the network; And a controller for interlocking with the fixing pin to lower the mesh when the motion of the noxious animal is sensed by the motion sensor and the motion senso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rod.

또한, 상기 2개의 고정핀은, 상기 지주봉 내측에 고정된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일면이 래크기어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 fixing pins may be formed in a one-sided shape so as to engage with a pinion gear which is engaged with a mot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bar and is rotated, and the motor is operated by a control unit in cooperation with the control unit do.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있어서,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 상기 지주봉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그물망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에 갈고리를 구비하는 끈; 상기 끈이 상기 거치부를 유연하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주봉 상측에 구비되는 도르래 및 상기 끈과 연결되되,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끈이 이탈시키면서 상기 도르래에 의해 상기 그물망이 낙하되도록 하는 지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mesh at the end;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bar; A mounting part for holding the shape of the mesh; A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 hook at the other end; The string is connected to the pulle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t and the strap so that the net is dropped by the pulley while releasing the strap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may include a lever.

또한, 상기 지레부는, 일단이 상기 끈의 고리가 거치되어 작용점으로 작용하고, 타단이 미끼가 구비되어 힘점으로 작용하는 지렛대 및 상기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 일측에 구비되는 2개의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ever may have a lever which has one end acting as a point of action when the string of the string is stuck and the other end serving as a fulcrum provided with a bait, and two support part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so as to act as a fulcrum of the lever .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주봉이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산대; 상기 분산대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작은 링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큰 링 및 상기 삽입홀과 직경이 대응되며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큰 링을 잡아주는 줄이 구비되는 작은 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upport bar is inserted; A plurality of dispersion bar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ertion hole; And a small ring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mall ring and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having a line for holding the large ring, have.

또한, 상기 지주봉은, 상기 거치부가 상기 그물망과 함께 낙하될 때, 하측에서 지지해주는 저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dropped together with the net.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는 멧돼지와 고라니 같은 번식력이 좋은 유해동물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trapping harmful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armful animals having good fertility such as wild boar and elk.

또한, 일반 농가, 가정 집의 마당과 같은 곳에서도 간단한 설치로 위협이 될 수 있는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쉽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apture harmful animals that can be a threat by simple installation even in places such as farmhouses and houses of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기구의 지주봉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기구의 지주봉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해동물 포획기구의 지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es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 bar of the harmful animal capturing mechanism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xious animal capturing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rod of the harmful animal capturing mechanism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xious animal capturing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r portion of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mechanism shown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cover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ir own meaning,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ttached hereto.

도 1 및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1)는 그물망(160), 지주봉(100), 받침대(200), 고정부, 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s 160, a support rod 100, a pedestal 200, a fixing part, and a mounting part 150 Lt; / RTI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물망(16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끈이나 실, 쇠줄, 나일론과 같은 재질로 벌집과 같은 형태로 엮어 제작되는 것으로, 유해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기에 적합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esh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bricated in the form of a honeycomb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cord, a string, or a nylon which is generally used, and is made of a material suitable for capturing harmful animals .

여기서, 유해동물이란 농가에 내려와 밭이나 논에 피해를 주는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말한다.Here, a harmful animal refers to a harmful animal such as a wild boar that comes down to a farm and damages fields and rice fields.

또한, 그물망(160)은 가벼워 유해동물이 포획되어도 달아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물망(160)의 끝단에 추(165)를 구비하여 그물망(160)이 지면에 떨어지면서 유해동물이 포획된 후에도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sh 160 is light and may possibly escape if the harmful animal is caught, the weight 165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mesh 160 so that the mesh 160 may fall off the ground, I can no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의 지주봉(100)은 원기둥 형상 또는 어떤 것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물망(160)의 중심을 받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od 100 of the apparatus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in a shape suitable for supporting something, Can be installed.

지주봉(100)은 상측에 고정핀(110)을 구비할 수 있도록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정홀에 막대형상 또는 끼울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핀(110)을 끼울 수 있다.The support rod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passing through a side surface thereof so as to have a fixing pin 110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a fixing pin 110 which is provided in a rod- .

도 2에 도시된 고정홀은 고정핀(110)이 삽입되어 있는 부분으로 도면에는 고정핀(11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었다.The fixing hole shown in FIG. 2 is a portion where the fixing pin 110 is inserted, and the fixing pin 110 is inserted in the drawing.

또한, 지주봉(100)은 상하단에 설치되는 도르래(120), 도르래(120)에 구비되는 끈(125) 및 끈(125)의 일단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rut 100 may include a pulley 120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ulley 120, a strap 125 provided to the pulley 120, and a fastener 130 fastening one end of the strap 125 to the ground. have.

지주봉(100)에 설치되는 도르래(120)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도르래(120)의 원리를 말하며, 끈(125)의 일단이 지면에 놓아지도록 고정구(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핀(110)에 고정되는 그 사이에 도르래(120)를 이용해 연결할 수 있다. The pulley 120 installed on the support rod 100 refers to the principle of the generally used pulley 120. The pulley 120 is connected to the fixture 130 such that one end of the strap 125 is placed on the ground, 110 by means of a pulley 120 between them.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끈(125)의 타단은 고정핀(110) 일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구(130)가 유해동물에 의해 지면에서 움직이거나 빠지게 되면 상기 고정핀(110)에 거치된 끈(125)에 의해 고정핀(110)이 함께 이탈되면서 그물망(160)이 지면을 향해 떨어져 유해동물을 덮게 되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strap 125 may be fixed to one end of the fixing pin 110. When the fixing hole 130 is moved or released from the ground by the noxious animal, 12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xing pins 110, so that the net 160 is covered toward the ground to cover the harmful animal.

이때, 고정핀(110)이 고정홀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지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홀의 직경은 고정핀(110)의 두께보다 크게 구비되거나, 도르래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고정홀 부분이 반대편 고정홀보다 위에 위치하여 고정핀(110)이 비스듬하게 꽂아지게 구비되어 유연하게 고정핀(110)이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fixing pin 110 to naturally fall out of the fixing hole, the diameter of the fixing hole may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pin 110, or the fixing hole portion near the sheave may be positioned above the opposite fixing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in 110 is slanted so that the fixing pin 110 can be flexibly released.

여기서 고정구(130)는 유해동물을 유인할 수 있는 미끼(135)를 일측에 구비여 유해동물이 미끼(135)를 먹으면서 고정구(13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fixture 130 may include a bait 135 capable of attracting harmful animals, and the fixture 130 may be moved together while the bait 135 is being eaten by the noxious animal.

이에 따라 고정구(130)에 연결된 끈(125)이 당겨지면서 고정핀(110)이 지주봉(100)으로부터 이탈되어 그물망(160)이 낙하됨으로써 유해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The string 125 connected to the fixture 130 is pulled and the fixation pin 11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d 100 and the net 160 is dropped so that the noxious animal can be caught.

또한, 유해동물이 고정구(130)에 구비된 미끼(135)만 가로채고 도망갈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고정구(130)를 생략하고, 끈(125)을 미끼(135)자체에 묶어 활용하여 유해동물 포획 성공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xture 130 may be omitted and the string 125 may be bundled with the bait 135 itself in order to prevent the harmful animal from escaping with the bait 135 provided in the fixture 130, The animal capture success rate can be further improved.

받침대(200)는 지주봉(100)을 지면과 수직하게 서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x' 또는 '+'의 형태로 구비되어 지주봉(100)과 지면 사이에 구비되어 지주봉(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e pedestal 200 supports the support rods 10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x' or '+',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rods 100 and the ground, It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shaken.

그러나, 받침대(200)의 형상은 상기와 같이 한정하지 않으며 지주봉(100)을 받치는데 무리가 없는 형태면 충분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pedestal 200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pedestal 200 can be easily supported.

고정부는 그물망(160)을 지주봉(100)에 거치 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 언급했던 고정핀(110)과 고정홀에 대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xing part can be used to mount the net 160 on the support rod 100, and it is related to the fixing pin 110 and the fixing hole mention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를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부(150)는 고정부와 마찬가지로 그물망(160)을 지주봉(100)에 거치시킬 때 용이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좀더 나아가 그물망(160)을 넓게 펴주는 역할을 한다.5, the mounting portion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used when mounting the net 160 on the support rod 100 like the fixing portion, and furthermore, it plays a role of spreading the net 160 widely .

구체적으로, 거치부(150)는 지주봉(100)이 삽입되는 삽입홀(151)과 삽입홀(15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산대(152), 분산대(152)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작은 링(15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큰 링(153) 및 삽입홀(151)과 직경이 대응되며 큰 링(153)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큰 링(153)을 잡아주는 줄(155)이 구비되는 작은 링(154)을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150 includes an insertion hole 151 into which the support rod 100 is inserte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bases 15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ertion hole 151, 152 which are larger than the small ring 154 and ar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large ring 153 an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51, And a small ring 154 provided with a line 155 for holding the movable member 153.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산대(152)와 큰 링(153)에 의해 그물망(160)이 펼쳐지도록 지주봉(100)에 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tribution rod 152 and the large ring 153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 rod 100 so that the mesh 160 is unfolded.

작은 링(154)은 지주봉(100)에 구비되는 고정핀(110)에 걸리게 되면서 거치부(150)에 거치된 그물망(160)과 거치부(150)를 지면으로부터 띄울 수 있다.The small ring 154 may be lifted from the ground by the mesh 160 and the mount 150 mounted on the mount 150 while being caught by the fixing pin 110 provided in the support rod 100.

또한, 분산대(152)는 삽입홀(151)에 고리형식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거나, 용접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ersion band 152 may be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151 in a ring-shaped fashion or may be formed by welding.

다음으로, 지주봉의 하측에는 작은 링(154)이 낙하되면서 완전하게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부(150)가 하측에 걸리도록 하는 저지지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may further include a lowered portion 140 to allow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od 150 to be hung downward to prevent the small ring 154 from completely contacting the ground.

저지지대(140)는 고정핀(110)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14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xing pin (110).

다음으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2)는, 그물망(160), 지주봉(300), 받침대(400), 2개의 고정핀(310), 고정홀, 거치부(150), 움직임센서(3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mechanis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 160, a support rod 300, a pedestal 400, two fixing pins 310 A fixing hole, a mounting portion 150, a motion sensor 330, and a control portion (not show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160), 받침대(400), 거치부(150)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1)의 구성 중 그물망(160), 받침대(200), 거치부(15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nets 160, the pedestals 400 and the mounts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mesh 160 of the structure of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mechanism 1 according to the above- The pedestal 200, and the mounting portion 15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지주봉(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1)를 설명할 때 형태나 거치되는 위치는 동일하다.First, the supporting rod 300 is the same in shape and position when describing the noxious animal capturing mechanis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일측에 2개의 고정핀(310)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홀과 내측에는 2개의 고정핀(310)을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it may include a fixing hole that allows two fixing pins 310 to be provided on one side and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wo fixing pins 310 to be operated on the inside.

구체적으로, 지주봉(3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움직임센서(330)를 통해서 유해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센싱된 값과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값이 매칭되어 2개의 고정핀(310)과 연결되는 모터(320)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하여 2개의 고정핀(310)에 걸려있던 거치부(150)가 그물망(160)과 함께 지면을 향해 떨어지게 되어 유해동물을 포획할 수 있는 원리이다.Specifically, the movement of the noxious animal is sensed through the movement sensor 3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300, and the sensed value is matched with a preset value in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motor 320 connected to the motor 320 is operated by a control unit so that the stationary part 150 hung on the two fixing pins 310 is dropped along with the mesh 160 toward the ground, There is a principle.

여기서, 움직임센서(330)에 감지되기 위해서는 그물망(160)이 덮힐 수 있는 거리 내에서만 감지될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에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be sensed by the motion sensor 330, a value may be preset in a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the detection can be performed only within a distance that the mesh 160 can be covered.

또한, 유해동물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미끼(135)를 받침대 근처나 그물망이 낙하되어 덮힐 수 있는 거리 내에 투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it 135 can be thrown near the pedestal or within a distance that the mesh can fall and cover to facilitate access of the noxious animal.

움직임센서(330)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거리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지주봉(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movement sensor 330 may be provided using a sensor such as an infrared ray sensor or an ultrasonic distance sensor o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rod 300.

또한, 움직임센서(330)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움직임센서(330)에 의해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여 유해동물이 포획된 것을 알려주고 이로 인하여 유해동물이 오래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tion sensor 330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coupled to the motion sensor 330. When the motion sensor 330 senses the movement, the motion sensor 330 transmits a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to inform the user that the harmful animal has been captured. Can be prevented.

다음으로, 2개의 고정핀(310)과 모터(320)의 연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지주봉(300) 내측에 구비된 모터(320)가 작동되고, 모터(320)가 작동됨에 따라 모터(320)의 일측에 구비된 피니언기어와 일면이 래크기어로 형성된 각각의 2개의 고정핀(310)이 서로 치합되어 2개의 고정핀(310)이 지주봉(300) 측면에 구비된 고정홀(315)을 기준으로 돌출되고 인입될 수 있다.Next,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ixing pins 310 and the motor 3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otor 320 provided inside the support rod 300 is operat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pinion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tor 320 and the two fixed pins 310 formed on one side of the motor 3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wo fixing pins 310 are engaged with the supporting bar 300, And can be protruded and guided with reference to the fixing hole 315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즉, 일면이 래크기어로 형성된 2개의 고정핀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모터의 피니언기어에 의해 동시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동시에 지주봉(30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two fixing pins formed in one size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provid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nd can be simultaneously protruded outwardly by the pinion gear of the motor or can be drawn into the support bar 300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와 같이 동작되기 위해서는 2개의 고정핀이 돌출되고,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지주봉(300)에 형성된 고정홀(315)이 형성되어야 한다.Further, in order 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two fixing pins are protruded, and a fixing hole 315 formed in the supporting bar 300 to be inserted is formed.

다음으로, 지주봉(300)의 하측에는 작은 링이 낙하되면서 완전하게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부가 하측에 걸리도록 하는 저지지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3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upport 340 to allow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300 to be hung downward to prevent the small ring from completely contacting the ground.

저지지대(340)는 고정핀(310)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34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xing pin 3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2)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원초적인 방식을 적용한 포획기구보다 효율적으로 빠르고 쉽게 포획할 수 있다.The use of the harmful animal capturing mechanis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quick and easy capturing more efficiently than the capturing apparatus using the existing basic method.

다음으로,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기구(3)는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160), 그물망(160)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500), 지주봉(500)을 지지하는 받침대(600), 그물망(160)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150), 거치부(15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에 갈고리(531)를 구비하는 끈(530), 끈(530)이 거치부(150)를 유연하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하며, 지주봉(500) 상측에 구비되는 도르래(550) 및 상기 끈(530)과 연결되되,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끈(530)이 이탈시키면서 상기 도르래(550)에 의해 상기 그물망(160)이 낙하되도록 하는 지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apparatus 3 for capturing a harmful anim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 160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end, a support rod 500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net 160 A pedestal 600 for supporting the support rod 500, a mounting part 150 for holding the shape of the netting 160, a first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150 and a hook 531 at the other end The strap 530 and the strap 530 allow the strap to be flexibly lifted and lowered and connected to the pulley 550 provided above the strap rod 500 and the strap 530, And a lever for allowing the web 160 to be dropped by the pulley 550 while separating the strap 530 using the principle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그물망(160), 받침대(600), 거치부(150)는 상기 일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esh 160, the pedestal 600, and the mount 15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지레부는 일단이 끈(530)의 고리가 거치되어 작용점(511)으로 작용하고, 타단이 미끼가 구비되어 힘점(512)으로 작용하는 지렛대(510) 및 상기 지렛대(510)의 받침점(521,522)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600) 일측에 구비되는 2개의 받침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ook of the string 530 to act as a point of action 511 and the other end to the fulcrum 510 and the fulcrum 521,522 of the lever 510, And two receiving portions 5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edestal 600 so as to be able to function.

2개의 받침부(520) 중에서 하나(521)는 상기 받침대(600) 일측 중 작용점(511)과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을 참고하면 지렛대(510)의 두께가 간신히 걸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렛대(510)를 받칠 수 있는 형태면 충분하다.One of the two receiving portions 520 may be provided near the working point 511 of one side of the pedestal 600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the thickness of the lever 510 can barely be wor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lever 510 is sufficient.

도 6에서는 지렛대(510)를 막고 있는 형태이나 지렛대(510)의 반동에 의해 충분히 지렛대(510)가 이탈 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In FIG. 6, the lever 510 is detached from the lever 510 by the blocking of the lever 510 or the locking of the lever 510.

또 다른 하나(522)는 상기 받침대(600) 일측 중 힘점(512)에 가까운 곳에 구비될 수 있으며, 말뚝과 같은 형태의 나무 막대기가 받침대(600)에 고정되며 상단부분으로 지렛대(510)를 받칠 수 있다.The other one 52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near one of the fingers 512 of the pedestal 600. A wooden stick in the form of a pile may be fixed to the pedestal 600, .

여기서 지레의 원리는, 받침부(520)에 의해 지렛대(510)가 받쳐지면서 지렛대(510) 타단(힘점:512)에 구비된 미끼를 유해동물이 건드리게 되면 받침부(520)에 의해 떠 있던 힘점(512) 부분의 지렛대(510)가 내려가고, 이에 따라 일단에 끈(530)의 갈고리(531)가 끼워져 있던 작용점 부분에서 끈(530)의 갈고리(531)가 빠지게 되면서 지주봉(500) 상측에 구비된 도르래(550)에 의해 상측에 거치되어 있던 거치부(150)에 거치된 그물망(160)이 유연하게 낙하되는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낙하된 그물망(160)에 의해 유해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Here, the principle of the lever is that the lever 5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520 and the bait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 point 512) of the lever 510 is caught by the support part 520 The claw 531 of the cord 530 is pulled out at the point of the action point where the claw 531 of the cord 530 is inserted at one end and the claw 531 of the cord 530 is pulled out, The principle of applying the principle that the mesh 160 mounted on the mount 150 mounted on the upper side is smoothly dropped by the pulley 55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s used. .

상기에서, 상기 받침대(600) 일측에 구비된 받침부(520)를 이용해 지렛대(510)가 그물망(160)을 지탱할 수 있게 되고, 힘점(512)에 연결된 미끼를 유해동물이 건드리면서 지렛대(510) 전체에 반동이 적용되어 상기 받침대(600) 일측 중 작용점(511)과 가까운 곳에 구비된 받침점(52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lever 510 can support the net 160 by using the support unit 5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600 and the bait connected to the support point 512 can be supported by the nail animal 510 May be applied to the entirety of the pedestal 600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ulcrum 521 provided near the working point 511 of the pedestal 600.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2,3 : 유해동물 포획기구
100, 300, 500 : 지주봉
110 : 고정핀
120,550 : 도르래
125,530 : 끈
130 : 고정구
135 : 미끼
140,340,540 : 저지지대
150 : 거치부
151: 삽입홀
152 : 분산대
153 : 큰 링
154 : 작은 링
155 : 줄
160 : 그물망
165 : 추
200,400,600 : 받침대
310 : 2개의 고정핀
315 : 고정홀
320 : 모터
325 : 피니언기어
330 : 움직임센서
510 : 지렛대
511 : 작용점
512 : 힘점
520 : 받침부
521, 522 : 받침점
531 : 갈고리
1,2,3: Harmful Animal Capture Organization
100, 300, 500:
110: Fixing pin
120,550: Pulley
125,530: String
130: Fixture
135: bait
140,340,540: Low Zone
150:
151: insertion hole
152: dispersion band
153: Large ring
154: Small ring
155: line
160: Network
165: Chu
200,400,600: Pedestal
310: two fixing pins
315: Fixing hole
320: motor
325: Pinion gear
330: Motion sensor
510: Lever
511: Point of action
512: Strikes
520:
521, 522: fulcrum
531: Hooks

Claims (10)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있어서,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
상기 지주봉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지주봉 상측에 상기 그물망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거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In the apparatus for capturing harmful animals,
An additional mesh at the end;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bar;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rod for fixing the web,
And a mounting portion which is mounted on the fixing portion and which holds the shape of the me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주봉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끼워지는 막대형상의 고정핀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x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rod,
And a rod-shaped fixing pin fitted in the fix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은,
상하단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구비되는 끈 및
상기 끈의 일단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끈의 타단은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가 유해동물에 의해 잡아당겨지면 상기 고정핀에 거치된 끈에 의해 상기 고정핀이 함께 이탈되면서 상기 그물망이 유해동물을 포획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ing bar
A pulle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strap provided on the pulley
And a fixtu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ap,
The other end of the string is fixed to the fixing pin,
Wherein when the fixture is pulled by the harmful animal, the fixation pin is detached by the strap fixed to the fixation pin so that the mesh captures the harmful anim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일측에 유해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ture includes:
And a bait for attracting the harmful animal to one side.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있어서,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
상기 지주봉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지주봉 상측에 상기 그물망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2개의 고정핀;
상기 2개의 고정핀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봉에 형성된 고정홀;
상기 고정핀에 거치되며, 상기 그물망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
상기 지주봉 일측에 구비되는 움직임센서 및
상기 움직임센서에 의해 유해동물의 움직임이 센싱되면, 상기 고정핀과 연동되어 상기 그물망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In the apparatus for capturing harmful animals,
An additional mesh at the end;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bar;
Two fixing pin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t to fix the net;
A fix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 bar so that the two fixing pins can be mounted;
A mounting part that is mounted on the fixing pin and holds the shape of the network;
A motion senso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rod,
And a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fixed pin to lower the mesh when the movement of the harmful animal is sensed by the motion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핀은,
상기 지주봉 내측에 고정된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일면이 래크기어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wo fixing pins
And a pinion gear coupled with the motor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rod and formed in one size with one surface to be engaged with the rotating pinion gear,
Wherein the motor is operated by a control unit in association with a control unit.
유해동물 포획기구에 있어서,
끝단에 추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중심을 지지하는 지주봉;
상기 지주봉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그물망의 형태를 잡아주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에 갈고리를 구비하는 끈;
상기 끈이 상기 거치부를 유연하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주봉 상측에 구비되는 도르래 및
상기 끈과 연결되되,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끈이 이탈시키면서 상기 도르래에 의해 상기 그물망이 낙하되도록 하는 지레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In the apparatus for capturing harmful animals,
An additional mesh at the end;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mesh;
A pedestal supporting the support bar;
A mounting part for holding the shape of the mesh;
A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 hook at the other end;
The strap being capable of flexibly raising and lowering the mounting portion,
And a le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strap and which causes the net to fall by the pulley while releasing the strap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레부는,
일단이 상기 끈의 갈고리가 거치되어 작용점으로 작용하고, 타단이 미끼가 구비되어 힘점으로 작용하는 지렛대 및
상기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 일측에 구비되는 2개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One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a hook of the string and serves as a point of action, and the other end is a lever,
And two support portio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edestal so as to serve as a fulcrum of the lever.
제 1 항, 제 5 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주봉이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분산대;
상기 분산대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작은 링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큰 링 및
상기 삽입홀과 직경이 대응되며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큰 링을 잡아주는 줄이 구비되는 작은 링을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7,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lding bar is inserted;
A plurality of dispersion bar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sertion hole;
A large ring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ring,
And a small ring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having a line for holding the large ring.
제 1 항, 제 5 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은,
상기 거치부가 상기 그물망과 함께 낙하될 때, 하측에서 지지해주는 저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포획기구.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7,
The holding bar
Further comprising a lower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is dropped together with the mesh.

KR1020170077571A 2017-03-07 2017-06-19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KR1019399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8635 2017-03-07
KR1020170028635 2017-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74A true KR20180102474A (en) 2018-09-17
KR101939909B1 KR101939909B1 (en) 2019-01-17

Family

ID=6372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571A KR101939909B1 (en) 2017-03-07 2017-06-19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090A (en) * 2018-09-29 2018-12-28 那曲市草原站 A kind of long-acting Mouse killing trap of tub
KR20220046758A (en) * 2020-10-08 2022-04-15 공명식 Floating capture apparatus of bird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80Y1 (en) * 2001-02-23 2001-09-26 허성유 Mousetrap
KR20100070533A (en) * 2008-12-18 2010-06-28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nimal trap
JP3163272U (en) * 2010-07-23 2010-10-07 兵庫県 Capture net dropping device
US20130081322A1 (en) * 2011-10-03 2013-04-04 Abdulmajeed F.S.Sh. Alfarhan Humane animal trap
JP2013243963A (en) * 2012-05-25 2013-12-09 Takeshi Toyoda Animal trapping device
JP2014000036A (en) * 2012-06-18 2014-01-09 Cams:Kk Drop type animal capt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258A (en) 1996-06-06 1998-12-15 Intevep, S.A. Material with microporous crystalline walls defining a narrow size distribution of mesopor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80Y1 (en) * 2001-02-23 2001-09-26 허성유 Mousetrap
KR20100070533A (en) * 2008-12-18 2010-06-28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nimal trap
JP3163272U (en) * 2010-07-23 2010-10-07 兵庫県 Capture net dropping device
US20130081322A1 (en) * 2011-10-03 2013-04-04 Abdulmajeed F.S.Sh. Alfarhan Humane animal trap
JP2013243963A (en) * 2012-05-25 2013-12-09 Takeshi Toyoda Animal trapping device
JP2014000036A (en) * 2012-06-18 2014-01-09 Cams:Kk Drop type animal captur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090A (en) * 2018-09-29 2018-12-28 那曲市草原站 A kind of long-acting Mouse killing trap of tub
CN109090090B (en) * 2018-09-29 2023-12-08 那曲市草原站 Barrel type long-acting deratization device
KR20220046758A (en) * 2020-10-08 2022-04-15 공명식 Floating capture apparatus of bi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09B1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26B2 (en) Humane animal trap
US10470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US10154663B2 (en) Indoor live bird capture system
US11974564B2 (en) Animal trap
US8887435B2 (en)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JP5113821B2 (en) Deer capture device and how to use it
KR101939909B1 (en)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JP2018019616A (en) Animal capturing device and animal capturing method
KR20100115337A (en) Animal trap
KR102132159B1 (en) Trap apparatus for hamful animuls
JP6399392B2 (en) Attaching bracket with mounting seat
JP2013243963A (en) Animal trapping device
KR20200065235A (en) Trap apparatus for hamful animuls
CN214385764U (en) Trapping device for small and medium-sized birds with prey
JP4096047B2 (en) Animal capture device
JP2010268699A (en) Box trap for capturing animal
JP2000316456A (en)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
JPH0345593Y2 (en)
KR20220138275A (en) Wild Hazardous Animal Capture Device
JP3164976U (en) Beast capture device
US20210015089A1 (en) A bear foot snare/cable restraint delivery system
EP3895533A1 (en) Animal trap
CA3097705C (en) Animal trap
KR102288187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 Insect
US20190075780A1 (en) Live bird captu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