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48A -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48A
KR20180100948A KR1020170027497A KR20170027497A KR20180100948A KR 20180100948 A KR20180100948 A KR 20180100948A KR 1020170027497 A KR1020170027497 A KR 1020170027497A KR 20170027497 A KR20170027497 A KR 20170027497A KR 20180100948 A KR20180100948 A KR 2018010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ng body
spray nozzle
solvent
containing liquid
vibra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희
김응서
김태완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0948A/ko
Publication of KR2018010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B01J2/06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in a liquid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분무 건조된 입자의 입도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에 공급되는 공급단계(S10); 및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소정 건조 챔버에 수용된 가열 건조된 기체에 액적으로 토출되는 토출단계(S20);를 포함하되, 공급단계(S10) 및 토출단계(S20)에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은, 다수의 토출홀이 형성된 진동체 하판 및 진동체 하판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체 상판을 포함하는 것이고, 공급단계(S10)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하판과 진동체 상판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는 단계이고, 그리고 토출단계(S20)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진동에 기반하여 다수의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POW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VIBRATING SPRAY NOZZLE}
본 발명은 미립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스프레이 분무를 통해 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무건조(spray drying)란 분유와 같은 미립자 식품이나 벌크 화학물질, 약제 등 어떤 재료의 액체를 열풍 속에 분무시켜 미세한 액적 상태로 기류에 동반시키면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분무건조를 통한 재료를 미립화함으로써, 재료 단위당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건조에 필요한 증발 잠열을 주위의 열풍으로부터 받거나, 재료의 수분을 주위의 기류 속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풍과의 접촉시간이 짧고 재료 온도도 비교적 낮아서 식품이나 약품 등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의 건조에 알맞다. 재료의 미립화를 위해 종래 가압식 노즐, 기류식 노즐, 회전판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결국 분무 건조에 의해 비결정질 고체 분산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균질한 비결정질 고체 분산제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용매의 신속한 제거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무된 용매 함유 공급물의 액적이 작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용매 함유 공급물을 분무시키기 위한 2종 유체 노즐을 구비한 분무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직경이 약 50 ㎛ 이하인 용매 함유 공급물의 액적을 제공함으로써 그 결과 중앙 입자 직경이 약 30 ㎛ 이하인 분무 건조된 생성물까지 생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결정질 고체 분산제 입자가 성공적으로 수득된 경우에도 이러한 종래 장치에서 제조된 분무 건조된 입자는 대개 중앙 입도가 작고(약 30 ㎛ 미만), 미분체(직경이 약 10 ㎛ 미만인 입자)의 양이 많다. 즉 입도 분포를 볼때 C.V.가 나쁜 상태로 생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분무 건조된 입자의 입도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는 분무 건조 방법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기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무 건조된 입자의 입도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에 공급되는 공급단계(S10); 및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소정 건조 챔버에 수용된 가열 건조된 기체에 액적으로 토출되는 토출단계(S20);를 포함하되, 공급단계(S10) 및 토출단계(S20)에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은, 다수의 토출홀이 형성된 진동체 하판 및 진동체 하판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체 상판을 포함하는 것이고, 공급단계(S10)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하판과 진동체 상판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는 단계이고, 그리고 토출단계(S20)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진동에 기반하여 다수의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공급단계(S10)에서, 공급되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의 공급 압력은 0.5 ~ 40 MPa 일 수 있다.
토출단계(S20)에서, 토출되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의 액적 평균 직경은 10 ~ 50 ㎛ 일 수 있다.
공급단계(S10) 및 토출단계(S20)에서, 진동체 하판 및 진동체 상판의 재질은 세락믹, PEEK 및 PTF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세라믹은 실리카 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재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분무 건조된 입자의 입도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상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하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진동체 하판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미립자 제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분무 건조 장치는, 건조 챔버와,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을 건조 챔버로 분무하기 위한 분무 수단, 건조 챔버를 향해 위치된 가열된 건조 기체원, 및 건조된 생성물을 건조 챔버로부터 배출시킨 후 냉각된 건조 기체 및 증발된 용매 스트림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건조된 생성물 수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무 건조 장치의 구성 중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여 미립자 제조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은 우선,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에 공급되고(S10), 이후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소정 건조 챔버에 수용된 가열 건조된 기체에 액적으로 토출됨으로써(S20) 일 실시예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공급단계(S10) 및 토출단계(S20)에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은, 다수의 토출홀이 형성된 진동체 하판(20) 및 진동체 하판(20)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체 상판(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체 상판(10)에는 압전 소자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초음파 진동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공급단계(S10)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하판(20)과 진동체 상판(10)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에 소정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위해 제공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은 10~50 ㎛의 액적을 토출할 수 있도록 진동체 하판(20)에 레이져 미세홀을 형성하였으며 0.5~40 MPa의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은 분유와 같은 식품부터 화학물질 및 약제 등 미립자를 생성하기 위한 액체 공급물이므로 다양한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유입되는 유로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호 접합하여 결합되는 진동체 상판(10) 및 진동체 하판(20) 중 적어도 하나에 드릴로 오목구조의 홈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체 상판(10)에는 유로에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외부에 저장된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유입구를 통해 유로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토출단계(S20)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진동에 기반하여 다수의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데, 여기서 건조 챔버에 수용된 건조 기체는 소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기체원을 통해 건조 챔버로 공급될 수 있다.
토출단계(S20)는 건조 챔버 내부에 위치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열 건조된 기체에 떨어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소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액적의 비산 토출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미립자의 크기를 좌우하는 액적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진동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입도 분포를 고르게 형성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상방 및 하방에서 각각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진동체 하판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진동체 하판(2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일부 과장되게 표현하였음을 밝혀둔다.
진동체 상판(10)에는 중앙부에 압전소자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동체 상판(10) 내부에는 혼합액 유로에 수직으로 혼합액을 공급하는 공급구와 유로를 통과한 혼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유로 너비는 상단 및 하단이 수 밀리미터로 형성되고,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을 토출홀(30)을 향해 수렴시키기 위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테이퍼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유로는 평면상에서 O 타입의 형태(더블 O 타입) 또는 S 타입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는 머시닝센터(MCT) 가공 방식으로 가공될 수도 있다.
진동체 상판(10) 및 하판(20)은 가공의 편의성과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데 그 재질은 세락믹, PEEK(Polyetheretherketone)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특히 세라믹인 경우 실리카 옥사이드 재질인 쿼츠(Quartz)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재질인 사파이어(sapphire)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체 상판(10) 및 하판(20)은 1차 파이어 폴리싱(fire polishing)의 표면 용융과 2차 어닐링(annealing)의 열처리를 통해 토출홀(30)을 막을 수 있는 파티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진동체 상판
20: 진동체 하판
30: 다수의 토출홀

Claims (4)

  1.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에 공급되는 공급단계(S10); 및
    상기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상기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소정 건조 챔버에 수용된 가열 건조된 기체에 액적으로 토출되는 토출단계(S2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단계(S10) 및 상기 토출단계(S20)에서, 상기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은, 다수의 토출홀이 형성된 진동체 하판 및 상기 진동체 하판 상부에 결합되는 진동체 상판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단계(S10)는, 상기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상기 진동체 하판과 상기 진동체 상판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는 단계이고, 그리고
    상기 토출단계(S20)는, 상기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이 상기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의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의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단계(S20)에서,
    상기 토출되는 용매 함유 액체 공급물의 액적 평균 직경은 10 ~ 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S10) 및 상기 토출단계(S20)에서,
    상기 진동체 하판 및 상기 진동체 상판의 재질은 세락믹, PEEK 및 PTF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은 실리카 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KR1020170027497A 2017-03-03 2017-03-03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KR20180100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97A KR20180100948A (ko) 2017-03-03 2017-03-03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97A KR20180100948A (ko) 2017-03-03 2017-03-03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48A true KR20180100948A (ko) 2018-09-12

Family

ID=6359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97A KR20180100948A (ko) 2017-03-03 2017-03-03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0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9992A (zh) * 2018-12-03 2020-06-09 沈欣 液态珠丸的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9992A (zh) * 2018-12-03 2020-06-09 沈欣 液态珠丸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9211C (en) Production of particulate materials
US3621902A (en) Apparatus for spray drying milk or the like
WO2012014923A1 (ja) 減圧噴霧乾燥方法及び減圧噴霧乾燥装置
US7802376B2 (en) Apparatus for treating particulate material
EP07497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a spray-dried product
KR101970493B1 (ko) 분무건조 방법 및 분무건조 장치
JP5086365B2 (ja) 粉末状の材料を製造しかつ/または状態調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elik et al. Spray drying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KR20180100948A (ko)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미립자 제조 방법
US66660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ling and effecting a change in state of a liquid mixture
KR101970470B1 (ko) 분무건조 방식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생성장치
KR101881354B1 (ko) 분무건조 방식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생성장치
RU2326303C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сушилка
RU267298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растворов, суспензий 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335713C1 (ru) Вихревая испарительно-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с инертной насадкой
JP2004305994A (ja) 粉粒体処理装置
RU233570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растворов с инертной насадкой
RU2610632C1 (ru) Вихревая испарительно-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с инертной насадкой
RU2341743C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сушилка типа импульс
JP7463528B2 (ja) 流動層塗布装置
Ehtezazi et al. Development of High‐Throughput Glass Inkjet Devices f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RU2347992C1 (ru) Сушилка взвешенного слоя с инертной насадкой
JP3118055B2 (ja) 微粒子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噴霧用ノズル
JP2005500100A5 (ko)
RU264537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растворов с инертной насад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