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631A -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631A
KR20180101631A KR1020187025536A KR20187025536A KR20180101631A KR 20180101631 A KR20180101631 A KR 20180101631A KR 1020187025536 A KR1020187025536 A KR 1020187025536A KR 20187025536 A KR20187025536 A KR 20187025536A KR 20180101631 A KR20180101631 A KR 2018010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ver
flexible
poin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847B1 (ko
Inventor
드와라가나단 브하그야나단사디아나단
이브스 레포티에르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0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단자 피팅은 몸체 및 커버를 포함한다. 몸체는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연결 섹션 및 접촉 섹션을 포함하는데, 이때 접촉 섹션은 정합 단자의 수형 핀을 수용하기 위한 가요성 접촉 비임 및 대향하는 고정 비임을 갖는다. 커버는 제1 재료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제2 재료로 형성되고 몸체에 고정된다. 커버는 가요성 접촉 비임으로부터 이격된 강성화 비임 및 지지 비임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강성화 비임과 가요성 접촉 비임의 결합 시 증가된 수직력을 가요성 접촉 비임에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자 피팅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6년 2월 8일자로 출원되고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가출원 제62/292,45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기 단자 피팅(Electrical Terminal Fitting)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전기 단자 접촉부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용 전기 단자 접촉부에 관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들은 정션 분배 블록(junction distribution block)들, 전력 제어 모듈들 및 다른 차체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들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채용하여 차량 전체를 통하여 다양한 차체 및 제어 시스템들을 연결한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또는 헤더 조립체, 및 와이어링 하니스에 결합되는 대응하는 개수의 정합하는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시스템은 둘 모두 와이어 하니스의 각각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전형적으로 와이어 대 기판 및 와이어 대 와이어 연결 시스템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플러그 또는 제1 절연 하우징 내에 보유된 복수의 수형 전기 단자 또는 핀을 갖는 헤더 또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협력식으로 정합하기 위한 복수의 암형 단자를 보유하는 복수의 포켓 또는 공동을 갖는 성형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 조립체는, 각각, 단자로부터 연장된 잠금 또는 보유 아암을 갖는 전기 단자 피팅, 및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갖는 공동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로 성형된 구조는 보유 아암과 결합하여 하우징 상의 대응하는 전기 단자를 완전히 보유하고 잠근다.
더 작은 단자 및 증가된 성능에 대한 증가된 요구에 따라, 일 실시예의 암형 전기 단자는 2개의 별개의 편부, 즉 접촉 또는 전기 편부 및 보강 편부 또는 지지 편부로 구성된다. 접촉 편부는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높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고, 지지 편부는 고강도 재료로 제조되어 우수한 보유력 및 접촉 비임(beam) 보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례로서 예시되며, 동일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자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단자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자의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몸체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단자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커버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6의 커버의 다른 상세도이다.
도 10은 상부 부분이 제거된 도 6의 커버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커버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커버와 몸체의 결합 부분을 도시하는 도 1의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단자의 윙(wing)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윙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단자의 대안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단자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힘 분포 표이다.
도 22는 힘 분포 표이다.
도 23은 힘 대 변위 도표이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일 뿐이고 이는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구체적인 상세사항은 제한으로서가 아닌 단지 청구범위에 대한 근거로서 그리고 본 발명을 다양하게 채용하기 위하여 당업자를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근거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일 뿐이고 이는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커넥터 시스템은 인쇄 회로 기판에 또는 차량 와이어 하니스의 단부에 대체적으로 장착된 제1 커넥터 및 차량 와이어링 하니스(도시되지 않음)의 제2 단부 상에 배치된 제2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10)을 포함한다. 와이어 하니스의 제1 단부는 대응하는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과 정합하기 위하여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하기의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의 리셉터클 부분, 특히 리셉터클과 연관된 전기 단자(10)에 관한 것이다. 단자(10)는 수형 핀(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암형 유형의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0)이 도시되어 있다. 단자(10)는 2개의 편부, 즉 도체에 결합되기 위한 단자(10)의 단부 부분에 있는 연결 섹션 및 또한 정합 단자 핀(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섹션을 갖는 제1 몸체 편부(80); 및 편부들이 서로 조립되는 경우에 몸체(80)의 접촉 부분을 둘러싸고 몸체(80)에 보유력 및 보강을 추가로 제공하는 제2 커버 편부(30)로 구성된다. 각각의 편부는 별개로 형성되고, 별개의 조립 또는 결합 다이(marriage die)를 통하여 서로 고정된다.
도 4 및 도 5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0)는 삽입 종방향(L)으로 형성되고, 몸체(80)의 후방 또는 제1 단부에 대체적으로 위치된 종단 또는 연결 부분(84) 및 몸체(80)의 전방 단부 또는 제2 단부 부분에 배치된 접촉 부분(82)을 포함한다. 제1 편부는 구리 또는 임의의 다른 구리 기반 합금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 또는 동일한 전기 전도 특성을 갖는 유사한 재료의 단일 편부로부터 스탬핑(stamping) 및 형성된다. 종단 부분(84)은 "U" 형상이고, 접촉 부분(8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쌍의 윙(140) 및 제1 쌍의 윙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2 쌍의 윙 부분으로 구성되고 그들을 포함한다. 윙(140)은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의 노출된 도체 부분(bare conductor portion)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제2 쌍의 윙은 케이블의 절연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몸체는 정합 단자 핀(도시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캔틸레버형 가요성 접촉 비임(100) 및 몸체(80)의 접촉 부분(82)에 형성된 고정 비임(110)을 갖는 대체적으로 "U" 형상이다. 비임들은 삽입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베이스(83)로부터 형성된다. 베이스 부분(83)은 하부 벽, 한 쌍의 대향 측벽들 및 상부 벽을 포함한다. 벽은 절곡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 벽으로부터 형성된 탭(106) 및 측벽에 형성된 슬롯(116)을 포함하며, 여기서 탭(116)은 슬롯(116) 내로 끼워맞춤되어 베이스에 함께 고정시킨다. 베이스 부분(83)으로부터, 고정 비임(110)은 하부 벽으로부터 평탄한 방식으로 삽입 축을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가요성 접촉 비임(100)은 상부 벽으로부터 그리고 고정 비임(110)에 대향하여 연장된다. 고정 비임(110)은 모따기된 전방 에지(112)를 포함하고, 가요성 접촉 비임은 정합 단자 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곡 안내 부분(102)을 포함하는데, 비임들 둘 모두는 연결 시 정합 단자 핀과 결합하는 접촉 범프(104, 114)를 포함한다.
더욱이, 측벽은 가요성 접촉 비임(100) 위로 연장되고, 제1 정지 에지(stop edge)(85) 및 제2 정지 에지(124)를 포함한다. 플랩(flap)(122)이 벽으로부터 형성되고, 가요성 접촉 비임(100) 위로 연장되고, 제1 정지 에지(85)에 인접한다. 제1 정지 에지(85) 및 플랩(122)은 삽입 축(L)에 수직인 표면을 한정한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louver)(118)가 측벽의 각각 상에 형성되고 삽입 축(L)으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된다.
커버(30)는 이제 도 6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되고 예시될 것이다. 커버(30)는 평탄한 플레이트로 스탬핑 및 형성되고,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인 주연부를 포함한다. 주연부는 하부 벽, 및 하부 벽 및 상부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벽은 상부 벽의 경사 부분(angled portion)을 생성하는 절곡 부분을 포함한다. 경사 부분은 단자가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적절한 정렬 및 조립을 허용하는 고유한 주연부 윤곽을 한정한다. 커버(30)는 하부 섹션(22) 및 상부 섹션(24)을 한정하는 중간 벽(26)을 포함한다. 하부 섹션(22)은 정합 커넥터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0)를 포함한다. 하부 섹션(22) 및 상부 섹션(24) 둘 모두는 커버(30)의 길이를 따르는 삽입 축(L)을 따라 연장된다.
도 6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정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해 하부 섹션(22)의 일부인 개구(20)를 포함한다. 개구(20) 내로 돌출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범프(36)가 하부 섹션(22)의 측벽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한 쌍의 대향하는 돌출부(34)가 하부 벽 및 중간 벽(26)에 형성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전방 부분 및 후방 평탄 부분을 포함한다. 돌출부(34) 및 범프(36)는 연결을 완료하기 전의 초기 삽입 동안 정합 단자를 정렬하고 중심에 두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복수의 지지 견부(38)가 측벽 상에 형성되고, 커버(30)의 하부 섹션(22) 내로 연장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시트 금속의 단일 편부로 형성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재료는 스테인리스강이다. 일부 경우에, 강은 구리 또는 구리 기반 합금에 대한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강은 전형적으로 더 높은 인장 강도 특성을 나타내고, 그가 스프링 또는 편의력(biasing) 응용에 사용되는 상황은 가요성 부재를 필요로 할 때 사용되는 경우에 우수한 선택이다.
도 7, 도 9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비임(40)이 커버(30)에 형성되고, 외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지 비임은 커버(30)의 상부 벽으로부터 절곡되고 캔틸레버형이 되고, 제1 비임(42) 및 제2 비임(44)을 포함한다. 비임(42, 44)은 탠덤(tandem) 관계로 배치되는데, 즉, 비임은 본질적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이중 두께 비임을 생성한다. 플랩(46)은 제2 비임(44)으로부터 형성되고, 하향으로 돌출되고, 커버(30) 내의 개구(20)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노치(41)가, 제1 비임(42)과 제2 비임(44)이 결합되는 비임의 절첩된 부분을 따라서 유지 비임에 형성된다.
단자(10)를 완성하는 몸체에 대한 커버(30)의 조립과 함께 몸체(80) 및 커버(30)에 형성된 추가 특징부 및 구조가 이제 논의될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몸체(80)는 개구(20)에 반대편인 커버(30)의 하부 섹션(22)의 후방 내로 삽입되는데, 이때 고정 비임(110)은 커버(30)의 하부 벽 상에 위치된다. 고정 비임(110)은 개구(20)를 향하여 전방으로 활주되는데, 이때 고정 비임은 커버(30)의 측벽 상에 형성되는 지지 견부(38)와 하부 벽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80)는, 전방 에지(112)가 하부 벽 내의 돌출부(34)의 후방 평탄 부분과 결합할 때까지 전방으로 활주된다. 이때, 커버(30)는 완전히 형성되지 않고, 조립을 완성하기 위해 추가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커버(30)는 간략함 및 명확함을 위해 최종적으로 완전히 형성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몸체(80)를 커버(30) 내로 삽입하는 동안, 고정 비임은 하부 섹션(22) 내에 적절히 정렬되고, 가요성 접촉 비임(100)은 도 10 및 도 13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섹션(22) 내로 삽입되고, (고정용 스트랩(76)이 이때 절곡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유의), 절곡 부분(74)에 의해 안내된다. 추가 삽입 시, 절곡 안내 부분(102)은 강성화 비임(50) 및 지지 비임(52) 아래로 절곡 부분(74)에 의해 지향된다. 강성화 비임(50) 및 지지 비임(52)은 커버(30)의 중간 벽(26)으로부터 형성되고, 하부 섹션(22) 내로 연장된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은 비임의 레이아웃을 예시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요성 접촉 비임은 몸체에 형성되고, 몸체(80)의 베이스(83) 상에 위치된 제1 지점(101)으로부터 캔틸레버형이 된다. 강성화 비임(50)은 커버(30)의 중간 벽(26)으로부터 형성되고, 제2 지점(53), 즉 강성화 비임(50)이 중간 벽(26)으로부터 하부 섹션(22) 내로 하향으로 절곡되는 지점으로부터 캔틸레버형이 된다. 제3 지점(55)은, 강성화 비임(50)이 가요성 접촉 비임(100)과 결합하는 곳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가요성 접촉 비임(100)은 강성화 비임(50) 및 지지 비임(52)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이는 정합 동안 편향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제공하고, 수직력을 증가시켜 우수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커버(30)에 더 높은 인장 강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수직력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추가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과응력 보호 탭(54)이 강성화 비임(50)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고, 작업 시, 비임이 조기 변형 지점으로 과도하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업 시, 정합 동안, 단자 핀은 개구(20) 내로 삽입되고, 고정 비임(110)과 가요성 접촉 비임(100) 사이에 위치되고, 가요성 접촉 비임(100), 강성화 비임(50) 및 지지 비임(52)을 상향으로 편향시킨다. 비임이 과도하게 편향되면, 과응력 보호 탭(54)은 유지 비임(40)의 제2 비임(44)의 하부 표면과 결합하고, 그에 의해 비임의 편향의 전체 크기를 제한할 것이다.
단자(210)가 몸체(280) 및 몸체(280)에 고정된 커버(230)로부터 유사하게 구성되는 대안 실시예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 강성화 비임(50)은 제3 지점(55)에서의 비정합 상태에서 가요성 접촉 비임(100)과 직접 접촉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성화 비임(50)은 정합 동안 가요성 접촉 비임(100)의 초기 변위 시 순간적인 저항 및 증가된 수직력을 제공한다. 소정의 경우에, 초기의 높은 수직력 또는 삽입력은 가요성 접촉 비임(100)과 정합 수형 전기 핀(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전기적 인터페이스에 대한 손상, 예컨대, 인터페이스에서 높은 전기적 저항을 초래하는 플라우잉(ploughing)을 야기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잠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합 동안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화 비임(50)은 제3 지점(55)에서 갭(G)만큼 가요성 접촉 비임(10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경우에, 정합 동안, 가요성 접촉 비임(100)은 정합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초기 접촉 시 편향된다. 초기 반작용력 또는 수직력은 가요성 접촉 비임(100)과 강성화 비임(50)의 조합에 의해서가 아닌 단지 가요성 접촉 비임(100)에 의해서만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힘은 이전 실시예의 힘보다 작다. 가요성 접촉 비임(100)의 추가 편향 시, 강성화 비임(50) 상의 접촉점이 후속하여 결합되고, 이어서 이들 비임 둘 모두는 힘 증강에 기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접촉 비임(100) 및 강성화 비임(50) 둘 모두는 정합 사이클 중 활주 접촉 부분 동안 수직력에 기여하고, 따라서 초기 삽입력이 감소된다.
힘 분포가 도 21 내지 도 23에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 21은 단자 시스템의 단일 비임 유형에 대한 완전한 정합 사이클 동안의 전형적인 정합력 분포를 도시하는 한편, 도 22 및 도 23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힘 분포를 도시한다. 이로부터, 도 21에 도시된 초기 삽입력 또는 힘의 급격한 상승이 상당히 감소된다.
도 9 및 도 12 내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립의 최종 스테이지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80)는 커버(30) 내로 삽입되고, 일단 그의 적절한 위치에 놓이면, 커버(30)는 몸체(80)와 커버(30)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성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정 동안 수반되는 몇몇 특징부 및 단계가 존재한다. 몸체 상에 형성된 루버(118)는 커버(30)에 형성된 슬롯(70, 71) 내로 삽입되고, 삽입 축(L)을 따라서 몸체를 커버(30)에 고정시킨다. 중간 벽(26) 상에 형성된 고정용 탭(56)은 슬롯(70, 72) 내로 삽입되어 중간 벽을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고정용 탭(56)은 본질적으로 중간 벽(26)이 "절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섹션(22) 및 상부 섹션(24)을 유지한다.
최종 작업이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계에서, 커버(30) 상에 형성된 고정용 스트랩(76)은 몸체(80) 위에서 절곡되고, 몸체(80)에 형성된 고정용 리세스(120) 내에 배치된다. 이때, 주연부 윤곽의 상부 부분은 중간 벽(26)의 상부 부분 위에 형성되어, 커버(30)를 폐쇄하고 주연부 윤곽을 완성한다. 추가로, 몸체(80) 상에 형성된 제2 정지 에지(124)는 이러한 단계 동안 상부 벽의 과도한 형성(over-forming)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30)의 상부 벽의 내부 표면과 결합한다. 이때, 몸체(80) 내의 슬롯(116)을 통해 삽입되는 탭(106) 및 몸체의 슬롯(116) 내에 이미 삽입된 고정용 탭(56) 둘 모두가 커버(30)의 슬롯(70) 내로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몸체(80)는 제1 탭(56) 및 제1 슬롯(116)을 포함하고, 커버(30)는 제2 탭(106) 및 제2 슬롯(116)을 포함하는데, 이때 탭(56, 116)은 커버(30)가 몸체에 결합될 때 슬롯(70, 116)을 통해 연장된다.
연결 부분(84)은, 인접한 와이어들 사이의 단락에 대한 보호 배리어를 제공하는 절연 커버(30)를 갖는 전기 리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의 전방 부분은 절연 부분이 제거되어 도체를 노출시키고, 그에 의해 노출된 도체는 제1 쌍의 윙(140)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의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제2 쌍의 윙 부분(144) 내에 수용된다. 이어서, 윙 부분의 각각의 세트가 단자에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각각의 부분 위에 형성된다. 제1 쌍의 윙(140)은 단자를 리드 와이어의 노출된 와이어 부분에 고정 또는 크림핑(crimping)하고, 제2 쌍의 윙(144)은 리드 와이어의 절연 부분을 단자 피팅에 고정 또는 크림핑한다.
도 16 및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쌍의 윙(140)은 리드 와이어의 노출된 와이어 부분을 단자(10)에 고정하고, 압인된 에지(coined edge)를 포함한다. 단자(10)의 하부 표면을 기준으로 할 때의 에지는 단자(10)의 후방 단부에서의 높이(H2)보다 단자(10)의 전방에서 더 큰 연장부 또는 높이(H1)를 갖는다. 윙(140)의 전방 부분은 또한 베벨(bevel)(142)을 포함한다. 추가로, 압인된 에지는 또한 폭의 변동을 포함한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윙(140)의 압인된 에지의 전방 단부의 폭(W1)은 윙(140)의 후방 부분의 폭(W2)보다 작다. 이러한 형상은 전방 쌍의 다른 윙 부분에 반영(mirror)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단자(10)에 대한 와이어의 크림핑 또는 고정 시, 윙(140)은 다양한 정도의 변형 및 크림핑 압력을 제공한다. 즉, 와이어가 단자(10)에 고정된 후, 크림핑 힘은 윙(140)의 길이를 따라서 변한다. 작업 시, 도체는 전형적으로 자유 단부를 갖는 스트랜드형 와이어이고, 윙(140)의 전방 부분은 전방 쌍의 윙의 후방 부분보다 더 많이 변형 또는 크림핑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이점은, 와이어의 팁 부분이 와이어의 바로 그 전방부에서 더 압축되고 크림핑 섹션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소된다는 것이다. 이는 스트랜드형 와이어의 전방부에 대한 과도한 변형 및 손상을 피하고, 그에 의해 저항을 최소화한다. 와이어 크림핑 부분의 후방 부분에서의 작은 변형이 존재한다는 사실로 인해, 과도한 압축으로 인한 와이어에 대한 어떠한 손상도 제거되고, 그에 의해 윙(140)을 따르는 그리고 와이어와 단자(10) 사이의 더 큰 기계적 유지력 및 증가된 전기적 성능 및 전도성을 야기한다.
작업 시, 단자(10) 또는 단자들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공동 내에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로 삽입된다. 공동은 단자 주연부 윤곽으로 형상화되어 단자가 오정렬 없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자는 커버(30)의 상부 섹션(24)에 형성된 유지 비임(40)을 포함한다. 공동은, 단자가 공동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유지 비임(40)과 결합하는 대응하는 견부를 포함하는데, 즉, 이러한 배열은 공동으로부터의 단자(10)의 후퇴를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비임(40)의 단면은 벽 위로 절첩되어, 이중 벽의 유지 비임을 생성하지만, 다른 단면, 예를 들어, "L" 형상의 단면 또는 절곡에 대해 증가된 저항을 제공하는 임의의 단면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첩된 단면은 부하 하에서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임에 강성을 추가한다.
플랩(46)은 유지 비임(40)의 자유 단부에 형성되고, 플랩(46)은 커버(3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와이어 등이 조립 전에 유지 비임에 포착되거나 걸려서 그를 손상시킬 수 없도록 하는 보호 조치를 제공한다. 플랩(46)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 공동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유지 비임이 결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플랩(46)은 전기적 피팅이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 당겨져 빠지는 것에 저항하도록 공동에 형성된 견부 또는 리세스에 맞닿아 있다. 플랩(46)은 단자(10)의 개구를 향하여 절곡되어, 유지 아암이 후퇴 시도 시 외향으로 편향되는 경향을 제공한다. 사실상, 유지 아암이 공동에 더 급격하게 결합하게 하여, 단자가 당겨져 빠지는 것에 저항한다. 플랩(46)은 또한, 하우징 재료에 대한 손상을 피하도록 공동과의 결합을 위한 더 큰 영역을 제공한다.
일단 모든 단자(10)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각자의 공동 각각에 완전히 안착되면, 독립형 2차 잠금부(independent secondary lock, ISL)가 전형적으로 채용되어 하우징 내에 단자(10)를 추가로 유지한다. ISL은 대체적으로 단자가 공동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제1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부에 부착된다. 일단 단자(10)가 삽입되면, ISL은 제2 위치로 작동 또는 활주되어 단자(10)에 대한 추가 잠금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는 도 15에서와 같이, 정지 에지(85) 및 정지 플랩(122)은, ISL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결합 상태로 활주되는, ISL에 형성된 견부에 맞닿아 단자(10) 후퇴의 추가 방지를 제공한다.
당업자에게 기꺼이 명백할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많은 변형예,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개시되고 청구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부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명확하게는 그러한 특징부들의 추가 조합을 포함하는, 압축 커넥터 조립체 및/또는 그의 구성요소,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유형의 접촉부 어레이 커넥터의 많은 변형예 및 수정예가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재료 및 구성에 있어서 많은 가능한 변형예들이 존재한다.

Claims (20)

  1. 단자로서,
    몸체 - 상기 몸체는 종방향 삽입 축을 갖고, 상기 단자의 단부 부분을 따르는 연결 섹션 및 상기 연결 섹션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접촉 섹션을 갖고, 상기 연결 섹션은 가요성 접촉 비임(beam) 및 고정 비임을 갖고, 상기 가요성 접촉 비임은 제1 지점으로부터 캔틸레버형이 되고, 상기 고정 비임은 상기 가요성 접촉 비임에 대향하고, 와이어 고정 부분은 윙을 가짐 -; 및
    커버 - 상기 커버는 주연부 윤곽을 갖고, 상기 주연부 윤곽은 중간 벽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중간 벽은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한정하고, 상기 상부 섹션은 상기 연결 섹션을 향하여 연장된 잠금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섹션은 강성화 비임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화 비임은 상기 중간 벽으로부터 형성되고 제2 지점으로부터 캔틸레버형이 되고 접촉점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화 비임의 접촉점은 제3 지점에서 상기 가요성 접촉 비임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하부 섹션에 의해 지지됨 - 를 포함하는,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비임이 상기 강성화 비임과 결합하는,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비임은 상기 중간 벽으로부터 형성되는,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제2 재료로 형성되는,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구리 기반 합금인,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높은 인장 강도 재료로 형성되는,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강(steel)인, 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용 탭이 상기 몸체 상에 형성되고, 제2 고정용 탭이 상기 커버 상에 형성되며, 상기 탭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슬롯 내에 배치되는, 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몸체 내의 상기 슬롯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제2 슬롯 내에 배치되는, 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윙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압인된 에지(coined edge)를 포함하는, 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베벨(bevel)을 포함하는, 단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보다 큰, 단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단자.
  14. 단자로서,
    서로 대향하는 고정 비임 및 가요성 비임을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요성 비임을 지지하고 상기 가요성 비임으로부터 이격된 강성화 비임을 갖는 별개의 커버를 포함하는, 단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커버는 제2 재료로 제조되는, 단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높은 인장 강도 재료인, 단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강인, 단자.
  18. 제14항에 있어서, 지지 비임이 상기 커버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강성화 비임과 결합하는, 커넥터.
  19. 커넥터로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견부(shoulder)를 포함하는 공동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단자 - 상기 단자는 몸체 및 커버를 갖고, 상기 몸체는 가요성 비임 및 고정 비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견부와 결합하는, 상기 상부 섹션으로부터 연장된 잠금 아암 및 상기 가요성 비임을 지지하는, 상기 하부 섹션 내로 연장된 강성화 비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가 상기 하부 섹션 내로 삽입된 후에 상기 몸체 위에 상기 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몸체에 결합됨 - 를 포함하는,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지지 비임이 상기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강성화 비임과 결합하는, 커넥터.
KR1020187025536A 2016-02-08 2017-02-07 단자 피팅 KR102168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2453P 2016-02-08 2016-02-08
US62/292,453 2016-02-08
PCT/US2017/016788 WO2017139249A1 (en) 2016-02-08 2017-02-07 Terminal fi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631A true KR20180101631A (ko) 2018-09-12
KR102168847B1 KR102168847B1 (ko) 2020-10-22

Family

ID=5956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536A KR102168847B1 (ko) 2016-02-08 2017-02-07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5479B2 (ko)
EP (1) EP3414797A4 (ko)
JP (1) JP2019504458A (ko)
KR (1) KR102168847B1 (ko)
CN (1) CN108604740A (ko)
WO (1) WO20171392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56A (ko) * 2020-03-10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피메일단자
KR20220048955A (ko) * 2020-10-13 2022-04-20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전기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4458A (ja) 2016-02-08 2019-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金具
JP7194332B2 (ja) * 2019-03-12 2022-12-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成体
US11245212B2 (en) * 2019-08-29 2022-02-08 J.S.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comprising a spring member
CN111911839B (zh) * 2020-07-13 2022-09-30 广东佳信达铜材实业有限公司 一种铜杆
JP7435329B2 (ja) * 2020-07-14 2024-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21108272A1 (de) 2021-03-31 2022-10-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4756A1 (en) * 2009-10-26 2012-09-27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WO2015164754A1 (en) * 2014-04-24 2015-10-29 Molex Incorporated Terminal fitt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930U (ja) 1983-12-27 1985-07-27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雌形電気接触子
JP4514645B2 (ja) * 2004-07-12 2010-07-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雌型端子
JP2006286223A (ja) * 2005-03-31 2006-10-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5334753B2 (ja) * 2009-08-28 2013-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9504458A (ja) 2016-02-08 2019-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4756A1 (en) * 2009-10-26 2012-09-27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WO2015164754A1 (en) * 2014-04-24 2015-10-29 Molex Incorporated Terminal fit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56A (ko) * 2020-03-10 2020-05-22 주식회사 경신 피메일단자
KR20220048955A (ko) * 2020-10-13 2022-04-20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전기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4740A (zh) 2018-09-28
EP3414797A4 (en) 2019-10-23
US20210184382A1 (en) 2021-06-17
US11075479B2 (en) 2021-07-27
JP2019504458A (ja) 2019-02-14
EP3414797A1 (en) 2018-12-19
KR102168847B1 (ko) 2020-10-22
WO2017139249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2127B2 (ja) 端子金具
KR102168847B1 (ko) 단자 피팅
EP2461431B1 (en) Dual contact beam terminal
JP6527633B2 (ja) 端子金具
EP2966730B1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contact
US8251758B2 (en) Electrical contact
EP2507871A1 (en) Electrical terminal
EP3096409B1 (en)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010377A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terminal
CN110534951A (zh) 连接器
KR20220019482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CN112864641A (zh) 接触件和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