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839A - Water Intake Meter - Google Patents

Water Intake 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839A
KR20180101839A KR1020170028280A KR20170028280A KR20180101839A KR 20180101839 A KR20180101839 A KR 20180101839A KR 1020170028280 A KR1020170028280 A KR 1020170028280A KR 20170028280 A KR20170028280 A KR 20170028280A KR 20180101839 A KR20180101839 A KR 2018010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ireless communication
flow path
path portion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호진
Original Assignee
임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진 filed Critical 임호진
Priority to KR102017002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839A/en
Publication of KR2018010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2Drinking straw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Flowmeter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o measure water intak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which can measure water intake with a straw to recognize the water intake regardless of a place without an additional cup or a water bottle.

Description

수분섭취량 측정기{Water Intake Meter}{Water Intake Meter}

본 발명은 섭취한 수분의 양을 계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빨대를 통해서 섭취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한 섭취한 수분의량을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ingeste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ingested through a straw, and a techniqu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amount of water to a smartphone or the like .

익히 알려진대로 우리의 몸의 70% 정도는 물이다. 그런데 여기서 1 - 2% 정도만 수분이 모자라도 우리의 몸은 이상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런 상태가 지속되는 만성탈수의 경우는 특별히 질병으로 이어지지 않아도 비만, 변비, 피로, 노화 등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As is well known, about 70% of our bodies are water. However, it is said that even if only 1 - 2% of the water is lacking, our body is abnormal. In particular, chronic dehydration, which continues in this condition, is pointed out to be an important cause of obesity, constipation, fatigue, and aging even if it does not lead to a disease in particular.

전문가들은 비만과 수분섭취도 상당한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우선 만성탈수 상태가 되면 갈증이 일어나도 갈증으로 인지를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갈증을 배가 고픈 느낌과 혼동해 음식을 더 먹게 만드는 경우도 있어 비만으로 인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체중조절 실패의 원인도 된다.Experts say that obesity and water intake als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First, in chronic dehydration, even if thirst occurs, it may not be recognized as thirst. It is sometimes confused with the feeling of hunger and hunger to eat more food. Because of obesity, dieting people can cause weight control failure.

이와 더불어 물은 다이어트에 필수이다. 우선 물을 마실 경우 공복감이 없어진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이뿐만이 아니라 칼로리가 '0'일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붓는 느낌이 있거나, 화장실에 자주가야해서 물을 피하는 여성들도 있지만 신장 기능에 이상이 없다면 물은 '적극 권장사항'이다.In addition, water is essential for diet. First of all, it is well known that when you drink water you lose your hunger. It is not only the '0' but also the role of metabolism. Some women feel swollen or have to go to the toilet frequently to avoid water, but water is an "active recommendation"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kidney function.

아울러, 물이 부족할 경우 피로를 쉽게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 기유는 우리 몸에서 노폐물이 원활이 배출되어야만 피로가 회복되는데, 소변 땀의 주원료인 물이 부족할 경우 배설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피로누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피부의 경우도 체내 수분함유량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수분이 모자랄 경우에는 쉽게 노화현상이 진행된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fatigue is easily felt when water is insufficient. In this base oil, fatigue is restored only when waste is discharged smoothly from our body. When water which is the main raw material of urine sweat is insufficient, excretion is not performed well and cumulative fatigue It will be. In addition, the skin reacts sensitively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dy, so that when the moisture is insufficient, the aging process easily proceeds.

한편, 성인 한사람이 하루에 소변으로 배출되는 수분은 약 1.4ℓ, 소변 외에 배출되는 수분은 약 1ℓ로 총 하루 배출 수분은 2.4ℓ 수준이다. 따라서 적어도 이 정도의 수분은 매일 체내에 공급을 해 주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nto urine per day by an adult is about 1.4 liters, and the amount of water excreted in the urine is about 1 liters, and the total amount of discharged water per day is about 2.4 liters. Therefore, at least this amount of water should be supplied to the body every day.

사람들이 하루에 음식 등으로 섭취하는 수분은 약 1 - 1.2ℓ 정도이다. 따라서 나머지는 물로 보충을 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루 평균 1.5ℓ이며, 물 컵으로 8잔 정도의 물을 마셔야 한다는 것이 권장사항이다.People drink about 1 to 1.2 liters of water a day. So the rest should be replenished with water. In general, it is recommended that you drink an average of 1.5 liters of water a day with an average of 1.5 liters of water a day.

그러나, 2004년 을지병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물 섭취량은 하루 980㎖, 여성은 740㎖ 정도여서 물 섭취량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개인 물병 또는 텀블러 등을 휴대하여 하루 평균 1.5ℓ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려는 노력이 늘어나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a study by Eulji Hospital in 2004, the water intake of Korean male adults was 980 ml per day, and that of female was 740 ml, so the water intake was very insufficient. As a result, they carry an individual water bottle or tumbler, More and m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consume more water.

이러한 노력에 따라 개발된 기술의 한 예시로 한국등록특허 제0887716호("카운터가 구비된 컵,"2009.03.02., 이하 선행문헌 1)등이 있다. 선행문헌 1에는 물이나 음료수가 채워지는 컵에 카운터가 설치되고 컵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그 횟수를 누적하여 사용자가 마신 물의 양을 가늠하도록 하는 카운터가 구비된 컵이 개시 된다.As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se efforts, Korean Patent No. 0887716 ("Cup equipped with a counter," 2009.03.02., Precedent document 1) is available. Prior Art 1 discloses a cup provided with a counter in a cup filled with water or beverage, and 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when the cup is inclined over a certain angle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drink.

상기 선행문헌 1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섭취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카운터가 구비된 컵을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 1과 같은 카운터가 구비된 컵은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휴대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꾸준히 권장량 이상의 수분 섭취를 유도하려는 목적을 실현하는데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1, the user must always carry a cup equipped with a counter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to be ingested. Therefore, the cup equipped with the counter as in the prior art document 1 occupies a large volume, so the portability is po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effective in realizing the purpose of steadily inducing the water intake over the recommended amount.

1. 한국등록특허 제0887716호("카운터가 구비된 컵,"2009.03.02)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0887716 ("Cup with counter," Mar. 3, 20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등과 연동되는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빨대를 통해 섭취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through a straw using a portable devic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or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분섭취량 측정기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isture content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상,하에 결합되는 한쌍의 빨대부, 상기 유로부의 내벽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수분섭취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모듈, 상기 수분섭취량을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flow sensor module that is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flow path portion and measures a water intake amount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or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an external server.

이 때,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Bluetooth.

또한, 상기 본체표면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무선통신상태LE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indicating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의 전원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본체표면에는 전원상태 표시를 위한 전원상태LE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module that is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wherein a power status LED for displaying a power status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가 큰 카운터가 구비된 컵 또는 개인용 물병 대신 본 장치를 들고 다니면서 섭취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할 수 있어 휴대성이 크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컵이나 개인용 물병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빨대에 본 발명을 끼우고 빨대를 통해 수분을 섭취하기만 하면 섭취하는 수분의양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섭취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부피가 큰 카운터가 구비된 컵이나 개인용 물병 등을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while carrying the present device instead of a cup or a personal water bottle equipped with a large-volume counter, thereby achieving high port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in a smaller size than a cup or a personal water bottle, and can measure the amount of water ingested by simply put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raw and drinking water through a straw.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ossess a cup or a personal water bottle equipped with a bulky counter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to be ingested. This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더불어, 이와 같이 자신이 물을 얼마나 마시는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병원이나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일일 권장량의 물을 소비할 수 있어 체네 물 부족으로 인한 탈수 현상 등을 미리 방지하고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how much you drink, you can consume daily recommended amount of water recommended by hospitals and experts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hel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섭취량 측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섭취량 측정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분섭취량 측정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섭취량 측정이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isture intak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moisture uptak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moisture uptak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water intake measur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섭취량 측정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섭취량 측정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분섭취량 측정기는, 본체(1000), 유로부(1100), 한쌍의 빨대부(1200), 유량센서모듈(100), 무선통신모듈(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isture intak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 moisture intak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water intake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0, a flow path portion 1100, a pair of straw portions 1200, a flow sensor module 10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상기 본체(10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0)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로부(1100)와 상기 유로부(1100)의 상, 하에 결합되는 한쌍의 빨대부(1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빨대부(1200)의 형상은, 일반적인 기존의 일자형 빨대, 주름이 형성되어 상단이 일정한 각도로 꺾이는 빨대, 길이 조절이 가능한 2단 또는 3단 빨대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0)에 형성된 유로부(1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00)에 형성된 유로부(1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빨대부(120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본체(1000)와 상기 빨대부(1200)을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1, the main body 1000 includes a flow path portion 1100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0 and a pair of straw portions 1200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w path portion 1100, . The shape of the straw unit 1200 may be a conventional straw, a straw that is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med by a corrugation, a second or third straw that can adjust the length, and the like.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portion 1100 formed. When the straw 1200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hannel portion 1100 formed in the main body 1000 is used, the main body 1000 and the straw 1200 can be more firmly fixed,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accurate information can be sensed.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0)이 상기 유로부(1100) 내벽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100)를 통과하는 수분섭취량을 측정한다. 2, the main body 1000 of the flow sensor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w path portion 1100 to measure a water intake amount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ortion 1100.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은 유량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속센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유속센서는 기체나 액체 등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센서로, 관로(管路)를 흐르는 유체에 대해서는 유량 센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초음파식, 열식, 카르만 소용돌이식, 터빈식 등이 있다.The flow sensor module 100 may be a flow sensor, and a flow sensor may be used. The flow rate sensor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velocity of a fluid such as a gas or a liquid, and may be used as a flow rate sensor for a fluid flowing through a conduit. Ultrasonic, thermal, radial, and turbine.

상기 무선통신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센서센서모듈(100)로부터 측정된 수분섭취량을 외부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서버는 스마트폰이나 개인용pc가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무선통신모듈(200)은 블루투스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0 and transmits the measured moisture intake amount from the flow sensor sensor module 100 to an external server. The external server may be a smart phone or a personal computer. Also,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may be Bluetooth.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0) 표면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00)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무선통신상태LED(3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통신모듈(200)이 블루투스일 경우, 상기 블루투스와 상기 스마트폰간의 페어링 여부 상태를 상기 무선통신상태LED(310) 점등으로 표시하여 알릴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상태LED(310)가 소등된 때는 상기 블루투스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지 않아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 상기 무선통신상태LED(310)가 점멸하는 때는 상기 블루투스와 상기 스마트폰이 페어링 연결 시도 중인 상태, 상기 무선통신상태LED(310)가 점등된 때는 상기 블루투스와 상기 스마트폰이 페어링에 성공하여 연결중인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1,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310 indicating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is activate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is Blueto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310 may be turned on to indicate whether the Bluetooth and the smart phone are paired with each other.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310 is off, the Bluetooth is not activated because the smart phone is not connecte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310 is blinking,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310 is turned on, the Bluetooth and the smartphone can be notified that the pairing is successful.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0)는 외부의 전원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모듈(400)은 micro 5pin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module 400 that is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and the charging module 400 may be micro 5 pin.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0) 표면에는 전원상태 표시를 위한 전원상태LED(3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전원상태LED(320)는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데, 파란색은 배터리 잔량이 50% ~ 100%일 때, 주황색은 배터리 잔량이 50% ~ 15%일 때, 빨간색은 배터리 잔량이 1% ~ 15%일 때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0%일 때는 상기 전원상태LED(320)가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시에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상기 전원상태LED(320)의 색이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a power status LED 320 for displaying a power statu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0. For example, the power status LED 320 may be lit in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the case where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50% ~ 100%,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50% ~ 15% 1% to 15%.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0%, the power status LED 320 may be turned off.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is charged, the color of the power status LED 320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ay be blinked.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원리 설명하고 있다. 상기 빨대부(1200)을 상기 본체(1000)의 유로부(1100)에 끼우고 상기 빨대부(1200)을 통해 음료를 섭취하면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이 상기 빨대부(1200)을 통해 섭취되는 수분섭취량을 측정한다.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을 통해 측정된 상기 수분섭취량은 상기 무선통신모듈(200)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며 스마트폰 또는 PC같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또는 PC같은 기기는 전송받은 상기 측정된 음료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화 하여 확인할 수 있다.Figure 3 illustrates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aw portion 1200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portion 1100 of the main body 1000 and the beverage is consumed through the straw portion 1200, the flow sensor module 100 is supplied through the straw portion 1200 The water intake amount is measured. The water intake amount measured through the flow sensor module 10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can be transmitted to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PC. The device such as the smart phone or the PC can display information of the measured drink to be transmitted and display i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섭취량 측정이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은 초음파센서로 할 수 있으며 유량측정물레방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유로부(1100)을 통해 수분을 섭취하기 시작하면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유로부(110)를 통해 수분을 섭취 할 때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회전하는 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하면, 수분이 상기 유로부(110) 하단으로 배출될 때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회전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FIG. 4 illustrates a side view of a moisture uptake measur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low sensor module 100 may be an ultrasonic sensor, and may further include a flow meter 110.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starts to take in water through the channel portion 1100, the flow measuring wheel 110 rotates in a certain direction. 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lowmeter 110 is referred to as a forward direction when water is taken in through the flow path portion 110, when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w path portion 110,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or 110 rotates may be referred to as a reverse direction.

이 때,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 회전수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총 수분의 양은 아래의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total water consumed by the user by measu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low measuring wheel 110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Figure pat00003
는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총 양[ml],
Figure pat00004
은 상기 유로부(1100)의 반지름,
Figure pat00005
는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의 반지름,
Figure pat00006
는 섭취하는 수분의 유속,
Figure pat00007
는 수분을 섭취할 때의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 회전수,
Figure pat00008
은 수분을 섭취하지 않을 때의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 회전수)(From here,
Figure pat00003
Is the total amount [ml] of water ingested by the user,
Figure pat00004
The radius of the channel portion 1100,
Figure pat00005
The radius of the flowmeter wheelbarrier 110,
Figure pat00006
The flow rate of water to be ingested,
Figure pat00007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lowmeter wheel 110 at the time of taking in water,
Figure pat00008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lowmeter wheel 110 when no water is consumed)

즉, 상기 식에서

Figure pat00009
는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1회 회전할 때 섭취하는 수분의 양이다.That is,
Figure pat00009
Is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when the flow measurement wheel 110 rotates once.

더불어,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이 상기 유로부(1100)에 수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이 상기 유로부(1100)에 수분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수분섭취를 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수분섭취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나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이 상기 유로부(1100)에 수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수분섭취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measuring sensor 110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flow sensor module 100 determines whether moisture is present in the flow path portion 1100. That is, when the flow measuring sensor 1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low sensor module 100 determines that moisture exists in the flow path portion 1100, it judges that water is consumed. Conversely, when the flow measuring wheel 11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ingestion is comple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flow measuring sensor 1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low sensor module 100 determines that no moisture is present in the flow path portion 110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ater consumption has ended.

이 때,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시점을 수분섭취시작시간(

Figure pat00010
)이라 하고,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시점 또는 상기 유량측정물레방아(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나 상기 유량센서모듈(100)이 상기 유로부(1100)에 수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시점을 수분섭취종료시간(
Figure pat00011
)라 하여 사용자가 수분섭취한 시간(
Figure pat00012
)를 아래의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flow measurement wheel 110 starts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water consumption start time (
Figure pat00010
And the flow sensor module 100 is rotated at a time when the flowmeter 110 starts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or when the flowmeter 1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time point at which it is determined that it does not exist is referred to as the water consumption end time
Figure pat00011
) And the time taken by the user
Figure pat00012
) Can be obtain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여기에서,

Figure pat00014
는 사용자가 수분섭취한시간,
Figure pat00015
은 수분섭취시작시간,
Figure pat00016
는 수분섭취종료시간)(From here,
Figure pat00014
Quot ;, " one hour "
Figure pat00015
Water intake start time,
Figure pat00016
The water intake end time)

따라서, 상기 섭취하는 수분의 유속(

Figure pat00017
)과 수분섭취한 시간(
Figure pat00018
)을 통해서도 사용자가 수분을 섭취한 양을 구할 수 있다.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water to be ingested
Figure pat00017
) And the time taken for water ingestion
Figure pat00018
) Can also be used to obtain the amount of water the user has consum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0: 본체
1100: 유로부
1200: 빨대부
100: 유량센서모듈
110: 유량측정물레방아
200: 무선통신모듈
210: 블루투스 페어링 버튼
300: LED
310: 무선통신상태LED 320: 전원상태LED
400: 충전모듈
1000:
1100:
1200: straw section
100: Flow sensor module
110: Measuring flowmeters
20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0: Bluetooth pairing button
300: LED
310: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320: power status LED
400: Charging module

Claims (4)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의 상,하에 결합되는 한쌍의 빨대부;
상기 유로부의 내벽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를 통과하는 수분섭취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모듈;
상기 수분섭취량을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섭취량 측정기.
main body;
A flow path portion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A pair of straw portion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ow path portion;
A flow rate sensor module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flow path portion and measuring a water intake amount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or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water intake amount to an external server;
And a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moisture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섭취량 측정기.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is made of Bluetoo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표면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무선통신상태LE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섭취량 측정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LED indicating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or not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의 전원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표면에는 전원상태 표시를 위한 전원상태LE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섭취량 측정기.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harging module that is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a power status LED for indicating a power status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main body.















KR1020170028280A 2017-03-06 2017-03-06 Water Intake Meter KR201801018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80A KR20180101839A (en) 2017-03-06 2017-03-06 Water Intake 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80A KR20180101839A (en) 2017-03-06 2017-03-06 Water Intake 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39A true KR20180101839A (en) 2018-09-14

Family

ID=6359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80A KR20180101839A (en) 2017-03-06 2017-03-06 Water Intake 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83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16B1 (en) 2008-04-18 2009-03-12 정연재 Cup with cou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16B1 (en) 2008-04-18 2009-03-12 정연재 Cup with cou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1818B (en) Hydration-insuring system comprising suction-activated liquid-flow meter
JP7157753B2 (en) Controll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excipients
US7851775B2 (en) Gear-type drink-o-meter to monitor fluid consumption
EP3267850B1 (en) Wireless drink container for monitoring hydration
US20150024349A1 (en) Liquid consumption tracking
US93118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fluid consumption
TW201024685A (en) Management device of drinking water
CN105595727B (en) A kind of cup and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drinking water custom
US10750842B2 (en) Bottle
KR101557892B1 (en) Spoon for health care and management system for food intake
CN108348169A (en) It is hydrated monitoring system
CN101095633A (en) Automatic urine collection apparatus
CN105193415A (en) Moisture Meter And Body Moisture Meter
CN110520019B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liquid consumption
US11464713B2 (en) Docking station for an enteral feeding device
KR20160007150A (en) Bott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rinking amount of water using the bottle
KR20180101839A (en) Water Intake Meter
JP2014534892A (en) Fluid collection and discharge device
WO201607955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ood intake
JP7364844B2 (en) Liquid container and flow rate detection unit
CN206303615U (en) A kind of intelligent container
TWM652827U (en) Beverage flow counting device
CN210810333U (en) Intelligent drinking cup of countable
CN211511361U (en) Suction control device
US20160169719A1 (en) Fluid container with fluid intake measuremen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