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72A -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72A
KR20180099372A KR1020170026762A KR20170026762A KR20180099372A KR 20180099372 A KR20180099372 A KR 20180099372A KR 1020170026762 A KR1020170026762 A KR 1020170026762A KR 20170026762 A KR20170026762 A KR 20170026762A KR 20180099372 A KR20180099372 A KR 2018009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er terminal
acoustic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3707B1 (en
Inventor
김주완
나동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07B1/en
Publication of KR2018009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uiding a traffic signal by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comprises the processes of: connecting a main acoustic signaler with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receiving, at the main acoustic signaler, at least one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including a signal type identifier, a signal period, and acoustic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providing, by the main acoustic signaler, at least on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n installation location, an installation direction and an intersection identifier of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to a user terminal; identifying, by the user terminal, the main acoustic signaler or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a voice guidance request to the main acoustic signaler through a user input; and processing, by the main acoustic signaler, a voice guidance of the main acoustic signaler or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는 보행자 유도 안내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자 유도 안내를 위한 정보를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pedestrian guiding guidance techniqu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for pedestrian guiding guidance using a voice signal.

시각 장애인에게 보행안내정보와 보행신호등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방법은 시각 장애인의 보행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method of informing visually impaired people about walking information and gait information can be used to secure pedestrian safety of the visually impaired.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의 상황, 예를 들어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사용하여 안내할 수 있는 음향 신호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보행안내표지판의 관련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해서 보행안내표지판이 나타내는 바를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사용하여 안내할 수 있는 음성 유도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Generally, in order to support the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an acoustic signaling device capable of guiding the situation of an intersection or a crosswalk, for example, the situation of a traffic signal using voice or sound signals,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order to inform related information of the walking guidance signboard, a voice induction device is installed which can guide the sign indicated by the walking guidance signboard using voice or sound signals.

음향 신호기와 음성 유도기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는 목적도 있지만,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에 있어 보행 상황을 알 수 있는 웨이 포인트를 확인하는 역할도 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The acoustic signal and voice inducer are also aimed to guide the visually impaired to walk, but they als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because they also identify the waypoint to know the walking situation i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음향 신호기와 음성 유도기에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예, 시각 장애인)에게 제한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리모컨 또는 교통 신호기에 연결된 안내 버튼을 사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사용하여 안내되고 있다.In order to restrictively provide a voice or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acoustic signaling device and the voice induction device to a required object (for example, a visually impaired person), a guidance button connected to a wireless remote control or a traffic signal may be used to voice- Signal. ≪ / RTI >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예, 시각 장애인)은 교통 신호기에 연결된 안내 버튼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무선 리모컨을 활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안내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A person who needs a voice or a sound signal (for example, a visually impaired person) has difficulty in finding a guidance button connected to a traffic signal, and therefore, a method of guiding a voice or sound signal to a situation of a traffic signal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is preferred .

무선 리모컨을 활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안내하는 방식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비컨 통신 장치를 사용한 음성 또는 음향 신호 안내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다.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voice or acoustic signal guidance method using a beac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Bluetoot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 method of guiding a voice or acoustic signal to a situation of a traffic signal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

그러나, 비컨 통신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채널이 한정적이고, 한정된 채널을 사용하여 경쟁 송출을 통해 비컨 통신 장치들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교통 신호기가 많이 요구되는 환경, 예를 들어 사거리 교차로에 복수의 교통 신호기가 설치되는 환경에서는 비컨 통신 장치들 사이 통신 연결 및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since the beacon communication apparatus is limited in the channel on which the beacon communication apparatus can communicat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acon communication apparatuses is performed through the competitive transmission using the limited channel,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raffic signal is required in a large amou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nect and maintain communication between beacon communication devices in an environment where a traffic signal of a beacon is installed.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tably providing traffic signal information to a user.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guiding information on a traffic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location.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통 신호기와 연결되는 비컨 통신 장치들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on a traffic signal while stably maint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beacon communication devices connected to a traffic signal and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subject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to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주 음향 신호기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로부터 신호 종류 식별자, 신호 주기, 음향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안내 요청을 상기 주 음향 신호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음성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can be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upling a main acoustic signaler with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and transmitting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from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to at least one voice traffic Receiving at least one piece of equipm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installation location, installation direction, and intersection identifier of the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er to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the main sound signal or the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voice guidance request to the main sound signal by the user terminal; The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Effort buzzer, or it may comprise the step of processing the at least one of the voice guidance of the auxiliary acoustic beacon.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features briefly summarized above for this disclosure are only exemplary aspec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which follow,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disclosure.

본 개시에 따르면, 비컨 통신 장치들을 사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tably providing information of a traffic signal to a user using beacon communication apparatuses can be provided.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guiding information on a traffic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location.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이 설치되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가 마련되는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연결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교통신호 안내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S. 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n intersection or crosswalk where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in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signal guidance operation in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May also be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another element, it is meant to include not only excluding another element but also another element .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elements, etc.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us,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intended to clearly illustrate each featur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components are separate.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a singl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into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us, unless otherwise noted,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Thus, embodiments consisting of a subset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embodiments that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1)은 주 음향 신호기(10),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main acoustic signaler 10,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and a user terminal 30 hav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마련된 신호기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교통 신호를 음성 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기와 유선/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기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교통 신호와 관련된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교통신호정보는 교통 신호(예, 적색신호, 청색신호, 황색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교통 신호 식별자, 각각의 교통 신호의 출력 주기를 나타내는 신호 주기 등을 포함하는 수신할 수 있다.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 guiding a traffic signal visually displayed in a signal provided at an intersection or a crosswalk to a voice signal. Thus,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ing device 20 ar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ignaling device provided in a lane or pedestrian crossing, and the signaling device is associated with a traffic signal visually displayed Traffic signal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traffic signal identifier indicating a type of a traffic signal (e.g., a red signal, a blue signal, or a yellow signal), a signal period indicating an output period of each traffic signal, and the like.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각각의 교통 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상기 교통신호정보와 음성신호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The main acoustic signaler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20 may store a voice signal or a voice guidance message guiding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to each traffic signal.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ing device 20 may generate and store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traffic signal information and a voice signal or voice guidance message.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주 음향 신호기(1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주 음향 신호기(10)에 전달할 수 있다.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 20 may store at least on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n installation location, an installation direction, and an intersection identifier.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er 20 may communicate the device information or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to the main sound signaler 1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ound signaler 10.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받고,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의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식별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확인할 수 있다. The main acoustic signal generator 10 is also provided with a main acoustic signal generator 10 or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generator 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30, The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can be provided. The main acoustic signaler 1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identifying the main acoustic signaler 10 or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from the user terminal 30, The signaling device 1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from the user terminal 30 and confirms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or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 .

한편, 사용자 단말(30)은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30)은 미리 정해진 시간단위마다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이동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로부터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은 기기 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30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30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nfirm the movement locus of the user terminal 30. [ The user terminal 30 may then receive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main acoustic signal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from the main acoustic signal 10. The user terminal 30 can also identify the devi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main acoustic signal 10 or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식별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can request the acoustic signal of the traffic signal to the main acoustic signal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30. [ The user terminal 30 may then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identifying the main acoustic signal 10 or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can be provid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주 음향 신호기(10),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은 근거리 통신망(1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서 교통 신호를 음성 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므로, 근거리 통신망(15)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가 마련되는 환경에서 고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주 음향 신호기(10)와,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30)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1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imary acoustic signaler 10, the secondary acoustic signaler 20, and the user terminal 30 may be connected via the local area network 15. Since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 guiding a traffic signal to a voice signal at an intersection or a crosswalk, the local area network 15 is provided at a fixed position in an environment where an intersection or a crosswalk is provided A user terminal 30 which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connecting the main acoustic signal transmitter 10 and the auxiliary acoustic signal transmitter 20 and can be moved to various positions; It is enough if it can send and receive.

또한, 근거리 통신망(15)은 비컨의 송수신과 기기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It is also sufficient that the local area network 15 can support communication based on a protocol for transmitting / receiving beacons and pairing devices.

나아가, 근거리 통신망(15)은 소규모 데이터 전송과, 저전력 통신을 지원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주 음향 신호기(10),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에 기초한 연결 동작 및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local area network 15 can support small scale data transmission and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supporting low power communication. The main acoustic signal 10, th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and the user terminal 30 can process connection operations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s based on the BLE (Bluetooth Low Energy) scheme.

더 나아가, 근거리 통신망(15)은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과, 광고(Advertising)/스캔(Scan)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의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ocal area network 15 can support processing of a communication protocol of a master / slave method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of an advertisement / scan method.

바람직하게, 주 음향 신호기(10)와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방식으로 연결되며,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은 광고(Advertising)/스캔(Scan)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and the auxiliary audio signal transmitter 20 are connected in a master / slave manner, and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and the user terminal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advertisement / (Scan) method.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이 설치되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가 마련되는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S. 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n intersection or crosswalk where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도 2a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4거리 교차로에 신호기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may be applied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signal is installed at a four-way intersection.

4거리 교차로에는 8개의 신호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10)은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를 구비할 수 있다.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210 includes a main acoustic signal 211 and seven auxiliary acoustic signals 212a, 212b, 212c, 212d, 212e, and 212f , 212g.

주 음향 신호기(211)는 마스터 모드에 기초하여 응답요청(inquiry request)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슬레이브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는 응답요청(inquiry request)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주 음향 신호기(211)로 응답(response)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는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여,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11 periodically transmits an inquiry request signal based on the master mode and outputs seven auxiliary audio signal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main acoustic signal 211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inquiry request signal.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11 and the seven auxiliary audio signal transmitter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and 212g can exchange data necessary for connection and complete the connection.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의 연결과정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 음향 신호기(211)는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에 대한 각각의 기기 정보(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 등)를 수신할 수 있다.Using the data exchanged during the connection of the main audio signal 211 and the seven auxiliary audio signal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and 212g, the main audio signal 211 includes seven auxiliary audio signals (Installation location, installation direction, intersection identifier, and the like) for each of the device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and 212g.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15)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10)에 진입하면, 주 음향 신호기(211)는 사용자 단말(215)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주 음향 신호기(211)와, 사용자 단말(215)은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 음향 신호기(211)는 광고(advertise) 모드로서 동작하고, 사용자 단말(215)은 스캔(scan)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215 enters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210 in a state where the main acoustic signal 211 and the seven auxiliary acoustic signal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and 212g are connected, The main audio signal 211 may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15. At this time,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11 and the user terminal 215 may be connected in an advertise / scan mode. Specifically, the main audio signal 211 operates as an advertise mode, and the user terminal 215 may operate as a scan mode.

주 음향 신호기(211)와 사용자 단말(215)은 각각 광고(advertise)와 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11)는 광고(advertise) 모드에서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의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15)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main audio signal 211 and the user terminal 215 may be operable to periodically switch between the advertise and scan modes, respectively.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11 transmits the device information or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of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11 and the seven auxiliary sound signal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and 212g in the advertise mode And the user terminal 215 can receive it.

사용자 단말(215)은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15)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스캔(scan)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215)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기(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주 음향 신호기(21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15 confirms the user input requesting the sound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and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15 and then, in a scan mode, (Equipment of at least one of the main acoustic signal 211 and the seven auxiliary acoustic signals 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and 212g) and information requesting sound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To the sound signal transmitter 211.

도 2b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4거리 교차로에 신호기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may be applied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signal is installed at a four-way intersectio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거리 교차로에는 8개의 신호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20)은 4개의 주 음향 신호기(221a, 221b, 221c, 221d)와, 4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22a, 222b, 222c, 222d)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ight signalers may be provided at the four-way intersection. In response to this,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220 includes four main acoustic signalers 221a, 221b, 221c and 221d, Acoustic signalers 222a, 222b, 222c, and 222d.

제1 주 음향 신호기(221a)와 제1 보조 음향 신호기(222a)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주 음향 신호기(221a)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제1 보조 음향 신호기(222a)가 슬레이브 모드로서 동작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21a and the first auxiliary sound signal generator 222a may be set as one group and the first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21a operates in the master mode and the first auxiliary sound signal generator 222a Operate as a slave mode, and can perform a connection.

제1 주 음향 신호기(221a)와 제1 보조 음향 신호기(222a)의 연결 처리와 마찬가지로 제2 주 음향 신호기(221b)와 제2 보조 음향 신호기(222b), 제3 주 음향 신호기(221c)와 제3 보조 음향 신호기(222c), 제4 주 음향 신호기(221d)와 제4 보조 음향 신호기(222d)는 각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21b and the second auxiliary sound signal generator 222b and the third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21c and the second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2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processing of the first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21a and the first auxiliary audio signal transmitter 222a. The third auxiliary sound signal generator 222c, the fourth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21d, and the fourth auxiliary sound signal generator 222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주 음향 신호기(221a, 221b, 221c, 221d)는 각각 사용자 단말(225)과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221a, 221b, 221c, 221d)와 사용자 단말(225)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의 전송,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수신하여,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The main audio signalers 221a, 221b, 221c, and 221d may perform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25, respectively. The main acoustic signalers 221a, 221b, 221c and 221d and the user terminal 225 may operate by periodically switching the advertise / scan mod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ransmission of device information or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requesting acoustic guidance of a traffic signal, and sound guidance of a traffic signal.

도 2c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횡단보도에 신호기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C,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can be applied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signal is installed on a pedestrian crossing.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보도에는 양방향에 각각의 신호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30)은 주 음향 신호기(231)와, 보조 음향 신호기(232)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ransverse sidewalks may be provided with respective signal devices in both directions. In response to this,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230 includes a main acoustic signaler 231 and an auxiliary acoustic signaler 232 .

주 음향 신호기(231)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보조 음향 신호기(232)가 슬레이브 모드로서 동작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in sound signal generator 231 operates in the master mode and the auxiliary sound signal 232 operates in the slave mode to perform the connection.

주 음향 신호기(231)는 사용자 단말(235)과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231)와 사용자 단말(235)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의 전송,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수신하여,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31 can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35.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231 and the user terminal 235 can operate by switching the advertise / scan mode periodically, as in the above embodiment, Transmission of signal informatio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requesting acoustic guidance of a traffic signal, and sound guidance of a traffic signal.

이와 같은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을 통해, 주 음향 신호기는 사용자 단말이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교통 신호기에 근접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 및 보조 음향 신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에 맞는 교통 신호기의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the main acoustic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main acoustic signal and the auxiliary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as the user terminal approaches the traffic signal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r the crosswalk,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acoustic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Thus,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can more accurately provide the signal of the traffic signal suitable for the user's location.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연결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교통신호 안내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FIG. 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in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llustrates a traffic signal guidance operation in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은 전술한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에 구비되는 구성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의 진행과정을 설명을 통해 전술한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erformed by a component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A detailed operation procedure of the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system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주 음향 신호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S301). 구체적으로, 주 음향 신호기(10)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여,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 sound signaling device 10 performs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ing device 20 (S301). Specifically, the main acoustic signaler 10 operates in the master mode,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operates in the slave mode to complete the connection.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주 음향 신호기(10)로 기기 정보(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 등)를 전송할 수 있으며(S302, S304, S306), 상기 기기 정보(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 등)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S303, S305, S307).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 transmitter 20 can transmit device information (installation position, installation direction, intersection identifier, etc.) (S302, S304, S306) to the main sound signaler 10, Directions, intersection identifiers, etc.) (S303, S305, S307).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가 연결이 완료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가 주 음향 신호기(10)에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는 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가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The device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is transmitted to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after the connection of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is complete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er 20 may be exchanged du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sound signaler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er 20.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연결을 수행한다(S308). 구체적으로,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advertise) 모드에 기초하여 연결신호(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를 주기적으로 스캔하고, 스캔(scan)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연결신호(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를 확인한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로 연결 요청 신호(Connection Request)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는 연결 요청 신호(Connection Request)에 대한 수락 신호를 전송하여 주 음향 신호기(10)와의 연결을 완료한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연결 타이밍을 설정하고, 각각의 타이밍에 맞추어 사용자 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performs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 (S308). Specifically, the main audio signaling device 10 periodically scans the 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 (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 based on the advertise mode,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 operating based on the scan mode Check the signal (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user terminal 30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for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Then,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sets the connection timing with the user terminal 30,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30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timings.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로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9).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may transmit the device information to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to the user terminal 30 (S309).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의 연결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단말(30)가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기기 정보는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이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llustrates that the user terminal 30 transmits device information after the connection of the main audio signal 10 and the user terminal 30 is complete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device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connection between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and the user terminal 30.

S3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를 확인하고,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30)은 기 등록된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310, the user terminal 30 can confirm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ain acoustic signal device 10 and confirm whether the device is a device registered in advance. When device information for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is registered in advance, the user terminal 30 can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sing previously registered information.

반면,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로, 주 음향 신호기(10) 및 상기 주 음향 신호기(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요청하고(S311), 주 음향 신호기(10)로부터 주 음향 신호기(10) 및 상기 주 음향 신호기(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S312).On the other hand, if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is not registered in advance, the user terminal 30 transmits the main audio signal to the main audio signaler 10 and the main audio signaler 10 (At step S311) device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connected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connected to the main acoustic signal 10 and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10 connected to the main acoustic signal 10, And may receive and store device information for the device 20 (S312).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주 음향 신호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가 전송하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1, S402, S403). 여기서, 상기 음성교통신호정보는 교통 신호(예, 적색신호, 청색신호, 황색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교통 신호 식별자, 각각의 교통 신호의 출력 주기를 나타내는 신호 주기, 교통 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auxiliary audio signaler 20 based on the timing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at least one auxiliary audio signaler 20, (S401, S402, and S403), which are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sound signal transmitter 20 of FIG. Here, the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includes a traffic signal identifier indicating a type of a traffic signal (e.g., a red signal, a blue signal, a yellow signal), a signal period indicating an output period of each traffic signal, A voice signal or a voice guidance message.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 모드와 스캔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활 수 있는데, 광고 모드에서, 상기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의 광고 모드와 스캔 모드와 연동되어, 광고 모드와 스캔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활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가 광고 모드로 동작하는 타이밍에 스캔 모드로 동작하고, 역으로 주 음향 신호기(10)가 스캔 모드로 동작하는 타이밍에 광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periodically switches between the advertisement mode and the scan mode, and in the advertisement mode, the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 [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 can interoperate with the advertisement mode and the scan mode of the main audio signal 10, and can periodically switch the advertisement mode and the scan mod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 operates in the scan mode at the timing when the main audio signal 10 operates in the advertisement mode, and conversely operates in the advertisement mode at the timing when the main audio signal 10 operates in the scan mode. can do.

한편, S4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4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가 제공한 기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S404, the user terminal 30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step S405, the user terminal 30 uses the dev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in sound signaling device 10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sound signal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30, The signer 20 can be confirmed.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S406).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입력은 사용자 단말(30)에 구비되는 미리 정해진 버튼(또는 키패드)의 입력 또는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can confirm the input requesting the sound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from the user (S406). The input for requesting the sound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may include an input of a predetermined button (or a keypad)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30 or a voice input of a user requesting sound guidance of a traffic signal.

S4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광고 모드로 전환되고, 주 음향 신호기(10)는 스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S4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광고 모드에서, 주 음향 신호기(10)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기(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407, the user terminal 30 is switched to the advertisement mode, and the main acoustic signal device 10 can be switched to the scan mode. In step S408, the user terminal 30 may transmit information for requesting sound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to the main sound signaling device 10 in the advertisement mode. Herein, the information requesting the acoustic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vice (the main acoustic signal device 10 and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device 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30 And an instruction to request sound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S409 단계에서,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 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 단말(30)은 스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In step S409,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is switched to the advertisement mode, and the user terminal 30 can be switched to the scan mode.

S410 단계에서,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기(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410, the main sound signaling device 10 transmits the device (at least one of the main sound signaling device 10 and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ing device 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30 Based on the indicating information, send an instruction to request acoustic guidance of the traffic signal to the corresponding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이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대응되는 교통신호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Correspondingly, the corresponding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can output a voice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traffic signal.

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사이의 통신과,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 사이의 통신 동작을 처리함에 있어서, 수신확인 메시지(ACK)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줄임으로써, 통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In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and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ing device 20 and between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and the user terminal 30, The communication success rate can be increased.

사용자 단말(30)이 복수의 음향 신호기(10, 2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통신 성공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보행자에게 교통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보행안전에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와 연결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mmunication success rate may be lowered when the user terminal 30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acoustic signals 10 and 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this case, the traffic information may not be correctly transmitted to the pedestrian, and the pedestrian safety may be threate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terminal 30 can maintain a st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by connecting to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thereby accurately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와의 연결만으로, 복수의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은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기기 정보가 필요한 음향 신호기(10, 20)를 확인하고, 해당되는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주 음향 신호기(10)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30)은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보다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30 can confirm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sound signaling devices 10 and 20 only by connecting to the main sound signaling device 10. The user terminal 30 receives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sound signal devices 10 and 20 and checks the sound signal devices 10 and 20 for which the device information is required, The device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and received by the main audio signal transmitter 10. This allows the user terminal 30 to acquire device information for the sound signaling devices 10, 20 more quickly.

본 발명의 개시에 따르면, 주 음향 신호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통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음향 신호기(10),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 사이의 효율적인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주 음향 신호기(10)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통신 과정에서는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모드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 과정에서는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acoustic signaler 10 i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for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while at the same time performing operations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acoustic signaling device 10,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ing device 20, and the user terminal 30 can be realized.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20, the main acoustic signal transmitter 10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a master / slave mode. In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 and can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an advertise / scan mode.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exemplary methods of this disclosure are represented by a series of acts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performed, and if necessary,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illustrative steps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steps, include the remaining steps except for som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steps other than some step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are not intended to be all-inclusive and are intended to illustrat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disclosure, and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a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s, firmware, Instructions, and the like are stored and a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xecutable on the device or computer.

Claims (1)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 있어서,
주 음향 신호기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로부터 신호 종류 식별자, 신호 주기, 음향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안내 요청을 상기 주 음향 신호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음성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A traffic signal voice guidance method,
Connecting the main acoustic signaler with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Receiving at least one voice traffic signal information including a signal type identifier, a signal period, and acoustic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Providing at least on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intersection identifier of the at least one auxiliary sound signaler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the main acoustic signal or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a voice guidance request to the main acoustic signaler by user input;
Wherein the main acoustic signaler comprises processing the voice guidance of the main acoustic signaler or the at least one auxiliary acoustic signal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KR1020170026762A 2017-02-28 2017-02-28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13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62A KR102013707B1 (en) 2017-02-28 2017-02-28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62A KR102013707B1 (en) 2017-02-28 2017-02-28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72A true KR20180099372A (en) 2018-09-05
KR102013707B1 KR102013707B1 (en) 2019-10-21

Family

ID=635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762A KR102013707B1 (en) 2017-02-28 2017-02-28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en)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KR101201736B1 (en) * 2011-08-30 2012-11-15 (주)엘엠솔루션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271743B1 (en) * 2012-08-06 2013-06-05 이정명 Traffic convenience system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KR20160005268A (en) * 2014-07-04 2016-01-14 도로교통공단 driving device of the sound generator for a brind person and driv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en)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KR101201736B1 (en) * 2011-08-30 2012-11-15 (주)엘엠솔루션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271743B1 (en) * 2012-08-06 2013-06-05 이정명 Traffic convenience system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KR20160005268A (en) * 2014-07-04 2016-01-14 도로교통공단 driving device of the sound generator for a brind person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707B1 (en)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honos et al. Universal real-time navigational assistance (URNA) an urban bluetooth beacon for the blind
CA2961884C (en) Integrated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KR101271743B1 (en) Traffic convenience system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CN108139215B (en) Routing of persons by means of acoustic signals
KR102075646B1 (en) method for guiding pedestrian crossing route for the blind
KR101708120B1 (en) Alert notification system for pedestrian based bluetooth low energy, and thereof service method
US20220415164A1 (en) Integrated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KR20180014477A (en) Road traffic notification system of emergency dispatch vehicle
KR20070091756A (en) The group system and method used ubiquitous sensor networks
CN105407446B (en) A kind of blue-tooth device, projection arrangement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180099372A (en) 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873489B1 (en) Crossroad passing support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9284409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rendezvous supporting function
CA3017574C (en) Advanced wireless push button for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KR101038177B1 (en) Method for confirming situation using zigbee communication
KR20180091429A (en) In-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icapped person in using bus
KR1025909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Traffic Light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JP3995425B2 (en) Traffic signal system using short-range radio, user terminal used therefor, and signal guide method for crosswalk
KR2013006455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rouping
KR20020058647A (en) method for guiding a traffic information using a mobile-phone
KR20210084409A (en) A route guidance device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wireless tag map
KR20210001885A (en) system for guiding pedestrian crossing route for the blind
KR201600504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e guidance using a wireless tag map for a visionally impaired person
KR102314541B1 (en) system for guiding pedestrian crossing route for the blind
Bohonos et al. Cellphone accessible information via bluetooth beacon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