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783A -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 Google Patents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783A
KR20180101783A KR1020170028160A KR20170028160A KR20180101783A KR 20180101783 A KR20180101783 A KR 20180101783A KR 1020170028160 A KR1020170028160 A KR 1020170028160A KR 20170028160 A KR20170028160 A KR 20170028160A KR 20180101783 A KR20180101783 A KR 2018010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reless lan
road
lan access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3421B1 (en
Inventor
서정욱
이정재
황광태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21B1/en
Publication of KR2018010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etting up a public hot spo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long a road (e.g., a highway) and controlling the road through road information obtained therefro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management technology. Multiple wireless LAN access points are separately installed along a road and public hotspots are set along the road. After that, terminal devices mounted in a vehicle running on the road performs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s through AP handover. In this wireless LAN communication process, a road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a broadband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road, thereby realizing various services.

Description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0001] Public hotspot [0002] An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is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 point handov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도로(예: 고속도로)를 따라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설치하여 공공 핫스팟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도로 정보를 통해 도로를 관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technology for setting up public hotspot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long roads (e.g., highways) and controlling roads through road information obtained therefrom.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이격 설치하여 공공 핫스팟을 해당 도로를 따라 설정한 후에 그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장치들이 AP 핸드오버를 통해 이들 무선랜 액세스포인드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러한 무선랜 통신 과정에서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로 관제 서버가 해당 도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함으로써 여러가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도로 관제 기술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public hot spot along a roa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long a road, and then terminal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are performed. In this wireless LAN communication process, the road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nd the broadband network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roads and integrates them to implement various services It is about road control technology that can be used.

차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차량을 이용하는 문화가 일반화됨에 따라 도로의 차량 통행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속적으로 도로를 확충하고 있으나 차량 통행량은 그에 비해 훨씬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도로 교통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As the number of vehicle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culture of using vehicles has become generalized, the amount of traffic on the roads has greatly increased.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constantly expanding the roads, but the traffic volume is growing at a much faster rate, so the road traffic situation is not improving.

이에, 물리적으로 도로를 넓히거나 신설하는 것으로는 교통문제의 해결이 요원할 것으로 보고,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도로를 스마트하게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n effort to smartly use roads by finding information on road conditions and utilizing them, considering that the problem of solving traffic problems is physically enlarged or newly established.

종래에는 주요 도로 거점에 다수의 CCTV 카메라를 설치하여 도로의 영상을 촬영하여 관제 서버로 수집하면, 관제 요원이 이들 도로의 CCTV 영상을 보고 도로 상황을 판단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관제 요원이 도로의 CCTV 영상으로부터 각 지점의 도로가 얼마나 정체되는지를 파악하고 해당 정보를 교통방송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연동시켜 차량 경로 안내에 적용하기도 한다.Conventionally, when a large number of CCTV cameras are installed on a major road base, images of the roads are captured and collected by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personnel views the CCTV images of these roads and determines the road conditions. The control officer understands how the roads of each branch are stagnant from the CCTV images of the roads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hrough traffic broadcasts or internet site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by linking with the navigation service.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의 교통상황 정보 처리 기술은 기본적으로 CCTV 영상에 기초한 것이어서 데이터의 양이 너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대량의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막강한 프로세싱 능력을 요구하며, 그로 인하여 완전한 컴퓨터 처리를 하지 못하고 관제 요원에 대한 의존률이 커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일관성과 신뢰도를 보장하지 못한다.However,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 in the related art is basically based on the CCTV imag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data is too large. In order to process such a larg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it requires a powerful processing capability, thereby failing to perform a complete computer processing and having a large dependency rate on the control personnel, failing to ensur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data processing.

또한, 이처럼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함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은 해당 도로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 개별 차량에 대한 세밀한 정보까지는 분석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종래기술에서는 도로별 평균 속도를 파악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활용한다든지, 관제 요원이 CCTV 영상을 보다가 차량 사고나 고장 차량을 발견하여 관련 기관에 알리는 정도의 서비스밖에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Also, in spite of analyzing such a large amount of data,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obtain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road, and can not analyze detailed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vehicles.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the average speed of each road is detected and utilized for navigation service, or the control personnel can not provide the service to detect the accident or the breakdown vehicle of the CCTV image, and to notify the related agency.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도로(예: 고속도로)를 따라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설치하여 공공 핫스팟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도로 정보를 통해 도로를 관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for setting a public hot spo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long a road (e.g., a highway) and controlling the road through road information obtained therefrom.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를 따라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이격 설치하여 공공 핫스팟을 해당 도로를 따라 설정한 후에 그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장치들이 AP 핸드오버를 통해 이들 무선랜 액세스포인드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러한 무선랜 통신 과정에서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로 관제 서버가 해당 도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함으로써 여러가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도로 관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hotspot,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re spaced apart along a road to set public hot spots along the road, and terminal apparatuses mounted in the vehicle,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LAN access point is performed. In this wireless LAN communication process,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nd a road control server connected to the broadband network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roads, To provide road management technolog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들에 설치된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300)과 통신하기 위해 도로를 따라 이격 설치되어 공공 핫스팟을 해당 도로를 따라 설정하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및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로 관제 서버(200)를 이용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으로서, 도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설치되어 각자 유효 커버리지에 따른 공공 핫스팟을 제공하고,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도로 상의 설치 순서에 대응하여 AP 핸드오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차량탑재 단말들과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랜 통신을 통하여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에 대해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수집하고, 도로 관제 서버로부터 특이 주행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으면 그 특이 주행의 종류에 대응하여 알람 대상을 선별하고 각자 유효 커버리지 내의 그 선별된 차량탑재 단말로 특이 주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부터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들에 대한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제공받아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도로 주행현황 정보를 정렬하여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하며,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른 특이 주행 차량을 식별하여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제공하는 도로 관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es installed along a road for setting a public hot spot along a road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vehicle- Point 100 and a public hotspot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nd a road control server 200 connected to a broadband network, The public hotspot is provided, and as the vehicle travels, wireless LAN communic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with the vehicle-mounted terminals through the AP handover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rder on the road, and wireless LAN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vehicle- Collec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 the alarm provides identification target selection and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vehicle specific to the terminal traveling within the respective coverage of the valid response to the type of the specific driving; The road running status information database is constructed by receiving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vehicle-mounted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nd arranging the road runn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road control server 200 for identifying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from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and providing the identified driving vehicle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본 발명에서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과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되고,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특정의 단말기 네임으로 미리 동일하게 설정됨으로써 차량탑재 단말이 도로 주행에 따라 유효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천이하더라도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위한 장치 탐색에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발견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대한 그룹 오너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는 차량탑재 단말에 대해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ehicle-mounted terminals through a Wi-Fi direct connection, and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similarly set in advance with specific terminal names, The WLAN access point 100 can detect and connect to the WLAN access point in the device search for Wi-Fi direct even if the effective coverage continuously changes according to the traveling. The WLAN access point 100 requests Wi-Fi direct connection as a group owner for Wi-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is automatically configured to process the user authentication.

또한,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해 유효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있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이하, '특이발생 무선랜 AP'라 함)를 식별하고, 다른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들에 대하여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특이발생 무선랜 AP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으면 도로 상의 설치 순서에 기초하여 각자 자신과 특이발생 무선랜 AP와의 지리적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의 차량탑재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dentifies a wireless LAN access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pecific wireless LAN AP ") that provides effective coverage to a specific driving vehicle,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Whe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nd provide it to the vehicle-mounted terminal within its effective coverage.

또한, 도로 관제 서버(200)는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정렬하고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로 상에서의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ad control server 200 also arrang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ime order on the basis of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oad running state information database and displays the running state of each vehicle on the road based on the variation pattern grap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obtain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도로의 중앙분리 지점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 방향을 주행하는 차량들의 차량탑재 단말들(300)과 공통으로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LAN communication in common with vehicle-mounted terminals 300 of vehicles that are installed at a central separation point of a road and run in both directions of the road Do.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는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차량의 주행현황 정보에서 간헐적인 동요형 주행특성 및 지배적인 항속형 주행특성의 조합을 검출하는 경우에 특정 차량을 특이 주행 차량으로 식별하여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control server 200 analyzes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vehicle to detect a combination of the intermittent swaying type running characteristic and the dominant speed dependent running characteristic in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vehicle, And can provide a drowsy driving alarm message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또한, 도로 관제 서버(200)는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속하는 다른 차량들과 대비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의 편차를 나타내는 문제의심 차량을 검출하여 외부의 도로관리 시스템으로 문제의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road control server 200 analyzes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vehicle to detect a problem suspicious vehicle showing a deviation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in comparison with other vehicles belonging to the same wireless LAN access point,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spected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를 따라 형성된 공공 핫스팟을 통하여 도로 관제 서버가 해당 도로에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함으로써 졸음운전 감시, 교통사고 발생 안내, 교통규칙 위반 감시, 엠뷸런스 통행로 확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control server collects real-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ad through public hot spots formed along the road and integrates and manages it, thereby realizing services such as drowsiness driving monitoring, traffic accident occurrence monitoring, traffic rule violation monitoring, and ambulance traffic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AP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로부터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가 졸음운전을 감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가 문제의심 차량을 감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가 특이 주행 차량의 정보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전파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가 특이 주행 차량의 정보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전파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가 특이 주행 차량의 정보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전파하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ublic hotspot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P handover is performed based on Wi-Fi direc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acquiring vehicle running status information from a variation pattern graph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road control server monitors a drowsiness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monitoring a suspected vehicle by a road control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 road control server propagates information of a specific traveling vehicle to a wireless LAN acces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road control server propagates information of a specific traveling vehicle to a wireless LAN acces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 road control server propagates information of a specific traveling vehicle to a wireless LAN acces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관제 시스템은 도로를 따라 이격 설치되어 공공 핫스팟을 설정하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및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로 관제 서버(200)를 이용한다.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ublic hotspot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that are installed along a road and set up a public hot spot and a road control server 20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and a broadband network.

먼저, 도로를 따라서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어느정도 일정하게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도로를 따라 공공 핫스팟을 제공하는 설비인데, 이에 의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무선랜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도로 양 옆의 갓길 근처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로의 중앙분리대(401) 근방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 방향에 한꺼번에 핫스팟을 형성하는 것이 설치 부담 및 유지관리 부담을 경감하는 차원에서 바람직하다.First,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long a road.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is a facility for providing a public hot spot along the road, whereby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becomes a state capable of wireless LAN communication. At this time, althoug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may be installed near the shoulder roads on both sides of the road,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separator 401 of the road, As shown in Fig.

무선랜 통신 기능을 갖춘 차량탑재 단말(300)이 차량(501, 502)마다 설치되어 있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501, 502)은 그 지점을 커버하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무선랜 접속을 이룬다. [도 1]에는 각각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AP#1 ~ AP#3)가 형성하는 유효 커버리지(CV#1 ~ CV#3)가 서로 약간씩 겹치게 배치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들(100)은 유효 커버리지가 좀더 많이 겹치도록 가깝게 설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다음의 [도 2]에서와 같이 유효 커버리지가 겹치지 않도록 멀리 설치될 수도 있다.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having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function is provided for each of the vehicles 501 and 502 and the vehicles 501 and 502 running on the road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covering the point, Respectively. 1 shows effective coverage (CV # 1 to CV # 3) formed by the respective wireless LAN access points (AP # 1 to AP # 3) slightly overlapping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 WLAN access points 100 may be installed closer together so that the effective coverage overlaps more or may be installed as far as the effective coverage does not overlap as in the next [Figure 2].

차량(501, 502)이 도로를 주행하면 도로 상의 설치 순서에 대응하여 AP 핸드오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차량탑재 단말들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의 우측 차로를 참조하면, 시간 t11 에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1과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데, 차량(501)이 도로를 주행함에 따라, 시간 t12 에는 차량(501)이 이동하여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2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 중간에 2대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1, AP#2 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간 t13 에는 차량(501)은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3과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그 중간에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2, AP#3 간에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된다.When the vehicles 501 and 502 travel on the road, the terminals on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perform wireless LAN communication sequentially through the AP handover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rder on the road. Referring to the right lane of FIG. 1, at time t11,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1 is performed. As the vehicle 501 travels on the road, the vehicle 501 moves at time t12 And performs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2. In the middle, handover occurs between the two wireless LAN access points AP # 1 and AP # 2. Similarly, at time t13, the vehicle 501 performs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3, and a handover occurs betwee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s AP # 2 and AP # 3 in the middle of the communication.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면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각각의 차량탑재 단말(300)에 대하여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수집한다. 먼저, 해당 핫스팟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구분하기 위하여 차량탑재 단말(300)의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차량단말 식별정보는 엄밀하게는 차량탑재 단말(30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지만, 차량(501)에 차량탑재 단말(30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차량을 식별하는 기능도 있다.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collects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pert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vehicle-mounted terminals 300 while performing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First,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is collected to distinguish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hot spot. Although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rictly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since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501, there is also a function of actually identifying the vehicle.

또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차량(501) 간의 공간적 특성을 알기 위해서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무선통신 특성 정보로는 무선랜 통신 환경에 관련된 무선랜 파라미터, 예컨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수신강도), MCS 인덱스(Modulation and Coding Index, 변조코딩 값), PHY RATE(Physical layer rate, 물리계측 대역폭), NOISE(잡음레벨), SNR(Signal to Noise Ratio, 신호대잡음비) 중 하나이상이 양호하게 선택되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이들 무선랜 파라미터 중에서 RSSI 값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collected to know spati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nd the vehicle 501. Examp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 a wireless LAN parameter related to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an MCS index (Modulation and Coding Index), PHY RATE (Physical Layer Rate) (Physical measurement bandwidth), NOISE (noise level), SNR (signal to noise ratio), and signal to noise ratio (SNR).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RSSI values are considered to be most effective among these wireless LAN parameters.

각각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자신이 형성하는 무선랜 핫스팟을 통과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수집한 후에 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도로 관제 서버(2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이들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전달하여 도로 관제 서버(200)가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collects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perty information for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wireless LAN hotspot formed therein,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road control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analyzed by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n real time.

또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도로 관제 서버로부터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해당 무선랜 핫스팟에 있는 특정의 차량이 뭔가 특이한 양태를 보이고 있다는 취지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다. 이에 대해,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그 특이 주행의 종류에 대응하여 알람 대상을 선별하고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의 그 선별된 차량탑재 단말(300)로 특이 주행의 정보를 제공한다. 즉, 특이 주행의 종류에 따라서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아니면 특이 주행 차량의 주변에 있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from the road control server. And that the specific vehicle in the wireless LAN hotspot is informed that something is unusual.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selects an alarm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specific driving and provides specific driving information to the selected vehicle mounted terminal 300 in its effective coverage. That i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pecific driving,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o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in the vicinity of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도로 관제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로부터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들(300)에 대한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들 정보를 취합하여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The road control server 200 receives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vehicle-mounted terminals 300 from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through the network, Establish a database of road traffic information.

그리고 나서, 개별 차량을 기준으로 주행 양태를 파악하기 위해 도로 관제 서버(200)는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도로 주행현황 정보를 정렬하여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한다. 즉, 개별 차량이 현재 도로를 어떠한 모습으로 주행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해내는 것이다. 도로 관제 서버(200)는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른 특이 주행 차량을 식별하여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제공한다.Then, in order to grasp the traveling mode on the basis of the individual vehicle, the road control server 200 arranges the road runn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btain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per vehicle. That is, it extracts information about how the individual vehicle is traveling on the current road.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dentifies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from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and provides it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도로 관제 서버(200)가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specific driving vehicle derived from the road running status information database by the road control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AP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P handover is performed based on Wi-Fi direct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은 무선랜 핫스팟을 형성하고 그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501)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탑재 단말(300)은 해당 지점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1과 무선랜 연결된다. 차량(501)이 주행하여 다음 지점으로 이동하면 이전 지점을 담당하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1과의 무선랜 연결은 끊어지고 자동적으로 다음 지점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2와 무선랜 연결이 설정되는 핸드오버가 일어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forms a wireless LAN hot spot and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vehicle 501 passing throug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transmits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 When the vehicle 501 travels to the next poin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1 responsible for the previous point is disconnected and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Handover occurs.

이러한 동작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차량탑재 단말(300)과의 무선랜 연결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가 설정된 상태에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차량탑재 단말(300)이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된 경우에는 차량(501)이 도로를 주행함에 따라 다수의 무선랜 핫스팟을 통과할 때에 차량탑재 단말(300)이 안정적으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무선랜 연결을 유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nd the in-vehicle terminal 300 is connected with WiFi Direct so that such an oper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en the WLAN access point 100 and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are connected by Wi-Fi direct, the vehicle 501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WLAN hot spots as the vehicle 501 travels on the roa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stably maintain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

무선랜 기술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여러가지 무료 핫스팟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고 차량 탑승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핫스팟을 켜두었을 수도 있다. 이처럼 차량탑재 단말(300)의 주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공 핫스팟 외에도 다른 무료 핫스팟이 제공될 수도 있다. 무선랜 핫스팟 지역을 천이하는 과정에서 무선랜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어졌을 때 차량탑재 단말(300)이 주변의 다른 무선랜 핫스팟에 연결되지 않고 다음 지점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를 찾아서 핸드오버를 달성하게 해주는 것이다.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wireless LAN technology, there are many free hotspots available, and vehicle passengers may have turned on mobile hotspots on their smartphones. As such, besides the public hots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ther free hotspots may be provided around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temporarily disconnected in the course of transiting the wireless LAN hotspot area,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searches for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t the next point without being connected to other wireless LAN hotspots in the vicinity, I do not know.

현재 기술 규격에 따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기본 서비스 집합(SSID)으로 "DIRECT"를 사용한다. 따라서, [도 2]에서도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형성하는 무선랜 핫스팟의 SSID는 모두 "DIRECT"이다.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ical specifications, Wi-Fi Direct uses "DIRECT" as the default service set (SSID). Therefore, in FIG. 2, the SSIDs of the wireless LAN hotspots formed by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re all "DIRECT".

차량탑재 단말(300)은 차량(501)이 도로를 주행함에 따라 유효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천이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전 지역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에서는 무선랜 연결이 끊어지면 일정 시간 동안은 이전의 무선랜 연결을 회복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이때, 차량탑재 단말(300)은 '단말기 네임'을 기준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상대를 탐색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특정의 단말기 네임, 예컨대 "APNE"로 미리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를 통해 차량탑재 단말(300)이 도로 주행에 따라 유효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천이하더라도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위한 장치 탐색에서 다음 지역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를 발견하여 연결하게 된다.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continuously changes the effective coverage as the vehicle 501 travels on the road. 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in the previous area is disconnected. In Wi-Fi Direct technology, w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cut off, it tries to recover the previous wireless LAN conn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is time, the in-vehicle terminal 300 searches for a Wi-Fi direct connection partner based on the 'terminal nam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similarly set in advance with a specific terminal name, e.g., "APNE ". Accordingly, even if the in-vehicle terminal 300 continuously transitions the effective covera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ad,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of the next area is discovered and connected in the device search for Wi-Fi direct.

또한, 무선랜 통신 기술에서는 특정의 장치들 간에 무선랜 연결을 설정할 때에 사용자 조작으로 확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무선랜 연결을 설정하려고 할 때에 양 당사자 중에서 하나는 그룹 오너(group owner)가 되는데, 그룹 오너가 아닌 단말이 그룹 오너인 단말로 무선랜 연결을 요청하고 그룹 오너인 단말이 화면 버튼을 통해 사용자 의사를 확인한 후에 무선랜 연결을 설정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general that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is configured to be determined by a user operation when setting a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specific devices. One of the two parties is a group owner. When a terminal that is not a group owner requests a wireless LAN connection to a terminal that is a group owner and a group owner terminal After confirming the user's intention through the screen butto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is established.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와 차량탑재 단말(300) 간의 무선랜 연결이 사용자나 관리자의 개입 없이 항상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선랜 연결 과정의 그룹오너 협상절차(Group Owner Negotiation procedure)에서 항상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대한 그룹 오너가 될 수 있도록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미리 프로그래밍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nd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must be always performed without intervention of a user or an administrator. For this purpose, the WLAN access point 100 must be programmed in advance so that the group owner can always be a group owner for the Wi-Fi direct connection in the group owner negotiation procedure of the wireless LAN connection process.

이처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대한 그룹 오너가 되면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 단말(300)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해줄 수 있다. 해킹 방지를 위해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구하는 장치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자격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개암호화 기술에 따른 인증서(Certificate)가 양호하게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becomes a group owner of the Wi-Fi direct connecti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utomatically authenticates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ing a Wi-Fi direct connection . In order to prevent hacking, it is desirable to confirm the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device requiring a Wi-Fi direct connection, and a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public encryption technique can be preferably used.

[도 3]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가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에 기초하여 특정 차량에 대해 주행현황 정보를 추출해내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로 관제 서버(200)는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정렬하고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에 기초하여 도로 상에서의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한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ad control server 200 extracts running state information for a specific vehicle based on a variation pattern graph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road control server 200 arrang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ime order on the basis of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oad running state information database, and displays the running state of each vehicle on the road based on the variation pattern grap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 information.

먼저, [도 3] (a)는 대략 80 km/h의 속력으로 도로를 일정하게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변동패턴 그래프이다. 차량이 각각의 액세스포인트에 근접하였을 때에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수신강도)가 최대로 되고 핸드오버 지점 근방에서 RSSI는 최소가 된다. 그래프 모양이 일정하다는 점으로부터 차량 주행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고, RSSI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일정하다는 점으로부터 동일 차로를 유지하면서 주행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3 (a) is a graph of a variation pattern for a vehicle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f about 80 km / h. When the vehicle approaches each access point,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is maximized and RSSI is minimized near the handover point. The fact that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constant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graph shape is constant, and it can be deduced from the fact that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SSI are constant, and therefore the vehicle travels while maintaining the same lane.

다음으로, [도 3] (b)는 대략 80 km/h의 속력으로 도로를 주행하다가 속력을 올려서 130 km/h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변동패턴 그래프이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나타나는 주기가 짧아졌다는 점으로부터 차량 속력이 올라갔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RSSI 값이 증가하였다는 점으로부터 차량이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근접해지는 방향, 즉 [도 1]에서 안쪽으로 차로를 변경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Next, Fig. 3 (b) is a variation pattern graph for a vehicle traveling at 130 km / h while driving the road at a speed of about 80 km / h. The fact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has risen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period in which the WLAN access point appears is shortened. In addition, it can be deduced from the fact that the RSSI value has increased, that the vehicle has changed the lane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that is, in Fig. 1.

다음으로, [도 3] (c)는 대략 95 km/h의 속력으로 도로를 주행하다가 갑자기 속력을 급격하게 줄이면서 도로의 바깥쪽으로 급하게 이동하는 차량에 대한 변동패턴 그래프이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나타나는 주기가 길어진 점으로부터 차량 속력이 감소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고, RSSI 값이 감소한 점으로부터 차량이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 1]에서 바깥쪽으로 차로를 변경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만일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이러한 변동패턴 그래프를 나타낸다면 이는 고장으로 인해 차량이 멈춰선 상황을 의심해볼만 하다.Next, FIG. 3 (c) is a graph of a variation pattern for a vehicle that rushes the road at a speed of about 95 km / h, and suddenly suddenly reduces the speed suddenly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road. It is possible to derive that the vehicle speed has decreased from the point at which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pears, and it can be seen from the point where the RSSI value has decreased that the vehicle is moving away from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It can be deduced that it has changed. If a vehicle driving on a highway shows this fluctuating pattern graph, it is probable that the vehicle has stopped due to a fault.

다음으로, [도 3] (d)는 대략 80 km/h의 속력으로 도로를 주행하다가 속력을 170 km/h로 올리면서 차로를 이리저리 바꾸는 차량에 대한 대한 변동패턴 그래프이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나타나는 주기가 갑자기 짧아진 점으로부터 차량을 급가속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고, RSSI 값이 커졌다가 작아졌다는 반복하는 점으로부터 차로를 이리저리 변경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난폭운전을 나타내는 패턴이다.Next, [Fig. 3] (d) is a variation pattern graph for a vehicle driving a road at a speed of about 80 km / h, chang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o 170 km / h while changing the lane. It can be deduced that the vehicle suddenly accelerates from the point where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pears suddenly shortened, and that the RSSI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at the vehicle has been changed back and forth. This is a pattern that indicates abrupt driving.

이처럼, 도로 관제 서버(200)는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에 기초하여 개별 차량이 도로 상에서 실제 어떻게 주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상당히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는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면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일차적으로 수집한 후에 도로 관제 서버(200)로 전달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oad control server 200 can grasp the actual how the individual vehicle actually travels on the road based on the variation pattern grap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variation pattern grap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ad control server 200 after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collects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while performing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도 4]는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가 도로에서 졸음운전을 하는 차량이 있는지 감시하고 졸음운전 차량이 발견되면 그 즉시 졸음을 깨우는 조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monitors the presence of a vehicle driving a sleeping vehicle on the road and provides a measure to awaken a sleeping vehicle immediately when a sleeping driving vehicle is detected.

단계 (S110) : 먼저, 도로 관제 서버(200)가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차량에 대하여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한다. 이 주행현황 정보에는 각각의 차량이 도로에서 실제로 주행하고 있는 양태가 반영되어 있다. 도로 관제 서버(200)는 주행현황 정보를 차량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며, 이를 통해 [도 3]에서와 같이 각 차량의 주행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Step S110: First,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of each vehicle for a plurality of vehicles running on the road.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reflects the mode in which each vehicle actually runs on the road. The road control server 200 analyzes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by vehicle and analyzes the running characteristics of each vehicle as shown in FIG.

단계 (S120) : 도로 관제 서버(200)는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한 결과로 특정의 차량에 대하여 간헐적인 동요형 주행특성 및 지배적인 항속형 주행특성의 조합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95% 시간에는 일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주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주 간헐적으로 급격하게 비틀거리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차량을 발견하는 것이다.Step S12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the road control server 200 detects a combination of the intermittent running characteristic and the dominant speed dependent running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vehicle. For example, at 95% of the time, you will find a vehicle that appears to run safe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but exhibits a staggering staggering pattern.

단계 (S130, S140) : 도로 관제 서버(200)는 이러한 주행특성을 보이는 차량을 졸음운전 중이라고 의심 내지 추정한다. 그에 따라, 해당 차량을 특이 주행 차량으로 식별하고 해당 차량에 관련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로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무선랜 커버리지 CV#2에서 이러한 주행특성의 차량을 발견하면 도로 관제 서버(200)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2로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제공한다.Steps S130 and S140: The road control server 200 suspects or estimates that the vehicle showing such driving characteristics is in the drowsy driving state. Accordingly, the vehicle is identified as a specific driving vehicle, and a sleep driving alarm message is provided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ssociated with the vehicle.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vehicle with such running characteristics is found in the wireless LAN coverage CV # 2, the road control server 200 provides a sleep driving alarm message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2.

단계 (S150, S160) :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도로 관제 서버(200)로부터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수신하면, 해당 차량에 설치된 차량탑재 단말(300)로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전달한다.Steps S150 and S160: Upon receiving the drowsy driving alarm message from the road control server 200,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delivers a drowsy driving alarm message to the vehicle mounted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vehicle.

이에, 해당 차량탑재 단말(300)이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예컨대 웨이크업 사운드와 휴식 유도 멘트의 형태로 운전자에게 재생 출력하며, 이를 통해 졸음운전에 대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reproduces and outputs the drowsy driving alarm message to the driver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wake-up sound and a rest induction command, so that the drowsy driving operation can be immediately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가 문제의심 차량이 있는지 감시하고 문제의심 차량이 발견되면 도로관리 시스템으로 알려 대응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문제의심 차량은 기본적으로는 과속, 난폭운전, 신호위반, 버스전용차로 위반 등과 같은 교통규칙 위반 차량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문제의심 차량은 도로 주행중에 갑작스럽게 장애가 발생한 차량도 포함하는 용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onitoring the presence of a suspected vehicle in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and causing a road management system to respond to a suspected vehicle when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detects a suspected vehic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uspected vehicle is basically a term including a vehicle that violates a traffic rule such as speeding, abrupt driving, signal violation, violation by a bus lane, and the like. A suspected vehicle is also a term that includes a vehicle that suddenly breaks down while driving on the road.

단계 (S210) : 먼저, 도로 관제 서버(200)가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차량에 대하여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한다. 이 주행현황 정보에는 각각의 차량이 도로에서 실제로 주행하고 있는 양태가 반영되어 있다. 도로 관제 서버(200)는 주행현황 정보를 차량 별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차량의 주행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Step S210: First,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of each vehicle for a plurality of vehicles running on the road.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reflects the mode in which each vehicle actually runs on the road. The road control server 200 can analyze driving characteristics of each vehicle by analyzing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by vehicle classification.

단계 (S220) : 이어서, 도로 관제 서버(200)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별로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류한다. 즉, 다수의 차량들을 현재 속해 있는 개별 무선랜 커버리지 단위로 그룹화하는 것인데, 이는 각 그룹 내에서 차량의 주행 특성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Step S220: Nex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classifies the runn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by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 That is, a number of vehicles are grouped into individual WLAN coverage units that they currently belong to, which is to compare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s within each group.

단계 (S230) : 이어서, 도로 관제 서버(200)는 각각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에 대하여 동일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에 속하는 차량들의 주행 특성을 서로 비교한다. 그 결과, 동일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내에서 다른 차량들과 대비하여 비교 기준 별로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편차를 나타내는 문제의심 차량을 검출해낸다.Step S230: Nex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compares the traveling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s belonging to the sam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with respect to each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to each other. As a result, in the sam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 problem suspicious vehicle that shows a devi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comparison with other vehicle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vehicles is detected.

각각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무선랜 커버리지를 형성하는데, 이들 무선랜 커버리지의 크기가 지름 십여미터 내지 수십미터 정도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하나의 무선랜 커버리지 안에서는 도로의 교통 흐름이 대략적으로 균일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Each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forms a wireless LAN coverage, considering that the size of the wireless LAN coverage ranges from a few tens of meters to several tens of meters in diameter, the traffic flow of the road is roughly uniform .

그로 인해, 동일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에 속하는 차량들은 유사한 주행 특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행 속도, 차로, 차량 속도의 변동 정도, 차로 변경 정도 등은 서로 유사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동일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에 속하는 다른 차량들과 현격하게 상이한 운전 양태를 보이는 차량은 문제가 의심되는 차량이다.As a result, the vehicles belonging to the same WLAN access point 100 are expected to exhibit similar traveling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egree of change of the vehicle are generally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a vehicle showing a driving mod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vehicles belonging to the sam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is a vehicle suspected of having a problem.

예를 들어 과속, 난폭운전, 신호위반, 버스전용차로 위반 등과 같은 교통규칙 위반 차량이서 즉각적인 단속이 필요한 차량일 수 있다. 또한, 도로 운행 중에 무엇인가 장애가 발생하여 멈춰섰거나 아니면 폭주하고 있어 즉각적인 도움이 필요한 차량일 가능성도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 traffic violation vehicle such as speeding, abusive driving, signal violation, violation by bus lane, etc., and may be a vehicle that requires immediate inter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re is something in the road that has stopped and stalled, or that the vehicle is in need of immediate assistance.

단계 (S240, S250) : 도로 관제 서버(200)는 문제의심 차량에 대하여 그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대응 정보, 예컨대 해당 문제의심 차량이 현재 무선랜으로 연결되어 있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부의 도로관리 시스템(예: 경찰, 보험사)으로 제공한다.Step S240, S250: The road control server 200 transmits corresponding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suspicious vehicle, for example, the suspicious vehicle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an external road management system (for example, police, insurance company).

이에, 도로관리 시스템에서는 관리 차량(예: 경찰차, 보험차량)을 그 지점으로 출동시켜 문제의심 차량을 체크한다.Thus, in the road management system, a management vehicle (for example, a police car, an insurance vehicle) is dispatched to the point to check the suspected vehicle.

[도 6]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가 특이 주행 차량을 발견하였을 때에 해당 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로 전파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installed on the road when the road control server 200 discovers a specific driving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310) : 먼저,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해 유효 커버리지를 현재 제공하고 있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를 식별한다.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들(100)은 각자의 무선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하여 차량단말 식별정보와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도로 관제 서버(200)로 업로드 제공한다.Step S310: Firs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dentifies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which is currently providing valid coverage for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installed on the road collect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perty information for vehicles existing in respective wireless LAN coverage and upload them to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n real time do.

이에,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차량단말 식별정보와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업로드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의 무선랜 커버리지에 해당 차량이 속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해 유효 커버리지를 현재 제공하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를 편의상 '특이발생 무선랜 AP'라고 부른다.Therefore, the road control server 200 can estimate that the vehicle belongs to the wireless LAN coverage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that lastly uploaded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 In this specification, a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that currently provides effective coverage for a specific driving vehicle is referred to as a " unusual wireless LAN AP " for convenience's sake.

이때,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3가 특이발생 무선랜 AP라고 가정하고 아래에서 기술한다.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차량이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특이발생 무선랜 AP를 하나만 설정하지 않고 그 근처의 여러 개를 묶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2 ~ AP#4를 특이발생 무선랜 AP로 설정할 수도 있다.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3 is a specific wireless LAN AP in FIG. 1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vehicle can move at a high spe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it is possible not to set only one specific wireless LAN AP, but to bundle several nearby wireless LAN APs. For example, the three wireless LAN access points AP # 2 to AP # 4 may be set as the specific-occurring wireless LAN AP.

단계 (S320) :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발생 무선랜 AP로 특이 주행 차량의 식별정보 및 이상 경고 메세지를 전달한다.Step S320: The road control server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raveling vehicle to the specific-occurring wireless LAN AP and an abnormal warning message.

단계 (S330) : 이에, 특이발생 무선랜 AP(예: AP#3)는 그 제공받은 차량 식별정보를 참조하면서 자신이 담당하는 유효 커버리지 내의 차량들 중에서 해당 특이 주행 차량을 식별해내고, 그 특이 주행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탑재 단말(300)과의 무선랜 연결을 식별한다.Step S330: The specific wireless LAN AP (for example, AP # 3) refers to the provide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s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mong the vehicles in its effective coverage, And identifie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traveling vehicle.

단계 (S340, S350) : 그리고 나서, 특이발생 무선랜 AP(예: AP#3)는 해당 차량탑재 단말(300)로 이상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며, 차량탑재 단말(300)은 이상 경고 메세지를 알람 사운드 또는 모범운전 유도 멘트 등의 형태로 운전자에게 재생 출력함으로써 정상 운전을 유도한다.Step S340 and step S350: The specific-occurring wireless LAN AP (e.g., AP # 3) transmits an abnormal warning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vehicle-mounted terminal 300, and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transmits an abnormal warning message to the alarm Sound or an exemplary driving inducement to the driver so as to induce normal driving.

[도 7]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가 특이 주행 차량을 발견하였을 때에 해당 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로 전파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propagating the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installed on the road when the road control server 200 finds a specific traveling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410) : 먼저,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 주행 차량이 속하는 대략적인 영역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경부 고속도로 하행선 방향으로 기흥 나들목에서 오산 나들목 사이라고 식별한다.Step S410: Firs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dentifies the approximate area to which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belongs. For example, it is identified as Gyeongbu Expressway and Gyeongbu Expressway.

단계 (S420) : 이에, 도로 관제 서버(200)는 해당 영역에 속하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예컨대 300 대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특이 주행 차량의 식별정보 및 이상 경고 메세지를 전달한다.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예: AP#3)가 해당 특이 주행 차량과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고 있을 것이다.Step S420: The road control server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nd the warning message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for example, 300 wireless LAN access points. One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s (e.g., AP # 3)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is perform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단계 (S430) :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에 특이 주행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차량탑재 단말(300)과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면서 해당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로 관제 서버(200)가 제공하는 특이 주행 차량의 식별정보도 그 수집된 정보로부터 선별된 것이어서 그 수집된 식별정보와 동일한 포맷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각각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에 도로 관제 서버(200)가 알려준 특이 주행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tep S430: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confirm whether a specific driving vehicle exists in its effective coverage.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performs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and collect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vehicle.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provided by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s also selected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has the same format as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fore, each wireless LAN access point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is a specific driving vehicle tha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nforms within its effective coverage.

단계 (S440) : 그 확인 결과,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에 특이 주행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이상 경고 메세지가 자신과는 무관한 것이므로 이를 무시하고 종료한다.Step S440: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which ha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does not exist in its own effective coverage is ignored because it is irrelevant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itself.

단계 (S450 ~ S470) : 반대로, 그 확인 결과,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에 특이 주행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그 특이 주행 차량에 설치된 차량탑재 단말(300)과의 무선랜 연결을 식별한 후에 해당 차량탑재 단말(300)로 이상 경고 메세지를 전달한다. 차량탑재 단말(300)은 이상 경고 메세지를 알람 사운드 또는 모범운전 유도 멘트 등의 형태로 운전자에게 재생 출력함으로써 정상 운전을 유도한다.Steps S450 to S470: Conversely,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which ha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exists in its own effective coverage, performs the wireless LAN connection with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nd transmits an abnormal warning message to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after identification.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reproduces an abnormal warning message to the driver in the form of an alarm sound or an exemplary driving inducement, thereby inducing normal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에서 도로 관제 서버(200)가 특이 주행 차량을 발견하였을 때에 해당 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로 전파하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when the road control server 200 finds a specific driving vehicle, the information is propaga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installed on the road in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510) : 먼저,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해 유효 커버리지를 현재 제공하고 있는 특이발생 무선랜 AP를 식별하는데, 이는 단계 (S3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이번 제 3 실시예에서는 특이발생 무선랜 AP를 식별하는 것은 도로 관제 서버(200)가 특이 주행 차량의 현재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는 것에 대응된다.Step S510: Firs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identifies a specific occurrence wireless LAN AP currently providing effective coverage for a specific driving vehic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tep S310.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occurrence wireless LAN AP corresponds to the way that the road control server 200 grasps the current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specific traveling vehicle.

단계 (S520) : 도로 관제 서버(200)는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들에 대하여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특이발생 무선랜 AP와 동일한 행정지역(예: 기흥구) 또는 공사 구역에 속하는 여러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대해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Step S520: The road control server 200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wireless LAN access point to other wireless LAN access point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pecific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WLAN AP is provided to several WLAN access points belonging to the same administrative area (eg, Gijung-gu) or the construction area of a specific WLAN AP.

[도 1]을 참조하면, 우측에 도시된 주행 방향에 대해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3에 대해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AP#1, AP#2는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의 통과 시퀀스로부터 특이 주행 차량의 주행 방향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s AP # 1 and AP # 2 are located in front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 3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shown on the righ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pecific traveling vehicle can be identified from the passing sequence of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단계 (S530) : 그에 따라,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가 도로 관제 서버(200)로부터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식별정보를 제공받는다.Step S530: Accordingly,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pecific-occurring wireless LAN AP are provid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generated wireless LAN AP from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

단계 (S540) : 이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각각 도로 상에 무선랜 액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순서에 기초하여 자신과 특이발생 무선랜 AP와의 지리적 상관 관계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특이발생 무선랜 AP에 대해 전방으로 몇 스텝 이격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본 발명에 따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설치할 때의 설계 규격에 근거하여 이들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1 스텝의 이격 거리가 어느 정도의 물리적 거리(예: 50 미터)에 대응하는지 대략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Step S540: Each of the WLAN access points 100 analyzes a geographical correlation between the WLAN AP and the specific-occurring WLAN AP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WLAN APs are installed on the road. For example, it analyzes how many steps are ahead for a specific emerging wireless LAN AP. Based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when installing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wireless LAN access points can roughly recognize how much the one-step separation distance corresponds to a certain physical distance (e.g., 50 meters).

단계 (S550) : 각각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지리적 상관 관계가 미리 설정한 일정 임계치 이내인지 여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전방에 위치하는 10 개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tep S550: Each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determines whether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For example, 10 wireless LAN access points located in front of a specific-occurring wireless LAN AP.

단계 (S560) : 그 확인 결과, 지리적 상관 관계가 임계치(예: 10 스텝) 이상이라고 판별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특이 주행 차량이 자신과는 무관한 것이므로 이를 무시하고 종료한다.Step S560: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judging that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e.g., 10 steps) is ignored because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is not related to itself.

단계 (S570, S580) : 반대로, 그 확인 결과, 지리적 상관 관계가 임계치 이내라고 판별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지리적 상관 관계의 정보를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의 차량탑재 단말(300)로 제공한다. 만일 임계치가 10 스텝이라고 가정하면 특이발생 무선랜 AP에 대하여 전방 10 개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는 특이 주행 차량이 자신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고 자신에게 속해있는 차량들에게 지리적 상관 관계의 정보를 제공한다.Steps S570 and S580: Convers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is within the threshold, the WLAN access point provides geographical correl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mounted terminal 300 in its effective coverage area. Assuming that the threshold is 10 steps, the 10 wireless LAN access points ahead of the unusual wireless LAN AP judge that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is related to itself and provide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s belonging to it.

그에 따라,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지리적 상관 관계의 정보를 제공받은 각각의 차량탑재 단말(300)은 특이 주행 차량의 존재 및 지리적 상관 관계의 내용을 운전자에게 출력한다. 예를 들어, 10 스텝의 이격 거리를 갖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속하는 차량들에게는 "전방 500 미터 지점에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내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3 스텝의 이격 거리를 갖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속하는 차량들에게는 "전방 150 미터 지점에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내용을 알릴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ach of the vehicle-mounted terminals 300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from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outputs the contents of the presence of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and the content of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to the driver. For example, vehicles belonging to a wireless LAN access point having a 10-step separation distance may be informed that an accident occurred at a point 500 meters ahead. In addition, vehicles belonging to a wireless LAN access point having a three-step separation distance can be informed that "an accident occurred at a point 150 meters ahead".

이를 통해 도로에서 예측할 수 없는 시점에 갑자기 발생하는 이상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면 그 지점을 향해 달려오고 있는 일정 범위의 차량들에게 각자 전방 대략 몇미터 지점에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그 즉시 알려줄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respond immediately to anomalies that suddenly occur at unpredictable times on the road. For example, if a traffic accident occurred on a freeway, you could immediately notify a range of vehicles that are rushing to that point that an accident occurred approximately every few meters ahead of you.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Such a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storage devices for storing computer-readable data such as a hard disk, an SSD, a CD-ROM, a NAS, a magnetic tape, a web disk, a cloud disk, The code may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computer.

100 :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200 : 도로 관제 서버
300 : 차량탑재 단말
401 : 중앙분리대
501, 502 : 차량
100: Wireless LAN access point
200: Road control server
300: vehicle-mounted terminal
401: median bar
501, 502: vehicle

Claims (7)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들에 설치된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300)과 통신하기 위해 도로를 따라 이격 설치되어 공공 핫스팟을 해당 도로를 따라 설정하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및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로 관제 서버(200)를 이용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으로서,
도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설치되어 각자 유효 커버리지에 따른 공공 핫스팟을 제공하고,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도로 상의 설치 순서에 대응하여 AP 핸드오버를 통해 순차적으로 차량탑재 단말들과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에 대해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도로 관제 서버로부터 특이 주행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으면 그 특이 주행의 종류에 대응하여 알람 대상을 선별하고 각자 유효 커버리지 내의 상기 선별된 차량탑재 단말로 상기 특이 주행의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
이들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들에 대한 차량단말 식별정보 및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제공받아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도로 주행현황 정보를 정렬하여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른 특이 주행 차량을 식별하여 상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제공하는 도로 관제 서버(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spaced along the road to set up a public hot spot along the road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vehicle mounted terminals 300 installed on vehicles running on the road, A public hotspot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using a road control server (200)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nd a broadband network,
The mobile hotspots are provided sequentially along the roads to provide public hot spot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effective coverage and sequentially perform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vehicle-mounted terminals through the AP handover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rder on the road as the vehicle travels,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vehicle-mounted terminals through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d, whe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raveling vehicle from the road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for selecting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s and providing the specific on-boarding information to the selected in-vehicle terminals within each effective coverage area;
And a road running status information database i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to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vehicle-mounted terminals, and the road running status information database A road management server (200) for obtaining driv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by sorting information, identifying a specific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from the driv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and providing the identified driving vehicle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A public hot spot AP handover based road contro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상기 다수의 차량탑재 단말과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특정의 단말기 네임으로 미리 동일하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 단말이 도로 주행에 따라 유효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천이하더라도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위한 장치 탐색에서 상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를 발견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에 대한 그룹 오너로서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차량탑재 단말에 대해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ehicle-mounted terminals through a Wi-Fi direct connection,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set identically to a specific terminal name in advance so that even if the vehicle-mounted terminal continually transitions the effective covera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ad,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can be detected in device search for Wi- Discover and connect,
Wherein the WLAN access point (10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on the in-vehicle terminal requesting the Wi-Fi direct connection as a group owner for the Wi-Fi direct connection Of the road contro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 관제 서버(200)는 상기 특이 주행 차량에 대해 유효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있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이하, '특이발생 무선랜 AP'라 함)를 식별하고, 다른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들에 대하여 상기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상기 특이발생 무선랜 AP의 식별정보를 제공받으면 도로 상의 설치 순서에 기초하여 각자 자신과 상기 특이발생 무선랜 AP와의 지리적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자신의 유효 커버리지 내의 차량탑재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identifies a wireless LAN access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wireless LAN access point AP') that provides effective coverage to the specific driving vehicle,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occurrence wireless LAN AP,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LAN access point,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100 analyzes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between itself and the specific wireless LAN access point based on the installation order on the road,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mobile terminal with an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 관제 서버(200)는 상기 도로 주행현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차량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무선통신 특성 정보를 시간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무선통신 특성 정보의 변동패턴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 상에서의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arrang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time order on the basis of the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oad running state information database and gene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road based on the variation pattern grap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road condition information of each vehicle is acquir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랜 액세스포인트(100)는 도로의 중앙분리 지점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 방향을 주행하는 차량들의 차량탑재 단말들(300)과 공통으로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wireless LAN access points 100 ar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LAN communication in common with the vehicle-mounted terminals 300 of the vehicles that are installed at the central separation point of the road and run in both directions of the road Public hotspot AP handover based road control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차량의 주행현황 정보에서 간헐적인 동요형 주행특성 및 지배적인 항속형 주행특성의 조합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차량을 상기 특이 주행 차량으로 식별하여 졸음운전 알람 메세지를 상기 무선랜 액세스포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vehicle-specific running state information to detect a combination of the intermittent-type running characteristic and the dominant-type constant-velocity running characteristic in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vehicle, And a drowsy driving alarm message is provided to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로 관제 서버(200)는 상기 차량별 주행현황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한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 속하는 다른 차량들과 대비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의 편차를 나타내는 문제의심 차량을 검출하여 외부의 도로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문제의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핫스팟 AP 핸드오버 기반의 도로 관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road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vehicle and detects a suspected vehicle having a deviation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n comparison with other vehicles belonging to the same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spected vehicle to the public hot spot AP handover-based road control system.
KR1020170028160A 2017-03-06 2017-03-06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KR101923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160A KR101923421B1 (en) 2017-03-06 2017-03-06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160A KR101923421B1 (en) 2017-03-06 2017-03-06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783A true KR20180101783A (en) 2018-09-14
KR101923421B1 KR101923421B1 (en) 2018-11-29

Family

ID=6359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160A KR101923421B1 (en) 2017-03-06 2017-03-06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21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1254A (en) * 2004-05-27 2005-12-08 Denso Corp In-vehicle wireless lan connection terminal
JP2006039762A (en) 2004-07-23 2006-02-09 Tdk Corp Vehicle speed measuring system
JP6244625B2 (en) * 2012-12-19 2017-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Traffic jam detection system and traffic jam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21B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di et al. A review of applications,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
Faezipour et al. Progress and challenges in intelligent vehicle area networks
US10679494B2 (en) Traffic analysis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ing devices
US9401086B2 (en) Automatic update of crowd and traffic data using device monitoring
US7986247B2 (en) Advisory system for previewing local conditions on a highway
KR101493360B1 (en) Method of vehicle driving managing through detection state change of around cars and system for it
US2017017619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extrapolate high-value data from a network of moving things, for example including a network of autonomous vehicles
US20120158276A1 (en) Vehicle driving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AU2014233005B2 (en) Traffic analysis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ing devices
Zhang et al. A machine learning-based defensive alerting system against reckless driving in vehicular networks
KR101466763B1 (en) Computing device in vehicl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hmad et al. Microscopic congestion detection protocol in VANETs
FUKUDA et al. Estimation of paratransit passenger boarding/alighting locations using Wi-Fi based monitoring: results of field testing in Krabi City, Thailand
CN103971528B (e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intelligent traffic monitoring system interconnected with vehicle to be monitored
KR101923421B1 (en)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hotspot accesspoint handover
KR102187908B1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traffic
EP4301008A1 (en) Communications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to improve perception control
JP7404643B2 (en) Vehicle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vehicle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Leng et al. Urban Traffic Condition Estimation: Let WiFi Do It
Singh et al. A framework for early detection of incident in dense traffic using vehicular ad-hoc networks
US20220348216A1 (en) Proxy basic safety message for unequipped vehicles
CN115776506A (en) Vehicle-road cooperative data fusion system and method
CN115131964A (en) Tunnel traffic flow sensing system
Ahmad et al. Research Article Microscopic Congestion Detection Protocol in VANETs
JP2019175234A (en) Monitoring system, server computer of the same, onboard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