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811A - Battery pack for car improving a packaging efficiency by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bus bars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for car improving a packaging efficiency by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bus ba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0811A KR20180100811A KR1020170027078A KR20170027078A KR20180100811A KR 20180100811 A KR20180100811 A KR 20180100811A KR 1020170027078 A KR1020170027078 A KR 1020170027078A KR 20170027078 A KR20170027078 A KR 20170027078A KR 20180100811 A KR20180100811 A KR 20180100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us bar
- bar
- battery
- battery cel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7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01M2/1011—
-
- H01M2/20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02T10/70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battery pack in which packag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ensing board and a bus bar.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석 연료를 사용하던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In recent year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 which are proposed as measures to solve air pollution of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that used fossil fuels.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 시스템은 점차적으로 요구되는 출력량 또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대형 이차 전지에 포함되는 단위 모듈의 수가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 BACKGROUND ART [0002] Medium- to large-sized devices such as automobiles use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the necessity of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As the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system gradually increases the required output amount or energy density, the number of unit modules included in the middle- or large-sized secondary battery will gradually increase.
이와 같은 중대형 전지 시스템에 단위전지로서 많이 사용되는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동일 계열의 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The pouch-type lithium ion polymer secondary battery, which is often used as a unit cell in such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system, has a relatively large size as compared with the same-type battery used in a small-sized device.
또한, 전기 자동차, plug-in 및 hybrid 자동차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중대형의 리튬 이차전지의 팩 설계 시, 기존 배터리와 같이 높은 출력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높은 에너지 또한 요구된다. 때문에 갈수록 중대형의 배터리는 고용량 고출력화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한정된 공간에 큰 용량의 전지가 탑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셀이 커지거나, 많은 수의 단위 셀들을 하나의 리튬이차전지 내에 패키징하여야 한다.Also, when designing a pack of a medium-size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a plug-in, and a hybrid automobile, a high energy is required in addition to requiring a high output like a conventional battery. As a result, the capacity of medium and large batteries should become higher and higher. In order to achieve this, a large capacity battery must be mounted in a limited space, so that a large number of cells or a large number of unit cells must be packaged in one lithium secondary battery.
이상과 같이 하나의 배터리에 포함되는 단위셀의 수가 늘어나거나 셀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된다. 이 경우 그 패키징 공정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패키징의 두께 등도 늘어난다. 결과적으로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과 성능감소 및 효율적 공간을 사용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unit cells included in one battery increases or the cell size becomes very large. In this case, the packag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packaging increases. As a result, difficulti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reduction in performance, and an inefficient space may not be used.
따라서, 종래에는 대용량 셀을 만들기 위한 패키징 방법 및 많은 수의 단위셀을 포함하여야 하는 배터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리튬이차전지의 연결방식 즉, 패키징 방식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large capacity cell and a battery having a large number of unit cells, there is a need for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of connect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is, a packaging method .
한편, 최근에는 단위 전지를 이루는 단위셀등의 충전용량이 높아지는 고성능 전지등이 개발되고 있어 배터리팩등이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골프카나 실내 전기차등 소형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카와 같은 중소형 승용차에서는 시동용 전원을 얻기 위한 소형의 시동용 배터리팩을 필요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high performance battery having a high charging capacity such as a unit cell constituting a unit cell has been developed, and battery packs and the like are becoming smaller. That is, small-sized passenger cars such as golf cars, indoor electric vehicles, and miniature electric vehicles such as hybrid cars require a small starting battery pack for obtaining a starting power source.
하지만, 위와 같이 소형 전기차의 소형 배터리팩 또는 승용차의 시동용 배터리는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기에 소형화되어야 하기에 한정된 케이스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지셀(200)들간의 결합과, 부스바 및 센싱보드(300)의 연결 구조등을 포함하는 패키징기술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small battery pack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 or the starting battery of the passenger car needs to b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즉, 최근 시장에서는 대형 배터리 팩과 소형 배터리팩 모두가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기에 전지셀과 부스바의 연결등 내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패키징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패키징 기술이 제안된 예가 아직 없어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That is, in recent years, both a large battery pack and a small battery pack have to b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Therefore, an efficient packaging technology is required to more effectively utilize the internal space such as a connection between a battery cell and a bus bar. Packaging technology has not been proposed yet, so development is urg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셀조립체 및 그 연결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nsing board capable of improving the cell assembly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so as to increase the internal space utilization of the battery pack mounted on a vehicle, And the packa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pack is improv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s b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스바간의 상호 연결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for an automobile having improved packaging efficiency by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ensing board and a bus bar having a prefabricated connection structure for facilitating mutua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busba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시동장치에서 연장되는 시동플러그가 체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한 커버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는 외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외부 케이스 내측에서 복 수개의 전지셀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스와, 전지셀들의 셀밸런싱 및 이상 전압을 감지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이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전지셀과 전지셀, 최외각측 전지셀들과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 수개의 부스바와, 전지셀들을 감지하는 복 수개의 센서가 일체화되고, 내부케이스의 일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부스바를 안내하는 센싱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harg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outer case that is sealed at an upper portion by a cover having a connector to which a starter plug extending from the starter is fastened,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an abnormal voltage is mounted, a battery cell, a battery cell, and a circuit board,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outermost battery cells and the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the battery cells may be integrated and a sensing board may be fixed and spaced from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to guide the bus bar.
따라서, 본 발명은 음각된 센싱 보드 및 부스바 연결구조가 개선됨에 따라 셀조립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자동차의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배터리팩을 보다 소형화시킬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cell assembly by improving the engaging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connection structur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miniaturize the battery pack for starting the automobile installed in the limited space of the automobile.
또한, 본 발명은 부스바의 연결구조를 조립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부스바의 조립과정이 보다 용이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us bar can be implemen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bus bar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셀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셀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센싱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내부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의 셀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의 부스바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의 부스바 조립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nsing board of the first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assembly of the second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oth bar assembly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oth bar assembly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and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battery pack for an automobile in which packag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ensing board and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셀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FIG. to b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 수개의 전지셀(200)이 상호 연결되는 셀조립체(A)와, 셀조립체(A)를 수용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1 to 3,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assembly A in which a plurality of
하우징(100)은 세조립체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120)와, 외부케이스(12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The housing 100 includes an
여기서, 커버(110)는 상면에서 음각된 홈에 수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140)와, 자동차의 시동장치에서 연장되는 시동플러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는 시동커넥터(13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지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측의 셀조립체(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과 양의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단자는 커버(110)의 상면에서 착탈 가능한 단자커버(11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The
또한, 커버(110)는 단자커버(111)의 하측에서 단자의 극성을 표시하는 표시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외부케이스(120)는 바닥판(610)의 각 변에서 직립된 벽면을 형성하여 셀조립체가 수용되는 빈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외부케이스(120)와 커버(110)는 상호 일치되는 복 수개의 결합공(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나사등의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면서 상호 체결된다. The
여기서, 외부케이스(120)는 내측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복 수개의 방열공(121)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공(121)은 관통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셀조립체(A)로부터 발열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Here, the
셀조립체(A)는 복 수개의 전지셀(200)과, 전지셀(200)들간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복 수개의 부스바(500)와, 각 전지셀(200)들의 전압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부스바(500)를 안내하는 센싱보드(300)와, 전지셀(200)들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스(600)와, 전지셀(200)들의 셀밸런싱 및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탑재되는 회로기판(400)과, 회로기판(400)을 지지하는 지지판(700)을 포함한다. The cell assembly A includes a plurality of
부스바(500) 및 센싱보드(30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도 4는 제1실시예의 셀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센싱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assembly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nsing board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스바(500)는 전지셀(200)들의 서로 다른 극성의 단자들 사이에 연결되는 제1부스바(510)와, 최외각측에 위치된 전지셀(200)에서 회로기판(400)으로 연결되는 제2부스바(520)와 제3부스바(530)를 포함한다. 4 and 5, the
제1부스바(510)는 인접된 전지셀(200)들에서 각각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제1부스바(510)는 일측의 전지셀(200)의 양(+)의 단자와 타측 전지셀(200)의 음(-)의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인접된 전지셀(200)들을 직렬(병렬)로 연결시킨다. The
제2부스바(520)와 제3부스바(530)는 최외각측 전지셀(210, 220)의 양(+) 또는 음(-)의 단자(211)와 회로기판(400)을 연결 시킨다. 예를 들면, 제2부스바(520)는 최외각측(최상측)(220)에 위치된 전지셀(200)의 양(+)의 단자와 회로기판(400) 사이를 연결하고, 제3부스바(530)는 최외각측(최하측)(210)에 위치된 전지셀(200)의 음(-)의 단자와 회로기판(400) 사이를 연결한다. The
센싱보드(300)는 센싱기판(310)과, 내부케이스(600)의 일면에 센싱기판(310)을 고정시키는 보드고정수단(320)을 포함한다. The
센싱기판(310)은 일측에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311)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삽입구(313)와, 벤트홀(212)에 일치되는 벤트공(312)과,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공(315)과, 보드고정수단(320)에 연통되는 복 수개의 고정공(314)을 포함한다. The
절개홈(311)은 전지셀(200)들중에서 최외각측에 위치된 전지셀(200)의 전원단자의 위치에 따라서 일측에서 절개형성된다. 예를 들면, 절개홈(311)은 전지셀(200)들중 최상측에 위치된 전지셀(220)의 양(+) 단자가 우측에 위치되고, 최하측에 위치된 전지셀(210)의 음(-)의 단자가 우측에 위치되면, 각 최상측(220)과 최하측(210)의 양(+)과 음(-)의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2부스바(520)와 제3부스바(530)의 연결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삽입구(313)는 서로 다른 전지셀(200)의 서로 다른 전원 단자(211) 사이를 연결하는 제1부스바(5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설정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개구된다. 예를 들면, 제1전지셀(210) 내지 제4전지셀(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 제1전지셀(210)의 음(-)의 단자와 제2전지셀의 양(+)의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1부스바(510)가 삽입구(313)를 통하여 삽입되어 연결된다. The
벤트공(312)은 전지셀(200)들에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트홀(212)이 외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복 수개가 순차 형성된다. A plurality of vent holes 312 are formed in the
센서공(315)은 센싱기판(310)에 형성된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들이 위치될 수 있도록 복 수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센서공(315)은 인접된 위치에서 연장되는 패턴에 연결되는 하네스/전선/케이블등이 납땜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및/또는 고정된 센서가 내측의 전지셀(200)의 온도 또는 부스바(500)에 접촉되어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다. A plurality of
여기서, 센서는 전지셀(200)의 온도와 전압등을 감지하는 센서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센서와 센싱기판의 패턴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임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였다. Here, the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또한, 센싱기판(310)은 일측에서 패턴에 연결되는 커넥터(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센싱기판(310)의 커넥터는 회로기판(400)의 BMS로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와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그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였다. In addition, the
고정공(314)은 내부케이스(600)의 일면에 고정되는 보드고정수단(320)의 고정주(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홀과 일치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다.The fixing
보드고정수단(320)은 내부케이스(600)의 일면에서 복 수개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주(320)와, 센싱기판(310)의 고정공(314)을 연통하여 고정주(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The board fixing means 320 includes a fixing
여기서, 고정주(320)는 내부케이스(600)의 외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내측에서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주(320)는 센싱기판(310)을 내부케이스(600)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Here, the fixing die 3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즉, 센싱기판(310)은 내부케이스(600)의 외면에 고정되고, 제1 내지 제3부스바(510~530)는 센싱기판(310)이 내부케이스(600)의 외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지셀(200)과 전지셀(200), 최외각측 전지셀(200)과 회로기판(400) 사이를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부스바(500)의 조립과정은 센싱기판(310)에서 관통형성된 삽입구(313) 및 절개홈(311)을 통하여 부스바(500)가 삽입될 수 있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That is, the
내부케이스(6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전지셀(200)들을 수용하고, 회로기판(400)을 지지하는 지지판(700)을 지지한다. The
이와 같은 내부케이스(600) 및 지지판(700)의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내부케이스 및 지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structure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내부케이스(600)는 양측 방향에서 각각 직립된 측판(620)과, 바닥판(610)을 구비한다. 즉, 내부케이스(600)는 전후 방향과 상부가 개방되어 양쪽 측판(620)과 바닥판(610)을 통하여 전지셀(20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측판(620)은 바닥판(610)의 양측 테두리에서 각각 직립형성되되, 전지셀(200)에서 발열된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구(621)와, 상단에서 지지판(700)과 체결되도록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복 수개의 체결돌기(623)와,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 형성된 측부방지턱(622)을 포함한다. The
방열구(621)는 측판(620)에서 개구 형성되어 전지셀(200)에서 발열된 열을 외측으로 방열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로는 방열구(621)에 연통/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외부케이스(120)에서 복 수개의 방열공(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측부방지턱(622)은 측판(620)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절곡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전지셀(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측부방지턱(622)은 고정주(320)가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622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바닥판(610)은 중심부에서 관통형성된 바닥개구(611)와, 전후측에서 내측의 전지셀(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되는 하부방지턱(612)을 포함한다. The
지지판(700)은 지지기판(710)과, 지지기판(710)의 중심에서 개구 형성된 지지개구(720)를 포함한다. The
지지기판(710)은 내부케이스(600)의 체결돌기(623)의 홀과 일치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되는 복 수개의 고정돌기(711)와, 회로기판(400)을 연통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되는 고정홀(712)을 포함한다. The supporting
고정돌기(711)는 지지기판(710)의 각 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돌기(623)에 밀착된다. 여기서, 고정돌기(711)는 체결돌기(623)의 홀과 일치되는 홀이 형성되어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연통삽입된다. The fix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보다 조립이 쉽고, 좁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패키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ereinafter, a packaging process that can be more easily assembled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내부케이스(600)의 내측으로 전지셀(200)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전지셀(200)들은 전원단자(211)가 모두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도록 적층된다. 즉, 내부케이스(600)에서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전지셀(200)들의 전원단자(211) 및 벤트홀(212)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적층시킨다. First, the operator sequentially stacks the
전지셀(200)들은 내부케이스(600)의 하부방지턱(612)과 측부방지턱(62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이탈이 방지된다. Since the
그리고, 작업자는 내부케이스(600)의 상단에 지지판(700)을 고정시키고, 회로기판(400)을 지지판(700)의 상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판(700)의 고정돌기는 체결돌기(623)에 적층된다. The worker fixes the
또한 작업자는 고정돌기와 체결돌기(623)에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지지판(700)을 내부케이스(600)의 상단에 고정시킨다. The operator also fixes the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판(700)의 상단에 회로기판(400)을 적층시킨 뒤에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연통시켜 고정시킨다. Then, the worker stacks the
센싱기판(310)은 내부케이스(600)에서 전지셀(200)들의 전원단자(211)가 위치되는 방향의 측부방지턱(622)에 고정주(320)를 연결한 뒤에 밀착되고, 이후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고정공(314)을 통하여 고정주(320)에 체결됨에 따라 내부케이스(600)의 일면에 고정된다. 이때 센싱기판(310)은 고정주(320)의 길이에 따라 내부케이스(600)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The
이와 같이 센싱기판(3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부스바(500)들을 연결시킨다. 즉, 제1부스바(510)는 인전됩 전지셀(200)들의 전원 단자(211)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정되고, 최상측에 위치된 전지셀(220)의 양(+)과 음(-)의 전원 단자중 어느 하나에 제2부스바(520)가 연결되고, 최하측에 위치된 전지셀(210)의 양(+)과 음(-)의 전원 단자중 어느 하나에 제3부스바(530)가 연결된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이때, 제1부스바(510)는 삽입구(313)를 통하여 삽입되고, 제2부스바(520)는 일측에 위치된 절개홈(311), 제3부스바(530)는 타측에 위치된 절개홈(311)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어 목표 전지셀(210, 220)의 전원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센싱기판(310)은 센서들이 일체화됨에 따라 별도로 센서 조립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즉, 센서들은 센싱기판(310)에 일체형으로서 센서공(315)을 통하여 내부케이스(600)측을 지향하도록 고정된 상태이고, 각 센서들은 센서기판에 형성된 패턴과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회로기판(400)의 BMS에 연결된다. Here, the
따라서, 작업자는 센싱기판(310)을 고정시킨 뒤에 센싱기판(310)에 설치된 커넥터와 회로기판(400)의 커넥터 사이에 케이블을 연결시킴에 따라 센서와 BMS간의 신호전달을 가능케 한다.Accordingly, after fixing the
그러므로, 작업자는 셀조립체의 조립을 완료하고, 완료된 셀조립체(A)가 수용된 내부케이스(600)를 외부케이스(120)의 내측에 수용한 뒤에 커버(110)를 조립하면 해당 배터리팩의 조립이 완료된다. Therefore, when the operator completes the assembly of the cell assembly and assembles the
또한, 본 발명은 제1실시예의 패키징 방식에서 부스바를 분할 형성하고, 분할된 부스바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부스바 조립부재(800)를 포함하는 제2실시예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되, 중복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econd embodiment including a booth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셀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제2실시예의 부스바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부스바 조립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assembly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bar assembly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oth bar assembly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는 다 수개의 전지셀(200)이 상호 연결되는 셀조립체와, 셀조립체를 수용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7 to 10,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이중, 하우징(100)은 셀조립체(A)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120)와, 외부케이스(12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The housing 100 includes an
커버(110)는 상면에서 음각된 홈에 수용되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140)와, 자동차의 시동장치에서 연장되는 시동플러그가 체결되는 시동커넥터(130)와, 음과 양의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전원단자를 밀폐시키도록 커버(110)의 상면에서 착탈 가능한 단자커버(111)와, 단자커버(111)의 하측에서 극성(+, -)을 표시하는 표시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외부케이스(120)는 셀조립체(A)가 수용되는 빈공간을 형성하며, 벽면에서 관통형성되어 내부의 열을 방열시키는 복 수개의 방열공(121)을 포함한다. The
셀조립체(A)는 복 수개의 전지셀(200)과, 전지셀(200)들간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복 수개의 부스바(500)와, 부스바(500)를 고정시키는 부스바 조립부재(800)와, 각 전지셀(200)들의 전압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부스바(500)를 안내하는 센싱보드(300)와, 전지셀(200)들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스(600)와, 전지셀(200)들의 셀밸런싱 및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BMS가 탑재되는 회로기판(400)과, 회로기판(400)을 지지하는 지지판(700)을 포함한다. The cell assembly A includes a plurality of
센싱보드(300)는 센싱기판(310)과, 내부케이스(600)의 일면에 센싱기판(310)을 고정시키는 보드고정수단(320)을 포함한다. The
센싱기판(310)은 일측에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311)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형성되는 삽입구(313)와, 벤트홀(212)에 일치되는 벤트공(312)과, 센서가 설치되는 센서공(315)과, 보드고정수단(320)에 연통되는 복 수개의 고정공(3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싱기판(310)은 센서공(315)에 설치되는 복 수개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도록 패턴과, 패턴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부스바(500)는 전지셀(200)들의 서로 다른 극성의 단자들 사이에 연결되는 복 수개의 제1부스바(510)와, 최외각측에 위치된 전지셀(210, 220)에서 회로기판(400)으로 연결되는 제2부스바(520)와 제3부스바(530)를 포함한다. The
제1부스바(510)는 인접된 전지셀(200)들에서 각각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단자(211)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제1부스바(510)는 일측의 전지셀의 양(+)의 단자와 타측 전지셀(200)의 음(-)의 단자 사이를 연결시켜 인접된 전지셀(200)들을 직렬(병렬)로 연결시킨다. The
제2부스바(520)와 제3부스바(530)는 최외각측 전지셀(210)의 양(+) 또는 음(-)의 단자와, 회로기판(400) 사이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제2부스바(520)는 최외각측(최상측)에 위치된 전지셀(220)의 양(+)의 단자와 회로기판(400) 사이를 연결하고, 제3부스바(530)는 최외각측(최하측)에 위치된 전지셀(210)의 음(-)의 단자와 회로기판(400) 사이를 연결한다. The
여기서, 제2부스바(520)와 제3부스바(530)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분할 형성되어 부스바 조립부재(800)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부스바(530)가 분할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2부스바(520) 역시 분할 형성되어 부스바 조립부재(80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제3부스바(5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바(531)와 제2분할바(532)로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The
제1분할바(531)는 'ㄱ'자형으로서 회로기판(400)에 연결되도록 수평 연장되는 제1수평부(531a)와 제1수평부(531a)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1절곡부(531b)와, 제1수평부(531a) 및 제1절곡부(531b)에서 관통형성된 복 수개의 제1결합공(531c)을 포함한다. The
제1수평부(531a)는 회로기판(400)에서 연결되도록 수평 연장된다. 여기서, 제1수평부(531a)는 복 수개의 제1결합공(531c)이 형성되어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수평부(531a)는 제1결합공(531c)을 통하여 연통 삽입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로기판(400)의 패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The first
제1절곡부(531b)는 제1수평부(531a)에서 하향 연장되며, 부스바 조립부재(800)에 의해 제2분할바(532)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1절곡부(531b)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공(531c)을 구비한다. The first
제2분할바(532)는 최외각측 전지셀(200)의 양 또는 음의 단자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는 제2수평부(532a)와, 제2수평부(532a)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는 제2절곡부(532b)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532c)을 포함한다. The
여기서, 제2수평부(532a)는 수평방향으로 1회 이상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변형은 연결대상인 최외각측 전지셀(210)의 위치에 따라 변형가능한 것이다. Here, the second
제2절곡부(532b)는 제2수평부(532a)의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부스바 조립부재(800)에 의해 제1절곡부(531b)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second
아울러, 제2결합공(532c)은 제2수평부(532a) 및 제2절곡부(532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결합공(532c)은 제2수평부(532a)의 끝단에 관통형성되어 최외각전지셀(200)의 전원단자에 연결된다. 또는 제2절곡부(532b)의 끝단에 형성된 제2결합공(532c)은 부스바 조립부재(800)를 연통하여 삽입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부스바 조립부재(800)는 전도성 금속판으로서 제1분할바(531)와 제2분할바(532)에 밀착되어 양측을 통전시키는 전도판(830)과, 제1분할바(531)와 제2분할바(532) 및 전도판(830)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호 체결되는 제1조립판(810)과 제2조립판(820)을 포함한다. The bus
제1조립판(8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로서 일면에서 제1분할바(531)의 제1절곡부(531b)와 제2분할바(532)의 제2절곡부(532b)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판재(811)와, 제1판재(811)의 양측변에서 각각 돌출되는 복 수개의 가압돌기(812)와, 제1 및 제2결합공(531c, 532c)에 일치된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 수개의 제1판재공(813)을 포함한다. The
제1판재(8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로서 가압돌기(8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또는 고정수단에 의한 압력으로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의 일면에 밀착된다. The
가압돌기(812)는 제1판재(811)의 양측 테두리에서 각각 돌출 및 탄성력에 의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돌기(812)는 끝단이 제2조립판(820)에 밀착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된 후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되면서 상기 제2조립판(820)의 배면을 가압한다. The
제1판재공(813)은 제1절곡부(531b) 및 제2절곡부(532b)의 제1 및 제2결합공(531c, 532c)과 일치된 위치에 형성되며,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연통삽입된다. The
제2조립판(820)은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의 반대면에 밀착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판재(821)와, 제2판재(821)에서 양측 테두리에서 각각 돌출되어 그 사이에 끼움된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끼움돌기(822)와, 제1판재공(813)과 일치된 위치에서 관통형성된 제2판재공(823)을 포함한다. The
제2판재(82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도판(830)의 일면에 밀착된다. 즉, 제2판재(821)는 가압돌기(812)가 배면에 체결되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1판재(811) 사이에 위치되는 전도판(830) 및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를 가압한다. The
끼움돌기(822)는 제2판재(821)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한 쌍이 형성된다. 한 쌍의 끼움돌기(822)는 상호 이격되며, 그 사이로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가 각각 끼움된다. The
제2판재공(823)은 제2판재(821)의 상하측에 적어도 하나가 관통형성되며, 제1판재공(813)과, 제1결합공(531c) 또는 제2결합공(532c), 전도판(830)을 연통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된다.At least one
여기서, 다른 실시예로서 제1판재공(813)에서 제2판재공(823)으로 연통되는 통로는 별도의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체결하지 않은체 빈공간을 형성하여 제3부스바(530)를 통하여 전도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도록 방열공의 역할을 수행함도 가능하다. Here, as another embodiment, a passage communicating from the
이때, 전도판(830)과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는 별도의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판재(811)와 제2판재(821) 사이에서 가압돌기(812)의 가압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는, 전도판(830)과 제1절곡부(531b) 및 제2절곡부(532b)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고, 방열을 위하여 별도의 제1 및 제2판재공(823)과, 제1결합공(531c)과 제2결합공(532c)을 추가 형성함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전도판(830)은 제1절곡부(531b)에 밀착되는 머리부(831)와, 제2절곡부(532b)에 밀착되는 꼬리부(832)와, 머리부(831)와 꼬리부(832)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머리부(831)는 일측에서 절개되어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는 제1홈(831a)이 형성되어 제2판재(821)의 일면과 제1절곡부(531b)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머리부(831)는 제1판재(811)와 제2판재(821)가 가압돌기(812)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1절곡부(531b)에 밀착되고, 연통 삽입된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The
꼬리부(832)는 하측에서 상향되도록 절개된 제2홈(832a)이 형성되어 제2판재(821)의 일면과 제2절곡부(532b)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꼬리부(832)는 제1조립판(810)의 가압돌기(812)가 제2판재(821)에 체결되면, 제2절곡부(532b)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2홈(832a)은 하측에서 상향되도록 절개되어 제2결합공(532c) 및 제1판재공(813)을 통하여 삽입된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연통시킨다. The
연장부(833)는 머리부(831)와 꼬리부(832) 사이에서 연결되어 제1절곡부(531b)와 제2절곡부(532b)간의 전기적 통전을 가능케 한다.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제2실시예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로 인한 패키징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Hereinafter, an operation effect that the packa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easily performed will be described.
작업자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전지셀(200)들이 내부케이스(600)에 수용된 후 센싱기판(310)을 설치하고, 제1부스바(510)와 제2부스바(520)를 센싱기판(310)의 삽입구(313) 및 절개홈(311)을 통하여 전지셀(200)들에 각각 연결시킨다. The operator installs the
이후, 작업자는 제1분할바(531)의 제1수평부(531a)를 회로기판(400)에 연결하고, 제2분할바(532)의 제2수평부(532a)를 최외각측(최하측) 전지셀(210)에 연결시킨다. 이때, 제1분할바(531)의 제1절곡부(531b)와 제2분할바(532)의 제2절곡부(532b)는 상호 분리된 상태이다. The operator connects the first
따라서, 작업자는 제2판재(821)의 내면에 전도판(830)을 위치시키고, 제1분할바(531)를 제2판재(821)의 상측 끼움돌기(822) 사이로 끼움시키고, 제2분할바(532)를 제2판재(821)의 하측에 형성된 끼움돌기(822) 사이로 끼움시킨다. The operator places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제1판재(811)와 제2판재(821)를 상호 밀착시켜 제1조립판(810)과 제2조립판(820)을 체결시킨다. 이때, 가압돌기(812)는 처음 힘이 가해지면 외측으로 회전되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2판재(821)의 배면을 가압한다. The operator closely contacts the
또는 작업자가 제1판재공(813) 또는 제2판재공(823)을 통하여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판재(811)와 제2판재(821)를 가압하여 밀착시킴도 가능하다.Or the worker presses the
아울러, 작업자는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조립판(810)과 제2조립판(820)이 상호 체결되면, 제1 및 제2판재공(823)을 연통하도록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상술한 제2실시예는 배터리팩에 사용되는 부스바(500)들중 가장 길이가 긴 제3부스바(530)를 분할하고, 순차적으로 조립한 뒤에 상호 연결시키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divides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부스바(500)들을 분할 형성함에 따라 최외각측 전지(210)와 회로기판(400)간의 거리가 부스바의 길이와 상이할지라도 제1분할바(531)와 제2분할바(532)간의 거리를 전도판(830)으로서 보상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는 작업성과 조립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하며,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하우징
110 : 커버
111 : 단자커버
112 : 표시부
120 : 외부케이스
121 : 방열공
130 : 전지셀
200 : 전지셀
300 : 센싱보드
310 : 센싱기판
311 : 절개홈
312 : 벤트공
313 : 삽입구
314 : 고정공
315 : 센서공
320 : 보드고정수단, 고정주
400 : 회로기판
500 : 부스바
510 : 제1부스바
520 : 제2부스바
530 : 제3부스바
531 : 제1분할바
531a : 제1수평부
531b : 제1절곡부
531c : 제1결합공
532 : 제2분할바
532a : 제2수평부
532b : 제2절곡부
532c : 제2결합공
600 : 내부케이스
610 : 바닥판
611 : 바닥개구
612 : 하부방지턱
620 : 측판
621 : 방열구
622 : 측부방지턱
623 : 체결돌기
700 : 지지판
710 : 지지기판
720 : 지지개구
800 : 부스바 조립부재
810 : 제1조립판
811 : 제1판재
812 : 가압돌기
813 : 제1판재공
820 : 제2조립판
821 : 제2판재
822 : 끼움돌기
823 : 제2판재공
830 : 전도판
831 : 머리부
831a : 제1홈
832 : 꼬리부
832a : 제2홈
833 : 연장부100: housing 110: cover
111: terminal cover 112: display portion
120: outer case 121:
130: battery cell 200: battery cell
300: sensing board 310: sensing substrate
311: incision groove 312: vent hole
313: insertion port 314: stationary hole
315: sensor hole 320: board fixing means, fixing station
400: circuit board 500: bus bar
510: first bus bar 520: second bus bar
530: third bus bar 531: first split bar
531a: first
531c: first coupling hole 532: second split bar
532a: second
532c: second coupling hole 600: inner case
610: bottom plate 611: bottom opening
612: Lower bust 620: Side plate
621: heat radiating hole 622:
623: fastening protrusion 700:
710: Support substrate 720: Support opening
800: Booth bar assembly member 810: First assembly plate
811: first plate member 812: pressing projection
813: first plate hole 820: second assembly plate
821: second plate member 822:
823: second plate hole 830: conductive plate
831:
832:
833: Extension
Claims (9)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에서 복 수개의 전지셀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스;
상기 전지셀들의 셀밸런싱 및 이상 전압을 감지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이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기 전지셀과 전지셀, 최외각측 전지셀들과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 수개의 부스바; 및
상기 전지셀들을 감지하는 복 수개의 센서가 일체화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부스바를 안내하는 센싱보드;를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A housing having an outer case which is hermetically sealed by a cover having a connector to which a starter plug extending from the starter is fastened;
An inner case hou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side the outer case;
A circuit board on which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cell balancing and abnormal voltages of the battery cells is mounted;
A plurality of bus bars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and the battery cells, between the outermost battery cells and the circuit board so as to be electrically energized;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the battery cells are integrated, and a sensing board fixed to the inner case in a spaced apart state to guide the bus bars, Improved car battery pack.
인접된 전지셀들간에 연결되는 제1부스바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 수개의 삽입구;
최외각에 위치된 전지셀들에 연결되는 제2부스바 또는 제3부스바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부터 인입될 수 있도록 측방향에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 및
상기 센서가 고정되는 복 수개의 센서공; 을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board
A plurality of insertion openings penetrating the first busbars connected between adjacent battery cells to be inserted;
At least one incision groove laterally incised so that any one of the second and third busbars connected to the outermost battery cells may be pulled out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sensor balls to which the sensor is fixed; Wherein the packa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pack is improv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바닥판의 양측에서 각각 직립된 측판에 의해 전지셀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ase
Wherein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s is formed by the upright side plate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packag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수용된 전지셀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부방지턱을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ackaging structure includes a sensing board and a bus bar. The battery pack includes a sensing board and a bus bar.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수용된 전지셀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지지턱을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bottom plate
And a lower support jaw that prevents upward detachment of the battery cells housed in the battery pack, and improves packaging efficiency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상기 부스바들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분할바와, 최외각측 전지셀에 연결되는 제2분할바로서 상호 분할형성되고,
상기 제1분할바와 제2분할바가 상호 통전되도록 연결시키는 부스바 조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bus bars is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bar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partition bar connected to the outermost battery cell,
And a bus bar assembly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plit bar and the second split bar to each other so as to be energized, wherein packag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전도성 금속판으로서 상기 제1분할바와 제2분할바에 밀착되어 양측을 통전시키는 전도판; 및
상기 제1분할바와 제2분할바 및 전도판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호 체결되는 제1조립판과 제2조립판;을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s bar assembly member
A conductive plate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split bars as a conductive metal plate to energize both sides; And
A sensing board including a first assembling plate and a second assembling plate which are mutually coupled to receive the first dividing bar, the second dividing bar and the conducting plate inside, and a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the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Battery pack.
상기 제1판재의 양측변에서 각각 돌출되어 제2조립판의 배면을 가압하는 복 수개의 가압돌기; 를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ssembly plate is a plate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late member press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division bar and the second division bar on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to press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packa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pack is improv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the bus bar.
상기 제1분할바와 제2분할바의 반대면을 가압하는 제2판재; 및
상기 제2판재의 양측 테두리에서 상호 이격되어 돌출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1분할바 및 제2분할바를 끼움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assembly plate
A second plate for pressing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plit bar and the second split bar; And
And at least a pair of fit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 edges of the second plate and sandwiching the first and second split bars therebetween, Automotive battery pack with improved efficienc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078A KR101973616B1 (en) | 2017-03-02 | 2017-03-02 | Battery pack for car improving a packaging efficiency by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bus ba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7078A KR101973616B1 (en) | 2017-03-02 | 2017-03-02 | Battery pack for car improving a packaging efficiency by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bus ba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811A true KR20180100811A (en) | 2018-09-12 |
KR101973616B1 KR101973616B1 (en) | 2019-04-29 |
Family
ID=6359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078A KR101973616B1 (en) | 2017-03-02 | 2017-03-02 | Battery pack for car improving a packaging efficiency by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bus ba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361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10017A1 (en) * | 2020-04-17 | 2021-10-21 | Exicom Tele-Systems Limited | Energy storage apparatus |
US11522244B2 (en) * | 2018-09-12 | 2022-12-06 | Hong Kong Ivps International Limited | Power supply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
WO2024071778A1 (en) * | 2022-09-27 | 2024-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pack with improved energy density through improvement in bonding of sensing wire of busba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2829B1 (en) | 2024-01-26 | 2024-07-08 | 주식회사 모아 | Diagonal Bus-bar Assembly for Pouch-type Battery Cell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571B1 (en) * | 2006-08-07 | 2009-03-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Case |
KR100934466B1 (en) * | 2006-09-25 | 2009-12-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battery cells |
KR101198623B1 (en) * | 2010-11-15 | 2012-11-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assembly |
KR20150106027A (en) * | 2014-03-10 | 2015-09-21 | 세방전지(주) | Battery pack for electric ca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60044654A (en) * | 2014-10-15 | 2016-04-26 | 세방전지(주) | Sensing board for battery pack module |
JP2016139616A (en) * | 2011-03-29 | 2016-08-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Battery module |
KR20170009135A (en) | 2015-07-15 | 2017-01-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For Vehicle |
-
2017
- 2017-03-02 KR KR1020170027078A patent/KR10197361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571B1 (en) * | 2006-08-07 | 2009-03-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Case |
KR100934466B1 (en) * | 2006-09-25 | 2009-12-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battery cells |
KR101198623B1 (en) * | 2010-11-15 | 2012-11-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assembly |
JP2016139616A (en) * | 2011-03-29 | 2016-08-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Battery module |
KR20150106027A (en) * | 2014-03-10 | 2015-09-21 | 세방전지(주) | Battery pack for electric ca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60044654A (en) * | 2014-10-15 | 2016-04-26 | 세방전지(주) | Sensing board for battery pack module |
KR20170009135A (en) | 2015-07-15 | 2017-01-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ttery For Vehicl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2244B2 (en) * | 2018-09-12 | 2022-12-06 | Hong Kong Ivps International Limited | Power supply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
WO2021210017A1 (en) * | 2020-04-17 | 2021-10-21 | Exicom Tele-Systems Limited | Energy storage apparatus |
WO2024071778A1 (en) * | 2022-09-27 | 2024-04-0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pack with improved energy density through improvement in bonding of sensing wire of bus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3616B1 (en) | 2019-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04045B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KR100863729B1 (en) | Battery Module Interface | |
US7609028B2 (en) |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 |
US20220376337A1 (en) | Battery Module Having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Automobile | |
CN103081214B (en) | There is the battery pack of cramped construction | |
EP2650946B1 (en) | Battery block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
JP5593443B2 (en) | Battery module | |
KR101973616B1 (en) | Battery pack for car improving a packaging efficiency by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ensing board and bus bars | |
WO2021149955A1 (en) | Cell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20190280353A1 (en) | Cell Pack | |
KR20150034495A (en) |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52018A (en) | Battery Module Having Mounting Means of Bus Bar and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 |
KR20150049277A (en) |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sensing modules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 |
KR20190068406A (en) | Connector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40002112A (en) | Battery module | |
CN111971817B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or having bidirectional coupling structure | |
KR101859684B1 (en) |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KR101514426B1 (en) | Connector,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US20240291058A1 (en) | Cell Module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KR101943338B1 (en) | Battery pack for car with nature cooling structure | |
KR101586641B1 (en) | Battery pack module housing | |
JP7367021B2 (en) | Connector,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 |
KR20230082816A (en) | Battery module assembly | |
KR20230034779A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
CN118355552A (en) | Logic cell,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logic cell, and secondary battery p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