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981A - Insect farm - Google Patents

Insect f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981A
KR20180099981A KR1020170025933A KR20170025933A KR20180099981A KR 20180099981 A KR20180099981 A KR 20180099981A KR 1020170025933 A KR1020170025933 A KR 1020170025933A KR 20170025933 A KR20170025933 A KR 20170025933A KR 20180099981 A KR20180099981 A KR 2018009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opening
inse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5193B1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어냉동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어냉동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어냉동건설
Priority to KR102017002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93B1/en
Publication of KR2018009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9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farm, capable of providing a suitable indoor space for breeding insects. The insect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all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a support beam (A), the inner wall (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and a wall in which a space (3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20) and the outer wall (10).

Description

곤충사육장{Insect farm}Insect farm

본 발명은 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적합한 실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사육장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hatchery capable of providing a suitable indoor space for breeding insects.

최근 유엔에서는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부족 위기를 경고하는 보고서가 나왔는데 기후 변화로 인하여 농업의 생산성은 급격히 떨어지고, 인구의 증가로 인해 식량 자원 부족이 심각해질 것이라 예측하고 있으며, 특히 지금의 추세대로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에 2050년경에는 세계 인구는 90억 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식량 자원의 확보가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A recent report from the United Nations that warns of a food shortage crisis due to climate change predicts that climate change will cause agricultural productivity to drop sharply and that food shortages will become serious due to population growth, The world population is expected to be over 9 billion by 2050, and it is very urgent to secure food resources.

따라서 세계식량농업기구(FAO)는 ‘식용 곤충-식량 안보의 미래 전망’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서 곤충을 미래 식량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곤충은 풍부한 아미노산과 높은 단백질 함량, 포화지방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음식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며, 쇠고기에 비교해 미네랄과 비타민, 섬유질의 함량도 훨씬 풍부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먹을 수 있는 곤충은 1900종(種)이 넘으며, 이 중 수백 종은 이미 아프리카·남미·아시아에 사는 20억 명이 오래전부터 먹고 있다고 하였다.Thus, the Worl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has proposed a plan to use insects as food for the future through a report on edible insects - the future prospect of food security. Insects are characterized by abundant amino acids, high protein content, It has high nutritional value and is rich in minerals, vitamins and fibers compared to beef. It has more than 1,900 kinds of insects that can be eaten by humans, Hundreds of them have already been eating 2 billion people in Africa, South America, and Asia a long time ago.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누에고치에서 실을 켜고 나올 때 생기는 마지막 부산물로 곤충에 해당하는 번데기를 먹거리로 섭취하였으며, 여름철 메뚜기를 잡아서 조리를 해먹는 지역도 상당히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It is known that there are quite a few places in Korea where the locusts have been cooked by catching grasshoppers in the summer.

일반적으로 '곤충'은 몸통 부분의 구조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고, 다리가 3쌍, 날개가 2쌍인 동물을 지칭하는데,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동물 중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동물로서 종류 100만 가지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상 어느 곳에서든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insect' refers to an animal whose body structur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head, chest and abdomen, three pairs of legs and two pairs of wings. Among the animals that exist on the earth, It is said to be over 1 million species and is known to live anywhere on the planet.

이러한 곤충은 세계식량농업기구의 보고서와 같이 식용뿐만 아니라, 의료용, 사료용으로도 활용 가능하며, 곤충을 대량 사육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대표적 식량 자원인 소와 같은 가축 사육과 비교할 때, 사료와 물 사용량이 월등히 적기 때문에 우수한 경제성과 더불어 대량 사육에 다른 환경오염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These insects can be used not only for edible purposes but also for medical use and feed use as in the report of the Worl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mpared with livestock such as cattle, which are typical representative food resources for large-scale insect rearing, It is known that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other environmental pollution in mass rearing along with excellent economy.

특히 세계식량농업기구의 보고에 따르면, 지금의 추세대로 물소비가 이루어지면, 2025년에는 지구 전체 인구의 2/3가 물부족/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담수의 70%는 농업에 쓰이는데, 축산업은 사료까지 고려한다면 곡물의 100배가 넘는 물을 필요로 하는데, 쇠고기와 동일한 양의 곤충을 사용하는 경우에 곤충의 사육에 필요한 물은 현저히 적기 때문에 식수원의 심각한 감소에 따른 고통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Worl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estimates that by 2025, two-thirds of the world's population will suffer from water shortage / stress if water consumption continues as is the case today. Currently, 70% of freshwater is used for agriculture, and livestock industry requires more than 100 times water of grain if it considers feed. When using insects of the same amount as beef, water required for rearing of insects is very small.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pain caused by serious reduction.

따라서 근래에 들어 곤충을 전문적으로 사육하는 곤충사육장이 점차 늘어났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insect breeding farms that specialize in insect breeding have been increasing.

종래의 곤충사육장은 유리형태로 이루어지는 보온성 사육시설, 망체형태로 이루어지는 가건물식 사육시설, 조립식 건물로 이루어지는 사육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안에서 사육하고 있었다. Conventional insect hatcheries were kept in various types of structures such as a warm-keeping breeding facility made of glass, a retractable breeding facility having a net form, and a breeding facility composed of a prefabricated build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곤충사육장은 특히 벽체의 단열성이 낮아 외부의 온도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이로 인해 곤충에게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sect hatchery has a problem that the wall has insufficient heat insulation property,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insect habitat changes rapidly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insects.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곤충사육"을 키워드로 하여 최근에 공개된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발전상태 및 그 배경기술을 더욱더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re those listed in the prior art documents recently published by using the keyword "insect breeding " through the Patent Information Net Kiffris, and refer to the following technical literatures, The state of progress and the background of the state of the art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공개/등록번호: 1016915840000, 1020150072198, 1020160131452, 1020160079414.Public / registration numbers: 1016915840000, 1020150072198, 1020160131452, 1020160079414.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벽체의 단열성을 우수하게 하여 외부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사육공간을 형성하려는 데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DISCLOSUR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and in particular, it aims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of forming a breeding space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by making the insulation of the wall excellent, It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빔의 외면에 외벽을 설치하고, 지지빔의 내면에 내벽을 설치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in which an outer wall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a support beam, an inner wall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단에 따르면,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기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을 내부와 긴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단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단열방법은 별도의 내장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에 따른 비용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ccording to the mea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layer can be formed b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inside from the outside by the air layer, the outside environment can be closely intercepted from the insid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heat insulation method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separate interior material, the cost burden due to heat insula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사육장의 벽체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을 평면에서 본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ll of an insect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2.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g. 3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outl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erms and names used in the description are intended to be implicitly constru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specific descriptions of well-known and commonly-use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r to be omitted or replaced with a simple code or name.

이하, Below, 도1을1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foll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빔(A)의 외면에 외벽(10)을 설치하고, 지지빔(A)의 내면에 내벽(20)을 설치하며, 내벽(20)과 외벽(10) 사이에 공간(30)을 형성한 벽체를 포함하는 곤충사육장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all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the inner wall 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and the inner wall 2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ll 20 and the outer wall 10 And an insect hatchery including a wall on which a space 30 is formed.

상기한 외벽(10)은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벽(20)은 샌드위치판넬, 우레탄판넬, 합판, 합성수지보드, 석고보드, 금속판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wall 10 may be formed of a sandwich panel and the inner wall 20 may be formed of a sandwich panel, a urethane panel, a plywood, a synthetic resin board, a gypsum board, a metal plate, or the like.

이렇게 하면, 외벽(10)과 내벽(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0)에 의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기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을 내부와 긴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단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단열방법은 별도의 내장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에 따른 비용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form an air layer by the space 30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10 and the inner wall 20, and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inside from the outside by the air layer, So that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heat insulation method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separate interior material, the cost burden due to heat insula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한편, 상기한 외벽(10)이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경우, 즉,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구비하는 조건을 갖출 경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외벽(10)은 지지빔(A)의 외면에 외벽(10)을 설치한 다음, 그 외벽(10)의 내면을 방수처리한 후, 내벽(20)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case where the outer wall 10 is formed of a sandwich panel, that is, a condition for providing a gap through which air can flow is provided, the outer wall 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The inner wall of the outer wall 10 may be waterproofed and then the inner wall 20 may be provided.

상기에서 방수처리는 외벽(10)에 내면에 방수액을 도포하거나,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waterproof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waterproofing liqui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0, or attaching a waterproof sheet.

이렇게 하면, 외부의 공기가 공간(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30,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또한, 상기한 내벽(20)이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지지빔(A)의 내면에 내벽(20)을 설치한 다음, 그 내벽(20)의 내면을 방수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inner wall 20 is formed of a sandwich panel, the inner wall 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20 is waterproofed .

이렇게 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내부의 공기가 공간(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외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단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prevent the inflow of air into the space 30, as well as to prevent the inflow of air inside and outsid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또한, 상기한 내벽(20)의 내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40)를 설치한 다음, 그 단열재(40)의 내면에 마감판재(50)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20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40 as shown in the figure and a finishing plate 5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40.

상기한 단열재(40)는 스티로폼, 합성수지폼, 섬유질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감판재(50)는 상술한 내벽(20)과 마찬가지로 샌드위치판넬, 합판, 합성수지보드, 석고보드, 금속판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40 may be made of a foamed material such as styrofoam, a synthetic resin foam or a fibrous foam. The finished plate 50 may be made of a sandwich panel, a plywood, a synthetic resin board, a gypsum board, have.

이렇게 하면, 내외의 공기 유입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공기층을 갖는 공간(30)과 더불어 내외의 온도전달을 차단하기 때문에 단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By doing so, not only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flows are more actively cut off, but also the heat transmission inside and outside is interrupted in addition to the space 30 having the air layer, so that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is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한 단열재(40)는 우레탄발포액을 발포기구로 도포하여서 우레탄발포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heat insulating material 40 may include coating the urethane foam liquid with a foaming mechanism to form a urethane foam wall.

이렇게 하면,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단열재(40)의 벽체두께를 현저하게 얇게 하면서도 그와 동등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고, 내벽(20)이 틈새는 갖는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경우 그 판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벽체뿐 아니라 실내의 천장에도 단열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의 전체적 단열성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a heat insulating effect equivalent to that of the styrofoam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wall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40. In the case where the inner wall 20 is made of a sandwich panel having a clearance, Since the insulating layer can be formed not only on the wall but also on the ceiling of the room, the overall thermal insulation of the room is remarkably increased.

이하, Below, 도4를4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foll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는 실내로부터 공간(30)이 연통되도록 개구부(6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ming an opening 60 so that the space 30 communicates from the interior.

상기에서 개구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될 경우, 그 난방장치의 송풍방향을 감안하여 벽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부(60)를 형성하고, 상부의 개구부(60)를 통해 하부의 개구부(60)로 난방장치의 온기 또는 냉기가 순환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장치가 스탠드형으로 되어 바닥에 설치되고, 그 난방장치의 송풍방향이 벽체의 중간을 향할 경우, 벽체의 중간과 상부 그리고 하부에 각각 개구부(60)를 형성하여서 중간의 개구부(60)를 통해 상부와 하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구와 출구의 개구부(60)는 난방장치의 위치와 송풍방향을 감안하여 온기 또는 냉기가 공간(30)을 통해 순환하도록 형성하면 된다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60 may include at least one opening. When the hea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openings 6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ide of the wall,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can be made so that the warm or cool air of the heating device is circulated through the upper opening 60 to the lower opening 60. For example, when the hea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form of a stand and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heating device faces the middle of the wall, the opening 60 is formed in the middl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all, 60 so as to be exhausted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at is, the opening 60 of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formed so that warm or cool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space 30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heating device and the air blowing direction.

이렇게 하면, 공간(30)으로 온기 또는 냉기가 유입되어 공간(30) 안에 온기 또는 냉기가 채워지게 되고, 이렇게 채워진 온기 또는 냉기가 연속적으로 공간(30)을 통해 순환하기 때문에 공간(30)의 온도가 따뜻하거나 차가워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온기 또는 냉기에 의한 단열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warm or cool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30 to fill the space 30 with warmth or cold air, and since the warm or cool air thus filled continuously circulates through the space 30,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30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warm or cold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positively achieve heat insulation by heat or cold.

상기에서 개구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내면을 일정간격 절개하는 방식을 채용하거나,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완전하게 개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20)의 상부에 개구부(60)가 형성될 경우, 그 개구부(60)는 마감판재(50)의 상단을 중심으로 개구부(60)를 형성하면 되며, 이렇게 하면 개구부(60)를 형성하기 위해 마감판재(50)를 별도로 절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열재(40)를 우레탄발포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몰드를 개구부(60)에 위치시킨 상태로 우레탄발포액을 도포한 후, 우레탄발포벽체가 형성된 다음, 그 몰드를 때어내는 방식으로 개구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우레탄발포액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개구부(60)의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the opening 60 may employ a method of cu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the drawing, or a method of opening the wall completely, though it is not shown. When the opening 6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20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60 may be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inishing plate 50, 60,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cut the finishing plate 50,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s improved. In the case of forming the urethane foam wall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40, the urethane foam wall is formed after the urethane foam wall is formed with the separate mold placed in the opening 60, and then the urethane foam wall is formed. Then, (60) can be formed. This can reduce the consumption of the urethane foam liquid and simplify the construction of the opening 60.

이하, Below, 도5를5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foll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구부(60)는 벽체의 공간(30)으로부터 바닥의 이격공간(90)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openings 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xtending from the space 30 of the wall to a spaced space 90 at the bottom.

상기에서 바닥의 이격공간(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상면에 지지대(7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지지대(70)의 상면에 바닥판재(80)를 얹어 바닥과 바닥판재(80) 사이에 이격공간(9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loor separation space 90 is formed by arranging support bases 70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cing the bottom plate 8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70, The spacing space 9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80 and the second electrode 80.

상기에서 바닥의 이격공간(90)과 벽체의 공간(30)을 이어지게 하는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치의 천장에 설치될 경우, 그 벽체의 내측 상부에 공간(30)으로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고, 벽체의 내측 하단에 바닥의 이격공간(90)으로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여서, 바닥의 이격공간(90)과 벽체의 공간(30)을 이어지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floor space 90 and the wall space 30, when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eating apparatus, An opening 60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space 90 can be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wall so that the floor space 90 and the wall space 3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바닥판재(80)의 어느 한 곳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와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여서 난방장치로 통해 벽체의 내측 상부로 유입되는 온기 또는 냉기가 바닥의 중간을 통해 실내로 배기되도록 하여서 순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n opening 60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room is formed in any one place of the bottom plate 80, so that warm or cool air flowing into the upper inside of the wall through the heating device is exhausted to the room through the middle of the floor Can be circulated.

이렇게 하면, 벽체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공간(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공간(30)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공간(30)에 온기 또는 냉기를 순환공급하여 실내의 온도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온기 또는 냉기에 의한 단열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space 30 can be formed not only on the wall but also on the floor, and it is possible to block the moisture coming from the floor due to the space 30 and to circulate and supply warm or cool air to the space 3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door temperature more efficiently and to further improve the heat insulation by the warm or cool air.

이하, Below, 도5를5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foll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의 이격공간(90)은, 바닥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70)를 지지대(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면상 일정간격을 두고 횡으로 배치하고, 그 횡으로 배치된 지지대(70)를 다시 일정간격을 두고 종으로 배치하며, 횡으로 배치된 지지대(70)와 지지대(70) 사이와 종으로 배치된 지지대(70)와 지지대(70) 사이로 벽체의 공간(30)이 바닥의 이격공간(90)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loor spacing space 9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rods 7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re arranged transversel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pla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s 70, The support 7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70 and the support 70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70 and the support 70, (30)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ing space (90) on the floor.

이때 바닥의 개구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중앙 양측에 해당하는 바닥판재(80)에 개구부(60)를 형성하여 벽체의 개구부(60)를 통해 유입되는 온기 또는 냉기가 바닥의 개구부(60)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ing 60 of the floor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8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loor, so that the warm or cool ai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60 of the wall And can be exhausted to the opening portion 60.

이렇게 하면, 벽체뿐만 아니라 실내의 전체가 온기 또는 냉기로 휩싸이게 되고, 이로 인해 온도의 유지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실내에 박스형태로 배치된 곤충사육공간의 하부로부터 온기 또는 냉기를 공급시킬 수 있으므로 곤충사육에 필요한 온기 또는 냉기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not only the wall but also the entire interior of the room is covered with warmth or cold air, so that the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more efficiently. In particular, warm or cool air can be supplied from the bottom of the insect-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transmit warmth or cool air required for insect rearing.

이하, Below, 도7를7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foll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 개구부(60)는 공간(30)으로부터 입구 측이 넓어지는 확산덕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the wall openings 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ffusion duct 61 extending from the space 30 to the inlet side.

상기한 확산덕트(61)는 입구 측의 개구부(6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usion duct 61 is formed in the opening 60 on the inlet side.

이렇게 하면, 난방장치에서 뿜어내는 바람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간(30)으로 온기 또는 냉기를 더욱더 많이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30)의 온도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유지 및 변화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s allows more air to be blown out of the heating device, thereby allowing more warm or cool air to flow into the space 30, thereby allowing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30 to be maintained and changed more efficiently It is effective.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성의 응용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onfigura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행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하게 수정,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The structure, form, shape, arrangement, direction, and quantity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their concret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nvention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to be pursued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desired or desirable. It i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comple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by selecting or excluding some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cost reduction, manufacturing convenience, , One or a part of the components may be separated and completed in parallel with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to other technical fields in view of principle, purpose, function, role, action, effect,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as well as the power generation.

A1: 각목
A2: 판목
10: 받침다리
11: 보강부
12: 커버
13: 걸림돌기
20: 종 방향 연결판재
30: 횡 방향 연결판재
40: 마감판재(50)
A1: Each item
A2: Plywood
10:
11:
12: cover
13: The stumbling block
20: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30: transverse connecting plate
40: Finishing plate 50

Claims (3)

지지빔(A)의 외면에 외벽(10)을 설치하고, 지지빔(A)의 내면에 내벽(20)을 설치하며, 내벽(20)과 외벽(10) 사이에 공간(30)을 형성한 벽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
An outer wall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and an inner wall 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 and a space 3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20 and the outer wall 10 Wherein the insect hatchery comprises a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실내로부터 공간(30)이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곤충사육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l comprises forming an opening (60) through which the space (30) communicates from the inside of the compartm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60)는 바닥의 이격공간(90)을 형성하여 벽체의 공간(30)으로부터 바닥의 이격공간(90)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곤충사육장.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opening (60) comprises forming a floor spaced apart space (90) from the wall space (30) to a floor spaced space (90).
KR1020170025933A 2017-02-28 2017-02-28 Insect farm KR101965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33A KR101965193B1 (en) 2017-02-28 2017-02-28 Insect f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33A KR101965193B1 (en) 2017-02-28 2017-02-28 Insect f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81A true KR20180099981A (en) 2018-09-06
KR101965193B1 KR101965193B1 (en) 2019-04-23

Family

ID=6359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933A KR101965193B1 (en) 2017-02-28 2017-02-28 Insect f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9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963A (en) * 1999-07-14 2001-02-05 이영근 Continuous vermiculture apparatus
KR20010078627A (en) * 2000-02-09 2001-08-21 박석일 building's construction method
JP3089747U (en) * 2002-05-02 2002-11-08 勲 大川 building
JP2008214984A (en) * 2007-03-06 2008-09-18 Ig Kogyo Kk Ventilating wall structure
JP2013136877A (en) * 2011-12-28 2013-07-11 Ito Masayoshi Wall structure of building
KR101691584B1 (en) 2016-03-25 2017-01-09 최춘흠 Insect raising water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747B2 (en) * 1991-09-20 2000-09-1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apermaking additiv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963A (en) * 1999-07-14 2001-02-05 이영근 Continuous vermiculture apparatus
KR20010078627A (en) * 2000-02-09 2001-08-21 박석일 building's construction method
JP3089747U (en) * 2002-05-02 2002-11-08 勲 大川 building
JP2008214984A (en) * 2007-03-06 2008-09-18 Ig Kogyo Kk Ventilating wall structure
JP2013136877A (en) * 2011-12-28 2013-07-11 Ito Masayoshi Wall structure of building
KR101691584B1 (en) 2016-03-25 2017-01-09 최춘흠 Insect raising water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193B1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202B1 (en) Apparatus and Facilities for Breeding Insects of large Quantity
Richards et al. Thermal ecophysiology of seven carrion‐feeding blowflies in Southern Africa
Mitchell Ratios of colony mass to thermal conductance of tree and man-made nest enclosures of Apis mellifera: implications for survival, clustering, humidity regulation and Varroa destructor
Colbourne Incubation behaviour and egg physiology of kiwi (Apteryx spp.) in natural habitats
WO202122545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rmal control of beehive pests
KR101965193B1 (en) Insect farm
CN105453842A (en) Rapid heat-radiating pasture storeroom
Gbabo et al. Design,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electric powered egg incubator
Arcidiacono Engineered solutions for animal heat stress abatement in livestock buildings.
US4254737A (en) Slotted floor section with built-in means adapted for heating weaned pigs in nursery
Boďo et al. Monitoring of litter quality and temperature in breeding of fattening chickens
Strateanu et al. Analysis of the Microclimate Conditions and Parameters in the Shelters for Dairy Cows and their Influence on the Animals Welfare
CN204305911U (en) Cold catalyst biological deinsectization penkeeping feeding trough feed trough
Okelo et al. Effectiveness of a novel method to reduce heat stress in broilers: A cool roost system
Berman Inter-animal radiation as potential heat stressor in lying animals
Baba et al. Performance of Vanaraja birds under different climatic parameters
KR20190096186A (en) Insect mass feeding devices and equipment
CN207885415U (en) Mink nest case
KR102352266B1 (en) Apartment Typed Farm Apparatus For Reptile
CN214903075U (en) Ecological chicken breeding brooding heat preservation device
Jongbo Investigation into an alternative approach of environmental control to enhance sensible heat transfer from broiler chickens during hot weather periods
RU2517835C2 (en) Hive feeder
CN207911700U (en) Mink is given up with case
Ivanov et al. Features of microclimate in buildings of light type for growing lactating sows
CN109006713B (en) Wasp utensil that prevent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wasp based on wasp is b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