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071A -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071A
KR20180101071A KR1020170027828A KR20170027828A KR20180101071A KR 20180101071 A KR20180101071 A KR 20180101071A KR 1020170027828 A KR1020170027828 A KR 1020170027828A KR 20170027828 A KR20170027828 A KR 20170027828A KR 20180101071 A KR20180101071 A KR 2018010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time
management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071A/en
Publication of KR2018010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0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the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allowing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safety of a delivery man to generate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a sequence of delivering a product,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of the product, a step of allowing a delivery control terminal to generat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elivery of the product is completed and provid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o a delivery man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and a step of allowing the delivery man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to check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and the reception of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Description

배송원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method,

본 개시는 물류 배송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류를 배송하는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logistics deliver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security of a delivery source delivering a logistics.

배송원의 실시간 위치추적을 위해 배송원이 배달 중에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GPS 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실시간 위치추적을 위해서는 단말 장치와 서버 사이에 계속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서버의 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서버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제한된 자원을 가지는 단말 장치의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track the real-time location of a delivery source, it is a common method to install a GPS module in a terminal device used by the delivery person during delivery. In order to track real-time location, continuou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ust be perform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periodically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battery of the terminal device having limited resources is consumed quickly.

또한, 배송원의 배달 환경의 특성상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예: 아파트, 빌딩 등)도 포함될 수 있는데, 배송원의 사고가 실내에서 발생하였다면 배송원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very environment of the delivery source, it is possible to include not only outdoor but also indoor (for example, apartment, building, etc.). However, if the delivery source accident occurs indoors, .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단말 장치와 서버의 통신에 의한 자원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배송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ccurately checking the position of a delivery source while minimizing use of resources by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또한, 본 개시는 배송원이 위치한 다양한 환경에서도 배송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also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grasping the location of a delivery source in various environments where a delivery source is located.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subject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to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배송 관리 단말이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배송완료 정보를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과,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ispatcher can be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distribution route information including a sequence of delivering a deliverable article,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of delivering the deliverable article to a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And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and a step in which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transmits the delivery schedule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배송원 안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원의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와,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경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완료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배송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할 수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ystem for managing source security can be provided. The system generates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delivery information on a delivery item, an order of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nd confirms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delivery source The delivery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from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and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to generat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elivery of the delivery product is completed, And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can confirm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scheduled delivery time and whether or not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manages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delivery information for a deliverable item, an order of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Receiving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elivery of the delivery item is completed; and confi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and whether or not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배송 정보 관리부와, 상기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경로 정보 관리부와,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관리하는 배송완료 정보 관리부와,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배송안전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erver apparatus for managing security of a delivery source can be provided. The apparatus includes a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nd managing delivery information for a delivery item, a delivery path for generating delivery path information including a delivery order time, a delivery scheduled time,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elivery of the deliverable item is completed, provided from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and a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confi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livery scheduled time, And a shipping safety management unit.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features briefly summarized above for this disclosure are only exemplary aspec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which follow,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disclosure.

본 개시에 따르면, 서버와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자원을 최소로 사용하면서 배송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source while minimizing the communication resources between the server and the terminal device.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배송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 location of a delivery source in various environments.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배송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송원의 위치 확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hip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A and 2B are signal flow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hip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ource securit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ocating a delivery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May also be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another element, it is meant to include not only excluding another element but also another element .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elements, etc.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us,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intended to clearly illustrate each featur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components are separate.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a singl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into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us, unless otherwise noted,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Thus, embodiments consisting of a subset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embodiments that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배송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안전 관리 시스템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 및 배송 관리 단말(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와 배송 관리 단말(3)은 유무선 통신망(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hip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 a ship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and a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The management terminal 3 can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배송 물품(예, 등기, 소포 등)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배송 정보는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에 연결되는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키보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The shipping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stores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recipient information (e.g.,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And the like. The delivery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barcode scanner, an RFID reader, a keyboard, or the like, which is connected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전술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 정보를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배송 순서, 배송 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배송경로 정보는 배송 관리 단말(3) 별로 분류하여 생성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delivery informatio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generate and manage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livery order and the estimated delivery time of the deliverable item based on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classifying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로 배송 정보, 및 배송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로부터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고,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를 수신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완료 정보는 배송 물품, 수신 확인 표시자(예, 수령자 서명 등), 물품 수령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transmit the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 The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receive and stor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and can receive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 Her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delivery item, an acknowledgment indicator (e.g., a recipient signature), an item receipt time, and the like.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 별로 관리되는 배송경로 정보를 배송완료 정보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배송 정보에 대응되는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되기 전까지 해당 물품을 배송중 상태로 설정하고, 배송 정보에 대응되는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물품을 배송 완료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물품의 목적지 주소를 반영하여 배송 관리 단말(3)의 최종 위치를 갱신하거나, 배송 관리 단말(3)로부터 배송완료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를 배송 관리 단말(3)의 최종 위치로 갱신할 수 있다.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manage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naged for each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by linking with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sets the article to the delivery status until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path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information Upon receipt, the article can be updated to the delivery complete state. Then, it updates the final posi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by reflecting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article,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3).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을 소유하는 배송원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임계치의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임계치의 시간을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 관리 단말(3)로 응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 관리 단말(3)의 최종 위치를 고려하여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다른 배송원이 소유하는 배송 관리 단말(3)로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 정보 추정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4 및 이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perform an operation for confirming the safety of the delivery source that owns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 Fo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confirms whether the delivery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and, even if the delivery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f the comple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t is possible to send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estim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posi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when a response is not received from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owned by another delivery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lo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esti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related description.

한편,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부터 배송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배송경로 정보를 배송 관리 단말(3)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receive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from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and can display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provided in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배송 물품의 배송 순서에 맞게, 대응되는 배송 정보, 예를 들어,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배송 물품(예, 등기, 소포 등)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 등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원은 배송 물품을 수령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물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관리 단말(3)에는 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연결 또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배송 물품에 구비 또는 부착된 바코드, RFID tag,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배송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나아가,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되며 현재 배송 물품에 대응되는 배송 정보와, 입력 장치를 통해 읽어들인 배송 정보를 비교하고, 전술한 두 배송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acquires th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order of the delivery item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ticle,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ticle (e.g., registr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and recipient information (e.g., name, contact, etc.). Accordingly, the delivery source can deliver the delivery item to the recipient, and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can provide a means fo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delivery item.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code scanner, an RFID reader, a keyboard,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and a barcode, an RFID tag, a character, etc. Can be read. Further, the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3 compares the ship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with the shi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elivery item, and the shipping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displays whether the two pieces of the delivery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

그리고, 배송 관리 단말(3)은 물품 전달의 인증을 위해 수령자로부터 수신 확인 표시자(예, 수령자 서명 등)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배송 관리 단말(3)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령자의 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서명 입력창을 제공하고, 수령자의 서명을 입력받아 이미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Then,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receive an acknowledgment indicator (e.g., a recipient signature) from the recipient for authentication of article delivery. For example,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may provide a signature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signature of the recipient through a display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may receive and store the signature of the recipient and store and manage the signature.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와 수령자의 서명을 이미지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generat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btained by imag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ticle and the signature of the recipient.

또한, 배송 관리 단말(3)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예, GPS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배송완료 정보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위치정보는 고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may include a device for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GPS,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ltitude information.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부터 응답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진동 모터, 스피커, 램프 등을 이용한 알람을 생성하고,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응답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배송원으로부터 응답 창을 통한 응답이 입력됨에 따라,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receive a response request from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and generates an alarm using a vibration motor, a speaker, a lamp, and the like, . As the response from the delivery source via the response window is input,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2A and 2B are signal flow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hip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우선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배송 물품(예, 등기, 소포 등)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S201). 여기서, 배송 정보는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에 연결되는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키보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2A and 2B, the shipping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receives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postal code, etc.) of the item to be delivered, the item to be delivered And may generate and store delivery information including person information (e.g., name, contact, etc.) (S201). Here, the delivery information can be inputted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barcode scanner, an RFID reader, a keyboard, etc., which is connected to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1.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을 소지하는 배송원의 관할 지역 등을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를 고려하여 배송 정보를 배송 관리 단말(3)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 별로 할당된 배송 정보를 대응되는 배송 관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S202).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sends the delivery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of the delivery article on the basis of the delivery area of the delivery source having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And can be assign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3. The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can provide the delivery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s 3 to the corresponding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S202).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전술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 정보를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배송 순서, 배송 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S203). 나아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을 소지하는 배송원의 이동 수단(예, 이륜차, 자동차 등), 도로 상태, 교통 상황 정보 등을 반영하여 배송경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Based on the above-described delivery informatio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may generate and store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livery order and the estimated delivery time of the deliverable item based on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 S203). Further,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set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reflecting the delivery means of the delivery origin (e.g., a motorcycle, a car, etc.) carrying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road conditions, have.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경로 정보를 배송 관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S204).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provide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S204).

이에 대응하여,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부터 수신한 배송 정보 및 배송경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배송 관리 단말(3)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205). 그리고, 배송 관리 단말(3)을 소지하는 배송원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배송 정보 및 배송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배송 물품을 수령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물품을 수령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6). Corresponding to this,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store the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and can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provided in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 S205). The delivery source holding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refer to the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deliver the corresponding delivery item to the recipient.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o the recipient can be generated (S206).

구체적으로,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배송 물품의 배송 순서에 맞게, 대응되는 배송 정보, 예를 들어,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배송 물품(예, 등기, 소포 등)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 등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배송원은 배송 물품을 수령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물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관리 단말(3)에는 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연결 또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배송 물품에 구비 또는 부착된 바코드, RFID tag,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배송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나아가,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되며 현재 배송 물품에 대응되는 배송 정보와, 입력 장치를 통해 읽어들인 배송 정보를 비교하고, 전술한 두 배송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acquires th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order of the delivery item,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item, the delivery item (e.g., registration, parcels, etc.)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recipient information (e.g., name, contact, etc.). Reflecting this, the delivery source can deliver the delivery item to the recipient, and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can provide a mean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delivery item.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code scanner, an RFID reader, a keyboard,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and a barcode, an RFID tag, a character, etc. Can be read. Further, the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3 compares the ship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with the shi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elivery item, and the shipping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displays whether the two pieces of the delivery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

또한, 배송 관리 단말(3)은 물품 전달의 인증을 위해 수령자로부터 수신 확인 표시자(예, 수령자 서명 등)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배송 관리 단말(3)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령자의 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서명 입력창을 제공하고, 수령자의 서명을 입력받아 이미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Furthe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receive an acknowledgment indicator (e.g., a recipient signature) from the recipient for authentication of article delivery. For example,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may provide a signature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signature of the recipient through a display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may receive and store the signature of the recipient and store and manage the signature.

이에 따라,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와 수령자의 서명을 이미지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배송 관리 단말(3)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수령자의 서명을 이미지화한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generat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ticle and the signature of the recipient. At this time,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an generat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ticle, the information obtained by imaging the sign of the recipie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나아가, 배송 관리 단말(3)은 GPS 등과 같은 위치정보 확인장치를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배송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를 사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checking device such as GPS or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have.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완료 정보를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S207). 그리고,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S208), 배송완료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의 최종 위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transmit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S207). The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receives and stores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S208), and updates the final posi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by confirm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전술한 S206 내지 S208 단계는 배송완료 이벤트의 발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송완료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전술한 S206 내지 S208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배송완료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전술한 S206 내지 S208 단계는 진행되지 않고 스킵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eps S206 to S208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occurrence of 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In other words, when 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is generated, the above-described steps S206 to S208 may be performed, and if 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is not generated, the above-described steps S206 to S208 may not be performed and may be skipped.

상기 배송완료 이벤트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배송 물품이 선택되거나, 입력 장치를 통해 배송 물품에 구비 또는 부착된 바코드, RFID tag,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배송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may be generated when a delivery item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is selected or delivery information composed of a barcode, an RFID tag, a character, or the like, which is provided or attached to the delivery item through the input device, is input.

도 2b를 참조하면,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이 기초하여 배송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S209). 구체적으로,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에 도달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이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2B,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may process an operation of confirming a delivery status based on a scheduled delivery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path information (S209). Specifically, whe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reaches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starts the operation of counting the time, and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로 응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210). If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despite the counted tim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may transmit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S210).

배송 관리 단말(3)이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부터 응답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배송 관리 단말(3)은 진동 모터, 스피커, 램프 등을 이용한 알람을 생성하고,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응답 창을 제공할 수 있다(S211). As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receives a response request from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generates an alarm using a vibration motor, a speaker, a lamp, and the like, A response window may be provided (S211).

배송원으로부터 응답 창을 통한 응답이 입력됨에 따라(S212), 배송 관리 단말(3)은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13). Upon receiving a response via the response window from the delivery source (S212),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can transmit a response signal to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1 (S213).

전술한 S212 및 S213 단계는 응답입력 이벤트의 발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응답입력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전술한 S212 및 S213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응답입력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전술한 S212 및 S213 단계는 진행되지 않고 스킵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eps S212 and S213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generation of the response input event. In other words, when the response input event is generated, steps S212 and S213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and if the response input event is not generated, steps S212 and S213 described above can be skipped without proceeding.

한편,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S214). 예를 들어,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로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 비상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 비상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may process an operation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S214). Fo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starts counting time from the time when a respons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and when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an emergency time threshold) Is exceeded.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despite the counted tim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e.g., the emergency time threshold),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can determine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을 확인함에 따라,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의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배송 관리 단말(3)과의 통신을 통해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Upon confirm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can process the operation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Fo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check the f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or confir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와, 긴급 상황을 표시하는 알림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다른 배송 관리 단말(3), 즉,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근접하게 위치한 다른 배송 관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provide the manag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through display or the like. As anothe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1 may generate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and an alert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 the emergency message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3, To another distribution management terminal 3 that is located close to the other distribution management terminal 3, that is,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이때, 배송 안전 관리 서버 장치(1)는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경도, 주소, 교차로 명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건물명, 주소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배송 관리 단말(3)의 고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예상 층수, 실내 지도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1 can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whethe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For example, when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is located outdoor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a longitude, an address, and an intersection name may be provided. When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is located indoors, it can provide a name of a building, address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further provides an expected number of floors and indoor map data based on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3 You may.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ource securit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은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method can be performed by a server device or the like that manages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S301 단계에서는,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배송 물품(예, 등기, 소포 등)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정보는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에 연결되는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키보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In step S301, th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destin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item,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postal code) of the delivery item (e.g., registration, parcel etc.), recipi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Here, the delivery information can be input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barcode scanner, an RFID reader, a keyboard, etc., connected to a server device that manages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S302 단계에서는, 배송원의 관할 지역 등을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를 고려하여 배송 정보가 배송원(또는 배송원이 소지하는 배송 관리 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배송원(또는 배송원이 소지하는 배송 관리 단말)에 할당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 정보를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배송 순서, 배송 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배송경로 정보는 배송원의 이동 수단(예, 이륜차, 자동차 등), 도로 상태, 교통 상황 정보 등을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S302,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is allocated to the delivery source (o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postal code, etc.) . Then, on the basis of the delivery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livery source (o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perso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livery order of the deliverable item and the estimated delivery time, based on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y be set reflecting the moving means of the delivery origin (e.g., a two-wheeled vehicle, a car, etc.), road conditions,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원이 소지한 배송 관리 단말에 의해 발생되는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배송완료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S303). 그리고, 배송완료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제공된 배송완료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S304). 여기서, 배송완료 정보는 물품의 식별정보, 수령자의 서명을 이미지화한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receiv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source.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generate 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upon receiving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S303). Upon completion of 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can be confirmed and stored and managed (S304). Her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information obtained by imaging the sign of the recipient, and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304 단계에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원이 소지한 배송 관리 단말의 최종 위치를 배송완료 정보를 포함된 위치정보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In step S304,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update the final posi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source by upd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전술한 S303 및 S304 단계는 배송완료 정보 수신에 대응한 배송완료 이벤트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S303 및 S304 단계는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steps S303 and S304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elivery comple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so that steps S303 and S304 may not be processed if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한편,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이 기초하여 배송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S305). S305 단계에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에 도달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이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process the operation of confirming the delivery status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path information (S305). In step S305, when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reaches the delivery scheduled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the server device starts counting the time, and the counted time is set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Check if it exceeds.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응답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S306).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로 응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07). If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even though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response request event may be generated (S306). The server apparatus managing the safe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transmit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S307).

S308 단계에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308,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S309 단계에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비상상황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S309, the server apparatus managing the safe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confirm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구체적으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 비상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 비상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rver apparatus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origin starts counting time from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request, and confirms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an emergency time threshold).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despite the counted time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emergency time threshold),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determine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을 확인함에 따라,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배송 관리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By confirming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handle the operation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For example,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afe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confirm the f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or confir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나아가, S309 단계에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와, 긴급 상황을 표시하는 알림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다른 배송 관리 단말, 즉,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근접하게 위치한 다른 배송 관리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in step S309,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to the manager through display or the like.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device for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may generate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the notification indic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 the emergency message to another delivery Or may be provided to another management terminal located close to the management terminal, that i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전술한 S301 내지 S309 단계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모든 물품에 대한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S310). Steps S301 to S309 described above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for all the items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S310).

전술한 비상상황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S308)에 포함되는 배송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배송원의 특성상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이동하므로,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A method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source included in the step (S308) of confirming occurrence of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situation is exemplifi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delivery source, it is required to be able to accurately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since it is mov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이하, 전술한 비상상황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S308)에 포함되는 배송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sourc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308) of confirm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송원의 위치 확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ocating a delivery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01). 예를 들어,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환경을 확인하는 요청을 전송하고, 배송 관리 단말은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배송 관리 단말은 GPS 신호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confirm whether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S401). For example, a server device that manages the security of a delivery source can transmit a request to confirm the environment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and can confirm whether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can receive the GPS signal. The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can confirm whethe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GPS signal.

배송 관리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S401-아니오), 배송 관리 단말은 GPS 신호를 기반으로 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정보를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402). I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outdoors (S401-N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GPS signal, and transmits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In response to this, the server apparatus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confirm the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S402).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S401-예),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한다(S403). I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S401-Yes),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delivery source's safety confirms the f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S403).

그리고,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를 확인하고, 상기 최종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목적지 주소 정보를 갖는 배송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404).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hecks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final position information Can be detected (S404).

다음으로,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배송 관리 단말로 배송 관리 단말의 현재 고도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S405). Next, the server device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requests the current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to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and receives the altitude information (S405).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는 S404 단계에서 확인된 배송 정보 중에서, S405 단계에서 확인된 고도 정보에 대응되는 배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406). 예를 들어, S404 단계에서 확인된 배송 정보 중에서, S405 단계에서 확인된 고도 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건물의 층수를 확인하고, 해당 층수 이상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갖는 배송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In step S406, the server apparatus managing the security of the delivery source can confirm th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 S405, from among the delivery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 S404. For example, from the delivery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 S404, the number of buildings calculated by the altitude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 S405 can be checked, and the delivery information having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layers can be detected.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는 배송 정보 관리부(501), 배송원 정보 관리부(502), 배송경로 정보 관리부(503), 배송완료 정보 관리부(504), 위치 확인부(505), 배송안전 관리부(506), 디스플레이부(507), 입력장치(508), 및 통신부(509)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includes a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1, a delivery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2, a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3, a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4,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505, A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a display unit 507, an input device 508, and a communication unit 509. [

배송 정보 관리부(501)는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배송 물품(예, 등기, 소포 등)의 종류, 배송 물품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1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elivery item, a type of a delivery item (e.g., registration, parcel, etc.),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item (e.g., address, postal code, Contact information, etc.).

예를 들어, 배송 정보 관리부(501)는 바코드 스캐너, RFID 리더기, OCR 판독기,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508)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배송 물품에 구비 또는 부착된 바코드, RFID tag, 문자 등으로부터, 배송 물품의 종류, 배송 물품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 받는 사람 정보(예, 이름, 연락처 등)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정보 관리부(5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정보를 배송 물품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배송 물품의 식별번호 단위로 배송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1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508 such as a barcode scanner, an RFID reader, an OCR reader, a keyboard, and the lik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zip code, etc.) of recipient, recipient information (e.g., name, contact, etc.), and the like. Then, the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1 can assign the information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elivery item, and manage the delivery information in units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elivery item.

배송원 정보 관리부(502)는 배송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배송원 정보는 배송원의 식별정보(예, ID), 배송원의 관할 지역 정보, 배송원이 소지하는 단말장치의 식별 정보(MAC 주소, 전화 번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livery 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2 can store and manage delivery source information. The delivery source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D) of the delivery source, local area information of the delivery sour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C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of the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delivery source.

배송경로 정보 관리부(502)는 배송원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배송 정보를 배송원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원의 관할 지역 등을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목적지 주소 정보(예, 주소, 우편 번호 등)를 고려하여 배송 정보를 배송원(또는 배송원이 소지하는 배송 관리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The delivery pa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2 can assign the above-described delivery information to the delivery source based on the delivery sour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is allocated to the delivery source (o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aving the delivery source) considering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e.g., address, postal code, etc.) can do.

그리고, 배송경로 정보 관리부(503)는 배송원(또는 배송원이 소지하는 배송 관리 단말)에 할당된 배송 정보를, 해당 목적지 주소 정보를 기준으로 배송 물품의 배송 순서, 배송 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송경로 정보는 목적지 주소, 배송원의 이동 수단(예, 이륜차, 자동차 등), 도로 상태, 교통 상황 정보 등을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3 compares the delivery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elivery source (o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source) with the delivery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delivery order and the estimated delivery time, Path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y be set reflecting the destination address, the means of moving the delivery source (e.g., a two-wheeled vehicle, a car, etc.), road conditions,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500)는 통신부(509)를 통해 배송원이 소지한 배송 관리 단말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배송원이 소지한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500 can be connected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sour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509 and can receiv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eld by the delivery source.

배송완료 정보 관리부(504)는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배송완료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완료 정보는 물품의 식별정보, 수령자의 서명을 이미지화한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4 can confirm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and store and manag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Here,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information obtained by imaging the sign of the recipient, and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그리고, 배송완료 정보 관리부(504)는 배송완료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위치 확인부(505)에 제공할 수 있다.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4 can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505. [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이 기초하여 배송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경로 정보에 포함된 배송 예정 시각에 도달되면,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이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배송완료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응답 요청 이벤트를 생성하고, 통신부(509)를 통해 배송 관리 단말로 응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process an operation of confirming the delivery status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path information. Whe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reaches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ncluded in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starts counting time and confirms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If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even though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generates a response request event and sends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via the communication unit 509 Lt; / RTI > Then,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개시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 비상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다.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 비상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starts counting time from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response request, and confirms whether the counted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e.g., an emergency time threshold). If a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despite the counted time excee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an emergency time threshold),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determine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을 확인함에 따라,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의 최종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배송 관리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은 도 4를 통해 전술한 배송원의 위치 확인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함에 따라, 배송 관리 단말의 고도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관리 단말이 위치한 층수를 확인할 수 있다. Upon confirming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process the operation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Fo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confirm the f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or confir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The operation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an be processed using the delivery source location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Fo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confirm whether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is located indoors or outdoors, and adaptively provid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In particular, as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confirm the number of layers where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based on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나아가,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can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to the manager through display or the like.

다른 예로서,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와, 긴급 상황을 표시하는 알림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다른 배송 관리 단말, 즉,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근접하게 위치한 다른 배송 관리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may generate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an alert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 the emergency message to another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n other words, it may be provided to another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located close to the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배송안전 관리부(506)는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배송 관리 단말이 위치한 층수에 대응되는 실내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the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506 may provide the indoor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loor where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when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exemplary methods of this disclosure are represented by a series of acts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performed, and if necessary,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illustrative steps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steps, include the remaining steps except for som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steps other than some step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are not intended to be all-inclusive and are intended to illustrat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disclosure, and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a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s, firmware, Instructions, and the like are stored and a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xecutable on the device or computer.

Claims (20)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배송 관리 단말이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배송완료 정보를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과,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In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method,
Generating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a sequence of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Generating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elivery of the delivery item is completed by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ontrol terminal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delivery origin safety management server;
And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check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delivery schedule time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제1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응답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각을 기준으로 제2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2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Counting a first time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s the first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Counting a second time based on a time at which the response request is transmitted;
And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econd time exceeds a second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함에 대응하여, 고도 정보를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상기 고도 정보 및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omprises:
Requesting location managemen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onfirming whether the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Providing altitude information to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being located indoors;
And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verify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using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고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omprises:
Detecting at least on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detecting the at least on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상기 고도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위치에 대응되는 실내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p in which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confirms an indoor position based on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providing the indoor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location.
배송원 안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원의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와,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경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완료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배송 관리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시스템.
1. A system for security management of a delivery source,
The method includes generating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delivery information on a deliverable item, an order of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management server device,
A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for receiving the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route information from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and generating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elivery of the delivery product is completed and providing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 / RTI &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comprises:
And the emergency situation is confirmed on the basis of the scheduled delivery time and whether or not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제1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1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응답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각을 기준으로 제2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2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2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시스템.
[8]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7,
Counts a first time based on the expected delivery time, and transmits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when the firs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based on a time at which the response request is transmitted Counts a second time, and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s the second time exceeds a second predetermined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고도 정보를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firms whethe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and provides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to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는,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송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고도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송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delivery source safety management server apparatus comprises:
Detects at least one of th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detects at least one of th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은,
상기 배송 물품의 전달에 대응하여 상기 배송 물품으로부터 읽어들인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 물품을 수령한 수령자의 서명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7,
And generates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delivery information read from the delivery article in response to delivery of the delivery article and signature information of the recipient receiving the delivery artic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은,
상기 배송완료 정보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시스템.
[12] The system of claim 11,
And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confirmed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가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와, 상기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A method of managing the security of a delivery source by a vendor safety management server device,
Generating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delivery information on a delivery item, an order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Receiving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elivery of the deliverable item, which is provided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has been completed;
And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delivery completion time and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제1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응답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각을 기준으로 제2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2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ecking of the emergency condition comprises:
Counting a first time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s the first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Counting a second time based on a time at which the response request is transmitted;
And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econd time exceeds a second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도 정보 및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Requesting location managemen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checking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using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고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comprises:
Detecting at least on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detecting the at least one delive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상기 고도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실내 위치에 대응되는 실내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Determining an indoor location based on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shipping management terminal;
And providing the indoor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location.
배송원의 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배송 정보 관리부와,
상기 배송 물품을 전달하는 순서, 배송 예정 시각, 및 상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배송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배송경로 정보 관리부와,
배송 관리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배송 물품의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배송완료 정보를 관리하는 배송완료 정보 관리부와,
상기 배송 예정 시각과, 배송완료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을 확인하는 배송안전 관리부를 포함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
A server apparatus for managing security of a delivery source,
A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nd managing delivery information for a delivery item,
A delivery rou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delivery route information including a sequence of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scheduled delivery time, and a route for delivering the deliverable item;
A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delivery of the deliverable item, which is provided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completed;
And a delivery safety management unit for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estimated delivery time and whether or not the delivery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안전 관리부는,
상기 배송 예정 시각을 기준으로 제1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1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응답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응답 요청을 전송한 시각을 기준으로 제2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2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2시간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
19. The system of claim 18,
Counting a first time based on the scheduled delivery time,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to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when the firs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ime,
Counts a second time based on a time at which the response request is transmitted, and determines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econd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second time.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안전 관리부는,
상기 배송 관리 단말로 위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도 정보 및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배송 관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원 안전 관리 서버 장치.
19. The system of claim 18,
And a control unit for requesting the loc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is located indoors,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using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management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onfirmed.
KR1020170027828A 2017-03-03 2017-03-03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801010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28A KR20180101071A (en) 2017-03-03 2017-03-03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828A KR20180101071A (en) 2017-03-03 2017-03-03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71A true KR20180101071A (en) 2018-09-12

Family

ID=6359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828A KR20180101071A (en) 2017-03-03 2017-03-03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0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43B1 (en) * 2021-07-30 2022-04-01 쿠팡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regarding delivery of i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43B1 (en) * 2021-07-30 2022-04-01 쿠팡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regarding delivery of items
WO2023008634A1 (en) * 2021-07-30 2023-02-02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 delivery, and device therefor
TWI817267B (en) * 2021-07-30 2023-10-01 韓商韓領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regarding delivery of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9199B2 (en) Space-time communication system
US9699606B1 (en) Delivery confirmation using overlapping geo-fences
KR100702501B1 (en) Wireless house serve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house server
US8902059B2 (en) Tracking apparatus for baggage
JP6515837B2 (en) Identification system
CN102868966A (en) Safety confirmation system, mobile terminal for use in safety confirmation system, and safety confirmation method
US20070194938A1 (en) Real time automatic headcount system
CN110009859B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6227975A (en) Travelling condition notifying system
AU2018333084A1 (en) Lost device detection using geospatial location data
KR201600308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of visitor
JP2012206842A (en) Home deliver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ome deliver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101071A (en)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a delivery man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1078001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5872115B2 (en) Transportation using geolocation
JP2017017566A (en) Peripheral state notificatio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peripheral state notification application program, and peripheral state notification system to perform distributed communication
JP6860322B2 (en) No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US11570751B2 (en) Instant mobile aler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4435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 a secured building
TWI584233B (en) Security service system
JP2007189548A (en) Wireless terminal
JP2017208030A (en) Watching system
US11257338B1 (en) Package protection using existing security system
KR1015095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Safety Visit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Call for Safety Visit Service
WO20202373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 a secured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