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609A -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609A
KR20180101609A KR1020187025028A KR20187025028A KR20180101609A KR 20180101609 A KR20180101609 A KR 20180101609A KR 1020187025028 A KR1020187025028 A KR 1020187025028A KR 20187025028 A KR20187025028 A KR 20187025028A KR 20180101609 A KR20180101609 A KR 2018010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wand
valve bod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510B1 (ko
Inventor
제프리 서굿
Original Assignee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7/01610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36484A1/en
Publication of KR2018010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애완 동물, 예를 들어, 개를 씻기거나 목욕시킬 때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물 공급원에 추가로 부착되는 호스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애완 동물의 세정을 돕기 위해 여러 가지 스프레이 모드를 갖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소형 및 대형 양쪽의 애완 동물을 위해 설계된 선택적 노즐 어레이 크기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 완드의 폼 팩터는 추가로 애완 동물의 신체에 부합하는 스프레이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2월 1일자로 출원된 "핸드헬드(handheld)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2/289,833호 및 2016년 2월 1일자로 출원된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2/289,85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들 각각은 이로서 PCT 규칙 20.6의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핸드헬드 워터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완 동물에 사용하기 위한 핸드헬드 스프레이 완드에 관한 것이다.
애완 동물, 특히 개는 더러워진다. 때때로 더러운 애완 동물, 특히 인간 반려자와 함께 실내에 있는 것이 허용되는 애완 동물을 목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헬드 세면기 및 샤워 스프레이는 설거지 또는 인간의 목욕과 같은 특정 인간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헬드 분무기의 디자인은 애완 동물을 씻기는 독특한 필요와 상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임의의 참고 문헌 및 그의 임의의 설명 또는 서술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배경 기술 섹션에 포함된 정보는 단지 기술적 참고 목적을 위해 포함되며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구속하는 내용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애완 동물, 예를 들어 개를 씻기거나 목욕시키는 데 사용하기에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물 공급원에 추가로 부착되는 호스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애완 동물의 세정을 돕기 위해 여러 가지 스프레이 모드를 갖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소형 및 대형 양쪽의 애완 동물을 위해 설계된 선택적 노즐 어레이 크기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 완드의 폼 팩터는 추가로 애완 동물의 신체에 부합하는 스프레이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핸드헬드 분무기는 물 공급 커넥터 및 물 공급 커넥터를 수용하는 핸들을 포함한다. 모드 제어 액추에이터가 핸들에 부착될 수 있다. 밸브는 물 공급 커넥터와 유체 연결되고 모드 제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세장형 노즐 완드가 밸브와 유체 연통한다. 노즐 완드는 아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장형 노즐 완드의 길이를 따라 2개의 선형 노즐 어레이를 제공한다. 밸브는 일정한 저 유동 모드 또는 점진적 증가 유동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선형 노즐 어레이 중 제1 선형 노즐 어레이로 물 유동을 통과시킨다. 밸브는 일정한 저 유동 모드 또는 점진적 증가 유동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선형 노즐 어레이를 제외한, 선형 노즐 어레이 중 제2 선형 노즐 어레이로 물 유동을 통과시킨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한 형태의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핵심 특징이나 본질적인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의도도 없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기를 의도하지도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세부 사항, 활용성 및 이점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에 기재된 설명에서 제공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도 1a는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상면 등각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좌측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우측 측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평면도이다.
도 1e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저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구성요소의 분해 등각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를 위한 핸들 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 등각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핸들 스템의 확대된 원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핸들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근위 단부 측면 등각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핸들 그립의 원위 단부 측면 등각도이다.
도 5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제어 링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6a는 도 2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밸브 본체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근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밸브 본체의 원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7a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밸브 시트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근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밸브 시트의 원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8은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밸브 밀봉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9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전이 커버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10a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노즐 완드의 저부 하우징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근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저부 하우징 구성요소의 상면 등각도이다.
도 11은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커넥터 샤프트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도이다.
도 12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노즐 완드 섹션의 상단 하우징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저부 등각도이다.
도 13a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행거 캡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근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행거 캡의 원위 단부 등각도이다.
도 14a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제1 단면의 등각도이다.
도 14b는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제2 단면의 등각도이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되어 있다.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는 주로 핸들 섹션(4), 모드 선택기 섹션(6) 및 노즐 완드 섹션(8)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들 섹션(4)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고, 사용자가 습한 환경에서 확고한 파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표면 특징을 더 가질 수 있다. 모드 제어 섹션(6)은 핸들 부분(4)을 보유할 때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핸들 섹션(4)의 원위에 위치될 수 있다. 노즐 완드 섹션(8)은 세장형 아치형 형태로 모드 선택기 섹션(6)으로부터 더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즐 완드 섹션(8)의 형태는 씻거나 목욕하는 과정 중에 애완 동물의 신체와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구성요소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주요 구성요소는 도 1b 내지 도 1e 및 도 2에 표시되어 있다. 핸들 섹션(4)은 핸들 그립(20)에 의해 둘러싸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핸들 스템(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드 선택기 섹션(6)은 트림 링(72a, 72b)에 의해 근위 및 원위 단부에서 경계지어진 제어 링(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이 커버(70)는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가 모드 선택기 섹션(6)으로부터 노즐 완드 섹션(8)으로 전이함에 따라 제어 링(30)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노즐 완드 섹션(8)은 저부 하우징(80), 상단 하우징(82) 및 상단 하우징(80)과 저부 하우징(82)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행거 캡(8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트림 피스(88a, 88b)는 저부 하우징(80)과 상단 하우징(8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핸들 스템(10)은 도 3a 및 도 3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핸들 스템(10)은 샤프트 루멘(118)을 형성하는 중공 실린더로서 형성된 스템 샤프트(102)에 의해 주로 한정될 수 있다. 나사부(104)는 스템 샤프트(102)의 근위 단부(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04)는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를 물 공급원에 연결된 호스에 연결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나사부(104)의 바로 원위에는 스템 샤프트의 양 측면 상에 한 쌍의 대향하는 베이어닛 탭(106a, 106b)이 있다. 베이어닛 탭(106a, 106b)은 스템 샤프트(102)의 마주보는 원주방향 부분 둘레로 개별적인 거리로 연장되는 아치형 리지(ridge)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스템(10)의 원위 단부(101)를 향하여, 스템 샤프트(102)는 견부(108)를 형성하도록 직경이 증가한다. 약간 더 큰 칼라(112)가 견부(108)에 대해 원위의 핸들 스템(10) 상에 형성된다. 한 쌍의 대향하는 잠금 탭(110a, 110b)은 칼라(112)에 인접하게 바로 근위에서 견부(108)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탭(110a, 110b)은 외팔보형 스트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견부(108)에 부착되는 기부와, 기부로부터 외측으로 견부(108)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짧은 거리 연장하여 잠금 탭(110a, 110b)의 외팔보형 부분과 견부(108)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리지를 갖는다.
환형 립(114)은 핸들 스템의 원위 단부(101)에서 칼라(112)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립(114)의 단부 표면에는 한 쌍의 플런저 오목부(116a, 116b)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 오목부(116a, 116b)는 환형 립 내의 미소한 만입부일 수 있다. 플런저 오목부(116a, 116b)는 환형 립(114)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직경의 대향 단부들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릿(120)은 핸들 스템(10)의 샤프트 루멘(118)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콜릿(120)은 견부(108) 및 칼라(11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내부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럿(122)에 의해 샤프트 루멘(118)의 중심 내에서 지지되는 원통형 링이다. 수용 개구(124)는 콜릿(120)의 중심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개구(124)는 주로 원통형이지만 키이형 표면(126)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키이형 표면(126)은 그 이외에는 원통형인 수용 개구(124) 내의 평탄한 벽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용 개구(124)를 한정하는 콜릿(120)의 내부 벽 내에 다른 형상 또는 형태의 키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아치형 통로(128)가 견부(108)와 칼라(112)의 내부 벽, 스트럿(122) 및 콜릿(120)의 외부 벽 표면 사이에 형성되고, 그에 의해 경계지어질 수 있다. 아치형 통로(128)는 스템 샤프트(102)의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 루멘(118)과 유체 연통한다.
핸들 그립(2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4a 및 도 4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핸들 그립(20)은 핸들 스템(10)의 대부분을 덮기 위한 크기의 배럴(202)로 형성될 수 있다. 배럴(202)의 외부 표면은 습한 환경에서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 상의 미끄럼 방지 그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길이방향 그립 리지(204) 또는 다른 그립 보강 표면 특징, 예를 들어 플루팅(fluting) 또는 널링(knurl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럴(202)은 그를 통해 핸들 스템(10)이 수용되는 핸들 루멘(210)을 형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202)의 내부 표면(212)은 근위 벽(206)에 의해 근위 단부(207)에서 캡핑된 베이어닛 슬라이드 오목부(214)를 형성한다. 제2 베이어닛 슬라이드 오목부(가시적이지 않음)는 유사하게 다른 근위 벽(206)과 직접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근위 벽(206)에 의해 캡핑된다. 대향하는 베이어닛 잠금 오목부(216) 중 2개는 2개의 근위 단부 벽(206) 사이의 내부 표면(212) 내에 형성된다. 베이어닛 슬라이드 오목부(214)는 내부 표면(212)과 각각의 인접한 근위 벽(206) 사이의 간극에 의해 대응하는 베이어닛 잠금 오목부(216)에 각각 연결된다.
핸들 그립(20)의 원위 단부(208)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4)의 다수의 탭 슬롯(220)은 원위 단부(208)에 인접한 배럴(202)의 내부 표면(212) 내에 형성된다. 탭 슬롯(218)은 내부 표면(212) 원주방향 둘레에서 소정 거리로 연장할 수 있고, 탭 슬롯(218)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208)에서 보았을 때 원주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일 측면 상의 얕은 단부로부터 더 깊게 경사질 수 있다.
모드 선택기 섹션(6) 내의 제어 링(3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 링(30)의 외부 표면은 제어 링(30)의 원주방향 둘레의 오목형 포켓(304) 사이에 형성된 널(knurl)(302)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306)는 환형 내부 벽(308)에 의해 경계지어진 제어 링(30)의 중심을 통해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사각형 슬롯(310)은 개구(306)의 축에 평행한 제어 링(30)의 근위 단부(312)로부터 원위 단부(314)까지 연장하는 내부 벽(308)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본체(4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 본체(40)는 원위 단부(404)에서 기부 벽(412)으로부터 멀리 근위 단부(402)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 외부 벽(406)에 의해 한정된 원통형 구성요소일 수 있다. 키이 리지(408)는 외부 벽(406)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키이 리지(408)는 대체로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고 밸브 본체(40)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근위 단부(402)로부터 원위 단부(404)로 선형으로 연장된다. 원통형 돌기(414)는 기부 벽(412)으로부터 외측으로 근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밸브 본체(40)의 외부 벽(406)에 의해 경계지어지지만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원통형 돌기(414)의 직경은 원통형 돌기(414)와 밸브 본체(40)의 내부 벽(410)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 벽(406)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 벽(406)의 직경의 약 1/3일 수 있다. 내부 벽(410)은 선반부(411)가 내부 벽(410)의 상단 표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외부 벽(406)만큼 멀리까지 근위 단부(402)를 향해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원통형 돌기(414)는 밸브 본체(40)의 기부 벽(412)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하는 관통 구멍(416)을 추가로 형성한다. 또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디텐트 포켓(418a, 418b)은 내부 벽(410)과 원통형 돌기(414) 사이에서 반원형으로 연장되는 벽에 의해 형성된다. 대응하는 디텐트 개구(420a, 420b)는 각각의 디텐트 포켓(418a, 418b) 내의 기부 벽(412)을 통해 형성된다. 대향하는 디텐트 포켓(418a, 418b) 사이의 밸브 본체(40)의 일 측면 상에서 내부 벽(410)과 원통형 돌기(414) 사이에서 기부 벽(412) 내에 단일 아치형 구멍(422)(즉, 구부러진 또는 만곡된 사다리꼴 형상)이 형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40)의 원위 측면(404) 상의 기부 벽(412)의 외부 면(424)은 평탄하고 오직 관통 구멍(416), 디텐트 개구(420a, 420b) 및 아치형 구멍(422)에 의해서만 중단된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모드 선택기 섹션(6) 내의 밸브 시트(5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7a 및 도 7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밸브 시트(50)의 근위 측면(502)이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 시트(50)의 외부 원주는 오목형 면(5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림(506)에 의해 형성된다. 다수의 패드 표면은 유사하게 오목형 면(512)으로부터 외측으로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2개의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는 밸브 시트(50)의 축 중심을 통해 형성된 샤프트 구멍(514)의 대향 측면들 상의 오목형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는 샤프트 구멍(514)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유사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작은 아치형 패드(510a, 510b)에 의해 분리된다.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 및 작은 아치형 패드(510a, 510b) 각각은 오목형 면(512)의 일부를 형성하는 밀봉 채널(516)에 의해 서로 측방향으로 분리된다. 유사하게, 크고 작은 아치형 패드(508a, 508b, 510a, 510b) 각각의 반경방향 내부 에지는 밀봉 채널(516)의 링 형상 부분이 샤프트 구멍(514) 주위에 형성되도록 샤프트 구멍(514)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크고 작은 아치형 패드(508a, 508b, 510a, 510b) 각각은 밀봉 채널(516)의 환형 부분이 림(506)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림(50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큰 아치형 패드(508a) 각각은 밸브 시트(50)의 본체를 통해 전체에 걸쳐 근위 측면(502)으로부터 원위 측면(504)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아치형 포트(518a, 518b)를 형성한다. 아치형 포트(518a, 518b)는 대응하는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의 전체 원호 길이를 연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단지 원호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만 연장한다. 경사진 채널(520a, 520b)은 아치형 포트(518a, 518b) 각각에 인접한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의 부분 내에 형성된다. 경사진 채널(520a, 520b)은 얕은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각각 아치형 포트(518a, 518b) 내로 비워지는 깊은 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작은 아치형 패드(510a, 510b) 각각은 근위 측면(502)으로부터 원위 측면(504)까지 밸브 시트(50)의 두께를 통해 작은 트리클 구멍(trickle hole)(522a, 522b)을 각각 형성한다.
밸브 시트(50)의 원위 측면(504)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치형 포트(518a, 518b) 및 트리클 구멍(522a, 522b)은 밸브 시트(50)를 통해 원위 측면(504)까지 연장된다. 인접한 아치형 포트(518a, 518b) 쌍 및 트리클 구멍(522a, 522b)은 밸브 시트(50)의 원위 면(525) 내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오목화된 각각의 공동 내로 비워진다. 큰 노즐 공동(530)은 제1 아치형 포트(518a) 및 제1 트리클 구멍(522a)을 포함하고, 주연 벽(528)의 반원형 반부, 샤프트 구멍(514)을 둘러싸는 링 벽(524)의 반원형 반부, 및 밸브 시트(50)의 직경을 따라 연장하는 두 개의 반경방향 분할 벽(526)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작은 노즐 공동(532)은 제2 아치형 포트(518b) 및 제2 트리클 구멍(522b)을 포함하고, 주연 벽의 반원형 부분, 샤프트 홀드(514)를 둘러싸는 링 벽(524)의 반원형 부분 및 2개의 분할 벽(526)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따라서, 큰 노즐 공동(530)은 밸브 시트(50)의 하나의 반부의 반원형 아치형 공간이며 작은 노즐 공동(532)은 마찬가지로 큰 노즐 공동(530)에 대향하는 반원형 공간이다.
또한, 정렬 포스트(534)와 같은 인터페이스 피처가 밸브 시트(50)의 원위 측면(504)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정렬 포스트(534)는 원통형이지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렬 포스트(534)는 주연 벽(528)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따라서 큰 노즐 공동(530) 내부로부터 연장된다.
밸브 밀봉부(6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 밀봉부는 밸브 시트(50)의 근위 측면(502)에 형성된 밀봉 채널(516)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밀봉부(60)는 밸브 본체(40)와 밸브 시트(50) 사이에 수밀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밀봉부(60)는 내부 링(602), 외부 링(604), 및 내부 링(602)과 외부 링(604)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스포크(spoke)(606)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에 대한 전이 커버(7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완드(8) 내로 전이함에 따라 모드 선택기(6)의 일부를 덮는다. 전이 커버(70)는 근위 단부(702)와 원위 단부(704)의 개구 사이에 형성된 외부 표면(706) 및 내부 표면(708)을 갖는 중공 본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커버(70)의 본체는 근위 단부(702)로부터 원위 단부(704)까지 다소 불규칙적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근위 단부(702)는 제어 링(30)에 인접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704)는 노즐 완드(8)의 단면 형상으로 전이하기 위해 보다 둥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 탭(710a, 710b)은 근위 단부(702)에 인접한 전이 커버(70)의 내부 표면(708) 상의 대향하는 상단 및 저부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노즐 완드 부분(8)의 저부 하우징 구성요소(8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그 근위 단부(800)로부터 저부 하우징(80)을 도시한다. 저부 하우징(80)의 근위 단부(800)의 외부 원주는 환형 시트 림(806)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형 립(804)에 의해 형성되며, 환형 시트 림은 환형 립(804)으로부터 오목화되어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연장한다. 포스트 돌기(812)와 같은 인터페이스 피처는 시트 림(806)의 에지로부터 탭으로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곳을 통해 포스트 개구(814)를 형성한다.
샤프트 링(808)은 샤프트 링(808)과 연결되도록 시트 림(806)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샤프트 링 스트럿(810)에 의해 시트 림(806)에 의해 형성된 개구 내에 매달려있다. 커넥터 샤프트(90)는 샤프트 링(808)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2개의 분리된 유체 챔버가 샤프트 링(808)의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추가로, 샤프트 링 스트럿(810)에 의해 분리된다. 큰 노즐 챔버(816)는 샤프트 링(808)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고 저부 하우징(80) 내에 추가로 형성된 긴 노즐 채널(824)과 유체 연통한다. 짧은 노즐 챔버(818)는 샤프트 링(808)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저부 하우징(80) 내에 또한 형성되어 있는 짧은 노즐 채널(828)과 유체 연통한다. 큰 노즐 챔버(816) 및 짧은 노즐 챔버(818)의 부분들은 샤프트 링 스트럿(810) 중 하나에 의해 절반으로 분할된 오목형 유동 공동(8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저부 하우징(80)은 세장형 아치형 기부 벽(836)의 형태로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즐의 2개의 분리된 길이방향의 선형 어레이는 기부 벽(836)의 길이 부분을 따라 원위 단부(802)로부터 저부 하우징(80)의 커넥터 단부(805)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긴 노즐 어레이(822)는 원위 단부(802)로부터 저부 하우징(80)의 연결 구조체(805)까지 길이의 대부분을 연장한다. 짧은 노즐 어레이(826)는 기부 벽(836)의 길이의 일부만 연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짧은 노즐 어레이(826)는 저부 하우징(80)의 원위 단부(802)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기부 벽(836)의 길이의 절반 만이 근위 단부(8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기부 벽 내의 노즐 개구 각각은 기부 벽(836) 내에 직접 형성 또는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는 기부 벽(836)에 형성되고 별도의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 노즐 체결구가 끼워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노즐 어레이(822) 및 짧은 노즐 어레이(826) 각각은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된 인접한 노즐의 2개의 길이방향 열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긴 노즐 채널(824) 및 짧은 노즐 채널(828)은 저부 하우징(80)의 근위 단부(800)의 연결 구조(805)로부터 원위 단부(802)까지 연장되는 채널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채널 벽(830)은 기부 벽(836)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기부 벽(836)의 길이를 따라 2개의 평행한 채널을 형성한다. 긴 노즐 어레이(822)를 위한 노즐 개구는 긴 노즐 채널(824)의 경계 내에서 기부 벽(836) 내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짧은 노즐 어레이(826)를 위한 개구는 짧은 노즐 채널(828)의 경계 내에 형성된다. 긴 노즐 채널(824)은 채널 벽(830)의 중간 벽에 의해 짧은 노즐 채널(828)로부터 분리된다. 채널 벽(830)은 각각 긴 노즐 채널(824) 및 짧은 노즐 채널(828)의 주연 주위로 연장되는 커버 선반부(832a, 832b)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포획 클립 포켓(834)은 환형 립(804) 바로 원위의 커넥터 구조(805)의 상단 및 저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저부 하우징(80)의 기부 벽(836)은 간극(840)이 외부 채널 벽(830)의 측벽(838) 각각 사이에 형성되도록 노즐 부분(815)의 길이를 따라 측벽(838)을 형성하도록 상향으로 말려있다.
저부 하우징(80) 및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샤프트 구성요소(9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1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샤프트(90)는 그 실제 길이를 따라 대체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중심 스핀들 섹션(906)은 형상이 완전히 원통형이며 커넥터 샤프트(90)의 길이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결합 샤프트 부분(908)은 스핀들 섹션(906)의 원위 단부(904)로부터 연장한다. 결합 샤프트(908)는 원통형이지만 스핀들 섹션(90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다수의 유지 링(910a, 910b)이 결합 샤프트(908) 상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지 링(910a)은 결합 샤프트의 원위 단부(904)에 위치되고, 제2 유지 링(910b)은 원위 단부(904)와 스핀들 섹션(906)의 단부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된다. 유지 링(910a, 910b)은 결합 샤프트(908) 둘레에 환형 리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원주를 따라 다수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노치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키이형 샤프트(912)는 스핀들 섹션(906)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키이형 샤프트는 주로 스핀들 섹션(90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키이형 표면(914)은 키이형 샤프트(912)의 외부 표면의 원통형 형상을 중단시킬 수 있다. 키이형 표면(914)은 핸들 스템(10)의 콜릿(120) 내의 키이형 표면(126)과 정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사형 보어 구멍(916)은 키이형 샤프트(912) 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중심설정될 수 있으며 근위 단부(902)로 개방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저부 하우징 구성요소(80)에 대한 부착을 위한 상단 하우징 구성요소(82)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상단 하우징(82)은 저부 하우징(80)의 폭과 동일한 폭의 매끄러운 아치형 상단 표면(858)을 가질 수 있다. 대향 측벽들(846)은 상단 표면(858)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단 하우징(82)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 벽(848)은 상단 하우징(82)의 길이를 근위 단부(842)에서 원위 단부(844)에 인접하지만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3개의 길이방향 지지 벽(848)이 상단 표면(858)으로부터 평행하게 하향 연장할 수 있고 저부 하우징(80) 내의 채널 벽(830)과 정렬되도록 이격 및 크기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부(850)가 지지 벽(848)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벽(848)의 높이를 넘어 하향으로 상단 표면(858)으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850)는 추가적인 지지를 위해 탭에 의해 각각의 인접한 지지 벽(848)에 측방향으로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지지 벽(848) 및 근위 단부(842)에 인접하게 위치한 임의의 대응하는 지지부(850)는 저부 하우징(80)의 구조에 보다 잘 부합하도록 근위 단부(842)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저부 하우징(80)의 구조와 유사하게, 상단 하우징(82)의 측벽(846)은 상단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간극(852)을 그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외부 지지 벽(848)으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단부 벽(854)은 상단 하우징의 원위 단부(844)에서 지지 벽(848)의 단부를 캡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래치 핑거(856)는 단부 벽의 폭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 단부 벽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래치 핑거(856)의 포획부는 서로를 향해 내향 지향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노즐 완드 부분(8)의 행거 캡 구성요소(84)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3a 및 도 13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행거 캡(84)은 주로 타원형 기부 판(860) 및 기부 판(860)의 원위 측면(872)으로부터 연장되는 U 형상 브릿지(866)에 의해 형성된다. 브릿지 개구(868)는 브릿지(866)와 기부 판(860) 사이에 형성되며, 브릿지(866)의 다리부는 기부 판(860)의 폭만큼 넓이로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래치 핑거(862)는 기부 판(860)의 근위 측면(870)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래치 핑거(862)의 포획부는 기부 판(860)의 측방향 에지를 향해 외측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정렬 블록(864)은 기부 판(860)의 근위 측면(87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조립
다음의 설명은 도 1a의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구성요소를 조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된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방법 또는 동작 순서가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를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 스템(10)의 근위 단부(100)는 핸들 그립(20)의 원위 단부(208)에서 핸들 루멘(2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핸들 스템(10)은 베이어닛 탭(106a, 106b)이 핸들 그립(20)의 내부 표면(212) 내의 베이어닛 슬라이드 오목부(214)와 정렬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베이어닛 탭(106a, 106b)이 핸들 그립(20)의 근위 벽(206)에 도달하여 맞닿을 때, 핸들 스템(10)은 원위 단부(208) 및 핸들 그립(20)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베이어닛 탭(106a, 106b)이 핸들 그립(20)의 내부 표면(212) 내의 베이어닛 잠금 오목부(216) 내에 안착된다. 이러한 반시계 방향 회전과 동시에, 잠금 탭(110a, 110b)은 핸들 그립(20)의 원위 단부(208)에서 핸들 그립(20)의 내부 표면의 탭 슬롯(218) 내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 스템(10)의 나사부(104)가 핸들 그립(20)의 근위 단부(207)를 넘어서 핸들 루멘(210) 밖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핸들 그립(20)의 배럴(202) 내에 핸들 스템(10)이 로킹될 것이다.
커넥터 샤프트(90)는 다음에 저부 하우징(80) 내의 샤프트 링(808)에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 샤프트(90)의 결합 샤프트(908)는 스핀들 섹션(906)이 저부 하우징(80)의 샤프트 링(808)에 맞닿도록 저부 하우징(80)의 샤프트 링(808)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샤프트(908)는 샤프트 링(808) 내에 형성된 개구 내에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샤프트(90)는 기계 가공 또는 주조된 황동 피스 또는 다른 내식성 금속일 수 있고, 저부 하우징(80)은 유지 링(910a, 910b)이 저부 하우징(80)의 성형된 플라스틱 내에 커넥터 샤프트(90)를 고정하도록 결합 샤프트(908) 둘레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다.
모드 선택기 부분(6)이 다음에 조립될 수 있다. 초기에, 밸브 시트(50)는 밸브 시트(50)의 원위 측면(504) 상의 정렬 포스트(534)가 포스트 돌기(812)의 포스트 개구(814) 내에 안착되도록 저부 하우징(80)의 근위 단부(800)와 정렬될 수 있다. 밸브 시트(50)의 원위 면(525)은 저부 하우징(80)의 시트 림(806)과 높이가 일치하게 안착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분할 벽(526) 및 링 벽(524)은 저부 하우징(80)의 샤프트 링(808) 및 샤프트 링 스트럿(810)에 닿게 안착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시트(50) 상의 큰 노즐 공동(530)이 저부 하우징(80) 상의 큰 노즐 챔버(816)와 정렬되고, 밸브 시트(50)의 작은 노즐 공동(532)이 저부 하우징(80) 상의 짧은 노즐 챔버(818)와 유사하게 정렬될 것이다. 밸브 시트(50)의 원위 측면(504)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접착제 또는 다른 공지된 부착 방법에 의해 저부 하우징(8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샤프트 커넥터(90)는 근위 방향으로 밸브 시트(50) 내의 샤프트 구멍(514)을 통해 연장할 것이다.
다음에 밸브 밀봉부(60)가 밸브 시트(50)의 근위 측면(502) 상의 오목형 면(51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외부 링(604), 내부 링(602) 및 스포크(606)는 밸브 시트(50)의 밀봉 채널(516) 내에 안착되고, 따라서, 아치형 패드 각각을 둘러싼다. 밸브 밀봉부(60)는 모드 선택기 부분(6)을 통한 물 유동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밀봉부(60)는 밸브 시트(50)의 근위 측면(502) 상의 아치형 패드와 림(506)의 높이를 근위방향으로 초과하여 연장하도록 하는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원위 트림 링(72b)은 밸브 시트(50)의 외부 원주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텐트 스프링(76a, 76b)은 디텐트 플런저(74a, 74b) 내의 공동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디텐트 플런저(74a, 74b)는 그후 플런저 팁(75)이 오목한 개구(420)를 통해 연장하도록 밸브 본체(40) 내에서 각각의 디텐트 포켓(41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에, 밸브 본체(40)는 밸브 본체(40)의 외부 벽(406) 상의 키이 리지(408)가 제어 링(30)의 내부 벽(308)의 슬롯(310)과 정렬되어 그 내부에서 활주하도록 제어 링(30)의 개구(30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후, 근위 트림 링(72a)은 핸들 그립(20)의 원위 단부(208) 외부로 원위방향으로 돌출하는 핸들 스템(10)의 칼라(112) 원주방향 둘레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에, 환형 U-컵 밀봉부(58)가 환형 립(114)의 외부 표면 둘레에 배치되어 핸들 스템(10)의 칼라(112)의 단부 면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40)가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제어 링(30)은, 제어 링(30)의 근위 단부(312)가 칼라(112)의 외부 표면의 일부 상단에 안착되고 동시에, 밸브 본체(40)의 외부 벽(406)은 외부 벽(406)의 근위 면이 U-컵 밀봉부(58)에 맞닿아서 핸들 스템(10)과 밸브 본체(40) 사이에 수밀 밀봉부를 생성하도록 핸들 스템의 환형 립(114) 둘레에서 미끄러지도록 핸들 스템(10)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그후, 모드 선택기 부분(6)의 조립은 스핀들 섹션(906)이 원통형 돌기(414) 내에 안착되도록 밸브 본체(40)의 원통형 돌기(414) 내의 관통 구멍(416)을 통해 커넥터 샤프트(9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키이형 샤프트(912)는 콜릿(120)의 키이형 표면(126)이 커넥터 샤프트(90)의 키이형 샤프트(912)의 키이형 표면(914)과 정렬되도록 핸들 스템(10)의 콜릿(1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78)는 키이형 샤프트(912)의 근위 단부(902)의 나사형 블라인드 구멍(916) 내로 나사 결합될 때 핸들 스템(10)의 근위 단부(100)로부터 샤프트 루멘(11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키이형 샤프트(912)는 그 길이가 콜릿(120)의 두께와 동일 연장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류(78)의 헤드의 길이 및 크기는 스크류가 나사형 블라인드 구멍(916) 내에 완전히 체결될 때 스크류의 헤드가 콜릿(120)의 근위 단부에 맞닿아서 핸들 부분(4) 및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모드 선택기 부분(6)을 노즐 완드 부분(8)의 저부 하우징(80)에 보유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커넥터 샤프트(90)의 길이 및 모드 선택기 부분(6)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U-컵 밀봉부(58) 및 밸브 밀봉부(60)에 의해 수밀 밀봉부가 달성되는 것을 보증하기에 충분하게 스크류(78)가 구성요소를 함께 압축하면서, 여전히 밸브 시트(50)에 대한 밸브 본체(40)의 회전의 자유도를 허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노즐 완드 부분(8)의 나머지가 구성될 수 있다. 초기에 채널 커버(86a, 86b)는 긴 노즐 채널(824)과 짧은 노즐 채널(828) 각각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채널 커버(86a, 86b)는 수밀 밀봉부를 생성하기 위해 노즐 채널(824, 828)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수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채널 커버(86a, 86b)를 커버 선반부(832a, 832b)에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단 채널 커버가 제자리에 배치되면, 측벽 트림 피스(88a, 88b) 각각의 저부 에지가 채널 벽(830)과 측벽(838) 각각 사이의 간극(840) 내에 안착되도록 측벽 트림(88a, 88b)이 저부 하우징(80)의 측벽(838)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단 하우징(82)이 저부 하우징(80)의 상단에 배치되어 측벽 트림 피스(88a, 88b)의 상단 에지가 상단 하우징(82)의 측벽(846)과 지지 벽(848) 사이의 간극(852)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단 하우징(82)이 저부 하우징(80) 상에 배치되고, 지지부(850)는 채널 커버(86a, 86b)를 제 위치에 추가로 유지하기 위해 채널 커버(86a, 86b)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상단 하우징(82), 측벽 트림 피스(88a, 88b) 및 저부 하우징(80)은 그후 모두 예를 들어 접착제로 또는 구성요소를 함께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전이 커버의 근위 단부(702)가 밸브 시트(50)를 둘러싸는 원위 트림 링(72b)에 맞닿을 때까지 전이 커버(70)는 그 원위 단부에서 조립된 하우징(80, 82) 위에 놓여지고 하우징(80, 82)의 길이를 따라 미끄러진다. 전이 커버(70)를 저부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클립 탭(710a, 710b)은 저부 하우징(80)의 환형 립(804)에 인접한 연결 구조(805)의 대응하는 클립 래치(834)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전이 커버의 원위 단부(704)는 모드 선택기 부분(6)으로부터 노즐 완드 부분(8)으로의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82)의 근위 단부(842) 위로 그리고 저부 하우징의 기부 벽(836)을 따라 연장한다.
최종적으로 행거 캡이 상단 및 저부 하우징(82, 80)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다. 행거 캡의 기부 판(860) 상의 래치 핑거(862)는 상단 하우징의 단부 벽(854) 상의 대응 래치 핑거(856)와 결합할 수 있다. 행거 캡의 기부 판(860)으로부터 연장하는 정렬 블록(864)은 행거 캡(84)이 하우징(80, 82)의 단부 상에서 위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82)의 상단 표면(858) 및 저부 하우징(80)의 기부 벽(836)에 대해 안착될 수 있다.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작동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모드 선택기 부분(6)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다수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모드 선택기(6)의 작동은 노즐의 상이한 그룹화를 통해 물 유동을 작동시킬 수 있고, 노즐 완드 부분(8)을 통한 물 유동의 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비 단계로서, 사용자는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를 위한 핸들 부분(4)을 물 공급원에 부착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물 공급원에 연결된 호스는 핸들 스템(10)의 나사부(104)에 나사 결합될 것이다. 그후, 물은 핸들 스템의 샤프트 루멘(118)을 통해 그리고 아치형 통로(128)를 통해 핸들 스템의 원위 단부(101)의 콜릿(120) 주위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물은 밸브 본체(40)의 근위 단부(402)를 만날 것이며 밸브 본체(40)의 회전 배향에 관계 없이 밸브 본체(40)의 기부 벽(412)의 아치형 구멍(422)에 도달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40)의 기부 벽(412)의 원위 측면(404)은 밸브 시트(50)의 근위 측면(502) 상의 밀봉 채널(516) 내에 장착된 밸브 밀봉부(60)에 안착된다.
사용자가 제어 링(3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밸브 본체(40)의 키이 리지(408)와 제어 링(30)의 슬롯(310) 사이의 내부 면은 밸브 본체의 원위 측면(404) 상의 기부 벽(412)을 밸브 시트(50)의 근위 측면(502)에 대해 회전시켜 밸브 시트(50)의 다양한 개구에 대해 아치형 구멍(422)을 다양하게 정렬시킨다. 예를 들어, 아치형 구멍(422)이 작은 아치형 패드(510a)와 정렬되도록 밸브 본체(40)가 회전되면, 이때 물은 아치형 구멍(422)을 통해, 트리클 구멍(522a)을 통해 밸브 시트(50)의 원위 측면(404) 상의 큰 노즐 공동(530) 내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저부 하우징(80) 내의 긴 노즐 챔버(816)를 통과하여 긴 노즐 채널 내로 흐를 것이다. 대안적으로, 밸브 본체가 이전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되면, 아치형 구멍(422)은 대향하는 작은 아치형 패드(510b) 위에 안착될 것이며, 물은 트리클 구멍(522b)을 통해 밸브 시트의 원위 측면(504) 상의 작은 노즐 공동(532) 내로 그리고 그후, 저부 하우징(80) 내의 짧은 노즐 챔버(818)를 통해 궁극적으로 짧은 노즐 채널(828)에 도달하도록 흐른다. 트리클 구멍(522a, 522b)을 통한 유체 유동은 매우 낮은 체적, 낮은 압력의 유동이다. 제1 트리클 구멍(522a)을 통한 유동은 궁극적으로 노즐 완드(8) 상의 큰 노즐 어레이(822)의 노즐을 통해 빠져나올 것이다. 유사하게, 제2 트리클 구멍(522b)을 통해 흐르는 물은 결국 노즐 완드(8) 상의 짧은 노즐 어레이(826)의 노즐을 통해 흐를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텐트 플런저(74a, 74b)의 플런저 팁(75)은 밸브 본체의 아치형 구멍(422)이 작은 아치형 패드(510a, 510b)와 직접 정렬될 때 핸들 스템(10)의 환형 립(114) 내의 플런저 오목부(116a, 116b)에 안착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런저 오목부(116a, 116b)는 트리클 모드 이외의 상이한 유동 모드를 나타내기 위해 환형 립의 원주 둘레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2개 초과의 플런저 오목부가 환형 립(114) 상에 제공되어 플런저 오목부에 진입하고 빠져 나가는 디텐트 플런저(74a, 74b)의 촉각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른 유동 모드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낸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디텐트 플런저가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다양한 유동 모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 중 어느 하나 위로 밸브 본체(40)의 아치형 구멍(422)을 이동시키도록 제어 링(30)을 회전시키면, 상이한 체적 및 압력을 갖는 상이한 스프레이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링(30)이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의 근위 단부로부터 고려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아치형 구멍(422)은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 상의 경사진 채널(520a, 520b) 위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공차가 엄격하다면, 하나로부터 다른 것으로 이동할 때 밸브 본체(40)의 기부 벽(412)은 작은 아치형 패드(510a, 510b) 및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 양자 모두에 대해 가압하여 아치형 구멍(422)이 큰 아치형 패드(508a, 508b)를 가로질러 이동하기 시작할 때 경사진 채널(520a, 520b) 내로의 물 유동 이외에는 물 유동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
언급한 바와 같이, 경사진 채널(520a, 520b)은 매우 얕게 시작하고,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궁극적으로 아치형 포트(518a, 518b)로 연장됨에 따라 더 깊어지게 된다. 아치형 구멍(422)이 경사진 채널(520a, 520b)의 작은 부분만을 덮을 때, 매우 낮은 체적 및 낮은 압력의 유동이 경사진 채널(520a, 520b)로 들어가 궁극적으로 아치형 포트(518a, 518b)에 진입하여 노즐 완드 부분(8)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치형 구멍(422)이 시계 방향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경사진 채널(520a, 520b)의 더 큰 깊이는 아치형 포트(518a, 518b) 내로의 물 유동이 점진적 또는 증가된 용적을 허용할 것이다. 또한, 아치형 포트(518a, 518b)를 지나치는 대신 아치형 구멍(422)을 따라서, 더욱 더 많은 양의 물이 아치형 포트(518a, 518b) 내로 통과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아치형 구멍(422)이 각각의 아치형 포트(518a, 518b)의 바로 위에 안착되고 각각의 아치형 포트(518a, 518b)와 동일 범위로 연장할 때, 노즐 완드 부분(8) 내로의 가장 큰 체적의 유체 유동이 달성될 것이다.
따라서, 밸브 본체(40)의 아치형 구멍(422)이 경사진 채널(520a) 및 큰 아치형 패드(508a)의 아치형 포트(518a) 위에 배열될 때, 유체 유동은 밸브 시트(50)의 원위 측면(504) 상의 큰 노즐 공동(530)에 진입하고, 그후 저부 하우징 내의 긴 노즐 챔버(816)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노즐 부분(815) 내의 긴 노즐 채널(824)로 흐를 것이다. 대안적으로, 밸브 본체(40)의 아치형 구멍(422)이 밸브 시트(50) 상의 큰 아치형 패드(508b)의 아치형 포트(518b) 및 경사진 채널(520b) 위에 안착될 때, 유체 유동은 밸브 시트의 원위 측면(508) 상의 작은 노즐 공동(532)에 진입하여 최종적으로 짧은 노즐 챔버(818)를 통해 노즐 부분(815)의 짧은 노즐 채널(828) 내로 이동한다.
도 1e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2)의 노즐 부분(815) 상의 긴 노즐 어레이(822)는 노즐 부분(815) 상의 짧은 노즐 어레이(826)의 길이의 약 2 배일 수 있고, 노즐 어레이(822, 826) 양자는 선형 형태로 배열되어 애완 동물을 더 잘 목욕시키거나 세척하도록 원호 스프레이 패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노즐 완드 부분(8)의 아치형 형상은 편리하게 개의 등 위로 물을 지향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큰 개를 갖는 경우, 사용자는 긴 노즐 채널(824)을 통해 유동을 안내하도록 선택하여 긴 노즐 어레이(822)를 통해 유동하도록 스프레이를 제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작은 애완 동물을 갖는 경우, 사용자는 짧은 노즐 챔버(818)를 통한 유체 유동을 선택하여 짧은 노즐 어레이(826)를 통해 유체 스프레이를 지향시키기 위해 제어 링(3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 유체 공급은 중단될 수 있고,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는 행거 캡(84)의 브릿지(866)를 후크, 못 또는 다른 편리한 지지 구조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편리하게 걸려질 수 있다.
모든 방향 참조(예를 들어, 근위, 원위, 상부, 하부, 상향, 하향, 좌측,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전방, 후방, 상단, 저부, 위, 아래, 수직, 수평, 반경방향, 축방향,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는 특히 본 발명의 위치, 배향 또는 사용에 대하여, 본 발명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연결 참조(예를 들어, 부착, 커플링, 연결 및 결합)는 광범위하게 해석되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요소 집합 사이의 중간 부재 및 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참조는 반드시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고정된 관계에 있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도면은 설명의 목적일 뿐이며 첨부 도면에 반영된 치수, 위치, 순서 및 상대적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상기 명세서, 예 및 데이터는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청구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특정 특이도 정도로 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숙련자는 청구된 발명의 기술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대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가 고려된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특정 실시예에 대한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고, 제한적이지 않다. 다음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기본 요소를 벗어나지 않고 세부 사항 또는 구조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8)

  1. 핸드헬드 분무기이며,
    물 공급 커넥터,
    물 공급 커넥터를 수용하는 핸들,
    핸들에 부착된 모드 제어 액추에이터,
    물 공급 커넥터와 유체 연결되고 모드 제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절되는 밸브, 및
    세장형 노즐 완드로서, 아치형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와 유체 연통하며, 세장형 노즐 완드의 길이를 따라 2개의 선형 노즐 어레이를 제공하는, 세장형 노즐 완드를 포함하고,
    밸브는 일정한 저 유동 모드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유동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선형 노즐 어레이 중 제1 선형 노즐 어레이로 물 유동을 통과시키고,
    밸브는 일정한 저 유동 모드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유동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선형 노즐 어레이를 제외하고, 선형 노즐 어레이 중 제2 선형 노즐 어레이로 물 유동을 통과시키는, 핸드헬드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는
    물 공급 커넥터와 세장형 노즐 완드 사이에 위치하여 그 표면에 포트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 및
    세장형 노즐 완드의 기부에 맞닿아 위치되고 제1 선형 노즐 어레이와 유체 연통하는 제1 개구 및 제2 선형 노즐 어레이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개구를 형성하는 밸브 시트를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3. 제2항에 있어서, 밸브 본체는 공통 중심 축을 중심으로 밸브 시트에 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4. 제2항에 있어서, 모드 제어 액추에이터는
    밸브 본체 위에 안착되고 그 내부 표면 상에 키이 피처를 형성하는 제어 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밸브 본체는 대향하는 키이 피처를 더 형성하고, 대향하는 키이 피처는 밸브 본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어 링 및 밸브 본체가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제어 링 내의 키이 피처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5. 제1항에 있어서, 세장형 노즐 완드에 연결된 제1 단부, 밸브 및 모드 제어 액추에이터를 통과하는 중간 섹션, 및 물 공급 커넥터에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커넥터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6. 제2항에 있어서, 세장형 노즐 완드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밸브를 관통하는 중간 섹션을 갖는 커넥터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밸브 시트는
    커넥터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 개구, 및
    세장형 노즐 완드의 기부 상의 대향 인터페이스 피처와 인터로킹되는 인터페이스 피처를 추가로 포함하고,
    인터로킹 인터페이스 피처와 커넥터 샤프트 및 중심 개구의 인터페이스의 조합은 세장형 노즐 완드에 대한 밸브 시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7.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시트는 밸브 본체를 향하는 그 표면에 제1 오목형 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1 오목형 채널은 제1 개구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제1 개구의 에지와 유체 연통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오목형 채널은 깊이가 점진적이고, 제1 개구의 에지로부터 원위의 얕은 단부로부터 제1 개구의 에지 근위의 깊은 단부까지 연장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9. 제7항에 있어서, 밸브 시트는 밸브 본체를 향하는 그 표면에 제2 오목형 채널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2 오목형 채널은 제1 개구의 에지로부터 연장하고 그와 유체 연통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오목형 채널은 깊이가 점진적이고, 제2 개구의 에지로부터 원위의 얕은 단부로부터 제2 개구의 에지에 근위의 깊은 단부까지 연장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11.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시트는 제1 선형 노즐 어레이와 유체 연통하는 제1 트리클 구멍 및 제2 선형 노즐 어레이와 유체 연통하는 제2 트리클 구멍을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트리클 구멍 각각은 제1 및 제2 개구 사이에 위치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13. 제11항에 있어서, 밸브 본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주연 경계 주위에 유밀 밀봉부를 제공하고 제1 및 제2 개구 모두와 제1 및 제2 트리클 구멍을 서로 분리시키는 유밀 밀봉부를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14. 제2항에 있어서, 밸브 본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주연 경계 주위에 유밀 밀봉부를 제공하고 그리고 제1 및 제2 개구 사이에 유밀 밀봉부를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헬드 분무기.
  15. 제11항에 있어서, 포트는 제1 개구와 포트 및 제1 트리클 구멍 사이의 유체 연통을 동시에 허용하도록 그리고 추가로 제2 개구와 포트 및 제2 트리클 구멍 사이의 유체 연통을 동시에 허용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밸브 본체 내에 위치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16. 제13항에 있어서, 포트는 제1 개구와 포트 및 제1 트리클 구멍 사이의 유체 연통을 동시에 허용하도록 그리고 추가로 제2 개구와 포트 및 제2 트리클 구멍 사이의 유체 연통을 동시에 허용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밸브 본체 내에 위치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17. 제1항에 있어서, 노즐의 제1 선형 어레이의 길이는 노즐의 제2 선형 어레이의 길이 보다 긴, 핸드헬드 분무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노즐의 제2 선형 어레이는 노즐의 제1 선형 어레이보다 밸브에 인접한 세장형 노즐 완드의 근위 단부로부터 더 원위에서 시작되는, 핸드헬드 분무기.
KR1020187025028A 2016-02-01 2017-02-01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 KR102091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89855P 2016-02-01 2016-02-01
US62/289,855 2016-02-01
PCT/US2017/016105 WO2017136484A1 (en) 2016-02-01 2017-02-01 Handheld pet spray w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609A true KR20180101609A (ko) 2018-09-12
KR102091510B1 KR102091510B1 (ko) 2020-03-20

Family

ID=6359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028A KR102091510B1 (ko) 2016-02-01 2017-02-01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7416A (ja) * 2009-03-10 2010-09-24 Inax Corp シャワー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7416A (ja) * 2009-03-10 2010-09-24 Inax Corp シャワー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510B1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1155B1 (en) Handheld pet spray wand
US11878314B2 (en) Multi-function sprayhead
US8573512B2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EP3677219B1 (en) Oral irrigator with tip release assembly
US8632023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showerhead control
US20100276020A1 (en) Shower rod assembly
CA2995439C (en) Improved sprinkler structure
KR20180101609A (ko) 핸드헬드 애완 동물 스프레이 완드
EP2813292B1 (en) Showerhead with detachable top cover
CA2708454C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TWI842263B (zh) 具沖牙裝置之蓮蓬頭結構
EP3248689A1 (en) Spray head
EP3542907B1 (en) Sprinkler structure
US10807107B2 (en) Control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water volume and controlling water supply
EP3553354A1 (en) Control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water volume and controlling water supply
JPH0539661U (ja) 多機能シヤワーヘツド
CN116174181A (zh) 一种设置喷枪的手持花洒
JP2020025609A (ja) シャワーヘッド装置
TWM546850U (zh) 彎嘴式噴頭
JPH0539660U (ja) 多機能シヤワーヘツド
JPH0539662U (ja) 多機能シヤワーヘツド
CA2930678A1 (en) Spray head
JPH0622711B2 (ja) シヤワ・ヘツド
JPH0539665U (ja) マツサージシヤワーヘツド
JPH0539664U (ja) マツサージシヤワー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